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1894A - 무선통신 시스템, 무선통신단말 및 무선통신 시스템으로의참가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 무선통신단말 및 무선통신 시스템으로의참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1894A
KR20040101894A KR10-2003-7016512A KR20037016512A KR20040101894A KR 20040101894 A KR20040101894 A KR 20040101894A KR 20037016512 A KR20037016512 A KR 20037016512A KR 20040101894 A KR20040101894 A KR 20040101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cluster
participating
particip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6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8913B1 (ko
Inventor
구니히로다쿠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1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1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9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5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with management of multicast group membersh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애드혹 통신방식을 채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간의 브로드캐스트(동보)통신에 있어서 정보 도달성을 보증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이다. 예를 들면, 최초에 클러스터에 참가해온 무선통신단말(101)이 클러스터 마스터로 되며, 자기 단말을 포함하는 클러스터의 기존 참가 무선통신단말의 단말식별자로구성되는 클러스터 정보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 통신에 의해 배신한다. 예를 들면, 무선통신단말(102)이 신규로 클러스터에 참가하는 경우에는, 무선통신단말(102)은, 클러스터를 수신하고, 그 클러스터 정보에 포함된 모든 기존 참가 무선통신단말의 각각과 유니캐스트 통신을 행하며, 그 모든 단말과의 사이에서 통신의 도달성이 보증되는 경우에 클러스터에 참가하고, 기존 참가 무선통신단말과의 유니캐스트 통신,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 무선통신단말 및 무선통신 시스템으로의 참가방법{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articipating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컴퓨터의 고기능화에 따라, 복수의 컴퓨터를 접속하여 LAN을 구성하고, 파일과 데이터등의 정보의 공유화를 행하기도 하고, 혹은 프린터등의 주변기기의 공유화를 도모하기도 하며, 전자메일과 데이터의 전송등, 다양한 정보의 교환을 행하는 것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LAN에서는, 광섬유와 동축케이블, 혹은 트위스트쌍 케이블을 이용하여, 유선으로 각 컴퓨터가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유선에 의한 LAN에서는, 접속을 위한 공사가 필요하며, 간단하게 LAN을 구축하는 것이 어려우며, 케이블의 공사가 번잡하게 된다. 또한, LAN 구축후에도, 기기의 이동범위가 케이블 길이에 의해 제한되므로, 불편한 경우가 있었다.
그러므로, 종래의 유선방식에 의한 LAN의 배선으로부터 사용자를 해방하는시스템으로서, 무선 LAN이 주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무선 LAN에 의하면, 사무실등의 작업공간에 있어서, 유선 케이블의 거의 반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PC등의 단말을 비교적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같은 소규모 무선망에 있어서, 단말들의 통신을 행하는 경우, 동일한 망에 억세스 포인트를 설치하고, 예를 들면 단말등이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반드시 억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통신을 행하는 수법이 고려되어진다. 동일한 수법에서는, 단말은 억세스 포인트와의 통신만을 보증한다면, 그 결과로서 다른 모든 단말과의 통신이 보증되어진다.
도 9는, 억세스 포인트를 채용한 무선 LAN시스템(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있어서, 부호 201이 무선통신용의 억세스 포인트를 나타내며, 부호 202는 무선통신단말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 9에 도시한 무선 LAN시스템의 경우에는, 도 9에 있어서 실선 화살표가 나타내는 바와같이, 단말간의 통신은 모두 억세스 포인트(201)를 통해 행해진다.
예를 들면, 단말(202)과 단말(205)과의 사이의 통신은, 단말(202)과 억세스 포인트(201) 사이의 통신(206), 및 단말(205)과 억세스 포인트(201) 사이의 통신(207)을 경유하여 행해지게 된다.
즉, 도 9에 있어서 점선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같이, 단말(202)과 단말(205)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기도 하며, 단말(204)과 단말(205)과의 사이에서 직접통신을 행하기도 하는 것은 없으며, 반드시 억세스 포인트를 통해 각 단말간의 통신이 행해지게 된다.
따라서, 각 단말(202 - 205)의 각각과, 억세스 포인트(201)와의 사이의 통신이 확립되어 있다면, 다른 모든 단말과의 사이의 통신도 보증되어지게 된다. 반대로 말하자면, 파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은 단말 사이의 통신의 도달성을 고려하지 않으며, 확실하게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신뢰성이 높은 무선 LAN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도 9를 이용하여 상술한 무선 LAN시스템에 있어서는, 단말들의 통신에 있어서도 억세스 포인트를 필요로 하므로 비용적으로 불리하다. 다시 말하자면, 억세스 포인트의 배치장소(지리적 배치)에 대해서도 심사숙고할 필요가 있으며, 간단한 구성이라고 말할 수 없다.
이에 대해, 억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지 않고 단말들에 의해 직접 비동기의 무선통신을 행하는 [애드혹 통신](ad hoc communication)이라고 불리는 수법이 고려된다. 이 방식에서는, 억세스 포인트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비용적으로 유리한 반면, 억세스 포인트를 설치한 통신과 같이, 억세스 포인트와의 사이의 통신만을 보증하므로, 동일한 망에 속하는 다른 모든 단말과의 통신이 보증된다는 이점은 잃어버리게 된다.
또한, 무선 LAN시스템을 종래의 유선 LAN에 적용하는 경우, 기존의 유선통신 시스템의 물리전송매체를 무선으로 치환하는 수법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유선 LAN의 층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는 것이, 프로토콜의 호환성을 보존하며, 프로토콜 변경에 관한 작업을 줄이지 않기 위해서 중요하다.
도 10a 내지 도 10c에 무선통신 시스템, 및 유선통신 시스템의 층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a는,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참조모델을 도시하고 있고, 도 10b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계층을 나타내며, 도 10c는, 도 10a, 도 10b에 도시한 각 계층의 프로토콜을 도시하고 있다.
일반적인 유선 LAN에서는, 도 10c에 도시한 바와같이, 인터넷층에서는, IP내지 IPv6 프로토콜이, 또한, 망 인터페이스층에서는 Ethernet(등록상표) 프로토콜이 이용되고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한 바와같이, 유선 LAN을 무선 LAN(무선통신 시스템)으로 치환하는 경우에는, Ethernet(등록상표) 프로토콜의 기능을 이에 대응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으로 치환하게 된다.
