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257B1 -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257B1
KR101404257B1 KR1020120043174A KR20120043174A KR101404257B1 KR 101404257 B1 KR101404257 B1 KR 101404257B1 KR 1020120043174 A KR1020120043174 A KR 1020120043174A KR 20120043174 A KR20120043174 A KR 20120043174A KR 101404257 B1 KR101404257 B1 KR 101404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mmatory
disease
present
diseases
overex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0141A (ko
Inventor
고영상
강희경
유은숙
전유진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43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257B1/ko
Publication of KR20130120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75Ethers or acetals
    • A61K31/085Ethers or acetals having an ether linkage to aromatic ring nuclear carbon
    • A61K31/09Ethers or acetals having an ether linkage to aromatic ring nuclear carbon having two or more such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은 염증반응을 유발시키는 자극인자에 의한 대식세포 및 수지상세포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2, IL-6 및 TNF-α의 생성을 억제하는 활성이 우수하고, MAPK 및 NF-κB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과다한 염증반응으로 유발될 수 있는 염증질환 및 면역질환의 치료제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은 해조류인 넓패로부터 분리 및 정제된 것으로서 세포에 독성을 유발하지 않기 때문에 체내 안정한 특징이 있어 기능성 건강식품의 소재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or Immune diseases Comprising Octaphlorethol A}
본 발명은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의 신규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염증성 장애는 전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건강 문제 중 하나이다. 염증은 일반적으로 외부 물질 또는 해로운 자극에 의한 숙주 침입에 대해 신체 조직의 국소화된 보호 반응이다. 염증의 원인은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 기생충과 같은 감염성 원인; 화상 또는 방사선 조사와 같은 물리적 원인; 독소, 약물 또는 산업적 제제와 같은 화학약품; 알레르기 및 자가면역 반응과 같은 면역적 반응, 또는 산화성 스트레스와 연관된 상태일 수 있다.
염증은 통증, 적화현상, 부기, 열 및 감염된 영역의 궁극적인 기능 손실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들 증상은 면역계의 세포사이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복잡한 상호작용의 결과이다. 세포의 반응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여러 그룹의 염증 매개자의 상호작용 네트워크가 생성된다: 단백질(예를 들면, 사이토카인, 효소(예를 들면 프로테아제, 퍼옥시다제), 주요 염기성 단백질, 점착 분자(ICAM, VCAM), 지질 매개자(예를 들면, 에이코사노이드, 프로스타글란딘, 류코트라이엔, 혈소판 활성화 인자(PAF)), 반응성 산소 종(예를 들면, 하이드로퍼옥사이드,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O2-, 산화질소(NO) 등). 그러나, 염증의 이들 매개자중 대부분은 또한 정상적인 세포 활성의 조절자이다. 따라서, 염증 반응의 결핍으로 인해 숙주가 제어되지 않으면서 손상(즉, 감염)되고, 따라서 만성 염증으로 인해 부분적으로는 상기 언급된 매개자중 여럿이 과다 생성됨으로써 매개되는 염증성 질환이 야기된다.
특히, 염증성 질환 중 하나인 자가면역 질환은 면역 체계가 그 자신의 기관을 공격하여 자발적인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반응들은 T 림프구에 의한 자가항원(auto-antigen)의 인식에 기인하며, 이로 인하여 체액상(자가항원 생성) 및 세포상 (림프구 및 대식세포 세포독성 활성 증가) 면역 반응이 유발된다. 자가면역 질환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들 수 있다: 류마티스성 질환, 건선, 전신성 피부근염, 다발성 경화증, 홍반성 낭창, 또는 항원에 의한 면역반응 악화, 즉, 천식, 약물 또는 음식에 대한 알레르기 등. 이러한 질환들은 모두 제한성이고 만성인 질환들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치명적이고, 현재까지 상기 질환들을 치료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당해 질환의 진행중에 질환을 경감시키거나 완화시킬 수 있는 약물, 의약 또는 매체라면 환자의 건강을 위해서 중요한 해결 수단이 된다고 할 것이다.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방법을 탐색하여 적당한 약물과 방법을 찾고자 집중적인 노력을 해왔다. 오늘날,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는 주로 면역억제 약물, 예컨대 글루코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s), 칼시뉴린 억제제(calcineurin inhibitors) 및 증식억제제-대사물 작용 억제제(antiproliferatives-antimetabolites)의 사용에 근거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약리 요법은 다양한 표적들에 대하여 작용하므로, 전체적으로는 면역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이러한 약리 요법을 장기간 사용하였을 경우 여러 가지 세포 독성 작용이 문제가 되어, 면역 체계를 비특이적인 방식으로 억제함으로써, 환자를 감염증 및 암에 걸릴 위험에 노출시킬 수 있다. 칼시뉴린과 글루코코르티코이드는, 그들의 신독성과 당뇨병 유발 특성에 기인하여 또 다른 문제점을 나타내기 때문에, 몇 가지 임상학적 증상의 경우(예: 신기능 부전, 당뇨병 등)에는 그 사용이 제한된다.
