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3659A - 야금용 충격 패드 - Google Patents

야금용 충격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3659A
KR20040093659A KR10-2004-7005447A KR20047005447A KR20040093659A KR 20040093659 A KR20040093659 A KR 20040093659A KR 20047005447 A KR20047005447 A KR 20047005447A KR 20040093659 A KR20040093659 A KR 20040093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pad
base
overhang
tundish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5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2960B1 (ko
Inventor
자카리아스도널드리처드
모리스존
봇슈에릭
Original Assignee
호세코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세코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호세코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93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9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03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with impact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Golf Club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Air Bag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화물로 형성되는 턴디쉬(tundish) 충격 패드(1; 20; 40; 60)는 턴디쉬로 유입되는 용탕의 흐름에 대하여 위쪽으로 대면하는 충격면을 갖는 베이스(2; 22; 42; 62), 상기 충격면 외주의 적어도 일부분 둘레의 상기 베이스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벽(4; 23; 43; 63), 상기 베이스의 외주 위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오버행(overhang)(5; 24; 44; 64)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벽의 상부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오버행의 적어도 하나는 저면이 굴곡되거나 경사진 적어도 일부분을 가지며, 상기 굴곡부 또는 경사부는 상기 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놓인다. 바람직하게, 상기 패드는 직사각형의 베이스를 갖고, 한 쌍의 대면하는 벽은 상기 벽의 중앙 위쪽으로 구부러지는 오버행을 구비한다. 다른 한 쌍의 오버행(33, 34)은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와 평행인 평면형이다. 상기 굴곡되거나 경사진 오버행의 폭은 그 중앙/상부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증가된다.

Description

야금용 충격 패드 {METALLURGICAL IMPACT PAD}
턴디쉬는 강의 연속 주조를 위한 산업용 공정에서 용융 금속, 특히 용융강의 홀딩 탱크 역할을 한다. 강의 연속 주조에서, 턴디쉬로 공급되는 용융강은 대개 특정 목적의 주조에 적합하도록 여러 단계를 거치는 고급 강이다. 상기 여러 단계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강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성분의 함유량, 예를 들어 탄소 또는 다른 합금 원료의 함유량, 및 슬래그와 같은 오염물질의 함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한다. 턴디쉬 내에 강이 머물면 임의의 함유된 슬래그 및 다른 불순물이 분리되고 표면으로 부상하여 예를 들면 용융강의 표면상에 제공되는 특수 보호층으로 흡수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턴디쉬는 주조용 금형으로 공급되기 전에 강을 보다 "청정"해지도록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청정한 강을 금형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턴디쉬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턴디쉬를 통과하는 강의 흐름이 조절되고 합리화될 필요가 있다. 용융강은 일반적으로 슈라우드(shroud)를 통해 레이들(ladle)로부터 턴디쉬로 공급되며, 슈라우드는 용강이 주변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레이들로부터의 용강의 흐름은 대개 상당한 힘으로 턴디쉬에 유입되며, 이것은 턴디쉬 자체 내에서 상당한 난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턴디쉬를 통과하는 용강의 유동에서의 임의의 과도한 난류는 다수의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가지며, 이들 영향은 예를 들면; 슬래그 및 다른 바람직하지 않은 함유물이 용강 내에서 집괴(agglomerate)되어 표면으로 부상하는 것의 방지; 용강의 표면상에 제공되는 보호 각피의 용강 내부로의 혼입; 용강 내부로의 가스 혼입; 턴디쉬 내부의 내화물 라이닝에 대한 과도한 부식 유발; 및 주조 금형으로의 용강의 불균일한 유동 유발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으로, 업계에서는 용융강의 유입 흐름으로부터 발생하는 턴디쉬 내의 난류를 감소시키고, 용융강이 턴디쉬를 통과할 때 가급적 이상적인 "플러그 플로우(plug flow)" 특성에 가깝도록 턴디쉬 내의 용강의 유동을 최적화하기 위해 다양한 설계의 충격 패드를 연구해왔다. 일반적으로, 턴디쉬를 통과하는 용강의 유동은 그 방향을 전환시키고 유선형으로 할 수 있는 특별한 설계의 표면을 갖는 충격 패드를 사용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종래 기술의 충격 패드는 대개 아래쪽으로 향하는 용강의 흐름이 부딪히는 베이스, 및 흐름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수직의 측벽 또는 측벽 부재를 포함한다. 이들은 수명 기간 동안에 용강의 흐름에 의한 부식 및 침식 영향을 견딜 수 있는 내화물로 만들어진다. 이들은 대개, 예를 들어 정사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또는 원형의 베이스를 갖는 얕은 상자 형태로 되어 있다.
