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0558A -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0558A
KR20040090558A KR1020030024424A KR20030024424A KR20040090558A KR 20040090558 A KR20040090558 A KR 20040090558A KR 1020030024424 A KR1020030024424 A KR 1020030024424A KR 20030024424 A KR20030024424 A KR 20030024424A KR 20040090558 A KR20040090558 A KR 20040090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organic
display device
electroluminescent display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4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0778B1 (ko
Inventor
이준엽
권장혁
최용중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4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0778B1/ko
Priority to JP2003282124A priority patent/JP2004319424A/ja
Priority to US10/648,194 priority patent/US7126271B2/en
Priority to CNA2003101165319A priority patent/CN1610463A/zh
Priority to EP04090008A priority patent/EP1469535B1/en
Publication of KR20040090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0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7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6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10K50/171Electron inj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8Carrier 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21Metal complexes comprising a group IIIA element, e.g. Tris (8-hydroxyquinoline) gallium [Gaq3]
    • H10K85/324Metal complexes comprising a group IIIA element, e.g. Tris (8-hydroxyquinoline) gallium [Gaq3] comprising aluminium, e.g. Alq3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사이에 발광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극 층에 접한 제 1 유기막 층은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1 유기막층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는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과 전하 수송층 물질을 포함하는 제 2 유기막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효율, 휘도 및 수명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을 개선하여 구동전압이 낮고 외부환경에 안정되며 수명 특성이 우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최근,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음극선관(CRT)이나 액정 디바이스(LCD)에 비하여 박형, 넓은 시야각, 경량, 소형, 빠른 응답 속도, 및 소비전력 작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양극, 유기막층, 음극의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한 제조 공정을 통하여 쉽게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유기막층은 기능에 따라 여러 층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정공 주입층, 정공 전달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투명 전극(7)인 양극으로부터 정공이 주입되고 주입된 정공이 정공 주입층(6)과 정공 전달층(5)을 통하여 발광층(4)으로 전달되고, 음극(1)으로부터는 전자가 주입되어 전자 주입층(2)과 전자 수송층(3)을 통하여 발광층(4)으로 전달된다. 전달된 전자와 정공은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빛을 내게 된다.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전압 및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을 개선하는 방법이 있다. 미국 특허 제5,776,622호에 따르면 구동 전압 개선을 위하여 전자 수송층과 금속 전극 사이에 LiF, BaF2, CsF 등의 절연성 물질을 1 nm 정도로 증착하여 디바이스의 특성을 개선하였다.
캐소드에 인접한 유기 전자 수송층에 Li와 같은 알칼리 금속 계열의 물질을 도핑한 층을 전자 주입층으로 사용하여 구동 전압이 감소하는 결과가 발표되었으며(SID 97, Digest, P775), 미국 특허 제6,396,209호에서는 전자 주입층으로 유기 금속 착체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알칼리 금속의 도핑에 의한 구동 전압의 감소는 캐소드로부터의 전자 주입 장벽이 제거되어 전자의 주입이 원활해지는 것에 기인한다. 그러나, Li 계열의 물질은 산화에 민감하고 확산이 크게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금속 도핑의 경우 도핑 금속의 농도가 디바이스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도핑 농도를 세밀하게 조절해야 할 필요가 있다.
