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1065A - 식기 세정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1065A
KR20040081065A KR1020040016952A KR20040016952A KR20040081065A KR 20040081065 A KR20040081065 A KR 20040081065A KR 1020040016952 A KR1020040016952 A KR 1020040016952A KR 20040016952 A KR20040016952 A KR 20040016952A KR 20040081065 A KR20040081065 A KR 20040081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cleaning
motor
pump
dish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4128B1 (ko
Inventor
기쿠카와도모유키
이누이히로아키
오야마마코토
미야우치다카시
이노우에다카유키
우에사키마사요시
다나카아츠히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6996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27536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21200A external-priority patent/JP4339010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1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1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1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6Details of the tub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체 형상을 대형화하는 일 없이 세정조의 용적을 확대하여, 세정가능한 식기의 양을 많게 하는 식기 세정기를 제공한다.
세정 펌프(6)의 임펠러(20)의 회전축(21)과, 모터(7)의 회전축(22)을 동심으로 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세정조(1)의 바닥부로부터 하방으로 팽창 돌출한 저수부(4)의 측방향으로, 또한 세정 노즐(8)의 회전 궤적의 하방으로 대향하는 상기 세정조(1)의 바닥부 하방으로 공간부(C)를 형성한다. 이 공간부(C)에 모터(7) 및 세정 펌프(6)를 배치한다. 세정조(1)내의 저수부(4)와 세정 펌프(6) 사이를 흡입 경로에 의해 연통하여, 흡입 경로와 세정 펌프(6)의 접속부를 임펠러(20)의 회전축(21)과 동심으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식기 세정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세정 펌프에 의해 세정수를 가압하여 세정 노즐에 의해 분사하여, 식기를 세정하는 식기 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분야에 속하는 종래의 식기 세정기의 구성을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식기 세정기 본체(5)내에 세정조(1)를 설치하고 있다. 세정조(1)는 식기 바스켓(2)을 배치하여 식기(3)를 세척하는 것으로, 그 바닥부에 급수된 물을 저장하는 저수부(4)를 설치하고 있다.
세정 펌프(6)는 모터(7)에 의해 구동되어, 저수된 물을 가압하여 회전가능한 세정 노즐(8)에 의해 식기 바스켓(2)에 수용한 식기(3)를 향해서 세정수를 분사한다.
세정 펌프(6)는 모터(7)의 회전축(도시하지 않음)과 동심으로 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 구성한다. 또한, 흡입 경로(13)와 세정 펌프(6)의 접속부(14)는모터(7)의 회전축으로 직교하고, 세정조(1)의 하방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급수 밸브(도시하지 않음)는 세정조(1)내에 급수하는 것으로, 히터(10)는 세정조(1)내의 세정수를 가열하여 온수화한다. 필터(11)는 식기(3)에 의해 제거한 음식물 찌꺼기, 오염 등을 포착하는 것이다.
제어 장치(12)는 모터(7), 급수 밸브, 히터(10) 등의 동작을 제어하여, 세정, 헹굼, 건조의 일련의 행정을 차례로 제어하는 것이다.
다음에 세정으로부터 건조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동작을 설명한다.
식기 바스켓(2)에 식기(3)를 수용하고, 식기 바스켓(2)을 세정조(1)내에 배치하여, 세제를 투입하여 운전을 개시한다. 제어 장치(12)에 의해 급수 밸브를 열어 수돗물을 세정조(1)내로 급수한다. 소정 수위가 되면 급수를 정지하고, 세정 펌프(6)를 구동한다. 그리고, 저수부(4)의 세정수는 세정 펌프(6)에 의해 가압되어, 도수로를 통해서 세정 노즐(8)로 압송되고, 세정 노즐(8)에 의해 세정조(1)내의 식기 바스켓(2)에 수용한 식기(3)를 향해서 분사하여 세정한다.
세정한 후의 세정수는 다시 저수부(4)로 복귀시키고, 그 때 세정수는 히터(10)에 의해서 가열되어, 사전 설정되어 있는 적절한 고온으로 되어 세정력이 높여진다. 그리고, 세정을 한 세정수중의 오염물은 다시 저수부(4)로 복귀될 때에 필터(11)에 의해 포착되기 때문에, 순환하여 세정을 할 때의 오염물의 재부착은 억제된다.
