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6905A - 수평형 푸드 믹서 - Google Patents

수평형 푸드 믹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6905A
KR20040106905A KR1020030080961A KR20030080961A KR20040106905A KR 20040106905 A KR20040106905 A KR 20040106905A KR 1020030080961 A KR1020030080961 A KR 1020030080961A KR 20030080961 A KR20030080961 A KR 20030080961A KR 20040106905 A KR20040106905 A KR 20040106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tank
stirring blade
planting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0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1691B1 (ko
Inventor
나가이아키오
나가가와요시노리
Original Assignee
나가이 머시너리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이 머시너리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나가이 머시너리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40106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6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6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반 날(blade) 축과 그 베어링 부분의 교환·세정 작업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위생(sanitary) 사양의 수평형 푸드 믹서(horizontal food mixer)를 제공한다.
거치대(30)에 축가(軸架)된 상면 개구형 식재 수용 탱크(35)의 내부를 전후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교반 날 축(60)의 전단부가 입력축(66)으로서, 그 탱크(37)로부터 전측을 향하여 돌출된 식재 교반 작용 유닛(A)과, 상기 거치대(30)와 별개로 독립된 거치 구동 박스(77)에 내장된 교반 날 축용 구동 모터(87)로부터의 동력 추출축(106)이 그 구동 박스(77)로부터 상기 입력축(66)과 대응하는 후측을 향하여 돌출된 구동 유닛(M)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유닛(M)측의 동력 추출축(106)과 교반 작용 유닛(A)측의 입력축(66)을 커플링(120)에 의해서 착탈 자유롭게 전동 연결하였다.

Description

수평형 푸드 믹서{Horizontal food mixer}
본 발명은 야채 샐러드나 저민 고기, 중국식 만두의 도구, 고기구이와 조미한 국물, 그 밖의 각종 식재를 교반하기 위한 수평형 푸드 믹서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종래부터 도 13 내지 도 18과 같은 수평형 푸드 믹서를 실시하고 있다. 이것으로는 전체로서 1개의 교반 날 축(1)이 식재 수용 탱크(2)를 수평으로 관통하고 있고, 그 전후 양 단부가 각각 메탈(3)과 오일 시일(oil seal; 4)을 구비한 베어링 플랜지 유닛(5)에 의해서, 그 식재 수용 탱크(2)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상태에 있다.
더구나, 이러한 베어링 상태에 있는 교반 날 축(1)의 전후 양 단부는 상기 식재 수용 탱크(2)와 하나의 기어 케이스(6, 7)에 의해서 포위되어 있는 것 외에, 그 구동측 기어 케이스(6)의 중심부로부터 전측을 향하여 일체적으로 돌출하는 베어링 케이스(8)가 교반 날 축 회전용의 구동 모터(9)를 내장한 거치 구동 박스(10)로 삽입된 내부에 있어서, 베어링 플랜지(1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다른 한편, 남는 종동측 기어 케이스(7)의 중심부로부터 후측을 향하여 일체적으로 돌출되는 축통(12)이 식재 수용 탱크(2)의 전도 작동 기구(F)를 내장한 탱크 지지 박스(13)로 삽입된 내부에 있어서, 역시 베어링 플랜지(1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그 탱크 지지 박스(13)로부터 노출되는 탱크 전도 핸들축(15)의 수동 조작 핸들(16)을 회동 조작하면, 그 전도 핸들축(15)상의 웜 기어(17)와 웜 휠(18)의 맞물림을 통해, 식재 수용 탱크(2)가 상기 베어링 케이스(8)와 축통(12)의 수평인 동일 축선(X-X) 주위로 전도하여, 교반 작용 후의 식재를 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 케이스(8)내의 볼 베어링(19)에 의해 교반 날 축(1)과 평행하게 베어링된 입력 기어축(20)이 상기 구동측 기어 케이스(6)내로 향하는 후단부와, 반대의 식재 수용 탱크(2)로부터 동일하게 구동측 기어 케이스(6)내로 향하는 교반 날 축(1)의 대응적인 전단부에는 서로 맞물리는 전동 기어(21, 22)가 각각 끼워져서 일체화되어 있고, 상기 구동 박스(10)내의 구동 모터(9)로부터 전동 체인(23)과 입력 기어축(20) 및 전동 기어(21, 22)를 거쳐서, 상기 교반 날 축(1)이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 경우, 도면 예에서는 상기 교반 날 축(1)이 병렬하는 2축식의 푸드 믹서를 도시하고, 그것을 위해 교반 날 축(1)의 좌우 한 쌍이 종동측 기어 케이스(7)내로 향하는 후단부에는 서로 맞물려서 등속 회전하는 감속 기어(24, 25)의 좌우 한 쌍도 감착하여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교반 날 축(1)과 복수의 교반 날(26)은 별개로 독립되어 있고, 그 각 교반 날(26)의 보스(boss; 27)가 교반 날 축(1)으로 통과되어 들어간 후, 가압 볼트(28)에 의해서 설치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수평형 푸드 믹서에서는 식재의 교반 작용 상, 교반 날 축(1)과 그 교반 날(26)의 설치 부분 및 교반 날 축(1)의 베어링 부분이 특히 오염되어 손상되기 쉽고, 또한 소모되기 쉬운 것이 통례이므로, 상기 종래품의 구성으로서는 도 16으로부터 분명한 것처럼, 그 교반 날 축(1)이 1개의 식재 수용 탱크(2)를 관통하고 있으며, 그 전후 양 단부의 베어링 플랜지 유닛(5)도 기어 케이스(6, 7)에 포위되어 있기 때문에, 푸드 믹서의 사용자에 있어서, 상기 교반 날 축(1)과 그 베어링 부분 및 교반 날(26) 등을 식재 수용 탱크(2)로부터 분해하여 세정하거나, 교환하는 것은 극히 어려운 일이고, 식품 위생상으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전후 양 단부에 기어 케이스(6, 7)가 부속되어 일체화된 식재 수용 탱크(2)와, 상기 구동 모터(9)를 내장한 거치 구동 박스(10) 및 상기 탱크 전도 작동 기구(F)를 내장한 탱크 지지 박스(13)는 역시 그 구동 박스(10)내 및 탱크 지지 박스(13)내에서의 베어링 플랜지(11, 14)를 개재하여, 전체적으로 장착되어 일체화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그 인접하는 상호간에서도 분리하여 분해하는 것이 사용자에게 있어서 매우 곤란하고, 거치된 바로 아래의 바닥 청소 작업이나 거치 사용 장소의 변경 등도 안락하고 편리하게 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푸드 믹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3은 도 1의 확대 단면도이지만, 그 전동 기어 기구와 식재 수용 탱크는 약 90도만큼 전개한 단면 평면도로서 표시하고 있는 도면.
도 4는 도 3의 4-4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일부를 추출하여 도시하는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식재 교반 작용 유닛과 그 구동 유닛을 분리하여 분해한 상태의 도 1에 대응하는 정면도.
도 7은 도 6의 확대 단면도이지만, 도 3과 동일하게 전동 기어 기구와 식재 수용 탱크는 약 90도만큼 전개한 단면 평면도로서 표시하고 있는 도면.
도 8은 식재 교반 작용 유닛을 추출하여 도시하는 도 7의 좌측면도.
도 9는 도 7의 9-9선에 따르는 일부 파탄의 측면도.
도 10은 도 7의 10-10선 단면도.
도 11은 구동 유닛을 추출하여 도시하는 도 7의 우측면도.
