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6373A - 의료용 복실 용기 - Google Patents

의료용 복실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6373A
KR20040086373A KR10-2004-7012527A KR20047012527A KR20040086373A KR 20040086373 A KR20040086373 A KR 20040086373A KR 20047012527 A KR20047012527 A KR 20047012527A KR 20040086373 A KR20040086373 A KR 20040086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ontainer
sealing
medical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9908B1 (ko
Inventor
오까미노루
오오니시마사루
하마자끼신
나까오오사무
스기오까요시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츠카 세이야쿠 코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37016A external-priority patent/JP408165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츠카 세이야쿠 코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츠카 세이야쿠 코죠
Publication of KR20040086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9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3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for products to be mix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2Separating means
    • A61J1/2024Separating means having peelable se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8Medicinal cont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3/00Flexible bags
    • Y10S383/906Dispensing fea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약제를 수납하는 제1 및 제2 수납실(10, 11) 및 각 수납실(10, 11)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용 약밀봉부(20)를 갖는 용기 본체(3)와, 이 용기 본체(3)에 부착되어 수납실(11)로부터 약제를 배출 가능하게 하는 배출부(32)를 구비하고, 구획용 약밀봉부(20)가, 사용시에 각 수납실(10, 11)을 연통시키도록 개봉 가능하게 구성된 의료용 복실 용기이며, 용기 본체(3)는 제2 수납실(11)과 배출부(32) 사이를 구획하여 사용시에 개봉 가능하게 구성된 배출용 약밀봉부(21)를 구비하고, 배출용 약밀봉부(21)의 개봉 강도가 구획용 약밀봉부(20)의 개봉 강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복실 용기.

Description

의료용 복실 용기{MEDICAL MULTI-CHAMBER CONTAINER}
정맥 주사에 의해 환자에게 투여되는 약제 중에는, 미리 배합하면 바람직하지 않은 경시적 변화를 일으키는 불안정한 약제가 있다. 예를 들어, 아미노산 수액과 포도당 수액을 배합하여 보존해 두면, 이른바 메이레이드 반응에 의해 혼합액이 갈변한다. 또한, 지방유제와 전해질 용액을 배합하여 보존해 두면, 지방분이 응집을 발생하고, 인산 함유액과 칼슘 함유액을 배합해 두면 인산칼슘의 침전을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변화를 일으킨다.
이러한 약제를 수납하기 위해서는, 혼합 전의 성분을 개별로 수납할 수 있는 의료용 복실 용기가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도10은 그러한 종래의 의료용 복실 용기의 일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11은 도10의 X-X선 단면도이다.
이 의료용 복실 용기에는, 미리 혼합 또는 용해해 두면 바람직하지 않은 2개의 약제를 각각 수납하는 수납실(10, 11)이 설치되어 있고, 각 수납실(10, 11)은 구획용 약(弱)밀봉부(20)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수납실(10, 11)의 약제는 격리된 상태로 사용시까지 안전하고 또한 확실하게 보존된다. 또한, 용기의 상단부에는 걸이 구멍(30)이 형성되는 동시에, 용기의 하단부에는 하방의 수납실(11)로부터 약제를 배출하는 배출부(3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출부(32)의 내부에는 고무 마개(도시 생략)가 부착되어 있고, 이에 의해 보관시에 수납실(11)로부터 약제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구획용 약밀봉부(20)는, 수납실(10, 11) 내의 압력을 높임으로써 개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사용시에 어느 하나의 수납실(10, 11)을 압박하면 개봉되어 2개의 수납실(10, 11)이 연통된다. 이에 의해, 양 약제(a, b)는 빠르게 혼합 혹은 용해된다. 그리고, 혼합된 약제를 환자에게 투여할 때에는 용기를 걸이 구멍(30)에 의해 지지 기둥 등에 건 후, 용기의 일단부에 설치된 고무 마개의 도관을 찔러 넣는다. 이에 의해, 용기 내의 혼합된 약제는 도관을 거쳐서 환자에게 투여된다.
