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0554A - 회로기판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회로기판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0554A
KR20040090554A KR1020030024410A KR20030024410A KR20040090554A KR 20040090554 A KR20040090554 A KR 20040090554A KR 1020030024410 A KR1020030024410 A KR 1020030024410A KR 20030024410 A KR20030024410 A KR 20030024410A KR 20040090554 A KR20040090554 A KR 20040090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circuit board
substrate
lifting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4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3443B1 (ko
Inventor
이주영
Original Assignee
이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영 filed Critical 이주영
Priority to KR10-2003-0024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3443B1/ko
Publication of KR20040090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0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4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84Containers and magazines for components, e.g. tube-like magaz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기판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하부영역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로기판을 적재하는 승강팔레트와, 상기 승강팔레트에 적재된 회로기판을 흡착하여 상기 컨베이어에 안착시키는 기판흡착유닛을 갖는 회로기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하강된 승강팔레트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로기판을 적재하며, 상기 승강팔레트에 회로기판이 소진되면 상기 승강팔레트로 접근하여 적재된 회로기판을 공급하는 기판공급팔레트와, 상기 기판공급팔레트를 상기 하강된 승강팔레트로 접근 및 이격시키는 공급팔레트구동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공급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회로기판의 적재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고, 먼저 적재된 회로기판이 우선적으로 컨베이어로 공급될 수 있는 회로기판 공급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회로기판 공급장치{PCB Feeder}
본 발명은, 회로기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은 기판 상에 회로도를 인쇄하는 회로마킹공정과, 회로가 인쇄된 인쇄회로기판 상에 콘덴서 및 저항 등의 각종 소자부품을 식입하는 소자식입공정을 거쳐 제작된다.
회로기판 공급장치(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마킹공정의 회로마킹기(3)나 소자식입공정의 소자자동식입기(미도시)의 전 공정에 배치되어 가공되지 않은 회로기판(5)을 회로마킹기(3)나 소자자동식입기(미도시)로 한 장씩 자동 공급해주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회로기판 공급장치(A)가 회로마킹기(3)의 전 공정(기판 유입측)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종래 회로기판 공급장치(10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0)의 내측 상부영역에 한 쌍의 컨베이어(121,123)가 케이싱(110)의 기판배출구(111)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컨베이어(121,123)의 하부에 회로기판(5)이 적재되는 승강팔레트(150)가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121,123)의 상부에는 승강팔레트(150)에 적재된 회로기판(5)을 한 장씩 흡착하여 컨베이어(121,123) 상에 안착시키는 기판흡착기(140)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회로기판 공급장치(101)는, 작업자가 승강팔레트(150)에 다수의 회로기판(5)을 적재시킨 상태에서 도시 않은 콘트롤부의 동작스위치를 온(ON)시키면, 승강팔레트(150)가 상승하여 최상부에 적재된 회로기판(5)이 컨베이어(121,123)의 하부에 인접하게 된다.
그러면, 컨베이어(121,123)의 폭이 회로기판(5)의 폭보다 넓게 벌어지면서기판흡착기(140)가 하강하게 되고, 하강된 기판흡착기(140)는 승강팔레트(150)의 최상부에 적재된 회로기판(5)을 흡착하여 컨베이어(121,123)의 상부로 다시 상승한다.
기판흡착기(140)가 상승하면 컨베이어(121,123)가 회로기판(5)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도록 좁혀지고, 기판흡착기(140)에 흡착된 회로기판(5)은 컨베이어(121,123) 상에 안착된다. 그리고, 컨베이어(121,123) 상에 안착된 회로기판(5)은 컨베이어(121,123)를 따라 기판배출구(111)로 배출되어 회로마킹기(도 1의 3)로 공급된다. 이때, 승강팔레트(150)는 다시 최상부의 회로기판(5)이 컨베이어(121,123)의 하부에 인접하도록 상승한다.
