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8662A -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레핀의 블렌드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레핀의 블렌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8662A
KR20040088662A KR1020030022630A KR20030022630A KR20040088662A KR 20040088662 A KR20040088662 A KR 20040088662A KR 1020030022630 A KR1020030022630 A KR 1020030022630A KR 20030022630 A KR20030022630 A KR 20030022630A KR 20040088662 A KR20040088662 A KR 20040088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carbonate
copolymer
weight
polyolefin
hom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3915B1 (ko
Inventor
이봉근
이민희
박재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3-0022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3915B1/ko
Publication of KR20040088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8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9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레핀의 블렌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 내지 99중량부, 올레핀계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1 내지 99중량부 및 아미노기가 도입된 변성 올레핀계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0.1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올레핀 블렌드의 상용성을 향상시켜 내충격성, 내열성, 경량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레핀의 블렌드 조성물{Blends Composition of Polycarbonate and Polyolefin}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레핀의 블렌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블렌드에 있어서, 이들의 상용성(compatibility)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미노기가 도입된 변성 올레핀계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레핀의 블렌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내충격성, 치수안정성, 투명성, 자기 소화성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하고, 성형수축율이 낮기 때문에 전기, 전자, 가전, 정밀기계, 자동차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유용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 그러나 기존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사용환경, 잔류응력 및 노치 민감성이 크기 때문에 성형물로 제조되었을 때 응력이 집중되는 부위에 충격강도가 급격히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다른 열가소성 수지에 비해 유동성이 낮기 때문에 성형 시 높은 가공온도가 요구되어, 과열로 인한 수지의 열분해 및 이로 인한 분자량의 저하 현상이 발생하며, 강산 및 강알칼리에 쉽게 분해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들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 중 가장 알려진 방법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충격보강제 또는 올레핀계 수지를 도입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미국특허 제4,245,058호는 내충격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올레핀계 수지와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첨가하는 방법을 게재하고 있다. 그러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올레핀계 수지를 일정 함량 이상 도입할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올레핀계 수지 사이의 취약한 상용성에 의한 박리현상으로 실제 적용에 있어서 많은 제약이 따른다.
이러한 취약한 상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내특허출원 제1997-0058181호, 제1999-7004650호 등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올레핀계 수지 의 블렌드의 상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반응기가 도입된 변성 올레핀계 수지를 배합하고, 첨가제로 물성향상을 도모하였으나, 상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 변성 올레핀계에 도입된 반응기에 의해 반응이 원활이 이루어지지 않아 효과적인 상용화제의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미국특허 제4,496,693호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올레핀계 수지에 금속 촉매를 첨가하여 블렌드의 상용성을 증가시키고 물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으나, 첨가한 금속 촉매에 의해 폴리카보네이트의 분자량이 감소하여 내충격성이 감소하였다.
이에 미국특허 제3,130,177호, 제4,472,554호, 제4,390,657호, 제 4,847,153호, 제 4,886,855호 등은 충격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를 블렌딩하여 제조된 수지에 관하여게재하며, 이러한 수지는 우수한 물성을 가지면서 전기전자 제품과 자동차 내장재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의 블렌드는 비상용계 수지들의 블렌드이기 때문에 특정 가공조건 및 특정 사용조건이 필요하며, 성형조건에 따라 물성 변화가 심하다. 게다가, 내화학성을 높이기 위하여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을 증가시키면 상용성이 저하되어 적절한 충격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레핀의 블렌드 조성물에 있어서, 아미노기가 도입된 변성 올레핀계 단일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블렌드의 상용성을 향상시킴으로서 내충격성, 내화학성, 유동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와 올레핀의 블렌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 내지 99중량부; (b) 올레핀계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1 내지 99중량부; 및 (c) 아미노기가 도입된 변성 올레핀계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0.1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레핀의 블렌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a), (b) 및 (c)의 블렌드 조성물에 (d) 첨가제를 폴리카보네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50중량부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a)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8,000 내지 120,000g/mol의 중량평균분자량과 1 내지 20g/10min의 용융지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a)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b)의 올레핀계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C2~C8의 올레핀계 단량체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중합된 단일중합체이거나, 또는 상기 단량체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공중합된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c)의 아미노기가 도입된 변성 올레핀계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올레핀계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에 1급, 2급, 3급 아민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기를 갖는 단량체가 0.1 내지 10중량%의 그라프트율로 그라프팅된 것일 수 있다.