그러나, 이러한 의료용 복실 용기는 배출부(32)가 부착된 수납실(11)에 액형 약제를 수납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구획용 약밀봉부(20)를 개봉하기 전에 고무 마개에 도관을 찔러 넣으면, 배출부(32)로부터 혼합 전의 약제가 배출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혼합 전의 약제가 배출부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의료용 복실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동시에 배합하면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화를 일으키는 불안정한 각종 약제(액제, 분말 혹은 고형제)를 개별로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실을 구비하고, 각 수납실 사이를 구획하고 있는 구획용 밀봉부를 박리 개봉함으로써, 각 수납실 내에 수납되어 있는 약제를 무균 상태이고 또한 이물질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혼합할 수 있는 의료용 복실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의료용 복실 용기의 제1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의료용 복실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3은 제1 실시 형태의 의료용 복실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의료용 복실 용기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5는 제2 실시 형태의 배출용 약밀봉부에 있어서의 돌출부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의료용 복실 용기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7은 제3 실시 형태의 의료용 복실 용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8은 약밀봉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9는 약밀봉부와 용기 주연부의 연결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0은 종래의 의료용 복실 용기의 일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11은 도10의 X-X선 화살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 과제는, 약제를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실 및 상기 각 수납실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용 밀봉부를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어 상기 수납실로부터 약제를 배출 가능하게 하는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획용 밀봉부가 사용시에 상기 각 수납실을 연통시키도록 개봉 가능하게 구성된 의료용 복실 용기이며, 상기 용기 본체는 적어도 1개의 상기 수납실과 상기 배출부 사이를 구획하여 사용시에 개봉 가능하게 구성된 배출용 밀봉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용 밀봉부의 개봉 강도가 상기 구획용 밀봉부의 개봉 강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복실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배출용 밀봉부가 설치되고 수납실과 배출부가 직접 연통되어 있지 않으므로, 예를 들어 구획용 밀봉부를 개봉하기 전에 실수로 배출부에 마개 찌름 바늘을 찔러 넣은 경우라도, 수납실 내의 혼합 전의 약제가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경우, 마개 찌름 바늘을 찔러 넣어도 배출부로부터는 약제가 배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이에 의해 배출용 밀봉부 및 구획용 밀봉부가 개봉되지 않은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용 밀봉부를 설치함으로써 적절한 사용 방법, 즉 구획용 밀봉부를 개봉하여 각 수납실의 약제를 혼합한 후에 배출부에 마개 찌름 바늘을 찔러 넣어 약제를 투여한다고 하는 올바른 순서의 사용을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배출용 밀봉부의 개봉 강도가 구획용 밀봉부의 개봉 강도보다 작으므로, 사용시에 다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이러한 의료용 복실 용기는, 예를들어 구획용 밀봉부를 개봉하여 각 수납실의 약제를 혼합한 후에, 배출용 밀봉부를 개봉하여 약제를 배출부로부터 배출하도록 사용된다. 이 때, 배출용 밀봉부를 개봉하기 위해서는 연통된 수납실 전체를 압박하여 배출용 밀봉부에 압력을 작용시킬 필요가 있고, 개봉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용기를 둥글게 하면서 압박하는 등의 번잡한 조작을 필요로 한다. 여기서, 배출용 밀봉부의 개봉 강도를 구획용 밀봉부의 개봉 강도보다 작게 해 두면, 상기한 바와 같이 수납실 전체를 압박하도록 압박 면적이 넓은 경우라도 배출용 밀봉부를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2개의 밀봉부의 개봉 강도의 차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즉, 직경 100 ㎜의 원판으로 상기 용기 본체를 압박함으로써 상기 구획용 밀봉부 및 배출용 밀봉부를 개봉할 때에, 상기 구획용 밀봉부의 개봉에 필요한 상기 원판의 압박력이 상기 배출용 밀봉부의 개봉에 필요한 압박력보다 5 내지 10 ㎏ 커지도록 할 수 있다. 이 정도의 차를 마련해 두면, 배출용 밀봉부의 개봉이 용이해진다.
상기 의료용 복실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 중 적어도 최내층이 상용성이 결여되어 융점이 다른 2 종류 이상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혼합 재료인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용기 본체가 그 주연부를 열융착함으로써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며, 구획용 밀봉부 및 배출용 밀봉부가 용기 본체의 대향하는 필름을 열융착함으로써 형성되고, 구획용 밀봉부의 융착 강도가 상기 용기 본체의 주연부의 융착 강도보다 작고, 또한 상기 배출용 밀봉부의 융착 강도보다 크게 할 수 있다. 특히, 용기 본체 중 적어도 최내층이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과 환형올레핀 수지와의 혼합 재료인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용기 본체를 폴리에틸렌 등에 의해 구성하면, 밀봉부를 열융착에 의해 구성할 수 있어 용기의 제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배출용 밀봉부의 개봉 강도를 구획용 밀봉부의 개봉 강도보다 작게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상기 배출용 밀봉부 중 적어도 일부의 폭을 상기 구획용 밀봉부의 폭보다도 좁게 형성하면 좋다.
또한, 상기 배출용 밀봉부는 상기 배출부의 주위에 활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밀봉부의 형성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제조 시간이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밀봉부 형성 면적이 작으므로 밀봉부에 주름이 생기기 어렵고, 그 결과 불량 발생율을 저감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의료용 복실 용기에 있어서, 배출용 밀봉부 상에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용 밀봉부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대향하는 내벽면을 고정 부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강부를 설치해 두면, 예를 들어 용기를 떨어뜨렸을 때와 같이 용기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라도 배출용 밀봉부가 실수로 개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용 밀봉부 및 구획용 밀봉부 중 적어도 한 쪽이 수납실로 돌출되는 적어도 1개의 돌출부를 구비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를 설치하면, 수납실에 압력을 가하였을 때에 작은 압력으로 돌출부가 박리를 개시하여 밀봉부를 용이하게 개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용 밀봉부 및 배출용 밀봉부 중 적어도 한 쪽은 용기 본체의 대향하는 내벽면 중 한 쪽 벽면에 설치된 볼록조부와, 다른 쪽 벽면에 설치된 오목조부를 탄성 변형에 의해 이탈 가능하게 끼워 맞춤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다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부를 필름의 열융착에 의해 구성하는 경우에 융착면에 약제가 비산되어 있으면 충분한 밀봉 강도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요철 끼워 맞춤으로 밀봉부를 구성하면 밀봉 부분에 약제가 비산되어 있다고 해도 확실한 개봉 강도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의료용 복실 용기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복수의 실시 형태를 통해 동일하거나 또는 동일한 종류의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우선, 본 발명에 관한 의료용 복실 용기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의료용 복실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의료용 복실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료용 복실 용기(1)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용기 본체(3)와, 이 용기 본체(3)에 접속되어 내부에 고무 마개(31)를 갖는 약제의 배출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3)는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제1 수납실(10) 및 제2 수납실(11)을 갖고 있고, 2개의 수납실(10, 11)은 개봉 가능한 구획용 약밀봉부(구획용 밀봉부)(20)로 구획되어 있다. 상기한 배출부(32)는 제2 수납실(11)에 접속되어 있고, 배출부(32)와 제2 수납실(11)은 개봉 가능한 배출용 약밀봉부(배출용 밀봉부)(21)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또한, 각 수납실(10, 11)에는 미리 혼합 혹은 용해해 두면 바람직하지 않은 각종 약제(a, b)가 각각 수납되어 있고, 예를 들어 아미노산 수액 및 포도당 수액을 수납할 수 있다.