미국 특허 제6,396,209호에서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전자 주입층을 전자 수송 물질과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의 혼합층을 사용하고 그 위에 금속을 증착하는 구조를 사용하였다. 전자 수송 물질과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구동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증착 공정의 난이도 및 소자의 안정성에서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소자 특성을 갖기 위한 새로운 디바이스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형성할 때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을 개선하여 구동전압이 낮은 디바이스 구조를 개발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다른 목적은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을 개선하여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환경에 안정한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작하여 디바이스의 수명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도 1은 통상의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사이에 발광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극 층에 접한 제 1 유기막 층은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1 유기막층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는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과 전하 수송층 물질을 포함하는 제 2 유기막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발광층으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극과 접한 면에는 할로겐화 금속(metal halide)으로 이루어진 제 1 층과 상기 제 1 층 하면에 위치하고 있고 전하 수송층 물질과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로 이루어진 제 2 층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통상의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된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기판 위에 순서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 1 전극(7) 및 제 2 전극(1)과, 상기 제 1 전극(7)과 제 2 전극(1)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최소한 하나의 발광층(4)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층(10)을 포함하며, 상기 유기막층(10)은 발광층(4)과 제 2 전극(1) 사이에 제 1 유기막 층(8)을 포함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통상의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전자 주입층(2)을 개선하여 제 1 유기막 층(8)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하 전달성을 더욱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발광층(4)과 제 1 유기막 층(8) 사이에 제 2 유기막 층(9)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유기막 층(8)은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을 사용하여 적층한다.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로는 리간드로서 8-퀴로리노라토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트리스(8-퀴놀리노라토)알루미늄, 8-퀴놀리노라토리튬 등 이의 유도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유기막 층은 10 nm 이하의 두께로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10 nm 이하의 두께로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10 nm 이상으로 적층하면 전류 주입이 원활하지 않아 구동전압이 상승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으며, 0. 5 nm 이하이면 전자 주입층으로 역할을 하지 못하여 구동전압이 상승하고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알칼리 금속 이온, 알칼리 토금속 이온, 희토류 이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전자 수송층(3)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과 혼합하여 용액 공정을 통하여 박막을 형성하거나 또는 전하 수송층 물질과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을 진공 하에서 공증착하여 두 물질이 혼합되어 있는 박막인 제 2 유기막 층(9)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은 리간드로서 8-퀴로리노라토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트리스(8-퀴놀리노라토)알루미늄, 8-퀴놀리노라토리튬 등 이의 유도체들을 모두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알칼리 금속 이온, 알칼리 토금속 이온, 희토류 금속 이온을 포함하고 있으며, 기존의 전자 수송층 대비 75 중량% 이하의 농도로 제 2 유기막 층(9)에 포함된다.
상기 전하 수송 수단은 전자인고, 전하 수송층 물질로는 특정 물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표적인 물질은 폴리사이클릭 하이드로 카본 계열 유도체,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및 그 유도체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박막인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로 이루어진 제 1 유기막 층(8)은 제 2 전극(1)과 인접하게 위치하게 된다.
제 2 전극(1)이 캐소드인 경우에는 금속 전극으로 사용하며 금속 전극으로는 Al, Ag, Yt 및 메탈 헬라이드(metal halid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러한 물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 1 전극(7)은 애노드가 되면 통상 투명 전극인 ITO 또는 IZO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언급된 실시예의 제 1 유기막층(8) 대신에 제 1층으로 금속 할라이드 및 본 실시예의 제 2 층은 제 실시예의 상기 제 2 유기막층과 동일게 사용한다.
상기 금속 할라이드는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 금속 및 희토류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금속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층의 두께는 10 nm 이하이고,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10 nm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기적 특성을 보다 개선하기 위하여 전자 수송층 또는 정공 저지층(3)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수송층 또는 정공 방지층(3)은 발광층(4)과 제 2 유기막 층(9) 사이에 형성되며, 통상의 전자 수송층 또는 정공 방지층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 원리를 살펴보면, 도 2에서 제 2 전극(1)으로부터 전자가 주입되며,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로 이루어진 제 1 유기막 층(8)이 전자 수송층 물질과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의 혼합물인 제 2 유기막 층(9)으로의 에너지 장벽을 제거하여 제 2 전극(1)에서 발생된 전자의 주입을 용이하게 해 준다.
즉, 제 1 유기막 층(8) 및 제 2 유기막 층(9)은 기존의 전자 주입층(2)의 역할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즉, 전자 수송 물질과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의 혼합층인 제 2 유기막 층(9)은 전자의 주입 및 전달을 용이하게 해 주는 역할을 하며 전자 수송층 또는 정공 방지층(3)은 전자 전달과 함께 정공의 이동을 막는 역할을 한다.
