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4807A - 고강도 전봉관용 열연강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강도 전봉관용 열연강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4807A
KR20040084807A KR1020040020251A KR20040020251A KR20040084807A KR 20040084807 A KR20040084807 A KR 20040084807A KR 1020040020251 A KR1020040020251 A KR 1020040020251A KR 20040020251 A KR20040020251 A KR 20040020251A KR 20040084807 A KR20040084807 A KR 20040084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trip
less
temperature
strip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8360B1 (ko
Inventor
나카타히로시
가게야마노부유키
이와타코지
시미즈테츠오
가미치카라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4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4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3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1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tubular bodies
    • C21D8/1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tubular bodie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elded jo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고강도 전봉관(high strength electric resistance welding pipe)의 출발소재(starting material)로서 적절하게 사용되는, 우수한 저온인성(low temperature toughness) 및 용접성(weldability)을 갖는 열연강대(hot-rolled steel strip)가, 새로운 시설의 건설 및 비용의 증가를 수반하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된다.
상기 열연강대는, 약 0.5% 이하의 Cu, 약 0.5% 이하의 Ni 및 약 0.5% 이하의 Mo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함유하는 저탄소강이고, 여기에서 다음의 등식(1)에 의해 표현되는 Pcm은 0.17 이하이며, 잔부(殘部)는 Fe 및 부수적인 불순물을 포함한다.
등식(1);
Pcm = (%C)+(%Si)/30+((%Mn)+(%Cu))/20+(%Ni)/60+(%Mo)/7+(%V)/10
(다만, (%M)은, 질량 퍼센트로서 원소 M의 함유량)
또한, 전체 미세조직에서, 주상(primary phase)인 베이니틱 페라이트(bainitic ferrite)의 비율은 약 95 체적퍼센트 이상이 되도록 제어된다.

Description

고강도 전봉관용 열연강대 및 그 제조방법{HOT-ROLLED STEEL STRIP FOR HIGH STRENGTH ELECTRIC RESISTANCE WELDING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강도 전봉관(high strength electric resistance welding pipe)용 열연강대(hot-rolled steel strip)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열연강대는, 우수한 저온인성(low temperature toughness) 및 용접성(weldability)을 갖으며, 라인파이프(line pipe), 유정파이프(oil well pipe) 등을 제조하는 데에 적절한 출발소재(starting material)이다.
석유위기 이래, 원유 및 천연가스의 채굴과 파이프라인(pipe line)의 건설이북해, 캐나다 및 알래스카와 같은 북극지역에서 활발하게 행하여져 왔다. 파이프라인에 사용되는 강관(steel pipe)은 "라인파이프(line pipe)"라고 불려진다. 상기 라인파이프의 직경은 천연가스 및 오일의 운송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증가되어 왔다. 동시에, 상기 라인파이프의 사용은 고압조건하에서 수행되는 경향이 있다. 전술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라인파이프 강(linepipe steel)으로서, 두꺼운 두께 또는 높은 강도, 우수한 저온인성, 그리고 우수한 용접성을 가지며,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는 강제품(steel product)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어 왔다.
건설 또는 이와 같은 것이 실제로 수행되는 분야에서 거스용접(girth welding)이 라인파이프 강에 수행되어져야 하므로, 용접부의 용접금속과 열영향부(heat affected zone, HAZ)와의 사이의 경도차의 증가에 기인하는 인성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라인파이프 강은 낮은 탄소 함유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틸 플레이트(steel plate) 및 핫 스틸 스트립(hot steel strip, 열연강대)은 강관(steel pipe)의 출발소재로서 사용되어져 왔다. 예를 들어,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1-18984호에서는, 우수한 수소유기균열저항성(hydrogen induced cracking resistance)을 갖는 라인파이프 강의 소재로서의 스틸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열연강대에 관하여는, 일본공개특허공보 소64-25916호에, 저탄소 함유량을 갖는 슬래브(slab)를 Ar3이상의 온도에서 압연하고, 얻어진 스틸 시트(steel sheet)를 20℃/sec 이상의 냉각속도에서 급냉하여, 이렇게 250℃ 이하의 온도에서냉각된 스틸 시트를 권취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것과 유사한 열연 스트립(strip)의 제조방법으로서, 일본공개특허공보 2001-207220호에, 열연 스트립의 표면을 미세화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조압연(rough rolling)에 의해 처리된 스틸 시트의 표면온도를 Ar3이하의 온도로 냉각시키고 나서, 상기 스틸 시트 자체의 열 또는 외부로부터의 가열에 의하여, 상기 스틸 시트를 Ar3이상의 온도로 다시 가열시킨다. 상기 가열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ferrite/austenite) 역변태 과정에서 마무리압연(finish rolling)이 종료되고, 이에 의하여 열연 스트립의 표면이 미세화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압조건하에서 라인파이프의 사용을 고려하여, 라인파이프 강은 높은 강도 또는 두꺼운 두께를 갖을 필요가 있다. 두꺼운 벽이 있는 강관으로서, 일반적으로, 스틸 플레이트로부터 제조된 UOE 강관이 널리 알려져 있다.
다른 한편으로, 열간압연기에 의해 제조되는 열연강대는, 비교적 큰 슬래브로부터 얻어진 제품을 권취하고, 필요한 길이를 갖는 제품의 일부를 제관공정(pipe forming step)으로 공급하고, 그것으로부터 연속적으로 파이프를 제조하는 단계에 의해, 연속적으로 관으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강관의 생산효율이라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열연라인(hot rolling line)에 따라서는, 조압연에 의해 처리된 중간코일(intermediate coil)이 서로 연결된 후에, 연속압연(continuous rolling)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스틸 플레이트보다 생산성이 더 높다. 결과적으로, 스틸 플레이트에 비하여 저렴한 열연강대의 출발소재가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스틸 플레이트로부터 제조되는 UOE 강관은, 적어도 두차례 수행되는 프레스 몰딩(press molding)에 의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프레스 단계(press step)의 수에 따라서 프레스 라인(press line)이 설치되어야 한다. 그에 따라서, 필요한 길이를 갖는 열연강대가 코일로부터 공급된 후에 즉시 형성될 수 있는 전봉강관와 비교했을 때에, UOE 강관의 제관비용도 더 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렴한 강관의 출발소재를 제공하는 데에 있어서는, 스틸 플레이트보다 열연강대가 유리하다.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 역변태를 유효하게 활용하기 위한 압연 및 냉각 스케줄의 적절한 조건은, 열연강대를 사용하는 제조방법과 일본공개특허공보 2001-207220호에 의하여 발견되어져 왔다. 그러나, 스틸 시트의 두께가 대략 20mm가 되면, JP '220에 개시된 냉각 스케줄을 만족하는 냉각속도를 확보하면서 제조를 수행하기 위하여, 큰 냉각능력을 갖는 시설이 설치되어져야 한다. 결과적으로, 어떤 경우에는 새로운 제조라인의 건설과 비용의 증가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스틸 시트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표면부와 중심부의 온도차가 증가한다. 따라서, 스틸 시트의 두께방향을 따르는 냉각속도의 차이에 기인한 불균일한 조직의 생성을 회피하기 위한 대책이 강구되어져야 한다.