Foseco에게 허여된 WO 96/14951호에는 턴디쉬 내에서 용강과의 접촉을 견딜 수 있는 내화물의 몸체를 갖는 턴디쉬 충격 패드가 개시되어 있다. 이 충격 패드 몸체는 충격면을 갖는 베이스, 상기 충격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외측 측벽, 및 상기 측벽과 연결되며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부면을 포함한다. 이 상부면은 충격면과 실질적으로 평행인 내측 환형부를 가지며, 측벽과 충격면 사이, 그리고 측벽과 상부면의 내측 환형부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직각인 모서리가 있다. 충격 패드는 턴디쉬 내에서 용강이 머무는 시간을 증가시켜주며, 이것은 원치 않는 함유물이 용강의 표면으로 부상하여 제거되기에 충분한 시간을 갖도록 보장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Foseco에게 허여된 WO 97/37799호에는 턴디쉬 내에서 용강과의 접촉을 견딜 수 있는 내화물의 몸체를 갖는 턴디쉬 충격 패드가 개시되어 있다. 이 충격 패드 몸체는 용강을 위한 충격면을 갖는 몸체, 상기 충격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고 베이스 둘레로 연장되어 완전히 둘러싸는 외측 측벽을 포함한다. 측벽과 연결되는 환형의 몸체부는 충격면과 실질적으로 평행인 상부면을 제공하고 용강이 투입될 수 있는 개구부를 형성하며, 환형 몸체부의 저면 및 측벽의 내측면은 충격면 위의 둘레에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언더컷부를 갖는 리세스를 형성한다. 상부면의 일부분은 상부면의 나머지 부분보다 높이가 낮으며 상부면 아래 부분의 리세스는 그 단면이 리세스의 나머지 부분보다 작다. 이러한 충격 패드는 용강이 턴디쉬의 단부에서 투입되거나 용강의 출구가 그 반대쪽 단부에 있는 기다란 턴디쉬에서 유동 특성을 개선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충격 패드는 단부 벽의 낮은 부분이 용강의 유입흐름 근처의 단부 벽과 인접하여 충격 패드로부터 반향되는 용강이 이 단부 벽 쪽으로 유동되도록 한다. 이것은 턴디쉬에 형성되는 표면 난류를 상당히 감소시키고 대개 유동 경로를 개선시켜서 순도가 높은 강을 제조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Foseco에게 허여된 WO 00/74879호에는 내화물로 형성된 턴디쉬 충격 패드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 충격 패드는 충격 패드 상에 투입되는 용강을 수용하기 위해 위쪽으로 향하는 충격면을 갖는 저면, 및 이 충격면 둘레의 적어도 일부분에 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벽을 포함하고, 상기 벽은 충격면의 둘레 영역에 밖으로 걸쳐서 돌출되는 오버행(overhang)을 가지며, 상기 오버행은 나머지 오버행보다 더 충격면 밖으로 걸쳐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충격 패드가 오버행, 즉 내측으로 향하는 외주 스트립을 구비한 측벽을 가지며, 이러한 오버행 부분은 충격 패드의 충격면 베이스 위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이는 저면을 갖는다.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새로운 턴디쉬 충격 패드를 설계하는 과정은, 충격 패드의 설계의 일 양태를 변경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전체적인 턴디쉬 시스템의 유체 동력학적으로 예기치 못한 결과를 갖기 때문에 매우 복잡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투입되는 용탕의 난류 유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턴디쉬 내에서 이동이 적절한 개선된 충격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용융 금속, 특히 용융강을 취급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충격 패드"의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내화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턴디쉬(tundish)로 들어가는 용강의 유동에서 난류를 감소시키도록 턴디쉬를 위치시키기 위한 충격 패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강의 연속 주조에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소위 "더블 스트랜드" 작동으로 의도되는 충격 패드의 사시도로서, 2개의 마주보는 면이 굴곡된 저면을 가지며, 오버행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기 위해 모서리 부분을 잘라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선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선 A1-A1에 대하여 벽과 평행한 평면으로 취한 충격 패드의 수직 단면도로서, 벽을 따라 등간격으로 오버행의 높이가 변화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충격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더블 스트랜드용으로 의도된 충격 패드의 사시도로서, 2개의 마주보는 면 위의 오버행이 이중으로 경사진 선형 저면을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선 B-B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선 C-C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일반적으로 사다리꼴의 베이스 형상을 갖는 소위 "싱글 스트랜드" 작동으로 의도된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패드의 사시도로서, 2개의 마주보는 면 위의 오버행이 굴곡된 저면을 갖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충격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낸 충격 패드의 입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낸 충격 패드의 선 D-D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11은 일반적으로 사다리꼴의 베이스 형상을 갖는 소위 "싱글 스트랜드" 작동으로 의도된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패드의 사시도로서, 2개의 마주보는 면 위의 오버행이 평면형으로 경사진 저면을 갖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3의 선 E-E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낸 충격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패드의 평면도로서, 도 3에 나타낸 것과 유사한 형태이지만 양쪽 면에 그 중앙부로부터 폭이 증가하는 오버행을 가지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충격 패드의 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에 나타낸 충격 패드의 중앙 수직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충격 패드의 평면도로서, 도 14에 나타낸 것과 유사한 형태이지만 평면이 정사각형에 더욱 가깝고 중앙으로부터 각각의 단부 쪽으로 폭이 증가하는 오버행을 가지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 나타낸 충격 패드의 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7에 나타낸 충격 패드의 중앙 수직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패드의 평면도로서, 도 14에 나타낸 것과 유사한 형태이지만 양쪽 면에 그 중앙부로부터 폭이 불연속적으로 증가하는 오버행을 가지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낸 충격 패드의 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20에 나타낸 충격 패드의 중앙 수직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패드의 평면도로서, 도 13에 나타낸 것과 유사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23에 나타낸 충격 패드의 중앙 수직 단면도로서, 도 12에 나타낸 것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25는 일반적으로 사다리꼴의 베이스 형상을 갖는 소위 "싱글 스트랜드" 작동으로 의도된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패드의 평면도로서, 도 8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26은 도 25에 나타낸 충격 패드의 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도 25에 나타낸 충격 패드의 중앙 수직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패드의 평면도로서, 도 25에 나타낸 것과 유사하지만 베이스의 형상이 정사각형인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일반적으로 사다리꼴의 베이스 형상을 갖는 소위 "싱글 스트랜드" 작동으로 의도된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패드의 평면도로서, 도 25와 유사하지만 하나의 오버행이 넓은 쪽 단부 벽에서 짧게 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도 29에 나타낸 충격 패드의 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도 29에 나타낸 충격 패드의 중앙 수직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사용 중에 턴디쉬로 유입되는 용탕의 흐름에 대하여 위쪽으로 대면하는 충격면을 갖는 몸체, 및 상기 충격면 외주의 적어도 일부분에 있는 베이스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벽, 및 상기 베이스의 외주에 걸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오버행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벽 상부를 포함하며 내화물로 형성되는 턴디쉬 충격 패드로서, 상기 오버행 또는 상기 오버행의 적어도 하나는 저면이 굴곡되거나 경사를 이루는 적어도 일부분을 가지며, 상기 굴곡부 또는 상기 경사부는 상기 벽의 길이 방향으로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부 또는 굴곡부가 상기 벽의 길이 방향으로 놓인다는 것은 인접한 벽의 평면과 평행인 평면의 오버행을 통과하여 취한 수직 단면에서 (1) 상기 오버행 저면의 굴곡 및/또는 (2) 수평부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는 직선 경사의 윤곽을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오버행의 수직 단면이 굴곡되는 경우, 상기 굴곡부에 대한 접선과 수평부 사이의 각도는 바람직하게 0°내지 45°를 이룬다. 상기 오버행의 수직 단면이 경사를 이루는 직선인 경우, 상기 수평부에 대한 경사 각도는 바람직하게 2°내지 45°예를 들면 5°내지 30°를 이룬다.
상기 경사부 및 굴곡부의 존재는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벽의 내주 상 또는 평행인 수평선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오버행의 높이를 측정함으로써 확인될 수 있다. 이러한 측정은 굴곡 또는 경사의 윤곽을 다양화하게 된다.
