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4320A - 무선 통신 시스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처리 방법 및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처리 방법 및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4320A
KR20040094320A KR1020040028593A KR20040028593A KR20040094320A KR 20040094320 A KR20040094320 A KR 20040094320A KR 1020040028593 A KR1020040028593 A KR 1020040028593A KR 20040028593 A KR20040028593 A KR 20040028593A KR 20040094320 A KR20040094320 A KR 20040094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nsmission
response
paths
frequenc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3559B1 (ko
Inventor
이토오사무
후쿠다쿠니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4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4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5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09Selective-repeat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83Transmitters with multiple parallel p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6Channel splitting in point-to-point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장치는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데이터 분배 수단과,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에 분배 순서를 부가하는 데이터 출력 수단과, 상기 분배 순서가 부가된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끼리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다른 전송로를 동시에 사용하여 통신 상태에 따른 전송 형태에 의해 효율이 좋은 전송을 실현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RADIO COMMUNICATION SYSTEM,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기술분야
본 발명은 분배된 데이터 조각을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서 송신 및 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시스템,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상기 장치에 있어서의 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주파수 다이버시티 방식이라는 것은 다른 복수의 반송파에 의해 동일한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측에서 그들을 선택 또는 합성함에 의해 특성 개선을 도모하는 방법이다. 상기 주파수 다이버시티 방식에 있어서는 동일 신호가 복수의 반송파에 의해 송신되기 때문에, 그 중 몇개가 수신 불가능하게 된 경우에도 다른 반송파에 의해 수신을 행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특히, OFDM(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에서는 많은 반송파를 갖기 때문에, 모든 반송파가 수신 불능으로 될 가능성은 매우 낮고, 또한, 동일 신호를 보내는 반송파의 조합을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다는 이유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2000-201130호 공보(도 5)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개평10-336159호 공보(도 1)
상술한 주파수 다이버시티 방식에서는 동일 신호를 복수의 반송파에 의해 송신함으로써, 예를 들면, 멀티 패스의 영향에 의해 수신측에서 직접파와 지연파가 역상으로 되는 캐리어에 의해 수신 전파 강도가 떨어지는 딥(dip) 현상이 생긴 경우에도 어느 하나의 반송파에 의해 수신을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주파수 다이버시티 방식에서는 동일 신호를 동시에 송신하기 때문에, 그만큼 전송 레이트가 저하되게 된다. 현재 상태의 기술에서는 예를 들면 IEEE(미국 전기 전자 학회)의 802 표준화 위원회의 워킹 그룹에 의한 IEEE802.11a 규격에 있어서의 무선 전송 속도의 최대치는 54Mbps(비트/초)이고, 이는 유선에 의한 전송 속도에 비해 충분하다고 할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전송로를 동시에 사용하여 통신 상태에 따른 전송 형태에 의해 효율이 좋은 전송을 실현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 따른 송신 장치는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데이터 분배 수단과,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에 분배 순서를 부가하는 데이터 출력 수단과, 상기 분배 순서가 부가된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끼리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한다. 이로써, 수신측에서 분배 순서에 따라 병합할 수 있는 상태로 송신 데이터가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송신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배 수단이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끼리가 실질적으로 동등한 시간 길이로 송신되도록 상기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것이다. 이로써,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송신되는 시간 길이가 서로 동일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다른 전송로마다 전회(previous data)의 데이터 송신에 대한 리스폰스를 판별하는 리스폰스 판별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분배 수단은 상기 리스폰스 판별 수단에 의해 상기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의 어느 하나의 수신에 실패하였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전회 데이터 송신시의 송신 데이터를 재발송하도록 분배하는 것이다. 이로써, 재발송을 위한 제어를 간략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다른 전송로마다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대한 리스폰스를 판별하는 리스폰스 판별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분배 수단은 상기 리스폰스 판별 수단에 의해 상기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하였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상기 실패에 관한 송신 데이터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송신하도록 분배하는 것이다. 이로써, 수신에 실패한 데이터를 보다 확실하게 송신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송신 장치의 상기 송신 수단이 상기 실패에 관한 송신 데이터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송신할 때에는 상기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의 수신에 성공한 전송로의 변조 모드와 같은 변조 모드로 송신하는 것이다. 이로써, 실적이 있는 변조 모드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송신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송신 장치는 다른 전송로마다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대한 리스폰스를 판별하는 리스폰스 판별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분배 수단은 상기 리스폰스 판별 수단에 의해 상기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하였다고 판별된 빈도가 동일한 전송로에서 소정 기준을 초과한 경우에는 그 이후 상기 전송로에서의 송신을 행하지 않도록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것이다. 이로써, 수신의 실패 빈도가 높은 전송로는 통신 상태가 악화된 것으로 간주하고 송신 중지로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다른 전송로마다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대한 리스폰스를 판별하는 리스폰스 판별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분배 수단은 상기 리스폰스 판별 수단에 의해 동일한 전송로에서 소정 회수 이상 연속하여 상기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있어서의 송신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하였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그 이후 상기 전송로에서의 송신을 행하지 않도록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것이다. 이로써, 소정 회수 이상 연속하여 수신에 실패한 전송로는 통신 상태가 악화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송신 중지로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다른 전송로마다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대한 리스폰스를 판별하는 리스폰스 판별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분배 수단은 상기 리스폰스 판별 수단에 의해 상기 리스폰스의 수신에 성공하였다고 판별된 빈도가 동일한 전송로에서 소정 기준을 초과한 경우에는 그 이후 상기 전송로에서의 송신을 행하도록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것이다. 이로써, 수신의 성공 빈도가 높아진 전송로는 통신 상태가 개선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송신 재개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다른 전송로마다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대한 리스폰스를 판별하는 리스폰스 판별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분배 수단은 상기 리스폰스 판별 수단에 의해 동일한 전송로에서 소정 회수 이상 연속하여 상기 리스폰스의 수신에 성공하였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그 이후 상기 전송로에서의 송신을 행하도록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것이다. 이로써, 소정 회수 이상 연속하여 수신에 성공한 전송로는 통신 상태가 개선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송신 재개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다른 전송로마다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대한 리스폰스를 판별하는 리스폰스 판별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분배 수단은 상기 리스폰스 판별 수단에 의해 상기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하였다고 판별된 빈도가 동일한 전송로에서 소정 기준을 초과한 경우에는 그 이후 상기 전송로에서의 송신을 보다 잡음 내성이 있는 변조 모드에 의해 행하도록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것이다. 이로써, 수신의 실패 빈도가 높은 전송로는 통신 상태가 악화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보다 잡음 내성이 있는 변조 모드에 의해 송신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다른 전송로마다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대한 리스폰스를 판별하는 리스폰스 판별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분배 수단은 상기 리스폰스 판별 수단에 의해 동일한 전송로에서 소정 회수 이상 연속하여 상기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있어서의 송신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하였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그 이후 상기 전송로에서의 송신을 보다 잡음 내성이 있는 변조 모드에 의해 행하도록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것이다. 이로써, 소정 회수 이상 연속하여 수신에실패한 전송로는 통신 상태가 악화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보다 잡음 내성이 있는 변조 모드에 의해 송신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다른 전송로마다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대한 리스폰스를 판별하는 리스폰스 판별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분배 수단은 상기 리스폰스 판별 수단에 의해 상기 리스폰스의 수신에 성공하였다고 판별된 빈도가 동일한 전송로에서 소정 기준을 초과한 경우에는 그 이후 상기 전송로에서의 송신을 보다 잡음 내성이 없는 변조 모드에 의해 행하도록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것이다. 이로써, 수신의 성공 빈도가 높아진 전송로는 통신 상태가 개선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보다 잡음 내성이 없는 변조 모드에 의해 송신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다른 전송로마다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대한 리스폰스를 판별하는 리스폰스 판별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분배 수단은 상기 리스폰스 판별 수단에 의해 동일한 전송로에서 소정 회수 이상 연속하여 상기 리스폰스의 수신에 성공하였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그 이후 상기 전송로에서의 송신을 보다 잡음 내성이 없는 변조 모드에 의해 행하도록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것이다. 이로써, 소정 회수 이상 연속하여 수신에 성공한 전송로는 통신 상태가 개선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보다 잡음 내성이 없는 변조 모드에 의해 송신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송신 장치는 데이터 송신에 앞서 각 전송로의 비어있는 상황을 보고하는 캐리어 센스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캐리어 센스 수단에 의해 비어있지 않다고 보고된 전송로에의 상기 데이터 송신을 행하지 않고 또한 상기 전송로 이외의 전송로에서의 상기 데이터 송신을 시작한 후에 상기 비어있지 않다고 판단된 전송로에 비어 있음이 생긴 경우에도 상기 비어있지 않다고 판단된 전송로에의 상기 데이터 송신을 행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로써, 송신을 위한 제어를 간략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송신 장치의 상기 다른 전송로는 서로 다른 주파수대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로써, 예를 들면 2.4GHz대와 5GHz대라는 다른 주파수대에 의해 송신 데이터가 동시에 송신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송신 장치의 상기 다른 전송로는 동일한 주파수대에서의 서로 다른 채널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로써, 동일한 주파수대라도 다른 채널에 의해 송신 데이터가 동시에 송신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송신 장치의 상기 다른 전송로는 동일한 채널에 있어서의 서로 다른 전달 함수를 갖는 전파로(propagation path)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로써, 동일한 채널이라도 다른 전달 함수를 갖는 전파로에 의해 송신 데이터가 동시에 송신되게 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제2의 특징에 따른 수신 장치는 분배되어 그 분배 순서가 부가된 데이터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수단과, 상기 분배 순서에 따라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병합하는 데이터 병합 수단을 구비한다. 이로써, 송신측에서 분배된 데이터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수신하고 병합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다른 전송로마다 데이터 수신 상태를 판별하는 데이터 판별 수단과, 상기 데이터 판별 수단에 의한 모든 판별 결과를 포함하는 동일한 리스폰스를 상기 다른 전송로의 모두에 출력하는 리스폰스 출력 수단을 또한 구비한다. 이로써, 어느 하나의 전송로의 통신 상태가 악화되어 있는 경우에도 데이터 송신원에 대해 보다 확실하게 리스폰스를 반송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수신 장치의 상기 다른 전송로는 서로 다른 주파수대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로써, 송신측에서 분배된 데이터가 다른 주파수대에 의해 동시에 수신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수신 장치의 상기 다른 전송로는 동일한 주파수대에서의 서로 다른 채널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로써, 동일한 주파수대라도 다른 채널에 의해 데이터가 동시에 수신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수신 장치의 상기 다른 전송로는 동일한 채널에 있어서의 서로 다른 전달 함수를 갖는 전파로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로써, 동일한 채널이라도 다른 전달 함수를 갖는 전파로에 의해 데이터가 동시에 수신되게 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제3의 특징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무선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송신 장치는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데이터 분배 수단과,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에 분배 순서를 부가하는 데이터 출력 수단과, 상기 분배 순서가 부가된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끼리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분배 순서가 부가된 데이터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수단과, 상기 분배 순서에 따라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병합하는 데이터 병합 수단과, 상기 다른 전송로마다 데이터 수신 상태를 판별하는 데이터 판별 수단과, 상기 데이터 판별 수단에 의한 모든 판별 결과를 포함하는 동일한 리스폰스를 상기 다른 전송로의 모두에 의해 상기 송신 장치에 출력하는 리스폰스 출력 수단을 구비한다. 이로써, 송신측에서 분배된 데이터에 분배 순서를 부가하고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송신하고, 수신측에서 분배 순서에 따라 데이터를 병합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통신 시스템의 상기 다른 전송로는 서로 다른 주파수대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로써, 송신측에서 분배된 데이터를 다른 주파수대에 의해 동시에 송신하고, 수신측에서 다른 주파수대에 의해 수신하고 병합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통신 시스템의 상기 다른 전송로는 동일한 주파수대에서의 서로 다른 채널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로써, 동일한 주파수대라도 다른 채널에 의해 데이터가 동시에 송수신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통신 시스템의 상기 다른 전송로는 동일한 채널에 있어서의 서로 다른 전달 함수를 갖는 전파로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로써, 동일한 채널이라도 다른 전달 함수를 갖는 전파로에 의해 데이터가 동시에 송수신되게 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제4의 특징에 따른 처리 방법은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스텝과,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에 분배 순서를 부가하는 스텝과, 상기 분배 순서가 부가된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끼리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송신하는 스텝을 구비한다. 이로써, 수신측에서 분배 순서에 따라 병합할 수 있는 상태로 송신 데이터가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송신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제5의 특징에 따른 처리 방법은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스텝과,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에 분배 순서를 부가하는 스텝과, 상기 분배 순서가 부가된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끼리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다른 전송로의 어느 하나의 전송로에서 상기 송신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한 경우에는 상기 송신과 같은 송신 데이터를 재발송하도록 분배하는 스텝을 구비한다. 이로써, 재발송을 위한 제어를 간략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6의 특징에 따른 처리 방법은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스텝과,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에 분배 순서를 부가하는 스텝과, 상기 분배 순서가 부가된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끼리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다른 전송로의 어느 하나의 전송로에서 상기 송신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한 경우에는 상기 실패에 관한 데이터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송신하도록 분배하는 스텝을 구비한다. 이로써, 수신에 실패한 데이터를 보다 확실하게 송신한다.