아울러, 담금질성(hardening property)은 적절하게 C 함유량 및 Mn 함유량을 감소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어되므로, 20℃/sec 이상의 냉각속도와 250℃ 이하의 권취온도가, 일본공개특허공보 소64-25916호에 따른 미세한 베이나이트(bainite)를얻기 위하여 필요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스틸 시트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서, 두께방향의 전체 영역을 균일하고 급속하게 냉각하는 것은 극히 어렵다. 두꺼운 소재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강력한 냉각능력을 보유한 시설이 설치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실제의 조업에 사용될 때에는 전술한 제조방법은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우수한 저온인성 및 용접성을 갖는 열연강대와 그 유리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은 유익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유리하게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새로운 시설의 건설 및 비용의 증가를 수반하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는, 우수한 저온 인성 및 용접성을 갖는 고강도 전봉관용 열연강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CTOD값과 Pcm값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2는, Nb석출율과 모재 CTOD와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3A 및 도 3B는, CTOD 시험편의 치수 및 형상을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권취온도(CT)와 Nb석출율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본 발명에 의한 열연강대(hot-rolled steel strip)는, 새로운 시설의 건설 및 비용의 증가를 수반하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강도 전봉강관(high strength electric resistance welding steel pipe)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르면, 열연강대는, 질량퍼센트로서, 약 0.005 ~ 약 0.04%의 C; 약 0.05 ~ 약 0.3%의 Si; 약 0.5 ~ 약 2.0%의 Mn; 약 0.001 ~ 약0.1%의 Al; 약 0.001 ~ 약 0.1%의 Nb; 약 0.001 ~ 약 0.1%의 V; 약 0.001 ~ 약 0.1%의 Ti; 약 0.03% 이하의 P; 약 0.005% 이하의 S; 약 0.006% 이하의 N; 약 0.5% 이하의 Cu, 약 0.5% 이하의 Ni 및 약 0.5% 이하의 Mo으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 그리고 Fe 및 부수적인 불순물로 이루어진 잔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열연강대에서, 다음의 등식(1)에 의해 표현되는 Pcm은 0.17 또는 그 이하이며:
등식(1);
Pcm = (%C)+(%Si)/30+((%Mn)+(%Cu))/20+(%Ni)/60+(%Mo)/7+(%V)/10
여기에서, (%M)은, 질량 퍼센트로서 M원소의 함유량을 가리키고, 상기 열연강대는, 주상(primary phase)으로서 함유량이 95 체적퍼센트 이상인 베이니틱 페라이트(bainitic ferrite)로 구성되어 있다.
총Nb량에 대한 석출된 Nb량의 비율(이하, "Nb석출율"이라 함)은, 바람직하게는 약 5 ~ 약 80%이다.
전술한 열연강대는, 질량퍼센트로서 약 0.005% 이하의 Ca 및/또는 RE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열연강대는, 약 0.1% 이하의 Cr 및 약 0.003% 이하의 B으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다음의 등식(2)에 의해 표현되는 Pcm'은 0.17 또는 그 이하이다:
등식(2);
Pcm' = (%C)+(%Si)/30+((%Mn)+(%Cu)+(%Cr))/20+(%Ni)/60+(%Mo)/7+
(%V)/10
(다만, (%M)은, 질량 퍼센트로서 원소 M의 함유량)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우수한 저온인성(low temperature toughness) 및 용접성(weldability)을 갖는 고강도 전봉관용 열연강대를 제조하는 방법은, 전술한 조성 중 하나를 갖는 강 슬래브(steel slab)를 약 1000 ~ 약 1300℃로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가열된 강 슬래브의 마무리압연(finish rolling)을 수행하여 강대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강대가 약 (Ar3-50℃) 이상의 표면온도를 갖는 조건하에서 마무리압연을 완료하는 단계와; 상기 마무리압연의 완료후 즉시 냉각을 개시하고; 약 700℃ 이하의 온도에서 서냉하면서 강대를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강도 전봉강관을 제조하기 위한 출발소재(starting material)로서, 이러한 목적에 주로 사용되어온 스틸 플레이트(steel plate) 대신에, 높은 강도 및 용접부에서의 우수한 인성을 갖는 열연강대가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될 수 있고, 산업분야에서 상당히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 강의 조성으로서 선택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 실례로서 선택된 실시예에서, 조성에 대하여 사용된 "%"는 다른 설명이 없는 한 "질량 %"를 가리킨다.
C : 약 0.005 ~ 약 0.04%
탄소(C)는, 강도를 확보하는 데에 중요한 원소이다. C의 함유량은, 희망하는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약 0.005% 이상이어야 한다. 그러나, 함유량이 약 0.04%를 초과하면, 탄소 함유량의 증가에 의하여, 용접성의 열화 뿐만 아니라, 냉각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마르텐사이트(martensite)가 생성되기 쉽다. 반면에, 냉각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펄라이트(pearlite)가 생성되기 쉽다. 그에 따라서, 양쪽 모두의 경우에 있어서, 스틸의 인성이 열화될 수 있다. 따라서, C의 함유량은 약 0.005 ~ 약 0.04%의 범위로 한정된다.
Si : 약 0.05 ~ 0.3%
실리콘(Si)은, 강의 탈산제(deoxidizing agent)로서 유용한 원소이다. 그러나, 그 함유량이 높은 경우에는, 전기저항용접(electric resistance welding)이 수행될 때에 Mn-Si계(Mn-Si-based)의 비금속 개재물이 형성되므로, 용접부의 인성에 있어서 열화가 발생한다. 따라서, Si함유량의 상한은 약 0.3%로 한다. 반면에, 그 하한은 탈산효과 및 현재의 제관기술을 고려하여 약 0.05%로 한다.
Mn : 약 0.5 ~ 약 2.0%
적어도 약 0.5%의 망간(Mn)이 적절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그러나, 그 함유량이 높은 경우에는, 원소 C의 경우와 같이 인성 및 용접성이 열화되기 때문에, 상한을 약 2.0%로 한다.