도 12는 식재 수용 탱크에 대한 교반 날 축이나 베어링 부분의 전체적인 분해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평면도.
도 13은 종래의 수평형 푸드 믹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4는 도 13의 평면도.
도 15는 도 13의 확대 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단면 평면도.
도 17은 도 15의 좌측면도.
도 18은 도 15의 일부를 파탄한 우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거치대 31: 자재 차륜
32: 위치 결정 가이드 핀 33: 탱크 지지 프레임
34: 베어링 플랜지 35: 식재 수용 탱크
37: 로크 핀 수용 구멍 38: 레버 회동 지점축
39: 로크 레버 40: 계지 훅
41: 탱크 지지 박스 42: 전동(轉動) 핸들축
43: 웜 기어 44: 웜 휠
45: 수동 조작 핸들 46: 휠 회동 지축
47: 베어링 플랜지 유닛 54: 전측 지축
55: 후측 지축 60: 교반 날 축
61: 전측 소켓 62: 후측 소켓
63: 교반 날 64: 설치 아암
66: 입력축 67: 고정 비스
68: 키 볼록자 69: 베어링 플랜지 유닛
72: 연장축 73: 고정 비스
74: 베어링 플랜지 유닛 77: 구동 박스
79: 접지 시트 81: 핀 수용 플랜지
83: 로크 핀 86: 키 홈
87: 구동 모터 89: 출력 스프로킷
90: 가대 91: 기어 케이스
92: 베어링 케이스 93: 베어링 플랜지
97: 전동 기어축 99: 전동 스프로킷
100: 전동 기어축 101: 전동 체인
106: 동력 추출축 107: 중간 전동 기어
108: 감속 기어 110: 감속 기어
112: 커버 플레이트 114: 시일(seal) 수용 링
115: 시일 플레이트 116: 탄성 시일
117: 베어링 플랜지 118: 베어링 케이스
120: 커플링 121: 키 홈
122: 노크 핀(knock pin) 123: 노크 핀 수용 구멍
124: 안전 커버 126: 개폐 아암
A: 식재 교반 작용 유닛 F: 탱크 전도 작동 기구
G: 기어 전동 기구 M: 구동 유닛
S: 진퇴 스트로크 X-X: 회전 축선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도모하고, 그것을 위한 수평형 푸드 믹서로서, 거치대로부터 일체적으로 세워지는 탱크 지지 프레임과 탱크 지지 박스의 마주 보는 전후 상호간에, 상면 개구형의 식재 수용 탱크가 축가되고, 또한 그 식재 수용 탱크의 내부를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수평의 교반 날 축의 전단부가 입력축으로서, 상기 식재 수용 탱크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전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한편, 동일하게 교반 날 축의 후단부가 연장축으로서, 역시 식재 수용 탱크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후측 방향으로 돌출된 식재 교반 작용 유닛과,
그 식재 교반 작용 유닛측의 상기 거치대와 별개로 독립되는 거치 구동 박스에 내장되어 설치된 교반 날 축 회전용 구동 모터로부터의 동력 추출축이 그 구동 박스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식재 교반 작용 유닛측의 상기 입력축과 대응하여 위치하는 후측을 향하여 돌출된 구동 유닛을 구비하고,
그 구동 유닛측의 동력 추출축과 상기 식재 교반 작용 유닛측의 입력축을 커플링에 의해서 착탈 자유롭게 전동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5는 야채 샐러드나 저민 고기 등의 각종 식재를, 그 수용 탱크 내에서의 전체적으로 남김없이 교반하기 위해 적합한 2축식의 수평형 푸드 믹서를 예시하고 있고, 이것은 식재 교반 작용 유닛(A)과 그 구동 유닛(M)으로부터 조립되어 있지만, 도 6 내지 도 12와 같이 서로 분리하여 분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우선, 식재 교반 작용 유닛(A)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언급하면, 도면 부호 30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거의 H 자형으로서, 금속 각(角)파이프재로부터 장착되어 일체화된 거치대이고, 그 하면에 축지된 합계 4개의 브레이크 부착 자재 차륜(31)에 의해서, 작업 바닥을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 부호 32는 상기 거치대(30)의 전단부로부터 전측을 향하여 일체적으로 돌출된 좌우 한 쌍의 위치 결정 가이드 핀이고, 구동 유닛(M)측의 후술하는 핀 수용 플랜지와 대응 합치하여, 그 핀 수용 플랜지로 자유롭게 꽂고 뺄 수 있게 삽입된다.
또한, 도면 부호 33은 동일하게 거치대(30)의 전단부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일체적으로 세워진 탱크 지지 프레임으로서, 금속 각파이프재로 도 8과 같이 프레임이 부착되어 구축되어 있고, 그 상단부에 고착 일체화된 부시가 부착된 베어링 플랜지(34)가 후술하는 식재 수용 탱크(35)의 전측 지축을 수용한다.
도면 부호 36은 상기 탱크 지지 프레임(33)의 중도 높이 위치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걸쳐진 수평의 보강 바로서, 그 중앙부에는 로크 핀 수용 구멍(37)이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고, 구동 유닛(M)측의 후술하는 로크 핀과 대응 합치하여, 그 로크 핀을 자유롭게 꽂고 뺄 수 있게 수용된다.
도면 부호 38은 그 로크 핀 수용 구멍(37)의 인접 위치에 끼워 고정된 레버 회동 지점축이고, 이것에 의해서 로크 레버(39)의 중도부가 상기 보강 바(36)로, 기복적인 회동 조작 자유롭게 피벗 부착되어 있다. 또한, 그 로크 레버(39)의 선단부는 계지 훅(40)으로서 조형되어 있고, 구동 유닛(M)측의 후술하는 로크 핀에절단된 키 홈으로 결합·이탈 자유롭게 계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른 한편, 도면 부호 41은 금속판으로부터 세로형 직방체로 조립하여 일체화된 탱크 지지 박스로서, 그 거치대(30)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탱크 지지 프레임(33)과 마주 보는 상향 일체적으로 세워져 있고, 이것에는 식재 수용 탱크(35)의 전도 작동 기구(F)가 내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결국, 그 탱크 전도 작동 기구(F)는 도 7, 도 9로부터 분명한 것처럼, 탱크 지지 박스(41)의 중도 높이 위치를 좌우 방향을 따라서 관통하여 수평으로 걸쳐지는 전도 핸들축(42)과, 그 중도부에 끼워져서 일체화된 웜 기어(43)와, 그 웜 기어(43)로 바로 위의 위치로부터 맞물린 웜 휠(44)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도 핸들축(42)이 수동 조작 핸들(45)에 의해서, 탱크 지지 박스(41)의 횡측 외방으로부터 회동 조작되도록 되어 있다.
더구나, 그 웜 휠(44)의 회동 지축(46)은 상기 전도 핸들 축(42)과 직교하는 전후 방향으로의 연장 상태로서, 탱크 지지 박스(41)의 전면을 관통하고 있고, 그 휠 회동 지축(46)의 볼 베어링이 부착된 베어링 플랜지 유닛(47)이 탱크 지지 박스(41)의 전면으로, 내측으로부터 복수의 볼트(48)에 의해서 설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도면 부호 49는 그 탱크 지지 박스(41)의 전면에 뒤를 덧대어 일체화된 보강 플레이트이다.