이 경우, Ethernet(등록상표)에서 중요한 브로드캐스트(동보)통신의 기능을 무선 LAN시스템에 있어서도 실현할 필요가 있으며, 이 이유에 의해, [애드혹 통신]모드에 있어서, 각 단말간의 통신성이 보증되지 않는 경우, 브로드캐스트통신이 기대되로 행해지지 않게 된다. 이것은 [애드혹 통신]을 사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유선 LAN과 동등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문제가 된다.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 이 발명은, 억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지 않고 무선통신 단말간의 통신을 행하는 [애드혹 통신]을 채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통신 단말간의 브로드캐스트(동보)통신에 있어서 정보 도달성을 보증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통신 시스템, 이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통신시스템으로의 참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은, 예를 들면, 유선 LAN의 기능을 그대로 답습한 무선통신 시스템, 이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무선통신단말, 무선통신단말의 무선통신 시스템으로의 참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이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실시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이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단말의 일실시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클러스터에 새롭게 참가하고자 하는 무선통신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신규로 클러스터로 되는 무선통신단말 및 클러스터 마스터가 되었던 무선통신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이미 클러스터에 참가하고 있는 무선통신단말에 있어서, 클러스터 마스터를 포함하는 클러스터 기존 구성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기존 클러스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2개의 무선통신단말로서 무선통신단말(A)과 무선통신단말(B)과의 사이에서 클러스터를 생성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이미 클러스터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신규로 다른 무선통신단말이 동일한 클러스터에 참가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이미 클러스터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신규로 다른 무선통신단말이 동일한 클러스터에 참가하는 경우에 있어서, 통신도달확인 순서가 어떠한 원인에 의해 완료되지 않은 경우의 동작을 설명허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억세스 포인트를 설치한 종래의 무선통신 시스템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무선통신 시스템 및 유선통신 시스템의 층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1)의 무선통신 시스템은, 고유의 단말식별자를 가지는 복수의 무선통신단말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단말중 한 개가 마스터 무선통신단말로 되어 망을 형성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무선통신단말은,
다른 무선통신단말로부터 송신되어온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망으로의 참가요구를 수신하는 참가요구 수신수단과,
상기 참가요구 수신수단을 통해 수신된 상기 참가요구에 포함된 요구자의 상기 다른 무선통신단말의 상기 단말식별자를 포함하며, 참가하는 무선통신단말의 상기 단말식별자의 그룹이 되는 단말식별정보를 형성하는 참가단말정보 형성수단과,
참가단말정보 형성수단에 의해 형성된 상기 참가단말정보를 브로드캐스트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참가단말정보 송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망으로의 참가하기 위한 무선통신단말은,
상기 마스터 무선통신단말의 참가단말정보 송신수단을 통해 송신된 상기 참가단말정보를 수신하는 참가단말정보 수신수단과,
상기 참가단말정보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참가단말정보에 포함된 상기 단말식별자에 의해 특정된 참가 무선단말장치의 각각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수단과,
상기 확인수단에 의해, 참가 무선단말장치의 각각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된 경우, 자기의 단말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참가요구를 형성하는참가요구 형성수단과,
상기 참가요구 형성수단에 의해 형성된 상기 참가요구를 상기 마스터 무선통신단말장치로 송신하는 참가요구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1)기재의 발명의 무선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예를 들면, 최초에 전원을 투입하도록 되어 있는 무선통신단말이 마스터 무선통신단말로 되어지며, 이 마스터 무선통신단말에 있어서는, 다른 무선통신단말로부터의 참가요구가 참가요구 수신수단을 통해 수신된다.
수신된 참가요구에 포함된 단말식별자와 마스터 무선통신단말자신의 단말식별자를 포함하며, 참가하는 무선통신단말의 단말식별자의 그룹이 되는 참가단말정보가 참가단말정보 형성수단에 있어서 형성되어, 이것이 참가단말정보 형성수단을 통해 브로드캐스트통신에 의해 송신된다.
이에 의해, 이미 참가한 무선통신단말과 이와같은 참가하고자 하는 무선통신단말은, 마스터 무선통신단말로부터의 참가단말정보 에 의해, 어느 무선통신단말이, 이미 상기 무선통신단말 시스템의 망에 참가하여, 통신을 행하고자 하는 지를 알 수 있도록 된다.
한편,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에 참가하고자 하는 무선통신단말에 있어서는, 마스터 무선통신단말로부터의 참가단말정보가 참가단말정보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되며, 이 수신된 상기 참가단말정보에 포함된 이미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에 참가하고 있는 무선통신단말의 단말식별자에 기초하여, 이러한 단말식별자를 가지는 무선통신단말의 각각의 사이에서 통신하는 것이 가능한지의 여부가 확인수단에 의해 확인된다.
상기 확인수단에 의한 확인의 결과, 전체의 참가 무선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 참가요구 형성수단에 의해, 자기의 단말식별자를 포함하는 참가요구가 형성되며, 이것이 참가요구 송신수단을 통해 마스터 무선통신단말에 송신되어,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의 망에 참가한 것이 인식된다.
이와같이, 새로운 무선통신 시스템의 망에 참가하여 참가 무선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무선통신을 행하고자 하는 무선통신단말은, 이미 참가한 무선통신단말의 각각과 통신을 행하여, 그 각각과의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의 망에 참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참가 무선통신단말의 각각과의 사이에서 유니캐스트(1대1)통신, 브로드캐스트(동보)통신의 양방에 대해서 가능하다는 것이 보증된 후에,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에 참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며, 종래의 유선 LAN이 가지는 브로드캐스트 통신기능을 답습한 무선통신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다.
또한, 본 발명 (2)에 기재의 발명의 무선통신 시스템은, 상기 (1) 기재의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의 망에 참가하고자 하는 상기 무선통신단말은,
상기 확인수단에 있어서, 참가 무선단말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 통신의 도달성을 보증할 수 없다는 것을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2)에 기재의 무선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무선통신 시스템의 망에 참가하고자 하는 무선통신단말에 있어서는, 확인수단을 통해, 전체의 참가 무선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는, 통신의 도달성이 보증되지 않는 무선통신단말이 있다는 것이 통지된다.
이에 의해, 전체의 참가 무선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1 대 1 통신이 가능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것이 통지되므로, 무선통신단말의 장소를 이동하기도 하고, 중계기를 설치하는 등의 적절한 방책을 신속하게 무선통신단말의 사용자가 강구하게 된다. 따라서, 전체의 참가 무선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1 대 1 통신이 가능한 환경을 신속하게 정비하고,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의 망에 참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 시스템, 무선통신단말, 무선통신 시스템으로의 참가방법의 일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무선통신 시스템의 개요]
도 1은, 이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 시스템, 무선통신단말, 무선통신 시스템으로의 참가방법의 일실시의 형태를 적용하여 구성한 이 실시의 형태의 무선통신 시스템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 실시의 형태의 무선통신 시스템은, 억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통신단말에 있어서 직접적으로 통신을 행하고자 하는 애드혹 통신방식을 채용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 도 1에 도시한 예는, 망중에 단말(101)로부터 단말(105)까지의 5개의 무선통신단말이 존재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애드혹 통신방식에서는, 복수의 무선통신단말들이 직접통신을 행하여, 통신 망을 구축하고 있다.
도 1의 경우에는, 그 형성된 망을 부호(106)로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 있어서는, 망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말의 그룹을 클러스터라고 칭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예의 경우에는, 단말(101)로부터 단말(105)이 망(106)을 형성하는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이 실시의 형태의 무선통신 시스템의 예의 경우에서는, 무선통신단말 간의 통신은, 도면중에 있어서 실선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같이, 직접 통신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경우, 무선통신단말의 지리적 배치에 의해서는, 전파의 감쇄, 혹은 장애물에 의한 전파의 폐단등의 이유에 의해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있어서, 단말(102)과 단말(103)과의 사이, 단말(103)과 단말(104)과의 사이, 단말(104)과 단말(105)과의 사이, 단말(102)과 단말(101)과의 사이, 단말(102)과 단말(105)과의 사이의 통신의 도달성은 있지만, 단말(102)과 단말(104)과의 사이의 통신의 도달성(정보 도달성)이 없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 상태에서는, 무선통신단말(102)이 발생하는 전파를 무선통신단말(101, 103, 105)은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무선통신단말(104)은 수신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무선통신단말(102)로부터 보면, 실제로는 무선통신단말(104)과의 통신이 가능하지 않는 상태로 되지만, 무선통신단말(104)과의 통신이 가능한지 어떤지는 실제로 무선통신단말(104)과 통신을 시작해 보지 않으면 모르게 되고, 또한 통신 상대방으로부터의 응답을 반드시 기다리지 않는 브로드캐스트(동보) 통신의 경우는 무선통신단말(104)이 무선통신단말(102)의 통신가능한 지의 여부를 알 수 있는 기술은 없다.
