KR20040107250A -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7250A
KR20040107250A KR1020030038264A KR20030038264A KR20040107250A KR 20040107250 A KR20040107250 A KR 20040107250A KR 1020030038264 A KR1020030038264 A KR 1020030038264A KR 20030038264 A KR20030038264 A KR 20030038264A KR 20040107250 A KR20040107250 A KR 20040107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terminal
contact
power transmission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1984B1 (ko
Inventor
조원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창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창전기
Priority to KR10-2003-0038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1984B1/ko
Publication of KR20040107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9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는 미러의 각도를 조정하는 조정노브와, 상기 조정노브의 조작으로 스위치 회로를 변화시키도록 인슐레이터의 터미널 단자와 슬라이딩 접촉되는 콘택트 단자가 설치되어 왕복되는 작동 슬라이더에 있어서, 상기 조정노브와 상기 작동 슬라이더 사이에 회동가능하도록 동력전달체를 설치하여, 상기 조정노브가 눌려졌을 때 상기 동력전달체에 의해 상기 조정노브의 하강운동이 상기 작동 슬라이더의 수평 운동으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터미널 단자와 상기 콘택트 단자의 접점이 슬라이딩 접촉되며 변화되므로 스위치 회로를 변경하기 위한 접점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 { Mirror controlling switch in vehicle }
본 발명은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정노브를 상하, 좌우로 누르면, 사방 모서리에 설치된 동력전달체에 의해 콘택트 홀더가 좌우로 왕복되면서 스위치 외로의 접점이 변경되어 미러에 내장된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미러의 각도가 조정되도록 하는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가 도시된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종래의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미러를 선택하거나 선택된 특정 미러의 각도를 조정하도록 회로가 구성된 인쇄회로기판(3)이 설치된 인슐레이터(2)와, 상기 인슐레이터(2)의 상측에 결합되고 사방 모서리 부근에 개구홀(5)이 형성된 바디(4)와, 상기 바디(4)의 내측에서 상단부가 상기 개구홀(5)을 관통하는 누름체(14)와, 상기 누름체(14)와 상기 인쇄회로기판(3)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체(14)가 하강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3)과 접촉되는 포인트 단자(17)가 구비된 누름 러버(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슐레이터(2)의 하부에는 스위치의 외부 회로가 연결되는 커넥터 단자가 노출되는 커넥터 하우징(2a)이 구비된다.
그리고, 바디(4)의 저면 중앙부에는 좌우로 왕복되면서 하측에 설치된 콘택트 단자(12)와 상기 인쇄회로기판(3)과의 접점을 변화시켜 각도가 조정되어질 좌측, 또는 우측 미러를 선택하는 왕복체(10)가 설치되고, 상기 왕복체(10)와 연결되어 상기 왕복체(10)를 작동시키는 선택 레버(8)가 상기 바디(4)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4)의 상측에는 상기 누름체(14)와 하측면에서 접하며 상기 누름체(14)를 선택적으로 누르면서 미러(미도시)를 상하 좌우로 조정하는 조정노브(6)가 설치되고, 상기 조정노브(6)의 중앙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선택레버(8)가 돌출된다.
한편, 상기 누름체(14)가 하강될 때 상기 누름체(14)의 저면으로 상기 누름 러버(16)를 눌러 상기 포인트 단자(17)가 상기 인쇄회로기판(3) 상의 접점(3a)과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누름체(14)의 하면은 상기 포인트 단자(17)보다 넓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누름 러버(16)의 사방 하측면에 형성된 상기 포인트 단자(17)는 상기 누름체(14)가 상측에서 하강되면 상기 접점에 접촉되어 상기 스위치 회로가 변경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정하고자 하는 미러(미도시)를 선택하기 위하여 중립에 위치하던 상기 선택레버(8)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선택레버(8)의 하측에서 연결된 왕복체(1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므로써 스위치 회로가 변화되어 조정하고자 하는 미러가 선택된다.
이후, 선택된 상기 미러의 상하, 좌우 각도를 상기 조정노브(6)의 조작으로 조정하게 되는바, 상기 조정노브(6)의 좌측부를 누르게 되면, 상기 조정노브(6)의좌측부 하면에 설치된 두 개의 상기 누름체(14)가 동시에 하강되고, 상기 누름체(14)는 다시 상기 누름체(14)와 대응되도록 설치된 누름 러버(16)를 누르게 된다.
