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3886A - 칠보석 석분이 함유된 도자기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칠보석 석분이 함유된 도자기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3886A
KR20040103886A KR1020040095501A KR20040095501A KR20040103886A KR 20040103886 A KR20040103886 A KR 20040103886A KR 1020040095501 A KR1020040095501 A KR 1020040095501A KR 20040095501 A KR20040095501 A KR 20040095501A KR 20040103886 A KR20040103886 A KR 20040103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y
stone
ceramics
stone powder
gla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5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6911B1 (ko
Inventor
김경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요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요업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요업개발
Priority to KR1020040095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6911B1/ko
Publication of KR20040103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3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9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04B33/34Burning methods combined with gla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0Drying metho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칠보석 석분이 함유된 도자기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체에 유익한 칠보석 석분, 점토와 백토 및 물을 일정 비율로 반죽·성형한 소지와 이 소지에 칠보석 석분이 함유된 유약으로 시유한 도자기류를 제작하여,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다량 방사하고, 탈취기능과 항균효과 및 항곰팡이의 기능을 가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철분이 제거된 칠보석 석분과 점토 및 백토 그리고 물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반죽하는 재료 혼합 및 반죽 공정(S1), 상기 반죽을 일정 모양으로 성형한 소지를 만들고, 이를 건조하는 성형 및 건조 공정(S2), 상기 건조된 소지를 적정 온도에서 구워내는 1차 소성 공정(S3), 1차로 구워낸 소지에 유약을 바르는 시유 공정(S4), 유약을 바른 소지를 다시 구워내는 2차 소성 공정(S5), 2차로 구워 낸 소지에 적절한 문양의 도자기용 전사지를 부착하는 전사지 부착 공정(S6), 이를 다시 적정 온도에서 구워내는 3차 소성 공정(S7)으로 칠보석 석분이 함유된 도자기류를 제작한다.
상기와 같은 제조 방법으로 제작된 도자기류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다량방사하고, 항곰팡이, 탈취기능, 항균효과 등의 기능을 가지며, 타일, 반지, 팔찌, 그릇, 욕조 등으로 다양하게 제작되어, 건축자재용, 장식용, 주방용, 욕실용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유약도 미세한 칠보석 석분과 물을 같은 분량으로 섞은 유약을 사용함에 따라, 인체에 무해하고, 고유의 색을 가지므로 외관이 미려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칠보석 석분이 함유된 도자기류의 제조방법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ceramics using stone powder of conglomerate with seven color }
본 발명은 칠보석 석분이 함유된 도자기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체에 유익한 칠보석 석분, 점토와 백토 및 물을 일정 비율로 반죽·성형한 소지와 이 소지에 칠보석 석분이 함유된 유약으로 시유한 도자기류를 제작하여,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다량 방사하고, 탈취기능과 항균효과 및 항곰팡이의 기능을 가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자기류를 제작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도자기를 만드는 흙으로 반죽을 만드는 제토 작업(G1), 이를 물레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모양으로 만드는 성형 작업(G2), 성형한 것을 서서히 건조하는 건조 작업(G3), 건조한 것을800℃ 내외에서 구워 내는 초벌구이 작업(G4), 유약을 입히는 시유 작업(G5), 마지막으로 1300℃ 내외에서 다시 구워내는 재벌구이 작업(G5)으로 도자기를 제조 할 수 있으며, 도자기에 형성하는 장식은 그 기법에 따라, 성형 직후 건조 과정 중에 하는 1차 장식, 초벌구이 이후에 하는 2차 장식, 재벌구이 이후에 하는 3차 장식으로 나누어진다.