이와같은 상태에서는,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무선통신단말 사이에서의 방송통신의 도달성이 보증되지 않으며, 이 무선통신 시스템을 종래의 유선 LAN 프로토콜이 되는 Ethernet(등록상표) 대신으로 이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Ethernet(등록상표)에 준거하는 대응에서 무선통신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리고, 이 실시의 형태의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 각 무선통신단말 사이의 통신의 도달성을 보증하는 제어수법을 제공하고 있다.
즉, 이 실시의 형태의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무선통신단말은 클러스터라고 부르는 상호 통신이 행해지는 망 환경을 구성한다. 각 무선통신단말은 유일무이한 단말식별자를 가지며, 클러스터내의 무선통신단말의 내부, 어느 한 개의 무선통신단말이, 클러스터 마스터(마스터 무선통신단말)로 되며, 일정 주기로 클러스터내에 존재하는 모든 무선통신단말의 단말식별자를 클러스터 정보(참가단말정보)로서 방송통신에 의해 배신한다.
클러스터에 신규로 참가하고자 하는 단말은, 우선 브로드캐스트 통신에 의해배신되는 클러스터 정보를 수신한다. 이 클러스터 정보에 단말식별자가 기록되어 있는 전체의 무선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함으로써, 자기 단말로부터의 통신이 도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모든 무선통신단말에 대한 통신의 도달성이 확인된 경우에 상기 클러스터로 참가한다. 클러스터 정보의 복수의 단말식별자에 의해 표시된 복수의 참가 무선통신단말의 모든 단말에 대한 도달성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 대한 도달성이 보증되지 않았다는 의미의 통지를 행한다.
이와같이, 이 실시의 형태의 무선통신 시스템은, 이 무선통신 시스템이 형성하는 망로의 참가시(클러스터로의 참가시)에 있어서, 클러스터 정보에 기록되어 있는 전체의 무선통신단말에 대해, 자기 단말로부터의 통신이 도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모든 단말에 대해 도달이 확인가능한 경우에는, 클러스터에 참가하고 있는 전체 단말과의 통신이 성립하는 것이 보증가능하므로, 클러스터에 참가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클러스터의 참가를 보류하고, 클러스터의 전체의 단말과의 통신이 가능한 방책을 취하기 위해, 신규로 클러스터에 참가하고자 하는 단말의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무선통신단말의 구성]
이어서,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성된 무선통신 시스템을 형성하는 무선통신단말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무선통신 시스템을 형성하는 무선통신단말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 실시의 형태의 무선통신단말(101 -105)은, 안테나(1), 아나로그 회로부(2), 베이스밴드 처리부(3), 프로토콜 처리부(4), 음성처리부(5), 스피커(수화기)(6), 마이크로폰(송화기)(7),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부(이하, 사용자 I/F 처리부라고 약칭한다.)(8), 표시부(디스플레이)(9), 입력부(키패드)(10), 입출력단자(11), 단말식별정보(단말식별자)의 기억보존용 메모리(12)를 구비한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아나로그 회로부(2)는, 안테나 공용기(이하, 간단히 공용기라고 부른다.)(21)와, RF수신부(22)와, RF송신부(23)를 구비한 것이다.
이 실시의 형태의 무선통신단말에 있어서, 베이스밴드 처리부(3)는, 복조부(31)와, 복호부(32)와, 부호부(34)와, 변조부(35)를 구비한 것이며, 이러한 각 부의 기능이, 제어부(33)의 제어에 의해, 적절한 변조방식, 적절한 부호화방식을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즉, 베이스밴드 처리부(3)의 복호부(32), 부호부(34)는, 목적으로 하는 통신방식에서 이용되는 변조방식, 부호화방식에 따라, 수신신호의 복조처리, 복호화처리를 행하고, 부호부(34), 변조부(35)는, 목적으로 하는 통신방식에서 이용되는 변조방식, 부호화방식에 따라, 송신 데이터의 부호화처리, 변조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또한, 프로토콜 처리부(4)는, 처리의 작업영역으로 이용되는 RAM과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억하는 ROM등으로 구성되는 메모리부(42)를 구비함과 동시에, 프로토콜 처리용 프로세서(41)를 구비한 것이다. 이 프로토콜 처리용 프로세서(41)는, 후술한 바와같이, 클러스터 정보등의 동보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통지정보와 제어정보, 혹은, 상대방을 지정하여 송신하는 송신 데이터등을 생성하는것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수신계의 동작에 대해서]
우선, 수신계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안테나(1)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아나로그 회로부(2)의 공용기(21)를 통해 RF수신부(28)에 공급된다. RF수신부(28)는, 여기에 공급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것을 베이스밴드 처리부(3)의 복조부(31)에 공급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복조부(31)는, 여기에 공급된 신호에 대해, 현재 대응하는 통신방식에서 이용되는 변조방식에 따라 복조처리를 행하고, 복조후의 신호를 복호부(32)에 공급한다.
복호부(32)는, 여기에 공급된 신호를 현재 대응하는 통신방식에서 이용되는 부호화방식에 따라 복조화를 하고, 음성 데이터와 그 이외의 데이터가 되는 표시 데이터등을 분리하고, 음성 데이터는 음성처리부(5)에 공급하며, 음성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는, 프로토콜 처리부(4)의 프로토콜 처리용 프로세서(41)에 공급한다.
프로토콜 처리용 프로세서(41)는, 현재 대응하는 통신방식의 데이터 포맷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예를 들면, 공급된 신호가 표시 데이터가 되는 경우에는, 표시부(9)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수신한 표시 데이터에 따라 문자와 화상이, 표시부(9)의 표시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공급된 신호가 제어정보와 프로그램등의 경우에는, 메모리부(42)의 RAM에 기입된다. 게다가, 자기의 단말기로 송신되어온 대량의 데이터는, 사용자 I/F처리부(8), 입출력단자(11)를 통해, 여기에 접속된 기억장치의 기록매체에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된다.
또한, 음성처리부(5)는, 여기에 공급된 음성 데이터를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스피커(6)에 공급하는 음성신호를 형성하여, 이것을 스피커(6)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수신한 음성신호에 따라 음성이 스피커(6)로부터 방음되어진다.
[송신계의 동작에 대해서]
다음에, 송신계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마이크로폰(7)에 의해 수음된 음성은,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음성처리부(5)에 공급된다. 음성처리부(5)는 마이크로폰(7)으로부터의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것을 부호부(34)에 공급한다. 부호부(34)는, 이것에 공급된 신호를 현재 대응하는 통신방식에서 이용되는 부호화방식에 따라 부호화하고, 부호화한 신호를 변조부(35)에 공급한다.
변조부(35)는, 여기에 공급된 신호를 현재 대응하는 통신방식에서 이용되는 변조방식에 따라 변조하고, 변조후의 신호를 아나로그 회로부(2)의 RF송신부(23)에 공급한다. RF송신부(23)는, 여기에 공급된 디지털 신호를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함과 동시에, 증폭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여 송신용 RF신호를 형성하고, 이것을 공용기(21)를 통해 안테나(1)로부터 송신(방사)한다.
또한,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목적으로 하는 상대방의 무선통신단말의 단말식별자와 문자 데이터, 게다가는, 입출력단자(11)를 통해 예를 들면 외부의 기억장치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등은, 사용자 I/F처리부(8)를 통해 프로토콜 처리용 프로세서(41)에 공급된다. 프로토콜 처리용 프로세서(41)는, 현재 대응하는 통신방식의 데이터 포맷에 따라 송신 데이터를 형성하고, 이것을 베이스밴드 처리부(3)의 부호부(34)에 공급한다.
