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9143B1 - 파스닝 장치의 결합 부재 - Google Patents

파스닝 장치의 결합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9143B1
KR100339143B1 KR1019990059163A KR19990059163A KR100339143B1 KR 100339143 B1 KR100339143 B1 KR 100339143B1 KR 1019990059163 A KR1019990059163 A KR 1019990059163A KR 19990059163 A KR19990059163 A KR 19990059163A KR 100339143 B1 KR100339143 B1 KR 100339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device
flat plate
flat
plate portion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9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2512A (ko
Inventor
다키자와도시아키
다카하시요시노부
피아센자안젤로
Original Assignee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다다히로
Publication of KR20000052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1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10Slide fasteners with a one-piece interlocking member on each stringer tap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08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3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5/00Fastening by use of touch and close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08Combined with diverse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25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with feature facilitating, enhancing, or causing attachment of filament mounting surface to support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6Button with fastener
    • Y10T24/3694Ornamental type

Landscapes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Buckl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에 정확하고 용이한 재봉을 보장하는 동시에 비교적 두껍게 성형되었다 하더라도 파스닝 장치의 결합부재의 개방 동작을 부드럽고 용이하게 하고 개방 동작시 외력에 의해 재봉얀에 너무 많은 힘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조비용이 감소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합성수지재로 일체로 성형된 파스닝 장치의 결합부재를 제공한다.
각각의 단부가 연결부(13)를 통해 연결되며 합성수지재로 제조되고 서로 평행한 제 1 및 제 2 평판부(11, 12)를 포함하는 J 형의 일체성형된 파스닝 장치의 결합부재에서, 다수의 결합 요소(15)는 직립 위치에서 넓은 영역을 갖는 제 1 평판부의 표면상에 형성되고, 홈형 재봉선(11b)은 그 전체 외주 엣지부를 따라 형성되며, 그 단부가 개방된 홈형 재봉선(12b)은 제 1 평판부상에 형성된 상기 재봉선의 일부에 대응하여 소규모 영역을 갖는 제 2 평판부상에 형성되며, 동일한 수지 재료로 제조된 태브(14, 104)는 상기 평판부(11, 12)에 대해 평행하게 상기 연결부(13)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부(13)상에 일체로 성형된다.

Description

파스닝 장치의 결합 부재{ENGAGING MEMBER OF FASTENING DEVICES}
본 발명은 종래 스냅 버튼과 통상의 버튼을 대체하기 위한 합성수지재의 파스닝 장치의 결합 부재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로 제조된 이러한 종류의 종래 파스닝 장치의 결합 부재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 9-75113 호에 서술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기재된 발명은 본 발명과 동일한 발명자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조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며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되고 형상이 동일한 2개의 평판부의 각각의 단부는 U 형태로 연결부와 일체로 연결된다. 다수의 결합 요소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평판부중 하나의 표면상에 직립한 상태로 형성된다. 또한, 연결부로부터 평판부에 평행하게 외측으로 돌출되기 위해 연결부상에서 동일한 수지재료로 일체로 성형된다. 또한, 홈 형태의 재봉선(sewing line)은 그 전체 외주 엣지를 따라 각각의 평판부의 표면상에 형성된다.
파스닝 장치의 이러한 결합부재는 그 형상이 안정스러울뿐만 아니라, 단일의 성형 처리로 저렴한 비용으로 필요한 형상과 패턴을 구비한 패션감각적인 제품이 생산될 수 있다. 특히, 파스닝 장치의 이러한 결합부재는 제 1 및 제 2 평판부가 평행하고 유지되고 연결부에 연결되는 상태로 성형되며, 또한 의류에 깔끔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그 위치조정이 용이하다. 또한, 태브는 파스닝 장치의 결합부재에 일체로 성형되어 연결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파스닝 장치의 개폐동작도 용이하다.
