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6511A - 서비스 처리 장치 및 서비스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서비스 처리 장치 및 서비스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6511A
KR20040086511A KR1020040002225A KR20040002225A KR20040086511A KR 20040086511 A KR20040086511 A KR 20040086511A KR 1020040002225 A KR1020040002225 A KR 1020040002225A KR 20040002225 A KR20040002225 A KR 20040002225A KR 20040086511 A KR20040086511 A KR 20040086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instruction
instruction data
process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9730B1 (ko
Inventor
다지마유키오
히카와유지
기리하라가즈코
에노모토아키히로
오자와히데카즈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6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7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0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954Scheduling operations or managing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62Input arrangements for operating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updating internal software
    • H04N1/00973Input arrangements for operating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updating internal software from a remote device, e.g. receiving via the internet instructions input to a comput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0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 H04N1/32507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a plurality of input devices
    • H04N1/3251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a plurality of input devices of different type, e.g. internal and exter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0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 H04N1/32523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 H04N1/32529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of different type, e.g. internal and exter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0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 H04N1/32545Distributing a job or task among a plurality of input devices or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특정 사상(事象)이 발생하였을 때, 네트워크 접속된 각 기기에 대하여 문서 데이터에 실시하여야 할 복수의 처리를 연계하여 처리시킨다.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단말(10)의 GUI 화면에 따라 원하는 잡 플로우 및 소정의 장치에 특정 사상이 발생한 경우에 잡이 실행되도록 처리 타이밍을 정의하면, 지시서 생성 서버(30)에 의해 처리 내용이나 처리 대상 문서의 저장 위치 등이 정의된 지시서가 작성되고, 처리 타이밍 정보와 함께 지시서 관리 서버(40)로 송신된다. 지시서 관리 서버(40)는 지시서 및 지시서와 처리 타이밍의 대응 관계를 기억하고, 특정 사상이 발생하였음이 지시서 관리 서버(40)에 통지된 경우, 상기 대응 관계로부터 실행해야 할 지시서를 특정하여 연계 처리 서버(50)로 송신한다. 연계 처리 서버(50)는 지시서를 해석하고, 지시서의 내용에 따라 문서가 처리되도록 각 장치에 처리 의뢰를 행하고, 복수의 처리를 연계 처리시킨다.

Description

서비스 처리 장치 및 서비스 처리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ervice}
본 발명은, 서비스 처리 장치 및 서비스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이 문서를 전자화하여 워크 플로우를 구축하는 워크 플로우 시스템으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서비스 처리 장치 및 서비스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사기에 팩시밀리, 스캐너, 프린터 기능을 통합한 복합기가 제안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복사기, 팩시밀리 등을 이용한 종이 주체의 사무 처리와, 퍼스널 컴퓨터 상에서 전자화된 문서의 처리를 연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종이 문서를 스캔하여 퍼스널 컴퓨터로 전송하거나, 팩시밀리에서 수신한 문서를 프린트하지 않고 이미지 데이터를 그대로 퍼스널 컴퓨터로 송신할 수 있다. 나아가, 종이 문서, 팩시밀리 수신 문서가 전자화된 후의 많은 절차나 처리도 연계시켜 자동화하는 것이 요망된다.
그러기 위해, 종래, 사전에 복합기로 설정해야 할 항목에 대하여 원하는 설정을 기술한 잡 템플레이트를 준비해 두고, 그 잡 템플레이트를 지정하며, 필요에 따라 설정치를 변경한 후 처리를 행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는 출력 양식을 설정하기 위한 출력 설정 데이터(잡 템플레이트)를 복수개 저장하고, 선택된 출력 설정 데이터에 따른 출력 양식으로 화상 형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예컨대, 특개평 10-83263호 공보(5-7 페이지, 도 2, 도 5) 참조).
또한 친전(親展) 박스에 박스 코맨드를 지정함으로써 친전 박스에 문서가 축적된 타이밍으로 박스 코맨드를 실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도 알려져 있다. 이 장치에 의하면, 예컨대 친전 박스에 FAX 수신에 의해 축적된 문서를 자동적으로 지정된 배신처로 배신하는 것 등이 가능하다.
그러나, 예컨대, 상기 특개평 10-83263호 공보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는, 「출력 양식」, 즉 해당 장치 자신의 기능만을 설정 대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프린터나 스캐너 등의 설정이나 처리의 연계 설정을 행할 수 없으므로, 복수의 처리를 연계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박스 코맨드를 지정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박스 코맨드가 실행되는 것은, 친전 박스에 문서가 들어간 타이밍에서만 실행되고, 친전 박스에 축적된 문서의 처리 이외의 처리를 행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다른 사상의 발생에 의해 문서의 처리를 행할 수 없어 다종 다양한 처리를 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특정 사상이 발생하였을 때, 네트워크에 접속된 각 기기에 대하여 문서 데이터에 실시해야 할 복수의 처리를 연계하여 처리할 수 있는 서비스 처리 장치 및 서비스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따른 문서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문서 처리 시스템의 각부간의 정보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각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I/F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지시서 에디터의 GUI에 표시된 지시서 에디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지시서 작성부에 의해 작성된 지시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지시서 작성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문서 처리 시스템의 연계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8은 지시서의 일람을 나타내는 지시서 일람 화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지시서 에디터의 GUI에 표시된 지시서 에디터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격납처 지정 화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처리 타이밍 설정 화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복합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따른 문서 처리 시스템의 각부간의 정보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부호의 설명>
1, 80 문서 처리 시스템
5 네트워크
10 클라이언트 단말
20 서비스 검색 서버
30 지시서 생성 서버
40 지시서 관리 서버
50 연계 처리 서버
61 화상 처리 장치
62 문서 관리 서버
63 문서 배신 서버
64 제1의 서비스 처리 장치
65 제2의 서비스 처리 장치
70 복합기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비스 처리 장치의 발명은, 적어도 처리 대상의 문서 데이터의 위치 및 상기 문서 데이터에 실시해야 할 복수의 서비스 처리 내용이 기술된 지시서 데이터와, 특정 사상(事象)이 발생하였을 때 처리해야 할 지시서 데이터와 상기 특정 사상과의 대응 관계를 기억한 기억 수단; 네트워크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서비스 처리 수단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특정 사상이 발생된 것을 통지받은 경우에, 통지된 특정 사상에 대응하는 지시서 데이터를 상기 대응 관계에 따라 정하는 특정 수단; 특정된 지시서 데이터의 내용을 해석하는 해석 수단; 및 상기 해석 수단의 해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 처리 수단에 상기 문서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 처리를 연계 처리시키는 연계 처리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억 수단은, 지시서 데이터와, 특정 사상이 발생하였을 때 처리해야 할 지시서 데이터와 특정 사상의 대응 관계를 기억하고 있다. 지시서 데이터에는, 적어도 처리 대상의 문서 데이터의 위치 및 문서 데이터에 실시해야 할 복수의 서비스 처리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복수의 서비스 처리는, 네트워크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서비스 수단에 의해 각각 처리된다.
여기서, 문서 데이터는, 문서에 관련되는 정보이면 되고, 텍스트 데이터 등의 문자 정보나 종이 문서를 독취한 화상 정보 등,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서비스 처리 수단은, 처리 대상인 문서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서비스 처리, 예컨대 프린트나 FAX 송신, 메일 송신 등의 서비스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하드웨어로 구성된 것 뿐만 아니라, 모듈인 경우에도 무방하다.
또한 특정 사상이란, 예컨대 외부에서 문서 데이터를 수신한 것, 장치에 에러가 발생한 것, 사전에 정한 시각이 도래한 것 등, 장치의 상태 등의 어느 상태가변화하는 사상을 말한다. 또한, 지시서 데이터와 대응 관계와는 동일한 기억 수단에 기억해도 되고, 서로 다른 기억 수단에 기억해도 된다.
특정 수단은, 네트워크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서비스 처리 수단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특정 사상의 발생을 통지받은 경우에, 통지된 특정 사상에 대응하는 지시서 데이터, 즉 발생한 특정 사상에 대하여 처리해야 할 지시서 데이터를 기억 수단에 기억된 대응 관계에 따라 정한다.
해석 수단은, 특정된 지시서 데이터의 내용을 해석하고, 연계 처리 수단은, 해석 수단의 해석 결과, 즉 지시서 데이터의 해석 결과를 참조하여, 네트워크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서비스 처리 수단에 문서 데이터에 대하여 복수의 서비스 처리를 연계 처리시킨다.
예컨대, 연계 처리 수단은, 지시서 데이터에 기술되어 있는 문서 데이터의 위치로부터 처리 대상의 문서 데이터를 취득하고, 지시서 데이터에 기술되어 있는 복수의 서비스 처리 내용에 따라 서비스 처리를 행하게 하는 서비스 처리 수단을 결정한다. 서비스 처리를 행하게 하는 서비스 처리 수단은, 각 서비스 처리 수단에서 처리 가능한 처리 내용의 정보를 사전에 기억 수단에 기억해 두고, 이 정보와 지시서 데이터에 기술된 서비스 처리 내용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연계 처리 수단은, 예컨대 이러한 서비스 처리 수단에 문서 데이터를 송신하여 처리시키며, 처리 결과를 수신하고, 처리 후의 문서 데이터를 다음 처리를 행하는 서비스 처리 수단으로 송신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각 서비스 처리 수단에 의한 서비스 처리를 연계시키고, 일련의 복수의 서비스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시서 데이터와 함께 문서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서비스 처리 수단으로 송신되어 처리되도록 해도 된다.
