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6232A - 삽탈식 콘택트와 접속 대상물을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삽탈식 콘택트와 접속 대상물을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6232A
KR20040106232A KR1020040042528A KR20040042528A KR20040106232A KR 20040106232 A KR20040106232 A KR 20040106232A KR 1020040042528 A KR1020040042528 A KR 1020040042528A KR 20040042528 A KR20040042528 A KR 20040042528A KR 20040106232 A KR20040106232 A KR 20040106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ct portion
insulator
electrical connector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9308B1 (ko
Inventor
요수케 사이토
히로유키 타무라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닛폰 덴키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닛폰 덴키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6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6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3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기 커넥터(1)는 도전성 삽탈식 콘택트에 접속되는 메인 접촉부(33)와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단자부(55)를 가진 도전성 콘택트(102) 및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는 인슐레이터(7)를 갖는다. 상기 콘택트는 상기 메인 접촉부를 가진 제 1 콘택트부(3)와 상기 단자부를 가진 제 2 콘택트부(5)로 분할된다. 상기 제 1 콘택트부(3)는 제 2 콘택트부(5)와 탄성접촉하는 스프링부(37)를 갖는다. 상기 제 1 콘택트부(3)는 독립적으로 제거가능하도록 상기 인슐레이터(7)에 의해 유지된다.

Description

삽탈식 콘택트와 접속 대상물을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A MATING CONTACT AND A CONNECTION OBJECT}
본 출원은 일본 특허출원번호 제2003-166445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그 출원 명세서가 본원에 참조되었다.
본 발명은 삽탈식 콘택트와 접속 대상물을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전화와 같은 전자기기에서 전원접속에 이용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출원 공개번호 제H5-1185호에는 나사에 의해 상호 일체로 고정된 전면 하우징부와 배면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전면 하우징부에는 전면 콘택트가 부착된다. 상기 전면 콘택트에는 그 선단에 접속부가 형성되고, 그 후단에 탄성 접촉부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 접촉부의 자유단에는 접촉점이 형성된다.
상기 배면 하우징부에는 배면 콘택트가 부착된다. 상기 배면 콘택트에는 단자부와 접촉부가 형성된다. 상기 배면 하우징부는, 배면 콘택트의 단자부가 기판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고, 상기 단자부가 기판의 배면에 용접됨으로써, 기판에 고정된다.
상기 전면 콘택트의 접촉점과 배면 콘택트의 접촉부가 상호 탄성 접촉함으로써, 상기 전면 콘택트와 배면 콘택트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러나, 전술한 공보에 개시된 전기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상기 전면 하우징부에 부착된 전면 콘택트가 부식 또는 오염과 같은 결함을 갖는 경우, 상기 전면 콘택트는 교환되어야만 한다. 상기 전면 콘택트의 교환작업시, 상기 전면 하우징부는 배면 하우징부로부터 제거된다. 그 다음, 상기 전면 콘택트는 전면 하우징부로부터 제거되고 새로운 전면 콘택트로 교환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전면 하우징이 나사에 의해 배면 하우징에 고정됨으로써 커넥터는 재조립된다. 따라서, 교환작업이 복잡하고 곤란하다.