도면 부호 50은 동일하게 휠 회동 지축(46)의 시일 플레이트이고, 도면 부호 51은 상기 전도 핸들축(42)을 갖는 좌우 한 쌍의 베어링 메탈 부착 커버 플랜지이고, 그 모두 탱크 지지 박스(41)로 복수의 볼트(52)에 의해서 설치되어 고정되어있다. 도면 부호 53은 그 탱크 지지 박스(41)의 좌우 양측면에 뒤를 덧대어 일체화된 보강 플레이트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한번 언급한 식재 수용 탱크(35)는 스테인리스 강판으로부터, 도 3, 도 4와 같은 좌우 한 쌍의 연속하는 원호 저면을 구비한 의사(擬似) 도립 원통 둥근 천정형(barrel vault)으로 조형되어 있고, 그 평평한 전후 양면의 중앙부로부터는 전측 지축(54)과 후측 지축(55)의 한 쌍이 모두 일체적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그 식재 수용 탱크(35)의 전측 지축(54)이 상기 탱크 지지 프레임(33)의 부시가 부착된 베어링 플랜지(34)에 수용되어 있는 한편, 동일하게 후측 지축(55)은 상기 웜 휠(44)의 회동 지축(46)과 착탈 자유롭게 플랜지 접합되어 있고, 그 휠 회동 지축(46)에 의한 후방으로의 일체적인 연장 상태로서, 상기 탱크 지지 박스(41)의 볼 베어링이 부착된 베어링 플랜지 유닛(47)에 수용되어 있다. 도면 부호 56, 57은 상기 후측 지축(55)의 후단부와 휠 회동 지축(46)의 전단부로부터 각각 일체적으로 돌출되는 직경이 큰 원형 플랜지이고, 그 접합 상태가 착탈 자유로운 볼트(58)에 의해서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그 경우, 식재 수용 탱크(35)의 전측 지축(54)과 후측 지축(55) 및 웜 휠(44)의 회동 지축(46)은 도 3, 도 7과 같이 전부 동일 축선(X-X)상에 위치하고 있고, 그 때문에 상기 탱크 전도 작동 기구(F)의 전도 핸들축(42)을 회동 조작하면, 식재 수용 탱크(35)가 그 동일 축선(X-X)의 주위로 360도 방향 변환하게 되고, 그 전도한 식재 수용 탱크(35)로부터 교반 작용 후의 식재를 새지 않고 안락하게 꺼낼 수 있으며, 탱크 내의 세정 작업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면 부호 59는 식재 수용 탱크(35)의 한 쪽면으로부터 일체적으로 돌출되는 전후 한 쌍의 손잡이이다.
도면 부호 60은 상기 식재 수용 탱크(35)의 원호 저면과 대응 위치하면서, 전후 방향으로의 병렬 상태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교반 날 축으로서, 모두 스테인리스 강관으로 이루어지고, 그 각각의 양 단부에 가압 일체화된 전후 한 쌍의 소켓(61, 62)도 포함하는 전체 길이(L)가 식재 수용 탱크(35)의 개구 길이(예를 들면 약 620mm)로 거의 동일하게 치수화되어 있고, 그 식재 수용 탱크(35)의 개구 상면으로부터 교반 날 축(60)을 지장 없이 출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덧붙여서, 식재 수용 탱크(35)의 개구폭(W)은 일 예로서 약 420mm이고, 동일하게 전 수용량은 약 100 리터이다.
도면 부호 63은 복수의 교반 날로서, 모두 평평한 스테인리스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둥근 막대형의 설치 아암(64)이 각 교반 날 축(60)의 원주면으로 전부 삽입되고, 또한 용접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그 때문에, 교반 날 설치 상의 틈이나 요철 등이 발생하지 않고, 위생적인 사용과 완전한 세정 작업에 도움이 된다. 단, 식재 수용 탱크(35)내의 전후 양 단부에 위치하는 1쌍씩의 교반 날(63)만은 식재가 통과하는 원형의 빠짐 구멍(65)을 구비하고 있다.
그 경우, 각 교반 날(63)은 도 7, 도 12와 같은 평면에서 보아, 교반 날 축(60)의 긴변 중심선(회전축선)과 예각(α)과 교차하는 관계인 경사 상태에 있고, 더구나 양 교반 날 축(60)의 좌우 상호간에서는 그 교반 날(63)의 경사 상태가 역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병렬하는 교반 날 축(60)의 2개에 대한 교반 날(63)의 반대측을 향한 배열에 의해서, 식재를 도 3의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한쪽의 교반 날 축(60)을 따라서 전방으로 이송하는 동시에, 다른쪽의 교반 날 축(60)을 따라서 후방으로 이송하도록 자연히 순환시키고, 그 식재의 전체를 남김없이 교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그 양 교반 날 축(60)상의 교반 날(63)끼리가 간섭하지 않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면 부호 66은 상기 교반 날 축(60)과 대응하는 좌우 한 쌍의 짧은 입력축이고, 식재 수용 탱크(35)의 평평한 전면을 관통하고 있고, 그 후단부가 각각 교반 날 축(60)의 상기 전측 소켓(61)으로 자유롭게 꽂고 뺄 수 있도록 삽입되고, 또한 고정 비스(67)를 개재하여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 입력축(66)이 식재 수용 탱크(35)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길이(L1)만큼 돌출하는 전단부에는 구동 유닛(M)측의 후술하는 커플링과 맞물리는 각진 형의 키 볼록자(68)가 가공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면 부호 69는 각 입력축(66)을 지지하는 부시와 오일 시일이 내장된 베어링 플랜지 유닛으로서, 상기 식재 수용 탱크(35)의 전면으로부터 전측을 향하여 일체적으로 돌출된 상하 한 쌍의 스터드 볼트(stud bolt; 70)와, 그 체결 너트(71)에 의해서 식재 수용 탱크(35)의 전면으로 도 8과 같이 외측으로부터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다른 한편, 도면 부호 72는 동일하게 교반 날 축(60)과 대응하는 좌우 한 쌍의 짧은 연장축으로서, 식재 수용 탱크(35)의 평평한 후면을 관통하고 있고, 그 전단부가 각각 교반 날 축(60)의 상기 후측 소켓(62)으로 자유롭게 빼고 꽂을 수 있게 삽입된 후, 역시 고정 비스(73)를 통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도면 부호 74는 상기 식재 수용 탱크(35)의 후면으로부터 일정 길이(L2)만큼 돌출되는 각 연장축(72)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부시와 오일 시일이 내장된 베어링 플랜지 유닛이고, 상기 입력축(66)측의 베어링 플랜지 유닛(69)과 동일하게, 식재 수용 탱크(35)의 후면으로부터 후측을 향하여 일체적으로 돌출된 상하 한 쌍의 스터드 볼트(75)와, 그 체결 너트(76)에 의해서 식재 수용 탱크(35)의 후면으로, 도 10과 같이 역시 외측으로부터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12의 분해 상태로부터 시사는 바와 같이, 상기 입력축(66)측의 베어링 플랜지 유닛(69)과 연장축(72)측의 베어링 플랜지 유닛(74)을 식재 수용 탱크(35)로부터 분리하고, 그 세정이나 교환 등의 작업을 행할 수 있는 것 외에, 또한 상기 입력축(66)과 전측 소켓(61)의 고정 비스(67)나, 연장축(72)과 후측 소켓(62)의 고정 비스(73)를 모두 분리하고, 그 입력축(66)과 연장축(72)을 식재 수용 탱크(35)로부터 빼냄으로써, 이들의 교환은 물론, 상기 교반 날(63)이 부속 일체화되어 있는 교반 날 축(60)도 식재 수용 탱크(35)로부터 추출하여, 그 세정이나 교환 등의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구동 유닛(M)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도면 부호 77은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의 식재 수용 탱크(35)보다도 높이가 높은 세로형 직방체로서, 금속판으로 조립하여 일체화된 거치 구동 박스이고, 그 각진 모서리부로부터 아래로 내려오는 합계 4개의 래그통(脚筒; 78)에는 거치 높이와 수평도를 승강 조정할 수 있는 접지 시트(79)가 각각 나사 결합되어 체결되어 있다.
