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2144A - 태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오플라센타 피부도포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태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오플라센타 피부도포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2144A
KR20040082144A KR1020030016802A KR20030016802A KR20040082144A KR 20040082144 A KR20040082144 A KR 20040082144A KR 1020030016802 A KR1020030016802 A KR 1020030016802A KR 20030016802 A KR20030016802 A KR 20030016802A KR 20040082144 A KR20040082144 A KR 20040082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centa
skin
extract
placenta extract
bioplacen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2681B1 (ko
Inventor
이명석
Original Assignee
한국에이취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이취팜(주) filed Critical 한국에이취팜(주)
Priority to KR1020030016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2681B1/ko
Publication of KR20040082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6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플라센타 물질을 함유하는 바이오플라센타 피부도포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태반(placenta), 특히 초임계 추출법(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process)에 의하여 추출되는 태반 추출물, 유기 게르마늄 및 유비퀴논을 포함하는 바이오플라센타 피부도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한 생리 활성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미백, 항산화, 보습 및 주름개선 등에 있어서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태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오플라센타 피부도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KIN TOPICAL BIOPLACENTA COMPOSITION CONTAINING PLACENTA EXTRACT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천연 플라센타 물질을 함유하는 피부도포용 바이오플라센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태반 추출물, 유기게르마늄 및 유비퀴논을 포함하는 바이오플라센타 피부도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우리 몸 전체 부피의 약 16%를 차지하고 외부환경과 직접 접해 있으면서, 몸 안으로 침입하려는 치명적인 많은 다양한 유해인자들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는 중요한 보호막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원래, 건강한 피부에는 이러한 외부 손상 요인 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방어계가 구축되어 있다. 그러나, 인간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각종 오염 물질과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손상을 입게 되고 세포 증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피부는 탄력을 잃고 주름이 생기게 된다. 또한, 지속적인 외부 자극에 의해 이러한 방어계는 무너지게 되고, 이에 따라 피부가 보호능을 잃게 되며 세포 보호 및 증식 능력이 떨어지면서, 피부 탄력성 감소와 주름 생성 등 피부 노화 현상이나타난다.
피부의 보습력 감소 및 재생(turn over) 기능의 상실도 피부 노화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의 일종으로 주름 생성 및 피부 탄력 감소와 연관되어 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의 탄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매트릭스(matrix) 안의 수용성 콜라겐(collagen), 뮤코다당류(mucopolysaccharide),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의 양이 줄어들고 불용성 콜라겐의 양은 증가되므로, 진피는 피부의 수분을 유지하기 어렵게 되고, 피부가 거칠어지게 된다.
또한, 인간의 피부는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피지샘과 땀샘의 기능도 감소하여 피지와 땀의 양이 점차로 줄어들게 되고, 피지막(sebaceous membrane)이 적당히 생성되지 못하여 피부 보습을 위한 보호능이 상실되어, 결국에는 피부가 건조해지고 투명성(translucence)을 잃게 되며, 피부 단백질의 탄력이 감소하고 주름이 생성된다. 즉, 피부의 보습력 상실은 피부 탄력 감소 및 주름 생성과 함께 노화의 주된 증상이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인간의 피부는 외부적인 충격 예를 들어 자외선(UV-B 및 UV-A)에 노출시 인간의 피부는 활성 산소종의 생성으로 인하여 주름 생성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렇듯 인간의 피부는 노화 또는 외부적인 충격에 의하여 손상되기 쉬운 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를 보호하고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위하여 인류는 오래전부터 화장품을 사용해 왔다.
종래의 기능성 화장품으로는 유액, 크림, 화장수, 팩, 세정료, 분산액, 연고, 외용액제 등의 피부외용제와 함께 소정의 약효를 발휘하기 위하여 특정의 첨가제를사용한 화장품이 개시된 바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등에 의해 생기는 피부의 흑화, 색소침착에 의해 생기는 기미, 주근깨 등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아스코르빈산이나 글루타티온, 하이드로퀴논 등의 미백성분을 첨가한 기능성 화장품이 개시된 바 있다.