본 발명의 제7의 특징에 따른 처리 방법은 분배되어 그 분배 순서가 부가된 데이터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분배 순서에 따라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병합하는 스텝과, 상기 다른 전송로마다 데이터 수신 상태를 판별하는 스텝과, 상기 다른 전송로마다 데이터 수신 상태의 판별 결과를 포함하는 동일한 리스폰스를 상기 다른 전송로의 모두에 출력하는 스텝을 구비한다. 이로써, 어느 하나의 전송로의 통신 상태가 악화되어 있는 경우에도 데이터 송신원에 대해 보다 확실하게 리스폰스를 반송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제8의 특징에 따른 프로그램은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스텝과,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에 분배 순서를 부가하는 스텝과, 상기 분배 순서가 부가된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끼리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송신하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이다. 이로써, 수신측에서 분배 순서에 따라 병합할 수 있는 상태에서 송신 데이터가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송신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제9의 특징에 따른 프로그램은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스텝과,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에 분배 순서를 부가하는 스텝과, 상기 분배 순서가 부가된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끼리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다른 전송로의 어느 하나의 전송로에서 상기 송신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한 경우에는 상기 송신과 같은 송신 데이터를 재발송하도록 분배하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이다. 이로써, 재발송을 위한 제어를 간략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10의 특징에 따른 프로그램은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스텝과,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에 분배 순서를 부가하는 스텝과, 상기 분배 순서가 부가된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끼리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다른 전송로의 어느 하나의 전송로에서 상기 송신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한 경우에는 상기 실패에 관한 데이터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송신하도록 분배하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이다. 이로써, 수신에 실패한 데이터를 보다 확실하게 송신한다.
본 발명의 제11의 특징에 따른 프로그램은 분배되어 그 분배 순서가 부가된 데이터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분배 순서에 따라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병합하는 스텝과, 상기 다른 전송로마다 데이터 수신 상태를판별하는 스텝과, 상기 다른 전송로마다 데이터 수신 상태의 판별 결과를 포함하는 동일한 리스폰스를 상기 다른 전송로의 모두에 출력하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이다. 이로써, 어느 하나의 전송로의 통신 상태가 악화되어 있는 경우에도 데이터 송신원에 대해 보다 확실하게 리스폰스를 반송하는 작용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 분배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국 또는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국 또는 기지국의 수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국 또는 기지국의 송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부에 의한 데이터 송신 제어 기능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부에 의한 데이터 수신 제어 기능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 패킷의 프레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 분배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스폰스 패킷의 프레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국 및 기지국의 동작의 한 예를 도시한 시퀀스 차트.
도 11은 도 10의 예에 있어서의 데이터 재발송 처리의 판단 내용에 관해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국 및 기지국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 시퀀스 차트.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카운터(A)에 의한 송신의 중지 및 재개의 제어에 관해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국 및 기지국의 동작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시퀀스 차트.
도 15는 도 14의 예에 있어서의 데이터 재발송 처리의 판단 내용의 한 예에 관해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4의 예에 있어서의 데이터 재발송 처리의 판단 내용의 다른 예에 관해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한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국 또는 기지국의 구성의 제 1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국 또는 기지국의 구성의 제 2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국 또는 기지국의 구성의 제 3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부호의 설명>
11, 12 : 단말국 21 : 기지국
30 : 네트워크 101, 201 : 안테나
102, 202 : 전환기 103, 104, 203, 204 : 파워 앰프
105, 205 : 선택기 110, 130, 210, 230 : 수신부
120, 140, 220, 240 : 송신부 192 : 간섭 보상기
291 : 시공간 부호화기 300 : 통신 제어부
331 : 데이터 분배부 332 : 데이터 버퍼
340 : 논리층 제어부 350 : 메모리
360 : 물리층 인터페이스 371 : 데이터 병합부
372 : 데이터 버퍼 400 : 주변 인터페이스
310, 320 : 분배 제어부 311, 321 : 캐리어 센스부
312, 322 : 리스폰스 판별부 313, 323 : 카운터
315, 325 : 데이터 출력부 350, 360 : 병합 제어부
351, 361 : 데이터 판별부 352, 362 : 리스폰스 출력부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 분배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송신 장치에 있어서의 송신 대상의 데이터는 선두로부터 D1과 D2, D3과 D4, ... 라는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분할된다. 그리고, 분할된 데이터는 예를 들면 데이터(D1)를 전송로(A)에서, 데이터(D2)를 전송로(B)에서 라는 방법으로 복수의 다른 전송로로 분배되어 송신된다. 상기 도 1에서는 전송로(A 및 B)라는 2개의 전송로로 분배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분배하는 전송로의 수는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분배된 데이터(D1 및 D2)는 다른 전송로(A 및 B)에 의해 각각 동시에 송신된다. 각 전송로에서의 변조 모드는 일치하고 있을 필요는 없지만, 송신에 요하는 시간 길이가 대략 일치하도록 데이터 분할 때의 비트 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D1 및 D2)가 송신된 후에는 데이터(D3 및 D4)가 전송로(A 및 B)에 의해 각각 동시에 송신된다. 각 전송로에서의 통신 상태가 허용되는 한, 이와 같은 전송로(A 및 B)에 의한 동시 송신이 순차적으로 행하여진다.
전송로(A 및 B)의 구체적인 주파수에 관해서는 특히 제약은 없지만, 무선LAN(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사용을 상정하면, 예를 들면, 2.4GHz대 및 5GHz대를 사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IEEE802.11 규격에서는 2.4GHz대의 사용이 규정되어 있다. 또한, 그 확장 규격인 IEEE802.11a 규격에서는 5GHz대가 사용되고, 변조 방식으로서 OFDM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따라서, IEEE802.11a 규격에 의한 OFDM 방식을 5GHz대 및 2.4GHz대의 양자에서 동시에 이용함에 의해 높은 전송 레이트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다른 확장 규격인 IEEE802.11b 및 IEEE802.11g 규격에서는 2.4GHz대에서 DSSS(직접 스펙트램 확산)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따라서, 5GHz대로 0FDM 방식을 사용하고, 2.4GHz대에서는 DSSS 방식을 사용함에 의해, IEEE802.11a, IEEE802.11b 및 IEEE802.11g 규격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높은 전송 레이트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른 전송로에 의해 동시에 통신을 행할 때, 다른 주파수대를 이용하여도 좋고, 동일 주파수대의 다른 채널을 이용하여도 좋고, 또한, 동일한 채널에 있어서의 다른 전달 함수를 갖는 전파로를 이용하여도 좋지만, 상기 실시예에서는 한 예로서, 다른 주파수대를 이용하여 동시에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상정하여 구성 및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국 또는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단말국 또는 기지국은 2.4GHz대 및 5GHz대용의 송신 장치 또는 수신 장치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즉, 2.4GHz대용의 안테나(101)와 실렉터(102)와 파워 앰프(103)와 수신부(110)와 송신부(120)를 구비함과 함께, 5GHz대용의안테나(201)와 실렉터(202)와 파워 앰프(203)와 수신부(210)와 송신부(220)를 구비한다. 따라서, 단말국 또는 기지국은 2.4GHz대에서의 송수신과 5G11z대에서의 송수신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안테나(101 및 201)는 각각 2.4GHz대 및 5GHz대의 고주파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실렉터(102 및 202)는 각각 2.4GHz대 및 5GHz대에 있어서의 수신부(110 및 210)와 송신부(120 및 220)를 전환하여 안테나(101 및 201)에 접속하는 것이다. 2.4GHz대 및 5GHz대의 수신부(110 및 210)는 각각 2.4GHz대 및 5GHz대에 있어서의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 및 복호하는 것이다. 한편, 2.4GHz대 및 5GHz대의 송신부(120 및 220)는 각각 2.4GHz대 및 5GHz대에 있어서의 고주파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부호화 및 변조하는 것이다. 2.4GHz대 및 5GHz대의 송신부(120 및 220)의 출력부에는 각각 파워 앰프(103 및 203)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파워 앰프(103 및 203)는 송신 신호를 증폭한다.