이러한 동작 과정은 승강팔레트(150)에 적재된 회로기판(5)이 소진될 때까지 반복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회로기판 공급장치에 있어서는, 단일의 승강팔레트에 적재된 회로기판이 비교적 빠르게 이송컨베이어로 공급되므로 승강팔레트에 적재된 회로기판이 단시간에 소진된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승강팔레트에 회로기판이 소진되기 전에 빈번하게 추가의 회로기판을 적재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승강팔레트에 회로기판이 소진되기 전에 작업자가 추가의 회로기판을 적재할 때 먼저 적재되어 있던 회로기판들이 추가로 적재되는 회로기판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먼저 적재된 회로기판이 이송컨베이어로 공급되지 못하고 항상 승강팔레트에 적재되어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로기판의 적재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고, 먼저 적재된 회로기판이 우선적으로 컨베이어로 공급될 수 있는 회로기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회로기판 공급장치의 설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회로기판 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기판 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 내지 도 10은 도 3의 회로기판 공급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회로기판 10 : 케이싱
20 : 컨베이어유닛 30 : 컨베이어폭조절유닛
40 : 기판흡착유닛 50 : 기판승강유닛
53 : 승강팔레트 55 : 승강구동부
60 : 기판공급유닛 61 : 기판공급팔레트
63 : 공급팔레트구동부 65 : 공급팔레트스토퍼
67 : 기판감지센서 69 : 기판적재표시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회로기판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하부영역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로기판을 적재하는 승강팔레트와, 상기 승강팔레트에 적재된 회로기판을 흡착하여 상기 컨베이어에 안착시키는 기판흡착유닛을 갖는 회로기판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강된 승강팔레트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로기판을 적재하며, 상기 승강팔레트에 회로기판이 소진되면 상기 승강팔레트로 접근하여 적재된 회로기판을 공급하는 기판공급팔레트와, 상기 기판공급팔레트를 상기 하강된 승강팔레트로 접근 및 이격시키는 공급팔레트구동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공급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공급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팔레트는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승강격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기판공급팔레트는 상기 하강된 승강팔레트에 접근된 위치에서 상기 승강격판들 사이에 겹쳐지며 상기 승강격판에 비해 높은 기판적재면을 갖는 복수의 이동격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급팔레트구동부는 상기 하강된 승강팔레트의 하부영역으로부터 수평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수평가이드봉과, 상기 기판공급팔레트를 지지하면서 상기 수평가이드봉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팔레트지지부재와, 상기 수평가이드봉의 길이방향 양측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풀리와, 양 풀리에 폐루프 형태로 설치되고 일영역이 팔레트지지부재와 결합된 이송벨트와, 양 풀리 중 어느 하나를 정역 회전시키는 왕복구동모터를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기판공급팔레트의 이격 위치에서 상기 승강팔레트가 기판을 적재하여 상승하면 상기 기판공급팔레트를 이격 위치에 고정시키고, 상기 승강팔레트가 기판을 소진하여 하강되면 상기 기판공급팔레트가 상기 승강팔레트로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는 공급팔레트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공급팔레트스토퍼는 상기 승강팔레트를 향하는 상기 기판공급팔레트 및 상기 기판공급팔레트에 적재된 회로기판의 일측 모서리영역에 접촉 및 이격되는 스토퍼앵글과, 상기 스토퍼앵글을 동작시키는 스토퍼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기판공급팔레트 상의 회로기판 적재유무를 감지하는 기판감지센서와, 상기 기판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회로기판 적재유무를 표시하는 기판적재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기판 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로기판 공급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과, 케이싱(10)의 내측 상부영역에 설치되는 컨베이어유닛(20)과, 컨베이어유닛(20)의 폭을 조절하는 컨베이어폭조절유닛(30)과, 후술할기판승강유닛(50)에서 회로기판(5)을 흡착하여 컨베이어유닛(20)으로 이동시키는 기판흡착유닛(40)과, 컨베이어유닛(20)의 하부에 설치되어 회로기판(5)을 공급하는 기판승강유닛(50)과, 기판승강유닛(50)의 일측에 설치되며 기판을 미리 적재하여 기판승강유닛(50)으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공급유닛(60)을 포함한다.