비평면 벽 또는 내측이나 외측으로 기울어진 벽의 경우, 용어 "벽의 평면"은 상기 경사 또는 굴곡의 존재가 결정될 지점 아래의 베이스 둘레에 대한 수직 평면 접선인 기준면으로서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오버행의 저면은 예를 들어 상기 벽의 내주를 따르는 방향으로 상방 및/또는 하방으로 굴곡될 수 있어서, 아치형 또는 부분적으로 아치형인 지붕부의 형성 및/또는 하나 이상의 선형으로 경사진 지붕부 포함이 가능하다. 상기 오버행의 저면부는 또한 경사부나 굴곡부 외에 하나 이상의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 또는 굴곡면의 평균 기울기는 수평부와, 상기 경사면 또는 굴곡면의 최저점과 최고점을 연결하는 직선 사이에서 형성되는 각도로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평균 기울기는 수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2°내지 45°, 보다 바람직하게는 5°내지 20°의 범위를 갖는다.
충격 패드의 베이스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 예를 들면 정사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 장사방형(rhomboidal), 육각형, 팔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다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형상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이다.
베이스의 충격면은 턴디쉬로 유입되는 용탕의 유동에 의한 주력 힘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형상은 예를 들어 평면, 오목, 또는 볼록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 자체는, 필요한 경우에, 예를 들어 내화시멘트의 사용, 또는 턴디쉬의 내화라이닝 표면 및 충격 패드의 하부에 형성되는 대응 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를 위치시키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턴디쉬의 베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충격 패드는 턴디쉬의 내화 베이스에 매립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턴디쉬의 단일체 내화라이닝 상에 충격 패드를 위치시키고, 저온 경화 또는 고온 경화 내화분말 조성물 층을 베이스 둘레 및 선택적으로 충격 패드의 외측 벽 일부분에 위치시킨 후, 내화물이 턴디쉬 내에서 충격 패드와 결합하도록 경화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충격면 둘레의 적어도 일부분에 있는 베이스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벽은 베이스와 동일한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체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격면 둘레의 적어도 일부분에 있는 베이스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벽은 상기 베이스의 반대쪽 외주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상대방 벽과 거울 대칭 이미지를 갖는다.
충격 패드가 소위 "더블 스트랜드(double strand)" 작동으로 의도되는 경우, 상기 벽은 상기 베이스의 전체 외주 둘레에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의 선형 외주부는 바람직하게 수직 평면의 벽부를 지지하며, 상기 베이스의 굴곡부는 대응되게 굴곡된 수평 단면을 갖는 수직 벽을 지지한다.
충격 패드가 직사각형이나 사다리꼴 형상의 베이스를 가지며 소위 "싱글 스트랜드(single strand)" 작동으로 의도되는 경우, 상기 벽은 상기 베이스의 3면 둘레에서 연장되고 제4면은 벽이 없거나 비교적 낮은 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의 상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은 상기 베이스의 외주에 걸쳐 내측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오버행을 지지한다. 상기 오버행은 상기 벽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내측 외주 스트립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주 스트립은 상기 벽의 상부로부터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격 패드가 주로 더블 스트랜드 작동으로 설계되는 경우, 오버행, 예를 들면 외주 스트립은 상기 벽 길이의 적어도 5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를 따라 적절하게 연장된다. 충격 패드가 주로 싱글 스트랜드 작동으로 설계되는 경우, 오버행, 예를 들면 외주 스트립은 상기 벽 길이의 50% 내지 100%,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를 따라 적절하게 연장된다.
본 발명은 상기 오버행의 적어도 하나가 저면이 굴곡되거나 경사진 적어도의 일부분을 가지며, 굴곡부나 경사부는 벽의 길이 방향으로 놓일 것을 요구한다. 굴곡 및/또는 경사 저면을 갖는 오버행이 충격 패드의 둘레의 적어도 2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에 걸쳐 존재한다.
오버행이 벽으로부터 충격 패드의 중앙 쪽으로 뻗어나간 거리를 이제부터 오버행의 폭이라고 한다. 이것은 상기 베이스에 걸치는, 상기 베이스에 평행한 거리에 해당한다. 오버행이 상기 벽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거리를 이제부터 오버행의 길이라고 한다.
오버행의 폭은 한쪽으로부터 반대쪽으로 충격 패드를 가로지르는 거리의 25%까지가 바람직하고, 20%까지, 예를 들면 5 내지 15%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들 백분율 범위 내의 폭은 바람직하게 용탕의 유입 흐름이 실질적으로 외주 오버행에 충돌할 위험 없이 베이스의 표면상에 부딪히도록 충분한 개구 공간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외주 스트립 형태의 오버행은 필요한 경우, 양측이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그 길이를 따라 폭이 가변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버행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충격 패드의 한쪽 모서리에서 폭이 0으로 시작하여 반대쪽에서 거리의 15%가 되는 테이퍼의 외주 스트립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오버행의 폭은 바람직하게 충격 패드의 개구부, 즉 충격 패드 상부의 내주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 영역이 충격 패드의 베이스 영역의 2 내지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범위이다.
오버행, 즉 외주 스트립은 충격 패드 벽의 상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이에 따라 스트립의 저면은 충격면의 외주 영역 위에 놓인다. 따라서 오버행 또는 외주 스트립은 상기 충격면 위에서 효과적으로 부분적인 지붕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버행의 저면은 (1) 상방 및/또는 하방으로 굴곡됨으로써 벽의 내주를 따라 가로지를 때 아치형 또는 부분적인 아치형 지붕부의 형성 및/또는 (2) 하나 이상의 직선형 경사 지붕부의 포함을 나타낸다. 저면이 굴곡되는 경우, 굴곡부의 주 방향은 인접한 벽과 평행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저면은 상기 벽의 길이 방향으로 상방 및/또는 하방으로 굴곡된다. 저면이 선형(굴곡과 반대되는 것으로서)인 경우, 상기 베이스의 외주 영역 위에 상승 또는 하강하는 지붕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저면은 직사각형 베이스를 가진 충격 패드의 한쪽 모서리로부터 옆쪽 모서리로 상승하거나, 예를 들어 한쪽 모서리로부터 상승하여 정점을 이룬 후 옆쪽 모서리로 다시 하강할 수 있다. 높이의 변화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이고 매끄러운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저면의 기울기에 급격한 변화, 예를 들어 예각을 이루는 부분이나 단차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 임의의 각도를 이루는 부분 또는 단차를 가진 부분이 포함되는 경우, 이들은 둔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90°내지 180°의 범위, 예를 들면 160°내지 180°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저면은 다각형 세그먼트의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일련의 선형 경사면을 포함하는 아치형 지붕부를 제공하게 된다.