이와 같이 형성하는 도자기류는 식기류, 장독 등과 같은 주방용품, 욕조, 변기와 같은 욕실용, 타일류와 같은 건축자재용, 단순 장식용, 악기용 등으로 제작하여, 생활 전반에 사용하고 있으며, 천연재료인 흙을 이용하여 제조된다는 점에서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철분을 제거한 칠보석 석분과 점토 및 백토, 그리고 물을 일정비율로 혼합·반죽하고, 이를 이용하여 성형·건조한 소지를 가마에서 구워내는 1차 소성 공정을 하며, 상기 소지에 유약을 시유하여 다시 구워내는 2차 소성 공정을 거친 뒤, 도자기용 전사지를 부착하고, 다시 3차 소성 공정으로 도자기류를 제작하여, 소성된 칠보석 석분이 띄는 고유의 색상으로 외관이 미려하며, 칠보석의 특징으로 인체에 유익한 도자기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미세한 칠보석 석분과 물을 같은 부피비로 혼합·교반하고, 이를 침전시켜, 그 윗물을 버리고 남은 현탁액의 침전물을 유약으로 사용한 도자기류를 제공하여, 그 표면에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다량 방사하고, 항곰팡이, 탈취기능, 항균효과를 가지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정도.
본 발명은 칠보석 석분이 함유된 도자기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체에 유익한 칠보석 석분, 점토와 백토 및 물을 일정 비율로 반죽·성형한 소지와 이 소지에 철보석 석분이 함유된 유약으로 시유한 도자기류를 제작하여,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다량 방사하고, 탈취기능과 항균효과 및 항곰팡이의 기능을 가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철분이 제거된 칠보석 석분과 점토 및 백토 그리고 물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반죽하는 재료 혼합 및 반죽 공정(S1), 상기 반죽을 일정 모양으로 성형한 소지를 만들고, 이를 건조하는 성형 및 건조 공정(S2), 상기 건조된 소지를 적정 온도에서 구워내는 1차 소성 공정(S3), 1차로 구워낸 소지에 유약을 바르는 시유 공정(S4), 유약을 바른 소지를 다시 구워내는 2차 소성 공정(S5), 2차로 구워 낸 소지에 적절한 문양의 도자기용 전사지를 부착하는 전사지 부착 공정(S6), 이를 다시 적정 온도에서 구워내는 3차 소성 공정(S7)으로 칠보석 석분이 함유된 도자기류를 제작한다.
상기의 제조 방법을 도1에 도시한 공정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첫 번째 공정인 재료 혼합 및 반죽 공정(S1)은 칠보석을 일정 크기 이하의 입자로 분쇄한 칠보석 석분을 점토 및 백토와 혼합하고, 이를 물로 반죽하는 공정으로, 혼합하는 재료의 비율은 만드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그 배합율이 틀리며, 이는 식기류 및 장식류로 사용할 경우에는 칠보석 석분 50%, 점토 20%, 백토 20%와 물 10%의 부피비로 혼합·반죽하고, 타일류로 사용할 경우에는 칠보석 석분 50%, 점토 20%, 백토 25%와 물 5%의 부피비로 혼합·반죽하며, 상기 물은 정제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사용되는 칠보석은 채취된 칠보석을 마찰드럼식이나 회전분마기에 넣고, 고속 분마 처리하여, 100∼300 메쉬(mesh)까지 1차 분쇄하며, 이렇게 1차 분쇄한 칠보석 석분은 철분을 포함하고 있어, 이를 제거해야하는데, 이 방법을 참고적으로 설명하면, 분쇄된 칠보석 석분을 컨베이어 벨트 또는 회전 드럼에 두고, 강한 자력선을 투과하여 철분을 제거하거나, 탈철기를 칠보석 석분에 넣어 전기를 가해 휘저으면, 함유된 철분이 대부분 붙어 나오게 되며, 이와 같이 철분을 제거한 칠보석 석분은 그 입자 크기가, 균일하지 않거나, 너무 굵을 경우 분쇄 작업을 더 시행하여, 철보석 석분 입자를 미세하고 균일하게 한다.
또한, 상기 칠보석 석분의 입자 크기는 그 제작되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데, 도자기 원료로 사용될 경우에는 100 내지 200 메쉬가 적당하고, 타일 등과 같이 건축자재에 사용될 경우에는 80 내지 150메쉬가 적당하며, 칠보석 석분이 후설할 유약에 사용될 경우에는 300메쉬 이상의 고운 입자를 사용한다.
다음의 성형 및 건조 공정(S2)은 상기 반죽된 재료를 이용하여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한 소지를 만들어, 일정시간 건조하는 공정으로, 도자기류에 적절한 쌀독, 주방그릇, 장식용 도자기, 타일과 같은 건축자재, 욕조 등의 형태로 성형하고, 어느 정도 마르도록 건조한다.