이러한 이유로, 자가면역질환을 포함하는 면역질환 또는 염증성 질환을 가지는 환자는 질병 예방 및 보조 치료로서 사용될 수 있는, 주된 부작용이 없고 약한 소염 효과를 갖는 "천연"으로 간주되는 치료 유형에 특히 관심을 갖게 되었고, 천연 유래의 치료제 개발에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부작용이 적고 안정적인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천연물에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668,067호에 생각으로부터 분리한 페닐부테노이드 유도체 화합물이 항염 활성이 우수하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396,526호에는 커큐마 잔토리자 록스브로부터 분리한 잔토리졸이 항염 활성을 가지고 있어 염증질환 치료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해조류가 가지고 있는 생리활성 물질들이 항염 및 항암효과를 증가시킨다는 연구 보고가 이어지고 있는데(Hwang pa et al 2011, Khan MN et al 2008 ), 해조류 중 특히 넓패(Ishige sinicola)는 항바이러스 및 항염증 효과에 대한 연구는 진행된 바 있으나, 넓패 추출물의 유효성분으로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으며 효능 메카니즘 역시 밝혀진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해조류 중 하나인 넓패로부터 분리한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이 lipopolysaccharides(LPS) 또는 CpG로 자극시킨 골수-유래 수지상 세포와 대식 세포에서 염증반응 유발인자들인 TNF-α, IL(interleukin)-6 및 IL-12 p40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활성이 있고, MAPK family인 ERK(extracelluar signal-regulated kinase), JNK(c-jun N-terminal kinase), p38의 활성화 억제와 IĸBα(inhibitory kappa B-alpha)의 분해억제 기작을 통해 염증을 억제하는 활성이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넓패로부터 분리한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염증질환 및 면역질환의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옥타프로레톨 에이(octaphlorethol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옥타프로레톨 에이(octaphlorethol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과다 염증 반응으로 인해 유발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치료용 약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옥타프로레톨 에이(octaphlorethol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33023480-pat0000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옥타프로레톨 에이(octaphlorethol A)는 넓패(Ishige foliacea)의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옥타프로레톨 에이(octaphlorethol A)는 LPS(Lipopolysaccharide) 또는 CpG로 자극된 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s)의 생성 억제능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넓패(Ishige sinicola) 추출물은 물, C1~C4 의 알콜,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초산에칠, 에테르,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옥타프로레톨 에이(octaphlorethol A)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7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염증 질환은 미생물의 감염에 의한 전신성 염증 반응 또는 내독소 쇼크 (endotoxic shock) 증상을 보이는 패혈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면역질환은 과다 염증으로 인해 유발되는 자가면역질환으로서, 원형탈모증,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 (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및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옥타프로레톨 에이(octaphlorethol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다 염증 반응으로 인해 유발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치료용 약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은 염증반응을 유발시키는 자극인자에 의한 대식세포 및 수지상세포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2, IL-6 및 TNF-α의 생성을 억제하는 활성이 우수하고, MAPK 및 NF-κB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과다한 염증반응으로 유발될 수 있는 염증질환 및 면역질환의 치료제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은 해조류인 넓패로부터 분리 및 정제된 것으로서 세포에 독성을 유발하지 않기 때문에 체내 안정한 특징이 있어 기능성 건강식품의 소재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옥타플로레톨 에이(OPA) 화합물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옥타플로레톨 에이(OPA) 화합물의 세포 독성 여부를 조사한 것으로서, 1a는 대식세포를 대상으로, 1b는 수지상 세포를 대상으로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다음, MTT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은 옥타플로레톨 에이(OPA) 화합물을 대식세포(상단 그래프, 3a)와 수지상세포(하단 그래프, 3b)에 농도별로 처리한 다음, LPS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2 p40, IL-6, TNF-α의 생성 억제 정도를 ELISA 분석을 통해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옥타플로레톨 에이(OPA) 화합물을 대식세포(상단 그래프, 4a)와 수지상세포(하단 그래프, 4b)에 농도별로 처리한 다음, CpG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2 p40, IL-6, TNF-α의 생성 억제 정도를 ELISA 분석을 