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1754A - 열-밀봉가능하고 수축성인 다층 고분자 필름 - Google Patents

열-밀봉가능하고 수축성인 다층 고분자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1754A
KR20040081754A KR10-2004-7011417A KR20047011417A KR20040081754A KR 20040081754 A KR20040081754 A KR 20040081754A KR 20047011417 A KR20047011417 A KR 20047011417A KR 20040081754 A KR20040081754 A KR 20040081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tube
heat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0353B1 (ko
Inventor
마크 에드워드 데이웨스
게리 빅터 로아데스
스테판 윌리암스 산키
Original Assignee
듀폰 테이진 필름즈 유.에스. 리미티드 파트너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폰 테이진 필름즈 유.에스. 리미티드 파트너쉽 filed Critical 듀폰 테이진 필름즈 유.에스. 리미티드 파트너쉽
Publication of KR20040081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1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3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2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in shrink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in a conventional oven, e.g. a gas or electric resistance o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with,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 B05D1/265Extrusion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1/00Polymeric substrate or laminate
    • B05D2201/02Polymeric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1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3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12Mechanical treatment, e.g. roughening, deforming, stretching
    • B32B2038/0028Stretching, elong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32B2307/736Shrink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5Prin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3/00Packaging equipment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28Shrinkable or shrunk [e.g., due to heat, solvent, volatile agent, restraint removal,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9Open-ended, self-supporting conduit, cylinder, or tube-type art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9Open-ended, self-supporting conduit, cylinder, or tube-type article
    • Y10T428/1393Multilayer [continuous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5Sheet, web, or layer weakened to permit separation through thick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 Packag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 필름이 외측 수축성 기판 층과 내측 열-밀봉가능한 층을 포함하고, 기판 층이 55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 걸쳐 튜브의 종방향 치수로 약 0 % 내지 약 50 %의 수축 정도를 가지고 55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 걸쳐 튜브의 횡방향 치수로 약 5 내지 약 70 %의 수축 정도를 가지는, 열-밀봉가능한 다층 고분자 필름의 벽을 포함하는 개구형 튜브와, 조리-준비된 오븐용 음식을 위한 그릇으로서 적당한 용기를 위한 포장의 제조에서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밀봉가능하고 수축성인 다층 고분자 필름{HEAT-SEALABLE AND SHRINKABLE MULTI-LAYER POLYMERIC FILM}
식품 포장과 같은 포장 용도에서, 특히 예를 들어 초단파 오븐 또는 통상적인 오븐 또는 어느 것에서도 데울 수 있는 조리-준비된 오븐용 음식과 같은 간편 식품을 포장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용기가 점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초단파 오븐 또는 통상적인 오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용기는 일반적으로 "듀얼-오븐용" (dual ovenable)이라고 한다. 대개 플라스틱 용기는 APET/CPET 접시 (결정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층 위에 비결정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층을 갖는 복합 물질)이다. 폴리스티렌 및 폴리프로필렌 용기도 또한 사용되어 왔다. 플라스틱 용기는 일반적으로 보관 동안에 포장된 내용물이 누출되고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를 밀봉하는 뚜껑과 함께 사용된다. 뚜껑은 또한 포장된 내용물에 들러붙어서도 안되고, 오븐에서 발생된 열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용기 뚜껑은 보통 다층 필름을 포함하고, 종종 "뚜껑용(lidding)" 필름이라 일컬어지는데, 이는 이축 배향된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같은 가요성 고분자 기판, 및 열-밀봉가능한 코팅층을 포함한다.
뚜껑용 필름을 사용한 밀봉 용기의 제조는 뚜껑용 필름과 용기 사이에서 밀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밀봉은, 용기 위에 뚜껑을 놓고, 용기의 표면에 부착되어 뚜껑과 용기 사이에서 효과적인 밀봉을 형성하도록 밀봉가능한 코팅 층을 연화 또는 용융시키기 위해 열 및 압력을 가함으로써 형성된다. 밀봉은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강해야 한다. 몇가지 경우에서는, 필름 뚜껑이 소비자에 의해 용기로부터 박리가능한 것이 필요하며, 이 경우 밀봉은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강해야 하지만 용기를 열 때 뚜껑을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없어야 한다. 특히 뚜껑은 박리 도중 인열되지 않아 부분 밀봉과 용이-박리 특성을 보여야 한다. 즉 깨끗한 박리가 예컨대 주위 온도와 같은 저온, 및 예컨대 오븐에서 포장된 식품 내용물을 가열한 후와 같은 고온, 양쪽 모두에서 요구될 수 있다.
열-밀봉가능한 필름, 특히 열-밀봉가능한 박리성 필름을 제공하는 목적을 위해서, 밀봉가능한 코팅층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얇은 코팅 층이 우수한 박리성을 가지고 더 경제적이지만, 너무 얇으면 충분한 부착력을 제공하지 않거나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없다. 너무 두꺼운 열-밀봉가능한 코팅 층은 증대된 열-밀봉 결합 강도로 인해 여는 중에 필름의 인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뚜껑용 필름의 선행 기술에서, 열-밀봉가능한 층은 종종 유기 용매 또는 수용성 분산액 또는 용액을 사용하여 기판에 도포되어왔다. 유기 용매는 해롭고, 사용 중 유해하거나 위험할 수 있고, 환경에 유해하거나 독성일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용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이런 방식으로 제조된 필름은 종종 잔류 용매를 함유하여, 식료품과 접촉하는 용도에 사용하기에는 적당하지 않을 수 있다. 유기 용매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그러한 용매가 필름 제조 동안에 사용되는 정상적인 권취 작업 동안에 필름의 블로킹 (blocking) 또는 끈적거림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비-직결" (off-line) 코팅 단계를, 즉 기판의 제조 중 사용된 어떤 연신과 이에 수반하는 열-경화 작업 후에 포함한다. WO-A-96/19333의 공정에서와 같은 수용성 분산액 또는 용액의 사용은 상당량의 유기 용매의 사용을 피하여 더욱 효율적인 "즉시처리" (on-line) 코팅 방법 (즉 필름 기판이 연신되기 전이나 또는 이축 연신 공정의 연신 단계 사이에 코팅층이 도포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게 하지만 수용성이거나 적당히 물에 분산가능한 코팅 조성물에 한한다. 즉시처리 방법은 비-직결 코팅 방법, 특히 비-직결 용액-코팅 방법에서 만나게 되는 추가적인 가열 또는 건조 단계의 사용을 피할 수 있다. 이들 방법은 필름을 무르게 하고 인장 특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즉시처리 코팅된 필름은 탁월한 기계적 특성을 가진다.
열-밀봉가능한 필름은 또한 다른 즉시처리 코팅 기술에 의해 제조되어왔다. 예를 들어, GB-2024715는 폴리올레핀계 기판 상에 종방향 및 횡방향 연신 작업 사이에 압출-코팅 기술을 사용하여 ("연신간" 코팅) 폴리올레핀계 물질을 도포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열-밀봉가능한 필름을 생산하기 위해 폴리에스테르 기판 상에 폴리올레핀을 즉시처리 연신간 압출-코팅하는 방법은 GB-1077813에 개시되어 있다. US-4333968는 열-밀봉가능한 박리성 필름을 제공하기 위해 폴리프로필렌 기판 상에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EVA) 코폴리머를 연신간 압출 코팅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조리-준비된 오븐용 음식은 밀봉된 용기뿐만 아니라 밀봉된 용기를 둘러싸는 슬리브를 또한 포함하는 포장으로 소비자에게 판매된다. 밀봉된 용기는 요리 전에 슬리브로부터 제거된다. 이 슬리브는 종종 판지판 또는 종이판로부터 제조되며 조리-준비된 음식의 이미지를 그 위에 인쇄한다. 또한, 슬리브는 음식의 조리 및(또는) 보관을 위한 인쇄된 사용법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부가적인 포장 요소는 제조 비용에 부가되지만 소비자에게 적절한 사용법을 제공하는 필요성 때문에라도 조리-준비된 오븐용 음식의 판매에 필수적으로 보인다. 추가로, 슬리브는 보관 및 이동 중 밀봉된 용기의 뚜껑용 필름이 손상되거나 또는 구멍이 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며, 전체 포장에 강성을 제공한다.
조리-준비된 오븐용 음식을 위한 보다 경제적인 포장수단, 특히 밀봉된 용기 주위에 부가적인 슬리브를 사용하는 것을 피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조리-준비된 오븐용 음식용 포장 수단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열-밀봉가능하고 수축성인 필름, 특히 열-밀봉가능하고, 박리성이며 수축성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열-밀봉가능한 층을 그 표면에 가지는 고분자 물질의 수축성 기판 층을 포함하는 열-밀봉가능한 다층 고분자 필름이 제공되며, 상기 수축성 기판 층은 열-밀봉가능한 다층 고분자 필름이 상기 수축성 기판 층에 적층된 추가의 수축성 층을 포함하지 않는 조건으로, 55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 걸쳐 제1 치수로 약 0 % 내지 약 50 %의 수축 정도를 가지고 55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 걸쳐 제2의 수직 치수로 약 5 내지 약 70 %의 수축 정도를 가진다.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에 따르면, 고분자 필름이 외측 수축성 기판 층과 내측 열-밀봉가능한 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 층이 55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 걸쳐 튜브의 종방향 치수로 약 0 % 내지 약 50 %의 수축 정도를 가지고 55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 걸쳐 튜브의 횡방향 치수로 약 5 내지 약 70 %의 수축 정도를 가지는, 열-밀봉가능한 다층 고분자 필름의 벽을 포함하는 개구형 튜브가 제공된다.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고분자 필름의 치수는 "기계 방향"과 "횡방향"의 용어로 정의되며, 이는 필름 생산 장치의 축에 대응된다. 기계 방향은 필름 생산 라인을 따른 이동 방향이며 필름의 세로 치수에 대응된다. 횡방향은 제조 동안 필름의 이동 방향에 직교 방향으로 필름의 횡방향 치수에 대응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름의 제1 치수는 기계 방향에 대응하고, 상기 필름의 제2 수직 치수는 횡방향에 대응한다.
편리하게는, 튜브의 종방향 치수는 그것이 제조되는 필름의 기계 방향에 대응하고; 튜브의 횡방향은 그것이 제조되는 필름의 횡방향에 대응한다.
본원에서 튜브의 종방향 치수에 대한 기준은 튜브의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벽의 치수에 있다. 튜브의 횡방향 치수는 종방향 치수에 수직이고, 그 중심에서 튜브 축을 가지는 단면에 의해 정의된 면에 있다. 튜브가 실린더인 경우, 횡방향치수는 튜브 축을 따른 임의의 점에서의 실린더의 원주이다.
일 구현양태에서, 다층 필름과 개구형 튜브는 상기 필름의 하나의 다층 부분이 상기 필름의 인접한 다층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하는 다수의 분리 수단을 가지며, 즉 기판과 열-밀봉가능한 층 사이에 경계에 의해 정의된 면에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분열 (cleavage)이 일어난다. 상기 분리는 튜브의 종방향 치수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치수를 따른 분열에 의해 적합하게 이루어진다. 적합하게는, 개구형 튜브와 다층 필름은 2개의 그러한 분리 수단을 가지며, 그에 의해 이하에 상술한 바와 같이 튜브가 2개의 주요 구역으로 분리될 수 있게 한다. 분리 수단은 한 세트의 천공, 적합하게는 그 종방향 치수, 또는 필름의 기계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튜브의 치수를 따라 연장된 한 세트의 천공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대안적인 구현양태에서, 각 분리 수단은 튜브의 종방향 치수에 따라 연장된 "인열 스트립" (tear strip) 형태를 취하며, 상기 인열 스트립은 통상적으로 2개의 평행한 세트의 천공을 포함하며, 각 세트는 서로로부터 약 5 mm 내지 20 mm 이격되어 인열 스트립이 그 말단을 고정하는 것과 튜브의 종방향 치수에 평행한 성분과 튜브의 표면에 직각인 성분을 가지는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제거가능하도록 한다. 그에 의해서, 2개의 그러한 인열 스트립의 사용은 튜브가 2개의 주요 구역으로 분리되도록 한다 (즉 인열 스트립을 포함하는 튜브의 부분을 배제함).