그리고 1차 소성 공정(S3)은, 상기 건조된 소지를 850℃ 내외의 가마에서 일정시간 구워내는 것이며, 시유 공정(S4)은 1차로 구워낸 소지에 유약을 바르는 것으로, 사용되는 유약은 칠보석을 300메쉬 이상으로 분쇄한 미세한 칠보석 석분과 물을 같은 분량으로 혼합·교반하고, 이를 침전시켜, 그 윗물을 버린 현탁액의 침전물을 사용한다.
다음으로 2차 소성 공정(S5)은 상기 유약을 바른 소지를 다시 1280℃ 내외의 가마에서 일정시간 구워내는 것이고, 전사지 부착 공정(S6)은 2차 소성 공정(S5)을 거친 소지에 도자기용 전사지를 부착하여, 제품의 장식을 하는 공정이며, 3차 소성 공정(S7)은 800℃ 내외의 가마에서 일정시간 구워내는 것으로, 이와 같은 공정을 거쳐 칠보석 석분이 함유된 도자기류의 제작을 완성한다.
한편, 상기 사용되는 칠보석을 간단히 설명하면, 이는 경상북도 영양 일원산에서 채석된 것을 사용하는데, 이 칠보석은 중생대 경상계 누군층으로 구성된 역암(conglomerate)으로, 퇴적암류, 화산암류, 변성암류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광물은 주로 석영, 장석, 방해석, 녹니석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색상은 흑색, 적색, 홍색, 갈색, 담회색, 녹색 등의 다양한 색상을 띄고, 이 칠보석은 기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옥의 약 250배, 게르마늄의 약 150배에 달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한국건자재시험 연구원의 원적외선응용평가센터에서 평가한 시험성적을, 하기의 표1과 표2 및 표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이는 원적외선 방사율이 0.92, 음이온의 발산이 20에 달하고, 암모니아를 이용한 탈취 시험에서 보인 바와 같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시료 농도가 시료를 넣지 않은 것에 비해 급격히 떨어져, 탈취율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방사율( 5∼20 ㎛ ) 방사에너지(W/㎡·㎛, 40℃)
0.92 3.70×10²
비고) 본 시험은 의뢰자의 요구에 의하여 40℃에서 시험하였으며,
FT-IR Spectrometer를 이용한 BLACK BODY 대비 추정결과 임. 끝.
시료명/항목 음이온(ION/cc)
천연 광석(영양 칠보석) 20
비고) 1) 시험방법 : KICM-FIR-1012
2) 시험편 : 40×40×10 (㎜)
3) 전하 입자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실내온도 22℃, 습도 41%, 대기 중 음이온수 15cc 조건에서 시험하였으며, 측정대상돌에서 방출되는 음이온을 측정하여 단위체적당 ION 수로 표시한 결과 임. 끝.
시험항목 경과시간(분) Blank 농도(ppm) 시료농도(ppm) 탈취율(%)
탈취시험 초기 500 500 -
30 480 420 12
60 470 390 17
90 450 340 24
120 440 290 34
(주) (1) Blank : 시료를 넣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것임.
(2) 시험편 : 40×40×10(㎜). 끝.
1) 시험 방법 : KICM-FIR-1004
2) 시험가스명 : 암모니아
3) 가스농도 측정 : 가스검지관
또한, 상기 도자기용 전사지를 사용하는 것은 장식을 위한 목적으로, 이에 대해 참고적으로 설명하면, 이는 수용성의 풀이 도포된 흡수성이 매우 양호한 대지 위에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적합한 안료로 인쇄가 된 종이로써, 수용성 풀이 물과 반응하면 녹아서 종이와 안료층이 분리 될 수 있도록 미끄러운 얇은 막이 형성되며, 인쇄된 안료의 분산을 막기 위해 안료층 위에 비닐코팅을 한 것이 도자기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사지이며, 이는 소성 방법에 따라서 하회(ungerglaze), 중회(inglaze), 중회(overglaze)의 세 가지로 대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전사지를 이용한 장식 기법 이외에도, 일반 도자기류의 제작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장식 방법, 즉, 조각기법, 상감기법, 이장기법, 압문기법, 부조기법, 회화기법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그 제작 기법에 따라 적절한 공정 과정에서 시행한다.
