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6143A - 엔진의 점화플러그의 어스구조, 어스배선장치 및어스배선방법 - Google Patents

엔진의 점화플러그의 어스구조, 어스배선장치 및어스배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6143A
KR20040086143A KR10-2003-7005097A KR20037005097A KR20040086143A KR 20040086143 A KR20040086143 A KR 20040086143A KR 20037005097 A KR20037005097 A KR 20037005097A KR 20040086143 A KR20040086143 A KR 20040086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
housing
engine
spark plug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5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시모토기요시
야마시타히로시
Original Assignee
오디오 라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디오 라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오디오 라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40086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14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3/00Sparking plugs structurally combined with other part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3/00Sparking plugs
    • H01T13/02Details
    • H01T13/08Mounting, fixing or sealing of sparking plugs, e.g. in combustion cha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3/00Sparking plugs
    • H01T13/20Sparking plug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electrodes or insulation
    • H01T13/32Sparking plug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electrodes or insulation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earthed electr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Spark Plugs (AREA)

Abstract

점화플러그의 방전성을 종래보다 향상시킨다. 정육각면의 각 편으로 접편(23)을 수직 아래로 한 본체(21)의 상기 접편(23)의 하나의 띠모양의 접속부재(22)를 납땜한 어스부재(20)를 스프링강으로 형성하고, 그 접속부재(22)에 어스전선(25)을 접속한다. 육각면에 마련된 빠짐구멍(24)을 개재하여, 본체(21)를 점화플러그(10)의 절연체(1)의 상단으로부터 덮고, 접편(23)의 부분을 육각너트의 주위면으로 결합시켜고, 어스전선(25)의 단부를 전지의 음극(11)에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점화갭(G)에서 방전에 의해 발생한 전하는, 외측전극(3)으로부터 하우징(4), 어스부재(20), 어스전선(25)을 경유하여, 전지의 음극(11)에 도달하기 때문에, 점화플러그(10)와 실린더헤드(H) 사이에 헐거움이 있어도, 또, 엔진본체의 구성부재가 열화되어도, 전하의 흐름에 영향이 없기 때문에, 방전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엔진의 점화플러그의 어스구조, 어스배선장치 및 어스배선방법{Earth structure, earth wiring device and earth wiring method for a spark plug in an engine}
휘발유나 액화석유가스를 연료로 하는 엔진에서, 압축된 혼합기체를 점화장치에 의해 발생된 전기불꽃으로 연소시킨다. 점화장치에는, 접점식(전기식)과 무접점식(전자식)이 있고, 이들 모두는 점화코일에 의해 발생된 고전압으로 점화플러그로부터 전기불꽃을 일으켜 혼합기체에 접화하는 구조이다.
도 7(a)은, 점화플러그의 외관을 보여주는 것이고, (b)는 그 내부구조와 동시에 엔진의 실린더헤드(H)에의 장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점화플러그(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절연체(1)의 내부에 그 축을 따라 중심전극(2)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그 중심전극(2)이 절연체(1)의 하단개구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부분과, 이것에 대향하는 외측전극(3)의 단부 사이에, 전지의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서 점화코일(미도시)에 의해 발생시킨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방전을 시켜 불꽃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절연체(1)의 하반부는 하우징(4)에 수납되고, 하우징(4)의 하반부의 주변은 나사(4b)로 되어 있고, 이 나사(4b)의 부분으로써 자동차엔진의 실리터헤드(H)에 나사결합되어 장착된다. 이 하우징(4)의 나사(4b)부의 하면개구로부터, 중심전극(2)의 하단이 보이게 하고, 외측전극(3)은 그 나사(4b)의 하단주변에 장착되어, 그 단부가 중심전극(2)의 하단과 대향한다. 이 외측전극(3)의 단부와 중심전극(2)의 단부가 대향하는 간격이, 방전을 발생시키는 점화갭(G)이다. 이 점화갭(G) 부분은 엔진의 연소실에 놓인다.
또, 중심전극(2)의 상단은 절연체(1)의 상단개구에 고정된 단자너트(5)에 접속되고, 그 단자너트(5)에 전지의 양극에 접속된 점화코일로부터의 고압코드(C)가 캡(6)을 개재하여 접속된다.