추가의 구현양태에서는, 별도의 분리 수단은 없다. 이 구현양태에서는, 필름 표면은 소비자를 위한 사용법으로 인쇄되어 필름을 2개의 주요 부분으로 분리한다. 예를 들면, 인쇄된 물질은 가이드 라인을 따라 절단하도록 소비자를 위한 사용법과 함께 튜브의 종방향 치수를 따라 정렬된 2 세트의 가이드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 기본 단계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i) 다층 필름을 이하에 상술한 바와 같이 우선 형성하는 단계;
(ii) 그후 다층 필름을 인쇄하는 단계;
(iii) 그후 예컨대 필름의 하나의 치수 (바람직하게는 기계 방향)를 따라 다수의 세트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천공을 배치시킴과 같이, 이하에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 수단을 필름 내로 혼입하는 단계;
(iv) 열-밀봉가능한 층이 용기와 접촉하도록 밀봉될 용기 위 또는 주위에 필름을 위치시키고, 그후 필름을 용기 벽의 상부 면에 밀봉하여 용기와 그 내용물을 밀봉하는 "뚜껑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 필름이 2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일련의 천공 (또는 2개의 인열 스트립)과 같은 별도의 분리 수단을 포함하는 경우, 용기와 접촉하는 필름의 부분이 2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일련의 천공 또는 상기 2개의 인열 스트립 사이의 필름의 부분이라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필름이 소비자를 위한 절단 가이드-라인으로 인쇄되는 경우, 용기에 접하는 필름의 부분이 상기 가이드-라인 사이의 필름 부분인 것이 이해될 수 있다. 필름의 "뚜껑 부분"의 치수는 필름이 밀봉될 용기의 치수에 의해 정해진다;
(v) 필름을 용기의 대향 측면 및 하면 주위로 둘러싸고 그후 필름의 한쪽 말단 부분을 필름의 다른 말단 부분에 밀봉하여 용기가 튜브 안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튜브를 형성하는 단계; 및
(vi) 그후 튜브가 용기 주위에 확실히 꼭 맞게 하도록 튜브를 수축시키기 위해 용기와 밀봉된 튜브를 열에 노출시키는 단계.
이하에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계는 바람직한 실행 순서로 반드시 배열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튜브의 형성은 용기 주위에 필름을 위치시키는 것과 뒤에 수반하는 용기의 밀봉에 선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예비-형성된 튜브는 용기 및 그 내용물 주위에 위치되어 튜브가 용기에 밀봉되어 뚜껑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인 단계 순서는 이하에 상술된다.
본 발명은 주로 이하에 추가로, 필름 또는 튜브가 상기한 별개의 분리 수단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양태를 참조로 기술된다. 그러나 필름, 튜브 및 그 사용 방법의 다음 기술은 또한 필름과 튜브가 단지 상기한 인쇄된 절단 가이드-라인을 포함하는 대안적인 구현양태에도 적용가능하다는 것도 이해된다.
2개의 분리 수단이 밀봉된 용기의 포장의 대향 측 상에 배치된다고 이해된다. 용기의 측면과 하면을 둘러싸는 튜브의 부분, 즉 "뚜껑 부분"이 아닌 튜브의 부분은 본원에서 "기부 부분"으로 불린다. 바람직한 구현양태에서, 2개의 분리 수단은 튜브의 "뚜껑 부분"으로부터 튜브의 "기부 부분"을 분리한다.
사용 중, 용기의 내용물을 요리 사이클에 넣기 전에, 튜브는 분리 수단인 천공을 따라 인열됨으로써 다중 부분, 바람직하게는 뚜껑 부분과 기부 부분으로 분리된다. 뚜껑 부분은 용기 상에 밀봉된 대로이다. 밀봉된 용기는 그후 오븐에서 요리 사이클에 넣어지게 된다. 보관, 요리 또는 접대를 위한 인쇄된 사용법 또는 영양 정보를 그 표면 상에 포함할 수 있는 기부 부분은 요리 사이클 동안 소비자에의해 참고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조리-준비된 오븐용 음식을 위해 필요한 포장량을 최소화하는 점에서 유리하다.
본원에 기술된 열-밀봉가능한 다층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열-밀봉가능한 박리성 다층 필름이다. 본원에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열-밀봉가능한 박리성 필름"은 열을 가했을 때 표면에 밀봉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밀봉이 필름의 갈라짐 없이 파단될 수 있는 필름을 나타낸다.
본원에 기술된 기판 층은 양쪽 치수로, 또는 오직 하나의 치수로 수축할 수 있다. 오직 하나의 치수로 수축이 있다면, 이 치수는 횡방향 치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양쪽 치수로 수축이 있는 경우, 하나의 치수의 수축 정도는 다른 수직 방향으로의 수축 정도와 같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양쪽 치수로 수축이 있는 경우, 100 ℃에서 횡방향 치수 대 종방향 치수의 수축 비율이 1:1 내지 10:1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횡방향 치수의 수축이 종방향 치수의 수축보다 크다. 즉 100 ℃에서 횡방향 치수 대 종방향 치수의 수축 비율이 1:1을 초과한다.
바람직하게는, 기판 층이 55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 걸쳐 상기 제1 치수 (바람직하게는 기계방향, 즉 튜브의 종방향 치수)로 약 0 % 내지 약 30 %, 바람직하게는 약 0 % 내지 약 20 %, 통상적으로는 약 0 % 내지 약 10 %의 수축 정도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기판 층이 55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 걸쳐 상기 제2 수직 치수 (바람직하게는 횡방향 치수, 즉 튜브의 횡방향 치수)로 약 5 내지 약 50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30 %, 통상적으로는 약 5 % 내지 약 20 %의 수축 정도를 가진다. 일 구현양태에서, 기판 층은 55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 걸쳐 상기 제2 수직 치수(바람직하게는 횡방향 치수, 즉 튜브의 횡방향 치수)로 10 % 이상의 수축 정도를 가진다.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필름의 수축 특성은 그 제조 동안 사용된 연신비와 열-경화율에 의해 결정된다. 열-경화 되지 않은 필름의 수축 거동은 그 필름의 제조 동안 연신된 정도에 대응된다. 열-경화 없이는, 고도로 연신된 필름은 이후에 열에 노출되었을 때 고도의 수축 정도를 보인다; 단지 소량으로 연신된 필름은 소량의 수축을 보일 것이다. 열-경화는 연신된 필름에 치수 안정성을 제공하며, 그 연신된 상태에 필름을 고정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열의 작용 하에서 필름의 수축 거동은 그 제조 동안 행해진 임의의 연신 작업(들) 후에 필름이 어느 정도로, 그리고 어떻게 열-경화되었느냐에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열 고정 작업 동안에 온도 T1를 겪은 필름은, 제조 후에 열에 노출될 때, 온도 T1아래에서 실질적으로 수축을 보이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원하는 수축 특성을 얻기 위해서, 튜브 제조용 필름은 대칭적인 수축이 요구되는지 여부에 따라 일축 또는 이축 연신되어야 한다. 필름은 연신이 행해진 후에 부분적으로 열-경화되거나, 또는 연신이 행해진 후 열-경화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필름은 통상적으로 표준 APET/CPET 접시에 밀봉될 때 200 내지 1400 g/25mm2, 바람직하게는 약 200 내지 약 1000 g/25mm2의 범위인 열-밀봉 값 (실온에서)을 나타낸다. 필름의 그 자체에 대한 통상적인 열 밀봉 강도는 600 내지 800 g/25mm2범위이다.
다층 필름의 각 층은 이하에 상술된다.
기판 층은 자기-지지형 필름 또는 시트이며, 이는 지지 기부 없이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필름 또는 시트를 의미한다. 기판 층은 용기 뚜껑과 슬리브로서 작용하도록 요구되며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수축 정도를 나타내야 한다. 따라서, 기판 층이 55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 걸쳐 하나의 치수 (바람직하게는 기계 치수)로 약 0 % 내지 약 50 %의 수축 정도를 가져야 하며, 55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 걸쳐 다른 치수 (바람직하게는 횡방향 치수)로 약 5 내지 약 70 %의 수축 정도를 가져야 한다. 양쪽 치수로 필름이 수축되는 경우, 100 ℃에서 횡방향 치수 대 기계 치수의 수축 비율이 1:1 내지 10:1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횡방향 치수의 수축이 기계 치수의 수축보다 크다. 즉 100 ℃에서의 횡방향 치수 대 기계 치수의 수축 비율이 1:1을 초과한다.
기판 층은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한다. 그러한 물질은 1-올레핀, 예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및 부트-1-엔의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폴리아미드,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코폴리에스테르 포함), PVC, PVA,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레이트, 셀룰로스 및 나일론 (나일론 6, 나일론 6,6을 포함)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물질이며, 특히 합성 선형 폴리에스테르이다.
기판 층의 형성에 유용한 합성 선형 폴리에스테르는 하나 이상의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저급 알킬 디에스테르, 예를 들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2,5-, 2,6-, 또는 2,7-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숙신산, 세바신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헥사히드로-테레프탈산 또는 1,2-비스-p-카르복시페녹시에탄 (임의로 피발산과 같은 모노카르복실산과 함께)과 하나 이상의 글리콜, 특히 지방족 또는 지환족 글리콜,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축합시킴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이 바람직하다. 지방족 글리콜이 바람직하다.
일 구현양태에서, 기판 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또는 대부분의 반복 단위가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현양태에서, 기판 층은 테레프탈산(TPA) 및 이소프탈산(IPA)과 지방족 및 지환족 디올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디올과의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단위 대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단위의 몰비는 1 내지 40 몰% 이소프탈레이트 및 99 내지 60 몰% 테레프탈레이트,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 몰% 이소프탈레이트 및 85 내지 80 몰% 테레프탈레이트이다.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 코폴리에스테르는 테레프탈산 및 이소프탈산과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상기 기재된 디올,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디올,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글리콜의 축중합에 의해 수득될 수도 있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양태에서, 기판 층은 실질적으로 18 몰%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및 82 몰%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한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기판은 상기 필름-형성 물질의 하나 이상의 별개의 층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층의 고분자 물질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기판은 1, 2, 3, 4 또는 5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전형적인 다층 구조는 AB, ABA, ABC, ABAB, ABABA 또는 ABCBA 유형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판은 바람직하게는 AB 또는 ABA 층 구조인 두개 또는 세개의 층을 포함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2층 AB 구조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양태에서, 기판은 AB 또는 ABA 층 구조를 포함하며, B 층은 상기한 바와 같이 포함하며 PET 또는 TPA/IPA 코폴리머를, 바람직하게는 TPA/IPA 코폴리머를, A 층은 테레프탈산과 2종 이상의 지방족 글리콜,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글리콜과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과의 코폴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35 몰%, 바람직하게는 약 33 몰% 1,4 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및 약 65 내지 70 몰%, 바람직하게는 약 67 몰% 에틸렌 글리콜을 갖는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다층 구조가 AB 타입 구조이며, B 층이 상기한 바와 같이 PET 또는 TPA/IPA 코폴리머, 바람직하게는 TPA/IPA 코폴리머인 경우, 열-밀봉가능한 층이 A 층 상에 형성된다.
