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1557A - 회전 분무형 도장기 - Google Patents

회전 분무형 도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1557A
KR20040091557A KR1020040026732A KR20040026732A KR20040091557A KR 20040091557 A KR20040091557 A KR 20040091557A KR 1020040026732 A KR1020040026732 A KR 1020040026732A KR 20040026732 A KR20040026732 A KR 20040026732A KR 20040091557 A KR20040091557 A KR 20040091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bell
trigger lever
stat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7021B1 (ko
Inventor
사이토에이지
요시다야스시
Original Assignee
랜스버그 인더스트리얼 피니싱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랜스버그 인더스트리얼 피니싱 케이.케이. filed Critical 랜스버그 인더스트리얼 피니싱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040091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1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0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1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05B3/1007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characterised by the rotating member
    • B05B3/1014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characterised by the rotating member with a spraying edge, e.g. like a cup or a b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 B05B12/002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restricting their movement
    • B05B12/0024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restricting their movement to a singl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1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05B3/1035Driving means; Parts thereof, e.g. turbine, shaft, bearings

Abstract

본 발명은 분무되는 도료의 공급량을 바꾸더라도, 벨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하여 소정의 분무 상태를 유지하는 등, 분무되는 도료의 공급량과 벨의 회전수의 관계를 제어할 수 있는 회전 분무형 도장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회전 분무형 도장기에 있어서, 에어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공기 유로에, 트리거 레버와 연동하는 밸브 장치를 설치하며, 이 밸브 장치는, 원통구멍 부재와 그 안에서 공극을 두고 왕복 이동하는 원통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구멍 부재의 원통구멍으로의 상기 원통 부재의 삽입 위치에 따라 통과 공기를 조정하는 원통 밸브와; 원 구멍 부재와 그곳을 폐색하도록 삽입되는 원추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 구멍 부재의 원 구멍과 원추 부재의 원추면의 간격을 바꿈으로써 통과 공기를 조정하는 상기 원추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분무형 도장기를 제공함으로써 해결 가능하다.

Description

회전 분무형 도장기{ROTARY ATOMIZING SPRAYING MACHINE}
본 발명은 회전 분무형 도장기, 더 상세하게는 도장 작업을 용이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고, 또한 장기에 걸쳐 안정된 회전 분무화(atomizing)가 가능한 회전 분무형 도장기에 관한 것이다.
회전 분무형 도장기는 회전 벨형(bell type) 부재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도료를 분무화하고, 저압 공기를 이용하여 안개 모양의 도료 입자를 피(被)도장물에 균일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향하게 한다. 분무된 도료 입자를 타겟에 보다 고속으로 내뿜기 위해서는, 정전하를 이용하기 위해 벨 등의 회전체의 에지(edge)로부터 방출되는 코로나(corona)에 의해 도료에 전하를 부여하는 정전 도장을 행한다. 회전 분무식 도장기는 도착(塗着) 효율이 양호한 점(약 80% 이상)에 특징을 가진다.
종래의 회전 분무형 도장기의 분무화부(314)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부 형상 링(outer shape ring)(355), 내부 형상 링(inner shape ring)(357), 벨 (359), 공기모터(361)로 이루어지는 1차 조립체(365)는 공기모터(361)의 후단면의 오목한 곳에 형성된 나사(361a)를 이용하여 총 몸체(gun body)(303)의 선단 부분의 외주 나사(303b)에 나사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1차 조립체(365)가 총 몸체(303)에 장착된다.
공기모터(361)는 모터 본체(367)와 그 주위를 둘러싸는 절연성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케이스(369)를 포함하고, 모터 본체(367)의 출력축(371)의 선단부에 벨(359)이 부착되어 있다. 이 출력축(371)은 금속제의 중공 샤프트(shaft)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공 출력축(371) 내에 도료 공급 튜브(363)가 동축으로 또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출력축(371)의 후단부는 모터 본체(367)로부터 약간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 부분(371a)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를 이용하여 출력축(371)을 도료 공급 튜브(363)에 대해 위치결정하기 위한 간격 유지 부재 (373)가 나사부착되어 있다.
에어 모터(361)의 플라스틱제 케이스(369)에는 제 1 공기포트(325)로 연통되는 제 1 내부 통로(375)와 모터 본체(367)로 통하는 제 2 내부 통로(377)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내부 통로(375)는, 제 1 공기포트(325)의 출구를 향하는 환상(環狀) 입구(375a)와 외부 형상 링(355)과 내부 형상 링(357)이 협력 작용하여 형성하는 세이핑(shaping) 통로(379)에 개구되는 환상 출구(375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2 내부 통로(377)는 도료 공급 튜브(363)의 유지 부재(363b)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환상 입구(377a)를 가지고 있다. 도료 공급 튜브(363)의 유지 부재(363b)에는 그 외주 부분으로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363d)이 형성되고, 이 복수의 관통 구멍(363d)은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유지 부재(363b)는 나선(363a)에 의해 총 몸체(303)에 고착된다.
