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9615A - 퀴놀린 유도체 - Google Patents

퀴놀린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9615A
KR20040089615A KR10-2004-7012409A KR20047012409A KR20040089615A KR 20040089615 A KR20040089615 A KR 20040089615A KR 20047012409 A KR20047012409 A KR 20047012409A KR 20040089615 A KR20040089615 A KR 20040089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formula
acid addition
free base
addition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7977B1 (ko
Inventor
굴피터
폼보빌라르에스테반
Original Assignee
노파르티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파르티스 아게 filed Critical 노파르티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40089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9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9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6Antiglaucoma agents or m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0Ophthalmic agents for accommodation disorders, e.g. myopi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 C07D5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513/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벤조 [g] 퀴놀린 유도체, 그의 제제, 약제로서의 그의 용도 및 그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퀴놀린 유도체{Quinoline Derivatives}
본 발명의 화합물은 가장 최근의 선행 기술, 예로서 EP 912'553과 비교하여 바람직한 약물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신규한 벤조 [g] 퀴놀린 유도체, 그의 제제, 약제로서의 그의 용도 및 그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리 염기 또는 산 부가염 형태의 하기 화학식(Ia)의 화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식에서,
A 및 Q는 각각 H이거나 함께 추가의 결합을 형성하고;
3번 위치의 비대칭 중심은 라세믹이거나 광학 활성 형태일 수 있고;
R은 하기 화학식(Ib) 또는 (Ic)이고:
여기에서, R1은 알킬이다.
바람직한 일면으로 A 및 Q는 각각 H이다. 추가의 바람직한 일면으로 A 및 Q는 함께 추가의 결합을 형성한다.
화학식(Ia)의 3번 위치의 치환체 CH2-R은 3R 배열이다(단, A 및 Q는 각각 H이다).
R1은 바람직하게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 알킬은 특히 C1-C4-알킬, 예로서 n-부틸, sec-부틸, tert-부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또는 특히 메틸 또는 에틸이다.
더욱 바람직한 일면으로 R1은 C1-알킬 예로서 메틸이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은 유리 염기 또는 산 부가염 형태의 하기 화학식(I)의 화합물 및 화학식(II)의 화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식에서,
화학식(I)에서 CH2-S-이미다졸 치환체는 3R 배위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일면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I)의 화합물이다. 또한 고도로 바람직한 것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II)의 화합물이다.
산 부가염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유리 염기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그 반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적절한 산 부가염은 예를 들면,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포함한다.
화학식 (Ia), (I) 및 (II) 및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은 본 발명의 화합물로서 언급되고, 동물 시험에서 유용한 약물학적 특성을 나타내며, 따라서 약제로서 유용하다.
특히, 본 발명의 화합물은 10 내지 100μM에서 토끼의 안압(IOP)를 감소시킨다. 약 2.5 kg의 수컷 토끼의 머리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남겨둔 채 고정시킨다. 시험하고자 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을 오른쪽 눈에 사용하고 왼쪽눈에는 위양 용액을 사용한다(각각 2 방울, 즉 약 40㎕). 우선, 노베신(Novesine)(0.4 %) 및 플루오레스세인(Fluorescein)(0.05 %)을 포함하는 용액으로 눈을 마취시키고 투여 후 여러 시간 간격(10, 20, 30, 60, 90, 120, 180 및 240분)을 두고 안압(ocular pressure)을 측정한다(여기에서, Goldberg에 따르 안압계를 사용한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화합물은 강력한 IOP-저하 효능, 뛰어난 내성, 및 장기간의 작용 지속시간을 나타내며, 따라서 녹내장 및 근시 치료에 유용하다. 바람직한 일면으로 녹내장 치료를 언급한다.
물론 상기 언급한 징후를 위한 적절한 투여량은 예를 들면, 사용하는 화합물, 수용자, 투여 방식 및 치료하고자 하는 증상의 경중도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동물 체중 1kg당 0.1 내지 약 10 mg의 1일 투여량으로 동물에서 만족스러울만한 결과를 수득할 수 있다고 언급되고 있다. 큰 동물, 예로서 인간의 경우, 지시되는 1일 투여량은 약 5 내지 약 200 mg, 바람직하게 약 10 내지 약 100 mg 범위로, 화합물은 용이하게 1일 4회이하의 분할된 투여량 투여되거나 지속성 방출 형태로 투여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유리 형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그러한 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고 유리 화합물과 동일한 상태의 활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녹내장 및 근시 치료의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 또는 담체와 함께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단위 투여 형태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예를 들면 약 0.25 내지 약 50 mg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통상의 경로, 예를 들면, 비경구적으로, 예로서 주사제 또는 현탁제 형태로, 또는 소화관으로, 바람직하게 경구적으로,예로서 정제 또는캡슐제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약 0.002 내지 0.02 %의 안과용 액제를 눈에 국소 투여한다.
