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1370A - 원격 비디오 체인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비디오 체인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1370A
KR20040081370A KR1020040016763A KR20040016763A KR20040081370A KR 20040081370 A KR20040081370 A KR 20040081370A KR 1020040016763 A KR1020040016763 A KR 1020040016763A KR 20040016763 A KR20040016763 A KR 20040016763A KR 20040081370 A KR20040081370 A KR 20040081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video stream
video
processing
processing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9660B1 (ko
Inventor
라두쉐르프랑수아
아르두앵브리악
Original Assignee
프랑스 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랑스 텔레콤 filed Critical 프랑스 텔레콤
Publication of KR20040081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1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6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8Interfacing a video terminal to a particular transmission medium, e.g. ISD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단말기로의 전송된 비디오 스트림에 따라 작용하도록 단말기로 전송되는 비디오 스트림을 생성하는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20)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단말기가 전송된 비디오 스트림을 수정하도록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에 커맨드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이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기 전에 상기 비디오 스트림에 대하여 상기 커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20)에 의해 실행가능한 비디오 스트림 프로세싱 커맨드가 이미지 영역에 적용될 프로세싱의 정의와 관련된, 상기 전송된 비디오 스트림에 포함된 이미지의 이미지 영역의 정의를 갖는 커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의 제어 방법이 제공되어 있다.

Description

원격 비디오 체인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a remote video chain}
본 발명은 원격 비디오 체인의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비디오폰 통신에 적용되지만 이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종래 방식에서의 비디오폰 통신은 캡처 모듈, 코딩 모듈 및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을 사용한다.
비디오폰 통신에서는, 비디오폰 통신에 참가하고 있는 자가 수신하는 비디오 신호를 최적화시키기 위해 불과 몇가지 안되는 매개변수가 상기 비디오폰 통신 참가자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이러한 매개변수는 2가지 범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첫번째의 매개변수 범주는 매개변수의 커맨드 모두를 서로 그룹화시키는 것이며, 상기 커맨드는 특정의 매개변수에 따른 작용으로 비디오 스트림 송신기의 코딩 모듈의 동작 특성을 원격 수정할 수 있게 이루어진 것이다. 예를 들면, IP 네트워크(여기서 IP는 Internet Protocol의 약어이며, 인터넷 프로토콜을 말한다)용의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프로토콜 H.323은 유동성에 손상을 주면서 전송된 비디오 스트림으로 이루어진 이미지의 품질을 증가시키거나 이와는 반대로 상기 이미지 품질에 손상을 주면서 유동성을 증가시키도록 원격 코더에 따른 작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커맨드를 전송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범주의 커맨드는 매우 제한적이고 단지 전송된 비디오 신호를 총괄적으로 프로세싱할 수 있는 가능성만을 제공한다.
두번째의 매개변수 범주는 카메라용의 원격 감시 커맨드를 서로 그룹화시키는 것이며, 이러한 커맨드는 원격 카메라의 배향 및 줌에 따른 역학적인 작용으로 원격 카메라의 촬영 장소를 수정하기 위해 원격 카메라에 전송될 표준 커맨드를 규정한 프로토콜로 정의된 것이다. 비디오폰 통신에서 이같은 프로토콜이 적용된다는 것은 호환가능한 자동 구동형 카메라가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된 단점들을 없애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된 비디오폰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한 단말기에 합체된 본 발명의 비디오 프로세싱 및 커맨드 프로세싱 체인을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한 단말기에 설치된 프로그램들의 소프트웨어 편성을 보여주는 도면.
이러한 목적은 단말기에 전송될 비디오 스트림에 따라 작용하도록 상기 단말기에 전송될 비디오 스트림을 생성하는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의 제어 방법을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데, 이러한 방법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수정하도록 상기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에 커맨드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이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기 전에 상기 비디오 스트림에 대하여 상기 커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에 의해 실행가능한 비디오 스트림 프로세싱 커맨드가 이미지 영역에 적용될 프로세싱 커맨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싱 커맨드는 상기 이미지 영역에 적용될 프로세싱 동작의 정의와 관련된, 상기 전송된 비디오 스트림에 포함된 이미지의 이미지 영역의 정의를 포함하고, 이미지 영역에 적용될 프로세싱 커맨드의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에 의한 실행은 상기 커맨드에 의해 정의된 비디오 스트림에서 이미지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스트림에서 선택된 이미지 영역에 상기 커맨드에서 정의된 프로세싱 동작을 적용하기 위한 프로세싱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특정의 실시태양에 의하면, 이러한 방법은 상기 단말기에 의해 제공된 커맨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행시키도록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의 선택적 모듈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활성화 단계를 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정의 실시태양에 의하면,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에 의해 실행가능한 비디오 스트림 프로세싱 커맨드가 이미지 영역을 확대하도록 상기 이미지 영역과 관련된 줌 커맨드, 줌 커맨드의 실행에 이어서 비디오 스트림으로 전송된 이미지 영역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커맨드, 및 선택적으로는 비디오 스트림으로 전송된 이미지의 나머지 부분에는 손상을 주면서, 이미지 영역의 해상도를증가시키도록 이미지 영역과 관련된 해상도 증가 커맨드를 포함한다.
