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9601A -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신경독성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억제방법 - Google Patents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신경독성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억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9601A
KR20040099601A KR1020030031633A KR20030031633A KR20040099601A KR 20040099601 A KR20040099601 A KR 20040099601A KR 1020030031633 A KR1020030031633 A KR 1020030031633A KR 20030031633 A KR20030031633 A KR 20030031633A KR 20040099601 A KR20040099601 A KR 20040099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ta
amyloid
composition
extract
inhib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1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7094B1 (ko
Inventor
신현철
황혜정
이봉호
최병욱
이상한
김환묵
김형진
Original Assignee
라이브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브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이브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1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094B1/ko
Publication of KR20040099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0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0Arrangements for mounting stoves or ranges in particular lo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타-아밀로이드(beta-amyloid)에 의한 신경독성을 억제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감태(Ecklonia cava), 넓패(Ishige sinicola), 톳(Hizikia fusoformis), 및 모자반(Sargassum fulvell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해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신경독성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신경독성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독성 억제용 조성물은 아밀로이드원성 질환(amyloid diseases), 예컨대, 알츠하이머 질환(Alzheimer's disease), 만성 염증(chronic inflammation), 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 II형 당뇨병(type Ⅱ diabetes), 크로이펠트-야콥(Creutzfeldt-Jakob) 등을 치료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신경독성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억제방법{Compositions for inhibiting neurotoxicity induced by beta-amyloid peptide,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감태(Ecklonia cava), 넓패(Ishige sinicola), 톳(Hizikia fusoformis), 및 모자반(Sargassum fulvell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해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베타-아밀로이드(beta-amyloid)에 의한 신경독성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신경독성으로부터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도의 산업화와 의학의 발달로 전 세계적으로 노인 인구가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노인성 치매 환자의 수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로 인하여 야기되는 문제는 환자 자신 뿐 만 아니라, 가정, 사회적 문제로 널리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치매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정상적으로 발달한 뇌가 후천적인 외상이나 질병 등의 외부적 요인에 의해서 기질적으로 손상되거나 파괴되어 언어, 학습, 지능 등에 대한 전반적인 인지기능과 고등정신기능이 비정상적으로 감퇴되는 복합적인 임상증후군을 포괄하는 것으로, 점진적인 기억력 장애가 실어증(aphasis), 실인증(agnosia), 실행증(apraxia) 등의 행동적인 장애와 함께 나타나 사회 직업적 기능의 장애를 가져온다. 치매는 대부분 노년기에 많이 발생하며 현재 뇌졸중, 심장병, 암에 이어 4대 주요 사인이라고 할 정도로 중요한 기질성 장애의 하나에 속하고 있다. 치매의 발병률은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65세 이후부터는 약 5-7% 정도이고, 80세 이후부터는 약 20%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 되어있다. 