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5299A -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 및 카메라용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 및 카메라용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5299A
KR20040095299A KR10-2004-7014631A KR20047014631A KR20040095299A KR 20040095299 A KR20040095299 A KR 20040095299A KR 20047014631 A KR20047014631 A KR 20047014631A KR 20040095299 A KR20040095299 A KR 20040095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diode
camera
light emitting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4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1568B1 (ko
Inventor
고모리노리유키
나카타니히데히코
아베이치히로
나가토시유시
아리마이후미아키
나카하타신스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5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5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5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optical camera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Abstract

피사체의 동화상을 촬상하는 카메라(13)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 장치(1)에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조광하는 조명 수단(12)과, 조명 수단(12)을 발광시키는 스위치 수단(21)과, 조명 수단(12)부터 방사되는 광을 피사체를 향해서 집광시키는 배광 렌즈와, 배광 렌즈를 보호하기 위한 투명 커버를 조명 수단(12)의 피사체측으로 되는 전면측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휴대 전화 장치(1)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의 요망을 만족한 채로 연속 발광할 수 있는 라이트를 부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 및 카메라용 조명 장치{MOBILE TELEPHONE DEVICE HAVING CAMERA AND ILLUMINATION DEVICE FOR CAMERA}
최근에 들어 정지 화상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가 제품화되고 있지만, 촬상 소자나 렌즈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고, 휴대 전화 장치의 치수도 크게 할 수 없기 때문에, 어두운 장소에서는 피사체의 촬영이 어려웠다. 그 때문에, 어두운 장소에서도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카메라에 사용되고 있는 스트로브(strobe)를 정지 화상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에 내장시키는 것이나, 외부 부착의 스트로브를 정지 화상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에 접속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20622호 공보에는, 스트로브 장치를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의 본체에 내장시키는 경우의 종래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상기 공보에서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의 액정 디스플레이의 상부에 정지 화상카메라의 촬상 소자와 크세논관 등을 이용한 스트로브 장치가 횡일렬로 늘어서서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공보 중에서 나타낸 스트로브 장치에서는, 스트로브 방전관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스트로브 방전관의 후방에 마련된 반사산(反射傘)에 의해 전방에 집광되고, 스트로브 방전관을 보호하기 위해서 전면에 마련된 투명 커버를 투과하여 피사체에 조사된다. 투명 커버는 투광성의 재질로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표면은 평탄하지만 배광을 위한 모양이 형성된다.
스트로브 방전관 및 반사산은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의 주기판에 부착되어 있으며, 스트로브 발광시의 대전류에 의한 발생하는 전자(電磁) 잡음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전자 쉴드 프레임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주기판의 이면에는 스트로브를 발광시키기 위한 충전용으로 대형의 콘덴서가 배치되어 있다.
종래의 스트로브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는, 상기한 각 부재를 이용하여 스트로브 장치를 발광시키는 것에 의해, 스트로브 발광시 전자 잡음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어두운 장소에서도 피사체의 정지 화상을 촬영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크세논관, 반사산, 충전용의 대형 콘덴서 등, 휴대 전화 장치에 사용하는 부품으로서는 비교적 큰 부품을 사용할 필요가 있어, 휴대 전화 장치의 사용자에 의한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의 요망에 반대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휴대 전화 장치의 카메라로서는, 정지 화상뿐만 아니라 동화상도 촬영할 수 있는 비디오 카메라가 알려지게 되었다. 비디오 카메라의 경우에는, 단시간 발광의 스트로브 장치로는 야간 등의 어두운 장소의 촬영에 대응할 수 없기 때문에, 연속 발광하는 라이트가 필요하지만, 종래는 연속 발광 라이트 부착의 휴대 전화 장치는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박형화의 요망이 있기 때문에, 상기한 종래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에 스트로브 장치를 추가하는 경우는, 투명 커버에 근접하여 크세논관 및 반사산을 배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에 스트로브 장치를 추가하면, 크세논관이 시인되기 쉽게 되어 외관상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의 요망을 만족한 채로 연속 발광할 수 있는 라이트를 부가한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는 피사체의 동화상을 촬상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전화 장치로서,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조광하는 조명 수단과, 그 조명 수단을 발광시키는 스위치 수단과, 조명 수단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피사체를 향해서 집광시키는 배광 렌즈와, 그 배광 렌즈를 보호하기 위한 투명 커버를 조명 수단의 피사체측으로 되는 전면측에 마련된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라이트를 마련했다. 이에 의해서,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진행시킬 수 있는 것에 부가하여, 카메라에 의한 동화상 촬영시에 피사체를 라이트로 연속적으로 조명할 수 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의 전면측에 방사되는 광을 피사체를 향해서 집광시키는 배광 렌즈를 마련했다. 이에 의해서,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효율적으로 피사체에 조사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커버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의 사용자에 대하여 시각적 효과를 발생하는 부품의 보호 커버와 일체의 부품으로서 형성하던지, 피사체의 화상 또는 통신 상대의 전화 장치로부터 수신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의 보호 커버와 일체의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이에 의해서, 부품 점수를 줄여 더한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조명 수단은 발광 다이오드를 인쇄 회로 기판상에 직접적으로 부착된다. 이에 의해서,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주위의 광량이 부족한 것을 검출 가능한 광량 검출 수단을 스위치의 전단에 마련하고, 그 광량 검출 수단이 광량의 부족을 검출한 경우의 출력에 의해 스위치를 전환하여 라이트를 자동적으로 점등시킨다. 이에 의해서,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의 사용자는 주위의 광량을 걱정하는 일 없이 화상 송신할 수 있다. 또한, 광량 검출 수단으로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수신 신호 레벨에 의해 광량을 검출하고, 광량이 부족하면 라이트를 자동적으로 점등시킨다. 이에 의해서, 광검출 수단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또한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더욱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배광 렌즈에 발광 다이오드를 부착하기 위한 지지부를 마련했다. 이에 의해서,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더욱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배광 렌즈의 광축과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점의 위치 관계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배광 각도를 작게 하여 집광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설계할 수 있다. 그 결과, 위치 편차에 의한 피사체의 조도 얼룩이 감소하여 피사체의 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투명 커버에 배광 렌즈의 기능을 갖는 볼록 렌즈부를 형성했다. 이에 의해서,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더욱 진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볼록 렌즈면이 마련된 투명 커버와 지지부를 갖는 배광 렌즈를 동시에 마련했다. 이에 의해서,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진행시킬 수 있는 것에 부가하여, 배광에 대하여 발광 다이오드의 개체차, 제조시의 위치 격차 등의 오차를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조명 수단에서 발광 다이오드의 피사체측인 전면측에,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의 광투과율이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의 광투과율보다도 적은 막형상체를 마련했다. 이에 의해서, 발광 다이오드 및 회로 기판을 시인할 수 있기 어렵게 하여 외관상 바람직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조명 수단에서 발광 다이오드의 방사광과 직교하는 면을 갖고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방사하는 광을 투과하는 부품 중, 그 부품 중의 적어도 하나의 직교하는 면에는 광을 확산시키는 광확산부를 구비하고, 그 광확산부를 조명 수단을 구성하는 부품의 한 면 또는 복수 면에 형성한다. 이에 의해서, 발광 다이오드 및 회로 기판을 시인할 수 있기 어렵게 하여 외관상 바람직하게 하는 것에 부가하여,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의 감쇠량을 억제하여 투과율을 향상시키는 것과, 피사체부에서의 조도 분포차를 작게 하는 것으로부터 선택하여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명 수단에서 광을 확산시키는 면이 피사체측에 마련된 광확산판을 발광 다이오드의 전면측에 이용하여 광확산판의 전면에서의 광반사율이 후면에서의 광반사율보다도 크게 되도록 하고, 또한, 내부로부터 외부로 나가는 투과광을 광확산판에서 재차 확산하도록 했다. 또한, 광확산판의 확산면의 표면은 요철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했다. 이에 의해서,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의 감쇠량을 억제하여 투과율을 향상시켜, 발광 다이오드 및 회로 기판을 시인할 수 있기 어렵게 하여 외관상 바람직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광확산판을 발광 다이오드의 광축 부근보다도 주변부의 쪽이 광의 확산 각도가 작아지도록 형성했다. 이에 의해서,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의 감쇠량을 억제하여 투과율을 향상하고, 또한, 피사체부에서의 조도 분포차를 작게 하며, 더불어 발광 다이오드 및 회로 기판을 시인할 수 있기 어렵게 하여 외관상 바람직하게 할 수 있는 것에 부가하여, 광확산판 주변부의 광의 확산량을 감소시켜 촬상 범위 바깥으로 광이 확산하는 양을 적게 하고, 촬상 범위내의 광량을 증가시켜 피사체를 밝게 조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조명 수단인 외장형 라이트에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와 전기적 접속 및 기계적 접속이 가능한 플러그부를 갖고,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 본체에는 플러그부를 탈착 가능하게 접속하는 잭(jack)부를 갖으며, 탈착 가능한 별체로 했다. 이에 의해서, 카메라에 의한 동화상 촬영시에 피사체를 라이트로 연속적으로 조명할 수 있어, 정지 화상 촬영에 부가하여 동화상 촬영시에 주위가 어두운 경우이어도 카메라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것에 부가하여, 또한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더욱 진행시킬 수 있다. 카메라용 조명 장치 단체로서는, 상기한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에서의 조명 수단의 구성을 갖고, 또한,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에서의 조명 수단의 잭부와 전기적 접속 및 기계적 접속이 가능한 플러그부를 갖는다. 이에 의해서, 조명 장치(외장형 라이트)가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와는 탈착 가능한 별체로 되어 카메라에 내장시킬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카메라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진행시키는 수 있고, 조명 장치의 유지 보수나 교환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조명 수단에서 광을 확산시키는 면이 발광 다이오드측에 마련된 광확산판을 발광 다이오드의 전면측에 마련한다. 이에 의해서, 피사체부에서의 조도 분포차를 작게 하고, 발광 다이오드 및 회로 기판을 시인할 수 있기 어렵게 하여 외관상 바람직하게 할 수 있다. 조명 수단은 광을 확산시키는 면을 광확산판의 발광 다이오드측에 부가하여, 광확산판의 피사체측(발광 다이오드의 전면측)에 마련했다. 이에 의해서, 피사체부에서의 조도 분포차를 작게 할 수 있는 것에 부가하여, 외부광이 진입시와 반사시의 쌍방에 있어서 확산면에서 확산되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가 소등하고 있는 경우에는 발광다이오드 및 회로 기판 등의 내부의 부품을 외부로부터 보다 시인할 수 있기 어렵게 하여 외관상 바람직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조명 장치에서 인쇄 회로 기판의 발광 다이오드가 부착되는 면의 적어도 그 발광 다이오드의 주변부에 고 반사율의 평활 표면을 갖는 반사부를 마련했다. 이에 의해서,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의 감쇠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광 렌즈, 투명 커버 등의 표면에서 발광 다이오드측에 반사한 광을 재차 피사체측으로 반사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배광 렌즈, 투명 커버 등의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사체에 방사되는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피사체의 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반사부는 인쇄 회로 기판상에 인쇄 수법에 의해 형성되던지, 고반사율의 표면을 갖는 막형상체를 인쇄 회로 기판상에 고정하여 형성되며, 반사부의 피사체측의 표면에는 광확산용의 요철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피사체부에서의 조도 분포차를 작게 하고, 발광 다이오드 및 회로 기판을 시인할 수 있기 어렵게 하여 외관상 조명 장치의 배광 특성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으며, 광확산판을 박형화 또는 불필요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더욱 진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조명 장치의 인쇄 회로 기판의 발광 다이오드가 부착되는 면의 적어도 그 발광 다이오드를 둘러싸도록 고반사율의 구조체를 반사부로서 마련하고, 그 반사부는 발광 다이오드의 측면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서, 피사체측의 표면을 고반사율로 한 구조체를 인쇄회로 기판상에 고정하여 형성했다. 