상기 전면 콘택트의 교환작업시, 상기 커넥터는 조립후의 전면 콘택트의 접촉점과 배면 콘택트의 접촉부가 서로 접촉하는 부분의 위치정도를 고려하여 재조립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의 조립에는 시간이 소요되며 곤란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식 또는 오염과 같은 결함을 가진 콘택트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고, 교환 작업성이 향상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전성 삽탈식 콘택트에 접속되는 메인 접촉부와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단자부를 가진 콘택트 및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며, 상기 콘택트는 상기 메인 접촉부를 가진 제 1 콘택트부와 상기 단자부를 가진 제 2 콘택트부로 분할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트부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하나와 탄성접촉하는 스프링부를 갖고, 상기 제 1 콘택트부는 독립적으로 제거가능하도록 상기 인슐레이터에 의해 유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로서, 전기 커넥터가 기판에 탑재된 후, 인슐레이터에 제 1 콘택트부를 고정하는 작업 도중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전기 커넥터의 종단면로서, 전기 커넥터가 기판에 탑재된 후, 인슐레이터에 제 1 콘택트부를 고정하는 작업 도중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넥터
3, 103 : 제 1 콘택트부
5, 105 : 제 2 콘택트부
7 : 인슐레이터
11 : 기판
11a : 기판의 관통홀
31, 131 : 제 1 유지부
33, 133 : 제 1 접촉부
35, 135 : 조작부
37, 157 : 스프링부
33a, 133a : 제 1 접촉부의 일면
33b, 133b : 제 1 접촉부의 타면
51, 151 : 제 2 유지부
53 : 제 2 접촉부
55, 155 : 단자부
55a, 155a : 단자부의 선단
71 : 인슐레이터의 제 1 면
73 : 인슐레이터의 제 2 면
75 : 제 1 수용부
77 : 제 2 수용부
79 : 제 3 수용부
85 : 윈도우부
87 : 가이드 그루브
95 : 땜납
A : 삽입방향
B : 제거방향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는 제 1 콘택트부(3)와 제 2 콘택트부(5)를 가진 도전성 콘택트(2)와, 상기 콘택트(2)를 유지하는 인슐레이터(7)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콘택트(2)는 제 1 콘택트부(3)와 제 2 콘택트부(5)로 서로로부터 별체로 분할되어, 상기 인슐레이터(7)에 의해 개별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제 1 콘택트부(3)는 인슐레이터(7)로부터 독립적으로 제거가능하도록 상기 인슐레이터(7)에 의해 유지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기 커넥터(1)는 접속 대상물로서 인쇄배선기판과 같은 기판(11)에 탑재된다. 도 2는 상기 인슐레이터(7)에 제 1 콘택트부(3)를 고정하는 작업 도중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트부(3)(5)는 각각, 도전판을 프레스 타공하여 긴 스트립형상의 도전판을 만든 다음, 상기 스트립형상의 도전판을 굽힘가공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제 1 콘택트부(3)는 인슐레이터(7)에 의해 유지되는 제 1 유지부(31), 상기 제 1 유지부(3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접촉부(메인 접촉부)(33), 상기 제 1 접촉부(33)의 연장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조작부(35), 및 상기 제 1 유지부(31)의 타단으로부터 휘어져 상기 제 1 접촉부(33)에 대향하여 연장된 스프링부(37)를 갖는다.
상기 제 1 접촉부(33)는 도전성 삽탈식 콘택트(미도시)와 접촉하게 되는 접촉면으로서 일면(33a)을 갖는다. 상기 제 1 유지부(31)와 스프링부(37)는 측면이대체로 U자형 곡선인 부분에서 서로 접속된다. 상기 스프링부(37)는 상기 제 1 접촉부(33)의 종방향으로 중간부분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며, 상기 일면(33a)과 반대인 제 1 접촉부(33)의 타면(33b)에 대향한다. 상기 스프링부(37)는 제 1 접촉부(33)의 타면(33b)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다. 상기 스프링부(37)는 그 단부 부근에 일면(37a)을 갖는다. 상기 일면(37a)은 제 1 접촉부(33)에 대향하고, 하기된 바와 같이 제 2 콘택트부(5)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조작부(35)는 제 1 접촉부(33)의 평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 1 접촉부(33)의 연장단부로부터 휘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부(35)는 제 1 접촉부(33)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휘어진다.
상기 제 2 콘택트부(5)는 인슐레이터(7)에 의해 유지되는 제 2 유지부(51), 상기 제 2 유지부(5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접촉부(국소 접촉부)(53), 및 상기 제 2 유지부(51)의 타단으로부터 인슐레이터(7)의 외부로 연장되는 단자부(55)를 갖는다.
상기 제 2 접촉부(53)는 스프링부(37)에 대향하며, 상기 스프링부(37)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단자부(55)는 측면에서 볼 때 제 2 유지부(51)에 대해 대체로 수직하게 제 2 유지부(51)의 타단으로부터 휘어져, 제 2 접촉부(53)와 반대로 제 2 접촉부(53)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콘택트부(5)는 측면에서 볼 때 대체로 크랭크 형상을 갖는다.
상기 인슐레이터(7)는 기판(11)에 대향하여 탑재되는 하부면으로서 제 1 면(71), 상기 제 1 면(71)과 반대인 상부면으로서 제 2 면(73), 및 상기 제 1 및 제2 면(71)(73)간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며 서로 통하는 제 1 내지 제 3 수용부(75)(77)(79)를 갖는다.