그러나, 각각의 평판부가 파스닝 장치의 상기 결합 부재가 부착된 의류의 가요성을 보장할 정도로 가능한한 얇게 성형되어도, 재봉선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체 외주 엣지를 따라 얇게 성형되는데, 이에 따라 파스닝 장치의 결합부재가 그 부분에서 파손되어버릴것 처럼 보이게 되며, 이것은 평판부의 두께를 감소시키는데 제한을 가하게 된다. 또한, 두께가 감소됨에 따라, 2개의 평판부가 의류의 엣지상에서 셋업될 때 서로에 대응하는 각각의 평판부의 외곽 형성을 더욱 어렵게 하므로, 양 평판부상에 형성된 상술한 재봉선은 자주 서로에 대해 변위된다. 따라서, 동일한 재봉선을 따라 파스닝 장치의 결합부재를 정확하게 재봉하는 것이 어렵다.
각각의 평판부의 두께가 이러한 불합리한 점에 대처하도록 최소한으로 되었다해도, 파스닝 장치의 결합부재가 의류의 엣지에 부착될 때 의류의 엣지는 중간부에서 두 평판부에 의해 니핑(nipping)되므로, 상기 부분은 매우 뻣뻣하게 느껴진다. 이것은 가압되기 때문에 파스닝 장치의 결합부재를 밀폐할 때 특히, 개방시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해도, 이러한 개방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가압되는 대응의 암형 파스닝 장치 부재에 실행되지 않는한, 결합부 전체가 이동되므로 부드러운 개방 동작을 달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파스닝 장치의 표면 결합 부재의 착탈에 따라, 파스닝 장치의 전체 결합부재를 모두 한번에 분리시키는 것이 어렵지만, 그러나 그 대신 면 파스너를 위한 전형적인 착탈 동작인 롤링된 하나의 파스닝 장치 부재는 분리되어야만 한다.
또한, 의류 표면과 대면하는 평판부는 그 전체 외주 엣지를 따라 재봉되기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개방 동작시, 재봉 얀에 개방 동작 방향에 수직으로 전단력이 인가되며, 이에 따라 재봉 얀은 반복된 개방 동작에 의해 때로는 파단되기도 한다.
파스닝 장치의 이러한 결합 부재의 취급에 가장 어려운 점은 의류 장착부의 엣지에 부착될 때 2개의 평판부가 평면도에서의 투시상 동일한 형상을 취한다는 것이며, 상기 2개의 평판부는 그 개방 단부를 개방하기 위해 연결부에 대해 외측으로 회전되어야만 하며, 그후 의류의 장착부의 엣지는 상기 개방부에 삽입된다. 이러한 귀찮은 동작은 파스닝 장치의 결합 부재를 의류에 부착하는데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에 정확하고 용이한 재봉을 보장하는 동시에 비교적 두껍게 성형되었다 하더라도 파스닝 장치의 결합부재의 개방 동작을 부드럽고 용이하게 하고 개방 동작시 외력에 의해 재봉얀에 너무 많은 힘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조비용이 감소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합성수지재로 일체로 성형된 파스닝 장치의 결합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에 서술되는 바와 같이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르면, 각각의 단부가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며 합성수지재로 제조되고 서로 팽행한 제 1 및 제 2 평판부를 포함하는 J 형의 일체성형된 파스닝 장치의 결합부재에 있어서, 다수의 결합 요소는 직립 위치에서 넓은 영역을 갖는 제 1 평판부의 표면상에 형성되고, 홈형 재봉선은 그 전체 외주 엣지부를 따라 형성되며, 그 단부가 개방된 홈형 재봉선은 제 1 평판부상에 형성된 상기 재봉선의 일부에 대응하여 소규모 영역을 갖는 제 2 평판부상에 형성되며, 동일한 수지 재료로 제조된 태브는 상기 평판부에 대해 평행하게 상기 연결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연결부상에 일체로 성형되는 결합부재가 제공된다.
