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597B1 - 배수호스와 이를 가지는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배수호스와 이를 가지는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597B1
KR101564597B1 KR1020110014574A KR20110014574A KR101564597B1 KR 101564597 B1 KR101564597 B1 KR 101564597B1 KR 1020110014574 A KR1020110014574 A KR 1020110014574A KR 20110014574 A KR20110014574 A KR 20110014574A KR 101564597 B1 KR101564597 B1 KR 101564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vibration
hose
drain pump
drain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9793A (ko
Inventor
박상호
류두영
박찬우
박종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1195838.5A priority Critical patent/EP2474660A3/en
Priority to US13/343,150 priority patent/US9476157B2/en
Priority to CN2012100056510A priority patent/CN102587091A/zh
Publication of KR20120079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3Devices for water discharge, e.g. devices to prevent siphoning, non-return val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7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단순한 구조로 배수펌프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배수호스 및 이를 가지는 세척장치를 개시한다. 세탁기는 전면프레임, 후면프레임, 측면프레임 및 하면프레임을 포함하는 캐비닛과, 그 내부에 세탁수를 수용하도록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해 상기 하면프레임 및 상기 전면프레임에 결합되는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와, 상기 배수호스보다 낮은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호스 사이에 결합되어 세탁수가 배수될 때 상기 배수펌프의 진동이 상기 배수호스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주름부를 구비하는 방진부재와, 상기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펌프의 진동에 의해 상기 배수호스가 상기 프레임들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수호스와 이를 가지는 세척장치{DRAIN HOSE AND WASH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수펌프에 의한 진동소음을 저감하는 배수호스 및 이를 가지는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 등을 포함하는 세척장치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세탁물 또는 식기 등의 세척 과정을 수행한다.
세척 과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용된 물은 배수펌프에 의해 펌핑되어 배수펌프와 연결된 배수호스를 통해 세척장치의 외부로 강제 배수된다.
배수호스는 홀더, 가이드 등에 의해 세척장치의 프레임에 고정되는데, 배수펌프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체진동은 배수펌프에 연결된 배수호스를 따라 전달되면서 배수호스가 고정된 프레임의 진동소음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며, 이에 배수펌프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체진동이 배수호스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단순한 구조로 배수펌프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배수호스 및 이를 가지는 세척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전면프레임, 후면프레임, 측면프레임 및 하면프레임을 포함하는 캐비닛과, 그 내부에 세탁수를 수용하도록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해 상기 하면프레임 및 상기 전면프레임에 결합되는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와, 상기 배수호스보다 낮은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호스 사이에 결합되어 세탁수가 배수될 때 상기 배수펌프의 진동이 상기 배수호스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주름부를 구비하는 방진부재와, 상기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펌프의 진동에 의해 상기 배수호스가 상기 프레임들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배수펌프와 결합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배수호스와 결합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름부는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는 상기 터브 내부의 세탁수가 유입되는 세탁수유입구와, 상기 배수펌프로 유입된 세탁수가 배출되는 세탁수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주름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세탁수배출구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수호스는 상기 배수호스가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호스주름부와, 상기 호스주름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주름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장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와 상기 연장부는 서로 열융착될 수 있다.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제2연결부에 결합되는 슬리브(sleev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2연결부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제2연결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슬리브가 상기 제2연결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삽입부의 단부에 마련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배수호스의 일단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방진부재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질의 사출 성형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배수호스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진부재를 공용화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세탁수유입구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연장부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상기 배수펌프에 남아 있는 세탁수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잔수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전면프레임, 후면프레임, 측면프레임 및 하면프레임을 포함하는 캐비닛과, 그 내부에 세탁수를 수용하도록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해 상기 터브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와, 상기 배수호스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호스 사이에 결합되어 세탁수가 배수될 때 상기 배수펌프의 진동을 흡수하는 주름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수호스보다 강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방진부재와, 상기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펌프의 진동에 의해 상기 배수호스가 상기 프레임들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는 상기 후면프레임보다 상기 전면프레임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배수펌프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배수호스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제2연결부에 결합되는 강도보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상기 제2연결부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제2연결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강도보강부재가 상기 제2연결부의 일단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의 단부에 마련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진부재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질의 사출 성형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식기를 수용하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의 하부에 마련되는 섬프와, 상기 섬프 내부의 세척수를 배수하기 위해 상기 섬프의 일측에 마련되는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와, 상기 배수호스보다 낮은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호스 사이에 결합되어 세탁수가 배수될 때 상기 배수펌프의 진동이 상기 배수호스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주름부를 구비하는 방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호스는 상기 배수호스가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호스주름부와, 상기 호스주름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방진부재와 상기 연장부가 서로 열융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방진부재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강도보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상기 방진부재의 일단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강도보강부재가 상기 방진부재의 일단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을 가지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배수펌프와 결합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배수호스와 결합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름부는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는 상기 섬프 내부의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수유입구와, 상기 배수펌프로 유입된 세척수가 배출되는 세척수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주름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세척수배출구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주름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장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와 상기 연장부는 서로 열융착될 수 있다.