이에 따라, 특정 사상이 발생한 타이밍에 복수의 서비스 처리를 연계 처리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수단은, 각각 독립된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각 수단 중 일부 복수의 수단이 하나의 장치 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각 수단이 전부 하나의 장치 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서비스 처리 장치의 발명은, 상기 지시서 데이터 및 상기 지시서 데이터의 처리 타이밍으로서의 상기 특정 사상의 내용을 각각 설정하기 위한 설정 수단; 및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설정 내용을 참조하여 상기 문서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 처리를 행하기 위한 지시서 데이터 및 상기 대응 관계를 생성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생성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설정 수단에 의해 지시서 데이터의 내용, 즉 문서 데이터의 위치 및 문서 데이터에 실시하여야 할 복수의 서비스 처리 내용과, 이 지시서 데이터의 처리 타이밍인 특정 사상의 내용을 각각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 수단이,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설정 내용을 참조하여, 문서 데이터에 대하여 복수의 서비스 처리를 행하기 위한 지시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지시서 데이터와, 지시서 데이터와 특정 사상의 대응 관계를 기억 수단에 기억시킨다. 이에 따라, 다양한 지시서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으며, 작성한 지시서의처리 타이밍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처리 장치의 발명은, 상기 지시서 데이터의 작성자를 인증하는 인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생성 수단은 상기 지시서 데이터의 작성자의 정보와 상기 지시서 데이터를 관련지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증 수단은 지시서 데이터의 작성자를 인증한다. 이는, 예컨대 사전에 지시서 데이터의 작성 등의 지시서 데이터의 이용에 관하여 허가된 사용자의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 등, 사용자를 나타내는 정보의 일람을 등록해 둔다. 그리고, 지시서 데이터의 이용시에 사용자에게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시키고, 이것과 등록된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의 일람을 비교함으로써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 수단은, 지시서 데이터의 작성자의 정보와 지시서 데이터를 관련지어 기억 수단에 기억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마다 지시서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마다 개별적인 처리를 행하는 것 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서비스 처리 방법의 발명은, 네트워크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서비스 처리 수단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특정 사상의 발생을 통지받은 경우, 통지된 특정 사상에 대응하는 적어도 처리 대상의 문서 데이터의 위치 및 상기 문서 데이터에 실시해야 할 복수의 서비스 처리 내용이 기술된 지시서 데이터를, 상기 특정 사상이 발생하였을 때 처리해야 할 지시서 데이터와 상기 특정 사상과의 대응 관계에 따라 정하는 특정 공정; 특정된 지시서 데이터의 내용을 해석하는 해석 공정; 및상기 해석 수단의 해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 처리 수단에 상기 문서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 처리를 연계 처리시키는 연계 처리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서비스 처리 장치와 같이, 특정 사상이 발생한 타이밍에 복수의 서비스 처리를 연계 처리시킬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처리 방법의 발명은, 상기 지시서 데이터 및 상기 지시서 데이터의 처리 타이밍으로서의 상기 특정 사상의 내용을 각각 설정하기 위한 설정 공정; 및 상기 설정 공정에 의해 설정된 설정 내용을 참조하여 상기 문서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 처리를 행하기 위한 지시서 데이터 및 상기 대응 관계를 생성하여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생성 공정;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서비스 처리 장치와 같이, 다양한 지시서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으며, 작성한 지시서의 처리 타이밍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처리 방법의 발명은, 상기 지시서 데이터의 작성자를 인증하는 인증 공정을 더 구비하고, 상기 생성 공정은 상기 지시서 데이터의 작성자의 정보와 상기 지시서 데이터를 관련지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서비스 처리 장치와 같이, 사용자마다 지시서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 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서비스 처리 장치의 발명은, 적어도 처리 대상의 문서 데이터의 위치 및 상기 문서 데이터에 실시해야 할 복수의 서비스 처리 내용이 기술된 지시서 데이터와, 특정 사상이 발생하였을 때 처리해야 할 지시서 데이터와 상기 특정 사상과의 대응 관계를 기억한 기억 수단; 네트워크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서비스 처리 수단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특정 사상의 발생을 통지받은 경우, 통지된 특정 사상에 대응하는 지시서 데이터를 상기 대응 관계에 따라 정하는 특정 수단; 및 상기 특정 수단에서 특정된 지시서 데이터를, 상기 문서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 처리를 연계 처리시키는 연계 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서비스 처리 방법의 발명은, 네트워크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서비스 처리 수단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특정 사상의 발생을 통지받은 경우, 통지된 특정 사상에 대응하는 적어도 처리 대상의 문서 데이터의 위치 및 상기 문서 데이터에 행하여야 할 복수의 서비스 처리 내용이 기술된 지시서 데이터를 상기 특정 사상이 발생하였을 때 처리해야 할 지시서 데이터와 상기 특정 사상과의 대응 관계에 따라 정하는 특정 공정; 및 상기 특정된 지시서 데이터를 상기 문서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 처리를 연계 처리시키는 연계 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서비스 처리 장치의 발명은, 적어도 처리 대상의 문서 데이터의 위치 및 상기 문서 데이터에 실시해야 할 복수의 서비스 처리 내용이 기술된 지시서 데이터와, 특정 사상이 발생하였을 때 처리해야 할 지시서 데이터와 상기 특정 사상과의 대응 관계를 기억한 기억 수단; 네트워크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서비스 처리 수단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특정 사상의 발생을 통지받은 경우, 통지된 특정사상에 대응하는 지시서 데이터를 상기 대응 관계에 따라 정하는 특정 수단; 및 상기 특정 수단에서 특정된 지시서 데이터를 상기 지시서 데이터에 기술된 상기 문서 데이터에 대하여 서비스 처리를 행하는 다른 서비스 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서비스 처리 방법의 발명은, 네트워크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서비스 처리 수단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특정 사상의 발생을 통지받은 경우, 통지된 특정 사상에 대응하는 적어도 처리 대상의 문서 데이터의 위치 및 상기 문서 데이터에 실시해야 할 복수의 서비스 처리 내용이 기술된 지시서 데이터를 상기 특정 사상이 발생하였을 때 처리하여야 할 지시서 데이터와 상기 특정 사상의 대응 관계를 참조하여 정하는 특정 공정; 및 상기 특정된 지시서 데이터를 상기 지시서 데이터에 기술된 상기 문서 데이터에 대하여 서비스 처리를 행하는 다른 서비스 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서비스 처리 장치 및 방법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처리 사상은 외부로부터 문서 데이터를 수신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특정 사상은 사전에 정해진 시각이 도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의 실시 형태]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따른 문서 처리 시스템(l)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문서 처리 시스템(1)은, 다양한 서비스를 행하는 장치나 어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5)를 통하여 접속된 것이다. 여기서, 서비스란, 외부에서의 요구에 따라 문서에 관한 이용 가능한 기능을 말한다. 서비스는, 예컨대, 복사 프린트, 스캔, 팩시밀리 송신기, 메일 배신, 리포지터리로의 저장이나 리포지터리로부터의 독출,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처리, 노이즈 제거 처리 등이 해당하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문서 처리 시스템(1)은,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서비스를 연계시켜 사용자가 바라는 처리를 지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클라이언트 단말(10)과,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검색하는 서비스 검색 서버(20)와, 클라이언트 단말(10)에서 지시된 서비스 연계에 관한 정보로부터 지시서를 작성하는 지시서 생성 서버(30)와, 지시서를 관리하는 지시서 관리 서버(40)와, 지시서에 따라 각 서비스의 연계 처리를 실행하는 연계 처리 서버(5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문서 처리 시스템(1)은, 화상 문서의 노이즈 제거 처리나 화상 회전 처리나 OCR 처리나 화상을 바인드하는 등의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61)와, 문서를 관리하는 문서 관리 서버(62)와, 문서를 배신하는 문서 배신 서버(63)와, 제1의 서비스 처리를 행하는 제1의 서비스 처리 장치(64)와, 제2의 서비스 처리를 행하는 제2의 서비스 처리 장치(6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문서 처리 시스템(1)은,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소정의 서비스 처리를행하는 복수의 서버가 네트워크(5)를 통하여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복수의 서비스가 네트워크(5)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지시서란, 일련의 처리를 복수의 기능적인 처리로 분해한 경우에 있어서, 각 기능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와, 각 기능을 호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I/F) 정보와, 일련의 처리에 관한 그래피컬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말한다.
도 2는, 문서 처리 시스템(1)을 구성하는 각 서비스 처리 장치의 상호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각 서비스 처리 장치는, 자신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내용을 나타내는 I/F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도 3은, l/F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I/F 정보는 <서비스 종류(Service Class)>, <서비스 명칭(Service Name)>, <서비스·아이콘(Service Icon)>, <서비스 정보 로케이션(Service Information Location)>, <입력(Input)>, <출력(0utput)>, <파라미터 제한 룰(Parameter Restriction Rules)>, <서비스·로케이션(Service Location)>, <메소드 명칭(Method Name)>, <기동 방법(Invocation Scheme)>, <묵시 요소(Implicit Elements)>로 구성되어 있다.