통해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옥타플로레톨 에이(OPA) 화합물의 MAPK 활성 억제능을 조사하기 위해, 웨스턴 블럿을 통해 ERK, JNK 및 p38의 인산화 정도(5a)와 IκBα의 분해 및 인산화 정도(5b)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옥타플로레톨 에이(OPA) 화합물의 NF-κB 리포터 활성 억제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HEK293T 세포를 대상으로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다음, CpG로 상기 세포를 자극한 후, 루시퍼라제 어세이를 통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천연물로부터 분리한 항염 활성이 우수하고 세포 내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새로운 염증 또는 면역질환의 치료제로서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의 신규한 용도를 제공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은 넓패로부터 분리한 화합물로서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2-(4-(4-(4-(4-(4-(4-(3,5-dihydroxyphenoxy)-3,5-dihydroxyphenoxy)-3,5-dihydroxyphenoxy)-3,5-dihydroxyphenoxy)-2,6-dihydroxyphenoxy)-2,6-dihydroxyphenoxy)-2,6-dihydroxyphenoxy)benzene-1,3,5-triol의 화학식명을 갖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Figure 112012033023480-pat00002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은 천연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당업계에 공지된 화학적 합성법으로도 제조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넓패로부터 수득한 용매 추출물로부터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넓패를 알코올 용매로 추출하고, 이를 추가적으로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로 분획한 후 순차적인 소분획 과정을 거쳐 얻어진 분획물에서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넓패는 시중에 판매하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용매로 추출하기 전에 충분히 건조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하나의 구체예로서, 건조된 넓패는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에탄올로 환류추출하며, 추출 횟수는 1~5회, 바람직하게는 3회 추출한다. 추출물을 모두 수거한 후 농축 과정을 거치며, 농축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킨 후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각각의 분획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분획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성분이 항염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상기 분획의 주요 활성 성분을 분리하기 위해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와 HPLC (ThermoFisher Scientific, USA)을 수행하여 본 발명의 옥타프로레톨 에이(octaphlorethol A)를 분리 및 정제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넓패로부터 분리한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이 항염 활성이 우수하여 염증질환 및 면역질환의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골수에서 유래된 대식세포와 수지상세포에 처리하였을 경우, LPS 또는 CpG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예를 들면, IL-12, IL-6, TNF-α)의 생성을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3 및 도 4 참조).
참고로 내독성 물질인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는 수지상 세포에서의 염증유발 인자의 생성을 유도하는 물질로서,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s)들의 생성을 촉진한다. 즉, 염증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외부자극이 가해지는 경우, TNF-α 등의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발현이 유도되고, 생성된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은 iNOS 및 COX-2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자극시켜,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NO 및 PGE2 물질을 생성하여 염증반응을 일으킨다.
그러므로 이러한 TNF-α, IL-6 또는 IL-12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염증 유발 물질들이 과다하게 분비되거나 세포 자체가 활성화된 상태로 오래 지속될 경우 조직 손상이라는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한다.
또한, 톨-유사 수용체(Toll-like receptor; TLR)는 주로 면역세포에서 발현되며 면역 활성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수용체이다.
TLR은 PAMP(병원체-관련된 분자 패턴)를 인식하여 MyD88-의존성 TLR 신호화 경로를 통해서 면역 세포를 자극하며, 그 결과 MAPK 신호경로와 전사인자 NF-κB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10 가지의 작용성 TLR 패밀리 구성원(TLR1 내지 TLR10)이 인간에게서 동정되었다[Akira S. et al., Nature Immunol., 2,675-680 (2001)]. TLR2, TLR4 및 TLR5는 펩티도글리칸, 리포폴리사카라이드 및 플라겔린의 인식에 중요하고, TLR6는 TLR2와 연관되어 있으며 미코플라스마로부터의 지단백질을 인식한다[Ozinsky, A.,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7,13766-13771 (2000)]. TLR9은 세균 또는 바이러스성 DNA에 존재하는 비메틸화된 CpG 모티프를 인지하고, TLR3은 이중 가닥 RNA에 대한 반응으로 면역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emmi H. etal., Nature, 408,740-745 (2000)].