단말국 또는 기지국은 통신 제어부(300)를 또한 갖는다. 상기 통신 제어부(300)는 주로 논리층의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논리층 제어부(340)와 메모리(350)와 물리층 인터페이스(360)를 포함한다. 논리층 제어부(340)는 논리층으로서 예를 들면 데이터 링크층에 있어서의 MAC(미디어 액세스 제어) 부층(副層)의 프레임을 처리한다. 메모리(350)는 논리층 제어부(340)에 의한 처리에 필요한 작업 데이터 등을 보존하는 것이다. 물리층 인터페이스(360)는 2.4GHz대 및 5GHz대의 수신부(110 및 210) 및 송신부(120 및 220)에 의해 실현되는 물리층과의 교환을 행하는 인터페이스이다.
단말국 또는 기지국은 주변 인터페이스(400)를 또한 갖는다. 단말국의 경우는 주변 인터페이스(400)로서 호스트 인터페이스가 사용되고, 상기 호스트 인터페이스의 포트(409)에는 컴퓨터 등의 호스트 기기가 접속된다. 한편, 기지국의 경우는 주변 인터페이스(400)로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사용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포트(409)에는 인터넷 등을 이용하기 위한 모뎀 등이 접속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국 또는 기지국의 수신부(2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수신부(210)는 안테나(201)에 의해 수신한 5GHz대의 고주파 신호를 중간 신호로 변환하여 복조 및 복호하는 것이다. OFDM 방식을 상정하면, 상기 수신부(210)는 다운 컨버터(211)와 직교 복조기(212)와 이산 프리에 변환기(213)와 차동 복호기(214)와 디맵핑 회로(215)와 오류 정정 회로(216)를 갖는다.
다운 컨버터(211)는 5GHz대의 고주파 신호를 소정의 중간 주파수대의 중간 신호로 변환한다. 직교 복조기(212)는 다운 컨버터(211)에 의해 변환된 중간 신호를 직교 검파하고, 중간 신코와 동상의 동상 신호(I 신호) 및 중간 신호의 직교 성분인 직교 신호(Q 신호)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밴드 신호를 추출한다. 이산 프리에 변환기(213)는 직교 복조기(212)에 의해 추출된 베이스 밴드 신호를 가드 기간을 제외한 유효 심볼 기간에서 프리에 변환하여 각 부반송파(副搬送波)마다 복소 데이터를 복조한다.
차동 복호기(214)는 이산 프리에 변환기(213)에 의해 복조된 복소 데이터를 차동 복호하는 것으로, 예를들어 PSK 방식에서 이용된다. 디맵핑 회로(215)는 차동복호기(214)에 의해 복호된 복소 데이터를 디맵핑하여 데이터 심볼을 취출한다. 오류 정정 회로(216)는 비터비 복호 등에 의해 데이터 정정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데이터는 통신 제어부(300)의 물리층 인터페이스(360)에 출력된다.
여기서는 5GHz대 수신부(210)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2.4GHz대 수신부(110)도 같은 구성에 의해, 안테나(101)에 의해 수신한 2.4GHz대의 고주파 신호를 중간 신호로 변환하여 복조 및 복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국 또는 기지국의 송신부(22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송신부(220)는 물리층 인터페이스(360)로부터의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변조하고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고 안테나(201)를 향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0FDM 방식을 상정하면, 상기 송신부(220)는 오류 정정 부호화 회로(221)와 맵핑 회로(222)와 차동 인코더(223)와 역(逆) 이산 프리에 변환기(224)와 직교 변조기(225)와 업 컨버터(226)를 갖는다.
오류 정정 부호화 회로(221)는 비트 레이트에 따라 접치는 부호 등으로 부호화한다. 맵핑 회로(222)는 오류 정정 부호화 회로(221)에 의해 오류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소 데이터 심볼에 매핑한다. 차동 인코더(223)는 맵핑 회로(222)에 의해 매핑된 복소 데이터 심볼을 차동 부호화하고 각 부반송파마다 복소 데이터를 할당한다.
역 이산 프리에 변환기(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er)(224)는 차동 인코더(223)에 의해 차동 부호화된 복소 데이터를 반대 프리에 변환에 의해 변조하고, 베이스 밴드 신호(I 신호 및 Q 신호)를 출력한다. 직교 변조기(225)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직교 변조하고 소정의 중간 주파수대의 중간 신호를 생성한다. 업 컨버터(226)는 직교 변조기(225)에 의해 생성된 중간 신호를 5GHz대의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고 안테나(201)를 향하여 출력한다.
또한, 여기서는 5GHz대 송신부(220)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2.4GHz대 송신부(120)도 같은 구성에 의해, 물리층 인터페이스(360)로부터의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변조하고 2.4GHz대의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고 안테나(101)를 향하여 출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부(300)에 의한 데이터 송신 제어 기능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데이터 송신 제어 기능은 데이터 버퍼(332)에 보존된 데이터를 분배하는 데이터 분배부(331)와 주파수대(A)(예를 들면 2.4GHz대)에 있어서의 데이터 분배를 제어하는 분배 제어부(A310)와 주파수대(B)(예를 들면 5GHz대)에 있어서의 데이터 분배를 제어하는 분배 제어부(B320)로 이루어진다.
분배 제어부(A310)는 캐리어 센스부(A311)와 리스폰스 판별부(A312)와 카운터(A313)와 데이터 출력부(A315)로 이루어진다. 캐리어 센스부(A311)는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비어있는 상황을 데이터 출력부(A315), 리스폰스 판별부(A312) 및 데이터 분배기(331)에 보고한다. 캐리어 센스부(A311)에 의해 주파수대(A)가 비어있지 않다고 보고된 경우, 데이터 출력부(A315)는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는다. 그 결과, 주파수대(B)가 비어있으면 주파수대(B)만으로 데이터 송신이 행하여지게 된다. 그 경우, 주파수대(B)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신이 시작되어 버리면, 그 후에 주파수대(A)가 비어 있음이 판명되었다고 하여도 그 회의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은 행하여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각 주파수대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신의 타이밍에 어긋남이 생김에 의한 제어의 복잡화를 회피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리스폰스 판별부(A312) 및 데이터 분배기(331)는 캐리어 센스부(A311)에 의해 주파수대(A)가 비어있지 않다고 보고된 경우, 실제의 리스폰스를 기다리는 일 없이 다음의 데이터 송신에 관한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리스폰스 판별부(A312)는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대한 리스폰스를 판별하고 그 결과를 데이터 분배부(331), 카운터(A313) 및 카운터(B323)에 공급한다. 데이터 분배부(331)는 데이터 버퍼(332)로부터의 데이터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데이터 출력부(A315) 및 데이터 출력부(B325)로 분배하여 간다. 단, 다음과 같이 카운터(A313)의 상태에 따라,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신을 중지(즉, 송신 중지 모드로 이행)하거나 또는 재개(즉, 송신 모드로 이행)한다.
카운터(A313)는 성공 카운터(A) 및 실패 카운터(A)로 이루어진다. 성공 카운터(A)는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신에 대한 리스폰스의 수신에 연속하여 성공했을 때의 연속 회수를 카운트한다. 한편, 실패 카운터(A)는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송신 데이터의 수신에 연속하여 실패했을 때의 연속 회수를 카운트한다. 데이터 분배부(331)는 실패 카운터(A)의 값이 소정 회수 이상을 나타낸 경우, 그 이후는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신을 행하지 않도록 송신 데이터를 분배한다. 즉, 주파수대(A)에 관해 송신 모드로부터 송신 중지 모드로 이행한다. 한편, 데이터 분배부(331)는 송신 중지 모드에 있어서 성공 카운터(A)의 값이 소정 회수 이상을 나타낸 경우, 그 이후는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신을 행하도록 송신 데이터를 분배한다. 즉, 주파수대(A)에 관해 송신 중지 모드로부터 송신 모드로 이행한다.
카운터(A313)에는 리스폰스 판별부(A312) 및 리스폰스 판별부(B322)의 양자로부터 리스폰스 판별 결과가 공급되게 되어 있고, 어느 한쪽의 주파수대에서의 통신 상태가 악화되어 리스폰스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라도, 적어도 한쪽의 주파수대에 있어서 리스폰스를 수신할 수 있다면, 모든 주파수대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수신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는 분배 제어부(A310)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분배 제어부(B320)도 같은 구성에 의해 주파수대(B)에 있어서의 데이터 분배를 제어한다. 데이터 분배부(331)에 있어서의 주파수대(B)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신의 중지 및 재개에 대해서도, 주파수대(A)의 상태에 의존하지 않고, 카운터(B323)의 상태에 따라 독립하여 제어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부(300)에 의한 데이터 수신 제어 기능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데이터 수신 제어 기능은 각 주파수대에 있어서 수신한 데이터를 병합하고 데이터 버퍼(372)에 보존시키는 데이터 병합부(371)와 주파수대(A)(예를 들면 2.4GHz대)에 있어서의 데이터 병합을 제어하는 병합 제어부(A350)와 주파수대(B)(예를 들면 5GHz대)에 있어서의 데이터 병합을제어하는 병합 제어부(B360)로 이루어진다.
병합 제어부(A350)는 데이터 판별부(A351)와 리스폰스 출력부(A352)로 이루어진다. 또한, 병합 제어부(B360)는 데이터 판별부(B361)와 리스폰스 출력부(B36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데이터 판별부(A351)는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신 상태를 판별하고, 그 결과를 데이터 병합부(371) 및 리스폰스 출력부(A352 및 B362)에 공급한다. 또한, 데이터 판별부(B361)는 주파수대(B)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신 상태를 판별하고, 그 결과를 데이터 병합부(371) 및 리스폰스 출력부(A352 및 B362)에 공급한다.