특히, 노화 및 자외선 노출 등에 의해 생기는 피부의 주름, 처짐을 개선하기 위한 기능성 화장품으로는 비타민 A나 대두추출물, 해조추출물 등의 세포부활제가 사용된 바 있으며, 선행 특허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3-641호, 제2002-63877호 등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미백 및 노화 방지를 위하여 첨가된 성분만으로는 효과가 충분하지 않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새로운 유효 성분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태반 추출물을 이용한 선행 특허로서 일본 특개소 35-15399호에서는 태반추출물과 코지산 또는 코지산유도체를 화장료 기제에 배합한 색백 화장료를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화장료의 태반 추출물과 코지산 또는 코지산 유도체는 멜라닌 생성의 초기단계에 관여하여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미백 효과가 우수하지만, 엘라스티나아제 저해에 의한 주름 개선 효과는 미약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자는 미백 및 노화 방지의 기능을 가진 피부 외 용제 및 화장료의 유효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천연 성분에 대해서 끊임없는 연구를 한 결과, 태반 추출물, 유기게르마늄 및 유비퀴논(Coenzyme-Q10)을 포함하는 피부도포용 조성물을피부에 도포할 경우, 미백, 높은 멜라닌 생성 억제, 보습, 주름 억제 및 항산화 등의 작용이 우수함을 발견하였고, 이를 기초로 본 발명을 제공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태반 추출물 특히 초임계 추출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태반 추출물과 유기 게르마늄 및 유비퀴논을 포함하는 바이오플라센타 피부도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태반(placenta)은 임신된 모체 내에서 산소의 공급, 해독작용, 호르몬 분비 등의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그 유효 성분으로는 로이신, 리신, 바린 등의 아미노산과 B1, B2, C, D, E 등의 비타민과, 칼슘, 나트륨, 인 등의 미네랄과 다수의 효소 및 핵산 등을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태반은 포유 동물의 태반이면 충분하고, 사람, 소 등의 태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태반 추출물은 과잉의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하여, 희고 촉촉한 피부를 만들게 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태반은 잔주름을 억제하고, 콜라겐의 재생을 촉진하며, 활성 산소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태반 추출물의 제조는 태반을 깨끗하게 세정하고, 제혈 및 분쇄하거나, 분쇄된 태반의 보존성 향상을 위하여 동결 건조 처리를 한 후, 이를 수용성 성분을 물로써 열수 추출하는 일반적인 방법도 있지만 열에 약한 비타민이 파괴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열 안정성 측면에서 세정, 제혈 및 분쇄된 태반을 하기의 초임계 추출법(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process)을 통하여 추출함으로써 유효 성분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초임계 추출법은 임계점보다 높은 온도와 압력하에 있는 초임계 유체를 용매로 사용하는 추출 기술로서, 임계점 이상의 영역에서 초임계 유체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의하여 혼합성분 중 특정 물질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초임계 용매의 압력과 온도를 조절하여 초임계 유체의 용해력을 낮춤으로써 태반으로부터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며, 본 발명의 초임계 추출 단계는 크게 추출단계(extraction stage) 및 분리 단계의 두 단계로 나누어진다.
우선, 추출단계는 태반을 세정, 제혈 및 분쇄 시키는 예비 처리 후에 수행되는 것으로서, 상기 예비 처리된 태반을 액화 초임계 용매에 녹이는 단계이다. 상기 액화 초임계 용매로는 이산화탄소, 프로판 및 알콜 등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용매로는 이산화탄소가 바람직한데, 이산화탄소는 약 31℃의 온도와 약 1060psi의 압력에서 액화 초임계 상태가 되며, 태반을 용해시키는 작용을 한다.
분리 단계는 태반이 용해되어 있는 초임계 상태의 용제로부터 불용성의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로서, 온도 또는 압력 등의 변수 조작에 의한 용해력 차이를 이용하여 불용성 물질을 분리하고, 원심 분리기를 통하여 이를 제거하고, 유효 성분이 고농도로 함유된 태반 추출물을 얻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 반응 온도는 10 ~ 70℃ 이고, 압력 1,200∼8,000psi이며, 30분 ~ 3시간 동안 불용성 물질을 추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두 번째 성분인 유기게르마늄(organic germanium)은 여드름 완화작용, 라디칼 제거 등의 항산화작용, 자외선으로부터의 손상 방지하고 피부의 탄력성 향상시키며 비정상적인 색소 침착을 개선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유기게르마늄의 함량은 태반 추출물 100ml에 대하여 0. 01 ~ 5 g이 바람직한데, 유기 게르마늄의 함량이 0.01g 보다 적을 경우에는 상기 효과가 미약하고, 5g 보다 많을 경우에는 침전물이 발생할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조효소인 유비퀴논(coenzyme Q10)은 세균에서 포유동물에 이르는 생물 유기체에 널리 분포된 생리학적 필수 요소로서, 생물 유기체의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성 전자 전달계의 구성 성분으로서, 생체 내에서의 반복적인 산화 및 환원반응을 관여하며, 강력한 항산화 및 미백 작용을 하며, 전자 전달에 있어 담체 성분으로 작용하는 천연 물질이다.