특히 TLR9은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다양한 병원성 물질(pathogen)의 특정 부위를 인식하여 세포 내로 신호를 보냄으로써 면역 반응을 유발하는 세포 내 가장 최전선에 위치한 패턴 인식 수용체(pattern recognition receptor)의 일종으로 다른 TLR이 세포막 표면에 발현하는 것에 비하여 세포내 엔도좀에서 발현하여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의 짧은 DNA 염기 서열인 CpG 모티프를 인식한다고 알려져 있다. TLR9을 발현하는 면역세포나 특정 암 세포에 리간드를 처리하게 되면 MyD88을 통하여 세포 내로 신호를 전달하여 NF-κB와 AP-1를 활성화함으로써 다양한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인 IL-6, IL-8, TNF-α 등과 타입 I 인터페론을 발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은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 또는 CpG 에 의하여 자극된 수지상세포 및 대식세포에서, 염증성 매개체의 활성을 감당하는 TNF-α, IL-6 또는 IL-12의 생성을 억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터루킨-12(IL-12)는 항원 자극에 의해 수지상세포, 마크로파지 등의 항원제공세포에서 제조되는 인터루킨의 한 종류로, T 세포를 자극하여 1형 헬퍼 T 세포로 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NK(natural killer) 세포, T 림포사이트의 활성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IL-12A(p35)와 IL-12B(p40)의 헤테로다이머 형태이며, IL-12A(p35)의 발현은 항상적(constitutive) 이어서, 인터루킨-12의 생물학적 기능은 주로 IL-12B(p40)의 발현에 좌우되는데, 이러한 인터루킨-12의 억제가 인체 내 세포에 대한 과잉 면역 반응인 자가면역질환, 특히 1형 헬퍼 T 세포가 매개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은 TNF-α, IL-6 또는 IL-12의 생성을 억제하는 활성을 통하여 작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적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염증 질환"은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 또는 CpG 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 IL-6 또는 IL-12의 과량 생성에 기인하는 질환으로써, 패혈증 또는 자가면역질환 등을 들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자가면역질환은 원형탈모,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 (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다발성 경화증, 및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 등을 포함하고, 패혈증(sepsis)은 체온이 38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발열 증상, 36도 이하로 내려가는 저체온증, 호흡수가 분당 24회 이상으로 증가(빈호흡), 분당90회 이상의 심박수(빈맥), 혈액 검사상 백혈구 수의 증가 혹은 현저한 감소 증상을 보이는, 미생물의 감염에 의한 전신성 염증 반응 증후군(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SIRS) 및 내독소 쇼크 (endotoxic shock) 등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자가면역질환으로, ⅰ)면역계가 각종 관절의 조직을 공격하는 류마티스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ⅱ) T 세포에 의하여 유도되는 중추신경계의 자가면역증으로 대부분은 비교적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나, 심한 경우 실명, 마비, 조기사망(premature death)으로 이어질 수 있는 다발성 경화증(MS, Multiple Sclerosis), ⅲ) 췌장의 인슐린 생산 세포를 면역세포가 파괴하여 생기며 MHC 유전자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면역매개, 또는 제 Ⅰ 형 당뇨병(Immune-Mediated orType Ⅰ Diabetes Mellitus), ⅳ) 면역계가 장을 공격하여 나타나는 질환인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s), ⅴ) 피부나 혈관의 경화(thickening)를 유도하는 피부경화증(Scleroderma), ⅵ) 전신성 자가면역증으로 깊은 피로감, 발진, 관절통 등의 증세를 수반하며, 심한 경우 면역계가 신장, 뇌, 폐 등에 손상을 끼칠수 있는 전신성 루프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를 들 수 있다. 또한, 패혈증은 미생물에 감염되어 전신에 심각한 염증 반응이 나타나는 전신성 염증 반응 증후군(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SIRS) 및 패혈증(내독소) 쇼크를 들 수 있다. 특히, 상기 내독소 쇼크(패혈증 쇼크)는 과량 생성된 인터루킨-6와 TNF-α가 주된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은 염증질환 중 특히 패혈증과 면역질환 중 특히 자가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가 이들의 상위 신호전달체계인 NF-κB와 MAPK의 활성 억제에 기인한 것임을 규명하였다. PRRs(pattern recognition receptor)은 PAMPs를 인지 하여 결합하게 되면 NF-κB와 MAPK의 신호전달을 활성화시켜 염증 유발 생리활성 물질을 생산하게 된다. 따라서 NF-κB와 MAPK의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경우, 염증 유발 생리활성 물질의 생산을 억제하게 되고 궁극적으로 염증 및 면역질환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처리한 대식세포와 처리하지 않은 대식세포에 CpG (TLR9 리간드)를 처리하여 염증을 유발시킨 다음, NF-κB의 활성과 MAPK의 인산화를 측정하였는데,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처리한 군은 대조군에 비해 NF-κB와 MAPK의 활성을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도 5 참조), 나아가 루시퍼라제 어세이를 통해 CpG에 의한 TLR9-의존적 NF-κB의 전사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6 참조).