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제2연결부에 결합되는 슬리브(sleev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2연결부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제2연결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슬리브가 상기 제2연결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삽입부의 단부에 마련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배수호스의 일단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방진부재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질의 사출 성형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배수호스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진부재를 공용화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세척수유입구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연장부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배수호스는 세탁기의 터브에 수용된 세탁수를 상기 세탁기의 외부로 강제 배수하기 위한 배수펌프에 결합되고, 상기 배수호스는 상기 배수호스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되는 호스주름부와, 상기 호스주름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펌프와 배수호스 사이에는 상기 연장부 및 상기 호스주름부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펌프의 진동을 흡수하는 주름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와 열융착 방식으로 결합되는 방진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방진 부재는 상기 연장부 및 상기 호스주름부보다 강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방진부재와 상기 연장부가 서로 열융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방진부재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강도보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상기 방진부재의 일단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강도보강부재가 상기 방진부재의 일단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을 가지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척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펌프에 의해 펌핑된 물을 상기 본체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와, 상기 배수호스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호스 사이에 결합되어 물이 배수될 때 상기 배수펌프의 진동을 흡수하는 주름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수호스보다 강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방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호스는 상기 배수호스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되는 호스주름부와, 상기 호스주름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방진부재와 상기 연장부가 서로 열융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방진부재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강도보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상기 방진부재의 일단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강도보강부재가 상기 방진부재의 일단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을 가지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배수펌프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배수호스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배수펌프의 진동이 배수호스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되므로 진동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배수펌프의 진동을 배수호스 자체에서 흡수하므로 진동 흡수를 위한 별도의 구조가 불필요하여 생산비가 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배수펌프와 배수호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배수펌프와 배수호스와 방진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배수펌프와 전면프레임 및 하면프레임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일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3에서 배수호스와 방진부재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7a 및 도 7b는 방진부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사용한 경우의 세탁기 소음을 비교한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배수펌프와 배수호스를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10은 도 9에서 배수펌프와 배수호스와 방진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1은 도 10에서 배수호스와 방진부재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방진부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사용한 경우의 세탁기 소음을 비교한 그래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대표적인 세척장치 중 하나인 세탁기에 대해 설명하고, 다음으로 식기세척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20)와,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조(30)와, 회전조(30)를 구동하는 모터(40)를 구비한다.
캐비닛(10)은 프레임들(10a, 10b, 10c, 10d)을 포함하며, 프레임들(10a, 10b, 10c, 10d)은 각각 캐비닛(10)의 전, 후면을 이루는 전면프레임(10a) 및 후면프레임(10b), 전면프레임(10a)과 후면프레임(10b)을 연결하며 캐비닛(10)의 측면과 하면을 이루는 측면프레임(10c) 및 하면프레임(10d)으로 구성된다.
캐비닛(10)의 전면부에는 회전조(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11)가 형성된다. 투입구(11)는 캐비닛(10)의 전면부에 설치된 도어(12)에 의해 개폐된다.
터브(20)의 상부에는 터브(20)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50)이 설치된다. 급수관(50)의 일측은 외부 급수원(미도시)과 연결되고, 급수관(50)의 타측은 세제 공급장치(52)와 연결된다.
세제 공급장치(52)는 연결관(54)을 통해 터브(20)와 연결된다. 급수관(5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 공급장치(52)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된다.
터브(20)는 댐퍼(80)에 의해 지지된다. 댐퍼(80)는 캐비닛(10)의 내측 저면과 터브(20)의 외면을 연결한다.
회전조(30)는 원통부(31)와, 원통부(31)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판(32)과, 원통부(31)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판(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면판(32)에는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개구(32a)가 형성되고, 후면판(33)에는 모터(40)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42)이 연결된다.
회전조(30)의 둘레에는 세탁수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34)이 형성되고, 회전조(30)의 내주면에는 회전조(30)가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터(35)가 설치된다.
회전조(30)과 모터(40) 사이에는 구동축(42)이 배치된다. 구동축(42)의 일단은 회전조(30)의 후면판(33)에 연결되고, 구동축(42)의 타단은 터브(20)의 후벽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모터(40)가 구동축(42)을 구동하면, 구동축(42)에 연결된 회전조(30)가 구동축(4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터브(20)의 후벽에는 구동축(4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 하우징(70)이 설치된다. 베어링 하우징(70)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터브(20)를 사출 성형할 때 터브(20)의 후벽에 인서트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70)과 구동축(42) 사이에는 구동축(42)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들(72)이 설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배수펌프와 배수호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배수펌프와 배수호스와 방진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배수펌프와 전면프레임 및 하면프레임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3에서 배수호스와 방진부재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 내부의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 배수펌프(100)와, 터브(20) 내부의 물이 배수펌프(1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터브(20)와 배수펌프(100)를 연결하는 연결호스(62)와, 배수펌프(100)에 의해 펌핑된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150)가 마련된다. 또한 배수펌프(100)와 배수호스(150) 사이에는 배수펌프(100)의 진동이 배수호스(150)로 전달되는 방지하는 방진부재(180)가 마련된다.
배수펌프(100)는 세탁수가 수용되는 펌프하우징(102)과, 펌프하우징(102)의 일단에 결합되어 펌프하우징(102)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를 강제 배수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배수모터(110)와, 펌프하우징(102)에 수용된 세탁수를 터브(20) 내부로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세탁수에 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한 버블발생모터(120)를 구비한다.
