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32Y1 - 종이 파레트 - Google Patents

종이 파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32Y1
KR200400832Y1 KR20-2005-0024184U KR20050024184U KR200400832Y1 KR 200400832 Y1 KR200400832 Y1 KR 200400832Y1 KR 20050024184 U KR20050024184 U KR 20050024184U KR 200400832 Y1 KR200400832 Y1 KR 2004008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rizontal
vertical
plate
horizont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1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승규
Original Assignee
노승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승규 filed Critical 노승규
Priority to KR20-2005-00241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8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65D19/0006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 B65D19/0008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 B65D19/002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14Materials for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019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49Materials for the base surface
    • B65D2519/00054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65D2519/00557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out separate auxiliary elements
    • B65D2519/0056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out separate auxiliary elements chemical connection, e.g. glued, welded, sea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이 파레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장의 종이(골판지)를 재단하여 세로 지지대와 가로 지지대를 각각 형성하되 다층의 종이판이 상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부재의 결합 강도가 우수한 종이 파레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세로 지지대(3)와, 상기 세로 지지대(3)에 결합하는 가로 지지대(5), 및 상기 세로 지지대(3)와 상기 가로 지지대(5)의 상부에 결합하는 상판(1)을 포함하는 종이 파레트에 있어서, 상기 세로 지지대(3)는, 다수의 세로 지지판(44, 42, 40, 38, 36, 34, 32, 30, 28, 26, 24)을 병풍처럼 접은 결합체의 주위를 제 1 세로 외측판(22)과 바닥판(20) 및 제 2 세로 외측판(18)으로 둘러쌈으로써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가로 지지대(5)가 결합되는 결합홈(10)이 구비되며, 상기 가로 지지대(5)는, 다수의 가로 지지판(72, 70, 68, 66, 64, 62, 60, 58)을 병풍처럼 접은 결합체의 주위를 제 1 가로 외측판(56)과 가로부 바닥판(54) 및 제 2 가로 외측판(52)으로 둘러쌈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파레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종이 파레트{Papter Pallet}
본 고안은 종이 파레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장의 종이(골판지)를 재단하여 세로 지지대와 가로 지지대를 각각 형성하되 다층의 종이판이 상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부재의 결합 강도가 우수한 종이 파레트에 관한 것이다.
파레트(Pallet)는 창고나 공장 등에서 화물을 운반 저장하기 위한 받침대를 말한다. 이러한 파레트는 통상적으로 판상의 지지판에 복수의 다리를 부착하여 이 지지판 위에 각종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지게차의 포크(Fork)를 파레트 하단에 끼워 운반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운반 또는 하역 비용과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과거의 파레트는 목재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는데 최근에는 종이 또는 골판지를 사용하여 제작된 종이 파레트가 산업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플라스틱 파레트의 경우에는 재료비 부담이 과중하여 생산 단가 측면에서 여러 문제점이 수반되며, 최근에는 환경 문제를 이유로 많은 국가에서 자국내로 반입되는 것을 금지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목재 파레트의 경우에는 대부분 수공에 의해 제작되므로 생산성이 열악한 단점이 있고, 부식 문제, 사용 후 폐기 처리 문제, 병충해로 인한 방역 처리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종이 파레트는 경량이면서도 사용에 편리할 뿐만 아니라 목재나 플라스틱 파레트에 비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후 100%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점도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종이 파레트의 가장 큰 문제점은 내구성과 강성이라고 할 수 있다. 