도면 부호 80은 상기 구동 박스(77)의 후면으로부터 일체적으로 내려진 스커트 플레이트이고, 여기에는 도 7, 도 11로부터 분명한 것처럼,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의 위치 결정 가이드 핀(32)을 수용하는 플랜지(81)의 좌우 한 쌍의 복수의 볼트(82)에 의해서 설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단, 반대로 구동 유닛(M)측의 구동 박스(77)로부터 위치 결정 가이드 핀(32)을 후측을 향하여 돌출하여 설치하는 한편, 그 가이드 핀 수용 플랜지(81)를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의 거치대(30)에 설치하여 고정하여도 좋다.
도면 부호 83은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의 로크 핀 수용 구멍(37)으로 자유롭게 꽂고 뺄 수 있도록 삽입되는 로크 핀으로서, 그 베이스 플레이트(84)가 구동 박스(77)의 중도 높이 위치로 복수의 볼트(85)에 의해서 설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도면 부호 86은 그 로크 핀(83)의 원주면에 절단된 키 홈이고, 여기에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에서의 로크 레버(39)의 계 훅(40)이 결합·이탈 자유롭게 계지된다.
그 경우, 반대로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에서의 탱크 지지 프레임(33)의 보강 바(36)로부터 로크 핀(83)을 전측을 향하여 돌출하여 설치하는 한편, 그 로크 핀 수용 구멍(37)과 로크 레버(39)를 구동 유닛(M)측의 구동 박스(77)로 대응 설치하여도 지장이 없다.
어떻든, 이러한 로크 핀(83)과 좌우 한 쌍의 위치 결정 가이드 핀(32)에 의해,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의 거치대(30) 및 탱크 지지 프레임(33)과, 그 구동 유닛(M)측의 거치 구동 박스(77)를 위치 결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 유닛(M)측의 후술하는 동력 추출축과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에 있어서의 교반 날 축(60)의 입력축(66)을, 자연히 정확한 심내기(centering)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면 부호 87은 상기 구동 박스(77)내의 하면에 고정 설치된 교반 날 축 회전용의 구동 모터(3상 200V, 0.75Kw의 캐드 모드)이고, 여기서 전측을 향하는 출력축(88)에는 출력 스프로킷(sprocket; 89)이 끼워져서 일체화되어 있다.
도면 부호 90은 동일하게 구동 박스(77)내의 중도 높이 위치에 고정 지지된 가대로서, 채널홈형강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에는 기어 케이스(91)의 회동 지점축이 되는 베어링 케이스(92)를 회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전후 한 쌍의 베어링 플랜지(93)가 복수의 볼트(94)에 의해서 병렬 상태로 설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도면 부호 95는 그 전후 한 쌍의 베어링 플랜지(93)에 공통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이고, 도면 부호 96은 동일하게 베어링 플랜지(93)의 세트 컬러이다.
또한, 도면 부호 97은 상기 베어링 케이스(92)내의 볼 베어링(98)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전동 기어축으로서, 상기 구동 모터(87)의 출력축(88)과 평행하게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전단부에는 상기 출력 스프로킷(89)과 대응하여 위치하는 전동 스프로킷(99)이 동일하게 전동 기어축(97)의 후단부에는 직경이 작은 전동 기어(100)가 각각 끼워져서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기어 케이스(91)의 회동 지점축이 되는 베어링 케이스(92)에 의해 지지된 전동 기어축(97)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에서의 식재 수용 탱크(35)의 전후 양 지축(54, 55) 및 휠 회동 지축(46)의 동일 축선(X-X)상에 대응 위치하고 있고, 그 축선(X-X)상에 있어서 회전한다.
도면 부호 101은 그 전동 스프로킷(99)과 상기 출력 스프로킷(89)의 상하 상호간에 감겨진 전동 체인이고, 도면 부호 102는 그 전동 체인(101)의 텐셔너이고, 상기 가대(90)로부터 수하하는 설치 플레이트(103)로, 여유있게 움직일 수 있도록 축지되어 있다. 또한, 그 텐셔너(102)의 설치 플레이트(103)는 도 11과 같이, 슬라이딩 가이드 긴 구멍(104)과 복수의 볼트(105)를 개재하여, 상기 가대(90)의 전면으로 슬라이딩 조정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어 케이스(91)는 금속판으로부터 전면에서 보았을 때의 원반형으로 조립하여 일체화되어 있고, 그 전면의 중심부에 상기 베어링 케이스(92)의 후단부가 복수의 볼트(도시 생략)를 개재하여, 일체로 회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단, 그 기어 케이스(91)의 후면은 벗겨서 개구시킬 수 있고, 그 기어 케이스(91)의 내부에 상기 전동 기어축(98)상의 전동 기어(100)가 향하고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면 부호 106은 상기 전동 기어축(97)을 중심으로 하고, 이것과 평행하게 배분되어 병렬된 좌우 한 쌍의 동력 추출축이고, 그 기어 케이스(91)를 관통하여, 또한 구동 박스(77)의 후면으로부터 일정 길이(L3)만큼 돌출되어 있다. 그 돌출된 양 동력 추출축(106)은 도 7과 같이,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에서의 양 교반 날 축(60)의 입력축(66)과 마주보고 대응하는 위치 관계에 있다.
더구나, 그 좌우 어느 한쪽의 동력 추출축(106)이 기어 케이스(91)의 내부로향하는 중도부에는 상기 전동 기어축(97)상의 전동 기어(100)와 맞물리는 중간 전동 기어(107)와, 이것보다도 직경이 큰 감속 기어(108)의 전후 한 쌍이 스페이서(109)를 개재하여 끼워져서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남는 다른쪽의 동력 추출축(106)이 동일하게 기어 케이스(91)의 내부로 향하는 중도부에는 전동 기어축(97)의 회전 축선(X-X)상에 있어서 상기 감속 기어(108)와 맞물리는 동일한 감속 기어(110)가 끼워져서 일체화되어 있고, 이러한 기어 케이스(91)내의 기어 전동 기구(G)를 개재하여, 상기 동력 추출축(106)의 좌우 한 쌍이 구동 모터(87)에 의해 상반 방향으로 등속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그 경우, 상기 구동 박스(77)의 후면은 기어 케이스 장착구(111)로서, 그 기어 케이스(91)보다도 직경이 큰 원형으로 개구 형성된 후, 링형의 커버 플레이트(112)에 의해서 덮여 있다. 도면 부호 113은 그 구동 박스(77)의 후면에 대한 커버 플레이트(112)의 설치 볼트(114)는 그 커버 플레이트(112)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부속되어 일체화된 시일 수용 링이고, 도면 부호 115는 그 시일 수용 링(114)의 개구 직경과 거의 대응하는 크기의 원형인 시일 플레이트이고, 그 주변 가장자리부가 상기 시일 수용 링(114)의 내부로 가압되어 일체화된 수밀용의 탄성 시일(116)에 의해서, 탄력적으로 수용된 밀봉 상태에 있다.