케이싱(10)의 상부 일측에는 회로마킹기(도 1의 3)의 기판 유입측을 향하는 기판통과개구(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싱(10)의 타측 하부영역에는 외부에서 후술할 승강팔레트(53) 및/또는 기판공급팔레트(61)에 회로기판(5)을 적재할 수 있도록 기판적재개구(미도시)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컨베이어유닛(20)은 케이싱(10)의 기판통과개구(11)를 향해 상호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컨베이어(21,23)와, 양 컨베이어(21,23)를 구동시키는 컨베이어모터(25)로 이루어진다. 이들 양 컨베이어(21,23) 중 어느 하나의 컨베이어(이하 "고정컨베이어(21)"라 함)는 케이싱(10)의 내벽면상에 고정되며, 다른 하나의 컨베이어는(이하 "유동컨베이어(23)"라 함)는 컨베이어폭조절유닛(30)에 의해 고정컨베이어(21)를 향해 접근 및 이격된다. 유동컨베이어(23)가 고정컨베이어(21)를 향해 접근 및 이격되는 것은 양 컨베이어(21,23)의 폭을 이송될 회로기판(5)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다양한 회로기판(5)의 규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컨베이어폭조절유닛(30)은 고정컨베이어(21)와 유동컨베이어(23) 간의 폭을 이송될 회로기판(5)의 폭에 대응하도록 셋팅하는 폭셋팅부(31)와, 폭 셋팅된 양 컨베이어(21,23) 중 유동컨베이어(23)를 셋팅된 위치로부터 소폭 후퇴시키거나 셋팅위치로 복귀시키는 컨베이어유동실린더(37)를 갖는다.
폭셋팅부(31)는 양 컨베이어(21,23)의 하부 일측영역에서 컨베이어 이송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수평 설치된 폭조절가이드봉(33)과, 폭조절가이드봉(33)과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하며 일단부에 회전핸들(도 35a)가 결합되어 있는 이송스크류(35)와, 유동컨베이어(23) 및 컨베이어유동실린더(37)를 지지하면서 폭조절가이드봉(33)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일영역이 이송스크류(35)에 나선 체결되어 있는 이동프레임(36)으로 이루어진다.
이 폭셋팅부(31)는 작업자가 이송스크류(35)를 회전시키면 이동프레임(36)이 폭조절가이드봉(33)을 따라 왕복이동함으로써 유동컨베이어(23)가 고정컨베이어(21)로 접근 및 이격된다. 이에 의해, 양 컨베이어(21,23)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이송스크류(35)의 일영역에는 이송스크류(35)의 회전을 제동하여 양 컨베이어(21,23)의 폭 셋팅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폭셋팅유지부(미도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베이어유동실린더(37)는 폭 셋팅된 유동컨베이어(23)를 셋팅위치로부터 소폭 후퇴시켰다가 다시 셋팅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는 기판흡착유닛(40)이 하강하여 기판승강유닛(50)에 적재된 회로기판(5)을 양 컨베이어(21,23)의 상부로 올릴 때회로기판(5)이 양 컨베이어(21,23)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기판흡착유닛(40)은 양 컨베이어(21,23)의 상부영역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흡착기지지부재(41)와, 흡착기지지부재(41)의 하부면에 결합된 복수의 흡착기(43)와, 흡착기지지부재(41)를 상하 승강시키는 흡착기승강실린더(45)로 이루어져 있다.
