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1355A -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 - Google Patents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1355A
KR20040081355A KR1020040016702A KR20040016702A KR20040081355A KR 20040081355 A KR20040081355 A KR 20040081355A KR 1020040016702 A KR1020040016702 A KR 1020040016702A KR 20040016702 A KR20040016702 A KR 20040016702A KR 20040081355 A KR20040081355 A KR 20040081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barrier
type low
current conductor
discharge lamp
barri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기마사미
다께다유우지
구리따다까요시
히라오도모마사
Original Assignee
하리손 도시바 라이팅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리손 도시바 라이팅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리손 도시바 라이팅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1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135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 H01J65/042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 H01J65/046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the field being produced by using capacitive means around the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67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 H01J61/0672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6Seals between parts of vessels; Seals for leading-in conductors; Leading-in condu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를 구성하는 관형 유리 램프 용기(10)에는 그 적어도 일단부의 외주면에 전류 도체층(31, 36)이 전극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 전류 도체층(31, 36)은 상기 관형 유리 램프 용기(10)의 표면에 땜납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전류 도체층(31, 36) 상에는 또한 급전용 금속편(106)이 땜납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TYPE LOW PRESSURE DISCHARGE LAMP}
본 발명은,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극으로의 급전선의 접속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관형 유리 램프 용기의 외표면에 전극을 구비하는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는 이미 알려져 있다. 이 종래의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는 양단부가 밀봉된 관형 유리 램프 용기를 구비하고 있다. 이 관형 유리 램프 용기의 내부에는 희박 가스 혹은 희박 가스와 수은의 혼합 가스 등의 이온화 가능한 충전제가 봉입되어 있다. 관형 유리 램프 용기의 내주면에는 필요에 따라서 형광체층이 형성되어 있다. 관형 유리 램프 용기의 양단부 외주면에는 한 쌍의 외부 전극이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외부 전극은, 예를 들어 관형 유리 램프 용기의 양단부 외주면에 도전성 접착재를 거쳐서 접착된 알루미늄박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테이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들 외부 전극에는 퓨즈 홀더형의 급전 부재가 접촉되어 있고, 이 급전 부재에는 급전용 리드선이 접속되어 있다. 이 퓨즈 홀더형 급전 부재는 링형의 금속 접촉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그 자신의 스프링 탄성에 의해 외부 전극에 밀착되어 있다. 급전용 리드선은 도시하지 않지만, 점등 장치로부터 고주파 전압이 공급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는 전류-전압 특성이 정특성을 가지므로, 하나의 점등 장치에 의해 복수개의 저압 방전 램프를 병렬, 동시 점등시킬 수 있어 점등 장치의 설계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에 있어서는, 외부 전극에 접속되는 급전 부재는 외부 전극과 기계적인 접촉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외부 전극의 표면과 양호한 접촉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따라서, 외부 전극과 급전 부재 사이의 전기 저항이 증대하여 보다 높은 전압의 인가가 필요해지거나, 혹은 공급 전력의 손실이 생기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급전 부재는 구조적으로도 크게 복잡하고, 비용적으로도 상승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는, 기계적인 접속구인 급전 부재 대신에 납땜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외부 전극의 구조가 전술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테이프이고, 또한 도전성 접착재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납땜에 의한 전기적인 접속은 숙련을 필요로 하여 곤란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적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급전부분의 구조의 간소화가 도모되어 양호한 전기적 접속을 확보하는 동시에, 비용의 저감도 가능한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는 외면 중 적어도 일단부에 전류 도체층이 전극으로서 설치된 