그리고, 점화갭(G)에서 방전된 전하는, 점화플러그(10)의 외측전극(3)으로부터 하우징(4)을 개재하여 엔진의 실린더헤드(H), 엔진본체나 그 엔진본체를 배치하는 차체프레임 등을 경유하여 전지의 음극(11)으로 돌아오지만, 이와 같이 많은 접점이나 엔진본체나 차체프레임 등의 철재를 길게 통과하는 상태에서는 그 흐름이 막히는 경향이 있다.
또, 점화플러그(10)의 실린더헤드(H)에 대한 장착부위{상기 하우징(4) 주변의 나사(4b)의 나사결합부}에 접촉불량이 있거나, 엔진본체에, 예를 들면, 본체의 구성부재에 열화가 발생한다고 하는 도통불량의 요인이 존재하면, 전하의 흐름이 막히기 때문에, 방전성이 저하된다. 그래서, 방전성이 저하되면, 착화력이 약하게 되기 때문에, 연료의 소비율이 악화된다. 또, 엔진의 토크특성도 악화된다.
이와 같은 방전성 저하의 원인으로는, 우선, 전자의 점화플러그(10)와 엔진본체 사이의 접촉불량에 대하여, 점화플러그(10)는 불꽃을 발생시켜여 혼합기체가 폭발하는 정도에 진동을 받기 때문에, 나중에 실린더헤드(H)에 대한 장착부위에 헐거움이 발생하게 된다. 또, 후자의 엔진본체의 구성부재는 통상 고온에서 노출되기 때문에 그 열화는 필연적인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자동차엔진의 점화장치에서의, 상기와 같은 방전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요인을 제거하여, 방전된 전하가 효율이 좋게, 전지의 음극으로 되돌아오도록 하는 것에 있고, 이에 의해 연료의 소비률의 악화, 엔진의 토크특성의 악화를 저지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휘발유나 액화석유가스(LPG)를 연료로 하는 엔진의 점화플러그의 어스구조, 어스배선장치 및 어스배선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은 본원발명의 실시예에서 어스배선장치를 장착한 점화플러그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b)는 어스구조 전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 어스부재만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어스구조전체의 각각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어스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어스부재를 삼면도(三面圖)로 나타낸 것이다.
도 6(a), (b)는 각각 어스부재에서, 접편이 3개인 경우와 6개인 경우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7(a)은 점화플러그를 외관으로 본 도면이고, (b)는 그 내부구조와 장착형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절연체 2 : 중심전극
3 : 외부전극 4 : 하우징
5 : 단자너트 6, 8 : 캡
7 : 육각너트 9 : 개구
10 : 점화플러그 11 : 음극
20, 20' : 어스부재 21 : 본체
22 : 접속부재 23 : 접편
25 : 어스전선
H : 실린더헤드 G : 점화갭
C : 고압코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어스부재를 점화플러그의 하우징에 장착하고, 그 어스부재와 전지의 음전극을 어스전선으로 접속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 때문에, 방전에 의해 발생한 전하는, 점화플러그의 하우징으로부터 어스부재를 통하여 어스전선을 경유하여, 직접 전지의 음극에 도달하기 때문에, 점화플러그와 엔진본체 사이에 헐거움이 있어도, 또, 엔진본체의 구성부재가 열화되어도, 전하의 흐름에 영향이 없기 때문에, 방전성의 저하를 저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착화시의 열화율이 종래보다도 좋게 되고, 엔진의 연료소비량 및 토크특성이 향상된다.
여기서, 어스부재를 하우징의 육각너트의 부분에 탈착이 자유롭게 결합하는장착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하면, 어스부재를 점화플러그에 끼우거나 또는 빼는 것은, 고압코드의 캡을 떼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끼우거나 빼낼 수 있기 때문에, 특수한 공구나 기술이 필요하지 않는다.