저면이 굴곡되는 경우, 굴곡부는 예를 들어 매끄럽게 굴곡된 단면을 갖는 아치형부 형태일 수 있다. 굴곡부는 반드시 양호하게 형성된 표준형 수학적 곡선일 필요는 없다. 그러나 이러한 표준형 굴곡부는 필요한 경우에 예를 들어 원뿔 부분의 호,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포물선형, 쌍곡선형, 또는 사슬형이나 그 일부분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굴곡되거나 경사진 오버행이 다각형 베이스를 가진 충격 패드 상의 하나 이상의 벽 전체 길이를 차지하는 경우, 각각의 저면은 예를 들어 30:1 내지 3:1, 바람직하게는 15:1 내지 5:1의 길이(L) 대 높이(H)의 비율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L"은 최저점과 최고점 사이에서 측정된 수평 거리이고, "H"는 오버행의 최고점과 최저점 사이에서 측정된 수직 거리이다.
충격 패드가 더블 스트랜드 용도인 경우, 그 베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충격 패드의 2개의 대면하는 벽, 가장 바람직하게는 2쌍의 대면하는 벽을 따라 연장하는 오버행 또는 외주 스트립을 갖는 평행사변형이다. 이러한 충격 패드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이고, 벽 및 충격 패드의 전체 둘레에서 연장되는 오버행을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에서는, 2개의 마주보는 면이 본 발명에 따라 굴곡되거나 각도를 이루는 외주 스트립을 갖고, 나머지 2개의 마주보는 면이 굴곡되거나 각도를 이루지 않고 베이스와 평행하게 놓이는 오버행, 예를 들면 외주 스트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마주보는 면의 오버행 또는 외주 스트립은 서로 거울 대칭 이미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더블 스트랜드 작동에 적절한 바람직한 충격 패드는 직사각형 베이스를 갖고, 수직의 외주 벽이 상기 베이스를 둘러싸며, 한 쌍의 마주보는 벽 상에는 굴곡되거나 경사진 저면을 가지는 제1 오버행 쌍과, 다른 한 쌍의 벽 상에는 수평의 평면인 저면을 갖는 제2 오버행 쌍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싱글 스트랜드 작동에 적절한 바람직한 충격 패드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베이스를 갖고, 외주 벽은 베이스의 3면을 둘러싸며, 한 쌍의 마주보는 벽 상에는 굴곡되거나 경사진 저면을 가지는 제1 오버행 쌍을 구비하고, 제3의 벽은 수평의 평면인 저면을 갖는 오버행을 구비한다.
오버행의 상부면은 매끄러운 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면은 필요한 경우에 예를 들어 굴곡되거나 경사진 부분에 의해 점유된 부분에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갖는 오버행을 제공하도록 저면의 형상과 일치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블 스트랜드 조작을 위해 설계된 직사각형 베이스형의 충격 패드인 경우, 양 측면은 각각이 아치를 형성하는 저면을 갖는 오버행을 지지하는 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아치는 아치형 부분의 중심(상부)에서 최소 폭을 갖고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넓어져서 아치형 부분의 단부 및 단부를 지나서 최대 폭에 도달한다. 예를 들어, 아치 상부의 폭은 아치의 단부 영역 및 양 측부 영역의 오버행 폭의 5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아치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역전된 U자형의 일반적인 형태를 갖는 굴곡된 아치 또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역전된 V자형의 일반적인 형태를 갖는 직선 지붕형 아치일 수 있다.
벽의 내측면과 직각인 방향에서, 오버행의 저면은 직선 또는 굴곡되게 연장될 수 있다. 저면이 벽과 함께 굴곡된 결합 형태인 경우, 벽면과 직각으로 취한 수직 단면은 오버행의 저면을 표시하는 선을 곡선으로서 나타내게 된다.
그러므로, 오버행의 저면과 벽면의 결합은 필요한 경우에 예를 들면 직각, 예각 또는 둔각과 같은 각도의 형태를 취하거나, 예를 들어 원호 또는 다른 곡선 형태의 단면을 갖는 굴곡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벽과 충격면(즉, 베이스의 상부면) 사이의 접점은 예를 들어 직각, 예각 또는 둔각과 같은 각도의 형태를 취하거나 둥글거나 굴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패드는 내화물을 성형하기 위해 공지된 표준의 모울딩 기술을 이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충격 패드는 필요한 경우에 2개 이상의 별도 부품으로 제조되고 서로 결합되어 최종 물품으로 형성되거나, 단일 구조체로서 제조(즉, 하나의 통합 물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충격 패드를 제조하는 내화물은 작업 수명 동안에 용탕의 흐름에 의한 부식 및 침식 영향에 견딜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내화물이면 된다. 적절한 내화물의 예로는 하나 이상의 미립자 내화물 기질의 콘크리트와 같은 내화 콘크리트 및 하나 이상의 적절한 접합재이다. 충격 패드를 제조하기에 적절한 내화물은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알루미나, 마그네시아, 및 이들의 혼합물 또는 복합물이다. 마찬가지로, 적절한 접합재도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하이 알루미나 시멘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패드는 싱글 스트랜드, 더블 스트랜드, 또는 멀티 스트랜드 모드로 작동하는 턴디쉬에 사용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싱글 스트랜드 및 멀티 스트랜드(델타 턴디쉬) 모드로 작동하는 강의 연속 주조 공정은 대개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단면(수평 평면에서)을 갖고, 한 쌍의 마주보는 면은 동일한 높이를 갖는 벽을 구비하고 제3의 면 또한 벽을 가지며 제4의 면은 낮은 벽을 갖거나 벽을 갖지 않는 충격 패드를 채용한다. 더블(간혹 4중) 스트랜드 기술에서, 충격 패드는 대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한 쌍의 마주보는 면은 동일한 높이를 갖는 벽을 구비하고 다른 한 쌍의 마주보는 면 또한 동일한 높이(첫 번째 쌍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음)를 갖는다. 