유리한 점으로는,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이 비디오 스트림 프로세싱 커맨드의 실행 시간으로부터 개시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후에 상기 비디오 스트림에서 디폴트 이미지 구성을 회복한다는 점이다.
바람직하게는,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에 의해 실행가능한 비디오 스트림 프로세싱 커맨드가 비디오 스트림으로 전송된 이미지의 디폴트 구성을 회복하기 위한 회복 커맨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정의 실시태양에 의하면, 전송된 비디오 스트림에 대한 프로세싱 커맨드의 전송은 만약 단말기에 메시지들이 적합하지 않다면 단말기에 의해 무시되는 메시지들로 프로토콜 H.323 또는 SIP에 따라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1 단말기로 전송된 비디오 스트림에 따라 작용하도록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1 단말기로 전송되는 비디오 스트림을 생성하는 제1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전송될 비디오 스트림에 적용될 프로세싱 커맨드를 제1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에 전송하도록 제1 단말기에 설치된 전송 수단, 및 제1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에 의해 전송될 비디오 스트림에 대하여 비디오 스트림 프로세싱 커맨드를 수신 및 실행하기 위해 제1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에 설치된 커맨드 수신 및 실행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에 의해 실행가능한 비디오 스트림 프로세싱 커맨드가 이미지 영역에 적용될 프로세싱 커맨드를 포함하며,프로세싱 커맨드는 이미지 영역에 적용될 프로세싱 동작의 정의와 관련된, 비디오 스트림에 포함된 이미지의 이미지 영역의 정의를 포함하고, 제1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에 설치된 커맨드 수신 및 실행 수단은 이미지 영역에 적용될 프로세싱 커맨드에서 정의된 비트 스트림에서 이미지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 및 비디오 스트림에서 선택된 이미지 영역에 상기 커맨드에서 정의된 프로세싱 동작을 적용하기 위한 적용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특정의 실시태양에 의하면, 이러한 시스템은 전송된 비디오 스트림으로 이루어진 이미지 영역에 적용될 프로세싱 동작을 정의하는 커맨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제1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에 삽입된 선택적 모듈을 포함한다.
유리한 점으로는, 선택적 모듈이 재프레임 모듈을 포함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정의 실시태양에 의하면, 제1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은 제2 단말기에 설치되며, 제2 단말기는 제2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에 의해 전송된 비디오 스트림을 수정하기 위해 제1 단말기에 설치된 제2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에 커맨드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을 포함하고, 제2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은 전송할 비디오 스트림을 수정하기 위한 수신 및 실행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제한적이지 않은 예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2개의 단말기(2,3)를 포함하는 비디오폰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2개의 단말기(2,3) 간에 비디오폰 통신이 설정되는 비디오폰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것이다. 각각의 단말기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5), 키보드(4) 및 마우스(6)와 같은 커맨드 부재, 카메라(7), 마이크로폰(8) 및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9)가 장착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는, 단말기(2)가 구내 통신 네트워크(10) 및 구내 서버 (11)를 통해 공중 통신 네트워크(17)에 접속되어 있지만, 단말기(3)는 상기 공중 통신 네트워크(17)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비디오폰 통신이 이루어지는 동안, 단말기(2,3)는 상기 네트워크(10,17) 및 구내 서버(11)를 통해, 카메라(7)로 찍은 이미지와 마이크로폰(8)으로 입력한 음성을 포함하는 비디오 스트림을 교환한다. 상기 교환된 비디오 스트림은, 예를 들면, 프로토콜 H.263+에 따르며, 또한 QCIF 이미지 포맷(여기서 QCIF는 Quarter Common Intermediate Format의 약어이며, 1/4 공통 중간 포맷을 말한다), 및 비디오폰과 비디오 회의 통신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비디오 이미지 포맷에 적합하다. 분명한 점으로는 본 발명이 또한 SQCIF, CIF, 4CIF, 16CIF와 같은 다른 이미지 포맷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단말기(2,3)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을 포함한다. 이러한 체인은 커맨드 프로세싱 체인(21)에 의해 감시된다.