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853U - 펌프와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 Google Patents

펌프와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853U
KR20090003853U KR2020070017014U KR20070017014U KR20090003853U KR 20090003853 U KR20090003853 U KR 20090003853U KR 2020070017014 U KR2020070017014 U KR 2020070017014U KR 20070017014 U KR20070017014 U KR 20070017014U KR 20090003853 U KR20090003853 U KR 200900038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pump
chamber
tub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0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1049Y1 (ko
Inventor
장재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70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04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38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8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0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0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별도의 공기배출용 호스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펌프 내로 혼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펌프와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개시된 세탁기용 펌프는 세탁수 유입실과, 세탁수 유입실 내의 세탁수를 흡입하는 제1흡입구를 가지고, 제1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세탁수를 세탁기의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펌프실과, 세탁수 유입실 내의 세탁수를 흡입하는 제2흡입구를 가지고, 제2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세탁수를 세탁기의 터브 쪽으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실과, 배수펌프실에서 펌핑 동작이 수행될 때 세탁수 유입실로 혼입된 공기가 순환펌프실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세탁수 유입실과 순환펌프실을 연결하는 공기배출유로를 구비한다. 공기배출유로는 상기 제1흡입구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펌프와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PUMP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펌핑하는 펌프를 가지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기계로서, 일반적으로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와, 회전조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와, 터브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와, 터브 내의 세탁수를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펌프를 구비한다.
보통 펌프는 필터실과 펌프실을 가지는 펌프케이스와, 펌프케이스의 일측에 고정되는 펌핑모터를 가진다. 필터실에는 세탁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필터가 설치되고, 펌프실에는 펌핑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임펠러가 설치된다.
펌핑모터에 의해 임펠러가 회전하면 터브 내의 세탁수는 필터실로 유입되고, 필터실로 유입된 세탁수는 필터를 통과한 후 펌프실로 흡입되며, 펌프실에 이른 세탁수는 임펠러에 의해 펌프의 외부로 강제 배출된다.
이러한 펌핑 과정에서 펌프의 내부로 세탁수만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공기가 함께 혼입된다. 공기가 펌프의 내부로 혼입되면 펌프실에 설치된 임펠러의 성능이 저하되어 배수 불량이 야기되거나 이상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펌프에는 펌프의 내부로 혼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배출관이 마련되는데, 공기배출관은 호스를 통해 터브와 연결된다. 따라서 펌프 내부의 공기는 공기배출관과 호스를 통해 터브 쪽으로 배출된다.
펌프는 세탁수가 흐르는 유로 상에 설치되는 부품으로서 펌프에 연결되는 배관이 적을수록 누수 관리 측면에서 이롭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펌프는 공기의 배출을 위해 별도의 호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누수 관리 지점(즉, 펌프와 공기배출용 호스의 연결부 및 공기배출용 호스와 터브의 연결부)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위와 같은 종래의 펌프를 사용하는 경우 세탁기의 제조 시에 공기배출용 호스를 펌프와 터브에 각각 연결하는 작업이 요구되므로 공정 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공기배출용 호스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펌프 내로 혼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펌프와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펌프는 세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펌핑하는 세탁기용 펌프에 있어서, 세탁수 유입실;과 상기 세탁수 유입실 내의 세탁수를 흡입하는 제1흡입구를 가지고, 상기 제1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세탁수를 세탁기의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펌프실;과 상기 세탁수 유입실 내의 세탁수를 흡입하는 제2흡입구를 가지고, 상기 제2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세탁수를 세탁기의 터브 쪽으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실;과 상기 배수펌프실에서 펌핑 동작이 수행될 때 상기 세탁수 유입실로 혼입된 공기가 상기 순환펌프실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세탁수 유입실과 상기 순환펌프실을 연결하는 공기배출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배출유로는 상기 제1흡입구보다 높은 곳에 위치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펌핑하는 펌프를 가지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터브로부터 세탁수가 유입되는 세탁수 유입실과, 상기 세탁수 유입실 내의 세탁수를 흡입하기 위한 제1흡입구와, 세탁수의 배수를 위한 배수관과 연결되는 제1토출구를 가지는 배수펌프실;과 상기 세탁수 유입실 내의 세탁수를 흡입하기 위한 제2흡입구를 가지는 순환펌프실;과 상기 제2흡입구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세탁수 유입실과 상기 순환펌프실을 연결하는 공기배출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세탁기는 상기 순환펌프실과 상기 터브를 연결하는 세탁수 순환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펌프에 별도의 관이나 호스를 연결하지 않고도 펌핑 과정에서 펌프 내부로 혼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펌프에 연결되는 배관의 수를 최소화하여 누수 관리 지점을 줄일 수 있고, 또 세탁기의 제조 공정에서 별도의 공기배출용 호스를 펌프와 터브에 연결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 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탁 시에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11)와, 터브(1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12)를 구비한다.