특히, 상기 제 1 내지 제 3 수용부(75)(77)(79)는 삽입방향(A)과 삽입방향(A)과는 역행하는 제거방향(B)으로 제 1 및 제 2 면(71)(73)간에서 연장된 보어로서 개구를 형성한다. 상기 삽입방향(A)과 제거방향(B)은 도 2에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수용부(75)(77)(79)에는, 제 1 콘택트부(3), 제 2 콘택트부(5)의 제 2 접촉부(53), 및 단자부 선단(55a)을 제외한 제 2 콘택트부(5)의 단자부(55)가 수용된다. 상기 단자부(55)의 단자부 선단(55a)은 인슐레이터(7)의 제 1 면(71)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인슐레이터(7)의 제 1 및 제 2 면(71)(73) 사이에서, 상기 제 1 수용부(75)는 삽입 및 제거방향(A)(B), 즉 도 2에서 수직방향으로 긴 크기를 갖는다. 상기 제 2 수용부(77)는 제 1 수용부(75) 위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수용부(75)와 통한다. 상기 제 2 수용부(77)는 조작부(55)를 수용한다. 상기 제 3 수용부(79)는 제 1 수용부(75)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수용부(75)와 통한다.
상기 인슐레이터(7)는 수직 외벽(83)이 개방되어 제 1 접촉부(33)의 일면(33a)에 대향하는 윈도우부(85)를 구비한다. 상기 윈도우부(85)는 제 1 수용부(75)와 통한다. 상기 접촉부(33)는 윈도우부(85)와 근접하여 위치된다.
상기 제 1 수용부(75)에는, 제 1 콘택트부(3)의 제 1 유지부(31), 제 1 접촉부(33) 및 스프링부(37)가 위치된다. 상기 제 1 콘택트부(3)의 조작부(35)는 제 2 수용부(77) 속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1 수용부(75)에는, 제 2 콘택트부(5)의 제 2 유지부(51)와 제 2 접촉부(53)가 위치된다. 상기 제 3 수용부(79)는 단자부 선단(55a)을 제외한 단자부(55)를 수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자부(55)의 단자부 선단(55a)은 제 3 수용부(79)로부터 인슐레이터(7)의 제 1 면(71)의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제 1 콘택트부(3)의 제 1 접촉부(33)의 종방향으로 대부분이, 제 1 접촉부(33)의 일면(33a)이 윈도우부(85)에 대해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인슐레이터(7)에 고정된다. 상기 윈도우부(85)는 삽탈식 콘택트를 수용하여, 상기 삽탈식 콘택트를 제 1 접촉부(33)의 일면(33a)에 접촉시킨다.
상기 제 1 수용부(75)를 형성하는 외벽(83)은 상기 제 1 수용부(75)의 일측 벽면(75a)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그루브(87)를 구비한 내벽면을 갖는다. 상기 제 1 유지부(31)는 가이드 그루브(87)와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 그루브(87)는 제 1 콘택트부(3)를 삽입방향(A) 또는 제거방향(B)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수용부(75)는 상기 일측 벽면(75a)에 대향하는 타측 벽면(75b)을 갖는다. 상기 제 2 콘택트부(5)의 제 2 유지부(51) 및 제 2 접촉부(53)는 상기 타측 벽면(75b)에서 당접하여 위치된다. 상기 제 1 수용부(75)에서, 상기 제 1 콘택트부(3)의 스프링부(37)는 제 2 콘택트부(5)의 제 2 접촉부(53)와 탄성접촉한다.
상기 인슐레이터(7)의 제 1 면(71)에는 당해 제 1 면(71)으로부터 돌출된 다수의 보스(91)(92)(93)가 설치된다. 각각의 보스(91)(92)(93)는 도 2에 도시된 기판(11)에 형성된 위치결정홀(미도시) 또는 위치결정 절취부(미도시)속에 삽입되어,인슐레이터(7)의 위치를 결정한다.
이하, 상기 전기 커넥터(1)의 조립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기판(11)에는, 삽입방향(A)으로 삽입된 제 2 콘택트부(5)의 단자부(55)의 단자부 선단(55a)을 수용하는 관통홀(11a)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부(55)의 단자부 선단(55a)은 관통홀(11a)에 삽입된 후, 땜납(95)에 의해 납땜 접속된다.