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20)은 카메라로 찍거나 다른 비디오 소스(19)에서 발생된 비디오 이미지를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비디오 전송부, 및 이러한 다른 단말기에 의해 출력된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여, 이를 스크린(5) 상에 표시하기 위한 비디오 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커맨드 프로세싱 체인은 상기 다른 단말기의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에 커맨드를 전송하도록 설계된 커맨드 전송부, 및 상기 다른 단말기에 의해 방출된 커맨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커맨드와 관련하여 상기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의 전송부를 감시하도록 설계된 커맨드 수신부를 포함한다.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상기 비디오 전송부는 단말기의 카메라(7)로 찍거나 또는 다른 비디오 소스로부터 발생된 비디오 이미지(21)를 수신하는 캡처(capture) 모듈(22),및 상기 캡처 모듈(22)에 의해 제공된 비디오 스트림을 코딩하도록 설계된, 특히, 이러한 스트림을 압축하여 이를 할당된 전송률에 적응시키도록 설계된 코딩 모듈(24), 및 단말기의 통신 모듈에 접속되어 상기 코딩 모듈(24)에 의해 생성되는 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을, 이러한 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의 전송을 위한 패킷의 형태로 배치시키는 전송 모듈(26)을 포함한다.
상기 비디오 수신부는 단말기에 의해 수신된 패킷으로부터 비디오 스트림을 재구성하도록 설계된 비디오 수신 모듈(29), 상기 비디오 수신 모듈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복호화시키도록 설계된 비디오 복호화 모듈(30), 및 한 측에는 상기 비디오 복호화 모듈에 접속되고 다른 한 측에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5)에 접속되어 상기 복호화된 비디오 스트림을 재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31)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20)의 전송부에서는 선택적 모듈( 23,25)이 또한 코딩 모듈(24)의 상방측 및/또는 하방측에 삽입될 수도 있고, 단말기(2,3)의 구성에 따라 상기 코딩 모듈(24)에 합체될 수도 있으며, 코딩 모듈(24)의 상방측 및/또는 하방측에 삽입되어 단말기(2,3)의 구성에 따라 상기 코딩 모듈( 24)에 합체될 수도 있다.
상기 커맨드 프로세싱 체인의 수신부는 제어 모듈(27)에 수신된 커맨드를 전달하는 커맨드 수신 모듈(28)을 포함하는 데, 상기 제어 모듈(27)은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의 출력부, 특히 캡처 모듈, 선택적 모듈(23,25) 및 코딩 모듈(24)과 아울러, 적용가능한 경우에는 비디오 소스(19)를 감시한다.
상기 커맨드 프로세싱 체인의 전송부는 단말기의 제어 부재(4,6)에 접속되어 있으며 단말기 제어 부재(4,6)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제공한 커맨드로부터 커맨드를 생성하는 커맨드 모듈(32), 및 상기 커맨드 모듈(32)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커맨드 모듈(32)에 의해 생성된 커맨드를 전송하는 커맨드 전송 모듈(33)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프로세싱 체인(비디오 및 커맨드)(20,21)은 응용 소프트웨어 계층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기 커맨드 프로세싱 계층(21)은 예를 들면 프로토콜 H.323 또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계층(41)을 사용하여 원격지 단말기로부터 커맨드를 전송 및 수신한다. 만약 프로토콜 H.323이 사용된다면, 상기 커맨드는 소유자 데이터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Facility)" 메시지의 형태로 전송된다. 만약 상기 SIP 프로토콜이 사용된다면, 상기 커맨드는 "INFO" 메시지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들 2가지 형태의 메시지는, 만약 수신인 단말기에 상기 2가지 형태의 메시지가 적합하지 않다면, 단말기의 상호 운영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수신인 단말기에 의해 무시되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비디오 프로세싱 계층(20)은 프로토콜 RTP(Real Time Protocol) 또는 유사한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계층(40)을 사용하여 비디오 스트림을 패킷 형태로 전송 및 수신한다. 상기 2개의 계층(40,41)은 프로토콜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전송 제어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를 구현하는 계층(42)과 인터페이스되어 인터넷 네트워크용으로 사용된 프로토콜을 서로 집단화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계층(42)은 전송 계층(43)을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물리적으로 액세스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2,3) 간의 비디오폰 통신을 이루는 동안, 단말기(2)는 상기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20)의 수신부에 의해 처리되는 비디오 스트림 H263+를 QCIF 포맷으로 수신한다. 본 발명을 통해, 사용자가 커맨드 프로세싱 체인(21)의 전송부에 커맨드를 적용시킴으로써 키보드(4) 및/또는 마우스(6)를 사용하여 수신된 비디오 스트림에 따라 처신할 수 있다. 이같은 커맨드는 다른 단말기(3)의 커맨드 프로세싱 체인(21)의 수신부에 의해 수신 및 처리되며 단말기(3)의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의 전송부를 감시하는 데 사용된다.