펌프하우징(102)은 터브(20) 내부의 세탁수가 유입되는 세탁수유입구(104)와, 와, 펌프하우징(102)으로 유입된 세탁수가 배출되는 세탁수배출구(106)와, 펌프하우징(102) 내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구(108)와, 펌프하우징(102) 내로 유입된 세탁수가 다시 터브(20)로 순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세탁수순환구(112)와, 펌프하우징(102)에 남아있는 잔수를 배출하기 위한 잔수배출구(114)를 포함한다. 잔수배출구(114)에는 잔수호스(115)가 결합되어 잔수배출구(114)를 지난 잔수가 세탁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세탁수유입구(104)는 연결호스(62)를 통해 터브(20)와 연결되어 터브(20) 내부의 세탁수가 펌프하우징(10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세탁수배출구(106)는 펌프하우징(102) 내부의 세탁수를 배수호스(150)를 통해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공기배출구(108)는 배수펌프(100)가 세탁수를 펌핑하는 과정에서 세탁수와 함께 혼입된 공기가 펌프하우징(10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잔수배출구(114)는 펌프하우징(102)의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배수펌프(100)를 통해 세탁수의 배수가 완료된 후, 펌프하우징(102)에 남아 있는 세탁수가 자연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배수펌프(100)는 필터(116)가 세탁기(1)의 전면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세탁기(1)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프레임(10a)에는 배수펌프(100)를 결합시키기 위한 펌프결합프레임(119)이 마련된다. 펌프결합프레임(119)은 소정의 폭을 가진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전면에는 배수펌프(100)의 필터(116)가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홀(119a)이 형성된다. 잔수호스(115)는 관통홀(119a)을 통해 펌프결합프레임(119)의 전면으로 돌출된다.
또한 사용자는 관통홀(119a)을 통해 노출된 필터(116)를 파지하여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펌프하우징(102)은 마운트부재(117)를 통해 하면프레임(10d)에 결합된다. 마운트부재(117)의 상면에는 펌프하우징(102)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03)를 수용하는 결합홀(117a)이 형성된다. 펌프하우징(102)과 마운트부재(117)는 결합돌기(103) 및 결합홀(117a)을 통해 서로 끼움 결합된다. 또한 마운트부재(117)는 하면프레임(10d)에 형성된 결합홈(117b)을 통해 하면프레임(10d)과 결합된다.
마운트부재(117)는 고무나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만들어지며, 펌프하우징(102)과 하면프레임(10d) 사이에 위치하여 펌프하우징(102)의 자체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펌프하우징(102)의 진동이 하면프레임(10d)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펌프하우징(102)의 세탁수배출구(106)에는 방진부재(180)가 결합된다.
방진부재(180)는 펌프하우징(102)의 세탁수배출구(106)에 결합되어 배수펌프(100)가 작동될 때 배수펌프(100)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배수호스(150) 또는 전면프레임(10a)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으로 배수펌프(100)의 진동을 흡수하는 주름부(182)와, 주름부(182)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세탁수배출구(106)와 결합되는 제1연결부(188)와, 주름부(182)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배수호스(150)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2연결부(189)를 포함한다.
주름부(182)는 산형(184)과 골형(186)이 서로 번갈아 배치되는 외형 구조를 가지며 그 내부는 세탁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중공된다. 산형(184)과 골형(186)은 주름부(182)에 진동 등의 외부에너지가 전달될 때 주름부(182)의 외형이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하여 외부에너지가 주름부(182)를 지나는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흡수되도록 한다. 외부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해 산형(184)들 간의 간격(P1)은 10mm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산형(184)과 골형(186)간의 원주 방향의 폭 차이(d1)는 5mm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름부(182)는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해 배수모터(110)가 동작하거나 세탁수에 버블을 발생시키기 위해 버블발생모터(12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펌프하우징(102)과 배수모터(110)와 버블발생모터(120)를 포함하는 배수펌프(100)의 무게중심에 따른 관성모멘트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한다. 자세하게는 배수펌프(100)에서 발생한 진동에너지가 주름부(182)로 전달되면, 진동에너지는 주름부(182)의 외형이 변하면서 산형(184)과 골형(186)의 마찰 등으로 발생하는 열에너지 또는 소리에너지 등으로 변환되어 흡수된다.
제1연결부(188)는 주름부(182)의 일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어 세탁수배출구(106)와 연결된다. 제1연결부(188)는 그 내주면이 세탁수배출구(106)의 외주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연결부(188)와 세탁수배출구(106)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고, 제1연결부(188)와 세탁수배출구(106)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제1연결부(188)와 세탁수배출구(106)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1연결부(188)의 외주면에는 클램프(195)가 결합될 수 있다.
제2연결부(189)는 주름부(182)의 타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어 배수호스(150)와 연결된다. 제2연결부(189)는 그 외주면이 배수호스(150)의 일단 내주면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그 외주면이 배수호스(150)의 일단 내주면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배수호스(150)의 일단과 열융착될 수 있다. 제2연결부(189)와 배수호스(150)의 일단이 서로 열융착됨으로써 방진부재(180)와 배수호스(150)는 일체가 되며, 방진부재(180)와 배수호스(150)는 일체로 배수펌프(100)에 결합될 수 있다.
