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2979A -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 - Google Patents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2979A
KR20040082979A KR1020040018627A KR20040018627A KR20040082979A KR 20040082979 A KR20040082979 A KR 20040082979A KR 1020040018627 A KR1020040018627 A KR 1020040018627A KR 20040018627 A KR20040018627 A KR 20040018627A KR 20040082979 A KR20040082979 A KR 20040082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fitting member
fastener tape
open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4597B1 (ko
Inventor
미즈하라히사요시
구마노이사무
사나다유끼오
세가와기요마사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2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5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38Means at the end of stringer by which the slider can be freed from one stringer, e.g. stringers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11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with distinct, stationary means for anchoring slider

Landscapes

  • Slide Fastener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개폐 조작시에 보강부에 가해지는 외력을 분산하여 부하의 경감을 도모하고, 유연성이 있는 보강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에 관한 것이다. 합성 수지를 이용하여 개방 분리 끼움 부재(5)의 상자 막대(8), 나비 막대(9)의 하부 절반부에 패스너 테이프(3) 상으로 돌출되는 보강부(10)를 표리 대칭으로 일체 성형한다. 이 보강부(10)는 상자 막대(8), 나비 막대(9)에 인접하는 내측부(11)와, 이에 연접하는 외측 부분(12)으로 구성되어 내측 부분(11)은 복수의 리브(13a)가 비스듬히 교대로 배치되고, 리브(13a) 사이에 오목 통로부를 형성하여 유연성을 부여하고, 내측 부분(11)에 연접하여 두꺼운 리브(13b)로 이루어지는 외측 부분(12)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얇은 내측 부분(11)의 비스듬히 교대로 된 형 리브(13a)에 의해 보강부에 가해지는 외력을 분산하여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 {SLIDE FASTENER WITH SEPARABLE BOTTOM END STOP}
본 발명은, 슬라이드 패스너에 설치한 개방 분리 끼움 부재에 있어서의 패스너 테이프의 단부에 부착한 상자 막대, 나비 막대 또는 상자 부재에 연속 설치한 패스너 테이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의 형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슬라이드 패스너 분야에 있어서는 구조를 간략화하고, 저가격이고 품질이 좋은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시장으로부터 요구되고 있다. 이 경향은 주로 의복의 앞길의 개폐 부분에 이용되어 패스너 테이프의 단부를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한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에 있어서 현저하다.
그런데, 종래,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는 통상의 제품이 한 쌍의 패스너 테이프의 대향측모서리에 따라서 패스너 엘리먼트를 부착하고, 패스너 엘리먼트의 하단부에 연속하여 상자 막대, 상자 부재, 나비 막대로 구성된개방 분리 끼움 부재를 부착하고 있다. 그리고 개방 분리 끼움 부재를 부착하는 부분의 패스너 테이프에는 평직 섬유(타프타) 혹은 합성 수지 필름의 이면에 접착층을 설치한 보강 테이프를 접착하여 같은 부분의 형태를 안정화하기 위해 보강한 후에 개방 분리 끼움 부재를 부착하고 있다.
이 보강 테이프를 접착한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는 패스너 테이프를 보강하기 위해 보강 테이프를 필요로 하고, 슬라이드 패스너의 부품 개수가 많아져 상품 비용을 증가시키고 있다. 또한 슬라이드 패스너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반드시 보강 테이프 등을 점착하는 공정 및 점착 가공기가 필요해 제조 과정에 있어서 간략화를 도모할 수 없으므로, 상품의 비용 상승으로 연결된다.
한편, 예를 들어 실용신안 공고 소41-17374호 공보에는 패스너 테이프의 단부에 보강 테이프를 접착하는 일 없이 직접 상자 막대, 나비 막대 및 메쉬형의 보강 부재를 합성 수지를 이용하여 패스너 테이프의 표리에서 위치를 반피치 어긋난 형으로 사출 성형으로 성형한 슬라이드 패스너의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패스너의 개방 분리 끼움 부재는 보강 부재의 외주연이 끝이 뾰족한 형의 모서리부를 가지므로, 보강 부재가 다른 것과 결려 박리되기 쉽다. 또한 보강 부재는 패스너 테이프의 외측모서리를 향해 폭넓고 크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같은 부분의 패스너 테이프가 강직화되어 슬라이드 패스너를 피착물에 부착하는 봉제시에 보강 부재와 재봉 바늘이 접촉하여 재봉 바늘이 꺾이는 빈도가 높다. 또한, 개방 분리 끼움 부재를 연결 또는 분리하는 조작을 행할 때, 보강 부재에 비틀림이나 절곡 등의 외력이 반복해서 가해져 보강 부재가 파단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3435489호 명세서에는 패스너 테이프의 단부에 개방 분리 끼움 부재와 수평적인 격자 형상을 일체로 설치하고, 이 격자 형상으로 연접하여 비스듬히 교대로 된 형의 격자 형상을 일체로 성형한 보강부를 패스너 테이프의 표면에 형성한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는 상자 막대, 상자 부재, 나비 막대와 연결하는 보강 부재의 내측 부분이 패스너 테이프의 폭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리브와 패스너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리브로 격자 형상을 이루고, 리브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가 늘어서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같은 부분은 패스너 테이프에 절곡이나 비틀림 등의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에 가장 부담이 가해지는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외력에 대해 내구성이 낮아 파손되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보강 부재는 상기 연결 부분으로부터 패스너 테이프의 외측 모서리에 이르는 부분, 즉 패스너 테이프가 의복의 옷감에 봉제되는 부분에 패스너 테이프의 폭 방향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가 교차하는 격자 형상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재봉실이 지나가는 봉제 라인과 교차하는 리브가 많아 제봉시에 바늘과 리브가 접촉하는 빈도가 증대되어 리브가 파단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발명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에 있어서의 패스너 스트링거에 표리 방향으로 절곡되고자 하는 외력이 작용한 경우, 가장 부하가 가해지는 개방 분리 끼움 부재와 보강부의 연결 부분, 즉 보강부에 있어서의 내측 부분은 복수의 리브가 비스듬히 교대로 배치된 형상이므로, 외력이 분산되기 쉽고, 부하가 경감되어 파손되기 어렵고, 또한 보강부가 다른 것에 걸려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목적에다가 보강부가 패스너 테이프를 양면으로부터 일체 성형에 의해 협착하여 안정된 형태의 보강부 또한 유연성이 있는 보강부의 내측 부분을 구비한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주된 목적에다가 보강부에 있어서의 내측 부분에 가해지는 외력을 잘 분산시켜 내측 부분의 보강부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를 제공하는 것을 제3 목적으로 한다.