관형 유리 램프 용기를 구비한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에 있어서, 상기 전류 도체층은 상기 관형 유리 램프 용기의 표면에 땜납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이 전류 도체층 상에는 또한 급전용 금속 부재가 납땜에 의해 고정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금속 부재는 이 표면에 급전용 리드선을 납땜함으로써, 고주파 전원으로부터의 구동 전압을 전력 손실을 수반하는 일 없이 방전 램프의 외부 전극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에 있어서는, 상기 땜납 재료는 주석, 주석과 인듐과의 합금, 혹은 주석과 비스무스와의 합금 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는 재료이고, 상기 전류 도체층은 상기 땜납재를 초음파 디핑에 의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에 있어서는, 상기 금속 부재는 금속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금속편에 대해 리드선을 땜납 접속하는 것만으로 급전 부분을 구성할 수 있어, 급전부를 간단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에 있어서는, 상기 금속 부재는 금속선이고, 상기 전류 도체층에 코일형으로 권취하여 납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외부 전극측에 납땜된 코일형의 금속선에 급전용 리드선을 납땜하여 급전 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급전부의 제조에 있어서는 외부 전극 부분에 금속선을 코일형으로 권취하여 납땜만 하는 간단한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코일형 금속선에 의해 전류가 1군데로 집중하지 않으므로 장기간에 안정된 급전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에 있어서는, 상기 전류 도체층에 피복 리드선의 코어선이 납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에 있어서는, 외부 전극에 대한 급전 부분은 리드선의 코어선이 전류 도체층에 납땜되는 간단한 구조로, 제조 비용의 저감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의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관형 유리 램프 용기
11 : 저압 방전 램프
21, 26 : 외부 전극
31, 36 : 전류 도체층
41, 46 : 리드선
60 : 형광체층
70 : 충전제
91, 96 : 땜납부
101, 106 : 금속편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11)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11)에 있어서 양단부가 밀봉된 관형 유리 램프 용기(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관형 유리 램프 용기(10)의 내부에는 희박 가스 혹은 희박 가스와 수은의 혼합 가스 등의 이온화 가능한 충전제(70)가 봉입되어 있다. 관형 유리 램프 용기(10)의 내주면에는 형광체층(60)이 형성되어 있다.
관형 유리 램프 용기(10)의 양단부 외주면에는 외부 전극(21, 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외부 전극(21, 26)은 용융 땜납조(도시하지 않음)에 관형 유리 램프 용기(10)의 단부를 디핑하고, 초음파 진동을 가하면서 납땜함으로써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땜납조 내에 용융되는 땜납재는 주석, 주석과 인듐과의 합금, 혹은 주석과 비스무스와의 합금 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는 재료이다. 또한, 이들 땜납재에는 안티몬, 아연, 알루미늄 중 적어도 1종류를 첨가제로서 포함함으로써, 보다 양호한 땜납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관형 유리 램프 용기(10)의 용융 땜납조로의 디핑에 앞서서, 관형 유리 램프 용기(10)의 양단부 외면에 블러스트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땜납재를 용기의 외표면에 대해 보다 견고하게 고정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외부 전극(21, 26)을 구성하는 땜납층 상에는 접속 단부(101A, 106A)를 갖는 금속편(101, 106)을 배치하여 초음파 납땜부(51, 56)에 의해 고정 부착한다. 계속해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선(41, 46)을 금속편(101, 106)의 접속 단부(101A, 106A) 각각에 휘감아 납땜부(91, 96)에 의해 접속한다. 이 리드선(41, 46)을 통해 점등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고주파 전압을 급전하여 저압 방전 램프(11)를 점등시킨다.
이와 같은 제1 실시예에서는 외부 전극(21, 26)에 대해 금속편(101, 106)을 납땜하고, 이 금속편(101, 106)의 접속 단부(101A, 106A)에 리드선(41, 46)을 접속함으로써 점등 장치로부터의 급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리드선(41, 46)과 외부 전극(21, 26)과의 전기적인 접속은 납땜에 의해 높은 도전성,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고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급전 부분의 구조는 매우 간단하고, 종래의 퓨즈 홀더형 급전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제조 비용의 저감과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도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12)는 제1 실시예와 같은 관형 유리 램프 용기(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램프 용기(10) 양단부 외주의 외부 전극(21, 26)에는 금속선을 코일형으로 권취하여 형성된 코일형 금속선(111, 116)이 초음파 납땜부(52, 57)에 의해 외부 전극(21, 26)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형 금속선(111, 116) 각각의 접속 단부(111A, 116A)에는 리드선(41, 46)을 휘감아 납땜함으로써 급전부가 형성된다. 이 리드선(41, 46)을 통해 점등 장치로부터 급전하여 저압 방전 램프(12)를 점등시킨다.