어스부재가, 하우징의 육각너트의 외주와 대략 동일한 치수형상의 정육각형의 상판을 갖고, 그 중앙에 하우징이 빠지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정육각형의 여섯 개의 변 각각에 접편(接片)이 연설된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하면, 그 어스부재를 육각너트에 씌우면, 각 저편이 그 스프링특성에 의해 육각너트의 주위면에 압착하여 장착되게 된다.
또는, 어스부재가 하우징의 육각너트의 외주와 대략 동일한 치수형상의 정육각형 상판을 가지며, 그 중앙에 하우징이 빠지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정육각형의 여섯개의 변 중 하나 걸러 세 변의 각각에 접편이 연설된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하면, 그 어스부재를 육각너트에 씌우면, 각 접편이 각 스프링특성에 의해 육각너트의 주변면에 압착하여 장착되게 된다.
또, 어스부재는, 하우징의 육각너트의 주위면에 결합하는 결합부와, 점화플러그의 절연체가 관통하는 개구부와, 엔진의 실린터헤드의 외측까지 인출된 인출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어스부재를 점화플러그에 장착하는 것은, 점화플러그가 엔진의 실린더헤드에 장착된 상태로 점화플러그의 절연체를 어스부재의 개구부에 관통되도록 삽입하고, 결합부를 하우징의 육각너트에 덮어 씌워 그 주위면에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또, 엔진의 종류에 따라서는, 점화플러그가 실린더헤드의 내측 깊게 둘러싸인 상태이지만, 이 어스부재는 엔진의 실린더헤드의 외측까지 인출된 인출부를 갖기 때문에, 이와 같이 실린더헤드의 외측까지 인출된 인출부에 어스전선을 접속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배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a)은 본 실시예의 어스구조의 하나의 요소인 어스부재(20)를 장착한 상태의 점화플러그(10)의 외관을 보여주고, (b)는 어스구조 전체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대상이 되는 점화플러그(10) 자체, 또, 그 실린더헤드(H)에의 장착형태 등, 종래기술의 설명의 경우에서 참조된 도 7과 동일한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 2는 도 1에서 점화플러그(10)에 장착된 어스부재(20)를, 이것만을 빼내어 보여준 것이다. 우선, 도 2의 어스부재(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어스부재(20)는, 스프링강으로 형성되고, 도 2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캡상의 본체(21)의 측면에 띠모양의 접속부재(22)가 납땜으로 일체화되어 있다. 본체(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형이, 평면이 정육각형을 이루는 캡 형상의 것이고, 그 정육각형의 각 변으로부터 육각면에 수직하게 직사각형의 접편(23)이 연접되어 있다. 육각형의 주변을 따라 인접한 접편(23)끼리는 간격이 마련되어 있고,재질의 스프링특성과 함께 이 간격에 의해 각 접편(23)이 육각형의 반경방향으로 넓게 열릴 수 있다. 또, 이 정육각형의 면에는, 그 중심과 동심원의 빠짐구멍(24)이 개구되어 있고, 그 빠짐구멍(24)을 개재하여 캡형 본체(21)를 점화플러그(10)의 절연체(1)의 상단 방향으로부터 육각너트(7)에 덮어씌우고, 접편(23)의 부분을 육각너트(7)의 주위면에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여섯 개의 접편(23)의 하나에, 상기 띠모양의 접속부재(22)가 납땜으로 고정되어 있고, 정육각형의 면에 수직하게 세워져 있다. 이 띠모양의 접속부재(22)는, 도 1(b)에 보여준 바와 같이 실린더헤드(H)의 외측까지 인출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어스부재(20)가, 도 1에 보여준 바와 같이, 실린더헤드(H)에 장착된 점화플러그(10)에 장착된다. 즉, 전지의 양극에 접속된 점화코일로부터의 고압코드(C)측의 캡(6)을 빼낸 상태의 점화플러그(10)에, 어스부재(20)의 캡형태의 본체(21)를 씌워, 그 주변의 접편(23)의 탄성력으로 점화플러그(10)의 육각너트의 주위면을 눌러 장착하는 형태로 장착된다.
