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3323A - 천연방사성 원소화합물을 가진 칠보석분말과 금속분말을이용한 수맥차단 도료 제조 - Google Patents

천연방사성 원소화합물을 가진 칠보석분말과 금속분말을이용한 수맥차단 도료 제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3323A
KR20040083323A KR1020030019318A KR20030019318A KR20040083323A KR 20040083323 A KR20040083323 A KR 20040083323A KR 1020030019318 A KR1020030019318 A KR 1020030019318A KR 20030019318 A KR20030019318 A KR 20030019318A KR 20040083323 A KR20040083323 A KR 20040083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water
paint
synthesizing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9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부
최명철
Original Assignee
최명부
최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부, 최명철 filed Critical 최명부
Priority to KR1020030019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3323A/ko
Publication of KR20040083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32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방사성 원소 화합물을 가진 기섬돌 분말과 금속분말을 이용한 수맥차단 도료제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경북 영양군 일원산에서 체굴된 일명 기섬돌에는 일반금속, 식물 광물의 소재 중에서 가장 많은 36개수의 좌선성 흡입파(-)와 우선성 발산파(+)의 고유한 특성 에너지파를 방사하는 물리적 특성을 가진 기섬돌을 325매쉬로 분쇄한 분말 800g에 텅크스텐분말 200g을 합성한 분말 1000g에 수용성 아크릴바인다(고형분 40%) 600g에 폴리졸 300g 지당 100g을 합성하여 상기 광물질화합물 1000g을 합성믹스하여 수맥파를 차단할 수 있는 도료를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천연방사성 원소화합물을 가진 칠보석분말과 금속분말을 이용한 수맥차단 도료 제조{Paint intercepting the effects of water veins, which is made by using the powder of the seven treasurcs and mctals with the compunds og natural radioactivc clements}
본 발명은 천연 방사성 원소화합물을 가진 기섬돌분말과 금속분말을 이용한 수맥차단 도료제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현재 건축을 할 때 수맥을 차단하기 위하여 동판을 방바닥에 깔아 몰탈로 덮어 수맥을 차단하는 기술이 공지화되고 있다.
근대에 와서 수맥파에 대하여 과학적이냐 비과학적이냐에 대하여 많이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수맥파에 대하여 유해성을 논문으로 발표된 바 있고 오랜 옛날부터 수맥파가 인체에 유해성을 인정하여 집을 건축할 때 수맥이 지나가는지를 가려서 집을 건축하고 지금도 수맥을 차단하기 위하여 경북 영양군 일월산에서 체굴된 일명 칠보석 기섬돌을 325매쉬로 분쇄한 분말 80%비율에 텅크스텐 분말 500매쉬 20%를 합성한 분말 100%를 수용성 아크릴바인다(아크릴고형분 40%) 60%비율에 포리졸 30%, 지당10%를 합성 믹스하여 상기 기섬돌 화합물 100%를 합성믹스하여 방바닥 등에 도포하여 수맥파 차단도료를 제조하는 기술이다.
상기 본 발명의 수맥차단 도료의 기술적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주안점으로 사용된 기섬돌(칠보석)의 특성 및 공학물성은 다음과같다.
참고사항으로 칠보석(기섬돌)과 여러 가지 재료의 진동주파수 및 기(氣)방사거리(cm)를 비교 측정한 도표는 다음과 같다.
*진동주파수의 영향은 방사거리 내에서만 효과가 있다.
*에너지 방사거리는 물체의 크기에는 차이가 없다.