상술한 특허 명세서에 서술된 파스닝 장치의 결합부재와는 달리, 본 발명의 파스닝 장치의 결합부재는 짧게 형성된 연결부를 통해 연결된 2개의 평판부중 하나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에 부착되면, 의류의 엣지는 2개의 평판부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2개의 평판부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형 재봉선이 넓은 영역을 갖는 제 1 평판부의 전체 외주 엣지를 따라 형성되었다 하더라도, 소규모 영역의 제 2 평판부는 단지 U 형의 홈형 재봉선을 가지며, 이러한 재봉선은 그 단부가 연결부에 대향하여 엣지에서 개방되며, 제 1 평판부상에 형성된 재봉선과 중첩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평판부 및 제 2 평판부의 재봉선 사이의 변위는 재봉선을 따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되며, 또한 의류 표면이 제 2 평판부의 재봉부에 연속적으로 직접 재봉되기 때문에, 파스닝 장치의 결합부재를 개폐함에 따라, 특히 개방동작시, 상술한 특허 명세서에 기재된 파스닝 장치의 결합부재와는 달리 제 2 평판부에 의해 재봉 얀에 전단 방향으로 여분의 힘이 인가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 영역이 넓은 제 1 평판부는 의류의 파스닝 장치 장착부의 결합부재의 후방 표면상에 노출되기 때문에, 또한 소규모 영역의 제 2 평판부는 의류의 전방 표면에 노출되기 때문에, 부착부의 뻣뻣한 촉감이 제거되고양호한 외관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평판부의 두께가 어느 정도 증가되었다 하더라도, 필요한 가요성이 확보되기 때문에, 파스닝 장치의 결합부재의 개방 동작이 부드럽게 실행된다.
또한, 다수의 결합 요소가 제 1 평판부의 표면상에 일체로 성형되는 파스닝 장치의 결합 부재가 제공된다. 또한, 다수의 결합 요소가 니팅 및 위빙에 의해 베이스 의류의 전방면상에 일체로 성형되고 베이스 의류의 후방면은 결합제 등에 의해 제 1 평판부의 표면에 고정되는 파스닝 장치의 결합 부재가 제공된다. 결합 요소가 상술한 바와 같이 평판부에 일체로 성형되는 경우, 생산성이 증가되어 생산 비용의 감소로 나타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파스닝 장치의 결합부재의 전형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파스닝 장치의 결합부재를 후방에서 투시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파스닝 장치의 결합부재의 측면도.
도 4 는 도 1 의 선 Ⅱ-Ⅱ 을 따른 단면도.
도 5 는 파스닝 장치의 결합부재의 부착시 주요한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파스닝 장치의 결합부재를 구비한 의류의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부착시 파스닝 장치의 결합 부재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적인 측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적인 정면도.
도 10 은 도 9 의 선 Ⅲ-Ⅲ 을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파스닝 장치 11, 12 : 평판부
13 : 연결부 14 : 태브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파스닝 장치의 결합부재의 전형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파스닝 장치의 결합부재를 후방에서 투시한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파스닝 장치의 결합부재의 측면도이고, 도 4 는 도 1 의 선 Ⅱ-Ⅱ 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5 는 파스닝 장치의 결합부재의 부착시 주요한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파스닝 장치(10)의 결합 부재는 장방형의 제 1 평판부(11)와, 상기 제 1 평판부(11)의 단측과 길이가 동일한 장측과 제 1 평판부(11)의 장측 길이의 1/5 인 단측을 갖는 제 2 평판부(12)와, 제 1 평판부(11)의 단측엣지를 제 2 평판부의 장측 엣지와 설정된 간극을 두고 평행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3)를 포함하며, 그 전체적인 측부 형상은 J 형상을 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태브(14)는 제 1 및 제 2 평판부(11, 12)에 평행하게 돌출되도록 연결부(13)에 제공된다. 제 1 및 제 2 평판부(11, 12) 사이의 상술한 간극은 본 발명의 파스닝 장치(10)의 결합 부재가 장착되는 의류 장착부의 두께에 따라 임의로 결정된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결합 요소는 제 1 평판부(11)의 표면(파스닝 장치(10)의 결합 부재의 후방면)상에 다수의 열(row)로 돌출되도록 성형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의 결합 요소(15)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평판부(12)로부터 직립한 직립부(15a)와, 상기 직립부(15a)의 전방 단부로부터 굴곡된 형태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결합부(15b)를 갖는 후크 형태를 취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모든 결합부(15b)는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각각의 후크형 결합 요소(15)는 결합부(15b)의 전방 단부가 태브(14)의 돌출방향에 대향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루프 부재(20a)를 갖는 대응의 파스닝 장치(5)와의 결합 강도는 굴곡된 결합부(15b)의 연장 방향에 대항한 단일 방향으로는 매우 강하다. 