세정이 종료되면 배수 펌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세정조(1)내의 세정수를 배수한다.
그 후, 세정조(1)내에 다시 급수하여 헹굼을 행하여, 헹굼이 종료하면 히터(10)에 통전하여 건조한다.
상기 구성의 식기 세정기가 일본 특허 공개 제 1997-131292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세정 공간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이하와 같은 대책이 고려된다.
즉, 도 10과 같이 세정 펌프(6)를 회피하여 세정조(1)를 본체(5)내에 쓸데없는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대한 크게 하더라도, 세정 노즐(8)의 회전 궤적(9)으로부터 벗어난 공간부(A)는 유효한 세정 가능 영역이 되지 않는다. 그리고, 세정조(1)내의 세정가능한 공간이 좁아진다.
또한, 소정의 세정가능한 공간을 확보하면, 세정조(1)를 수용하는 본체(5)가 커져, 좁은 공간에의 설치가 곤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체(5)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세정가능한 공간을 확보하는 구성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1-198071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그것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 펌프(6)를 모터(7)의 회전축과 동심으로서 대략 수평 방향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세정 노즐(8)의 회전 궤적과 대향하는 세정조(1)의 바닥부 하방의 공간부(B)에, 세정 펌프(6)와 모터(7)를 소형화하여 배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세정 펌프(6) 및 모터(7)의 외형이 가늘게 되기 때문에, 모터(7)의 회전수를 대폭 올리지 않으면 소정의 펌프 성능을 얻을 수 없다. 그 때문에, 모터(7) 구동시의 구동음 및 진동이 증대하여, 모터의 수명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새로운 과제가 발생한다. 즉, 본체(5)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세정조(1)내의 세정 공간을 크게 하는 것은 곤란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종래의 구성에서는, 흡입 경로(13)와 세정 펌프(6)의 접속부(14)는 일반적으로 대략 원통 형상의 조인트 사이를 호스 등으로 연결하고 있다. 그 때문에, 흡입 경로(13)의 유로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조인트의 직경의 높이가 필요하여, 세정조(1)내의 세정가능한 공간이 좁게 된다. 즉, 소정의 세정가능한 공간을 확보하면 세정조(1)를 수용하는 식기 세정기 본체(5)가 커져, 좁은 공간에의 설치가 곤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식기 세정기 본체의 외곽 형상을 대형화하는 일 없이 세정조의 용적을 확대하여, 수용가능한 식기의 양을 많이 할 수 있는 식기 세정기를 제공한다.
저수부를 갖은 세정조와, 상기 저수부의 세정수를 가압하는 세정 펌프와, 상기 세정 펌프에 의해서 가압된 세정수를 상기 세정조내에 분사하는 회전가능한 세정 노즐과, 상기 세정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세정 펌프의 임펠러의 회전축과 상기 모터의 회전축을 동심으로 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세정조의 바닥부로부터 하방으로 팽창 돌출한 상기 저수부의 측방향으로, 또한 상기 세정 노즐의 회전 궤적과 대향하는 상기 세정조의 바닥부 하방으로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상기 모터 및 세정 펌프를 배치한 식기 세정기를 제공한다.
또한, 저수부를 갖는 세정조와, 상기 저수부의 세정수를 가압하는 세정 펌프와, 상기 저수부와 상기 세정 펌프 사이를 연통하는 흡입 경로와, 상기 세정 펌프에 의해 가압된 세정수를 상기 세정조내에 분사하는 회전가능한 세정 노즐과, 상기 세정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세정 펌프의 임펠러의 회전축과 상기 모터의 회전축을 동심으로 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 구성하며, 상기 흡입 경로와 상기 세정 펌프의 접속부를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과 동심으로 구성한 식기 세정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식기 세정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식기 세정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식기 세정기의 세정 펌프 및 모터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식기 세정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식기 세정기의 세정 펌프 및 모터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식기 세정기의 세정 펌프 및 모터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식기 세정기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식기 세정기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식기 세정기의 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식기 세정기의 평면도,
도 11은 별도의 종래의 식기 세정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식기 바스켓 4 : 저수부
5 : 식기 세정기 본체 6 : 세정 펌프
7 : 모터 8 : 세정 노즐
19 : 팬 20 : 임펠러
21, 22 : 회전축 27 : 가이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면은 모식도이며, 각 치수 위치를 정확하게 나타낸 것은 아니다. 또한,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있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식기 바스켓(2)을 설치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세정조(1)는 수돗물을 식기 세정기의 본체(5)로 인도하는 급수 경로(도시하지 않음), 수돗물의 단수 또는 급수를 행하는 급수 밸브(도시하지 않음), 급수된 물을 소정 수위로 유지하는 수위 센서(도시하지 않음), 및 제어 회로 등으로 이루어지는 저수량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급수된 물을 저장하는 저수부(4)를 바닥부에 갖고 있다.