대안적인 구현양태에서, 기판 층은 테레프탈산과 2종 이상의 지방족 글리콜,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글리콜과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과의 코폴리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35 몰%, 바람직하게는 약 33 몰%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및 약 65 내지 70 몰%, 바람직하게는 약 67 몰% 에틸렌 글리콜을 갖는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추가의 대안적인 구현양태에서, 기판 층은 테레프탈산, 디히드록시에틸 아젤라산 및 에틸렌 글리콜의 코폴리머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코폴리머의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약 90 내지 99 % 테레프탈산 및 약 1 내지 10 % 디히드록시에틸 아젤라산, 특히 약 95 % 테레프탈산 및 약 5 % 디히드록시에틸 아젤라산의 몰비로 존재한다.
열-밀봉가능한 층은 용기의 표면에 열-밀봉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층이다. 열-밀봉가능한 층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데, 이는 물질을 결합시키고자 하는 표면에 부착되기에 적합하게 습윤되도록 하기 위하여, 그의 점도가 충분히 낮게 되는 충분한 정도까지 연화되어야 한다. 열-밀봉 결합은, 필름 중 다른 층을 용융시키지 않은 채로, 열-밀봉가능한 층의 고분자 물질을 연화시키기 위해 가열하고, 임의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실행된다. 따라서, 열-밀봉가능한 층의 고분자는, 열-밀봉 결합이 필름의 다른 층의 고분자 물질의 융점 미만인 온도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온도에서 연화되기 시작해야 한다. 하나의 구현양태에서, 필름의 다른 층의 고분자 물질의 융점보다 약 5 내지 50℃ 아래,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30℃ 아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0℃ 아래인 온도에서 열-밀봉 결합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온도에서 열-밀봉가능한 층의 고분자가 연화되기 시작해야 한다.
열-밀봉가능한 층은 적합하게는 폴리에스테르, EVA 수지 (듀퐁사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에서 상품명 Elvax(등록상표)로 얻을 수 있는 것과 같은) 또는 폴리올레핀 (개질 폴리에틸렌과 같은)과 같은 고분자를 포함한다. 필름이 듀얼-오븐용 조리-준비된 음식의 포장을 위한 것인 경우, 열-밀봉가능한 층은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EVA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열-밀봉가능한 층은 일반적으로 오로지 초단파 오븐에서만 가열되도록 한 조리-준비된 음식의 포장에만 적합하다.
열-밀봉가능한 층은 적절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특히 하나 이상의 디카르복실산(들) 또는 하나 이상의 글리콜(들), 특히 지방족 또는 지환족 글리콜,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글리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킬렌 글리콜과의 저급 알킬(탄소수 14 이하) 디에스테르로부터 유래된 특히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한다. 적절한 디카르복실산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예컨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또는 2,5-, 2,6- 또는 2,7-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및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예컨대 숙신산, 세바신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수베르산 또는 피멜산을 포함한다. 적절한 글리콜(들)은 지방족 디올,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탄 디올, 1,4-부탄 디올, 1,5-펜탄 디올, 2,2-디메틸-1,3-프로판 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및 1,6-헥산 디올, 및 지환족 디올, 예컨대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및 1,4-시클로헥산디올을 포함한다. 에틸렌 글리콜 또는 1,4-부탄디올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열-밀봉가능한 층은 적어도 2개의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래된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코폴리에스테르의 형성은 일반적으로 275℃ 이하의 온도에서 축합, 또는 에스테르-상호교환에 의해 공지된 방법으로 편리하게 수행된다.
바람직한 구현양태에서, 열-경화가능한 층의 코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이다. 바람직한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은 세바신산, 아디프산 및 아젤라산으로부터 선택된다. 코폴리에스테르에 존재하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코폴리에스테르의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기초로 하여 45 내지 80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몰%, 특히 55 내지 65 몰%이다. 코폴리에스테르에 존재하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코폴리에스테르의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기초로 하여 20 내지 55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몰%, 특히 35 내지 45 몰%의 범위이다. 이러한 코폴리에스테르의 특히 바람직한 예는 (i) 아젤라산 및 테레프탈산과 지방족 글리콜,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글리콜의 코폴리에스테르; (ii) 아디프산 및 테레프탈산과 지방족 글리콜,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글리콜의 코폴리에스테르; 및 (iii) 세바신산 및 테레프탈산과 지방족 글리콜, 바람직하게는 부틸렌 글리콜의 코폴리에스테르이다. 바람직한 고분자는, -40℃의 유리 전이 온도(Tg) 및 117℃의 융점(Tm)을 갖는 세바신산/테레프탈산/부틸렌 글리콜 (바람직하게는 45-55/55-45/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50/100의 상대 몰비로 성분들을 가짐)의 코폴리에스테르, 및 -15℃의 Tg및 150℃의 Tm을 갖는 아젤라산/테레프탈산/에틸렌 글리콜 (바람직하게는 40-50/60-50/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45/55/100의 상대 몰비로 성분들을 가짐)의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대안적인 구현양태에서, 열-밀봉가능한 층은 지방족 디올 및 지환족 디올과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디카르복실산(들),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래된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만족스런 열-밀봉가능한 성질을 제공하는 전형적인 폴리에스테르는 테레프탈산과 지방족 디올 및 지환족 디올, 특히 에틸렌 글리콜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의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지환족 디올 대 지방족 디올의 바람직한 몰비는 10:90 내지 60:40, 바람직하게는 20:80 내지 40:6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70 내지 35:65의 범위이다. 바람직한 구현양태에서, 코폴리에스테르는 테레프탈산과 약 33 몰%의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및 약 67 몰% 에틸렌 글리콜의 코폴리에스테르이다. 이러한 고분자의 예는 테레프탈산, 약 33 %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및 약 67 % 에틸렌 글리콜의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고 항상 비결정성인 PETGTM6763 (이스트만(Eastman))이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구현양태에서, 열-밀봉가능한 층은 에틸렌 글리콜 대신에 부탄 디올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층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3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100 ㎛, 통상적으로는 약 30 내지 55 ㎛이다.
기판 층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약 5 내지 약 250 ㎛,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1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2 내지 약 75 ㎛, 통상적으로 약 35 내지 약 40 ㎛의 범위 안에 있다.
열-밀봉 층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기판 층의 두께의 약 1 내지 30 %이다. 열-밀봉가능한 층은 약 50 ㎛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2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 ㎛ 내지 6㎛,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4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더욱 두꺼운 열-밀봉가능한 층은 일반적으로 더욱 강력한 열-밀봉 결합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에 따르면,
(i) 55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 걸쳐 한 치수 (바람직하게는 기계 치수)로 약 0 % 내지 약 50 %의 수축 정도를 가지고 55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 걸쳐 다른 치수 (바람직하게는 횡방향 치수)로 약 5 내지 약 70 %의 수축 정도를 가지는 고분자 필름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ii) 상기 고분자 필름 기판의 제1 표면 상에 열-밀봉가능한 층을, 상기 열-밀봉가능한 층의 고분자 물질로 기판의 표면을 코팅하거나, 열-밀봉가능한 층과 기판의 각각의 필름-형성 고분자 물질의 공압출에 의해 제공하는 단계;
(iii) 임의로 열-밀봉가능한 층에 접하는 면과 반대쪽의 기판 면상에 인쇄가능 또는 잉크-수용성 층을 제공하고, 임의로 상기 인쇄가능 또는 잉크-수용성 층 상에 인쇄하는 단계; 및
(iv) 임의로 예컨대 필름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다수의 세트의 천공을 형성하는 것과 같이, 필름 중에 분리 수단을 혼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층 고분자 필름의 생산 방법이 제공된다.
천공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임의의 통상 기술, 예컨대 기계 펀칭, 스코어링 또는 불꽃 또는 레이저 어블레이션을 사용하여 도입될 수 있다.
상기한 공정은 열-밀봉가능한 층이 적층 기술을 사용하여 기판 층에 도포되는 공정을 배제한다고 이해될 것이다.
기판의 형성은 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적인 기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편리하게는, 기판의 형성은 압출 공정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압출 공정은 일반적으로 용융된 고분자의 층을 압출하고, 압출물을 급냉시키고, 급냉된 압출물을 적어도 한 방향으로 배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판은 일축-배향될 수도 있지만, 이축-배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향은 배향된 필름을 생성하기 위해 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관형 또는 평판 필름 방법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축 배향은 기계적 및 물리적 성질의 만족스런 조합을 달성하기 위해 필름의 평면에서 2개의 상호 수직 방향으로 연신시킴으로써 실행된다.
관형 방법에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관을 압출한 다음, 이어서 급냉하고, 재가열한 다음, 내부 기체 압력에 의해 팽창시켜 횡방향 배향을 유도하고, 종방향 배향을 유도하는 속도로 취출함으로써 동시 이축 배향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한 평판 필름 방법에서, 슬롯 다이를 통해 기판-형성 폴리에스테르를 압출하고, 냉각 주조 드럼 위에서 빨리 급냉시켜, 폴리에스테르가 비결정성 상태로 급냉되도록 한다. 이어서, 급냉된 압출물을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연신시킴으로써 배향을 실행한다. 먼저, 평평하고 급냉된 압출물을 하나의 방향, 통상 종방향, 다시 말해서 필름 연신 기계를 통한 전진 방향으로 연신한 다음 횡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순차 배향을 실행할 수도 있다. 압출물의 전진 연신은 회전 롤 세트 위에서 또는 두쌍의 닙 롤 사이에서 편리하게 실행되며, 이어서 스텐터 장치에서 가로 연신이 실행된다. 별법으로,주조 필름은 이축 스텐터에서 전진 방향 및 횡방향 둘다로 동시에 연신될 수 있다. 연신은 폴리에스테르의 성질에 의해 결정된 정도까지 실행되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통상 배향된 필름의 치수가 연신 방향 또는 각각의 연신 방향에서 원래의 치수의 2 내지 5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5배가 되도록 연신된다. 전형적으로, 70 내지 125 ℃의 온도에서 연신을 실행한다. 단지 하나의 방향에서 배향이 요구된다면, 더욱 큰 연신비 (예를 들어, 약 8배 이하)가 사용될 수도 있다. 기계 및 횡방향에서 동일하게 연신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지만, 균형된 특성이 요망된다면 이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의 결정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연신된 필름을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이지만 그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치수 제약하에 열-경화에 의해 치수적으로 안정화시킬 수도 있고, 이것이 바람직하다. 실제 열-경화 온도 및 시간은 필름의 조성에 따라 변하지만, 필름의 내인열성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도록 선택되어서는 안된다. 이러한 제약내에서, GB-A-838708호에 기재된 것과 같이 약 80 ℃ 내지 250 ℃의 열 경화 온도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기판이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한다면,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배향되고 열-경화될 수 있는 다층 고분자 필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다수-구멍 다이의 독립적인 구멍을 통해 각각의 필름-형성 층을 동시에 공압출하고 그 후에 여전히 용융된 층들을 통합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고분자의 용융된 흐름을 먼저 다이 매니폴드로 통하는 채널 내에서 통합한 다음, 서로 혼합되지 않는 흐름선 유동 조건하에서 다이 구멍으로부터 함께 압출하는 단일-채널 공압출함으로써, 공압출에 의해 기판의 제조를 편리하게 실행한다. 다층 기판의 형성은, 예를 들어 미리형성된 두번째 층 위에 첫번째 층을 주조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기판 위에 열-밀봉가능한 층을 형성시키기에 앞서서, 표면과 이후 도포되는 층 사이에 결합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원한다면, 기판의 노출된 표면을 화학적 또는 물리적 표면-변형 처리할 수도 있다. 그의 단순성 및 효율성 때문에, 바람직한 처리는, 기판의 노출된 표면을 코로나 방전을 수반하는 고압 전기 응력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기판 고분자 위에서 용매 또는 팽윤 작용을 갖도록 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시약으로 기판으로 예비처리할 수도 있다. 폴리에스테르 기판의 처리를 위해 특히 적절한 이러한 시약의 예는 통상적인 유기 용매에 용해된 할로겐화 페놀, 예를 들어 아세톤 또는 메탄올 중의 p-클로로-m-크레졸, 2,4-디클로로페놀, 2,4,5- 또는 2,4,6-트리클로로페놀 또는 4-클로로레조르시놀의 용액을 포함한다.