Al : 약 0.001 ~ 약 0.1%
알루미늄(Al)은, Si과 같이, 강의 탈산제로서 유용한 원소이다. 그러나, 그 함유량이 높은 경우에는, 알루미나계(alumina-based)의 개재물이 생성되기 때문에, 강의 물성에 있어서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한은 약 0.1%로 한다. 반면에, 하한은 탈산효과를 고려하여 약 0.001%로 한다.
Nb : 약 0.001 ~ 약 0.1%
니오븀(Nb)은,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의 조대화(coarsening of austenite grain) 및 그 재결정(recrystallization)을 억제하고, 미세화(refining)에 의하여 강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다. 그러나, 그 함유량이 약 0.001% 미만인 경우에는, 그 첨가효과가 충분하게 얻어지지 않는다. 반면에, 함유량이 약 0.1%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접성이 열화될 수 있다. 따라서, Nb의 함유량은 약 0.001 ~ 약 0.1%의 범위로 한다.
V : 약 0.001 ~ 약 0.1%
바나듐(V)은, 석출경화(precipitation hardening)에 의해 강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유용한 원소이다. 그러나, 그 함유량이 약 0.001% 미만인 경우에는, 전술한 효과가 충분하게 얻어질 수 없다. 반면에, 그 함유량이 약 0.1%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접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V의 함유량은 약 0.001 ~ 약 0.1%의 범위로 한다.
Ti : 약 0.001 ~ 약 0.1%
티타늄(Ti)은,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의 조대화를 방지함으로써 인성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석출경화에 의해 강도를 유효하게 증가시킨다. 그러나, 그 함유량이 약 0.001% 미만인 경우에는, 전술한 효과가 충분하게 얻어질 수 없다. 반면에, 그 함유량이 약 0.1%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접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Ti의 함유량은 약 0.001 ~ 약 0.1%의 범위로 한다.
P : 약 0.03% 이하, S : 약 0.005% 이하, N : 0.006% 이하
인(P)은, 강중에 불순물로서 존재하며, 편석되기 쉽고, 강의 인성에 있어서 열화를 초래하는 원소이다. 따라서, 그 함유량의 상한은 약 0.03%로 한다.
원소 P의 경우와 같이, 황(S)도 강의 인성에 있어서 열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그 함유량의 상한은 약 0.005%로 한다.
원소 P 및 S의 경우와 같이, 질소(N)도 강의 인성에 있어서 열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그 함유량의 상한은 약 0.006%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낮은 탄소 함유량에 의하여 담금질성(hardening property)이 제어되기 때문에, 베이니틱 페라이트를 안정하게 얻기 위해서는, 열간압연(hot rolling)후의 냉각속도가 어느 정도 제어되어야 한다. 따라서, 담금질성을 보완하고, 서냉하는 동안에 형성되기 쉬운 펄라이트(pearlite) 및 폴리고날 페라이트(polygonal ferrite)의 생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의 원소가 사용된다.
Cu : 약 0.5% 이하, Ni : 약 0.5% 이하, 그리고 Mo : 약 0.5% 이하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
상기에 언급된 것들은 모두 담금질성 및 강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유용한 원소이다. 이들 원소들은 바람직하게는 약 0.05% 이상의 함유량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그 함유량이 약 0.5%를 초과하는 경우와 같이 다량이 사용되면, 용접성 및 인성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합금제조비용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그 함유량은 각각 약 0.5% 이하로 한다. 또한, Ni은 인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으로 기여하지만, 다량의 사용은 용접부의 인성에 있어서 열화를 초래할 수 있다.
지금까지 기본 성분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기본 성분 이외에도 다음의 원소 또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a 및/또는 REM : 약 0.005% 이하
칼슘(Ca)은, 저온인성을 열화시키는 유해하게 신장된 MnS 개재물을 무해한 CaS으로 치환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Ca의 함유량이 약 0.00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Ca계(Ca-based) 산화물이 인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희토류 금속(rare earth metal, REM)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원소들이 단독적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되는 양쪽의 경우 모두, 그 함유량은 약 0.0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Cr : 약 0.1% 이하
크롬(Cr)은, 그 함유량이 적은 경우 내식성(corrosion resistance)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특히, 라이트 사워(light-sour, 약산성 가스) 환경하에서의 내식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그 함유량이 약 0.1%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식성이 열화된다. 따라서, 그 함유량을 약 0.1%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 약 0.003% 이하
브롬(B)은, 강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유용한 원소이다. 그 함유량은 약 0.000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 함유량이 약 0.003%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효과는 더 이상 향상되지 않는다. 따라서, B의 함유량은 약 0.003%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cm = (%C)+(%Si)/30+((%Mn)+(%Cu))/20+(%Ni)/60+(%Mo)/7+(%V)/10 ≤0.17
Pcm' = (%C)+(%Si)/30+((%Mn)+(%Cu)+(%Cr))/20+(%Ni)/60+(%Mo)/7+
(%V)/10 ≤ 0.17
상기한 Pcm 및 Pcm'은, 용접균열 감수성(weld cracking sensitivity)의 지표이다. Pcm은 Cr이 함유되지 않는 경우의 지표를 가리키며, Pcm'은 Cr이 함유되는 경우의 지표이다.
다음으로, 용접부의 인성이 균열선단개구변위(crack tip opening displacement, 이하, "CTOD"라고 함) 시험에 의하여 집중적으로 조사된다. 이 CTOD 시험은 스틸 플레이트의 인성평가를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시험방법 중의 하나이다. 이 CTOD 시험에 따르면, 용접시 다량의 마르텐사이트가 생성되는 경우에, 균열 감수성이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인성은 감소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용접부에서의 마르텐사이트 생성이 용이한 정도, 즉, 담금질성을 가리키는 지표로서 상기 Pcm(또는 Cr이 함유되는 경우에는 Pcm'; 이하에서는 편의상 이러한 서술은 생략함)이 채용되며, Pcm값과 CTOD 시험결과가 상당히 가까운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것이 아울러 확인되었다.
용접부에서의 CTOD값과 Pcm값과의 관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조성이 0.17 이하의 Pcm값을 갖도록 제어될 때에, CTOD값은 우수한 인성이 얻어질 수 있다고 믿어지는 0.25mm 이상이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강의 미세조직에 대하여 설명한다.
베이니틱 페라이트 : 약 95 체적퍼센트 이상
강의 미세조직이 주상(primary phase)으로서 베이니틱 페라이트로 구성되는 이유는 강도 및 인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는 미세한 결정입이 형성되어져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베이니틱 페라이트는 대략 10㎛ 이하의 결정입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결정입 직경은 공칭 결정입 직경(nominal grain diameter)을 사용한다. 공칭 결정입 직경은, L단면 조직사진을 사용하여, 절단법(section method)에 의해 얻어진 결정입의 평균길이에 2/(π)1/2를 곱함으로써 얻어진다.