또한, 재봉부로 작용하는 연속한 홈 부분(11b)은 제 1 평판부의 전체 외주 엣지를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홈 부분(11b)은 제 1 평판부(11)의 두께가 재봉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경우에는 필요하지 않다고해도, 재봉선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이것이 매우 작은 것이라해도 홈 부분(11b)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종류의 장식 패턴이 제 2 평판부(12)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턴은 상기 판 부분이 성형됨과 동시에 형성되는 것이아니지만, 판 부분이 성형된 후 다양한 용접부와 프린트로 성형될 수 있다. 홈 부분(12b)은 제 1 평판부(11)의 표면에 형성된 상술한 홈 부분(11b)의 부분에 대응하는 재봉선을 따라 제 2 평판부(12)의 표면상에 U 형으로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 부분(12b)은 상기 엣지를 횡단하여 좌우측 엣지와 제 2 평판부(12)의 연결부(13)에 의해 연결된 엣지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그 말단부는 제 2 평판부(12)의 연결부에 대향한 엣지까지 연장되어 개방 엣지(12b')로 작용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실시예에서의 파스닝 장치(10)의 결합 부재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과 같은 단일 공정으로 간단하게 성형될 수 있다. 즉, 가동 다이(도시않음)는 제 1 평판부(11)와 다수의 결합 요소(15) 및 일부의 연결부(13)를 성형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하며, 고정 다이는 제 2 평판부(12)의 외부 형상과 장식 패턴과 일부의 연결부(13)를 성형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한다. 또한, 설정된 두께를 갖는 판 형태의 삽입 다이는 고정 다이와 가동 다이 사이에 위치된다. 이러한 다이를 갖는 사출 성형 다이에 의해, 파스닝 장치의 결합 부재는 용이하게 성형될 수 있다.
후크형 결합 요소(15)를 위한 공동은 그 형태로 인하여 단일의 다이 표면으로 절단될 수 없기 때문에, 공동의 전부 또는 일부 형태는 이러한 시트 재료를 적절히 조합하여 중첩하므로써 다수의 얇은 시트 재료의 단면에 형성된다. 성형품이 방출 핀(도시않음)과 같은 해제 부재에 의해 상술한 후크형 공동으로부터 인출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상술한 다수의 얇은 시트 재료를 적절한 수단으로 시트 두께방향으로 분리시키므로써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실시예의 파스닝 장치(10)의 결합부재를 탭(14)으로 각각의 결합 요소(15)가 의류의 내측과 대면하여 돌출되는 표면과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의류 등에 부착하기 위해, 예를 들어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키복(30)의 플라이부분의 외측 스커트 엣지(30a)는 제 1 및 제 2 평탄부(11, 12)에 의해 샌드위치되며, 파스닝 장치(10)의 결합 부재는 설정된 위치에 세팅되어 홈 부분(11b)을 따라 재봉 얀(16)으로 재봉된다. 파스닝 장치(10)의 결합 부재는 재봉 대신에 접착제로 고정될 수도 있다. 접착에 의한 부착의 경우, 홈 부분(11b)은 하기에 서술되는 바와 같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파스닝 장치(10)의 결합 부재와 착탈되는 다수의 루프 부재(20a)를 구비한 파스닝 장치 부재(20)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스닝 장치(10)의 결합 부재의 장착부에 대응하여 재봉이나 접합에 의해 상술한 플라이부분의 내측 스커트 엣지(30b)상에 부착된다.
의류의 상부 스커트 엣지(30a)는 상술한 특허 명세서에 서술된 파스닝 장치의 결합 부재와는 달리, 그 형상이 J 형상이기 때문에, 이러한 실시예의 파스닝 장치(10)의 결합 부재의 제 1 및 제 2 평판부(11, 12) 사이의 간극에 삽입되며, 의류의 상부 스커트 엣지(30a)는 개방 단부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파스닝 장치(10)의 결합 부재의 장착 자세가 그 삽입 단부를 연결부(13)의 내측 벽과 자동으로 접촉시키기 때문에, 파스닝 장치(10)의 결합 부재는 깔끔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파스닝 장치(10)의 결합 부재는 장착부의 의류의 엣지가 제 1 및 제 2 평판부(11, 12)와 연결부(13)에 의해 니핑되도록 고정되기 때문에, 파스닝 장치(10)의 결합 부재의 각각의 엣지와 의류 엣지 사이에는 분리가 결코 발생되지 않으며, 연결부(13)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태브(14)가 제공되기 때문에, 개폐 동작에 대한 내구성과 작동성이 개선된다.