이 기판흡착유닛(40)의 동작을 살펴본다. 후술할 승강팔레트(53)에 적재된 회로기판(5)이 양 컨베이어(21,23)의 하부에 인접하게 상승되면, 흡착기승강실린더(45)가 흡착기지지부재(41)를 하강시켜서 흡착기(43)를 회로기판(5)으로 접근시킨다. 그러면, 도시 않은 컴프레셔가 흡착기(43)를 통해 에어를 흡입하여 회로기판(5)이 흡착기(43)에 흡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흡착기승강실린더(45)가 흡착기지지부재(41)를 상승시켜서 회로기판(5)을 양 컨베이어(21,23)의 상부영역으로 상승시킨다. 이때, 유동컨베이어(23)는 셋팅위치로부터 소폭 후퇴되었다가 회로기판(5)의 상승이 완료되면 셋팅위치로 복귀된다. 회로기판(5)이 양 컨베이어(21,23)의 상부로 상승되면 컴프레셔(미도시)는 에어흡입을 해제하여 흡착기(43)에 흡착되어 있던 회로기판(5)을 양 컨베이어(21,23) 상에 안착시킨다. 기판흡착유닛(40)은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 승강팔레트(53)에 적재된 회로기판(5)을 한 장씩 컨베이어유닛(20)으로 이동시킨다.
기판승강유닛(50)은 고정컨베이어(21)의 하측에 상하방향으로 수직 설치된기판정렬판(51)과, 양 컨베이어(21,23) 하부영역에 승강 가능하게 수평 설치된 승강팔레트(53)와, 승강팔레트(53)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55)를 갖는다.
기판정렬판(51)의 판면에는 후술할 승강팔레트지지부재(55e)의 일부분이 승강 가능하게 통과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장공의 승강안내구(5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판정렬판(51)은 승강팔레트(53)에 적재되는 회로기판(5)이 기판정렬판(51)을 기준으로 가지런히 적재될 수 있도록 정렬면을 형성한다.
승강팔레트(53)는 기판정렬판(51)에 대해 가로방향을 향하는 복수의 승강격판(53a)이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 승강팔레트(53)는 각 승강격판(53a)의 일측이 기판정렬판(51)의 승강안내구(51a)를 통과한 승강팔레트지지부재(55e)의 일측부에 결합되어 승강한다.
승강구동부(5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정렬판(51)의 이면(승강팔레트(53) 설치영역의 반대편)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승강팔레트(53)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수직가이드봉(55a)과, 수직가이드봉(55a)의 상부 및 하부영역에 설치되는 한 쌍의 체인기어(55b)와, 양 체인기어(55b)에 폐루프 형상으로 결합되는 승강체인(55c)과, 양 체인 중 어느 하나를 정역 회전시키는 승강모터(55d)와, 수직가이드봉(55a)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일영역이 승강체인(55c)에 결합되고 일측부가 기판정렬판(51)의 승강안내구(51a)를 통과하여 승강팔레트(53)를 지지하는 승강팔레트지지부재(55e)로 이루어져 있다.
이 승강구동부(55)는 승강모터(55d)가 체인기어(55b)를 정역 회전시켜 승강체인(55c)을 상하 이동시키면, 승강체인(55c)에 결합된 승강팔레트지지부재(55e)가수직가이드봉(55a)을 따라 승강 함으로써, 승강팔레트지지부재(55e)와 결합된 승강팔레트(53)를 승강 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때, 승강구동부(55)의 승강체인(55c)과 체인기어(55b)의 구성요소는 래크와 피니언, 벨트와 풀리(63c) 등의 타 구성으로도 가능하다.
여기서, 승강팔레트(53)의 상승폭은 회로기판(5)의 두께에 대응하는 만큼의 폭으로 상승한다. 이는 승강팔레트(53)의 최상부에 적재된 회로기판(5)이 양 컨베이어(21,23)의 하부에 인접한 위치로 상승된 상태에서 기판흡착유닛(40)에 흡착되어 컨베이어유닛(20)으로 공급되면, 다음의 회로기판(5)을 컨베이어유닛(20)의 하부 인접영역으로 상승시키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 기판승강유닛(50)의 일영역에 폭인식홈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승강폭인식판(55f)을 마련하고, 승강팔레트(53)를 따라 승강하면서 폭인식홈을 감지하는 승강센서(55g)를 마련할 수 있다.