리스폰스 출력부(A352)는 데이터 판별부(A351)에 의한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신 상태의 판별 결과 및 데이터 판별부(B361)에 의한 주파수대(B)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신 상태의 판별 결과를 아울러,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리스폰스로서 출력한다. 또한, 리스폰스 출력부(B362)는 데이터 판별부(A351)에 의한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신 상태의 판별 결과 및 데이터 판별부(B361)에 의한 주파수대(B)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신 상태의 판별 결과를 아울러, 주파수대(B)에 있어서의 리스폰스로서 출력한다. 즉, 각 주파수대에 있어서의 리스폰스에는 모든 주파수대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신 상태의 판별 결과가 포함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 패킷의 프레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데이터 패킷은 단말국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송신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물리층 헤더(610)와 MAC 헤더(620)와 페이로드(630)로 이루어진다. 물리층 헤더(610)는 물리층으로서 예를 들면 PLCP(물리층 컨버젠스 프로토콜) 부층에 있어서의 정보를 전달하는 PLCP 프레임의 헤더로서, 전송 속도, 변조 방식이나 PLCP 프레임의 길이 등을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한다. MAC 헤더(620)는 MAC 부층에 있어서의 정보를 전달하는 MAC 프레임의 헤더로서, 프레임의 종류나 프레임의 송수신 어드레스 등을 나타내는 필드를 포함한다. 페이로드(630)는 MAC 프레임의 페이로드로서 데이터(631) 및 CRC(63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패킷에 있어서의 MAC 헤더(620)에 사용 상황(621), 순서(622) 및 CRC(623)의 각 필드를 포함하고 있다. 사용 상황(621) 은 상기 프레임이 송신되었을 때의 각 주파수대의 사용 상황을 나타내는 필드로서, 각 주파수대마다 1비트가 할당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 비트가 "0"인 경우에 2.4GHz대는 미사용인 것을 나타내고, "1"인 경우에 2.4GHz대가 사용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제2 비트가 "0"인 경우에 5GHz대는 미 사용인 것을 나타내고, "1"인 경우에 5GHz대가 사용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로써, 프레임을 수신한 수신부(110 및 210)는 다른 주파수대에서 동시에 송신된 프레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 순서(622)는 동시에 송신된 데이터끼리의 순서 관계를 나타내는 필드로서, 예를 들면 동시에 2개의 데이터가 분배되는 것으로 하면, "0"인 경우에 제1 데이터인 것을 나타내고, "1"인 경우에 제2 데이터인 것을 나타낸다. CRC(623)는 MAC 헤더(620)에 있어서의 데이터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순회형 용장 체크 부호이다.
프레임 송신시에, 통신 제어부(300)의 데이터 분배부(331)는 이들 주파수대(621) 및 순서(622)를 생성하고 MAC 헤더(620)에 부가한다. 한편, 프레임수신측에서는 통신 제어부(300)의 데이터 병합부(371)가 순서(622)에 따라 데이터를 데이터 버퍼(372)에 격납한다.
여기서, 데이터(631)의 분배는 이하의 조건에 의해 행하여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 분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송 대상의 데이터(601)를 2개로 분배하고 데이터 패킷(602 및 603)에 의해 송신하는 예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예에서는 전송 데이터(601)가 1512바이트이고, 데이터 패킷(602)에 포함되는 데이터가 504바이트, 데이터 패킷(603)에 포함되는 데이터가 1008바이트로 되어 있다. 분배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데이터 패킷(602)에서는 변조 모드가 QPSK이고 부호화율이 1/2, 데이터 패킷(603)에서는 변조 모드가 16QAM이고 부호화율이 1/2로 하고 있다. 상기 조건에 의해, 데이터 패킷(602)에 포함되는 504바이트의 데이터와 데이터 패킷(603)에 포함되는 1008바이트의 데이터에서 송신에 요하는 시간이 동등하게 된다.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변조 방식에 관한 비트 수를 각각 m1 및 m2로 하고, 부호화율을 각각 r1 및 r2라고 하면,
m1×r1 : m2×r2
의 비율에 따라 데이터를 분배하면 양자의 송신 시간이 동등하게 된다. 상술한 예에서는,
2×(1/2) : 4×(1/2) = 1 : 2
이고, 제1 부분과 제2 부분과의 비가 1대2가 된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부분의 변조 모드가 BPSK이고 부호화율이 1/2, 제2 부분의 변조 모드가 64QAM이고부호화율이 3/4라고 하면,
1×(1/2) : 6×(3/4) = 1 : 9
로 된다. 이와 같은 데이터 분배를 행함에 의해 송신에 요하는 시간을 동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MAC 헤더나 데이터의 CRC까지 가미한 상세한 계산은 이하와 같이 된다. 단, 물리층 헤더는 각 송신마다 변조 모드를 변동시키지 않고, 동일한 변조 모드인 것을 가정한다. MAC 헤더를 30바이트, 데이터의 CRC를 4바이트, 송신 데이터의 바이트 수를 d,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데이터의 바이트 수를 각각 d1 및 d2, 변조 방식에 관한 비트 수를 각각 m1 및 m2, 부호화율을 각각 r1 및 r2라고 하면,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의 데이터 송신 시간을 동등하게 한다는 조건으로부터 이하의 식이 성립한다.
(30+d1+4)/(m1×r1) = (30+d2+4)/(m2×r2)
d = d1+d2
이것을 d1 및 d2에 관해 풀면,
d1= d×(m1×r1)/(m1×r1+m2×r2)+34×(m1×r1-m2×r2)/(m1×r1+m2×r2)
d2= d×(m2×r2)/(m1×r1+m2×r2)+34×(m2×r2-m1×r1)/(m1×r1+m2×r2)가 된다.
또한, 물리층 헤더의 일부에서 변조 모드에 의존하여 송신되는 정보가 포함되고 패킷이 정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양 식의 우변 제 2항의 "34"에 상당하는 곳의 값이 적절히 변경된다. 물론, MAC 헤더의 데이터 길이가 다르면, 상기 "34"에상당하는 곳의 값이 적절히 변경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스폰스 패킷의 프레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리스폰스 패킷은 데이터를 수신한 단말국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송신원의 단말국 또는 기지국으로 반송되는 것으로, 물리층 헤더(640)와 MAC 헤더(650)와 페이로드(660)로 이루어진다. 물리층 헤더(640)가 PLCP 부층에 있어서의 정보를 전달하는 PLCP 프레임의 헤더이고, MAC 헤더(650)가 MAC 부층에 있어서의 정보를 전달하는 MAC 프레임의 헤더인 점은 도 7에 있어서의 데이터 패킷의 물리층 헤더(610) 및 MAC 헤더(620)와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리스폰스 패킷에서는 페이로드(660)에 있어서 상태(661) 및 CRC(662)의 각 필드를 포함하고 있다. 상태(661)는 분배된 데이터의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또한, CRC(662)는 MAC 헤더(650) 및 페이로드(660)에 있어서의 데이터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순회형 용장 체크 부호이다.
상태(661)는 분배되어 동시에 송신된 데이터에 관한 수신 상태를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리스폰스 패킷이라도 주파수대(A)뿐만 아니라 주파수대(B)의 수신 상태도 포함한다. 그 때문에, 상태(661)는 분배된 데이터의 수에 따른 정보를 포함하고, 데이터가 2개로 분배되어 송신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제1 비트에서 제1 부분의 수신 상태를 나타내고, 2비트에서 제2 부분의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제1 부분의 수신에 성공한 경우에는 제1 비트가 "0", 제1 부분의 수신에 실패한 경우에는 제1 비트가 "1"이 된다. 마찬가지로, 제2 부분의 수신에 성공한 경우에는 제2 비트가 "0", 제2 부분의 수신에 실패한 경우에는 제2 비트가 "1"이 된다.
상기 리스폰스 패킷의 상태(661)는 데이터를 수신한 단말국 또는 기지국의 통신 제어부(300)의 데이터 판별부(A351 및 B361)에 있어서의 판별 결과에 의거하여 리스폰스 출력부(A352 및 B362)에 의해 생성된다. 상기 리스폰스 패킷은 데이터 송신원의 단말국 또는 기지국으로 반송되고, 데이터 송신원의 단말국 또는 기지국의 리스폰스 판별부(A312 및 B322)에서 상태(661)가 판별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국 및 기지국의 동작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국 및 기지국의 동작의 한 예를 도시한 시퀀스 차트이다. 여기서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국에 대해 주파수대(A)(예를 들면, 2.4 GHz대) 및 주파수대(B)(예를 들면, 5GHz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기지국에 있어서의 주파수대(A)에 의한 처리를 "기지국(A)", 기지국에 있어서의 주파수대(B)에 의한 처리를 "기지국(B)", 단말국에 있어서의 주파수대(A)에 의한 처리를 "단말국(A)", 또한, 단말국에 있어서의 주파수대(B)에 의한 처리를 "단말국(B)"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우선, 기지국은 데이터를 데이터(D1)와 데이터(D2)로 분배하고, 데이터(D1)를 주파수대(A)로, 데이터(D2)를 주파수대(B)로, 양자를 동시에 송신(131, 231)한다. 단말국은 이들 데이터(D1) 및 데이터(D2)의 수신에 성공한 것으로 한다. 단말국(A) 및 단말국(B)의 우측에 기재된 "OK" 또는 "NG"가 데이터의 수신 상태로서 각각 "성공" 또는 "실패"를 나타내고 있다. 단말국은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에 있어서의 수신 상태를 리스폰스로서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의 양자에 의해 동시에 기지국으로 반송(141, 241)한다. 기지국은 이들 리스폰스(141 및 241)의 수신에 성공한 것으로 한다. 기지국(A) 및 기지국(B)의 좌측에 기재된 "OK" 또는 "NG"가 리스폰스의 수신 상태로서 각각 "성공" 또는 "실패"를 나타내고 있다.
계속해서, 기지국은 데이터를 데이터(D3)와 데이터(D4)로 분배하고, 데이터(D3)를 주파수대(A)로, 데이터(D4)를 주파수대(B)로, 양자를 동시에 송신(132, 232)한다. 단말국은 데이터(D4)의 수신에 성공하였지만, 데이터(D3)의 수신에는 실패한 것으로 한다. 단말국은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에 있어서의 수신 상태를 리스폰스로서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의 양자에 의해 동시에 기지국으로 반송(142, 242)한다. 기지국은 이들 리스폰스(142 및 242)의 수신에 성공한 것으로 한다.
상기 리스폰스(142 및 242)에 의해 데이터(D3)를 수신할 수 없었던 것을 판명하기 때문에, 데이터 분배부(331)는 재차 데이터(D3)를 주파수대(A)로, 데이터(D4)를 주파수대(B)로, 양자를 동시에 송신(133, 233)한다. 상기 때도, 단말국은 데이터(D4)의 수신에 성공하였지만, 데이터(D3)의 수신에 실패한 것으로 한다. 단말국은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에 있어서의 수신 상태를 리스폰스로서,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의 양자에 의해 동시에 기지국으로 반송(143, 243)한다. 여기서, 기지국은 리스폰스(243)의 수신에 성공하였지만 리스폰스(143)의 수신에는 실패한 것으로 한다.