코로나 방전에 의한 바람직한 처리는, 고 주파수, 고 전압 발생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kv의 전위에서 1 내지 20 kW의 전력 출력을 갖는 통상적인 장치를 사용하여 대기압에서 공기중에서 실행될 수 있다. 방전은 통상적으로 방전 스테이션에서 바람직하게는 1분당 1.0 내지 500 m의 선형 속도로 유전 지지체 롤러 위로 필름을 통과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방전 전극은 이동 필름 표면으로부터 0.1 내지 10.0 mm에 위치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한 바와 같이 기판의 고분자 물질과의 공압출에 의해 열-밀봉가능한 층을 형성하는 것은 폴리에스테르, EVA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열-밀봉가능한 층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코팅 기술을 사용하여 기판 층 상에 열-밀봉가능한 층을 형성하는 것은 공지된 적합한 코팅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코팅 기술의 선택은 열-밀봉가능한 층의 고분자 물질의 본성에 의해 크게 좌우될 것이다. 열-밀봉가능한 층은 즉시처리 또는 비-직결 공정, 바람직하게는 즉시처리 공정, 더욱 바람직하게는 연신간 즉시처리 코팅 공정을 사용하여 코팅될 수 있다. 열-밀봉가능한 층은 고분자 물질의 용액, 분산액 또는 현탁액으로부터, 또는 스프레이로서 코팅될 수 있다. 열-밀봉가능한 층은 또한 압출 또는 용융-코팅 기술, 바람직하게는 용융-코팅 기술을 이용하여 용융된 형태로 코팅될 수 있다.
압출-코팅은 마인스톤 (K. A. Mainstone)에 의해 기술된 문헌[Modern Plastics Encyclopedia, 1983-84, Vol. 60, No.10A, Edition 1, ppl95-198 (McGraw-Hill, NY)]과 또한 프란츠 더스트와 한스-군트 와그너 (Franz Durst, Hans-Guente Wagner)에 의해 기술된 문헌[Liquid Film Coating (Chapman and Hall; 1997; Eds S. F. Kistler and P. M. Schweizer; Chapter 11a)]에 기술되어 있다. 압출-코팅 공정은 일반적으로 고분자의 중간 또는 고도의 점도 (50 Pa.s 이상 및 약 5000 Pa.s 이하)를 가진 고분자에 대해 사용되며, 다이와 기판 사이에 에어-갭 (통상적으로 약 6 인치(15 cm))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즉시처리 압출-코팅 기술의 사용은 적절한 점도를 가지는 고분자에만 한정되지 않고, 또한 필름의 이후의 가공 공정에서 점착 또는 블로킹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고분자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양태에서, 열-밀봉가능한 층의 형성은 이하에 상술한 바와 같이 용융-코팅 기술에 의해 수행되며, 특히 열-밀봉가능한 층이 폴리에스테르 또는 EVA 수지이고, 특히 열-밀봉가능한 층이 폴리에스테르이다.
바람직한 구현양태에서, 상기 필름의 생산 방법의 단계 (i)과 (ii)가
(a) 고분자 물질의 상기 기판 층을 용융-압출하는 단계;
(b) 상기 기판을 제1 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
(c) 임의로 상기 기판을 제2 수직 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
(d) 임의로 상기 연신된 필름을 열-경화하는 단계;
(e) 열-밀봉가능한 코팅층을 기판의 표면 상에, 용융 고분자 물질을 그 위에 직접 용융-코팅하여 형성시키는 단계; 및
(f) 코팅된 기판을 냉각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용융-코팅 공정에 의해 수행되며, 코팅 단계 (e)가 단계 (b) 이전 또는 단계 (b)와 (c) 사이에 수행된다.
용융-코팅 공정은 8 ㎛ 미만의 두께를 가지는 열-밀봉가능한 코팅 층을 도포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또한 용융-코팅 공정은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열-밀봉가능한 코팅 층에 특히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융-코팅 공정은 상기 제2 수직 방향으로 기판을 연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 경우 용융-코팅 단계 (e)는 바람직하게는 단계 (b)와 (c) 사이에 있다.
특히 열-밀봉가능한 코팅 층이 테레프탈레이트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코폴리에스테르인, 바람직한 용융-코팅 공정은 코팅 단계에 앞서서 코팅 층의 고분자 물질에 물을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물은 코팅 층의 코폴리에스테르의 중량 대비 약 3000 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500 pp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2000 ppm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600 ppm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바람직하게는 물은 코팅 층의 코폴리에스테르의 중량 대비 바람직하게는 500 pp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 pp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0 ppm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300 ppm 이상의 양으로 첨가된다. 물은, 고분자가 대기 습기를 조절된 양만큼 흡수하게 함으로써, 또는 고분자 칩에 기지량의 물을 첨가함으로써 첨가될 수 있다. 양쪽 경우에, 실제적으로는 건조된 고분자로 시작하여 그 고분자가 원하는 함수량을 갖도록 조절한다. 바람직한 방법은 기지 습도와 온도의 공기를, 고분자를 함유하는 용기를 통해 일정한 기간 동안 통과시키는 것이다. 고분자에 의해 흡수된 습기의 측정은 표준 분석 기술에 의해 쉽게 계산될 수 있다. 코팅 조성물에 불충분한 물이 존재한다면, 코폴리에스테르의 용융-코팅성이 매우 어렵게 되고(되거나) 열-밀봉 결합이 박리성을 위해서는 너무 강하게 된다. 만일 코폴리에스테르가 너무 많은 물을 포함한다면, 그때 코팅 층의 열-밀봉성은 부적절하게 되고, 마감된 필름은 또한 바람직하지 않은 "블룸" (필름 중 또는 표면상의 백색 잔류물)을 나타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용융-코팅"은,
(1) 코팅 액체가 코팅 다이를 통해 코팅 다이의 폭에 걸쳐 균일한 액체 유속을 제공하도록 기판 상에 압송되며;
(2) 상기 코팅 다이가 분배 챔버, 피드 슬롯, 및 다운스트림과 업스트림 다이 립을 포함하며, 상기 피드 슬롯이 상기 다운스트림과 업스트림 다이 립을 분리하며, 다이 립과 기판에 의해 한정된 영역이 코팅 갭을 형성하고;
(3) 다운스트림 다이 립 하의 코팅 갭이 코팅 액체에 의해 채워지며; 및
(4) 업스트림 다이 립 하의 코팅 갭이 코팅 액체에 의해 채워지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채워지거나, 완전히 채워지지만, 바람직하게는 코팅 액체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방법을 지칭한다.
용융-코팅 방법에서 코팅 갭은 압출-코팅과 같은 다른 코팅 방법에 비해서는 작다. 용융-코팅에서 코팅 갭은 바람직하게는 습식 코팅 층의 두께의 2배 내지 10 배 사이이다. 몇가지 경우에, 코팅 갭은 코팅 액체의 점도, 코팅의 라인 속도, 및 코팅 다이의 치수 및 결합구조와 같은 인자에 좌우되어, 습식 코팅 층의 두께의 2배 미만, 또는 10 배 초과일 수 있다. 용융-코팅 방법과 그에 유용한 장비는 프란츠 더스트와 한스-군트 와그너에 의해 기술된 문헌[Liquid Film Coating (Chapman and Hall; 1997; Eds S. F. Kistler and P. M. Schweizer; Chapter 11a); 용융-코팅이 "슬롯-코팅"으로 지칭됨] (여기에서 참고문헌으로 인용됨)에 상술된다.
용융-코팅에서, 기판에의 도포시점에서 용융된 코팅 액체의 점도가 너무 높아 고분자가 적절히 흐르지 않아서 결국 코팅 중 어려움과 불균일한 코팅 두께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가공 온도에서 코팅 층 고분자의 점도는 약 50 Pa.s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30 Pa.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 Pa.s 이하이며, 통상적으로는 0.005 Pa.s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Pa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 Pa.s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 Pa.s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5 Pa.s 이상, 특히 10 Pa.s 이상이다. 고분자가 그러한 용융 점도를 나타내는통상적인 작동 온도는 200 내지 260 ℃, 구체적으로는 220 내지 250 ℃, 보다 구체적으로는 230 내지 250 ℃의 범위 내에 있다.
상기한 용융-코팅 공정에서, 코팅 액체는 코팅 다이로부터 코팅하려고 하는 기판 상으로 직접 도포된다.
상기 용융-코팅 공정에서 바람직한 코폴리에스테르는 2개 이상의 디카르복실산,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다. 특히 바람직한 코폴리에스테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세바신산 및 테레프탈산과 지방족 글리콜, 바람직하게는 부틸렌 글리콜로부터 유도된 것이다. 그러한 코폴리에스테르는 양호한 박리성을 제공하고 인열되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10 ℃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 ℃ 미만,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50 ℃ 내지 0 ℃ 범위 내, 특히 -50 ℃ 내지 -10 ℃의 유리 전이점을 갖는다. 또한, 그러한 코폴리에스테르는 적당한 열-밀봉 결합을 얻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90 ℃ 내지 2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 내지 175 ℃, 특히 110 ℃ 내지 155 ℃의 범위의 녹는 점을 갖는다.
상기 즉시처리 용융-코팅 공정은, 열-밀봉가능한 층이 그에 최종 수축 특성을 부여하기 전에 기판에 도포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에 따르면, 상기 공정, 특히 상기 용융-코팅 공정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획득가능한, 상기한 바와 같은 다층 열-밀봉가능한 수축성 필름, 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다층 열-밀봉가능한 수축성 필름을 포함하는 개구형 튜브가 제공된다.
고분자 필름의 하나 이상의 층은 고분자 필름의 제조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첨가제를 편리하게 함유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가교제, 염료, 안료, 공극제, 윤활제, 산화방지제, 라디칼 스캐빈져, UV 흡수제, 열 안정화제, 차폐방지제, 표면 활성제, 미끄럼 보조제, 광학 광택제, 광택 개선제, 프로디그래던트 (prodegradents), 점도 개질제, 및 분산 안정화제를 적절하게 혼입할 수도 있다. 특히, 층은 제조 동안 취급성 및 권취성 (windability)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입상 충진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입상 충진제는 예를 들어 입상 무기 충진제 또는 불화합성 수지 충진제 또는 2종 이상의 충진제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불화합성 수지"란 필름의 압출 및 제조 동안에 부딪히는 최고온에서 용융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고분자와 불혼화성인 수지를 의미한다. 불화합성 수지가 존재하면 통상 공극을 가진 층이 얻어지고, 이는 층이 별개의 폐쇄 기포를 적어도 일부 함유하는 세포상구조를 포함함을 의미한다. 적절한 불화합성 수지는 폴리아미드 및 올레핀 고분자, 특히 분자내에 6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모노-알파-올레핀의 호모 또는 코폴리머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물질은 저 밀도 또는 고 밀도 올레핀 호모폴리머, 특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4-메틸펜텐-1, 올레핀 코폴리머, 특히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랜덤, 블록 또는 그라프트 코폴리머가 사용될 수도 있다.