또한, 반사부의 구조체는 고반사율인 백색, 황색, 은색 또는 금색의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하던지, 적어도 피사체측의 표면을 고반사율인 백색, 황색, 은색 또는 금색으로 도장하던지, 적어도 피사체측의 표면에 금속의 피막을 증착 또는 도착(塗着)시킨다. 이에 의해서,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의 감쇠량을 반사부를 마련한 경우보다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인쇄 회로 기판상에 반사부를 마련한 경우보다도 보다 짧은 광로로, 배광 렌즈, 투명 커버 등의 표면에서 발광 다이오드측에 반사한 광을 재차 피사체측에 반사할 수 있기 때문에, 배광 렌즈, 투명 커버 등의 투과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사체에 방사되는 광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피사체의 조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체 촬상 소자에 의해 동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전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야간 등 조도가 부족한 경우에 사용되는 조명 수단을 마련한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의 외관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라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라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라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라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라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하고 있는 경우의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출사한 광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라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인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의 외관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의 라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의 라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실시예 6의 광확산판에서의 확산면이 피사체측의 경우와, 실시예 9의 광확산판에서의 확산면이 광원측의 경우의 상고(像高)(%:가로축)와 조도비(%:세로축)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실시예 9의 상고를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의 라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의 라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의 라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구조체의 개략적인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확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확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확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확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3의 라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3의 확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4의 라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4의 확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4의 확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나타낸 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의 외관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同)도면에서, 1은 본 실시예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의 전체를 나타내고, 11은 휴대 전화 장치의 하우징(筐體)을 나타내고, 12는 고휘도로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연속하여 조광하는 라이트(비디오 라이트)를 나타낸다. 13은 CCD 등의 촬상 소자와 광학 렌즈를 갖고서 정지 화상에 부가하여 동화상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이다. 14는 조작 정보, 문자 정보, 또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는 액정 등의 디스플레이(표시 수단)이다. 15는 전화 번호, 문자, 화상 데이터의 지정, 선택을 실행하는 입력키(버튼) 그룹으로서, 조명 수단(12)을 발광(온)시키는 조광 스위치(스위치 수단)를 포함하고 있다. 16은 무선에 의해 음성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시하는 안테나이고, 17은 휴대 전화 장치의 스피커 등의 음성 출력 구멍이고, 18은 마이크로폰 등의 음성 입력 구멍이다. 21은 조명 수단인 라이트(12)를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휴대 전화 장치의 하우징(11)은 일반적으로 세로 길이의 바(bar) 형상, 또는 사용시에는 오픈, 대기시에는 2중으로 접는 폴더(folder) 형상이지만, 도 1에서는 바 형상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바 형상인 경우에는 전면 중앙부의 위쪽에 디스플레이(14)가 배치되고, 폴더 형상인 경우에는 접히는 내면의 한쪽에 디스플레이(14)가 배치되고, 다른 쪽에 입력키 그룹(15)이 배치된다.
디스플레이(14)의 위쪽에는 카메라(13)와 라이트(12)가 근방이 되도록 가로로 늘어서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13)와 라이트(12)는 라이트 발광시에 피사체에 부자연스러운 그림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근접하여 마련된다.
도 2는 도 1의 라이트(12)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동도면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11은 휴대 전화 장치(1)의 하우징이고, 12는 라이트이다. 31은 전자 회로용의 회로 기판으로서, 통상은 휴대 전화 장치의 주회로 기판이다. 32는 고휘도로 발광함으로써 피사체를 조광하는 발광 다이오드(조명 수단)로서, 발광색으로서는 백색이 이용된다. 본 실시예 1에서는, 백색광의 발광 다이오드(32)가 회로 기판(31)상에 직접적으로, 또한, 발광 다이오드(32)의 광축 AX1이 회로 기판(31)에 수직으로 되도록 설치된다.
33은 발광 다이오드(32)로부터 약 60°정도로 확산하면서 방사되는 광을 피사체를 향해서 집광(방사 각도를 감소시켜 직진 광량을 많게)하기 위해서 볼록 렌즈 형상을 갖는 배광 렌즈이다. 배광 렌즈(33)는 발광 다이오드(32)로부터 확산하면서 방사되는 광이 카메라의 촬상 범위 안으로 모이도록, 발광 다이오드(32)의 광축 AX1과 중심을 일치시켜 발광 다이오드(32)의 피사체측으로 되는 전면측에 마련된다. 배광 렌즈(33)의 렌즈 형식은 프레넬 렌즈(fresnel lens), 실린드리컬 렌즈(cylinderical lens) 등 임의의 형상의 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
34는 배광 렌즈(33)나 발광 다이오드(32) 등의 내부 부품을 보호하기 위해서, 하우징(11)의 개구부에 마련되는 투명 커버이다. 투명 커버(34)는 배광 렌즈(33)의 외측에, 발광 다이오드(32)로부터 출사되어 피사체를 향하는 광이 전부 투과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투명 커버(34)는 하우징(11)의 개구부에 감합(嵌合) 또는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투명 커버(34)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의 사용자에 대하여 시각적 효과를 발생하는 부품, 예를 들면 착신 표시 라이트나, 시계, 의장적인 장식 부품 등의 보호 커버, 또는, 피사체의 화상 또는 통신 상대의 전화 장치로부터 수신한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창 등의 표시 수단의 보호 커버와 일체의 부품으로서 형성해도 된다. 또한, AX1은 발광 다이오드(32)로부터 방사되는 백색광의 광축이다.
발광 다이오드(32)는 종래의 정지 화상용에 사용되고 있었던 크세논관과 비교하여 소형 경량이므로,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배광 렌즈(33)도, 예를 들면 수지 렌즈 등을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크세논관의 방사광을 집광하는 반사산보다도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가 가능하다. 종래의 크세논관에서는 관부의 전주위로부터 광이 조사되기 때문에 반사산이 이용되지만, 발광 다이오드(32)의 경우에는 광의 방사가 약 60°정도의 방사 각도이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32)의 광축 AX1에 중심을 일치시켜 배광 렌즈(33)를 배치하는 것만으로 된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32)는 크세논관과 같이 대형의 충전용 콘덴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32)는 크세논관과 같이 고전류를 방전시키는 것에 의한 발열이 없기 때문에, 발열량이 적어져 배광 렌즈(33)를 발광 다이오드(32)에 접근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발광 다이오드(32)와 배광 렌즈를 접촉시키켜도 문제는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나타낸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더한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추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발광 다이오드(32)를 이용한 라이트(12)의 경우에는, 피사체를 조사 가능한 거리는 50㎝ 정도이기 때문에, 광량으로서는 1~2m 정도의 조사 가능한 거리를 갖는 크세논관보다도 적어진다. 그러나, 크세논관에서는 연속 발광 불가능하고, 사용자 자신 또는 사용자와 늘어선 2~3명의 촬영용으로서는 충분한 조도를 얻을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라이트(12)가 부착된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1)의 사용자가 자기 자신의 화상을 촬영하여 상대에게 송신하는 경우에는, 입력키 그룹(15)을 조작하여 카메라(13)를 동작시켜 사용자를 촬영함으로써, 상대로의 화상 송신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에, 만약 사용자의 주위가 어둡기 때문에 송신되는 화상이 어둡게 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라이트(12)의 스위치(21)를 온시킴으로써 라이트(12)로부터 방사된 광이 사용자의 안면을 조사하기 때문에, 밝은 화상을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라이트(12)를 디스플레이(14)의 위쪽으로 카메라(13)의 옆에 늘어섰지만, 라이트(12)는 카메라(13)의 근방에 마련되면 무방하며, 예를 들면 카메라(13)에 대하여 세로 위치의 근방이나, 경사 위치의 근방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라이트(12), 카메라(13)와, 액정 표시창 등의 표시 수단의 위치 관계는 임의의 위치 관계이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라이트(12)와 카메라(13)를 디스플레이(14)와 동일한 면에 마련하는 경우에 대해서 나타냈지만,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4)의 이면측에 마련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회로 기판(31)상에 직접적으로, 또한, 광축 AX1이 회로 기판(31)에 수직으로 되도록 발광 다이오드(32)를 이용한 라이트(12)를 마련했기 때문에,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진행시킬 수 있는 것에 부가하여, 카메라(13)에 의한 동화상 촬영시에 피사체를 라이트(12)로 연속적으로 조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정지 화상 촬영시에 주위가 어두운 경우에 부가하여, 동화상 촬영시의 주위가 어두운 경우이어도 카메라(13)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발광 다이오드(32)의 전면측에 방사되는 광을 피사체를 향해서 집광시키는 배광 렌즈(33)를 마련했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32)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효율적으로 피사체에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21)의 전단에 광센서 등의 광량 검출 수단을 마련하고, 그 광량 검출 수단에 의해 주위의 광량을 검출시켜, 광량 검출 수단이 광량의 부족을 검출한 경우의 출력에 의해 스위치(21)를 전환함으로써, 라이트(12)를 자동적으로 점등시킬 수 있다. 또한, 광량 검출 수단으로서 카메라(13)를 이용하여 카메라(13)에서 촬영한 피사체의 수신 신호 레벨로부터 광량을 검출하고, 광량이 부족한 경우에 라이트(12)를 자동적으로 점등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1)의 사용자는 주위의 광량을 걱정하는 일 없이 화상 송신할 수 있고, 광검출 수단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광검출 수단을 삭제할 수 있고, 또한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더욱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투명 커버(34)를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1)의 사용자에 대하여 시각적 효과를 발생하는 부품의 보호 커버와 일체의 부품으로서 형성하던지, 피사체의 화상 또는 통신 상대의 전화 장치로부터 수신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의 보호 커버와 일체의 부품으로서 형성하는 경우에는, 다른 부품과 부품이 공용되는 것으로 되어 부품 점수를 줄일 수 있고, 소형화, 경량화, 박형화 및 비용 절감을 진행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상기한 실시예 1에서는 발광 다이오드(32)와 투명 커버(34)의 사이에 배광 렌즈(33)를 배치했지만, 배광 렌즈(33)를 소정의 배치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부재를 사용해야 했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 2에서는 별도의 부재를 불필요로 하기 때문에, 배광 렌즈를 발광 다이오드(32)에 고정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라이트(12)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 2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1) 전체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1을 이용한다.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상위점은, 본 실시예의 배광 렌즈(39)에서는 렌즈부(39a)의 하부(발광 다이오드(32)측)에, 발광 다이오드(32)에 부착하여 배광 렌즈(39)를 지지하는 지지부(지지 수단)(39b)를 갖는 점이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배광 렌즈(39)에 발광 다이오드(32)에 부착하기 위한 지지부(39b)를 마련했기 때문에, 실시예 1보다도 더한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배광 렌즈(39)의 광축과 발광 다이오드(32)의 발광점의 위치 관계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배광 각도를 작게 하여 집광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설계할 수 있다. 그 결과, 위치 편차에 의한 피사체의 조도 얼룩이 감소하여 피사체의 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상기한 실시예 1 및 2에서는 발광 다이오드(32)와 투명 커버(34)의 사이에 배광 렌즈(33)또는 배광 렌즈(39)를 배치했기 때문에, 배광 렌즈(33 또는 39)만큼의 공간, 중량 및 두께와, 투명 커버(34)만큼의 공간, 중량 및 두께가 휴대 전화장치에 필요했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 3에서는, 투명 커버의 형상에 대하여 배광 렌즈의 집광 기능을 갖도록 볼록 렌즈면을 형성함으로써 배광 렌즈를 불필요로 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라이트(12)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 3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1) 전체의 구성도 실시예 1 및 2와 마찬가지로 도 1을 이용한다.