리스폰스(243)에는 주파수대(B)에 있어서의 수신 상태뿐만 아니라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수신 상태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 분배부(331)는 데이터(D3)가 송신할 수 없었던 것을 인식하고, 재차 데이터(D3) 및 데이터(D4)의 송신을 시도해 본다. 여기서,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통신 상태가 악화되고, 데이터(D3) 및 데이터(D4)의 재발송에 성공하지 못한 경우를 상정한다. 데이터 분배부(331)가 데이터(D3) 및 데이터(D4)를 n회 연속하여 송신(134, 234)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때도, 단말국은 데이터(D4)의 수신에 성공하였지만, 데이터(D3)의 수신에 실패한 것으로 한다.
데이터(D3)가 주파수대(A)에 있어서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았던 연속 회수는 카운터(A313)의 실패 카운터(A)에 의해 카운트된다. 리스폰스(244)에 의해 데이터(D3)가 수신되지 않았던 것이 통지되고,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송신 데이터의 수신에 연속하여 n회 실패한 것이 판명되면,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통신 상태가 악화된 것으로 하고, 그 이후는 주파수대(A)에 의한 데이터 전송이 행하여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D3)는 주파수대(B)로 송신(235)되고, 이것은 무사하게 수신된다. 상기 데이터(D3)의 송신(235)에 대해, 주파수대(B)에 있어서의 리스폰스(245)의 수신이 실패하여도, 주파수대(B)에 있어서의 리스폰스(145)의 수신이 성공함에 의해, 데이터(D3)의 송신(235)이 성공한 취지가 기지국에서 인식된다.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신은 중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계속되는 데이터(D5) 이후는 주파수대(B)에서 순차적으로 송신(236)되지만, 이에 대한 리스폰스(146 및 246)는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에서 그대로 계속된다. 이들 리스폰스(146 및 246)에 있어서는 송신이 중지되어 있는 주파수대(A)에서의 수신 상태는 "실패"인 것으로서 통지된다.
도 11은 도 10의 예에 있어서의 데이터 재발송 처리의 판단 내용에 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예에서는 주파수대(A)에 있어서 데이터(D3)(132)의 수신에 실패했을 때, 주파수대(A)에서 데이터(D3)를 재발송(133)하는 동시에, 정상적으로 수신되고 있는 데이터(D4)도 주파수대(B)에서 재발송(233)하고 있다. 상기 경우의 판단은 다음과 같이 된다. 우선,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의 어느 것으로도 리스폰스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스텝 S931), 송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지의 여부 판단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재차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에서 데이터를 재발송한다(스텝 S934). 또한, 스텝 S931에서, 캐리어 센스의 결과로서,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데이터 송신을 행할 수 없는 경우도 이것에 포함된다.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의 어느 것에 있어서 리스폰스를 수신할 수 있었지만, 그 내용으로부터 어느 것인가의 송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었던(스텝 S933)것이 판명된 경우에, 재차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에 있어서 각 데이터를 재발송한다(스텝 S934). 또한, 캐리어 센스의 결과,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의 어느 것인가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을 행할 수 없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스텝 S934가 실행된다.
한편, 리스폰스의 내용으로부터 송신 데이터를 모두 수신할 수 있었던 것이판명된 경우(스텝 S933)에는 다음의 데이터가 새롭게 송신된다(스텝 S935). 또한, 데이터 송신이 재발송에 의한 것으로서 전회까지 수신에 성공하고 있는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그 데이터도 포함하여 스텝 S933에서 성공 여부의 판단이 행하여진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국 및 기지국의 동작의 다른 예를 도시한 시퀀스 차트이다. 여기서는 도 10의 최후의 상태와 같이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송신이 중지되어 있는 상태를 상정한다. 그 때문에, 기지국은 데이터(D11)를 주파수대(B)로 송신(251)한다. 단말국은 데이터(D11)의 수신에 성공한 것으로 한다. 단말국은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에 있어서의 수신 상태를 리스폰스로서,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의 양자에 의해 동시에 기지국으로 반송(161, 261)한다. 단, 송신이 중지되어 있는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수신 상태는 "실패"인 것으로 하여 통지된다. 기지국은 주파수대(B)에 의한 리스폰스(261)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지만, 주파수대(A)에 의한 리스폰스(161)는 수신할 수 없었던 것으로 한다.
계속해서, 기지국은 데이터(D12)를 주파수대(B)로 송신(252)한다. 단말국은 데이터(D12)의 수신에 성공한 것으로 한다. 단말국은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에 있어서의 수신 상태를 리스폰스로서,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의 양자에 의해 동시에 기지국으로 반송(162, 262)한다. 기지국은 이들 리스폰스(162 및 262)의 수신에 성공한 것으로 한다.
또한 기지국은 데이터(D13)를 주파수대(B)로 송신(253)한다. 단말국은 데이터(D13)의 수신에 성공한 것으로 한다. 단말국은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에 있어서의 수신 상태를 리스폰스로서,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의 양자에 의해 동시에 기지국으로 반송(163, 263)한다. 기지국은 이들 리스폰스(163 및 263)의 수신에 성공한 것으로 한다.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 이후에, 기지국이 데이터(D21)를 주파수대(B)로 송신(254)하고 그 리스폰스(164 및 264)가 기지국에서 무사하게 수신된 것으로 가정한다.
리스폰스가 주파수대(A)에 있어서 정상적으로 수신된 연속 회수는 카운터(A313)의 성공 카운터(A)에 의해 카운트된다. 리스폰스(164)가 정상적으로 수신되고,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리스폰스의 수신이 연속하여 m회 성공한 것이 판명되면,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통신 상태가 개선된 것으로 하고, 그 이후는 주파수대(A)에 의한 데이터 전송이 행하여지게 된다. 그 때문에, 계속해서 데이터(D22) 및 데이터(D23)는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로 분배되고, 동시에 송신(155, 255)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카운터(A313)에 의한 송신의 중지 및 재개의 제어에 관해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는 카운터(A313)에 있어서의 성공 카운터(A)를 OK_A, 실패 카운터(A)를 NG_A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실패 카운터(A)(NG_A)는 미리 제로 클리어된다(스텝 S910).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송신 데이터의 수신에 성공하면(스텝 S911), 실패 카운터(A)는 제로 클리어된다(스텝 S912). 한편,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송신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하면(스텝 S911), 실패 카운터(A)는 하나 가산된다(스텝 S913). 그 결과, 실패카운터(A)가 소정의 회수 "n" 이상이 되면(스텝 S914),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신은 그 이후 중지된다(스텝 S915).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신이 되어 있는 상태(송신 모드)에서는 이들 스텝 S911 내지 S914의 판단이 반복된다.
성공 카운터(A)(OK_A)는 미리 제로 클리어된다(스텝 S920).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신이 중지되어 있는 상태(송신 중지 모드)에서도, 리스폰스는 주파수대(A)에 있어서도 계속하여 송신된다.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리스폰스의 수신에 성공하면(스텝 S921), 성공 카운터(A)는 하나 가산된다(스텝 S922). 한편,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리스폰스의 수신에 실패하면(스텝 S921), 성공 카운터(A)는 제로 클리어된다(스텝 S923). 그 결과, 성공 카운터(A)가 소정의 회수 "m" 이상이 되면(스텝 S924),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송신은 그 이후 재개된다(스텝 S925).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신이 중지되어 있는 상태(송신 중지 모드)에서는 이들 스텝 S921 내지 S924의 판단이 반복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국 및 기지국의 동작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시퀀스 차트이다. 도 10의 예에서는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데이터(D3)(132)의 수신에 실패했을 때, 주파수대(A)에서 데이터(D3)를 재발송(133)하는 동시에, 이미 정상적으로 수신되고 있는 데이터(D4)도 주파수대(B)에서 재발송(233)하고 있다. 상기 도 14의 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주파수대에서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한 경우에는 이미 정상적으로 수신되고 있는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고, 수신에 실패한 데이터를 다른 주파수대에서 동시에 송신함에 의해 통신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우선, 기지국은 데이터를 데이터(D31)와 데이터(D32)로 분배하고, 데이터(D31)를 주파수대(A)로, 데이터(D32)를 주파수대(B)로, 양자를 동시에 송신(171, 271)한다. 단말국은 이들 데이터(D31) 및 데이터(D32)의 수신에 성공한 것으로 한다. 단말국은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에 있어서의 수신 상태를 리스폰스로서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의 양자에 의해 동시에 기지국으로 반송(181, 281)한다. 기지국은 이들 리스폰스(181 및 281)의 수신에 성공한 것으로 한다.
계속해서, 기지국은 데이터를 데이터(D33)와 데이터(D34)로 분배하고, 데이터(D33)를 주파수대(A)로, 데이터(D34)를 주파수대(B)로, 양자를 동시에 송신(172, 272)한다. 단말국은 데이터(D34)의 수신에 성공하였지만, 데이터(D33)의 수신에는 실패한 것으로 한다. 단말국은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에서의 수신 상태를 리스폰스로서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의 양자에 의해 동시에 기지국으로 반송(182, 282)한다. 기지국은 이들 리스폰스(182 및 282)의 수신에 성공한 것으로 한다.
상기 리스폰스(182 및 282)에 의해 데이터(D33)가 수신할 수 없었던 것이 판명되기 때문에, 데이터 분배부(331)는 데이터(D33)를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의 양자에 의해 동시에 송신(173, 273)한다. 단말국은 주파수대(A)에 의한 데이터(D33)의 수신에 실패하였지만, 주파수대(B)에 의한 데이터(D33)의 수신에 성공한 것으로 한다. 상기 수신 상태는 마찬가지로 하여 단말국으로부터의 리스폰스에 의해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의 양자로 동시에 기지국으로 반송(183, 283)된다. 여기서, 기지국은 리스폰스(283)의 수신에 성공하였지만 리스폰스(183)의 수신에는 실패한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D33)의 송신(173, 273)때,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로 변조 모드를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우, 데이터(D34)(272)의 수신에 성공한 주파수대(B)에 있어서의 변조 모드를 채용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상대적으로 주파수대(A)의 통신 상태가 좋고, 오류의 원인이 비트 에러라고 고려되는 경우 등에는 수신에 실패한 주파수대(A)에 있어서의 변조 모드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송수신 장치의 제약 때문에 변조 모드를 변경할 수 없는 경우에는 변조 모드를 변경하지 않고 송신하여도 좋다.