<서비스 종류>는, 서비스 처리 장치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처리 내용)이다. 또한, <서비스 종류>는, 미리 정의되어 있는 것이 사용되고, 예컨대, 스캔, 프린트, 리포지터리, 플로우 등이 해당한다. <서비스 명칭>은, 서비스 처리 장치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이름이다. <서비스·아이콘>은, 클라이언트 단말(10)의 GUI에 표시하는 아이콘의 위치 정보이다.
<서비스 정보 로케이션>은, 지시서 생성 서버(30)가 I/F 정보를 취득하기위해 사용하는 URL이다. <입력>은 서비스로의 입력이다. <출력>은 서비스로의 출력이다. <파라미터 제한 룰>은 <입력>에 적용되는 제한 룰이다. <서비스 로케이션>은 서비스를 실제로 사용할 때의 위치 정보이다. <메소드 명칭>은 서비스 처리의 제공 수법이나, 서비스를 나타내는 명칭이 기술되어 있다.
<기동 방법>은 서비스 처리를 호출하여 기동하는 방법이다. 또한, <기동 방법>으로는, 예컨대 메세지 교환 프로토콜인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묵시 요소>는 출력으로서 명시적으로 후단의 처리로 넘겨지는 데이터는 아니나 후단의 처리에서 참조 가능한 데이터이다.
클라이언트 단말(10)은, 지시서의 작성을 지시하거나, 기동해야 할 지시서를 선택하기 위해, 화면 표시하거나 소정의 조작을 행하기 위한 그래피컬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서비스 검색 서버(20)는, 네트워크(5)에 접속된 복수의 서비스 중에서, 검색 조건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검색한다. 서비스 검색 서버(20)는, 화상 처리 장치(61), 문서 관리 서버(62), 문서 배신 서버(63), 제1의 서비스 처리 장치(64), 서비스 처리 장치(65) 등의 다양한 서비스 처리 장치의 I/F 정보의 일부(이하,「부분 I/F 정보)라 함)을 사전에 기억하고 있다. 여기서, 부분 I/F 정보는, l/F 정보의 요소 중의 <서비스 종류>, <서비스 명칭>, <서비스 정보 로케이션>, <입력>, <출력>의 정보를 말한다.
서비스 검색 서버(20)는, 지시서 생성 서버(30)나 연계 처리 서버(50)로부터 검색 조건이 송신되었을 때는, 각 서비스 처리 장치의 부분 I/F 정보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검색한다. 예컨대, 서비스 검색 서버(20)는, 소정의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를 검색할 때는, <서비스 종류>가 일치하는 서비스를 검색하거나, <입력> 및 <출력>이 일치하는 서비스를 검색하거나, 이들 전부가 일치하는 서비스를 검색하면 된다.
지시서 생성 서버(30)는, 지시서 작성시에는 각 서비스 처리 장치로부터 I/F 정보를 취득하고, 각 서비스 처리 장치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연계시키기 위한 지시서를 생성한다. 지시서 생성 서버(30)는 지시서를 작성하도록 구체적으로 다음 처리를 실행한다.
지시서 생성 서버(30)는, <서비스 정보 로케이션>을 참조하여, 네트워크(5) 상에 분산된 소정의 서비스 처리 장치로부터 각 서비스에 관한 I/F 정보를 송신하도록 요구한다. 또한, 지시서 생성 서버(30)는, 소정의 서비스 처리 장치가 없는 경우는 서비스 검색 서버(20)에 대하여 소정의 서비스 처리 장치와 동일한 서비스를 행하는 다른 서비스 처리 장치를 검색하도록 지시를 낸다. 그리고, 지시서 생성 서버(30)는 서비스 검색 서버(20)로부터 다른 서비스 처리 장치의<서비스 정보 로케이션>을 취득하면 된다.
지시서 생성 서버(30)는, 서비스 검색 서버(20)로부터의 검색 결과나 각 서비스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I/F 정보를 관리한다. 지시서 생성 서버(30)는 각 서비스 처리 장치로부터 취득한 l/F 정보를 참조하여, 잡 플로우(연계 처리)를 정의하기 위한 GUI 화면이 되는 HTML 파일을 생성한다. 그리고, 지시서 생성 서버(30)는 클라이언트 단말(10)로부터의 서비스의 열람 요구가 있으면 GUI 화면이 되는 HTML 파일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10)로 송신한다.
도 4는, 잡 플로우를 정의하기 위한 GUI 화면인 지시서 작성 화면(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지시서 작성 화면(100)은, 서비스 윈도우(101), 플로우 윈도우(102), 로직 윈도우(103), 프로퍼티 윈도우(104)로 구성되어 있다.
서비스 윈도우(101)은 사용 가능한 다양한 서비스 처리 장치를 표시한다.로직 윈도우(103)는 서비스간의 연계 패턴을 나타내는 잡 플로우를 표시한다. 프로퍼티 윈도우(104)는 서비스 윈도우(101)와 로직 윈도우(103)에 표시된 각 아이콘의 상세한 설정 파라미터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서비스 윈도우(101)의 아이콘과 로직 윈도우(103)의 아이콘을 플로우 윈도우(102)에 드래그·앤드·드롭함으로써 플로우 윈도우(l02)에 잡 플로우를 정의할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프로퍼티 윈도우(104)에 표시된 내용을 편집함으로써 서비스나 로직 등의 서비스간의 관계를 상세히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서비스 윈도우(101)의 아이콘과 로직 윈도우(103)의 아이콘을 플로우 윈도우(102)에 드래그·앤드 드롭하여 잡 플로우를 정의하고, 프로퍼티 윈도우(104)에 표시된 내용을 편집함으로써 다양하고도 복잡한 처리를연계시키기 위한 지시서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지시서 작성 화면(100)의 표시에 앞서 또는 지시서 작성 화면(100)으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도시하지 않은 사용자 인증 화면이 표시되고, 예컨대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시킨다. 사용자 인증은, 사전에 시스템의 이용이 허가된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의 일람을 예컨대 지시서 관리 서버(40)에 기억시켜 두고, 이것과 사용자 인증 화면에서 입력된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비교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마다의 개별 처리 등이 가능해진다.
또한 작성한 지시서는, 격납처를 지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의 지시서 작성화면(100)에 있어서, 파일 조작에 관한 메뉴인 "파일 [F]"를 클릭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풀 다운 메뉴(120)가 표시되고, 이 풀 다운 메뉴(120) 중의 "저장"을 클릭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격납처 지정 화면(122)이 표시된다.
격납처 지정 화면(122)에서는, 클라이언트 단말(10)의 폴더 구조(124) 및 네트워크(5)에 접속된 지시서 관리 서버(40) 등의 각 장치의 폴더 구조(l26)가 각각 트리 형식으로 표시되며, 지시서의 저장명을 지정하기 위한 박스(128), 지시서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이용권, 지시서를 편집하거나 삭제하는데 필요한 편집·삭제권 등의 지시서의 이용 허가에 관한 각종 액세스권을 설정하기 위한 박스(130A, 130B), OK 버튼(132), 캔슬 버튼(134) 등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우선 격납처 지정 화면(122)을 참조하여 격납처의 폴더를 클릭 함으로써 지정한다. 여기서, 지정된 폴더는 예컨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게 칠해져 지정된 폴더임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명을 지정하기 위한 박스(128)에 원하는 저장명을 입력하고, 각 액세스권의 설정을 행한다.
여기서, 각 액세스권은, 예컨대 지시서의 작성자에게만 줄지, 모든 사용자에게 공통으로 줄지를 택일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박스(130A, l30B)는 택일적으로 체크할 수 있고, 체크된 박스에는 체크된 것을 나타내는 검은 동그라미가 표시된다. 또한, 지시서의 작성자에게만 액세스권을 주는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을 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액세스권을 이용권, 편집·삭제권만으로 하고 있는데 이뿐 아니라, 다른 액세스권, 예컨대 액세스권을 변경하는 권리인 액세스권 변경권 등을 설정해도 된다. 또한 액세스권을 부여하는 대상으로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작성자에게만, 또는 모든 사용자에게의 2종류로 하고 있는데, 이뿐 아니라, 예컨대 특정 그룹의 사용자에게만 액세스권을 부여하는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등 액세스권을 부여하는 대상을 3종류 이상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저장명을 지정하여 액세스권을 설정한 후, OK 버튼(132)을 클릭하면, 후술하는 지시서 생성 서버(30)에 의해 지시서가 생성되고, 지정된 저장명의 지시서가, 설정된 액세스권의 정보 및 사용자 인증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 lD 등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 허가 정보와 관련되어 폴더에 저장된다.또한, 격납처의 지정을 캔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캔슬 버튼(134)를 클릭하면 된다.