연결부(13)로부터 제 2 평판부(12)의 연장 길이는 제 1 평탄부(11)의 연장 길이보다 훨씬 짧기 때문에, 제 1 평탄부(11)와 제 2 평판부(12)의 엣지들 사이에는 변위가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각각의 평탄부(11, 12)의 표면상에 재봉선을 형성하기 위한 홈 부분(11b, 12b)의 변위가 최소화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평판부(11)의 결합 부재는 의류를 횡단하여 후방면에 존재하는 제 2 평판부(12)의 홈 부분(12b)을 따라 자동으로 재봉되어 마무리가 미려하게 된다.
또한 제 2 평판부(12)상에 형성된 재봉선을 결정하기 위한 홈 부분(12b)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평판부(11)의 표면에 형성된 홈 부분(11b)의 일부에 대응하는 재봉선에 대응하여 U 형태로 형성되며, 홈 부분(12b)의 말단부는 개방된다. 따라서, 제 1 평판부(11)에 남아있는 홈 부분(11b)을 따라 재봉된 재봉 얀은 제 2 평판부(12)의 측부나 의류 등에 직접 재봉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파스닝 장치(10)의 결합부재가 파스닝 장치(10)의 결합 부재를 개방하기 위해 파스닝 장치 부재(20)의 암형 결합 부재의 루프 부재(20a)로부터 분리될 때, 전체 외주 엣지를 따라 재봉 얀에 의해 고정된 제 2 평판부의 연결부에 대향하는 부분의 개방 방향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재봉 얀상에서 전단 방향으로 너무 많은 힘이 인가된다. 그러나, 상술한 구조에 따르면, 분리 방향에 수직으로 재봉된 재봉 얀은 의류에 직접 재봉되기 때문에 또한 재봉 얀에 의해 고정되는 제 2 평탄부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여분의 힘은 인가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의류나 재봉 얀은 파단되지 않는다.
도 6 은 본 발명의 파스닝 장치(10)와 대응의 파스닝 장치 부재(도시않음)의 결합 부재가 부착된 스키복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파스닝 장치(10)의 결합 부재가 본 발명의 파스닝 장치(10)의 결합 부재의 제 1 평탄부(11)에 대응하는 위치에 부착된 대응의 파스닝 장치 부재(20)에 가압될 때, 이들은 서로 용이하게 결합되므로 도면에 도시된 플라이부분은 밀폐된다. 모든 후크형 결합 요소(15)의 결합부(15b)는 본 실시예에 따라 플라이부분의 개방 방향을 향하기 때문에, 플라이부분을 개방하기 위해 미끄럼 방향으로 강한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상기 루프 부재(20a)는 후크형 결합 요소(15)의 직립부(15a)의 전단 방향 즉, 최대 결합 강도의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파스닝 장치의 결합 부재는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는다.
