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1579A - 건조 세탁기 - Google Patents

건조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1579A
KR20040091579A KR1020040027313A KR20040027313A KR20040091579A KR 20040091579 A KR20040091579 A KR 20040091579A KR 1020040027313 A KR1020040027313 A KR 1020040027313A KR 20040027313 A KR20040027313 A KR 20040027313A KR 20040091579 A KR20040091579 A KR 20040091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aundry
drum
ion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께미즈무기헤이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1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1579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3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electrochemical cel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세탁기에, 금속 이온을 용출하는 이온 용출 유닛과, 제어부를 설치한다. 제어부는 세탁물의 세탁 공정을 구성하는 적어도 1개의 개별 공정이 실행될 때에, 그 개별 공정 중, 물을 필요로 하는 최종 개별 공정(헹굼 공정 또는 건조 공정)에서 이온 용출 유닛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켜 물에 첨가시킨다. 이에 의해, 제어부가 금속 이온 첨가수를 예를 들어 드럼에 공급하거나, 건조시의 냉각수로서 이용하는 등하여 상기 최종 개별 공정을 실행하면, 그 개별 공정의 종료 후, 그 공정에서 사용된 물이 배수 경로 내에 남아도, 그 남은 물이 항균 작용을 갖는 금속 이온 첨가수가 되어, 악취나 곰팡이의 발생 원인이 되는 균이 제균 및 살균된다. 이에 의해, 기기 내의 남은 물의 부패에 의한 악취나 곰팡이의 발생을 방지하여 세탁기의 위생면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건조 세탁기{WASHER-DRIER}
본 발명은, 건조 공정을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온 용출 수단으로부터 금속 이온 첨가수를 수용조(드럼 또는 세탁조)에 공급하여 수용조 내에 수용되는 세탁물에 대해 항균 처리를 행하는 건조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기기 내의 남은 물에 기인하는 악취의 발생이나 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는 건조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로 세탁물을 세탁할 때, 물(특히, 헹굼수)에 마무리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 자주 행해진다. 마무리 물질로서 일반적인 것은 유연제나 풀먹임제이다. 여기다가, 최근에는 세탁물에 항균성을 갖게 하는 마무리 처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세탁물은 위생 상의 관점에서 보면 햇볕 건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최근에는, 여성 취업률의 향상이나 핵가족화의 진행에 의해, 낮에는 집에 아무도 없는 가정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가정에서는, 실내 건조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또한, 낮에 누군가가 집에 있는 가정에 있어서도 비가 내릴 때에는 실내 건조를 하게 된다.
실내 건조의 경우, 햇볕 건조에 비해 세탁물에 세균이나 곰팡이가 번식하기 쉬워진다. 장마철과 같은 고습시나 저온시 등, 세탁물의 건조에 시간이 걸리는 경우에는 이 경향은 현저하다. 또한, 번식 상황에 따라서는 세탁물이 이상한 냄새를 풍길 때도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절약 의식이 높아져 입욕 후의 목욕물을 세탁에 재이용하는 가정이 많아지고 있다. 그런데, 밤새 방치된 목욕물은 세균이 증가되어, 이 세균이 세탁물에 부착되어 더욱 번식하여 이상한 냄새의 원인이 되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일상적으로 실내 건조가 부득이한 가정, 혹은 목욕물을 세탁에재이용하는 가정에서는 세균이나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하기 위해 직물류에 항균 처리를 실시하고자 하는 요청이 강하다.
한편, 최근에는 섬유에 항균 방취 가공이나 제균 가공을 실시한 의류도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가정 내의 섬유 제품을 모두 항균 방취 가공 완료된 것으로 갖추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항균 방취 가공의 효과는 세탁을 거듭함에 따라 점점 떨어진다.
그래서, 세탁시마다 세탁물을 항균 처리하고자 하는 생각에 미치게 되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서는, 은 이온, 구리 이온 등 살균력을 갖는 금속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 기기를 장비한 전기 세탁기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서는, 세정수에 은 이온을 첨가하는 은 이온 첨가 유닛을 구비한 세탁기가 기재되어 있다. 특히, 특허 문헌 2의 세탁기에서는, 물에 3 내지 50 ppb(part per billion)의 농도로 은 이온을 첨가하여 세탁물에 항균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이라 함은, 일본국 공개 실용신안 공보『실용신안 공개 평5-74487호 공보(1993년 10월 12일 공개)』를 가리키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라 함은,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특허 공개 2001-276484호 공보(2001년 10월 9일 공개)』를 가리키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의 세탁기는 모두 회전축이 수직 방향이 되도록 세탁조가 배치된, 이른바 종형의 세탁기(수직형 세탁)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회전축이 수직 방향에 대해 교차하도록 드럼이 배치된, 이른바 횡형의 세탁기(드럼 세탁)도 개발되고 있다.
횡형의 세탁기에서는 드럼이나 수조가 거의 횡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세탁물을 세탁기의 정면으로부터 넣은 경우가 많다. 그로 인해, 드럼에 세탁물을 수용하기 위한 덮개는, 통상 세탁기의 정면에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세탁기의 상면 이외의 면에 덮개를 설치하면, 그곳으로부터 물이 새어나올 가능성이 있다. 그로 인해, 횡형의 세탁기에서는 덮개를 닫을 때에 덮개와 본체와의 밀봉성이 높아, 본체 내부를 밀폐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횡형의 세탁기에서는, 종형의 세탁기와 달리, 사용하지 않을 때에 덮개를 열어 두는 것도 공간의 관계상 어렵다.
따라서, 횡형의 세탁기에서는 세탁 종료 후에 세탁기 내부에 남은 물이 건조되기 어려운 상황에 있다. 횡형의 세탁기 중에는, 시스템 키친에 대한 조립의 수요에 의해, 펌프에 의한 배수를 행하는 경우도 있지만, 특히 이 경우, 중력에 의한 자연 배수에 비해 남은 물 자체가 많아진다.
또한, 최근에는 종형의 세탁기에 있어서도, 건조 기능을 구비하여 건조시의 열이나 습기 또는 발생하는 먼지를 외부로 누출하지 않으므로, 밀폐성이 높은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기종에서는, 횡형의 세탁기와 같이 기기 내에 물이 남기 쉽다.
그 결과, 횡형 및 종형의 세탁기에 있어서, 기기 내에 잔존하는 물이 부패하여 악취를 발생시키거나, 곰팡이도 번식하기 쉬워지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상기한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의 세탁기는 모두 항균 처리의 대상이 세탁물로, 금속 이온이 기기 내에 남아 있는 물에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횡드럼식 세탁기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2는 상기 세탁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도3은 상기 세탁기가 구비하는 급수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4는 상기 세탁기에 있어서의 세탁 공정 전체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5는 상기 세탁 공정에 있어서의 세탁 공정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6은 상기 세탁 공정에 있어서의 헹굼 공정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7은 상기 세탁 공정에 있어서의 탈수 공정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8은 상기 세탁기가 구비하는 이온 용출 유닛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9는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도10은 상기 이온 용출 유닛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11은 상기 이온 용출 유닛으로부터의 금속 이온의 용출 및 금속 이온 첨가수의 투입 시퀀스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12는 상기 세탁기의 메인 급수 밸브 및 서브 급수 밸브의 개폐 타이밍과, 이온 용출 유닛의 각 전극에의 전압 인가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13은 상기 세탁기에 있어서 탈수시의 드럼의 언밸런스를 수정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14는 금속 이온 첨가수에 있어서의 은 이온 농도와 정균 활성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급수 밸브
51 : 접속관
52 : 급수관
53 : 급수구
54 : 세제실
55 : 마무리제실
57 : 사이폰부
100 : 이온 용출 유닛
120 : 구동 회로
601 : 횡드럼식 세탁기
610 : 본체
611 : 개구
613 : 도어
614 : 립
615 : 돌기부
616 : 조작 패널
620 : 수조
621, 631 : 세탁물 투입구
622 : 베어링
630 : 드럼
632 : 축
633 : 탈수 구멍
635 : 밸런스 웨이트
640 : 모터
660 : 배수관
661 : 필터 케이싱
690 : 제어부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건조 공정을 실행할 수 있는 건조 세탁기에 있어서 기기 내의 남은 물의 부패에 의한 악취나 곰팡이의 발생을 방지하여, 위생면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건조 세탁기는 금속 이온을 용출하는 이온 용출 수단과, 상기 이온 용출 수단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켜 물에 첨가시키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세탁물을 수용하는 수용조에 온풍을 공급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동시에, 상기 수용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각수에 의해 냉각하는 건조 공정에 있어서 상기 이온 용출 수단으로부터 용출되는 금속 이온을 상기 냉각수에 첨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제어 수단에 의해 이온 용출 수단으로부터 용출되는 금속 이온이 건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냉각수에 첨가되므로, 그 냉각수가 배수 경로내에 남아도 그 남은 물(냉각수)이 금속 이온 첨가수가 된다. 이 금속 이온 첨가수에 포함되는 금속 이온은 항균 작용을 갖고 있으므로, 부패되었을 때에 악취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는 균이나 곰팡이가 이 금속 이온에 의해 제균 및 살균된다. 따라서, 기기 내에 남아 있는 물의 부패에 의한 악취의 발생이나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어 위생면에서 우수한 건조 세탁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조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건조 공정직전에서 상기 수용조에 물을 공급하는 공정(예를 들어 헹굼 공정)이 실행될 때에, 상기 이온 용출 수단으로부터 용출되는 금속 이온을 상기 건조 공정 직전의 공정에서 상기 수용조에 공급되는 물에 첨가시키는 제어를 행해도 좋다.
