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6138A -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설명 게시 방법,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설명 게시 방법,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6138A
KR20040086138A KR1020030089484A KR20030089484A KR20040086138A KR 20040086138 A KR20040086138 A KR 20040086138A KR 1020030089484 A KR1020030089484 A KR 1020030089484A KR 20030089484 A KR20030089484 A KR 20030089484A KR 20040086138 A KR20040086138 A KR 20040086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rinting
description
explanation
hand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9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4675B1 (ko
Inventor
구라시나히로야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6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6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9Detecting type of paper, e.g. by automatic reading of a code that is printed on a paper package or on a paper roll or by sensing the grade of translucency of the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having dual functions or combined with, or coupled to, apparatus performing other functions
    • B41J3/46Printing mechanisms combined with apparatus providing a visual ind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3Help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인쇄 장치는, 표시 화면에 표시시킨 다수의 선택지 중의 임의의 1 이상의 선택지를 가정지로서 지정하고, 그 가정지를, 확정된 선택지(확정지)로서 확정하고, 그 확정지에 기초하여 인쇄를 행한다. 확정 전의 취급 설명의 요구에 의해, 선택지 표시로부터 취급 설명의 표시로 전환한다. 사용자는 조작 중에 그 자리에서 간이하고 신속하게 취급 설명을 볼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설명 게시 방법, 및 기억 매체{PRINTING APPARATUS, ITS MANUAL NOT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인쇄에 관해 선택 가능한 각종 기능이나 조작 방법 등의 취급 설명을 표시 화면 등에 게시하는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설명 게시 방법,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워드프로세서나 테이프 인쇄 장치 등의 인쇄 장치에 있어서, 현재 표시중인 표시 화면이나 툴바 등(이하 단순히「표시 화면」)으로부터의 조작 방법을 모르거나, 표시된 각종 선택지의 의미를 모르는 등, 그 장치의「취급」에 대한 의문이 발생한 경우에 대응하기 위해서, 키보드 등에 설치한 헬프 키를 누르거나 화면 표시된 툴바 내의 헬프를 클릭하는 등으로써, 「취급 설명서」(매뉴얼)과 같은 내용의 설명(이하「취급 설명」)을 키워드 등으로 검색하여 표시하는 소위 헬프 화면을, 문서 편집 화면 등의 원래의 화면과 나란히(별도의 윈도우 화면 등으로 하여) 표시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또, 커서나 마우스 포인터가 위치하는 선택지(포인트된 선택지)에 관한 기능 설명을, 원래의 화면의 일부에 그 선택지와 나란히 자동적으로 표시(자동 표시)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0-187656호 공보, 도 11∼도 14 참조). 또, 원래의 화면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헬프 화면 겸용의 가이던스 화면으로 바꾼 후, 그 표시 중에서 선택지와 그 기능 설명 및 그 상태로부터의 조작 설명을 나란히 표시하고, 가이던스 화면에서 일련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연구도 이루어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0-226142호 공보, 도 6∼도 9 참조).
그러나, 상술한 기능 설명을 자동 표시하는 방법에서는, 설명이 불필요한 경우까지 일률적으로 자동 표시하기 때문에, 그 시간을 허비하게 된다. 또, 표시된 기능 설명이 원래의 조작 화면의 표시에 겹쳐 조작하기 어렵게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선택지와 그 기능 설명을 나란히 표시하기에 충분한 큰 표시 화면을 필요로 한다. 또, 상술한 헬프 화면이나 가이던스 화면 등의 방법에서는, 표시 화면 내에 원래의 화면과 헬프 화면을 나란히 표시하거나, 가이던스 화면에 선택지와 기능 설명과 조작 설명을 나란히 표시하기 때문에, 더욱 큰 표시 화면을 필요로 한다. 또, 이들 방법에서는, 키워드 등으로 검색하거나 일람 표시하거나 하는 등, 「취급 설명서」와 마찬가지로 목적으로 하는 취급 설명을 찾기 위한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있어, 문서 편집 등의 작업(조작)에 지장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검색 등을 요하지 않고 또한 표시 화면이 작아도, 조작 중에 그 자리에서 간이하고 신속하게, 필요에 따라 취급 설명을 볼 수 있는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설명 게시 방법,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프 인쇄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테이프 인쇄 장치의, 뚜껑을 연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테이프 인쇄 장치의 제어계를 도시한 개략 블록도,
도 4는 테이프 인쇄 장치의 제어 전체의 개략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 5(a), 5(b)는 인쇄를 할 때의 일례를 나타낸, 표시 화면 및 그 표시 화면 상에서의 전형적인 조작의 설명도, 및 그 인쇄에 의한 인쇄 결과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특수 인쇄의 선택·설정을 하는 조작의 도중에 헬프 표시를 행하는 일례를 나타낸, 표시 화면 및 그 표시 화면 상에서의 전형적인 조작의 설명도,
도 7은 도 6에 이어지는 도 6과 같은 설명도,
도 8은 도 7의 헬프 표시의 상태로부터 규정 외의 키가 조작되었을 때의 일례를 나타낸 도 6과 같은 설명도,
도 9는 제2 실시형태로서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 6과 같은 설명도,
도 10은 도 9의 헬프 표시의 상태로부터의 조작예를 나타낸 도 6과 같은 설명도,
도 11은 제3 실시형태로서 헬프 인쇄가 가능한 일례를 나타낸 도 6과 같은 설명도,
도 12(a)-12(c)는 도 11 또는 도 13의 상태로부터 지시된 헬프 인쇄에 의한 인쇄결과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
도 13은 제4 실시형태로서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 11과 같은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테이프 인쇄 장치 2…장치 케이스
3…키보드 4…디스플레이
7…인쇄 헤드 11…조작부
12…인쇄부 13…절단부
14…검출부 15…구동부
20…제어부 C…테이프 카트리지
G10, G20…인쇄 화상 R…잉크 리본
T…테이프
본 발명의 청구항 1의 인쇄 장치는, 인쇄에 관한 다수의 선택지를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선택지 표시가 가능한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화면 상에서 상기 다수의 선택지 중의 임의의 1 이상의 선택지를 가정지로서 지정하는 가정지 지정 수단과, 상기 가정지를 확정지로서 확정하는 선택 확정 수단과, 상기 확정지에 기초하여 인쇄를 행하는 인쇄 수단을 구비한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택지 표시의 상태로부터의 다음 조작을 안내하는 조작 설명 및 상기 가정지의 기능을 설명하는 기능 설명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취급 설명을, 상기 확정 전에 요구 가능한 설명 요구 수단과, 상기 취급 설명이 요구되었을 때, 상기 표시 화면의 표시를 상기 선택지 표시로부터 상기 취급 설명의 표시인 설명 표시로 전환하는 표시 전환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인쇄 장치에서는, 표시 화면에 표시(선택지 표시)시킨 다수의 선택지 중의 임의의 1 이상의 선택지를 가정지로서 지정하고, 그 가정지를, 확정된 선택지(확정지)로서 확정하고, 그 확정지에 기초하여 인쇄를 행하는데, 확정 전의 취급 설명의 요구에 의해, 선택지 표시로부터 취급 설명의 표시(설명 표시)로 바꾸므로, 사용자는 조작 중에 그 자리에서 간이하고 신속하게 취급 설명을 볼 수 있다. 이 경우의 취급 설명에는, 선택지 표시의 상태로부터의 다음 조작을 안내하는 조작 설명이나 가정지를 그대로 확정했을 때(확정지로 했을 때)의 기능을 설명하는 기능 설명이 포함되므로, 가까이에「취급 설명서」가 없어도, 다음 조작 방법이나 가정지의 기능을, 간이하고 신속하게 그 자리에서 파악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표시를 전환하므로, 선택지 표시와 설명 표시를 나란히 표시하는 것에 비해 작은 표시 화면이어도 된다. 또, 가정지가 존재하는 선택지 표시의 상태로부터 취급 설명이 요구되어 전환하므로, 설명 요구의 대상이 명확하고, 키워드 등에 의한 검색 등을 하지 않아도, 다음 조작 방법이나 가정지의 기능 등을 설명 표시할 수 있다. 또, 요구되었을 때(즉 필요할 때) 취급 설명의 표시를 행하므로, 불필요한 설명 표시에 의해 조작 효율이 저하하지 않는다. 따라서, 검색 등을 요하지 않고 또한 표시 화면이 작아도, 조작 중에 그 자리에서 간이하고 신속하게 필요에 따라 취급 설명을 볼 수 있다.