참고로, 전사인자인 NF-κB(Nuclear factor kappa B)는 염증유발 사이토카인, 독성화합물, 박테리아감염, 바이러스감염, 방사선, UV, 활성산소 등의 다양한 외부자극에 의해 활성화되어 세포사멸, 면역반응, 염증반응 등 다양한 세포 반응에 관련된 단백질 발현을 조절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비정상적인 NF-κB의 활성은 각종 암, 관절염 등의 염증질환, 천식이나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알러지성 질환 및 염증질환과 관련되어 있어, NF-κB의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은 상기와 같은 질환들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로서의 표적이 되고 있다[A. S. Baldwin Jr, J. Clin. Invest., 2001, 107, 241-246].
또한, NF-κB는 정상 상태의 경우, 세포 내 사이토졸에 존재하지만 자유라디컬, 염증을 유발하는 자극, 발암물질, 톡신, 자외선 등의 자극이 있는 경우, 활성화되어 핵 내로 이동되고, 핵 내에서 세포사멸 억제, 세포변형, 증식, 침윤, 전이 또는 화학적 저항, 염증 등을 일으키는 다양한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한다[Chen., Biochem Biophy Res Comm, 2005, 332:1; Jove et al., Endocrinology, 2005, 146:3087; Dandrona et al., Circulation, 2005, 111:1448; Aggarwal et al., Ann N Y Acad Sci, 2004, 1030:434]. 따라서 NF-κB의 활성을 억제하면 이들 질환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NF-κB의 활성을 IκBα의 분해와 인산화를 통해 확인하였는데, 이는 외부 자극이 없는 상태에서 NF-κB는 세포질 내에서 IκB (inhibitory-κB)라는 억제단백질과 복합체를 형성하고 있다가 세포외 자극이 주어지만 IκB는 인산화에 의해 불활성화되고 분해되며, NF-κB는 IκB로부터 해리하여 핵으로 이동하여 활성형을 띄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실험결과에서는 외부자극인 CpG에 의한 자극이 있는 경우,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처리한 군은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IκB의 분해와 인산화 억제를 통해 NF-κB의 활성을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은 MAPK 패밀리들의 활성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는데, MAPK는 세포외 자극을 세포막에서부터 세포내 핵까지 전달하는 대표적인 신호전달 경로로 잘 알려져 있다. MAPK는 성장호르몬, 사이토카인 및 스트레스 등의 수용체로부터 활성화된 신호를 세포내로 전달하여 세포의 증식, 분화, 사멸 등 다양한 기능을 담당한다. MAPK는 크게 1) ERK(the extracellular signal-activated kinases), 2) JNK(the c-JUN N-terminal kinase), 3) p38 MAPK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ERK(ERK1/2)는 성장호르몬의 신호전달에 주로 관여하며 세포의 증식 및 분화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반면에 스트레스 kinase로 분류되는 p38 MAPK 와 JNK는 이름 그대로 세포외부의 스트레스성 자극에 의해 활성화 되며 염증반응, 면역반응, 세포사멸 등을 매개함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들 MAP kinase 저해제를 이용할 경우, 염증 및 면역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실험 결과들을 토대로, 본 발명은 옥타프로레톨 에이(octaphlorethol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옥타프로레톨 에이(octaphlorethol A) 화합물은 염, 바람직하게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구연산, 초산, 젖산, 주석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타술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염산, 브롬산, 황산 및 인산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옥타프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염증 또는 면역질환의 증상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하며, 상기 조성물에 대해 옥타프로레톨 에이 화합물은 5 μM ~ 25 μM 의 농도 또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7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옥타프로레톨 에이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0.5 ~ 100 mg/day/체중kg, 바람직하게는 0.5 ~ 10mg/day/체중kg이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염증 또는 면역질환의 증상의 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 경로 및 치료기간 등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은 분말, 과립, 정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멸균 주사용액, 멸균 분말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으며, 활성 성분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인자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염증 또는 면역질환의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염증 또는 면역질환의 증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가지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옥타프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염증 또는 면역질환 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염증질환 및 면역질환은 과다 염증반응으로 인해 유발되는 질환으로 신체가 통제되지 않은 염증반응으로 인해, 비특이적 자극에 과다 반응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이러한 과다 염증반응은 질환의 발병과 만성적 고착을 유발하는 병리학적 변화를 야기하는데, 과다활동성 염증 질환의 정의 및 실례는 EP-0 673 646을 참고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옥타프로레톨 에이 화합물은 세포에 대한 독성을 유발하지 않고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아 