이와 같이 작성한 지시서는, 자신의 장치 내뿐 아니라, 네트워크에 접속된 외부 장치, 예컨대 지시서 관리 서버(40)에 저장할 수 있다. 격납처를 지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사전에 정한 장치, 예컨대 지시서 관리 서버(40)에 저장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지시서 관리 서버(40)에 지시서가 저장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지시서 관리 서버(40) 등에 저장한 지시서는, 클라이언트 단말(10)로부터 호출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의 지시서 작성 화면(1OO)에 있어서.파일 조작에 관한 메뉴인 “파일[F]"를 클릭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풀 다운 메뉴(120)가 표시되고, 이 풀 다운 메뉴(120) 중 “열기"를 클릭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지시서 선택 화면(136)이 표시된다.
지시서 선택 화면(136)에서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지시서의 파일명, 갱신 일시, 이용권, 편집 삭제권 등의 정보가 일람 표시된다. 또한, 여기서는, 일예로서 이용권 및 편집·삭제권의 란에 표시된다. 「U」는 그 사용자에게만 권한이 있음을 나타내고, 「C」는 모든 사용자에게 권한이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사용자 인증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지시서의 정보만이 표시되고, 사용자 인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모든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지시서의 정보만이 표시된다. 그리고, 다른 사용자만이 이용 가능한 지시서의 정보는 표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 자신이 이용 가능한 지시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원하는 지시서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중에서 원하는 지시서를 클릭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풀 다운 메뉴(138)가 표시되고, 여기서 「편집」을 선택하면, 선택된 지시서의 잡 플로우가 지시서 작성 화면(100)에 표시되어 내용을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실행」을 선택하면 선택된 지시서가 실행된다.
또한 특정 사상이 발생한 타이밍에서 자동으로 지시서가 실행되도록, 지시서 마다 처리 타이밍을 지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의 지시서 작성 화면(100)에 있어서, 파일 조작에 관한 메뉴인 "파일[F]"을 클릭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풀 다운 메뉴(120)가 표시되고, 이 풀 다운 메뉴(120) 중 "처리 타이밍"을 클릭하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처리 타이밍 설정 화면(14O)이 표시된다.
처리 타이밍 설정 화면(140)은, 네트워크(5)에 접속된 제1의 서비스 처리 장치(64) 등의 장치명이 일람되는 장치명 표시 영역(142), 선택된 장치에서 발생하는 사상의 일람이 표시되는 사상 표시 영역(144), OK 버튼(146), 캔슬 버튼(14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화면에서 장치명을 선택하면, 그 장치(도 11에서는 프레임으로 둘러 싸인 장치)에서 발생하는 각종 사상의 일람이 사상 표시 영역(144)에 표시된다 예컨대, 서비스 처리 장치(64)가 FAX의 수신 기능을 구비한 장치인 경우, 장치명으로부터 제1의 서비스 처리 장치(64)를 선택하면, FAX 수신에 의해 친전 박스에 문서가 저장된, FAX 수신 중에 통신 에러가 발생하는 등의 그 장치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사상의 일람이 사상 표시 영역(144)에 표시된다.
이 장치명과 사상의 일람과의 관계 정보는, 예컨대 사전에 서비스 검색 서버(20) 등에 사전에 기억해 둔다. 이 정보는, 예컨대 각 장치가 갖는 l/F 정보에, 그 장치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사상을 포함시켜 두고, 이 I/F 정보를 각 장치로부터 서비스 검색 서버(20)로 송신하게 함으로써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처리 타이밍 설정 화면(140)을 표시할 때에 서비스 검색 서버(20)로부터 장치명과 사상의 일람과의 관계 정보를 취득하고, 이에 따라 처리 타이밍 설정 화면(14O)에 장치명 및 사상의 일람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지시서를 실행시키는 타이밍으로 설정하고 싶은 사상을 선택하여 OK 버튼(132)을 클릭하면, 선택된 장치명과 사상을 포함하는 처리 타이밍 정보가 클라이언트 단말(10)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또한, 캔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캔슬 버튼(148)을 클릭하면 된다.
지시서 작성 화면(100)에서 사용자가 잡 플로우를 정의하고, 격납처를 지정하면 클라이언트 단말(1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정의된 잡 플로우 정보를, CGI(Common Gateway Interface) 형식에 따라 지시서 생성 서버(30)로 송신한다. 또한 지시서의 격납처나 저장명에 관한 저장 정보, 이용 허가 정보, 및 처리 타이밍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처리 타이밍 정보도 지시서 생성 서버(30)로 송신한다.
지시서 생성 서버(30)는, 사용자로부터의 서비스 연계 지시에 관한 잡 플로우 정보와, 각 서비스의 I/F 정보를 참조하여, 각 서비스로 의뢰하는 처리 내용, 입력 파라미터, 각 서비스의 연계 방법(잡 플로우), 문서명이나 저장 로케이션 정보 등의 처리 대상의 문서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정의한 지시서를 작성한다. 지시서는, XML 형식의 파일로 구성 되어 있다.
도 5는, XML 형식으로 구성된 지시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복수의 서비스의 연계 처리 자체도 하나의 서비스로 간주되므로, 지시서는 도 3에 도시한 I/F 정보에 첨가하여 <플로우>를 추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플로우>는, 서비스간의 연계를 기술하는 요소이며, <기동>, 제어 구조나 논리 연산, 조건 판단을 하기 위한 <if> 등의 요소, 서비스간의 연계를 조정하기 위한 XML 구조의 조작 지시, 또한 처리 대상의 문서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기동>은, 서비스 처리 장치의 특정 메소드를 나타내고, 서비스의 호출을 실행한다. <기동>의 요소로서, 파라미터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맵>과, 호출하는 메소드 명칭 <메소드>를 가지고 있다. 제어 구조나 논리 연산 등을 나타내는 <1f>, <and>, <eq>, <gt>는 연계 처리시에 조건 분기를 행하거나, 서비스간에 주고 받는 파라미터의 조정을 실시한다.
지시서는, 서비스의 연계 처리 제어에 관한 모든 정보를 <플로우>의 요소에 기술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시서에 의해 나타나는 연계 처리 자체도 하나의 서비스로 간주된다. 또한, 지시서는, 도 5에 도시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서비스를 연계시킬 수만 있으면 된다.
지시서 생성 서버(30)는, 이상과 같은 XML 형식의 지시서와 함께 이용 허가 정보를 격납처로 송신하고, 처리 타이밍 정보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것과 저장 정보를 지시서 관리 서버(40)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지정된 격납처 지시서와 이용 허가 정보가 관련되어 저장된다. 또한 지시서 생성 서버(30)는, 사용자에 의해 서비스 연계 처리 실행이 지시되어 있는 경우는, 지시서를 직접 연계 처리 서버(50)로 송신해도 된다.
지시서 관리 서버(40)는, 저장 정보 및 처리 타이밍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지시서의 격납처와 처리 타이밍 정보를 관련지은 대응 관계를 기억하고, 처리타이밍 정보에 지정된 장치에 있어서, 지정된 특정의 사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취지를 통지하도록 지정된 장치에 의뢰한다. 또한 지시서의 격납처로서 지정되어, 지시서와 이용 허가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지시서 생성 서버(30)로부터 송신된 지시서를 이용 허가 정보와 관련지어 기억한다.
지시서 관리 서버(40)는, 클라이언트 단말(10)로부터 지시서의 실행이 요구된 경우에는, 그 지시서를 독출하여 연계 처리 서버(50)로 송신한다. 또한 지시서 관리 서버(40)는, 특정 사상이 발생한 것이 다른 장치로부터 통지된 경우, 기억하고 있는 상기 대응 관계를 참조하여, 통지된 사상에 대응하는 지시서의 격납처를 특정하고, 그 지시서의 격납처의 지시서를 독출하여 연계 처리 서버(50)로 송신한다.
연계 처리 서버(50)는, 지정된 지시서를 해석·실행하는 서버이다. 연계 처리 서버(50)는, 지시서 관리 서버(40)로부터 지시서가 송신되면, 그 지시서를 해석하고, 지시서에 기술되어 있는 순번과 이용 방법에 따라, 화상 처리 장치(61), 문서 관리 서버(62), 문서 배신 서버(63) 등의 각 서비스 처리 장치를 순서대로 호출하여 연계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연계 처리 서버(50)는 실행 중인 연계 처리의 상황이나 종료된 연계 처리의 결과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연계 처리의 상황이나 결과를 통지한다.
연계 처리 서버(50)는, 지시서를 해석하여 각 서비스 처리 장치에 의뢰할 때는, 처리 의뢰 내용이나 입력 파라미터, 처리 대상의 문서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 등을 갖는 개별 지시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연계 처리 서버(50)는, 각 서비스 처리 장치에서 행하는 처리 전후의 처리와의 관련을 지시서에 기술해도 되고, 지시서의 형식이 아니라 각 서비스 처리 장치 마다의 고유의 정보 교환 형식으로 처리 의뢰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화상 처리 장치(6l)는, 화상 처리 기능을 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인스톨된 컴퓨터이다. 화상 처리 장치(61)는, 연계 처리 서버(50)로부터의 처리 요구 의뢰에 포함되는 서비스 처리 의뢰 내용, 입력 파라미터, 처리 대상 문서의 정보를 참조하여, 문서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6l)는 기동시에 서비스 검색 서버(20)에 대하여 부분 l/F 정보를 통지한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61)는 지시서 생성 서버(3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화상 처리 서비스의 이용 방법을 나타내는 I/F 정보를 송신한다. 이 l/F 정보는 지시서 작성시에 이용된다.
