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9549A -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9549A
KR20040099549A KR1020030031567A KR20030031567A KR20040099549A KR 20040099549 A KR20040099549 A KR 20040099549A KR 1020030031567 A KR1020030031567 A KR 1020030031567A KR 20030031567 A KR20030031567 A KR 20030031567A KR 20040099549 A KR20040099549 A KR 20040099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fuel
neck pipe
door sealing
sealing c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1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천규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1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9549A/ko
Publication of KR20040099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54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일단은 연료탱크쪽으로 연결되고 타단에는 연료주입을 위한 주입구(4a)가 구비된 필러넥파이프(4)와; 상기 주입구(4a)에 의해 관통된 일단은 필러넥파이프(4)의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필러넥파이프(4)와 결합되고,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을 관통하는 타단은 그 외주면이 상기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의 관통부와 서로 결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필러도어실링캐치(20)와; 리어쿼터인너패널(11)과 중첩을 이루는 부위이면서 상기 필러넥파이프(4)쪽으로 결합되기 위해 필러도어실링캐치(20)의 일단이 관통되는 관통부는 상기 필러도어실링캐치(20)의 외주면과 결합되고, 상기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을 향하는 선단부는 상기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과 면접합되면서 결합되는 연료필러하우징(30)과; 상기 연료필러하우징(30)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의 관통구멍(1a)을 개폐시키는 연료필러도어(3)와; 상기 필러넥파이프(4)의 주입구(4a)를 개폐시키는 필러넥파이프캡(5);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져, 작업성의 향상을 통해 생산성이 증대되게 되고, 중량과 제조원가의 절감이 이룩되며, 더불어 필러넥파이프(4)의 내식성(耐蝕性)이 우수해 지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구조{refueling parts structure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성 및 생산성의 향상을 이룩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작업공정수의 단축과 제조원가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게 되고, 내식성(耐蝕性)이 우수한 필러넥파이프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인 내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연료를 주입하는 부위를 연료주입부라 일컫는 바, 상기의 연료주입부는 외관미의 향상을 위해 차체로부터 돌출되지 않아야 하며, 또한 연료의 주입작업이 편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즉, 종래의 연료주입구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의 소정부위에는 통상 원형의 관통구멍(1a)이 형성되며, 밥그릇과 같이 오목하게 형성된 연료필러하우징(2)은 상기 관통구멍(1a)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그 선단의 테두리면이 상기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의 안쪽면과 면접합됨으로써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료필러하우징(2)에는 힌지회전되면서 상기 관통구멍(1a)을 개폐시키는 연료필러도어(3)가 결합됨은 더불어, 상기 연료필러도어(3)의 힌지부(3a)와 대향되는 상기 연료필러하우징(2)에는 연료필러도어(3)의 밀폐시 이를 지지하여 주는 도어스톱퍼(2a)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연료탱크로부터 연결되는 필러넥파이프(4)의 주입구(4a)는 상기 연료필러하우징(2)의 바닥면(2b)을 관통하여 그 일정부분이 연료필러하우징(2)내에 위치되도록 돌출되며, 상기 연료필러하우징(2)내에 위치되도록 돌출된 필러넥파이프(4)의 주입구(4a)에는 통상 나사방식으로 회전되면서 체결과 분리가 이루어지는 필러넥파이프캡(5)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연료필러하우징(2)의 바닥면(2b)에 대해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파이프플랜지(6)는 상기 필러넥파이프(4)에 의해 관통되어 주입구(4a)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외주면에서 용접(브레이징 용접 또는 CO2용접)을 통해 결합되는데, 상기 파이프플랜지(6)는 필러넥파이프(4)의 주입구(4a)가 연료필러하우징(2)의 바닥면(2b)을 관통할 때 차체의 내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연료필러하우징(2)의 바닥면(2b)과 서로 중첩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플랜지(6)에는 다수개의 용접너트(7)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용접너트(7)에는 연료필러하우징(2)과 파이프플랜지(6)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체결볼트(8)가 일대일 결합되며, 이와 같은 볼트/너트의 결합에 의해 상기 연료필러하우징(2)과 파이프플랜지(6)가 결합되고, 결과적으로는 상기 연료필러하우징(2)과 필러넥파이프(4)가 결합을 이루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미설명부호 9는 연료필러도어(3)의 밀폐작동시 이를 구속하는 도어캐치(9)를 나타낸 것이며, 또한 상기의 연료필러하우징(2)에는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드레인호스(drain