다음으로, 모재의 인성에 있어서는, 단상 미세조직(single phase microstructure)이 유익하며, 미세조직중의 펄라이트, 상부 및 하부 베이나이트(bainite), 및 마르텐사이트의 생성은, 약 5 체적퍼센트 미만으로 억제되어야 한다. 용접부의 인성은 화학성분에 의해 대체적으로 결정된다. 베이니틱 페라이트 단상(약 95 체적퍼센트 이상의 상 비율)이 0.17 이하의 Pcm값을 갖는 경우에, 우수한 인성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
베이니틱 페라이트는, 결정입내에 많은 수의 전위가 존재하는, 저온에서 변태된 페라이트 미세조직이고, 통상의 페라이트인 폴리고날 페라이트(고온에서 변태된 연질의 초석(pro-eutectoid) 페라이트)와는 명백히 다르다. 또한, 그 단면 조직사진을 화상처리하여 얻어진 베이니틱 페라이트의 면적비율은, 베이니틱 페라이트의 체적비율로 변환된다.
낮은 탄소 함유량에 응하여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Nb과 같은 합금원소의 석출에 의한 석출경화가 사용된다. 합금원소의 석출은 강도를 증가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다. 그러나, 다량의 석출은 현저하게 인성을 감소시키므로, CTOD 인성을 유지하면서 알맞은 고강도를 얻기 위하여는, 총Nb량에 대한 석출된 Nb량의 퍼센트 비율(이하, "Nb석출율"이라 함)은, 약 5 ~ 약 80%의 범위로 제어되는 것이 유리하다.
Nb석출율의 상한은 대략 8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b석출율은, 인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약 6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 이하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Nb석출율은,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적어도 약 5%이어야 한다. 상기 Nb석출율은 다음의 등식에 의해 표현된다.
Nb석출율 = { 석출된 Nb량(질량 %) / 총Nb량(질량 %)} × 100
Nb석출율과 모재 CTOD와의 관계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두가지 타입의 강, 즉, 강 1과 강 2는 이 평가에 사용되었으며, 양자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었다. 따라서, 도 2에서, 강 1과 강 2는 서로 구별되어 있지 않다. 강 1의 화학조성은, 질량퍼센트로서, 0.011%의 C, 0.22%의 Si, 1.45%의 Mn, 0.045%의 Nb, 0.075%의 V, 0.01%의 Cu, 0.01%의 Ni, 그리고 Fe 및 부수적인 불순물로 이루어진 잔부를 포함한다. 강 2의 화학조성은, 질량퍼센트로서, 0.028%의 C, 0.24%의 Si, 1.62%의 Mn, 0.048%의 Nb, 0.071%의 V, 0.01%의 Cu, 0.01%의 Ni, 그리고 Fe 및 부수적인 불순물로 이루어진 잔부를 포함한다.
강 1 및 강 2의 연속주조된 슬래브(continuously cast slab)는, 열연강대를 형성하기 위하여, 가열온도 1200℃와 마무리온도 800℃에서 압연함으로써 각각 가공되었다. 상기 열연 스트립으로부터, 석출물 분석용 시험편(10mm × 50mm)과 CTOD시험용 시험편이 형성되었다. Nb 석출율과 모재 CTOD와의 관계는 이렇게 하여 형성된 시험편에 의하여 조사되었다. 이 실시예에서는, 모재 CTOD는, 관의 몸체를 잘라서 얻어진 표본을 사용하여 수행된 CTOD 시험을 의미한다.
석출물의 화학적 분석을 위하여, 먼저, 말레산계(maleic acid base) 전해액(말레산 10%, 아세틸아세톤 2%, 테트라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5%, 및 메탄올)중에서, 저전류 전해가 저전류 밀도(대략 20㎃/㎠)로 시험편에 수행되었고, 그로부터 얻어진 잔류물은 멤브래인 필터(membrane filter, 직경 47mm, 공경 0.2㎛)를 사용하여 수집되었다. 다음으로, 필터 및 잔류물은 타서 재가 된 후, 붕산리튬(lithium borate, Li2B4O7)과 과산화나트륨(sodium peroxide, Na2O2)으로 구성된 혼합융제에 용해되었다. 이러한 융해에 의하여 얻어진 용융 소재는 염산 용액에 용해된 후, 물에 의하여 소정의 체적으로 희석되고, 이어서, IPC 발광분석법(IPC emission analytical method)에 의해 정량분석이 수행되었다.
CTOD 시험은, 영국 표준의 BS 7448: Part 1 1991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이 시험의 시험편은, 각각 원주방향을 따라 관(pipe)으로부터 각각 얻어졌고, 상기 관의 길이방향으로는 노치(notch)를 갖는다. 시험편의 형상 및 치수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Nb석출율과 모재 CTOD값은 서로 상관관계를 갖는다. 0.25mm 이상의 임계 CTOD값을 얻기 위하여는, Nb석출율을 약 80% 이하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강을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제조조건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람직한 조성을 갖는 강은, 전로(converter) 등에서 용융된 후, 연속주조법(continuous casting method) 등에 의해 슬래브로 형성된다.
슬래브 가열온도 : 약 1000 ~ 약 1300℃
스틸 시트의 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는, 낮은 가열온도에서 가열을 수행하여 미세한 결정입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온도가 약 1000℃ 미만인 경우에는, 필요한 강도를 얻을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또한, 통상 슬래브 가열은 대략 1200℃에서 수행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전술한 슬래브 가열작업의 수는 제한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효율의 감소가 초래된다. 반면에, 온도가 약 13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인성에 악영향을 주는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의 조대화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손실 또는 스케일(scale) 양의 증가에 의하여 발생하는 표면상태의 열화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마무리압연온도 : 약 (Ar 3 -50℃) 이상
균일한 결정입 크기 및 미세조직을 유지하면서 압연을 종료하기 위하여는, 마무리압연온도는 약 (Ar3-50℃) 또는 그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전술한 마무리압연온도는, 마무리압연기의 배출측의 스틸 시트의 표면에서 측정된 온도이다. 마무리압연온도가 약 (Ar3-50℃) 미만인 경우에는, 마무리압연중에 스틸 시트의 내부에 페라이트 변태가 발생하고, 미세조직이 불균일해지며, 결과적으로 희망하는 특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압연 종료후 즉시 냉각
압연후 공냉중에 페라이트 변태가 발생하기 때문에, 연질의 조대한 페라이트의 생성에 의해 초래되는 강도 및 인성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은 압연 종료후에 즉시 개시되어져야 한다. "즉시"라 함은, 바람직하게는 압연 종료후 약 10초 이내에 냉각이 개시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마무리압연후의 냉각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냉각속도가 너무 느리면 희망하는 베이니틱 페라이트를 얻을 수 없는 경우도 있으므로, 냉각속도는 대략 3℃/sec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취온도 : 약 700℃ 이하
권취온도가 약 7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페라이트 결정입의 조대화가 발생한다. 그 결과로서 인성은 현저하게 감소한다. 따라서, 미세한 결정입을 얻음과 동시에, Nb석출율을 본 발명에 따른 우수한 CTOD값이 얻어질 수 있는 바람직한 범위내로 하기 위하여는, 권취온도를 약 7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00℃ 이하,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550℃ 이하로 한다. 또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는 석출량이 증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약 250℃ 이하에서는 충분한 석출량이 얻어질 수 없다.