상기 (d)의 첨가제는 충격보강제, 무기 충진제, 자외선 흡수제, 열 안정제, 산화 방지제, 난연제, 활제, 안료 및 염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충격보강제는 올레핀계 또는 아크릴계 충격보강제이고, 무기충진제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탈크, 실리카, 마이카 및 알루미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레핀의 블렌드에 있어서, 내충격성, 내화학성, 유동성 등의 우수한 물성을 유지하면서 블렌드의 상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아미노기가 도입된 변성 올레핀계 단일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와 올레핀의 블렌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레핀의 블렌드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올레핀계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및 아미노기가 도입된 변성 올레핀계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이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폴리카보네이트 주쇄가 페닐렌, 비페닐렌, 나프탈렌, 안트릴센 등과 같은 방향족 디올 잔기를 함유하거나, 비스(하이드록시 페닐) 알킬리덴, 비스페놀-에이 및 이들의 할로겐, 알킬, 아실 등의 치환체와 같은 2가 페놀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 내지 120,000g/mol,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0 내지 70,000g/mol이고, 용융지수가 1 내지 20g/10min(300℃, 1.2kgf),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g/10min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g/mol 미만이면, 유동성은 개선되나 충격강도가 현저히 감소되며, 중량평균분자량이 120,000g/mol을 초과하면 충격강도는 증가하나 유동성이 감소하여 성형성이 불량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함량은 1 내지 99중량부의 범위내에서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내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함량이 감소하면 내약품성은 증가하나, 내충격성, 강성 및 내열성이 저하되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함량이 증가하면 강성,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과 내열성은 우수해지나, 충격강도의 두께의존성이 커지고, 유동성과 내약품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구현하고자 하는 특성의 제품에 따라 적절하게 함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함량이 40 내지 80중량부인 것이 전반적으로 양호한 물성의 수지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노치 민감성이 크고, 내충격성의 두께의존성이 크며, 잔류응력에 의한 충격강도가 감소하고, 내약품성이 낮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개선하기 위하여 올레핀계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블렌딩한다.
상기의 올레핀계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프로필렌, 부틸렌, 이소부틸렌, 또는 옥텐 등과 같은 C2~C8의 올레핀계 단량체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중합된 단일중합체이거나, 또는 이들 단량체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공중합된 공중합체일 수 있다.
또한 올레핀계 중합체는 일반적인 지글러-나타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선택적인 구조를 만들기 위하여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한 바와 같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올레핀계 중합체 사이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미노기가 도입된 변성 올레핀계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아미노기가 도입된 변성 올레핀계 중합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등과 같은 올레핀계 단일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에 1급, 2급, 3급 아민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기를 갖는 단량체가 0.1 내지 10중량%의 그라프트율로 그라프트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중량%이다. 또한, 카르복실산 무수물기, 에폭시기,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또는 옥사졸린기를 포함하고 있는 변성 올레핀계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아미노기가 도입된 변성 올레핀계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는데, 한쪽 말단에 1급, 2급, 3급 아민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기가 존재하고, 다른쪽 말단에 카르복실산 무수물기, 에폭시기,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및 옥사졸린기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기를 갖는 반응시약과 반응시켜 아미노기가 도입된 변성 올레핀계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아미노기가 도입된 변성 올레핀계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함량은 0.1 내지 3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중량부이다.