또한, 각 동력 추출축(106)의 전단부는 상기 기어 케이스(91)의 전면에 설치되어 고정된 볼 베어링 부착 베어링 플랜지(117)에 의해, 동일하게 각 동력 추출축(106)의 중도부는 그 기어 케이스(91)의 후면과 상기 구동 박스(77)의 시일 플레이트(115)에 걸쳐서 끼워진 베어링 케이스(118)내의 볼 베어링(119)에 의해,모두 회전 자유롭게 베어링되어 있다.
또한, 각 동력 추출축(106)이 구동 박스(77)의 후면으로부터 일정 길이(L3)만큼 돌출하는 후단부에는 상기 교반 날 축(60)의 입력축(66)과 전동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120)이 삽입되어서 덮여 있다. 그 커플링(120)의 후단부에는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에서의 입력축(66)의 키 볼록자(68)와 맞물리는 각진 형의 키 홈(121)이 대응 형성되어 있다. 단, 그 자웅 관계를 반대로서, 상기 키 볼록자(68)를 커플링(120)의 후단부로, 이것과 맞물리는 키 홈(121)을 상기 입력축(66)의 전단부로 각각 가공하여 형성하여도 물론 좋다.
더구나, 각 동력 추출축(106)의 원주면으로부터는 노크 핀(122)이 일체적으로 돌출되어 있는 한편, 그 노크 핀 수용 구멍(123)이 각각 커플링(120)의 원주면에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거의 L 자형으로서 절단되어 있다.
결국, 그 노크 핀 수용 구멍(123)은 도 5로부터 분명한 것처럼, 커플링(120)의 긴변 방향(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진퇴 가이드 긴 구멍 부분(123a)과, 그 전단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결되는 진퇴 로크 구멍 부분(123b)을 구비하고 있고, 그 노크 핀 수용 구멍(123)의 진퇴 가이드 긴 구멍 부분(123a)으로 상기 동력 추출축(106)의 노크 핀(122)을 수용한 결합 상태에서는 커플링(120)을 그 진퇴 가이드 긴 구멍 부분(123a)을 따라서 일정 스트로크(S, 예를 들면 약 70mm)만큼 진퇴 슬라이딩시킬 수 있고, 그 커플링(120)의 키 홈(121)을 상기 입력축(66)의 키 볼록자(68)에 대하여, 자유롭게 꽂고 뺄 수 있도록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120)을 입력축(66)을 향하여 후방으로 진출시키고, 그 키 홈(121)을 입력축(66)의 키 볼록자(68)와 맞물린 후, 동일하게 노크 핀 수용 구멍(123)의 진퇴 로크 구멍 부분(123b)으로 상기 동력 추출축(106)의 노크 핀(122)을 수용한 계지 상태에서는 도 3과 같이 더 이상 커플링(120)이 입력축(66)으로부터 이탈할 우려는 없고, 그 입력축(66)과 동력 추출축(106)이 커플링(120)을 개재하여, 일체로 회전할 수 있는 전동 연결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추가로 언급하면, 상기 L자형의 노크 핀 수용 구멍(123)은 그 양 커플링(120)의 좌우 상호간에서, 역방향의 대칭 형태로 절단되어 있고, 상기 동력 추출축(106)과 나아가서는 교반 날 축(60)의 좌우 한 쌍이 도 4와 같이 상반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것과의 관계 상, 그 노크 핀(122)이 스스로 커플링(120)의 상기 진퇴 로크 구멍 부분(123b)으로 수용하여 계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구동 유닛(M)측의 동력 추출축(106)으로부터 노크 핀(122)을 돌출하여 설치하는 동시에, 그 노크 핀 수용 구멍(123)이 절단된 커플링(120)을 동력 추출축(106)의 돌출 후단부로 삽입하여 덮고 있지만, 그 동력 추출축(106)과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의 입력축(66)과, 커플링(120)을 개재하여 착탈 자유롭게 전동 연결되는 한, 그 커플링(120)을 전후의 역방향으로서,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의 식재 수용 탱크(35)로부터 돌출하는 입력축(66)의 전단부로 삽입하여 덮는 동시에, 그 노크 핀 수용 구멍(123)에 수용하여 결합된 노크 핀(122)을 상기 입력축(66)의 원주면에 돌출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 도 2, 도 6, 도 11의 도면 부호 124는 상기 식재 수용 탱크(35)의 개구 상면을 덮는 안전 커버이고, 금속 선재로부터 탱크 내를 투시할 수 있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직사각형으로 프레임 구축되어 있고, 그 중앙부에는 행거축(125)이 고정되어 수평으로 걸쳐져 있다. 도면 부호 126은 상기 안전 커버(124)를 개폐하는 좌우 한 쌍의 개폐 아암이고, 그 전단부가 상기 행거축(125)의 좌우 양 단부에 피벗 부착되어 있는 한편, 동일하게 기단부는 상기 구동 박스(77)의 상단부 부근을 관통하여 수평으로 걸쳐지는 수평인 회동축(127)의 좌우 양 단부에 끼워져서 일체화되어 있다.
도면 부호 128은 상기 행거축(125)의 좌우 양 단부로 나사 결합되어 체결된 한 쌍의 클램프 레버이고, 이것을 체결하여 조작함으로써, 안전 커버(124)를 도 1의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식재 수용 탱크(35)의 개구 상면과 거의 평행한 덮음 상태로 고정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 부호 129는 상기 개폐 아암(126)의 어느 한쪽에 부속되어 일체화된 손잡이로서, 이것에 의해 개폐 아암(126)을 상기 회동축(127)의 지점 주위로 기복 조작하게 된다.
그 경우, 회동축(127)이 상기 구동 박스(77)의 내부로 향하는 중도부에서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거의 L자형을 이루는 위치 결정 스토퍼 플레이트(130)가 일체적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안전 커버(124)가 식재 수용 탱크(35)를 개방하였을 때에는 그 스토퍼 플레이트(130)의 1변면이 상기 구동 박스(77)의 후면에 계지하고, 그 안전 커버(124)를 돌려서 세워진 개방 상태를 고정하여 유지한다.
다른 한편, 안전 커버(124)가 식재 수용 탱크(35)를 덮었을 때에는 동일하게 스토퍼 플레이트(130)의 타변면이 상기 구동 박스(77)의 후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일체적으로 돌출하는 전장품 설치용의 중간 벽면(131)으로 계지하고, 그 안전 커버(124)의 돌려 넘으뜨린 덮음 상태를 고정하여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 부호 (β)는 상기 개폐 아암(126)의 기복적인 회동 각도를 도시하고 있고, 예를 들면 약 120도이다.
더구나, 이와 같은 덮음 상태에 있는 스토퍼 플레이트(130)를 검지하는 근접스위치(132)가 그 스토퍼 플레이트(130)로 도 11과 같이 향하도록 되어 있고, 이것으로부터의 검지 출력 신호를 받았을 때에만, 상기 구동 모터(87)의 시동 스위치를 온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는 2축식의 푸드 믹서로서, 좌우 한 쌍의 교반 날 축(60)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것을 1축식의 푸드 믹서로서, 그 1개의 교반 날 축(60)이 도립 원통 둥근 천정형 식재 수용 탱크(35)의 전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입력축(66)과, 상기 전동 기어축(97)으로부터 구동 박스(77)의 후면을 관통하여 일체적으로 돌출하는 동력 추출축(106)을 역시 커플링(120)에 의해서 착탈 자유롭게 전동 연결하여도 좋다.