상기 제 2 콘택트부(5)가 인슐레이터(7)의 제 1 및 제 3 수용부(75)(79)에 수용되어 고정된다. 그 후, 상기 단자부(55)의 단자부 선단(55a)이 기판(11)에 형성된 도전성 패턴(미도시)에 납땜 접속된다. 상기 조작부(35)를 하방으로 압축함으로써, 상기 제 1 콘택트부(3)와 제 1 유지부(31)가 전방(즉, 도면에서 하방)으로 그리고 제 2 수용부(77)로부터 가이드 그루브(87)속으로 삽입방향(A)으로 삽입된다. 상기 제 1 콘택트부(3)는 가이드 그루브(87)를 따라 삽입방향(A)으로 더 압축되어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스프링부(37)는 탄성력에 의해 제 1 수용부(75)속으로 압입된다. 특히, 상기 스프링부(37)는 제 1 접촉부(33)측으로 압축되어 제 2 접촉부(53)와 마찰접촉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제 1 콘택트부(3)가 제 1 수용부(75)의 유지위치로 압하될 때, 상기 제 1 유지부(31)는 가이드 그루브(87)에 형성된 한 쌍의 스토퍼(87a)와 당접하게 되어, 상기 제 1 콘택트부(3)는 더 이상 압하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콘택트부(3)가 부식 또는 오염과 같은 결함을 갖는 경우, 상기 제 1 콘택트부(3)는 교환되어야만 한다. 이 경우, 상기 조작부(35)를 제거방향(B)으로 인상함으로써, 상기 제 1 콘택트부(3)가 인슐레이터(7)로부터 제거된다. 그 대신, 새로운 제 1 콘택트부(3)가 인슐레이터(7)의 제 1 수용부(75)속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콘택트부(3)는 교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00)를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인슐레이터(7) 및 기판(1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것과 실질적으로 구조가 유사하다. 따라서, 그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택트(102)는 인슐레이터(7)에 의해 제거가능하게 유지된 제 1 콘택트부(103)와, 상기 인슐레이터(7)에 의해 유지된 제 2 콘택트부(105)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콘택트(102)는 제 1 콘택트부(103)와 제 2 콘택트부(105)로 서로로부터 별체로 분할되어, 상기 인슐레이터(7)에 의해 개별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제 1 콘택트부(103)는 인슐레이터(7)로부터 독립적으로 제거가능하도록 상기 인슐레이터(7)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트부(103)(105)는 각각, 도전판을 프레스 타공하여 긴 스트립형상의 도전판을 만든 다음, 상기 스트립형상의 도전판을 굽힘가공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제 1 콘택트부(103)는 인슐레이터(7)에 의해 유지되는 제 1 유지부(131), 상기 제 1 유지부(13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접촉부(메인 접촉부)(133), 및 상기 제 1 접촉부(133)의 연장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 1 접촉부(133)에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휘어진 조작부(135)를 갖는다.
상기 제 1 접촉부(133)는 도전성 삽탈식 콘택트(미도시)와 접촉하게 되는 일면(133a)을 갖는다.
상기 제 2 콘택트부(105)는 인슐레이터(7)에 의해 유지되는 제 2 유지부(151), 상기 제 2 유지부(15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접촉부(국소 접촉부)(153), 상기 제 2 유지부(151)의 타단으로부터 인슐레이터(7)의 외부로 연장되는 단자부(155), 및 상기 제 2 접촉부(153)의 연장단부로부터 휘어져 상기 제 2 유지부(151)에 대향하여 연장된 스프링부(157)를 갖는다.