또는, 마찬가지로 상기 주된 목적에다가 보강부의 내측 부분에 있어서의 리브의 보강 구조 혹은 리브의 가변 구조를 간단히 구비할 수 있는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를 제공하는 것을 제4 목적으로 하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패스너 테이프의 단부에 염전력이 가해졌을 때, 보강부의 내측 부분에 오목 절결하는 부분을 배치함으로써, 외력의 일부를 흡수하여 부하의 경감을 할 수 있는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보강부의 외측 부분은 패스너 테이프를 의복 등으로 봉착할 때, 재봉 바늘과의 접촉하는 빈도를 적게 하여 리브의 파손을 방지하여 봉착할 수 있는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를 제공하는 것을 제5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패스너 스트링거를 히트 컷트해도 단부에 경직화, 특히 코어부에 덩어리가 생기지 않아 촉감이 좋고, 또한 패스너 테이프의 단부에 염전력이 가해져도 보강부의 리브가 테이프로부터 박리되지 않는 품질이 좋은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를 제공하는 것이 제6 목적이다. 또한, 보강부의 외측 부분을 패스너 테이프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보강부의 박리를 미연에 방지하여 장기간의 사용에 견딜 수 있는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를 제공한다. 또한, 보강부의 내측 부분이 가장 적합하고 또한 유효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제7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슬라이드 패스너에 있어서의 한 쌍의 패스너 테이프가 대향하는 측모서리에 패스너 엘리먼트를 부착하고, 이 패스너 엘리먼트에 연접하여 패스너 테이프의 측모서리에 일체 성형으로 부착한 합성 수지제의 개방 분리 끼움 부재, 예를 들어 상자 부재, 상자 막대, 나비 막대와, 이 개방 분리 끼움 부재와 일체로 성형하여 패스너 테이프 중 적어도 일면으로 돌출되어 패스너 테이프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설치하고, 이 보강부는 개방 분리 끼움 부재에 연접하는 내측 부분에 평면적으로 보아 비스듬히 교대로 된 형을 이루는 형으로 배치한 복수의 리브로 형성한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를 주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다가 패스너 테이프에 형성하는 보강부는 리브를 패스너 테이프의 양면에 대칭적으로 배치하고, 개방 분리 끼움 부재에 연접하는 내측 부분을외측 부분보다도 두께가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보강부의 내측 부분에 형성하는 리브에 있어서의 교차 부분은 평면으로부터 보아 호형을 이루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강부의 내측 부분에 형성하는 리브 사이에 오목 통로부, 예를 들어 투과 구멍 형상, 혹은 얇은 바닥 부분이 있는 오목부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부의 내측 부분에 형성한 리브의 하단부 모서리에 상방을 향해 오목형으로 오목해지는 오목 절결부를 형성하면 된다.
상기 패스너 테이프(3)에 형성하는 보강부는 개방 분리 끼움 부재와 연접하여 형성하는 내측 부분과, 이 내측 부분에 연접하여 형성되고, 또한 패스너 테이프의 외측모서리를 향해 연장되는 외측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외측 부분은 일정한 간격으로 횡방향 또는 종방향에 병렬하는 복수의 리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스너 스트링거에 부착한 상자 막대 또는 나비 막대의 선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코어부 및 패스너 테이프를 히트 컷트하고, 이 때에 보강부의 내측 부분과 외측 부분의 각 하단부 모서리가 히트 컷트한 컷트 라인보다도 시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스너 테이프(3)의 일측모서리부는 보강부의 상자 부재와 반대측의 외측단부와 대면하는 패스너 테이프의 부위를 성긴 조직으로 직제 또는 편제하여 보강부의 외측단부가 테이프의 성긴 조직 내로 침투하여 고정시키면 된다.
상기 보강부의 내측 부분의 범위는 패스너 엘리먼트의 내측단부면으로부터 패스너 테이프의 내측을 항한 폭(W)을 4.0 ㎜ 이내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은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의 주요부의 정면도.
도2는 상자 막대를 장착한 패스너 스트링거의 주요부의 정면도.
도3은 패스너 스트링거의 바닥면도.
도4는 나비 막대를 장착한 패스너 스트링거의 주요부의 정면도.
도5는 상기 패스너 스트링거의 바닥면도.
도6은 도2에 있어서의 Ⅵ-Ⅵ 단면도.
도7은 도2에 있어서의 Ⅶ-Ⅶ 단면도.
도8은 상자 부재의 단면도.
도9는 도8에 있어서의 Ⅸ-Ⅸ 단면도.
도10은 상자 부재와 상자 막대를 연결한 상태를 일부 절결한 정면도.
도11은 상자 부재를 장착한 패스너 스트링거에 나비 막대를 장착한 패스너 스트링거를 끼움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한 정면도.
도12는 상자 부재를 장착한 패스너 스트링거에 나비 막대를 장착한 패스너 스트링거를 끼움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절결한 정면도.
도13은 보강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14는 보강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15는 보강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16은 나비 막대 및 보강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17은 상자 부재와 상자 막대가 일체화한 끼움 삽입구를 일부 절결한 정면도.
도18은 패스너 스트링거에 보강부를 장착하는 실시예의 정면도.
도19는 도18에 있어서의 ⅩⅨ-ⅩⅨ 단면도.