상기 유비퀴논의 함량은 태반 추출물 100ml에 대하여 0.1 ~ 10g이 바람직한데, 유비퀴논의 함량이 0.1g 보다 적을 경우에는 유비퀴논 첨가에 의한 상기 효과가 미약하다는 문제가 있고, 10g 보다 많을 경우에는 침전물이 발생할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태반 추출물, 유기 게르마늄 및 유비퀴논을 함유하는 피부도포용 조성물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3가지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피부도포용 조성물을 "바이오플라센타(bioplacenta)"라고 정의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다음의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태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사람의 태반을 세정, 제혈, 파쇄 후 진공 동결 건조시켜 수분 함량을 10%이하로 낮춘다. 다음, 초임계 추출기 반응기내에 분말 태반 100g과 초임계 용매로액화 이산화탄소를 추출 반응기에 넣어 용해시키고 반응기 내의 온도를 35℃로 조절하고, 압력이 3000psi으로 유지하면서 약45분간 추출한다. 불용성 물질은 분리조로 포집시키고 가용성물질은 압력상태를 원상태로 되돌려 이산화탄소를 가스화 시켜 태반 추출물을 얻는다. 이렇게 얻어진 태반 추출액 100ml에 유기게르마늄 3g, 유비퀴논(Coenzyme-Q10) 1.5g을 혼합 제조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화장수 미용액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90㎖에 95% 에틸알코올 5㎖을 혼합하고, 히아론산나트륨 0.1g, 감초산 나트륨 0.2 g, 비타민E 아세테이트 0.2 g,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0.1g 및 미량의 향을 혼합하여 화장수 미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영양크림의 제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15중량부, 글리세린 4.5중량부, 리퀴드파라핀 4중량부, 쇼듐 하아론산 2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8.0중량부 스테아린알콜 2.5중량부, 폴리솔베이트 1.5중량부, 피이지-100 스테레이트 1.0중량부,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1.0중량부, 증류수 및 향을 혼합하여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증류수로 세척하여 혈액을 완전히 제거된 사람 태반 15중량부, 글리세린 4.5중량부, 리퀴드파라핀 4중량부, 쇼듐 하아론산 2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8.0중량부 스테아린알콜 2.5중량부, 폴리솔베이트 1.5중량부, 피이지-100 스테레이트 1.0중량부,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1.0중량부, 증류수 및 향을 혼합하여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실험 1]
미백 효과 실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품 15㎕를 각각 마이크로플레이트에 넣고, 0.1mM의 인산칼륨 완충용액 (potassium phosphate buffer) 87.5㎕ 및 10mM의 티로신용액 25㎕을 넣은 후, 2,500단위/㎖ 머쉬룸 티로시나제 10㎕를 첨가하여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분광 광도기(Spectrophotometry)를 이용하여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능을 구하였다.