안정성이 있어 체내에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염증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식품용 조성물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옥타프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염증 및 면역질환 증상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는 식품, 예컨대, 식품의 주원료, 부원료,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또는 음료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상기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염증 및 면역질환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원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빵류,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캔디류, 쵸코렛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 음료,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 스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건강 기능성 식품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서 상기“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기능성 음료를 포함한다. 상기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염증 및 면역질환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술한 것 이외에 본원발명의 염증 및 면역질환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염증 및 면역질환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01중량% 내지 90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40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음료의 경우, 100ml를 기준으로 0.001g 내지 2g, 바람직하게는 0.01g 내지 0.1g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1>
넓패 추출물의 제조 및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의 분리
<1-1> 넓패 추출물의 제조과정
실험재료인 넓패는 제주도 성산포 연안에서 채집하였다. 채집된 넓패를 수세
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동결건조한 후 균질하게 분쇄하였다. 분쇄한 넓패 분말 500g 을 80% 에탄올 12 L에 넣어 상온에서 24시간 추출한 후 필터링을 실시하였다. 넓패 에탄올 추출물은 감압농축기 이용하여 유기용매를 제거 후 DMSO(dimethyl sulfoxide)로 녹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DMSO의 최종 농도는 0.01%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1-2> 분획 과정
상기 넓패 추출물을 헥산 4L, 클로로폼 6L, 에틸아세테이트 8L, 물 2L로 분
획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에서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와 HPLC (ThermoFisher Scientific, USA)시스템을 사용하여 NMR 분석을 한 결과 옥타프로레톨 에이(octaphlorethol A) (도 1 참조) 는 95% 이상의 순도를 가졌다. 또한, 하기 표 1은 옥타프로레톨 에이(octaphlorethol A)의 핵자기공명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2033023480-pat00003
(1H and 13 C NMR data of octaphlorethol A in DMSO-d6 (500 MHz))
< 실시예 2>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의 생물학적 기능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한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에 대하여 항염 활성과 면역조절 활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고, 실험을 위해 사용된 세포 및 시료들은 하기에 기재된 바와 같다.
마우스 준비
마우스는 오리엔트 바이오 사로부터 구입한 C57BL/6 마우스를 사용하였고, 무균장소에서 사육시켰으며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의 지침에 따라 사육하였다. 또한 마우스를 사용한 모든 실험은 제주대학교 실험동물윤리위원회(#2010-0028)의 규정에 따라 수행하였다.
마우스 골수 유래 대식세포 및 수지상 세포 준비
골수 유래 수지상세포(BMDC) 및 대식세포(BMDM)를 야생형 C57BL/6 마우스(Taconic Farm, NY, U.S.A.)로부터 수득하였다. 간략히 말하면, 마우스 정강이뼈 및 대퇴골을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서 플러싱(flushing)함으로써 골수 세포를 수득하였다. 상기 세포들을, 그래뉼로사이트-마크로파지 콜로니-자극인자(GM-CSF)를 함유하는 3% J558L 하이브리도마 세포 배양 상청액으로 보충되어 있는, 10%의 열-비활성화된 FBS(Gibco,NY, U.S.A.), 50 μM β-머캅토에탄올, 2 mM 글루타민을 함유하는 RPMI 1640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또한, 상기 수득한 골수세포들은 대식세포로의 배양을 위해 20% 열처리된 FBS, 마크로파지 콜로니 자극 인자가 함유된 L929 세포 배양액 30%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함유된 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2-1> 옥타플로레톨 에이 ( OPA ) 화합물의 세포독성 테스트
본 발명에 따른 옥타플로레톨 에이 (OPA) 화합물이 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마우스 골수에서 수득한 대식세포와 수지상세포를 5x104 cells의 농도로 96웰 플레이트에 각각 분주하여 1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농도별(0, 1.56, 3.125, 6.25, 12.5, 25, 50)로 이들 세포에 처리하고 18시간 동안 배양한 후, 각 세포들에 대해 0.2mg의 MTT 시약을 처리하고 37℃의 온도에서 4시간 배양한 다음, 세포들을 수집하고 250μl의 DMSO에 용해시킨 다음,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은 대식세포와 수지상세포에 대해 비교적 세포 독성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대식세포를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한 경우(도 1a 참조), 25까지는 세포들이 대부분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지상세포를 대상으로 실험한 경우(도 1b 참조)에는 12.5까지 거의 모든 세포들이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2> 옥타플로레톨 에이 ( OPA ) 화합물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활성분석