제 1 공기포트(325)로부터 제 1 내부 통로(375)를 거쳐 세이핑 통로(379)로 통과하는 일련의 경로는 세이핑 공기 통로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 세이핑 통로를 통과하는 가압 공기는, 외부 형상 링(355)과 내부 형상 링(357)의 선단 부분의 틈새로부터 토출된다. 또한, 제 2 공기포트(327)로부터 제 2 내부 통로(377)로 도입된 가압 공기에 의해 에어 모터(361)가 구동되며, 이것에 의해 벨(359) 및 이것에 부착되어 복수의 경사 분사 구멍(359a)을 가지는 분무 디스크(359b)는 고속 회전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다른 종래 기술의 회전 분무형 도장기로서는, 터빈이 구동되고 있을 때의 베어링 공기의 차단에 의한 베이링이 눌어붙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충분한 베어링 공기가 베이링 공기 챔버로 공급되고 있지 않다면, 공기셔틀 집합체가 터빈으로의 공기 유입을 저지하여 회전 부분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 2001-205143 호 전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평 10-103649 호 전체.
상술한 종래의 회전 분무형 도장기에 있어서는, 트리거 레버는 해방된 휴지(休止) 상태에 있을 때, 벨에 가압 공기가 공급되지 않아 그 회전을 정지시키고 또한 도료의 공급이 정지되어 있다. 트리거 레버를 당기기 시작하면, 벨에 가압 공기가 공급되어 회전을 개시하고, 이윽고 도료의 공급도 시작되며, 도료 분무 즉 도장이 실행된다. 도료 분무의 휴지는 그 시간의 장단에 관계없이 트리거 레버를 당김으로 인해 해방되어 도료의 공급이 정지되고, 벨로의 가압 공기가 공급되지 않게 되어 벨의 회전이 정지된다.
벨은 도장시에는 통상 약 20,000∼40,000rpm으로 회전하지만, 벨이 고압 공기가 공급되고 나서 이 회전 속도로 될 때까지 3 내지 5초를 필요로 한다. 벨의 소정 회전 속도 이하의 회전에 있어서 도료를 공급하면, 도료는 소정 치수의 입자로 되지 않아서 소망하는 도장을 행할 수가 없다. 따라서, 회전 분무형 도장기의 1초 이하 혹은 수 초의 분무 정지의 경우일지라도, 벨의 소정 회전 속도를 얻을 때까지 3 내지 5초의 준비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트리거 레버를 당겨서 벨에 가압 공기를 공급하면, 벨의 회전수는 예를 들면 40,000rpm이다. 이 상태에서 도료를 공급하여 도료 분무를 개시하면, 도료에 의한 벨로의 부하의 증가에 의해, 예를 들면 30,000rpm으로 저하한다. 즉, 벨로의 가압 공기의 공급량이 일정하기 때문에, 도료 공급량의 증감에 따라 벨의 회전에의 부하가 증감되어 벨의 회전수가 변화한다. 벨의 회전수의 변화는 분무 상태의 변화, 예를 들면 분무 입자의 치수의 변화나 분무 영역의 변화를 초래하여, 균일한 도장 작업을 행하는 데 있어서 극히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회전 분무형 도장기의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분무되는 도료의 공급량을 바꾸어도 벨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하여 소정의 분무 상태를 유지하는 등, 분무되는 도료의 공급량과 벨의 회전수의 관계를 제어할 수 있는 회전 분무형 도장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도료 분무를 중지하기 위해서 트리거 레버가 당기는 힘을 제거해도 도료 공급이 정지되어 분무가 실행되지 않게 되지만, 벨은 계속 회전한다. 그 결과, 다음의 도료 분무를 즉시 행할 수가 있어 고품질로 효율이 좋은 도장을 행할 수 있는 회전 분무형 도장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도료 분무를 중지시키기 위해 트리거 레버가 당기는 힘을 제거하고 또한 도료 공급을 정지시켜 분무를 하지 않는 상태로부터, 벨로 고압 공기를 공급하지 않는 휴지 상태로 용이하게 되돌릴 수가 있는 회전 분무형 도장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발명은 통 형상의 도료 가이드 부재를 가지고, 그 도료 가이드 부재의 주위에 배치된 에어 모터에 의해 그 도료 가이드 부재의 전방에 배치된 분무 디스크가 부착된 벨을 회전시키도록 구성하고, 상기 도료 가이드 부재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토출된 도료를 회전하는 상기 분무 디스크가 부착된 벨에 의해 분무하는 회전 분무형 도장기에 있어서, 상기 에어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공기 유로에, 트리거 레버와 연동하는 밸브 장치를 설치하고, 이 밸브 장치는 원통 구멍 부재와 그 안에서 공극을 두고 왕복 이동하는 원통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 구멍 부재의 원통구멍으로의 상기 원통 부재의 삽입 위치에 따라사 통과 공기를 조정하는 원통 밸브와; 원 구멍 부재와 그곳을 폐색(閉塞)하도록 삽입되는 원추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 구멍 부재의 원 구멍과 상기 원추 부재의 원추면의 간격을 변경함으로써 통과 공기를 조정하는 원추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분무형 도장기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회전 분무형 도장기의 트리거 레버가 반(半) 당김 상태일 때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회전 분무형 도장기의 트리거 레버가 풀(full) 당김 상태일 때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회전 분무형 도장기의 트리거 레버가 해방 상태일 때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회전 분무형 도장기의 핸들부 및 조작 조정부의 수직 단면도.