본 실시예에 의한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12)에서는 외부 전극 부분에 금속선을 코일형으로 권취하여 납땜함으로써 급전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코일형 금속선(111, 116)에 의해 전류가 1군데에 집중하지 않으므로 장기간에 안정된 급전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해 도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리드선(41, 46)의 코어선(41A, 46A)을 외부 전극(21, 26)에 초음파 납땜부(51, 56)에 의해 직접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형 유리 램프 용기(10)의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본 제3 실시예에 따르면, 관형 유리 램프 용기(10)의 외부 전극(21, 26)에 별도 부품을 납땜에 의해 부착하는 공정이 필요하지 않고, 리드선(41, 46)의 코어선(41A, 46A)의 초음파 납땜 공정만으로 좋으므로, 구성이 간단하여 비용을 한층 저하시키고, 또한 소형화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해 도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형 유리 램프 용기(10) 양단부의 각 외부 전극(21, 26)의 단부 정상부에 리드선(41, 46)의 코어선(41A, 46A)을 초음파 납땜부(53, 58)에 의해 직접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도3에 도시한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이 제4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이 간단하여 비용을 한층 저하시키고, 또한 소형화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15)에 대해 도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리드선(41, 46)의 코어선을 길게 노출시켜 그 코어선(41B, 46B)을 관형 유리 램프 용기(10)의 양단부의 외부 전극(21, 26) 각각의 외주에 권취하고, 초음파 납땜부(52, 57)에 의해 외부 전극(21, 26)에 직접적으로 접속한 점에 있다. 그 밖의 구성은 도3에 나타낸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는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이 간단하여 비용의 저하를 도모할 수 있는 데다가, 외부 전극(21, 26)에 대해 리드선(41, 46)의 코어선(41B, 46B)이 코일형으로 권취되어 납땜되어 있으므로 이들 접속 부분이 견고하고, 또한 전류가 1군데로 집중하지 않으므로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관형 유리 램프(10)의 양단부에 외부전극(21, 26)이 설치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외부 전극이 관형 유리 램프(10)의 일단부에만 설치된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면 중 적어도 일단부에 전류 도체층이 전극으로서 설치된 관형 유리 램프 용기를 구비한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에 있어서, 상기 전류 도체층은 상기 관형 유리 램프 용기의 표면에 땜납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이 전류 도체층 상에는 또한 급전용 금속 부재가 납땜에 의해 고정 부착된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을 제공함으로써, 급전 부분의 구조의 간소화가 도모되어 양호한 전기적 접속을 확보하는 동시에, 비용의 저감도 가능한 작용 효과가 있습니다.

Claims (8)

  1. 외면 중 적어도 일단부에 전류 도체층이 전극으로서 설치된 관형 유리 램프 용기를 구비한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에 있어서, 상기 전류 도체층은 상기 관형 유리 램프 용기의 표면에 땜납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이 전류 도체층 상에는, 또한 급전용 금속 부재는 땜납에 의해 고정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땜납 재료는 주석, 주석과 인듐과의 합금, 혹은 주석과 비스무스와의 합금 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는 재료이고, 상기 전류 도체층은 상기 땜납재를 초음파 디핑에 의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는 금속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는 금속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는 금속선이고, 상기 전류 도체층에 코일형으로 권취하여 납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는 금속선이고, 상기 전류 도체층에 코일형으로 권취하여 납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
  7. 외면 중 적어도 일단부에 전류 도체층이 전극으로서 설치된 관형 유리 램프 용기를 구비한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에 있어서, 상기 전류 도체층은 상기 관형 유리 램프 용기의 표면에 땜납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이 전류 도체층 상에는 또한 리드선의 코어선이 납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땜납 재료는 주석, 주석과 인듐과의 합금 혹은 주석과 비스무스와의 합금 중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하는 재료이고, 상기 전류 도체층은 상기 땜납재를 초음파 디핑에 의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
KR1020040016702A 2003-03-13 2004-03-12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 KR200400813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68547A JP2004281133A (ja) 2003-03-13 2003-03-13 誘電体バリア放電型低圧放電ランプ
JPJP-P-2003-00068547 2003-03-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355A true KR20040081355A (ko) 2004-09-21

Family