또, 상술한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택지 표시를 지시하는 선택지 표시 모드와 상기 설명 표시를 지시하는 설명 표시 모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표시 모드가규정되어 있고, 상기 설명 요구 수단은, 상기 선택지 표시 모드로부터 상기 설명 표시 모드로 바꿈으로써, 상기 취급 설명을 요구하고, 상기 표시 전환 수단은, 상기 표시 화면에 대해, 상기 선택지 표시 모드일 때 상기 선택지 표시를 행하게 하고, 상기 설명 표시 모드일 때 상기 취급 설명의 표시를 행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인쇄 장치에서는, 선택지 표시 모드와 설명 표시 모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표시 모드가 규정되고, 표시 모드에 따른 표시가 이루어지므로, 선택지 표시 모드로부터 설명 표시 모드로 바꾸는 것만으로, 취급 설명을 요구할 수 있어, 표시 화면이 작아도, 검색 등을 요하지 않고 조작 중에 그 자리에서 간이하고 신속하게 취급 설명을 볼 수 있다.
또, 상술한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명 요구 수단은, 동일 키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선택지 표시 모드와 상기 설명 표시 모드를 교대로 전환하는 키 조작 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인쇄 장치에서는, 동일 키의 조작에 의해 선택지 표시 모드와 설명 표시 모드를 교대로 바꾸므로, 취급 설명을 요구하여 그것을 보는 것도, 원래의 표시로 되돌리는 것도, 간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 상술한 각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확정 전에 상기 취급 설명을 상기 인쇄 수단에 인쇄시키는 설명 인쇄를 지시하는 설명 인쇄 지시 수단을 또한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인쇄 장치에서는, 취급 설명의 표시(설명 표시)에 더해, 취급 설명의 인쇄(설명 인쇄)가 가능하다. 표시 화면이 작은 경우, 표시 가능한 취급 설명의 정보는 줄어드나, 인쇄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정보(설명)를 게시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의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전환 수단을 대신해, 상기 취급 설명이 요구되었을 때, 상기 취급 설명을 상기 인쇄 수단에 인쇄시키는 설명 인쇄를 지시하는 설명 인쇄 지시 수단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인쇄 장치에서는, 설명 표시 대신에, 설명 인쇄가 가능하므로, 표시 화면이 지극히 작아 설명 표시가 불가능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고, 표시하는 것 보다 많은 취급 설명을 게시 가능하게 된다.
또, 상술한 설명 인쇄가 가능한 각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명 인쇄의 인쇄 대상물이, 점착면을 통해 접착 대상물에 접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인쇄 장치에서는, 설명 인쇄의 인쇄 대상물이, 예를 들면 라벨이나 스티커 등으로서, 점착면을 통해 접착 대상물에 접착 가능한 것이므로, 예를 들면 빈번히 사용하는 기능에 대해, 그 취급 설명이 인쇄된 인쇄 대상물을 장치 본체나 가까이의 사무용품 등에 접착해 두고 상시 참조하는 등의 이용이 가능하여,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인쇄 대상물을 테이프로 함으로써, 테이프 인쇄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 청구항 7의 인쇄 장치의 설명 게시 방법은, 인쇄에 관한 다수의 선택지를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고, 임의의 1 이상의 선택지를 가정지로서 지정하고, 그 가정지를 확정지로서 확정한 후, 그 확정지에 기초하여 인쇄를 행하는 인쇄 장치의 설명 게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선택지가 표시된 선택지 표시의 상태로부터의 다음 조작을 안내하는 조작 설명 및 상기 가정지의 기능을 설명하는 기능 설명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취급 설명을, 상기 확정 전에 요구 가능한 설명 요구 공정과, 상기 취급 설명이 요구되었을 때, 상기 표시 화면의 표시를 상기 선택지 표시로부터 상기 취급 설명의 표시로 바꾸는 표시 전환 공정 및 상기 취급 설명을 인쇄 대상물에 인쇄하는 설명 인쇄 공정의 어느 한쪽을 실행하는 설명 실행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설명 게시 방법은, 표시 화면에 표시(선택지 표시)시킨 다수의 선택지 중의 임의의 1 이상의 선택지를 가정지로서 지정하고, 그 가정지를 확정지로서 확정하여, 그 확정지에 기초하여 인쇄를 행하는 인쇄 장치에 있어서, 취급 설명을 게시하는 방법이며, 이 설명 게시 방법에서는, 확정 전에 취급 설명이 요구되었을 때, 취급 설명의 표시(설명 표시)또는 인쇄(설명 인쇄)를 행한다. 이 경우의 취급 설명에는, 선택지 표시로부터의 조작 설명이나 가정지의 기능 설명이 포함되므로, 가까이에「취급 설명서」가 없어도, 다음 조작 방법이나 가정지의 기능을, 간이하고 신속하게 그 자리에서 설명을 보고 파악할 수 있다. 또, 설명 표시에서는, 선택지 표시로부터 표시를 바꾸므로, 선택지 표시와 나란히 표시하는 것에 비해 작은 표시 화면이어도 된다. 또, 설명 인쇄에서는, 작은 표시 화면에서의 설명 표시보다 많은 정보(설명)를 게시 가능하다. 또, 가정지가 존재하는 선택지 표시의 상태로부터 취급 설명이 요구되므로, 검색 등을 하지 않아도, 다음 조작 방법이나 가정지의 기능 등을 게시 가능하게 된다. 또, 취급 설명의 게시는 요구되었을 때(필요할 때) 행하므로, 불필요한 처리에 의한 조작 효율의 저하가 없다. 따라서, 검색 등을 요하지 않고 또한 표시 화면이 작아도, 조작 중에 그 자리에서 간이하고 신속하게, 필요에 따라 취급 설명을 볼 수 있다.
또, 청구항 8의 프로그램은,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인쇄 장치의 각 수단을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9의 프로그램은, 청구항 7에 기재된 인쇄 장치의 설명 게시 방법을 실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처리 가능한 인쇄 장치에 의해 처리됨으로써, 검색 등을 요하지 않고 또한 표시 화면이 작아도, 조작 중에 그 자리에서 간이하고 신속하게 취급 설명을 볼 수 있다.