도 4에는 권취온도(이하, 경우에 따라 "CT"라 함)와 Nb석출율과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Nb석출율은 CT에 비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T가 약 7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Nb석출율은 약 80%를 초과하게 된다. 따라서, 우수한 인성을 얻기 위하여는, CT를 약 700℃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CT를 약 600℃ 이하로 한다.
실시예 1
표 1에 나타내어진 조성을 갖는 연속주조된 슬래브는, 표 2에 나타내어진 조건하에서 처리되었고, 이에 의하여 열연강대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열연강대의 기계적 특성 및 강의 미세조직을 측정하였다. 표 2에는 그 결과가 나타나 있다.
모재 및 용접부의 인성은, 약 -10℃의 시험온도에서 수행된 CTOD 시험에 의하여 평가되었다. 도 3A 및 도 3B에는 CTOD 시험편의 치수 및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용접부 시험편은, 전기용접에 의해 형성된 평평한 스틸 시트로부터, 시험편의 길이방향이 용접선과 직각이 되도록 얻어졌다. 다음으로, CTOD값은, 예상균열확장경로 및 노치의 외측에 클립 게이지(clip gauge)가 제공된, BS 7448에 따른 3점 굽힘시험(three-point bent test)에 의하여 얻어졌다. 상기 CTOD값이 0.25mm 또는 그 이상이면, 인성이 우수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또한, 표 2에서, αB는 베이니틱 페라이트를, αP는 폴리고날 페라이트를, B는 베이나이트를, P는 펄라이트를, 그리고 MA는 호상(island-shaped) 마르텐사이트를 각각 가리킨다.
표 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강 A ~ H)에 의하면, 강의 미세조직은 주상(primary phase)으로서 αB ≥ 95 체적 퍼센트를 만족하는 베이니틱 페라이트로 구성되고; 강도는 YS ≥ 560MPa을 만족하도록 높으며; 모재 및 용접부의 인성은 우수하여, 각각 0.25mm 이상의 CTOD값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적정범위를 벗어나는 강 I ~ R에 의하면, 희망하는 인성을 얻을 수 없었다.
실시예 2
표 3에 나타내어진 조성을 갖는 연속주조 슬래브는, 표 4에 나타내어진 조건하에서 처리되었고, 이에 의하여 열연강대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열연강대의 기계적 특성, 강의 미세조직 및 Nb석출율을 측정하였다. 표 4에는 그 결과가 나타나 있다. 표 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특히, 5 ~ 80%의 Nb석출율을 만족하는 미세조직은 우수한 강도와 인성을 모두 갖는다.
이에 반하여, 표 4에 나타내어진 No.5로부터 얻어진 결과에 의하면, 권취온도가 700℃를 초과했기 때문에, Nb석출율이 높았고, 아울러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의 조대화가 발생하였으며, 이에 의하여 인성에 있어서의 열화가 초래되었다.
또한, 표 4에 나타내어진 No.8으로부터 얻어진 결과에 의하면, 권취온도가 낮았기 때문에, Nb석출율이 감소되었을 뿐만 아니라, MA가 석출되었으며, αB의 체적분율이 감소되어, 강도 및 인성에 있어서의 감소가 초래되었다.
실시예 3
표 5에 나타내어진 조성을 갖는 연속주조 슬래브는, 표 6에 나타내어진 조건하에서 처리되었고, 이에 의하여 열연강대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열연강대의 기계적 특성, 강의 미세조직 및 Nb석출율을 측정하였다. 표 6에는 그 결과가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스틸 T ~ X)에 의하면, 강의 미세조직은 주상(primaryphase)으로서 αB ≥ 95 체적퍼센트를 만족하는 베이니틱 페라이트로 구성되고; 강도는 YS ≥ 652MPa을 만족하도록 높으며; 모재 및 용접부의 인성은 우수하여, 각각 0.28mm 이상의 CTOD값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스틸 Y에 의하면, Pcm 및 Ca가 본 발명의 적정범위를 벗어났기 때문에, 용접부의 CTOD값이 낮았고, Ca의 과잉첨가에 의하여 강의 청정성이 열화되었다. 결과적으로, 희망하는 인성을 얻을 수 없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강도 전봉강관(high strength electric resistance welding pipe)을 제조하기 위한 출발소재(starting material)로서, 이러한 목적에 주로 사용되어온 스틸 플레이트(steel plate) 대신에, 높은 강도 및 용접부에서의 우수한 인성을 갖는 열연강대(hot-rolled steel strip)가 새로운 시설의 건설 및 비용의 증가를 수반하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될 수 있고, 산업분야에서 상당히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질량퍼센트로서,
    약 0.005 ~ 약 0.04%의 C;
    약 0.05 ~ 약 0.3%의 Si;
    약 0.5 ~ 약 2.0%의 Mn;
    약 0.001 ~ 약 0.1%의 Al;
    약 0.001 ~ 약 0.1%의 Nb;
    약 0.001 ~ 약 0.1%의 V;
    약 0.001 ~ 약 0.1%의 Ti;
    약 0.03% 이하의 P;
    약 0.005% 이하의 S;
    약 0.006% 이하의 N;
    약 0.5% 이하의 Cu, 약 0.5% 이하의 Ni 및 약 0.5% 이하의 Mo으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최소한 하나의 성분; 및
    Fe 및 부수적인 불순물로 이루어진 잔부(殘部)를 포함하고,
    다음의 등식(1)에 의해 표현되는 Pcm은 0.17 이하이며:
    등식(1);
    Pcm = (%C)+(%Si)/30+((%Mn)+(%Cu))/20+(%Ni)/60+(%Mo)/7+(%V)/10
    (다만, (%M)은, 질량 퍼센트로서 원소 M의 함유량)
    주상(primary phase)인 베이니틱 페라이트(bainitic ferrite)의 함유량이 95 체적퍼센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고온인성(low temperature toughness) 및 용접성(weldability)을 갖는 고강도 전봉관(high strength electric resistance welding pipe)용 열연강대(hot-rolled steel strip).