이와 같이 제작된 도자기류는 만들어 낼 수 있는 제품의 종류가 다양하며, 이는 그 표면에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다량 방사하므로, 이에 음식을 담으면, 그 음식물을 알칼리화하고 살균작용을 하며, 항곰팡이, 탈취기능, 항균효과로 제품의 기능을 더욱 높여주고, 인위적인 화학 성분의 안료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인체에 무해하며, 칠보석 석분 유약의 사용으로 고유의 색상을 가지므로 외관이 미려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철분을 제거한 칠보석 석분과 점토 및 백토, 그리고 물을 일정비율로 혼합·반죽하고, 이를 이용하여 성형·건조한 소지를 가마에서 구워내는 1차 소성 공정을 하며, 상기 소지에 유약을 시유하여 다시 구워내는 2차 소성 공정을 거친 뒤, 도자기용 전사지를 부착하고, 다시 3차 소성 공정으로 도자기류를 제작하여, 소성된 칠보석 석분이 띄는 고유의 색상으로 외관이 미려하며, 칠보석의 특징으로 인체에 유익한 도자기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미세한 칠보석 석분과 물을 같은 부피비로 혼합·교반하고, 이를 침전시켜, 그 윗물을 버리고 남은 현탁액의 침전물을 유약으로 사용한 도자기류를 제공하여, 그 표면에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다량 방사하고, 항곰팡이, 탈취기능, 항균효과를 가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도자기류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철분이 제거된 칠보석 석분, 점토와 백토 및 물을 혼합·반죽하는 재료 혼합 및 반죽 공정(S1), 상기 반죽을 성형한 소지를 만들고, 이를 건조하는 성형 및 건조 공정(S2), 상기 건조된 소지를 적정 온도에서 구워내는 1차 소성 공정(S3), 1차로 구워낸 소지에 유약을 바르는 시유 공정(S4), 유약을 바른 소지를 다시 구워내는 2차 소성 공정(S5), 2차로 구워 낸 소지에 도자기용 전사지를 부착하는 전사지 부착 공정(S6), 이를 적정 온도에서 구워내는 3차 소성 공정(S7)으로 칠보석 석분이 함유된 도자기류를 제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칠보석 석분이 함유된 도자기류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혼합 및 반죽 공정(S1)에서, 100 내지 200 메쉬의 칠보석 석분 50%, 점토 20%, 백토 20%와 물 10%의 부피비로 재료를 혼합·반죽하여, 식기류 및 장식류의 도자기류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칠보석 석분이 함유된 도자기류의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혼합 및 반죽 공정(S1)에서, 80 내지 150 메쉬의 칠보석 석분 50%, 점토 20%, 백토 25%와 물 5%의 부피비로 재료를 혼합·반죽하여, 타일류의 도자기류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칠보석 석분이 함유된 도자기류의 제조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유 공정(S4)에서 시유하는 유약은 300메쉬 이상의 미세한 칠보석 석분 50%, 물 50%의 부피비로 혼합·교반하고, 이를 침전시켜 그 윗물을 버린 현탁액의 침전물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칠보석 석분이 함유된 도자기류의 제조 방법.