용기 본체(3)는, 2매의 평층 또는 복층 필름의 주연부를 열융착 또는 접착함으로써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필름의 재질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 등 의료용 용기의 소재로서 이용되고 있는 다양한 수지를 채용할 수 있다.
구획용 약밀봉부(20) 및 배출용 약밀봉부(21)는, 용기 본체(3)를 형성하는 대향하는 필름면을 열융착한 것이다. 배출용 약밀봉부(21)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용 약밀봉부(20)와 평행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예를 들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부(32)의 주위에 원호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배출용 약밀봉부(21)를 원호형으로 형성하면, 밀봉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제조 시간이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밀봉 면적이 작으므로 약밀봉부(21)에 주름이 생기기 어렵고, 그 결과 불량 발생율을 저감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배출용 약밀봉부(21)를 개봉하기 위해 필요한 개봉 강도는, 구획용 약밀봉부(20)를 개봉하기 위해 필요한 개봉 강도보다 작은 것이 된다. 개봉 강도라 함은, 약밀봉부(20, 21)의 일부에서도 개봉되어 약밀봉부(20, 21)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각 실을 연통시키는 데 필요한 힘이다. 이 개봉 강도는, 다양한 방법으로 계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경 100 ㎜의 원판으로 용기 본체의 동일한 용량의 부분을 압박하여, 약밀봉부가 개봉되었을 때의 힘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의 힘은, 배출용 약밀봉부(21)의 개봉에 필요한 힘이 구획용 약밀봉부(20)의 것보다 5 내지 10 ㎏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의료용 복실 용기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용기 내의 약제를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해서는, 우선 제1 수납실(10)을손으로 누르는 등 압박하여 수납실(10) 내의 압력을 높인다. 이에 의해, 구획용 약밀봉부(20)가 개봉되고 제1 및 제2 수납실(10, 11)이 연통하여 각 수납실(10, 11) 내의 약제(a, b)가 혼합된다. 계속해서, 배출부(32)의 고무 마개에 도관의 마개 찌름 바늘을 찔러 넣은 후, 제1 및 제2 수납실(10, 11) 전체를 압박하여 연통된 수납실(10, 11) 내 전체의 압력을 높이고 배출용 약밀봉부(21)를 개봉한다. 이 경우, 배출용 약밀봉부(21)를 개봉한 후에 마개 찌름 바늘을 찔러 넣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용기(1) 내의 혼합 약제는 배출부(32)로부터 도관을 경유하여 환자에게 투여된다.
혹은, 제2 수납실(11)을 압박하여 개봉 조작을 행할 수도 있다. 즉, 제2 수납실(11)을 압박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개봉 강도에 차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먼저 배출용 약밀봉부(21)가 개봉된다. 이 상태에서, 제2 수납실(11)을 더욱 압박하면 구획용 약밀봉부(20)가 개봉되고, 양 수납실(10, 11)이 연통되어 각 수납실(10, 11) 내의 약제가 혼합된다. 이 경우, 제2 수납실(11)만을 계속 압박하면 양 약밀봉부(20, 21)가 개봉되기 때문에 조작은 용이하다. 그리고, 배출부(32)의 고무 마개(31)에 도관의 마개 찌름 바늘을 찔러 넣으면, 혼합 약제가 약제 배출구(32)로부터 도관을 경유하여 환자에게 투여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배출용 약밀봉부(21)가 설치되고 제2 수납실(11)과 배출부(32)가 직접 연통되어 있지 않으므로, 예를 들어 구획용 약밀봉부(20)를 개봉하기 전에 실수로 배출부(32)에 마개 찌름 바늘을 찔러 넣은 경우라도, 제2 수납실(11) 내의 혼합 전의 약제(b)가 배출부(32)로부터 배출되는 것이방지된다. 이 경우, 마개 찌름 바늘을 찔러 넣어도 배출부(32)로부터는 약제가 배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이에 의해 배출용 약밀봉부(21) 및 구획용 약밀봉부(20)가 개봉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용 약밀봉부(21)를 설치함으로써 적절한 사용 방법, 즉 구획용 약밀봉부(20)를 개봉하여 양 수납실(10, 11)의 약제를 혼합한 후에, 배출부(32)에 마개 찌름 바늘을 찔러 넣어 약제를 투여한다고 하는 올바른 순서의 사용을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배출용 약밀봉부(21)를 개봉하기 위한 힘이 구획용 약밀봉부(20)를 개봉하기 위한 힘보다 작게 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용기에서는 제1 혹은 제2 수납실(10, 11) 중 어느 하나를 압박함으로써 약밀봉부(20, 21)를 개봉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제1 수납실(10)을 압박한 경우에는 먼저 구획용 약밀봉부(20)가 개봉되지만, 이 시점에서 양 수납실(10, 11)은 연통되기 때문에 배출용 약밀봉부(21)를 개봉하기 위해서는, 제1 및 제2 수납실(10, 11) 전체가 넓은 면적으로 힘이 고루 미치도록 압박해야만 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양 약밀봉부(20, 21)의 개봉 강도가 동일하거나, 또는 배출용 약밀봉부(21)의 개봉 강도 쪽이 크면 배출용 약밀봉부(21)를 개봉하기 위해서는, 넓은 면적에 대해 구획용 약밀봉부(20)를 개봉하는 것보다 큰 힘을 작용시킬 필요가 있어, 개봉이 곤란해진다. 이와 같이 개봉이 곤란해지면, 용기를 둥글게 하면서 압박하는 등의 번잡한 조작이 필요해진다. 이에 대해, 상기한 바와 같이 배출용 약밀봉부(21)의 개봉 강도를 작게 해 두면, 넓은 압박 면적이라도 큰 압박력을 필요로 하지 않아 쉽게 개봉할 수 있다.