본체(10)의 전면부에는 회전조(12)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13)가 형성되고, 또 이 투입구(13)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14)가 설치된다.
본체(10)의 내측 상부에는 터브(11)로 세탁수와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20)와 세제공급장치(30)가 각각 설치된다. 급수장치(20)는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밸브(21)와, 이 급수밸브(21)와 세제공급장치(30)를 연결하는 급수관(22)과, 세제공급장치(30)를 거친 세탁수를 터브(11)의 내부로 안내하는 연결관(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터브(11)의 외측에는 회전조(12)를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41)가 설치되고, 회전조(12)와 구동모터(41)의 사이에는 구동모터(41)의 회전력을 회전조(12)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42)이 설치된다. 또 터브(11)의 후면판에는 구동축(4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베어링 하우징(43)이 설치되고, 베어링 하우징(43)과 구동축(42) 사이에는 베어링(44)이 설치된다.
또한 본체(10)의 내측 하부에는 터브(11)에 저장되어 있는 세탁수를 펌핑하는 펌프(100)가 설치된다. 펌프(100)는 제1배수관(50)을 통해 터브(11)와 연결된다. 본 고안에서 펌프(100)는 제1배수관(50)을 통해 배수된 세탁수를 펌핑하여 세탁기의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거나 터브(11) 쪽으로 다시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펌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Ⅰ-Ⅰ선에 따른 펌프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3에서는 세탁수 유입실에 설치되는 펌프필터를 생략하였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100)는 세탁수 유입실(110), 제1펌프실(120) 및 제2펌프실(130)을 가지는 펌프케이스(101)와, 세탁수 유입실(110)에 설치되는 펌프필터(102)를 구비한다. 제1펌프실(120)과 제2펌프실(130)은 세탁수 유입실(1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세탁수 유입실(110)에는 유입공(111)이 형성되고, 이 유입공(111)에는 유입관(112)이 연통된다. 유입관(112)은 제1배수관(50)과 연결되는데, 펌프의 동작 시에 터브(11) 내의 세탁수는 제1배수관(50)과 유입관(112)을 거쳐 세탁수 유입실(110)로 유입된다.
펌프필터(102)는 펌프케이스(101)와 결합하는 헤드부(102a)와, 세탁수 유입실(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수 유입실(110)로 유입된 세탁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 내는 필터부(미도시)를 구비한다. 헤드부(102a)의 측면은 펌프케이스(101)에 나사 결합되는데, 헤드부(102a)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헤드부(102a)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102b)가 마련된다.
제1펌프실(120)과 제2펌프실(130)에는 세탁수 유입실(110) 내의 세탁수를 강제로 흡입하여 배출하는 임펠러(121)(131)가 각각 설치되고, 각 임펠러(121)(131)에는 펌핑모터(122)(132)가 연결된다. 각 임펠러(121)(131)는 펌핑모터(122)(132)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탁수 유입실(110) 내의 세탁수를 축방향으로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배출한다.