ID=33285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702A KR20040081355A (ko) 2003-03-13 2004-03-12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40222743A1 (ko)
JP (1) JP2004281133A (ko)
KR (1) KR20040081355A (ko)
CN (1) CN1531382A (ko)
TW (1) TWI26933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08521B2 (en) 2005-03-22 2012-11-13 Lg Display Co., Ltd. Lamp electr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7849B2 (ja) * 2003-06-19 2007-12-26 ハリソン東芝ライティング株式会社 低圧放電ランプ
KR101150196B1 (ko) * 2005-03-14 2012-06-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형광램프
US20060208641A1 (en) * 2005-03-15 2006-09-21 Takashi Maniwa Cold-cathode fluorescent lamp having thin coat as electrically connected terminal, production method of the lamp,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lamp,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2006318742A (ja) * 2005-05-12 2006-11-24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蛍光ランプ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US7550911B2 (en) * 2005-05-13 2009-06-23 Panasonic Corporation Fluorescent lamp for use in a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170949B1 (ko) 2005-06-03 2012-08-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외부전극형광램프
US7652430B1 (en) 2005-07-11 2010-01-26 Kla-Tencor Technologies Corporation Broadband plasma light sources with cone-shaped electrode for substrate processing
JPWO2008093768A1 (ja) * 2007-02-01 2010-05-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蛍光ランプ、並びに蛍光ランプを用いた発光装置及び表示装置
CA2638982A1 (en) 2007-10-12 2009-04-12 Hosiden Corporation Buffer, adapter, and connecting device for attaching the same buffer or adapt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48262B (en) * 1993-09-08 1998-12-21 Ushio Electric Inc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
US6515433B1 (en) * 1999-09-11 2003-02-04 Coollite International Holding Limited Gas discharge fluorescent device
KR100825224B1 (ko) * 2001-12-29 2008-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램프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08521B2 (en) 2005-03-22 2012-11-13 Lg Display Co., Ltd. Lamp electr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69338B (en) 2006-12-21
CN1531382A (zh) 2004-09-22
JP2004281133A (ja) 2004-10-07
TW200425204A (en) 2004-11-16
US20040222743A1 (en) 2004-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27820B1 (en) Compact fluorescent lamp with mechanical support means and starting aid
US7927168B2 (en) Low-pressure discharge lam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JP2015537381A (ja) 抵抗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81355A (ko) 유전체 배리어 방전형 저압 방전 램프
US7259507B2 (en) Low pressure discharge lamp having external electrodes provided with heat equalizing members
JP2002260591A (ja) 外部電極形蛍光ランプ
JP2003178718A (ja) 誘電体バリア放電型低圧放電ランプ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6294593A (ja) 冷陰極蛍光ランプおよ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US2781470A (en) Electrical connection means
JP2005108699A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JPH051898Y2 (ko)
JP3925591B2 (ja) 放電ランプ、放電ランプ装置、蛍光ランプおよび蛍光ランプ装置
JP2001015083A (ja) 希ガス放電灯
JP2005071736A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JP3065466U (ja) 管形ランプ装置
JP2006147298A (ja) 低圧放電ランプ用給電部材
JP2010003419A (ja) 外部電極放電ランプおよびソケット付き外部電極放電ランプ
CA2300741A1 (en) High-pressure discharge lamp
JP2021170456A (ja) 放電ランプ
JPH08203473A (ja) 低圧放電ランプ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2003168392A (ja) 誘電体バリア放電ランプ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2117811A (ja) 外部電極型蛍光ランプ
JP2008091141A (ja) 点灯装置および電球形蛍光ランプ
JP2006338884A (ja) 外部電極型ランプ
JP2009266477A (ja) 放電ランプおよびバックライ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