또, 청구항 10 및 11의 기억 매체는, 청구항 8또는 9에 기재된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처리 가능한 인쇄 장치에 의해 독출 가능하게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로그램 처리 가능한 인쇄 장치에 있어서, 이 기억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읽어 내어 실행함으로써, 검색 등을 요하지 않고 또한 표시 화면이 작아도, 조작 중에 그 자리에서 간이하고 신속하게 취급 설명을 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테이프 인쇄 장치에 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장치 케이스(장치 본체)(2)에 의해 외각이 형성되고, 장치 케이스(2)의 전부 상면에는 각종 입력 키로 이루어지는 키보드(3)를 구비하고 있다. 또, 후부 상면에는, 그 좌측부에 개폐 뚜껑(21)이 부착되고, 그 우측부에는 디스플레이(4)가 설치되어 있다. 또, 장치 케이스(2)의 좌측부에는, 포켓(테이프 장착부)(6)과 장치 외부를 연통하는 슬릿형상의 테이프 배출구(22)가 형성되고, 테이프 배출구(22)에는, 송출한 인쇄용 테이프(이하 단순히「테이프」)(T)를 절단하는 테이프 커터(132)가 면하고 있다.
또,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계에서 본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키보드(3)나 디스플레이(4)를 갖고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행하는 조작부(11)와, 인쇄 헤드(서멀 헤드)(7)나 테이프 이송부(120)를 갖고 포켓(6) 내에 장착한 테이프 카트리지(C)의 테이프(T)에 인쇄를 행하는 인쇄부(12)와, 인쇄 후의 테이프(T)의 절단을 행하는 절단부(13)와, 각종 센서를 갖고 각종 검출을 행하는 검출부(14)와, 각종 드라이버를 갖고 각 부 회로를 구동하는 구동부(15)와, 테이프 인쇄 장치(1) 내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20)를 구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장치 케이스(2)의 내부에는, 인쇄부(12), 절단부(13), 검출부(14) 등 외에, 도시 생략한 회로 기판이 수납되어 있다. 이 회로 기판에는, 전원 유닛 외에, 구동부(15)나 제어부(20)의 각 회로 등이 탑재되고, AC 어댑터 접속구(29)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한 니카드 전지 등의 전지(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테이프 인쇄 장치(1)에서는, 사용자가, 포켓(6)에 테이프 카트리지(C)를 장착한 뒤, 디스플레이(4)에 의해 입력·편집 결과를 확인하면서 키보드(3)에 의해 원하는 문자 등(문자, 숫자, 기호, 간이도형 등의 캐릭터)의 인쇄 정보를 입력하여, 인쇄를 지시하면, 테이프 이송부(120)에 의해 테이프 카트리지(C)로부터 테이프(T)를 풀어 내어, 인쇄 헤드(7)에 의해 테이프(T)에 원하는 인쇄를 행하고, 인쇄가 끝난 부분은 테이프 배출구(22)로부터 수시로 외부로 송출된다. 원하는 인쇄가 완료하면, 테이프 이송부(120)는, 여백분을 포함하는 테이프 길이의 위치까지 테이프(T)의 이송을 행한 후, 그 이송을 정지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쇄부(12)에는, 개폐 뚜껑(21)의 내측에, 테이프 카트리지(C)를 장착하기 위한 포켓(6)이 설치되어 있어, 테이프 카트리지 (C)는 이 개폐 뚜껑(21)을 개방한 상태로 포켓(6)에 대해 착탈된다. 또, 테이프 카트리지(C)의 이면에는, 상이한 폭 등의 테이프(T)의 종별을 식별할 수 있도록 작은 다수의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고, 포켓(6)에는 이 구멍의 유무를 검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등의 테이프 식별 센서(141)가 설치되어 있어, 테이프(T)의 유무(정확하게는 테이프 카트리지(C)가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 및 테이프(T)의 종별(정확하게는 테이프 카트리지(C)의 종별)을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C)에는, 카트리지 케이스(51)의 내부에 일정한 폭(4.5mm∼48mm 정도)의 테이프(T)와 잉크 리본(R)이 수용되어 있고, 인쇄 헤드(7)가 면하는 관통 개구(55)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프(T)는, 이면에 점착면이 형성되어, 그것이 박리지에 의해 덮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테이프(T)와 잉크 리본(R)이 겹쳐지는 부분에는, 헤드 유닛(61)에 내장된 인쇄 헤드(7)에 대응하여, 플래튼 롤러(플래튼)(56)가 수납되어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C)가 장착된 상태로, 인쇄 헤드(7)가 관통 개구(55)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잉크 리본(R)의 이면에 닿아, 발열 구동되어 원하는 문자 등이 테이프(T)의 표면에 인쇄된다.
테이프 이송부(120)는, 포켓(6)의 측방에서 하방에 걸친 공간에 설치되고, 동력(구동)원으로서 이송 모터(121)를 구비하고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C)가 포켓(6)에 장착되고, 그 상태로 개폐 뚜껑(21)이 닫히면, 이송 모터(121)를 구동원으로 하여, 테이프 릴(52)로부터 테이프(T)가 풀어 내어지고, 리본 송출 릴(53)로부터 잉크 리본(R)이 풀어 내어지고, 관통 개구(55)의 위치에서 인쇄 헤드(7)가 테이프(T)와 잉크 리본(R)을 사이에 끼고 플래튼(56)에 맞닿아, 테이프(T)와 잉크 리본(R)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주행하고, 동기하여 인쇄 헤드(7)가 구동됨으로써 인쇄가 행해진다. 그 후, 잉크 리본(R)이 내부에서 테이프 권취 릴(54)에 권취되는 동시에, 테이프(T)만이 테이프 카트리지(C)의 외부로 배출되어, 플래튼(56)의 회전(리본 권취 릴(54)도 동기 회전한다)이 소정 시간 속행됨으로써, 테이프(T)의 테이프 이송이 속행되어, 테이프 배출구(22)를 통해 장치 외부로 송출되고, 테이프(T) 상의 소정의 절단 위치가 테이프 커터(132)의 위치까지 보내어진다.
절단부(13)는, 테이프 커터(132)와, 이것을 절단 동작시키는 커터 모터(131)를 구비하고 있다. 또, 모드 설정에 의해, 자동/수동을 전환 가능하고, 임의길이 인쇄 등의 경우에는 수동(매뉴얼)의 컷 키의 조작으로, 고정길이 인쇄 등의 경우에는 자동(오토)으로 커터 모터(131)를 구동한다. 검출부(14)는, 상술한 테이프 식별 센서(142)를 구비하는 외에, 장치 내 각 부에 각종의 센서 등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부(15)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51)와, 헤드 드라이버(152)와, 모터 드라이버(153)를 구비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51)는, 제어부(2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그 지시에 따라서, 조작부(11)의 디스플레이(4)를구동한다. 마찬가지로, 헤드 드라이버(152)는 인쇄부(12)의 인쇄 헤드(7)를 구동하고, 모터 드라이버(153)는 인쇄부(12)의 이송 모터(121)나 절단부(13)의 커터 모터(131) 등의 각 모터를 구동한다.