커맨드 모듈(32)에 의해 생성되는 감시 커맨드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포맷을 이루고 있다.
Region<specification of an image region>,
<Commands to be applied to the region>)
전형적으로는, 이미지 영역은, 예를 들면, "RECTANGLE(<coordinates of upper left point>,<coordinates of lower right point>)"와 같이, 그의 형상 및크기로 정의된다.
전송된 이미지의 품질, 결과적으로는 전송률에 따라 작용해야 하는 종래의 커맨드 외에도, 이같은 커맨드는,
- 상기 커맨드에서 지정된 영역의 확대를 위한 ZOOM,
- 상기 커맨드에서 지정된 영역의 보다 양호한 해상도의 획득을 위한 BETTER _RESOLUTION, 및
- 바탕 이미지의 다른 부분으로의 확대된 영역 이동을 위한 GO일 수 있다.
만약 정의된 이미지 영역의 확대를 위하여 사용자가 예를 들면 "Region( RECTANGLE((80,80),(176,144)),ZOOM)" 형태로 줌(zoom) 커맨드를 제공한다면, 제어 모듈(27)은 이러한 커맨드를 수행하기 위해 여러가지 방안을 적용할 수 있다.
만약 카메라가 줌 커맨드에 따라 자동 구동된다면, 제어 모듈(27)은 카메라에 적용될 커맨드에서 지시된 영역의 가장 양호한 프레임을 얻기 위해 상기 카메라에 적용될 커맨드를 전송한다.
만약 카메라가 자동 구동되지 않거나, 또는 커맨드가 카메라에 의해 완벽하게 수행되지 않는다면(예를 들어, 만약 요구된 배율이 카메라의 줌 용량을 초과한다면) 이전에 선택된 QCIF(176 x 144 픽셀) 대신에 예를 들면 요구 포맷 CIF(352 x 288 픽셀)와 같은 보다 높은 해상도를 획득하기 위해 착신 이미지에 대한 포맷 변경 커맨드를 캡처 모듈(22)에 적용한다. 그후, 제어 모듈(27)은, 단지 캡처링된 이미지 중 일부분,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수신된 커맨드에서 지시된 영역에 포함된 이미지 중 그러한 일부분을 선택하기 위해서만, 캡처 모듈(22) 및 코딩 모듈 간의선택적 리프레임 모듈(23)을 활성화시킨다. 만약 코딩 모듈(24)에 적합하다면, 제어 모듈(27)은 또한 자신의 출력 포맷을 수정하여 상기 출력 포맷이 지정된 영역의 포맷, 즉, 위에서 언급된 커맨드의 예에서, 96 x 64 픽셀에 대응하게 할 수 있다.
대개는, 비디오 스트림의 해상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전송률이 증가되어야 하는 데, 그 이유는 복호화 모듈(30)로 전송되는 데이터가 보다 많아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용가능한 전송 스트림 모두나 또는 일부를 이미지 중 단지 일부분에만 할당함으로써 비디오 이미지의 해상도를 국부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때,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의 전송부는 되도록 요구된 영역의 외부에 위치한 구역을 감축시키거나 아니면 코딩하지 않음으로써 가장 양호한 품질을 제공하도록 원격 사용자가 요구한 영역에 자신의 자원이 집중되게 한다.