상기 스프링부(157)는 그 단부 부근에 일면(157a)을 갖는다. 상기 일면(157a)은 제 1 접촉부(133)에 대향하고, 제 1 접촉부(133)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단자부(155)는 측면에서 볼 때 제 2 유지부(151)에 대해 대체로 수직하게 제 2 유지부(151)로부터 휘어져, 제 2 유지부(151)와 반대로 제 2 유지부(151)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더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콘택트부(105)은 스프링부(157)를 제외한 부분이 측면에서 볼 때 대체로 크랭크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 2 유지부(151)와 스프링부(157)는 측면이 대체로 U자형 곡선인 부분에서 서로 접속된다. 상기 스프링부(157)는 제 2 유지부(15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고, 제 1 접촉부(133)의 타면(133b)과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인슐레이터(7)의 제 1 수용부(75)에는, 제 1 콘택트부(103)의 제 1 유지부(131)와 제 2 접촉부(133)가 위치된다. 상기 제 1 콘택트부(103)의 조작부(135)는 제 2 수용부(77)에 수용된다. 상기 제 1 수용부(75)에는, 제 2 콘택트부(105)의 제 2 유지부(151)와 스프링부(157)가 위치된다. 상기 제 3 수용부(79)는 단자부 선단(155a)을 제외한 단자부(155)를 수용한다. 상기 단자부(155)의 단자부 선단(155a)은 제 3 수용부(79)로부터 인슐레이터(7)의 제 1 면(71)의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제 1 콘택트부(103)의 제 1 접촉부(133)의 종방향으로 대부분이, 제 1 접촉부(133)의 일면(133a)이 인슐레이터(7)에 형성된 윈도우부(85)에 대해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인슐레이터(7)에 고정된다. 상기 제 1 수용부(75)에서, 상기 제 2 콘택트부(105)의 스프링부(157)는 제 1 콘택트부(103)의 제 1 접촉부(133)와 탄성접촉한다.
이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기 커넥터(100)의 조립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 2 콘택트부(105)가 제 1 및 제 3 수용부(75)(79)에 수용되어 인슐레이터(7)에 고정된다. 그 후, 상기 단자부(155)의 단자부 선단(155a)이 기판(11)의 관통홀(11a)속으로 삽입되어 땜납(95)에 의해 납땜 접속된다. 그 후, 상기 제 1 콘택트부(103)와 제 1 유지부(131)가 전방으로 그리고 제 2 수용부(77)로부터 가이드 그루브(87)속으로 삽입된다. 상기 조작부(135)를 삽입방향(A)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콘택트부(103)는 가이드 그루브(87)를 따라 삽입방향(A)으로 압입된다. 이 때, 상기 제 1 콘택트부(103)는 상기 스프링부(157)를 제 2 유지부(151)측으로 압축한다. 상기 스프링부(157)의 단부가 자연상태에서 가이드 그루브(87) 내에 위치됨을 주의하여야 한다. 상기 제 1 접촉부(133)는 압하되어 스프링부(157)와 마찰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 1 콘택트부(103)가 제 1 수용부(75) 내의소정위치로 압하될 때, 상기 제 1 수용부(131)는 가이드 그루브(87)에 형성된 스토퍼(87a)와 당접하게 되어, 상기 제 1 콘택트부(103)는 더 이상 압하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콘택트부(103)가 부식 또는 오염과 같은 결함을 갖는 경우, 상기 제 1 콘택트부(103)는 교환되어야만 한다. 이 경우, 상기 조작부(135)를 제거방향(B)으로 인상함으로써, 상기 제 1 콘택트부(103)가 인슐레이터(7)로부터 제거된다. 그 대신, 새로운 제 1 콘택트부(103)가 인슐레이터(7)에 고정된다. 따라서, 교환이 완료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 접속 대상물을 기판(11)으로서 설명하였다. 선택적으로, 상기 접속 대상물은 기판(11) 대신 케이블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자부(55 또는 155)의 단자부 선단(55a 또는 155a)에 케이블을 남땜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에도 응용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전기 커넥터(1)(100)에서, 각각의 제 1 콘택트부(3)(103)는 인슐레이터(7)에 의해 제거가능하게 유지되며, 상기 제 1 수용부(75) 내에 수용된다. 따라서, 부식 또는 오염과 같은 결함을 가진 제 1 콘택트부(3 또는 103)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콘택트부(3 또는 103)를 새로운 제 1 콘택트부와 교환하기 위하여, 결함을 가진 제 1 콘택트부(3 또는 103)를 인슐레이터(7)로부터 제거한다. 그 다음, 새로운 제 1 콘택트부(3 또는 103)의 조작부(35 또는 135)를 삽입방향(A)으로 이동시켜 가이드 그루브(87)를 따라 상기 제 1 콘택트부(3 또는 103)를 삽입방향(A)으로 압하시킴으로써, 교환이 완료된다.