이 경우, 수용조에 물을 공급하는 공정(예를 들어 헹굼 공정)을 실행한 후에 그 수용조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배출 경로와, 건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상기 냉각수의 배출 경로가,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 다른 경우라도 상기 각 공정의 종료 후에는 상기 각각의 배출 경로에 있어서 최종적으로 금속 이온 첨가수를 남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2개의 배출 경로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경우라도 기기 내 각각의 배출 경로 내의 남은 물의 부패에 의한 악취의 발생이나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어 위생면에서 우수한 세탁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조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조는 회전축이 수직 방향에 대해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드럼이라도 좋다. 이 경우, 특히 횡형(횡드럼식)의 건조 세탁기에 있어서, 기기 내의 남은 물의 부패에 의한 악취의 발생이나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는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금속 이온을 용출하는 이온 용출 수단과, 세탁물의 세탁 공정을 구성하는 적어도 1개의 개별 공정이 실행될 때에, 그 개별 공정 중 물을 필요로 하는 최종 개별 공정에서 상기 이온 용출 수단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켜 물에 첨가시키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세탁 공정을 구성하는 개별 공정으로서는, 예를 들어 세탁 공정,헹굼 공정, 탈수 공정, 건조 공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공정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중, 물을 필요로 하는 개별 공정으로서는, 세탁 공정, 헹굼 공정, 건조 공정이 있다. 세탁 공정 및 헹굼 공정에서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수용조(종형이면 세탁조, 횡형이면 드럼)에서 세탁물을 세탁하거나, 혹은 헹구기 위한 물을 공급할 필요가 있고, 건조 공정에서는, 수냉 제습 방식의 경우, 수용조로부터 배출되는 고온다습의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들 개별 공정 중, 물을 필요로 하는 최종 개별 공정이 헹굼 공정이면, 그 헹굼 공정에서 사용한 물이 배수 경로를 찾아가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최종 개별 공정이 건조 공정이면, 수용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냉각수에 의해 냉각된 후, 상기 냉각수가 배수 경로를 찾아가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제어 수단이 세탁에 물을 필요로 하는 최종 개별 공정에서 이온 용출 수단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켜 물에 첨가시킴으로써, 이 금속 이온 첨가수를 예를 들어 상기 수용조에 공급하거나, 건조시의 냉각수로서 이용하는 등하여 상기 최종 개별 공정을 실행하면, 그 개별 공정의 종료 후 그 공정에서 사용된 물이 배수 경로 내에 남아도, 그 남은 물이 금속 이온 첨가수가 된다. 이 금속 이온 첨가수에 포함되는 금속 이온은 항균 작용을 갖고 있으므로, 부패되었을 때에 악취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는 균이나 곰팡이가 이 금속 이온에 의해 제균 및 살균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따르면, 기기 내의 남은 물의 부패에 의한 악취 발생이나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어, 위생면에서 우수한 세탁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최종 개별 공정은 수용조에 수용되는 세탁물을 헹구는 헹굼 공정이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헹굼 공정에 있어서 상기 이온 용출 수단으로부터 용출되는 금속 이온을 상기 수용조에 공급되는 물에 첨가시키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최종 개별 공정은 세탁물을 수용하는 수용조에 온풍을 공급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동시에, 상기 수용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각수에 의해 냉각하는 건조 공정이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건조 공정에 있어서 상기 이온 용출 수단으로부터 용출되는 금속 이온을 상기 냉각수에 첨가시키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수용조와, 금속 이온을 용출하는 이온 용출 수단과, 세탁물의 세탁 공정을 구성하는 개별 공정으로서, 적어도 (1) 상기 수용조에 온풍을 공급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동시에, 상기 수용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각수에 의해 냉각하는 건조 공정과, (2) 상기 건조 공정의 직전에서 상기 수용조에 물을 공급하는 공정이 실행될 때에, 상기 이온 용출 수단으로부터 용출되는 금속 이온을 상기 (2)의 공정에서 상기 수용조에 공급되는 물과, 상기 (1)의 건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상기 냉각수와의 양방에 첨가시키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는 상술한 세탁기의 구성에다가 세탁물을 수용하는 수용조의 회전시의 언밸런스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상기 이온 용출 수단으로부터 상기 수용조에 공급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 후에 실행되는 상기 수용조의 탈수 회전시에 상기 검지 수단이 언밸런스를 검지한 경우에,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의 비공급시에 있어서의 언밸런스 검지시와는 다른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언밸런스를 수정하는 언밸런스 수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다른 처리는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를 상기 수용조에 공급하여 교반을 행하는 밸런스 수정 헹굼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는 금속 이온을 용출하는 이온 용출 수단을 포함하는 세탁기으로서, 세탁 공정을 구성하는 개별 공정(세탁 공정, 헹굼 공정, 탈수 공정, 건조 공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이 전부 종료한 후에 기기 내에 잔존하는 물이 상기 이온 용출 수단으로부터 용출되는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인 구성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이나 특징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하기의 기술과 다음의 것을 나타낸 첨부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보다 명료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해, 도1 내지 도14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1. 세탁기의 구성)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횡드럼식 세탁기(601)의 외관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2는 횡드럼식(횡형) 세탁기(601)의 수직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횡드럼식 세탁기(601)는 상자형의 본체(610)를 갖고 있다. 본체(601)의 내부에는 수조(620)와,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630)이 배치되어 있다. 수조(620)도 드럼(630)도 원통형이고, 각각 한 쪽 단부면에 세탁물 투입구(621, 631)를 갖고 있다.
드럼(630)의 바닥부 중심으로부터는 외부 방향으로 축(632)이 돌출되어 있다. 이 축(632)이 수조(620)의 바닥부 중심에 설치된 베어링(622)에 지지됨으로써, 드럼(630)과 수조(620)는 드럼(630)을 내부, 수조(620)를 외부로 하는 동심 배치로 되어 있다.
수조(620) 및 드럼(630)은 도시하지 않은 서스펜션 기구에 의해 축선이 대략 수평이 되도록 본체(610) 내에서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620) 및 드럼(630)은 축선이 수평면에 대해 각도(θ)(예를 들어 15°)의 경사를 이루고 있고, 세탁물 투입구(621, 631) 쪽이 약간 들어 올려진 형태로 되어 있다. 즉, 수조(620) 및 드럼(630)은 회전축이 수직 방향에 대해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드럼(630)의 내부를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와, 세탁물의 출입을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횡드럼식 세탁기(601)에 있어서는, 상기 경사 각도(θ)가 0°내지 30°의 범위를 상정하고 있지만, 회전축이 수직 방향에 대해 교차하고 있으면 이 범위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610)의 정면측 외벽에는 세탁물 투입구(621, 631)와 마주 보도록 개구(61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611)의 전방면에는 횡개방의 도어(612)가 설치되어 있다. 개구(611)와 세탁물 투입구(621)라 함은, 연질 합성 수지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도어 패킹(61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어 패킹(613)은 드럼(630) 속에서 생기는 물의 분채 날림, 젖은 세탁물을 출입할 때의 물방울의 떨어짐, 혹은 세탁물 투입구(621)로부터의 일수 등이 본체(610)의 내부를 적시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어 패킹(613)의 내주면에는 환형의 립(614)이 일체 형설되어 있다. 이 립(614)은 도어(612)의 내면에 설치된 돌기부(615)의 외주에 밀착함으로써, 도어 패킹(613)과 도어(612)와의 간극에서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돌기부(615)는 드럼(630) 속의 세탁물이 세탁물 투입구(621)로부터 불거져 나오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돌기부(615)는 드럼(630)의 내부를 간파할 수 있도록 투명 재료로 형성되어도 좋다.
드럼(630)의 주위벽에는 다수의 탈수 구멍(633)이 형설되어 있고, 이 탈수 구멍(633)을 통하여 드럼(630)과 수조(620) 사이를 물이 왕래하도록 되어 있다. 드럼(630)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배플(634)이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배플(634)은 드럼(630)의 회전에 수반하여 세탁물을 끼얹고 들어 올려 상방으로부터 낙하시킨다.
드럼(630)의 외면 및 세탁물 투입구(631)에는 밸런스 웨이트(평형 장치)(635)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2에서는 세탁물 투입구(631)에 부착한 환형의 밸런스 웨이트(635)만 도시하고 있고, 드럼(630)의 외면에 부착한 밸런스 웨이트는 도시하지 않는다. 밸런스 웨이트(635)는 드럼(630)이 고속 회전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다.
수조(620)의 바닥부 외면에는 모터(640)가 부착되어 있다. 모터(640)는 다이렉트 드라이브 형식인 것으로, 그 회전자에 드럼(630)의 축(632)이 연결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622)은 모터(640)의 하우징에 부착되고, 모터(640)의구성 요소의 일부로 되어 있다.
수조(620)의 상측 공간에는 전자적으로 개폐하는 급수 밸브(50)가 배치되어 있다. 급수 밸브(50)는 본체(610)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돌출하는 접속관(51)을 갖고 있다. 접속관(51)에는 수돗물 등의 상수를 공급하는 급수 호스(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어 있다. 급수 밸브(50)로부터는 급수관(52)이 연장되어 있다. 급수관(52)의 선단부는 용기형의 급수구(53)에 접속되어 있다. 급수구(53)는 도3에 도시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도3은 정면측으로부터 본 급수구(53)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급수구(53)는 상면이 개구되어 있고, 내부는 좌우로 구획되어 있다. 좌측의 구획은 세제를 넣어 두는 준비 공간이 되는 세제실(54)이다. 우측의 구획은 세탁용 마무리제를 넣어 두는 준비 공간이 되는 마무리제실(55)이다. 세제실(54)의 바닥부에는 도어 패킹(613)의 상부에 접속한 급수 노즐(652)의 집수되(653)에 주수하는 주수구(56)가 설치되어 있다. 마무리제실(55)에는 마찬가지로 집수되(653)에 주수하는 사이폰부(57)가 설치되어 있다.
사이폰부(57)는 마무리제실(55)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상승하는 내관(57a)과, 내관(57a)에 덮여지는 캡형의 외관(57b)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관(57a)과 외관(57b) 사이에는 물이 통과하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내관(57a)의 바닥부는 집수되(653)를 향해 개구되어 있다. 외관(57b)의 하단부는 마무리제실(55)의 바닥면과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여 이곳이 물의 입구가 된다. 내관(57a)의 상단부를 초과하는 레벨까지 마무리제실(55)에 물이 주입되면, 사이폰의 작용이일어나 물은 사이폰부(57)를 통과해 마무리제실(55)로부터 흡출되고, 집수되(653)로 낙하한다.
급수 밸브(50)는 메인 급수 밸브(50a)와 서브 급수 밸브(50b)로 이루어져 있다. 접속관(51)은 메인 급수 밸브(50a) 및 서브 급수 밸브(50b)의 양방에 공통이다. 급수관(52)은 메인 급수 밸브(50a)에 접속된 메인 급수관(52a)과 서브 급수 밸브(50b)에 접속된 서브 급수관(52b)으로 이루어져 있다.
메인 급수관(52a)은 세제실(54)에 접속되어 있고, 서브 급수관(52b)은 마무리제실(55)에 접속되어 있다. 즉, 메인 급수관(52a)으로부터 세제실(54)을 통과해 집수되(653)에 주수하는 경로와, 서브 급수관(52b)으로부터 마무리제실(55)을 통과해 집수되(653)에 주수하는 경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게다가 이들이 다른 계통으로 되어 있다.
세제실(54)의 상면 및 마무리제실(55)의 상면은 각각 본체(610)의 외부를 향해 개구되어 있다. 이 개구에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덮개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덮개를 개방하고, 세제실(54)에는 세제를, 마무리제실(55)에는 마무리제를 각각 투입하게 된다.
도2로 복귀하여 설명을 계속한다. 수조(620)의 가장 낮아진 부위에는 배수구(623)가 설치되어 있고, 여기에 배수관(660)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배수관(660)의 타단부는 필터 케이싱(661)에 접속되어 있다. 필터 케이싱(661) 중에는 실밥 필터(662)가 삽입되어 있다. 실밥 필터(662)는 합성 수지의 망이나 천에 의해 형성되어 세탁액 속의 실밥을 포집한다. 필터 케이싱(661)의 일단부는 착탈 가능한 캡(663)으로 폐쇄되어 있고, 캡(663)을 제거하여 실밥 필터(662)를 청소하거나, 교환하거나 할 수 있다.
필터 케이싱(661)의 타단부에는 배수관(664)이 접속되어 있다. 필터(662)를 통과한 배수는 배수관(664)을 거쳐서 본체(610) 밖으로 배출된다. 배수관(664)의 도중에는 배수 밸브(665)가 설치되어 있다.
필터 케이싱(661)에는 에어 트랩(671)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 트랩(671)으로부터 도출된 도압 파이프(672)의 상단부에 수위 센서(673)가 설치되어 있다. 수위 센서(673)는 에어 트랩(671) 내의 압력 변화에 따라서 자성체를 코일 내에서 이동시켜, 그 결과 생기는 코일의 인덕턴스 변화를 발진 주파수의 변화로서 검출하여 이 발진 주파수의 변화로부터 수위를 판독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판독하는 것은, 드럼(630) 속의 수위이다.
본체(610)의 전방부 상면에는 조작 패널(616)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616)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이나 부저를 구비한 표시부(682)와, 각종 스위치의 조작 버튼군에 의해 구성되는 조작 스위치부(684)가 배치되어 있다.
도2에 도시하는 제어부(690)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주된 구성 요소로 하는 제어부이다. 제어부(690)는 하드 디스크 등 필요한 기억 장치를 포함하여 기억 수단을 겸하고 있다. 제어부(690)는 본체(610) 속에 조작 패널(616)과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조작 스위치부(684)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지령을 받아 모터(640), 급수 밸브(50) 및 배수 밸브(665)에 동작 지령을 발한다. 또한, 제어부(690)는 표시부(682)에는 표시 지령을 발한다. 제어부(690)는 후술하는 이온 용출 유닛(1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120)(도10 참조)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한 조작 패널(616)은 사용자가 원하는 세탁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부이다. 제어부(690)는 조작 패널(616)에 의해 설정된 세탁 모드에 따라서 개별 공정을 선택하여 실행하게 된다. 상기 개별 공정으로서는, 예를 들어 세탁 공정, 헹굼 공정, 탈수 공정, 건조 공정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690)가 실행하는 세탁 공정은 상기 세탁 모드에 따라서, 세탁 공정, 헹굼 공정, 탈수 공정, 건조 공정 중 적어도 1개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되어 있다.