그 경우, 상기 기어 전동 기구(G)와 그 기어 케이스(91)의 설치를 생략하고, 상기 전동 기어축(97)의 베어링 케이스(92)를 구동 박스(77)의 후면으로 회동 자유롭게 지지함으로써, 그 베어링 케이스(92)를 회동 지점으로 하여, 역시 식재 수용 탱크(35)를 전도시킬 수 있고, 이러한 1축식의 수평형 푸드 믹서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푸드 믹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그 식재 교반 작용 유닛(A)측의 거치대(30) 및 탱크 지지 프레임(33)과, 구동 유닛(M)측의 거치 구동 박스(77)가 좌우 한 쌍의 위치 결정 가이드 핀(32)과 로크 핀(83)의 합계 3점에서 위치 결정되고, 또한 그 로크 핀(83)에 대한 로크 레버(39)의 계지에 의해, 확고하게 조립되어 일체화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심내기 상태로 유지된 구동 유닛(M)측의 상기 동력 추출축(106)과, 교반 작용 유닛(A)측에 있어서의 교반 날 축(60)의 입력축(66)과는 커플링(120)을 개재하여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전동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거치 구동 박스(77)내의 구동 모터(87)로부터 취출된 동력에 의해서, 식재 수용 탱크(35)내의 교반 날 축(60)을 도 4와 같이 상반 방향으로, 예를 들면 약 40rpm의 일정 속도로서 등속 회전할 수 있고, 야채 샐러드나 저민 고기, 중국식 만두 도구, 그 밖의 각종 식재를 그 교반 날(63)에 의해 효율 좋게, 더구나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교반 작용 할 수 있는 것이고, 그 사용 중 식재 수용 탱크(35)의 개구 상면은 안전 커버(124)로의 덮음 상태에 있기 때문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에서의 식재 수용 탱크(35)의 전후 양 지축(54, 55) 및 웜 휠(44)의 회동 지축(46)과, 구동 유닛(M)측의 전동 기어축(97)은 도 3과 같이, 전부 동일 축선(X-X)상에 대응 위치하고 있고, 그 전동 기어축(97)의 베어링 케이스(92)가 기어 케이스(91)의 회동 지점축이 되도록, 가대(90)로 베어링 플랜지(93)를 개재하여 지지되어 있는 것 외에, 상기 동력 추출축(106)이 그 기어 케이스(91)와 구동 박스(77)의 후면을 형성하고 있는 시일 플레이트(115)로, 베어링 플랜지(117)와 베어링 케이스(118)의 전후 1대씩에 의해서,상대 회전할 수 있는 감합 상태로도 베어링되어 있다.
그 결과, 탱크 전도 작동 기구(F)의 전도 핸들축(42)을 그 수동 조작 핸들(45)에 의해서, 탱크 지지 박스(41)의 횡측 외방으로부터 회동 조작하면, 상기 구동 유닛(M)측에서는 전동 기어축(97)의 베어링 케이스(92)와 기어 케이스(91) 및 시일 플레이트(115)가 더불어 교반 작용 유닛(A)측에서는 식재 수용 탱크(35)가 그 전부 상기 동일 축선(X-X)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게 되고, 그 적당한 각도의 하측을 향하여 전도시킨 식재 수용 탱크(35)로부터, 교반 작용 후의 상기 식재를 새지 않고 안락하게 취출할 수 있다.
또한, 도 1, 도 3의 사용 상태로부터 상기 로크 레버(39)를 회동 조작하고, 그 로크 핀(83)에 대한 계지를 해제하는 한편, 상기 동력 추출축(106)상의 커플링(120)을 도 3의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위적으로 전방으로 물리고, 그 키 홈(121)과 상기 입력축(66)에 있어서의 키 볼록자(68)의 맞물림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교반 작용 유닛(A)과 구동 유닛(M)을 도 6, 도 7과 같이 분리하여 분해할 수 있다.
그 경우, 교반 작용 유닛(A)측의 거치대(30)에는 브레이크가 부착된 자재 차륜(31)이 축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 교반 작용 유닛(A)을 구동 유닛(M)부터 편리하게 분리하고, 적당한 장소까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그래서 상기 탱크 전도 작동 기구(F)의 전도 핸들축(42)을 회동 조작함으로써, 그 전도한 식재 수용 탱크(35)부터 식재를 역시 새지 않도록 꺼내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거치 사용 장소에서의 바로 아래의 바닥 청소 작업도 편리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의 교반 날 축(60)이나 교반 날(63), 그 교반 날 축(60)을 식재 수용 탱크(35)에 지지하고 있는 베어링 플랜지 유닛(69, 74) 등은 오염되어 손실되기 쉽고, 또한 소모되기 쉬운 것이 통례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교반 작용 유닛(A)을 구동 유닛(M)부터 분리하여 분해한 후, 교반 날 축(60)에 있어서의 입력축(66)측의 베어링 플랜지 유닛(69)과, 동일하게 연장축(72)측의 베어링 플랜지 유닛(74)을 식재 수용 탱크(35)로부터 빼내고, 또한 고정 비스(67, 73)도 분리함으로써, 그 입력축(66)과 연장축(72)을 식재 수용 탱크(35)로부터 빼내면, 교반 날 축(60)을 그 복수의 교반 날(63)도 부속되어 일체화된 상태로서, 식재 수용 탱크(35)의 개구 상면으로부터 지장 없이 꺼낼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전체적인 분해 상태를 도 12에 시사하는 바와 같이, 푸드 믹서의 사용자라도 고도의 기능이나 특별한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하게 분해하고, 그 식재 수용 탱크(35)와 상기 여러 가지 부재가 정기적인 세정 작업이나, 보수 점검·교환 등의 작업을 편리하고 완전하게 할 수 있는 것이고, 위생 효과에 현저하게 뛰어나다.
또한, 상기 교반 작용 유닛(A)과 구동 유닛(M)과의 분리 분해 조작을, 역순서로 행함으로써, 도 6, 도 7의 분해 상태로부터 도 1, 도 3의 사용 상태로 조립되어 일체화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푸드 믹서의 구성에서는 거치대(30)로부터 일체적으로 세워지는 탱크 지지 프레임(33)과 탱크 지지 박스(41)의 마주 보는 전후 상호 간에, 상면 개구형의 식재 수용 탱크(35)가 축가되고, 또한 그 식재 수용 탱크(35)의 내부를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수평의 교반 날 축(60)의 전단부가 입력축(66)으로서, 상기 식재 수용 탱크(35)로부터 일정 길이(L1)만큼 앞을 향하여 돌출되는 한편, 동일하게 교반 날 축(60)의 후단부가 연장축(72)으로서, 역시 식재 수용 탱크(35)로부터 일정 길이(L2)만큼 후측 방향으로 돌출된 식재 교반 작용 유닛(A)과,
그 식재 교반 작용 유닛(A)측의 상기 거치대(30)와 별개로 독립하는 거치 구동 박스(77)에 내장되어 설치된 교반 날 축 회전용 구동 모터(87)로부터의 동력 추출축(106)이 그 구동 박스(77)로부터 일정 길이(L3)만큼 식재 교반 작용 유닛(A)측의 상기 입력축(66)과 대응하여 위치하는 후측 방향으로 돌출된 구동 유닛(M)을 구비하고,
그 구동 유닛(M)측의 동력 추출축(106)과 상기 식재 교반 작용 유닛(A)측의 입력축(66)을 커플링(120)에 의해서 착탈 자유롭게 전동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첫머리에 말한 종래 기술의 과제를 확실하게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따르면, 식재 교반 작용 유닛(A)측의 거치대(30)와 구동 유닛(M)측의 거치 구동 박스(77)와, 물리적으로 별개로 독립되어 있는 동시에, 그 구동 박스(77)에 내장되어 설치된 구동 모터(87)로부터의 동력 추출축(106)과,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을 형성하는 교반 날 축(60)의 입력축(66)이 양 유닛(A, M)의 외측에 있어서, 커플링(120)에 의해 착탈 자유롭게 전동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 교반 날 축(60)의 회전 구동에 의해서 식재 수용 탱크(35)내의 식재를 교반 작용할 수 있다.