이 어스부재(20)를 이상과 같은 형태로 하여, 하우징(4)의 육각너트(7)부에 장착하도록 하기 때문에, 그 장착 또는 분리할 때는, 고압코드의 캡(6)을 분리하는 것 만으로, 간단하게 장착 또는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특별한 공구나 기술을 필요로하지 않고 편리하다.
그리고, 어스전선(25)의 접속부재(22)에는, 어스전선(25)이 접속되고, 이 어스전선(25)의 단부가 전지의 음극(11)에 접속된다. 여기서, 접속부재(22)는 실린더헤드(H)의 외측까지 인출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부재(22)에의 어스전선(25)의 배선접속이 용이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점화갭(G)에서 방전에 의해 발생한 전하는, 외측전극(3)으로부터 하우징(4), 어스부재(20), 어스전선(25)을 경유하여 직접 전지의 음극(11)에 도달하기 때문에, 점화플러그(10)와 엔진의 실린더헤드(H) 사이에 헐거움이 있어도, 또, 엔진본체의 구성부재가 열화되어도, 전하의 흐름에 영향이 없기 때문에, 방전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예의 어스구조에 따르면, 종래와 같은 요인에 따른 점화플러그(10)의 방전성의 저하가 방지되기 때문에, 혼합기체에 대하여 효율이 좋게 착화될 수 있고, 종래보다도 엔진의 열효율이 좋게 되어, 연료소비율 및 토크특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도 1(b)에서는 점화플러그(10)의 머리부가 실린더헤드(H)의 외측에 돌출된 예를 보여주고 있지만, 점화플러그(10)가 실린더헤드(H)의 내측에 깊게 매설되어, 실린더헤드(H)로 둘러싸인 상태인 경우에 있어서도, 때모양의 접속부재(22)는 이 실린더헤드(H)의 외측까지 돌출되게 하면 된다. 도 3은 점화플러그(10)가 실린더헤드(H)의 내측에 깊게 매설된 경우의 예를 보여준다.
도 3의 예는, 실린더헤드(H)가 헤드커버(Hc)를 포함하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고, 점화플러그(10)는 실린더헤드(H)의 내측에 깊게 매설되어 있다. 캡(8)은, 헤드커버(Hc)의 개구(9)로부터 점화플러그(10)의 단자너트(5)까지의 길이를 갖는 몸통부(8a)와, 개구(9)를 덮는 우산부(8b)를 구비한다.
이 경우, 띠모양의 접속부재(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접편(23)으로부터 개구(9)와 캡(8)의 우산부(8b) 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실린더헤드(H)의 헤드커버(Hc)의 외측까지 인출되기 때문에, 이 접속부재(22)에의 어스전선(25)의 배선접속은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어스부재(20)의 장착 또는 분리의 경우에도, 캡(8)을 떼서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 발화장치로서, 전기식의 것을 취했지만, 자동차의 배기가스규제가 진행됨에 따라, 점화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성능이고 수명이 긴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전자식 점화장치도 채용되고 있는 가운데, 이 발명은 전기식뿐만 아니라, 전자식(트랜지스터)의 발화장치의 점화플러그에서도 유효하다.
또, 본 실시예에는, 어스부재(20)의 점화플러그의 육각너트의 측면에 결합된 장착형상으로서, 평면이 육각너트의 외형과 대략 동일한 치수형상의 정육각형의 상판의 6개의 변 각각에 접편(23)을 연설한 형상으로 하였지만, 다르게는, 도 4, 도 5에서와 같이, 접편(23)을 상판의 6변 중 하나걸러 3변에 장착된 것으로(부호 20'를 붙여서 표시) 하여도 좋다. 장착형상을 이와 같은 형상의 것으로 함으로써 앞의 실시예의 경우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이점이 있다.