정공은 제 1 전극(7)으로 정공 주입층(6)을 통하여 정공 전달층(7)을 거쳐서 발광층(4)에서 제 2 전극으로부터 이동해 온 전자와 결합하여 발광하게 된다. 상기 제 1 전극(7)은 통상의 애노드 전극이고, ITO 또는 IZO와 같은 투명 전극을 사용할 수 있다.
기존의 전자 주입층은 수 nm의 얇은 두께에서 발광 특성 및 수명 특성이 가장 우수한 값을 보이는데, 이 경우에는 전자 주입층이 연속층으로 증착되지 못하고 섬(island) 형태로 증착되어 불균일한 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수 nm의 전자 주입층 아래에 추가적으로 전자수송 물질과 전자 주입층 물질의 혼합물의 혼합층을 추가적으로 도입하여 기존의 구조보다 전자 주입을 용이하게 하였다. 이렇게 하면 전자의 주입이 원할하여 휘도가 증가하고 효율이 증가하며 수명이 증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자 수송 물질과 전자 주입층 물질의 혼합물의 혼합층은 전자 수송층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전자 수송층이 도입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면 박막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 층을 사용함으로써 전자 주입 장벽이 제거되어 구동 전압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으며, 효율 및 휘도도 상승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기존의 전자 수송층과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 층의 혼합층인 전자 주입층이 도입됨으로써 전자 수송이 보다 원활하게 되어 추가적으로 구동 전압 하강 및 효율 및 휘도 상승 효과를 얻는다. 또한, 디바이스의 안정성이 향상되어 디바이스의 수명이 향상되는 효과를 보인다.
본 발명에서 제 1 유기막 층(8) 및 제 2 유기막 층(9)에 사용되는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은 동일한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을 사용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다만, 하기하는 실시예는 본발명을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ITO 투명 전극 위에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의 정공 주입층으로 프탈로시아닌 구리(copper phthalocyanine)(CuPc)를 10-6Torr의 진공 하에서 10 nm 두께로 증착한 후 정공 수송층으로 N,N'-디(1-나프틸)-N,N'-디페닐벤지딘(NPD)을 10-6Torr의 진공 하에서 50 nm의 두께로 증착하였다. NPD 증착 후 발광층으로 카바졸비페닐(CBP)에 이리듐트리스(페닐피리딘)(Iridium tris(phenylpyridine); Irppy3)을 5 % 농도로 도핑한 발광층을 30 nm 두께로 형성하였다. 발광층 증착 후 정공 저지층으로 비페녹시-비(8-퀴놀리노라토)알루미늄(biphenoxy-bi(8-quinolinolato)aluminium; BAlq)을 5 nm로 증착한 후 전자 수송층으로 트리스(8-퀴놀리노라토)알루미늄(tris(8-quinolinolato)aluminium; Alq)과 8-퀴놀리노라토 리튬(8-quinolinolato lithium; Liq)을 3:1의 비율로 10-6Torr의 진공하에서 1 nm 두께로 증착하였다. 상기 전자 수송층 증착후 Liq를 1nm 두께로 진공증착하였다. 마지막으로 금속 전극으로 Al을 Liq 전자 주입층 위에 300 nm의 두께로 증착한 후 금속 캔 및 산화바륨을 이용하여 봉지하였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한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6 V에서 휘도 1,000 cd/㎡, 효율 25 cd/A, 그리고 400 cd/㎡에서 수명 1,000 시간을보였다.