도 5는 트리거 레버가 해방 상태인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회전 분무형 도장기의 제 2 밸브의 수직 단면도.
도 6은 트리거 레버가 반 당김 상태인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회전 분무형 도장기의 제 2 밸브의 수직 단면도.
도 7은 트리거 레버가 풀 당김 상태인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회전 분무형 도장기의 제 2 밸브의 수직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회전 분무형 도장기의 분무화부의 수직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벨 및 분무 디스크의 정면도.
도 10은 종래의 회전 분무형 도장기의 수직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 분무형 도장기 10 :핸들부
12 : 조작 조절부 14 : 분무부
20 : 손잡이 부재 22 : 고압 공기 파이프
24 : 공기 파이프 커넥터 26 : 공기 조정 손잡이
27 : 고압 공기 통로 28 : 제 1 밸브
29 : 제 1 밸브 조정 부재 30 : 총 몸체(gun body)
32 : 캠 레버 34 : 트리거 레버
37 : 제 2 밸브 38 : 도료 공급 파이프
48 : 중간단부 49 : 캠 핀
50 : 제 2 밸브 연결 부재 52 : 전방 단부
60 : 조작 돌기 70 : 도료 토출량 조정 손잡이
72 : 세이핑 공기 조정 손잡이 76 : 제 3 밸브
78 : 제 3 조정 밸브 부재 80 : 제 4 밸브
200 : 도료 가이드 부재 204 : 모터 샤프트
206 : 벨(bell) 210 : 환상 오목부
214 : 도료 멈춤 링 220 : 환상 돌출부
222 : 도료 유도 부재 224 : 경사 분사 구멍
226 : 분사 홈 228 : 분무 디스크
230 : 매니폴드
제 1 발명의 실시예는 이하와 같다.
상기 원통 부재와 상기 원추 부재가 상기 트리거 레버와 연동하는 동일한 연결 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간이한 구조로 확실한 조작을 확보할 수가 있다.
도료를 분무하는 상기 트리거 레버의 소정의 당김 영역에 있어서, 트리거 레버의 당김량에 대응하여 도료의 공급량을 증가시키고, 한편 상기 원통구멍으로의 상기 원통 부재의 삽입량을 감소시켜 공기 공급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벨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료를 분무하는 상기 트리거 레버의 소정의 당김 영역에 있어서, 도료 공급량의 변화에 관계없이 상기 벨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료 공급량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분무 입자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제 2 발명은 통 형상의 도료 가이드 부재를 가지고, 그 도료 가이드 부재의 주위에 배치된 에어 모터에 의해 그 도료 가이드 부재의 전방에 배치된 분무 디스크가 부착된 벨을 회전시키도록 구성하고, 상기 도료 가이드 부재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토출된 도료를 회전하는 상기 분무 디스크가 부착된 벨에 의해 분무하는 회전 분무형 도장기에 있어서, 상기 분무 디스크가 부착된 벨의 회전 및 도료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트리거 레버부가 상기 분무 디스크가 부착된 벨을 회전시키지 않는 휴지 상태와, 상기 분무 디스크가 부착된 벨을 회전시켜 도료를 최대한 공급하는 풀(full) 당김 상태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고, 상기 휴지 상태와 풀 당김 상태 사이에 상기 분무 디스크가 부착된 벨을 회전시키지만 도료를 공급하지 않는 반(半) 당김 상태가 있고, 휴지 상태로부터 반 당김 상태는 상기 트리거 레버부를 당기는 한번의 조작으로 행하고, 그 후 상기 트리거 레버부는 풀 당김 상태와 반 당김 상태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며, 반 당김 상태로부터 휴지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 트리거 레버부의 해제 조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분무형 도장기이다.