부호부(34), 변조부(35)의 각각에 있어서 처리는, 상술한 바와같이, 현재 대응하는 통신방식에 따라, 부호화를 행하고, 부호화한 신호를 변조하여, 아나로그 회로부(2)의 RF송신부(23)에 공급한다. RF송신부(23)는, 상술한 바와같이, 여기에 공급된 신호를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송신용의 RF송신신호를 형성하여, 이것을 공용기(21), 안테나(1)를 통해 송신(방사)한다.
이와같이 하여, 송신계와 수신계가 동작하며, 자기 단말기의 통신요구에 따라 요청자의 무선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기도 하며, 목적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에 대해 통신요구를 송신하여, 그 상대방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의 형태의 무선통신단말은, 상대방을 지정하지 않고, 망을 형성하는 클러스터에 참가하는 모든 무선통신단말에 대해서, 정보를 동시에 송신하는 브로드캐스트(동보)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동보 통신의 경우에 있어서도, 동보 통신에 의해 송신된 신호가 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된 송신 데이터가, 프로토콜 처리용 프로세서(41)에 있어서 형성되며, 부호부(34), 변조부(35), RF송신부(23), 공용기(21), 안테나((1)를 통해 송신되어진다.
이와같이, 이 실시의 형태의 무선통신단말은, 무선통신단말이 1 대 1통신을 행하는 유니 캐스트(1 대 1)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브로드캐스트(동보) 통신을 행하는 기능도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클러스터는, 어느 1개의 무선통신단말로부터 송신된 동보 통신용의 데이터를 수신가능한 모든 무선통신단말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클러스터에 대한 신규참가 수순에 대해]
그리고, 상술한 바와같이,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가지더라도, 확실하게 브로드캐스트 통신에 의해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무선통신단말에 대해서 데이터를 송신가능하다는 것이 보증되지 않는다면, 종래의 유선 LAN이 되는 Ethernet(등록상표) 대신에 무선통신 시스템(무선 LAN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리고, 도 1을 이용하여 전술한 바와같이, 이 실시의 형태의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이 실시의 형태의 무선통신 시스템이 형성하는 망에 신규로 참가하고자 하는 무선통신단말은, 이미 망에 참가하고 있는(클러스터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무선통신단말(참가 무선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통신의 도달성이 보증된 경우에만, 상기 망에 참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에, 이 실시의 형태의 무선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무선통신단말의 동작에 대해서, 도 3, 도 4,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 도 4, 도 5는, 이 실시의 형태의 무선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도 2에 도시한 구성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 중, 도 3은, 클러스터에 신규로 참가하고자 하는 무선통신단말의 동작을 설명허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4는, 신규로 클러스터 마스터가 되는 무선통신단말및 클러스터 마스터가 되었던 무선통신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한, 도 5는, 이미 클러스터에 참가하고 있는 무선통신단말에 있어서, 클러스터 마스터를 포함하는 클러스터 기존 구성단말(참가 무선통신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클러스터에 신규로 참가하고자 하는 무선통신단말의 동작으로부터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클러스터에 신규로 참가하고, 클러스터에 의해 형성된 무선통신 망에 접속하여 무선통신을 행하는 이 실시의 형태의 무선통신단말은, 전원투입후(단계 S101), 클러스터 정보를 수신하기까지의 타이머가 되는 클러스터 정보수신 타이머를 설정한다(단계 S102).
클러스터에 신규로 참가하고자 하는 무선통신단말은, 후술하는 바와같이 클러스터 마스터(마스터 무선통신단말)로서 동작하는 무선통신단말로부터의 클러스터 정보를 수신하여, 근방에 기존의 클러스터가 존재하는 지를 탐지하고,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클러스터에 참가하게 된다. 또한, 클러스터 정보수신 타이머는, 근방에 기존의 클러스터가 존재하는 지의 판정에 이용된다.
한편, 클러스터 정보수신 타이머는, 예를 들면, 무선통신단말의 프로토콜 처리용 프로세서(41)에 있어서 소프트웨어 카운터로 실현하기도 하고, 도 2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무선통신단말이 구비한 시계회로에 의해 실현하기도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다.
클러스터 정보수신 타이머가 만료하기까지 클러스터 정보를 수신한 경우(단계 S106), 자기 단말의 근방에는 기존의 클러스터가 존재하는 지를 알 수 있다.그리고, 수신한 클러스터 정보를 해석하고(단계 S107), 그 클러스터 정보에 포함된 단말식별자를 추출하여 송신처로 지정하고(단계 S108), 통신도달응답 타이머를 설정한 후(단계 S109), 통신도달확인 메시지를 형성하여, 단계(S 108)에 있어서 지정한 무선통신 단말(클러스터에 참가한 단말)에 대해서 송출한다(단계 S110).
이 경우, 클러스터 정보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 클러스터 정보의 해석, 송신처의 지정, 통신도달응답 타이머의 설정, 통신도달확인 메시지의 형성, 송신의 단계(S106)로부터 단계(S110)의 각 처리는, 도 2에 도시한 무선통신단말의 예를 들면 프로토콜 처리용 프로세서(41)에 의해, 또는 그 제어에 기초하여 행해지게 된다.
또한, 통신도달응답 타이머는, 전술한 클러스터 정보 수신타이머와 같이, 무선통신단말의 프로토콜 처리용 프로세서(41)에 있어서 소프트웨어 카운터로서 실현하기도 하며, 도 2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무선통신단말이 구비한 시계회로에 의해 실현하기도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다.
한편, 단계(S110)에 있어서의 통신도달확인 메시지의 송신은, 후술한 바와같이, 단계(S108)에 있어서 지정한 무선통신단말로부터의 반신이 되는 통신도달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만, 단계(S109)에 있어서 설정한 통신도달응답 타이머가 만료되기까지, 소정의 간격으로 송신하도록 된다.
그리고, 단계(S108)에 있어서 지정한 무선통신단말로부터의 반신이 되는 통신도달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단계 S111), 금회 지정한 상대방이 되는 무선통신단말에 대한 통신의 도달성이 보증되었는지를 판명한다. 이미 클러스터에 참가하고 있는 모든 무선통신단말로부터 응답이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112).
단계(S112)에 있어서, 이미 클러스터에 참가하고 있는 모든 무선통신단말로부터 응답이 있는 것을 확인하지 않고 있다고 판단할 때에는, 단계(S108)로부터 단계(S112)까지의 처리를 반복하고, 단계(S107)에 있어서 해석한 단말식별자에 의해 특정된 모든 무선통신단말(클러스터에 이미 참가하고 있는 모든 무선통신단말)에 대해서 응답을 확인한다.
단계(S112)에 있어서, 이미 클러스터에 참가하고 있는 모든 무선통신단말로부터의 응답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판단할 때에는, 클러스터에 참가하고 있는 모든 무선통신단말에 대한 통신의 도달성이 보증되므로, 클러스터에 신규로 참가하고자 하는 상기 무선통신단말은, 자기의 단말식별자를 포함하는 클러스터 참가요구를 형성하고, 이것을 송신하여(단계 S113), 상기 클러스터에 참가한다. 이에 의해, 자기 단말은 다른 모든 단말과의 사이의 통신의 도달성이 보증된 상태에서, 동일한 클러스터에 참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의 단계(S111)로부터 단계(S113)의 각 처리 또한, 도 2에 도시한 무선통신단말의 예를 들면 프로토콜 처리용 프로세서(41)에 의해, 또한 그 제어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또한, 통신도달응답 타이머가 만료하기까지의 사이에, 지정한 상대방으로부터의 통신도달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단계 S114), 그 지정한 상대방이 되는 무선통신단말에 대한 통신이 행해지지 않았다는 내용을 사용자에게 통보한다(단계 S115).