방진부재(180)를 구성하는 제1연결부(188) 또는 제2연결부(189)의 크기(지름)를 세탁기(1)에 사용되는 배수펌프(100)의 세탁수배출구(106) 및 배수호스(150)의 규격에 맞게 조절함으로써 방진부재(180)의 공용화가 가능하다.
제2연결부(189)의 내주면으로는 슬리브(Sleeve)(194)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슬리브(Sleeve)(194)는 제2연결부(189)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제2연결부(189)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196)와, 슬리브(Sleeve)(194)가 제2연결부(189)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기 위해 삽입부(196)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198)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진부재(180)는 배수펌프(100)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절연하기 위해 주름부(182)를 가지며, 주름부(182)는 쉽게 그 형상이 변형됨으로써 배수펌프(100)의 진동을 흡수하게 되는데 주름부(182)의 두께가 두꺼워질 경우 강성이 커져 주름부(182)의 형상이 쉽게 변형되지 않으므로 배수펌프(100)의 진동을 완전히 흡수하지 못하게 된다. 효과적인 진동 흡수 성능을 가지기 위한 주름부(182)의 두께는 대략 2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여 주름부(182)와 제2연결부(189)는 일체로 형성되므로 제2연결부(189)의 두께도 대략 2mm 이하로 형성된다.
제2연결부(189)의 두께가 2mm 이하로 형성될 경우 제2연결부(189)의 단면이 완전한 원형을 이루지 못하고 굴곡될 수 있으며, 제2연결부(189)의 단면이 굴곡될 경우 배수호스(150)의 일단과 열융착되는 과정에서 제2연결부(189)의 외주면과 배수호스(150) 일단의 내주면이 완전히 접촉하지 못하여 결합 강도가 저하되고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삽입부(196)는 제2연결부(189)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2연결부(189)의 강도를 보강하고, 제2연결부(189)의 단면이 완전한 원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제2연결부(189)가 배수호스(150)의 일단과 완전히 접촉한 상태에서 열융착 될 수 있도록 한다.
걸림부(198)는 삽입부(196)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을 가지며, 슬리브(Sleeve)(194)가 제2연결부(189)의 일단에 걸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슬리브(Sleeve)(194)는 제2연결부(189)의 내측에 결합되어 제2연결부(189)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므로 강도보강부재로 볼 수 있다.
방진부재(180)는 T.P.E(Thermoplastic elastomer), T.P.O(Thermoplastic olefinic elastomer),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T.P.A.E(Thermoplastic polyamide), T.P.E.E(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등의 높은 진동절연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이나,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class) 등의 고무 재질의 사출 성형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라스틱이나 고무 재질로 구성된 방진부재(180)는 유연한 형상 변형을 통해 배수펌프(100)에서 발생한 진동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제2연결부(189)에는 배수호스(150)가 결합된다. 배수호스(150)는 배수호스(150)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호스주름부(153)와, 호스주름부(153)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151)를 구비한다. 호스주름부(153)는 배수호스(150)가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하여 배수호스(150)의 내측으로 세탁수가 흐르는 과정에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배수호스(150)가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하며, 또한, 배수호스(150)를 용이하게 캐비닛(10)의 내측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연장부(151)는 방진부재(180)의 제2연결부(189)와 결합되며 제2연결부(189)와 연장부(151)는 서로 열융착될 수 있다. 배수호스(150)의 재질로는 방진부재(180)의 재질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갖는 P.P(Polypropyle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방진부재(180)는 펌프하우징(102)과 배수호스(150) 사이에 마련되어 펌프(100)의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펌프(100)의 진동이 배수호스(150)로 전달되어 배수호스(150)가 프레임들(10b, 10c, 10d)과 접촉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 소음을 저감하며, 아울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0)의 전면 하부에 배치되는 펌프(100)의 진동이 전면프레임(10a)로 직접 전달되어 발생할 수 있는 진동 소음을 저감하는 효과도 가진다.
배수호스(150)는 캐비닛(10) 내부의 다른 부품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호스와이어(172), 호스홀더(174) 등에 의해 캐비닛(10)의 내부에 결합되며, 호스가이드(176)에 의해 캐비닛(10)의 외부로 안내된다.
캐비닛(10)을 구성하는 전면프레임(10a), 후면프레임(10b), 측면프레임(10c) 및 하면프레임(10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면에는 방진패드(21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방진패드(210)는 배수펌프(100)의 진동에 의해 배수호스(150)가 프레임들(10a, 10b, 10c, 10d)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배수호스(150)가 프레임들(10a, 10b, 10c, 10d)과 접촉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 소음을 저감하게 된다.
펌프하우징(102)의 잔수배출구(114)와 잔수호스(115) 사이에는 방진부재(180a)가 결합될 수 있다.
방진부재(180a)는 펌프하우징(102)의 잔수배출구(114)에 결합되어 배수펌프(100)가 작동될 때 배수펌프(100)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잔수호스(115)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으로 배수펌프(100)의 진동을 흡수하는 주름부(182a)와, 주름부(182a)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잔수배출구(114)와 결합되는 제1연결부(188a)와, 주름부(182a)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잔수호스(115)의 일단(118)과 결합되는 제2연결부(189a)를 포함한다.