도20은 패스너 스트링거에 보강부를 장착하는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21은 도18에 도시하는 ⅩⅨ-ⅩⅨ선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22는 다른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의 주요부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패스너 스트링거
3 : 패스너 테이프
4 : 패스너 엘리먼트
5 : 개방 분리 끼움 부재
6 : 코어부
7 : 상자 부재
8 : 상자 막대
9 : 나비 막대
10 : 보강부
11 : 내측 부분
12 : 외측 부분
13a : 리브
14 : 오목 통로부
16 : 프레임 부재
17 : 오목부
이하, 본 발명의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스너 체인(1)은 하부 정지를 이용한 정지 제품이 아닌 개방 제품, 즉 좌우 패스너 스트링거(2)를 완전히 분리할 수 있는 개방 분리 끼움 부재(5)를 구비한 슬라이드 패스너이고, 패스너 테이프(3)의 측모서리에 설치한 코어부(6)에 패스너 엘리먼트(4)를 장착한다. 한 쪽 패스너 스트링거(2)의 패스너 엘리먼트(4)의 하단부에 연속하는 형으로 개방 분리 끼움 부재(5)로서의 상자 막대(8)를 부착하고, 다른 쪽 패스너 스트링거(2)의 패스너 엘리먼트(4)의 하단부에 연속하는 형으로 개방 분리 끼움 부재(5)로서의 나비 막대(9)를 각각 코어부(6)에 부착한다. 그리고 상자 막대(8)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 부재(7)를 부착한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패스너 스트링거(2)를 제작하고, 나비 막대(9)를 부착한 패스너 스트링거(2)와 조합하여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를 완성시킨다.
도2 내지 도12에 나타내는 제1 실시예의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는, 패스너 체인(1)의 한 쪽 패스너 스트링거(2)에 부착하는 상자 막대(8)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스너 테이프(3)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평탄형의 보강부(10)를 상자 막대(8)의 일측면에 일체로 설치하고, 다른 쪽 패스너 스트링거(2)에 부착하는 나비 막대(9)에는, 마찬가지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스너 테이프(3)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평탄형의 보강부(10)를 나비 막대(9)의 측면에일체로 설치한다. 그리고 패스너 체인(1)에 있어서의 패스너 엘리먼트(4), 상자 막대(8), 나비 막대(9), 상자 부재(7) 및 보강부(10)를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 수단에 의해 각각 패스너 테이프(3)에 일체 성형한다.
상자 막대(8), 나비 막대(9)는, 도2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 막대(8), 나비 막대(9)의 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표면이 평탄형으로 돌출되는 보강부(10)를 설치한다. 도2,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 막대(8)의 보강부(10)는 상자 막대(8)의 하부 절반부에 있어서의 측면, 즉 패스너 테이프(3) 상을 외방으로 돌출시키는 형으로 내측 부분(11) 및 외측 부분(12)을 마련한다. 상자 막대(8)에 인접하는 내측 부분(11)에는 복수의 리브(13a)가 상자 막대(8)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평면적으로 보아 복수의 리브(13a)가 비스듬히 교대로 배치되고, 이 비스듬히 교대로 된 형의 리브(13a) 사이에 오목 통로부(14)를 형성한다. 오목 통로부(14)는 평면적으로는 사각형 또는 마름모형 혹은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각종 형상을 이루고, 또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형의 투과 구멍 형상, 또는 얇은 바닥 부분이 있는 오목부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보강부(10)의 내측 부분(11)을 리브(13a)와 오목 통로부(14)에 의해 유연성을 갖게 하고, 또한 리브(13a)의 교차 부분을 평면적으로 보아 원호 등의 호형을 이루는 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보강부(10)에 가해지는 외력을 분산시킨다.
보강부(10)에 있어서의 내측 부분(11)의 크기 규모는 패스너 엘리먼트(4)의 내측단부면을 기점으로 하여 패스너 테이프(3)의 내방을 향한 폭(W)이 4.0 ㎜ 이내이다. 적절하게는 통상 자주 이용되는 번호 3 내지 5의 슬라이드 패스너에 있어서의 패스너 테이프(3)의 폭이 13 내지 16 ㎜이고, 이 패스너 테이프(3) 폭의 약 30 % 정도의 범위 내로 성형할 수 있는 크기이다. 단 슬라이드 패스너의 크기, 또한 고객의 요구에 의해 내측 부분(11) 및 외측 부분(12)의 비율을 변경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내측 부분(11)은 슬라이더(35)의 플랜지(36) 사이에 삽입 관통하는 부분에 존재하고, 외측 부분(12)은 패스너 스트링거(2)를 피착물에 봉착시키는 부분에 존재하는 것이 긴요하다. 또한 내측 부분(11)의 보강부(10)에 있어서의 하단부 모서리에 상방을 향해 오목해지는 오목 절결부(15)를 설치하여 패스너 테이프(3)의 단부에 비틀림 등의 염전력이 가해졌을 때, 오목 절결부(15)에 의해 외력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는 형으로 형성한다. 또한 내측 부분(11)의 상단부 모서리에도 오목 절결부(15)를 설치할 수 있다.