리스폰스(283)에 의해 데이터(D33)가 정상적으로 수신된 것이 판명되면, 기지국은 다음의 송신 데이터를 데이터(D35)와 데이터(D36)로 분배하고, 데이터(D35)를 주파수대(A)로, 데이터(D36)를 주파수대(B)로, 양자를 동시에 송신(174, 274)한다. 단말국은 데이터(D36)의 수신에 성공하였지만, 데이터(D35)의 수신에는 실패한 것으로 한다. 단말국은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에 있어서의 수신 상태를 리스폰스로서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의 양자에 의해 동시에 기지국으로 반송(184, 284)한다. 여기서, 기지국은 리스폰스(284)의 수신에 성공하였지만 리스폰스(184)의 수신에는 실패한 것으로 한다.
리스폰스(284)에 의해 데이터(D35)가 수신할 수 없었던 것이 판명되기 때문에, 데이터 분배부(331)는 데이터(D35)를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의 양자에 의해 동시에 송신(175, 275)한다.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어느 하나의 주파수대에서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한 경우에는 수신에 실패한 데이터가 다른 주파수대에서 동시에 송신된다.
도 15는 도 14의 예에 있어서의 데이터 재발송 처리의 판단 내용의 한 예에 관해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에 의해 다른 데이터가 분배되고 송신된 경우를 상정한다. 도 14의 예에서는 데이터(D33)의 송신(172)과 같이 한쪽의 주파수대에서 수신에 실패했을 때,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의 양자에서 데이터(D33)를 송신(173, 273)하고 있다. 상기 경우의 판단은 다음과 같이 된다. 우선,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의 어느 쪽에서도 리스폰스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스텝 S941), 송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지의 여부 판단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재차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에서 각 데이터를 재발송한다(스텝 S944). 또한, 스텝 S941에서, 캐리어 센스의 결과로서,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의 어느것에서도 데이터 송신을 할 수 없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스텝 S944가 실행된다.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의 어느 한쪽에서 리스폰스를 수신할 수 있지만, 그 내용으로부터 어느 것인가의 송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었던 것이 판명된 경우(스텝 S943), 수신할 수 없었던 데이터를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의 양자에 의해 송신한다(스텝 S946). 또한, 캐리어 센스의 결과,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의 어느 한쪽에서 데이터 송신을 할 수 없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스텝 S946이 실행된다. 한편, 모든 송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었던 것이 판명된 경우(스텝 S943)에는 다음의 데이터가 새롭게 송신된다(스텝 S945). 또한, 데이터 송신이 재발송에 의한 것으로서 전회까지 수신에 성공하고 있는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그데이터도 포함하여 스텝 S943에서의 성부의 판단이 행하여진다.
도 16은 도 14의 예에 있어서의 데이터 재발송 처리의 판단 내용의 다른 예에 관해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에 의해 동일한 데이터가 동시에 송신된 경우를 상정한다. 도 14의 예에서는 데이터(D33)의 송신(173 및 273)과 같이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의 양자에 의해 데이터를 재발송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상기 경우의 판단은 다음과 같이 된다. 우선,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의 어느것에서도 리스폰스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스텝 S951), 송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지의 여부 판단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재차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에서 동일한 데이터(실패 데이터)를 동시에 재발송한다(스텝 S954). 또한, 스텝 S951에서, 캐리어 센스의 결과로서,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데이터 송신을 할 수 없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스텝 S954가 실행된다.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의 어느 한쪽에서 리스폰스를 수신할 수 있었지만, 그 내용으로부터 재발송 데이터를 모두 수신할 수 없었던 것이 판명된 경우(스텝 S952), 역시 재차 주파수대(A) 및 주파수대(B)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재발송한다(스텝 S954). 한편, 어느 것인가의 주파수대에서 재발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었던 것이 판명된 경우(스텝 S952)에는 다음의 데이터가 분배되고 새롭게 송신된다(스텝 S955).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한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지국(21)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네트워크(30)에 접속한다. 네트워크(30)로서는 예를 들면 인터넷이나 인트라넷을 상정할 수 있다. 단말국(11 및 12)은 주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컴퓨터 등에 접속한다. 단말국(11 및 12)은 기지국(21)과 무선에 의해 통신하고, 기지국(21)을 경유하여 네트워크(30)에 액세스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21)으로서 도 2의 구성에 의해 2개의 주파수대의 송수신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2.4GHz대에서는 IEEE802.11b 및 IEEE802.11g 규격의 송수신을 행하고, 5 GHz대에서는 IEEE802.11a 규격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때, 단말국(11)도 같은 구성을 갖는 것으로 하면, 기지국(21)과 단말국(11)과의 사이에서는 2.4GHz대 및 5GHz대에 의해 데이터를 분배하여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다.
단말국(12)이 종래 기술에 의한 것이고, 하나의 주파수대에 의한 송수신을 행하는 것이라면, 기지국(21)과 단말국(12)과의 사이에서는 IEEE802.11b 및 IEEE802.11g 규격에 의한 2.4GHz대에 의한 송수신이나, IEEE802.11a 규격 5GHz대에 의한 송수신의 어느 한쪽이 행하여진다.
만약 기지국(21)이 종래 기술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도 2의 구성에 의한 단말국(11)과의 사이에서도, IEEE802.11b 및 IEEE802.11g 규격에 의한 2.4GHz대에 의한 송수신이나, IEEE802.11a 규격 5GHz대에 의한 송수신의 어느 한쪽이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송신 장치측에서 데이터 분배부(331)에 의해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여 다른 주파수대의 송신부(120 및 220)에 의해 동시에 송신하고, 수신 장치측에서 다른 주파수대의 수신부(110 및 210)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를 데이터 병합부(371)에 의해 병합함에 의해, 효율이 좋은 데이터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IEEE802.11a 규격에 의한 전송 속도는 최대 54Mbps이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2개의 주파수대를 이용한 경우에는 이론상은 그 2배의 전송 속도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유선에 있어서의 100Base-T의 이서넷(등록상표)에 맞먹는 전송 속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신측에서 데이터의 수신에 연속하여 소정 회수 실패한 경우에는 송신측에서 송신을 중지하고 있지만, 송신을 중지하는 대신에, 보다 잡음 내성이 있는 변조 모드로 이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송신 중지의 상태에 있어서 송신측에서 리스폰스의 수신에 연속하여 소정 회수 성공한 경우에는 송신을 재개하고 있지만, 송신을 중지하지 않고 송신을 계속시킨 다음 리스폰스의 수신에 연속하여 소정 회수 성공한 경우에는 보다 잡음 내성이 없는 변조 모드로 이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여기서, 잡음 내성에 관해서는 변조 방식 64QAM에서 부호화율 3/4에 의한 변조 모드, 변조 방식 64QAM에서 부호화율 2/3에 의한 변조 모드, 변조 방식 16QAM에서 부호화율 3/4에 의한 변조 모드, 변조 방식 16QAM에서 부호화율 1/2에 의한 변조 모드, 변조 방식 QPSK에서 부호화율 3/4에 의한 변조 모드, 변조 방식 QPSK에서 부호화율 1/2에 의한 변조 모드, 변조 방식 BPSK에서 부호화율 3/4에 의한 변조 모드, 변조 방식 BPSK에서 부호화율1/2에 의한 변조 모드의 순서로, 후자로 될수록 잡음 내성이 높아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변형예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동시에 송수신되는 전송로로서 다른 주파수대를 이용하는 것을 상정하였지만,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동일 주파수대에서의 다른 채널을 이용한 전송로에 의해 통신을 행하여도 좋다. 또한, 동일 채널에 있어서 다른 전달 함수를 갖는 전송로에 의해 통신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국 또는 기지국의 구성의 제 1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구성예에서는 도 2의 구성예와 비교하여 2.4GHz대 수신부(110)가 5GHz대 수신부(130)로 치환되고, 2.4GHz대 송신부(120)가 5GHz대 송신부(140)로 치환되어 있다. 이로써, 동일한 주파수대에 있어서의 복수의 다른 채널을 이용하여 동시에 송신하고, 또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IEEE802.11a 규격의 OPDM 방식을 상정한 경우, 일본 국내에서는 5GHz대에 있어서의 100MHz의 주파수대역에 20MHz 간격으로 4개의 채널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동일 주파수대에서 서로 다른 채널을 이용함에 의해, 동시에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일한 주파수대에 있어서의 복수의 다른 채널을 이용한 경우에도, 통신 제어부(300)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신 제어 및 데이터 송신 제어의 내용은 다른 주파수대를 이용한 도 5 및 도 6과 마찬가지이다.
도 18의 구성예에서는 동일한 주파수대에 있어서의 복수의 다른 채널을 이용하여 동시에 송수신하고 있지만, 또다른 주파수대 및 동일한 주파수대에 있어서의 다른 채널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있어서의 단말국 또는 기지국 구성의 제 2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구성예에서는 2.4GHz대 송신부(120) 및 5GHz대 송신부(140)의 출력이 각각 파워 앰프(103 및 104)를 통하여 선택기(105)에 입력되고, 어느 한쪽이 실렉터(102)에 송신 신호로서 공급된다. 또한, 2.4GHz대 송신부(240) 및 5GHz대 송신부(220)의 출력이 각각 파워 앰프(204 및 203)를 통하여 선택기(205)에 입력되고, 어느 한쪽이 실렉터(202)에 송신 신호로서 공급된다. 이로써, 2.4GHz대 및 5GHz대를 이용하여 동시에 송신하거나, 2.4GHz대에 잇어서의 다른 채널을 이용하여 동시에 송신하거나, 또는 5GHz대에 있어서의 다른 채널을 이용하여 동시에 송신하는지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실렉터(102)에 있어서의 수신 신호는 2.4GHz대 수신부(110) 및 5GHz대 수신부(130)에 공급되고, 실렉터(202)에 있어서의 수신 신호는 2.4GHz대 수신부(230) 및 5GHz대 수신부(210)에 공급된다. 이로써, 2.4GHz대 및 5GHz대를 이용하여 동시에 수신하거나, 2.4GHz대에 있어서의 다른 채널을 이용하여 동시에 수신하거나, 또는 5GHz대에 있어서의 다른 채널을 이용하여 동시에 수신하는지를 적절히 선택 것을 할 수 있다.