종래의 종이 파레트의 경우에는 종이의 특성상 큰 하중을 견디기 어려우며, 종이를 서로 접착시킨 면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종이 파레트에 프라스틱이나 합판 등의 재료를 부가하여 내구성과 강성을 증가시키기도 하나, 이러한 경우에는 추후 재활용시 프라스틱이나 합판 등을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합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역시 병해충의 문제점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한 장의 종이(골판지)를 재단하여 세로 지지대와 가로 지지대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그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다층의 종이판이 상판을 지지하도록 됨에 따라 강성이 우수하며, 각각의 부재를 결합시키는 보조 결합 부재가 존재함에 따라 결합 강도가 우수한 종이 팔레트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세로 지지대(3)와, 상기 세로 지지대(3)에 결합하는 가로 지지대(5), 및 상기 세로 지지대(3)와 상기 가로 지지대(5)의 상부에 결합하는 상판(1)을 포함하는 종이 파레트에 있어서, 상기 세로 지지대(3)는, 다수의 세로 지지판(44, 42, 40, 38, 36, 34, 32, 30, 28, 26, 24)을 병풍처럼 접은 결합체의 주위를 제 1 세로 외측판(22)과 바닥판(20) 및 제 2 세로 외측판(18)으로 둘러쌈으로써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가로 지지대(5)가 결합되는 결합홈(10)이 구비되며, 상기 가로 지지대(5)는, 다수의 가로 지지판(72, 70, 68, 66, 64, 62, 60, 58)을 병풍처럼 접은 결합체의 주위를 제 1 가로 외측판(56)과 가로부 바닥판(54) 및 제 2 가로 외측판(52)으로 둘러쌈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파레트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파레트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파레트는 상판(1)과 세로 지지대(3)와 세로 지지대(3)에 형성된 홈에 결합하는 가로 지지대(5)를 포함한다.
상판(1)은 세로 지지대(3)와 가로 지지대(5)의 상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골판지와 같은 종이로 이루어지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종이를 교차 결합시켜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판(1)은 상부판(1a), 중간판(1b) 및 하부판(1c)을 상호 교차시켜 접착시킴으로써 형성되므로 상부에 물건이 적치되는 경우에도 강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다만, 도 1에 있어서는 상판(1)을 구성함에 있어서 3 장의 종이판을 접착시켜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상판(1)을 형성하는 종이판의 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 장보다 작거나 그보다 많은 수로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세로 지지대(3)와 가로 지지대(5)는 한 장의 골판지를 수회 접어서 형성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강도 면에서도 더욱 증대된 성능을 나타낸다. 특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파레트의 세로 지지대(3)와 가로 지지대(5)는 타 부재와 접착할 수 있는 접착면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종이 파레트의 결합 강도를 더욱 향상시킨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파레트에 있어서 세로 지지대(3)와 가로 지지대(5)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파레트에 있어서 세로 지지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파레트에 있어서 세로 지지대의 전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파레트에 있어서 세로 지지대의 접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세로 지지대(3)는 한 장의 골판지를 접고 접착시킴으로써 형성되는데, 세로 지지대(3)에는 가로 지지대(5)가 결합되는 결합홈(10)이 구비된다. 결합홈(10)은 세로 지지대(3)에 결합되는 가로 지지대(5)의 갯수에 따라 형성되는데 도 3에는 제 1 결합홈(10a), 제 2 결합홈(10b), 제 3 결합홈(10c) 및 제 4 결합홈(10d)의 4 개의 결합홈을 도시하였다. 각각의 결합홈(10)에는 세로 지지대(5)가 결합되는 경우 세로 지지대(5)에 접착되도록 돌출시킨 세로측 보조 접착부(12a, 12b, 12c, 12d)가 구비된다.
또한 세로 지지대(3)에는 세로 지지대(3)를 형성하는 각각의 지지판이 연결되도록 함에 따라 형성된 오목부(14)가 구비된다. 이러한 오목부(1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로 지지대(3)를 형성하는 각각의 지지판의 일부를 절개하고 일부는 절개하지 않음에 따라 절개된 부분은 접을 경우 위로 돌출되고 절개되지 않은 부분은 서로 연결되어 오목하게 접혀짐에 따라 형성되는 것이다. 이 오목부(14)는 "ㄷ"자 형으로 형성된 세로부 밴딩(16)을 결합시킴으로써 세로 지지대(3)의 각각의 지지판의 결합을 더욱 강화시킨다.