보강부(10)의 외측 부분(12)은, 내측 부분(11)에 연접하는 형으로 성형하고, 외측 부분(12)은 내측 부분(11)의 리브(13a)보다도 두꺼운 리브(13b, 13c)로 형성하고, 리브(13b)는 패스너 테이프(3)의 외측을 향해 패스너 테이프(3)의 폭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또한 복수의 리브(13b)가 패스너 테이프(3)의 길이 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리브(13b)의 단면 형상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등변 삼각형이고 측면의 경사 각도가 약 60°, 즉 도시한 α각도가 α ≤ 30°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브(13b) 사이의 간격을 넓게 취하고, 또한 리브(13b)의 단면 형상을 전술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패스너 스트링거(2)를 피착물에 봉착할 때, 재봉 바늘과 리브(13b)가 접촉하는 빈도를 적게 하여 리브(13b)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리브(13b)의 선단부를 패스너 테이프(3)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하는 리브(13c)로 연결한다. 이 리브(13c)는 외측 부분(12)의 하단부측에 패스너 테이프(3)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행 부분(13c-1)을 갖고, 외측 부분(12)의 상단부측에 패스너 테이프(3)의 외측모서리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굴곡하는 굴곡 부분(13c-2)을 갖는다. 리브(13c)는 리브(13b)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다. 리브(13c)에 굴곡 부분(13c-2)을 마련함으로써, 프레임 부재(16)의 상단부 구석부에 있어서 리브(13b)와 리브(13c-2)가 둔각의 각도를 갖고 연결하므로, 프레임 부재(16)의 상단부 구석부가 첨예화되지 않고, 보강부(10)가 프레임 부재(16)의 상단부 구석부에 있어서 다른 것과 걸리기 어려워져 보강부(10)가 패스너 테이프(3)로부터 박리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보강부(10)의 외측 부분(12)은 리브(13b)와 리브(13c)에 의해 프레임부(16)를 형성하여 안정된 형태로 형성하고, 패스너 스트링거(2)를 손가락으로 파지하였을 때, 적절한 정도의 강성이 있어, 파지하기 쉽고 개방 분리 끼움 삽입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패스너 테이프(3)의 코어부(6)에 성형한 상자 막대(8)의 형태는 보강부(10)를 형성한 반대면에 오목형의 오목부(17)를 마련하고, 이 오목부(17)에 상자 부재(7)의 전방벽(25)과 후방벽(26) 사이에 가설한 구획판(29)을 끼워 넣어 계지시켜 상자 막대(8)와 상자 부재(7)를 일체 형태로 부착한다.
나비 막대(9)를 부착한 패스너 스트링거(2)의 보강부(10)는, 도4,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 막대(8)를 부착한 패스너 스트링거(2)와 마찬가지로 나비막대(9)의 하부 절반부에 있어서의 측면, 즉 패스너 테이프(3) 상을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내측 부분(11) 및 외측 부분(12)을 마련한다. 나비 막대(9)에 인접하는 내측 부분(11)에는 복수의 리브(13a)가 나비 막대(9)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평면적으로 복수의 리브(13a)가 비스듬히 교대로 배치되고, 이 비스듬히 교대로 된 형의 리브(13a) 사이에 바닥부가 없는 투과 구멍 형상 또는 얇은 바닥부가 있는 오목부 형상의 오목 통로부(14)를 형성하여 내측 부분(11)에 유연성을 갖게 하고, 또한 리브(13)의 교차 부분은 원호 등의 호형을 이루는 형으로 형성하여 보강부(10)에 가해지는 외력을 분산시킨다. 또한 상자 막대(8), 나비 막대(9)의 일부 하부 절반부에 보강부(10)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유연성이 있는 보강부(10)에 형성할 수 있다.
보강부(10)에 있어서의 내측 부분(11)의 크기는 상자 막대(8)를 부착한 패스너 스트링거(2)와 마찬가지로 패스너 테이프(3) 폭의 약 30 % 정도의 범위 내로 성형하여 내측 부분(11)의 보강부(10)에 있어서의 하단부 모서리에 오목 절결부(15)를 마련하고, 패스너 테이프(3)의 단부에 염전력이 가해졌을 때, 오목 절결부(15)에 의해 외력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는 형으로 형성한다. 또한 내측 부분(11)의 상단부 모서리에도 오목 절결부(15)를 마련할 수도 있다.
보강부(10)의 외측 부분(12)은 상자 막대(8)를 부착한 패스너 스트링거(2)와 마찬가지로, 내측 부분(11)에 연접하는 형으로 성형하고, 외측 부분(12)은 내측 부분(11)의 리브(13a)보다도 두꺼운 리브(13b, 13c)로 형성하고, 리브(13a)는 패스너 테이프(3)의 외측을 향해 패스너 테이프(3)의 폭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또한 복수의 리브(13b)가 패스너 테이프(3)의 길이 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각 리브(13b)의 선단부를 패스너 테이프(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13c)로 연결하여 프레임 부재(16)를 형성한다. 리브(13c)는 외측 부분(12)의 하단부측에 패스너 테이프(3)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병행 부분(13c-1)을 갖고, 외측 부분(12)의 상단부측에 패스너 테이프(3)의 외측모서리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굴곡하는 굴곡 부분(13c-2)을 갖는다. 리브(13c)에 굴곡 부분(13c-2)을 마련함으로써, 프레임 부재(16)의 상단부 구석부에 있어서 리브(13b)와 리브(13c-2)가 둔각의 각도를 갖고 연결되므로, 프레임 부재(16)의 상단부 구석부가 첨예화되지 않아 보강부(10)가 프레임 부재(16)의 상단부 구석부에 있어서 다른 것과 걸리기 어려워지고, 보강부(10)가 패스너 테이프(3)로부터 박리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리브(13b, 13c)는 단면 형상이 이등변 삼각형이고 측면의 경사 각도를 약 60°로 경사지는 형으로 형성하고, 패스너 스트링거(2)의 봉착시에 재봉 바늘과의 접촉을 가능한 한 피하여 리브(13)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자 막대(8) 및 나비 막대(9)를 부착한 패스너 스트링거(2)에 형성하는 내측 부분(11) 및 외측 부분(12)으로 형성되는 보강부(10)는, 도3,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스너 테이프(3)의 표리 양면으로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하고, 패스너 테이프(3)를 표리로부터 보강부(10)에 의해 협지시키는 형으로 형성한다. 보강부(10)는 양면이 아닌 패스너 테이프(3)의 표면 한 쪽에만 성형해도 좋다.