hose)의 일단이 결합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종래의 연료주입부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필러넥파이프(4)와 파이프플랜지(6)를 용접작업을 통해 서로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용접작업시에는 보통 1500℃ 이상의 고열이 필러넥파이프(4)로 전달되게 되고, 상기 필러넥파이프(4)는 고열로 인해 소성변형을 일으키면서 그 조직력이 점차적으로 약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조직력의 약화는 결국 필러넥파이프(4)의 내식성(耐蝕性)을 약화시키는 단점으로 작용을 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연료주입부 구조는 상기 필러넥파이프(4)와 파이프플랜지(6)의 결합이 용접작업을 통해서만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작업성이 나쁘고 아울러 생산성을 둔화시키는 문제점으로도 작용을 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연료필러하우징 및 필러넥파이프와 각각 단순히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필러도어실링캐치를 이용하여 상기 연료필러하우징과 필러넥파이프가 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의 향상으로 생산성의 증대를 이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료필러하우징과 필러넥파이프의 결합시 용접작업을 배제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필러넥파이프가 고열로 인해 조직력이 약화되는 것을 미리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내식(耐蝕)에 대해 우수한 성능을 가질 수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 용접작업시 수반되는 작업공정수의 단축 및 제조원가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료주입부 구조는, 일단은 연료탱크쪽으로 연결되고 타단에는 연료주입을 위한 주입구가 구비된 필러넥파이프와; 상기 주입구에 의해 관통된 일단은 필러넥파이프의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필러넥파이프와 결합되고,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을 관통하는 타단은 그 외주면이 상기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의 관통부와 서로 결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필러도어실링캐치와; 리어쿼터인너패널과 중첩을 이루는 부위이면서 상기 필러넥파이프쪽으로 결합되기 위해 필러도어실링캐치의 일단이 관통되는 관통부는 상기 필러도어실링캐치의 외주면과 결합되고, 상기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을 향하는 선단부는 상기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과 면접합되면서 결합되는 연료필러하우징과; 상기 연료필러하우징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의 관통구멍을 개폐시키는 연료필러도어와; 상기 필러넥파이프의 주입구를 개폐시키는 필러넥파이프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종래 연료주입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선 부분단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주입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연료주입부의 구조를 구성하는 필러도어실링캐치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필러도어실링캐치에 결합되는 인너스프링과 아우터스프링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 1a - 관통구멍
4 - 필러넥파이프 4a - 주입구
5 - 필러넥파이프캡 10 - 필러도어실링캐치
20 - 필러도어실링캐치 21 - 주입구구멍
22 - 주유건구멍 23 - 제1결합홈
24 - 제1고정돌기 25 - 제2결합홈
26 - 제2고정돌기 27 - 제1스프링홈
28 - 제2스프링홈 30 - 연료필러하우징
41 - 인너스프링 42 - 아우터스프링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주입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주입부 구조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필러넥파이프(4)와, 필러도어실링캐치(20)와, 연료필러하우징(30)과, 연료필러도어(3) 및, 필러넥파이프캡(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의 필러넥파이프(4)는 그 일단이 연료탱크쪽으로 연결되고, 타단에는 연료주입을 위한 주입구(4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의 필러도어실링캐치(20)는 그 일단이 상기 주입구(4a)에 의해 관통되어 필러넥파이프(4)의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필러넥파이프(4)와 결합되고, 반대측의 타단은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을 관통하면서 그 외주면이 상기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의 관통부와 서로 결합을 이루면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의 연료필러하우징(30)은 그 일단이 리어쿼터인너패널(11)과 중첩을 이루는 부위인데, 이 중첩부위는 상기 필러도어실링캐치(20)의 일단이 필러넥파이프(4)쪽으로 결합되기 위해 관통되며, 이 관통부가 상기 필러도어실링캐치(20)의 외주면과 서로 결합됨으로써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연료필러하우징(30)의 반대측 타단은 상기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을 향하는 선단부로서, 이 선단부는 상기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과 면접촉되면서 용접을 통해 서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의 연료필러도어(3)는 상기 연료필러하우징(30)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의 관통구멍(1a)을 개폐시키는 구조로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의 필러넥파이프캡(5)은 상기 연료필러하우징(2)내에 위치된 필러넥파이프(4)의 주입구(4a)와 통상 나사방식으로 회전을 통해 서로 체결되거나 또는 분리가 이루어지면서 