수학식 1 : 타이로시나제 억제능(%) = [1-(S-B)/C] x 100
( S : 효소액 및 시료용액 첨가시 흡광도 변화값, B : 0.1mM 인산칼륨 완충용액(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6.0 첨가시의 흡광도 변화값, C : 시료용액 대신 상기의 추출물들을 녹인 용매 첨가시의 흡광도 변화값)
[표 1. 티록시나아제 억제능]
시료 종류 티로시나아제 억제능(%)
실시예 1 89.0
실시예 2 78.5
실시예 3 64.9
비교예 1 52.3
비타민 C(0.6mM) 58.6
상기 실험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티록시나아제 억제능에 대한 인비트로(Tyrosinase inhibiotion assay IN VITRO) 실험을 한 결과 실시예 1 내지 3의 시료는 비타민 C와 비교예 1에 비해 티록시나아제 활성(activity) 억제능이 우수하여, 멜라닌 형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함으로써 미백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실험 2]
엘라스타제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시료를 농도별로 마이크로플레이트에 넣고, 50㎕의 10nM 엘라스타제 (0.25㎍/ml) 와 0.2M 트리스-Cl(pH8.0)를 포함하는 2.5ml의 반응혼합물을 만들어 25℃ 워터배쓰(waterbath)에 10분간 배양(incubation)시킨 후 125mM 의 싸나(SANA) 20㎕를 첨가하여 엘리사 리터 시스템(ELISA Reader system, power wave, Bio-tek INC)을 이용 A410nm에서 2-3분간 흡광도(absorbance)를 측정하였. 시료에 의해 엘라스타제(elastase)의 활성감소가 클수록 엘라스타제 억제재로서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2. 엘라스타제 억제효과]
시료 종류 엘라스타제 억제능(%)
실시예 1 78.4
실시예 2 68.7
실시예 3 52.5
비교예 1 22.5
상기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시료는 비교예 1에 비하여 엘라스타제(elastase) 억제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엘라스타제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주름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 3]
세포 증식 효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시료의 세포 독성 평가를 테스트 하기 위해 인간 케라틴 형성 세포(keratinocyte)를 배양하여 상기 각 시료를 처리한 후 무혈청(serum free) 상태로 세포를 배양하여 세포의 생존능력(viability)과 번식력(proliferation)을 알아보았다. 세포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MTT 분석을 이용하였다.
MTT(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리움 브로마이드)는 담황색의 기질로서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내의 호흡쇄효소에 의해 개열하고 암청색의 포마잔(formazan)을 생성시킨다. 상기 반응은 죽은 세포에서는 일어나지 않으므로 이 포마잔의 생성량은 세포수 측정에 이용되며,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인간 케라틴 형성 세포(human keratinocyte)를 37℃에서 5% CO2인규베이터 조건하에 배양하였다.
② 시험을 위하여 일정한 수의 세포를 적절한 배양용기에 분주하고 일정시간배양하여 세포의 부착을 확인한 후, 세포 배양액에 상기 시료 각각을 25% 농도로 가하여 4일 동안 배양하였다.
③ 엘리사 리더 시스템(ELISA Reader system, power wave, Bio-tek INC)을 이용하여 MTT 분석을 통하여 OD570값을 측정하였다.
수학식 2 :
세포 증식효율(%) = 시료 처리군의 흡광도 - N ×100
무처리 군의 흡광도(N)
[표 3. 세포 증식율]
시료종류 세포 증식율(%)
실시예 1 250
실시예 2 254
실시예 3 185
비교예 1 137
상기 결과와 같이 비교예 1 보다 실시예 1 내지 3의 시료를 처리한 실험군에서 세포의 증식이 증가되고 세포 독성으로 인한 세포 저해작용이 보이지 않아 세포재생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항산화 효과
항산화 효과 실험은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법을 사용하였다. DPPH는 색을 띄는 라디칼로 시료의 라디칼 제거능력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의 시료 각각을 증류수 또는 용매에 녹였다( 4ml).
2) 상기 액상상태의 시료 4ml에 100uM DPPH 1ml을 섞었다.
3) 잘 섞은 후, 상온에서 30분간 배양하였다.
4) 남아있는 DPPH의 양을, 517nm에서의 흡광도 측정하여, 각 가수분해물의 항산화력을 대조구(상기 실험에서 시료를 넣지않고 DPPH와 증류수 또는 용매로만 배양한 실험구)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낮아진 비율을 구하였다.