밀폐된 상태에서, 도 5 의 페이딩선(fading line)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파스닝 장치(10)의 결합 부재의 태브(14)와 플라이부분의 내측 절반부 사이에는 간극(D)이 존재하므로, 핑거를 상기 간극(D)에 삽입하여 대응의 파스닝 장치(20)로부터 파스닝 장치(10)의 결합 부재의 분리를 촉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밀폐 상태에서, 만일 태브(14)가 픽업되고 파스닝 장치(10)의 결합 부재가 분리 방향(도 5 의 아래 방향)으로 작동되었다면, 대부분의 부착부는 제 1 평판부(11)에 의해 의류의 단일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의류의 양면이 종래 기술에서처럼 제 1 및 제 2 평판부(11, 12)에 의해 니핑되는 경우에 비해 충분한 가요성이 확보된다. 그 결과, 부드러운 동작을 얻을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파스닝 장치(100)의 결합 부재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연결부(13)로부터 돌출된 태브(104)는 제 2 평판부(12)의 연장선상에 돌출되며, 돌출부(104a)는 제 1 평판부(11)를 향하는 말단부에서 후크형태로 돌출된다. 상기 돌출부(104a) 대신에, 원통형 부분을 형성할 수도 있다. 태브(104)상에 오목한 부분이나 원통형 부분이 형성될 때, 상기 태브(104)는 손으로 용이하게 집기 쉬우며, 이에 따라 개폐 동작이 확실하고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든 후크형 결합 요소(15)의 후크 방향은 상술한 실시예에서처럼 항상 동일한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후크형 결합 요소(15)의 후크 방향을 서로에 대향한 인접한 열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플라이부분상에는 어떠한 방향으로도 필요한 결합력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평판부(11)의 표면에 후크 형상의 결합 요소(15)를 일체로 형성할 있게 되고, 제 1 평판부(11)의 표면을 홈 부분(11b)을 남기고 평탄면(12a)으로서 형성하고, 이것과는 별도로 제 1 평판부(11)와 동일한 외형을 가지며 편직물로 이루어진 기포의 표면에 통상의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진 후크 부재를 갖는 통상의 섬유제 면파스너를 상기 제 1 평판부(11)의 평탄면에, 예를 들어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시켜 일체화하여도 무방하다.
도 8 은 상술한 실시예에 대한 제 1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리브(12c)는 제 2 평판부(12)의 자유단부의 후방측에 제공되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엣지를 따라 연장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의류 등의 엣지가 제 1 및 제 2 평판부(11, 12) 사이에 니핑될 때, 상술한 리브(12c)는 가압에 의해 의류의 니핑된 단부를 지지하므로, 이에 따라 재봉 등에 의한 의류의 변위를 방지하게 된다.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평판부(12)의 재봉선을 형성하기 위한 홈 부분(12)의 개방 단부(12b')는 보강부(12d)를 형성하기 위해 약간 두껍게 형성된다. 재봉 방향으로의 폭은 단일 시임(seam)과 등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부(12d)를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개방 엣지(12b')의 얇음으로 인해 발생될 수도 있는 재봉 스레드에 의해 홈 부분(12b)의 개방 엣지(12b')의 손실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Claims (3)

  1. 각각의 단부가 연결부(13)를 통해 연결되며 합성수지재로 제조되고 서로 평행한 제 1 및 제 2 평판부(11, 12)를 포함하는 J 형의 일체성형된 파스닝 장치의 결합부재에 있어서,
    다수의 결합 요소(15)는 직립 위치에서 넓은 영역을 갖는 제 1 평판부의 표면상에 형성되고, 홈형 재봉선(11b)은 그 전체 외주 엣지부를 따라 형성되며,
    그 단부가 개방된 홈형 재봉선(12b)은 제 1 평판부상에 형성된 상기 재봉선의 일부에 대응하여 소규모 영역을 갖는 제 2 평판부상에 형성되며,
    동일한 수지 재료로 제조된 태브(14, 104)는 상기 평판부(11, 12)에 대해 평행하게 상기 연결부(13)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결부(13)상에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결합 요소(15)는 제 1 평탄부(11)의 표면상에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결합 요소(15)는 니팅 및 위빙에 의해 베이스 의류의 표면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의류의 후방면은 상기 평탄부(11)의 한쪽 표면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
KR1019990059163A 1998-12-24 1999-12-20 파스닝 장치의 결합 부재 KR1003391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6674998A JP3474791B2 (ja) 1998-12-24 1998-12-24 開閉用押圧止具
JP98-366749 1998-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512A KR20000052512A (ko) 2000-08-25
KR100339143B1 true KR100339143B1 (ko) 2002-05-31

Family

ID=18487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9163A KR100339143B1 (ko) 1998-12-24 1999-12-20 파스닝 장치의 결합 부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314622B1 (ko)
EP (1) EP1013188B1 (ko)
JP (1) JP3474791B2 (ko)
KR (1) KR100339143B1 (ko)
CN (1) CN1187005C (ko)