(2. 세탁기의 동작)
다음에, 상기 구성의 횡드럼식 세탁기(60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도어(612)를 개방하여 드럼(630) 속에 세탁물을 넣는 동시에, 급수구(53)의 세제실(54)에 세제를 넣는다. 필요하다면, 사용자는 마무리제실(55)에 마무리제를 넣는다. 마무리제는 세탁 공정의 도중에 넣어도 좋다.
세제의 투입 준비를 구비한 후, 사용자는 도어(612)를 폐쇄하고, 조작 패널(616)의 조작 스위치부(684)의 조작 버튼군을 조작하여 세탁 조건(세탁 모드)을 선택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스타트 버튼을 누르면 도4 내지 도7의 흐름도에 따라 상기 세탁 모드에 따른 세탁 공정이 수행된다.
도4는 세탁 공정 전체의 흐름도이다. 스텝 S201에서는 설정한 시각에 세탁을 개시하는 예약 운전의 선택이 이루어져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예약 운전이 선택되어 있으면, 스텝 S206으로 진행한다.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202으로 진행한다.
스텝 S206으로 진행한 경우에는 운전 개시 시각이 되었는지 여부의 확인이 행해진다. 운전 개시 시각이 되었다면, 스텝 S202로 진행한다.
스텝 S202에서는 세탁 공정의 선택이 이루어져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선택이 이루어져 있으면, 스텝 S300으로 진행한다. 스텝 S300의 세탁 공정의 내용은 별도 도5의 흐름도로 설명한다. 세탁 공정 종료 후에는 스텝 S203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202에서 세탁 공정의 선택이 이루어져 있지 않으면, 즉시 스텝 S2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203에서는, 헹굼 공정의 선택이 이루어져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선택되어 있으면, 스텝 S400으로 진행한다. 스텝 S400의 헹굼 공정의 내용은 별도 도6의 흐름도로 설명한다. 헹굼 공정 종료 후에는 스텝 S204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204에서 헹굼 공정의 선택이 이루어져 있지 않으면, 즉시 스텝 S204로 진행한다.
또한, 헹굼 공정은 복수회에 걸쳐도 좋다. 도4에서는, 헹굼 공정을 3회에 걸쳐서 실시하는 것으로 하여, 각 회의 스텝 번호에는「S400-1」「S400-2」「S400-3」으로 갈래 번호를 붙여 표기하고 있다. 헹굼 공정의 횟수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금속 이온과 마무리제를 각각 별도의 헹굼 공정에서 투입하는 경우에는, 최저 2회는 필요하다. 한편, 금속 이온과 다른 마무리제를 동시에 동일 헹굼 공정에서 투입해도 좋다. 이 경우, 헹굼 공정의 횟수는 한 번 이상이라면 좋은 것이 된다.
스텝 S204에서는, 탈수 공정의 선택이 이루어져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선택되어 있으면, 스텝 S500으로 진행한다. 스텝 S500의 탈수 공정의 내용은 별도 도7의 흐름도로 설명한다. 탈수 공정 종료 후에는 스텝 S205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204에서 탈수 공정의 선택이 이루어져 있지 않으면, 즉시 스텝 S205으로 진행한다.
스텝 S205에서는 제어부(690), 특히 그 속에 포함되는 연산 장치(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한 종료 처리가 순서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진행된다. 또한, 제어부(690)는 세탁 공정이 완료된 것을 종료음으로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모든 처리가 종료된 후, 횡드럼식 세탁기(601)는 다음 세탁 공정에 구비하여 대기 상태로 복귀된다.
여기서, 건조 공정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04의 다음, 건조 공정이 행해진다. 이 건조 공정에서는, 예를 들어 드럼(630) 내에 온풍을 공급하는 것으로 세탁물이 건조된다. 드럼(630)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온 다습의 공기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어 상기 공기 중의 습기가 물로 변환된다. 즉, 상기 건조 공정에서는 수냉 제습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냉각수에 의해 냉각된 물은 배수관(664)을 통해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3. 각 세탁 공정의 상세)
다음에, 상기 세탁 공정 중, 세탁 공정, 헹굼 공정, 탈수 공정의 각 개별 공정의 상세에 대해 도5 내지 도7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3-1. 세탁 공정)
우선, 세탁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5는 세탁 공정의 흐름도이다. 스텝 S301에서는 수위 센서(673)가 검지하고 있는 드럼(630) 내의 수위 데이터의 도입이 행해진다. 스텝 S302에서는 용량 센싱의 선택이 이루어져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용량 센싱의 선택이 선택되어 있으면, 스텝 S308로 진행된다. 스텝 S308에서는 드럼(630)의 회전 부하에 의해 세탁물의 양을 측정하는 용량 센싱을 행한다. 그리고, 용량 센싱 후에는 스텝 S303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302에서 용량 센싱이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즉시 스텝 S303으로 진행된다.
스텝 303에서는 메인 급수 밸브(50a)가 개방되어 메인 급수관(52a) 및 급수구(53)를 통해 드럼(630)으로 물이 주수된다[정확하게 말하면, 수조(620)로 물이 주수되고, 그 물이 탈수 구멍(633)을 통해 드럼(630)으로 침입하는 것임]. 급수구(53)의 세제실(54)로 들어간 세제도 물에 섞여 드럼(30)에 투입된다. 이 때, 배수 밸브(665)는 폐쇄되어 있다. 수위 센서(673)가 설정 수위를 검지하였다면, 메인 급수 밸브(50a)는 폐쇄된다. 그리고, 스텝 S304로 진행된다.
스텝 S304에서는 풀기 텀블링을 행한다. 이 풀기 텀블링에서는 드럼(630)이 저속으로 회전하여 세탁물을 물에서 꺼내고서는 다시 물 속으로 낙하시켜 세탁물에 물을 충분히 흡수시킨다. 또한, 세탁물의 곳곳에 들어가 있던 공기를 릴리프한다.
풀기 텀블링 후, 스텝 S306으로 이동한다. 스텝 S306에서는 드럼(630)이 세탁 텀블링의 패턴으로 회전하여 세탁물을 높게 들어 올리고는 낙하시킨다. 이 낙하시의 충격에 의해 세탁물의 섬유 사이에 물의 분류가 발생하여 세탁물이 빨아진다.
세탁 텀블링의 기간이 경과한 후, 스텝 S307로 진행된다. 스텝 S307에서는 드럼(630)이 완만하게 회전한다. 드럼(630)이 완만하게 회전한 경우, 세탁물은 높은 위치로 들어 올려지기 전에, 낮은 위치에서 드럼(630)으로부터 떨어져 낙하한다.
여기에서, 세탁물이 높은 위치에서 낙하한 경우에는, 세탁물은 드럼(630)의 내벽에 세게 내리쳐져 내벽에 찰싹 달라 붙는다. 그로 인해, 드럼(630)이 고속의 탈수 회전을 시작하였을 때, 언밸런스가 해소되기 어렵다.
이에 대해, 세탁물이 낮은 위치에서 드럼(630)의 내벽으로부터 떨어진 경우, 세탁물은 세게 내리쳐지는 것보다도 오히려 구르는 것 같이 느껴져, 세탁물끼리가 비교적 살짝 포개어진다. 이 상태라면, 드럼(630)이 고속의 탈수 회전을 시작하였을 때에 세탁물이 사방으로 분산되기 쉽다. 즉, 균형 잡기가 쉽다. 그로 인해, 드럼(630)을 완만하게 회전시켜 세탁물을 풀어 탈수 회전에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3-2. 헹굼 공정)
다음에, 도6의 흐름도를 기초로 하여 헹굼 공정의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에, 스텝 S500의 탈수 공정(여기서는 헹굼 공정 중의 탈수 공정이므로, 중간 탈수 공정이라 칭함)이 오지만, 이에 대해서는 도7의 흐름도로 설명한다. 스텝 S500에서의 중간 탈수 후에는 스텝 S401로 진행된다. 스텝 S401에서는 메인 급수 밸브(50a)가 개방되어 설정 수위까지 급수가 행해진다.
급수 후, 스텝 S402로 진행된다. 스텝 S402에서는 풀기 텀블링이 행해진다. 풀기 텀블링은 세탁 공정의 스텝 S304에서 행한 공정과 마찬가지이다.
풀기 텀블링 후에는 스텝 S405로 진행된다.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드럼(630)은 헹굼 텀블링의 패턴으로 회전한다. 드럼(630)은 회전에 의해 세탁물을 물에 잠기게 하고, 또한 상방으로 들어 올려서는 낙하시킨다. 이에 의해, 세탁물의 헹굼이 행해진다.
헹굼 텀블링의 기간이 경과한 후, 스텝 S406으로 이행한다. 스텝 S406에서는, 드럼(630)이 완만하게 회전하여 세탁물을 풀어 탈수 회전에 대비한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드럼(630) 속에 헹굼수를 저장해 두고 헹굼을 행하는「저장 헹굼」을 실행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항상 새로운 물을 보급하는 주수 헹굼, 혹은 세탁물에 물을 뿌리는 샤워 헹굼을 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3-3. 탈수 공정)
다음에, 도7의 흐름도를 기초로 하여 탈수 공정의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스텝 S501에서 배수 밸브(665)가 개방된다. 이에 의해, 드럼(630) 속의 세탁물 혹은 헹굼수는 배수 밸브(665)를 통해 배수된다. 배수 밸브(665)는 탈수 공정 중에는 개방된 상태이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세탁물로부터 대부분의 물이 빠진 후, 드럼(630)이 탈수 회전을 개시한다. 드럼(630)이 고속으로 회전하면, 세탁물은 원심력으로 인해 드럼(630)의 내주벽으로 밀어붙여진다. 이에 의해, 세탁물에 포함되어 있던 물도 드럼(630)의 내주벽면으로 모여 탈수 구멍(633)으로부터 방출된다. 탈수구멍(633)으로부터 떨어진 세탁수는 수조(620)의 내면으로 세게 내리쳐지고, 수조(620)의 내면을 타고 수조(620)의 바닥부로 흘러 내린다. 그리고 배수구(623), 배수관(660), 필터 케이싱(661), 배수관(664) 및 배수 밸브(665)를 통해 외부 상자(610)의 밖으로 배출된다.
도7의 시퀀스에서는, 스텝 S502와 스텝 S503에서 비교적 저속의 탈수 운전을 행한 후, 스텝 S504와 스텝 S505에서 고속의 탈수 운전을 행하는 조립으로 되어 있다. 스텝 S505 후에는 스텝 S506으로 이행된다. 스텝 S506에서는 모터(640)로의 통전을 끊는 동시에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일 없이 드럼(630)을 관성으로 회전시켜 자연 정지에 이르게 한다.
(4. 이온 용출 유닛의 구성)
다음에, 횡드럼식 세탁기(601)가 구비하는 이온 용출 유닛(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온 용출 유닛(100)(이온 용출 수단)은 메인 급수관(52a)의 도중, 즉 메인 급수 밸브(50a)와 세제실(5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 도8 및 도9를 기초로 하여 이온 용출 유닛(100)의 구조와 기능 및 횡드럼식 세탁기(601)에 탑재되어 발휘하는 역할에 대해 설명한다.
도8 및 도9는 이온 용출 유닛(100)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8은 그 수평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9는 그 수직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온 용출 유닛(100)은 합성 수지 등의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케이스(110)를 갖고 있다. 케이스(110)는 한 쪽 단부에 물의 유입구(111)를 갖고 있고, 다른 쪽 단부에 물의유출구(112)를 갖고 있다.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2매의 판형 전극(113, 114)이 서로 평행하는 형태로, 또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전극(113, 114)은 항균성을 갖는 금속 이온의 기초가 되는 금속, 즉 은, 구리, 아연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극(113, 114)에는 각각 일단부에 단자(115, 116)가 설치된다. 전극(113)과 단자(115), 전극(114)과 단자(116)는 각각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을 일체화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전극과 단자 사이의 접합부 및 케이스(110) 내의 단자 부분을 합성 수지로 코팅하여 물과의 접촉을 끊고, 전기 부식이 생기지 않도록 해 둔다. 단자(115, 116)는 케이스(110) 밖으로 돌출되어 제어부(690) 안의 구동 회로(120)(도10 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케이스(110)의 내부에 있어서는, 전극(113, 114)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물이 흐르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110) 속을 물이 흐르고 있는 상태에서 전극(113, 114)에 전압을 인가하면, 전극(113, 114)의 양극측으로부터 전극 구성 금속의 금속 이온이 용출된다. 전극(113, 114)은, 예를 들어 2 ㎝ × 5 ㎝, 두께 1 ㎜ 정도의 은 플레이트이고, 5 ㎜의 거리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전극(113, 114)을 구성하는 금속은 은, 구리, 아연 혹은 이들의 합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은 전극으로부터 용출되는 은 이온 및 아연 전극으로부터 용출되는 아연 이온은 살균 효과가 우수하고, 구리 전극으로부터 용출되는 구리 이온은 곰팡이 방지성이 우수하다. 한편, 이들 합금으로부터는 성분 금속의 이온을 동시에 용출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우수한 살균 효과 및 곰팡이 방지 효과를 얻을 수있다.