한편, 기판공급유닛(60)은 하강된 승강팔레트(53)로 접근 및 이격되는 기판공급팔레트(61)와, 기판공급팔레트(61)를 이동시키는 공급팔레트구동부(63)와, 기판공급팔레트(61)가 승강팔레트(53)로 접근하는 것을 허용 및 저지하는 공급팔레트스토퍼(65)와, 기판공급팔레트(61) 상의 회로기판(5) 적재유무를 감지하는 기판감지센서(67)와, 기판감지센서(67)에서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회로기판(5) 적재유무를 표시하는 기판적재표시부(도 4의 69)를 갖는다.
기판공급팔레트(61)는 승강팔레트(53)와 평행하게 겹쳐지는 복수의이동격판(61a)과, 각 이동격판(61a)의 하부를 지지하는 이동지지판(61b)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이동격판(61a)의 상하 높이는 승강팔레트(53)의 승강격판(53a) 상하 높이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이는 기판공급팔레트(61)의 상부에 적재된 회로기판(5)과 하부를 지지하는 이동지지판(61b)이 승강팔레트(53)의 승강격판(53a) 상하단부에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공급팔레트구동부(63)는 기판승강유닛(50)의 하부영역으로부터 기판승강유닛(50)의 일측 하부영역을 향해 수평 연장되도록 설치된 수평가이드봉(63a)과, 기판공급팔레트(61)를 지지하면서 수평가이드봉(63a)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급팔레트지지부재(63b)와, 수평가이드봉(63a)의 길이방향 양측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풀리(63c)와, 양 풀리(63c)에 폐루프 형태로 설치되며 일영역이 공급팔레트지지부재(63b)와 결합된 이동벨트(63d)와, 양 풀리(63c) 중 어느 하나를 정역 회전시키는 왕복구동모터(63e)로 이루어진다.
이 공급팔레트구동부(63)는 왕복구동모터(63e)가 풀리(63c)를 정역 회전시켜 이동벨트(63d)를 구동시키면, 이동벨트(63d)에 결합된 공급팔레트지지부재(63b)가 수평가이드봉(63a)을 따라 기판승강유닛(50) 측으로 접근 및 이격됨으로써, 공급팔레트지지부재(63b)와 결합된 기판공급팔레트(61)가 기판승강유닛(50) 측으로 접근 및 이격되도록 한다. 이때, 공급팔레트구동부(63)의 벨트와 풀리(63c)의 구성요소는 체인과 체인기어, 래크와 피니언 등의 타 구성으로도 가능하다.
공급팔레트스토퍼(65)는 기판공급팔레트(61)의 일측 및 또는 양측 모서리영역(승강팔레트(53)를 향하는 측)에 접촉 및 이격되는 스토퍼앵글(65a)과, 스토퍼앵글(65a)을 동작시키는 스토퍼실린더(65b)를 갖는다.
스토퍼앵글(65a)은 기판공급팔레트(61)에 적재되는 회로기판(5)의 적재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고 있다. 이는 기판공급팔레트(61)에 적재되는 회로기판(5)의 정렬면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스토퍼실린더(65b)는 승강팔레트(53)가 회로기판(5)을 소진하고 하강하면 기판공급팔레트(61)가 승강팔레트(53)로 접근할 수 있도록 스토퍼앵글(65a)을 기판공급팔레트(61)로부터 후퇴시키고, 기판공급팔레트(61)가 복귀하고 승강팔레트(53)가 회로기판(5)을 적재하여 상승하면 기판공급팔레트(61)의 모서리부분으로 스토퍼앵글(65a)을 전진 접촉시킨다.
여기서, 공급팔레트스토퍼(65)는 기판공급팔레트(61)와 함께 승강팔레트(53)측으로 도 9에 가상선으로 표시된 스토퍼앵글(65a)과 같이 이동하였다가 기판공급팔레트(61)가 승강팔레트(53)에 겹쳐지기 전에 스토퍼앵글(65a)이 기판공급팔레트(61)로부터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기판공급팔레트(61)가 승강팔레트(53)로 접근할 때 기판공급팔레트(61)에 적재된 회로기판(5)들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기판감지센서(67)는 기판공급팔레트(61)의 후퇴영역에 설치되어 기판공급팔레트(61) 상에 회로기판(5)이 적재되어 있는지 감지한다. 이 기판감지센서(67)에서 감지된 신호는 도시않은 제어부에 전달된다.