문서 관리 서버(62)는, 문서 저장 기능을 가지고 있다. 문서 관리 서버(62)는, 연계 처리 서버(50)로부터의 요구에 포함되는 정보를 참조하여, 문서의 저장이나 검색이나 독출, 문서에 관한 속성의 변경이나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문서 관리 서버(62)는, 기동시에 서비스 검색 서버(20)에 대하여 부분 l/F 정보를 통지한다. 또한, 문서 관리 서버(62)는 지시서 생성 서버(30)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문서 관리 서비스의 이용 방법을 나타내는 I/F 정보를 송신한다.
문서 배신 서버(63)는, 취득한 문서를, 지시된 문서 관리 서버에 저장하거나, 지시된 송신처로 메일 송신이나 FAX 송신을 행하거나, 지시된 프린터로 프린트 출력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문서 배신 서버(63)는 연계 처리 서버(5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10)에서 지시된 문서와 그 배신처의 정보를 참조하여, 문서의 배신 처리를 행한다. 또한 문서 배신 서버(63)는 기동시에 서비스 검색 서버(20)에 대하여 부분 I/F 정보를 통지한다. 또한, 문서 배신 서버(63)는 지시서 생성 서버(3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문서 배신 처리 서비스의 이용 방법을 나타내는 I/F 정보를 송신한다.
제1의 서비스 처리 장치(64)는, 외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문서에 관한 소정의 서비스 처리를 행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제1의 서비스 처리 장치(64)는 연계 처리 서버(50)로부터의 처리 의뢰 내용이나 입력 파라미터, 처리 대상의 문서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 등의 정보를 참조하여 스스로 실행해야 할 서비스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제l의 서비스 처리 장치(64)는 기동시에 서비스 검색 서버(20)에 대하여 부분 I/F 정보를 통지한다. 또한, 제1의 서비스 처리 장치(64)는 지시서 생성 서버(3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서비스 처리 이용 방법을 나타내는 I/F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제2의 서비스 처리 장치(65)는 서비스 처리의 내용을 제외하고 제1의 서비스 처리 장치(64)와 같이 동작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문서 처리 시스템(1)에 있어서, 화상 처리 장치(61), 문서 관리 서버(62), 문서 배신 서버(63) 등의 각 서비스 처리 장치는, 각각 소정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인스톨되면,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화상 처리 장치(61), 문서 관리 서버(62), 문서 배신 서버(63) 등의 서비스 처리 장치는, 기동 처리에 있어서, 각각의 서비스 개요와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함축한 부분 I/E 정보를 서비스 검색 서버(20)로 통지한다.
서비스 검색 서버(20)는, 화상 처리 장치(61), 문서 관리 서버(62), 문서 배신 서버(63) 등의 각 서비스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부분 I/F 정보를 저장한다. 이에 따라, 서비스 검색 서버(20)는, 예컨대 지시서 생성 서버(30)나 연계 처리 서버(50)로부터 소정의 서비스 검색 요구가 있었을 때, 부분 I/F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연계 처리 서버(50)는 본 발명의 해석 수단 및 연계 처리 수단에 해당하고, 클라이언트 단말(10)은 본 발명의 설정 수단에 해당하며, 지시서 생성 서버(30)는 본 발명의 생성 수단에 해당하며, 지시서 관리 서버(4O)는 본 발명의 기억 수단, 특정 수단, 및 인증 수단에 해당한다.
(지시서의 작성)
도 6은, 지시서 작성시의 클라이언트 단말(10), 지시서 생성 서버(30), 및 지시서 관리 서버(40)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클라이언트 단말(1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인스톨된 브라우저를 통하여 지시서 생성 서버(30)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용에 생성된 HTML 파일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액세스한다(스텝 STl).
지시서 생성 서버(30)는, 클라이언트 단말(10)로부터의 열람 요구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HTML 파일을 클라이언트 단말(10)로 송신한다(스텝 ST2).
또한, 이 처리에 앞서 사용자 인증 화면의 HTML 파일을 클라이언트 단말(10)로 송신하고, 사용자 인증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클라이언트 단말(10)은, 지시서 생성 서버(30)로부터 송신된 HTML 파일에 포함되는 화면을 구성하는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스텝 ST3). 이 때,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단말(10)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를 이용하여 원하는 서비스 연계 잡 플로우를 정의하고, 지시서의 격납처, 액세스권의 설정, 지시서의 처리 타이밍 등을 지정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잡 플로우가 정의되고, 격납처의 지정 여부를 판정하고, 격납처가 지정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T4). 클라이언트 단말(10)은, 격납처가 지정되었다고 판정되면,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서비스 연계에 관한 잡 플로우 정보, 지시서의 격납처나 저장명에 관한 저장 정보, 이용 허가 정보, 처리 타이밍 정보를 지시서 생성 서버(30)로 송신한다.
지시서 생성 서버(30)는, 클라이언트 단말(10)로부터 송신된 서비스 연계 잡 플로우에 관한 정보와, 각 서비스 처리 장치로부터 취득한 I/F 정보를 참조하여, 각 서비스에 의뢰하는 처리 내용, 입력 파라미터, 각 서비스의 연계 방법, 문서명이나 저장 로케이션 정보 등의 처리 대상의 문서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정의한 지시서를 작성한다. 그리고, 지시서 생성 서버(30)는, XML 형식의 지시서, 저장 정보, 이용 허가 정보, 처리 타이밍 정보가 지정된 격납처의 장치인 지시서 관리 서버(40)로 송신한다(스텝 ST5).
격납처로 지정된 지시서 관리 서버(4O)는, 저장 정보에 따라 지시서 생성 서버(30)에서 생성된 지시서를 이용 허가 정보와 관련지어 저장한다(스텝 ST6). 지시서 관리 서버(40)는, 지시서 생성 서버(30)에서 작성된 복수의 지시서를 저장할 수있고, 클라이언트 단말(10)로부터 지시서의 선택 지시가 있었을 때는 선택된 지시서를 독출한다.
또한 지시서 관리 서버(4O)는, 처리 타이밍 정보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며(스텝 ST7), 처리 타이밍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지시서의 격납처와 처리 타이밍 정보를 관련지어 대응 관계를 기억한다(스텝 ST8)
그리고, 처리 타이밍 정보에서 지정된 특정 사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것을 통지하도록, 처리 타이밍 정보에서 지정된 장치로 의뢰한다(스텝 ST9). 이에 따라, 통지가 의뢰된 장치측에서는, 지정된 특정 사상이 발생하였음을 검출한 경우에는 그 취지를 지시서 관리 서버(40)로 통지한다.
(연계 처리 기동·실행)
사용자는 지시서 관리 서버(40) 등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지시서 중에서 원하는 지시서를 선택하여 연계 처리를 기동시킬 수 있고, 특정 사상이 발생한 타이밍에서 연계 처리를 기동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의 서비스 처리 장치(64)가 FAX 수신 기능을 구비함과 동시에 친전 박스를 설정함으로써 친전 통신이 가능한 장치이고, 이 친전 박스에 문서가 저장된 타이밍에서 지시서가 실행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지시서 관리 서버(40) 및 연계 처리 서버(50)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여기서는, 제1의 서비스 처리 장치(64)의 친전 박스에 저장된 문서에 대하여 노이즈 제거, OCR 처리라는 화상 처리를 행하고, 추출된 텍스트 문서와 화상 문서를 바인드하는 처리를 행하며, 바인드된 문서를 소정의 격납처에 저장하고, 바인드된 문서 중 텍스트 문서만을 배신처로서 지정된 메일 어드레스로 메일 송신하고, 화상 문서만을 지정된 FAX 번호로 FAX 송신하는 처리가 지시된 지시서를 실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지시서 관리 서버(40)는, 네트워크(5)에 접속된 장치로부터 특정 사상이 발생한 것이 통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Tl1).
그리고, 특정 사상의 발생이 통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통지될 때까지 대기한다. 여기서, 제1의 서비스 처리 장치(64)의 친전 박스에 문서가 저장되면, 제1의 서비스 처리 장치(64)로부터 지시서 관리 서버(40)로 친전 박스에 문서가 저장되었다고 통지된다.
지시서 관리 서버(40)는, 특정 사상의 발생을 통지받은 경우에는, 사전에 기억된 지시서의 격납처와 처리 타이밍 정보가 관련지어진 대응 관계를 참조하여, 통지된 특정 사상에 대응하는 지시서를 특정하고, 그 지시서를 독출하여 연계 처리 서버(50)로 송신한다(스텝 STl2). 그 결과, 연계 처리 서버(50)는 연계 처리 실행을 개시한다.