싱글 스트랜드 및 멀티 스트랜드 작동에서, 충격 패드는 대개 용강이 존재하는 출구 영역의 한쪽에 대하여 턴디쉬의 일 단부 근처에 위치되며, 더블 스트랜드 작동에서는 충격 패드가 대개 충격 패드의 반대쪽에 존재하는 2개의 출구(또는, 4중 스트랜드 작동에서는 반대쪽에 2쌍의 출구가 존재함)를 구비한 직사각형 턴디쉬의 중앙에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패드는 예를 들어 용강을 위한 턴디쉬에 쓸모없는 용적의 감소 및/또는 플러그 플로우의 개선 및/또는 난류의 감소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충격면(3)을 갖는 베이스(2), 베이스(2)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벽(4), 및 벽(4)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오버행(5)을 포함하는 충격 패드(1)를 나타낸다. 충격 패드의 양쪽 평행면(6, 7)을 따라 오버행(5)의 저면(8)이 아치 형태로 굴곡된다. 충격 패드(1)의 측면(6)을 보면, 베이스 위에서 오버행의 수직 높이가 매끄럽게 증가하지만 선형 증가는 아니며, 단부(9)에서 최저이고 중앙부(11)에서 최고이며 단부(10)에서 다시 최저가 된다. 따라서, 오버행은 베이스의 둘레를 덮는 아치 형상의 지붕을 형성한다. 측면(7)은 유사한 아치부(12)를가지며, 이것은 반대쪽 측면(6)의 아치부와 거울 대칭 이미지를 갖는다. 충격 패드의 양 단부(13, 14)로부터 돌출되는 오버행 돌기(5)는 베이스 위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즉 오버행의 저면이 베이스(2)의 평면에 대하여 수평 및 평행이다. 중앙(11)에서의 오버행의 두께(즉, 수직 단면)는 단부(9, 10)에서의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는 도 1의 선 A1-A1에 대하여 취한 단면을 나타낸다. 벽(6)의 베이스를 따라 등간격 X에서 측정한 바와 같이 높이는 매끄럽게, 그러나 비선형으로 m1, m2, m3, 최고점인 m4의 높이로 증가하고 다시 m5 등의 높이로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아치형 오버행 각각의 폭은 길이 방향으로 일정하지만, 중앙의 최소 폭 부분으로부터 양 방향으로 증가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충격면(22)을 갖는 베이스(21), 베이스(21)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벽(23), 및 벽(23)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오버행(24)을 포함하는 충격 패드(20)를 나타낸다. 충격 패드의 측면(26)을 따라 오버행(24)의 저면(27)은 2개의 평면형 경사면(28, 29) 형태이고, 각각의 경사면의 하단부는 충격 패드의 각각의 모서리(30, 31) 근처에 위치되고 측면(26)의 중앙에서 만난다. 측면(25)은 측면(26)과 거울 대칭 이미지의 오버행을 갖는다. 충격 패드(20)의 측면(26)을 보면, 베이스 위의 오버행의 수직 높이는 모서리(31)의 최저로부터 매끄러운 선형으로 증가하여 중앙 봉우리(32)에서 최고가 된 후, 모서리(30)에서 다시 최저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측면(25, 26) 상의 오버행은 베이스 둘레 위에서 아치형 지붕을 각각 형성한다. 충격 패드의 양 단부(35, 36)로부터 돌출되는 오버행부분(33, 34)은 베이스 위에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높이, 즉 오버행의 저면은 베이스(22)의 평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평 및 평행이다. 중앙부(32)에서의 오버행의 두께(즉, 수직 단면)는 모서리(30, 31) 근처의 단부에서의 두께보다 작다. 오버행(24)의 상면에 의해 형성되는 충격 패드의 상부면은 본 실시예에서는 평면형이다. 경사진 오버행의 폭이 일정할 수도 있지만,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중앙의 최소 폭으로부터 변화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충격면(42)을 갖는 사다리꼴 베이스(41), 베이스(41)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벽(43), 및 벽(43)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오버행(44)을 포함하는 충격 패드(40)를 나타낸다. 충격 패드의 측면(46)을 따라, 오버행(44)의 저면(47)은 수평인 저면(48) 및 굴곡된 저면(49)을 갖는 표면의 형태이다. 굴곡된 저면(49)의 하단부(50)는 최저 높이이며 오버행(44)의 저면이 벽(46)의 중앙부 근처에 있는 최고점(53) 쪽으로 향함에 따라 그 높이가 매끄럽게(그러나 비선형으로) 증가한다. 이 지점에서, 굴곡면은 수평이 되고 모서리(51)까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한다. 측면(52)은 측면(46)과 거울 대칭인 이미지의 오버행을 갖는다. 베이스(42) 위에서 돌출되는 오버행 부분(54)은 베이스 위에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높이, 즉 오버행 부분(54)의 저면이 베이스(42)의 평면과 실질적으로 수평 및 평행이다. 베이스의 넓은 쪽 단부의 수직 벽(55)은 오버행을 가지지는 않지만 모따기된(chamfered) 상부 에지(56)를 갖는다. 오버행(44)의 상면에 의해 형성되는 충격 패드의 상부면은 오버행(54)의 영역에서 평면형이고, 중앙 영역으로부터 단부(55) 쪽을 향해 아래쪽으로 매끄럽게 구부러진다.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굴곡된 오버행(44) 각각의 폭은 벽(43)의 좁지만 높은 쪽 단부로부터 반대쪽의 벽(55)의 넓지만 낮은 쪽 단부, 즉 사다리꼴 베이스의 좁은 쪽 단부로부터 넓은 쪽 단부로 감소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1 내지 도 13은 싱글 스트랜드용으로 의도되는 충격 패드(60)를 나타내며, 충격면(62)을 갖는 사다리꼴 베이스(61), 베이스(61)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벽(63), 및 벽(63)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오버행(64)을 포함한다. 충격 패드의 측면(65)을 따라, 오버행(64)의 저면(66)은 경사진 평면이다. 경사진 저면(66)의 하단부(67)는 최저 높이이고, 오버행의 저면이 충격 패드의 모서리(69) 근처에 있는 최고점(68)을 향해 위쪽으로 경사짐에 따라 그 높이는 매끄럽게(그러나 비선형으로) 증가한다. 측면(70)은 측면(65)의 거울 대칭 이미지인 오버행을 갖는다. 충격 패드의 측면(73)으로부터 베이스(62) 위에서 돌출되는 오버행 부분(71)은 베이스 위에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높이이지만, 그 표면이 연장 방향으로 벽(73)에 대하여 약간의 예각으로 횡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충격 패드의 벽(74)으로부터 베이스(62) 위에서 돌출되는 오버행 부분(72) 역시 베이스 위에서 균일한 높이이지만, 그 표면이 연장 방향으로 벽(74)에 대하여 약간의 둔각으로 횡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오버행(64)의 상면에 의해 형성되는 충격 패드의 상부면은 평면형이지만,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어 기울어져 있다.