한편, 세로 지지대(3)의 일단에는 세로측 상판 보조 접착부(15a, 15b, 15c)가 돌출 구비되는데, 세로측 상판 보조 접착부(15a, 15b, 15c)는 세로 지지대(3)의 상부에 상판(1)이 접착되는 경우 상판(1)에 추가로 접착됨으로써 상판(1)과 세로 지지대(3)의 결합을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세로 지지대(3)의 구성은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장의 골판지를 절단하고 접음으로써 세로 지지대(3)를 구성할 수 있는데, 골판지를 절단하는 부위는 실선으로 접는 부위는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사각형 형상으로 절취한 부분은 결합홈(10a, 10b, 10c, 10d)를 형성하게 되고, 사각형으로 완전히 절취하지 않은 부분은 세로측 보조 접착부(12a, 12b, 12c)를 형성한다. 한편, 세로측 상판 보조 접착부(15a, 15b, 15c)가 추가로 구비된다.
도 3과 같이 골판지를 재단한 후 좌측에서부터 차례로 접게 되는데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각의 세로 지지판(44, 42, 40, 38, 36, 34, 32, 30, 28, 26, 24)을 병풍처럼 차례대로 접는다. 이 때, 각각의 세로 지지판(44, 42, 40, 38, 36, 34, 32, 30, 28, 26, 24)을 접음에 있어서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완벽하게 상호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후, 제 1 세로 외측판(22)과 바닥판(20) 및 제 2 세로 외측판(18)을 상기 세로 지지판(44, 42, 40, 38, 36, 34, 32, 30, 28, 26, 24)을 접어 결합시킨 결합체의 바깥면을 둘러싸며 결합시킴으로써 세로 지지대(3)를 완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세로 지지대(3)는 하나의 골판지를 재단하여 다수의 세로 지지판을 결합시키는 형식으로 이루어지므로 강도가 우수하게 된다. 또한, 가로 지지대(5)가 결합되는 결합홈(10a, 10b, 10c, 10d)가 자동으로 형성되며, 세로 지지대(3)를 가로 지지대(5) 및 상판(1)에 각각 보다 확실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세로측 보조 접착부(12a, 12b, 12c, 12d) 및 세로측 상판 보조 접착부(15a, 15b, 15c)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파레트의 가로 지지대(5)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파레트에 있어서 가로 지지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파레트에 있어서 가로 지지대의 전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파레트에 있어서 가로 지지대의 접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가로 지지대(5)는 세로 지지대(3)에 형성된 결합홈(10)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가로 지지대(5)의 높이는 결합홈(10)의 깊이와 같도록 하여 가로 지지대(5)와 세로 지지대(3)가 상판(1)을 동시에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로 지지대(5)의 구성 방식은 세로 지지대(3)와 유사하나, 가로 지지대(5)는 결합홈이 구비되지 않는다. 가로 지지대(5)는 세로 지지대(3)와 마찬가지로 한 장의 골판지를 재단하여 다수의 가로 지지판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가로 지지대(5)를 형성하는 각각의 가로 지지판이 연결되도록 함에 따라 형성된 오목부(48)가 구비된다. 이 오목부(48)에는 "ㄷ"자 형의 가로부 밴딩(50)을 결합시킴으로써 가로 지지대(5)의 결합을 강화시킨다.
가로 지지대(5)의 하부에는 가로측 보조 접착부(46a, 46b, 46c, 46d, 46e, 46f)가 구비되는데, 가로측 보조 접착부(46a, 46b, 46c, 46d, 46e, 46f)는 가로 지지대(5)가 세로 지지대(3)의 결합홈(10)에 결합되는 경우 세로 지지대(5)에 접착하도록 하여 가로 지지대(5)가 세로 지지대(3)에 보다 확실히 결합하도록 한다.
한편, 가로 지지대(5)에는, 세로 지지대(3)의 세로측 상판 보조 접착부(15a, 15b, 15c)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가로측 상판 보조 접착부(47a, 47b, 47c)가 구비된다.