입상 무기 충진제는 통상적인 무기 충진제, 특히 금속 또는 준금속 산화물, 예컨대 알루미나, 실리카 (특히, 침전 또는 규조토 실리카 및 실리카 겔) 및 티타니아, 하소 차이나 점토 및 알칼리 금속 염, 예컨대 칼슘 및 바륨의 탄산염 및 황산염을 포함한다. 입상 무기 충진제는 공극형 또는 비-공극형일 수 있다. 적절한 입상 무기 충진제는 균질일 수도 있고, 단일 충진제 물질 또는 배합물, 예컨대 이산화티탄 또는 황산 바륨 단독으로 필수적으로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충진제의 적어도 일부는 비균질성이고, 주요 충진제 물질이 추가의 개질 성분과 조합된다. 예를 들어, 1차 충진제 입자를 표면 개질제, 예컨대 안료, 비누, 계면활성제 결합제 또는 기타 개질제로 처리하여, 충진제가 기판 층 고분자와 화합되는 정도를 촉진 또는 변경시킨다.
바람직한 입상 무기 충진제는 이산화티탄 및 실리카를 포함한다.
이산화티탄 입자는 아나타제 또는 루틸 결정 형태일 수도 있다. 이산화티탄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대부분의 루틸,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이상, 특히 80 중량% 이상, 특히 대략 100 중량%의 루틸을 포함한다. 입자는 표준 절차, 예컨대 클로라이드 방법 또는 술페이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산화티탄 입자를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규소, 아연, 마그네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무기 산화물로 코팅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코팅은 탄소수 8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 내지 24의 지방산, 바람직하게는 알칸올과 같은 유기 화합물(들)을 추가로 포함한다.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 또는 폴리오르가노히드로겐실록산, 예컨대 폴리디메틸실록산 또는 폴리메틸히드로겐실록산이 적절한 유기 화합물이다. 코팅은 수성 현탁액 중의 이산화티탄 입자에 적절히 도포된다. 무기 산화물은 소듐 알루미네이트, 황산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질산알루미늄, 규산 또는 규산나트륨과 같은 수용성 화합물로부터의 수성 현탁액에서 침전된다. 이산화티탄 입자 위의 코팅 층은, 이산화티탄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 % 범위의 무기 산화물, 및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 범위의 유기 화합물이다.
무기 충진제는 미세하게 분리되어야 하고, 부피 분포된 중간 입자 직경 (모든 입자의 부피의 50 %에 상응하는 동등한 구형 직경, 입자의 직경에 대한 부피%에 관련된 누적 분포 곡선 위에서 판독됨 - 종종 "D(v, 0.5)" 값이라 일컬어짐)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5 ㎛, 특히 0.15 내지 1.2 ㎛의 범위이다.
무기 충진제 입자의 크기 분포도 또한 중요한 매개변수이고, 예를 들어 과다하게 큰 입자가 존재하면 보기흉한 "얼룩"을 나타내는 필름이 얻어질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필름에 각각의 충진제 입자가 존재하는 것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다. 무기 충진제 입자의 어느 것도 30 ㎛를 초과하는 실제 입자 크기를 갖지 않아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크기를 초과하는 입자들은 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사별(sieving) 방법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사별 작업은 선택된 크기보다 큰 입자를 전부 제거하는데 항상 성공적인 것은 아니다. 따라서, 실제로, 무기 충진제 입자 수의 99.9 %의 크기가 30 ㎛를 초과해서는 안되고, 바람직하게는 2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바람직하게는, 무기 충진제 입자의 90 부피%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부피% 이상이 부피 분포된 평균 입자 직경 ±0.8 ㎛, 특히 ±0.5 ㎛의 범위내에 있다.
충진제 입자의 입자 크기는 전자 현미경, 코울터 계수기, 침강 분석 및 정적 또는 동적 광 산란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레이저 광 확산을 근거로 한 기술이바람직하다. 선택된 입자 크기 미만의 입자 부피 퍼센트를 나타내는 누적 분포 곡선을 그래프화하고 50번째 백분위수를 측정함으로써 평균 입자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층의 조성물의 성분들을 통상적인 방식으로 함께 혼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층 고분자가 유래된 단량체 반응물과 혼합하거나, 또는 성분들을 텀블 또는 건조 배합에 의해 또는 압출기에서 배합함으로써 고분자와 함께 혼합한 다음, 냉각시키고, 통상 입자 또는 조각으로 분쇄한다. 마스터배치 기술이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하나의 구현양태에서, 본 발명의 필름은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바람직하게는 표준 ASTM D 1003에 따라 측정시 10 % 미만, 바람직하게는 6 %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 미만, 특히 2 % 미만의 산란된 가시광(헤이즈)의 %를 갖는다. 이러한 구현양태에서, 충진제는 전형적으로 단지 소량, 일반적으로 주어진 층의 중량의 0.5 %를 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0.2 % 미만의 양으로 존재한다.
대안적인 구현양태에서, 필름은 불투명하고, 고 충진되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1.25, 더욱 바람직하게는 0.35 내지 0.75, 특히 0.45 내지 0.65 범위의 투과 광학 밀도(TOD) (사꾸라 밀도계(Sakura Densimeter); 유형 PDA 65; 투과 양상)를 나타낸다. 고분자 배합물에 유효량의 불투명화제를 혼입함으로써 필름을 편리하게 불투명화한다. 적절한 불투명화제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불화합성 수지 충진제, 입상 무기 충진제, 또는 2종 이상의 충진제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주어진 층에 존재하는충진제의 양은 층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30 %,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내지 20 %, 특히 4 % 내지 15 %, 특히 5 % 내지 10 % 범위이다.
불투명 필름의 표면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측정시에,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20,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10, 특별하게는 90 내지 105, 특히 95 내지 100 유니트의 백색도 지수를 나타낸다.
열-밀봉가능한 층과 접촉된 기판의 표면을 여기에서 1차 면이라 일컫는다. 열-밀봉가능한 층과 접촉되는 면에 반대쪽의 기판 면을 여기에서 2차 면이라 일컫는다. 기판의 2차 면은 그 위에 하나 이상의 추가의 고분자 층 또는 코팅 물질을 가질 수 있다. 2차 면의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즉시처리" 방식으로 수행된다.
하나의 구현양태에서, 특히 필름 기판이 PET 폴리에스테르 기판일 때, 필름의 취급성 및 권취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2차 면 위의 추가의 코팅이 "미끄럼 코팅"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적절한 미끄럼 코팅은 예를 들어, EP-A-0408197 (여기에서 참고문헌으로 인용됨)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임의로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 고분자 수지의 불연속 층일 수 있다. 대안적인 미끄럼 코팅은 US-5925428 및 US-5882798 (여기에서 참고문헌으로 인용됨)에 개시된 바와 같이 규산칼륨 코팅을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의 구현양태에서, 필름은 그 한쪽 면 상, 바람직하게는 기판의 2차 면 상에 인쇄가능 또는 잉크-수용성 층, 및 임의로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필름과 인쇄가능 또는 인쇄-수용성 층 사이에 프라이머 층 (여기에서 참고문헌으로 인용된, EP-0680409, EP-0429179, EP-0408197, EP-0576179 또는 WO-97/37849에 개시된 것과 같은)을 가진다. 적합한 인쇄가능 또는 잉크-수용성 층은, 예컨대 여기에서 참고문헌으로 인용된 EP-0696516, US-5888635, US-5663030, EP-0289162, EP-0349141, EP-0111819 및 EP-0680409에 개시되어 있다. 당업계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열-밀봉가능한 층을 역-인쇄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바람직한 잉크-수용성 층은 EP-A-040819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 고분자 수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수용성 층 고분자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와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현양태에서, 고분자는 에틸 아크릴레이트와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이다. 바람직한 구현양태에서,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는 약 30 내지 약 65 몰% 범위의 비율로 존재하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는 약 20 내지 약 60 몰% 범위의 비율로 존재한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양태에서는, 고분자는 약 35 내지 60 몰% 에틸 아크릴레이트, 약 30 내지 55 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약 2 내지 20 몰% 메타크릴아미드를 포함한다. 그러한 고분자는 수용성 분산액 또는 다르게는 유기 용매 중에서 용액으로서 기판에 도포될 수 있다. 수용성 매질로부터의 도포가 바람직하다. 고분자 조성물은 미리 배향된 필름 기판에 도포될 수 있다. 그러나 프라이머 코팅의 도포는 바람직하게는 연신 작업(들) 전 또는 중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이 이축 배향되는 경우, 잉크-수용성 층은 바람직하게는 이축 연신 작업의 두 단계 (종방향 및 횡방향) 사이에 도포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에 따르면,
(i) 55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 걸쳐 한 치수 (바람직하게는 기계 치수)로 약 0 % 내지 약 50 %의 수축 정도를 가지고 55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 걸쳐 다른 치수 (바람직하게는 횡방향 치수)로 약 5 내지 약 70 %의 수축 정도를 가지는 고분자 필름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ii) 상기 고분자 필름 기판의 제1 표면 상에 열-밀봉가능한 층을, 상기 열-밀봉가능한 층의 고분자 물질로 기판의 표면을 코팅하거나, 열-밀봉가능한 층과 기판의 각각의 필름-형성 고분자 물질의 공압출에 의해 제공하는 단계;
(iii) 임의로 열-밀봉가능한 층에 접하는 면과 반대쪽의 기판 면상에 인쇄가능 또는 잉크-수용성 층을 제공하고, 임의로 상기 인쇄가능 또는 잉크-수용성 층 상에 인쇄하는 단계;
(iv) 임의로 예컨대 필름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다수의 세트의 천공을 형성하는 것과 같이, 필름 중에 분리 수단을 혼입하는 단계;
(v) 예컨대 핀 (fin) 밀봉 또는 오버랩 (overlap) 밀봉을 사용하는 것과 같이, 필름의 한쪽 말단 부분을 필름의 다른 말단 부분에 밀봉함으로써 개구형 튜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층 고분자 필름 벽을 포함하는 개구형 튜브의 생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개구형 튜브의 생산 방법에 있어서, 단계 (iv)가 단계 (v)후에 실행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단계 (v) 전에 실행된다.
"핀 밀봉"은 필름의 두 말단을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개의 열-밀봉가능한 층 사이에서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오버랩 밀봉"은 필름의 두 말단을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의 한 말단의 열-밀봉가능한 층과 필름의 다른 말단의 기판 층 사이에서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열-밀봉 결합은 접촉 영역에서 종래의 장비를 사용하여 온도 및 임의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형성된다. 편리하게는 핀 밀봉 또는 오버랩 밀봉은 필름의 각 말단을 필름의 다른 말단과 약 0.5 내지 2 cm의 영역을 접촉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열-밀봉 결합은 약 110 내지 약 150 ℃ 범위의 온도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에 따르면, 조리-준비된 오븐용 음식을 위한 그릇으로서 적합한 용기에 대한 포장의 제조에서 본원에 기술된 다층 고분자 필름의 용도가 제공되며, 상기 포장은 용기가 그 안에 배치되는 개구형 튜브 또는 슬리브 형태이며, 상기 포장의 제1 (뚜껑) 부분이 상기 용기를 밀봉하며, 상기 포장의 제2 (기부) 부분이 상기 오븐용 음식의 요리 사이클 전에 상기 제1 (뚜껑) 부분으로부터 분리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에 따르면, 조리-준비된 오븐용 음식을 위한 그릇으로서 적합한 용기에 대한 포장으로서 본원에 기술된 개구형 튜브의 용도가 제공되며, 상기 용기는 상기 개구형 튜브 안에 배치되며, 상기 포장의 제1 (뚜껑) 부분이 상기 용기를 밀봉하며, 상기 포장의 제2 (기부) 부분이 상기 오븐용 음식의 요리 사이클 전에 상기 제1 (뚜껑) 부분으로부터 분리가능한 것이다.