실시예 3과 실시예 1의 상위점은,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 커버(41)의 적어도 한 면에는 배광 렌즈의 기능을 갖도록 볼록 렌즈 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투명 커버(41)의 볼록 렌즈 형상의 중심은 발광 다이오드(32)의 광축 AX1과 일치되고, 볼록 렌즈의 형상으로서는 프레넬 렌즈, 실린드리컬 렌즈 등의 임의의 렌즈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투명 커버(41)의 볼록 렌즈 형상을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1)의 외측에만 형성함으로써, 하우징(11)의 박형화를 더욱 진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 커버(41)에 배광 렌즈의 기능을 갖는 볼록 렌즈부를 형성했기 때문에, 실시예 1 및 2보다도 더한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진행시킬 수 있다.
(실시예 4)
상기한 실시예 1~3에서는 1개의 배광 렌즈, 또는 볼록 렌즈부를 갖는 1개의 투명 커버를 사용하고 있었다. 여기서, 발광 다이오드(32)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조사 방향에는 개체차가 있으며, 또한, 발광 다이오드(32)는 회로 기판(31)상에서 광축 AX1이 회로 기판(31)에 수직으로 되도록 설치되지만, 회로 기판(31)상의 위치 어긋남 등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피사체에는 조도 얼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 4에서는, 실시예 2에서 설명한 발광 다이오드(32)에 부착하는 배광 렌즈(39)를 발광 다이오드(32)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조사 방향의 조정에 이용하여, 실시예 1 또는 3에 나타낸 배광 렌즈를 별개로 마련함으로써, 배광에 대해서의 발광 다이오드의 개체차, 제조시의 위치 편차 등의 오차를 흡수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실시예 4와 실시예 3의 상위점은,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낸 실시예 2의 배광 렌즈(39)가 도 4의 실시예 3의 구성에 추가되어 있는 점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4의 집광 기능을 갖는 볼록 렌즈면이 마련된 투명 커버(41)와, 도 3의 지지부(39b)를 갖는 배광 렌즈(39)가 동시에 마련되는 점이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투명 커버(41)에 마련되는 볼록 렌즈면과, 배광 렌즈(39)의 렌즈부(39a)의 각각의 곡율은 2개의 렌즈를 사용함으로써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2개 사용에 의한 광축 AX1 방향의 종합적인 치수 증가는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볼록 렌즈면이 마련된 투명 커버(41)와 지지부(39b)를 갖는 배광 렌즈(39)를 동시에 마련했기 때문에,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진행시킬 수 있는 것에 부가하여, 배광에 대해서의 발광 다이오드의 개체차, 제조시의 위치 편차 등의 오차를 흡수할 수 있다.
(실시예 5)
종래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에서는 스트로브 장치의 크세논관이 시인 가능하여 외관상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지만,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도 휴대 전화 장치의 외부로부터 투명 커버 및 배광 렌즈를 투과하여 하우징(11) 내부의 발광 다이오드(32) 및 회로 기판(31)을 시인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외관상 바람직하다고 말할 수 없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 5에서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라이트(12)에, 예를 들면 하프 미러(half mirror) 필름과 같은 광투과율이 광의 투과 방향에 의해 상이한 막형상체를 추가함으로써, 라이트(12)의 조사 능력의 감소량을 억제하면서 외부로부터 하우징(11) 내부의 발광 다이오드(32) 및 회로 기판(31)을 시인할 수 없게 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라이트(12)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 5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1) 전체의 구성도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1을 이용한다.
본 실시예 5와 실시예 1의 상위점은,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 다이오드(32)와 배광 렌즈(33) 사이에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의 광투과율이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의 광투과율보다도 적은 막형상체(51)가 마련되어 있는 점이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휴대 전화 장치(1)의 외부로부터 투명 커버(34) 및 배광 렌즈(33)를 투과한 외광 OL1은 막형상체(51)에서 비교적 많이 감쇠(감광)한다. 그 때문에, 외광 OL1이 발광 다이오드(32) 및 회로 기판(31)에서 반사되는 광도 줄어, 그 반사광은 휴대 전화 장치(1)의 외부로 거의 출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32)가 소등하고 있는 경우에는, 하우징(11)의 외부에서 보아 발광 다이오드(32) 및 회로 기판(31)의 주변은 어두워져 시인하는 것은 어려워진다.
한편, 발광 다이오드(32)가 점등하고 있는 경우, 발광 다이오드(32)로부터 출사한 광은 막형상체(51)에서는 비교적 감쇠하지 않기 때문에, 피사체에 대하여 양호한 광량의 조사광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막형상체(51)를 일례로서 발광 다이오드(32)와 배광 렌즈(33) 사이에 마련했지만, 예를 들면 배광 렌즈(33)와 투명 커버(34) 사이에 마련해도 무방하다. 또한, 막형상체(51)는 실시예 1~4 중 어느 하나와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의 광투과율이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의 광투과율보다도 적은 막형상체(51)를 마련했지만,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진행시킬 수 있는 것에 부가하여, 발광 다이오드(32) 및 회로 기판(31)을 시인할 수 있기 어렵게 하여 외관상 바람직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6)
상기한 실시예 5에서는 광투과율이 광의 투과 방향에 의해 상이한 막형상체를 추가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32) 및 회로 기판(31)을 시인할 수 있기 어렵게 하여 외관상 바람직하게 했지만, 막형상체(51)에 의한 발광 다이오드의 출력광의 감소량이 어느 정도 커지는 것은 피할 수 없다. 이에 반하여, 투명판의 표면에 요철 등을 형성한 광확산판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도, 발광 다이오드(32) 및 회로 기판(31)을 시인할 수 있기 어렵게 하여 외관상 바람직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발광 다이오드의 출력광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 6에서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라이트(12)에 한쪽의 표면에 요철 등이 형성된 광확산판을 추가함으로써 라이트(12)의 조사 능력의 감소량을 억제하면서, 외부로부터 발광 다이오드(32) 및 회로 기판(31)을 시인할 수 없게 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라이트(12)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 6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1) 전체의 구성도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1을 이용한다.
실시예 6과 실시예 5의 상위점은, 실시예 5에서는 광의 투과 방향에 의해 투과율이 상이한 막형상체(51)를 이용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 재료판의 한 면(피사체측: 확산면(61a))에 요철 형상이 형성됨으로써, 광의 투과 방향에 의해 광의 반사율이 상이한 광확산판(61)을 이용하고, 배광 렌즈(33)와 투명 커버(34) 사이에 배치하고 있는 점이다. 또한, 광확산판(61)의 다른 쪽의 면은 평탄한평활면(61b)으로 되어 있다.
또한, 광확산판(61)의 배치로서는 광확산면(61a)이 반드시 피사체측으로 되고, 평활면(61b)은 반드시 발광 다이오드(32)측으로 된다. 이것은, 광확산면(61a)에 의한 광의 반사는 평활면(61b)보다 큰 것이므로, 광원인 발광 다이오드(32)측에 광확산판(61)의 광확산면(61a)을 향해 버리면, 발광 다이오드(32)의 출사광이 광확산판(61)을 투과하는 투과율이, 특히 배광 렌즈(33)의 중앙 부근에서 저하해 버리기 때문이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광확산판(61)의 확산면(61a)은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다수개 형성하는 경우, 미세한 볼록 렌즈 형상을 다수개 형성하는 경우, 미세한 직선 홈을 다수개 형성하는 경우, 미세한 프레넬 렌즈 형상의 동심원 형상의 홈을 다수개 형성하는 경우, 미세한 비즈 형상의 투명 구체(球體)를 표면에 다수개 배치하는 경우 등이 생각된다.
휴대 전화 장치(1)의 외부로부터 투명 커버(34)를 투과한 외광 OL1은 광확산판(61)의 확산면(61a)에서 비교적 많게 광량이 반사되어, 얼마 안되는 광량만이 광확산판(61)을 투과한다. 그 때문에, 외광 OL1이 발광 다이오드(32) 및 회로 기판(31)에서 반사되는 광도 줄어, 그 반사광은 휴대 전화 장치(1)의 외부로 거의 출사하지 않게 된다. 또한, 외광 OL1은 발광 다이오드(32) 및 회로 기판(31)에서 반사되고, 휴대 전화 장치(1)의 외부에 반사하는 광은 확산면(61a)에서 재차 확산되기 때문에, 하우징(11)의 외부에서 보아 발광 다이오드(32) 및 회로 기판(31) 등은 시인할 수 있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32)가 소등하고 있는 경우에는,하우징(11)의 외부에서 보아 발광 다이오드(32) 및 회로 기판(31) 등은 보이지 못하게 되어 시인하는 것은 어려워진다.