방진부재(180a)는 특히 배수펌프(100)의 진동이 세탁기(1)의 전면프레임(10a)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잔수호스(115)는 배수펌프(100)가 동작할 때 전면프레임(10a)에 결합되는 펌프결합프레임(119)의 관통홀(119a)을 통해 펌프결합프레임(119)의 전면으로 나오게 되는데 방진부재(180a)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배수펌프(100)가 동작할 때 발생하는 진동이 잔수호스(115)로 전달되어 잔수호스(115)가 자체적으로 유동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잔수호스(115)가 유동하면서 관통홀(119a)과 불규칙적으로 접촉하여 접촉소음이 발생하거나, 잔수호스(115)의 유동이 관통홀(119a), 펌프결합프레임(119), 전면프레임(10a)으로 전이되면서 진동소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방진부재(180a)를 사용함으로써 배수펌프(100)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하여 배수펌프(100)의 진동이 잔수호스(115)로 전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방진부재(180a)의 주름부(182a)가 배수펌프(100)의 진동을 흡수하는 원리는 앞서 설명한 배수호스(150)에 결합되는 방진부재(180)의 주름부(182)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a 및 도 7b는 방진부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사용한 경우의 세탁기 소음을 비교한 그래프로써, 특히 터브(20) 내의 세탁수의 수위가 절반이하일 때부터 터브(20) 내의 세탁수가 완전히 배수될 때까지 즉, 배수펌프(100)의 자체진동이 일반적으로 가장 큰 구간의 세탁기의 배수소음을 비교한 것이다. 그래프의 가로축은 배수펌프(100)의 진동에 따른 소음의 주파수(Hz)를 나타내며, 세로축은 해당 주파수(Hz)의 소음(dB)을 나타낸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펌프(100)와 배수호스(150) 사이를 방진부재(180)로 연결한 상태에서 배수펌프(100)를 작동시킨 경우, 방진부재(180)를 사용하지 않고 배수펌프(100)에 배수호스(150)를 직접 결합시킨 상태에서 배수펌프(100)를 작동시킨 경우보다 전체적으로 소음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주파수가 180Hz인 경우의 소음은 배수펌프(100)의 진동이 배수호스(150)로 전달되어 배수호스(150)와 캐비닛(10)이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의 주파수에 포함되는데, 방진부재(180)를 사용한 경우 주파수가 180Hz인 경우의 소음이 20dB 이상 크게 감소한 것을 볼 때, 배수펌프(100)의 진동이 방진부재(180)에 의해 흡수되어 배수호스(150)로 전달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방진부재(180)는 드럼세탁기 뿐만 아니라 펄세이터를 가진 전자동 세탁기 등에 사용되는 배수펌프(100)에 결합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구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201)는 케이스(210)과, 케이스(210) 내부에 마련되어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220)와, 세척조(220)의 하부에 마련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230)와, 세척조(220)의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세척조(220)에는 식기가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기바구니(221)와, 적어도 하나의 식기바구니(221)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랙(222)과, 세척수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223)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223)은 탑노즐(223a)과 상부노즐(223b), 하부노즐(223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세척조(220)에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224)가 형성될 수 있다. 급수부(224)는 세척조(220)의 측벽에 마련될 수 있다. 세척수는 급수부(224)를 통하여 세척조(22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세척조(220)에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225)와 히터 설치홈(226)이 형성될 수 있다. 세척조(220)의 바닥에 히터 설치홈(226)이 마련되고, 히터 설치홈(226)에 히터(225)가 설치될 수 있다.
섬프(230)는 세척조(220)의 바닥 중앙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모아서 펌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섬프(230)는 세척수를 고압으로 펌핑하는 세척펌프(231)와, 세척펌프(231)를 구동하는 펌프모터(232)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펌프(231)는 제1공급관(233a)을 통하여 탑노즐(223a)과 상부노즐(223b)로 세척수를 펌핑하고, 제2공급관(233b)을 통하여 하부노즐(223c)로 세척수를 펌핑할 수 있다.
섬프(230)는 세척수의 오염도를 검출하는 탁도센서(234)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201)의 제어부(미도시)는 탁도센서(234)를 이용하여 세척수의 오염도를 검출하고, 세척 단계 또는 헹굼 단계의 진행 횟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오염도가 높은 경우 세척 또는 헹굼 단계를 증가시키고, 오염도가 낮은 경우 세척 또는 헹굼 단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섬프(230)의 일측에는 오염된 세척수를 식기세척기(201)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펌프(260)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240)는 세척조(220)의 전방을 개폐하도록 케이스(2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240)의 내부 공간에는 순환덕트(미도시)와 각종 전장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배수펌프와 배수호스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배수펌프와 배수호스와 방진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에서 배수호스와 방진부재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조(220)의 하부에는 세척조(220) 내부의 물을 식기세척기(20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 배수펌프(260)와, 배수펌프(260)에 의해 펌핑된 물을 식기세척기(201)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250)가 마련된다. 또한 배수펌프(260)와 배수호스(250) 사이에는 배수펌프(260)의 진동이 배수호스(250)로 전달되는 방지하는 방진부재(280)가 마련된다.