KR1020040095501A 2004-11-20 2004-11-20 칠보석 석분이 함유된 도자기류의 제조방법 KR100676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501A KR100676911B1 (ko) 2004-11-20 2004-11-20 칠보석 석분이 함유된 도자기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501A KR100676911B1 (ko) 2004-11-20 2004-11-20 칠보석 석분이 함유된 도자기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886A true KR20040103886A (ko) 2004-12-09
KR100676911B1 KR100676911B1 (ko) 2007-01-31

Family

ID=37379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501A KR100676911B1 (ko) 2004-11-20 2004-11-20 칠보석 석분이 함유된 도자기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69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4166A1 (en) * 2005-12-02 2007-06-07 Yeon Hyu Lee Method for manufacturing human bone pottery
KR100777831B1 (ko) * 2007-03-16 2007-11-28 (주)경산세라믹 도자기 용기의 코팅 처리방법과 그 코팅 처리 방법으로처리된 도자기 용기
KR100879812B1 (ko) * 2007-07-20 2009-01-22 강인구 보석 또는 귀금속이 부착된 요업제품 제조방법
KR101110310B1 (ko) * 2009-06-24 2012-02-15 한국도자기주식회사 자개 문양이 형성된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도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220B1 (ko) * 2008-01-03 2009-10-20 권영길 옻칠을 이용한 도자기로 된 차도구의 제조방법
KR101204686B1 (ko) 2009-06-24 2012-11-26 한국도자기주식회사 칠보장식을 갖는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칠보장식 도자기
KR101900473B1 (ko) * 2016-10-07 2018-09-19 한세은 도자기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123B1 (ko) * 1998-10-16 2001-06-15 김인규 도자기류제조방법
KR20040058821A (ko) * 2002-12-27 2004-07-05 박종훈 균열을 갖는 도자기의 제조방법
KR20040083323A (ko) * 2003-03-21 2004-10-01 최명부 천연방사성 원소화합물을 가진 칠보석분말과 금속분말을이용한 수맥차단 도료 제조
KR20040088325A (ko) * 2003-04-07 2004-10-16 바이오닉스 주식회사 천연무공해 기능성 기(氣) 도료 제조
KR20040088324A (ko) * 2003-04-07 2004-10-16 바이오닉스 주식회사 복합 무공해 기능성 기(氣) 도료 제조
KR20050041278A (ko) * 2003-10-30 2005-05-04 남태희 욕실부재의 기능성 피막층 도장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4166A1 (en) * 2005-12-02 2007-06-07 Yeon Hyu Lee Method for manufacturing human bone pottery
KR100777831B1 (ko) * 2007-03-16 2007-11-28 (주)경산세라믹 도자기 용기의 코팅 처리방법과 그 코팅 처리 방법으로처리된 도자기 용기
KR100879812B1 (ko) * 2007-07-20 2009-01-22 강인구 보석 또는 귀금속이 부착된 요업제품 제조방법
KR101110310B1 (ko) * 2009-06-24 2012-02-15 한국도자기주식회사 자개 문양이 형성된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도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6911B1 (ko) 200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911B1 (ko) 칠보석 석분이 함유된 도자기류의 제조방법
KR100553723B1 (ko) 음이온과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 제품과 그 제조방법
CN106699146A (zh) 一种具有莹光效果的半抛陶瓷釉面砖及其制造方法
CN104876586A (zh) 一种新型瓷砖的生产方法
CN104557150B (zh) 一种二次烧多彩微晶玻璃的制备方法
KR20030084414A (ko) 원적외선 방사체 및 그 제조방법
CN103159497A (zh) 金涌洞石抛光砖及其制作方法
CN103992142B (zh) 具有色彩变幻釉层瓷砖、生坯结构及其生产方法
KR100879812B1 (ko) 보석 또는 귀금속이 부착된 요업제품 제조방법
KR100545046B1 (ko)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기능성 세라믹제품 및 그제조방법
CN107932686A (zh) 面条状干粒釉、面条状干粒釉布料仿石砖及其制备方法
KR101265897B1 (ko) 장신구용 도자비즈의 제조방법
KR100777031B1 (ko) 칠보석 석분이 함유된 유약 및 그 제조방법
KR100520434B1 (ko) 다기능성 위생도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91361B1 (ko) 벽돌 표면에 디자인 및 색상을 형성시키는 방법
CN104609898A (zh) 玻璃的缩聚反应釉及其制作方法
KR20150073496A (ko) 도자기의 표면 장식방법 및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도자기
KR20090089016A (ko) 고화도 소성 가능한 황토 도자기 소지
JPH02178099A (ja) 骨灰磁器デザイン透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29992B1 (ko)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 특성을 구비한 분청 성형물 및이의 제조방법
KR200358013Y1 (ko)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 특성을 구비한 분청 성형물
KR20030088317A (ko) 도자기를 제조하기 위한 소지토와 도자기 및 이들의제조방법
KR100886313B1 (ko) 다용도 황토 조리기
KR200306802Y1 (ko) 타일구조
CN100363306C (zh) 陶瓷制品用结晶扩散干粒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