한편, 발광 다이오드(32)가 점등하고 있는 경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32)로부터 출사한 광은, 투명한 광확산판(61)의 평활면(61b)에서는 비교적 반사하는 양이 적기 때문에, 피사체에 대하여 양호한 광량의 조사광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광확산판(61)을 일례로서 배광 렌즈(33)와 투명 커버(34) 사이에 마련했지만,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32)와 배광 렌즈(33) 사이에 마련해도 무방하다. 또한, 광확산판(61)은 실시예 1~4 중 어느 것과도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광을 확산시키는 면이 피사체측으로 되도록 광확산판(61)을 이용하여 광확산판(61)의 전면(광확산면(61a))에서의 광반사율이 후면(평활면(61b))에서의 광반사율보다도 커지도록 하고, 또한, 내부로부터 외부로 나가는 투과광을 광확산판에서 재차 확산하도록 했기 때문에,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진행시킬 수 있는 것에 부가하여, 발광 다이오드(32)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의 감쇠량을 억제하여 투과율을 향상시키고, 발광 다이오드(32) 및 회로 기판(31)을 시인할 수 있기 어렵게 하여 외관상 바람직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7)
상기한 실시예 6에서는 광반사율이 광의 투과 방향에 의해 상이하고, 또한, 투과광을 확산하는 광확산판을 추가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32) 및 회로 기판(31)을 시인할 수 있기 어렵게 하여 외관상 바람직하게 하고, 또한, 발광 다이오드(32)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의 투과율을 향상시켰지만, 광확산면(61a)에 의한 발광 다이오드의 출력광의 확산은 피할 수 없었다. 이것은, 광확산면(61a)에 있어서 광축 AX1 부근에서 확산한 광은 비교적 피사체에 미치기 쉬운데 반하여, 외주 또는 외연부에 가까워질수록 확산한 광은 카메라의 촬상 범위 바깥으로 넓어져, 비교적 피사체에 미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광확산면(61a)을 광축 AX1으로부터 주변부를 향하여 방사 각도를 감소시키도록 형성하는 것이, 피사체에 미치는 광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 7에서는, 실시예 6에서 설명한 라이트(12)의 광확산판으로, 광축 AX1으로부터 주변부를 향하여 확산 각도가 작아지도록 광확산면(61a)을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발광 다이오드(32) 및 회로 기판(31)을 시인할 수 없게 하면서 라이트(12)의 조사광이 확산하는 양을 억제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라이트(12)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 7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1) 전체의 구성도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1을 이용한다.
실시예 7과 실시예 6의 상위점은, 실시예 6에서는 광확산판(61)의 광확산면(61a)의 표면 형상이 균일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광축 AX1으로부터 주변부를 향하여 요철 형상을 서서히 또는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는 점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요철 형상을 미세한 구체의 배치, 또는 미세한 볼록 렌즈 형상의 형성(고분자 재료 등에 의한 성형)에 의해 실행한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이다.
도 8에서는 발광 다이오드의 출사광속 L0가 광확산판(71)에 도달한 후, 광확산판(71)의 주변부의 광확산면(71a)에 의한 확산광의 광속 L1보다도 중앙부의 확산광의 광속 L2쪽이 확산 각도가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광확산판(71)의 주변부의 광의 확산량은 감소하므로, 촬상 범위 바깥으로 광이 확산하는 양을 적게 할 수 있어, 촬상 범위내의 광량을 증가시켜 피사체를 밝게 조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광확산판(71)의 광확산면(71a)의 표면의 확산각이 광확산판(71)의 중앙으로부터 주변부를 향해서 작아지도록 했기 때문에,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진행시킬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32)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의 감쇠량을 억제하여 투과율을 향상시켜, 발광 다이오드(32) 및 회로 기판(31)을 시인할 수 있기 어렵게 하여 외관상 바람직하게 하는 것에 부가하여, 촬상 범위내의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 8)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라이트(12)를 휴대 전화 장치(11)의 본체에 내장시키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탈착 가능한 외장형 라이트로서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 8에서는,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라이트(12)를 탈착식의 독립된 외장형 라이트로 한 경우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인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의 외관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 8과 실시예 1의 상위점은, 실시예 1에서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1)에 내장되어 있었던 라이트(12)가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2)로부터 독립한 외장형 라이트(19)로 되어 있는 점, 외장형 라이트(19)에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2)와 전기적 접속 및 기계적 접속이 가능한 플러그부(19a)가 마련되는 점,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2)에는 외장형 라이트(19)의 플러그부(19a)를 탈착 가능하게 접속하는 잭부(20)를 갖고 있는 점이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1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1)에서는 라이트(12)의 온/오프를 촬영자가 스위치(21)에 의해 전환하던지, 조도 센서 등의 광량 검출 수단에 의해 라이트(12)의 온/오프를 전환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플러그부(19a)를 잭부(20)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외장형 라이트(19)를 온시키고, 플러그부(19a)를 잭부(20)로부터 뽑는 것에 의해 외장형 라이트(19)를 오프시킴으로써 스위치(21) 또는 광량 검출 수단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라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에 잭부(20)를 마련하여, 별체의 라이트(19)에 잭부(20)와 전기적 접속 및 기계적 접속이 가능한 플러그부(19a)를 마련함으로써, 라이트를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에 내장하지 않게 되고, 라이트의 스위치도 불필요하게 할 수 있으므로, 실시예 1보다도 한층 더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진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외장형 라이트를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와는 탈착 가능한 별체로 했기 때문에, 카메라(13)에 의한 동화상 촬영시에 피사체를 라이트(12)로 연속적으로 조명할 수 있고, 정지 화상 촬영에 부가하여 동화상 촬영시에 주위가 어두운 경우이어도 카메라(13)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것에 부가하여, 실시예 1보다도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더욱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외장형 라이트)가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와는 탈착 가능한 별체로 되어 카메라에 내장시킬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카메라측(휴대 전화측)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진행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 장치에 대해서도 유지 보수나 교환이 용이해진다.
(실시예 9)
상기한 실시예 6에서는 광의 투과 방향에 의해 광의 반사율이 상이해지도록 투명 재료판의 한쪽의 면(피사체측: 확산면(61a))에 요철 형상이 형성된 광확산판(61)을 배광 렌즈(33)와 투명 커버(34) 사이에 배치했지만, 광확산판(61)의 다른 쪽의 면은 평탄한 평활면(61b)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발광 다이오드(32)의 출사광이 광확산판(61)을 투과하는 투과율이, 특히 배광 렌즈(33)의 중앙 부근에서 저하해 버리기 때문이었다.
이에 반하여, 발광 다이오드(32)의 출사광이 광확산판을 투과하는 투과율이, 배광 렌즈(33)의 중앙 부근과 주변부에서 보다 균등하게 되도록 하여 조도 분포차를 억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반대로 투명판의 표면에 요철 등을 형성한 광확산면을 다이오드측 또는 피사체측과 다이오드측의 양면에 형성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실시예 6보다도 약간이기는 하지만 레벨은 저하하지만, 실용상은 문제없이 발광 다이오드(32) 및 회로 기판(31)을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기 어렵게 하여 외관상을 바람직하게 할 수 있다.
그래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 9에서는, 실시예 6에서 설명한 광확산판의 요철 형상이 형성되는 면을 발광 다이오드측으로 할지, 또는, 발광 다이오드측과 피사체측의 양면에 요철 형상을 형성하여 라이트(12)의 조사의 광량 분포차를 억제하면서, 외부로부터 발광 다이오드(32) 및 회로 기판(31)을 시인할 수 없게 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10,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의 라이트(12 또는 19)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 9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1) 전체의 구성도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1을 이용한다.
도 10에 나타낸 본 실시예 9의 라이트(12 또는 19)와 실시예 6의 상위점은, 실시예 6에서는 광확산판(61)의 광확산면(61a)이 피사체측이고, 평활면(61b)은 발광 다이오드(32)측으로 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예 9의 라이트(12 또는 19)에서는 광확산면(81a)이 발광 다이오드(32)측이고, 평활면(81b)이 피사체측으로 되어 있는점이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본 실시예 9의 라이트(12 또는 19)와 실시예 6의 상위점은, 실시예 6에서는 광확산판(61)의 광확산면(61a)이 피사체측의 한 면만이고, 평활면(61b)은 발광 다이오드(32)측으로 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예 9의 라이트(12 또는 19)에서는 광확산면(91a)이 발광 다이오드(32)측이고, 평활면이 없이 피사체측에도 광확산면(91b)을 마련하고 있는 점이다.
도 12는 실시예 6의 광확산판(61)에서의 확산면이 피사체측인 경우와, 본 실시예의 광확산판(81)에서의 확산면이 광원(발광 다이오드(32))측인 경우의 상고(%:가로축)와 조도비(%:세로축)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2의 가로축으로 나타낸 상고란, 도 13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촬상되는 화상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먼 거리의 위치를 상고 100%로 하고,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의 비로 나타내는 비율이다. 또한, 조도비는 (확산면 있음의 조도)/(확산면 없음의 조도)이다.
도 12로부터는, 확산면이 피사체측인 경우의 선 PS는 상고(%)가 증가하여 100%에 가까이 감에 따라서, 반대로 조도비(%)는 반비례하여 현저히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확산면이 광원측인 경우의 선 SS에서는, 선 PS와 마찬가지로 반비례하여 감소하고 있지만 그 정도는 완만하다. 도 12의 선 PS는, 확산면이 피사체측인 경우에, 발광 다이오드(32)의 출사광이 광확산판(61)을 투과하는 투과율은 중앙 부근에서는 너무 저하하지 않지만, 주변부에서는 극단적으로 저하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반대로, 도 12의 선 SS는, 확산면이 광원측인 경우에, 발광 다이오드(32)의 출사광이 광확산판(61)을 투과하는 투과율은 중앙 부근에서는 비교적 저하하지만, 주변부에서도 중앙부와 비교하여 극단적으로는 저하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본 실시예의 상고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사이즈의 가로 세로를 4㎝ ×3㎝로 한 경우, 중심 P는 상고가 0%이고, 각부 Q는 상고가 100%로 된다. 또한, 폭 방향의 중심의 위치 R은 상고가 80%로 되고, 높이 방향의 중심의 위치 S는 상고가 60%로 된다. 이것은, 도 13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각 직각 삼각형의 각 변의 길이의 비가 3 : 4 : 5로 되고, 비가 3인 변이 1.5cm, 비가 4인 변이 2㎝이기 때문에, 사변(斜邊)은 비가 5인 2.5㎝로 되고, 이 사변이 100%이기 때문에 비가 3인 변이 60%, 비가 4인 변이 80%로 된다.