도 18의 구성예에서는 동일한 주파수대에 잇어서의 복수의 다른 채널을 이용하여 동시에 송수신하고 있지만, 동일한 주파수대에서 동일한 채널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송신국으로부터 송신된 전파가 2회 반사물에 부딪친 후에 수신국에 도달하는 전파로와, 송신국으로부터 송신된 전파가 5회 반사물에 부딪친 후에 수신국에 도달하는 전파로에서는 전달 함수의 주파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이들 전파로를 별개의 것으로서 취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른 전달 함수를 갖는 전파로를 이용한 예가 다음의 도 20의 구성 예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국 또는 기지국 구성의 제 3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구성예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을 이용한 것으로, 수신부(130 및 210)의 전단에 간섭 보상기(192)가 마련되고, 파워 앰프(103 및 203)의 후단에 시공간 부호화기(291)가 마련되어 있다. 간섭 보상기(192)는 간섭 캔슬러이고, 동일 채널에 있어서 혼재한 복수의 전달 함수가 다른 신호를 개개로 분리하는 것이다. 시공간 부호화기(291)는 시간적인 차원과 여러 안테나에 걸치는 공간적인 차원을 정돈하여 부호화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동일한 채널에 있어서의 다른 전달 함수를 갖는 전파로를 이용한 경우에도, 통신 제어부(300)에 있어서의 데이터 수신 제어 및 데이터 송신 제어의 내용은 다른 주파수대를 이용한 도 5 및 도 6과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에 의하면, 다른 주파수대를 이용할 뿐만 아니라, 동일한 주파수대의 다른 채널을 이용하여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채널에 있어서의 다른 전달 함수를 갖는 전파로를 이용하여 동시에 송수신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다른 전송로에 의해 동시에 통신을 행할 때, 다른 주파수대를 이용하여도 좋고, 동일 주파수대의 다른 채널을 이용하여도 좋고, 또한, 동일한 채널에 있어서의 다른 전달 함수를 갖는 전파로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현화하기 위한 한 예를 나타낸 것이고,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발명의 특징 사항과 각각 대응 관계를 갖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형을 시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각 특징 구성 항목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구성 항목은 이하와 같다.
데이터 분배 수단은 예를 들면 데이터 분배부(331)에 대응한다. 데이터 출력 수단은 예를 들면 데이터 출력부(A315) 및 데이터 출력부(B325)에 대응한다. 송신 수단은 예를 들면 송신부(120 및 220)에 대응한다.
리스폰스 판별 수단은 예를 들면 리스폰스 판별부(A312) 및 리스폰스 판별부(B322)에 대응한다.
데이터 수신 수단은 예를 들면 수신부(110 및 210)에 대응한다. 데이터 병합 수단은 예를 들면 데이터 병합부(371)에 대응한다.
데이터 판별 수단은 예를 들면 데이터 판별부(A351) 및 데이터 판별부(B361)에 대응한다. 리스폰스 출력 수단은 예를 들면 리스폰스 출력부(A352) 및 리스폰스 출력부(B362)에 대응한다.
데이터 분배 수단은 예를 들면 데이터 분배부(331)에 대응한다. 데이터 출력 수단은 예를 들면 데이터 출력부(A315) 및 데이터 출력부(B325)에 대응한다. 송신 수단은 예를 들면 송신부(120 및 220)에 대응한다. 데이터 수신 수단은 예를 들면 수신부(110 및 210)에 대응한다. 데이터 병합 수단은 예를 들면 데이터 병합부(371)에 대응한다. 데이터 판별 수단은 예를 들면 데이터 판별부(A351) 및데이터 판별부(B361)에 대응한다. 리스폰스 출력 수단은 예를 들면 리스폰스 출력부(A352) 및 리스폰스 출력부(B362)에 대응한다.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스텝은 예를 들면 데이터 분배부(331)에 있어서의 처리에 대응한다. 분배된 송신 데이터에 분배 순서를 부가하는 스텝은 예를 들면 데이터 출력부(A315) 및 데이터 출력부(B325)에서의 처리에 대응한다. 분배된 송신 데이터끼리를 동시에 다른 주파수대에 의해 송신하는 스텝은 예를 들면 송신부(120 및 220)에 있어서의 처리에 대응한다.
분배되어 그 분배 순서가 부가된 데이터를 동시에 다른 주파수대에 의해 수신하는 스텝은 예를 들면 수신부(110 및 210)에서의 처리에 대응한다. 분배 순서에 따라 수신한 데이터를 병합하는 스텝은 예를 들면 데이터 병합부(371)에서의 처리에 대응한다. 다른 주파수대마다 데이터 수신 상태를 판별하는 스텝은 예를 들면 데이터 판별부(A351) 및 데이터 판별부(B361)에서의 처리에 대응한다. 다른 주파수대마다 데이터 수신 상태의 판별 결과를 포함하는 동일한 리스폰스를 다른 주파수대의 모두에 출력하는 스텝은 예를 들면 리스폰스 출력부(A352) 및 리스폰스 출력부(B362)에 있어서의 처리에 대응한다.
처리 순서는 이들 일련의 스텝을 갖는 방법으로서 파악하여도 좋고, 또한, 이들 일련의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내지 그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록 매체로서 파악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른 전송로를 동시에 사용하여 통신 상태에 따른 전송형태에 의해 효율이 좋은 전송을 실현한다는 우수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Claims (34)

  1.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데이터 분배 수단과,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에 분배 순서를 부가하는 데이터 출력 수단과,
    상기 분배 순서가 부가된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끼리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배 수단은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끼리가 실질적으로 동등한 시간 길이로 송신되도록 상기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전송로마다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대한 리스폰스를 판별하는 리스폰스 판별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분배 수단은 상기 리스폰스 판별 수단에 의해 상기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의 어느 하나의 수신에 실패하였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전회 데이터 송신시의 송신 데이터를 재발송하도록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전송로마다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대한 리스폰스를 판별하는 리스폰스 판별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분배 수단은 상기 리스폰스 판별 수단에 의해 상기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의 어느 하나의 수신에 실패하였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상기 실패에 관한 송신 데이터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송신하도록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실패에 관한 송신 데이터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송신할 때에는 상기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의 수신에 성공한 전송로의 변조 모드와 같은 변조 모드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전송로마다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대한 리스폰스를 판별하는 리스폰스 판별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분배 수단은 상기 리스폰스 판별 수단에 의해 상기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하였다고 판별된 빈도가 동일한 전송로에서 소정 기준을 초과한 경우에는 그 이후 상기 전송로에서의 송신을 행하지 않도록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전송로마다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대한 리스폰스를 판별하는 리스폰스 판별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분배 수단은 상기 리스폰스 판별 수단에 의해 동일한 전송로에서 소정 회수 이상 연속하여 상기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있어서의 송신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하였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그 이후 상기 전송로에서의 송신을 행하지 않도록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전송로마다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대한 리스폰스를 판별하는 리스폰스 판별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분배 수단은 상기 리스폰스 판별 수단에 의해 상기 리스폰스의 수신에 성공하였다고 판별된 빈도가 동일한 전송로에서 소정 기준을 초과한 경우에는 그 이후 상기 전송로에서의 송신을 행하도록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전송로마다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대한 리스폰스를 판별하는 리스폰스 판별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분배 수단은 상기 리스폰스 판별 수단에 의해 동일한 전송로에서 소정 회수 이상 연속하여 상기 리스폰스의 수신에 성공하였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그 이후 상기 전송로에서의 송신을 행하도록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전송로마다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대한 리스폰스를 판별하는 리스폰스 판별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분배 수단은 상기 리스폰스 판별 수단에 의해 상기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있어서 송신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하였다고 판별된 빈도가 동일한 전송로에서 소정 기준을 초과한 경우에는 그 이후 상기 전송로에서의 송신을 보다 잡음 내성이 있는 변조 모드에 의해 행하도록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전송로마다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대한 리스폰스를 판별하는 리스폰스 판별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분배 수단은 상기 리스폰스 판별 수단에 의해 동일한 전송로에서 소정 회수 이상 연속하여 상기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있어서의 송신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하였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그 이후 상기 전송로에서의 송신을 보다 잡음 내성이 있는 변조 모드에 의해 행하도록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전송로마다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대한 리스폰스를 판별하는 리스폰스 판별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분배 수단은 상기 리스폰스 판별 수단에 의해 상기 리스폰스의 수신에 성공하였다고 판별된 빈도가 동일한 전송로에서 소정 기준을 초과한 경우에는 그 이후 상기 전송로에서의 송신을 보다 잡음 내성이 없는 변조 모드에 의해 행하도록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전송로마다 전회의 데이터 송신에 대한 리스폰스를 판별하는 리스폰스 판별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분배 수단은 상기 리스폰스 판별 수단에 의해 동일한 전송로에서 소정 회수 이상 연속하여 상기 리스폰스의 수신에 성공하였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그 이후 상기 전송로에서의 송신을 보다 잡음 내성이 없는 변조 모드에 의해 행하도록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에 앞서 각 전송로의 비어있는 상황을 보고하는 캐리어 센스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캐리어 센스 수단에 의해 비어있지 않다고 보고된 전송로에의 상기 데이터 송신을 행하지 않고 또한 상기 전송로 이외의 전송로에서의 상기 데이터 송신을 시작한 후에 상기 비어있지 않다고 판단된 전송로에 비어있음이 생긴 경우에도 상기 비어있지 않다고 판단된 전송로에의 상기 데이터 송신을 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전송로는 서로 다른 주파수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전송로는 동일한 주파수대에서의 서로 다른 채널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전송로는 동일한 채널에 있어서의 서로 다른 전달 함수를 갖는 전파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8. 분배되어 그 분배 순서가 부가된 데이터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수단과,
    상기 분배 순서에 따라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병합하는 데이터 병합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전송로마다 데이터 수신 상태를 판별하는 데이터 판별 수단과,
    이 데이터 판별 수단에 의한 모든 판별 결과를 포함하는 동일한 리스폰스를 상기 다른 전송로의 모두에 출력하는 리스폰스 출력 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전송로는 서로 다른 주파수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전송로는 동일한 주파수대에서의 서로 다른 채널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전송로는 동일한 채널에 있어서의 서로 다른 전달 함수를 갖는 전파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23. 무선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송신 장치는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데이터 분배 수단과,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에 분배 순서를 부가하는 데이터 출력 수단과, 상기 분배 순서가 부가된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끼리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분배 순서가 부가된 데이터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수단과, 상기 분배 순서에 따라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병합하는 데이터 병합 수단과, 상기 다른 전송로마다 데이터 수신 상태를 판별하는 데이터 판별 수단과, 상기 데이터 판별 수단에 의한 모든 판별 결과를 포함하는 동일한 리스폰스를 상기 다른 전송로의 모두에 의해 상기 송신 장치에 출력하는 리스폰스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전송로는 서로 다른 주파수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전송로는 동일한 주파수대에서의 서로 다른 채널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전송로는 동일한 채널에 있어서의 서로 다른 전달 함수를 갖는 전파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7.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스텝과,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에 분배 순서를 부가하는 스텝과,
    상기 분배 순서가 부가된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끼리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송신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방법.