제 2 발명의 실시예는 이하와 같다.
상기 트리거 레버부가 트리거 레버와, 그 트리거 레버의 요동면과 평행한 면 내에서 요동 가능하게 또한 한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도록 힘을 받는 캠 레버를 가지고, 그 캠 레버에 설치한 캠에는 회전 분무형 도장기 몸체에 고착된 캠 핀이 걸어맞춰지고, 상기 캠은 풀 당김 상태와 반 당김 상태 및 이들의 중간 상태를 가능하게 하는 작동 캠부와, 상기 캠 레버의 회전 운동하도록 힘을 받는 방향과 대략 반대 방향의 조작에 의해 반 당김 상태로부터 휴지 상태로 변화시키는 휴지 캠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에 기재된 회전 분무형 도장기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간이하고 고장의 우려가 없고 조작도 용이한 회전 분무형 도장기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체의 구성
도 1은 트리거 레버가 반 당김 상태인 실시예의 회전 분무형 도장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트리거 레버(34)가 거의 풀(full) 당김 상태인 실시예의 회전 분무형 도장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트리거 레버가 해방(휴지) 상태인 실시예의 회전 분무형 도장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의 회전 분무형 도장기의 핸들부 및 조작 조정부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의 회전 분무형 도장기의 분무화부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의 벨 및 분무 디스크의 정면도이다.
회전 분무형 도장기(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부(10)와, 핸들부 (10)의 상방에 위치하는 조작 조절부(12)와, 조작 조절부(12)의 전방 단에 위치하는 분무부(14)로 이루어진다.
트리거 기구의 구성
핸들부(10)는 손잡이 부재(20)의 하단부에 컴프레서(도시하지 않음)에 연통된 고압 공기 파이프(22)를 부착하는 공기 파이프 커넥터(24)와, 회전 분무형 도장기(1) 내에서 사용하는 고압 공기의 압력을 조정하는 공기 조정 손잡이(26)가 설치되어 있다. 공기 조정 손잡이(26)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 파이프 커넥터(24)로 연통한 고압 공기 통로(27)에 설치된 제 1 밸브(28)의 제 1 밸브 조정 부재(29)를 변위시켜 제 1 밸브(28)의 개폐 상태를 조정한다.
조작 조정부(12)는 중앙부에 총 몸체(30)와 캠 레버(32)를 축 지지한 트리거 레버(34)와, 후크(hook)(36)와, 도료 탱크(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 도료 공급 파이프(38)를 부착하는 도료 파이프 커넥터(40)를 가진다. 캠 레버(32)는 용수철 부재(33)에 의해 도 1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도록 힘을 받고 있다.
트리거 레버(34)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총 몸체(30)에 트리거 레버 지점 부재(35)에 의해 축 지지되어 있다. 고압 공기 통로(27)의 제 1 밸브(28)의 하류측에 배치된 제 2 밸브(37)의 제 2 밸브 연결 부재(50)가 트리거 레버(34)의 중간부에 당접(當接)해 있다. 제 2 밸브(37)는 압축 용수철(39)을 가지고 있어서트리거 레버(34)를 전방으로 요동시키도록 힘을 가하고 있다. 제 2 밸브(37)는 제 2 밸브 연결 부재(50)에 의해 제 2 밸브 조정 부재(51)가 변위되어 개폐 상태가 조정된다.
도 1에 도시하는 트리거 레버(34)의 반 당김 상태는 후술하는 에어 모터 (202)에 고압 공기가 공급되어 벨(206)이 회전된다. 트리거 레버(34)의 반 당김 상태는 캠 레버(32)의 캠(32C)의 중간단부(48)가 총 몸체(30)에 고착된 캠 핀(49)에 걸어맞추는 것에 의해 고정(locking)된다.
도 2에 도시하는 트리거 레버(34)의 풀 당김 상태에서는 고압 공기가 공급되어 벨(206)이 회전하고 또한 도료가 공급되고 분무화되어 벨(206)로부터 분사된다. 도료 분무를 위한 트리거 레버(34)의 풀 당김 상태는 제 2 밸브 연결 부재(50)의 부세력(付勢力; 용수철 등에 의해 인가되는 힘)에 저항하여 트리거 레버(34)를 당기고, 캠 핀(49)이 캠(32C)의 전방 단부(52)에 걸어맞추어 형성된다. 트리거 레버 (34)를 캠 핀(49)이 캠(32C)의 중간단부(48)와 전방 단부(52) 사이의 어느 한 위치에 있도록 조정함으로써, 도료의 분무량을 조정할 수가 있다.