본 실시예의 광확산판(81)과 같이, 확산면을 광원(발광 다이오드(32))측인 우, 중앙 부근과 주변부와의 조도의 차가 적어져 라이트(12) 조사의 광량 분포차를 억제하면서, 외부로부터 발광 다이오드(32) 및 회로 기판(31)을 시인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도 12로부터는 실시예 6과 같이 확산면(61a)을 피사체측에 마련한 경우인 쪽이, 광확산판의 중심의 조도는 높게 유지되고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지만, 주변부와 중심부와의 조도차는 극단적으로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와 같이, 도 10에 나타낸 확산면(81a)을 광원측인 발광 다이오드(32)측에 마련한 경우, 중심의 조도 저하는 크지만, 주변의 조도 저하는 비교적 적은 것을 알 수 있다.그리고, 도 11에 나타낸 광확산판(91)의 91a와 91b의 양면에 확산면을 마련한 경우도 확산면(91a)이 광원측에 있기 때문에, 도 10의 경우와 마차가지의 결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도 1의 조명 수단(12) 또는 도 9의 조명 수단(19)에서 도 10의 광학산판(81) 또는 도 11의 광학산판(91)을 이용한 경우, 중심에 대한 주변의 조도 저하를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피사체가 중심부만이 아니라 주변부에도 존재하는 경우에는 주변의 조도 저하를 보다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어, 피사체의 촬영을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11의 광확산판(91)을 이용한 경우, 확산면(91a)이 광확산판(91)의 광원측에 있고 확산면(91b)이 광확산판(91)의 피사체측에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진입한 광은 진입시에 확산면(91b)에서 확산되고, 반사시에 확산면(91a)에서 확산된다. 따라서, 외부광은 진입시와 반사시의 쌍방에 있어서 확산면에서 확산되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32)가 소등하고 있는 경우에는, 발광 다이오드(32) 등의 내부의 부품을 외부로부터 보다 시인할 수 있기 어렵게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 6과 같이 확산면(61a)을 피사체측에만 마련하여 중심부의 조도를 향상시킬지, 본 실시예와 같이 중심부와 주변부의 조도차를 감소시킬지는 배광 렌즈(33)의 성능이나 수단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또한, 상기한 각 확산면은 실시예 6 및 본 실시예에서는 확산판(61, 81 또는 91)의 표면에 형성했지만, 예를 들면, 상기 이외의 배광 렌즈(33), 또는, 투명 커버(34)의 표면에 형성해도 무방하다. 즉, 발광 다이오드의 방사광과 직교하는 면을 갖고서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방사하는 광을 투과하는 부품(배광 렌즈(33) 또는 투명 커버(34) 등) 중, 그 부품 중의 적어도 하나의 직교하는 면에 광을 확산시키는 광확산부를 마련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그 광확산면은 실시예 7에 기재한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32)의 광축 부근보다도 주변부의 쪽이 광의 확산 각도가 작아지도록 형성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예에 기재한 광을 확산시키는 광확산면(또는 광확산부)은, 상기한 바와 같이 독립한 광확산판에 형성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투명 커버의 이면 등, 발광 다이오드의 방사광과 직교하는 면을 갖고서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방사하는 광을 투과하는 부품 중, 그 부품 중의 적어도 하나의 직교하는 면에 마련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실시예 10)
일반적으로,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 발광 다이오드(32)를 탑재하고 있는 인쇄 회로 기판(31)은 베이클라이트(bakelite) 등의 갈색 계통의 색 또는 유리 에폭시 등의 녹색을 하고 있어, 그 표면의 광의 반사율은 양호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그래서, 이하에 설명하는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 회로 기판(31)상에 반사율이 양호한 표면을 갖는 평판부를 마련함으로써, 인쇄 회로 기판의 반사율을 향상시키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14,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의 라이트(12 또는 19)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 10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1) 전체의 구성도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1을 이용한다.
도 14에 나타낸 본 실시예 10의 라이트(12 또는 19)와 실시예 1의 상위점은, 실시예 1에서는 인쇄 회로 기판(31)상에는 발광 다이오드(32)가 직접적으로 부착되어 있을 뿐이고 기판상에 반사율을 향상시키는 수단은 마련되어 있지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 회로 기판(31)상의 발광 다이오드(32)가 부착되는 면의 적어도 그 발광 다이오드(32)의 주변부에 고반사율의 백색 또는 은색 등의 평활 표면을 갖는 반사면(101)을 실크 인쇄 등의 인쇄 수법에 의해 형성하는 점이다.
또한, 도 15에서는 실크 인쇄 등의 대신에,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금속박) 등의 고반사율의 표면을 갖는 시트 형상의 평판(막형상체)을 인쇄 회로 기판(31)상에 접착하여, 고반사율의 백색 또는 은색 등의 평활 표면을 갖는 반사면(102)을 형성하는 점이다.
도 14 및 도 15의 구성에 의하면, 발광 다이오드(32)로부터 방출된 광의 일부는 배광 렌즈(33) 또는 투명 커버(34)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인쇄 회로 기판(31)의 표면으로 되돌아가지만, 그 되돌아간 광은 다시 반사면(101) 또는 반사면(102)에서 반사되어 피사체측(외부)을 향하기 때문에, 피사체에 방사되는 광량이 증가되어 피사체의 조도가 향상된다.
또한, 반사면(101 또는 102)(반사부)의 피사체측의 표면에는, 피사체부에서의 조도 분포차를 작게 하여 발광 다이오드 및 회로 기판을 시인할 수 있기 어렵게 하여 외관상 조명 장치의 배광 특성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광확산용의 요철을 마련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 회로 기판(31)의 발광 다이오드(32)가 부착되는 면의 적어도 그 발광 다이오드(32)의 주변부에 반사율을 향상시키는 평판부를 마련했기 때문에, 배광 렌즈(33), 투명 커버(34) 등의 표면에서 발광 다이오드측에 반사한 광을 재차 피사체측에 반사할 수 있고, 피사체에 방사되는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피사체의 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반사부의 피사체측의 표면에 광확산용의 요철을 마련한 경우에는, 피사체부에서의 조도 분포차를 작게 할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 및 회로 기판을 시인할 수 있기 어렵게 하여 외관상 조명 장치의 배광 특성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으며, 광확산판을 박형화 또는 불필요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더욱 진행시킬 수 있다.
(실시예 11)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발광 다이오드(32)를 탑재하고 있는 인쇄 회로 기판(31)상에 반사율이 양호한 표면을 마련함으로써 인쇄 회로 기판의 반사율을 향상시켰지만, 발광 다이오드(32)의 인쇄 회로 기판(31)으로부터의 높이 치수가 큰 경우에는, 발광 다이오드(32)의 광방출면과, 인쇄 회로 기판(31)의 표면과의 거리가 커져 인쇄 회로 기판(31)의 표면에서의 반사율이 양호하지 못한 경우가 있다. 그래서, 이하에 설명하는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 회로 기판(31)상에 인쇄 회로 기판(31)의 표면으로부터의 높이 치수가 존재하고, 그 피사체측에는 반사율이 양호한표면을 갖는 구조체를 마련함으로써, 인쇄 회로 기판의 반사율을 향상시키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의 라이트(12 또는 19)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구조체의 개략적인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 11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1) 전체의 구성도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1을 이용한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본 실시예 11의 라이트(12 또는 19)와 실시예 10의 상위점은, 실시예 10에서는 인쇄 회로 기판(31)상에는, 기판상에 반사율을 향상시키는 수단으로서 발광 다이오드(32)가 부착되는 면의 적어도 그 발광 다이오드(32)의 주변부에 고반사율의 백색 또는 은색 등의 평활 표면을 갖는 반사면(101)을 실크 인쇄 등의 인쇄 수법에 의해 형성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구조체(111)를 이용하여 반사면(111a)을 인쇄 회로 기판(31)의 표면으로부터 배광 렌즈(33)측에 접근시켜, 발광 다이오드의 광방출면과의 단차(段差)를 감소시키고 있는 점이다.
또한, 구조체(111)는, 예를 들면 접착제로 인쇄 회로 기판(31)상에 부착해도 무방하지만, 나사 등의 부착 도구를 이용하거나, 부착용 훅(hook)부를 구조체(111)에 마련해도 무방하다.
또한, 도 16 및 도 17에서는 발광 다이오드가 4개인 경우를 나타냈지만, 이 수량에 대해서는 목적으로 하는 피사체의 조도와 발광 다이오드(32)의 광량에 의해 임의로 변경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의 광량이 목적으로 하는 피사체의 조도가 얻어지는 경우에는, 상기한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1개이더라도 무방하고, 2개 이상이더라도 무방하다.
구조체(111)로서는 발광 다이오드(32)의 측면부(주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형상에 수지를 성형하여 마련한다. 또한, 구조체(111)의 피사체측의 표면(111a)은 고반사율로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수지의 색으로서는, 예를 들면 고반사율인 백색, 황색, 은색 또는 금색의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한다.
또한, 예를 들면, 구조체(111)에 고반사율의 색의 수지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적어도 피사체측의 표면을 고반사율인 백색, 황색, 은색 또는 금색으로 도장해도 되고, 적어도 피사체측의 표면에 금속의 피막을 증착 또는 도착시켜도 된다.
또한, 반사면(111a)(반사부)의 피사체측의 표면에는 피사체부에서의 조도 분포차를 작게 하고, 발광 다이오드 및 회로 기판을 시인할 수 있기 어렵게 하여 외관상 조명 장치의 배광 특성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광확산용의 요철을 마련해도 무방하다.
도 16 및 도 17의 구성에 의하면, 발광 다이오드(32)로부터 방출된 광의 일부는 배광 렌즈(33) 또는 투명 커버(34)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반사면(111a)의 표면으로 되돌아가지만, 그 되돌아간 광은 다시 반사면(111a)에서 반사되어 피사체측(외부)으로 향한다. 이 반사면(111a)은 실시예 10의 기판면에 마련된 반사면(101 또는 102)보다도 보다 배광 렌즈(33)에 가까워, 발광 다이오드(32)의 광방출면과의 단차가 적어지고, 따라서, 피사체에 방사되는 광량이 실시예 10의 경우보다도 증가되어 피사체의 조도가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 회로 기판(31)의 발광 다이오드(32)가 부착되는 면의 적어도 그 발광 다이오드(32)의 주변부에 반사율을 향상시키는 구조체를 마련했기 때문에, 배광 렌즈(33), 투명 커버(34) 등의 표면에서 발광 다이오드측으로 반사한 광을 보다 많이 재차 피사체측으로 반사할 수 있고, 피사체에 방사되는 광량을 더욱 증가시키는 수 있어, 피사체의 조도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반사부의 피사체측의 표면에 광확산용의 요철을 마련한 경우에는, 피사체부에서의 조도 분포차를 작게 할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 및 회로 기판을 더욱 시인할 수 있기 어렵게 하여 외관상 조명 장치의 배광 특성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으며, 광확산판을 박형화 또는 불필요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더욱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발광 다이오드의 수가 1개 또는 4개인 경우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에 이용되는 조명 장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를 2개, 3개, 또는, 5개 이상 이용해도 무방하다.
(실시예 12)
상기한 실시예 6에서는 광확산판(61)의 확산면(61a)의 표면에 미세한 비즈 형상의 투명 구체를 다수개 배치하는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 8에서는 광확산판(61)의 확산면(61a)을 피사체측으로 향한 경우와, 광원측으로 향한 경우에서의 상고와 조도비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 12에서는 광확산판(61)의 구조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고, 확산면(61a)으로 향하는 방향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8, 도 19, 도 20,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광확산판(61)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 12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1)의 전체의 구성도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1을 이용한다.