한편 제2 수납실(11)을 압박한 경우에는, 먼저 배출용 약밀봉부(21)가 개봉된다. 계속해서, 구획용 약밀봉부(20)를 개봉하기 위해서는, 제2 수납실(11)을 계속 압박해도 좋다. 즉, 어떠한 약밀봉부(20, 21)를 개봉하는 경우라도 압박하는 부분은 제2 수납실(11)뿐이면 되고, 압박 면적은 거의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큰 힘을 작용시킬 필요가 없어 쉽게 개봉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배출용 약밀봉부(21) 및 구획용 약밀봉부(20)의 개봉 압력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이하에 나타낸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본체(3)를 폴리에틸렌으로 형성하면, 융착 강도를 조정함으로써 개봉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융착 강도의 차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구획용 약밀봉부(20)의 가열 융착 시간을 용기 본체의 주연부(2)의 가열 융착 시간보다 짧게, 또한 배출용 약밀봉부(21)의 가열 융착 시간보다 길게 한다. 혹은, 구획용 약밀봉부(20)의 융착 압력을 용기 본체(3)의 주연부(2)의 융착 압력보다 낮게, 또한 배출용 약밀봉부(21)의 융착 압력보다 높은 압력으로 행함으로써 융착 강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용기 본체(3)의 주연부(2)는 구획용 약밀봉부(20)보다 융착 강도가 높게 되어 있으므로, 구획용 약밀봉부(20)가 개봉된 후에 있어서도 용기 본체(3)의 주연부(2)가 개봉되는 것이 방지되어, 수납실(10, 11)로부터 약제가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융착 강도는, 예를 들어 JIS-Z0238로 표시되는 박리 강도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박리 강도라 함은, 폭 15 ㎜의 약밀봉부를 박리시키는 데 필요로 하는 힘, 즉 열융착되어 있는 2개의 필름면을 이격시키는 데 필요한 힘을 말한다. 이경우, 구획용 약밀봉부(20)의 박리 강도를 1 내지 7 N/15 ㎜로 하고, 배출용 약밀봉부(21)의 박리 강도를 이보다 0.1 내지 0.9 N/15 ㎜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1 N/15 ㎜ 작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경우, 용기 본체 중 적어도 최내층을 상용성이 결여되어 융점이 다른 2 종류 이상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면, 융착 강도의 차를 보다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으로서는, 예를 들어 스티렌계 수지, 메타크릴산에스테르계 수지, 폴리4-메틸펜텐,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와, 폴리에틸렌을 혼합한 것을 들 수 있다. 이 중,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은 의료용으로서 안전성이 확인되어 있고, 제조상 취급 방법이 확립되어 있으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양자의 혼합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1 : 9 내지 9 : 1의 범위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각 밀봉부(20, 21)의 폭을 조정함으로써도 배출용 약밀봉부(21)의 개봉 강도를 구획용 약밀봉부(20)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즉, 배출용 약밀봉부(21) 중 적어도 일부의 폭을 구획용 약밀봉부(20)의 폭보다도 좁게 함으로써, 배출용 약밀봉부(21)의 개봉 강도를 낮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양 약밀봉부(20, 21)에 있어서의 융착 시간 혹은 융착 압력을 동일하게 한 상태에서, 양 약밀봉부(20, 21)의 개봉 강도에 차를 마련할 수 있으므로, 용기(1)의 제조 시간 단축이나 제조 비용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배출용 약밀봉부(21)의 폭이 좁은 부분은 1 부위라도 좋고, 복수 부위라도 좋다. 또한, 배출용 약밀봉부 전체의 폭을 좁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다음과 같은 돌출부를 배출용 약밀봉부에 설치함으로써, 배출용 약밀봉부의 개봉에 필요한 압력을 상대적으로 낮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4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의료용 복실 용기의 평면도이고, 도5의 (a)는 돌출부의 작용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5의 (b)는 도5의 (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의료용 복실 용기(1)에서는 구획용 약밀봉부(20)와 배출용 약밀봉부(21)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동일한 융착 시간 및 융착 압력으로 융착되어 있다. 또한, 배출용 약밀봉부(21)는 그 중간에 V자형으로 형성되어 제2 수납실(11)측을 향하는 돌출부(21a)를 구비하고 있고,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돌출부(21a)에 의해 배출용 약밀봉부(21)의 개봉에 필요한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도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실(10, 11) 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배출용 약밀봉부(21)에는 도면 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압력이 작용한다. 