즉, 전자의 6접편의 것에 대하여 후자의 3접편의 것에 대해, 이와 같은 형상의 어스부재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우선,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앞서 나온 도 2나 도 4의 것으로부터 접속부재(22)를 제거한 상판과 접편(23)만으로 이루어진 것을 평면으로 전개한 형태를 재료판에 세기고, 그 후, 각 형태의 상판의 각 변으로부터 연설된 접편(23)을 각 변과 경계선을 따라 접어서 제작한다. 그 재료에 세길 때,도 6(a)에서 보여준 접편이 3개인 경우, 같은 도면 (b)에서 보여준 접편이 6개인 것에 비교하여, 인접한 단위의 형끼리의 간격을 작게하여 분포될 수 있기 때문에 재료(자원)를 절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어스부재의 재료판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강판을 이용하였지만, 이것 외에, 예를 들면 스프링용 스텐레스강판도 좋고, 비철금속이라면, 스프링용 인청동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점화플러그(10)의 점화갭(G) 부분이 놓인 엔진의 연소실 내는 연소실 내에서 혼합기체의 분사나 압축된 혼합기체의 마찰 등에 의해 정전위를 발생하는 하지만, 이 정전위는 점화갭(G)에 의해 방전을 발생시키는 경우의 장해가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점화플러그의 어스구조에서는, 이 연소실 내에서 발생한 정전위를 외측전위(3)로부터 하우징(4)을 개재하여 어스부재(20)에 의해 전지의 음극(11)까지 직접 도달하고, 빠르게 동전위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점화플러그(10)에 의해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본래의 전위차를 점화갭(G)에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혼합기체에 대하여 효율이 좋게 착화시킬 수 있다.
특히, 전자식의 발화장치의 경우, 점화플러그(10)의 중심전극(2)과 외측전극(3) 사이에 전자제어에 의해 소정의 전위차가 부여되지만, 연소실 내에 상기 정전위가 발생하면 실제로는 이 소정의 전위차가 부여되지 않는 것이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점화플러그의 어스구조에서는, 상기와 같은 연소실 내에 정전위를 빠르게 동전위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제어에 의해 소정의 전위차가 빠르게 부여되고, 효율적으로 착화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 어스부재 및 어스배선의 재료로서는, 도전율이 높은 진유(眞鍮), 동, 은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은은 엔진 본체 등에 사용되는 철의 6배 이상 도전율이 높고, 수배에서 수십배의 어스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연소실 내의 정전위를 더욱 빠르게 동전위로 하고, 수배에서 수십배의 속도로 점화갭(G)에 소정의 전위차를 부여하여, 효율적으로 착화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기 때문에, 점화플러그의 방전성의 저하가 방지되고, 착화시의 열효율이 종래보다도 좋게 되어 엔진의 연료소비량 및 토크특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엔진의 점화플러그의 어스구조, 어스배선장치 및 어스배선방법은, 휘발유나 액화석유가스를 연료로 하는 자동차, 선박이나 발전기 등의 엔진에 이용되는 것에 적용한다.

Claims (15)

  1. 중심전극과 외측전극 사이에 방전을 일으키고, 상기 외측전극이 장착되는 하우징의 나사부에서 엔진의 실린더헤드에 장착되는 점화플러그의 어스구조에 있어서,
    어스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어스부재와 전지의 음전극이 어스전선으로 접속되는 엔진점화플러그의 어스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스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육각너트의 부분에 탈착이 자유롭게 결합하는 형태의 장착형식을 이루는 엔진점화플러그의 어스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스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육각너트의 주위면에 결합하는 결합부;
    점화플러그의 절연체가 관통하는 개구부; 및
    엔진의 실린더헤드의 외측까지 인출된 인출부를 갖는 엔진점화플러그의 어스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스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육각너트의 외주와 대략 동일한 치수형상의 정육각형의 상판을 갖고,
    그 중앙에 상기 하우징의 빠짐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정육각형의 6개의 변 각각에 접편이 연설된 형상을 이루는 엔진점화플러그의 어스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스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육각너트의 외주와 대략 동일한 치수형상의 정육각형의 상판을 갖고,
    그 중앙에 상기 하우징의 빠짐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정육각형의 6개의 변 중 하나 걸러 3개의 변에 접편이 연설된 형상을 이루는 엔진점화플러그의 어스구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스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육각너트의 외주와 대략 동일한 치수형상의 정육각형의 상판을 갖고,
    그 중앙에 상기 하우징의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정육각형의 6개의 변 각각에 접편이 연설된 형상을 이루는 엔진점화플러그의 어스구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스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육각너트의 외주와 대략 동일한 치수형상의 정육각형의 상판을 갖고,
    그 중앙에 상기 하우징의 빠짐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정육각형의 6개의 변 중 하나 걸러 3개의 변에 접편이 연설된 형상을 이루는 엔진점화플러그의 어스구조.