상기 이온 용출 유닛(100)의 구성에 의해, 후술하는 제어부(690)[구동 회로(120)]는 전극(113, 114)으로의 전압 인가의 유무에 의해 금속 이온의 용출/비용출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90)는 전극(113, 114)에 흐르게 하는 전류나 전압 인가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금속 이온의 용출량, 바꾸어 말하면, 금속 이온 첨가수에 있어서의 금속 이온의 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올라이트 등의 금속 이온 담지체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키는 방식에 비해, 금속 이온을 투입할지 여부의 선택이나, 금속 이온의 농도 조절을 모두 전기적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좋다. 또한, 제어부(690)는 급수 밸브(50)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이온 용출 유닛(100)에 공급되는 물의 단위 시간당의 양(급수 유량, 급수 속도)을 변화시킴으로써,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금속 이온 농도의 조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극(113, 114)으로부터의 단위 시간당의 금속 용출량은 대개 전류치에 비례한다. 따라서, 전극(113, 114)에 큰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금속 이온 첨가수에 있어서의 금속 이온 농도를 쉽게 고농도로 할 수 있다.
또한, 전극(113, 114)에 흐르게 하는 전류치가 일정하면, 단위 시간당의 금속 용출량이 일정하므로, 전류를 흐르게 하는(전압 인가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보다 많은 양의 금속을 용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급수 경로 중에 이온 용출 유닛(100)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소정의 수량과 소정 농도로부터 계산되는 소정질량의 금속이 용출될 때까지 급수를 하면서 금속의 용출을 행하고, 소정 질량의 금속이 용출되면 금속의 용출을 멈추어 소정 수량에 도달할 때까지 급수를 계속한다.
이와 같이, 금속의 용출을 행하는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금속의 용출량을 증가시켜 금속 농도를 높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전극(113, 114)에 전류를 흐르게 하는 시간은 세탁기(601)가 드럼(630)으로의 급수에 필요한 시간을 상회할 수 없으므로, 적절한 급수 유량(급수 속도)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전류치가 29 ㎃인 경우, 급수 속도가 19 L/분에서는 금속 이온 농도를 최대 95 ppb로 할 수 없지만, 급수 속도를 10 L/분으로 함으로써 금속 이온 농도를 최대 180 ppb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급수량은 각 가정에 따라 다르지만, 최대 급수량은 급수 밸브의 선택으로 제어 가능하고, 그보다 낮은 유량에서는 급수에 필요한 시간이 그보다 길어져 보다 농도를 올리기 쉬워지므로 문제는 없다.
(5. 이온 용출 유닛의 구동 회로의 구성)
다음에, 이온 용출 유닛(100)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120)에 대해 설명한다.
도10은 구동 회로(12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상용 전원(121)에 트랜스(122)가 접속되어 있고, 이 트랜스(122)가 100 V를 소정의 전압으로 강압한다. 트랜스(122)의 출력 전압은 전파 정류 회로(123)에 의해 정류된 후, 정전압 회로(124)에서 정전압이 된다. 정전압 회로(124)에는 정전류 회로(125)가 접속되어 있다. 정전류 회로(125)는 후술하는 전극 구동 회로(150)에대해, 전극 구동 회로(150) 내의 저항치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도록 동작한다.
상용 전원(121)에는 트랜스(122)와 병렬로 정류 다이오드(126)가 접속되어 있다. 정류 다이오드(126)의 출력 전압은 콘덴서(127)에 의해 평활화된 후, 정전압 회로(128)에 의해 정전압이 되어 마이크로 컴퓨터(130)에 공급된다. 마이크로 컴퓨터(130)는 트랜스(122)의 일차측 코일의 일단부과 상용 전원(121) 사이에 접속된 트라이악(129)을 기동 제어한다.
전극 구동 회로(150)는 NPN형 트랜지스터(Q1 내지 Q4), 다이오드(D1 및 D2), 저항(R1 내지 R7)을 도면과 같이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트랜지스터(Q1)와 다이오드(D1)는 포토커플러(151)를 구성하고, 트랜지스터(Q2)와 다이오드(D2)는 포토커플러(152)를 구성하고 있다. 즉, 다이오드(D1, D2)는 포토다이오드이고, 트랜지스터(Q1, Q2)는 포토트랜지스터이다.
지금, 마이크로 컴퓨터(130)로부터 라인(L1)에 하이 레벨의 전압, 라인(L2)에 로우 레벨의 전압 또는 오프(OFF)(제로 전압)가 부여되면, 다이오드(D2)가 온(온)이 되고, 그에 따라 트랜지스터(Q2)도 온이 된다. 트랜지스터(Q2)가 온이 되면, 저항(R3, R4, R7)에 전류가 흘러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바이어스가 걸려 트랜지스터(Q3)는 온이 된다.
한편, 다이오드(D1)는 오프이므로, 트랜지스터(Q1)는 오프, 트랜지스터(Q4)도 오프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양극측의 전극(113)으로부터 음극측의 전극(114)을 향해 전류가 흐른다. 이에 의해, 이온 용출 유닛(100)에서는 양이온의 금속 이온과 음이온이 발생한다.
이온 용출 유닛(100)에 장시간 일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면, 도10에서 양극측이 되어 있는 전극(113)이 마모 감쇄되는 동시에, 음극측이 되어 있는 전극(114)에는 수중의 칼슘 등의 불순물이 스케일로서 고정 부착된다. 또한, 전극의 성분 금속의 염화물 및 황화물이 전극 표면에 발생한다. 이것은 이온 용출 유닛(100)의 성능 저하를 초래하므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의 극성을 반전하여 전극 구동 회로(150)를 운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극의 극성을 반전하는 데 있어서는, 라인(L1, L2)의 전압을 역으로 하여 전극(113, 114)을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마이크로 컴퓨터(130)가 제어를 절환한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Q1, Q4)가 온, 트랜지스터(Q2, Q3)가 오프가 된다. 마이크로 컴퓨터(130)는 카운터 기능을 갖고 있어, 소정 카운트수에 도달할 때마다 상술한 절환을 행한다.
전극 구동 회로(150) 내의 저항의 변화, 특히 전극(113, 114)의 저항 변화에 의해 전극 사이를 흐르는 전류치가 감소되는 등의 사태가 생긴 경우에는, 정전류 회로(125)가 그 출력 전압을 올려 전류의 감소를 방지한다. 그러나, 누적 사용 시간이 길어지면, 이온 용출 유닛(100)의 수명이 다한다. 이 경우, 전극의 극성 반전이나, 특정 극성인 시간을 평시보다도 길게 하여 전극에 부착한 불순물을 강제적으로 제거하는 전극 세정 모드로의 절환이나, 정전류 회로(125)의 출력 전압 상승을 실시해도 전류 감소를 방지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본 회로에서는 이온 용출 유닛(100)의 전극(113, 114) 사이를 흐르는 전류를 저항(R7)에 생기는 전압에 의해 감시하여, 그 전류가 소정의 최소 전류치에 이르면, 그것을 전류 검지 수단이 검지하도록 하고 있다. 전류 검지 회로(160)가 그 전류 검지 수단이다. 최소 전류치를 검지하였다고 하는 정보는 포토커플러(163)를 구성하는 포토다이오드(D3)로부터 포토트랜지스터(Q5)를 거쳐서 마이크로 컴퓨터(130)에 전달된다. 마이크로 컴퓨터(130)는 라인(L3)을 거쳐서 통지 수단을 구동하여 소정의 경고 통지를 행하게 한다. 경고 통지 수단(131)이 그 통지 수단이다. 경고 통지 수단(131)은 조작 패널(616) 또는 제어부(690)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극 구동 회로(150) 내에서의 쇼트 등의 사고에 대해서는 전류가 소정의 최대 전류치 이상이 된 것을 검출하는 전류 검지 수단이 준비되어 있고, 이 전류 검지 수단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마이크로 컴퓨터(130)는 경고 통지 수단(131)을 구동한다. 전류 검지 회로(161)가 그 전류 검지 수단이다. 또한, 정전류 회로(125)의 출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최소치 이하가 되면, 전압 검지 회로(162)가 이를 검지하여 마찬가지로 마이크로 컴퓨터(130)가 경고 통지 수단(131)을 구동한다.
(6. 금속 이온의 용출, 투입 공정)
다음에, 이온 용출 유닛(100)이 생성된 금속 이온의 용출 및 투입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11은 금속 이온의 용출과 투입의 시퀀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11의 시퀀스는 도6의 헹굼 공정의 플로우 중, 예를 들어 스텝 S401(급수)의 단계에서 수행된다. 즉, 헹굼이 시작되면, 스텝 S411에서 조작 패널(616)에 있어서의 선택 동작에서「금속 이온의 투입」이 선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이 확인 스텝은 훨씬 전방에 두어도 좋다. 스텝 S411에서「금속 이온의 투입」이 선택되어 있으면 스텝 S412로 진행되고,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후술하는 스텝 S412'로 진행된다.
스텝 S412에서는, 메인 급수 밸브(50a)가 개방되어 이온 용출 유닛(100)에 소정 유량의 물을 흐르게 한다. 동시에, 제어부(690)의 구동 회로(120)가 전극(113, 114)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극 구성 금속의 이온을 수중에 용출시킨다. 이 때, 전극 사이를 흐르는 전류는 직류이다. 금속 이온 첨가수는 급수구(53)로부터 드럼(630)으로 투입된다.
제어부(690)는 소정량의 금속 이온 첨가수를 투입하여 헹굼수의 금속 이온 농도가 소정치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곳에서, 전극(113, 114)으로의 전압 인가를 정지한다.
여기서, 금속 이온 첨가수의 투입시에는 마무리제의 투입도 행해진다. 마무리제는 서브 급수 밸브(50b)를 개방하고, 급수구(53)의 마무리제실(55)에 물을 흐르게 함으로써 투입된다. 마무리제실(55)에 마무리제가 들어가 있으면, 그 마무리제는 사이폰부(57)로부터 물과 함께 세탁조(30)에 투입된다. 마무리제실(55) 속의 수위가 소정 높이에 도달하여 비로소 사이폰 효과가 생기므로, 시기가 되어 물이 마무리제실(55)에 주입될 때까지 액체의 마무리제를 마무리제실(55)에 유지해 둘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무리제의 투입의 선택은 행하지 않고, 항상 마무리제를 투입하는 것을 전제로 한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사용자가 마무리제를 투입하고 싶지 않은 경우에는, 마무리제실(55)에 마무리제를 셋트하지 않으면 된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메인 급수 밸브(50a)와 서브 급수 밸브(50b)는 동시에는 개방하지 않는 사양으로 하였다. 이는, 동시에 개방하면 총급수량이 커져, 세제 투입 박스로부터 물이 넘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690)는 처음에 5초간 서브 급수 밸브(50b)만을 개방하고, 10초간 메인 급수 밸브(50a)만을 개방한다는 동작을 4회 반복하고, 그 후 20초간 서브 급수 밸브(50b)만을 개방하고, 그 후 소정 수위를 검지할 때까지 메인 급수 밸브(50a)만을 개방한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함으로써 세제 투입 박스로부터 물이 넘치는 일도 없고, 마무리제도 안정적으로 투입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690)는 이온 용출 유닛(100)의 전극(113, 114)으로의 전압 인가를 메인 급수 밸브(50a)를 개방하고 있을 때에만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메인 급수 밸브(50a)로부터의 급수 경로 중에 이온 용출 유닛(100)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메인 급수 밸브(50a)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는 이온 용출 유닛(100) 속에 물이 거의 존재하지 않고, 그 상태에서 전압을 인가하면, 전류가 어느 정도 흐르는지 알 수 없어, 금속 이온의 용출량이 불명확해져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온 용출 유닛(100)의 제어부(690)의 구동 회로(120)의 전원과, 메인 급수 밸브(50a)의 전자 밸브의 전원을 동일 전원으로부터 도중에 분기하는 형태로 병렬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 전원을 따로따로 설치함으로써 각 전원의 온/오프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메인 급수 밸브(50a)가 개방되어 있을 때 외에는, 보다 확실하게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의 전압 인가가 행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690)는 전극(113, 114)의 극성이 20초 간격으로 반전하도록 상기 각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도면에서는 한 쪽의 전극이 양극이 되는 경우를 +로, 음극이 되는 경우를 -로 표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극 극성의 반전 제어를 행하는 이유는 이하와 같다.