상자 막대(8)를 부착한 패스너 스트링거(2)에 부착하는 상자 부재(7)는,도8,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가 직육면체이고 전방벽(25)과 후방벽(26) 사이의 중앙 상부에 가는 폭형의 구획판(29)을 가설하고, 구획판(29)의 하단부에 계지부(32)를 설치한다. 상자 부재(7)의 측방에 존재하는 한 쪽 측벽(27)에는 상자 막대(8)를 부착한 패스너 스트링거(2)를 삽입할 수 있는 보강부(10)의 내측 부분(11)의 두께에 상당하는 개구 부분의 삽입구(28)를 설치하고, 또한 삽입구(28)와 구획판(29) 사이에 상자 막대(8)를 삽입할 수 있는 상자 막대 삽입 구멍(30)을 마련한다. 다른 쪽 측벽(27)에는 나비 막대(9)를 부착한 패스너 스트링거(2)를 삽입할 수 있는 보강부(10)의 내측 부분(11)의 두께에 상당하는 개구 부분의 삽입구(28)를 바닥 부분까지 설치하고, 또한 삽입구(28)와 구획판(29) 사이에 나비 막대(9)를 삽입할 수 있는 나비 막대 삽입 구멍(31)을 마련하여 상자 부재(7)를 완성시킨다.
완성된 상자 부재(7)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 막대(8)를 부착한 패스너 스트링거(2)의 상자 막대(8)를 상자 부재(7)의 상자 막대 삽입 구멍(30)에 삽입하는 동시에, 측벽(27)의 삽입구(28)에 보강부(10)의 내측 부분(11)을 삽입하고, 상자 부재(7)에 설치한 구획판(29)을 상자 막대(8)의 측면에 마련한 오목부(17)로 압입하면 구획판(29)의 하단부 모서리에 설치한 계지부(32)가 오목부(17)의 일단부에 계지하여 상자 막대(8)와 상자 부재(7)가 일체로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자 부재(7)를 부착한 패스너 스트링거(2)에 대해 나비 막대(9)를 부착한 패스너 스트링거(2)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35)를 상자 부재(7)의 상단면에 접촉하도록 미끄럼 이동시켜 보유 지지한 상태로 하고, 나비 막대(9)를 부착한 패스너 스트링거(2)의 보강부(10)를 파지하여 나비 막대(9)를 슬라이더(35)의 안내 홈(37)으로 삽입하는 동시에, 보강부(10)의 내측 부분(11)을 플랜지(36) 사이에 삽입 관통하여 상자 부재(7)의 나비 막대 삽입 구멍(31)으로 나비 막대(9)를 삽입한 후, 보강부(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슬라이더(35)를 인상하여 미끄럼 이동시키면,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패스너 스트링거(2)의 패스너 엘리먼트(4)가 맞물린 상태의 패스너 체인(1)에 마무리된다.
도13, 도14, 도15에 도시한 개방 분리 끼움 부재(5)는 각각 보강부(10)의 외측 부분(12)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13에 도시하는 보강부(10)는 상자 막대(8), 나비 막대(9)에 대해 내측 부분(11) 및 외측 부분(1, 2)의 설치 범위를 길고 넓게 형성하여 패스너 스트링거(2)를 봉착할 때, 외측 부분(12)을 프레임부(16) 내에서 횡방향으로 병행하는 리브(13b)를 늘림으로써, 테이프단부의 보강 범위가 넓어진다.
도14에 도시하는 보강부(10)는, 상자 막대(8), 나비 막대(9)에 대한 내측 부분(11)의 설치 범위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지만, 외측 부분(12)의 리브(13b)의 배치 형태가 다르다. 즉 외측 부분(12)에는 프레임부(16) 내에 횡방향의 리브(13b)는 없고, 1개의 리브(13c)를 종방향에 배치하여 재봉틀에 의한 봉제 라인으로부터 리브(13c)를 어긋나게 할 수 있고, 리브(13c)의 파손 빈도를 낮추어 패스너 스트링거(2)를 확실하고, 또한 유효하게 봉착할 수 있다. 또한 도15에 도시하는 보강부(10)는 외측 부분(12)의 외측단부에 리브(13c)가 없어 프레임부(16)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보강부(10)의 외측에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도16에 도시하는 나비 막대(9)용 보강부(10)에 대해 설명하면, 나비 막대(9)의 측면에 일체로 성형하는 보강부(10)는 나비 막대(9)의 하단부의 위치보다도 보강부(10)의 하단부의 위치가 패스너 테이프(3)의 하단부로부터 떨어진 내측에 있는 것, 즉 보강부(10)의 하단부에 패스너 테이프(3)가 나비 막대(9)의 하단부보다도 여분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패스너 테이프(3)에 비틀림의 외력이 작용해도, 우선 외력은 여분으로 존재하는 패스너 테이프(3)에 가해져 직접 리브(13a, 13b)에 가해지지 않으므로, 리브(13a, 13b)가 패스너 테이프(3)로부터 박리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는 패스너 스트링거를 소정 길이의 개개의 패스너 스트링거(2)로 절단할 때에 히트 컷트를 행한다. 패스너 스트링거(2)의 하단부는 히트 컷트되어 있으므로, 상기 단부에 있어서의 패스너 테이프(3)를 구성하는 실끼리 용착하여 용착부(19)를 형성한다. 패스너 스트링거(2)의 절단단부에 용착부(19)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단부로부터 실의 흐트러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히트 컷트는 나비 막대(9)의 하단부에 근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패스너 테이프(3)의 폭 방향에 평행한 컷트 라인에 따라서 행하고 있으므로, 패스너 테이프(3)의 코어부(6)가 나비 막대(9)의 하단부로부터 약간밖에 돌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촉감이 좋다. 또한, 상자 막대(8)를 부착한 패스너 스트링거(2)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17에 도시하는 보강부(10)는 상자 막대(8)와 상자 부재(7)를 일체 성형하고 있으므로, 보강부(10)의 내측 부분(11)의 일부가 상자 부재(7)와 일체 성형되어견고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다.