이 단계(S114)는, 프로토콜 처리용 프로세서(41)에 의해, 행해지게 되며, 또한, 단계(S115)의 처리는, 프로토콜 처리용 프로세서(41)의 제어에 기초하여, 사용자 I/F처리부(8), 표시부(9)를 통해 행해진다.
이와같이, [도달성이 보증되지 않은] 내용이 통지된 경우, 클러스터에 신규로 참가하고자 하는 무선통신단말의 사용자는, 무선통신단말의 지리적 배치를 변경하기도 하며, 중계기를 신규로 배치하기도 하는 등의 적절한 방책을 강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단계(S106)로부터 단계(S115)까지의 처리에 의해, 이미 클러스터가 형성된 경우에 있어서,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각 무선통신단말 각각과의 사이에 있어서, 통신의 도달성의 보증이 취해진 경우, 그 클러스터에 참가하고,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모든 무선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유니캐스트 통신,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다.
또한, 통신의 도달성의 보증이 취해지지 않는 경우라도, 이것이 사용자에게 통지되므로, 무선통신단말의 위치를 변경하는 등의 적절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통신의 도달성의 보증이 취해진 환경을 신속하게 정비하여, 클러스터에 참가하고,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모든 무선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유니캐스트 통신,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다.
이어서, 클러스터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신규로 클러스터를 설립하는 경우의 수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원투입후(단계S101), 클러스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되지만, 근방에 클러스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클러스터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클러스터 정보수신 타이머가 만료한다(단계 S103).
클러스터 정보수신 타이머가 만료한 경우, 근방에 클러스터가 존재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신규로 클러스터를 설립한다. 즉, 우선, 랜덤시간 대기후(단계 S104), 클러스터 참가요구 메시지를 형성하고 이것을 송출하며(단계 S105), 이어서 설명하는 도 4의 클러스터 마스터의 처리로 이행하며, 다른 무선통신단말이 참가하러 오는 것을 대기하고, 참가하여 온 경우에, 자기 단말이 클러스터 마스터로 되며, 클러스터를 설립하게 된다.
한편, 단계(S104)에 있어서의 랜덤시간의 대기는, 동시에 2대 이상의 단말의 전원이 투입된 경우, 복수의 단말로부터의 클러스터 참가요구 메시지가 충돌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처리이다. 또한, 단계(S105)의 클러스터 참가요구 메시지의 송출은,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반복하여 행해지도록 된다.
또한, 이 경우의 단계(S103)로부터 단계(S105)의 각 처리도, 도 2에 도시한 무선통신단말의 예를 들면 프로토콜 처리용 프로세서(41)에 의해, 또는 그 제어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이어서, 도 4를 이용하여, 신규로 클러스터 마스터로 되는 무선통신단말의 동작, 및, 클러스터가 되었던 무선통신단말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단계(S105)의 처리에 의해, 클러스터 참가요구 메시지의 송출을 반복하여 행한후, 클러스터에 신규로 참가하고자 하는 상기 무선통신 단말은, 도 4에 도시한 처리도 행하며, 다른 무선통신단말이 클러스터에 신규로 참가하러 오며, 도 3에 도시한 단계(S105)의 처리에 있어서 송출한 클러스터 참가요구 메시지에 응답하는 클러스터 생성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대기한다.
그리고, 클러스터 생성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단계 S204), 자기 단말이 클러스터 마스터로 되며(단계 S205), 클러스터정보송신 타이머를 설정한다(단계 S203). 이 후, 단계(S203)에 있어서 설정한 클러스터정보송신 타이머가 만료할 때마다(단계 S201), 클러스터 정보생성 메시지(클러스터정보)를 형성하여, 이것을 송신한다(단계 S202). 즉, 클러스터 마스터가 되었던 휴대 무선통신단말은, 이후, 도 4에 도시한 처리의 단계(S201)로부터 단계(S203)의 처리를 반복하게 된다.
이 도 4에 도시한 처리도, 도 2에 도시한 무선통신단말의 예를 들면 프로토콜 처리용 프로세서(41)에 의해, 또는 그 제어에 기초하여 행해지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클러스터에 신규로 참가를 요구해온 무선통신단말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미 클러스터에 참가하고 있는 무선통신단말에 있어서, 클러스터 마스터를 포함하는 클러스터 기존 구성단말의 동작을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미 클러스터에 참가하고 있는 기존구성 단말은,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같이, 단계(S110)에 있어서 송출된 통신가능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통신도달확인 메시지, 또는, 단계(S113) 또는 단계(S105)에 있어서 송출된 클러스터 참가요구 메시지가 도래하는 것을 대기하고 있다.
클러스터 기존구성 단말은, 클러스터의 신규참여를 희망하는 무선통신단말로부터의 통신도달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단계 S306), 이에 대응하여 상기 통신도달확인 메시지의 송신처의 무선통신단말에 대한 통신도달확인 메시지를 형성하고, 이것을 반송한다(단계 S307). 이에 의해,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같이, 클러스터에 대한 신규참가를 희망하는 무선통신단말에 있어서, 도 3에 도시한 단계(S111)로부터의 처리가 속행하도록 된다.
또한, 클러스터에 대한 신규참가를 희망하는 무선통신단말로부터의 클러스터 참가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단계 S301), 이미 클러스터가 구성되어 있는 지의 여부, 즉 클러스터 정보가 브로드캐스트 통신에 의해 송신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고(단계 S302), 이미 자기 단말이 기존의 클러스터의 멤버가 되는 경우에는, 자기 단말이, 클러스터 마스터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303).
단계(S303)에 있어서, 자기 단말이 클러스터 마스터가 되는 경우에는, 클러스터의 멤버에, 도 3에 도시한 단계(S113)에 있어서 클러스터 참가요구 메시지를 발생한 단말을 추가하고(단계 S304), 도 4에 도시한 클러스터 마스터의 처리로 이행하고, 클러스터 맴버로서 추가한 무선통신단말의 단말 식별자를 포함하는 클러스터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게 된다.
또한, 단계(S302)의 확인처리에 있어서, 클러스터는 이미 구성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할 때에는, 클러스터 생성확인 메시지를 형성하여 송신하고, 우선 클러스터 참가요구 메시지를 송신한 무선통신단말이 클러스터 마스터로 되며,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것을 실현한다.
또한, 단계(S303)의 판단처리에 있어서, 자기 단말이 클러스터 마스터가 아니라고 판단할 때에는, 자기 단말 자신이 특별히 무엇이라도 하는 것이 아니므로, 클러스터 참가요구 메시지의 도래에 대한 처리를 종료시킨다.
이 도 5에 도시한 처리도 또한, 도 2에 도시한 무선통신단말의 예를 들면 프로토콜 처리용 프로세서(41)에 의해, 또는 그 제어에 기초하여 행해지는 것이다.