또한, 치매 중에서 알츠하이머성(Alzheimer type) 치매가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여성이 남성에 비해서 2-3배정도 높은 발병률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50 내지 65세 이상에서 나타나는 점진적 퇴행성 질환으로 기억력 장애를 비롯한 인지장애를 핵심증상으로 하고 있다. 발병초기에는 단기 기억의 감소현상이 일어나고, 6∼20년 동안 계속적으로 기억력, 합리성, 판단력의 저하가 진행되며, 보통 10년 이상이 되면 사망한다. 특히 사후 부검에 의해서 기억, 감정, 행동 등을 담당하는 변연기관인 대뇌피질(cerebral cortex), 해마체(hippocampus) 등에 신경반(senile plaques, SPs, neuritic plaque, NPs)과 신경섬유다발(Neurofibrillary tangles, NFTs)이 관찰되며 이것은 알츠하이머 질환을 판별할 수 있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알츠하이머 질환은 면역학적 요인, 유전적인 요인, 바이러스 감염, 독성물질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적 요인, 그리고 머리를 다쳤을 경우 등 여러 요인에 의해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beta-amyloid peptide)이 뇌에 축적되어서 생기는 신경반의 신경독성(neurotoxic)에 의한 신경세포 파괴와, 과인산화 타우 단백질(hyperphos- phorylation tau protein)이 뇌에 축적되어 신경섬유다발이 생성되고 이에 의해 신경퇴행(neurodegeneration)을 일으키는 것이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주요 원인으로 보고 되어있다. 따라서, 이들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과 타우단백질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은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Amyloid Precursor Protein, APP)의 일부가 비정상으로 가수분해되어 생성되며 이것이 다른 물질들과 침적을 이루어 신경반을 형성하고, 이에 의한 신경독성작용으로 신경세포사멸이 유도되어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발병시키며, 이러한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은 쥐나 사람의 뇌에서 신경독성을 일으킨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발병은 이 외에도 에스트로젠(estrogen), 아포리포단백질 E(apolipoprotein E; apoE), 프리시닐린(presenilin), 산화제(oxidants; hydrogen peroxide, superoxide, hydroxyl radicals), 염증, 사고에 의한 손상,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 신경영양인자(neurotrophic factors) 등 많은 유발인자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아직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원인을 완전히 규명하지 못한 상태이며 다가오는 21세기는 노령화 사회로 치매가 큰 사회적 문제가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많은 투자와 지원으로 치매의 예방책과 치료책 마련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알츠하이머 질환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만발성, 고발성 알츠하이머 질환의 원인이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현재, 알츠하이머 질환의 치료는 병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제거하기보다는 환자의 증세를 완화하고, 병의 진행속도를 지연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그 치료제로는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들의 뇌에서 아세틸콜린이라는 물질이 정상인에 비해 감소한다는 점을 착안하여 뇌 내의 아세틸콜린 양을 증가시키거나 콜린성 신경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개발된 콜린 계통의 약제들이 있다. 현재 각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알츠하이머 질환 치료제는 이러한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억제제가 대부분이며 타크린(tacrine, 상품명: 코그넥스(cognex)), 그리고 도네페질(donepezil, 상품명: 아리셉트(aricept)) 등이 이에 속한다. 코그넥스의 경우 치매의 초기 및 중간 단계에 있는 환자들에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떨림증, 현기증, 구토증, 간독성 등의 부작용이 알려져 있다. 이밖에도, 바이엘(Bayer) 제약에서 메트리포네이트(metrifonate)라는 제품과 산도즈(Sandoz)에서 END-713, 포레스트(Forest)사의 피소스티그민(physostingmine SR), 아스트라 아쿠스(Astra Arcus)사의 NXX-066, 얀센(Janssen)사의 갈란타민(galanthamine)이 있다. 또한, 아세틸콜린 합성의 촉진을 위해 그 전구체인 콜린, 레시틴 아세틸카니틴 등을 투여하는 임상실험이 여러 번 시도되었으나, 이들 물질이 뇌혈관 관문을 통과하지 못하고 그 효력이 단기간이라는 단점으로 현재는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한편 "알츠하이머 질환 환자의 뇌에서 신경세포가 대량으로 사멸하는 이유가신경세포 안의 칼슘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라는 학설이 있으며, 칼슘이 신경세포로 들어가는 칼슘 채널을 막아버리므로 신경세포의 사멸을 방지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칼슘 채널을 막는 물질로 최근에 니모디핀(Nimodipine)을 사용한 임상실험에서 알츠하이머 환자의 기억력과 인지력이 증가되었다는 보고가 있으나 일반 임상에서는 아직 사용되지 않고 있다.