도 18에 나타낸 본 실시예 12의 광확산판(61)은 확산면(61a)과 평활면(61b)으로 구성되고, 확산면(61a)은 비즈 형상의 투명 구체(61c)와 바인더(61d)로 구성된다. 또한, 비즈 형상의 투명 구체(61c)의 일부가 확산면(61a)의 표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확산면(61a)의 표면은 요철로 형성된다. 확산면(61a)의 광의 확산 작용은 공기와 비즈 형상의 투명 구체(61c) 사이의 굴절율차가 큰 것에 의해 발생한다. 따라서, 비즈 형상의 투명 구체(61c)가 확산면(61a)으로부터 크게 노출되어 표면의 요철의 정도가 커지면, 비즈 형상의 투명 구체(61c)와 공기가 접하는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광의 확산 작용이 커져 발광 다이오드(32)를 시인하기 어렵게 된다. 반대로, 요철의 정도가 작고 표면이 보다 평활에 가까운 상태가 되면, 비즈 형상의 투명 구체(61c)와 공기가 접하는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광의 확산 작용은 작아져 발광 다이오드(32)를 시인하기 쉬워진다.
비즈 형상의 투명 구체(61c)에는 유리, 아크릴계 수지, 스틸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 예를 들면 아크릴, 아크릴로니트릴, 폴리우레탄, 폴리 염화 비닐,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미드, 실리콘 고무 등이 이용된다. 또한, 그 형상으로서는 구체 이외에도 입방체 형상, 침(針) 형상, 막대(棒) 형상, 방추(紡錘) 형상 , 판 형상, 비늘 조각(鱗片) 형상, 섬유 형상인 것도 생각되지만, 광의 확산 작용을 고려하면 구(球) 형상의 비즈가 보다 바람직하고, 진구상(眞球狀) 또는 진구상에 가까운 구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형상을 구상으로 한 경우에는, 구상의 각 입자가 각각 미소 렌즈로서 작용하므로, 광의 확산 작용이 커지기 때문이다. 또한, 광의 확산 작용과 광원인 발광 다이오드를 시인할 수 있기 어렵게 하는 효과를 양립하기 위해서는, 평균 입경이 1㎛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61d)에는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불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에폭시 수지 등이 이용된다. 바인더(61d)의 두께는 비즈 형상의 투명 구체(61c)의 입경과도 관계하지만, 1㎛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확산판(61)의 기재인 평활면(61b)은 아크릴계 수지, 스틸렌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염화 비닐계 수지 등을 이용한다. 평활면(61b)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광확산판(61)을 제작할 때의 작업성 등을 고려하면 50㎛ 내지 200㎛ 정도가 바람직하다.
도 12는 실시예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확산판(61)의 확산면(61a)이 피사체측인 경우와, 광확산면(61a)이 광원(발광 다이오드(32))측인 경우의 상고(%:가로축)와 조도비(%:세로축)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의 선 PS는, 확산면이 피사체측인 경우에 발광 다이오드(32)의 출사광이 광확산판(61)을 투과하는 투과율은 중앙 부근에서는 그다지 저하하지 않지만, 주변부에서는 극단적으로 저하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반대로, 도 12의 선 SS는, 확산면이 광원측인 경우에 발광 다이오드(32)의 출사광이 광확산판(61)을 투과하는 투과율은 중앙 부근에서는 비교적 저하하지만, 주변부에서도 중앙부와 비교하여 극단적으로는 저하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동화상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카메라를 장시간 동작시킬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카메라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전력도 커진다. 그런데, 휴대 전화에서는 박형화, 소형화의 요망이 있기 때문에, 휴대 전화에 탑재되는 배터리도 박형, 소형인 것이 요구되고, 또한, 가능한 한 배터리의 수도 적게 하 도록 요구되기 때문에, 카메라 전용의 배터리를 이용하는 것은 어려워, 배터리를 다른 전자 부품용의 배터리와 공용하는 것이 많다. 그러나, 이 공용 배터리에도 당연, 박형화, 소형화가 요구되기 때문에, 배터리의 용량을 크게 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카메라의 동작에 의한 소비 전력을 억제하기 위해서, 소비 전력이 작은 카메라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소비 전력이 작은 카메라는 수광 감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라이트의 광량은 크세논관 등을 이용한 라이트의 광량과 비교하여 매우 작아진다. 따라서, 수광 감도가 낮은 카메라와 광량이 작은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화상의 촬상을 실행하는 경우, 절대적인 광량을 확보하기 위해서 광확산판(61)의 확산면(61a)을 피사체측을 향해서 발광 다이오드(32)의 전면에 배치하고, 라이트(12)로부터의 출사광이 도 12의 선 PS로 나타내는 조도비의 분포를 기초로 피사체의 촬영을 실행하면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소비 전력이 작은 카메라는 정지 화상보다 동화상의 촬영에 적합하다.
한편, 카메라의 중앙부의 광량과 주변부의 광량의 비가 커지지 않도록 한다고 하는 카메라의 성능 향상의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카메라에 부착되는 렌즈의 개수를 많게 하는 등의 설계를 해야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박형화가 요구되는 휴대 전화에서 렌즈를 포함한 카메라 전체를 크게 하는 것은 할 수 없다. 이러한 주변부의 광량이 크게 저하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광확산판(61)의 확산면(61a)을 피사체측을 향해서 발광 다이오드(32)의 전면에 배치하고, 라이트(12)로부터의 출사광이 도 12의 선 PS으로 나타내는 조도비의 분포를 기초로 피사체의 촬영을 실행하면, 화상의 주변부는 중앙부와 비교하여 매우 어두워져 버린다. 이러한 현상을 피하기 위해서, 수광 감도가 높은 카메라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수광 감도가 높은 카메라는 작은 광량이어도 촬상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절대적인 광량보다 조도비의 분포가 중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카메라를 이용하는 경우는 광확산판(61)의 확산면(61a)을 광원측을 향해서 발광 다이오드(32)의 전면에 배치하고, 라이트(12)로부터의 출사광이 도 12의 선 SS로 나타내는 조도비의 분포를 기초로 피사체의 촬영을 하면,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수광 감도가 높은 카메라는 소비 전력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수광 감도가 높은 카메라는 동화상보다 정지 화상의 촬영에 적합하다.
이와 같이, 광확산판(61)의 확산면(61a)을 피사체측을 향할지, 광원측을 향할지는 실시예 9에서 설명한 배광 렌즈의 성능이나 수단뿐만 아니라 카메라의 수단에 따라서 선택해도 된다. 물론, 카메라의 수단이나 성능에 따라서는 배광 렌즈를생략할 수 있다.
도 19에 나타낸 본 실시예 12의 광확산판(61)은 확산면(61a)과 평활면(61b)으로 구성되고, 확산면(61a)은 중공(中空)의 비즈 형상의 투명 구체(61e)와 바인더(61d)로 구성된다. 도 18과 서로 상위한 점은 확산면(61a)을 구성하는 비즈 형상의 투명 구체(61e)가 내부에 공간부를 갖고, 공중으로 되어 있는 점이다. 도 18의 비즈 형상의 투명 구체(61c)는 확산면(61a)의 표면에서만 공기와 접하고 있어, 광의 확산 작용이 발생하는 것이 확산면(61a)의 표면에서만이다. 그러나, 도 19에 나타낸 중공의 비즈 형상의 투명 구체(61e)를 이용하면, 중공의 비즈 형상의 투명 구체(61e)의 내벽과 구체 내부의 공간부 사이에서도 광의 굴절이 발생하여 광이 확산하므로, 도 18에 나타낸 중실(中實)의 비즈 형상의 투명 구체(61c)보다 광의 확산 작용이 커지기 때문에, 도 18에 나타낸 확산면(61a)보다 광의 확산 작용이 커진다.
또한, 도 20에 나타낸 본 실시예 12의 광확산판(61)은 확산면(61a)과 평활면(61b)으로 구성되고, 확산면(61a)은 비즈 형상의 투명 구체(61f)와 바인더(61d)로 구성된다. 도 18과 서로 상위한 점은, 비즈 형상의 투명 구체(61f)의 사이에 있는 바인더(61d)의 표면을 파상의 요철로 형성한 점이다. 이와 같이, 바인더(61d)의 표면을 파상의 요철로 형성하면, 바인더(61d)도 광의 확산 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되어, 확산면(61a)에서의 광의 확산 작용이 보다 커진다.
또한, 도 21에 나타낸 본 실시예 12의 광확산판(61)은 확산면(61a)과 평활면(61b)으로 구성되고, 확산면(61a)은 비즈 형상의 투명 구체(61g)와 바인더(61d)와기포(61h)로 구성된다. 도 18과 서로 상위한 점은, 기포(61h)가 확산면(61a)에 혼입되어 있는 점이다. 비즈 형상의 투명 구체(61g)와 바인더(61d) 사이의 굴절율차보다도 기포(61h)와 바인더(61d) 사이의 굴절율차가 크기 때문에, 기포(61h)가 확산면(61a)에 혼입되면 기포(61h)가 없는 경우보다도 광의 확산 작용이 커진다. 또한, 광의 투과, 굴절에 의한 확산 작용이 아니라 광의 반사에 의한 확산 작용을 강화하기 위해서, 기포가 아니라 안료를 넣어도 무방하다. 안료에는, 예를 들면 산화 티탄, 산화 아연, 탄산연, 황화 바륨, 탄산 칼슘 등이 이용된다. 또한, 비즈 형상의 투명 구체(61g)에 안료를 넣어도 무방하다. 안료를 혼입하면, 광의 투과율은 내려가지만 발광 다이오드를 시인하기 어렵게 되는 효과는 높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비즈 형상의 투명 구체가 확산면(61a)으로부터 노출되고 확산면(61a)의 표면이 요철로 형성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실시예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확산면(61a)의 표면을 요철로 형성하는 것은 비즈 형상의 투명 구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바인더(61d)에 의해 확산면(61a)의 표면을 요철로 형성해도 무방하다.
(실시예 13)
상기한 실시예 12에서는 실시예 6에서의 광확산판(61)의 구조와, 확산면(61a)을 향하는 방향의 각각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했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 13에서는 실시예 6과는 상이한 광확산판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3의 라이트(12)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 13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1)의 전체의 구성도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1을 이용한다.
실시예 13과 실시예 6의 상위점은, 본 실시예의 광확산판(121)의 광확산면(121a)의 표면이 요철이 아니라 평활한 점이다. 즉,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확산판(121)은 확산면(121a)과 평활면(121b)으로 구성되고, 확산면(121a)은 기포 또는 안료(121c)와 바인더(121d)로 구성된다. 상기 실시예 12에서는 확산면의 표면은 요철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확산면(121a)의 내부에 기포 또는 안료(121c)를 혼입하여 확산면의 표면을 평활하게 한 것이다. 또한,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기포 또는 안료가 아니라, 중공의 비즈 형상의 투명 구체를 확산면(121a)에 혼입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확산면(121a)에 기포 또는 안료(121c)를 혼입하여 발광 다이오드를 시인하기 어렵게 하면서, 또한 광의 투과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 확산면(121a)의 표면은 요철이 아니라 평활이어도 무방하다.