① 양극으로부터는 금속 이온이 용출되므로, 한 쪽의 전극이 계속 양극이 되면, 그 전극만이 마모 감쇄되어 버린다.
② 음극에는 칼슘 등으로 이루어지는 스케일이 부착되기 쉽다. 이 스케일은 스케일이 부착된 전극을 양극으로 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지만, 한쪽의 전극이 계속 음극으로 되어 있으면 스케일의 부착량이 많아져 양극으로도 제거하기 어려워진다.
이들의 문제점을 회피하기 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의 극성을 주기적으로 반전시키는 제어를 행하고 있다.
한편, 스텝 S412'에서는 금속 이온의 첨가는 행하지 않는다. 즉, 제어부(690)가 메인 급수 밸브(50a)를 개방하여 이온 용출 유닛(100)에 소정 유량의 물을 흐르게 하는 점은 동일하지만, 이온 용출 유닛(100) 속의 전극(113, 114)으로의 전압 인가는 행하지 않는다. 그 이외의 점에서는, 스텝 S412와 동일하다.
(7. 언밸런스 수정에 대해)
다음에, 탈수 공정시에 있어서의 언밸런스 수정에 대해 설명한다.
수직형의 세탁기에서는, 세탁조의 회전축이 수직 방향에 따라 있으므로, 세탁물에 작용하는 중력은 회전축으로 평행한 방향이 된다. 이 경우, 세탁조 내에서의 치우침이 생기기 어렵고, 세탁물의 무게 중심이 회전축 상이 되기 쉽다. 따라서, 언밸런스도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언밸런스라 함은, 세탁물이 세탁조 내에서 치우쳐 배치됨으로써 탈수 개시시에 쉽게 회전 밸런스이 무너져, 그에 계속되는 탈수 공정에서 세탁조나 세탁기 본체가 크게 진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또한, 수직형의 세탁기에서는, 세탁조의 무게 중심이 수직 방향인 회전축 상에 있고, 그 회전축은 모터의 바로 위에 있다. 그로 인해, 세탁조의 하중을 모터부에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횡형의 세탁기(601)에서는 회전축이 수직 방향에 없으므로, 세탁물에 작용하는 중력이 회전축의 방향과는 다르다. 즉, 드럼(630)의 정지시에는 세탁물이 드럼(630)의 하부에 저장되지만, 그 상태에서는 세탁물의 무게 중심은 회전축 상에는 없다. 드럼(630)이 회전하여 세탁물에 원심력이 작용하면, 세탁물은 드럼(630)의 주위 방향으로 압박되지만, 그것이 균일해지지 않으면, 언밸런스가 된다. 따라서, 회전축이 수직 방향이 아닌 횡형의 세탁기(601)에서는 그 구조상 언밸런스 발생 빈도가 매우 높다.
그래서, 이와 같은 언밸런스를 수정하는 것이 필요해지지만, 이 수정 방법으로서는 드럼(630) 내에 물을 넣어 교반하여 세탁물의 배치를 조금 바꾸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드럼(630) 내에 물을 넣는 것만으로는 탈수 공정의 전공정에서 세탁물에 부착시킨 금속(은)을 잃게 되므로, 애써 행한 항균 처리의 효과를 유지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의 구성에 의해 밸런스 수정을 행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세탁기(601)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지 수단(701)과, 언밸런스 수정 수단(702)을 갖고 있다.
검지 수단(701)은 드럼(630)의 회전시의 언밸런스를 검지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터치 센서, 쇼크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이 물리적인 검지 수단이나, 모터의 전압/전류 패턴을 해석하는 등의 소프트웨어적인 검지 수단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언밸런스 수정 수단(702)은 드럼(630)으로의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 후에 실행되는 드럼(630)의 탈수 회전시에 검지 수단(701)이 언밸런스를 검지한 경우에,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의 비공급시에 있어서의 언밸런스 검지시와는 다른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언밸런스를 수정한다. 이 언밸런스 수정 수단(702)은, 예를 들어 제어부(690)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 밖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다른 처리와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를 드럼(630)에 공급하여 교반을 행하는 밸런스 수정 헹굼으로 하고 있다.
탈수 공정에 있어서, 검지 수단(701)이 언밸런스를 검지한 경우, 언밸런스 검지가 1회째인 경우에는 언밸런스 수정 수단(702)은 밸런스 수정으로서 드럼(630)으로의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급수는 행하지 않고, 텀블링을 행하여 세탁물을 풀어다시 탈수에 착수한다. 그리고, 한 번 밸런스 수정을 한 후의 탈수에서 검지 수단(701)이 다시 언밸런스를 검지하고, 다시 밸런스 수정이 필요해진 경우에는, 언밸런스 수정 수단(702)은 드럼(630)에 금속 이온 첨가수를 공급하면서 텀블링을 행하여 세탁물을 푼다.
여기서, 앞의 헹굼 공정에서 드럼(630)에 금속 이온 첨가수를 공급하여 세탁물에 대해 항균 처리를 행하고 있던 경우에는, 드럼(630)으로의 급수에 의해 세탁물에 부착되어 있는 일부의 금속 이온을 잃을 수 있어 항균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급수를 행하지 않음으로써 세탁물의 항균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보다도, 급수를 행함으로써 세탁물을 푸는 효과의 쪽이 커, 밸런스 수정 효과가 크다.
그래서, 언밸런스 수정 수단(702)은 밸런스 수정시의 급수에도 금속 이온 첨가수를 사용하고, 이 금속 이온 첨가수를 드럼(630)에 공급함으로써 세탁물의 항균성의 저하를 방지하고 있다.
또한, 탈수를 행할 때까지 금속 이온의 투입이 선택되어 있지 않아 헹굼시에 항균 처리를 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언밸런스 수정 수단(702)은 밸런스 수정시에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은 행하지 않아, 통상의 수돗물을 드럼(630)에 공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언밸런스 수정 수단(702)은 항균 처리 후에 있어서의 드럼(630)의 탈수 회전시의 언밸런스 수정을 행할 때에 금속 이온 첨가수를 드럼(630)에 공급하여 교반을 행하는 밸런스 수정 헹굼을 행하고 있다. 금속 이온 첨가수의 비공급시에 언밸런스를 검지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수돗물을 공급하여 언밸런스 수정을 행하지만, 항균 처리를 이미 행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밸런스 수정 헹굼이라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비공급시와는 다른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앞의 항균 처리에서 세탁물에 부여된 금속 이온이 씻겨져 버렸다고 해도, 다음의 언밸런스 수정에서의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에 의해 그 씻겨져 버린 만큼을 확실하게 보충할 수 있다. 따라서, 앞의 항균 처리에서 세탁물에 부여된 항균 효과를 잃는 일 없이, 언밸런스 수정을 행할 수 있다. 즉, 세탁물에 대한 항균 처리의 실효성을 담보하면서 언밸런스 수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앞의 헹굼 공정에서 이미 금속 이온에 의한 항균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언밸런스 수정 수단(702)은 밸런스 수정 헹굼에 있어서 드럼(630)으로의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량을 그 이전의 공정(헹굼 공정)에서의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량보다도 적게 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제어를 행해도, 탈수시의 급수에 잃게 되는 금속 이온을 밸런스 수정 헹굼에서의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에 의해 충분히 보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앞의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 공정(헹굼 공정)에서 세탁물에 있어서의 항균 효과를 발휘시키는 데 필요한 양의 금속 이온은 이미 다 공급되었으므로, 다음의 밸런스 수정 헹굼에서 씻겨져 버리는 만큼을 고려했다고 해도 항균 효과를 발휘시키는 데 필요한 양의 금속 이온을 일일이 공급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밸런스 수정 헹굼에서 세탁물의 항균 처리에 제공되지 않고 그대로 씻겨져 버려, 불필요한 금속 이온이 출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같은 이유로부터, 앞의 헹굼 공정에서 이미 금속 이온에 의한 항균 처리가 실시되고 있는 경우에는, 언밸런스 수정 수단(702)은 밸런스 수정 헹굼에 있어서 드럼(630)에 공급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를 그 이전의 공정(헹굼 공정)에서 공급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보다도 적게 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밸런스 수정은 수직형의 세탁기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량의 조정은 언밸런스 수정 수단(702)이 급수 밸브(50)의 개폐를 조정함으로써 가능하다.
(8. 은 이온 농도의 설정)
다음에, 이온 용출 유닛(100)에 의해 생성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은 이온 농도의 설정에 대해 설명한다.
횡드럼식 세탁기(601)에서는 수직형의 세탁기보다도 세탁시에 있어서의 물의 사용량이 적으므로, 은 이온 농도를 수직형 세탁기와 동등하다고 한 것에서는 수직형 세탁기의 경우보다도 항균 처리에 제공되는 은 이온량이 적어, 세탁물로의 항균 처리를 실효있는 것으로 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횡드럼식 세탁기(601)에서의 항균 처리에 제공되는 금속 이온 첨가수(제1 금속 이온 첨가수)의 은 이온 농도와, 그 때의 세탁물에 있어서의 항균 효과와의 관계를 조사하여 횡드럼식 세탁기(601)에서 항균 효과를 얻는 데 필요한 은 이온 농도를 조사하였다.
여기서, 항균 효과의 평가에 대해서는 JIS(일본 공업 규격) L1902 : 2002를기초로 하는 정량 시험법(균액 흡수법)에 의해 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탁시에 통상 헹굼을 실시한 직물(A1)과, 항균 처리(은 이온 코트)를 실시한 직물(A2) 각각에 균액(황색 포도구균)을 접종하여 37 ℃의 온도에서 18시간 보존한 후, 각각의 균수를 측정하고, 이들의 log 증감치 차를 정균 활성치로 하여, 이 정균 활성치를 기초로 하여 항균 효과의 평가를 행하였다. 세탁은 직물 부하 7 ㎏, 헹굼시 수량 30 L로 행하였다. 예를 들어, 18시간 후의 균수가 직물 A1에서 1.9 × 107개/㎖이고, 직물 A2에서 2.4 × 106개/㎖이면, 정균 활성치는 log(1.9 × 1O7) - log(2.4 × 1O6) = O.9가 된다. 표 1은 이 때의 은 이온 농도와 정균 활성치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은 이온 농도(ppb) 0 90 120
정균 활성치 0.1 1.1 2.5
표 1의 결과로부터, 은 이온 농도가 단조 증가함에 따라서 정균 활성치도 단조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정균 활성치가 2 이상이면, 항균 효과가 있다고 인정되고 있다. 따라서, 표 1로부터는, 은 이온 농도가 120 ppb 이상이면, 정균 활성치도 2.5 이상이므로, 항균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은 이온 농도와 정균 활성치와의 관계를 더 조사하기 위해, 표 1의 결과로부터 은 이온 농도와 정균 활성치와의 관계의 그래프화를 시도하였다. 도14는 표 1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은 이온 농도와 정균 활성치와의 관계를 그래프화한것이다.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은 이온 농도를 횡축(x축)에, 정균 활성치를 종축(y축)에 취하였을 때, 표 1의 은 이온 농도와 정균 활성치를 양 좌표에 갖는 3점을 순조롭게 잇는 곡선은 단조 증가의 함수인, y = 0.0998 exp(0.0268x)로 근사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함수로부터 정균 활성치가 2가 되는 은 이온 농도, 즉, y = 2가 될 때의 x의 값을 구하면, x = 112이다.