도 11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진 오버행 각각의 폭은 사다리꼴 베이스의 좁은 쪽 단부로부터 넓은 쪽 단부를 향해 연속적으로 감소한다.
도 14 내지 도 16에 나타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충격 패드와유사한 형태이며, 직사각형 베이스(80) 및 한 쌍의 대면하는 아치형 오버행(81, 82)을 각각 갖는다. 그러나, 도 14 내지 도 16에 나타낸 실시예는 2가지 점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것과 약간 상이하다. 첫째로, 충격 패드의 양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오버행 부분이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처럼 베이스 평면과 수평 및 평행이 아니라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으로 약간 기울어진/굴곡된 것이다. 둘째로, 아치형 오버행(81, 82) 각각의 내측면 자체는 약간 굴곡되어 이들 오버행 각각의 폭이 아치의 중심/상부에서 최소이고, 이로부터 아치 단부에 도달하여 최대가 된다. 따라서, 충격 패드 상부의 개구부는 단지 약간 굴곡된 모서리를 구비한 직선형 측면을 가지는 도 3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개구부에 비해 얕은 오목형 굴곡 형태의 기다란 측면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도 14 내지 도 16의 실시예에서는 충격 패드의 짧은 쪽 측면이 이동용 훅(83)을 구비한다.
도 17 내지 도 19에 나타낸 실시예는 그 베이스가 보다 정사각형에 가깝지만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충격 패드의 한 쌍의 양 측면은 동일한 오버행(90, 91)을 구비하고, 이들 오버행 각각의 저면은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의 저면(27, 28)과 등등한 2개의 평면형 경사면 형태이다. 이들 오버행(90, 91) 각각은 아치의 중앙/상부에서 최소 폭을 가지며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치의 단부에 도달하여 최대가 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충격 패드의 다른 한 쌍의 측면은 매우 짧은 오버행을 가지며, 각각의 저면은 베이스(93)의 평면에 대하여 수평 및 평행이다. 마지막으로, 경사진 오버행이 없는 하나의 측면을 따라 도 14 내지 도 16에 나타낸 실시예의 훅(83)과 유사한 형태의 한 쌍의 훅(94)이 제공된다.
도 20 내지 도 22에 나타낸 실시예는 도 17 내지 도 19에 나타낸 실시예와 유사하며, 각각이 도 2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오버행 길이의 중앙에서 만나는 2개의 평면형 경사면 형태인 저면을 갖는 한 쌍의 오버행(100, 101)을 갖는다. 반대쪽 쌍의 오버행 각각은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이 안쪽과 위쪽으로 각도를 이루는 저면을 갖는다. 도 17 내지 도 19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주된 차이점은 오버행(100, 101)의 내측면 각각의 형태이다. 도 2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오버행(100, 101)은 아치의 중앙/상부에서 최소 폭을 가지며, 아치의 단부에서 최대 폭에 도달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도 14 내지 도 17의 실시예에서 연속적인 것 대신에, 본 실시예에서는 그 변화가 불연속적이어서 최소 폭 부분은 아치의 최고 부분 양쪽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각도를 이루는 각각의 직선부에 의해 각각의 아치 단부에서 최대 폭 부분과 연결됨으로써, 아치의 일 단부로부터 그 중앙부까지에 3개의 판이한 폭을 갖는 오버행이 형성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충격 패드는 납작한 베이스(102)를 갖는다.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낸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즉 사다리꼴 형상의 베이스(110)를 갖는 "싱글 스트랜드" 충격 패드의 형태이다. 도 11 내지 도 13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오버행(111, 112)의 저면은 도 24에 나타낸 것과 같이 경사진 평면이다. 따라서 도 11 내지 도 13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들 오버행 각각의 폭은 충격 패드의좁은 쪽 단부 근처의 단부에서 최대이고 넓은 쪽 단부 근처에서 최소가 되도록 감소한다. 충격 패드의 좁은 쪽 단부에서 기립하는 벽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훅(113)이 제공된다. 도 11 내지 도 13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 벽은 수직인 반면에 반대쪽의 대면하는 벽은 외측 상방으로 경사를 이루며 훅(113)을 구비한 수직 벽보다 높이가 낮다.
도 25 내지 도 27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다리꼴 형태의 베이스(12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낸 것과 유사하다. 도 7 내지 도 10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마주보는 오버행(121, 122) 각각은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의 저면 및 굴곡된 저면을 갖는 면 형태의 저면을 갖는다. 그러나,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낸 실시예와는 달리, 베이스(120)의 넓은 쪽 단부에는 기립 벽이 없어서 베이스(120)는 실질적으로 충격 패드의 개방단으로 끝난다. 즉,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낸 실시예의 수직 벽(55)이 생략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베이스(120)에는 훅(123)이 매립되고 벽의 바닥을 통과하여 좁은 쪽 단부에서 베이스로부터 기립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8은 도 25에 나타낸 것과 동등한 실시에를 나타내지만, 베이스가 사다리꼴보이 아니라 정사각형인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9 내지 도 31에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23 및 도 24의 오버행(111, 112)과 동등한 하나 또는 두 개의 경사진 오버행(130, 131)이 도면에 나타낸 오버행(30)과 같이 충격 패드의 넓은 쪽 단부에서 짧게 끝날 수 있다. 충격 패드의 넓은 쪽 단부 벽(132)은 오버행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외측면은 상방 내측으로 각도를 이룬다.
오버행의 저면이 굴곡되거나 경사지는 것이 성능을 개선시키고, 적어도 하나의 오버행의 폭이 그 길이를 따라 변화되는 경우, 즉 충격 패드의 상면에 있는 입구 개구부의 형상이 균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러한 굴곡 또는 경사 없이도 성능 개선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개선된 효과가 단지 하나의 오버행의 폭을 변화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지만, 마주하는 한 쌍의 오버행 각각에 대한 변화,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의 경사 또는 굴곡을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폭의 변화는 3면이거나 4면인 충격 패드의 모든 오버행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폭의 여러 가지 변화는 연속 또는 불연속이 될 수 있으며, 연속인 경우에는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굴곡되거나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이 경사진 직선이 될 수 있다. 임의의 불연속 형태인 폭의 변화는 예를 들어 도 20에 나타낸 것과 같은 것도 적절하다. 싱글 스트랜드용의 사다리꼴 형상과 같은 소정의 충격 패드 형상에서는, 도 14, 도 17, 도 2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중앙부의 마주보는 측면 각각을 변화시키는 것보다는 도 23 및 도 2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연속적인 변화를 채택할 수 있다.