상기 도표의 기 방사거리 주파수 등을 살펴보면 기방사거리가 옥(玉)의 약 250배, 맥반석 게르마늄의 150배 이상이고 36개의 주파수를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된 칠보석(기섬돌)광물의 특성에 대한 신소재 연구결과에 의하면 상기 칠보석은 금속, 식물, 광물 등의 여러 가지 소재중에서 가장 많은 수(36개)의 좌선성흡입파(-)와 우선성발산파(+)의 고유한 특성에너지파를 방사하는 물리적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연구 조사되었다. 그외 세라믹 광물의 고유한 특성인 원적외선 방사량이 92%이상이고 흡수탈취기능, 항균성 음이온 방사량도 우수한 편이고 원소 및 산화물 분석과 구성광물분석의 화학적 분석 특성에서는 설석(titanite)과 인회석(capatite)에 관심이 집중되고 천연 방사성 원소가 가장 특이하다. 이와 같은 칠보석 기섬돌의 물성은 인체 및 동식물에 유해한 수맥파, 단충파, 광역기 반목파, 커리맥파와 같은 지하병인용 음력파(geopathic stresswave)와 전자파(electron wave)를 좌우수평이동(shtting) 및 상하이동(floating)으로 공간이동(space transition)시킨다는 연구 결과 토대로 상기와 같이 특성을 가지고 있는 칠보석 분말을 80% 사용하였다. 또한 전도성이 우수한 텅크스텐 분말을 20% 사용한 것은 수맥파는 현재 수직선으로 방사된다고 보고 되어 있고 전도성이 우수한 동판, 알미늄, 닉켈 등의 금속으로 차단 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대부분 동판이 전도성이 우수하고 수맥파를 100%차단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동은 부식이 잘 되고 안전성이 적어 동판 못지않게 전도성이 우수한 텅크스텐을 20%사용한 것이다.
수맥파도 일종의 유해전자파라 볼 때 전자파에는 전기장과 자기장이 있다.
현재 전기장은 동판이나 알미늄코일 한 장으로도 전기장을 차단한다고 보고 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맥파는 수직선으로 방사되는 일종의 전기장이라 볼 때 금속은 +이온이므로 수맥파의 +이온이 금속에 흡수하면서 차단된다고 본다.
본 발명은 이러한 수맥파의 +이온은 텅크스텐에 흡수 차단하고 -이온은 칠보석이 가지고 있는 흡착기능과 고유 강력한 파동에너지로 인하여 100% 수맥을 차단 시킨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칠보석분말과 텅크스텐 분말을 수맥차단 매체로 사용하기 위하여 수용성 아크릴 바인더와 포리졸과 지당을 사용하여 점도와 접착력을 이용하여 도료를 만들어 방바닥 몰탈 표면에 도포하여 수맥파를 차단할 수 있는 도표를 제조한 것인데 상기 수맥차단 도료를 수맥이 지나가는 방바닥에 도포하여 수맥파를 측정하는 L자형 구리봉으로 측정한 결과 100% 수맥이 차단되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수맥파는 극저주파로서 7Hz∼8Hz인데 사람이 잠을 잘 때 뇌의 뇌파수는 4Hz∼5Hz인데 사람이 잠을 잘 때 뇌세포의 85%가 새로 만들어지는데 뇌가 수맥파에 장시간 노출되면 면역기능이 떨어져 각종 질병이나 성인병 나아가서 백혈병 등 불치병을 유발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수맥을 차단할 수 있는 도료를 만들어 간단하게 주거공간 바닥에 도포하여 수맥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인체에 유해한 수맥파를 간단하게 차단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서 영양 일월산에서 칠보석 기섬돌은 해와 달의 영기를 머금고 지구의 정기가 응축된 결정체라고 오랜 옛날부터 구전으로 전해 오면서 많은 사람들이 기(氣)를 방사하는 신비의 돌이라 하여 방바닥에 묻거나 음택앞에 묻어두고 수맥을 차단하는 신비의 돌이라 하며 사용하여 왔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구전으로 전해져 내려오는 칠보석을 대한광업진흥공사에 의뢰하여 특성 공학 물성을 시험 분석하고 또한 여러 가지 재료와 비교하여 진동주파수 및 기(氣)방사거리를 측정하였고 또한 칠보석이 수맥파를 차단 할 수 있는 매키니즘은 대학 신소재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상기 칠보석을 분쇄하여 분말로 하여 80%이상 사용하면서 근대에 와서 수맥파를 차단하는데 동판과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판이 수맥을 차단시킨다는 입증에 의하여 본 발명에서는 텅크스텐을 분말로 하여 20%를 칠보석분말과 합성하여 간단하게 거실바닥 등에 도포하기 위하여 수용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도료를 만들어 간단하게 수맥차단 도료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 기술의 특징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수맥차단 도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칠보석을 325매쉬로 분쇄한 분말 80%비율에 약500매쉬 텅크스텐분말 20%를 합성한 분말 100%를 아크릴 수용성 바인다(아크일코형분 40%) 60% 비율에 포리졸 30% 지당 10%를 합성한 100% 용량에 상기 칠보석분말과 텅크스텐 분말을 형성한 100%분말을 합성믹스하여 수맥차단 도료를 제조하는 것인데 보다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실험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수맥차단도료 제조 실험예시
● 제1공정
칠보석(기섬돌)을 325매쉬 분쇄한 분말 800g을 정량한다.