그러므로, 만약 정의된 이미지 영역에서 보다 양호한 해상도를 획득하기 위해, 수신 모듈(28)이 보다 양호한 해상도를 요구하는 커맨드, 예를 들면, "Region( RECTANGLE((80,86),(176,144)),BETTER_RESOLUTION)"를 수신한다면, 이미지의 나머지 부분에는 손상을 주면서, 최대의 자원(스트림)을 커맨드에서 지시된 영역의 코딩에 할당하도록 제어 모듈(27)이 코딩 모듈(24)에 따라 작용하게 된다.
만약 수신된 비디오 이미지에서, 이미지의 일부가 정지 이미지이라면, 사용자는 결과적으로, 더이상 이같은 정지 부분을 수신하지 않도록 그리고 원하는 이미지 부분에 비디오 전송 체인의 자원을 집중시키지 않도록 그러한 커맨드를 사용하여 원격 비디오 체인에 따라 처신할 수 있다.
촬영 장소를 이동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커맨드를 다음과 같은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Region(RECTANGLE((-176,-20),(0,124)),GO)
이러한 커맨드에서는, 요구된 이미지 영역의 좌표가 현재의 이미지 영역에 대하여 표기된다.
이러한 커맨드를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캡처 소스가 이동될 수 있는 지의 여부에 따라 여러가지 가능성이 존재한다. 캡처 소스는 자동 구동형 카메라 또는 정지 이미지의 윈도(예를 들면, 컴퓨터 디스플레이 윈도)를 캡쳐링하기 위한 모듈일 수 있다. 만약 캡처 소스가 이동될 수 있다면, 커맨드 모듈은 수신된 커맨드에서 지정된 영역에 도달하려고 시도하도록 직접 소스에 따라 작용한다. 만약 캡처 소스가 이동될 수 없다면, 제어 모듈(27)은 선택적 리프레임 모듈(23)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선택적 리프레임 모듈(23)을 제어하여 전송될 이미지의 영역을 상기 선택적 리프레임 모듈(23)에 적용시킨다.
일시적 특성을 지니며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후에는 사라지게 하는 변형예가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의 전송부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후로는 상기 전송부가 디폴트 구성으로 복귀한다.
택일적으로는, 이러한 변형예가 다른 커맨드의 수신시까지 적용된다. 이 경우에는 디폴트 구성을 회복하기 위한 회복 커맨드가 제공될 수 있다.
분명한 점으로는 위에서 언급된 것과는 다른 커맨드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원격지 단말기는 비디오회의용으로 여러 비디오 스트림을 서로 그룹화하기 위한 비디오 이미지를 생성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커맨드가 특히 비디오 스트림 중 하나에 따라 그리고 이미지를 이루는 비디오 스트림의 표현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에 의해 실행가능한 비디오 스트림 프로세싱 커맨드가 이미지 영역에 적용될 프로세싱 커맨드를 포함하며, 프로세싱 커맨드가 이미지 영역에 적용될 프로세싱의 정의와 관련된, 전송된 비디오 스트림에 포함된 이미지의 이미지 영역의 정의를 포함하고, 이미지 영역에 적용될 프로세싱 커맨드의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에 의한 실행이 상기 커맨드에서 정의된 이미지 영역을 선택하며 비디오 스트림에서 선택된 이미지 영역에 상기 커맨드에서 정의된 프로세싱을 적용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비디오폰 통신에 참가하고 있는 자가 수신하는 비디오 신호를 최적화시키기 위해 불과 몇가지 안되는 매개변수가 상기 비디오폰 통신 참가자에 의해 수정될 수 있는 과정에서의 불편한 문제점을 없앨 수 있는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의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12)

  1. 단말기(2,3)에 전송될 비디오 스트림에 따라 동작하도록 상기 단말기(2,3)에 전송될 비디오 스트림을 생성하는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20)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가 전송될 비디오 스트림을 수정하도록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에 커맨드를 전송하는 단계, 및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이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기 전에 상기 비디오 스트림에 대하여 상기 커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20)에 의해 실행가능한 비디오 스트림 프로세싱 커맨드가 이미지 영역에 적용될 프로세싱 커맨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싱 커맨드는 상기 이미지 영역에 적용될 프로세싱의 정의와 관련된, 상기 전송된 비디오 스트림에 포함된 이미지의 이미지 영역의 정의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영역에 적용될 프로세싱 커맨드의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에 의한 실행은 상기 커맨드에서 정의된 이미지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스트림에서 선택된 이미지 영역에 상기 커맨드에서 정의된 프로세싱을 적용하기 위한 적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2,3)에 의해 전송된 커맨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행시키도록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20)의 선택적 모듈(23,25)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의 제어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20)에 의해 실행가능한 비디오 스트림 프로세싱 커맨드가 이미지 영역을 확대하도록 상기 이미지 영역과 관련된 줌 커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20)에 의해 실행가능한 비디오 스트림 프로세싱 커맨드는 줌 커맨드의 실행에 이어서 상기 비디오 스트림으로 전송된 이미지 영역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커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의 제어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20)에 의해 실행가능한 비디오 스트림 프로세싱 커맨드는 비디오 스트림에 의해 전송된 이미지의 나머지 부분에는 손상을 주면서, 이미지 영역의 해상도를 증가시키도록 이미지 영역과 관련된 해상도 증가 커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의 제어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20)은 비디오 스트림 프로세싱 커맨드의 실행 시간으로부터 개시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후에 상기 비디오 스트림에서 디폴트 이미지 구성을 회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의 제어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에 의해 실행가능한 비디오 스트림 프로세싱 커맨드는 상기 비디오 스트림에 의해 전송되는 이미지의 디폴트 구성을 회복하기 위한 커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의 제어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스트림 프로세싱 커맨드의 전송은 만약 단말기(2,3)에 메시지들이 적합하지 않다면 상기 단말기(2,3)에 의해 무시되는 메시지들로 프로토콜 H.323 또는 SIP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의 제어 방법.