실시예 2
ITO 투명 전극 위에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의 정공 주입층으로 프탈로시아닌 구리(copper phthalocyanine)(CuPc)를 10-6Torr의 진공 하에서 10 nm 두께로 증착한 후 정공 수송층으로 N,N'-디(1-나프틸)-N,N'-디페닐벤지딘(NPD)을 10-6Torr의 진공 하에서 50 nm의 두께로 증착하였다. NPD 증착 후 발광층으로 카바졸비페닐(CBP)에 이리듐트리스(페닐피리딘)(Iridium tris(phenylpyridine); Irppy3)을 5 % 농도로 도핑한 발광층을 30 nm 두께로 형성하였다. 발광층 증착 후 정공 저지층으로 비페녹시-비(8-퀴놀리노라토)알루미늄(biphenoxy-bi(8-quinolinolato)aluminium; BAlq)을 5 nm로 증착한 후 전자 수송층으로 트리스(8-퀴놀리노라토)알루미늄(tris(8-quinolinolato)aluminium; Alq)을 20 nm 증착한 후, 트리스(8-퀴놀리노라토)알루미늄(tris(8-quinolinolato)aluminium; Alq)과 8-퀴놀리노라토 리튬(8-quinolinolato lithium; Liq)을 3:1의 비율로 10-6Torr의 진공하에서 1 nm 두께로 증착하였다. 상기 전자 주송층 증착후 LiF를 1 nm의 두께로 진공증착하였다. 마지막으로 금속 전극으로 Al을 LiF 전자 주입층 위에 300 nm의 두께로 증착한 후 금속 캔 및 산화바륨을 이용하여 봉지하였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한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6 V에서 휘도 900 cd/㎡, 효율 24 cd/A, 그리고 400 cd/㎡에서 수명 900 시간을 보였다.
실시예 3
ITO 투명 전극 위에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의 정공 주입층으로 프탈로시아닌 구리(copper phthalocyanine)(CuPc)를 10-6Torr의 진공 하에서 10 nm 두께로 증착한 후 정공 수송층으로 N,N'-디(1-나프틸)-N,N'-디페닐벤지딘(NPD)을 10-6Torr의 진공 하에서 50 nm의 두께로 증착하였다. NPD 증착 후 발광층으로 카바졸비페닐(CBP)에 이리듐트리스(페닐피리딘)(Iridium tris(phenylpyridine); Irppy3)을 5 % 농도로 도핑한 발광층을 30 nm 두께로 형성하였다. 발광층 증착 후 정공 저지층으로 비페녹시-비(8-퀴놀리노라토)알루미늄(biphenoxy-bi(8-quinolinolato)aluminium; BAlq)을 5 nm로 증착한 후, 트리스(8-퀴놀리노라토)알루미늄(tris(8-quinolinolato)aluminium; Alq)과 8-퀴놀리노라토 리튬(8-quinolinolato lithium; Liq)을 3:1의 비율로 10-6 Torr의 진공하에서 20 nm 두께로 증착하였다. 상기 전자 주송층 증착후 Liq를 1 nm의 두께로 진공증착하였다. 마지막으로 금속 전극으로 Al을 Liq 전자 주입층 위에 300 nm의 두께로 증착한 후 금속 캔 및 산화바륨을 이용하여 봉지하였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한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6 V에서 휘도 1,200 cd/㎡, 효율 27 cd/A, 그리고 400 cd/㎡에서 수명 1,200 시간을 보였다.
실시예 4
ITO 투명 전극 위에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의 정공 주입층으로 프탈로시아닌 구리(copper phthalocyanine)(CuPc)를 10-6Torr의 진공 하에서 10 nm 두께로 증착한 후 정공 수송층으로 N,N'-디(1-나프틸)-N,N'-디페닐벤지딘(NPD)을 10-6Torr의 진공 하에서 50 nm의 두께로 증착하였다. NPD 증착 후 발광층으로 카바졸비페닐(CBP)에 이리듐트리스(페닐피리딘)(Iridium tris(phenylpyridine); Irppy3)을 5 % 농도로 도핑한 발광층을 30 nm 두께로 형성하였다. 발광층 증착 후 정공 저지층으로 비페녹시-비(8-퀴놀리노라토)알루미늄(biphenoxy-bi(8-quinolinolato)aluminium; BAlq)을 5 nm로 증착한 후, 트리스(8-퀴놀리노라토)알루미늄(tris(8-quinolinolato)aluminium; Alq)과 8-퀴놀리노라토 리튬(8-quinolinolato lithium; Liq)을 3:1의 비율로 10-6Torr의 진공하에서 20 nm 두께로 증착하였다. 상기 전자 주송층 증착후 LiF를 1 nm의 두께로 진공증착하였다. 마지막으로 금속 전극으로 Al을 Liq 전자 주입층 위에 300 nm의 두께로 증착한 후 금속 캔 및 산화바륨을 이용하여 봉지하였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한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6 V에서 휘도 1,100 cd/㎡, 효율 26 cd/A, 그리고 400 cd/㎡에서 수명 1,100 시간을 보였다.