한편, 상기 누름러버(16)가 눌려지게 되면 상기 누름 러버(16)의 하측에 구비된 상기 포인트 단자(17)가 상기 인쇄회로기판(3)의 접점과 접촉되어 스위치 회로를 변화시킴으로써 미러의 각도가 좌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모터(미도시)가 구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누름 러버(16)는 탄성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조정노브(6)가 눌려지면 상기 누름 러버(16)의 탄력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작동감을 느낄 수 있으며, 상기 포인트 단자(17)가 충분히 상기 인쇄회로기판(3)의 접점과 접촉되어 미러의 조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상기 조정노브(6)에서 손을 떼게 되면 상기 누름 러버(16)의 탄성작용에 의하여 상기 누름체(14)가 다시 상승하게 되면서 상기 조정노브(6)의 좌측부 또한 최초 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미러의 우측, 또는 상측 및 하측으로의 각도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한 바와 동일한 작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는 상기 포인트 러버(16)에 형성된 상기 포인트 단자(17)가 상기 인쇄회로기판(3)에 접촉되도록 하여 스위치 회로가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포인트 단자(17)와 상기 인쇄회로기판(3)의 접점 불량이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3)을 가공하기 위한 납땜작업을 별도로 해야하므로 작업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미러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접점을 변경하여 스위치의 회로를 변화시킬 때 접점 불량을 최소화하고, 스위치 제작을 위한 작업공정을 단순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가 도시된 부분 분해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의 커버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의 바디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미러 조정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30: 조정노브 32: 선택레버
40: 동력전달체 50: 탄성러버
60: 작동 슬라이더 70: 콘택트 단자
80: 터미널 단자 100: 인슐레이터
200: 바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는 스위치 회로와 연결되는 터미널 단자가 설치된 인슐레이터와, 상기 인슐레이터의 상측에서 결합되는 바디와, 상기 인슐레이터와 상기 바디 사이에서 좌우로 왕복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측에 형성된 콘택트 단자가 상기 터미널 단자의 상면에서 슬라이딩 접촉되는 다수개의 작동 슬라이더와, 상기 바디에 힌지 연결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각 작동 슬라이더가 왕복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체와, 상기 동력전달체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전달체에 의해 상기 작동 슬라이더를 이동시켜 상기 미러의 각도가 조정되도록 하는 조정노브와, 상기 조정노브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동력전달체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동력전달체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의 커버부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의 바디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미러 조정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는 도 2a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면에 터미널 단자(80)가 일체로 설치된 인슐레이터(100)와, 상기 인슐레이터(100)의 상측에서 결합되는 바디(200)와, 상기 바디(2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좌우, 상하로 누름으로써 미러의 각도가 조정되도록 하는 조정노브(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터미널 단자(80)는 상기 인슐레이터(100)와 일체로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인슐레이터(100)의 하부에는 상기 터미널 단자(80)가 스위치 회로와 연결되도록 하는 커넥터부(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200)의 중앙부에는 좌우측 미러 중 조정되어질 미러를 선택하는 선택레버(32)가 좌우로 작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선택레버(32)의 하단부에는 돌기부(32a)가 형성되는바, 상기 돌기부(32a)는 상기 인슐레이터(100)의 터미널 단자(80) 상에서 중립, 또는 좌우로 왕복하며 조정되어질 미러가 선택되도록 스위치 회로를 변화시키는 왕복체(36)에 끼움되어 상기 선택레버(32)가 상기 왕복체(36)를 좌우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슐레이터(100)와 상기 바디(200) 사이에는 앞뒤로 왕복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저면에 형성된 콘택트 단자(70,98)가 상기 터미널 단자(80)의 상면에서 슬라이딩 접촉되는 다수개의 작동 슬라이더(60,96)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 슬라이더(60,96)는 상기 바디(200)의 네 모서리 부근에 설치되어 미러의 각도 조정을 위한 회로를 변경시키는 네 개의 작동 슬라이더(60)와, 상기 바디(200)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미러의 접힘을 제어하도록 회로를 변경시키는 단수개의 작동 