그러나 충격 패드가 적어도 하나의 오버행 저면의 굴곡 또는 경사를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오버행 폭의 변화와 조합하는 경우, 공지된 충격 패드 장치보다 성능이 더욱 개선된다. 이것은 동심(concentric) 설계에 비해 턴디쉬로 유입되는 용강의 흐름 속도를 감소시킨다. 특히, 본 발명의 충격 패드는 턴디쉬를 통과하는 유동을 더욱 양호하게 조절하며 내부의 금속에 대하여 낭비 시간을 저감한다.

Claims (25)

  1. 턴디쉬(tundish)로 유입되는 용탕의 흐름에 대하여 위쪽으로 대면하는 충격면을 갖는 베이스(base), 상기 충격면 외주의 적어도 일부분의 둘레로 상기 베이스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벽, 상기 베이스의 외주 위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오버행(overhang)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벽의 상부 부분을 포함하여 내화물로 형성되는 턴디쉬 충격 패드로서,
    상기 오버행은 적어도 그 일부분이 굴곡되거나 경사진 저면을 가지며, 상기 굴곡부 또는 경사부는 상기 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충격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굴곡 및/또는 경사를 이루는 저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오버행이 상기 충격 패드 외주의 적어도 40%에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충격 패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충격 패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평부와, 상기 굴곡되거나 경사진 부분의 최저점과 최고점을 연결하는 직선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는 5°내지 20°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충격 패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행의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벽의 평면과 평행한 평면에서 상기 오버행을 통과하도록 취한 수직 단면에서, 상기 굴곡부와 수평부의 접선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각도가 0°내지 45°범위가 되도록 만곡된 저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충격 패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은 아치 또는 부분 아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충격 패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은 상기 베이스의 전체 외주 둘레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충격 패드.
  8. 제7항에 있어서,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베이스를 갖고, 대면하여 배치된 한 쌍의 벽 상에 굴곡되거나 경사진 저면을 갖는 한 쌍의 오버행, 및 다른 한 쌍의 벽 상에 수평의 평면형 저면을 갖는 다른 한 쌍의 오버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충격 패드.
  9. 제8항에 있어서,
    굴곡되거나 경사진 저면을 갖는 상기 한 쌍의 오버행 각각은 아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충격 패드.
  10. 제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아치는 그 중심/상부에서 최소 폭을 가지며, 상기 중심/상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진행하여 상기 아치의 단부에서 최대 폭에 도달할 때까지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충격 패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치의 폭은 그 중심/상부로부터 각각의 단부쪽으로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충격 패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치의 폭은 그 중심/상부로부터 각각의 단부쪽으로 불연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충격 패드.
  13. 제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아치는 그 중심/상부에서 최소 폭을 가지며, 상기 중심/상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진행하여 각각의 그 단부 이전의 위치에서 최대 두께에 도달하도록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충격 패드.
  14. 제1항에 있어서,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베이스를 갖고, 외주 벽은 상기 베이스의 3면을 둘러싸며, 대면하여 배치된 한 쌍의 벽은 굴곡되거나 경사진 저면을 갖는 한 쌍의 오버행을 구비하고, 제3의 벽은 수평의 평면형 저면을 갖는 오버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충격 패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 벽은 상기 베이스의 3면만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충격 패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 벽은 상기 베이스의 4면 모두를 둘러싸되, 제4의 벽은 오버행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충격 패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 벽은 상기 베이스의 4면 모두를 둘러싸고, 대면하여 배치된 제3 및 제4의 벽은 각각이 상이한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충격 패드.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굴곡되거나 경사진 저면을 갖는 상기 한 쌍의 오버행 각각은 아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충격 패드.
  19. 제1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아치는 일 단부에서 최소 폭을 갖고, 그 반대쪽 단부에서 최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충격 패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치의 폭은 그 최소 폭으로부터 최대 폭까지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충격 패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치의 내측면은 직선 또는 굴곡형으로서 상기 폭의 연속적인 감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충격 패드.
  22. 턴디쉬로 유입되는 용탕의 흐름에 대하여 위쪽으로 대면하는 충격면을 갖는 베이스, 상기 충격면 외주의 적어도 일부분의 둘레로 상기 베이스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벽, 상기 베이스의 외주 위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오버행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벽의 상부 부분을 포함하여 내화물로 형성되는 턴디쉬 충격 패드로서,
    상기 오버행은 2개의 대면하는 벽 사이의 중심에서 최소 폭을 가지며 상기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넓어져서 그 단부에서 최대 폭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충격 패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행 각각의 내측면은 직선 또는 굴곡형으로서 상기 폭의 연속적인 감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충격 패드.
  24. 턴디쉬로 유입되는 용탕의 흐름에 대하여 위쪽으로 대면하는 충격면을 갖는 베이스, 상기 충격면 외주의 적어도 일부분의 둘레로 상기 베이스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벽, 상기 베이스의 외주 위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오버행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벽의 상부 부분을 포함하여 내화물로 형성되는 턴디쉬 충격 패드로서,
    상기 오버행은 일 단부에서 최소 폭을 갖고, 그 반대쪽 단부에서 최대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충격 패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행 각각의 내측면은 직선 또는 굴곡형으로서 상기 폭의 연속적인 감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 충격 패드.