용기는 예를 들어 열성형된 접시, 열성형된 보울 또는 블로우성형된 병일 수 있다. 용기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되거나 또는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PVDC 코팅될 수 있거나, 또는 유리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식품 또는 음료를 포장하기에 적합한 APET/CPET 용기, 특히 열성형된 접시로서 사용하기 위해 특히 적절하다. 용기의 다른 적절한 유형은 호일 접시 (특히, 알루미늄 호일 접시), 도금 접시, 및 PET-코팅된 판지판 또는 종이판으로부터 형성된 접시를 포함한다. 특별한 용도는 도금(특히 금속-도금)된 PET 판지판으로부터 형성된 접시이다. 예를 들면, 약 0.01 내지 4.0 범위의 광학 밀도까지 도금되고 판지판에 적층된 PET로부터 접시가 제조될 수도 있다. 하나의 구현양태에서, 접시는 GB-A-2280342, EP-A-0563442 또는 GB-A-2250408에 개시된 바와 같은 물질로부터 형성된 써셉터(susceptor) 접시이거나, 또는 여기에서 참고문헌으로 인용된 상기 문헌의 개시내용에 따라 제조된 써셉터 접시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에 따르면,
(i) 55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 걸쳐 한 치수 (바람직하게는 기계 치수)로 약 0 % 내지 약 50 %의 수축 정도를 가지고 55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 걸쳐 다른 치수 (바람직하게는 횡방향 치수)로 약 5 내지 약 70 %의 수축 정도를 가지는 고분자 필름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ii) 상기 고분자 필름 기판의 제1 표면 상에 열-밀봉가능한 층을, 상기 열-밀봉가능한 층의 고분자 물질로 기판의 표면을 코팅하거나, 열-밀봉가능한 층과 기판의 각각의 필름-형성 고분자 물질의 공압출에 의해 제공하는 단계;
(iii) 임의로 열-밀봉가능한 층에 접하는 면과 반대쪽의 기판 면상에 인쇄가능 또는 잉크-수용성 층을 제공하고, 임의로 상기 인쇄가능 또는 잉크-수용성 층 상에 인쇄하는 단계;
(iv) 임의로 예컨대 필름에 다수의 세트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천공을 형성하는 것과 같이, 필름 중에 분리 수단을 혼입하는 단계;
(v) 상기 필름의 열-밀봉가능한 층이 용기와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분리 수단이 존재하는 경우에 용기와 접촉하는 필름의 부분이 2개의 상기 분리 수단 사이의 필름 부분이 되도록, 상기 다층 고분자 필름을 용기 위 또는 주위에 위치시키는 단계;
(vi) 용기의 개구 말단을 형성하는 용기의 표면과 필름 사이를 밀봉하여 필름의 "뚜껑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
(vii) 용기가 튜브 안에 위치하도록 예컨대 핀 밀봉 또는 오버랩 밀봉을 사용하는 것과 같이, 필름의 한쪽 말단 부분을 필름의 다른 말단 부분에 밀봉함으로써 개구형 튜브를 형성하는 단계; 및
(viii) 튜브가 용기 주위에 확실히 꼭맞게 하도록 튜브를 수축시키기 위해 용기와 밀봉된 튜브를 열에 노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리-준비된 간편 식품을 위한 그릇으로서 사용에 적합한 용기를 밀봉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용기를 밀봉하는 방법에서, 단계 (vii)는 단계 (v)와 (vi) 전에 실행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단계 (v)와 (vi) 후에 실행된다. 또한 단계 (iv)는 단계 (vii) 전 또는 후에 실행될 수 있으나, 전에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단계 (iv)는 단계 (viii) 전 또는 후에 실행될 수 있으나, 전에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식품 또는 음료를 함유하는 그릇, 및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고분자 튜브로부터 형성된 포장 슬리브를 포함하는 밀봉된 용기를 더 제공한다. 포장 슬리브는 용기의 개구 말단 위에 밀봉을 형성하는 뚜껑 부분, 및 용기의 하면과 대향면을 둘러싸는 기부 부분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기부 부분과 뚜껑 부분이 두개의 세트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천공과 같은 분리 수단에 의하여 분리되고 분리가능하다.
밀봉된 용기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술에 의해 생산된다. 포장될 식품이 용기 안에 일단 넣어지면, 열-밀봉가능한 필름 또는 튜브는 종래의 기술과 장비를 사용하여 온도 및(또는) 압력을 사용하여 붙여진다. 다층 필름 또는 튜브는 열-밀봉가능한 층이 용기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용기상에 위치된다. 열-밀봉은 일반적으로 약 110 내지 200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110 내지 150 ℃, 통상적으로 약 130 ℃에서 작동하는 열-밀봉 장비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은 초단파 오븐에서 가온시키고자 하는 조리-준비된 간편 식품을 위한 그릇으로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다른 유형의 오븐, 예컨대 통상적인 컨벡션 오븐, 직접 복사선 오븐 및 강제열풍식 오븐에서 가온하고자 하는 조리-준비된 음식을 위해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원에서 도 1 내지 6에 의해 예시된다.
도 1은 기판 층(1), 열-밀봉가능한 층(2) 및 인쇄가능 층(3)을 포함하는 본발명에 따른 필름(4)의 단면도이다.
도 2는 그 안에 식료품(5)을 가진 용기(6)에 열-밀봉된 후의 필름(4)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열-밀봉 층(2)은 용기와 접촉되며, 가장 위쪽에 기판 층(1)이 놓여진다. 열-밀봉은 화살표로 표시된 위치에서 수행된다.
도 3a는 핀 밀봉이 형성되기 바로 전에, 필름(4)에 의해 둘러싸인 용기(6)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오버랩 밀봉이 형성되기 바로 전에, 필름(4)에 의해 둘러싸인 용기(6)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핀-밀봉되고 튜브가 용기 주위에 확실히 꼭맞게 하도록 열수축된 본 발명의 튜브에 의해 둘러싸인 용기(6)의 단면도이다. 화살표(7)는 천공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5는, 분배 챔버(14), 피드 슬롯(15), 다운스트림 립(16) 및 업스트림 립(17)을 포함하는 코팅 다이(13)으로부터의 코팅 액체(12)로 용융-코팅된 고분자 기판(11)을 도시한다. 기판(11)과 다이 립(16, 17)은 코팅 갭(18)을 형성하며, 이 안에서 코팅 비드(19)가 형성된다. 필름은 화살표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이동한다. 압출-코팅 장치는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구성 요소의 번호는 도 5에 대응된다.
고분자 필름의 특정한 성질을 결정하기 위하여 하기 시험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i) ASTM D 1003-61에 따라, 헤이즈가드 시스템(Hazegard System) XL-211을 사용하여 광각 헤이즈를 측정한다.
(ii) ASTM D313에 기재된 원리를 기초로 하여, 컬러가드 시스템(Colorgard System) 2000 모델/45 (퍼시픽 사이언티픽(Pacific Scientific)에 의해 제조됨)을 사용하여 백색도 지수를 측정한다.
(iii) 열-밀봉 강도를 다음과 같이 측정한다. 180℃의 온도 및 80psi의 압력에서 2초 동안 마이크로실(Microseal) PA201 접시 밀봉장치(영국 패키징 오토메이션 리미티드(Packaging Automation Ltd.)로부터 구입함)를 사용하여 열-밀봉가능한 층에 의해 표준 APET/CPET 접시에 필름을 밀봉한다. 밀봉된 필름과 접시의 조각을 밀봉부에 대해 90°로 절단하고, 밀봉부를 떼어놓기 위해 필요한 하중을 0.2 m/분의 크로스헤드 속도로 작동하는 인스트론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절차를 일반적으로 4회 반복하고, 5회 결과의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iv) 가열된 수욕조에서 그 온도에서 30초동안 샘플을 위치시킴으로써 주어진 온도에서의 수축율을 측정한다. 이 범위의 상이한 온도에서 일반적으로 5 내지 10℃의 간격으로 다수의 필름 샘플을 사용하여, 55 내지 100℃ 범위에서의 수축 거동을 평가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욱 예증된다. 하기 실시예들이 단지 예증을 목적으로 하고, 상기 기재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세부사항의 변형을 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용기, 특히 조리-준비된 오븐용 음식의 용기를 포장하는데 사용하기 적합한 다층 고분자 필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용기에 열-밀봉가능하며 용기로부터 박리가능하며, 또한 수축성인 다층 필름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
18 몰%의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및 82 몰%의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 고분자 조성물이 압출되었다. 상기 필름을 냉각된 회전 드럼 위로 주조하였고, 그후 1.02의 비로 전진-연신한 후, 필름을 용융 코팅기 안으로 통과시켜 세바신산/테레프탈산/부틸렌글리콜 (50/50/100; Tg:-40 ℃ ; Tm: 117 ℃)의 코폴리에스테르로 코팅시킨 후, 약 90 ℃의 온도에서 스텐터 오븐내로 필름을 통과시켜 필름을 그 본래 치수의 대략 3.8배까지 측면 방향으로 연신시켰다. 필름을 종래 방식으로 열-경화하지 않고 실온으로 된 후에 권취시켰다. 열-밀봉가능한 고분자의 두께는 3 ㎛였으며, 전체 필름 두께는 39 ㎛였다.
필름 수축율은 본원에 기술된 절차에 따라 측정되었으며 기계 방향으로 5 %, 횡방향으로 45 %임이 밝혀졌다.
상기 절차에 따라 제조된 다층 필름은, 필름의 일부분("뚜껑 부분")이 접시를 덮고 필름의 잔여부가 접시의 벽을 넘어 연장되도록 APET/CPET (Faerch A/S, 덴마크) 접시 위에 위치되었다. 접시는 센티넬 열-밀봉기 (패키징 인더스트리스, USA)를 사용하여 0.5 초 동안 130 ℃ 온도와 40 psi 압력에서 밀봉되었다.
필름의 2개의 반대 말단은 접시의 반대 면 주위에 감겨지고 접시의 하면 상에 함께 오게 되어 2개의 열-밀봉가능한 면이 접하면서 필름의 각 말단의 약 1 cm는 같이 접촉되도록 하였다. 핀-밀봉은 2개 말단을 통상적인 장비를 사용하여 온도 (약 130℃)와 압력을 가하여 열-밀봉시킴으로써 형성되었다.
그후 접시의 하면은 용기 주위에 빈틈없고 튼튼한 포장을 제공하기 위해 튜브의 수축을 수행하기 위하여 5초 동안 100 ℃에서 열에 노출되었다.
실시예 2
열-밀봉가능한 층이 도포되는 표면에 반대쪽의 기판의 면에 추가의 층이 도포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절차가 반복되었다. 추가의 층은 인쇄가능한 층이며, 에틸 아크릴레이트 (EA; 48 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MMA; 48 몰%) 및 메타크릴아미드 (MA; 4 몰%)의 코폴리머의 46 % 고형분 수용성 분산액을 포함하는 AC201 (등록상표) (Rohm and Haas)를 포함하였다. 인쇄가능한 층은 전진 연신 단계 후에 횡방향 연신 단계 전에 종래의 기술에 따라 기판에 도포되었다.
실시예 3
18 몰%의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및 82 몰%의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 고분자 조성물을 테레프탈산/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에틸렌 글리콜 (100/33/67)의 코폴리에스테르와 함께 공압출하여, ABA 구조를 형성하였으며, 코어 층(B)은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코폴리에스테르였다. 상기 필름을 냉각된 회전 드럼 위로 주조하였고, 그후 1.02의 비로 전진-연신한 후, 용융 코팅기 안으로 통과시켜 실시예 1에서 기재된 열-밀봉가능한 고분자로 코팅시킨 후, 약 90 ℃의 온도에서 스텐터 오븐내로 필름을 통과시켜 필름을 그 본래 치수의 대략 3.8배까지 측면 방향으로 연신시켰다. 필름을 종래 방식으로 열-경화하지 않고 실온으로 된 후에 권취시켰다. 열-밀봉가능한 고분자의 두께는 3 ㎛였으며, 전체 필름 두께는 39 ㎛였다.