안과용 비히클은 화합물이 안구 표면과 충분한 시간동안 접촉하도록 유지시켜 화합물의 눈의 각막 및 내부 부위에 침투할 수 있도록 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안과용 비히클은 예로서 연고, 식물유, 또는 피막 물질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또한 녹내장 및 근시 치료용 약제로서 유용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추가의 일면으로 본 발명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을 녹내장 및 근시 치료를 요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녹내장 및 근시 치료를 요하는 대상에서 녹내장 및 근시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 1:
[3R, 4aR, 10aR]-1-메틸-3β-하이드록시메틸-6-메톡시-1, 2, 3, 4, 4aα, 5, 10,10aβ-옥타하이드로벤조[g]퀴놀린
100 ml 톨루엔중 5.78g (20 mM) [3R, 4aR, 10aR]-1-메틸-3β-메톡시카보닐-6-메톡시-1,2,3,4,4aα, 5, 10, 10aβ-옥타하이드로벤조 [g] 퀴놀린 용액에 12 ml SDBA (소듐 디하이드로-비스-(2-메톡시에톡시)알루미네이트)(톨루엔 중 70 %, 42 mM) 용액을 1시간내 실온에서 아르곤하에 적가하였다. 이어서 10 mi NaOH (30 %)을빙냉 반응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고 물 및 톨루엔으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생성된 표제 화합물의 m. p.는 148°이고; [a]20 D= -120°이다(에탄올중 c = 0.425).
실시예 2
[3R, 4aR. 10aR]-1-메틸-3β-메실옥시메틸-6-메톡시-1. 2, 3, 4, 4aα, 5, 10, 10aβ-옥타하이드로벤조[g]퀴놀린
12 ml (153 mM) 메탄설포클로라이드를 150 ml 피리딘중 20 g (76.5 mM)의 실시예 1하에 수득한 화합물 용액을 실온에서 적가하였다. 온도를 빙냉시켜 45°이하로 유지시켰다. 2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0°에서 KHCO3포화 용액을 사용하여 용액의 pH를 7-8로 조절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Na2SO4상에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증발시켜 농축시켜 결정형으로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고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실시예 3
30 ml 디메틸포름아미드중 1g (8.8 mM) 1- 메틸-2-머캅토-이미다졸, 및 실시예 2에서 수득한 2 g (5.9 mmol)의 메실레이트를 2 ml 10 N NaOH와 혼합하고 60℃에서 3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농축시킨 후에틸아세테이트/이소프로판올 (9: 1)로 추출하였다. Na2S04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용매를 제거한 후, 화학식(I)의 화합물의 메틸 에테르를 수득하고,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실시예 4 = > 화학식(I)의 화합물
10 ml 메틸렌클로랄이드중 1.76 g (5 mmol)의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화합물 용액에 25 mi 보론 트리브로마이드 (메틸렌 클로라이드중 1 몰)를 -50℃의 온도에서 서서히 적가하였다. 현탁액을 3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하고, 수성 암모니아로 중화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이소프로판올 (9: 1)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였다. pH=1에 도달할 때까지 메탄올중 과량의 염산을 가하였다. 이어서 결정화될 때까지 용매를 서서히 제거하엿다.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메탄올/에탄올(1: 1)로부터 재결정화시켰다, m. p. 272-274℃. aD 20=-38°(에탄올/물중 c=0. 375). C19H25N3OS(2 HCl), MW = 416.4.
실시예 5:
40 ml 톨루엔중 4 g (15.4 mM)의 1,2,4as-트랜스-5,10,10a-헥사하이드로-6-메톡시-1-메틸-3-하이드록시메틸-벤조[g]퀴놀린(참조 등록번호 제 201869-32-1 호, Chem. Abstr. ) 용액에 1.3 ml (17.9 mM) 티오닐클로라이드를 0℃의 온도에서 서서히 적가하였다. 현탁액을 12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생성된 클로라이드는 자연적으로 결정화되었다. 여과하고 톨루엔으로 세척한 후, 산물을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실시예 6:
100 ml 디클로로메탄중 실시예 5에서 수득한 클로라이드(4 g (17.6 mM)) 용액에 디클로로메탄중 50.5 ml의 1몰 보론 트리브로마이드를 -70℃에서 서서히 가하였다. 현탁액을 3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하고, NaHC03로 중화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이소프로판올 (9: 1)로 추출하였다. Na2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농축시킨 후, 상응하는 6-하이드록시-벤조[g]퀴놀린 유도체를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실시예 7 = > (화학식(II)의 화합물)
30 ㎖ 디메틸포름아미드중 705 mg (4.2 mM) 티아졸로[4,5-b]피리딘-2-티올 및 실시예 6의 930 mg (3.5 mM)의 6-하이드록시-벤조 [g] 퀴놀린 유도체 용액을 10N NaOH와 혼합하고 1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진공하에서 증발시켜 농축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 이소프로판올 (9: 1)로 추출하였다. Na2S04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생성된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을 40: 55: 5의 비로 사용하여 실리카겔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에탄올중 HCl을 가한 후 증발시켜 정제된 물질을 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 전환시켰다. 메탄올/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시켜 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서 화학식(II)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m. p.: 240℃(분해), aD 20=-101°(에탄올/물중 c=0. 405). C21H21N3OS2(HCl), MW = 432.01.