슬라이더(96)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바디(20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홀(200a)이 형성되고, 상기 홀(200a)의 일측에는 상기 조정노브(30)의 부분 승하강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조정노브(30)의 상하 왕복운동을 상기 작동 슬라이더(60)의 좌우 왕복 운동으로 변경시켜 주는 동력전달체(40)가 힌지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동력전달체(40)는 상기 작동 슬라이더(60)와 각각 대응되게 설치되며, 그 중심부가 상기 바디(200)의 홀(200a)의 일단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중심부에서 연장되도록 하향 절곡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동력전달체(40)는 상면이 상기 조정노브(30)와 접촉되어 상기 조정노브(30)의 일부가 눌려질 때 상기 조정노브(30)의 하강이 전달되는 접촉부(40a)와, 상기 접촉부(40a)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200)에 연결되는 힌지부(40b)와, 상기 힌지부(40b)에서 하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작동 슬라이더(60)와 연결되는 연결부(40c)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접촉부(40a)와 대응되는 상기 조정노브(30)의 저면에는 상기 접촉부(40a)의 상면을 눌러주도록 돌출 형성된 누름돌기(30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 슬라이더(60)의 상면에는 상기 동력전달체(4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작동 슬라이더(60)가 왕복되도록 상기 연결부(40c)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60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40c)는 상기 삽입홈(60a)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동력전달체(40)가 회동될 때 상기 삽입홈(60a)의 내측 일면을 밀어주게 되어 상기 작동 슬라이더(60)가 좌우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접촉부(40a)와 상기 바디(200) 사이에는 상기 조정노브(30)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동력전달체(40)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조정노브(30)를 눌러줄 때 절도감을 부여하도록 상기 동력전달체(4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러버(50)가 설치되는데, 상기 탄성러버(50)가 설치되는 상기 바디(200)의 상면에는 상기 탄성러버(50)의 직경에 해당되는 크기의 설치홈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러버(5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단부가 상기 설치홈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탄성러버(50)는 상기 동력전달체(40)가 자중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접촉부(40a)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정하고자 하는 미러를 선택하기 위하여 중립에 위치하던 상기 선택레버(32)를 좌우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되면 상기 왕복체(36)가 이동되어 스위치 회로가 변화됨으로써 조정하고자 하는 미러(미도시)가 선택된다.
조정하고자 하는 미러가 선택되면, 상기 미러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하여 조정하고자 하는 각도 방향에 해당되는 상기 조정노브(30)의 좌우 또는 상하 일측부를 눌러주게 된다.
상기 조정노브(30)의 일측부가 눌러져 상기 조정노브(30)가 일부 하강되면 상기 조정노브(30)에 형성된 누름돌기(30a)에 의해 상기 접촉부(40a)가 하강하게 되면서, 눌러진 방향에 배치된 두 개의 상기 동력전달체(4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동력전달체(4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작동 슬라이더(60)의 삽입홈(60a)에 삽입되어 있던 상기 동력전달체(40)의 연결부(40c)가 상기 작동 슬라이더(60)에 힘을 가하게 되어 상기 작동 슬라이더(60)가 일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작동 슬라이더(60)가 일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작동 슬라이더(60)의 저면에 설치된 콘택트 단자(70)와 상기 인슐레이터(100)의 터미널 단자(80) 사이의 접점이 변경되면서 스위치 회로가 변화되어 상기 미러의 각도가 원하는 방향으로 조정되기 위한 구동모터(미도시)가 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촉부(40a)의 하측에 설치된 상기 탄성 러버(50)는 자체 탄성으로 인해 상기 동력전달체(40)가 상기 조정노브(30)에 의해 회전될 때 작동감을 부여하게 된다.
한편, 상기 미러의 각도가 충분히 변경되었다 판단된 후, 사용자가 누르고 있던 상기 조정노브(30)에서 손을 떼게 되면, 상기 탄성러버(5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체(40)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원위치로 복귀되고, 아울러 상기 작동 슬라이더(60) 또한 원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콘택트 단자(70)와 상기 터미널 단자(80)의 접점 변경으로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이 정지됨으로써 상기 미러의 일측방향 각도가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조정되게 된다.
이렇듯, 사용자는 조정하고자 하는 미러의 각도 방향에 해당되는 상기 조정노브(30)의 일측부를 눌러주고, 각도 조정이 완료되면 다시 상기 조정노브(30)에서 손을 떼어 상기 미러의 각도 조정을 완료하게 된다.