저수된 물을 가압하는 세정 펌프(6)내의 임펠러(20)의 회전축(21)과, 세정펌프(6)의 구동원인 모터(7)의 회전축(22)을 동심으로 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 구성한다. 동시에, 세정조(1)의 바닥부로부터 하방으로 팽창 돌출한 저수부(4)의 측방으로, 또한 식기를 세정하는 세정 수단으로서, 식기 바스켓(2)에 배치된 식기를 향해서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 노즐(8)의 회전 궤적과 대향하는 세정조(1)의 바닥부 하방으로 공간부(C)를 형성한다. 이 공간부(C)에 모터(7) 및 세정 펌프(6)를 배치한다. 모터(7)는 높이를 낮게 형성하는데 적합한 토로이달 모터(toroidal motor)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저수부(4)내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10), 필터(11), 식기 세척 후의 오수를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 펌프(2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공간부(C)에 모터(7) 및 세정 펌프(6)를 배치하기 때문에, 세정조(1)내의 세정가능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세정 펌프(6)의 외형 치수도 확보 가능해지기 때문에, 모터(7)를 고속 회전해야만 하는 과제가 없어진다.
그 결과, 식기 세정기의 본체(5)의 형상을 대형화하는 일 없이 세정조(1)의 용적을 확대하여, 수용가능한 식기의 양을 많이 할 수 있다. 즉, 콤팩트한 식기 세정기의 본체(5)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다량의 식기를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세정조(1)를 소정 용적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식기 세정기의 본체(5)의 소형화를 촉진할 수 있게 되어, 좁은 장소에의 설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세정 펌프(6)는 그 바닥부가 저수부(4)의 바닥부와 대략 동일한 높이, 또는 저수부(4)의 바닥부보다 상방이 되도록 설치한다.
이렇게 하여, 세정 또는 헹굼 종료 후에 물이 세정 펌프(6)내에 잔류하는 일없이 저수부(4)로 유동시킬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배수시의 잔류물을 적게 하여 세정 효율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세정 펌프(6) 및 모터(7)를 세정조(1)의 외측 바닥부에 나사 등으로 하방으로부터 직접 장착하고 있다. 종래는, 방진 고무를 거쳐서 장착하고 있었기 때문에, 세정조(1)와 세정 펌프(6)의 상대 위치 관계의 편차를 적게 하는 것이 과제로 되어 있었다. 이 편차를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세정수를 순환시키는 도수로(24) 등의 순환 경로의 수밀 밀봉성이 향상한다. 또한, 세정 펌프(6)와 모터(7)의 주된 진동원이 되는 회전 방향의 진동(전자음)은 세정조(1)에 설치한 장착부(16)의 비틀림 방향으로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모터(7) 구동시의 식기 세정기의 본체(5)에의 진동 전달을 적게 할 수 있다. 물론, 종래부터 실행되고 있는 방진 고무 등의 방진 수단을 설치하면, 그 진동 전달은 한층 더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세정 펌프(6)의 상방에 모터(7)를 배치하고, 모터(7)를 세정조(1)의 외측 바닥부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장착부(16)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장착부(16)의 비틀림 방향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진동 진폭을 억제하여, 질량이 무거운 모터(7)의 구동을 안정시킴과 동시에, 세정 펌프(6) 및 이 세정 펌프(6)에 결합한 순환 경로에 가해지는 진동에 동반하는 기계적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도수로(24) 등의 연결부에서의 수밀 시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모터(7)의 상면과 세정조(1)의 바닥부 외면 사이에는 간극(17)을 형성하고 있다. 모터(7)의 냉각용 공기를 이 간극(17)에 유동시킴으로써, 모터(7)의 상면을 효율적으로 냉각하여 그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세정 펌프(6)의 큰 직경화에 따른 회전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모두 낮은 온도에서의 운전을 실현할 수 있다.