연계 처리 서버(50)는, 지시서 관리 서버(40)로부터 송신된 지시서를 해석하여 지시서에 기술된 첫번째의 처리인 화상 처리 장치(61)에 대하여, 제1의 서비스 처리를 실행할 것을 의뢰한다(스텝 ST13). 연계 처리 서버(50)는 구체적으로는 지시서에 기재된 정보를 토대로 처리 의뢰할 서비스 처리 장치의 로케이션이나 처리 의뢰에 필요한 입력 파라미터와 출력 파라미터 형식, 처리 의뢰를 위한 메소드 명칭, 기동 방법, 처리 대상 문서(여기서는 제1의 서비스 처리 장치(64)의 친전 박스에 저장된 문서)를 특정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개별 지시 정보를 작성한다. 연계 처리 서버(50)는, 개별 지시 정보를 제1의 처리 의뢰처인 화상 처리 장치(61)로 송신한다.
화상 처리 장치(61)는, 송신된 지시서에 기술된 처리 대상 문서의 격납처 로케이션 정보를 토대로 처리 대상 문서를 복사하여 문서를 취득한다. 화상 처리 장치(61)는 취득한 문서 화상에 대하여 서비스 처리 의뢰 내용을 해석하고, 노이즈 제거, OCR 처리라는 화상 처리를 행하고 추출된 텍스트 문서와 바인드하는 처리를 행한다. 화상 처리 장치(6l)는 화상 처리에 의해 얻어진 화상 문서와 텍스트 문서가 바인드된 문서를 본래의 격납처에 재저장한다. 화상 처리 장치(61)는 이러한 처리가 완료되면, 처리 스테이터스 정보(완료), 출력 파라미터, 처리후의 문서 격납처 정보 등, 처리 결과를 연계 처리 서버(50)로 송신한다.
연계 처리 서버(50)는, 화상 처리 장치(61)로부터의 처리 결과를 수신하면, 제1의 처리 의뢰 결과를 로그로서 관리한다. 그리고, 연계 처리 서버(50)는 지시서에 따라 제2의 처리 의뢰처를 특정하고, 제2의 서비스 처리를 실행할 것을 문서 관리 서버(62)에 의뢰한다(스텝 ST14). 연계 처리 서버(50)는 제1의 서비스 처리 의뢰와 마찬가지로, 개별 지시 정보(처리 의뢰에 관한 정보인 문서를 저장하는 정보, 문서의 격납처의 정보, 처리 대상 문서를 특정하는 정보)를 문서 관리 서버(62)로 송신한다.
문서관리 서버(62)는, 연계 처리 서버(50)의 의뢰 내용을 참조하여, 전처리(제1의 서비스 처리)에서 처리되어 저장된 문서를 의뢰 내용에 기술된 격납처 정보에 따라 저장 처리를 행한다. 문서 관리 서버(62)는 이러한 처리가 완료되면, 처리 스테이터스 정보(완료), 출력 파라미터, 처리후의 문서 격납처 정보 등 처리 결과를 연계 처리 서버(50)로 송신한다.
연계 처리 서버(50)는, 제2의 서비스 처리(문서 저장 처리)로부터의 처리 결과를 수신하면 제2의 처리 의뢰 결과를 로그로서 관리한다. 연계 처리 서버(50)는 지시서에 따라 제3의 처리 의뢰처를 특정하고, 제3의 서비스 처리를 실행할 것을 문서 배신 서버(63)에 의뢰한다(스텝 ST15). 연계 처리 서버(50)는 제2의 서비스 처리 의뢰와 같이, 개별 지시 정보(처리 의뢰에 관한 정보인 문서를 저장하는 정보, 문서의 격납처의 정보, 처리 대상 문서를 특정하는 정보)를 문서 배신 서버(63)로 송신한다.
문서 배신 서버(63)는 연계 처리 서버(50)의 의뢰 내용에 따라 전의 처리(제2의 서비스 처리)에서 처리되어 저장된 문서를, 문서를 특정하는 정보(격납처 정보)에 따라 문서 파일을 독출하고, 의뢰 내용에 기술된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는, 문서 배신 서버(63)는 텍스트 문서와 화상 문서가 바인드된 문서 중 텍스트 문서만을 배신처로서 지정된 메일 어드레스로 메일 송신하고, 화상 문서만을 지정된 FAX 번호로 FAX 송신을 행한다. 문서 배신 서버(63)는 처리가 완료되면 처리 스테이터스 정보(완료), 출력 파라미터, 처리후의 문서 격납처 정보 등 처리 결과를 연계 처리 서버(50)로 송신한다.
이 처리에 있어서, 문서 배신 서버(63)는, 예컨대 FAX 송신 처리에 있어서 상대방이 통화 중이고 또한 소정 횟수 리트라이를 행하여도 상대방과 접속할 수 없는 경우, 스테이터스 정보로서 「메일 송신:완료, FAX 송신:미송신」을 연계 처리 서버(50)로 송신한다.
연계 처리 서버(50)는, 제3의 서비스 처리로부터의 처리 결과를 수신하고, 지시서에는 다음의 처리가 기술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클라이언트 단말(10)에 대하여 모든 처리가 완료되었음을 통지하고, 연계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T16).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문서가 제1의 서비스 처리 장치(64)의 친전 박스에 저장된 타이밍에 지시서가 자동적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사용자 자신이 친전 박스에 문서가 저장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지시서의 실행을 지시하거나 할 필요 없이, 다양하고도 복잡한 처리를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문서가 제1의 서비스 처리 장치(64)의 친전 박스에 저장된 타이밍에서 그 문서에 대하여 OCR 처리 등을 실행하도록 지시하는 지시서가 자동적으로 실행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특정의 사상이나 지시서에서 실행되는 처리 내용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잡의 실행 중에 에러가 발생한 것을 특정 사상으로 하고, 그 사상이 발생하였을 때 에러 종료된 것 및 에러 내용을 프린트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지시서가 실행되도록 처리 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잡이 에러 종료된 경우에 자동적으로 에러 내용의 리포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증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마다 지시서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장치 내에서 에러가 발생된 것을 특정 사상으로 하고, 그 사상이 발생하였을 때 에러 내용을 프린트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지시서가 실행되도록 처리 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 내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예컨대 토너 없음 등이 발생한 경우, 그것을 표현하는 메세지 등을 자동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잡이 소정 회수 종료된 것을 특정의 사상으로 하고, 그 사상이 발생하였을 때 잡의 처리 이력을 프린트 출력하도록 지시하는 지시서가 실행되도록 처리 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정의 잡, 예컨대 FAX 송신 처리가 소정 회수 행해진 경우에 송신 이력을 자동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시각이 된 것을 특정 사상으로 하고, 그 사상이 발생하였을 때 잡의 실행을 지시하는 지시서가 실행되도록 처리 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컨대 야간에 자동적으로 인쇄 처리를 행하거나, 데이터 전송 처리를 행하는 등의 잡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증이 행해진 것을 특정 사상으로 하고, 그 사상이 발생하였을 때, 조작 화면 등을 그 사용자의 환경으로 변경하는 처리를 행하도록 지시하는 지시서가 실행되도록 처리 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행한 경우, 사용자마다 개별적인 조작 화면을 표시하거나, 사용자마다 잡의 실행 환경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지시서의 격납처와 처리 타이밍 정보의 대응 관계를 지시서 관리 서버(40)에 기억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밖에 지시서 중에 처리 타이밍 정보를 기술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네트워크(5)에 접속된 서버 등의 각부는 각각 독립된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되고, 몇몇 각부가 통합되어 하나의 장치 내에설치되어도 되며, 각부 전부가 하나의 장치 내에 설치되어도 된다.
예컨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0)의 지시서 작성이나 지시서 선택 등의 각종 조작을 행하기 위한 GUI 기능, 지시서 생성 서버(30)의 지시서 생성 기능, 지시서 관리 서버(40)의 지시서 관리 기능, 연계 처리 서버(50)의 연계 처리 기능, 화상 처리 장치(61)의 화상 처리 기능, 문서관리 서버의 문서 관리 기능, 문서 배신 서버(63)의 문서 배신 기능이, 서비스 처리를 하는 기능으로서의 복사 기능이나 FAX 기능, 스캐너 기능, 프린트 기능 등의 각 기능을 구비한 복합기(70)에 설치된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복합기(70)에 있어서 지시서의 작성이나 저장이 가능하며, 복합기(70) 내에 저장된 문서 데이터에 대하여, 노이즈 제거 처리나 OCR 처리 등의 회상 처리, 처리후의 문서 데이터의 저장 처리 , FAX 송신, 메일 송신 등을 연계하여 처리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0)에 의해 지시서의 작성이나 선택 등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처리 대상의 문서 데이터나 지시서는, 네트워크(5)에 접속된 다른 외부 장치에 저장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복합기(70)에 저장된 문서 데이터 또는 다른 외부 장치에 저장된 문서 데이터를, 복합기(70)가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복합기나, 네트워크에 각각 접속된 각 처리 기능을 가지는 외부 장치에 처리하게 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서비스 검색 서버(20)는, 각 서비스 처리 장치로부터 l/F 정보의 일부(부분 I/F 정보)를 취득하고 있지만, I/F 정보의 전부를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제2의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1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은, 제2의 실시 형태에 따른 문서 처리 시스템(80)을 구성하는 각 서비스 처리 장치의 상호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제2의 실시 형태에 따른 문서 처리 시스템(8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연계 처리 서버(50)를 사용하지 않고도 복수의 서비스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문서 처리 시스템(80)은 도 l에 도시한 각 서비스 처리 장치(연계 처리 서버(50)는 제외)을 구비하고 있는데, 도 13에는 연계 처리에 관련된 서비스 처리 장치만을 도시하였다.