즉, 상기 조정노브(30)의 일측부를 하강시키게 되면, 상기 동력전달체(40)가 상기 조정노브(30)의 하강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동력전달체(40)가 회전됨으로 인해 상기 동력전달체(40)와 연결된 작동 슬라이더(60)가 일측으로 직선운동하면서 상기 콘택트 단자(70)가 접촉되는 접점의 위치를 변경하여 스위치 회로에 변화를 줌으로써 상기 미러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는 미러의 각도를 조정하는 조정노브와, 상기 조정노브의 조작으로 스위치 회로를 변화시키도록 인슐레이터의 터미널 단자와 슬라이딩 접촉되는 콘택트 단자가 설치되어 왕복되는 작동 슬라이더에 있어서, 상기 조정노브와 상기 작동 슬라이더 사이에 회동가능하도록 동력전달체를 설치하여, 상기 조정노브가 눌려졌을 때 상기 동력전달체에 의해 상기 조정노브의 하강운동이 상기 작동 슬라이더의 수평 운동으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터미널 단자와 상기 콘택트 단자의 접점이 슬라이딩 접촉되며 변화되므로 스위치 회로를 변경하기 위한 접점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인슐레이터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설치되는 터미널단자를 인서트 사출하여 일체로 형성하므로 제작에 따른 작업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스위치 회로와 연결되는 터미널 단자가 설치된 인슐레이터와, 상기 인슐레이터의 상측에서 결합되는 바디와, 상기 인슐레이터와 상기 바디 사이에서 좌우로 왕복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측에 형성된 콘택트 단자가 상기 터미널 단자의 상면에서 슬라이딩 접촉되는 다수개의 작동 슬라이더와, 상기 바디에 힌지 연결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각 작동 슬라이더가 왕복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체와, 상기 동력전달체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전달체에 의해 상기 작동 슬라이더를 이동시켜 상기 미러의 각도가 조정되도록 하는 조정노브와, 상기 조정노브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동력전달체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동력전달체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체는 상면이 상기 조정노브와 접촉되어 상기 조정노브에 의해 눌려지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와 연결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작동 슬라이더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연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슬라이더의 상면에는 상기 동력전달체의 회동에 따라 상기 작동 슬라이더가 왕복되도록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동력전달체가 회동됨에 따라 절도감을 부여할 수 있는 탄성러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바디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와 상기 터미널 단자는 일체로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
KR10-2003-0038264A 2003-06-13 2003-06-13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 KR100521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264A KR100521984B1 (ko) 2003-06-13 2003-06-13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264A KR100521984B1 (ko) 2003-06-13 2003-06-13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250A true KR20040107250A (ko) 2004-12-20
KR100521984B1 KR100521984B1 (ko) 2005-10-17

Family

ID=37381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264A KR100521984B1 (ko) 2003-06-13 2003-06-13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19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844B1 (ko) 2011-12-29 2013-06-0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 멀티 미러 스위치 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1984B1 (ko) 2005-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9095A (en) Switching device
KR100555091B1 (ko) 파워윈도용모터제어장치
KR101203688B1 (ko)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100511408B1 (ko) 파워윈도우 스위치
KR100521984B1 (ko)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
KR200468483Y1 (ko)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KR101582738B1 (ko)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100509744B1 (ko)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
KR101133856B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100583877B1 (ko) 미러 스위치 장치
JP2755283B2 (ja) スイッチ装置
JP4185576B2 (ja) スイッチ装置
KR200461776Y1 (ko) 시트 워머 스위치 장치
JPS605483Y2 (ja) 車両用ワイパスイツチ
KR20010011339A (ko) 파워 윈도우 스위치
KR101271313B1 (ko) 레버 스위치 유니트
KR200488668Y1 (ko)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
KR200357140Y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
KR20070034791A (ko) 파워윈도우 스위치 모듈
KR200431025Y1 (ko) 시소 스위치 장치
KR100190901B1 (ko) 자동차용 백미러의 원격조정스위치
JPH0422503Y2 (ko)
KR100395900B1 (ko) 자동차의 미러 스위치 장치
JPH0332019Y2 (ko)
KR20050106754A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