따라서, 정균 활성치가 2 이상이면 항균 효과가 있다고 인정되고 있으므로, 도14로부터 은 이온 농도가 112 ppb 이상이면 항균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검지 수단(701)이 탈수시의 언밸런스를 검지하여 언밸런스 수정 수단(702)에 의한 밸런스 수정이 행해진 경우의 시험도 실시하였다. 밸런스 수정시의 급수량을 12.4 L, 농도를 48 ppb로 하였지만, 정균 활성치는 2 이상으로 유지되고 있어, 항균성은 유지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동일 구성의 세탁기(601)에서 은 이온 농도 120 ppb, 직물 부하 7 ㎏, 헹굼시 수량 30 L로 하여 지프테로이드에 대한 항균 성능의 평가도 행하였다. 평가 방법으로서는, JIS(일본 공업 규격) L1902 : 2002를 기초로 하는 정량 시험법(균액 흡수법)을 참고로, 지프테로이드의 일종인 콜리네박테리움크로시스세로시스에 균 종류를 변경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항균 처리(은 이온 코트)를 실시한 직물과 JlSL1902의 균액 흡수법으로 정해진 제어 직물과의 18시간 후의 균수의 차의 로그치는 2.1이었다.
JISL1902의 균액 흡수법에서는, 지프테로이드와는 다른 균종(황색 포도구균)이지만, 균수의 차의 로그치가 2.0 이상으로 항균성이 있다고 하고 있다. 또한, JISZ2801이나 전국 가정 전기 제품 공정 거래 협의회의「균 등의 억제에 관한 용어사용 기준」등의 항균 성능이나 제균 성능을 측정하는 시험에 있어서도, 균수의 차의 로그치가 2.0 이상이라고 하는 것이 항균력, 제균력을 평가하는 하나의 표준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시험 결과로부터 상기 조건 하에서는 지프테로이드에 대한 항균력도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은 이온 농도가 900 ppb를 초과하는 물(금속 이온 첨가수)로 세탁물의 헹굼을 반복한 결과, 헹굼 횟수 3회시에는 세탁물에 외견상 변화는 인정할 수 없었지만, 헹굼 횟수가 5회가 되면 햇볕 건조 후의 반사율이 헹굼 전에 비해 3 % 저하되었다. 이는 은 화합물에 유래하는 흑색의 변색물이 세탁물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백색의 세탁물에서는, 그와 같은 흑화물의 부착은 눈에 띄기 쉽고, 또한 백색이 아닌 세탁물이라도 세탁을 반복해 가면, 흑화물이 눈에 띄게 될 가능성도 있다. 이로 인해, 은 이온 농도의 상한은 900 ppb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횡드럼식 세탁기(601)에 있어서,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용출되는 금속 이온(은 이온)이 첨가된 금속 이온 첨가수에 있어서의 은 이온 농도는 112 ppb 이상 900 ppb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 ppb 이상 900 ppb 이하라면 더욱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횡드럼식 세탁기(601)는 전극(113, 114)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켜 물에 첨가하는 이온 용출 유닛(100)과, 회전축이 수직 방향에 대해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630)을 구비한 세탁기이며, 상기 금속 이온은 은 이온으로, 금속 이온 첨가수(제1 금속 이온 첨가수)에 있어서의 은 이온 농도가 112 ppb 이상인 구성이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수직형의 세탁기에서의 세탁물의 항균 처리에 제공되는 제2 금속 이온 첨가수(은 이온 농도 ; 3 내지 50 ppb)에 비해 동일 수량으로 포함되는 은 이온량이 많으므로, 원래 물의 사용량이 적은 횡드럼식 세탁기(601)에서도 세탁물에 대한 항균 효과를 발휘하는 데 필요한 은 이온량(정균 활성치가 2 이상이 되는 은 이온량)을 최저한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횡드럼식 세탁기(601)에 있어서도, 수직형 세탁기에서의 항균 처리에서 얻을 수 있는 항균 효과와 동등 혹은 그 이상의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세탁물에 대한 항균 처리를 확실히 행하여 항균 효과를 확실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특히, 제1 금속 이온 첨가수에 있어서의 은 이온 농도가 120 ppb 이상이면, 은 이온 농도 112 ppb일 때 보다도 더욱 많은 양의 은 이온을 물에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금속 이온 첨가수의 양이 은 이온 농도 112 ppb일 때와 같은 양인 경우에는, 그와 같은 은 이온 농도(112 ppb)의 제1 금속 이온 첨가수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은 이온에 의한 항균 효과를 더욱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금속 이온 첨가수의 양이 은 이온 농도가 112 ppb일 때 보다도 적은 경우라도 그와 동등한 은 이온량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항균 효과를 얻으면서 또한 물의 양을 줄일 수 있어 절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횡드럼식 세탁기(601)에서는 제1 금속 이온 첨가수에있어서의 은 이온 농도가 900 ppb 이하인 구성이다. 이에 의해, 은 이온량의 과다에 의해 은 화합물(흑화물)이 발생하여 세탁물에 부착되어 세탁물이 더러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금속 이온의 농도 제어를 행함으로써, 수량 변화가 있어도 항균 처리에 필요한 금속 이온량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 형태의 횡드럼식 세탁기(601)는 이하와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횡드럼식 세탁기(601)는 세탁물이 수용되는 수용조[드럼(630)]와, 전극(113, 114)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켜 물에 첨가하여 금속 이온 첨가수를 상기 수용조에 공급하는 이온 용출 유닛(100)을 구비한 세탁기이며,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드럼(630)에 공급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수량에 따라서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를 변화시키는 제어부(690)(제어 수단)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세탁물의 양이 일정한 경우, 드럼(630)에 공급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수량을 적게 하면, 제어부(690)가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를 예를 들어 112 ppb 이상으로 증대시킨다. 이와 같은 농도 제어에 의해,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량이 적은 경우라도 상기 세탁물에 대한 항균 효과를 발휘하는 데 필요한 금속 이온량을 확보할 수 있어, 세탁물에 대한 항균 처리를 확실히 행하여 항균 효과를 확실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역으로 드럼(630)에 공급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수량을 많게 하면, 제어부(690)가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를, 예를 들어 112 ppb 이상이 되는 범위에서 감소시킨다. 금속 이온 농도가 일정한 경우, 금속 이온 첨가수의 수량이 증대되면, 이에 수반하여 또한 그에 포함되는 금속 이온량도 증대하지만, 지나치게 증대하면 여분의 금속 이온은 세탁물의 항균 처리에 제공되지 않고, 배수로서 그대로 흐르게 되어 불필요해진다. 또한, 세탁물에 부착되는 금속도 증대하여, 세탁물이 더러워지는 사태도 생긴다. 따라서, 상기한 농도 제어에 의해 이와 같은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90)는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드럼(630)에 공급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공급 수위에 따라서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를 변화시키는 구성이라도 좋고, 이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드럼(630)에 공급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수량이 변화되면, 욕비도 변화된다. 여기서, 욕비라 함은, 세탁물의 양(㎏)과, 상기 드럼(630)에 공급되는 물의 수량(L)과의 비(L/㎏)를 나타내는 것, 환언하면, 세탁물 1 ㎏당 사용 수량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690)는 욕비에 따라서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를 변화시키는 구성이라도 좋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90)는 욕비가 작아지면, 상기 금속 이온 농도를 예를 들어 112 ppb 이상으로 증대시키는 한편, 욕비가 커지면 상기 금속 이온 농도를, 예를 들어 정균 활성치가 2 이상이 되는 범위에서 감소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드럼(630)에 투입된 세탁물의 양(총 중량, 부하량)은 도시하지 않은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부(690)는 상기 검지 수단에서 검지된 세탁물의 양과, 조작 패널(616)에서 설정되는 사용 수량을 기초로 하여 욕비를 연산하고, 이 욕비에 따라서 금속 이온 농도를 변화시키게 된다.
이 구성이라도, 욕비의 변화에 관계없이 세탁물의 양에 따라서 필요한 금속 이온량을 항상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용조에 공급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수량 변화가 있어 욕비가 변화된 경우라도 소정량의 세탁물에 대한 항균 처리를 확실하게 행하여 항균 효과를 확실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아울러, 필요 이상의 금속 이온이 세탁물의 항균 처리에 제공되지 않고, 배수로서 그대로 흐르게 되어 불필요해지거나, 세탁물에 부착되는 금속의 증대에 의해 세탁물이 더러워지거나 하는 것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직물 부하 7 ㎏, 헹굼시 수량 30 L의 조건, 즉 세탁물의 직물 부하 7 ㎏에서 욕비 4.3 L/㎏의 조건으로 다양한 실험을 행한 결과를 나타냈지만, 이 결과로부터 세탁물의 직물 부하 7 ㎏에서 욕비 4.3 L/㎏ 이하로 세탁이나 헹굼 등을 행하는 세탁기에서는 금속 이온 농도를 112 ppb 이상(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ppb 이상)으로 함으로써 금속 이온을 첨가한 세탁물에 있어서의 정균 활성치를 2 이상으로 할 수 있어, 양호한 항균 효과를 세탁물에 부여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욕비 5 L/㎏(세탁물의 직물 부하 7 ㎏) 이하에서 세탁을 행하는 세탁기에서는 세탁물의 정균 활성치는 2 이상 혹은 그에 가까운 값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고, 양호한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즉, 세탁물에 사용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욕비가 5 L/㎏(세탁물의 직물 부하 7 ㎏) 이하인 경우에는 제어부(690)가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되는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를 112 ppb 이상[바람직하게는 욕비 4.3 L/㎏(세탁물의 직물 부하 7 ㎏) 이하이면 금속 이온 농도 120 ppb 이상]이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세탁물에 항균 효과를 확실하게 부여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불필요한 양의 금속 이온을 소비하는 일 없이, 충분한 정균 활성치를 얻을 수 있는 금속 이온을 세탁물에 첨가할 수 있다.
환언하면, 저욕비로 동작하는 세탁기에 있어서의 필요 최저량의 금속 이온 농도를 설정함으로써, 본래 흡수성이 높은 것이나 낮은 것이 혼재하는 세탁물에 대해 낮은 금속 이온 농도이면 충분한 항균 효과를 부여할 수 없고, 또한 지나칠 정도로 높은 금속 이온 농도에서는 불필요한 금속 이온을 소비하게 된다고 하는 세탁기 특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효율적인 금속 이온에 의한 항균 효과를 세탁물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금속 이온 농도의 제어를 제어부(690)에 의해 행하고 있지만, 금속 이온 농도를 112 ppb 이상(바람직하게는 120 ppb 이상) 900 ppb 이하가 되는 범위 내에서 금속 이온 농도를 미리 설정해 두는 구성으로 해도 물론 상관없다.
또한, 유효한 정균 활성치(예를 들어 2 이상)를 얻는 데 적합한 일정량의 세탁물(예를 들어 7 ㎏)에 사용하는 일정 농도 또한 일정 수량의 금속 이온 첨가수(예를 들어 90 ppb에서 42 L)를 금속 이온을 첨가하는 경우의 기준 욕비(6 L/㎏)로 하고, 상기 금속 이온 농도(90 ppb)를 기준 욕비에 있어서 항균 효과가 발휘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는 정균 활성치를 얻을 수 있는 경우의 농도(기준 농도)로 하면, 본 발명에서는 이하의 제어를 행해도 좋다.
즉, 제어부(690)는 금속 이온 농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농도가 되도록, 이온 용출 유닛(100)에 의한 금속 이온의 용출량을 제어할 때, 세탁, 헹굼, 탈수, 건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공정에 있어서 사용하는 사용 수량의 욕비가 이와 동일한 양(총중량, 부하량)의 세탁물에 있어서의 기준 욕비에 대해 작아진 경우에는, 상기 금속 이온 농도를 기준 농도보다도 높게 하고, 상기 공정에 있어서의 욕비가 이와 동일량의 세탁물에 있어서의 기준 욕비에 대해 커진 경우에는, 상기 금속 이온 농도를 상기 일정한 기준 농도로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기준 농도보다도 낮게 하는 제어를 행해도 좋다.