도 3, 도 4,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같이, 이 실시의 형태의 무선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무선통신단말의 각각은, 자기 단말 자신이, 클러스터 마스터로도 형성되며, 또한, 클러스터 멤버로도 구성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클러스터에 참가하는 경우에는, 우선 클러스터에 참가하고 있는 모든 무선통신단말의 단말식별자를 포함하는 클러스터 정보가 클러스터 마스터로부터 송신되므로, 그 단말식별자에 의해 특정된 모든 무선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유니캐스트통신을 행하며, 클러스터에 참가하고 있는 무선통신단말의 모든 단말과의 사이에서의 통신의 도달성이 보증된 후에, 상기 클러스터에 참가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다.
이 경우, 클러스터에 참가하고 있는 무선통신단말의 모든 단말과의 사이에서 통신의 도달성이 보증되므로,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행하더라도, 클러스터에 참가하고 있는 모든 무선통신단말이, 브로드캐스트 통신에 의해 송신되어온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보증된다. 따라서, 유선 LAN의 Ethernet(등록상표)과 거의 동일한 프로토콜에 의해 기능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도 3, 도 4,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이 실시의 형태의 무선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무선통신단말의 [신규 클러스터생성] 및 [기존 클러스터에 대한참가]시의 동작에 대해서, 도 6, 도 6, 도 8의 순서도(순서 흐름)를 이용하여 추가로 설명한다.
도 6은, 기존 클러스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2개의 무선통신단말로서 무선통신단말(A)과 무선통신단말(B) 사이에서 클러스터를 생성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 도 6에 도시한 예의 경우에는, 무선통신단말(A, B)은, 거의 동시에 전원이 투입된 경우로서 설명한다.
무선통신단말(A, B)은, 전원투입후, 시간(401)(클러스터 정보수신 타이머 만료시간)의 사이, 클러스터의 정보의 수신을 시도한다. 이 도 6의 경우, 기존 클러스터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클러스터 마스터로부터 브로드캐스트 통신에 의해 송신된 클러스터 정보는 수신불가능하며, 클러스터 정보수신 타이머는 만료한다(도 3에 도시한 단계(S103)에 상당).
클러스터 정보수신 타이머가 만료된 후, 무선통신단말(A)은 시간(402)의 사이, 무선통신단말(B)은 시간(403)의 사이와 같이, 각각 랜덤시간대기(도 3에 도시한 단계(S104)에 상당)를 행한 후, 클러스터 참가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도 3에 도시한 단계(S105)에 상당한다). 이 도 6에 도시한 예의 경우, 무선통신단말(A)의 대기시간(402)이, 무선통신단말(B)의 대기시간(403)보다 짧다. 그러므로, 보다 빨리 대기시간이 만료한 무선통신단말(A)이 클러스터 참가요구 메시지를 송신하게 된다(단계 S404).
랜덤대기시간이 만료하기 전에 클러스터 참가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통신단말(B)은, 랜덤대기를 중지하고, 이후의 클러스터 생성수순으로 들어간다. 무선통신단말(A)로부터의 클러스터 참가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통신단말(B)은, 클러스터 생성확인 메시지를 무선통신단말(A)에 대해 송출한다(단계 S405).
이 클러스터 생성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통신단말(A)은, 스스로 클러스터 마스터가 되며(도 4에 도시한 단계(S205)에 상당), 일정주기 마다(도 4에 도시한 단계(S203)에 있어서 설정된 클러스터 정보송신 타이머에 의해 결정되는 일정시간(406) 마다) 클러스터정보를 형성하여 송신한다(단계 S407). 그리고, 무선통신단말(B)은, 무선통신단말(A)이 클러스터 마스터로 되었던 클러스터에 참가하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다.
도 7은, 이미 클러스터가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신규로 다른 무선통신단말이 동일한 클러스터에 참가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여기에서는, 무선통신단말(A)과 무선통신단말(B)과의 사이에서 이미 클러스터가 생성되며, 무선통신단말(A)이 클러스터 마스터가 되는 상태에서, 이 클러스터에 무선통신단말(C)이 참가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미 존재하는 클러스터에서는, 클러스터 마스터가 되는 무선통신단말(A)은, 무선통신단말(A, B)의 단말식별자를 포함하는 클러스터를 정보를 브로드캐스트(동보)통신에 의해 송신하고 있다(단계 S501).
전원 투입후, 무선통신단말(A)로부터의 클러스터 정보를 수신한 무선통신단말(C)은, 수신한 클러스터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단말식별자로부터,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있는 무선통신단말(A, B)을 인식하고, 그 각각에 대해, 통신도달확인 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S502), 및 단계(S504)).
이 통신도달확인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무선통신단말(A, B)로부터 반신되어온 경우(단계(S503), 및, 단계(S505)), 무선통신단말(C)은,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모든 단말과의 사이의 통신도달성이 보증되었다는 것을 인식하고, 클러스터 참가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S506).
무선통신단말(C)로부터의 클러스터 참가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클러스터 마스터가 되는 무선통신단말(A)은, 이후의 클러스터 정보에 무선통신단말(C)의 단말식별자를 추가하여 송신하게 된다(단계 S507).
도 8은, 이미 클러스터가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신규로 다른 무선통신단말이 동일한 클러스터에 참가하는 경우에 있어서, 통신도달확인 메시지가 어느 원인에 의해 완료되지 않은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 도 8에 도시한 예는, 도 7에 도시한 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무선통신단말(A)과 무선통신단말(B)과의 사이에서 이미 클러스터가 생성되어 있으며, 무선통신단말(A)이 클러스터 마스터가 되는 상태에서, 이 클러스터에 무선통신단말(C)이 참가하고자 하는 경우의 예가 되지만, 단계(S605)에 도시한 바와같이, 무선통신단말(B)로부터의 통신도달 확인응답 메시지가 도달되지 않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무선통신단말(C)은, 사용자에 대해,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모든 무선통신단말(C)과의 사이에서 통신이 도달하지 않는 것을 통지한다(단계 S606). 따라서, 단계(S607) 이후의 클러스터도, 무선통신단말(C)이 상기 클러스터에 참가할 수 없었으므로, 당연히 무선통신단말(A), 무선통신단말(B)만을 포함하는 것으로된다.
그리고,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같이, 이 실시의 형태의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클러스터가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최초에 클러스터로의 참가를 요구해온 무선통신단말이 클러스터 마스터가 되어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클러스터의 구성에 적합하며, 클러스터 마스터가 되는 무선통신단말이 결정되는 등의 제약은 없으며, 유연하게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같이, 클러스터에 신규로 참가하는 무선통신단말은, 이미 클러스터에 참가하고 있는 모든 무선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무선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한 후에, 상기 클러스터에 대한 참가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브로드캐스트(동보)통신에 의한 신호의 도달성도 보증된 상태에서 클러스터로의 참가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행하는 것이 보증된, 예를 들면, Ethernet(등록상표)등의 유선 LAN의 프로토콜에 준거하는 무선통신 시스템(무선 LAN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같이, 클러스터에 신규로 참가하는 무선통신단말은, 이미 클러스터에 참가하고 있는 모든 무선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무선통신이 불가능할 때에는, 이것이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이에 의해, 클러스터에 참가할 수 없는 이유를 사용자는 신속하게 알 수 있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기 무선통신단말의 사용자는, 무선통신단말을 이동하기도 하며, 중계기를 설치하는 등의 적절한 방책을 신속하게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이미 클러스터에 참가하고 있는 모든 무선통신단말과의 사이에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환경을 신속하게 준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성된 이 실시의 형태의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클러스터에 참가하였던 클러스터 이외의 무선통신단말이, 상기 클러스터로부터 제거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자기 단말의 단말식별자를 포함하며, 클러스터로부터 이것을 통지하는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클러스터 마스터로부터 송신하는 클러스터 정보로부터 그 무선통신단말의 단말식별자를 추출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소정의 타이밍에서, 예를 들면 일정시간마다, 클러스터에 참가하고 있는 무선통신단말의 각각이, 클러스터 마스터에 대해, 참가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출함으로써, 클러스터 마스터가 상기 클러스터에 참가하고 있는 무선통신단말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단지 항상 상기 클러스터에 참가하고 있는 무선통신단말의 단말식별자로 구성되는 클러스터 정보를 형성하고, 이것을 송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클러스터 마스터가 되는 무선통신단말 자신이, 상기 클러스터로부터 제거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클러스터 정보가 송출되지 않으므로, 일정시간 흐르더라도 클러스터 정보를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에는, 클러스터에 참가하고 있는 무선통신단말중, 순위가 높은 무선통신단말이 새로운 클러스터 마스터가 되어, 클러스터 정보를 형성하여 일정 주기에서 브로드캐스트 통신에 의해 송출하도록 한다면 좋다.