더구나, 도 13 내지 도 18에 도시한 종래품과 달리, 상기 동력 추출축(106)과 입력축(66)의 전동 연결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그 교반 작용 유닛(A)과 구동 유닛(M)을 도 6, 도 7과 같이 분리하여 분해할 수 있고, 그 결과 특히 오염되어 손실되기 쉬운 교반 작용 유닛(A)측의 식재 수용 탱크(35)나 교반 날 축(60) 등을 상기 구동 유닛(M)측으로부터 분리하여 분해한 상태에 있어서, 용이하게 편리하게 세정 작업할 수 있는 것 외에, 그 거치 사용 장소에서의 바로 아래의 바닥 청소 작업도 안락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2의 구성을 채용하면,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의 식재 수용 탱크(35)로부터 전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교반 날 축(60)의 입력축(66)과, 상기 구동 유닛(M)측의 구동 박스(77)로부터 후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동력 추출축(106)이 좌우 한 쌍의 위치 결정 가이드 핀(32)에 의해 스스로 심내기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입력축(66)과 동력 추출축(106)을 누구나 용이하고 정확하게 전동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의 구성을 채용하면, 상기 교반 작용 유닛(A)측의 탱크 지지 프레임(33)과 구동 유닛(M)측의 구동 박스(77)를 그 로크 핀(83)의 키 홈(86)에 대한 로크 레버(39)의 계지에 의해서, 물리적으로 안정하게 조립하여 일체화할 수 있어, 그 사용 중에 이탈할 우려는 없다.
특히, 청구항 4의 구성을 채용하면, 전후 한 쌍의 고정 비스(67, 73)를 분리하고, 교반 날 축(60)의 전측 소켓(61)과 입력축(66)을 분해하는 한편, 동일하게 교반 날 축(60)의 후측 소켓(62)과 연장축(72)을 분해함으로써, 그 교반 날 축(60)을 식재 수용 탱크(35)의 개구 상면으로부터 꺼낼 수 있고, 이것의 교환이나 세정 작업 등을 점점 더 편리하고 완전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구성을 채용하면, 상기 교반 날 축(60)을 그 교반 날(63)이 부속되어 일체화된 상태로서, 식재 수용 탱크(35)로부터 빠르고 편리하게 꺼낼 수 있는 것 외에, 그 교반 날(63)은 교반 날 축(60)으로의 삽입 상태로 용접되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도 13 내지 도 18의 종래품과 달리, 교반 날 축(60)의 원주면에 요철이나 교반 날(63)과의 틈 등이 발생하지 않고, 사용 중의 식품 위생 효과나 세정 효과의 향상에 도움이 된다.
청구항 6의 구성을 채용하면, 상기 입력축(66)의 베어링 플랜지 유닛(69)이나 연장축(72)의 베어링 플랜지 유닛(74)도, 식재 수용 탱크(35)의 외측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그 교환이나 세정 작업을 편리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의 구성을 채용하면, 식재 수용 탱크(35)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교반 날 축(60)을, 공통의 구동 모터(87)에 의해 기어 전동기구(G)와 커플링(120)을 개재하여, 일거 동시에 상반 방향으로 등속 회전시킬 수 있고, 탱크 내의 식재를 한층 더 효율 좋게 교반 작용할 수 있는 동시에, 그것을 위한 필요 구성으로서도 합리화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8의 구성을 채용하면, 구동 유닛(M)측의 구동 박스(77)로부터 분리하여 분해한 교반 작용 유닛(A)측의 식재 수용 탱크(35)를 적당한 경우에 있어서 전도 작동시킬 수 있고, 그 교반 작용 후의 식재를 꺼내는 작업이나, 식재 수용 탱크(35)의 세정 작업도 편리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9의 구성을 채용하면, 거치 구동 박스(77)의 승강 조정 가능한 접지 시트(79)에 의해서, 그 구동 박스(77)측의 동력 추출축(106)과 식재 수용 탱크(35)측의 입력축(66)을 용이하게 위치 결정하여 심내기할 수 있는 외에, 거치대(30)의 브레이크 부착 자재 차륜(31)에 의해서, 구동 유닛(M)으로부터 분리하여 분해된 교반 작용 유닛(A)을, 사용자가 희망하는 적당한 장소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고, 편리성이 점점 더 향상된다.

Claims (9)

  1. 거치대(30)로부터 일체적으로 세워지는 탱크 지지 프레임(33)과 탱크 지지 박스(41)의 마주 보는 전후 상호간에, 상면 개구형의 식재 수용 탱크(35)가 축가(軸架)되고, 또한 그 식재 수용 탱크(35)의 내부를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수평의 교반 날 축(60)의 전단부가 입력축(66)으로서, 상기 식재 수용 탱크(35)로부터 일정 길이(L1)만큼 전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한편, 동일하게 교반 날 축(60)의 후단부가 연장축(72)으로서, 역시 식재 수용 탱크(35)로부터 일정 길이(L2)만큼 후측을 향하여 돌출된 식재 교반 작용 유닛(A)과,
    그 식재 교반 작용 유닛(A)측의 상기 거치대(30)와 별개로 독립되는 거치 구동 박스(77)에 내장되어 설치된 교반 날 축 회전용 구동 모터(87)로부터의 동력 추출축(106)이 그 구동 박스(77)로부터 일정 길이(L3)만큼 식재 교반 작용 유닛(A)측의 상기 입력축(66)과 대응하여 위치하는 후측을 향하여 돌출된 구동 유닛(M)을 구비하고,
    그 구동 유닛(M)측의 동력 추출축(106)과 상기 식재 교반 작용 유닛(A)측의 입력축(66)을 커플링(120)에 의해서 착탈 자유롭게 전동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푸드 믹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식재 교반 작용 유닛(A)측의 거치대(30)와, 구동 유닛(M)측의 거치 구동 박스(77)의 어느 한쪽으로부터 좌우 한 쌍의 위치 결정 가이드핀(32)을 돌출하여 설치하는 동시에, 그 가이드 핀 수용 플랜지(81)를 남는 다른쪽에 대응 설치하고,
    상기 위치 결정 가이드 핀(32)을 그 수용 플랜지(81)로 자유롭게 꽂고 뺄 수 있게 삽입함으로써, 식재 교반 작용 유닛(A)측의 입력축(66)과 구동 유닛(M)측의 동력 추출축(106)을 자연히 심내기 상태로 유지하도록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푸드 믹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식재 교반 작용 유닛(A)측의 탱크 지지 프레임(33)과, 구동 유닛(M)측의 거치 구동 박스(77)의 어느 한쪽으로부터, 원주면에 키 홈(86)이 절단된 로크 핀(83)을 돌출하여 설치하고,
    남는 다른쪽에 그 로크 핀 수용 구멍(37)을 대응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로크 핀(83)의 키 홈(86)으로 결합·이탈 자유롭게 계지되는 로크 레버(locking lever; 39)를 피벗 부착하고,
    상기 로크 핀(83)을 그 수용 구멍(37)으로 자유롭게 꽂고 뺄 수 있도록 삽입한 후, 그 로크 핀(83)의 키 홈(86)으로 로크 레버(39)를 계지시킴으로써, 상기 식재 교반 작용 유닛(A)측의 탱크 지지 프레임(33)과 구동 유닛(M)측의 구동 박스(77)를 장착하여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푸드 믹서.