배수펌프(260)는 세척수가 수용되는 펌프하우징(262)과, 펌프하우징(262)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를 강제 배수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배수모터(268)를 구비하며, 펌프하우징(262)은 섬프(230) 내부의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수유입구(264)와, 펌프하우징(262)으로 유입된 세척수가 배출되는 세척수배출구(266)를 포함한다.
세척수배출구(266)는 펌프하우징(262) 내부의 세척수를 배수호스(250)를 통해 식기세척기(201)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배수펌프(260)는 섬프(2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수펌프(260)는 섬프(230)가 사출 성형되는 과정에서 섬프(23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펌프하우징(262)의 세척수배출구(266)에는 방진부재(280)가 결합된다.
방진부재(280)는 펌프하우징(262)의 세척수배출구(266)에 결합되어 배수펌프(260)가 작동될 때 배수펌프(260)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배수호스(25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으로 배수펌프(260)의 진동을 흡수하는 주름부(282)와, 주름부(282)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세척수배출구(266)와 결합되는 제1연결부(288)와, 주름부(282)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배수호스(250)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2연결부(289)를 포함한다.
주름부(282)는 산형(284)과 골형(286)이 서로 번갈아 배치되는 외형 구조를 가지며 그 내부는 세탁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중공된다. 산형(284)과 골형(286)은 주름부(282)에 진동 등의 외부에너지가 전달될 때 주름부(282)의 외형이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하여 외부에너지가 주름부(282)를 지나는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흡수되도록 한다. 외부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해 산형(284)들 간의 간격(P2)은 10mm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산형(284)과 골형(286)간의 원주 방향의 폭 차이(d2)는 5mm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름부(282)는 세척수를 배수하기 위해 배수펌프(26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한다. 자세하게는 배수펌프(260)에서 발생한 진동에너지가 주름부(282)로 전달되면, 진동에너지는 주름부(282)의 외형이 변하면서 산형(284)과 골형(286)의 마찰 등으로 발생하는 열에너지 또는 소리에너지 등으로 변환되어 흡수된다.
제1연결부(288)는 주름부(282)의 일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어 세척수배출구(266)와 연결된다. 제1연결부(288)는 그 내주면이 세척수배출구(266)의 외주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연결부(288)와 세척수배출구(266)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고, 제1연결부(288)와 세척수배출구(266) 사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제2연결부(188)와 세척수배출구(266)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1연결부(288)의 외주면에는 클램프(295)가 결합될 수 있다.
제2연결부(289)는 주름부(282)의 타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어 배수호스(250)와 연결된다. 제2연결부(289)는 그 외주면이 배수호스(250)의 일단 내주면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그 외주면이 배수호스(250)의 일단 내주면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배수호스(250)의 일단과 열융착될 수 있다. 제2연결부(289)와 배수호스(250)의 일단이 서로 열융착됨으로써 방진부재(280)와 배수호스(250)는 일체가 되며, 방진부재(280)와 배수호스(250)는 일체로 배수펌프(260)에 결합될 수 있다.
방진부재(280)를 구성하는 제1연결부(288) 또는 제2연결부(289)의 크기(지름)를 식기세척기(201)에 사용되는 배수펌프(260)의 세척수배출구(266) 및 배수호스(250)의 규격에 맞게 조절함으로써 방진부재(280)의 공용화가 가능하다.
제2연결부(289)의 내주면으로는 슬리브(Sleeve)(294)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슬리브(Sleeve)(294)는 제2연결부(289)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제2연결부(289)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296)와, 슬리브(Sleeve)(294)가 제2연결부(289)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기 위해 삽입부(296)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298)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진부재(280)는 배수펌프(260)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절연하기 위해 주름부(282)를 가지며, 주름부(282)는 쉽게 그 형상이 변형됨으로써 배수펌프(260)의 진동을 흡수하게 되는데 주름부(282)의 두께가 두꺼워질 경우 강성이 커져 주름부(282)의 형상이 쉽게 변형되지 않으므로 배수펌프(100)의 진동을 완전히 흡수하지 못하게 된다. 효과적인 진동 흡수 성능을 가지기 위한 주름부(282)의 두께는 대략 2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여 주름부(282)와 제2연결부(289)는 일체로 형성되므로 제2연결부(289)의 두께도 대략 2mm 이하로 형성된다.
제2연결부(289)의 두께가 2mm 이하로 형성될 경우 제2연결부(289)의 단면이 완전한 원형을 이루지 못하고 굴곡될 수 있으며, 제2연결부(289)의 단면이 굴곡될 경우 배수호스(250)의 일단과 열융착되는 과정에서 제2연결부(289)의 외주면과 배수호스(250) 일단의 내주면이 완전히 접촉하지 못하여 결합 강도가 저하되고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삽입부(296)는 제2연결부(289)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2연결부(289)의 강도를 보강하고, 제2연결부(289)의 단면이 완전한 원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제2연결부(289)가 배수호스(250)의 일단과 완전히 접촉한 상태에서 열융착 될 수 있도록 한다.
걸림부(298)는 삽입부(296)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을 가지며, 슬리브(Sleeve)(294)가 제2연결부(289)의 일단에 걸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슬리브(Sleeve)(294)는 제2연결부(289)의 내측에 결합되어 제2연결부(289)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므로 강도보강부재로 볼 수 있다.