● 제2공정
약500매쉬 텅크스텐분말 200g을 정량한다.
● 제3공정
제1공정 칠보석분말 800g과 제2공정 텅크스텐분말 200g을 합성하여 1000g을 정량한다.
● 제4공정
수용성아크릴바인다(아크릴고형분 40%)650g을 정량한다.
●제5공정
포리졸 300g을 정량한다.
●제6공정
지당 100g을 정량한다.
지당 100g을 정량한다.
●제7공정
제4공정 아크릴바인다 600g과 제5공정의 폴리졸 300g 제6공정의 지당100g을 합성하여 믹스하여 1000g을 정량한다.
●제8공정
제3공정의 칠보석 화합물 1000g과 제7공정 아크릴 바인다 합성을 1000g을 합성믹스하여 고르게 믹스하면 크림장과 같은 점도가 높은 수맥차단도료가 만들어진다.
본 발명은 현재 수맥을 차단하기 위하여 동판을 방바닥에 붇어 사용하는데 가격이 고가이고 경제적인 부담이 크다.
본 발명은 수맥을 차단할 수 있는 광물질을 분말로 만들어 접착제와 합성하여 수맥차단 도료를 제조하여 간단하게 방바닥에 도포하여 수맥을 차단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Claims (1)

  1. 칠보석(기섬돌)을 325매쉬 분쇄한 분말 80% 비율에 텅크스텐 500매쉬 분말 20%를 합성하는 것을 1단계로 하고 제2단계로 수용성 아크릴바인더(아크릴고형분 40%)600g과 폴리졸 300g 지당 100g을 합성믹스하여 상기 1단계 칠보석 화합물 100% 비율에 제2단계 아크릴바인더화합물 100%를 합성믹스하여 제조된 수맥차단도료.
KR1020030019318A 2003-03-21 2003-03-21 천연방사성 원소화합물을 가진 칠보석분말과 금속분말을이용한 수맥차단 도료 제조 KR200400833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318A KR20040083323A (ko) 2003-03-21 2003-03-21 천연방사성 원소화합물을 가진 칠보석분말과 금속분말을이용한 수맥차단 도료 제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318A KR20040083323A (ko) 2003-03-21 2003-03-21 천연방사성 원소화합물을 가진 칠보석분말과 금속분말을이용한 수맥차단 도료 제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323A true KR20040083323A (ko) 2004-10-01

Family

ID=37367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318A KR20040083323A (ko) 2003-03-21 2003-03-21 천연방사성 원소화합물을 가진 칠보석분말과 금속분말을이용한 수맥차단 도료 제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332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911B1 (ko) * 2004-11-20 2007-01-31 이한영 칠보석 석분이 함유된 도자기류의 제조방법
KR100976540B1 (ko) * 2009-08-24 2010-08-17 정우진 유독성 수맥파 차단이 가능한 페인트 조성물
KR100976541B1 (ko) * 2009-08-24 2010-08-17 정우진 유독성 수맥파 차단이 가능한 페인트 공정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911B1 (ko) * 2004-11-20 2007-01-31 이한영 칠보석 석분이 함유된 도자기류의 제조방법
KR100976540B1 (ko) * 2009-08-24 2010-08-17 정우진 유독성 수맥파 차단이 가능한 페인트 조성물
KR100976541B1 (ko) * 2009-08-24 2010-08-17 정우진 유독성 수맥파 차단이 가능한 페인트 공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savegowda et al. Synthesis of silver nanoparticles using Satsuma mandarin (Citrus unshiu) peel extract: a novel approach towards waste utilization
Qiang et al. New eolian red clay sequence on the western Chinese Loess Plateau linked to onset of Asian desertification about 25 Ma ago
dos Santos et al. Impact of weathering on REE distribution in soil-saprolite profiles developed on orthogneisses in Borborema Province, NE Brazil
Scarciglia et al. Soil genesis, morphodynamic processes and chronological implications in two soil transects of SE Sardinia, Italy: Traditional pedological study coupled with laser ablation ICP-MS and radionuclide analyses
Nikorych et al. Genesis and evolution of the fragipan in Albeluvisols in the Precarpathians in Ukraine