  4. 제 1 항에 있어서, 교반 날 축(60)의 양 단부에 전후 한 쌍의 소켓(61, 62)을 고착하여 일체화하고, 그 양 소켓(61, 62)도 포함하는 교반 날 축(60)의 전체길이(L)를 식재 수용 탱크(35)의 개구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치수화함으로써, 그 식재 수용 탱크(35)의 개구 상면으로부터 교반 날 축(60)을 출납할 수 있도록 정하는 동시에,
    상기 식재 수용 탱크(35)로부터 일정 길이(L1)만큼 전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입력축(66)과, 동일하게 일정 길이(L2)만큼 후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연장축(72)과의 한 쌍을, 모두 상기 교반 날 축(60)과 별개로 독립시키고,
    그 입력축(66)의 후단부를 상기 교반 날 축(60)의 전측 소켓(61)으로, 상기 연장축(72)의 전단부를 동일하게 교반 날 축(60)의 후측 소켓(62)으로, 각각 자유롭게 꽂고 뺄 수 있도록 삽입한 후, 고정 비스(67, 73)에 의해 전동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푸드 믹서.
  5. 제 1 항에 있어서, 스테인리스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교반 날 축(60)의 양 단부로 전후 한 쌍의 소켓(61, 62)을 가압하여 일체화하고, 그 양 소켓(61, 62)도 포함하는 교반 날 축(60)의 전체 길이(L)를 식재 수용 탱크(35)의 개구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치수화함으로써, 그 식재 수용 탱크(35)의 개구 상면으로부터 교반 날 축(60)을 출납할 수 있도록 정하는 동시에,
    스테인리스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교반 날(63)의 설치 아암(64)을 상기 교반 날 축(60)의 원주면으로 삽입 상태로 용접하여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푸드 믹서.
  6. 제 1 항에 있어서, 식재 수용 탱크(35)부터 일정 길이(L1)만큼 전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교반 날 축(60)의 입력축(66)과, 동일하게 일정 길이(L2)만큼 후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교반 날 축(60)의 연장축(72)을 각각 식재 수용 탱크(35)로 외측으로부터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어 고정된 베어링 플랜지 유닛(69, 74)에 의해서,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푸드 믹서.
  7. 제 1 항에 있어서, 거치 구동 박스(77)로부터 후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동력 추출축(106)을 병렬하는 좌우 한 쌍으로서, 그 구동 박스(77)에 내장되어 설치된 구동 모터(87)로부터 기어 전동 기구(G)에 의해, 상반 방향으로 등속 회전시키도록 정하는 한편,
    교반 날 축(60)도 상기 동력 추출축(106)과 대응하여 위치하는 좌우 한 쌍으로서, 그 전단부의 입력축(66)과 상기 동력 추출축(106)의 좌우 1쌍씩을 각각 커플링(120)에 의해 전동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푸드 믹서.
  8. 제 1 항에 있어서, 거치대(30)로부터 일체적으로 세워지는 탱크 지지 박스(41)의 중도 높이 위치로, 탱크 전도 핸들축(42)을 관통하여 수평으로 걸치고, 그 전도 핸들축(42)상의 웜 기어(43)와 이것에 맞물리는 웜 휠(44)로 이루어지는 탱크 전도 작동 기구(F)를, 상기 탱크 지지 박스(41)에 내장하여 설치하는 동시에,
    그 탱크 지지 박스(41)에 베어링된 상기 웜 휠(44)의 회동 지축(46)과, 식재 수용 탱크(35)의 후측 지축(55)을 착탈 자유롭게 플랜지 접합하는 한편, 동일하게식재 수용 탱크(35)의 전측 지축(54)을 탱크 지지 프레임(33)에 베어링시키고,
    상기 전도 핸들축(42)을 탱크 지지 박스(41)의 횡측 외방으로부터 회동 조작함으로써, 상기 식재 수용 탱크(35)를 그 전측 지축(54)과 후측 지축(55)의 동일 축선(X-X) 주위로 전도시킬 수 있도록 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푸드 믹서.
  9. 제 1 항에 있어서, 식재 교반 작용 유닛(A)측의 거치대(30)에 복수의 브레이크가 부착된 자재 차륜(31)을 축지하는 한편, 구동 유닛(M)측의 거치 구동 박스(77)에 거치 높이와 수평도의 승강 조정 가능한 접지 시트(79)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푸드 믹서.
KR10-2003-0080961A 2003-06-09 2003-11-17 수평형 푸드 믹서 KR1005216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63742A JP3740135B2 (ja) 2003-06-09 2003-06-09 横型フードミキサー
JPJP-P-2003-00163742 2003-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905A true KR20040106905A (ko) 2004-12-18
KR100521691B1 KR100521691B1 (ko) 2005-10-17

Family

ID=34090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0961A KR100521691B1 (ko) 2003-06-09 2003-11-17 수평형 푸드 믹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740135B2 (ko)
KR (1) KR1005216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477A (ko) * 2014-09-18 2016-03-28 류동일 식재료 혼합장치
CN107212058A (zh) * 2017-07-26 2017-09-29 杨仙 一种节能型肉末加工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58964B (zh) * 2021-12-06 2023-11-03 温州大学 多功能凉菜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477A (ko) * 2014-09-18 2016-03-28 류동일 식재료 혼합장치
CN107212058A (zh) * 2017-07-26 2017-09-29 杨仙 一种节能型肉末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40135B2 (ja) 2006-02-01
JP2005000007A (ja) 2005-01-06
KR100521691B1 (ko) 2005-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0473B2 (en) Bowl scraper and related attachment system for mixing machine
JPH0755123B2 (ja) 食品加工装置
JPH07508895A (ja) 垂直方向に可動なボールサポートを有するミキサー
JP4098335B2 (ja) 2軸式の横型フードミキサー
KR101063964B1 (ko) 양념 교반 장치
KR100521691B1 (ko) 수평형 푸드 믹서
WO2018078264A1 (fr) 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culinaire comportant une base d'alimentation electrique
KR20110011210A (ko) 반죽스크류가 분리되는 반죽장치
EP0629120A1 (en) A machine and fittings thereof which in separate operations allow both for kneading home-made dough or pasta, and for extruding said edible dough or pasta, as well as for mincing meat and the like
US3450180A (en) Mixer-chopper
CN215506389U (zh) 一种改进型的香菇调味料的搅拌装置
JP4448269B2 (ja) 水中機械のプロペラ抜き取り工具
CN114568979A (zh) 一种厨房用具搅拌头的快拆结构
US3945309A (en) Cooking apparatus for loose food products
KR101297977B1 (ko) 슬러쉬장치용 나선형 교반기
US2604307A (en) Commercial ice-cream freezer
CN216800106U (zh) 一种拌馅绞肉一体机
CN207327108U (zh) 具有搅拌功能的切菜机
JP3668814B2 (ja) 肉類チョッパーの材料供給装置
CN216171994U (zh) 一种辣椒酱切碎混合装置
US4927087A (en) Ice shaving system
CN209153310U (zh) 一种肉制品用料理机
CN114392813A (zh) 一种拌馅绞肉一体机
JP2004238168A (ja) スクリューコンベヤ
US7617765B2 (en) Fry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