비교예 1
ITO 투명 전극 위에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공 주입층으로 프탈로 시아닌 구리(copper phthalocyanine)(CuPc)을 10-6Torr의 진공 하에서 10 nm 두께로 증착한 후 정공수송층으로 N,N'-디(1-나프틸)-N,N'-디페닐벤지딘(NPD)을 10-6Torr의 진공하에서 50 nm의 두께로 증착하였다. NPD 증착 후 발광층으로 카바졸비페닐(CBP)에 이리듐트리스(페닐피리딘)(Iridium tris(phenylpyridine); Irppy3)을 5 % 농도로 도핑한 발광층을 30 nm 두께로 형성하였다. 발광층 증착 후 정공 저지층으로 비페녹시-비(8-퀴놀리노라토)알루미늄(biphenoxy-bi(8-quinolinolato)aluminium; BAlq)을 5 nm로 증착한 후 전자 수송층으로 트리스(8-퀴놀리노라토)알루미늄(tris(8-quinolinolato)aluminium; Alq)과 8-퀴놀리노라토 리튬(8-quinolinolato lithium; Liq)을 1:1의 비율로 10-6Torr의 진공 하에서 20 nm 두께로 증착하였다. 전자 수송층 증착 후 금속 전극으로 Al을 전자 수송층 위에 300 nm의 두께로 증착한 후 금속 캔 및 산화바륨을 이용하여 봉지하였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한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6 V에서 휘도 800 cd/㎡, 효율 25 cd/A, 그리고 400 cd/㎡에서 수명 550 시간을 보였다.
비교예 2
ITO 투명 전극 위에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공 주입층으로 프탈로시아닌 구리(copper phthalocyanine)(CuPc)를 10-6Torr의 진공 하에서 10 nm 두께로 증착한 후 정공 수송층으로 N,N'-디(1-나프틸)-N,N'-디페닐벤지딘(NPD)을10-6Torr의 진공하에서 50 nm의 두께로 증착하였다. NPD 증착 후 발광층으로 카바졸비페닐(CBP)에 이리듐트리스(페닐피리딘)(Iridium tris(phenylpyridine); Irppy3)을 5 % 농도로 도핑한 발광층을 30 nm 두께로 형성하였다. 발광층 증착 후 정공 저지층으로 비페녹시-비(8-퀴놀리노라토)알루미늄(biphenoxy-bi(8-quinolinolato)aluminium; BAlq)을 5 nm로 증착한 후 전자 수송층으로 트리스(8-퀴놀리노라토)알루미늄(tris(8-quinolinolato)aluminium; Alq)을 10-6Torr의 진공하에서 20 nm 두께로 증착하였다. 전자 수송층인 Alq 증착 후 전자 주입층으로 Liq를 3 nm의 두께로 증착하였다. 마지막으로 금속 전극으로 Al을 Liq 전자 주입층 위에 300 nm의 두께로 증착한 후 금속 캔 및 산화바륨을 이용하여 봉지하였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한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6 V에서 휘도 1,000 cd/㎡, 효율 21 cd/A, 그리고 400 cd/㎡에서 수명 500 시간을 보였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를 하기의 표 1로 나타내었다.