또한, 알츠하이머 질환 환자의 뇌를 병리적으로 검사하면 T세포, 미크로글리아(microglia), 보체단백질 등 면역 활성 상태에서 나타나는 세포나 단백질이 증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따라서 면역 활성화가 알츠하이머 질환 발병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 이러한 면역 활성을 억제하기 위해서 류마티스와 같은 염증질환에 사용되는 항염증 치료제가 알츠하이머 환자의 치료에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항염증 치료제로서는 인도메타신(indomethacin)과 같은 비스테로이드(Non-steroid) 항염제가 있으며,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치료법으로 호르몬요법이 있다. 폐경기 이후 여성들에서 알츠하이머 질환의 발병률을 조사해 본 결과 에스트로젠을 사용하고 있는 여성에서는 사용치 않는 여성들에 비해 그 발병률이 절반이라는 보고가 있다. 그러나 에스트로젠은 알츠하이머 질환 발병을 예방할 수는 있으나 발병한 뒤 기억력과 인지력을 회복하는 데에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치료에 있어서 현재까지 완치 할 수 있는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치매에 걸렸다고 진단되었을 때 뇌 세포에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여 병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만이 현재 유일한 치료방법이다.
이에 종래 알려져 있는 치매 치료제 또는 예방 물질들이 가지고 있는 부작용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보다 안심하고 장기적으로 섭취함으로써 치매증상을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는 다양한 생약 조성물에 대한 요구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천연물로부터 얻어져 독성이 없어 안정하고,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신경독성을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치매치료제에 대한 원료를 찾기 위해, 한방 또는 민간요법에 널리 사용되어 그 안전성이 입증되어 있는 천연 식물을 대상으로 베타-아밀로이드의 세포독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검색한 결과, 감태(Ecklonia cava), 넓패(Ishige sinicola), 톳(Hizikia fusoformis), 모자반(Sargassum fulvellum)과 같은 해조류의 추출물이 매우 우수한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신경독성 억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베타-아밀로이드(beta-amyloid)에 의한 신경독성을 억제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신경독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신경독성 억제용 조성물은 감태(Ecklonia cava), 넓패(Ishige sinicola), 톳(Hizikia fusoformis), 및 모자반(Sargassum fulvell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해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신경독성을 억제하는 방법은 상기 해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신경세포에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해조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의 광학 밀도(optical density)를 대조군 및 비교예와 함께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감태(Ecklonia cava), 넓패(Ishige sinicola), 톳(Hizikia fusoformis), 및 모자반(Sargassum fulvell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해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베타-아밀로이드(beta-amyloid)에 의한 신경독성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신경독성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밀로이드는 단백질성 물질의 일종으로, 빛을 강하게 굴절시키며 반투명으로 구조가 없다. 산이나 알칼리에 저항이 세고 유리질이나 콜로이드와 유사하며, 이것이 침착하면 아밀로이드 변성을 일으키게 되어 국소성 및 전신성 아밀로이드증이 나타난다.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은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아밀로이드 precursor protein, APP)의 일부가 비정상적으로 가수분해되어 생성된 것으로, 이것이 다른 물질들과 침적을 이루어 신경반을 형성하고 이에 의해 신경독성작용을 일으켜, 아밀로이드원성 질환(amyloid diseases), 예컨대, 알츠하이머 질환(Alzheimer's disease), 만성 염증(chronic inflammation), 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 II형 당뇨병(type Ⅱ diabetes),크로이펠트-야콥(Creutzfeldt-Jakob)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감태(Ecklonia cava), 넓패(Ishige sinicola), 톳(Hizikia fusoformis), 모자반(Sargassum fulvell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해조 추출물이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신경독성을 억제하는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고,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신경독성 억제용 조성물을 얻었다.
한편, 본 발명의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신경독성 억제용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얻어졌다.