모터(7)의 상면측에는, 모터(7)를 냉각하는 팬(19)을 설치함과 동시에, 세정조(1)의 바닥부에는 상방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18)를 형성한다. 이 오목부(18)내에 적어도 팬(19)의 일부를 수용함으로써, 세정조(1)의 바닥부 하방의 공간에 팬(19)을 콤팩트하게 수용하여, 모터(7)의 냉각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모터(7)의 내부에는, 그 회전축(22)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영역을 갖는 통풍로(25)를 형성하고 있다. 모터(7)의 구동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인입 공기는, 도 3의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풍로(25)를 통해 세정조(1)의 바닥부 외면과의 사이에 형성한 간극(17)으로부터 모터(7)의 외주 방향으로 유출한다. 이렇게 하여, 모터(7)의 내부와 하면 및 상면을 동시에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세정조(1)의 바닥부에 형성한 오목부(18)에는, 그 개구측의 외주연에 내측 상방 경사부(26)가 설치되어 있다. 그 결과, 모터(7)의 내부를 통과하여 세정조(1)의 바닥부 외면에 도달한 공기를 모터(7)의 외주 방향으로 원활하게 유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냉각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경사부(26)는 곡면부로 형성하더라도 좋다. 팬(19)에는, 모터(7)의 통풍로(25)로부터 유출하는 공기를 모터(7)의 회전축(22)측으로 인도하는 가이드(27)를 설치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팬(19)의 능력을 높임과 동시에, 팬(19)으로부터 나간 직후의공기의 팬(19)에의 쇼트컷(shortcut)을 억제하여, 냉각류가 모터(7)의 상면에 접촉하는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냉각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모터(7)의 외형을 세정 펌프(6)의 외형보다 크게 형성함과 동시에, 모터(7)의 전기적 접속을 행하는 단자부(28)를 설치한다.
이 단자부(28)는 모터(7)의 하단부에서 모터(7)의 하방으로 배치한 세정 펌프(6)의 측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하여, 모터(7)의 두께를 얇게 하여 세정조(1)의 바닥부 하방의 공간을 낮게 할 수 있어, 본체(5)의 소형화 또는 세정조(1)의 대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세정 펌프(6)의 측방향으로 형성되는 모터(7)의 하방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모터(7)의 전기적 접속을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세정조(1)의 바닥부에 부착된 모터(7)의 전기적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식기 세정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저수량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수돗물이 세정조(1)의 내부로 급수된다. 급수된 물은 세정조(1)의 바닥부에 설치된 저수부(4)에 저정되어, 소정 수위에 이르면 바로 저수량 제어 장치에 의해서 급수를 정지한다.
다음에, 세정 펌프(6)가 동작하고, 저수부(4)의 세정수는 세정 펌프(6)에 의해 가압되어, 도수로(24)를 통해서 세정 노즐(8)로 반송되고, 그 노즐 구멍(15)으로부터 세정조(1)내의 식기 바스켓(2)에 배치된 식기를 향해서 분사되어 세정을 실행한다.
세정을 행한 세정수는 다시 저수부(4)로 복귀하도록, 복수의 순환 경로가 구성되어 있다. 그 때, 세정수는 히터(10)에 의해서 가열되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적절한 고온이 되어 세정력이 높여진다. 그리고, 세정을 한 세정수중의 오염물은 다시 저수부(4)로 복귀할 때에 필터(11)에 의해 포착되어, 순환하여 세정을 할 때의 오염물의 재부착을 억제한다. 세정이 끝나면 배수 펌프(23)에 의해서 세정조(1)내의 세정수가 배수된다. 이상이 세정으로부터 건조에 이르는 행정이다.