  2. 제1항에 있어서,
    총Nb량에 대한 석출된 Nb량의 퍼센트 비율이 약 5 ~ 약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강대.
  3. 제1항에 있어서,
    질량퍼센트로서 약 0.005% 이하의 Ca 및/또는 희토류 금속(REM: rare earth metal)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강대.
  4. 제2항에 있어서,
    질량퍼센트로서 약 0.005% 이하의 Ca 및/또는 희토류 금속(REM)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강대.
  5. 제1항에 있어서,
    약 0.1% 이하의 Cr 및 약 0.003% 이하의 B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하나의 성분을 더 포함하고,
    다음의 등식(2)에 의해 표현되는 Pcm'은 0.1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강대.
    등식(2);
    Pcm' = (%C)+(%Si)/30+((%Mn)+(%Cu)+(%Cr))/20+(%Ni)/60+(%Mo)/7+
    (%V)/10
    (다만, (%M)은, 질량 퍼센트로서 원소 M의 함유량)
  6. 제2항에 있어서,
    약 0.1% 이하의 Cr 및 약 0.003% 이하의 B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하나의 성분을 더 포함하고,
    다음의 등식(2)에 의해 표현되는 Pcm'은 0.1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강대.
    등식(2);
    Pcm' = (%C)+(%Si)/30+((%Mn)+(%Cu)+(%Cr))/20+(%Ni)/60+(%Mo)/7+
    (%V)/10
    (다만, (%M)은, 질량 퍼센트로서 원소 M의 함유량)
  7. 제3항에 있어서,
    약 0.1% 이하의 Cr 및 약 0.003% 이하의 B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하나의 성분을 더 포함하고,
    다음의 등식(2)에 의해 표현되는 Pcm'은 0.1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강대.
    등식(2);
    Pcm' = (%C)+(%Si)/30+((%Mn)+(%Cu)+(%Cr))/20+(%Ni)/60+(%Mo)/7+
    (%V)/10
    (다만, (%M)은, 질량 퍼센트로서 원소 M의 함유량)
  8. 제4항에 있어서,
    약 0.1% 이하의 Cr 및 약 0.003% 이하의 B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하나의 성분을 더 포함하고,
    다음의 등식(2)에 의해 표현되는 Pcm'은 0.1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강대.
    등식(2);
    Pcm' = (%C)+(%Si)/30+((%Mn)+(%Cu)+(%Cr))/20+(%Ni)/60+(%Mo)/7+
    (%V)/10
    (다만, (%M)은, 질량 퍼센트로서 원소 M의 함유량)
  9. 제1항에 따른 조성을 갖는 강 슬래브(steel slab)를 약 1000 ~ 약 130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가열된 강 슬래브를 마무리압연(finish rolling)하여 강대(steelstrip)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강대가 약 (Ar3-50℃) 이상의 표면온도를 갖는 조건하에서 마무리압연을 완료하는 단계와;
    마무리압연의 완료후 즉시 강대를 냉각하는 단계와;
    약 700℃ 이하의 온도에서 서냉하면서 강대를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수한 고온인성 및 용접성을 갖는 고강도 전봉관용 열연강대의 제조방법.
  10. 제2항에 따른 조성을 갖는 강 슬래브를 약 1000 ~ 약 130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가열된 강 슬래브를 마무리압연하여 강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강대가 약 (Ar3-50℃) 이상의 표면온도를 갖는 조건하에서 마무리압연을 완료하는 단계와;
    마무리압연의 완료후 즉시 강대를 냉각하는 단계와;
    약 700℃ 이하의 온도에서 서냉하면서 강대를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수한 고온인성 및 용접성을 갖는 고강도 전봉관용 열연강대의 제조방법.
  11. 제3항에 따른 조성을 갖는 강 슬래브를 약 1000 ~ 약 130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가열된 강 슬래브를 마무리압연하여 강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강대가 약 (Ar3-50℃) 이상의 표면온도를 갖는 조건하에서 마무리압연을 완료하는 단계와;
    마무리압연의 완료후 즉시 강대를 냉각하는 단계와;
    약 700℃ 이하의 온도에서 서냉하면서 강대를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수한 고온인성 및 용접성을 갖는 고강도 전봉관용 열연강대의 제조방법.
  12. 제4항에 따른 조성을 갖는 강 슬래브를 약 1000 ~ 약 130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가열된 강 슬래브를 마무리압연하여 강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강대가 약 (Ar3-50℃) 이상의 표면온도를 갖는 조건하에서 마무리압연을 완료하는 단계와;
    마무리압연의 완료후 즉시 강대를 냉각하는 단계와;
    약 700℃ 이하의 온도에서 서냉하면서 강대를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수한 고온인성 및 용접성을 갖는 고강도 전봉관용 열연강대의 제조방법.
  13. 제5항에 따른 조성을 갖는 강 슬래브를 약 1000 ~ 약 130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가열된 강 슬래브를 마무리압연하여 강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강대가 약 (Ar3-50℃) 이상의 표면온도를 갖는 조건하에서 마무리압연을 완료하는 단계와;
    마무리압연의 완료후 즉시 강대를 냉각하는 단계와;
    약 700℃ 이하의 온도에서 서냉하면서 강대를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수한 고온인성 및 용접성을 갖는 고강도 전봉관용 열연강대의 제조방법.
  14. 제6항에 따른 조성을 갖는 강 슬래브를 약 1000 ~ 약 130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가열된 강 슬래브를 마무리압연하여 강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강대가 약 (Ar3-50℃) 이상의 표면온도를 갖는 조건하에서 마무리압연을 완료하는 단계와;
    마무리압연의 완료후 즉시 강대를 냉각하는 단계와;
    약 700℃ 이하의 온도에서 서냉하면서 강대를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수한 고온인성 및 용접성을 갖는 고강도 전봉관용 열연강대의 제조방법.
  15. 제7항에 따른 조성을 갖는 강 슬래브를 약 1000 ~ 약 130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가열된 강 슬래브를 마무리압연하여 강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강대가 약 (Ar3-50℃) 이상의 표면온도를 갖는 조건하에서 마무리압연을 완료하는 단계와;
    마무리압연의 완료후 즉시 강대를 냉각하는 단계와;
    약 700℃ 이하의 온도에서 서냉하면서 강대를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수한 고온인성 및 용접성을 갖는 고강도 전봉관용 열연강대의 제조방법.
  16. 제8항에 따른 조성을 갖는 강 슬래브를 약 1000 ~ 약 130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가열된 강 슬래브를 마무리압연하여 강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강대가 약 (Ar3-50℃) 이상의 표면온도를 갖는 조건하에서 마무리압연을 완료하는 단계와;
    마무리압연의 완료후 즉시 강대를 냉각하는 단계와;
    약 700℃ 이하의 온도에서 서냉하면서 강대를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우수한 고온인성 및 용접성을 갖는 고강도 전봉관용 열연강대의 제조방법.