트리거 레버(34)를 해방 상태 즉 휴지 위치(홈 포지션)로 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하는 트리거 레버(34)의 반 당김 상태에 있어서, 캠 레버(34)의 조작 돌기 (60)를 조작자의 엄지(도시하지 않음)로 누름으로써 캠 레버(32)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캠 핀(49)은 캠(32C)의 중간단 상부(62)로부터 후방 단 부(64)로 이동하고, 캠 레버(32)의 구속이 없어진 트리거 레버(34)는 도 3에 도시하는 해방 상태로 된다.
조작 조정부(12)의 상측 후방부에는 도료 토출량 조정 손잡이(70) 및 세이핑 공기 조정 손잡이(72)가 설치되어 있다. 도료 토출량 조정 손잡이(7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료 파이프 커넥터(40)에 연통한 도료 통로(74)에 배치된 제 3 밸브(76)의 제 3 조정 밸브 부재(78)와 트리거 레버(34)의 위치 관계를 변화시킨다. 따라서, 도료 토출량 조정 손잡이(70)를 회전시킴으로써, 트리거 레버(34)를 당긴 상태의 도료의 공급량 즉 분무량을 조정할 수가 있다.
세이핑 공기 조정 손잡이(72)는 고압 공기 통로(27)의 제 2 밸브(37)의 하류측에 배치된 제 4 밸브(80)의 제 4 조정 밸브 부재(82)를 변위시켜, 제 4 밸브(80)의 개폐 상태를 조정한다.
제 2 밸브의 구성
일반 도장 작업에 있어서, 회전하고 있는 벨(206)로의 도료의 공급이 변화함으로 인해 도료를 분무하기 위한 벨(206)의 부하가 증감하더라도, 벨(206)의 회전 속도는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제 2 밸브(37)는 이중 밸브 구조로 되어 있다.
도 5는 트리거 레버가 해방 상태인 실시예의 회전 분무형 도장기의 제 2 밸브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트리거 레버가 반 당김 상태인 실시예의 회전 분무형 도장기의 제 2 밸브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트리거 레버가 풀 당김 상태인 실시예의 회전 분무형 도장기의 제 2 밸브의 수직 단면도이다.
제 2 밸브(37)는 도 5 내지 도 6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 밸브(100) 및 원추 밸브(102)를 고압 공기 통로(27)에 직렬로 배치하여 이루어진다. 원통 밸브(100)는 제 2 밸브 연결 부재(50)에 고착된 외경 l1의 원통형 컬러 부재(104)와, 원통형 컬러 부재(50)의 직경 l1보다도 예를 들면 O.6㎜ 큰 내경 l2의 원통형 구멍 (106)을 가지고, 공기 배출 구멍(108)을 설치한 컬러 받이 부재(110)를 가진다. 원통 밸브(100)는 원통형 컬러 부재(104)와 원통형 구멍(106)의 겹침 상태에 의해 고압 공기의 통과량, 즉 고압 공기의 압력 손실을 조정할 수가 있다. 트리거 레버 (34)의 해방 상태(도 5) 및 반 당김 상태(도 6)에 있어서는, 원통 밸브(100)에 의한 고압 공기의 압력 손실은 크고, 양자의 압력 손실은 거의 동일하다. 이것과 비교하여, 트리거 레버(34)의 풀 당김 상태(도 7)에 있어서는 고압 공기의 원통 밸브 (100)에 의한 압력 손실은 작아진다.
원추 밸브(102)는 원 구멍(120)을 가지는 받이 부재(122)와 원추형으로 제 2 밸브 연결 부재(50)에 고착되고, 원 구멍(120)에 걸어맞추는 원추형 밸브 부재 (124)를 가진다. 받이 부재(122)의 형상은 받이 부재(122)와 원추형 밸브 부재 (124)가 선(線) 접촉하도록 결정된다.