이와 같은 금속 이온 농도 제어에 의해 어떻게 욕비가 변화해도, 이용하는 세탁물의 양에 따라서 결정되는 항균 효과를 발휘하는 데 필요한 금속 이온량(예를 들어 정균 활성치 2 이상이 되는 금속 이온량)을 거의 과부족 없이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욕비가 변화해도 사용하는 금속 이온의 낭비를 줄이면서, 이용하는 세탁물에 대해 항균 효과를 확실하게 부여할 수 있어, 욕비의 변화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 형태의 세탁기(1)는 급수 수량, 급수 수위, 욕비가 어떻게 변화해도 금속 이온을 첨가한 세탁물의 정균 활성치가 2 이상이 되도록, 제어부(690)가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를 변화시키는 제어를 행하면 좋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점으로부터, 횡드럼식 세탁기(601)는 전극(113, 114)으로부터금속 이온을 용출시켜 물에 첨가하는 이온 용출 유닛(100)과, 회전축이 수직 방향에 대해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630)을 구비한 세탁기이며, 상기 금속 이온은 은 이온으로, 상기 드럼(630) 내의 세탁물의 항균 처리에 제공되는 제1 금속 이온 첨가수에 포함되는 은 이온량이 회전축이 수직 방향이 되도록 세탁조가 배치되는 수직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의 항균 처리에 필요한 양의 제2 금속 이온 첨가수에 포함되는 은 이온량 이상이 되도록, 상기 제1 금속 이온 첨가수에 있어서의 은 이온 농도가 설정되어 있는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횡드럼식 세탁기(601)는 전극(113, 114)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켜 물에 첨가하는 이온 용출 유닛(100)과, 회전축이 수직 방향에 대해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630)을 구비한 세탁기이며, 상기 금속 이온은 은 이온이고, 상기 드럼(630) 내의 세탁물의 항균 처리에 제공되는 제1 금속 이온 첨가수의 은 이온 농도가 회전축이 수직 방향이 되도록 세탁조가 배치되는 수직형 세탁기에서의 세탁물의 항균 처리에 필요한 제2 금속 이온 첨가수의 양보다도 적은 수량으로, 상기 제2 금속 이온 첨가수에 의한 항균 효과와 동등한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농도로 설정되어 있는 구성이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금속 이온으로서, 주로 은 이온을 사용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수량이나 욕비에 따라서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를 변화시키는 본 발명의 구성은 금속 이온으로서, 구리 이온이나 아연 이온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물론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그 경우라도 금속 이온의 농도 변화의 적정한 범위는 대개 112 ppb 이상 900 ppb 이하, 바람직하게는 120 ppb 이상 900ppb 이하로 생각할 수 있다.
(9. 금속 이온 첨가수의 수량 제어)
다음에,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의 수량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횡드럼식 세탁기(601)에 있어서의 세탁 공정은 세탁 공정, 헹굼 공정, 탈수 공정, 필요에 따라서 건조 공정의 복수의 개별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부(690)가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의 금속 이온(은 이온)의 용출을 상기 어느 하나의 개별 공정 중에서 행하는 동시에, 상기 금속 이온의 용출을 행하는 개별 공정의 수량을 다른 공정의 수량보다도 증대시키는 제어를 행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금속 이온의 용출을 상기 개별 공정으로서의 헹굼 공정 중에서 행하고 있지만, 이 때 제어부(690)는 상기 헹굼 공정의 수량을 그 전에 행해지는 세탁 공정의 수량보다도 증대시키는 제어를 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세탁 공정에 있어서의 수량이 20 L이면, 헹굼 공정에 있어서의 수량은 예를 들어 30 L이다.
또한, 이와 같은 수량 제어는 제어부(690)가 상기 개별 공정마다 급수 밸브(50)의 개폐를 조절함으로써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690)는 수위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소정 수위를 검출할 때까지 급수 밸브(50)를 개방하면서, 소정 수위를 검출하면 급수 밸브(50)를 폐쇄함으로써 수량을 조절한다. 또한, 여기서는 금속 이온 용출 공정에서 용출된 금속 이온(은 이온)이 첨가된 물(금속 이온 첨가수)의 은 이온 농도는 항균 처리에 적합한 범위인 상술한 112 ppb 이상 900 ppb 이하인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690)가 은 이온의 용출을 행하는 개별 공정(예를 들어 헹굼 공정)에 있어서의 수량을 다른 개별 공정(예를 들어 세탁 공정)에 있어서의 수량보다도 많게 하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드럼(630) 속의 세탁물(예를 들어 직물)이 그 개별 공정(헹굼 공정)에서 물에 의해 잠기기 쉬워진다. 이 결과, 용출된 은 이온이 보다 균일하게 세탁물에 부착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세탁물에 있어서의 항균 효과를 세탁물 전체에 걸쳐서 보다 균일하게 얻을 수 있어, 항균 처리를 보다 실효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690)가 은 이온의 용출을 헹굼 공정 중에서 행하여 헹굼 공정에 있어서의 수량을, 그 전의 세탁 공정에 있어서의 수량보다도 증대시키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세탁 공정에서 오염이 제거된 세탁물의 헹굼시에 세탁물이 균일하게 헹굼수(금속 이온 첨가수)에 잠겨 헹굼수에 포함되는 은 이온이 세탁물 전체에 의해 균일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헹굼시에 있어서의 항균 처리에 의해, 세탁물 전체에 걸쳐서 균일한 항균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10. 드럼 회전 제어)
다음에, 헹굼 공정에 있어서의 드럼(630)의 회전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11의 흐름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의 금속 이온(은 이온)의 용출은 도6의 헹굼 공정의 플로우 중, 예를 들어 스텝 S401의 급수의 단계, 즉 스텝 S500의 중간 탈수 공정 후에 수행되고 있다. 이 때, 제어부(690)는 상기 중간 탈수 후에 금속 이온 첨가수를 드럼(630)에 급수하여 드럼(630)을 회전시킴으로써, 드럼(630) 내면에 부착된 세탁물을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에 침지시키는 제어를 행하고 있다.
수직형의 세탁기의 경우, 탈수시의 세탁조의 고속 회전에 의해 탈수 후의 세탁물(예를 들어 직물)이 세탁조 내면의 전면에 강하게 들러붙어 버리므로, 그 후 세탁물 전부에 대해 은 이온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세탁조 내의 은 이온수의 수위를 올려, 모든 세탁물을 은 이온수에 침지하고, 세탁물을 세탁조 내면으로부터 떼어내기 위해 세탁물을 강하게 교반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수직형 세탁기에서는 헹굼 공정에서의 중간 탈수 후에 은 이온 급수를 행하고, 예를 들어 10분간의 은 이온 헹굼을 행하는 경우, 예를 들어 처음 4분간은 펄세이터를 1.9초간 온하는 한편, 0.7초간 오프하여 세탁물을 강하게 교반하게 된다. 또한, 펄세이터에 의한 교반은 직물(세탁물)을 손상시키는 작용이 강하고, 또한 모터로의 부하도 크기 때문에 10분간 행할 수는 없으므로, 처음 4분간만 교반을 행하는 것이 통상이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횡드럼식 세탁기(601)에서는 드럼(630)이 횡축 회전 혹은 그에 가까운 회전이므로, 드럼(630)의 회전에 의한 중간 탈수에 의해 드럼(630)의 내면에 세탁물이 들러붙어도 드럼(630)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세탁물을 드럼(630) 내에 급수된 금속 이온 첨가수에 침지시킬 수 있다. 또한, 드럼(630)이 계속 회전하면, 드럼(630) 내면에 들러붙은 세탁물은 금속 이온 첨가수로의 침지와 상기 물로부터의 이탈 분리를 반복한다.
또한, 중간 탈수 후의 세탁물은 드럼(630)의 내면에 들러붙어 있어, 부피가 커지지 않으므로, 은 이온수(금속 이온 첨가수)의 드럼(630) 내에서의 수위가 낮아도 상기 은 이온수에 잠기기 쉬워진다. 따라서, 금속 이온 첨가수를 사용하지 않는 통상의 헹굼시의 욕비에 대해 중간 탈수 후의 금속 이온 첨가수에 의한 헹굼의 욕비를 작게 하여 은 이온 농도를 올리는 제어를 하여 절수해도 좋다.
따라서, 횡드럼식 세탁기(601)에서는 중간 탈수 후의 항균 처리에 있어서 수직형 세탁기의 세탁조만큼 드럼(630)을 고속 회전시킬 필요가 없다. 이 결과, 드럼(630) 내의 세탁물을 강하게 교반시키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어 10분간, 비교적 완만한 회전 속도(예를 들어 50 회전/분)로 드럼(6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세탁물의 교반에 수반하는 손상(예를 들어 직물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드럼(630)의 저속 회전에 의해 그 구동 수단(예를 들어 모터)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도 있고, 구동 수단 나아가서는 횡드럼식 세탁기(601)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도 있다.
특히, 제어부(690)는 10 회전/분 이상 120 회전/분 이하의 비교적 저속인 회전 속도로 드럼(630)을 회전시킴으로써, 드럼(630) 내면에 들러붙은 세탁물을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에 침지시킴으로써 상기한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하므로, 본 실시 형태의 세탁기(601)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수용조가 회전축이 수직 방향에 대해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드럼(630)이고, 상기 세탁물의 세탁 공정은 헹굼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 제어부(690)(제어 수단), 이온 용출 유닛(100)에서의 금속 이온의 용출을 상기 헹굼 공정 중에서 행하는 동시에, 상기 헹굼 공정에 있어서의 중간 탈수 후에 금속 이온 첨가수를 드럼(630)에 급수하여 드럼(630)을 회전킴으로써, 드럼(630) 내면에 들러붙은 세탁물을 상기 금속 이온 첨가수에 침지시키는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11. 기기 내의 항균, 항곰팡이 효과)
다음에, 본 발명의 가장 특징적인 부분인 횡드럼식 세탁기(601)의 기기 내의 항균, 항곰팡이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횡드럼식 세탁기(601)에서는 세탁 공정에 있어서의 전개별 공정(세탁 공정, 헹굼 공정, 탈수 공정, 필요에 따라서 건조 공정)이 종료된 후에 기기 내에 잔존하는 물[보다 상세하게는,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배수관(664)을 거쳐서의 배수 경로 내에 잔존하는 물]이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용출되는 금속 이온(은 이온)을 포함하는 금속 이온 첨가수(은 이온수)로 되어 있다. 이는 제어부(690)가 세탁 공정 중, 물을 필요로 하는 최종 개별 공정에 있어서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하여 상기 물에 첨가하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세탁 모드에 의해 건조 공정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4의 흐름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690)는 물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개별 공정의 최종 공정[헹굼 공정의 최종 헹굼 공정(도4의 스텝 S400-3)]에 있어서, 상술한 은 이온 급수를 행한다. 이 경우, 드럼(630) 내에 급수된 은 이온수은 세탁물의 항균 처리에 제공된 후, 탈수 공정에 의해 탈수되어 기기 밖으로 배수된다. 이 때, 상기 은 이온수은 완전히 기기 밖으로 배출되는 것은 아니고, 완전히 배출되지 않고약간 드럼(630) 내나 배수 경로[예를 들어 배수관(664)] 속에 남는 것이 통상이다. 또한, 물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최종 개별 공정 종료 후에는 그 후에 드럼(630) 내나 배수 경로를 다른 물이 흐르는 일도 없다.
또한, 상기 최종 공정이 수냉 제습에 의한 건조 공정인 경우에는, 제어부(690)는 상기 건조 공정에 있어서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용출되는 금속 이온을, 드럼(63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에 첨가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 경우, 상기 공기의 냉각이 끝난 후에는, 상기 냉각수는 배수 경로[예를 들어 배수관(664)]를 거쳐서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경우라도, 상기 냉각수는 완전히 기기 밖으로 배출되는 것은 아니며, 완전히 배출되지 않고 약간 상기 배수 경로 속에 남는 것이 통상이다. 또한, 건조 공정은 세탁 공정의 최종 공정이므로, 그 후에 상기 배수 경로를 별도의 물이 흐르는 일도 없다.