한국 근해에서 채취한 해조류인 감태(Ecklonia cava), 넓패(Ishige sinicola), 톳(Hizikia fusoformis), 모자반(Sargassum fulvellum)의 전체를 먼저 증류수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음지에서 건조한 후에 이를 파쇄하였다. 5 내지 120℃하에서 상기 파쇄된 해조류에 용매를 가하여 30분 내지 24시간 동안 침적 또는 교반하여 추출액을 얻은 다음, 감압 증류하였다. 상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토니트릴, 아세톤, 및 물과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수득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추출과정을 2회 이상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반복단계마다 다른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출 용액 내에 함유된 잔사는 걸러서 제거하고, 남은 용매를 제거하기 위하여 회전증발 농축기, 동결건조, 분무건조와 같은 건조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신경독성 억제용 조성물을 포유동물의 신경세포에투여하여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신경독성을 억제할 수 있었다. 상기 조성물 중 해조 추출물의 양은 3 내지 25㎍/㎖이 바람직하고, 3㎍/㎖ 미만이면 그 효능이 미미하며, 25㎍/㎖를 초과하면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신경독성 억제능을 갖는 해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이전의 치매 치료제 또는 예방 물질 등의 부작용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보다 안심하고 장기적으로 섭취될 수 있고, 이는 또한, 다른 유용한 치매 치료제와 함께 사용되어 그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해조류의 추출
모자반(Sargassum fulvellum)을 근해에서 채취하여 음건한 후에 잘게 분쇄시키고, 분쇄된 500g의 모자반을 2ℓ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고, 실온에서 1.5ℓ의 메탄올로 6시간 동안 천천히 교반하여 항산화 물질 등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수회 반복하였고, 총 6ℓ의 메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그 다음, 저온에서 원심분리하여 잔사를 제거하였고, 회전 증발농축기를 사용하여 메탄올을 제거하였다. 농축된 추출물의 양은 64.1g이었다.
실시예 2-1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추출방법으로 해조류 조각 100g을 해당용매 1.2ℓ를 사용하여 추출하여 활성 분획물을 얻었다. 여기서 사용된 시료(해조류), 추출 용매 및 건조중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7
한방에 사용되는 육상식물들의 건조 시료 100g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추출방법으로 해당용매 1.2ℓ를 사용하여 추출하여 활성 분획물을 얻었다. 여기서 사용된 시료, 추출 용매 및 건조중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시료 추출 용매 건조 중량(g)
실시예 2 검둥이 모자반 MeOH 16.6
실시예 3 갈락사우라 파시큘라타(Galaxaura fasciculata) " 18.1
실시예 4 넓패 " 16.0
실시예 5 쌍발이 서실 " 16.7
실시예 6 꼬시래기 " 15.5
실시예 7 엉킨개서실 " 17.2
실시예 8 " 17.7
실시예 9 외톨개 모자반 " 16.5
실시예 10 " 15.7
실시예 11 쌍발이서실 " 14.5
실시예 12 큰잎모자반 " 17.0
실시예 13 괭생이모자반 " 16.9
실시예 14 외톨개모자반 " 17.9
실시예 15 감태 80% MeOH 27.6
실시예 16 괭생이모자반 CHCl3 1.2
비교예 1 용담 MeOH 19.1
비교예 2 죽여 MeOH 20.3
비교예 3 목동 MeOH 16.8
비교예 4 적하수오 MeOH 19.5
비교예 5 백삼 MeOH 20.0
비교예 6 황련 MeOH 17.8
비교예 7 고양이 발톱(Cat's Claw) MeOH 16.8
실시예 17
신경독성 저해 효과 측정
IMR-32 뇌종양 세포주(neuroblastoma cell line)는 미국의 ATCC로부터 구입하였다. IMR-32를 최소필수 배양배지(Minimum Essential Medium[MEM])에 10%의 송아지 혈청을 함유한 배지로 배양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16 및 비교예 1 내지 7에 따른 시료를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중 10㎎/㎖이 되도록 넣었고, 이를 배양 배지를 사용하여 1000:1로 희석하였다. 최종 DMSO의 농도는 0.1%였으며, 이 농도에서는 본 세포주의 세포성장이나 사멸에 영향이 없었다. IMR-32 세포주를 2 ×105세포/㎖ 농도로 9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180㎕씩 분주(loading)하고, 24시간 경과 후, 세포가 웰 플레이트 바닥에 잘 부착되었는지 확인하고, 베타-아밀로이드 펩타이드(β-amyloid peptide (1-42))를 최종농도 20μM이 되도록 처리하고, 각 해조류를 최종농도 10㎍/㎖이 되도록 처리하여 24시간 반응시킨 후, XTT 분석(XTT assay)을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1㎎/㎖ XTT 5㎖과 0.383㎎/㎖의 N-메틸디벤조피라진(N-methyl dibenzopyrazine (PMS)) 0.1㎖을 37℃ 수욕조(waterbath)에서 깨끗이 녹인 후 섞어서 XTT 표지 혼합물(labeling mixture)을 만들었다. 이 혼합물을 시료를 처리한 세포에 50㎕/웰씩 넣고, 3 내지 4시간 동안 발색시켰으며, 450nm에서 광학 밀도(optical density; OD)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베타-아밀로이드를 포함하지 않는 비히클과 음성 대조군으로 베타-아밀로이드를 사용하였는데, 본 세포주에 세포 손상을 가하지는 않았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와 도 1에 나타내었다.