트리거 레버(34)의 해방 상태(도 5)에 있어서는, 받이 부재(122)의 당접부 (130)에 원추형 밸브 부재(124)가 당접하여, 원추 밸브(102)는 완전하게 폐색된다. 트리거 레버(34)의 반 당김 상태(도 6)에 있어서는, 받이 부재(122)의 당접부(130)와 원추형 밸브 부재(124)의 사이에 작은 틈새가 생기고 고압 공기가 통과한다. 이 틈새가 약 O.3㎜를 넘으면, 원추 밸브(102)에 의한 고압 공기의 압력 손실은 거의 제로(0)가 된다. 트리거 레버(34)의 풀 당김 상태(도 7)에 있어서는, 받이 부재 (122)의 당접부(130)와 원추형 밸브 부재(124) 사이에 큰 틈새가 생겨 압력 손실없이 고압 공기가 통과한다.
제 2 밸브(37)는 원통 밸브(100) 및 원추 밸브(102)의 조정에 의해, 도료의 공급량의 증가에 수반하여 벨(206)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도록 혹은 감소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분무 기구의 구성
분무부(14)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중심에 배치되어 조작 조정부 (12)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착된 도료 가이드 부재(200)와, 에어 모터(202)의 모터 샤프트(204)에 고착된 벨(206)을 가진다. 도료 가이드 부재(200)는 대략 파이프 형상이지만, 전방측에 환상(環狀) 오목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모터 샤프트 (204)의 전방 단부의 내측에는 합성 수지제의 도료 멈춤 링(214)이 부착되어 있다. 도료 멈춤 링(214)은 도료 가이드 부재(200)의 환상 오목부(210)와 가볍게 접촉하는 이중의 환상 돌출부(220)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 샤프트(204)의 선단부에 나사결합된 벨(206)은 도료가 잘 흐르도록 하기 위한 도료 유도(誘導) 부재(222)를 가지고,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 4개의 경사 분사 구멍(224)을 설치하며, 주연부(周緣部; 둘레가장자리부)에 4개의 분사 홈(226)을 설치한 분무 디스크(228)를 가지고 있다.
분무부(14)는 게다가 조작 조정부(12)에 부착되어 분무부(14)의 후반 부분의 외형을 형성하는 매니폴드(manifold)(230)와, 매니폴드(230)의 선단에 나사 결합되어 분무부(14)의 전반 부분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 형상 케이스(234)를 가진다. 벨(206)과 외부 형상케이스(234) 사이에는 내부 케이스(236)가 배치되어 있다.
매니폴드(230)는 제 4 밸브(80)의 하류측의 고압 공기 통로(27)의 고압 공기를 에어 모터(202)의 터빈(240)으로 보내는 터빈 공기 통로(242)와, 이와 동일하게 고압 공기를 벨(206)과 내부 케이스(236) 사이로 보내기 위한 세이핑 공기 통로 (244)를 가진다.
조작 방법
본 발명의 회전 분무형 도장기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3에 도시하는 트리거 레버(34)가 해방 상태이고, 후크(36)를 사용하여 벽 등에 매달려 있다.
사용시에는 필요하면 공기 조정 손잡이(26) 및 세이핑 공기 조정 손잡이(72)를 조작하여 소망하는 고압 공기가 얻어지도록 한다.
다음에, 트리거 레버(34)를 당겨 도 1에 도시하는 반 당김 상태로 한다. 이 때, 캠 레버(32)도 함께 이동하고, 캠 핀(49)이 캠(32C)의 후방 단부(64)로부터 중간단 상부(62)에 도달하며, 또 캠 레버(3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중간단부 (48)에 도달한다. 이 결과, 제 2 밸브(37)가 해방되고, 고압 공기가 터빈 공기 통로(242) 및 세이핑 공기 통로(244)에 공급되어, 모터 샤프트(204) 및 벨(206)이 고속 회전하며, 벨(206)과 내부 케이스(236) 사이 및 내부 케이스(236)와 외부 형상케이스(234) 사이로부터 고압 공기가 분사된다. 이 때, 제 3 조정 밸브 부재(78)는 닫혀 있어, 도료는 도료 가이드 부재(200)측에 공급되지 않는다.
다음에, 트리거 레버(34)를 당김으로 인해 소망량의 도료가 도료 가이드 부재(200)측에 공급되어 도료의 분무가 개시된다. 도료의 분무량 및 분무 형상은 트리거 레버(34)의 당김 상태에 따라 조정한다.
분무를 중지할 때는, 트리거 레버(34)를 당기는 것을 멈추고, 도 1에 도시하는 반 당김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압 공기가 터빈 공기 통로(242) 및 세이핑 공기 통로(244)에 공급되고, 모터 샤프트(204) 및 벨(206)이 고속 회전되며, 벨(206)과 내부 케이스(236) 사이 및 내부 케이스(236)와 외부 형상 케이스(234) 사이로부터 고압 공기가 분사되고 있다. 따라서, 이 상태부터 용이하게 분무를 개시할 수가 있다.