도18, 도19에 도시하는 보강부(10)는 보강부(10)를 견고하게 패스너 테이프(3)에 고정하기 위해, 직물지의 패스너 테이프(3)에 있어서의 외측모서리부의 경사(21)를 일정 구간 뽑아내어 위사(22)만이 존재하는 성긴형의 직물지에 형성하여 성긴 조직(20)을 마련하고, 또한 경편의 패스너 테이프(3)에 있어서는 경편사를 뽑아내어 성긴형의 편물지에 형성하여 성긴 조직(20)을 마련한다. 이 직물지 또는 편물지의 성긴 조직(20)의 부분에 보강부(10)에 있어서의 외측 부분(12)의 상자 부재와 반대측의 외측단부에 있는 프레임부(16)의 리브(13c)를 표리에 일체 성형함으로써, 프레임부(16)를 성형하는 합성 수지 재료의 일부가 성긴 조직 내로 인입하여 보강부(10)를 패스너 테이프(3)에 견고하게 용착 고정한 보강부(10)이다.
도20, 도21에 도시하는 보강부(10)는 전예와 마찬가지로 직물지 또는 편물지의 패스너 테이프(3)의 외측모서리부에 성긴형의 성긴 조직(20)을 마련하고, 패스너 테이프(3)의 코어부(6)측의 표리에 보강부(10)의 내측 부분(11)을 성형하고, 보강부(10)의 외측 부분(12)에 있어서의 외측 프레임부(16)의 리브(13c)를 성긴 조직(20)으로 배치되도록 성형하여 프레임부(16)를 성긴 조직(20)에 용착하고, 보강부(10)를 패스너 테이프(3)에 견고하게 고정한 보강부(10)이다.
도22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양개방용 개방 분리 끼움 부재(5)에 적용한 것으로, 한 쪽 패스너 스트링거(2)의 일단부에 상자 막대(8)를 부착하고, 다른 쪽 패스너 스트링거(2)의 일단부에 나비 막대(9)를 부착하고, 좌우에 패스너 스트링거(2)에는 상자 부재(7)는 없고, 2개의 슬라이더(35)를 상반하는 방향, 역방향으로 삽입관통하여 패스너 체인(1)을 양측으로부터 개폐하고, 또한 좌우로 분리할 수 있는 슬라이드 패스너이다.
이 슬라이드 패스너의 한 쪽 패스너 테이프(3)의 코어부(6) 상에 슬라이더(35)를 2개 삽입 관통할 수 있는 약간 긴 상자 막대(8)를 성형한다. 이 상자 막대(8)의 선단부에는 슬라이더(35)의 플랜지(36)가 접촉하여 슬라이더(35)의 미끄럼 이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18)가 횡방향으로 연장된 형으로 형성되고, 스토퍼(18)의 선단부는 보강부(10)의 외측 부분(12)이 두꺼운 리브(13c)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다. 상자 막대(8)의 상단부에는 측방으로 돌출되는 얇은 돌출 부재(33)를 단차형으로 설치하고, 나비 막대(9)의 상단부에 설치한 단차형의 돌출 부재(33)를 포갤 수 있는 형으로 형성한다.
다른 쪽 패스너 테이프(3)의 코어부(6) 상에 슬라이더(35)를 2개 삽입 관통할 수 있는 약간 긴 나비 막대(9)를 성형한다. 그리고 나비 막대(9)의 상단부에는 상자 막대(8)의 돌출 부재(33)에 치합하여 돌출 부재(33)와 포갤 수 있는 돌출 부재(33)를 설치한다. 또한 보강부(10)의 내측 부분(11)은 슬라이더(35)의 견구측의 넓은 폭형의 블레이드판을 삽입 관통하기 위해, 슬라이더(35)의 블레이드판에 합치하도록 말단부측이 확장되는 형으로 형성한다.
이 개방 분리 끼움 부재(5)의 사용 태양은 상자 막대(8)를 부착한 패스너 스트링거(2)에 2개의 슬라이더(35)를 상반하는 방향을 향해 삽입 관통하여 상자 막대(8)의 스토퍼(18)에 접촉하여 보유 지지하고, 이 상태에서 나비 막대(9)를 부착한 패스너 스트링거(2)의 나비 막대(9)를 삽입 관통한 후, 상위에 있는슬라이더(35)를 상방으로 인상하여 좌우 패스너 스트링거(2)의 패스너 엘리먼트(4)를 맞물려 패스너 체인(1)이 완성된다. 패스너 체인(1)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2개의 슬라이더(35)를 상자 막대(8)의 스토퍼(18)까지 인하한 후, 나비 막대(9)를 부착한 패스너 스트링거(2)를 2개의 슬라이더(35)로부터 풀면 좌우 패스너 스트링거(2)로 분리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 구성에 의해 이하의 다양한 효과를 발휘한다.
한 쌍의 패스너 테이프의 대향측모서리에 패스너 엘리먼트를 부착하여 패스너 엘리먼트(4)의 단부에서 패스너 테이프(3)의 측모서리에 부착한 합성 수지제의 개방 분리 끼움 부재(5)와, 개방 분리 끼움 부재(5)가 일체로 성형하고, 패스너 테이프(3) 중 적어도 일면으로 돌출되는 보강부(10)를 설치하고, 보강부(10)는 개방 분리 끼움 부재(5)와 연결하는 내측 부분(11)에 평면 상 비스듬히 교대로 배치한 복수의 리브(13a)로 형성함으로써, 개방 분리 끼움 부재(5)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에 있어서 패스너 스트링거(2)의 단부에 대해 절곡 또는 염전력이 작용해도 개방 분리 끼움 부재(5)로서의 보강부(10)에 있어서의 내측 부분(11)의 비스듬히 교대로 된 형의 리브(13a)가 외력을 유효하게 분산시키고, 또한 변형이 용이하여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는 동시에, 단부에 설치한 보강부가 다른 것에 걸려 박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효과에다가 보강부(10)는 리브(13a, 13b, 13c)를 패스너테이프(3)의 양면에 대칭으로 배치하고, 내측 부분(11)은 외측 부분(12)보다도 얇게 형성함으로써, 보강부(10)가 패스너 테이프(3)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하는 형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또한 보강부(10)의 내측 부분(11)이 얇아 유연성이 풍부해진다.