(실시예 2)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식기 세정기 본체(5)의 내부에는, 식기 바스켓(2)을 배치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세정조(1)가 설치된다.
또한, 세정조(1)의 바닥부에는 급수된 물을 저장하는 저수부(4)가 설치된다. 세정 펌프(6)는 모터(7)에 의해 구동되고, 저수된 물을 가압하여 회전가능한 세정 노즐(8)로 압송하여, 세정 노즐(8)에 의해 세정조(1)내에 배치한 식기 바스켓(2)에 수용한 식기를 향해서 세정수를 분사한다. 세정 펌프(6)내의 임펠러(20)의 회전축(21)과, 모터(7)의 회전축(22)을 동심으로 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 구성한다. 또한, 세정조(1)의 바닥부로부터 하방으로 팽창 돌출한 저수부(4)의 측방향으로, 또한 세정 노즐(8)의 회전 궤적과 대향하는 세정조(1)의 바닥부 하방으로 공간부(C)를 형성한다. 그리고, 공간부(C)에 모터(7) 및 세정 펌프(6)를 배치하고 있다.
흡입 경로(35)는 저수부(4)와 세정 펌프(6)를 연통하는 것으로, 흡입 경로(35)의 일단부는 나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세정 펌프(6)에 고정되어 있다. 흡입 경로(35)와 세정 펌프(6)의 접속부(36)는 임펠러(20)의 회전축(21)과 동심으로 구성한다. 접속부(36)의 밀봉 구성은 O링(O-ring)(37)으로 실행한다. O링(37)을 흡입 경로(35)에 형성한 하우징(38)에 설치하고, 세정 펌프(6)의 케이싱(39)에 설치한 플랜지로 O링(37)을 가압하여 밀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히터(10)는 세정조(1)내의 세정수를 가열하여 온수화한다.
필터(11)는 식기에 의해 제거한 음식물 찌꺼기, 오염 등을 포착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의 세정으로부터 건조에 이르는 기본적인 동작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세정 펌프(6)내의 임펠러(20)의 회전축(21)과, 모터(7)의 회전축(22)을 동심으로 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 구성한다. 또한, 세정조(1)의 바닥부로부터 하방으로 팽창 돌출한 저수부(4)의 측방향으로, 또한 세정 노즐(8)의 회전 궤적과 대향하는 세정조(1)의 바닥부 하방으로 공간부(C)를 형성한다. 이 공간부(C)에 모터(7) 및 세정 펌프(6)를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식기 세정기 본체(5)의 형상을 대형화하는 일 없이 세정조(1)의 용적을 확대할 수 있다. 즉, 수용가능한 식기의 양을 많이 할 수 있어, 콤팩트한 식기 세정기 본체(5)의 형상으로 다량의 식기를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세정조(1)를 소정 용적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식기 세정기 본체(5)의 소형화를 촉진할 수 있게 되어, 좁은 장소에의 설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속부(36)의 밀봉을 O링(37)으로 구성했기 때문에, 접속부(36)를 박형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식기 세정기 본체(5)의 형상을 대형화하는 일 없이 세정조(1)의 용적을 확대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수용가능한 식기의 양을 많이 할 수 있어, 콤팩트한 식기 세정기 본체(5)의 형상으로 다량의 식기를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접속부(36)의 O링(37)의 하우징(38)을 흡입 경로(35)에 설치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접속부(36)를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입 경로(35)와 세정 펌프(6)의 접속부(36)는 임펠러(20)의 회전축(21)과 동심으로 구성한다. 접속부(36)의 밀봉 구성은 O링(37)으로 실행한다. O링(37)의 하우징(33)을 세정 펌프(6)의 케이싱(39)에 설치한다. 또한, 흡입 경로(35)에 설치한 플랜지(34)로 O링(37)을 가압하여, 밀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2와 동일하다.