옥타플로레톨 에이 (OPA) 화합물이 염증을 유발시키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는 활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앞서 준비된 마우스의 골수로부터 유래한 대식세포와 수지상세포를 48웰 플레이트에 1x105cell/0.5ml의 세포수가 되도록 분주한 후, LPS 또는 CpG 처리 1시간 이전에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각 농도별(0, 1.56, 3.125, 6.25, 12.5, 25, 50)로 처리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을 사용하였으며, LPS는 10ng/ml의 양으로, CpG는 1의 양으로 처리하고 18시간이 흐른 뒤, 세포 배양액을 수득하여 IL-12 p40, IL-6, TNF-α의 발현양을 ELISA(BD PharMingen, CA, USA, R&D system, MN,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LPS에 의해 자극된 대식세포의 경우,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처리한 군에서 염증과 자가면역 질환을 유발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2 p40, IL-6, TNF-α의 생성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도 3a 참조), 이러한 결과는 수지상 세포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도 3b 참조). 또한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 억제효과는 화합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CpG로 자극한 대식세포 및 수지상세포의 실험 결과도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처리한 군에서 IL-12 p40, IL-6, TNF-α의 생성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4a(대식세포) 및 4b(수지상세포) 참조).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은 염증 유발인자인 LPS 및CpG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염증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었다.
<2-3> 옥타플로레톨 에이 ( OPA ) 화합물의 MAPK 인산화, IκBα의 인산화 및 분해 작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본 발명자들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생성시키는 상위 신호전달체계인 MAPK 및 NF-κB의 활성에 옥타플로레톨 에이 (OPA) 화합물이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웨스턴 블럿을 수행하였다. 즉, 대식세포를 4x106 세포수로 60-mm 디쉬에 분주한 후, 24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한 다음, CpG를 처리하기 이전에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25의 농도로 처리한 후, CpG를 18시간 처리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을 사용하였다. 이후 세포들을 수집하여 용리버퍼(PRO-PREP Lysis buffer, iNtRON Biotechnilogy)를 사용하여 세포를 용해시킨 후, 단백질 샘플들을 10%-SDS PAGE에서 전기영동 시킨 다음, polyvinylidene fluoride 멤브레인으로 전기적 이동시킨 다음, 1/1000을 희석된 1차 항체인, phospho-p44/42 (P-ERK1/2), p44/42 MAPK, phospho-p38, p38 MAPK, phospho-SAPK/JNK, SAPK/JNK, phospho-IκBα, 및 IκBα (Cell Signaling Technology,MA,USA) 항체를 처리하여 반응시키고, 멤브레인을 세척한 후 여기에 다시 horseradish peroxidase-linked anti-rabbit IgG(Cell Signaling Technology)을 처리하여 반응시킨 다음, WEST-ZOL plus western blot detection system(iNtRON Biotechnology)을 사용하여 시그널을 확인하였다.
웨스턴 분석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처리한 경우, ERK1/2,JNK1/2 와 p38의 인산화가 강하게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도 5a 참조), 또한,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처리함으로써 IκBα의 분해와 인산화가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5b 참조).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이 CpG로 자극된 대식세포에서 NF-κB의 활성화와 MAPK family의 인산화 억제를 통해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4> 옥타플로레톨 에이 ( OPA ) 화합물의 NF -κB 리포터 활성 억제 분석
NF-κB는 전사 인자로서 활성화가 되면 핵 안으로 이동하여 타겟 분자들이 전사가 일어나도록 프로모터 부위에 결합하는 특징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이 CpG 자극에 의한 NF-κB의 리포터 활성을 억제하는지를 루시퍼라제 어세이를 통해 조사하였는데, 먼저 HEK293T 세포들을 24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밤새도록 배양하였다. 이후 pcDNA3(empty vector)과 murine TLR9을 발현하는 플라스미드인 pcDNA3-mTLR9을 NF-κB 리포터 유전자인 pRLnull(Promega, WI, USA)와 함께 Fugene 6(Roche, UN, USA)을 사용하여 상기 세포들에 각각 형질도입(transfection)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CpG(1)로 세포들을 자극하기 1시간 전에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앞서 실시예에서 기술된 각 농도별로 세포에 처리하였다. 18시간 동안 세포 배양 이후, 세포들을 passive 용해 버퍼(Promega)로 용해시킨 다음, 듀얼 루시퍼라제 리포터 분석 시스템(Promeg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실험은 3번씩 반복 실시하였고 증가된 배수로 결과를 표시하였다.