Claims (5)

  1. 유리 염기 또는 산 부가염 형태의 하기 화학식(Ia)의 화합물:
    상기 식에서,
    A 및 Q는 각각 H이거나 함께 추가의 결합을 형성하고;
    3번 위치의 비대칭 중심은 라세믹이거나 광학 활성 형태일 수 있고;
    R은 하기 화학식(Ib) 또는 (Ic)이고:
    여기에서, R1은 알킬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유리 염기 또는 산 부가염 형태의 화학식(I)의 화합물 및 화학식(II)의 화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상기 식에서,
    화학식(I)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CH2-S-이미다졸 치환체는 3R 배위로 존재한다.
  3. 제 1항에 있어서, 녹내장 및 근시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유리 염기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 형태의 화합물.
  4. 녹내장 및 근시 치료용 약제를 생산하기 위한 유리 염기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 형태의 제 1항의 화합물의 용도.
  5. 치료학적 유효량의 유리 염기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 형태의 제 1항의 화합물을 녹내장 및 근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녹내장 및 근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서 녹내장 및 근시를 치료하는 방법.
KR1020047012409A 2002-03-07 2003-03-06 퀴놀린 유도체 KR101027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005117 2002-03-07
EP02005115.7 2002-03-07
EP02005115 2002-03-07
EP02005117.3 2002-03-07
PCT/EP2003/002321 WO2003074511A1 (en) 2002-03-07 2003-03-06 Quinoline derivativ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9615A true KR20040089615A (ko) 2004-10-21
KR101027977B1 KR101027977B1 (ko) 2011-04-13

Family

ID=27790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409A KR101027977B1 (ko) 2002-03-07 2003-03-06 퀴놀린 유도체

Country Status (29)