상기 주입구(4a)를 개폐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필러도어실링캐치(2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러넥파이프(4)의 주입구(4a)가 삽입되는 주입구구멍(21) 및 주유건의 삽입을 위한 주유건구멍(22)이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구멍(21)이 형성되는 일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리어쿼터인너패널(11) 및 연료필러하우징(30)의 관통부가 함께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제1결합홈(23) 및 제1고정돌기(24)가 형성되며, 상기 주유건구멍(22)이 형성되는 타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의 관통부가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제2결합홈(25) 및 제2고정돌기(26)가 형성되는 바,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상기 필러도어실링캐치(20)는 통상 고무(rubber)를 이용하여 성형함으로써 만들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또한 완성품의 필러도어실링캐치(20)는 일정한 탄력을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필러도어실링캐치(20)에 형성된 주입구구멍(21)의 직경(D1)은 상기 주입구(4a)의 직경(D2)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바, 이와 같이 주입구구멍(21)의 크기가 주입구(4a)의 크기에 비해 작게 형성되면 상기 필러넥파이프(4)의 주입구(4a)가 필러도어실링캐치(20)의 내부에 위치될 때 상기 주입구구멍(21)의 둘레면이 필러넥파이프(4)의 외주면으로 압착되면서 탄력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상기 필러넥파이프(4)와 필러도어실링캐치(20)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역할로서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러도어실링캐치(20)는 상기 제1결합홈(23)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스프링홈(27)과 상기 제2결합홈(25)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스프링홈(28)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스프링홈(26)과 상기 제2스프링홈(28)에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방향으로 개구된 타원형의 인너스프링(41) 및 아우터스프링(42)이 각각 설치된다.
한편, 상기의 인너스프링(41)과 아우터스프링(42)은 서로의 크기가 상이한데, 이 이유는 상기 필러도어실링캐치(20)에 형성된 제1스프링홈(26) 및 제2스프링홈(28)의 크기와 비례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이며, 통상적으로는 상기 아우터스프링(42)이 인너스프링(41)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료필러도어(3)가 회전되면서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의 관통구멍(1a)을 밀폐시킬 때, 상기의 연료필러도어(3)는 그 안쪽면이 상기 주유건구멍(22)이 형성된 필러도어실링캐치(20)의 타단부와 접촉되면서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구성되는 연료주입부의 구조는, 필러넥파이프(4)와 연료필러하우징(30)의 결합이 필러도어실링캐치(20)를 통해 이루어지며, 또한 서로의 결합방법은 단순히 끼움결함을 통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작업자의 편의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되는 잇점이 있게 되며, 이와 같은 작업성의 향상으로 인해 생산성의 증대에도 크게 이바지 할 수 있는 잇점도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주입부의 구조를 도 1과 도 2를 참조로 전술한 종래의 구조와 비교하여 볼 때, 종래의 구조에서 사용하던 파이프플랜지(7)를 제거할수 있다는 잇점이 있게 되고, 결국에는 중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 및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파이프플랜지(7)의 제거가 이루어지면 이에 수반되는 불필요한 용접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며, 이는 용접작업시 발생되는 고열로 인해 상기 필러넥파이프(4)의 조직력이 약화되는 결점을 미리 예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본 발명의 구조를 이루는 필러넥파이프(4)는 내식(耐蝕)에 대해 우수한 성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용접작업시 수반되는 작업공정수를 단축시킬 수 있게되고, 이에 따라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도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필러넥파이프와 연료필러하우징이 고무재질로 된 필러도어실링캐치를 통해 결합디어져, 작업성의 향상을 통해 생산성이 증대되게 되고, 중량과 제조원가의 절감이 이룩되며, 더불어 필러넥파이프의 내식성(耐蝕性)이 우수해 지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6)

  1. 일단은 연료탱크쪽으로 연결되고 타단에는 연료주입을 위한 주입구(4a)가 구비된 필러넥파이프(4)와;
    상기 주입구(4a)에 의해 관통된 일단은 필러넥파이프(4)의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필러넥파이프(4)와 결합되고,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을 관통하는 타단은 그 외주면이 상기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의 관통부와 서로 결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필러도어실링캐치(20)와;
    리어쿼터인너패널(11)과 중첩을 이루는 부위이면서 상기 필러넥파이프(4)쪽으로 결합되기 위해 필러도어실링캐치(20)의 일단이 관통되는 관통부는 상기 필러도어실링캐치(20)의 외주면과 결합되고, 상기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을 향하는 선단부는 상기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과 면접합되면서 결합되는 연료필러하우징(30)과;
    상기 연료필러하우징(30)에 힌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의 관통구멍(1a)을 개폐시키는 연료필러도어(3)와;