(실시예 14)
상기한 실시예 13에서는 실시예 6과는 상이한 광확산판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 14에서는, 또한 실시예 13과는 상이한 광확산판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4의 라이트(12)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 14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1)의 전체의 구성도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1을 이용한다.
실시예 14와 실시예 13의 상위점은, 본 실시예의 광확산판(131)이 기재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다. 즉,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확산판(131)의 표면을 요철 형상으로 하여 광의 확산 작용을 확보할 수 있으면, 실시예 13과 같이, 광확산판을 확산면과 평활면의 2층으로 구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131b)의 내부에 기포 또는 안료(131a)를 혼입하여 발광 다이오드(32)를 시인하기 어렵게 해도 된다. 또한, 기포 또는 안료가 아니라, 중공의 비즈 형상의 투명 구체를 광확산판(131)에 혼입해도 무방하다. 또한,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확산판(131)에 기포나 안료, 중공의 비즈 형상의 투명 구체를 혼입하여 광의 확산 작용을 확보할 수 있으면, 광확산판(131)의 표면은 평활이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광확산판(131)의 표면을 요철 형상으로 하여 광의 확산 작용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 또는, 광확산판(131)의 내부에 기포 또는 안료(131a)를 혼입하여 발광 다이오드를 시인하기 어렵게 하면서, 또한 광의 투과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 광확산판(131)을 2층으로 구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조명 장치와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를 조합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에 이용되는 조명 장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비디오 카메라 장치 또는 입장자 감시 장치 등의 다른 촬상 장치와 조합하여 이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카메라의 수단이나 성능에 따라서는 배광 렌즈를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는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라이트를 마련했기 때문에,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진행시킬 수 있는 것에 부가하여, 카메라에 의한 동화상 촬영시에 피사체를 라이트로 연속적으로 조명할 수 있기 때문에, 정지 화상 촬영시에 주위가 어두운 경우에 부가하여, 동화상 촬영시의 주위가 어두운 경우이어도 카메라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의 전면측에 방사되는 광을 피사체를 향해서 집광시키는 배광 렌즈를 마련했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효율적으로 피사체에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는 배광 렌즈에 발광 다이오드에 부착하기 위한 지지부를 마련했기 때문에, 또한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배광 렌즈의 광축과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점과의 위치 관계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배광 각도를 작게하여 집광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설계할 수 있다. 그 결과, 위치 편차에 의한 피사체의 조도 얼룩이 감소하여 피사체의 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는 투명 커버에 배광 렌즈의 기능을 갖는 볼록 렌즈부를 형성했기 때문에, 더한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는 볼록 렌즈면이 마련된 투명 커버와 지지부를 갖는 배광 렌즈를 동시에 마련했기 때문에,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진행시킬 수 있는 것에 부가하여, 배광에 대해서의 발광 다이오드의 개체차, 제조시의 위치 편차 등의 오차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는 투명 커버를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의 사용자에 대하여 시각적 효과를 발생하는 부품의 보호 커버와 일체의 부품으로서 형성하던지, 피사체의 화상 또는 통신 상대의 전화 장치로부터 수신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의 보호 커버와 일체의 부품으로서 형성했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줄여 더욱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는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의 광투과율이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의 광투과율보다도 적은 막형상체를 마련했기 때문에,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진행시킬 수 있는 것에 부가하여, 발광 다이오드 및 회로 기판을 시인할 수 있기 어렵게 하여 외관상 바람직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는 광을 확산시키는 광확산부를 구비하고, 그 광확산부가 조명 수단을 구성하는 부품의 일면 또는 복수면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진행시키는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 및 회로 기판을 시인할 수 있기 어렵게 하여 외관상 바람직하게 하는 것에 부가하여,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의 감쇠량을 억제하여 투과율을 향상시키는 것과, 피사체부에서의 조도 분포차를 작게 하는 것으로부터 선택하여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는 광을 확산시키는 면이 피사체측으로 되도록 광확산판을 이용하여 광확산판의 전면에서의 광반사율이 후면에서의 광반사율보다도 커지도록 하고, 또한, 내부로부터 외부로 나가는 투과광을 광확산판에서 재차 확산하도록 했기 때문에,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진행시킬 수 있는 것에 부가하여,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의 감쇠량을 억제하여 투과율을 향상시켜, 발광 다이오드 및 회로 기판을 시인할 수 있기 어렵게 하여 외관상 바람직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는 광을 확산시키는 면이 발광 다이오드측에 마련된 광확산판을 발광 다이오드의 전면측에 마련한 것에 의해,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진행시킬 수 있는 것에 부가하여, 피사체부에서의 조도 분포차를 작게하고, 발광 다이오드 및 회로 기판을 시인할 수 있기 어렵게 하여 외관상 바람직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이러한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는 광을 확산시키는 면이 피사체측과 발광 다이오드측에 마련된 광확산판을 발광 다이오드의 전면측에 마련한 것에 의해,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진행시킬 수 있고, 피사체부에서의 조도 분포차를 작게 할 수 있는 것에 부가하여, 외부광이 진입시와 반사시의 쌍방에 있어서 확산면에서 확산되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가 소등하고 있는 경우에는 발광 다이오드 및 회로 기판 등의 내부의 부품을 외부로부터 보다시인할 수 있기 어렵게 하여 외관상 바람직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는 광확산판의 확산면의 표면이 요철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진행시킬 수 있는 것에 부가하여, 발광 다이오드 및 회로 기판을 시인할 수 있기 어렵게 하여 외관상 바람직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는 광확산판을 발광 다이오드의 광축 부근보다도 주변부의 쪽이 광의 확산 각도가 작아지도록 형성했기 때문에,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진행시키는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의 감쇠량을 억제하여 투과율을 향상하고, 또한, 피사체부에서의 조도 분포차를 작게 하며, 더불어 발광 다이오드 및 회로 기판을 시인할 수 있기 어렵게 하여 외관상 바람직하게 할 수 있는 것에 부가하여, 광확산판의 주변부의 광의 확산량을 감소시켜 촬상 범위 바깥으로 광이 확산하는 양을 적게 하여, 촬상 범위내의 광량을 증가시켜 피사체를 밝게 조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는 조명 수단의 발광 다이오드를 인쇄 회로 기판상에 직접적으로 부착하기 때문에,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는 조명 장치의 인쇄 회로 기판의 발광 다이오드가 부착되는 면의 적어도 그 발광 다이오드의 주변부에 고반사율의 평활 표면을 갖는 반사부를 마련했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의 감쇠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광 렌즈, 투명 커버 등의 표면에서 발광 다이오드측으로 반사한 광을 재차 피사체측으로 반사할 수 있기 때문에, 배광 렌즈, 투명 커버 등의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사체에 방사되는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피사체의 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는 조명 장치의 인쇄 회로 기판의 발광 다이오드가 부착되는 면의 적어도 그 발광 다이오드를 둘러싸도록 고반사율의 구조체를 반사부로서 마련했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의 감쇠량을 반사부를 마련한 경우보다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인쇄 회로 기판상에 반사부를 마련한 경우보다도 보다 짧은 광로로 배광 렌즈, 투명 커버 등의 표면에서 발광 다이오드측으로 반사한 광을 재차 피사체측으로 반사할 수 있기 때문에, 배광 렌즈, 투명 커버 등의 투과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사체에 방사되는 광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피사체의 조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는 반사부의 피사체측의 표면에는 광확산용의 요철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피사체부에서의 조도 분포차를 작게 하고, 발광 다이오드 및 회로 기판을 시인할 수 있기 어렵게 하여 외관상 조명 장치의 배광 특성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으며, 광확산판을 박형화 또는 불필요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더욱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는 스위치의 전단에 마련한 광량 검출 수단에서, 주위의 광량을 검출시키고, 광량 검출 수단이 광량의 부족을 검출한 경우의 출력에 의해 스위치를 전환하여 라이트를 자동적으로 점등시킬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의 사용자는 주위의 광량을 걱정하는 일 없이 화상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는 광량 검출 수단으로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수신 신호 레벨에 의해 광량을 검출하고, 광량이 부족하면 라이트를 자동적으로 점등시키기 때문에, 광검출 수단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또한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더욱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는 외장형 라이트를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와는 탈착 가능한 별체로 했기 때문에, 카메라에 의한 동화상 촬영시에 피사체를 라이트로 연속적으로 조명할 수 있어, 정지 화상 촬영에 부가하여 동화상 촬영시에 주위가 어두운 경우이어도 카메라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것에 부가하여, 또한 휴대 전화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더욱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용 조명 장치는 상기한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에서의 조명 수단의 구성을 갖고, 또한, 그 조명 수단의 잭부와 전기적 접속 및 기계적 접속이 가능한 플러그부를 갖기 때문에, 조명 장치(외장형 라이트)가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와는 탈착 가능한 별체로 되고, 카메라에 내장시킬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카메라의 소형화, 경량화 및 박형화를 진행시키는 수 있고, 조명 장치의 유지 보수나 교환이 용이해진다.

Claims (26)

  1. 피사체의 동화상을 촬상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전화 장치로서,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조광하는 조명 수단과, 해당 조명 수단을 발광시키는 스위치 수단과, 상기 조명 수단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피사체를 향해서 집광시키는 배광 렌즈(a light distribution lens)와, 상기 조명 수단의 피사체측으로 되는 전면측에 마련되어, 해당 배광 렌즈를 보호하기 위한 투명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 렌즈는 상기 조명 수단에 부착되어 상기 배광 렌즈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커버는 상기 배광 렌즈의 집광 기능을 갖도록 볼록 렌즈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커버에 집광 기능을 갖는 볼록 렌즈면을 마련하고, 또한, 상기 배광 렌즈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커버는 상기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의 사용자에 대하여 시각적 효과를 발생하는 부품의 보호 커버와 일체의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커버는 상기 피사체의 화상 또는 통신 상대의 통화 장치로부터 수신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의 보호 커버와 일체의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수단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피사체측인 전면측에, 전면으로부터후면으로의 광투과율이 후면으로부터 전면으로의 광투과율보다도 적은 막형상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수단은 발광 다이오드의 방사광과 직교하는 면을 갖고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방사하는 광을 투과하는 부품 중, 해당 부품 중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직교하는 면에는 광을 확산시키는 광확산부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수단은 광을 확산시키는 면이 피사체측에 마련된 광확산판을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전면측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수단은 광을 확산시키는 면이 발광 다이오드측에 마련된 광확산판을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전면측에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수단은 광을 확산시키는 면을, 상기 광확산판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측에 부가하여, 상기 광확산판의 피사체측에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판은 발광 다이오드의 광축 부근보다도 주변부의 쪽이 광의 확산 각도가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판의 상기 광을 확산시키는 면의 표면은 요철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수단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인쇄 회로 기판상에 직접적으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부착되는 면의 적어도 해당 발광 다이오드의 주변부에 고반사율의 표면을 갖는 반사부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상에 인쇄 수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전화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고반사율의 표면을 갖는 막형상체를 상기 인쇄 회로 기판상에 고정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측면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형상이고, 피사체측의 표면을 고반사율로 한 구조체를 상기 인쇄 회로 기판상에 고정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의 구조체는 고반사율인 백색, 황색, 은색 또는 금색의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의 구조체는 적어도 피사체측의 표면을 고반사율인 백색, 황색, 은색 또는 금색으로 도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의 구조체는 적어도 피사체측의 표면에 금속의 피막을 증착 또는 도착(塗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
  22. 제 15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의 피사체측의 표면에는 광확산용의 요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변의 광량이 부족한 것을 검출 가능한 광량 검출 수단을 마련하고,
    해당 광량 검출 수단의 출력에 의해 상기 스위치 수단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 검출 수단은 상기 카메라이며, 해당 카메라의 수신 신호 레벨에 의해 광량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
  25.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수단은 상기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와 전기적 접속 및 기계적 접속이 가능한 플러그부를 갖고, 상기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 본체에는 상기 플러그부를 탈착 가능하게 접속하는 잭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
  2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에서의 조명 수단의 구성을 갖고, 또한, 청구항 25에 기재된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에서의 조명 수단의 잭부와 전기적 접속 및 기계적 접속이 가능한 플러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조명 장치.