  8. 중심전극과 외측전극 사이에 방전을 일으키고, 상기 외측전극이 장착되는 하우징의 나사부에서 엔진의 실린더헤드에 장착되는 점화플러그의 하우징에 장착된 어스부재;
    상기 어스부재와 전지의 음전극을 접속하는 어스전선으로 구성된 엔진어스배선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스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육각너트 부분에 탈착이 자유롭게 결합하는 장착형식으로 이루어진 엔진어스배선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어스부재는,
    상기 육각너트의 주위면에 결합하는 결합부;
    점화플러그의 절연체가 관통하는 개구부; 및
    엔진의 실린더헤드의 외측까지 인출된 인출부를 갖는 엔진어스배선구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어스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육각너트의 외주와 대략 동일한 치수형상의 정육각형의 상판을 갖고,
    그 중앙에 상기 하우징의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정육각형의 6개의 변 각각에 접편이 연설된 형상을 이루는 엔진점화플러그의 어스구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어스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육각너트의 외주와 대략 동일한 치수형상의 정육각형의 상판을 갖고,
    그 중앙에 상기 하우징의 빠짐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정육각형의 6개의 변 중 하나 걸러 3개의 변에 접편이 연설된 형상을 이루는 엔진점화플러그의 어스구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어스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육각너트의 외주와 대략 동일한 치수형상의 정육각형의 상판을 갖고,
    그 중앙에 상기 하우징의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정육각형의 6개의 변 각각에 접편이 연설된 형상을 이루는 엔진점화플러그의 어스구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어스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육각너트의 외주와 대략 동일한 치수형상의 정육각형의 상판을 갖고,
    그 중앙에 상기 하우징의 빠짐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정육각형의 6개의 변 중 하나 걸러 3개의 변에 접편이 연설된 형상을 이루는 엔진점화플러그의 어스구조.
  15. 중심전극과 외측전극 사이에 방전을 일으키고, 상기 외측전극이 장착되는 하우징의 나사부에서 엔진의 실린더헤드에 장착되는 점화플러그의 하우징에 어스부재를 장착하고,
    상기 어스부재와 전지의 음전극이 어스전선으로 접속하는 엔진어스배선방법.
KR10-2003-7005097A 2002-02-25 2002-12-24 엔진의 점화플러그의 어스구조, 어스배선장치 및어스배선방법 KR200400861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47896 2002-02-25
JP2002047896 2002-02-25
JPJP-P-2002-00328472 2002-11-12
JP2002328472 2002-11-12
PCT/JP2002/013412 WO2003071127A1 (fr) 2002-02-25 2002-12-24 Structure de mise a la terre de bougie d'allumage de moteur, appareil de cablage de mise a la terre, et procede de cablage de mise a la ter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143A true KR20040086143A (ko) 2004-10-08

Family

ID=27759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5097A KR20040086143A (ko) 2002-02-25 2002-12-24 엔진의 점화플러그의 어스구조, 어스배선장치 및어스배선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24725B2 (ko)
JP (1) JP4257908B2 (ko)
KR (1) KR20040086143A (ko)
AU (1) AU2002367687B2 (ko)
NZ (1) NZ534762A (ko)
TW (1) TW200304259A (ko)
WO (1) WO20030711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1316B2 (ja) * 2005-08-22 2011-08-03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スパークプラグ
DE102010043890A1 (de) * 2010-11-15 2012-05-16 Robert Bosch Gmbh Abdeckvorrichtung für einen Zündkerzenschacht und Lichtleitereinrichtung für eine Laserzündkerze
JP5933664B2 (ja) * 2014-10-23 2016-06-15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装置
CN104901166A (zh) * 2015-05-22 2015-09-09 重庆从仁机电有限公司 通用发动机火花塞帽
JP6293810B2 (ja) * 2016-03-22 2018-03-14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点火システム
US10364788B2 (en) * 2017-03-27 2019-07-30 Tenneco Inc. Igniter assembly with improved insulation and method of insulating the igniter assembly
JP7348384B2 (ja) 2020-04-03 2023-09-20 株式会社Fuji 対基板作業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13142A (en) * 1922-04-18 Combined sparking plug and spakk intensifier for internal-combttstioh
US893955A (en) * 1907-08-01 1908-07-21 Clarence Thorn Van Woert Spark-plug.