도장 작업을 완전하게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캠 레버(34)의 조작 돌기(60)를 조작자의 엄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누름으로 인해 해제 조작 즉 캠 레버(32)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캠 핀(49)은 캠(32C)의 중간단 상부(62)로부터 후방 단부(64)로 이동되고, 캠 레버(32)의 구속이 없어진 트리거 레버는 도 3에 도시하는 해방 상태로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무되는 도료의 공급량을 변경해도 벨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하여 소정의 분무 상태를 유지하는 것 등, 분무되는 도료의 공급량과 벨의 회전수의 관계를 제어할 수 있는 회전 분무형 도장기를 구성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한, 도료 분무를 중지시키기 위해 트리거 레버를 당기는 힘을 제거해도, 도료 공급이 정지하여 분무가 실행되지 않게 되지만, 벨은 계속 회전한다. 그 결과, 다음의 도료 분무를 즉시 행할 수가 있어 고품질로 효율이 좋은 도장을 행할 수 있는 회전 분무형 도장기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게다가, 상술한 도료 분무를 중지시키기 위해 트리거 레버를 당기는 힘을 제거하고 또한 도료 공급을 정지시켜 분무를 하지 않는 상태로부터 용이하게 벨에 고압 가스를 공급하지 않는 휴지 상태로 할 수 있는 회전 분무형 도장기를 구성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통 형상의 도료 가이드 부재를 배치하고, 그 도료 가이드 부재의 주위에 배치된 에어 모터에 의해 그 도료 가이드 부재의 전방에 배치된 분무 디스크가 부착된 벨을 회전시키도록 구성하고, 상기 도료 가이드 부재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토출된 도료를, 회전하는 상기 분무 디스크가 부착된 벨에 의해 분무하는 회전 분무형 도장기에 있어서,
    상기 에어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공기 유로에, 트리거 레버와 연동하는 밸브 장치를 설치하고, 그 밸브 장치는
    원통 구멍 부재와 그 안에서 공극을 두고 왕복 이동하는 원통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 구멍 부재의 원통 구멍으로의 상기 원통 부재의 삽입 위치에 따라서 통과 공기를 조정하는 원통 밸브와,
    원 구멍 부재와 그곳을 폐색하도록 삽입되는 원추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 구멍 부재의 원 구멍과 상기 원추 부재의 원추면의 간격을 변경함으로써 통과 공기를 조정하는 원추 밸브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분무형 도장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 부재와 상기 원추 부재가 상기 트리거 레버와 연동하는 동일한 연결 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분무형 도장기.
  3. 제 1항에 있어서,
    도료를 분무하는 상기 트리거 레버의 소정의 당김 영역에 있어서, 트리거 레버의 당김량에 대응하여 도료의 공급량을 증가시키고, 한편 상기 원통구멍으로의 상기 원통 부재의 삽입량을 감소시켜 공기 공급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벨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분무형 도장기.
  4. 제 3항에 있어서,
    도료를 분무하는 상기 트리거 레버의 소정의 당김 영역에 있어서, 도료 공급량의 변화에 관계없이 상기 벨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분무형 도장기.
  5. 통 형상의 도료 가이드 부재를 가지며, 그 도료 가이드 부재의 주위에 배치 된 에어 모터에 의해 그 도료 가이드 부재의 전방에 배치된 분무 디스크가 부착된 벨을 회전시키도록 구성하고, 상기 도료 가이드 부재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토출된 도료를 회전하는 상기 분무 디스크가 부착된 벨에 의해 분무하는 회전 분무형 도장기에 있어서,
    상기 분무 디스크가 부착된 벨의 회전 및 도료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트리가 레버부가, 상기 분무 디스크가 부착된 벨을 회전시키지 않는 휴지 상태와 상기 분무 디스크가 부착된 벨을 회전시켜 도료를 최대한 공급하는 풀 당김 상태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고, 상기 휴지 상태와 풀 당김 상태 사이에 상기 분무 디스크가 부착된 벨을 회전시키지만 도료를 공급하지 않는 반 당김 상태가 있고,
    휴지 상태로부터 반 당김 상태는 상기 트리거 레버부를 당기는 한번의 조작으로 행하고, 그 후 상기 트리거 레버부는 풀 당김 상태와 반 당김 상태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며, 반 당김 상태로부터 휴지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 트리거 레버부의 해제 조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분무형 도장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레버부가, 트리거 레버와 그 트리거 레버의 요동면과 평행한 면내에서 요동 가능하게 또한 한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도록 힘을 받는 캠 레버를 가지고, 그 캠 레버에 설치한 캠에는 회전 분무형 도장기 보디에 고착된 캠 핀이 걸어맞춰지고, 상기 캠은 풀 당김 상태와 반 당김 상태 및 이들 사이의 상태를 가능하게 하는 작동 캠부와, 상기 캠 레버의 회전 운동 부세 방향과 대략 반대 방향의 조작에 의해 반 당김 상태로부터 휴지 상태로 변화시키는 휴지 캠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분무형 도장기.