디바이스 구조 휘도@6v(nit) 효율(cd/A) 수명(h)
Al/Liq/Alq3:Liq/Alq3/발광층(실시예 1) 1000 25 1000
Al/LiF/Alq3:Liq/Alq3/발광층(실시예 2) 900 24 900
Al/Liq/Alq3:Liq/발광층(실시예 3) 1200 27 1200
Al/LiF/Alq3:Liq/발광층(실시예 4) 1100 26 1100
Al/Alq3:Liq/Alq3/발광층(비교예1) 1000 21 500
Al/Liq/Alq3/발광층(비교예2) 800 25 500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는 비교예 1보다 효율 면에서 약 20 % 정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비교예 2 보다는 휘도 특성이 약 20 % 정도 우수하다. 또한, 수명면에서는 실시예 1 내지 4의 디바이스는 비교예 1 및 2의 디바이스보다 100 % 이상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금속-유기 착체 화합물을 전자 주입층으로 금속-유기 착체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구조에 비하여 효율 및 휘도가 20 % 이상 향상되며, 수명은 80 % 이상 향상되었다.

Claims (20)

  1.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사이에 발광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극 층에 접한 제 1 유기막 층은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1 유기막층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는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과 전하 수송층 물질을 포함하는 제 2 유기막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수송 수단은 전자인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수송층 물질은 폴리사이클릭 하이드로 카본 계열 유도체,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이 물질인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은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및 희토류 금속 중 1종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기막 층의 두께는 10 nm 이하인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기막 층의 두께는 0.5 내지 10 nm 이하인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기막층의 두께는 10 nm 이하인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기막 층은 상기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을 75 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항 및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은 리간드로서 8-퀴로리노라토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트리스(8-퀴놀리노라토)알루미늄, 8-퀴놀리노라토리튬, 또는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의 화합물인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공 저지층을 더욱 포함하는 것인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발광층으로 포함하며, 상기 제 2 전극과 접한 면에는 할로겐화 금속(metal halide)으로 이루어진 제 1 층과 상기 제 1 층 하면에 위치하고 있고 전하 수송층 물질과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로 이루어진 제 2 층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수송 수단은 전자인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수송층 물질은 폴리사이클릭 하이드로 카본 계열 유도체,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이 물질인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 및 할로겐화 금속 각각은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 금속, 및 희토류 금속 중 1종 이상의 금속인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의 두께는 10 nm 이하인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의 두께는 0.5 내지 10 nm인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의 두께는 10 nm 이하인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에서 상기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은 전자 수송층 물질과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을 혼합한 혼합물 층의 무게에 대하여 75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인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1항에 있어서,
    제 1 층 및 제 2 층의 상기 유기-금속 착체 화합물은 리간드로서 8-퀴로리노라토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트리스(8-퀴놀리노라토)알루미늄, 8-퀴놀리노라토리튬, 또는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의 화합물인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공 저지층을 더욱 포함하는 것인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30024424A 2003-04-17 2003-04-17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60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424A KR100560778B1 (ko) 2003-04-17 2003-04-17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JP2003282124A JP2004319424A (ja) 2003-04-17 2003-07-29 有機電界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
US10/648,194 US7126271B2 (en) 2003-04-17 2003-08-27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having bi-layer electron injection structure
CNA2003101165319A CN1610463A (zh) 2003-04-17 2003-11-14 有机电致发光显示设备
EP04090008A EP1469535B1 (en) 2003-04-17 2004-01-13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424A KR100560778B1 (ko) 2003-04-17 2003-04-17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558A true KR20040090558A (ko) 2004-10-26
KR100560778B1 KR100560778B1 (ko) 2006-03-13

Family

ID=32906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4424A KR100560778B1 (ko) 2003-04-17 2003-04-17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26271B2 (ko)
EP (1) EP1469535B1 (ko)
JP (1) JP2004319424A (ko)
KR (1) KR100560778B1 (ko)
CN (1) CN16104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975B1 (ko) * 2007-04-17 2008-05-30 황장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EP3457450A1 (de) 2008-12-22 2019-03-20 Merck Patent GmbH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0867B2 (en) * 2003-12-05 2006-07-04 Th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OLEDs having n-type doping