수학식 3: RSA(%)= 하이드로옥살레이트 흡광도(absorbance of hydroxylate) / 대조구에서의 흡광도(absorbance of control) X 100%
[표 4. 항산화 효과]
시료종류 항산화 효과(%)
실시예 1 64.5
실시예 2 59.3
실시예 3 50.6
비교예 1 35.6
비타민 C(10mM) 42.4
[실험 4]
피부보습 효과
실시예 1 화장료의 보습능을 대표적인 보습제인 히아론산과 비교하였다. 0.5% 바이오플라센타와 0.5% 히아론산을 10명의 시험자들의 팔 안쪽에 도포하고 테이프를 붙였다. 피부수화는 처치전, 처치직후 및 처치2시간 후 컨덕턴스를 측정하여 얻었다. 히아론산의 경우 피부보습율이 처치직후 35%에서 처치 2시간 후에는 5%로 감소한 반면에 실시예 1 화장료의 경우는 피부 보습율이 처치 직 후 30%에서 처치 2시간 후에는 10%로써 보습제로서도 매우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효한 생리 활성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태반 추출물, 특히 초임계 추출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태반 추출물과 유기게르마늄 및 유비퀴논을 함유하는 바이오플라센타 피부도포용 조성물로서, 미백, 항산화, 보습 및 주름개선 등에 있어서 효과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태반 추출물, 유기 게르마늄 및 유비퀴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플라센타 피부도포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반 추출물은
    태반을 세척하여 혈액을 제거하는 제 1 단계 ;
    상기 혈액이 제거된 태반을 액화 초임계 용매와 반응시켜 태반 추출 원액을 제조하는 제 2 단계 ; 및
    상기 태반 추출원액에 포함된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는 제 3 단계 ;
    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플라센타 피부도포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게르마늄의 함량은 태반 추출액 100ml 당 0.01 ~ 5 g이고, 유비퀴논의 함량은 태반 추출액 100ml 당 0.1 ~ 10 g 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플라센타 피부도포용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태반 추출 원액의 온도를 10 ~ 70℃로 조절하고 압력을 1,200∼8,000psi로 조절하여 불용성 물질을 분리한 후, 분리된 불용성 물질을 원심 분리를 통하여 제거하는 단계 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플라센타 피부도포용 조성물.
KR1020030016802A 2003-03-18 2003-03-18 태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오플라센타 피부도포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42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802A KR100642681B1 (ko) 2003-03-18 2003-03-18 태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오플라센타 피부도포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802A KR100642681B1 (ko) 2003-03-18 2003-03-18 태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오플라센타 피부도포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144A true KR20040082144A (ko) 2004-09-24
KR100642681B1 KR100642681B1 (ko) 2006-11-10

Family

ID=37366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802A KR100642681B1 (ko) 2003-03-18 2003-03-18 태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오플라센타 피부도포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26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1205A1 (en) * 2005-11-25 2007-05-31 Jun Ho Shin Culture method of fibroblast using placenta extract and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using the same
JP2013048564A (ja) * 2011-08-30 2013-03-14 Leda Co Ltd プラセンタエキスの抽出方法および栄養補給サプリメント
US20160051591A1 (en) * 2014-08-25 2016-02-25 Super Well Bio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for the separation of functional ingredients in placent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150B1 (ko) 2012-09-28 2014-07-0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초고압 시스템에 의해 가수분해된 태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주름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1205A1 (en) * 2005-11-25 2007-05-31 Jun Ho Shin Culture method of fibroblast using placenta extract and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using the same
JP2013048564A (ja) * 2011-08-30 2013-03-14 Leda Co Ltd プラセンタエキスの抽出方法および栄養補給サプリメント
US20160051591A1 (en) * 2014-08-25 2016-02-25 Super Well Bio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for the separation of functional ingredients in placen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2681B1 (ko) 200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1791A (ko)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33832B1 (ko) 홍삼 또는 인삼 유래 진세노사이드 알이와 알에이치투 복합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710657B1 (ko) 디하이드로퀘세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JP2003201214A (ja)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活性阻害剤
KR20130040316A (ko) 만병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42681B1 (ko) 태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이오플라센타 피부도포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82744B1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US20130028849A1 (en) Agent For Stimulating The Expression of Loxl
KR20080001031A (ko) 하고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2020301A (ja) 活性酸素消去剤、皮膚保全剤および消臭剤
KR20190137328A (ko) 병아리꽃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90137329A (ko) 지면패랭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090130743A (ko) 천선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또는 피부미백용화장료 조성물
JPH06279257A (ja) メラニン生合成阻害剤
KR100472122B1 (ko) 페놀성 물질를 함유하는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KR20000067187A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KR20080098925A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42446B1 (ko) 매생이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66857B1 (ko) 약콩유래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27556B1 (ko) 루시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10018665A (ko) 죽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79725B1 (ko) 곤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3201212A (ja)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活性阻害剤および皮膚外用剤
KR20090105492A (ko) 아사이베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조성물
JPH11171722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