조작부(11)는, 키보드(3)와 디스플레이(4)를 구비하고 있다. 디스플레이(4)는, 가로방향(X방향) 약 6cm×세로방향(Y방향) 4cm의 직사각형의 형상의 내측에, 96 도트×64도트의 표시 화상 데이터를 표시 가능한 표시 화면(41)과 각종 설정 상황 등을 표시하는 18개의 인디케이터(도시 생략)를 갖고, 사용자가 키보드(3)로부터 데이터를 입력하여, 캐릭터열 화상 데이터 등의 인쇄 화상 데이터를 작성·편집하거나, 그 결과 등을 보거나, 키보드(3)로부터 각종 지령·선택 지시 등을 입력하거나 할 때 등에 사용된다.
키보드(3)에는, 알파벳 키군, 숫자 키군, 히라가나나 가타가나 등의 가나 키군, 및 외국문자를 호출하여 선택하기 위한 외국문자 키군 등을 포함하는 문자 키군(31) 외에, 각종 동작 모드 등을 지정하기 위한 기능 키군(32) 등이 배열되어 있다.
기능 키군(32)에는, 전원 키, 인쇄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인쇄 키, 텍스트 입력시의 데이터 확정이나 줄바꾸기 및 선택 화면에 있어서의 각종 모드의 선택 지시를 위한 선택 키, 각종 조작을 취소하기 위한 취소 키, 각종 처리를 중지하거나 확정 후의 문자 등을 필요에 따라 삭제하는 삭제 키, 상술한 수동 컷을 위한 컷 키, 및 각각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커서 이동이나 표시 화면(41)의 표시 범위를 이동시키기 위한 4개의 커서 키 등이 포함된다. 또, 후술하는 특수 인쇄를 지시하는특수 인쇄 키나 각종 취급 설명을 게시하기 위한 헬프 키(HELP 키: HELP 표시 키나 HELP 인쇄 키)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들은, 각 키 입력마다 개별적으로 키를 설치하여 입력해도 되고, 시프트 키 등과 조합하여 보다 적은 수의 키를 사용하여 입력해도 된다. 키보드(3)는, 이들 각종 키에 의해 여러가지 지령 및 데이터를 제어부(20)에 입력한다.
제어부(20)는, CPU(210), ROM(220), RAM(230), 주변 제어 회로(P-CON)(240)를 구비하고, 서로 내부 버스(250)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ROM(220)은, CPU(210)에서 처리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제어 프로그램 영역(221) 외에, 장치 내에서 준비하고 있는 문자 등(숫자, 기호, 도형 등을 포함한다)의 폰트 데이터나 색 변환 테이블이나 문자 수식 테이블 등을 기억하는 제어 데이터 영역(222)을 갖고 있다. RAM(230)은, 전원 오프시의 백업이 되어 있어, 각종 플래그·레지스터군(231), 텍스트 데이터 영역(232), 표시 화상 데이터 영역(233), 인쇄 화상 데이터 영역(234), 그림그리기 등록 화상 데이터 영역(235), 외국문자 등록 화상 데이터 영역(236), 문자 전개 버퍼, 인쇄 버퍼 등의 각종 버퍼 영역(237) 등의 영역을 갖고, 각종 처리의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P-CON(240)에는, CPU(210)의 기능을 보충하는 동시에 주변 회로와의 인터페이스 신호를 취급하기 위한 논리 회로나 여러가지 계시를 행하는 타이머 등의 기능 회로 등이, 게이트 어레이나 커스텀 LSI 등에 의해 구성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때문에, P-CON(240)은, 검출부(14)의 각종 센서나 키보드(3)와 접속되어, 각종 검출 신호나 각종 지령이나 입력 데이터 등을 그대로 또는 가공하여 내부 버스(250)에받아들이는 동시에, CPU(210)와 연동하여 CPU(210) 등으로부터 내부 버스(250)에 출력된 데이터나 제어 신호를, 그대로 또는 가공하여 구동부(15)에 출력한다.
그리고, CPU(210)는 상기 구성에 의해, ROM(220) 내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P-CON(240)을 통해 각종 검출 신호, 각종 지령, 각종 데이터 등을 입력하고, ROM(220)이나 RAM(230) 내의 각종 데이터 등을 처리하여, P-CON(240)을 통해 구동부(15)에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인쇄의 위치 제어나 표시 화면(41)의 표시 제어 등을 행하는 동시에, 인쇄 헤드(7)를 제어하여 소정의 인쇄 조건으로 테이프(T)에 인쇄하는 등, 테이프 인쇄 장치(1) 전체를 제어하고 있다.
다음에,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제어 전체의 처리 흐름에 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원 키를 누름(전원 온)으로써 처리가 시작하면,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저 전회의 전원 오프시의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 퇴피(저장)하고 있던 각 제어 플래그를 복구하는 등의 초기 설정을 행하고(S1), 다음에 전회의 표시 화면을 초기 화면으로서 표시한다(S2).
동 도면의 그 후의 처리, 즉 키 입력 여부의 판단 분기(S3) 및 각종 인터럽트 처리(S4)는 개념적으로 나타낸 처리이다. 실제로는, 테이프 인쇄 장치(1)에서는, 초기 화면 표시(S2)가 종료하면 키 입력 외에 의한 인터럽트를 허가하고, 어떠한 인터럽트가 발생할 때까지는, 그대로의 상태를 유지하고(S3:No), 어떠한 인터럽트가 발생하면(S3:Yes), 각각의 인터럽트 처리로 이행하여(S4), 그 인터럽트 처리가 종료하면 다시 그 상태를 유지한다(S3:No).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 인쇄 장치(1)에서는, 주된 처리를 인터럽트 처리에 의해 행하므로, 인쇄 화상 작성 등의 준비가 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임의의 시점에서 인쇄 키를 누름으로써, 인쇄 처리 인터럽트가 발생하여, 인쇄 처리가 기동되어, 인쇄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 화상의 인쇄를 할 수 있다. 즉, 인쇄에 이르기까지의 조작 순서는,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서(K)까지의 첫째줄 문자(캐릭터)열「ABCDE」를 입력 후의 텍스트 편집 화면 표시의 상태에서(화면 D10), 사용자에 의해 인쇄 키가 눌러지면, 「인쇄중」이라는 메시지의 표시와 함께 문자열「ABCDE」의 문자열 화상을 인쇄 화상(G10)(도 5(b))으로서 인쇄하고(D11), 인쇄가 종료하면 원래의 텍스트 편집 화면으로 돌아간다(D12:D10과 동일). 또한, 테이프 인쇄 장치(1)에서는, 사용자는, 키 입력에 의한 각종 지시를 취소 키에 의해 취소할 수 있고, 상술한 상태(D11)로부터 취소 키를 누름으로써 원래의 텍스트 편집 화면의 표시 상태(D10)로 되돌릴 수 있다.
그런데, 테이프 인쇄 장치(1)에서는, 「취급 설명서」(매뉴얼)가 가까이에 없어도, 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화면이 작으면서도, 검색 등을 요하지 않고, 조작 중에 그 자리에서 간이하고 신속하게 각종 기능이나 조작 방법을 설명하는 「취급 설명」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하, 「특수 인쇄」의 경우를 예로 들어, 제1 실시형태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1)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상술한 텍스트 편집 화면의 상태로부터(D10), 사용자에 의해 특수 인쇄 키가 눌러지면, 「특수 인쇄」의 제1 계층의 선택 화면의 선택지를 표시한다(D20).이 화면에서의 선택지에는, 「연속 인쇄」「확대 인쇄」「거울문자(鏡文字) 인쇄」등이 포함되고, 커서(K)에 의해 지정되어 흑백 반전 표시(네거티브 표시)된 한 선택지를 선택 후보로 하는 상태로 표시(이하「선택 표시」)한다.