  9.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1 단말기(2)로 전송된 비디오 스트림에 따라 작용하도록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1 단말기(2)로 전송되는 비디오 스트림을 생성하는 제1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20)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전송될 비디오 스트림에 적용될 프로세싱 커맨드를 상기 제1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에 전송하도록 상기 제1 단말기에 설치된 전송 수단(33), 및 상기 제1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에 의해 전송될 비디오 스트림에 대하여 비디오 스트림 프로세싱 커맨드를 수신 및 실행하기 위해 상기 제1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에 설치된 수신(28) 및실행(27)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20)에 의해 실행가능한 비디오 스트림 프로세싱 커맨드가 이미지 영역에 적용될 프로세싱 커맨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싱 커맨드는 상기 이미지 영역에 적용될 프로세싱의 정의와 관련된, 상기 전송된 비디오 스트림에 포함된 이미지의 이미지 영역의 정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원격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에 설치된 실행 수단(27)은 상기 이미지 영역에 적용될 프로세싱 커맨드에서 정의된 비디오 스트림에서 이미지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 및 상기 비디오 스트림에서 선택된 이미지 영역에 상기 커맨드에서 정의된 프로세싱을 적용하기 위한 적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비디오 스트림으로 이루어진 이미지 영역에 적용될 프로세싱을 정의하는 커맨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1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20)에 삽입된 선택적 모듈(23,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모듈(23,25)은 재프레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 (20)은 제2 단말기(3)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단말기(3)는 상기 제2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에 의해전송되는 비디오 스트림 프로세싱 커맨드를 상기 제1 단말기(2)에 설치된 제2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20)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33)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비디오 프로세싱 체인은 비디오 스트림 프로세싱 커맨드를 수신 및 실행하기 위한 수신(28) 및 실행(27)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040016763A 2003-03-13 2004-03-12 원격 비디오 체인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09896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303122A FR2852473A1 (fr) 2003-03-13 2003-03-13 Procede et systeme de controle d'une chaine video distante
FR0303122 2003-03-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370A true KR20040081370A (ko) 2004-09-21
KR100989660B1 KR100989660B1 (ko) 2010-10-26

Family

ID=32843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763A KR100989660B1 (ko) 2003-03-13 2004-03-12 원격 비디오 체인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57840B2 (ko)
EP (1) EP1465425A1 (ko)
JP (1) JP2004282762A (ko)
KR (1) KR100989660B1 (ko)
CN (1) CN100536558C (ko)
FR (1) FR28524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328B1 (ko) * 2004-06-02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Rtsp 프로토콜을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4568078B2 (ja) * 2004-10-20 2010-10-27 三洋電機株式会社 サーバ
KR100784971B1 (ko) 2006-07-06 2007-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간 원격 제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업그레이드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14329A (ko) * 2006-08-10 2008-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20090150435A1 (en) * 2007-12-08 2009-06-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updating of personal web page
CN102088593B (zh) * 2011-01-18 2012-10-24 西安电子科技大学 基于蓝牙3.0规范的mpeg4压缩视频传输通信系统及方法
US8810625B2 (en) * 2012-04-26 2014-08-19 Wizard of Ads, SunPop Studios Ltd.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figuring and capturing a video production