이러한 가로 지지대(5)의 구성 방식은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한 장의 골판지를 절단하고 접음으로써 가로 지지대(5)를 구성하게 되는데, 골판지를 절단하는 부위는 실선으로 접는 부위는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각각의 가로 지지판 중 접을 때 가로 지지대(5)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부위에 있어서, 절단되지 않은 부분들은 오목하게 들어가 오목부(48)를 형성하게 됨은 세로 지지대(3)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도 6과 같이 골판지를 재단한 후 좌측으로부터 차례로 접게 되는데,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각의 가로 지지판(72, 70, 68, 66, 64, 62, 60, 58)을 병풍처럼 차례대로 접는다. 이 때, 각각의 가로 지지판(72, 70, 68, 66, 64, 62, 60, 58)을 접음에 있어서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완벽하게 상호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후, 제 1 가로 외측판(56)과 가로부 바닥판(54) 및 제 2 세로 외측판(52)을 상기 가로 지지판(72, 70, 68, 66, 64, 62, 60, 58)을 접어 결합시킨 결합체의 바깥면을 둘러싸며 결합시킴으로써 가로 지지대(5)를 완성한다.
가로부 바닥판(54)에는 가로측 보조 접착부(46a, 46b, 46c, 46d, 46e, 46f)가 형성되며, 제 2 세로 외측판(52)의 일단에는 가로측 상판 보조 접착부(47a, 47b, 47c)가 연장 형성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파레트에 있어서 세로 지지대와 가로 지지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세로 지지대(3)의 결합홈(10)에 가로 지지대(5)가 삽입되며 세로 지지대(3)의 세로측 보조 접착부(12a, 12b, 12c, 12d)는 가로 지지대(5)에 접착하고, 가로 지지대(5)의 가로측 보조 접착부(46a, 46b, 46c, 46d, 46e, 46f)는 세로 지지대(3)에 접착된다.
한편,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파레트에 있어서 세로 지지대 또는 가로 지지대와 상판이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세로 지지대(3)의 세로측 상판 보조 접착부(15a, 15b, 15c)나, 가로 지지대(5)의 가로측 상판 보조 접착부(47a, 47b, 47c)는 상판(1)에 접착함으로써 상호 결합을 더욱 강하게 한다. 또한 부가적으로 "L" 자 형상의 보조 접착 부재(74)를 세로 지지대(3)와 상판(1), 그리고 가로 지지대(5)와 상판(1)의 결합에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한 장의 종이(골판지)를 재단하여 세로 지지대와 가로 지지대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그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다층의 종이판이 상판을 지지하도록 됨에 따라 강성이 우수하며, 각각의 부재를 결합시키는 보조 결합 부재가 존재함에 따라 결합 강도가 우수한 종이 팔레트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파레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파레트에 있어서 세로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파레트에 있어서 세로 지지대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파레트에 있어서 세로 지지대의 접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파레트에 있어서 가로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파레트에 있어서 가로 지지대의 전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파레트에 있어서 가로 지지대의 접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파레트에 있어서 세로 지지대와 가로 지지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파레트에 있어서 세로 지지대 또는 가로 지지대와 상판이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상판 3 : 세로 지지대
5 : 가로 지지대 10 : 결합홈
12a, 12b, 12c, 12d : 세로측 보조 접착부
15a, 15b, 15c : 세로측 상판 보조 접착부
46a, 46b, 46c, 46d, 46e, 46f : 가로측 보조 접착부
47a, 47b, 47c : 가로측 상판 보조 접착부

Claims (5)

  1. 세로 지지대(3)와, 상기 세로 지지대(3)에 결합하는 가로 지지대(5), 및 상기 세로 지지대(3)와 상기 가로 지지대(5)의 상부에 결합하는 상판(1)을 포함하는 종이 파레트에 있어서,
    상기 세로 지지대(3)는, 다수의 세로 지지판(44, 42, 40, 38, 36, 34, 32, 30, 28, 26, 24)을 병풍처럼 접은 결합체의 주위를 제 1 세로 외측판(22)과 바닥판(20) 및 제 2 세로 외측판(18)으로 둘러쌈으로써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가로 지지대(5)가 결합되는 결합홈(10)이 구비되며,