기판적재표시부(69)는 케이싱(10)의 외측에 램프 또는 스피커 등의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기판감지센서(67)에서 감지된 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되면제어부는 기판적재표시부(69)에 기판적재 유무를 표시하여 작업자에게 인식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회로기판(5) 공급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와 같이, 작업자는 회로기판(5) 공급장치(1)의 운전시작 전에 컨베이어폭조절유닛(30)의 폭셋팅부(31)를 조작하여 고정컨베이어(21)와 유동컨베이어(23)의 폭을 회로기판(5)의 폭에 대응하도록 조절한다. 그리고, 하강상태의 승강팔레트(53)와 후퇴상태의 기판공급팔레트(61)에 각각 다수의 회로기판(5)을 적재하고 도시않은 전원스위치를 온(ON)시킨다.
전원스위치가 온(ON)되면, 도 5와 같이, 승강구동부(55)가 구동하여 승강팔레트(53)를 상승시킨다. 승강팔레트(53)의 상승은 승강팔레트(53)의 최상부에 적재된 회로기판(5)이 양 컨베이어(21,23)의 하부에 인접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이때, 기판공급팔레트(61)는 공급팔레트스토퍼(65)에 의해 후퇴위치가 고정된다.
승강팔레트(53)가 상승하여 최상부에 적재된 회로기판(5)이 양 컨베이어(21,23)의 하부에 인접하면, 기판흡착유닛(40)이 하강하여 회로기판(5)을 흡착하고, 다시 기판흡착유닛(40)이 도 6과 같이, 상승하여 흡착된 회로기판(5)을 양 컨베이어(21,23)의 상부영역으로 상승시킨다. 이때, 유동컨베이어(23)는 셋팅위치로부터 소폭 후퇴되었다가 회로기판(5)의 상승이 완료되면 도 7과 같이, 셋팅위치로 복귀된다. 그리고, 승강팔레트(53)는 회로기판(5)의 두께만큼 상승하여 다시 최상부의 회로기판(5)을 양 컨베이어(21,23)의 하부에 인접시킨다.
회로기판(5)이 양 컨베이어(21,23)의 상부로 상승되면 기판흡착유닛(40)은 회로기판(5) 흡착상를 해제하여 회로기판(5)을 양 컨베이어(21,23) 상에 안착시킨다. 양 컨베이어(21,23) 상에 회로기판(5)이 안착되면 컨베이어모터(25)가 양 컨베이어(21,23)를 구동시켜서 회로기판(5)을 회로마킹기로 공급한다.
양 컨베이어(21,23) 상에 안착된 회로기판(5)이 회로마킹기로 공급되면 또 다시 기판흡착유닛(40)이 하강하여 회로기판(5)을 흡착하고, 기판흡착유닛(40)이 다시 상승하여 흡착된 회로기판(5)을 양 컨베이어(21,23)의 상부영역에 안착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승강팔레트(53) 상에 적재된 다수의 회로기판(5)이 모두 소진되면 승강구동부(55)는 도 8과 같이, 승강팔레트(53)를 초기위치로 하강시킨다.