여기서는 사양 상, 화면 이동 직후에는 전회 선택된 선택지(가장 최근 액세스의 선택지이고, 해당하는 것이 없는 경우는 디폴트의 선택지)를 선택 표시한다 (D20). 도시한 예에서는, 「연속 인쇄」가 선택 표시된 상태(=선택 후보로 되어 있는 상태=임시로 선택된 상태이고, 이 상태의 선택지를 이하「가정지」라고 한다)로 되어 있다.
단, 사용자는 상술한 상태로부터(D20), 커서 조작에 의해 다른 선택지를 선택표시시킬(가정지로 할) 수 있고, 커서 조작에 의해 임시로「확대 인쇄」를 선택 표시시킨 후(가정지로 한 후) 선택 키를 누르면, 「확대 인쇄」를 선택하여 확정할 수 있고(선택 키의 누름에 의해 확정한 후의 선택지를 이하「확정지」라고 한다), 「연속 인쇄」가 가정지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선택 키를 누르면, 「연속 인쇄」를 확정지로 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직접 후술하는 선택 화면(D23)으로 이행(화면 이동)한다.
한편,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 인쇄」가 가정지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D20), 사용자에 의해 헬프(HELP) 키가 눌러지면, 가정지인「연속 인쇄」에 관한 기능 설명, 즉 「같은 라벨을 100장까지 연속하여 인쇄합니다」라는 취지의 설명(메시지)을, 취급 설명으로서 표시(헬프 표시)한다(D21). 또한, 도시한 「◆」는, 「취급 설명」인 것을 나타내는 마크(이하「박사 마크」또는「헬프 마크」라 부른다)이다.
이 헬프 표시의 상태에서는(D21), 헬프 키를 다시 누름으로써, 원래의 선택 화면으로 되돌릴 수 있고(D22:D20과 동일), 여기서는 가정지가「연속 인쇄」인 채로 선택 키가 눌러졌다고 하면, 「연속 인쇄」가 확정지가 되고, 「연속 인쇄」의 하위 계층(제2 계층)의 선택 화면의 선택지를 표시한다(D23:도 6과 도 7에서 공통).
이 화면에서의 선택지에는, 취소 키나 삭제 키의 누름에 의해 정지시킬 때까지(단 최대 100장까지) 소정의 인쇄 화상(이 예에서는 문자열「ABCDE」의 라벨이 되는 문자열 화상)을 연속 인쇄하는 것을 나타내는「정지시킬 때까지」,연속 인쇄를 행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하지 않는다」, 2장만 연속 인쇄하는 것을 나타내는「2장 연속」, 3장 연속 인쇄하는 것을 나타내는「3장 연속」등이 포함되고, 여기서는 가장 최근의 액세스가 없고, 디폴트의「하지 않는다」가 선택 표시되어 있는(가정지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D23) 헬프 키가 눌러지면, 여기서는 가정지「하지 않는다」의 기능 설명이 아니라, 상기의 제2 계층의 선택 화면으로부터의 조작 방법을 설명하는 조작 설명을, 취급 설명으로서 헬프 표시한다(D24).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키의 누름에 의해 선택지를 확정(「결정」)할 수 있고, 각종 커서 키(「←」「↑」「↓」「→」)에 의해 선택지(가정지)를 변경(「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고, 「삭제」 키의 누름에 의해 원래의 화면(상위의 제1 계층의 선택 화면)으로 되돌릴 수 있는, 등의 조작 설명을 헬프 표시한다.
이 헬프 표시의 상태에서(D24) 다시 헬프 키가 눌러지면, 원래의 제2 계층의 선택 화면으로 되돌아간다(D25:D23과 동일).
이 상태에서는(D25), 상기의 헬프 표시의 취급 설명(D2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선택 키가 눌러지면, 가정지인「하지 않는다」를 확정지로서「결정」한 후에, 상위의 제1 계층(단 다음 선택지「확대 인쇄」를 가정지로 하여)의 선택 화면으로 이행한다(D26). 또, 커서「↑」(또는 「←」) 키가 눌러지면, 상(앞)측의「정지시킬 때까지」를 가정지로 하고, 반대로 커서「↓」(또는 「→」) 키가 눌러지면, 하(뒷)측의「2장 연속」을 가정지로 하는(D27) 등, 가정지를「선택」할 수 있다. 또, 「삭제」 키가 눌러지면, 원래의 제1 계층의 선택 화면(도시 ①을 통해 도 6의 D22)으로「복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 인쇄 장치(1)에서는, 선택 화면에 표시(선택지 표시)시킨 다수의 선택지 중의 임의의 선택지를 커서 지정에 의해 가정지로서 지정하고, 그 가정지를, 선택 키의 누름에 의해 확정지(확정된 선택지)로서 확정한다. 예를 들면 도 6에서 상술한 선택 화면(D20)에서는 가정지의「연속 인쇄」를 선택 키의 누름에 의해 확정지로서 확정할 수 있다(확정 후에 화면 D23으로 이동한다). 또, 예를 들면 도 7에서 상술한 선택 화면(D23)에서 가정지인「하지 않는다」를 선택 키의 누름에 의해 확정지로서 확정할 수 있다(확정 후에 화면 D26으로 이동한다).
한편, 예를 들면 상술한 선택 화면(도 6의 D20)에서 헬프(HELP) 키가 눌러지면, 가정지인「연속 인쇄」를 그대로 확정했을 때(확정지로 했을 때)의 기능을 설명하는 기능 설명을, 취급 설명으로서 헬프 표시하고(D21), 예를 들면 상술한 선택 화면(도 7의 D23)의 상태에서 헬프 키가 눌러지면, 그 선택 화면의 선택지 표시의 상태로부터의 다음 조작을 안내하는 조작 설명을, 취급 설명으로서 헬프 표시한다(D24). 즉, 이들 헬프 표시에 의해, 가까이에「취급 설명서」가 없어도, 사용자는 조작 중에 그 자리에서 간이하고 신속하게 취급 설명을 볼 수 있고, 다음 조작 방법이나 가정지의 기능을, 간이하고 신속하게 그 자리에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종래와 같이 원래의 화면과 헬프 화면을 나란히 표시하거나, 가이던스 화면에서 선택지와 기능 설명과 조작 설명을 나란히 표시하거나, 선택지 표시와 설명 표시를 나란히 표시하거나 하지 않는다. 즉, 선택지 표시로부터 헬프 표시(설명 표시)로 바꾸므로, 종래에 비해 작은 표시 화면이어도 된다.
또, 헬프 키의 누름(헬프 표시의 요구: 취급 설명의 요구)은, 상술한 선택 화면(도 6의 D20, 도 7의 D23)과 같이, 가정지가 존재하는 선택지 표시의 상태에서 행해지므로, 그 상태에서의 조작 방법이나 그 가정지에 관한 설명을 요구하고 있는 취지가 명확하고, 즉 설명을 요구하고 있는 대상이 명확하므로, 종래의 헬프 화면등과 같이, 키워드 등에 의한 검색 등을 하지 않아도, 다음 조작 방법이나 가정지의 기능 등을 헬프 표시할 수 있다.