한편, 이 경우, 클러스터에 참가하고 있는 무선통신단말에 순위를 매겨둘 필요가 있지만, 예를 들면, 클러스터에 대한 참가가 빠른 순서, 혹은, 늦은 순서, 혹은, 단말식별자가 작은 순서, 큰 순서등 여러 가지 기준을 이용하여 순위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최초에 클러스터에 대한 참가를 요구한 무선통신단말이 클러스터 마스터가 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최후에 클러스터에 참가하러온 무선통신단말이, 클러스터 마스터가 되도록, 즉, 순차적으로 클러스터 마스터를 계속해서 이어져 나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무선통신단말은, 음성의 송수신도 가능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무선통신기능을 구비한 PC와 그 주변기기등, 무선통신기능을 구비한 여러 가지의 형체의 전자기기에 이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단말을 적용하고, 이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 시스템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억세스 포인트를 사용하지 않고, 무선통신단말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무선통신단말에 의해 구성되는 망내의 통신의 도달성을 보증하기 위한 간편하고 확실한 수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무선통신단말의 구성을 크게 변경하는 등의 것은 없으며, 유선 LAN의 프로토콜과 준거하는 대응에 의해 무선통신 시스템(무선 LAN시스템)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발명의 무선통신단말은, 종래의 것에 비해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도 없다.

Claims (9)

  1. 고유의 단말식별자를 가지는 복수의 무선통신단말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단말중 한 개가 마스터 무선통신단말로 되어 망을 형성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무선통신단말은,
    다른 무선통신단말로부터 송신되어온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망으로의 참가요구를 수신하는 참가요구 수신수단과,
    상기 참가요구 수신수단을 통해 수신된 상기 참가요구에 포함된 요구자의 상기 다른 무선통신단말의 상기 단말식별자를 포함하며, 참가하는 무선통신단말의 상기 단말식별자의 그룹이 되는 단말식별정보를 형성하는 참가단말정보 형성수단과,
    참가단말정보 형성수단에 의해 형성된 상기 참가단말정보를 브로드캐스트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참가단말정보 송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망으로 참가하기 위한 무선통신단말은,
    상기 마스터 무선통신단말의 참가단말정보 송신수단을 통해 송신된 상기 참가단말정보를 수신하는 참가단말정보 수신수단과,
    상기 참가단말정보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참가단말정보에 포함된 상기 단말식별자에 의해 특정된 참가 무선단말장치의 각각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수단과,
    상기 확인수단에 의해, 참가 무선단말장치의 각각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된 경우, 자기의 단말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참가요구를 형성하는 참가요구 형성수단과,
    상기 참가요구 형성수단에 의해 형성된 상기 참가요구를 상기 마스터 무선통신단말장치로 송신하는 참가요구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망으로 참가하기 위한 상기 무선통신단말은,
    상기 확인수단에 있어서, 참가 무선단말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 통신의 도달성을 보증할 수 없다는 것을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3. 고유의 단말식별자를 가지는 복수의 무선통신단말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단말중 한 개가 마스터 무선통신단말로 되어 망을 형성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있어서,
    다른 무선통신단말로부터 송신되어온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망으로의 참가요구를 수신하는 참가요구 수신수단과,
    상기 참가요구 수신수단을 통해 수신된 상기 참가요구에 포함된 요구자의 상기 다른 무선통신단말의 상기 단말식별자를 포함하며, 참가하는 무선통신단말의 상기 단말식별자의 그룹이 되는 단말식별정보를 형성하는 참가단말정보 형성수단과,
    참가단말정보 형성수단에 의해 형성된 상기 참가단말정보를 브로드캐스트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참가단말정보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무선통신단말.
  4. 고유의 단말식별자를 가지는 복수의 무선통신단말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무선통신단말중 한 개가 마스터 무선통신단말로 되어 망을 형성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무선통신단말의 참가단말정보 송신수단을 통해 송신된 상기 참가단말정보를 수신하는 참가단말정보 수신수단과,
    상기 참가단말정보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참가단말정보에 포함된 상기 단말식별자에 의해 특정된 참가 무선단말장치의 각각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수단과,
    상기 확인수단에 의해, 참가 무선단말장치의 각각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된 경우, 자기의 단말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참가요구를 형성하는 참가요구 형성수단과,
    상기 참가요구 형성수단에 의해 형성된 상기 참가요구를 상기 마스터 무선통신단말장치로 송신하는 참가요구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망에 참가하는 무선통신단말로서 동작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확인수단에 의해, 참가 무선단말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 통신의 도달성을 보증할 수 없다는 것을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
  6. 고유의 단말식별자를 가지는 복수의 무선통신단말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단말중 한 개가 마스터 무선통신단말로 되어 망을 형성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대한 참가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무선통신단말은, 참가하는 무선통신단말의 상기 단말식별자의 그룹이 되는 단말식별정보를 형성하여, 이 참가단말정보를 브로드캐스트통신에 의해 송신하고,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의 망으로 참가하기 위한 무선통신단말에 있어서는,
    상기 마스터 무선통신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참가단말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참가단말정보에 포함된 상기 단말식별자에 의해 특정된 참가 무선단말장치의 각각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참가 무선단말장치의 각각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된 경우에, 자기의 단말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참가요구를 형성하고, 이 형성된 상기 참가요구를 상기 마스터 무선통신단말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대한 참가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에 참가하기 위한 무선통신단말에 있어서는,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이 불가능한 무선통신단말이 있는 경우에, 통신의 도달성을 보증할 수 없다는 것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대한참가방법.
  8. 고유의 단말식별자를 가지는 복수의 무선통신단말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단말중 한 개가 마스터 무선통신단말로 되어 망을 형성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대한 참가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무선통신단말은, 참가하는 무선통신단말의 상기 단말식별자의 그룹이 되는 단말식별정보를 형성하고, 이 참가단말정보를 브로드캐스트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에 대한 참가방법.
  9. 고유의 단말식별자를 가지는 복수의 무선통신단말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무선통신단말중 한 개가 마스터 무선통신단말로 되어 망을 형성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무선통신단말에 대한 참가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무선통신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참가단말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참가단말정보에 포함된 상기 단말식별자에 의해 특정된 참가 무선단말장치의 각각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참가 무선단말장치의 각각의 사이에서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된 경우에, 자기의 단말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참가요구를 형성하고, 이 형성된 상기 참가요구를 상기 마스터 무선통신단말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에 대한 참가방법.