KR1020040020251A 2003-03-27 2004-03-25 고강도 전기저항용접 파이프용 열연강대 KR1006283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89125 2003-03-27
JPJP-P-2003-00089125 2003-03-27
JP2003090069 2003-03-28
JPJP-P-2003-00090069 2003-03-28
JPJP-P-2003-00417881 2003-12-16
JP2003417881A JP4341396B2 (ja) 2003-03-27 2003-12-16 低温靱性および溶接性に優れた高強度電縫管用熱延鋼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807A true KR20040084807A (ko) 2004-10-06
KR100628360B1 KR100628360B1 (ko) 2006-09-27

Family

ID=32830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251A KR100628360B1 (ko) 2003-03-27 2004-03-25 고강도 전기저항용접 파이프용 열연강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01030B2 (ko)
EP (1) EP1462535B1 (ko)
JP (1) JP4341396B2 (ko)
KR (1) KR100628360B1 (ko)
CN (1) CN1276988C (ko)
CA (1) CA2461831C (ko)
DE (1) DE602004000998T2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371B1 (ko) * 2005-12-20 2007-04-30 주식회사 포스코 극저온 인성이 우수한 라인파이프용 후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723156B1 (ko) * 2005-12-23 2007-05-30 주식회사 포스코 변형능 및 취성파괴 정지 특성이 우수한 항복강도552MPa 급 라인파이프용 후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742949B1 (ko) * 2005-05-03 2007-07-25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이 우수한 소부경화형 냉연강판과 그 제조방법
KR101228610B1 (ko) * 2008-05-26 2013-02-01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저온 인성과 연성 파괴 정지 성능이 우수한 라인 파이프용 고강도 열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33854B1 (ko) * 2009-01-30 2013-11-27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저온 인성이 우수한 후육 고장력 열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60737B1 (ko) * 2009-12-28 2014-02-07 주식회사 포스코 취성 균열 발생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82617A (ko) * 2014-12-25 2017-07-14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심정에 사용되는 컨덕터 케이싱용 고강도 후육 전봉 강관, 그의 제조 방법 및 심정에 사용되는 고강도 후육 컨덕터 케이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0366A (ja) * 2005-02-21 2008-08-07 ブルースコープ・スティール・リミテッド ラインパイプ用スチール
JP5011773B2 (ja) * 2005-03-24 2012-08-2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低温靭性に優れた低降伏比電縫鋼管の製造方法
JP4226626B2 (ja) * 2005-11-09 2009-02-1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音響異方性が小さく溶接性に優れる、板厚中心部も含めて降伏応力450MPa以上かつ引張強さ570MPa以上の高張力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40197B2 (ja) 2006-07-10 2012-10-0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加工性に優れ、かつ熱処理後の強度靭性に優れた熱延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72191B1 (ja) 2006-09-04 2008-04-0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高温強度、靭性及び耐再熱脆化特性に優れた耐火鋼材並びにその製造方法
ITPD20070117A1 (it) * 2007-03-29 2008-09-30 Antonio Belloni Procedimento di saldatura circonferenziale di tubi metallici particolarmente per oleodotti, gasdotti, acquedotti, ecc..
CN102112643B (zh) * 2008-07-31 2013-11-06 杰富意钢铁株式会社 低温韧性优良的厚壁高强度热轧钢板及其制造方法
EP2383360B1 (en) * 2008-12-26 2019-07-03 JFE Steel Corporation Steel plate excellent in resistance of ductile crack initiation from welded heat-affected zone and base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5499733B2 (ja) * 2009-01-30 2014-05-2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低温靭性に優れた厚肉高張力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30026B2 (ja) * 2009-01-30 2014-11-2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低温靭性に優れた厚肉高張力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99734B2 (ja) * 2009-01-30 2014-05-2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低温靭性に優れた極厚高張力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0087512A1 (ja) 2009-01-30 2010-08-0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hic性に優れた厚肉高張力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0109484A2 (en) * 2009-03-24 2010-09-30 Tata Motors Limited High strength microalloyed electric resistance welded steel tubes
US20100255335A1 (en) * 2009-04-07 2010-10-07 Crc-Evans Pipeline International, Inc. Configuration of and welding procedures applied to cruet shaped bevels in objects to be welded
CN101857939A (zh) * 2010-06-13 2010-10-13 攀钢集团钢铁钒钛股份有限公司 高强高韧低合金结构带钢及生产方法
KR101302298B1 (ko) 2010-06-30 2013-09-03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열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5776398B2 (ja) * 2011-02-24 2015-09-0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低温靭性に優れた低降伏比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RU2476278C2 (ru) * 2011-03-18 2013-02-27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Магнитогорский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й комбинат"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горячекатаной широкополосной стали
JP5776377B2 (ja) * 2011-06-30 2015-09-0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サワー性に優れたラインパイプ用溶接鋼管向け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4245970B (zh) * 2012-04-09 2016-04-20 杰富意钢铁株式会社 低屈服比高强度电阻焊钢管、用于该电阻焊钢管的钢带以及它们的制造方法
JP5884201B2 (ja) * 2013-01-24 2016-03-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引張強さ540MPa以上の高強度ラインパイプ用熱延鋼板
JP5679091B1 (ja) * 2013-04-04 2015-03-0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08723B2 (ja) * 2013-07-09 2015-04-3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低温破壊靭性に優れたラインパイプ用厚肉電縫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6005780A1 (fr) * 2014-07-11 2016-01-14 Arcelormittal Investigación Y Desarrollo Sl Tôle d'acier laminée à chaud et procédé de fabrication associé
JP6015879B1 (ja) * 2014-12-25 2016-10-2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深井戸向けコンダクターケーシング用高強度厚肉電縫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深井戸向け高強度厚肉コンダクターケーシング
JP6319129B2 (ja) * 2015-02-13 2018-05-0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深井戸向けコンダクターケーシング用高強度厚肉スパイラル鋼管及びその製造方法
JP6369347B2 (ja) * 2015-02-13 2018-08-0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深井戸向けコンダクターケーシング用高強度厚肉スパイラル鋼管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405720B (zh) * 2015-03-12 2019-11-29 杰富意钢铁株式会社 电阻焊不锈钢复合钢管及其制造方法