또, 헬프 표시는, 사용자가 취급 설명의 표시를 필요로 할 때 헬프 키를 누름으로써 표시되므로(바꿔 말하면 취급 설명이 필요하게 되었을 때 표시되므로),필요성의 유무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자동 표시하는 종래의 기능 설명의 자동 표시와는 달리, 조작성이 저하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1)에서는, 「취급 설명서」(매뉴얼)가 가까이에 없어도, 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화면이 작아도, 검색 등을 요하지 않고, 조작 중에 그 자리에서 간이하고 신속하게, 각종 기능이나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취급 설명」을 볼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상술한 선택지 표시의 화면(선택 화면: 예를 들면 D20=D22, D23=D25)과 헬프 표시의 화면(예를 들면 D21, D24)의 표시 전환은, 예를 들면 선택지 표시를 지시하는 선택지 표시 모드와, 헬프 표시(취급 설명의 표시:설명 표시)를 지시하는 설명 표시 모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표시 모드를, 예를 들면 RAM(230) 내의 플래그 등에 의해 규정·관리하여, 그 표시 모드를 바꾸도록 하면 된다. 이 경우, 표시 화면(41)에는, 설명 표시 모드일 때 헬프 표시를 행하게 하고, 선택지 표시 모드일 때 선택지 표시를 행하게 하게 된다. 또, 이 경우, 헬프 키는, 상기 2개의 표시 모드를 교대로 바꾸는 수단이고, 더욱 상세하게 말하면, 최초의 누름에 의해 선택지 표시 모드로부터 설명 표시 모드로 바꿈으로써, 헬프 표시를 요구하는 수단인 동시에, 다음 누름에 의해 설명 표시 모드로부터 선택지 표시 모드로 바꿔 (되돌려), 헬프 표시를 해제(해방)하는 수단이다.
즉, 상술한 테이프 인쇄 장치(1)에서는, 선택지 표시 모드와 설명 표시 모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표시 모드가 규정되어, 표시 모드에 따른 표시가 이루어지므로, 선택지 표시 모드로부터 설명 표시 모드로 바꾸는 것만으로, 취급 설명을 요구할 수 있어, 표시 화면이 작아도, 검색 등을 요하지 않고 조작 중에 그 자리에서 간이하고 신속하게 취급 설명을 볼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경우, 헬프(HELP) 키의 조작으로 선택지 표시 모드와 설명 표시 모드를 교대로 바꾸므로, 취급 설명을 요구하여 그것을 보는 것도, 원래의 표시로 되돌리는 것도, 동일 키의 조작으로 간이하고 신속하게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상기 헬프 표시(D24)의 상태로부터, 두번째의 헬프 키 누름에 의해 선택 화면으로 되돌린 후에(D25), 조작 설명된 키(선택 키나 각 커서 키나 삭제 키 등 미리 할당된 키: 이하「피설명 키」)를 사용하여 조작을 행했으나, 선택 화면으로 되돌리지 않고 헬프 표시(D24)의 상태로부터 피설명 키를 직접 조작하여, 각 화면(상기의 D26, D27, D23 등)으로 직접 화면 이동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헬프 표시(D24)의 상태에서, 상기의 피설명 키 이외의 키(이하, 이러한 종류의 소정 외 키를「ELSE 키」라고 총칭한다)가 눌러졌을 때는, 소정 시간(예를 들면 0.75초 정도)의 점멸 화면을 표시시키는 동시에, 짧은 비프음을 발함으로써, 「약한 경고」를 나타내는 에러 통지를 행한 후(D30), 원래의 화면으로 되돌릴(D31:D24와 동일)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헬프 키를 누를 때마다, 선택지 표시 모드와 설명 표시 모드를 바꿨으나, 헬프 키를 누르고 있는 기간만 설명 표시 모드로 바꾸고, 헬프 키에서 뗀 시점에서 헬프 표시를 해제하여, 선택지 표시 모드로 되돌리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를, 제2 실시형태로서 설명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택지 표시의 상태로부터(D23:도 7의 D23과 동일), 헬프 키가 눌러졌을 때, 그 눌러져 있는 동안만 헬프 표시하고(D32:도 7의 D24와 동일), 헬프 키에서 뗀 시점에서, 원래의 선택지 표시의 선택 화면으로 되돌아간다(D33:도 7의 D25나 D23과 동일).
또한, 상술한 제2 실시형태에서도, 선택 화면으로 되돌린 후에(D33), 피설명 키에 의한 조작을 행하고 있으나,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택 화면으로 되돌리지 않고 헬프 표시(D32)의 상태에서(즉 헬프 키를 누른 채로), 피설명 키를 직접 조작하여, 선택 키이면 가정지「하지 않는다」를 확정지로 한 후에, 「특수 인쇄」에서의 다른 선택지를 가정지로 하는 화면(D33:도 7이나 도 9의 D26과 동일)으로 이동하고, 커서 키이면「연속 인쇄」에서의 다른 선택지를 가정지로 하는 화면(D34:도 7이나 도 9의 D27과 동일)으로 이동하고, 삭제 키이면「연속 인쇄」를 가정지로 하는 원래의 제1 계층의 선택 화면(도시 ①을 통해 도 6의 D22)으로 이동할 수도 있도록 해도 된다.
또, 이 경우, 도시한 바와 같이, 헬프 표시(D32)의 상태에서, 헬프 키를 누른 채로 ELSE 키가 눌러졌을 때는, 상술한 바와 같은「약한 경고」를 나타내는 에러 통지를 행한 후(D35:도 8의 D30과 동일), 원래의 화면으로 되돌릴(D32)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제2) 실시형태에서는, 헬프 키의 누름에 의해 취급 설명을 표시 화면에 표시(헬프 표시)했으나,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화면이 작으므로,헬프 표시에 있어서의 취급 설명, 즉 예를 들면 도 6의 D21의「같은 라벨을∼」의 기능 설명이나 도 7의 D24의 조작 설명 등에, 작은 문자 사이즈의 폰트(전용 폰트 등)나 작은 도안 등을 사용하여, 보다 많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헬프 표시(「취급 설명」의 표시: 설명 표시)인 것을「박사 마크」(도시한 「◆」)로 나타냈으나, 「취급 설명」인 것을 나타내면 되므로, 다른 마크(예를 들면「?」등)으로 나타내도 되고, 표시한 문자의 서체나 문자 사이즈를 독특한 것으로 바꾸어 표시해도 되고, 화면 전체를 엷게 회색 톤으로 하거나 특정 색으로 하는 등 표시의 색채를 바꾸어도 되고, 설명 전체를 풍선모양의 틀로 둘러싸거나 망처리(half-tone dot meshing)하는 등의 장식을 해도 된다.