Country Link
US (2) US7399768B2 (ko)
EP (1) EP1480970B1 (ko)
JP (2) JP2005519117A (ko)
KR (1) KR101027977B1 (ko)
CN (2) CN1939915A (ko)
AR (1) AR038730A1 (ko)
AU (1) AU2003219023B2 (ko)
BR (1) BR0308201A (ko)
CA (2) CA2477720C (ko)
CO (1) CO5611196A2 (ko)
CY (1) CY1106409T1 (ko)
DE (1) DE60311233T2 (ko)
DK (1) DK1480970T3 (ko)
EC (1) ECSP045271A (ko)
EG (1) EG24415A (ko)
ES (1) ES2279100T3 (ko)
HK (1) HK1071364A1 (ko)
IL (1) IL163769A0 (ko)
MX (1) MXPA04008666A (ko)
MY (1) MY134325A (ko)
NO (1) NO20044117L (ko)
NZ (1) NZ534732A (ko)
PE (1) PE20030927A1 (ko)
PL (2) PL215012B1 (ko)
PT (1) PT1480970E (ko)
RU (1) RU2345991C2 (ko)
SI (1) SI1480970T1 (ko)
TW (1) TW200406401A (ko)
WO (1) WO20030745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57601B1 (en) * 2002-03-07 2009-08-05 Novartis AG Quinol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in glaucoma and myopia
US10729710B2 (en) 2017-11-24 2020-08-04 H. Lundbeck A/S Catecholamine prodrug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Parkinson's disease
US11168056B2 (en) 2019-05-20 2021-11-09 H. Lundbeck A/S Process for the manufacturing of (6aR,10aR)-7-propyl-6,6a,7,8,9,10,10a,11-octahydro-[1,3]dioxolo[4′,5′:5,6]benzo[1,2-G]quinoline and (4aR,10aR)-1-propyl-1,2,3,4,4a,5,10,10a-octahydro-benzo[G]quinoline-6,7-diol
US11111263B2 (en) 2019-05-20 2021-09-07 H. Lundbeck A/S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2S,3S,4S,5R,6S)-3,4,5-trihydroxy-6-(((4aR,10aR)-7-hydroxy-1-propyl-1,2,3,4,4a,5,10,10a-octahydrobenzo[g]quinolin-6-yl)oxy)tetrahydro-2H-pyran-2-carboxylic acid
US11130775B2 (en) 2019-05-20 2021-09-28 H. Lundbeck A/S Solid forms of (2S,3S,4S,5R,6S)-3,4,5-trihydroxy-6-(((4aR,10aR)-7-hydroxy-1-propyl-1,2,3,4,4A,5,10,10A-octahydrobenzo[g]quinolin-6-yl)oxy)tetrahydro-2H-pyran-2-carboxylic acid
US11104697B2 (en) 2019-05-20 2021-08-31 H. Lundbeck A/S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2S,3S,4S,5R,6S)-3,4,5-trihydroxy-6-(((4AR,10AR)-7-hydroxy-1- propyl-1,2,3,4,4A,5,10,10A-octahydrobenzo[g]quinolin-6-yl)oxy)tetrahydro-2H-pyran-2-carboxylic aci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00555A (en) * 1991-02-07 2000-08-31 Hoechst Marion Roussel Inc N-substituted quinoline derivatives their preparation their use for the preparation of medicaments and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GB9326010D0 (en) * 1993-12-21 1994-02-23 Sandoz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TW378209B (en) * 1996-07-08 2000-01-01 Novartis Ag Benzo[g]quinoline derivatives, their preparation and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m
PE20030240A1 (es) * 2001-07-09 2003-04-16 Novartis Ag DERIVADOS DE BENZO [g] QUINOLIN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71364A1 (en) 2005-07-15
EP1480970B1 (en) 2007-01-17
ES2279100T3 (es) 2007-08-16
IL163769A0 (en) 2005-12-18
ECSP045271A (es) 2004-10-26
CN1639148A (zh) 2005-07-13
AU2003219023A1 (en) 2003-09-16
PT1480970E (pt) 2007-03-30
KR101027977B1 (ko) 2011-04-13
CN1939915A (zh) 2007-04-04
PL370915A1 (en) 2005-06-13
MXPA04008666A (es) 2004-12-06
US20080255176A1 (en) 2008-10-16
SI1480970T1 (sl) 2007-06-30
US7399768B2 (en) 2008-07-15
TW200406401A (en) 2004-05-01
AU2003219023B2 (en) 2006-11-30
PL210336B1 (pl) 2012-01-31
PL394208A1 (pl) 2011-08-16
BR0308201A (pt) 2005-01-04
DE60311233T2 (de) 2007-11-15
DK1480970T3 (da) 2007-03-05
CA2477720A1 (en) 2003-09-12
RU2345991C2 (ru) 2009-02-10
RU2004129767A (ru) 2005-06-27
US20050234085A1 (en) 2005-10-20
EP1480970A1 (en) 2004-12-01
JP2010095550A (ja) 2010-04-30
WO2003074511A1 (en) 2003-09-12
CA2706618A1 (en) 2003-09-12
PE20030927A1 (es) 2003-12-26
CA2477720C (en) 2010-09-21
JP2005519117A (ja) 2005-06-30
DE60311233D1 (de) 2007-03-08
EG24415A (en) 2009-05-25
PL215012B1 (pl) 2013-10-31
NO20044117L (no) 2004-09-28
CO5611196A2 (es) 2006-02-28
CN1293070C (zh) 2007-01-03
CY1106409T1 (el) 2011-10-12
AR038730A1 (es) 2005-01-26
NZ534732A (en) 2006-05-26
MY134325A (en) 2007-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024243A (ja) 緑内障および近視を処置するためのベンゾ[g]キノリン誘導体
JP2010095550A (ja) キノリン誘導体
AU2002328856A1 (en) Benzo (G) quinoline derivatives for treating glaucoma and myopia
US6057334A (en) Benzo[g]quinoline derivatives
US5262422A (en) Octahydrobenzo[g]quinoline
EP1757601B1 (en) Quinol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in glaucoma and myop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