방진부재(280)는 T.P.E(Thermoplastic elastomer), T.P.O(Thermoplastic olefinic elastomer),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T.P.A.E(Thermoplastic polyamide), T.P.E.E(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등의 높은 진동절연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이나,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class) 등의 고무 재질의 사출 성형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라스틱이나 고무 재질로 구성된 방진부재(280)는 유연한 형상 변형을 통해 배수펌프(250)에서 발생한 진동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제2연결부(289)에는 배수호스(250)가 결합된다. 배수호스(250)는 배수호스(250)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호스주름부(253)와, 호스주름부(253)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251)를 구비한다. 호스주름부(253)는 배수호스(250)가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하여 배수호스(250)의 내측으로 세탁수가 흐르는 과정에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배수호스(250)가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연장부(251)는 방진부재(280)의 제2연결부(289)와 결합되며 제2연결부(289)와 연장부(251)는 서로 열융착될 수 있다. 배수호스(250)의 재질로는 방진부재(280)의 재질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갖는 P.P(Polypropyle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방진부재(280)는 펌프하우징(262)과 배수호스(250) 사이에 마련되어 펌프(260)의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펌프(260)의 진동이 배수호스(250)로 전달되어 배수호스(250)가 케이스(210)에 간섭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 소음을 저감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방진부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사용한 경우의 식기세척기 소음을 비교한 그래프로써, 특히 섬프(230) 내의 세척수의 수위가 절반이하일 때부터 섬프(230) 내의 세척수가 완전히 배수될 때까지 즉, 배수펌프(260)의 자체진동이 일반적으로 가장 큰 구간의 식기세척기의 배수소음을 비교한 것이다. 그래프의 가로축은 배수펌프(260)의 진동에 따른 소음의 주파수(Hz)를 나타내며, 세로축은 해당 주파수(Hz)의 소음(dB)을 나타낸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펌프(260)와 배수호스(250) 사이를 방진부재(280)로 연결한 상태에서 배수펌프(260)를 작동시킨 경우, 방진부재(280)를 사용하지 않고 배수펌프(260)에 배수호스(250)를 직접 결합시킨 상태에서 배수펌프(260)를 작동시킨 경우보다 전체적으로 소음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주파수가 180Hz인 경우와 240Hz인 경우의 소음은 배수펌프(260)의 진동이 배수호스(250)로 전달되어 배수호스(250)와 케이스(210)가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의 주파수에 포함되는데, 방진부재(280)를 사용한 경우 주파수가 180Hz인 경우와 240Hz인 경우의 소음이 10dB 이상 감소한 것을 볼 때, 배수펌프(250)의 진동이 방진부재(280)에 의해 흡수되어 배수호스(250)로 전달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방진부재(180, 280)가 배수호스(150, 250)와 결합되어 배수펌프(100, 26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진부재(180, 280)는 일반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장치에 결합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구성으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1 : 세탁기 20 : 터브
30 : 회전조 100, 260 : 배수펌프
150, 250 : 배수호스 180, 280 : 방진부재
182, 282 : 주름부 188, 288 : 제1연결부
189, 289 : 제2연결부 194, 294 : 슬리브(Sleeve)
201 : 식기세척기 210 : 케이스
220 : 세척조 230 : 섬프

Claims (36)

  1. 전면프레임, 후면프레임, 측면프레임 및 하면프레임을 포함하는 캐비닛;과,
    그 내부에 세탁수를 수용하도록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해 상기 하면프레임 및 상기 전면프레임에 결합되는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와,
    상기 배수호스보다 낮은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호스 사이에 결합되어 세탁수가 배수될 때 상기 배수펌프의 진동이 상기 배수호스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주름부를 구비하는 방진부재;와,
    상기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펌프의 진동에 의해 상기 배수호스가 상기 프레임들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배수펌프와 결합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배수호스와 결합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름부는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는 상기 터브 내부의 세탁수가 유입되는 세탁수유입구와, 상기 배수펌프로 유입된 세탁수가 배출되는 세탁수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주름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세탁수배출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호스는 상기 배수호스가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호스주름부와, 상기 호스주름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주름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장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와 상기 연장부는 서로 열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제2연결부에 결합되는 슬리브(sleev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2연결부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제2연결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슬리브가 상기 제2연결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삽입부의 단부에 마련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배수호스의 일단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재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질의 사출 성형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배수호스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재를 공용화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세탁수유입구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연장부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에 남아 있는 세탁수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잔수호스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4. 전면프레임, 후면프레임, 측면프레임 및 하면프레임을 포함하는 캐비닛;과,
    그 내부에 세탁수를 수용하도록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해 상기 터브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를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와
    상기 배수호스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호스 사이에 결합되어 세탁수가 배수될 때 상기 배수펌프의 진동을 흡수하는 주름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수호스보다 강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방진부재;와,
    상기 프레임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펌프의 진동에 의해 상기 배수호스가 상기 프레임들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는 상기 후면프레임보다 상기 전면프레임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배수펌프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배수호스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제2연결부에 결합되는 강도보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상기 제2연결부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제2연결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강도보강부재가 상기 제2연결부의 일단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의 단부에 마련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재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질의 사출 성형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9. 삭제
  20.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식기를 수용하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의 하부에 마련되는 섬프;와,
    상기 섬프 내부의 세척수를 배수하기 위해 상기 섬프의 일측에 마련되는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와,