상기와 같은 변성 올레핀계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올레핀 수지에 반응기를 갖는 단량체를 그라프팅시키는 방법 또는 반응기가 포함된 올레핀계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다른 반응기로 치환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있다. 이러한 방법 중 전자의 올레핀 수지에 반응기를 갖는 단량체를 그라프팅시키는 방법의 일예는 올레핀계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100중량부, 그라프트 반응 개시제 0.01 내지 1중량부 및 반응기를 갖는 단량체 1 내지 1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중량부를 혼합한 후, 압출기(Extruder), 브라벤더 혼련기(Brabender mixer), 하케 혼련기(Haake mixer), 반바리 혼련기(Banbury mixer) 등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축 압출기(Twin Extruder)로 제조하는 것이다. 후자의 다른 방법으로 반응기가 이미 도입된 변성 올레핀을 원하는 다른 반응기로 치환하는 방법의 일예는 변성 올레핀계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100중량부 및 치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반응시약 1 내지 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중량부를 혼합한 후 압출기, 브라벤더 혼련기, 하케 혼련기 등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축 압출기로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블렌드 조성물은 각각의 용도에 따라 적합한 첨가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올레핀계 및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유리섬유, 탄소섬유, 탈크, 실리카, 마이카, 알루미나 등의 무기 충진제, 자외선 흡수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활제, 안료, 염료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들 중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폴리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50중량부로 첨가하여 통상적인 혼합기에서 혼합할 수 있으며, 이 혼합물을 압출기를 통하여 펠렛 형태의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특별히 사용한 폴리카보네이트, 올레핀계 중합체, 변성 올레핀계 중합체는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폴리카보네이트 PC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g/mol이고, 용용지수가10.5g/10min(300℃, 1.2kg)인 비스페놀-에이 폴리카보네이트
올레핀계중합체 PP 용융지수가 8g/10min(230℃, 2.16kg)인 단일 중합 폴리프로필렌
아미노기가 도입된 변성올레핀계 중합체 GA-PP 아미노기가 그라프트된 것으로, 용용지수가 10g/10min(230℃, 2.16kg)인 변성폴리프로필렌
APP-75 아미노기가 0.75중량% 치환된 것으로, 용융지수가50g/10min(230℃, 2.16kg)인 변성폴리프로필렌
APP-125 아미노기가 1.25중량% 치환된 것으로, 용융지수가110g/10min(230℃, 2.16kg)인 변성폴리프로필렌
다른기가 도입된 변성올레핀계 중합체 PP-GMA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기가 1.25중량% 그라프트된 것으로,용융지수가 8g/10min(230℃, 2.16kg)인 변성폴리프로필렌
PP-MAH 카르복실산 무수물이 1.25중량% 그라프트된 것으로,용융지수가 110g/10min(230℃, 2.16kg)인 변성폴리프로필렌
첨가제 MBS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상기 표 1의 변성 올레핀계 중합체 중에서 GA-PP는 폴리프로필렌, 그라프팅시킬 단량체인 2-(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및 개시제인 디(부틸퍼옥시)디이소프로필벤젠을 이축 압축기(제품명: leistritz)에서 160, 170, 170, 170 및 170℃의 배럴온도, 100rpm의 배합속도, 50%의 토크, 및 10kg/hr의 공급속도의 배합조건으로 배합한 후 압출하여 얻은 압출물을 스트랜드 형태로 냉각시키고, 분쇄하여 펠렛 형태로 수득하고 통기성 오븐에서 70℃, 3시간 동안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또한, APP-75와 APP-125는 카르복실산 무수물이 그라프팅된 폴리프로필렌인 PP-MAH와 1-(2-아미노에틸)피페라진을 이축 압출기(제품명: leistritz)에서 190, 200, 200, 200 및 220℃의 배럴온도, 100rpm의 배합속도, 40%의 토크 및 12kg/hr의공급속도의 배합조건으로 배합한 후 압출하여 얻은 압출물을 스트랜드 형태로 냉각시키고, 분쇄하여 펠렛 형태로 수득하고 통기성 오븐에서 70℃, 3시간 동안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5]