또, 작은 표시 화면에서의 헬프 표시에서는, 표시할 수 있는 취급 설명의 정보는 줄어드므로, 헬프 표시에서는 표현할 수 없는 많은 정보를 갖는 취급 설명(메시지나 조작 안내 등)을, 테이프(T)에 인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게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를, 이하 제3 실시형태로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헬프 표시의 상태에서(D21:도 6의 D21과 동일), 헬프 키가 눌러지면, 제1 실시형태와 같이, 원래의 선택지 표시의 선택 화면으로 되돌아가는(D22:도 6의 D22나 D20과 동일)데, 본(제3) 실시형태에서는, 이 헬프 키 외에, 헬프 표시의 상태로부터의 조작 가능 키로서 인쇄 키가 설정되어 있어, 인쇄 키가 눌러지면, 「인쇄중」이라는 메시지의 표시와 함께(D40:도 5(a)의 D11과 동일),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헬프 표시(D21)보다 상세한취급 설명, 즉 헬프 표시의「같은 라벨을∼」이라는 취지의 설명에 또한「인쇄 도중에∼」등의 설명을 더한 취급 설명의 문자열 화상을, 인쇄 화상(G20)으로서 인쇄하고(D40), 취급 설명의 인쇄(설명 인쇄: 헬프 인쇄)가 종료하면, 원래의 헬프 표시의 상태로 되돌아간다(D41:D21과 동일).
또, 이 경우도,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헬프 표시(D21)의 상태에서, 상기 이외의 ELSE 키가 눌러졌을 때는, 상술한 바와 같은「약한 경고」를 나타내는 에러 통지를 행한 후(D42:도 8의 D30과 동일), 원래의 화면으로 되돌아 갈(D21)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1)에서는, 헬프 표시(취급 설명의 표시:설명 표시)에 더해, 헬프 인쇄(취급 설명의 인쇄:설명 인쇄)가 가능함에 따라, 헬프 표시(D21 등 참조)보다 많은 정보(설명)를 게시할 수 있다(도 12(a)의 인쇄 화상(G20) 등).
또한 상술한 제3 실시형태에서는, 헬프 표시의 상태에서(D21 등), 인쇄 키의 누름에 의해 헬프 인쇄를 했으나, 헬프 표시를 수반하지 않고, 원래의 선택지 표시의 상태에서 직접 헬프 인쇄를 가능하게 해도 된다. 이 경우를, 이하 제4 실시형태로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래의 선택지 표시의 선택 화면(D20:도 6과 동일)에서, 헬프(HELP) 인쇄 키가 눌러지면 , 「인쇄중」이라는 메시지의 표시와 함께(D50:도 5(a)의 D11과 동일), 도 12(a)에서 상술한 상세한 취급 설명을, 그 문자열 화상인 인쇄 화상(G20)으로서 인쇄하고, 헬프 인쇄가 종료하면, 원래의 선택지 표시의 선택 화면으로 되돌아간다(D51:도 6의 D20과 동일). 또, 이 경우도,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지 표시(D20)의 상태에서, 상기 이외의 ELSE 키가 눌러졌을 때는, 상술한 바와 같은「약한 경고」를 나타내는 에러 통지를 행한 후(D52:도 8의 D30과 동일), 원래의 화면에 되돌아갈(D51:D20과 동일)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테이프 인쇄 장치(1)에서는, 헬프 표시(설명 표시) 대신에, 헬프 인쇄(설명 인쇄)가 가능하므로, 헬프 표시를 수반하지(통하지) 않고, 헬프 인쇄를 할 수 있다.
또한, 이 때문에, 상술한 헬프 인쇄는, 상술한 바와 같이 헬프 표시가 가능한 장치뿐만 아니라, 표시 화면이 더욱(지극히) 작아서(예를 들면 짧은 1줄만 표시 가능한 화면 등의), 설명 표시가 불가능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고, 표시하는 것보다 많은 취급 설명을, 헬프 인쇄에 의해 게시 가능하게 된다. 또, 이 때문에, 휴대전화 등의 소형 액정화면 부착 정보 단말 등에 프린터 등의 인쇄 수단을 접속한 시스템 구성인 것(전체적으로 인쇄 장치가 될 수 있는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제3, 제4) 실시형태에서는, 헬프 인쇄(설명 인쇄)로서, 도 12(a)에서 상술한「인쇄 도중에∼」등과 같은 그 시점에서의 조작 방법 등의 설명뿐만 아니라, 더욱 기능적인 보충 설명이나 편리한 사용 방법 등의 설명을 부가하거나(도 12(b)의 인쇄 화상(G21)의 하단의 인쇄 참조), 그 기능 하에서의 선택지의 설명을 부가하거나(도 12(c)의 인쇄 화상(G22)의 하단의 인쇄 참조), 그 기능(도시한 예에서는「연속 인쇄」)의 설정 방법을 부가하거나 할 수도 있다. 또, 그 설정 방법으로서도, 단순히 그 기능으로 들어가는 방법(선택하기 위해 들어가는 방법)의 1계층분(도 12(b), 12(c) 상단에 도시한「특수 인쇄 버튼」의 인쇄 등)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장식 키 누름→「신축」의 선택→「미세하게」의 선택과 같이 다계층의 선택으로 설정되는 「장식 기능-미세하게」를 설명하는 헬프 인쇄에서는, 「장식 버튼→신축→미세하게」 등의 메뉴 계층적인 설명을 인쇄하는 등, 다양한 조작을 가한 설명 인쇄가 가능하다.
또, 상술한 (제3, 제4) 실시형태에서는, 헬프 인쇄(설명 인쇄)의 인쇄 대상물이 테이프(T)이므로, 라벨로서 작성 후, 이면의 박리지를 벗겨(점착면을 통해) 접착 대상물에 접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빈번히 사용하는 기능에 대해 헬프 인쇄하고, 그 라벨을, 장치 본체나 가까이의 사무 용품 등에 접착해 두고 상시 참조하는 등의 이용이 가능하여, 편리성이 향상한다. 특히 이 경우, 상술한 편리한 사용 방법이나 설정 방법 등도 포함하는 헬프 인쇄(도 12(b), 12(c)의 인쇄 화상(G21, G22) 등 참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인쇄 장치 이외의 각종 인쇄 장치(상기의 인쇄 수단을 접속한 시스템 구성인 것도 포함한다: 이하 동일)에 적용하는 경우도, 예를 들면 라벨이나 스티커 등으로서 점착면을 통해 접착 대상물에 접착 가능한 것을 설명 인쇄의 인쇄 대상물로 하면, 마찬가지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설명 표시나 설명 인쇄 등의 설명 게시 방법은, 프로그램 처리가능한 각종 인쇄 장치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적용할 수 있고, 그러한종류의 프로그램을 기억하기 위한 예를 들면 CD, MD, DVD 등의 기억 매체에도 적용할 수 있고, 이러한 종류의 프로그램을 기억해 두고, 또는 기억 매체 등으로부터 읽어 내어 실행함으로써, 검색 등을 요하지 않고 또한 표시 화면이 작아도, 조작 중에 그 자리에서 간이하고 신속하게, 필요에 따라 취급 설명을 볼 수 있다. 물론, 그 밖에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설명 게시 방법, 프로그램 및 기억 매체에 의하면, 검색 등을 요하지 않고 또한 표시 화면이 작아도, 조작 중에 그 자리에서 간이하고 신속하게, 필요에 따라 취급 설명을 볼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인쇄에 관한 다수의 선택지를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선택지 표시가 가능한 표시 수단,
    상기 표시 화면 상에서 상기 다수의 선택지 중의 임의의 1 이상의 선택지를 가정지로서 지정하는 가정지 지정 수단,
    상기 가정지를 확정지로서 확정하는 선택 확정 수단, 및
    상기 확정지에 기초하여 인쇄를 행하는 인쇄 수단을 구비한 인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택지 표시의 상태로부터의 다음 조작을 안내하는 조작 설명 및 상기 가정지의 기능을 설명하는 기능 설명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취급 설명을, 상기 확정 전에 요구 가능한 설명 요구 수단, 및
    상기 취급 설명이 요구되었을 때, 상기 표시 화면의 표시를 상기 선택지 표시로부터 상기 취급 설명의 표시인 설명 표시로 전환하는 표시 전환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지 표시를 지시하는 선택지 표시 모드와 상기 설명 표시를 지시하는 설명 표시 모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표시 모드가 규정되어 있고,
    상기 설명 요구 수단은, 상기 선택지 표시 모드로부터 상기 설명 표시 모드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상기 취급 설명을 요구하고,
    상기 표시 전환 수단은, 상기 표시 화면에 대해, 상기 선택지 표시 모드일 때 상기 선택지 표시를 행하게 하고, 상기 설명 표시 모드일 때 상기 취급 설명의 표시를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 요구 수단은, 동일 키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선택지 표시 모드와 상기 설명 표시 모드를 교대로 전환하는 키 조작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 전에 상기 취급 설명을 상기 인쇄 수단에 인쇄시키는 설명 인쇄를 지시하는 설명 인쇄 지시 수단을 또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전환 수단을 대신하여, 상기 취급 설명이 요구되었을 때, 상기 취급 설명을 상기 인쇄 수단에 인쇄시키는 설명 인쇄를 지시하는 설명 인쇄 지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 인쇄의 인쇄 대상물이, 점착면을 통해 접착 대상물에 접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7. 인쇄에 관한 다수의 선택지를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고, 임의의 1 이상의 선택지를 가정지로서 지정하고, 그 가정지를 확정지로서 확정한 후, 그 확정지에 기초하여 인쇄를 행하는 인쇄 장치의 설명 게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선택지가 표시된 선택지 표시의 상태로부터의 다음 조작을 안내하는 조작 설명 및 상기 가정지의 기능을 설명하는 기능 설명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취급 설명을, 상기 확정 전에 요구 가능한 설명 요구 단계, 및