Inthong et al. Physical properties and bioactivity of nanocrystalline hydroxyapatite synthesized by a co-precipitation route
Brandl et al. Repolust Cave (Austria) revisited: Provenance studies of the chert finds: Fundrevision der Repolusthöhle (Österreich): Herkunftsbestimmungen der Hornsteinfunde
KR20040083323A (ko) 천연방사성 원소화합물을 가진 칠보석분말과 금속분말을이용한 수맥차단 도료 제조
D'Amico et al. Podzolization over ophiolitic materials in the western Alps (Natural Park of Mont Avic, Aosta Valley, Italy)
Graham et al. Weathering of iron-bearing minerals in soils and saprolite on the North Carolina Blue Ridge Front: I. Sand-size primary minerals
Salemink Skarn and ore formation at Seriphos, Greece as a consequence of granodiorite intrusion
Qiu et al. Age significance interpreted from 40Ar-39Ar dating of quartz samples from the Dongchuan Copper Deposits, Yunnan, SW China, by crushing and heating
Yakovenchuk et al. Chlorbartonite, K6Fe24S26 (Cl, S), a new mineral species from a hydrothermal vein in the Khibina massif, Kola Peninsula, Russia: description and crystal structure
Yossifova et al. Mineral and chemical composition of some claystones from the Troyanovo-3 mine, Maritsa East lignite basin, Bulgaria
Félix-Domínguez et al. Sunlight-driven phytochemical synthesis of silver nanoparticles using aqueous extract of Albizia lebbeck (L) Benth
Qin et al. Turquoise Mine and Artefact Correlation for Some Bronze Age Archaeological Sites in H ubei P rovince, C hina
Saminpanya et al. Micromorphology, mineralogy, and geochemistry of sediments at the tham lod rock shelter archaeological site in Mae Hong Son, Thailand: Suggestions of a late pleistocene climate
Maniyunda et al. Forms of Iron in soils on basement complex rocks of Kaduna state in Northern Guinea Savanna of Nigeria
Nguyen et al. Controlled synthesis of gold nanorods and integrated with titanium dioxide for enhancing visible light‐driven antioxidant activity
Novikov et al. Cobalt-Rich Ferromanganese Crusts of the Govorov Guyot of the Magellan Seamounts of the Pacific Ocean: Conditions of Occurrence, Mineralogy, and Geochemistry
DE1646883A1 (de) Kuenstliche Zuschlagstoffe fuer Beton bzw. Bauelemente auch fuer den Schutz gegen ionisierende Strahlen
Athanassoulis et al. Therapeutic mud occurrences in Greece: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omposition of the Sagiada mud (Thesprotia prefecture)
Acton Heavy Metals—Advances in Research and Application: 2012 Edition
Sengupta et al. ESR investigation of deferration treatment of iron-rich kaolinite clay from Deopani, Assam, India
Cristian et al. Crystal-chemistry of sulfates from the Apuan Alps (Tuscany, Italy). IV. Giacovazzoite, K 5 Fe 3+ 3 O (SO 4) 6 (H 2 O) 9· H 2 O, the natural analogue of the β-Maus’s Salt and its dehydration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