시료 광학 밀도 내용
비히클(vehicle) 0.78 (베타-아밀로이드 없음)
베타-아밀로이드 0.55 베타-아밀로이드
베타-아밀로이드+ 비교예 1 0.53 용담
베타-아밀로이드+ 비교예 3 0.52 목동
베타-아밀로이드+ 비교예 4 0.5 적하수오
베타-아밀로이드+ 비교예 5 0.55 백삼
베타-아밀로이드+ 비교예 6 0.21 황련
베타-아밀로이드+ 실시예 1 0.75 모자반
베타-아밀로이드+ 실시예 4 0.70 넓패
베타-아밀로이드+ 실시예 8 0.72
베타-아밀로이드+ 실시예 13 0.67 괭생이모자반
베타-아밀로이드+ 실시예 14 0.69 외톨개모자반
베타-아밀로이드+ 실시예 15 0.73 감태
상기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베타-아밀로이드를 포함하지 않고 세포만 배양한 비히클의 경우 OD 값이 0.78이고, 베타-아밀로이드(1-42)를 처리하여 세포에 손상을 입힌 경우 OD 값이 0.55로 감소하였다. 실시예 1, 4, 8, 13, 14, 및 15에 따른 시료의 경우, 베타-아밀로이드를 포함하지 않고 세포만 배양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OD값이 거의 유사하게 나타나서 신경세포 사멸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1, 3, 4, 5, 및 6의 경우에는 광학 밀도를 수복시키지 않아서 신경세포의 보호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천연물로서 그 안정성이 확인되어 있는 해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이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신경독성을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종래의 신경독성 관련 치료제 또는 예방제들이 가지고 있는 부작용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보다 안심하고 장기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한 치료제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매를 포함하는 각종 아밀로이드원성 질환, 예컨대, 알츠하이머 질환, 만성 염증, 다발성 골수종, II형 당뇨병, 크로이펠트-야콥 등을 치료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4)

  1. 감태(Ecklonia cava), 넓패(Ishige sinicola), 톳(Hizikia fusoformis), 및 모자반(Sargassum fulvell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해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베타-아밀로이드(beta-amyloid)에 의한 신경독성 억제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 해조 추출물은 3 내지 2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 추출물은 해조에 메탄올,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토니트릴, 아세톤, 및 물과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용매를 첨가하고, 5 내지 120℃에서 30분 내지 24시간 동안 침적 또는 교반하여 추출액을 얻은 다음, 감압 증류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유동물의 신경세포에 투여하여 베타-아밀로이드(beta-amyloid)에 의한 신경독성을 억제하는 방법.