또한, 리브(13a)의 교차 부분은 평면 상 호형으로 이루는 형으로 형성한 것에 의해 보강부(10)의 내측 부분(11)에 있어서의 리브(13a)의 교차 부분이 호형이므로, 보강부(10)에 가해지는 외력을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보강부(10)의 내측 부분(11)에 있어서의 리브(13a) 사이에 오목 통로부(14)를 형성한 것에 의해 보강부(10)의 리브(13a)를 변형하고, 또한 리브의 보강을 간단하고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강부(10)의 내측 부분(11)에 있어서의 하단부 모서리에 상단부를 향해 오목해지는 오목 절결부(15)를 형성함으로써, 보강부(10)의 내측 부분(11)에 가해지는 염전력을 잘 흡수하여 부하의 경감을 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10)는 개방 분리 끼움 부재(5)와 연결하는 내측 부분(11)과, 내측 부분(11)과 연결하여 패스너 테이프(3)의 외측 모서리를 향해 연장되는 외측 부분(12)으로 형성하고, 외측 부분(12)은 일정한 간격으로 병렬하는 복수의 리브(13b)로 형성한 것에 의해 보강부(10)의 외측 부분(12)은 봉제시에 재봉 바늘이 리브(13b)에 접촉하는 빈도를 적게 할 수 있고, 따라서 리브(13b)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자 막대(8) 또는 나비 막대(9)의 선단부를 기준으로 코어부(6) 및 패스너테이프(3)를 히트 컷트하여 보강부(10)의 내측 부분(11) 및 외측 부분(12)의 하단부 모서리가 컷트 라인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보강부(10)에 있어서의 패스너 테이프(3)를 히트 컷트해도 코어부(6) 부분이 경직화되어 덩어리가 되지 않아 촉감이 좋고, 또한 보강부(10)의 리브(13a, 13b, 13c)가 패스너 테이프(3)로부터 박리되지 않아 품질이 좋은 개방 분리 끼움 부재(5)에 마무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스너 테이프의 일측모서리부는 보강부(10)의 상자 부재(7)와 반대측의 외측단부와 대면하는 부위를 성긴 조직(20)을 편직제하여 보강부(10)의 단부를 성긴 조직(20) 내로 침투시킴으로써, 보강부(10)의 외측 부분(12)의 일부를 패스너 테이프(3)의 조직 내로 침투 고화할 수 있어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강부(10)의 내측 부분(11)의 범위는 패스너 엘리먼트(4)의 내측단부면으로부터 패스너 테이프(3)의 내측을 향한 폭(W)을 4.0 ㎜ 이내로 형성한 것에 의해 보강부(10)에 있어서의 내측 부분(11)이 좌우 패스너 스트링거(2)의 끼움 삽입 조작을 용이하게 할 있고, 또한 내측 부분(11)이 가장 적합한 형태로 유효하게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한 쌍의 패스너 테이프(3)의 대향측 모서리에 패스너 엘리먼트(4)를 부착하여 상기 패스너 엘리먼트(4)의 단부에서 패스너 테이프(3)의 측모서리에 부착한 합성 수지제의 개방 분리 끼움 부재(5)와, 개방 분리 끼움 부재(5)와 일체로 성형하여 패스너 테이프(3) 중 적어도 일면으로 돌출되는 보강부(10)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에 있어서,
    보강부(10)는 개방 분리 끼움 부재(5)와 연결하는 측의 내측 부분(11)에 평면으로부터 보아 비스듬히 교대로 배치한 복수의 리브(13a)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
  2. 제1항에 있어서, 보강부(10)는 리브(13a, 13b)를 패스너 테이프(3)의 양면에 대칭으로 배치하여 내측 부분(11)은 외측 부분(12)보다도 얇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
  3. 제1항에 있어서, 리브(13a)의 교차 부분은 평면 상 호형을 이루는 형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
  4. 제1항에 있어서, 보강부(10)의 내측 부분(11)에 있어서의 리브(13a) 사이에 오목 통로부(14)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
  5. 제1항에 있어서, 보강부(10)의 내측 부분(11)에 있어서의 하단부 모서리에 상단부를 향해 오목해지는 오목 절결부(15)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
  6. 제1항에 있어서, 보강부(10)는 개방 분리 끼움 부재(5)와 연결하는 내측 부분(11)과, 내측 부분(11)과 연결하여 패스너 테이프(3)의 외측 모서리를 향해 연장되는 외측 부분(12)으로 형성하고, 외측 부분(12)은 일정한 간격으로 병렬하는 복수의 리브(13b)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
  7. 제6항에 있어서, 복수의 리브(13b)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리브(13c)를 갖고, 리브(13c)는 보강부(10)의 하단부측에 패스너 테이프(3)의 외측 모서리부와 평행한 평행 부분(13c-1)을 갖고, 보강부(10)의 상단부측에 패스너 테이프(3)의 외측 모서리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굴곡하는 굴곡 부분(13c-2)을 갖고 이루어지는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
  8. 제1항에 있어서, 보강부(10)의 내측 부분(11) 및 외측 부분(12)의 하단부 모서리가 상자 막대(8) 또는 나비 막대(9)의 하단부보다도 패스너 테이프(3)의 하단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
  9. 제7항에 있어서, 패스너 테이프(3)의 하단부에 근접하여 상자 막대(8) 또는 나비 막대(9)의 하단부를 배치하여 패스너 테이프(3)의 하단부에 패스너 테이프(3)를 구성하는 실끼리 용착한 용착부(19)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
  10. 제1항에 있어서, 패스너 테이프(3)의 일측모서리는 보강부(10)의 상자 부재와 반대측의 외측단부와 대면하는 부위를 성긴 조직(20)으로 편직제하고, 보강부(10)의 단부가 성긴 조직(20) 내로 침투하여 이루어지는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
  11. 제1항에 있어서, 보강부(10)의 내측 부분(11)의 범위는 패스너 엘리먼트(4)의 내측단부면으로부터 패스너 테이프(3)의 내측을 향한 폭(W)이 4.0 ㎜ 이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
KR1020040018627A 2003-03-20 2004-03-19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 KR100554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77523A JP4072953B2 (ja) 2003-03-20 2003-03-20 開離嵌挿具付きスライドファスナー
JPJP-P-2003-00077523 2003-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979A true KR20040082979A (ko) 2004-09-30
KR100554597B1 KR100554597B1 (ko) 2006-03-03

Family

ID=32821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627A KR100554597B1 (ko) 2003-03-20 2004-03-19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40181920A1 (ko)
EP (1) EP1459642A1 (ko)
JP (1) JP4072953B2 (ko)
KR (1) KR100554597B1 (ko)
CN (1) CN1261059C (ko)
BR (1) BRPI0400951A (ko)
HK (1) HK1065927A1 (ko)
MX (1) MXPA04002436A (ko)