US7480764B2 (en) * 2004-03-18 2009-01-20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with overlapping segment information thereon and apparatus and methods for forming, recording, and reproducing the recording medium
US7517595B2 (en) 2005-03-10 2009-04-14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luminescent devices with mixed electron transport materials
US20060246315A1 (en) * 2005-04-27 2006-11-02 Begley William J Phosphorescent oled with mixed electron transport materials
CN100433402C (zh) * 2005-05-31 2008-11-12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
US20060286405A1 (en) 2005-06-17 2006-12-21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ment for low voltage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20060286402A1 (en) * 2005-06-17 2006-12-21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ment for low voltage electroluminescent devices
KR100806812B1 (ko) 2005-07-25 2008-02-2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72535B1 (ko) * 2005-07-25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7563518B2 (en) * 2005-07-28 2009-07-21 Eastman Kodak Company Low voltage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US7767317B2 (en) * 2005-10-26 2010-08-03 Global Oled Technology Llc Organic element for low voltage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8956738B2 (en) 2005-10-26 2015-02-17 Global Oled Technology Llc Organic element for low voltage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20070092754A1 (en) * 2005-10-26 2007-04-26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ment for low voltage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20070092759A1 (en) * 2005-10-26 2007-04-26 Begley William J Organic element for low voltage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20070092755A1 (en) * 2005-10-26 2007-04-26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ment for low voltage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20070092753A1 (en) * 2005-10-26 2007-04-26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ment for low voltage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20070099810A1 (en) * 2005-10-27 2007-05-03 Hiroshi Matsunaga Cleaning liquid and cleaning method
JP4273132B2 (ja) * 2006-04-03 2009-06-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発光素子の製造方法
GB2440368A (en) * 2006-07-26 2008-01-30 Oled T Ltd Cathode coating for an electroluminescent device
US20080032123A1 (en) * 2006-08-02 2008-02-07 Spindler Jeffrey P Dual electron-transporting layer for oled device
US20080176099A1 (en) * 2007-01-18 2008-07-24 Hatwar Tukaram K White oled device with improved functions
US8795855B2 (en) 2007-01-30 2014-08-05 Global Oled Technology Llc OLEDs having high efficiency and excellent lifetime
KR100879476B1 (ko) * 2007-09-28 2009-01-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US8076009B2 (en) 2007-10-26 2011-12-13 Global Oled Technology, Llc. OLED device with fluoranthene electron transport materials
US8431242B2 (en) * 2007-10-26 2013-04-30 Global Oled Technology, Llc. OLED device with certain fluoranthene host
US8129039B2 (en) 2007-10-26 2012-03-06 Global Oled Technology, Llc Phosphorescent OLED device with certain fluoranthene host
US8420229B2 (en) * 2007-10-26 2013-04-16 Global OLED Technologies LLC OLED device with certain fluoranthene light-emitting dopants
US20090110956A1 (en) * 2007-10-26 2009-04-30 Begley William J Oled device with electron transport material combination
KR20090050369A (ko) 2007-11-15 2009-05-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1481822B1 (ko) * 2007-12-07 2015-0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및 이를 구비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090062602A (ko) * 2007-12-13 2009-06-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090162644A1 (en) * 2007-12-19 2009-06-25 Ricks Michele L Organic element for low voltage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20090162612A1 (en) * 2007-12-19 2009-06-25 Hatwar Tukaram K Oled device having two electron-transport layers
KR100918401B1 (ko) 2007-12-24 2009-09-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0894066B1 (ko) 2007-12-28 2009-04-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0922755B1 (ko) * 2007-12-28 2009-10-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0898075B1 (ko) 2008-03-04 2009-05-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JP2009238910A (ja) * 2008-03-26 2009-10-15 Canon Inc 有機発光素子
US7931975B2 (en) * 2008-11-07 2011-04-26 Global Oled Technology Ll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ntaining a flouranthene compound