이 때, 압력은 약밀봉부(21)에 대해 수직으로 또한 동등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돌출부(21a)의 정상부(B) 부근의 영역에 작용하는 총 압력은 약밀봉부(21)의 다른 영역과 비교하여 높아진다. 이와 같이 하여, 도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압력은 용기 본체(3)를 구성하는 필름을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수납실(10, 11) 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배출용 약밀봉부(21)는 돌출부(21a)의 정상부(B)로부터 개봉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압력의 작용 하에 개봉이 급속히 진행되어 제2 수납실(11)과 배출부(32)가 연통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출용 약밀봉부(21)에 V자형의 돌출부(21a)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수납실(10, 11)에 압력을 가하였을 때에 작은 압력으로 돌출부(21a)가 개봉을 개시하여, 배출용 약밀봉부(21)를 용이하게 개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획용 약밀봉부(20)보다도 작은 힘으로 배출용 약밀봉부(21)를 개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출용 약밀봉부(21)의 형상만을 변화시켰을 뿐이고, 배출용 약밀봉부(21)의 개봉에 필요한 힘을 낮출 수 있으므로, 양 약밀봉부(20, 21)의 융착 시간 등을 조정할 필요가 없어, 동일한 조건으로 양 약밀봉부(20, 21)를 융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용기(1)의 제조 시간 단축이나 제조 비용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특히, 구획용 약밀봉부(20)와 배출용 약밀봉부(21)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융착의 불균일을 없앨 수 있어, 양 약밀봉부(20, 21) 전체를 균일하게 융착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21a)의 수는 1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2개 이상 설치할 수 있고, 형상에 대해서도 V자형 이외에 압력이 집중되기 쉬운 돌기부를 구비한 형상이면 좋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개봉 강도에 적절한 차가 마련되어 있으면, 구획용 약밀봉부(20) 및 배출용 약밀봉부(21)의 쌍방에 돌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구획용 약밀봉부(20)에만 돌출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배출용 약밀봉부(21)의 개봉 강도를 작게 하면, 예를 들어 용기(1)를 실수로 떨어뜨렸을 때에 그 충격에 의해 배출용 약밀봉부(21)가 개봉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배출용 약밀봉부(21)를 보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보강용 밀봉부를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6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의료용 복실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출용 약밀봉부(21)가 배출부(32)를 둘러싸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출용 약밀봉부(21)의 양측 및 정상부로부터 소정 간격을 둔 3개의 위치에는, 직사각형의 보강용 밀봉부(보강부)(23)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보강용 밀봉부(23)는, 용기 본체(3)의 주연부(2)와 거의 동등한 개봉 강도, 즉 양 약밀봉부(20, 21)보다 강해, 통상의 사용시에는 주연부(2)와 마찬가지로 개봉되지 않는 강도를 갖고 있다.
또한, 배출용 약밀봉부(21)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보강용 밀봉부(23)에는, 용기 본체(3)의 측방 주연부(2)로 연장되는 안내용 밀봉부(24)가 연결되어 있다. 이 안내용 밀봉부(24)는 보강용 밀봉부(23)와 거의 동등한 개봉 강도를 갖고 있고, 배출용 약밀봉부(21)가 개봉되었을 때에 제2 수납실(11) 내의 약제를 배출부(32)로 안내하여 모든 약제를 용기(1)로부터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의료용 복실 용기(1)에서는, 배출용 약밀봉부(21)의 주위에 보강용 밀봉부(2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실수로 용기(1)를 바닥에 떨어뜨려 용기(1)의 측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진 경우라도, 보강용 밀봉부(23)에 의해 이 충격이 차단되어 배출용 약밀봉부(21)로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비교적 약한 배출용 약밀봉부(21)가 충격에 의해 사용 전에 개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용 밀봉부(23)는 배출용 약밀봉부(21)의 정상부와 대향하는 위치에도 설치되어 있으므로, 용기(1)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서도 유효하게 작용하여, 배출용 약밀봉부(21)가 사용 전에 실수로 개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보강용 밀봉부(23)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배출용 약밀봉부(21)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것 이외에,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용 약밀봉부(21)가 밀봉된 후에 그 측부와 포개어지도록 밀봉할 수도 있다.