EP3299485A4 (en) * 2015-05-20 2018-12-05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High-strength electric-resistance-welded steel pipe, method for producing steel sheet for high-strength electric-resistance-welded steel pipe, and method for producing high-strength electric-resistance-welded steel pipe
CN105603322B (zh) * 2016-01-29 2017-10-31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超低成本800MPa级高韧性、优良焊接性的钢板及其制造方法
US11377719B2 (en) 2016-06-22 2022-07-05 Jfe Steel Corporation Hot-rolled steel sheet for heavy-wall, high-strength line pipe, welded steel pipe for heavy-wall, high-strength line pip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welded steel pipe
CN105908101B (zh) * 2016-07-08 2018-04-03 四川西南不锈钢有限责任公司 一种超低碳氮钢及制备方法
CN106498279B (zh) * 2016-10-14 2018-08-07 武汉钢铁有限公司 一种抗CO2腐蚀的低Cr经济型X65管线钢及生产方法
CN107460407B (zh) * 2017-08-25 2019-02-19 中冶华天包头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稀土强化长输管线钢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020434B1 (ko) * 2017-12-01 2019-09-10 주식회사 포스코 수소 유기 균열 저항성 및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CN110616300B (zh) * 2018-06-19 2021-02-19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优良ctod特性的低温用钢及其制造方法
JP7284380B2 (ja) * 2019-02-08 2023-05-31 日本製鉄株式会社 ラインパイプ用電縫鋼管
CN111893400B (zh) * 2020-08-18 2021-11-30 攀钢集团攀枝花钢铁研究院有限公司 屈服强度300MPa级别焊管用钢的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41215A (en) * 1962-12-07 1966-03-22 Armco Steel Corp Pipe mill for the selective production of electric resistance welded pipe and continuous welded pipe
US3849209A (en) * 1972-02-01 1974-11-19 Nippon Steel Corp Manufacturing method of high tension, high toughness steel
JPS6425916A (en) 1987-07-21 1989-01-27 Nippon Steel Corp Manufacture of high-strength steel for electric resistance welded tube excellent in toughness at low temperature
JP2721420B2 (ja) * 1990-09-11 1998-03-0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耐サワー電縫鋼管用鋼
KR100257900B1 (ko) * 1995-03-23 2000-06-01 에모토 간지 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3390596B2 (ja) * 1995-03-23 2003-03-24 川崎製鉄株式会社 靱性に優れる低降伏比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1998024942A1 (fr) * 1996-12-06 1998-06-11 Kawasaki Steel Corporation Feuille d'acier pour tuyau a enroulement double et procede de production du tuyau
JP3344305B2 (ja) * 1997-12-25 2002-11-11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耐水素誘起割れ性に優れたラインパイプ用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325967A4 (en) * 2001-07-13 2005-02-23 Jfe Steel Corp STEEL TUBE WITH HIGH RESISTANCE, HIGHER THAN THAT OF API X6 STANDARD
JP3885691B2 (ja) * 2002-08-27 2007-02-2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980MPa超級非調質厚鋼板の製造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949B1 (ko) * 2005-05-03 2007-07-25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이 우수한 소부경화형 냉연강판과 그 제조방법
KR100711371B1 (ko) * 2005-12-20 2007-04-30 주식회사 포스코 극저온 인성이 우수한 라인파이프용 후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723156B1 (ko) * 2005-12-23 2007-05-30 주식회사 포스코 변형능 및 취성파괴 정지 특성이 우수한 항복강도552MPa 급 라인파이프용 후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228610B1 (ko) * 2008-05-26 2013-02-01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저온 인성과 연성 파괴 정지 성능이 우수한 라인 파이프용 고강도 열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33854B1 (ko) * 2009-01-30 2013-11-27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저온 인성이 우수한 후육 고장력 열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60737B1 (ko) * 2009-12-28 2014-02-07 주식회사 포스코 취성 균열 발생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82617A (ko) * 2014-12-25 2017-07-14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심정에 사용되는 컨덕터 케이싱용 고강도 후육 전봉 강관, 그의 제조 방법 및 심정에 사용되는 고강도 후육 컨덕터 케이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87982A1 (en) 2004-09-30
CN1540024A (zh) 2004-10-27
CN1276988C (zh) 2006-09-27
DE602004000998T2 (de) 2006-09-21
CA2461831A1 (en) 2004-09-27
CA2461831C (en) 2013-05-28
KR100628360B1 (ko) 2006-09-27
JP4341396B2 (ja) 2009-10-07
EP1462535A1 (en) 2004-09-29
JP2004315957A (ja) 2004-11-11
EP1462535B1 (en) 2006-05-31
US7501030B2 (en) 2009-03-10
DE602004000998D1 (de) 200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8360B1 (ko) 고강도 전기저항용접 파이프용 열연강대
US7879287B2 (en) Hot-rolled steel sheet for high-strength electric-resistance welded pipe having sour-gas resistance and excellent weld toughn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RU2478123C1 (ru) Толстостенный высокопрочный горячекатаный стальной лист с высокой стойкостью к индуцируемому водородом растрескиванию и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JP5499733B2 (ja) 低温靭性に優れた厚肉高張力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094610B9 (zh) 钢管和钢板
JP5748032B1 (ja) ラインパイプ用鋼板及びラインパイプ
JP4905240B2 (ja) 表面品質、破壊靱性および耐サワー性に優れる熱延鋼板の製造方法
KR20170113626A (ko) 고강도 전봉 강관 및 그 제조 방법
JP2010196165A (ja) 低温靭性に優れた極厚高張力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01863B2 (ja) 低温靭性に優れた厚肉高張力熱延鋼板の製造方法
JPH07216500A (ja) 耐食性の優れた高強度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5521482B2 (ja) 低温靭性に優れた厚肉高張力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802450B2 (ja) 耐hic性に優れた厚手熱延鋼板とその製造方法
JP2010196156A (ja) 低温靭性に優れた厚肉高張力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41211B2 (ja) 耐hic性に優れた高強度ラインパイプ用鋼板の製造方法
JP5521484B2 (ja) 低温靭性に優れた厚肉高張力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194991A (ja) 耐サワー性と耐炭酸ガス腐食性とに優れた溶接鋼管
JP4499949B2 (ja) 耐炭酸ガス腐食性及び溶接部靭性に優れた低合金鋼及びラインパイプとその製造方法
JP2010090406A (ja) 低降伏比低温用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080416A (ja) 溶接性および耐食性に優れたラインパイプ用高Crマルテンサイト溶接鋼管の製造方法
KR102648172B1 (ko) 라인 파이프용 강재 및 그의 제조 방법 그리고 라인 파이프 및 그의 제조 방법
JPH0319285B2 (ko)
CN111655872B (zh) 管线管用钢材及其制造方法以及管线管的制造方法
JPH05214499A (ja) 耐サワー性と低温靱性に優れた高Ni合金クラッド鋼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