US10771801B2 (en) 2012-09-14 2020-09-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egion of interest (ROI) request and inquiry in a video chain
CN106358004B (zh) * 2015-07-14 2019-08-1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通话方法及装置
US11910130B2 (en) * 2021-03-02 2024-02-20 Carnegie Mellon University Media control device an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74336A1 (en) * 1993-10-20 1995-04-27 Leo M. Cortjens Adaptive videoconferencing system
JPH08294120A (ja) * 1995-04-19 1996-11-05 Oki Electric Ind Co Ltd 動画像通信システム
EP0776130A3 (en) * 1995-11-27 1998-03-04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control system with variable frame rate
JP3996960B2 (ja) * 1996-01-30 2007-10-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制御システム
JPH09261522A (ja) * 1996-03-27 1997-10-0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可変領域を得うる映像配信方法、ならびにシステム
JP4813635B2 (ja) * 1999-06-16 2011-11-09 ソニー株式会社 画像編集装置及び画像編集方法
US6774927B1 (en) * 1999-12-22 2004-08-10 Intel Corporation Video conferenc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improved initialization through command pruning
JP4552252B2 (ja) * 2000-01-21 2010-09-29 株式会社セガ 音声および画像の入力機能と通信機能を持ったゲーム装置
JP2001238200A (ja) * 2000-02-22 2001-08-31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防犯カメラの記録装置
JP2001285842A (ja) * 2000-03-29 2001-10-12 Minolta Co Ltd 監視システム
JP2002034010A (ja) * 2000-07-18 2002-01-31 Nagano Japan Radio Co テレビ電話システム
IES20010170A2 (en) * 2001-02-23 2002-02-06 Ivron Systems Ltd A video conferencing system
CN1554193A (zh) * 2001-07-25 2004-12-08 �����J��ʷ����ɭ 摄像机控制装置及方法
US7068306B2 (en) * 2002-01-02 2006-06-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oxy-based remote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a digital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36558C (zh) 2009-09-02
FR2852473A1 (fr) 2004-09-17
US7557840B2 (en) 2009-07-07
KR100989660B1 (ko) 2010-10-26
EP1465425A1 (fr) 2004-10-06
JP2004282762A (ja) 2004-10-07
CN1531340A (zh) 2004-09-22
US20040212701A1 (en) 200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04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control of image capture in a video conference system
US7715872B2 (en) Video calling method capable of providing video through third display
US6646677B2 (en) Image sens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mage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system, and storage means storing program that implements the method
KR100906687B1 (ko) 다지점회의시스템 및 다지점회의장치
US8988486B2 (en) Adaptive video communication channel
KR101167432B1 (ko) 통신 방법 및 통신 시스템
US8359619B2 (en) Web cam with an interlude switch
JP2002007294A (ja) 画像配信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記憶媒体
US20160007047A1 (en) Method of controlling bandwidth in an always on video conferencing system
KR100989660B1 (ko) 원격 비디오 체인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2003299069A (ja) 画像配信方法およびその動作処理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および画像配信装置および画像受信装置
JP2007306317A (ja) メディアモニタシステムおよびメディアモニタ方法
KR20070013067A (ko) 영상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CN106998328A (zh) 一种视频传输方法及装置
KR101440131B1 (ko) 모바일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다채널 CCTV 관제를 위한 Qos 영상처리 시스템 및 Qos 영상 처리 방법
WO2012155761A1 (zh) 一种可视电话动态相框实现方法及移动终端
CN112839197B (zh) 图像码流处理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N110662101A (zh) 一种基于udp协议的网络视频多路显示方法及装置
US1045507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KR19990061602A (ko) 화상회의 시스템의 영상 구성 제어 방법
KR100756271B1 (ko) 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네트워크 카메라 제어 방법 및그 시스템
KR100793427B1 (ko) 화상전화를 이용한 방송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CN105323530B (zh) 多媒体的协作系统、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KR20140070883A (ko) 영상 회의 시스템에서 원격지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2008072249A (ja) 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