(연계 처리의 기동·실행)
사용자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특정 사상이 발생하였을 때 실행하여야 할 지시서를 지정해 둠으로써, 연계 처리를 자동적으로 기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의 서비스 처리 장치(64)가 FAX 수신 기능을 구비함과 동시에, 친전 박스를 설정함으로써 친전 통신이 가능한 장치이고, 이 친전 박스에 문서가 저장된 타이밍에서 지시서가 실행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지시서 관리 서버(40)는, 네트워크(5)에 접속된 장치로부터 특정 사상의 발생을 통지받은 경우, 즉 제1의 서비스 처리 장치(64)의 친전 박스에 문서가 저장된 것이 제1의 서비스 처리 장치(64)로부터 통지된 경우에는, 사전에 기억된 지시서의 격납처와 처리 타이밍 정보가 관련지어진 대응 관계를 참조하여 통지된 특정 사상에 대응하는 지시서를 특정하고, 그 지시서를 독출하여 화상 처리 장치(61)로 송신한다.
화상 처리 장치(61)는, 송신된 지시서에 기술된 처리 대상 문서(여기서는 제1의 서비스 처리 장치(64)의 친전 박스에 저장된 문서)의 격납처 로케이션 정보를 토대로 처리 대상의 문서를 취득한다. 화상 처리 장치(6l)는 취득한 문서 화상에 대하여, 서비스 처리 의뢰 내용을 해석하고, 노이즈 제거, OCR 처리라는 화상 처리를 행하고, 추출된 텍스트 문서와 바인드되는 처리를 행한다.화상 처리 장치(61)는 소정의 화상 처리 종료 후, 지시서에 기술된 서비스 처리 의뢰를 삭제한다. 그리고, 화상 처리 장치(61)는, 화상 처리에 의해 얻어진 화상 문서와 텍스트 문서가 바인드된 문서와, 처리의 스테이터스 정보(완료), 출력 파라미터, 처리후의 문서 격납처 정보 등 처리 결과를 갖는 지시서를 다음의 서비스 처리를제공하는 문서 관리 서버(62)로 송신한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61)는 소정의 화상 처리 종료 후, 지시서 중에 기재된 자신의 서비스 의뢰에 관한 부분을 수정 또는 삭제하여 문서 관리 서버(62)로 송신해도 된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61)는 소정의 화상 처리 종료 후, 지시서를 다음의 서비스 처리 장치로 송신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문서 관리 서버(62)는, 화상 처리 장치(61)로부터 송신된 문서를 지시서에기술된 격납처에 일시 저장한다. 그리고, 문서관리 서버(62)는 지시서에 기술된 서비스 처리 의뢰를 삭제하고, 문서 및 지시서를 다음의 서비스 처리를 행하는 문서 배신 서버(63)로 송신한다.
문서 배신 서버(63)는, 지시서를 참조하여 텍스트 문서와 화상 문서가 바인드된 문서 중, 텍스트 문서만을 배신처로서 지정된 메일 어드레스로 메일 송신하고, 화상 문서만을 지정된 FAX 번호로 FAX 송신을 행한다. 그리고, 문서 배신 서버(63)는 지시서에 다음의 처리가 기술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클라이언트 단말(10)에 대하여 모든 처리가 완료되었음을 통지하고 연계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동등하게, 네트워크(5)에 접속된 서버 등의 각부는 각각 독립된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되고, 몇몇 각부가 통합되어 하나의 장치 내에 설치되어도 되며, 각부 전부가 하나의 장치 내에 설치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네트워크 접속된 각 기기에 대하여 문서 데이터에 실시해야 할 복수의 처리를 연계하여 처리할 수 있다.

Claims (20)

  1. 적어도 처리 대상의 문서 데이터의 위치 및 상기 문서 데이터에 실시해야 할 복수의 서비스 처리 내용이 기술된 지시서 데이터와, 특정 사상이 발생하였을 때 처리해야 할 지시서 데이터와 상기 특정 사상과의 대응 관계를 기억한 기억 수단;
    네트워크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서비스 처리 수단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특정 사상이 발생된 것을 통지받은 경우에, 통지된 특정 사상에 대응하는 지시서 데이터를 상기 대응 관계에 따라 정하는 특정 수단;
    특정된 지시서 데이터의 내용을 해석하는 해석 수단; 및
    상기 해석 수단의 해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 처리 수단에 상기 문서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 처리를 연계 처리시키는 연계 처리 수단;을 구비한 서비스 처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서 데이터 및 상기 지시서 데이터의 처리 타이밍으로서의 상기 특정 사상의 내용을 각각 설정하기 위한 설정 수단; 및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설정 내용을 참조하여 상기 문서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 처리를 행하기 위한 지시서 데이터 및 상기 대응 관계를 생성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생성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처리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서 데이터의 작성자를 인증하는 인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생성 수단은, 상기 지시서 데이터의 작성자의 정보와 상기 지시서 데이터를 관련지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처리 장치.
  4. 네트워크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서비스 처리 수단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특정 사상의 발생을 통지받은 경우, 통지된 특정 사상에 대응하는 적어도 처리 대상의 문서 데이터의 위치 및 상기 문서 데이터에 실시해야 할 복수의 서비스 처리 내용이 기술된 지시서 데이터를, 상기 특정 사상이 발생하였을 때 처리해야 할 지시서 데이터와 상기 특정 사상과의 대응 관계에 따라 정하는 특정 공정;
    특정된 지시서 데이터의 내용을 해석하는 해석 공정; 및
    상기 해석 수단의 해석 결과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 처리 수단에 상기 문서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 처리를 연계 처리시키는 연계 처리 공정;을 구비한 서비스 처리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서 데이터 및 상기 지시서 데이터의 처리 타이밍으로서의 상기 특정 사상의 내용을 각각 설정하기 위한 설정 공정; 및
    상기 설정 공정에 의해 설정된 설정 내용을 참조하여 상기 문서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 처리를 행하기 위한 지시서 데이터 및 상기 대응 관계를 생성하여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생성 공정;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처리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서 데이터의 작성자를 인증하는 인증 공정을 더 구비하고, 상기 생성 공정은 상기 지시서 데이터의 작성자의 정보와 상기 지시서 데이터를 관련지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처리 방법.
  7. 적어도 처리 대상의 문서 데이터의 위치 및 상기 문서 데이터에 실시해야 할 복수의 서비스 처리 내용이 기술된 지시서 데이터와, 특정 사상이 발생하였을 때 처리해야 할 지시서 데이터와 상기 특정 사상과의 대응 관계를 기억한 기억 수단;
    네트워크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서비스 처리 수단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특정 사상의 발생을 통지받은 경우, 통지된 특정 사상에 대응하는 지시서 데이터를 상기 대응 관계에 따라 정하는 특정 수단; 및
    상기 특정 수단에서 특정된 지시서 데이터를, 상기 문서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 처리를 연계 처리시키는 연계 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한 서비스 처리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서 데이터 및 상기 지시서 데이터의 처리 타이밍으로서의 상기 특정 사상의 내용을 각각 설정하기 위한 설정 수단; 및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설정 내용을 참조하여 상기 문서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 처리를 행하기 위한 지시서 데이터 및 상기 대응 관계를 생성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생성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처리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서 데이터의 작성자를 인증하는 인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생성 수단은 상기 지시서 데이터의 작성자의 정보와 상기 지시서 데이터를 관련지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처리 장치.
  10. 네트워크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서비스 처리 수단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특정 사상의 발생을 통지받은 경우, 통지된 특정 사상에 대응하는 적어도 처리 대상의 문서 데이터의 위치 및 상기 문서 데이터에 행하여야 할 복수의 서비스 처리 내용이 기술된 지시서 데이터를 상기 특정 사상이 발생하였을 때 처리해야 할 지시서 데이터와 상기 특정 사상과의 대응 관계에 따라 정하는 특정 공정; 및
    상기 특정된 지시서 데이터를 상기 문서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 처리를 연계 처리시키는 연계 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 공정;을 구비한 서비스 처리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서 데이터 및 상기 지시서 데이터의 처리 타이밍으로서의 상기 특정 사상의 내용을 각각 설정하기 위한 설정 공정; 및
    상기 설정 공정에 의해 설정된 설정 내용을 참조하여 상기 문서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 처리를 행하기 위한 지시서 데이터 및 상기 대응 관계를 생성하여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생성 공정;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처리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서 데이터의 작성자를 인증하는 인증 공정을 더 구비하고, 상기 생성 공정은 상기 지시서 데이터의 작성자의 정보와 상기 지시서 데이터를 관련지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처리 방법.