분석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pcDNA3 플라스미드를 세포에 도입한 경우 CpG 자극에 의한 NF-κB-의존적 루시퍼라제 활성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murine TLR9 발현 플라스미드를 세포에 도입한 군에서는 250배 정도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CpG 자극 이전에 처리한 군들의 경우, murine TLR9 발현 플라스미드를 세포에 도입한 군에서는 NF-κB-의존적 루시퍼라제 활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감소 정도는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의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이 CpG 자극에 의한 TLR9-의존적 NF-κB의 활성을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옥타플로레톨 에이(octaphlorethol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과다발현에 의한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3117519653-pat00004
    .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타플로레톨 에이(octaphlorethol A)는 넓패(Ishigesinicola)의 에탄올 추출물을 다시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수득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과다발현에 의한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타플로레톨 에이(octaphlorethol A)는 LPS(Lipopolysaccharide) 또는 CpG로 자극된 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s)의 생성 억제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과다발현에 의한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타플로레톨 에이(octaphlorethol A)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7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과다발현에 의한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 질환은 미생물의 감염에 의한 전신성 염증 반응 또는 내독소 쇼크 (endotoxic shock) 증상을 보이는 패혈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과다발현에 의한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질환은 과다 염증으로 인해 유발되는 자가면역질환으로서, 원형탈모증,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천식,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대장염, 치질,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 열, 루푸스, 섬유근통 (fibromyalgia),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및 다발성 경화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과다발현에 의한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옥타플로레톨 에이(octaphlorethol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과다발현에 의한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화학식]
    Figure 112013117519653-pat00005
    .
  9. 제1항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과다발현에 의한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치료용 약제.
KR1020120043174A 2012-04-25 2012-04-25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04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174A KR101404257B1 (ko) 2012-04-25 2012-04-25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174A KR101404257B1 (ko) 2012-04-25 2012-04-25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141A KR20130120141A (ko) 2013-11-04
KR101404257B1 true KR101404257B1 (ko) 2014-06-05

Family

ID=49850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174A KR101404257B1 (ko) 2012-04-25 2012-04-25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2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9601A (ko) * 2003-05-19 2004-12-02 라이브켐 주식회사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신경독성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억제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9601A (ko) * 2003-05-19 2004-12-02 라이브켐 주식회사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신경독성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억제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산업심포지움 발표집, 2011. pp.159-161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산업심포지움 발표집, 2011. pp.159-16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141A (ko) 2013-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7341B1 (ko) 아포-9&#39;&#39;-푸코잔티논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31784B1 (ko) 화학식 1 내지 8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고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20130117491A (ko) 참곱슬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82724B1 (ko) 풀무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510936B1 (ko) 비바리 비단망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 또는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29587B1 (ko) 4-하이드록시-2,3-디메틸-2-노넨-4-올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US11896601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llergic disease including inotodiol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KR20120077928A (ko) 애기땅빈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04257B1 (ko) 옥타플로레톨 에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37476B1 (ko) 청고추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 개선용 조성물
KR101777497B1 (ko) 4-하이드록시-2,3-디메틸-2-노넨-4-올라이드 또는 3-하이드록시-4,7-메가스티그마디엔-9-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190006286A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728977B1 (ko) 모노올레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140142580A (ko) 질려자로부터 분리한 엔-트랜스-로우-카페오일 티라민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18746B1 (ko) 베라트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64121B1 (ko) 섬오갈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78646B1 (ko) 빵 나무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70613B1 (ko) 라티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36045B1 (ko)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34376B1 (ko) 칠피 추출물 중 피세틴 성분을 포함하는 자궁근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678830B1 (ko) 보라성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82320B1 (ko) 잔금분홍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08619A (ko)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세포밖 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KR20210145110A (ko)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51526A (ko) 갯메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