하기 표 2에 배합조성 및 물성을 나타내었는데, 이들은 240, 250, 250, 260 및 260℃의 배럴온도, 200rpm의 배합속도, 50%의 토크 및 10kg/hr의 공급속도의 배합조건으로 배합한 후 이축 압출기(제품명; leistritz)에서 압출하여 얻은 압출물을 스트랜드 형태로 냉각시키고, 분쇄하여 펠렛 형태로 수득하고, 수득한 펠렛을 통기성 오븐에서 120℃, 3시간 동안 건조한 후 75톤의 배튼필드(battenfeld) 사출 성형기에서 시험 표본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시험 표본에 대한 인장강도 및 신율은 ASTM D638에 의거하여, 내충격성은 23℃ 및 -30℃에서 ASTM D256에 의거하여, 열변형 온도는 ASTM D648에 의거하여 평가한 후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7 1 2 3 4 5
조성(중량부) 폴리카보네이트 PC 75 75 80 80 75 75 70 75 80 75 70 70
올레핀계 중합체 PP 20 15 10 10 15 10 23 25 20 20 23 23
변성올레핀계 중합체 GA-PP - - 10- - - - - - - - - -
APP-75 5 - - - - - - - - - - -
APP-125 - 10 - 10 5 10 7 - - - - -
PP-GMA - - - - - - - - - - 7 -
PP-MAH - - - - - - - - - - - 7
MBS - - - - 5 5 - - - 5 - -
물성 인장강도(MPa) 45 51 47 52 45 52 50 40 43 42 44 35
파단신율(%) 30 150 40 150 30 130 30 10 10 10 14 10
충격강도(1/8",23℃, 노치)(kgcm/cm) 25 75 60 95 43 85 35 20 40 35 15 20
충격강도(1/8",-30℃, 노치)(kgcm/cm) - - - - 20 35 - 10 - 18 - -
열변형온도(℃) 118 120 120 122 114 116 115 113 118 110 114 112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의 단순 블렌드인 비교예들은 비상용성 블렌드로서 기계적 물성이 낮은 데 비하여, 상용화제인 아미노기가 도입된 변성 올레핀계 중합체를 첨가하여 제조한 실시예들은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서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프로필렌의 상용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블렌드에 상용화제를 첨가하지 않고 아크릴계 충격보강제만을 첨가한 비교예 3과 상용화제인 아미노기가 그라프팅된 변성 올레핀계 중합체와 아크릴계 충격보강제를 함께 첨가한 실시예 5 및 6에 대한 물성 평가 결과를 보면, 블렌드에상용화제를 첨가하지 않고 아크릴계 충격보강제만을 첨가한 비교예 3은 상용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단순 블렌드에 비하여 상온(23℃)에서의 충격강도와 저온(-30℃)에서의 충격강도가 75 내지 80% 증가하였으나, 기타 다른 물성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용화제인 아미노기가 그라프팅된 변성 올레핀계 중합체와 아크릴계 충격보강제를 함께 첨가한 실시예 5 및 6은 상온에서의 충격강도 및 저온에서의 충격강도가 크게 증가할 뿐 만 아니라, 상용화제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기타 다른 기계적 물성도 뚜렷한 향상을 보였다.
또한, 아미노기가 도입된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첨가한 실시예 7은 같은 함량으로 아미노기가 아닌 다른 반응기 즉,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또는 카르복실산 무수물기가 도입된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상용화제로 첨가한 비교예 4 및 5에 비하여 내열성 및 기타 물성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인장강도, 파단 신율, 및 충격강도에 있어서는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레핀의 블렌드 조성물은 아미노기가 도입된 변성 올레핀계 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올레핀 블렌드의 상용성이 증가하여 내충격성, 내열성, 경량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것이다.