DE (1) DE69911897T2 (ko)
HK (1) HK1027490A1 (ko)
TW (1) TW4404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70058A1 (en) * 1999-04-26 2000-11-02 Frampton E. Ellis, Iii Shoe sole orthotic structures and computer controlled compartments
JP2001078810A (ja) 1999-09-16 2001-03-27 Ykk Corp 合成樹脂製の開閉用押圧止具
US20110146032A1 (en) * 2009-12-10 2011-06-23 Ossur Hf Strapping system
US20140236116A1 (en) * 2013-02-15 2014-08-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stening systems for use with absorbent articles
US9198483B2 (en) 2013-03-15 2015-12-01 Thomas M. Adams Self adhering connection surfaces, straps, snaps and bands
US9655413B2 (en) 2013-03-15 2017-05-23 Thomas M. Adams Self adhering connection surfaces, straps, snaps and bands
US10188179B2 (en) * 2013-10-11 2019-01-29 Aplix Fastener
US9474338B2 (en) * 2013-10-11 2016-10-25 Aplix Fastener
WO2019146054A1 (ja) * 2018-01-25 2019-08-01 Ykk株式会社 面ファスナーとその製造方法及び面ファスナーの成形用金型
CN108477766B (zh) * 2018-05-11 2020-12-08 江苏汇源拉链制造有限公司 一种基于锯齿的防卡死的拉链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2118A (en) * 1983-11-18 1986-06-03 Barnhart Industries, Inc. Fasteners for apparel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m
US4596540A (en) * 1985-07-15 1986-06-2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Drive belt construction
US4939794A (en) * 1988-11-25 1990-07-10 Salant Corporation Adjustable neck and cuff closures for dress shirts
US5048160A (en) * 1990-04-09 1991-09-17 Goodrich Lewis S Button replacement device
US5379491A (en) * 1992-12-11 1995-01-10 Solo; Alan J. Mounting means for removably securing functional items to support articles
US5422156A (en) * 1993-04-23 1995-06-06 Aplix, Inc. Fastening member with ferromagnetic attachment strip
US5548878A (en) * 1994-12-16 1996-08-27 Romagnoli; Joseph D. Load spreading belt with buckle closure
JPH0975113A (ja) * 1995-09-14 1997-03-25 Ykk Corp 開閉用押圧止具
JP3024653U (ja) 1995-11-14 1996-05-31 モリト株式会社 合成樹脂製連結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13188B1 (en) 2003-10-08
HK1027490A1 (en) 2001-01-19
TW440438B (en) 2001-06-16
DE69911897T2 (de) 2004-09-09
CN1257675A (zh) 2000-06-28
KR20000052512A (ko) 2000-08-25
CN1187005C (zh) 2005-02-02
JP2000184905A (ja) 2000-07-04
DE69911897D1 (de) 2003-11-13
EP1013188A1 (en) 2000-06-28
JP3474791B2 (ja) 2003-12-08
US6314622B1 (en) 2001-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78075B1 (en) Article with slide fastener
JPH0975113A (ja) 開閉用押圧止具
JP6153137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付き物品及びスライドファスナー付き物品の製造方法
KR100339143B1 (ko) 파스닝 장치의 결합 부재
US7624482B2 (en) Article with slide fastener
JP3939965B2 (ja) ブラジャー類の留め具、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ブラジャー類
US20020033559A1 (en) Brassiere fastener
EP1319349B1 (en) Slide fastener
US6430786B1 (en) Synthetic resin opening and closing press fastener
US6309489B1 (en) Adjustable strap fastener for brassieres and the lik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4283299A (ja) 開離嵌挿具付きスライドファスナー
CA1173634A (en) Separable slide fastener
CA1097893A (en) Slide fastener chain
EP1101418B1 (en) Adjustable strap fastener for brassieres and the like and method of making same
WO2019176394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
JP3442712B2 (ja) 開閉用押圧止具
US4425685A (en) Separable slide fastener
JPH11187908A (ja) 自己係着型テープ
JP3118700B2 (ja) スナップボタン付きテープ
JP2007167579A (ja) 合成樹脂製の開閉用押圧止部材と同押圧止部材が取着されてなる衣類
JP6017882B2 (ja) 合成樹脂製のかぎホック
JP2008161487A (ja) 面接合成形部材及び同面接合成形部材が取着された衣類、並びに、その面接合成形部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