또한, 세정으로부터 건조까지의 기본적인 동작은 실시예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흡입 경로(35)와 세정 펌프(6)의 접속부(36)의 밀봉 구성은 O링(37)으로 실행한다. O링(37)의 하우징(33)을 세정 펌프(6)의 케이싱(39)에 설치하여, 흡입 경로(35)에 설치한 플랜지(34)로 O링(37)을 가압하여, 밀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접속부(36)의 박형화가 가능해져, 흡입 경로(35)의 바닥면을 포함한 세정 펌프(6)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세정조(1)내의 세정가능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입 경로(35)와 세정 펌프(6)의 접속부(36)는임펠러(20)의 회전축(21)과 동심으로 구성한다. 접속부(36)의 밀봉 구성은 O링(37)으로 실행한다. O링(37)의 하우징(38)을 흡입 경로(35)와 세정 펌프(6)의 케이싱(39)에 각각 설치한 리브(40, 41)에 의해 직경방향의 밀봉을 실행한다. 또한, 흡입 경로(35), 세정 펌프(6)의 케이싱(39)의 면을 이용하여 축방향의 밀봉을 실행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2와 동일하다.
또한, 세정으로부터 건조까지의 기본적인 동작은 실시예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흡입 경로(35)와 세정 펌프(6)의 접속부(36)의 밀봉 구성은 O링(37)으로 실행한다. O링(37)의 하우징(38)을 흡입 경로(35)와 세정 펌프(6)의 케이싱(39)에 각각 설치한 리브(40, 41)에 의해 직경방향의 밀봉을 실행한다. 또한, 흡입 경로(35), 세정 펌프(6)의 케이싱(39)의 면을 이용하여 축방향의 밀봉을 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접속부(36)의 축방향의 밀봉 이외에 직경방향의 밀봉이 가능해져, 접속부(36)에 있어서의 수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 5)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입 경로(42)는 저수부(4)와 세정 펌프(6)를 연통하는 것으로, 흡입 경로(42)와 세정 펌프(6)의 케이싱(43)은 진동 용착 등에 의해 일체화하여 구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다. 또한, 세정으로부터 건조까지의 동작은 실시예 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흡입 경로(42)와 세정 펌프(6)의 케이싱(43)을 일체적으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접속부가 불필요해진다. 그 결과, 접속부의 높이 정도만큼 세정조(15)의 바닥부를 낮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식기 세정기 본체(5)의 형상을 대형화하는 일 없이 세정조(1)의 용적을 확대할 수 있어, 수용가능한 식기의 양을 많이 할 수 있다. 즉, 조밀한 식기 세정기 본체(5)의 형상으로 다량의 식기를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세정조(1)를 소정 용적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식기 세정기 본체(5)의 소형화를 촉진할 수 있게 되어, 좁은 장소에의 설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을 조합시키더라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은 본체 형상을 대형화하지 않고 세정조의 용적을 확대하여, 세정가능한 식기의 양을 많이 할 수 있으며, 콤팩트한 식기 세정기를 제공한다.

Claims (14)

  1.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저수부를 갖은 세정조와,
    상기 저수부의 세정수를 가압하는 세정 펌프와,
    상기 세정 펌프에 의해서 가압된 세정수를 상기 세정조내에 분사하는 회전가능한 세정 노즐과,
    상기 세정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세정 펌프의 임펠러의 회전축과 상기 모터의 회전축을 동심으로 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세정조의 바닥부로부터 하방으로 팽창 돌출한 상기 저수부의 측방향으로, 또한 상기 세정 노즐의 회전 궤적과 대향하는 상기 세정조의 바닥부 하방으로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상기 모터 및 세정 펌프를 배치한
    식기 세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펌프는 그 바닥부가 상기 저수부의 바닥부와 대략 동일한 높이, 또는 상기 저수부의 바닥부보다 상방이 되도록 배치한
    식기 세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펌프 및 상기 모터를 상기 세정조의 외측 바닥부에 장착한
    식기 세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펌프의 상방에 상기 모터를 배치하고, 상기 모터를 상기 세정조의 외측 바닥부에 장착한
    식기 세정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외형을 상기 세정 펌프의 외형보다 크게 한
    식기 세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전기적 접속을 실행하는 단자부를 설치하여, 상기 단자부는 상기 모터의 하단부에서 상기 모터의 하방으로 배치한 상기 세정 펌프의 측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구성한
    식기 세정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를 토로이달 모터로 구성한
    식기 세정기.