    상기 필러넥파이프(4)의 주입구(4a)를 개폐시키는 필러넥파이프캡(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도어실링캐치(20)에는 필러넥파이프(4)의 주입구(4a)가 삽입되는 주입구구멍(21) 및 주유건의 삽입을 위한 주유건구멍(22)이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구멍(21)이 형성되는 일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리어쿼터인너패널(11) 및 연료필러하우징(30)의 관통부가 함께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제1결합홈(23) 및 제1고정돌기(24)가 형성되며, 상기 주유건구멍(22)이 형성되는 타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의 관통부가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제2결합홈(25) 및 제2고정돌기(2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도어실링캐치(20)는 고무로 만들어져 탄력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구멍(21)의 직경(D1)은 상기 주입구(4a)의 직경(D2)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필러넥파이프(4)의 주입구(4a)가 필러도어실링캐치(20)의 내부에 위치될 때 필러넥파이프(4)의 외주면으로 압착되면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구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도어실링캐치(20)는 상기 제1결합홈(23)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스프링홈(27)과 상기 제2결합홈(25)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스프링홈(28)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스프링홈(26)과 상기 제2스프링홈(28)에는 일측방향으로 개구된 타원형의 인너스프링(41) 및 아우터스프링(42)이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필러도어(3)가 회전되면서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의 관통구멍(1a)을 밀폐시킬 때 상기 연료필러도어(3)의 안쪽면은 상기 주유건구멍(22)이 형성된 필러도어실링캐치(20)의 타단부와 접촉되면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구조.
KR1020030031567A 2003-05-19 2003-05-19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구조 KR200400995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567A KR20040099549A (ko) 2003-05-19 2003-05-19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567A KR20040099549A (ko) 2003-05-19 2003-05-19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549A true KR20040099549A (ko) 2004-12-02

Family

ID=37377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1567A KR20040099549A (ko) 2003-05-19 2003-05-19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95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167B1 (ko) * 2008-04-25 2009-1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 주입구 하우징 및 쿼터 인너 패널
WO2015076898A1 (en) * 2013-11-19 2015-05-28 Illinois Tool Works Inc. A fuel filler assembly for a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167B1 (ko) * 2008-04-25 2009-1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 주입구 하우징 및 쿼터 인너 패널
WO2015076898A1 (en) * 2013-11-19 2015-05-28 Illinois Tool Works Inc. A fuel filler assembly for a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7604B2 (en) Fuel shut-off valve assembly with associated compone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assembling the same
US6454891B1 (en) Spin weld assembly
KR20040099549A (ko)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구조
JP2004502914A (ja) ユニットの密封装置
FR3016825A1 (fr) Procede de realisation d&#39;un element de garnissage par soudage d&#39;un element structurel et d&#39;un element fonctionnel
JP3909887B2 (ja) 燃料タンクのパイプ接続装置
KR100747201B1 (ko) 차량용 연료도어
JPH0230344Y2 (ko)
KR100759535B1 (ko) 연료탱크용 셧 오프 밸브
KR200141671Y1 (ko) 자동차 연료주유 파이프 고정장치
EP1535778B1 (de) Abdeckklappe für die Griffmulde der Heckklappe von Kraftfahrzeugen
KR100187415B1 (ko) 차량용 연료주입구의 누수방지구조
CN206954323U (zh) 电动汽车及其发动机盖
KR100938996B1 (ko) 차수문의 잠금장치 고정구
KR200165262Y1 (ko) 제수변식 버터플라이 밸브
JP3641387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297443Y1 (ko) 볼밸브의 2접촉 금속시트와 탄성시트로 된 복합시트실링장치
KR100220488B1 (ko) 일체형 필러 도어 및 필러 캡 구조
KR100427940B1 (ko) 자동차 연료탱크의 연료캡 구조
KR200153921Y1 (ko) 볼 조인트가 적용된 버스의 도어와 차체 연결구조
KR20050005904A (ko) 자동차용 도어 패널의 결합구조
KR200180688Y1 (ko) 수도꼭지
KR0133840Y1 (ko) 자동차의트림링장착구조
KR101338057B1 (ko) 차량의 펜더패널 리인포스먼트
JP2002081591A (ja) タンク接続部品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