KR1020047014631A 2002-03-19 2003-03-17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 및 카메라용 조명 장치 KR1006815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75793 2002-03-19
JPJP-P-2002-00075793 2002-03-19
JP2002151828 2002-05-27
JPJP-P-2002-00151828 2002-05-27
PCT/JP2003/003142 WO2003079671A1 (fr) 2002-03-19 2003-03-17 Dispositif de telephone mobile a camera et dispositif d'eclairage pour camer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299A true KR20040095299A (ko) 2004-11-12
KR100681568B1 KR100681568B1 (ko) 2007-02-09

Family

ID=28043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4631A KR100681568B1 (ko) 2002-03-19 2003-03-17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 및 카메라용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253923A1 (ko)
EP (1) EP1487196A4 (ko)
JP (1) JP3549524B2 (ko)
KR (1) KR100681568B1 (ko)
CN (1) CN100588228C (ko)
TW (1) TWI225743B (ko)
WO (1) WO200307967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566B1 (ko) * 2005-05-19 2006-11-23 크루셜텍 (주) 휴대폰용 카메라 보조광원으로 사용되는 발광다이오드의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특수 렌즈를 사용한 파워발광다이오드 플래시 모듈
KR20080021441A (ko) * 2006-09-04 200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촬영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8227B2 (en) * 2002-05-02 2006-06-2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Integrated antenna assembly
JP2004274637A (ja) * 2003-03-12 2004-09-30 Nec Corp 携帯端末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ライト照度変更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KR20040100746A (ko) * 2003-05-24 2004-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역광촬영을 보정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TW200520516A (en) * 2003-12-04 2005-06-16 Arima Computer Corp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4657610B2 (ja) * 2004-01-30 2011-03-23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DE102004014751A1 (de) * 2004-03-25 2005-10-20 Cxo Network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zur Befestigung an einem mobilen Endgerät mit Kamera
GB2413392B (en) * 2004-04-23 2007-07-25 Sendo Int Lt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ith camera and flash illumination
KR100618160B1 (ko) * 2004-12-07 2006-08-29 씨씨알 주식회사 초점거리 그리드 송출이 가능한 촬상장치
WO2006087599A1 (en) * 2005-02-18 2006-08-24 Nokia Corporati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capturing images
KR100652751B1 (ko) * 2005-08-06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및 기판 지지용 지지부재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ITTO20050681A1 (it) * 2005-09-29 2007-03-30 Elsag Spa Sensore di visione per l'acquisizione di una immagine digitale
TWI318072B (en) * 2005-11-03 2009-12-01 Innolux Display Corp Method of updating luminance of light emitting elements according to ambient light intensity sensed by lmage capturing unit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4964454B2 (ja) * 2005-11-18 2012-06-2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US7826867B2 (en) * 2005-12-16 2010-11-02 Nokia Corporation Wireless terminal having a flashlight
US20070228261A1 (en) * 2006-03-29 2007-10-0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Rotary input apparatus
TW200801715A (en) * 2006-06-23 2008-01-01 Benq Corp Back light module
KR101330937B1 (ko) * 2007-02-06 2013-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백라이팅 구조물 제조방법, 이동단말기의백라이팅 구조물 및 백라이팅 구조물 구비 이동단말기
US7652716B2 (en) * 2007-05-31 2010-01-26 Microsoft Corporation Computer-controlled lighting for video communication
US20090027497A1 (en) 2007-07-26 2009-01-29 Stephen Thomas Peacock Camera light
CN101465892B (zh) * 2007-12-19 2011-06-0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摄像头保护盖
US9307063B2 (en) * 2008-01-23 2016-04-05 Lexmark International, Inc. Camera cell phone with integrated wireless mouse
US20100103380A1 (en) * 2008-10-23 2010-04-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ritical abbe illumination configuration
US20110294543A1 (en) * 2010-05-31 2011-12-01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obile phone assembly with microscope capability
JP5116823B2 (ja) * 2010-09-28 2013-01-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
US8638369B2 (en) * 2010-12-09 2014-01-28 Apple Inc. Back panel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fferent camera lens options
US9891098B2 (en) * 2010-12-30 2018-02-13 Apple Inc. Diffuser and filter structures for light sensors
US8428644B1 (en) * 2012-01-20 2013-04-23 Hooshmand Harooni Integrated lighting accessory and case for a mobile phone device
US9464796B2 (en) 2012-02-03 2016-10-11 Lumee, Llc Illumination device
US9593842B2 (en) 2012-02-03 2017-03-14 Lumee Llc Illumination device
US10495946B2 (en) 2012-02-03 2019-12-03 Case-Mate, Inc. Illumination device
CN102644896A (zh) * 2012-04-25 2012-08-22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闪光灯及其制造方法、移动终端
EP2667587A1 (en) 2012-05-22 2013-11-27 ST-Ericsson SA Lightning solution for video call session in low luminosity environment
US9538052B2 (en) * 2012-07-26 2017-01-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input-output component mounting structures
CA2885424A1 (en) * 2012-09-19 2014-03-27 Venntis Technologies LLC Device for scattering light
US20150022635A1 (en) * 2013-07-19 2015-01-22 Blackberry Limited Using multiple flashes when obtaining a biometric image
USD828829S1 (en) 2015-01-13 2018-09-18 Lumee Llc Illumination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CN104688179A (zh) * 2015-03-17 2015-06-10 天津大学 一种用于拍摄医用照片的手机照相配件
CN106324946A (zh) * 2016-10-31 2017-01-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闪光灯散热装置
CN106790883A (zh) 2016-12-07 2017-05-31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集成式移动终端
US10120231B2 (en) * 2016-12-29 2018-11-06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US20200353865A1 (en) * 2017-07-06 2020-11-12 Mazda Motor Corporation Passenger imaging device
US10620665B2 (en) * 2018-02-05 2020-04-1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 Terminal display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CN209233900U (zh) * 2018-12-14 2019-08-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组件和移动终端
KR20210152857A (ko) * 2020-06-09 2021-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250002A4 (en) * 2021-01-07 2024-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ASH LENS OF AN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0788634T3 (da) * 1994-10-25 2000-12-04 United Parcel Service Inc Automatisk elektronisk kamera til optagelse af billeder af etiketter
JPH1071730A (ja) * 1996-06-27 1998-03-17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その装置と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
CA2194027C (en) * 1996-12-24 2001-12-04 Richard Morgan Helms Imaging system using a data transmitting light source for subject illumination
FI111892B (fi) * 1997-04-22 2003-09-30 Nokia Oy Ab Monitoiminen viestinlaite
GB2360161B (en) * 2000-03-10 2004-06-16 Nokia Mobile Phones Ltd Mobile imaging
JP2001320622A (ja) * 2000-05-11 2001-11-16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JP3762853B2 (ja) * 2000-05-11 2006-04-05 櫛 引 則 昭 携帯型電話機
JP2002125031A (ja) * 2000-10-18 2002-04-26 Sony Corp 撮像手段を備えた情報端末装置
JP2003163759A (ja) * 2001-09-14 2003-06-06 Toshiba Corp 携帯端末装置
JP2003259182A (ja) * 2002-03-01 2003-09-12 Nidec Copal Corp 携帯情報端末機
JP3856221B2 (ja) * 2002-05-15 2006-12-13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566B1 (ko) * 2005-05-19 2006-11-23 크루셜텍 (주) 휴대폰용 카메라 보조광원으로 사용되는 발광다이오드의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특수 렌즈를 사용한 파워발광다이오드 플래시 모듈
KR20080021441A (ko) * 2006-09-04 200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촬영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49524B2 (ja) 2004-08-04
JPWO2003079671A1 (ja) 2005-07-21
CN100588228C (zh) 2010-02-03
KR100681568B1 (ko) 2007-02-09
WO2003079671A1 (fr) 2003-09-25
EP1487196A4 (en) 2005-06-01
TW200305327A (en) 2003-10-16
CN1643897A (zh) 2005-07-20
TWI225743B (en) 2004-12-21
US20050253923A1 (en) 2005-11-17
EP1487196A1 (en) 2004-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1568B1 (ko)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 및 카메라용 조명 장치
CN101750849A (zh) 电子装置
WO2021227778A1 (zh) 补光透镜、补光灯模组、镜头组件及电子设备
US20230075148A1 (en)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JP4459671B2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装置
CN108156286B (zh) 电子装置
WO2011123429A2 (en) Enhanced viewing brightness for surface display
JP2004311388A (ja) 携帯電子機器向け照明装置
JP3607281B2 (ja) 携帯端末装置
CN107995339B (zh) 输出模组和电子装置
JP2004233788A (ja) 発光装置
CN210225483U (zh) 电子设备
CN212381271U (zh) 移动终端
CN113067970A (zh) 摄像头模组以及移动终端
KR100860874B1 (ko) 카메라 모듈
CN218721034U (zh) 一种闪光灯透镜组
KR101607833B1 (ko) 플래쉬 모듈용 렌즈
CN113067969B (zh) 摄像头装置以及电子设备
CN217464149U (zh) 发光组件及电子设备
KR20100068584A (ko) 엘이디 플래시 렌즈 유닛
CN2706776Y (zh) 镜头模组及应用该镜头模组的便携式电子装置
JP2007140114A (ja) 携帯電子機器
CN116736608A (zh) 补光灯模组和电子设备
KR20050119398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메라 플래시 일체형 표시화면
KR20070092035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