Claims (8)

  1.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 내지 99중량부;
    (b) 올레핀계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1 내지 99중량부; 및
    (c) 아미노기가 도입된 변성 올레핀계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0.1 내지 30중량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레핀의 블렌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b) 및 (c)의 블렌드 조성물에 (d) 첨가제를 (a)의 폴리카보네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50중량부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레핀의 블렌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8,000 내지 120,000g/mol의 중량평균분자량과 1 내지 20g/10min의 용융지수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레핀의 블렌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선형 또는 분지형의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레핀의 블렌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올레핀계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C2~C8의 올레핀계 단량체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중합된 단일중합체이거나, 또는 상기 단량체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공중합된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레핀의 블렌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아미노기가 도입된 변성 올레핀계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올레핀계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에 1급, 2급, 3급 아민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기를 갖는 단량체가 0.1 내지 10중량%의 그라프트율로 그라프팅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레핀의 블렌드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 첨가제가 충격보강제, 무기 충진제, 자외선 흡수제, 열 안정제, 산화 방지제, 난연제, 활제, 안료 및 염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레핀의 블렌드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보강제가 올레핀계 또는 아크릴계 충격보강제이고, 무기충진제가 유리섬유, 탄소섬유, 탈크, 실리카, 마이카 및 알루미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레핀의 블렌드 조성물.
KR10-2003-0022630A 2003-04-10 2003-04-10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레핀의 블렌드 조성물 KR100523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630A KR100523915B1 (ko) 2003-04-10 2003-04-10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레핀의 블렌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630A KR100523915B1 (ko) 2003-04-10 2003-04-10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레핀의 블렌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662A true KR20040088662A (ko) 2004-10-20
KR100523915B1 KR100523915B1 (ko) 2005-10-25

Family

ID=37370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630A KR100523915B1 (ko) 2003-04-10 2003-04-10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레핀의 블렌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39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7567B2 (en) 2007-08-17 2010-03-30 Cheil Industries Inc. Glass fiber reinforce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impact strength and flowabilit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112313277A (zh) * 2018-05-29 2021-02-02 Sabic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提高耐环境应力开裂性的具有聚碳酸酯-硅氧烷的聚乙烯
CN114736483A (zh) * 2022-03-29 2022-07-12 江苏金发科技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流动高耐热良外观abs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635B1 (ko) * 2008-12-26 2012-06-27 주식회사 삼양사 내열성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7567B2 (en) 2007-08-17 2010-03-30 Cheil Industries Inc. Glass fiber reinforce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impact strength and flowabilit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112313277A (zh) * 2018-05-29 2021-02-02 Sabic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提高耐环境应力开裂性的具有聚碳酸酯-硅氧烷的聚乙烯
CN114736483A (zh) * 2022-03-29 2022-07-12 江苏金发科技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流动高耐热良外观abs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736483B (zh) * 2022-03-29 2023-10-17 江苏金发科技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流动高耐热良外观abs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3915B1 (ko) 2005-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1810A (en) Composition comprising melt blended product of thermoplastic resin and two ethylene copolymers containing coreactive groups
US20070066743A1 (en) Use of a thermoplastic vulcanizate as an impact modifier in blends of polyester and polycarbonate
CA1300780C (en) Polypropylene composition
KR100523915B1 (ko)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올레핀의 블렌드 조성물
CN111386312B (zh) 树脂组合物和由其制造的模制产品
EP0341268B1 (en) Flexible thermoplastic composition
KR950008901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5356992A (en) Compatibilized blends of PPE/polyethylene copolymer
KR012304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950001319B1 (ko)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792115B1 (ko)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N113897044B (zh) 一种pc/eva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S59189166A (ja) ポリアリ−レンサルフアイド樹脂組成物
KR20190017569A (ko)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930008195B1 (ko)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JPH0347851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37758A (ja) 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
KR920001444B1 (ko) 내충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JP2833333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20050068620A (ko)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3139573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013710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JPH0598087A (ja) ポリオレフイン組成物
JPH05125235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S5911346A (ja) プロピレン系重合体の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