따라서, 조립후 제 1 접촉부(3 또는 103)와 제 2 접촉부(5 또는 105)간의 접촉부분에서의 위치결정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콘택트가 독립적으로 제거가능하도록 인슐레이터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부식 또는 오염과 같은 결함을 가진 콘택트의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1)

  1. 도전성 삽탈식 콘택트에 접속되는 메인 접촉부와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단자부를 가진 콘택트 및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콘택트는 상기 메인 접촉부를 가진 제 1 콘택트부와 상기 단자부를 가진 제 2 콘택트부로 분할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트부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하나와 탄성접촉하는 스프링부를 갖고;
    상기 제 1 콘택트부는 독립적으로 제거가능하도록 상기 인슐레이터에 의해 유지되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택트부가 삽입방향과 상기 삽입방향에 역행하는 제거방향으로 삽입 및 제거되도록 상기 인슐레이터에 의해 유지되며;
    상기 인슐레이터가 상기 제 1 콘택트부와 상기 단자부를 제외한 상기 제 2 콘택트부를 수용하는 제 1 수용부를 갖고;
    상기 제 1 콘택트부가 상기 인슐레이터에 의해 상기 수용부에 유지되는 제 1 유지부를 더 가지며, 상기 유지부가 상기 메인 접촉부에 접속된 일단을 가진, 전기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콘택트부가 상기 인슐레이터에 의해 상기 제 1수용부에 유지되는 제 2 유지부, 및 상기 제 2 유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메인 접촉부에 대향하는 국소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 2 유지부가 상기 단자부에 접속된 타단을 가진, 전기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접촉부와 상기 국소 접촉부가 상기 제 1 수용부 내에서 서로 대향하며, 상기 메인 접촉부가 상기 삽탈식 콘택트와 접촉하게 되는 접촉면으로서 일면을 갖고;
    상기 국소 접촉부가 상기 일면과 반대인 상기 메인 접촉부의 타면에 대향하며, 상기 인슐레이터가 그 외벽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 접촉부의 일면에 대향하는 윈도우부를 갖고, 상기 윈도우부는 상기 삽탈식 콘택트가 상기 메인 접촉부의 일면과 접촉하도록 개방되며;
    상기 윈도우부가 상기 제 1 수용부와 통하는, 전기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가 상기 제 1 유지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메인 접촉부의 타면에 대향하는, 전기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가 상기 제 2 유지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국소 접촉부에 대향하는, 전기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부가 그 내벽면에 형성된 가이드 그루브를갖고, 상기 가이드 그루브가 상기 제 1 유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 1 콘택트부의 삽입방향과 제거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전기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그루브에, 상기 제 1 콘택트부가 상기 제 1 수용부에 삽입되어 유지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제 1 수용부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가 구비된, 전기 커넥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택트부가 상기 메인 접촉부의 연장단부로부터 상기 메인 접촉부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휘어진, 전기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가 상기 조작부를 수용하는 제 2 수용부를 갖고, 상기 제 2 수용부가 상기 제 1 수용부와 통하는, 전기 커넥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가 상기 단자부를 수용하는 제 3 수용부를 갖고, 상기 제 3 수용부가 상기 제 1 수용부와 통하며, 상기 단자부가 상기 제 3 수용부로부터 상기 인슐레이터의 외부로 연장된, 전기 커넥터.