KR20037016512A 2002-04-26 2003-04-25 무선통신 시스템, 무선통신단말 및 무선통신 시스템으로의참가방법 KR1009689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26198A JP2003318917A (ja) 2002-04-26 2002-04-26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への参加方法
JPJP-P-2002-00126198 2002-04-26
PCT/JP2003/005368 WO2003092223A1 (fr) 2002-04-26 2003-04-25 Systeme de communication radio, terminal de communication radio et procede pour participer dans un systeme de communication radi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1894A true KR20040101894A (ko) 2004-12-03
KR100968913B1 KR100968913B1 (ko) 2010-07-14

Family

ID=29267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7016512A KR100968913B1 (ko) 2002-04-26 2003-04-25 무선통신 시스템, 무선통신단말 및 무선통신 시스템으로의참가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40253970A1 (ko)
EP (1) EP1501243B1 (ko)
JP (1) JP2003318917A (ko)
KR (1) KR100968913B1 (ko)
CN (1) CN100527691C (ko)
AU (1) AU2003235829A1 (ko)
WO (1) WO200309222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403B1 (ko) * 2006-03-20 200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록시 코디네이터를 이용한 셀 참여 방법
KR101025371B1 (ko) * 2005-10-05 2011-03-28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애드 혹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피어―투―피어 통신
KR101226530B1 (ko) * 2005-03-07 2013-01-25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통신단말장치, 통신시스템, 통신방법 및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8969B2 (en) * 2003-11-07 2008-12-2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central control of mesh networks
US20080247332A1 (en) * 2004-02-12 2008-10-09 Toshimitsu Sato Network Configuration Management Method, Network Band Management Method, Network Particip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JP4658973B2 (ja) * 2004-02-16 2011-03-23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装置のコミュニティに新しい装置を挿入する方法
KR100592904B1 (ko) 2004-05-06 2006-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적 클러스터 기반의 핸드오버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6049251A1 (ja) * 2004-11-08 2006-05-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通信端末及び通信方法
JP3756173B1 (ja) * 2004-12-22 2006-03-15 三菱電機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の構成管理方法及び通信端末
US8477771B2 (en) * 2007-03-01 2013-07-02 Meraki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network devices
JP2008236590A (ja) * 2007-03-23 2008-10-02 Mitsubishi Electric Corp ネットワークの構成管理方法および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1321295B1 (ko) * 2007-04-10 2013-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안테나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JP4462340B2 (ja) 2007-12-14 2010-05-12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管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059591B2 (ja) * 2007-12-27 2012-10-24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4492722B2 (ja) * 2008-03-14 2010-06-3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WO2014010087A1 (ja) * 2012-07-13 2014-01-16 株式会社東芝 通信制御装置、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050052A (ja) * 2012-09-03 2014-03-17 Ricoh Co Ltd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JP7244212B2 (ja) * 2018-04-10 2023-03-22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受信機
WO2024024002A1 (ja) * 2022-07-28 2024-02-0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8793B2 (ja) 1995-12-28 2003-07-22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装置
FI982490A0 (fi) * 1998-11-18 1998-11-18 Nokia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mä viestintää varten
JP4192328B2 (ja) * 1999-03-24 2008-12-10 ソニー株式会社 無線伝送方法及び無線伝送装置
US6275500B1 (en) * 1999-08-09 2001-08-1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control of talk groups in a wireless network
ATE471647T1 (de) * 1999-12-06 2010-07-15 Ericsson Telefon Ab L M Intelligente herstellung von piconets
US6775258B1 (en) * 2000-03-17 2004-08-10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routing packet data in an ad ho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993049B2 (en) * 2000-06-26 2006-01-3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mmunication system
US6834192B1 (en) * 2000-07-03 2004-12-2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ssociated apparatus, for effectuating handover of communications in a bluetooth, or other, radio communication system
GB0023182D0 (en) * 2000-09-20 2000-11-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Low level mobility management procedures
JP2002108733A (ja) * 2000-09-29 2002-04-12 Toshiba Corp 電子機器、ネットワーク構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02190816A (ja) * 2000-12-20 2002-07-05 Nec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
JP4658374B2 (ja) * 2001-05-10 2011-03-23 株式会社リコー 無線通信方法及びそのマスター端末
KR100862954B1 (ko) * 2002-01-15 2008-10-13 노키아 코포레이션 레스큐 비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530B1 (ko) * 2005-03-07 2013-01-25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통신단말장치, 통신시스템, 통신방법 및 프로그램
KR101025371B1 (ko) * 2005-10-05 2011-03-28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애드 혹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피어―투―피어 통신
TWI401915B (zh) * 2005-10-05 2013-07-11 Qualcomm Inc 在特定模式無線網路中之點對點通信
US8576846B2 (en) 2005-10-05 2013-11-05 Qualcomm Incorporated Peer-to-peer communication in ad hoc wireless network
US8942133B2 (en) 2005-10-05 2015-01-27 Qualcomm Incorporated Peer-to-peer communication in ad hoc wireless network
US8942130B2 (en) 2005-10-05 2015-01-27 Qualcomm Incorporated Peer-to-peer communication in ad hoc wireless network
KR100772403B1 (ko) * 2006-03-20 200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록시 코디네이터를 이용한 셀 참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318917A (ja) 2003-11-07
US20040253970A1 (en) 2004-12-16
EP1501243A4 (en) 2010-10-06
WO2003092223A1 (fr) 2003-11-06
EP1501243B1 (en) 2011-08-31
KR100968913B1 (ko) 2010-07-14
EP1501243A1 (en) 2005-01-26
CN100527691C (zh) 2009-08-12
CN1522521A (zh) 2004-08-18
AU2003235829A1 (en) 200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913B1 (ko) 무선통신 시스템, 무선통신단말 및 무선통신 시스템으로의참가방법
US7904521B2 (en) Method for transferring chat messages by establishing chat room data transfer channel
US80787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device during active connection
US76568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bluetooth for WLAN service authentication and discovery
CN103069755B (zh) 使用多个客户端实例的即时消息传送的方法和系统
EP1571791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al time messenger service amo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W201001988A (en) Peer-to-peer data relay
JP4448144B2 (ja) グループ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ユーザ情報の共有する方法及び装置
JP2008005316A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装置の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2882769A (zh) 一种即时通讯方法、终端、服务器以及系统
KR20070080197A (ko) 멀티플 네트워크 연결 방법 및 그 통신 장치
KR20050043772A (ko) 사용자간 통신을 위한 모듈 및 방법
JP2006345361A (ja) 遠隔会議システムおよび遠隔会議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サーバ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遠隔会議参加端末装置および遠隔会議参加端末装置の制御方法
EP1906607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WO2018129876A1 (zh) 多媒体数据传输的方法、服务器和终端
KR100785482B1 (ko) 한 개 이상의 서브 네트워크간 컴포넌트를 디스커버리 하는방법 및 그 장치
CN108684021A (zh) 一种蓝牙低功耗通信方法和装置
JP2007013353A (ja) 文字/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端末管理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文字/データ送受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2007213479A (ja) チャットシステム
JP2005092265A (ja) データ配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受信端末及びそれらに用いるデータ配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EP2223558B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mobile terminals with multichannel wireless access
KR101975507B1 (ko) 푸시 기반의 영상통화에서의 그룹 내 사용자 전환을 수행하는 연결관리서버 및 연결관리방법
JP2006285090A (ja) ネットワーク構築方法及び通信装置
CN114915920B (zh) 消息的传输方法、装置、机器人以及存储介质
JP4826338B2 (ja) Cugサービスシステム、グループ管理装置、グループ管理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グループ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