US1596685A (en) * 1922-07-03 1926-08-17 William L Reardon Spark plug
US2409732A (en) * 1942-10-30 1946-10-22 Gen Motors Corp Screening device for spark plugs
US2768227A (en) * 1952-03-06 1956-10-23 Ruckelshaus John Greer Low tension ignition systems
US3293352A (en) * 1964-04-24 1966-12-20 Hallett Mfg Company Spark plug attachment for grounding sheathed wires
US4159441A (en) * 1977-11-30 1979-06-26 Livingston Industries Incorporated Shielding and retaining system for vehicle engine electrical components
JPS59177882A (ja) * 1983-03-28 1984-10-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用点火プラグ及び点火方法
US5180313A (en) * 1989-01-07 1993-01-19 Uwe Brandt Ground connection for the spark plugs of a multi-cylinder internal-combustion vehicle engine
JPH05256241A (ja) * 1991-03-05 1993-10-05 Aisin Seiki Co Ltd 内燃機関用点火プラグ
JPH0932713A (ja) * 1995-07-19 1997-02-04 Masashi Ogami 接地電極通電端子付き点火プラグ
US6360706B1 (en) * 2000-03-03 2002-03-26 Delphi Technologies, Inc. Shield and spring interface to a spark plug from a pencil coil
US20050224033A1 (en) * 2004-04-08 2005-10-13 Linkenhoger Thomas E O-spring automotive spark plug grounding system
US7140359B2 (en) * 2005-01-26 2006-11-28 David Cheng Spark plug capable of removing remaining electric char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534762A (en) 2006-09-29
US20050206288A1 (en) 2005-09-22
TW200304259A (en) 2003-09-16
JPWO2003071127A1 (ja) 2005-06-16
AU2002367687A1 (en) 2003-09-09
US7124725B2 (en) 2006-10-24
AU2002367687B2 (en) 2008-10-16
JP4257908B2 (ja) 2009-04-30
WO2003071127A1 (fr) 200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7115B1 (en) Plasma ignition system
GB0025668D0 (en) Fuel injection assembly
WO1986004480A2 (en) Engine ignition system with an insulated and extendable extender
US20100072874A1 (en) Spark plug
KR20040086143A (ko) 엔진의 점화플러그의 어스구조, 어스배선장치 및어스배선방법
US4470392A (en) Multi-gap spark ignition device for engine
JP2010118236A (ja) 内燃機関の点火プラグ
US20100007257A1 (en) Spark Plug
US20060033411A1 (en) Spark plug
JP2002124362A (ja) 圧力センサ内蔵点火プラグ
US6089214A (en) Engine spark ignition system capacitive coupler
JP4659287B2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H0233473A (ja) 点火コイルのプラグキャップ
CN217720252U (zh) 一种新型侧针铱金火花塞
JPH0347475A (ja) 点火コイル
JP3228696U (ja) 自動車の点火装置に用いられる電圧レギュレータ
JPS6123633B2 (ko)
JPS58214674A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KR100196361B1 (ko) 스파크 플러그의 메탈 실
US8274202B2 (en) Spark plug with receiving end of ground elbow set above discharge terminal of central electrode and located by one side of central electrode extension line
KR950004296A (ko) 내연기관용 동시점화식 점화코일구조
JPS5949180A (ja) 高圧縮内燃機関用スパ−クプラグ
KR200238879Y1 (ko) 가솔린직접분사식점화기
JP2010038138A (ja) プラズマ式点火装置
JPS589974U (ja) 内燃機関用配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