KR1020040042528A 2003-06-11 2004-06-10 삽탈식 콘택트와 접속 대상물을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 KR1005593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66445A JP3755880B2 (ja) 2003-06-11 2003-06-11 コネクタ
JPJP-P-2003-00166445 2003-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232A true KR20040106232A (ko) 2004-12-17
KR100559308B1 KR100559308B1 (ko) 2006-03-15

Family

ID=33296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528A KR100559308B1 (ko) 2003-06-11 2004-06-10 삽탈식 콘택트와 접속 대상물을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976890B2 (ko)
EP (1) EP1487062B1 (ko)
JP (1) JP3755880B2 (ko)
KR (1) KR100559308B1 (ko)
CN (1) CN1275358C (ko)
AT (1) ATE319202T1 (ko)
DE (1) DE602004000430T2 (ko)
HK (1) HK1072130A1 (ko)
NO (1) NO326651B1 (ko)
SG (1) SG118261A1 (ko)
TW (1) TWI25321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679B1 (ko) * 2010-07-21 2013-02-07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커넥터 제조 방법 및 커넥터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0574B2 (ja) * 2006-02-16 2010-10-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端末
CN103278540B (zh) * 2013-04-25 2016-08-17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对高压绝缘子等值盐密测量的方法
JP6537498B2 (ja) * 2013-05-24 2019-07-03 ダンマークス テクニスケ ウニバーシテート 撮像造影用組成物及びキット
JP2022071582A (ja) * 2020-10-28 2022-05-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アンテナ及び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9243A (en) * 1969-10-24 1972-04-25 Amp Inc Electrical connectors
US4552423A (en) * 1984-03-30 1985-11-12 Amp Incorporated Shunted electrical connectors
JP2512987Y2 (ja) * 1990-01-25 1996-10-02 ホシデン株式会社 ショ―ト回路付コネクタ
JPH0414777A (ja) * 1990-05-08 1992-01-20 Fujitsu Ltd コネクタ
JPH051185U (ja) 1991-06-19 1993-01-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イルタコネクタ
JP2764687B2 (ja) * 1993-10-18 1998-06-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高速伝送用コネクタ
US5833498A (en) * 1995-12-28 1998-11-10 Berg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retention feature and receptacle for use therein
WO1997045896A1 (en) * 1996-05-30 1997-12-04 The Whitaker Corporation Surface mountable electrical connector
JP3042426B2 (ja) * 1996-11-22 2000-05-15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5803757A (en) * 1997-01-29 1998-09-08 Wang; Tsan-Chi Auto-termination single jack BNC connector
DE19942579A1 (de) 1999-09-07 2001-03-08 Harting Kgaa Koaxial-Steckverbinder
TW444844U (en) * 2000-08-22 2001-07-01 Ritek Corp Sidemarker light
JP4029205B2 (ja) 2001-11-27 2008-01-0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679B1 (ko) * 2010-07-21 2013-02-07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커넥터 제조 방법 및 커넥터 제조 장치
US8469743B2 (en) 2010-07-21 2013-06-2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nnector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connector
US9099830B2 (en) 2010-07-21 2015-08-0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nector
US9252551B2 (en) 2010-07-21 2016-02-0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05097A (ja) 2005-01-06
EP1487062A1 (en) 2004-12-15
NO20042431L (no) 2004-12-13
US20050003694A1 (en) 2005-01-06
TW200507372A (en) 2005-02-16
TWI253213B (en) 2006-04-11
ATE319202T1 (de) 2006-03-15
CN1574492A (zh) 2005-02-02
US6976890B2 (en) 2005-12-20
CN1275358C (zh) 2006-09-13
EP1487062B1 (en) 2006-03-01
KR100559308B1 (ko) 2006-03-15
SG118261A1 (en) 2006-01-27
JP3755880B2 (ja) 2006-03-15
DE602004000430T2 (de) 2006-08-24
DE602004000430D1 (de) 2006-04-27
HK1072130A1 (en) 2005-08-12
NO326651B1 (no) 2009-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13756B2 (ja) 基板用コネクタ
KR20070056942A (ko) 접속단자 및 전자부품의 접속장치
JP2002056916A (ja) コネクタ
US5066235A (en)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s
KR20080020941A (ko) 접속장치
KR20080011058A (ko) 접속장치
CN114639976A (zh) 连接器
KR100559308B1 (ko) 삽탈식 콘택트와 접속 대상물을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
JP2019021542A (ja) コネクタ
JP2007048684A (ja) コネクタ
JP3142833U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4961181B2 (ja) チップ型led用ソケット
EP0409640B1 (en)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s
KR20040047511A (ko) 커넥터
JP3151657U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5339985A (ja) コネクタ
KR100780708B1 (ko)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100417109B1 (ko) 컴퓨터 하드디스크의 모터 구동신호용 커넥터
WO2021145208A1 (ja) スイッチコネクタ
US7435118B2 (en) Antenna switch
KR100502700B1 (ko) 전기 콘넥터
KR20100057208A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KR100982938B1 (ko) 기판실장형 터미널 및 회로기판의 결합구조
KR200324360Y1 (ko) 전기 콘넥터
JP2000048916A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