KR1020040026732A 2003-04-21 2004-04-19 회전 분무형 도장기 KR1005970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15822A JP2004321845A (ja) 2003-04-21 2003-04-21 回転霧化型塗装機
JPJP-P-2003-00115822 2003-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1557A true KR20040091557A (ko) 2004-10-28
KR100597021B1 KR100597021B1 (ko) 2006-07-06

Family

ID=33496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732A KR100597021B1 (ko) 2003-04-21 2004-04-19 회전 분무형 도장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4321845A (ko)
KR (1) KR100597021B1 (ko)
CN (1) CN1298435C (ko)
TW (1) TWI250046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111B1 (ko) * 2004-12-30 2006-05-08 박주호 용기형 물품의 내면 도장을 위한 회전도장장치
KR101229696B1 (ko) * 2009-12-30 2013-02-05 박근조 스프레이 건
KR101530424B1 (ko) * 2013-08-14 2015-06-19 (주)네추럴리즘 에어브러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3211A (zh) * 2018-05-22 2018-08-14 台州市洛克赛工具有限公司 一种带有扳机锁定机构的喷枪
EP3965957A4 (en) * 2019-05-10 2023-11-08 Henkel AG & Co. KGaA APPLICATOR FOR HAZARDOUS GOODS
CN113059166B (zh) * 2021-02-22 2022-12-20 中国兵器科学研究院宁波分院 一种eiga激波锥装置
CN114504726B (zh) * 2022-04-19 2022-08-09 浙江伽奈维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流速的静脉喷注激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0683B2 (ja) * 1992-09-11 1998-1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霧化静電塗装装置
JPH09993A (ja) * 1995-06-19 1997-01-07 Honda Motor Co Ltd 静電塗装装置
JPH09122543A (ja) * 1995-10-27 1997-05-13 Abb Ind Kk 回転霧化頭型静電塗装機
JP3415458B2 (ja) * 1998-01-13 2003-06-09 Abb株式会社 回転霧化頭型塗装装置
JP2001205143A (ja) * 2000-01-26 2001-07-31 Ransburg Ind Kk 2つのタイプに使い分けることのできる静電塗装機及びその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111B1 (ko) * 2004-12-30 2006-05-08 박주호 용기형 물품의 내면 도장을 위한 회전도장장치
KR101229696B1 (ko) * 2009-12-30 2013-02-05 박근조 스프레이 건
KR101530424B1 (ko) * 2013-08-14 2015-06-19 (주)네추럴리즘 에어브러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321845A (ja) 2004-11-18
KR100597021B1 (ko) 2006-07-06
TW200507944A (en) 2005-03-01
CN1539556A (zh) 2004-10-27
TWI250046B (en) 2006-03-01
CN1298435C (zh) 2007-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4233B1 (ko) 페인트 스프레이건
JP2582204B2 (ja) 流体スプレーガン
US4911365A (en) Spray gun having a fanning air turbine mechanism
US5165605A (en) Low pressure air atomizing spray gun
KR100559176B1 (ko) 회전 분무형 도장기
US4171096A (en) Spray gun nozzle attachment
CA1321370C (en) Spray gun
US7568635B2 (en) Turbo spray nozzle and spray coating device incorporating same
JPS6140468B2 (ko)
JP2001259487A (ja) エアスプレーガン
US20180071757A1 (en) Device for rotating a fluid inside a spray nozzle, assembly comprising such a device and coating device
KR100597021B1 (ko) 회전 분무형 도장기
CN109127177A (zh) 一种可变孔径的涂料喷头
US9427754B2 (en) Rotary atomizer
US20210394208A1 (en) Fluid sprayer and components of a fluid sprayer
JP2006192405A (ja) 塗装用スプレーガン
JPH03114559A (ja) スプレーガン
JP2023541201A (ja) スプレーガン用ファン空気レバー
JP3398035B2 (ja) ニードルレス二液同心ノズルスプレーガン
KR100759928B1 (ko) 액체분무장치
JP2732205B2 (ja) 噴霧器
JPH1147645A (ja) エアー併用型エアレスガン
JP2024044990A (ja) 噴射ノズル
RU1771818C (ru)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JPH11216394A (ja) スプレ−ガ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