KR1020047005447A 2002-03-28 2003-03-27 야금용 충격 패드 KR1010729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6774302P 2002-03-28 2002-03-28
US60/367,743 2002-03-28
PCT/GB2003/001335 WO2003082499A1 (en) 2002-03-28 2003-03-27 Metallurgical impact pa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659A true KR20040093659A (ko) 2004-11-06
KR101072960B1 KR101072960B1 (ko) 2011-10-12

Family

ID=28675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447A KR101072960B1 (ko) 2002-03-28 2003-03-27 야금용 충격 패드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6997361B2 (ko)
EP (2) EP1490192B1 (ko)
JP (1) JP4313212B2 (ko)
KR (1) KR101072960B1 (ko)
CN (1) CN1305612C (ko)
AT (1) ATE347955T1 (ko)
AU (1) AU2003214448B2 (ko)
BR (1) BR0305780B1 (ko)
CA (1) CA2467345C (ko)
DE (1) DE60310387T2 (ko)
DK (1) DK1490192T3 (ko)
ES (1) ES2278148T3 (ko)
ME (1) ME00623A (ko)
MX (1) MXPA04003651A (ko)
MY (1) MY133574A (ko)
PL (1) PL206095B1 (ko)
PT (1) PT1490192E (ko)
RS (1) RS50264B (ko)
SI (1) SI1490192T1 (ko)
TW (1) TWI241226B (ko)
WO (1) WO2003082499A1 (ko)
ZA (1) ZA2002062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05724B3 (de) * 2006-02-08 2007-05-31 Purmetall Gmbh & Co. Kg Eingusstopf zur Aufnahme einer aus einer Giesspfanne ausfliessenden metallischen Schmelze
EP1955794B1 (de) 2007-02-08 2012-02-01 Berthold Stilkerieg Verteilergefäß mit einem Spritzer und Wirbel vermeidenden Einbaukörper
EP2047928A1 (en) * 2007-10-08 2009-04-15 Foseco International Limited Metallurgic impact pad
US8066935B2 (en) 2007-12-14 2011-11-29 The Harrison Steel Castings Company Turbulence inhibiting impact well for submerged shroud or sprue poured castings
EP2193861A1 (en) 2008-12-02 2010-06-09 Foseco International Limited Tundish Impact pad.
ES2398511T5 (es) * 2010-07-19 2016-04-29 Refractory Intellectual Property Gmbh & Co. Kg Cubeta de impacto cerámica ignífuga
US9381572B2 (en) * 2011-06-14 2016-07-05 Vesuvius Crucible Company Impact pad
EP2537609A1 (en) * 2011-06-23 2012-12-26 Calderys Ukraine Ltd. Metal-flow impact pad and diffuser for tundish
SI2769785T1 (sl) 2013-02-25 2016-08-31 Refractory Intellectual Property Gmbh & Co. Kg Ognjevzdržen udarni lonec
US9308581B2 (en) * 2014-03-28 2016-04-12 ArceloMittal Investigacion y Desarrollo, S.L. Impact pad, tundish and apparatus including the impact pad, and method of using same
WO2016025948A1 (en) * 2014-08-15 2016-02-18 Arcelormittal Investigacion Y Desarrollo, S.L. Impact pad, tundish and apparatus including the impact pad, and method of using same
AR109299A1 (es) * 2016-08-08 2018-11-14 Vesuvius Crucible Co Placa de impacto
TWI615219B (zh) * 2016-12-28 2018-02-21 China Steel Corp 導流磚
CN111570777B (zh) * 2020-06-30 2022-01-11 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一种中间包稳流器
CN112317732A (zh) * 2020-09-08 2021-02-05 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一种钢水罐防倾斜装置及方法
WO2024022622A1 (en) 2022-07-28 2024-02-01 Refractory Intellectual Property Gmbh & Co. Kg Impact pot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barrier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9591A (en) * 1992-02-07 1992-12-08 Bethlehem Steel Corporation Impact pad for a continuous caster tundish
US5358551A (en) * 1993-11-16 1994-10-25 Ccpi, Inc. Turbulence inhibiting tundish and impact pad and method of using
US5518153A (en) * 1994-11-09 1996-05-21 Foseco International Limited Tundish impact pad
EP0790873B1 (en) * 1994-11-09 1998-06-03 Foseco International Limited Tundish impact pad
GB9517633D0 (en) * 1995-08-30 1995-11-01 Foseco Int Tundish impact pad
GB9607556D0 (en) * 1996-04-11 1996-06-12 Foseco Int Tundish impact pad
US5861121A (en) * 1996-11-21 1999-01-19 Psc Technologies, Inc. Chamber for reception, Lateral division and redirection of liquid metal flow
CN2333464Y (zh) * 1998-08-07 1999-08-18 武汉钢铁(集团)公司 连铸中间包防湍流隔墙
GB9903937D0 (en) * 1999-02-22 1999-04-14 Foseco Int Tundish impact pad
GB9913241D0 (en) * 1999-06-08 1999-08-04 Foseco Int Impact pad for tundish
CN2511416Y (zh) * 2001-11-29 2002-09-18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连铸中间包的防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310387T2 (de) 2007-09-20
AU2003214448B2 (en) 2007-06-21
KR101072960B1 (ko) 2011-10-12
PT1490192E (pt) 2007-01-31
TW200401681A (en) 2004-02-01
EP1676659A1 (en) 2006-07-05
TWI241226B (en) 2005-10-11
AU2003214448A1 (en) 2003-10-13
DE60310387D1 (de) 2007-01-25
PL206095B1 (pl) 2010-06-30
DK1490192T3 (da) 2007-04-10
JP2005521560A (ja) 2005-07-21
JP4313212B2 (ja) 2009-08-12
EP1490192B1 (en) 2006-12-13
ZA200206261B (en) 2003-04-07
CN1625451A (zh) 2005-06-08
ME00623A (en) 2011-12-20
EP1490192A1 (en) 2004-12-29
BR0305780B1 (pt) 2010-11-30
PL369125A1 (en) 2005-04-18
MY133574A (en) 2007-11-30
CN1305612C (zh) 2007-03-21
SI1490192T1 (sl) 2007-04-30
US6997361B2 (en) 2006-02-14
WO2003082499A1 (en) 2003-10-09
CA2467345C (en) 2009-12-22
MXPA04003651A (es) 2004-07-23
ATE347955T1 (de) 2007-01-15
BR0305780A (pt) 2004-10-05
US20030183362A1 (en) 2003-10-02
CA2467345A1 (en) 2003-10-09
RS50264B (sr) 2009-07-15
ES2278148T3 (es) 2007-08-01
YU39504A (sh) 2005-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2960B1 (ko) 야금용 충격 패드
EP1198315B1 (en) Impact pad for a tundish
KR102372148B1 (ko) 충돌 패드
JP6014129B2 (ja) インパクトパッド
EP2537610A2 (en) Metal-flow impact pad and diffuser for tundish
EP2205769B1 (en) Metallurgical impact p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