US8088500B2 (en) * 2008-11-12 2012-01-03 Global Oled Technology Llc OLED device with fluoranthene electron injection materials
JP5293120B2 (ja) * 2008-11-28 2013-09-18 住友化学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968215B2 (en) * 2008-12-09 2011-06-28 Global Oled Technology Llc OLED device with cyclobutene electron injection materials
US8216697B2 (en) * 2009-02-13 2012-07-10 Global Oled Technology Llc OLED with fluoranthene-macrocyclic materials
CN102369614B (zh) * 2009-03-30 2013-06-19 东丽株式会社 发光元件材料及发光元件
US20100244677A1 (en) * 2009-03-31 2010-09-30 Begley William J Oled device containing a silyl-fluoranthene derivative
US8206842B2 (en) * 2009-04-06 2012-06-26 Global Oled Technology Llc Organic element for electroluminescent devices
KR20120128483A (ko) * 2011-05-17 2012-1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KR101990553B1 (ko) * 2012-04-17 2019-06-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신규한 유기 발광 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KR102079249B1 (ko) * 2012-06-12 2020-02-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신규한 유기 발광 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US20140103316A1 (en) * 2012-10-12 2014-04-17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Organometallic complex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JP6661272B2 (ja) * 2015-02-03 2020-03-11 住友化学株式会社 有機el素子
KR102423171B1 (ko) * 2015-03-16 2022-07-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18152485A (ja) * 2017-03-14 2018-09-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素子、発光装置、光源、認証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13972340B (zh) * 2021-10-12 2022-09-09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6622A (en) * 1996-07-29 1998-07-07 Eastman Kodak Company Bilayer eletron-injeting electrode for use in an electroluminescent device
JP4514841B2 (ja) 1998-02-17 2010-07-28 淳二 城戸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JP3266573B2 (ja) 1998-04-08 2002-03-18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0003790A (ja) 1998-06-16 2000-01-07 Mitsubishi Chemicals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
JP4505067B2 (ja) * 1998-12-16 2010-07-14 淳二 城戸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JP2002008863A (ja) 2000-06-20 2002-01-11 Toray Ind Inc 発光素子
TW545080B (en) 2000-12-28 2003-08-01 Semiconductor Energy Lab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1285957A3 (en) * 2001-08-20 2005-12-21 TDK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of its preparation
US6703180B1 (en) * 2003-04-16 2004-03-09 Eastman Kodak Company Forming an improved stability emissive layer from a donor element in an OLED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975B1 (ko) * 2007-04-17 2008-05-30 황장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EP3457450A1 (de) 2008-12-22 2019-03-20 Merck Patent GmbH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69535B1 (en) 2012-06-06
US20040207318A1 (en) 2004-10-21
JP2004319424A (ja) 2004-11-11
KR100560778B1 (ko) 2006-03-13
EP1469535A3 (en) 2008-05-28
CN1610463A (zh) 2005-04-27
US7126271B2 (en) 2006-10-24
EP1469535A2 (en) 200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0778B1 (ko)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58067B1 (ko) 저휘도에서의 oled 디바이스 효율 감소
KR100501702B1 (ko)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JP4068279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210497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7179543B2 (en) Doping of organic opto-electronic devices to extend reliability
JP2015046612A (ja) 有機電界発光素子
EP1422765A2 (en) Highly efficient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N106848084B (zh) 一种oled显示面板、制作方法及含有其的电子设备
KR20080090988A (ko)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WO2002051206A2 (en) Highly efficient oleds using doped ambipolar conductive molecular organic thin films
JP2003059668A (ja) 有機発光デバイス
CN1711653A (zh) 有机器件结构及其制造方法
KR20050015902A (ko)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26055A (ko) 파이렌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00073417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CN111682125A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件、其制造方法以及显示面板
US7061175B2 (en) Efficiency transparent cathode
EP1391495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KR100317284B1 (ko) 유기 이엘(el) 소자
KR20110027484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JP2001196178A (ja) 発光素子
KR100552961B1 (ko) 유기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89744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10034800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