상기 각 실시 형태의 의료용 복실 용기에서는, 2 종류의 약제를 혼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개 이상의 수납실을 구비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밀봉부를 필름면끼리의 열융착에 의한 약밀봉부(20, 21)로 하고 있지만, 이 밀봉부를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도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복실 용기에서는 용기 본체(3)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2개의 필름면 중, 한 쪽 필름면(3a)에 단면 원형의 볼록조부(35)가 설치되는 동시에, 다른 쪽 면(3b)에 단면 U자형의 오목조부(3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을 탄성 변형에 의해 이탈 가능하게 끼워 맞춤으로써 밀봉부(20, 21)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배출용 밀봉부(21)의 개봉 강도는, 구획용 밀봉부(20)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밀봉부(20, 21)를 볼록조부(35)와 오목조부(36)의 끼워 맞춤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밀봉부를 필름면의 열융착에 의해 구성하는 경우에 융착면에, 예를 들어 약제의 분말이나 물방울이 비산되어 있으면 충분한 융착 강도를 얻을 수 없는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 상기한 바와 같이 밀봉부를 요철 끼워 맞춤에 의해 구성하면, 약제가 밀봉 부분에 비산되어 있는 경우라도 확실한 밀봉 강도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요철 결합에 의한 밀봉부의 개봉 강도의 차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목조부(36)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탄성 변형이 되기 어려워지므로 개봉 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볼록조부(35) 혹은 오목조부(36)에 있어서의 끼워 맞춤면에 미소한 요철을 설치하여, 양자의 마찰력을 크게 하는 것이라도 개봉 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볼록조부(35) 및 오목조부(36)의 형상은, 상기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볼록조부(35) 및 오목조부(36)가 이탈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예를 들어, 도8의 (b)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조부(35)를 단면 갈고리형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이에 계지 가능한 걸림 부재(36a)를 구비하도록 오목조부(36)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볼록조부(35) 및 오목조부(36)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 작성한 부재를 필름면(3a, 3b)에 부착하도록 해도 좋고, 혹은 필름면(3a, 3b)과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 약밀봉부(밀봉부)(20, 21)가 주연부(2)와 연결되는 부분은,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U자형의 밀봉부(27)를 거쳐서 주연부(2)와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약밀봉부(20, 21)의 단부를 직접 주연부(2)와 연결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융착시에 있어서의 핀 홀의 발생율을 저감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약제를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실 및 상기 각 수납실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용 밀봉부를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에 부착되고 상기 수납실로부터 약제를 배출 가능하게 하는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획용 밀봉부가 사용시에 상기 각 수납실을 연통시키도록 개봉 가능하게 구성된 의료용 복실 용기이며,
    상기 용기 본체는 적어도 1개의 상기 수납실과 상기 배출부 사이를 구획하고, 사용시에 개봉 가능하게 구성된 배출용 밀봉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용 밀봉부의 개봉 강도가 상기 구획용 밀봉부의 개봉 강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복실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 중 적어도 최내층이 상용성이 결여되어 융점이 다른 2 종류 이상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혼합 재료인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 본체는 그 주연부를 열융착함으로써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구획용 밀봉부 및 배출용 밀봉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대향하는 상기 필름을 열융착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구획용 밀봉부의 융착 강도가 상기 용기 본체의 주연부의 융착 강도보다 작고, 또한 상기 배출용 밀봉부의 융착 강도보다 큰 의료용 복실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 중 적어도 최내층이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과 환형 올레핀 수지와의 혼합 재료인 필름으로 구성되는 의료용 복실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용 밀봉부 상에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용 밀봉부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대향하는 내벽면끼리 고정 부착함으로써 형성되는 의료용 복실 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용 밀봉부가 상기 수납실에 돌출되는 적어도 1개의 돌출부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복실 용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용 밀봉부 중 적어도 일부의 폭이 상기 구획용 밀봉부의 폭보다도 좁게 형성되는 의료용 복실 용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용 밀봉부가 상기 수납실에 돌출되는 적어도 1개의 돌출부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복실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용 밀봉부 및 배출용 밀봉부 중 적어도 한 쪽은,
    상기 용기 본체의 대향하는 내벽면 중 한 쪽 벽면에 설치된 볼록조부와, 다른 쪽 벽면에 설치된 오목조부를 탄성 변형에 의해 이탈 가능하게 끼워 맞춤으로써 구성되는 의료용 복실 용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용 밀봉부가 상기 배출부의 주위에 활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의료용 복실 용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경 100 ㎜의 원판으로 상기 용기 본체를 압박함으로써 상기 구획용 밀봉부 및 배출용 밀봉부를 개봉할 때에, 상기 구획용 밀봉부의 개봉에 필요한 상기 원판의 압박력이 상기 배출용 밀봉부의 개봉에 필요한 압박력보다 5 내지 10 ㎏ 큰 의료용 복실 용기.
KR1020047012527A 2002-02-14 2003-01-08 의료용 복실 용기 KR1008899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37016A JP4081650B2 (ja) 2001-09-13 2002-02-14 医療用複室容器
JPJP-P-2002-00037016 2002-02-14
PCT/JP2003/000058 WO2003068136A1 (fr) 2002-02-14 2003-01-08 Recipient medical a plusieurs chamb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373A true KR20040086373A (ko) 2004-10-08
KR100889908B1 KR100889908B1 (ko) 2009-03-20

Family

ID=27678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527A KR100889908B1 (ko) 2002-02-14 2003-01-08 의료용 복실 용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658279B2 (ko)