승강팔레트(53)가 초기위치로 하강되면 공급팔레트스토퍼(65)의 스토퍼앵글(65a)이 기판공급팔레트(61)로부터 이격되어 기판공급팔레트(61)의 위치 고정을 해제하고, 공급팔레트구동부(63)가 구동하여 기판공급팔레트(61)를 도 9와 같이, 승강팔레트(53)와 겹쳐지는 위치로 전진시킨다. 이때, 공급팔레트스토퍼(65)는 기판공급팔레트(61)와 함께 승강팔레트(53)측으로 도 9에 가상선으로 표시된 스토퍼앵글(65a)과 같이 이동하였다가 기판공급팔레트(61)가 승강팔레트(53)에 겹쳐지기 전에 스토퍼앵글(65a)이 기판공급팔레트(61)로부터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기판공급팔레트(61)가 승강팔레트(53)와 겹쳐지면 승강구동부(55)가 구동하여 승강팔레트(53)를 상승시킨다. 그러면, 도 10과 같이, 기판공급팔레트(61)에 적재되어 있던 회로기판(5)이 승강팔레트(53)의 상승에 의해 자연스럽게 승강팔레트(53) 상에 적재되는 형태로 상승한다. 이에 의해, 기판공급팔레트(61)에 적재된 회로기판(5)이 승강팔레트(53)로 공급된다.
회로기판(5)이 승강팔레트(53)로 공급되면, 공급팔레트구동부(63)가 기판공급팔레트(61)를 초기의 위치로 후퇴시킨다. 그리고, 승강팔레트(53)로 공급된 회로기판(5)은 전술한 승강팔레트(53)의 승강동작과 기판흡착유닛(40)의 회로기판(5) 흡착동작 및 컨베이어유닛(20)의 이송동작을 통해 회로마킹기로 공급된다.
한편, 기판공급팔레트(61)가 초기위치로 후퇴하면 기판감지센서(67)가 기판공급팔레트(61) 상에서 회로기판(5)이 소진된 것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도시않은 제어부로 전달하면, 제어부는 기판적재표시부(69)에 기판이 소진된 것을 표시하여 작업자에게 인식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이를 확인하여 기판공급팔레트(61)에 추가의 회로기판(5)들을 적재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회로기판(5) 공급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팔레트에 적재된 회로기판이 소진되면 승강팔레트에 추가의 회로기판을 공급해주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공급유닛을 마련함으로써, 추가의 회로기판 적재작업 간격을 최대한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빈번하게 회로기판을 적재해야하는 불편함이 해소된다.
또한, 승강팔레트에 적재된 회로기판이 소진되면 기판공급팔래트에 적재된 회로기판이 승강팔레트로 공급되기 때문에, 회로기판이 적재된 순서대로 컨베이어유닛으로 이동하여 회로마킹기나 소자자동식입기 등의 기기로 공급될 수 있다.
전술 및 실시예에서는 기판공급유닛이 기판승강유닛의 일측에 한 세트로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기판공급유닛은 설치공간이 허락되는 상태에서 승강팔레트의 폭 방향 양측 및/또는 길이방향 양측 등 복수영역에 복수의 세트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승강팔레트와 기판공급팔레트를 상호 겹쳐지는 복수의 승강격판과 이동격판으로 구성하고 있지만 승강팔레트와 기판공급팔레트의 구조는 양자가 상호 겹쳐진 상태에서 승강팔레트가 상승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회로기판의 적재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고, 먼저 적재된 회로기판이 우선적으로 컨베이어로 공급될 수 있는 회로기판 공급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6)

  1. 회로기판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하부영역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로기판을 적재하는 승강팔레트와, 상기 승강팔레트에 적재된 회로기판을 흡착하여 상기 컨베이어에 안착시키는 기판흡착유닛을 갖는 회로기판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강된 승강팔레트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접근 및 이격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로기판을 적재하며, 상기 승강팔레트에 회로기판이 소진되면 상기 승강팔레트로 접근하여 적재된 회로기판을 공급하는 기판공급팔레트와,
    상기 기판공급팔레트를 상기 하강된 승강팔레트로 접근 및 이격시키는 공급팔레트구동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공급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팔레트는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승강격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기판공급팔레트는 상기 하강된 승강팔레트에 접근된 위치에서 상기 승강격판들 사이에 겹쳐지고, 상기 승강격판에 비해 높은 기판적재면을 갖는 복수의 이동격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팔레트구동부는
    상기 하강된 승강팔레트의 하부영역으로부터 수평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수평가이드봉과,
    상기 기판공급팔레트를 지지하면서 상기 수평가이드봉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팔레트지지부재와,
    상기 수평가이드봉의 길이방향 양측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풀리와, 양 풀리에 폐루프 형태로 설치되고 일영역이 팔레트지지부재와 결합된 이송벨트와,
    양 풀리 중 어느 하나를 정역 회전시키는 왕복구동모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공급팔레트의 이격 위치에서 상기 승강팔레트가 기판을 적재하여 상승하면 상기 기판공급팔레트를 이격 위치에 고정시키고, 상기 승강팔레트가 기판을 소진하여 하강되면 상기 기판공급팔레트가 상기 승강팔레트로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는 공급팔레트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팔레트스토퍼는
    상기 승강팔레트를 향하는 상기 기판공급팔레트 및 상기 기판공급팔레트에적재된 회로기판의 일측 모서리영역에 접촉 및 이격되는 스토퍼앵글과,
    상기 스토퍼앵글을 동작시키는 스토퍼실린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공급팔레트 상의 회로기판 적재유무를 감지하는 기판감지센서와, 상기 기판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회로기판 적재유무를 표시하는 기판적재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공급장치.