  13. 적어도 처리 대상의 문서 데이터의 위치 및 상기 문서 데이터에 실시해야 할 복수의 서비스 처리 내용이 기술된 지시서 데이터와, 특정 사상이 발생하였을 때 처리해야 할 지시서 데이터와 상기 특정 사상과의 대응 관계를 기억한 기억 수단;
    네트워크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서비스 처리 수단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특정 사상의 발생을 통지받은 경우, 통지된 특정 사상에 대응하는 지시서 데이터를 상기 대응 관계에 따라 정하는 특정 수단; 및
    상기 특정 수단에서 특정된 지시서 데이터를 상기 지시서 데이터에 기술된 상기 문서 데이터에 대하여 서비스 처리를 행하는 다른 서비스 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한 서비스 처리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서 데이터 및 상기 지시서 데이터의 처리 타이밍으로서의 상기 특정 사상의 내용을 각각 설정하기 위한 설정 수단; 및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설정 내용을 참조하여 상기 문서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 처리를 행하기 위한 지시서 데이터 및 상기 대응 관계를 생성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생성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처리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서 데이터의 작성자를 인증하는 인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생성 수단은 상기 지시서 데이터의 작성자의 정보와 상기 지시서 데이터를 관련지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처리 장치.
  16. 네트워크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서비스 처리 수단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특정 사상의 발생을 통지받은 경우, 통지된 특정 사상에 대응하는 적어도 처리 대상의 문서 데이터의 위치 및 상기 문서 데이터에 실시해야 할 복수의 서비스 처리 내용이 기술된 지시서 데이터를 상기 특정 사상이 발생하였을 때 처리하여야 할 지시서 데이터와 상기 특정 사상의 대응 관계를 참조하여 정하는 특정 공정; 및
    상기 특정된 지시서 데이터를 상기 지시서 데이터에 기술된 상기 문서 데이터에 대하여 서비스 처리를 행하는 다른 서비스 처리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 공정;을 구비한 서비스 처리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서 데이터 및 상기 지시서 데이터의 처리 타이밍으로서의 상기 특정 사상의 내용을 각각 설정하기 위한 설정 공정; 및
    상기 설정 공정에 의해 설정된 설정 내용을 참조하여 상기 문서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 처리를 행하기 위한 지시서 데이터 및 상기 대응 관계를 생성하여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생성 공정;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처리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서 데이터의 작성자를 인증하는 인증 공정을 더 구비하고, 상기 생성 공정은 상기 지시서 데이터의 작성자의 정보와 상기 지시서 데이터를 관련지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처리 방법.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사상은, 외부로부터 문서 데이터를 수신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처리 장치.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사상은, 사전에 정해진 시각이 도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처리 장치.
KR1020040002225A 2003-03-24 2004-01-13 서비스 처리 장치 및 서비스 처리 방법 KR1006397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79270 2003-03-24
JP2003079270A JP4265249B2 (ja) 2003-03-24 2003-03-24 サービス処理装置、サービス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1159A Division KR100711837B1 (ko) 2003-03-24 2006-06-30 서비스 처리 장치 및 서비스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511A true KR20040086511A (ko) 2004-10-11
KR100639730B1 KR100639730B1 (ko) 2006-10-27

Family

ID=329848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225A KR100639730B1 (ko) 2003-03-24 2004-01-13 서비스 처리 장치 및 서비스 처리 방법
KR1020060061159A KR100711837B1 (ko) 2003-03-24 2006-06-30 서비스 처리 장치 및 서비스 처리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1159A KR100711837B1 (ko) 2003-03-24 2006-06-30 서비스 처리 장치 및 서비스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40193717A1 (ko)
JP (1) JP4265249B2 (ko)
KR (2) KR100639730B1 (ko)
CN (1) CN131259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39047B (zh) * 2004-12-22 2010-05-05 株式会社理光 服务使用系统、图像操纵设备、外部处理设备、信息处理设备、和状态变化发送方法
JP2006215853A (ja) * 2005-02-04 2006-08-17 Ricoh Co Ltd ワークフロー支援システム
JP4096954B2 (ja) 2005-06-03 2008-06-0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画像処理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画像処理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画像処理方法
JP4345721B2 (ja) 2005-07-14 2009-10-1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管理システム
US7893877B2 (en) * 2005-10-31 2011-02-22 Yageo Corporation Antenna for WWAN and integrated antenna for WWAN, GPS and WLAN
JP4835111B2 (ja) * 2005-11-02 2011-12-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ジョブ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読取装置
JP4251645B2 (ja) 2005-11-04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US20070127057A1 (en) * 2005-12-01 2007-06-07 Lexmark International, Inc. Job status tracking and notification system
JP4859198B2 (ja) * 2005-12-22 201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5005365B2 (ja) * 2006-02-03 2012-08-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07257350A (ja) * 2006-03-23 2007-10-04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JP2007323544A (ja) * 2006-06-05 2007-12-13 Sony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127408B2 (ja) * 2006-12-01 2013-01-2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
US8286167B2 (en) 2006-12-01 2012-10-09 Ricoh Company,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ob management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090006989A1 (en) * 2007-06-27 2009-0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and host
JP4942597B2 (ja) * 2007-09-14 2012-05-3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入出力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制御方法
JP2009188678A (ja) * 2008-02-05 2009-08-20 Canon Inc ジョブ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541649B2 (ja) * 2008-07-14 2014-07-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45931B2 (ja) * 2009-03-09 2013-07-2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
WO2013065056A1 (en) 2011-10-31 2013-05-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ndering permissions for rendering content
US9462080B2 (en) * 2012-04-27 2016-10-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anagement service to manage a file
JP5747956B2 (ja) * 2013-07-09 2015-07-15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6701961B2 (ja) * 2016-05-27 2020-05-27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71326B2 (ja) * 2018-09-07 2022-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7204384B2 (ja) 2018-09-07 2023-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7336220B2 (ja) * 2019-03-15 2023-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5055A (en) * 1992-12-16 1994-04-19 Xerox Corporation Automatic call to selected remote operators in response to predetermined machine conditions
TW237588B (ko) * 1993-06-07 1995-01-01 Microsoft Corp
US5621892A (en) * 1995-10-10 1997-04-15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lerts and events in a networked computer system
JP3639022B2 (ja) * 1995-12-08 2005-04-13 株式会社東芝 複合画像形成装置
JPH09325939A (ja) * 1996-06-05 1997-12-16 Hitachi Ltd エージェント機能を備えるグループウェアシステム
JP3559656B2 (ja) * 1996-09-09 2004-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6417934B1 (en) * 1997-11-06 2002-07-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acsim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US6321338B1 (en) * 1998-11-09 2001-11-20 Sri International Network surveillance
US7062532B1 (en) * 1999-03-25 2006-06-13 Autodes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rawing collaboration on a network
US7099027B1 (en) * 1999-11-12 2006-08-29 Electronics For Imag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print jobs
CN1413410A (zh) * 1999-11-16 2003-04-23 杜柯波特公司 便携扫描仪、打印机、传真及复印机
US7120910B2 (en) * 2000-03-29 2006-10-10 Canon Kabushiki Kaisha Control method f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nectable to computer network
JP4192392B2 (ja) * 2000-04-06 2008-12-1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機器管理システムおよび機器管理方法および機器管理装置
US6829630B1 (en) * 2000-11-24 2004-12-07 Xerox Corporation Mechanisms for web-object event/state-driven communication between networked devices
US7133908B1 (en) * 2000-11-24 2006-11-07 Xerox Corporation Metrics and status present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persistent template-driven web objects
JP2003058478A (ja) * 2001-08-10 2003-02-28 Konica Corp 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030094821A (ko) * 2002-06-08 2003-12-18 이문호 전자 문서 동기화 방식을 이용한 서비스 신청 중개 시스템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65249B2 (ja) 2009-05-20
KR100639730B1 (ko) 2006-10-27
KR100711837B1 (ko) 2007-05-02
KR20060088519A (ko) 2006-08-04
CN1312597C (zh) 2007-04-25
JP2004287862A (ja) 2004-10-14
US20040193717A1 (en) 2004-09-30
CN1532751A (zh) 2004-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1837B1 (ko) 서비스 처리 장치 및 서비스 처리 방법
KR100744728B1 (ko) 서비스 처리 장치, 시스템 및 서비스 처리 방법
KR100596224B1 (ko) 서비스 처리 장치 및 서비스 처리 방법
JP2004287860A (ja) サービス処理装置、サービス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82195B2 (ja) サービス処理システム
JP5206829B2 (ja) サービス処理システム
JP4770995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
JP5310931B2 (ja) サービス処理システム
JP5310934B2 (ja) サービス処理システム
JP5382176B2 (ja) サービス処理システム
JP4985318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5541403B2 (ja) サービス処理システム
JP2004289500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275476A (ja) 管理装置、サービス処理装置、サービス処理システム、管理プログラム、及びサービス処理プログラム
JP4501723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16809B2 (ja) サービス処理システム
JP5516814B2 (ja) サービス処理システム
JP5516808B2 (ja) サービス処理システム
JP5516807B2 (ja) サービス処理システム
JP5516811B2 (ja) サービス処理システム
JP5516812B2 (ja) サービス処理システム
KR100592101B1 (ko) 서비스 처리 시스템, 서비스 처리 방법 및 잡 관리 장치
KR100553939B1 (ko) 서비스검색장치, 서비스검색방법 및 문서처리시스템
JP4341269B2 (ja) サービス処理システム、サービス処理方法及びサービス処理プログラム
JP2008005518A (ja) 画像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