EP (1) EP1475067B1 (ko)
KR (1) KR100889908B1 (ko)
CN (1) CN100441160C (ko)
AT (1) ATE551044T1 (ko)
AU (1) AU2003201909B2 (ko)
CA (1) CA2475590C (ko)
ES (1) ES2384513T3 (ko)
TW (1) TWI273906B (ko)
WO (1) WO200306813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2132A2 (en) 2007-12-24 2009-07-02 Choongwae Corporation Multilayer film for medical solution container and a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DE112010001528T5 (de) 2009-04-06 2012-06-14 Jw Life Science Corporation Medizinischer Mehrlagen-Film und Verwendung dav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94060A1 (en) * 2004-03-03 2005-09-08 Vincent Houwaert Peelable seal closure assembly
DE60330552D1 (de) * 2002-04-30 2010-01-28 Otsuka Pharma Co Ltd Medizinischer mehrkammerbehälter und beutel zu seiner umhüllung
US7207970B2 (en) * 2003-06-27 2007-04-24 Nipro Corporation Displaceable-plug-containing filling/discharging port and medical container having the same
US20070123836A1 (en) * 2003-09-30 2007-05-31 Hiroshi Fukushima Medical container and its using method
AU2006299655B2 (en) * 2005-09-29 2012-07-26 Alcon, Inc. Dual-chamber solution packaging system
CA2621239C (en) 2005-10-17 2014-04-01 Gambro Lundia Ab Multicompartment container containing a medical solution
EP1958608A4 (en) * 2005-11-29 2013-01-23 Otsuka Pharma Co Ltd BAG WITH SEVERAL CHAMBERS AND GAS BARRIER FOIL
JP3118911U (ja) * 2005-11-29 2006-02-09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複室バッグ
JP5118838B2 (ja) * 2006-03-31 2013-01-16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複室容器
KR101258724B1 (ko) * 2005-11-29 2013-04-26 가부시키가이샤 오츠까 세이야꾸 고죠 의료용 복실 용기의 약 시일부의 보강 방법
US9004761B2 (en) * 2006-05-01 2015-04-14 Baxter International Inc. Multiple chamber container with mistake proof administration system
JP4816322B2 (ja) * 2006-08-16 2011-11-16 東洋製罐株式会社 分岐型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US20100047403A1 (en) * 2006-10-30 2010-02-25 Elizabeth Johnson Pouch container for food product
EP2082719B1 (en) * 2006-11-06 2012-04-04 Ajinomoto Co., Inc. Multichamber container
JP5057172B2 (ja) * 2007-02-01 2012-10-24 味の素株式会社 複室容器
WO2009011359A1 (ja) * 2007-07-19 2009-01-22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複室バッグ
JP5299849B2 (ja) * 2007-08-16 2013-09-25 味の素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の溶着方法及び薬剤バッグ
US20090099579A1 (en) * 2007-10-16 2009-04-16 Tyco Healthcare Group Lp Self-adherent implants and methods of preparation
BRPI0820920A2 (pt) * 2007-12-27 2015-06-23 Baxter Int Recipientes dotados de múltiplas câmaras
WO2009096853A1 (en) * 2008-01-28 2009-08-06 Milux Holding Sa Blood clot removal device, system, and method
US20090214807A1 (en) 2008-02-27 2009-08-27 Shawn Davis Peelable seals including porous inserts
US20090238495A1 (en) * 2008-03-18 2009-09-24 Anderson Michael R Pouch dispenser
JP4394729B2 (ja) * 2008-05-12 2010-01-06 株式会社悠心 液体注出ノズルを有する包装袋
US20110038755A1 (en) * 2009-08-12 2011-02-17 Baxter International Inc. Containers comprising peelable seals
KR101226739B1 (ko) * 2010-01-22 2013-02-27 씨앤텍 주식회사 가압 개방되는 비접합선을 가진 2중 파우치와 그 제조에 적합한 열봉합 금형
US20130126370A1 (en) * 2010-06-17 2013-05-23 David DiLiberto Multi-compartment container with frangible seal and external means for applying opening force between compartments
US20120074002A1 (en) * 2010-08-25 2012-03-29 Mark Steele Mixing package and methods of forming and using same
JP5739150B2 (ja) * 2010-12-10 2015-06-24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バッグの製造方法および医療用バッグ
CN102755252A (zh) * 2011-07-28 2012-10-31 辽宁海思科制药有限公司 一种新的包装氨基酸葡萄糖注射液的双室输液袋
USD699343S1 (en) 2011-12-20 2014-02-11 Alcon Research, Ltd. Irrigation solution bag
EP2606926A1 (de) * 2011-12-22 2013-06-26 B. Braun Melsungen AG Mehrkammermischbehälter
US9956068B2 (en) 2012-09-28 2018-05-01 Covidien Lp Package for a surgical repair kit
CN103445961B (zh) * 2013-08-16 2015-09-30 华仁药业股份有限公司 腹膜透析用药液袋
US10078073B2 (en) 2013-09-13 2018-09-18 Ecolab Usa Inc. Multi-compartment package
JP5988111B2 (ja) * 2014-08-12 2016-09-07 上田製袋株式会社 凍結保存用バッグの封口装置
US10081486B2 (en) * 2014-08-19 2018-09-25 Pouch Pac Innovations, Llc Flexible pouch with frangible seal for hydrogenated water
CN107613940B (zh) 2015-01-21 2022-11-11 株式会社大冢制药工厂 端口的制造方法及药液袋的制造方法
USD814941S1 (en) * 2015-08-31 2018-04-10 Diversey, Inc. Package having two pouches
US10086988B2 (en) * 2016-04-08 2018-10-02 Katie Rose Grobman Configurable packet for controllable mixing and dispensing of condiments
CN107334656A (zh) * 2016-04-29 2017-11-10 李和伟 一种改性膜布的包装装置及其制备方法
US10507165B2 (en) 2017-05-31 2019-12-17 Adienne Pharma & Biotech Sa Multi chamber flexible bag and methods of using same
US10369077B2 (en) 2017-05-31 2019-08-06 Adienne Pharma & Biotech Sa Multi chamber flexible bag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190350810A1 (en) 2018-05-18 2019-11-21 Baxter International Inc. Dual chamber flexible container and drug product using same
USD900311S1 (en) 2018-05-18 2020-10-27 Baxter International Inc. Dual chamber flexible container
US11873156B2 (en) * 2019-12-05 2024-01-16 Pouch Pac Innovations, Llc Stand up object shaped pouch