  28.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스텝과,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에 분배 순서를 부가하는 스텝과,
    상기 분배 순서가 부가된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끼리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다른 전송로의 어느 하나의 전송로에서 상기 송신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한 경우에는 상기 송신과 같은 송신 데이터를 재발송하도록 분배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방법.
  29.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스텝과,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에 분배 순서를 부가하는 스텝과,
    상기 분배 순서가 부가된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끼리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다른 전송로의 어느 하나의 전송로에서 상기 송신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한 경우에는 상기 실패에 관한 데이터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송신하도록 분배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방법.
  30. 분배되어 그 분배 순서가 부가된 데이터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분배 순서에 따라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병합하는 스텝과,
    상기 다른 전송로마다 데이터 수신 상태를 판별하는 스텝과,
    상기 다른 전송로마다 데이터 수신 상태의 판별 결과를 포함하는 동일한 리스폰스를 상기 다른 전송로의 모두에 출력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방법.
  31.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스텝과,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에 분배 순서를 부가하는 스텝과,
    상기 분배 순서가 부가된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끼리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송신하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32.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스텝과,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에 분배 순서를 부가하는 스텝과,
    상기 분배 순서가 부가된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끼리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다른 전송로의 어느 하나의 전송로에서 상기 송신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한 경우에는 상기 송신과 같은 송신 데이터를 재발송하도록 분배하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33. 송신 데이터를 분배하는 스텝과,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에 분배 순서를 부가하는 스텝과,
    상기 분배 순서가 부가된 상기 분배된 송신 데이터끼리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송신하는 스텝과,
    상기 다른 전송로의 어느 하나의 전송로에서 상기 송신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한 경우에는 상기 실패에 관한 데이터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송신하도록 분배하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34. 분배되어 그 분배 순서가 부가된 데이터를 동시에 다른 전송로에 의해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분배 순서에 따라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병합하는 스텝과,
    상기 다른 전송로마다 데이터 수신 상태를 판별하는 스텝과,
    상기 다른 전송로마다 데이터 수신 상태의 판별 결과를 포함하는 동일한 리스폰스를 상기 다른 전송로의 모두에 출력하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040028593A 2003-04-30 2004-04-26 무선 통신 시스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063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25198 2003-04-30
JPJP-P-2003-00125198 2003-04-30
JPJP-P-2003-00355847 2003-10-16
JP2003355847A JP3838237B2 (ja) 2003-04-30 2003-10-16 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320A true KR20040094320A (ko) 2004-11-09
KR101063559B1 KR101063559B1 (ko) 2011-09-07

Family

ID=33543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593A KR101063559B1 (ko) 2003-04-30 2004-04-26 무선 통신 시스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45832B2 (ko)
JP (1) JP3838237B2 (ko)
KR (1) KR101063559B1 (ko)
CN (1) CN100448171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240B1 (ko) * 2006-11-24 2008-02-04 주식회사 에스씨티 멀티밴드 ofdm통신용 송수신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122906B1 (ko) * 2004-06-10 2012-03-20 소니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9030B2 (ja) 2003-05-09 2006-07-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Cdma送信装置およびcdma送信方法
EP2518920A1 (en) * 2004-09-13 2012-10-31 Panasonic Corporation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control system and retransmission method in MIMO-OFDM system
US8571132B2 (en) 2004-12-22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Constrained hopp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01091373B (zh) * 2004-12-28 2012-05-30 富士通株式会社 重发控制装置和方法
CN101133579B (zh) * 2005-03-02 2010-12-08 富士通株式会社 Ofdm通信系统及ofdm通信方法、基站
US20060224763A1 (en) * 2005-03-18 2006-10-05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witching and simultaneous usage of 802.11a and 802.11g technologies for video streaming
WO2006114855A1 (ja) * 2005-04-18 2006-11-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送信局、受信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EP1889415B1 (en) * 2005-05-23 2012-02-22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 KG A method of selecting suitable frequency bands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a network node and a user equipment with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US20070002898A1 (en) * 2005-06-13 2007-01-04 Nokia Corporation Flexible bandwidth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common physical layer technology platform
JP4575870B2 (ja) * 2005-10-20 2010-11-0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生産設備の制御システム
KR100758334B1 (ko) * 2005-12-10 2007-09-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의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JP4541293B2 (ja) * 2005-12-14 2010-09-0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パケット通信方法および無線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
EP1976133B1 (en) * 2006-01-17 2017-08-16 Hitachi Metals, Ltd. High frequency circuit component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such high frequency circuit component
JP4761305B2 (ja) * 2006-02-23 2011-08-31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7787836B2 (en) * 2007-03-12 2010-08-31 Intel Corporation Multiple radios 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thereof
JP4760750B2 (ja) * 2007-03-28 2011-08-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装置
US8589578B2 (en) * 2007-06-29 2013-11-19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Streaming video over multiple network interfaces
JP4996451B2 (ja) 2007-12-28 2012-08-08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515471B2 (en) * 2008-02-15 2013-08-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beamforming and having a multi-cast capacity
JP5329244B2 (ja) 2009-01-16 2013-10-30 株式会社東芝 無線端末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9226270B1 (en) 2009-03-24 2015-12-29 Marvell International Ltd. Multi-radio device for WLAN
US10411846B1 (en) 2009-03-24 2019-09-10 Marvell International Ltd. Multi-radio device for WLAN
US8773969B1 (en) 2009-03-24 2014-07-08 Marvell International Ltd. Multi-radio device for WLAN
JP5316208B2 (ja) 2009-05-08 2013-10-16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並びに通信システム
JP5051208B2 (ja) * 2009-12-07 2012-10-17 富士通株式会社 再送制御装置
WO2012094174A1 (en) 2011-01-06 2012-07-12 Marvell World Trade Ltd. Cyclic shift delay techniques for wlan multi-radio devices
JP5794302B2 (ja) 2011-07-27 2015-10-14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装置
US9001679B2 (en) * 2011-11-07 2015-04-07 Qualcomm Incorporated Supporting voice for flexible bandwidth systems
US20130114571A1 (en) 2011-11-07 2013-05-09 Qualcomm Incorporated Coordinated forward link blanking and power boosting for flexible bandwidth systems
US9516531B2 (en) 2011-11-07 2016-12-06 Qualcomm Incorporated Assistance information for flexible bandwidth carrier mobility methods, systems, and devices
US9848339B2 (en) 2011-11-07 2017-12-19 Qualcomm Incorporated Voice service solutions for flexible bandwidth systems
FR2983016A1 (fr) * 2011-11-18 2013-05-24 Thomson Licensing Procede de reduction de la consommation de puissance dans un terminal de communication sans fil et terminal de communication mettant en oeuvre ledit procede
FR2991531A1 (fr) * 2012-06-05 2013-12-06 France Telecom Trames de controle de courte duree en couche physique
CN104798354A (zh) * 2013-11-19 2015-07-22 株式会社小松制作所 作业机械及作业机械的管理系统
US9565594B2 (en) 2014-03-28 2017-02-07 Qualcomm Incorporated Link aggreg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10212087B2 (en) 2014-09-17 2019-02-19 Vivint, Inc. Mesh network assessment and transmission
KR101776137B1 (ko) 2014-10-30 2017-09-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양자 키 분배 시스템에서 복수의 장치에 키를 공급하는 장치 및 방법
CN105450390B (zh) * 2015-11-12 2018-09-28 苏州大学张家港工业技术研究院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CN105847139A (zh) * 2016-03-25 2016-08-10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CN108881042A (zh) * 2018-04-25 2018-11-23 郑州易通众联电子科技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数据传输装置
US10840596B2 (en) 2018-05-22 2020-11-17 Plume Design, Inc. Tunable antenna system for Bluetooth and Wi-Fi bands with electronically-reconfigurable and mechanically-identical antennas
CN114026827A (zh) * 2019-06-27 2022-02-08 诺基亚技术有限公司 发送器算法
US11936473B2 (en) * 2021-04-16 2024-03-19 Qualcomm Incorporated Station performance enhancement with multi-link operations (ML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9613B2 (ja) * 1994-04-28 2004-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H08163091A (ja) * 1994-11-29 1996-06-21 Canon Inc 無線通信システム
FI97187C (fi) * 1994-12-09 1996-10-2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Suurinopeuksinen datasiirto matkaviestinverkoissa
FI98174C (fi) * 1995-05-09 1997-04-2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Datansiirtojärjestelmä, jossa on liukuvaan ikkunaan perustuva datavuonohjaus
ATE516688T1 (de) * 1999-03-24 2011-07-15 Qualcomm Inc Vielfachzugriffsreservierung
DE60029012T2 (de) * 2000-03-15 2006-12-07 Nokia Corp.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sende-diversity
US7209745B1 (en) * 2000-06-09 2007-04-24 Intel Corporation Cellular wireless re-use structure that allows spatial multiplexing and diversity communication
JP4330767B2 (ja) * 2000-06-26 2009-09-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自動再送要求を行う通信方法及び基地局装置
US7099298B2 (en) * 2000-10-21 2006-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RQ device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20067705A1 (en) 2000-12-05 2002-06-06 Orlen Noah P. Hybrid two-way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2002344965A (ja) * 2001-05-11 2002-11-29 Sony Corp データ伝送システム
US7161926B2 (en) 2001-07-03 2007-01-09 Sensoria Corporation Low-latency multi-hop ad hoc wireless network
US7050405B2 (en) * 2002-08-23 2006-05-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a data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906B1 (ko) * 2004-06-10 2012-03-20 소니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KR100801240B1 (ko) * 2006-11-24 2008-02-04 주식회사 에스씨티 멀티밴드 ofdm통신용 송수신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350259A (ja) 2004-12-09
US20050002421A1 (en) 2005-01-06
CN1551509A (zh) 2004-12-01
KR101063559B1 (ko) 2011-09-07
US7545832B2 (en) 2009-06-09
CN100448171C (zh) 2008-12-31
JP3838237B2 (ja) 2006-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355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US994914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igh rate OFDM communications
KR101122906B1 (ko) 통신 시스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JP2008177754A (ja) 通信システム、並びに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452962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