KR10-2003-0031633A 2003-05-19 2003-05-19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신경독성 경감용 조성물 KR100527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633A KR100527094B1 (ko) 2003-05-19 2003-05-19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신경독성 경감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633A KR100527094B1 (ko) 2003-05-19 2003-05-19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신경독성 경감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601A true KR20040099601A (ko) 2004-12-02
KR100527094B1 KR100527094B1 (ko) 2005-11-08

Family

ID=37377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1633A KR100527094B1 (ko) 2003-05-19 2003-05-19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신경독성 경감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09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471B1 (ko) * 2003-12-05 2007-01-09 이행우 치매의 예방과 개선 및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KR100745021B1 (ko) * 2006-09-27 2007-08-01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넓패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44828B1 (ko) * 2010-09-03 2013-03-1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태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베타-아밀로이드 올리고머 및 피브릴의 생성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WO2014065640A2 (ko) * 2012-10-08 2014-05-0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외톨개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404257B1 (ko) * 2012-04-25 2014-06-0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4869919A (zh) * 2022-06-29 2022-08-09 江西中医药大学 海藻及其提取物在制备抗神经炎症药物上的应用及抗神经炎症药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798B1 (ko) 2005-05-04 2007-03-30 라이브켐 주식회사 해조식물로부터 추출한 콜린에스터라제 활성 억제제를함유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개선제 및 인지능력 개선제
KR100898758B1 (ko) * 2007-06-12 2009-05-25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항당뇨 활성을 나타내는 패과식물의 추출물
KR101559483B1 (ko) * 2012-11-09 2015-10-1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해조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보호용 조성물
KR101540957B1 (ko) * 2013-09-03 2015-07-3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모자반크로마놀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471B1 (ko) * 2003-12-05 2007-01-09 이행우 치매의 예방과 개선 및 기억력 증진용 조성물 및 이를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
KR100745021B1 (ko) * 2006-09-27 2007-08-01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넓패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44828B1 (ko) * 2010-09-03 2013-03-1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태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베타-아밀로이드 올리고머 및 피브릴의 생성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404257B1 (ko) * 2012-04-25 2014-06-0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4065640A2 (ko) * 2012-10-08 2014-05-0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외톨개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WO2014065640A3 (ko) * 2012-10-08 2014-06-05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외톨개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N114869919A (zh) * 2022-06-29 2022-08-09 江西中医药大学 海藻及其提取物在制备抗神经炎症药物上的应用及抗神经炎症药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7094B1 (ko) 2005-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9301B1 (en) Use of a cinnamon bark extract for treating amyloid-associated diseases
JP5208036B2 (ja) ヤマブシタケ由来の活性物質の製造方法
KR20110013466A (ko) 신경퇴행성 질환을 치료 및 예방하기 위한 방법
JP6773821B2 (ja) 桑椹子およびブクリョウ皮の混合抽出物を含有する退行性神経疾患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Vitolo et al. Protection against β-amyloid induced abnormal synaptic function and cell death by Ginkgolide J
KR100527094B1 (ko)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신경독성 경감용 조성물
US20210128656A1 (en) Composition containing poria cocos peel extract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KR101916603B1 (ko) 무청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신경 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Muralidharan et al. Anti epileptic activity of poly herbal extract from Indian medicinal plants
RU2559088C2 (ru) Растительные экстраты для лечения нейродегенератив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KR102266229B1 (ko) 감태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90035473A (ko) 성분 함량이 변화된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085219B1 (ko) 뇌기능 개선 효능을 갖는 생약 추출물
KR20180091223A (ko) 치매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복합생약 조성물
KR20100002836A (ko) 뇌 신경 세포 보호물질을 포함하는 질경이 추출물을포함하는 조성물
JP3943399B2 (ja) ヤマブシダケ由来脂溶性抽出成分
KR20010100548A (ko) 지실로부터 유효성분의 추출·정제방법 및 그 추출물을함유한 치매치료용 생약 조성물
KR20200093976A (ko) 조구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밀로이드 베타 침착 억제용 약학 조성물
KR102374047B1 (ko) N,N′-디아세틸-p-페닐렌디아민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paiah et al. Memory Enhancing Property of Santalum album L. on mice
Abascal et al. Alzheimer's Disease: Part 1—Biology and Botanicals
KR20240079026A (ko)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및 인지능 개선용 조성물
Leonard Advances in the drug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KR20230173044A (ko) 넉줄고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abdat et al. Neurobehavioral Evaluation Of Ethanolic extracts from Newbouldia Laevis leaf in 6-hydroxyldopamine-lesioned rat model of Parkinson’s disease treated with L-DOP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