WO2023067511A1 (en) * 2021-10-19 2023-04-27 Greenonyx Ltd Aquatic plants mixing pack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8709A (en) * 1969-09-08 1971-09-28 Wayne Rogers V Multiple compartment package
US4465488A (en) * 1981-03-23 1984-08-14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Collapsible multi-chamber medical fluid container
SE8306400L (sv) 1983-01-24 1984-07-25 Bard Inc C R Blandningsforpackning med ett flertal fack
US4458811A (en) * 1983-04-21 1984-07-10 Abbott Laboratories Compartmented flexible solution container
US4711359A (en) * 1984-04-12 1987-12-08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Container such as a nursing container, having protection compartment for dispensing member
US4519499A (en) * 1984-06-15 1985-05-28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Container having a selectively openable seal line and peelable barrier means
JP2675049B2 (ja) * 1988-03-17 1997-11-12 株式会社新素材総合研究所 内容物入り容器
JPH0296381A (ja) 1988-09-30 1990-04-09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半導体装置
JP3009184B2 (ja) 1990-06-18 2000-02-14 豊田工機株式会社 砥石修正方法
US5176634A (en) 1990-08-02 1993-01-05 Mcgaw, Inc. Flexible multiple compartment drug container
JPH0453678U (ko) * 1990-09-13 1992-05-07
US5462526A (en) * 1993-09-15 1995-10-31 Mcgaw, Inc. Flexible, sterile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ATE295260T1 (de) 1994-03-15 2005-05-15 Otsuka Pharma Co Ltd Verwendung eines verschmutzungsbeständigkeitsvermittelnden siegelfilmes in der medizinischen verpackung
DE4410876A1 (de) * 1994-03-29 1995-10-05 Fresenius Ag Medizinischer Mehrkammerbeute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SE9601348D0 (sv) * 1996-04-10 1996-04-10 Pharmacia Ab Improved containers for parenteral fluids
US5928213A (en) * 1996-05-13 1999-07-27 B. Braun Medical, Inc. Flexible multiple compartment medical container with preferentially rupturable seals
ES2171929T3 (es) 1996-05-13 2002-09-16 Braun Medical Inc Receptaculo para medicamentos flexible y de varios compartimientos, y su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US5910138A (en) 1996-05-13 1999-06-08 B. Braun Medical, Inc. Flexible medical container with selectively enlargeable compartment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5944709A (en) * 1996-05-13 1999-08-31 B. Braun Medical, Inc. Flexible, multiple-compartment drug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JP4236131B2 (ja) 1996-06-13 2009-03-11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容器
DE19955578C1 (de) * 1999-11-18 2001-09-06 Fresenius Medical Care De Gmbh Mehrkammerbehälter, mit Glucosekonzentratkompartiment und Salzsäurekonzentratkompartiment
JP2002136570A (ja) * 2000-08-24 2002-05-14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医療用複室容器
JP2003054621A (ja) * 2001-08-06 2003-02-26 Hosokawa Yoko Co Ltd 包材及び包装容器
JP4081650B2 (ja) * 2001-09-13 2008-04-30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医療用複室容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2132A2 (en) 2007-12-24 2009-07-02 Choongwae Corporation Multilayer film for medical solution container and a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US8491562B2 (en) 2007-12-24 2013-07-23 Choongwae Corporation Multilayer film for functional medical solution container and a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DE112010001528T5 (de) 2009-04-06 2012-06-14 Jw Life Science Corporation Medizinischer Mehrlagen-Film und Verwendung davon
US9040132B2 (en) 2009-04-06 2015-05-26 Jw Life Science Corporation Medical multilayer film and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51044T1 (de) 2012-04-15
KR100889908B1 (ko) 2009-03-20
CA2475590C (en) 2011-08-30
CN1630501A (zh) 2005-06-22
TWI273906B (en) 2007-02-21
ES2384513T3 (es) 2012-07-06
CN100441160C (zh) 2008-12-10
AU2003201909B9 (en) 2003-09-04
TW200303193A (en) 2003-09-01
AU2003201909A1 (en) 2003-09-04
CA2475590A1 (en) 2003-08-21
EP1475067B1 (en) 2012-03-28
AU2003201909B2 (en) 2008-01-10
EP1475067A4 (en) 2007-02-14
US20050087456A1 (en) 2005-04-28
WO2003068136A1 (fr) 2003-08-21
EP1475067A1 (en) 2004-11-10
US7658279B2 (en) 2010-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908B1 (ko) 의료용 복실 용기
KR100654894B1 (ko) 다중 챔버 의료용기 및 이를 수용하기 위한 백
US20040134802A1 (en) Multiple compartment medical container
US5114421A (en) Medicament container/dispenser assembly
JP4081650B2 (ja) 医療用複室容器
KR101426318B1 (ko) 복실 용기
JP4463205B2 (ja) 医療用複室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305107A (ja) 薬剤排出部材及び医療用複室容器
JP4472571B2 (ja) 医療用容器用筒状体、医療用容器用薬剤容器、医療用容器用排出ポートおよび医療用容器
JP5132787B2 (ja) 医療用複室容器
JP3803878B2 (ja) 医療用複室容器及びこれに取り付けられる開封防止部材
JP4555094B2 (ja) 医療用容器
JP2005000228A (ja) 医療用複室容器
JP2006280390A (ja) 医療用容器
JP5594687B2 (ja) 薬剤排出具、及び薬剤排出具を用いた複室容器
JP2006263375A (ja) 医療用複室容器
JP4411490B2 (ja) 医療用複室容器及びこれに取り付けられる開封防止部材
JP4497987B2 (ja) 医療用複室容器
JP3932427B2 (ja) 医療用複室容器の製造方法
JP2000262589A (ja) 複室容器
JP2005143594A (ja) 医療用複室容器
JP2007307414A (ja) 薬剤の排出方法
JP2005334358A (ja) 医療用複室容器及びこれに取り付けられる未開通投与防止部材
JP2008104534A (ja) 医療用複室容器及びシート構造体
JP2010142653A (ja) 医療用複室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