또한, 수냉 제습 방식을 채용하는 건조 공정에서는 상기 냉각수가 필요하고, 건조 공정은 세탁 공정의 최종에서 행해지는 개별 공정이므로, 상기 건조 공정은 세탁 공정 중에서도 물의 공급을 필요로 하는 최종 개별 공정이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어부(690)(제어 수단)는 세탁물의 세탁 공정을 구성하는 적어도 1개의 개별 공정이 실행될 때에, 그 개별 공정 중, 물을 필요로 하는 최종 개별 공정에서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켜 물에 첨가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이에 의해, 세탁 공정의 전체 개별 공정이 종료된 후에는, 기기 내[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배수관(664)을 거친 배수 경로 중]에 물이 잔존한다고 해도 그 잔존하는 물이 금속 이온 첨가수가 된다.
여기에서, 기기 내에 잔존하는 물이 통상의 수돗물이면, 그 물이 부패하여 악취를 발하거나 곰팡이가 번식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횡드럼식 세탁기(601)에서는 전방면의 도어(612) 등으로부터 물이 새는 것을 막을 필요가 있으므로, 수직형의 세탁기에 비해 밀폐성이 높고, 게다가 특히 기기 내의 드럼(630) 내에 잔존하는 물이 증발하기 어려워 악취나 곰팡이가 발생하기 쉬운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상술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최종 공정 종료 후에 기기 내에 잔존하는 물이 항균성을 갖는 금속 이온수이므로, 밀폐성이 높은 기기 내라도 상기 금속 이온수에 포함되는 금속 이온(은 이온)에 의한 항균 작용에 의해 남은 물에서 악취가 발생하거나, 남은 물이 원인이 되어 기기 내에서 곰팡이가 번식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위생면에서 우수한 횡드럼식 세탁기(60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물을 필요로 하는 상기 최종 개별 공정이 수용조에 수용되는 세탁물을 헹구는 헹굼 공정일 때에는, 제어부(690)는 상기 헹굼 공정에 있어서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용출되는 금속 이온을 상기 수용조에 공급되는 물에 첨가시키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헹굼 공정 종료 후에 기기 내에 잔존하는 금속 이온 첨가수에 의해 악취나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하여 위생면을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종 개별 공정이 세탁물을 수용하는 수용조에 온풍을 공급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동시에, 상기 수용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각수에 의해 냉각하는 건조 공정인 경우에는, 제어부(690)는 상기 건조 공정에 있어서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용출되는 금속 이온을 상기 냉각수에 첨가시키는 구성이다.이에 의해, 건조 공정 종료 후에 기기 내에 잔존하는 금속 이온 첨가수에 의해 악취나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하여 위생면을 확실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상에서는 수용조[드럼(630)]로부터 물이 배출되는 배출 경로(이하, 제1 배출 경로라고도 칭함)와, 건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냉각수의 배출 경로(이하, 제2 배출 경로라고도 칭함)가 공통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이야기를 진행시켰지만, 세탁기(601)의 구조상 반드시 그와 같이 배출 경로를 공통으로 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즉, 제1 배출 경로와 제2 배출 경로가 그 일부 또는 전부가 다르게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배출 경로와 제2 배출 경로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른 경우, 세탁물의 세탁 공정을 구성하는 개별 공정으로서, (1) 상기 수용조에 온풍을 공급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동시에, 상기 수용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각수에 의해 냉각하는 건조 공정과, (2) 상기 건조 공정의 직전에서 상기 수용조에 물을 공급하는 공정(예를 들어 헹굼 공정)이 선택된 세탁 모드에 따라서 양방 모두 실행되면, 물을 필요로 하는 최종 개별 공정은 상기 (1)의 공정이 되므로, 상기 최종 개별 공정에서 사용하는 냉각수에만 금속 이온을 첨가시켜도 제2 배출 경로 중에 금속 이온 첨가수를 남길 수는 있지만, 제1 배출 경로 중에 금속 이온 첨가수를 남길 수 없다.
그래서, 제1 배출 경로와 제2 배출 경로 중 적어도 일부가 다르고, 상기 (1), (2)의 공정이 양방 모두 실행되는 경우에는, 제어부(690)는 이온 용출 유닛(100)으로부터 용출되는 금속 이온을, 상기 (2)의 공정에서 상기 수용조에 공급되는 물과, 상기 (1)의 건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상기 냉각수의 양방에 첨가시키는 제어를 행하도록 하면 된다.
이에 의해, 상기 (1), (2)의 각 공정의 종료 후에는 제1 및 제2 각각의 배출 경로에 있어서 최종적으로 금속 이온 첨가수를 남길 수 있다. 따라서, 기기 내의 각각의 배출 경로 내의 남은 물의 부패에 의한 악취의 발생이나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어, 위생면에서 우수한 세탁기를 실현할 수 있다.
(12. 기타)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을 더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온 용출 유닛(100)의 배치 부위는 급수 밸브(50)로부터 급수구(53)까지의 사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속관(51)으로부터 급수구(53)까지의 사이라면 어디든 좋다. 즉 급수 밸브(50)의 상류측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이온 용출 유닛(100)을 급수 밸브(50)보다 상류에 배치하는 것으로 하면, 이온 용출 유닛(100)은 항상 물에 잠겨 있게 되고, 밀봉 부재가 건조하여 변질되어 누수를 생기게 하는 등의 일이 없어진다.
또한, 이온 용출 유닛(100)을 외부 상자(10)의 밖에 설치해도 좋다. 예를 들어 이온 용출 유닛(100)을 교환 가능한 카트리지의 형상으로 하고, 접속관(51)에 나사 삽입 등의 수단으로 부착하여, 이 카트리지에 급수 호스를 접속하는 등의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카트리지 형상으로 할지의 여부는 별도로 하여, 이온 용출 유닛(100)을 외부 상자(10)의 밖에 설치하는 것으로 하면, 세탁기(1)의 일부에 설치한 도어를 개방하거나, 패널을 제거하거나 하는 일 없이 이온 용출 유닛(100)을 교환할 수 있어 보수가 편하다. 게다가 세탁기(1) 내부의 충전부에 닿은 일이 없으므로 안전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외부 상자(10)의 밖에 설치한 이온 용출 유닛(100)에는 구동 회로(120)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을 방수 커넥터를 거쳐서 접속하여 전류를 공급하면 되지만, 구동 회로(120)로부터의 급전에 의존하지 않고, 전지를 전원으로서 구동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급수의 수류에 접촉하도록 수차를 구비한 수력 발전 장치를 전원으로 하여 구동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온 용출 유닛(100)을 독립된 상품으로서 판매하여 세탁기 이외의 기기로의 탑재를 촉진시켜도 좋다.
또한, 이온 용출 유닛(100)을 수조(620) 내에서 소정 수위까지 급수되었을 때에 물에 잠기는 위치에 배치해도 좋다. 그렇게 하면, 이온 용출 유닛(100)이 수조(620) 내의 물에 잠겨 있을 때에는, 급수의 타이밍과 무관하게 언제나 금속 이온을 용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이온을 용출시키는 데 충분한 시간이 걸릴 수 있어, 금속 이온을 고농도로 사용하거나, 혹은 소정 농도를 얻는 데 낮은 전류, 전압으로 끝내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이온 용출을 위해 세탁 공정에 급수 시퀀스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세탁의 전체 공정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길게 하지 않는다. 또한, 드럼(630)에 급수하는 물 속에 금속 이온을 첨가하는 경우, 금속 이온의 용출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급수 유량을 교축할 필요도 생긴다. 이는 세탁 시간의 장시간화에 결부되지만, 이 구성이면 그와 같은 배려는 불필요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축이 수직 방향에 대해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드럼(630)을 세탁물이 수용되는 수용조로서 갖는 횡형의 세탁기(601)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수량이나 욕비에 따라서 금속 이온 첨가수의 금속 이온 농도를 변화시키는 구성을 비롯한 본 실시 형태에서 서술한 구성은 회전축이 수직 방향이 되도록 세탁조를 상기 수용조로서 갖는 수직형의 세탁기에도 물론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이온을 용출하는 이온 용출 수단에 관해서는, 상술한 구성[이온 용출 유닛(1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온 용출 수단은, 예를 들어 카트리지 내에 금속 이온 용출재(은 용출재이면 황화은 등)를 장전하여 카트리지 내에 물을 통과시킴으로써 금속 이온 용출하는 것으로 구성되어도 상관없다. 급수되는 한정된 양의 물의 금속 이온 농도를 단시간에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점에서는, 상술한 이온 용출 유닛(100)이 이와 동등한 금속 이온 농도의 제어를 할 수 있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에 대해 다양한 수식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기술에 얽매이는 일 없이, 부기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것으로 해석되었으면 좋겠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조 공정을 실행할 수 있는 건조 세탁기에 있어서 기기 내의 남은 물의 부패에 의한 악취나 곰팡이의 발생을 방지하여 위생면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금속 이온을 용출하는 이온 용출 수단과,
    상기 이온 용출 수단으로부터 금속 이온을 용출시켜 물에 첨가시키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세탁물을 수용하는 수용조에 온풍을 공급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동시에, 상기 수용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각수에 의해 냉각하는 건조 공정에 있어서, 상기 이온 용출 수단으로부터 용출되는 금속 이온을 상기 냉각수에 첨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건조 공정의 직전에서 상기 수용조에 물을 공급하는 공정이 실행될 때에, 상기 이온 용출 수단으로부터 용출되는 금속 이온을 상기 건조 공정 직전의 공정에서 상기 수용조에 공급되는 물에 첨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조는 회전축이 수직 방향에 대해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드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세탁기.
KR1020040027313A 2003-04-22 2004-04-21 건조 세탁기 KR200400915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17418 2003-04-22
JP2003117418A JP3957655B2 (ja) 2003-04-22 2003-04-22 乾燥機能付き洗濯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1579A true KR20040091579A (ko) 2004-10-28

Family

ID=33497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313A KR20040091579A (ko) 2003-04-22 2004-04-21 건조 세탁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957655B2 (ko)
KR (1) KR200400915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861B1 (ko) * 2005-07-21 2012-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의 살균건조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9852B2 (ja) * 2005-04-07 2011-01-2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JP2007061175A (ja) * 2005-08-29 2007-03-15 Toshiba Corp 衣類洗濯機
KR101253179B1 (ko) 2006-12-14 2013-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KR101008653B1 (ko) * 2009-10-26 2011-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CN112835306B (zh) * 2020-10-22 2022-06-24 中信戴卡股份有限公司 基于卫星监控汽车的方法、装置、设备、计算机和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861B1 (ko) * 2005-07-21 2012-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의 살균건조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321316A (ja) 2004-11-18
JP3957655B2 (ja) 200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896B1 (ko) 세탁기
EP2050855B1 (en) Washer with ion eluting unit
JP2004173717A (ja) イオン溶出ユニット及びこれを搭載した機器
JP3957583B2 (ja) 洗濯機
JP3957616B2 (ja) イオン溶出ユニット及びこれを搭載した機器
KR20050025664A (ko) 세탁기
JP4010887B2 (ja) 洗濯機
JP3957655B2 (ja) 乾燥機能付き洗濯機
JP2007215588A (ja) 全自動洗濯機
JP4024257B2 (ja) 洗濯機
JP4159399B2 (ja) 洗濯機
JP4136675B2 (ja) 洗濯機
JP2004321306A (ja) 洗濯機
JP4417404B2 (ja) 洗濯機
JP2004057856A (ja) イオン溶出ユニット及びこれを搭載した洗濯機
JP2004057855A (ja) イオン溶出ユニット及びこれを搭載した洗濯機
JP3963793B2 (ja) イオン溶出ユニット及びこれを搭載した洗濯機
JP2004216199A (ja) イオン溶出ユニット、イオン溶出ユニットを搭載した機器、及びイオン溶出ユニットを搭載した洗濯機
JP3957617B2 (ja) 洗濯機
AU2007231905A1 (en) Ion eluting unit and device provided with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