    상기 가로 지지대(5)는, 다수의 가로 지지판(72, 70, 68, 66, 64, 62, 60, 58)을 병풍처럼 접은 결합체의 주위를 제 1 가로 외측판(56)과 가로부 바닥판(54) 및 제 2 가로 외측판(52)으로 둘러쌈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파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지지대(3)를 이루는 다수의 세로 지지판(44, 42, 40, 38, 36, 34, 32, 30, 28, 26, 24)에 대하여, 상기 세로 지지대(3)의 상부면을 이루는 부분은 일정 부분을 제외하고 절단함으로써 절단되지 않는 상기 일정 부분은 오목부(14)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14)에는 세로부 밴딩(16)이 구비되며,
    상기 가로 지지대(5)를 이루는 다수의 가로 지지판(72, 70, 68, 66, 64, 62, 60, 58)에 대하여, 상기 가로 지지대(5)의 상부면을 이루는 부분은 일정 부분을 제외하고 절단함으로써 절단되지 않는 상기 일정 부분은 오목부(48)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48)에는 가로부 밴딩(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종이 파레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지지대(3)의 상기 제 1 세로 외측판(22)과 상기 제 2 세로 외측판(18)의 일부를 절단하여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결합홈(10)에 세로측 보조 접착부(12a, 12b, 12c, 12d)를 구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종이 파레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지지대(5)의 상기 가로부 바닥판(54)의 일부를 절단하여 돌출시킴으로써 가로측 보조 접착부(46a, 46b, 46c, 46d, 46e, 46f)를 구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종이 파레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지지대(3)의 상기 제 2 세로 외측판(18)에는 상기 상판(1)과 접착되는 세로측 상판 보조 접착부(15a, 15b, 15c)가 구비되고, 상기 가로 지지대(5)의 상기 제 2 가로 외측판(52)에는 상기 상판(1)과 접착되는 가로측 상판 보조 접착부(47a, 47b, 47c)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종이 파레트.
KR20-2005-0024184U 2005-08-22 2005-08-22 종이 파레트 KR2004008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184U KR200400832Y1 (ko) 2005-08-22 2005-08-22 종이 파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184U KR200400832Y1 (ko) 2005-08-22 2005-08-22 종이 파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2Y1 true KR200400832Y1 (ko) 2005-11-09

Family

ID=43701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184U KR200400832Y1 (ko) 2005-08-22 2005-08-22 종이 파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3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4448B1 (ko) 골판지제 포장박스
US5941177A (en) Recyclable, heavy duty, lightweight, moisture resistant corrugated fiberboard pallet
WO1994000354A1 (en) Integrated paper cargo pallet
US4015544A (en) Disposable pallet
KR200400832Y1 (ko) 종이 파레트
KR200341593Y1 (ko) 골판지 팔레트
JP2007112445A (ja) 折り畳み可能なコンテナ
KR200415948Y1 (ko) 종이파렛트용 받침구
JP4318351B2 (ja) 搬送用パレット
JP3191352U (ja) 輸送用梱包容器
KR200356119Y1 (ko) 종이 팔레트
JP4509289B2 (ja) ダンボール製パレット及び該パレットの製造方法
JP4002570B2 (ja) 紙製パレット
KR200291982Y1 (ko) 지게차용 종이 파레트
JP3118919U (ja) 段ボール製パレットおよび段ボール製桁体
KR20160149443A (ko) 종이 팔레트
JP2005067669A (ja) パレット
KR200367558Y1 (ko) 종이를 이용한 팔레트
JP2003200928A (ja) 折りたたみ式パレット
JP3147009U (ja) パレット
KR101018252B1 (ko) 종이팔레트
KR200284680Y1 (ko) 종이재 팔레트
JP2000302129A (ja) ダンボールパレ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076784A (ja) 組立式パレット
JPS5846015Y2 (ja) 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