    상기 취급 설명이 요구되었을 때, 상기 표시 화면의 표시를 상기 선택지 표시로부터 상기 취급 설명의 표시로 전환하는 표시 전환 단계 및 상기 취급 설명을 인쇄 대상물에 인쇄하는 설명 인쇄 단계 중 어느 한쪽을 실행하는 설명 실행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의 설명 게시 방법.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쇄 장치의 각 수단을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처리 가능한 인쇄 장치에 의해 독출 가능하게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
  9. 제7항에 기재된 인쇄 장치의 설명 게시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처리 가능한 인쇄 장치에 의해 독출 가능하게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
KR10-2003-0089484A 2003-03-26 2003-12-10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설명 게시 방법, 및 기억 매체 KR1005346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84955 2003-03-26
JP2003084955A JP4423871B2 (ja) 2003-03-26 2003-03-26 印刷装置、印刷装置の説明掲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138A true KR20040086138A (ko) 2004-10-08
KR100534675B1 KR100534675B1 (ko) 2005-12-07

Family

ID=33295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9484A KR100534675B1 (ko) 2003-03-26 2003-12-10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설명 게시 방법,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74421B2 (ko)
JP (1) JP4423871B2 (ko)
KR (1) KR100534675B1 (ko)
CN (1) CN100592283C (ko)
TW (1) TW20042487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5779B2 (ja) * 2005-06-28 2011-03-23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携帯情報端末機
US7636040B2 (en) * 2005-12-28 2009-12-2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7688466B2 (en) * 2006-01-26 2010-03-30 Microsoft Corporation Smart display printer
JP4635909B2 (ja) * 2006-03-01 2011-02-23 ヤマハ株式会社 電子装置
JP5428654B2 (ja) * 2009-08-28 2014-02-26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入力装置、情報入力方法、及び情報入力プログラム
JP5760356B2 (ja) * 2010-09-16 2015-08-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メニュー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5762117B2 (ja) * 2011-04-28 2015-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916474B2 (ja) * 2012-03-29 2016-05-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処理装置
US20190273831A1 (en) * 2018-03-01 2019-09-05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emporary recording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9276A (en) * 1984-08-14 1990-02-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ield-directed screen help technique
US5388251A (en) * 1987-11-09 1995-02-07 Sharp Kabushiki Kaisha Help display system for a computer
US6092947A (en) * 1992-10-06 2000-07-25 Seiko Epson Corporation & King Jim Co., Ltd. Tape printing device
CA2107759A1 (en) * 1992-10-06 1994-04-07 Masahiko Nunokawa Tape printing device
US5609424A (en) * 1994-07-18 1997-03-1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shaped label producing device having input instructing messages
JPH08108602A (ja) * 1994-08-11 1996-04-30 Seiko Epson Corp テープ印刷装置
GB2314955A (en) * 1996-07-05 1998-01-14 Esselte Nv Label printer
JP3603539B2 (ja) * 1997-04-30 2004-12-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4045850B2 (ja) * 2002-04-30 2008-02-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プリンタのキャラクタ処理方法およびテーププリンタ
KR100592475B1 (ko) * 2003-05-30 2006-06-23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표시 방법, 인쇄 시스템, 인쇄시스템의 표시 방법, 및 기억 매체
JP2005078128A (ja) * 2003-08-28 2005-03-24 Seiko Epson Corp 印刷システム、印刷システムのデータ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74421B2 (en) 2009-01-06
US20040212813A1 (en) 2004-10-28
JP4423871B2 (ja) 2010-03-03
CN100592283C (zh) 2010-02-24
KR100534675B1 (ko) 2005-12-07
JP2004291317A (ja) 2004-10-21
CN1542646A (zh) 2004-11-03
TW200424871A (en) 200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6844B1 (ko)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EP2142376B1 (en) Tape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with displaying features
KR100534675B1 (ko)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설명 게시 방법, 및 기억 매체
JP3578005B2 (ja) テープ印刷装置およびテープ長設定方法
US6293717B1 (en) Tape printing apparatus and tape printing method
JP2011062985A (ja) テープ印字装置、テープ印字装置のテープ切断方法及びそのテープ切断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が記憶された記憶媒体
US20060034647A1 (en) Character-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haracter-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and storage medium
KR100425875B1 (ko) 라벨 작성 장치 및 방법
US20020085870A1 (en)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JP3667133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並びに画像表示方法
US7401292B2 (en) Character-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haracter-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20030058473A1 (en) Label 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JP3554210B2 (ja) テープ印刷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3449209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並びに画像表示方法
JP2001187469A (ja) 長尺印刷媒体印刷装置
GB2321549A (en) Tape printing apparatus
JPH09188025A (ja) 文字情報処理装置
JPH11232064A (ja) 印刷装置
JP2008241955A (ja) ラベルテープ、テープカセット及び印刷装置
JPH11249776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備えたテープ印刷装置
JP2007128217A (ja) 電子機器のテキスト編集方法、テキスト編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印刷装置
JPH07251533A (ja) テープ印字装置
JP2009031540A (ja) ラベル用テープ、テープ印刷装置およびテープ印刷装置の画像作成方法
JP2010173073A (ja) テープ印刷装置およびその印刷方法
JP2006098874A (ja) 文字情報処理方法、文字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