KR10-2003-0024410A 2003-04-17 2003-04-17 회로기판 공급장치 KR100513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410A KR100513443B1 (ko) 2003-04-17 2003-04-17 회로기판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410A KR100513443B1 (ko) 2003-04-17 2003-04-17 회로기판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554A true KR20040090554A (ko) 2004-10-26
KR100513443B1 KR100513443B1 (ko) 2005-09-09

Family

ID=37371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4410A KR100513443B1 (ko) 2003-04-17 2003-04-17 회로기판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34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053B1 (ko) * 2007-06-08 2008-11-17 (주)대일테크 반도체 모듈의 인쇄회로기판 세척용 공급장치
KR101528260B1 (ko) * 2014-03-06 2015-06-11 와이제이링크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낱장 분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122B1 (ko) 2011-03-14 2012-12-20 주식회사 케이피엠테크 인쇄회로기판용 로드/언로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053B1 (ko) * 2007-06-08 2008-11-17 (주)대일테크 반도체 모듈의 인쇄회로기판 세척용 공급장치
KR101528260B1 (ko) * 2014-03-06 2015-06-11 와이제이링크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낱장 분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3443B1 (ko) 2005-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291B1 (ko) 트레이 공급 장치
KR101445795B1 (ko) 포장박스 자동 공급장치
JP5094145B2 (ja) 棚装置及び製品パレットへのワーク載置方法
CN215477973U (zh) 金属板材自动摆正设备及金属板材加工喂料装置
KR100513443B1 (ko) 회로기판 공급장치
KR100339499B1 (ko) 인쇄회로기판 제조 공정의 로더 장치 및 그 방법
KR100920973B1 (ko) 시트 공급장치
KR100681500B1 (ko) 기판의 자동 언로딩 장치
CN218055832U (zh) 一种可调节的托盘整理装置
JP3879228B2 (ja) 板材ローダ
KR101776580B1 (ko) 목재 적재 장치
KR19990026485A (ko) 제품 포장박스의 자동 공급장치
KR100920974B1 (ko) 시트용 홀 가공장치
KR100934278B1 (ko) 시트용 홀 가공방법
KR100888056B1 (ko) 프레스기기의 연성인쇄회로기판 공급 장치
KR102603737B1 (ko) 간지 이송이 가능한 레이저 가공기 및 이를 이용한 간지 이송 방법
CN216376405U (zh) 升降输送设备
JP2001179374A (ja) 可変速ワーク一枚取り装置
JP3849696B2 (ja) 遊技盤の段積み装置
KR200296902Y1 (ko) 골판지 적재장치
CN217457699U (zh) 待焊物料运送机构
KR20230048767A (ko) 봉투 공급장치
JPH02155241A (ja) リードフレームの送出装置
KR100896456B1 (ko) 인쇄회로기판의 자동 공급 반출 장치
KR100312079B1 (ko) 표면실장기의 전자부품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