  8. 식기 세정기에 있어서,
    저수부를 갖는 세정조와,
    상기 저수부의 세정수를 가압하는 세정 펌프와,
    상기 저수부와 상기 세정 펌프 사이를 연통하는 흡입 경로와,
    상기 세정 펌프에 의해 가압된 세정수를 상기 세정조내에 분사하는 회전가능한 세정 노즐과,
    상기 세정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세정 펌프의 임펠러의 회전축과 상기 모터의 회전축을 동심으로 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 구성하며, 상기 흡입 경로와 상기 세정 펌프의 접속부를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과 동심으로 구성한
    식기 세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조의 바닥부로부터 하방으로 팽창 돌출한 상기 저수부의 측방향으로, 또한 상기 세정 노즐의 회전 궤적과 대향하는 상기 세정조의 바닥부 하방으로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상기 모터 및 상기 세정 펌프를 배치한
    식기 세정기.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의 시일을 O링으로 구성한
    식기 세정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의 상기 O링의 하우징을 상기 흡입 경로에 설치한
    식기 세정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의 상기 O링의 하우징을 상기 세정 펌프의 케이싱에 설치한
    식기 세정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의 상기 O링의 하우징을 상기 세정 펌프의 케이싱과 상기 흡입 경로로 구성한
    식기 세정기.
  14.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경로와 상기 세정 펌프의 케이싱을 일체적으로 구성한
    식기 세정기.
KR1020040016952A 2003-03-14 2004-03-12 식기 세정기 KR1005741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69962A JP2004275363A (ja) 2003-03-14 2003-03-14 食器洗い機
JPJP-P-2003-00069962 2003-03-14
JPJP-P-2003-00121200 2003-04-25
JP2003121200A JP4339010B2 (ja) 2003-04-25 2003-04-25 食器洗い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065A true KR20040081065A (ko) 2004-09-20
KR100574128B1 KR100574128B1 (ko) 2006-04-25

Family

ID=34315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952A KR100574128B1 (ko) 2003-03-14 2004-03-12 식기 세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574128B1 (ko)
CN (2) CN2712268Y (ko)
TW (1) TWI25334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3117A (zh) * 2020-08-13 2020-11-24 安徽信息工程学院 一种家庭用碗具清洗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3117A (zh) * 2020-08-13 2020-11-24 安徽信息工程学院 一种家庭用碗具清洗机
CN111973117B (zh) * 2020-08-13 2024-05-17 安徽信息工程学院 一种家庭用碗具清洗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712268Y (zh) 2005-07-27
TWI253341B (en) 2006-04-21
KR100574128B1 (ko) 2006-04-25
CN1265757C (zh) 2006-07-26
CN1530063A (zh) 2004-09-22
TW200420266A (en) 200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172B1 (ko) 식기세척기
US20060054201A1 (en) Sump assembly of dishwasher
US20060060228A1 (en) Sump assembly of dishwasher
KR101751343B1 (ko) 비엘디시 모터 및 이를 이용한 배수펌프
KR101564597B1 (ko) 배수호스와 이를 가지는 세척장치
KR100574128B1 (ko) 식기 세정기
US20050120533A1 (en) Tableware washer
US7896975B2 (en) Sump assembly and dish washer using the same
JP4278931B2 (ja) リバーシブルポンプ及び食器洗い機
KR20120003070U (ko) 유체의 배출이 용이한 부품세척기
JPH10117996A (ja) 食器洗い機の運転方法
JP3900095B2 (ja) 食器洗い機
KR100698308B1 (ko) 식기세척기
KR101709551B1 (ko) 비엘디시 모터 및 이를 이용한 배수펌프
JP4339010B2 (ja) 食器洗い機
KR101296005B1 (ko) 식기 세척기
JP2004275363A (ja) 食器洗い機
JP2004049611A (ja) 食器洗い機及び食器洗い機用ポンプ装置
KR100232275B1 (ko) 펌프 장치
KR101709550B1 (ko) 비엘디시 모터 및 이를 이용한 배수펌프
JP2005334027A (ja) 洗浄機
JP2005329022A (ja) 洗浄機
KR101709549B1 (ko)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배수펌프
KR0128905Y1 (ko) 식기 세척기
KR20090003853U (ko) 펌프와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