그후 밀봉된 용기는 실시예 1의 절차에 따라 제조되었다.
실시예 4
12 몰%의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및 88 몰%의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 고분자 조성물이 테레프탈산/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에틸렌 글리콜 (100/33/67)의 코폴리에스테르와 함께 공압출하여, AB 구조를 형성하였으며, 코어 층(B)은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코폴리에스테르였다. 상기 필름을 냉각된 회전 드럼 위로 주조하였고, 그후 1.02의 비로 전진-연신한 후, 용융 코팅기 안으로 통과시켜 실시예 1에서 기재된 열-밀봉가능한 고분자로 코팅시킨 후, 약 90 ℃의 온도에서 스텐터 오븐내로 필름을 통과시켜 필름을 그 본래 치수의 대략 3.8배까지 측면 방향으로 연신시켰다. 필름을 종래 방식으로 열-경화하지 않고 실온으로 된 후에 권취시켰다. 열-밀봉가능한 고분자의 두께는 2 ㎛였으며, 전체 필름 두께는 38 ㎛였다.
그후 밀봉된 용기는 실시예 1의 절차에 따라 제조되었다.
실시예 5
10 몰%의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및 90 몰%의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 고분자 조성물이 테레프탈산/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에틸렌 글리콜 (100/33/67)의 코폴리에스테르와 함께 공압출하여, ABA 구조를 형성하였으며, 코어 층(B)은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코폴리에스테르였다. 상기 필름을 냉각된 회전 드럼 위로 주조하였고, 그후 1.12의 비로 전진-연신한 후, 약 90 ℃의 온도에서 스텐터 오븐내로 필름을 통과시켜 필름을 그 본래 치수의 대략 3.8배까지 측면 방향으로 연신시켰다. 필름은 130 ℃의 온도에서 통상적인 방식으로 열-경화되었다. 그후 열-경화 필름을 통상적인 용매 코팅 수단을사용하여 세바신산/테레프탈산/부틸렌 글리콜 (50/50/100)의 코폴리에스테르로 비-직결 코팅하여, 건조 코팅 두께가 2 ㎛인 필름을 얻었다. 전체 필름 두께는 39 ㎛였다.
필름 수축율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측정되었으며, 기계 방향으로 2 %, 횡방향으로 25 %임이 밝혀졌다.

Claims (36)

  1. 고분자 필름이 외측 수축성 기판 층과 내측 열-밀봉가능한 층을 포함하고, 기판 층이 55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 걸쳐 튜브의 종방향 치수로 약 0 % 내지 약 50 %의 수축 정도를 가지고 55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 걸쳐 튜브의 횡방향 치수로 약 5 내지 약 70 %의 수축 정도를 가지는, 열-밀봉가능한 다층 고분자 필름의 벽을 포함하는 개구형 튜브.
  2. 제1항에 있어서, 100 ℃에서 횡방향 치수 대 종방향 치수의 수축 비율이 1:1 내지 10:1의 범위인 튜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100 ℃에서 횡방향 치수 대 종방향 치수의 수축 비율이 1:1을 초과하는 튜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판 층이 55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 걸쳐 튜브의 종방향 치수로 약 0 % 내지 약 10 %의 수축 정도를 가지고 55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 걸쳐 튜브의 횡방향 치수로 약 5 내지 약 20 %의 수축 정도를 가지는 튜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튜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주요 반복 단위가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튜브.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판 층이 지방족 및 지환족 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디올과 테레프탈산 (TPA) 및 이소프탈산 (IPA)의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며, 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단위의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단위에 대한 몰비가 1 내지 40 몰% 이소프탈레이트 및 99 내지 60 몰% 테레프탈레이트인 튜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올이 에틸렌 글리콜인 튜브.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기판 층이 실질적으로 18 몰%의 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와 82 몰%의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튜브.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판이 2 또는 3개의 별도의 층을 포함하는 튜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2층 기판은 제1층(A)과 제2층(B)을 포함하며, B층의 고분자는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며, A층의 고분자는 테레프탈산과 2종 또는 그 이상의 지방족 글리콜과의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며, A층이 열-밀봉가능한 층과 접촉하도록 배치된 튜브.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3층 기판은 ABA 구조를 포함하며, B층의 고분자는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며, A층의 고분자는 테레프탈산과 2종 이상의 지방족 글리콜과의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튜브.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A층(들)의 코폴리에스테르의 지방족 글리콜이 에틸렌 글리콜 및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인 튜브.
  14. 제13항에 있어서, A층(들)의 코폴리에스테르가 약 30 내지 35 몰%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과 약 65 내지 70 몰%를 갖는 코폴리에스테르인 튜브.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밀봉가능한 층이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및 글리콜의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튜브.
  16. 제15항에 있어서, 열-밀봉가능한 층의 상기 코폴리에스테르가 테레프탈산, 세바신산 및 부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튜브.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코폴리에스테르가 약 50 % 테레프탈산 및 약 50 % 세바신산과 부틸렌 글리콜의 코폴리에스테르인 튜브.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열-밀봉가능한 층에 접하는 면과 반대쪽의 기판 면상에 배치된 인쇄가능 또는 잉크-수용성 층을 더 포함하는 튜브.
  19. 제18항에 있어서, 인쇄가능 또는 잉크-수용성 층 고분자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 고분자 수지인 튜브.
  20. 제18항에 있어서, 인쇄 가능 또는 잉크-수용성 층 고분자가 약 35 내지 60 몰% 에틸 아크릴레이트, 약 30 내지 55 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약 2 내지 20 몰% 메타크릴아미드를 포함하는 튜브.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밀봉가능한 다층 필름이 박리성인 튜브.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필름이 상기 필름의 하나의 다층 부분이 상기 필름의 인접한 다층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하는 다수의 분리 수단을 포함하며, 각 분리 수단이 그 종방향 치수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튜브의 치수를 따라 연장된 하나 또는 두개의 세트의 천공을 포함하는 튜브.
  23. 제22항에 있어서, 2개의 분리 수단이 있는 튜브.
  24. 열-밀봉가능한 다층 고분자 필름이 수축성 기판 층에 적층된 추가의 수축성 층을 포함하지 않는 조건으로, 수축성 기판 층이 55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 걸쳐 제1 치수로 약 0 % 내지 약 50 %의 수축 정도를 가지고 55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 걸쳐 제2 수직 치수로 약 5 내지 약 70 %의 수축 정도를 가지며, 그 표면상에 열-밀봉가능한 층을 가지는 고분자 물질의 수축성 기판 층을 포함하는 열-밀봉가능한 다층 고분자 필름.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필름.
  26. (i) 55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 걸쳐 한 치수로 약 0 % 내지 약 50 %의 수축 정도를 가지고 55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 걸쳐 다른 치수로 약 5 내지 약 70 %의 수축 정도를 가지는 고분자 필름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ii) 상기 고분자 필름 기판의 제1 표면 상에 열-밀봉가능한 층을, 상기 열-밀봉가능한 층의 고분자 물질로 기판의 표면을 코팅하거나, 열-밀봉가능한 층과 기판의 각각의 필름 형성 고분자 물질의 공압출에 의해 제공하는 단계;
    (iii) 임의로 열-밀봉가능한 층에 접하는 면과 반대쪽의 기판 면상에 인쇄가능 또는 잉크-수용성 층을 제공하고, 임의로 상기 인쇄가능 또는 잉크-수용성 층 상에 인쇄하는 단계; 및
    (iv) 임의로 필름 중에 다수의 분리 수단을 혼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24항 또는 제25항의 다층 고분자 필름의 생산 방법.
  27. 제26항의 (i) 내지 (iv) 단계를 포함하며 추가로 (v) 필름의 한쪽 말단 부분을 필름의 다른 말단 부분에 밀봉함으로써 개구형 튜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다층 고분자 필름 벽을 포함하는 개구형 튜브의 생산 방법.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단계 (i)와 (ii)가 상기 열-밀봉가능한 층의 형성에서 즉시처리 (in-line) 또는 비-직결 (off-line) 코팅 기술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9.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과 (ii)가
    (a) 고분자 물질의 상기 기판 층을 용융-압출하는 단계;
    (b) 상기 기판을 제1 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
    (c) 임의로 상기 기판을 제2 수직 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
    (d) 임의로 연신된 필름을 열-경화하는 단계;
    (e) 열-밀봉가능한 코팅층을 기판의 표면 상에, 용융 고분자 물질을 그 위에 직접 용융-코팅하여 형성시키는 단계; 및
    (f) 코팅된 기판을 냉각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용융-코팅 공정에 의해 수행되며, 코팅 단계 (e)가 단계 (b) 이전 또는 단계 (b)와 (c) 사이에 수행되는 방법.
  30. (i) 55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 걸쳐 한 치수로 약 0 % 내지 약 50 %의 수축 정도를 가지고 55 내지 100 ℃의 온도 범위에 걸쳐 다른 치수로 약 5 내지 약 70 %의 수축 정도를 가지는 고분자 필름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ii) 상기 고분자 필름 기판의 제1 표면 상에 열-밀봉가능한 층을, 상기 열-밀봉가능한 층의 고분자 물질로 기판의 표면을 코팅하거나, 열-밀봉가능한 층과 기판의 각각의 필름 형성 고분자 물질의 공압출에 의해 제공하는 단계;
    (iii) 임의로 열-밀봉가능한 층에 접하는 면과 반대쪽의 기판 면상에 인쇄가능 또는 잉크-수용성 층을 제공하고, 임의로 상기 인쇄가능 또는 잉크-수용성 층 상에 인쇄하는 단계;
    (iv) 임의로 필름 중에 다수의 분리 수단을 혼입하는 단계;
    (v) 상기 필름의 열-밀봉가능한 층이 용기와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분리 수단이 존재하는 경우에, 용기와 접촉하는 필름의 부분이 2개의 상기 분리 수단 사이의 필름 부분이 되도록, 상기 다층 고분자 필름을 용기 위 또는 주위에 위치시키는 단계;
    (vi) 용기의 개구 말단을 형성하는 용기의 표면과 필름 사이를 밀봉하여 필름의 "뚜껑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
    (vii) 용기가 튜브 안에 위치하도록, 필름의 한쪽 말단 부분을 필름의 다른 말단 부분에 밀봉함으로써 개구형 튜브를 형성하는 단계; 및
    (viii) 튜브가 용기 주위에 확실히 꼭맞게 하도록 튜브를 수축시키기 위해 용기와 밀봉된 튜브를 열에 노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조리-준비된 간편 식품을 위한 그릇으로서 사용에 적합한 용기를 밀봉시키는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단계 (vii)가 단계 (v)와 (vi) 전에 실행되는 방법.
  32. 제26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각 분리 수단이 그 종방향 치수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튜브의 치수를 따라 연장된 하나 또는 두개의 세트의 천공을 포함하는 방법.
  33. 제26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층 고분자 필름의 성분이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것인 방법.
  34. 식품 또는 음료를 함유하는 그릇, 및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고분자 튜브로부터 형성된 포장 슬리브를 포함하는 밀봉된 용기.
  35. 제34항에 있어서, 포장 슬리브가 용기의 개구 말단 위에 밀봉을 형성하는 뚜껑 부분과 용기의 대향 측면과 하면을 둘러싸는 기부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기부 부분과 뚜껑 부분은 2개의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되고 분리가능하며, 각 분리 수단이 그 종방향 치수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슬리브의 치수를 따라 연장된 하나 또는 두개의 세트의 천공을 포함하는 밀봉된 용기.