TW (1) TWI24490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000B1 (ko) * 2006-03-02 2007-12-14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슬라이드 패스너
US9549593B2 (en) 2011-03-30 2017-01-24 Ykk Corporation Slide fastener with separable bottom end sto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3300A (ja) * 2003-03-20 2004-10-14 Ykk Corp 開離嵌挿具付きスライドファスナー
JP4409406B2 (ja) * 2004-10-13 2010-02-03 株式会社日清製粉グループ本社 食品素材
JP4906303B2 (ja) * 2005-10-04 2012-03-28 Ykk株式会社 防水性スライドファスナー
GB2466250A (en) * 2008-12-16 2010-06-23 Ykk Europ Ltd Slide fastener assembly with reinforced end
WO2010109656A1 (ja) * 2009-03-27 2010-09-30 Ykk株式会社 開離嵌挿具付きスライドファスナー
WO2011161784A1 (ja) * 2010-06-23 2011-12-29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
US10897982B2 (en) * 2015-10-02 2021-01-26 Dutch Clips LLC Hammock
CN110652078B (zh) * 2018-06-29 2022-04-26 Ykk株式会社 拉链链牙带、拉链及其制造方法和制造装置
US10869526B2 (en) 2019-01-04 2020-12-22 Target Brands, Inc. Slide closure with stabilizing fins and associated garment
JP7164655B2 (ja) * 2021-03-30 2022-11-01 Ykk株式会社 ファスナーテープ
US11653725B1 (en) * 2021-11-09 2023-05-23 Kcc Zipper Co., Ltd. Anti-pinch zipp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37234A (ko) * 1954-04-09
US3030684A (en) * 1959-01-06 1962-04-24 Conmar Prod Corp Slide fastener
FR1358511A (fr) * 1963-02-25 1964-04-17 Fermeture Eclair Perfectionnement aux fermetures à glissière à éléments séparables
US3377668A (en) * 1964-12-21 1968-04-16 Talon Inc Separating end connection
US3435489A (en) * 1966-12-06 1969-04-01 Coats & Clark Box and pin separator for fastener stringers
FR2055905A5 (ko) * 1969-08-06 1971-05-14 Fflb
DE2242978A1 (de) * 1972-09-01 1974-03-07 Opti Holding Ag Reissverschluss mit teilbarkeits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anbringung der bauelemente einer teilbarkeitseinrichtung an einem solchen reissverschluss
US4001922A (en) * 1975-11-03 1977-01-11 Textron, Inc. Tape reinforcements for slide fasteners
US4090279A (en) * 1977-01-10 1978-05-23 Textron Inc. Separable slide fastener
US4233099A (en) * 1978-12-20 1980-11-11 Textron Inc. Slide fastener method of manufacture
JPS6175712U (ko) * 1984-10-25 1986-05-22
JPH0216650Y2 (ko) * 1985-06-26 1990-05-09
JPS6368103A (ja) * 1986-09-09 1988-03-28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開離嵌挿具付きスライドフアスナ−
JP3439603B2 (ja) * 1996-06-28 2003-08-25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開離嵌挿具
JP2003334108A (ja) * 2002-05-20 2003-11-25 Ykk Corp 開離嵌挿具付きスライドファスナ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000B1 (ko) * 2006-03-02 2007-12-14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슬라이드 패스너
US9549593B2 (en) 2011-03-30 2017-01-24 Ykk Corporation Slide fastener with separable bottom end sto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4002436A (es) 2004-09-23
EP1459642A1 (en) 2004-09-22
CN1531885A (zh) 2004-09-29
JP4072953B2 (ja) 2008-04-09
KR100554597B1 (ko) 2006-03-03
TWI244907B (en) 2005-12-11
US20040181920A1 (en) 2004-09-23
JP2004283299A (ja) 2004-10-14
HK1065927A1 (en) 2005-03-11
BRPI0400951A (pt) 2005-05-24
CN1261059C (zh) 2006-06-28
TW200422002A (en) 2004-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4597B1 (ko) 개방 분리 끼움 부재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
US11206901B2 (en) Slide fastener-attached product, element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lide fastener-attached product
US9668549B2 (en) Fastener tape for slide fastener, and slide fastener
JP2007097840A (ja) 防水性スライドファスナー
KR100446420B1 (ko) 니트인 슬라이드 파스너
TWI481357B (zh) Chain and zipper
US7137177B2 (en) Top end stop of linear slide fastener
US20140245574A1 (en) Slide Fastener and Concealed Type Slide Fastener
WO2015189966A1 (ja) ファスナーテープ及びファスナーストリンガー
KR20030090522A (ko)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가 달린 슬라이드 파스너
KR840000167B1 (ko) 개리 감삽구가 붙은 슬라이드 파스너.
CN108158140B (zh) 带拉链的产品和链牙构件、以及带拉链的产品的制造方法
EP1459643B1 (en) Slide fastener with separable bottom end stop
KR101431946B1 (ko) 슬라이드 파스너
WO2014002218A1 (ja) ファスナーストリンガー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
TWI228400B (en) Knit-in slide fastener
KR100339143B1 (ko) 파스닝 장치의 결합 부재
US20040154144A1 (en) Slide fastener
CN216453709U (zh) 一种拉链
KR830002132B1 (ko) 슬라이드 파스너
CN114554902A (zh) 编织拉链牙链带、拉链链条及编织拉链牙链带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