    상기 배수호스보다 낮은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호스 사이에 결합되어 세탁수가 배수될 때 상기 배수펌프의 진동이 상기 배수호스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주름부를 구비하는 방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호스는 상기 배수호스가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호스주름부와, 상기 호스주름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방진부재와 상기 연장부가 서로 열융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방진부재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강도보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상기 방진부재의 일단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강도보강부재가 상기 방진부재의 일단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을 가지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배수펌프와 결합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배수호스와 결합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름부는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2. 삭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는 상기 섬프 내부의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수유입구와, 상기 배수펌프로 유입된 세척수가 배출되는 세척수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주름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세척수배출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주름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장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와 상기 연장부는 서로 열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제2연결부에 결합되는 슬리브(sleev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제2연결부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제2연결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슬리브가 상기 제2연결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삽입부의 단부에 마련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배수호스의 일단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재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 재질의 사출 성형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배수호스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1.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재를 공용화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세척수유입구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연장부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2. 세탁기의 터브에 수용된 세탁수를 상기 세탁기의 외부로 강제 배수하기 위한 배수펌프에 결합되는 배수호스에 있어서, 상기 배수호스는,
    상기 배수호스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되는 호스주름부;와,
    상기 호스주름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펌프와 배수호스 사이에는 상기 연장부 및 상기 호스주름부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펌프의 진동을 흡수하는 주름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와 열융착 방식으로 결합되는 방진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방진 부재는 상기 연장부 및 상기 호스주름부보다 강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방진부재와 상기 연장부가 서로 열융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방진부재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강도보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상기 방진부재의 일단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강도보강부재가 상기 방진부재의 일단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을 가지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호스.
  33. 삭제
  34. 삭제
  35.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펌프에 의해 펌핑된 물을 상기 본체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호스;와,
    상기 배수호스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호스 사이에 결합되어 물이 배수될 때 상기 배수펌프의 진동을 흡수하는 주름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수호스보다 강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방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호스는,
    상기 배수호스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되는 호스주름부;와,
    상기 호스주름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방진부재와 상기 연장부가 서로 열융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방진부재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강도보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강도보강부재는,
    상기 방진부재의 일단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강도보강부재가 상기 방진부재의 일단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을 가지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재는,
    상기 배수펌프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배수호스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KR1020110014574A 2011-01-05 2011-02-18 배수호스와 이를 가지는 세척장치 KR101564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95838.5A EP2474660A3 (en) 2011-01-05 2011-12-28 Washing machine comprising an anti-vibration drain hose
US13/343,150 US9476157B2 (en) 2011-01-05 2012-01-04 Drain hose and washer having the same
CN2012100056510A CN102587091A (zh) 2011-01-05 2012-01-04 排水软管和具有该排水软管的洗涤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01066 2011-01-05
KR1020110001066 2011-0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793A KR20120079793A (ko) 2012-07-13
KR101564597B1 true KR101564597B1 (ko) 2015-10-30

Family

ID=46712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574A KR101564597B1 (ko) 2011-01-05 2011-02-18 배수호스와 이를 가지는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5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4691A1 (ko) * 2017-06-28 2019-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다이어프램 조립체
WO2024005317A1 (ko) * 2022-06-30 2024-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수 호스 및 가전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86406B (zh) * 2015-01-27 2020-03-2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双头排水泵的安装减震装置
KR102469626B1 (ko) * 2017-07-27 2022-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102456240B1 (ko) * 2018-01-04 2022-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20200124976A (ko) * 2019-04-25 2020-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4691A1 (ko) * 2017-06-28 2019-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다이어프램 조립체
US11274391B2 (en) 2017-06-28 2022-03-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nd diaphragm assembly of washing machine
WO2024005317A1 (ko) * 2022-06-30 2024-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수 호스 및 가전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793A (ko) 201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6157B2 (en) Drain hose and washer having the same
KR101564597B1 (ko) 배수호스와 이를 가지는 세척장치
KR101356435B1 (ko) 식기 세척기용 섬프 조립체 및 이와 관련된 방법
KR101466332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KR101339969B1 (ko) 드럼식 세탁기
US20120125055A1 (en) Detergent supply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461941B1 (ko) 세탁물 처리장치
US20130074554A1 (en) Drain pump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AU2016335434B2 (en)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EP3153622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474501B1 (ko) 배수펌프 및 이를 갖춘 세탁기
US9777424B2 (en) Washing machine having detergent supply device
US9481958B2 (en) Washing machine
EP3613892B1 (en) Laundry apparatus
EP2524992B1 (en)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drain hose
KR102071704B1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CN107012651B (zh) 洗衣机的控制方法
KR102448494B1 (ko) 세탁기
KR100786680B1 (ko) 세탁기용 배수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101296005B1 (ko) 식기 세척기
CN115867394B (zh) 超声波清洗装置及洗衣机
KR20060036750A (ko) 정수장치가 구비된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
JP2023095647A (ja) 洗濯機
KR20240002845A (ko) 식기세척기
KR20120133988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