  36. 포장이, 그 안에 용기가 배치된 개구형 튜브 또는 슬리브 형태이며, 상기 포장의 제1 부분이 상기 용기를 밀봉하고, 상기 포장의 제2 부분이 상기 오븐용 음식의 요리 사이클 전에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분리가능한, 조리 준비된 오븐용 음식을 위한 그릇으로서 적합한 용기에 대한 포장의 제조에서의 제24항 또는 제25항에 기술된 필름의 용도.
KR1020047011417A 2002-01-25 2003-01-21 열-밀봉가능하고 수축성인 다층 고분자 필름 KR1009503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201764.8 2002-01-25
GBGB0201764.8A GB0201764D0 (en) 2002-01-25 2002-01-25 Multi-layer polymeric film III
PCT/GB2003/000233 WO2003061957A2 (en) 2002-01-25 2003-01-21 Heat-sealable and shrinkable multi-layer polymeric fil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754A true KR20040081754A (ko) 2004-09-22
KR100950353B1 KR100950353B1 (ko) 2010-03-29

Family

ID=9929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417A KR100950353B1 (ko) 2002-01-25 2003-01-21 열-밀봉가능하고 수축성인 다층 고분자 필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7939147B2 (ko)
EP (1) EP1467857B1 (ko)
JP (1) JP4360916B2 (ko)
KR (1) KR100950353B1 (ko)
CN (1) CN1292892C (ko)
AT (1) ATE331608T1 (ko)
AU (1) AU2003201692A1 (ko)
DE (1) DE60306490T2 (ko)
GB (1) GB0201764D0 (ko)
WO (1) WO200306195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694B1 (ko) * 2006-11-01 2014-09-01 듀폰 테이진 필름즈 유.에스. 리미티드 파트너쉽 가열 밀봉성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101994D0 (en) * 2001-01-25 2001-03-14 Dupont Teijin Films Us Lt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oated polumeric film
GB0316708D0 (en) 2003-07-16 2003-08-20 Dupont Teijin Films Us Ltd Polymeric film
GB0324832D0 (en) * 2003-10-24 2003-11-26 Sharp Interpack Ltd Plastic tray
US20100119920A1 (en) * 2004-07-14 2010-05-13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Cathodes for microbial electrolysis cells and microbial fuel cells
GB0522766D0 (en) 2005-11-08 2005-12-14 Dupont Teijin Films Us Ltd Polymeric film packaging
BRPI0707964B8 (pt) * 2006-02-16 2022-10-04 Cryovac Inc Filme co-extrusado com orientação biaxial termorretrátil, processo para a fabricação do referido filme, e embalagem
GB0603254D0 (en) 2006-02-17 2006-03-29 Dupont Teijin Films Us Ltd Polyester film
EP2048268B1 (en) * 2006-07-26 2013-01-16 Teijin Limited Process for producing an aromatic copolyamide fiber
US8282754B2 (en) 2007-04-05 2012-10-09 Avery Dennison Corporation Pressure sensitive shrink label
CN101679818A (zh) 2007-04-05 2010-03-24 艾利丹尼森公司 压敏收缩标签
ATE523332T1 (de) * 2007-07-25 2011-09-15 Cryovac Inc Wärmeschrumpfende polyesterfolie
KR101539711B1 (ko) * 2007-08-30 2015-07-27 듀폰 테이진 필름즈 유.에스. 리미티드 파트너쉽 열성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뚜껑을 구비한 오븐용 듀얼 식품 패키지
RU2480487C2 (ru) * 2007-11-21 2013-04-27 Мицубиси Полиэстэ Филм, Инк. Полиэфирная пленка, обладающая потенциальной способностью к сжатию,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US8173231B2 (en) * 2008-01-30 2012-05-08 Fuji Seal International, Inc. Heat-shrinkable cylindrical label, long cylindrical body, and cylindrical-label-attached article
DE202008005665U1 (de) 2008-04-23 2008-07-31 Wipak Walsrode Gmbh & Co. Kg Kunststofffolienverbund und mit diesem als peelbare Deckfolie verschließbare Schalen- und Muldenverpackung
WO2011054786A1 (de) * 2009-11-09 2011-05-12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rumpffolien
MX2012008762A (es) 2010-01-28 2012-08-31 Avery Dennison Corp Sistema de cinta de aplicador de etiqueta.
US9174377B2 (en) * 2011-05-12 2015-11-03 Chevron Phillips Chemical Company Lp Multilayer blown films for shrink applications
SG11201401505VA (en) * 2011-10-14 2014-09-26 Avery Dennison Corp Shrink film for label
JP6138826B2 (ja) 2012-01-11 2017-05-31 エーブリー デニソン コーポレイションAvery Dennison Corporation ポリオレフィンコアを備えた多重層化シュリンクフィルム
US9656447B2 (en) * 2012-08-31 2017-05-23 Toray Plastics (America), Inc. Lidding structure based on aromatic polyester film, extrusion-coated with a sealable/peelable copolyester layer
US9334099B2 (en) 2013-08-22 2016-05-10 M&Q Ip Leasing, Inc. Covers and containment systems and methods for food service pans
US8950622B1 (en) * 2014-04-25 2015-02-10 M & Q Ip Leasing, Inc. Covers and containment systems and methods for food service pans
DE102016209214A1 (de) 2016-05-27 2017-11-30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Heißsiegelbare und peelfähige Polyester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2016222146A1 (de) * 2016-11-11 2018-05-17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Biaxial orientierte, heißsiegelbare und peelfähige Polyester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102017117328A1 (de) * 2017-07-31 2019-01-31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Peelfähige Polyester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62720A (en) * 1955-03-18 1956-09-11 Du Pont Heat-shrinkable packaging material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US3296395A (en) 1964-06-12 1967-01-03 United Carr Inc Adjustable vacuum switch
US3442436A (en) * 1967-02-10 1969-05-06 Reynolds Metals Co Package construction means with easy open means therefor
IT1097510B (it) 1978-07-10 1985-08-31 Moplefan Spa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film poliolefinici termosaldabili
US4333968A (en) * 1980-01-25 1982-06-08 Mobil Oil Corporation Thermoplastic packaging films with improved heat-seal characteristics
JPS5715958A (en) 1980-07-03 1982-01-27 Toyo Boseki Thermo-contractive composite film
DE3246784A1 (de) 1982-12-17 1984-06-20 Gebr. Happich Gmbh, 5600 Wuppertal Sonnenblende, insbesondere fuer fahrzeuge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S60253545A (ja) 1984-05-29 1985-12-14 大倉工業株式会社 収縮包装用ポリエステル積層フイルム
GB8709798D0 (en) 1987-04-24 1987-05-28 Ici Plc Receiver sheet
JPS644866A (en) 1987-06-29 1989-01-10 Hitachi Ltd Work instructing device by inter-process stock evaluation
GB8815423D0 (en) 1988-06-29 1988-08-03 Ici Plc Receiver sheet
JPH03121842A (ja) 1989-05-23 1991-05-23 Gunze Ltd 包装材
GB8915736D0 (en) * 1989-07-10 1989-08-31 Du Pont Improvements to multifilament apparel yarns of nylon
GB8916030D0 (en) 1989-07-13 1989-08-31 Ici Plc Imagable copy film
JPH0363133A (ja) 1989-08-01 1991-03-19 Gunze Ltd 熱収縮性多層フィルム
GB8925095D0 (en) 1989-11-07 1989-12-28 Ici Plc Polymeric film
GB2250408B (en) 1990-12-01 1995-08-02 Waddingtons Cartons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microwave heating of foodstuff
GB9207318D0 (en) 1992-04-03 1992-05-13 Waddingtons Cartons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packaging
US5443673A (en) 1992-06-12 1995-08-22 Donnelly Corporation Vehicular panel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same
CA2109287C (en) * 1992-10-28 1994-04-29 H. Scott Herrin Thermoformed packag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GB9301429D0 (en) 1993-01-25 1993-03-17 Ici Plc Receiver sheet
EP0696516B1 (en) 1994-08-08 2003-12-17 Arkwright Inc. A full range ink jet recording medium
DE4441134A1 (de) * 1994-11-21 1996-05-23 Grohe Armaturen Friedrich Dichtungselement, insbesondere für Absperr- und Regelorgane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H08156969A (ja) * 1994-12-05 1996-06-18 Omori Mach Co Ltd 包装体
GB9425641D0 (en) * 1994-12-20 1995-02-22 Ici Plc Polymeric film
US6379787B1 (en) 1995-02-03 2002-04-30 Exxonmobil Oil Corporation Coating composition for a plastic film
US6623821B1 (en) * 1995-03-31 2003-09-2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eat-shrinkable, heat-sealable polyester film for packaging
US5663030A (en) * 1996-01-24 1997-09-02 Xerox Corporation Electrostatic imaging process
GB9607401D0 (en) 1996-04-10 1996-06-12 Ici Plc Multilayer card
ES2168633T5 (es) * 1996-05-22 2005-04-01 TREOFAN GERMANY GMBH & CO.KG Revestimientos barrera de copolisilicatos de litio y potasio.
ATE215117T1 (de) * 1996-06-12 2002-04-15 Trespaphan Gmbh Dampf sperrender überzug für polymergegenstände
FR2766465B1 (fr) * 1997-07-24 1999-09-03 Soplaril Sa Pack d'objets emballes avec un film plastique, film plastique pour l'emballage d'un pack, et procede de fabrication du film plastique
BR9906403B1 (pt) * 1998-04-28 2009-01-13 embalagem embrulhada por contraÇço.
WO1999062982A1 (en) * 1998-06-03 1999-12-09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ester film
DE10002169A1 (de) * 2000-01-20 2001-07-26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Matte, UV-stabile, thermoformbare, koextrudierte Polyesterfol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4484305B2 (ja) 2000-04-03 2010-06-16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熱収縮性多層フィルム
GB0023927D0 (en) 2000-09-29 2000-11-15 Dupont Teijin Films Us Ltd Multilayer polymeric film
GB0101994D0 (en) 2001-01-25 2001-03-14 Dupont Teijin Films Us Lt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oated polumeric film
EP1444098B1 (en) 2001-09-24 2006-03-22 Dupont Teijin Films U.S. Limited Partnership Multi-layer polymeric film for packaging ovenable mea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694B1 (ko) * 2006-11-01 2014-09-01 듀폰 테이진 필름즈 유.에스. 리미티드 파트너쉽 가열 밀봉성 복합 폴리에스테르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515100A (ja) 2005-05-26
US20050106342A1 (en) 2005-05-19
EP1467857B1 (en) 2006-06-28
GB0201764D0 (en) 2002-03-13
KR100950353B1 (ko) 2010-03-29
DE60306490T2 (de) 2007-07-12
US20110198359A1 (en) 2011-08-18
ATE331608T1 (de) 2006-07-15
WO2003061957A3 (en) 2004-02-19
WO2003061957A2 (en) 2003-07-31
US8394470B2 (en) 2013-03-12
JP4360916B2 (ja) 2009-11-11
EP1467857A2 (en) 2004-10-20
CN1292892C (zh) 2007-01-03
DE60306490D1 (de) 2006-08-10
AU2003201692A1 (en) 2003-09-02
CN1622878A (zh) 2005-06-01
US7939147B2 (en) 201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0353B1 (ko) 열-밀봉가능하고 수축성인 다층 고분자 필름
KR100760775B1 (ko) 다층 고분자 필름
EP1362075B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oated polymeric film
JP4146340B2 (ja) オーブン加熱用食物を包装するための多層重合体フィルム
KR101379122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JP4990797B2 (ja) 自己換気型複合ポリマー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