제1펌프실(120)에는 임펠러(121)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한 제2배수관(60)이 연결된다. 그러므로 제1펌프실(120)은 터브(11) 내의 세탁수를 배수시키는데 활용되는 배수펌프실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제2펌프실(130)에는 임펠러(131)에 펌핑된 세탁수를 다시 터브(11) 쪽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세탁수 순환관(70)이 연결된다. 그러므로 제2펌프실(130)은 터브(11) 내의 세탁수를 순환시키는데 활용되는 순환펌프실이라 할 수 있다. 세탁 행정 시나 헹굼 행정 시에 제2펌프실(130)에서 펌핑된 세탁수는 세탁수 순환관(70)을 따라 터브(11)의 상측으로 이동한 후 회전조(12)의 내부로 분사되는데, 이에 따라 세탁물이 골고루 적셔지고 세제나 헹굼제가 세탁수에 균일하게 용해된다.
또 제1펌프실(120)은 세탁수 유입실(110) 내의 세탁수를 흡입하기 위한 제1흡입구(123)와, 임펠러(121)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1토출구(124)를 가진다. 제1토출구(124)는 제2배수관(60)과 연결된다.
이와 유사하게 제2펌프실(130)은 세탁수 유입실(110) 내의 세탁수를 흡입하기 위한 제2흡입구(133)와, 임펠러(131)에 의해 펌핑된 세탁수가 배출되는 제2토출구(134)를 가진다. 제2토출구(134)는 상방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에서 세탁수 순환관(70)과 연결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 펌프(100)는 제2흡입구(133)의 상부에 형성된 공기배출유로(140)를 구비한다. 공기배출유로(140)는 제1펌프실(120)를 통해 세탁수를 펌핑하는 과정에서 세탁수 유입실(110)로 혼입된 공기를 펌프(1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공기배출유로(140)의 일측은 세탁수 유입실(110)과 연통되고 타측은 제2펌프실(130)과 연통된다. 세탁수 유입실(110) 내의 공기는 공기배출유로(140)를 통해 제2펌프실(130)로 배출되고, 제2펌프실(130)로 배출된 공기는 제2토출구(134)와 세탁수 순환관(70)을 통해 터브(11) 쪽으로 배출된다.
공기배출유로(140)는 가능한 높은 위치에서 세탁수 유입실(110)과 제2펌프실(130)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제1펌프실(120)의 제1흡입구(123)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펌프의 동작을 설명한다. 세탁수를 배수할 때는 제1펌프실(120)에 설치된 임펠러(121)가 구동된다. 임펠러(121)가 회전하면 터브(11) 내의 세탁수는 제1배수관(50)를 거쳐 펌프(100)의 세탁수 유입실(110)로 유입되고, 세탁수 유입실(110) 내의 세탁수는 제1흡입구(123)를 통해 제1펌프실(120)로 흡입된다. 제1펌프실(120)로 흡입된 세탁수는 임펠러(121)에 의해 제1토출구(124)로 강제 배출되고 제2배수관(60)을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이러한 펌핑 과정에서 세탁수와 함께 세탁수 유입실(110)로 공기가 혼입되는데, 혼입된 공기는 공기배출유로(140)를 통해 제2펌프실(130)로 배출되고, 제2토출구(134) 및 세탁수 순환관(70)을 거쳐 터브(11) 쪽으로 최종 배출된다.
한편 세탁수를 순환시킬 때는 제2펌프실(130)에 설치된 임펠러(131)가 구동된다. 임펠러(131)가 회전하면 터브(11) 내의 세탁수는 제1배수관(50)를 거쳐 펌 프(100)의 세탁수 유입실(110)로 유입되고, 세탁수 유입실(110) 내의 세탁수는 제2흡입구(133)를 통해 제2펌프실(130)로 흡입된다. 제2펌프실(130)의 세탁수는 임펠러(131)에 의해 펌핑되고, 펌핑된 세탁수는 세탁수 순환관(70)을 통해 터브(11)의 상부로 안내되어 다시 회전조(12)의 내부로 분사된다.
이러한 펌핑 과정에서도 세탁수 유입실(110)로 공기가 혼입될 수 있지만, 세탁수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는 터브(11)의 내부에 물이 충분히 차 있는 상태에서 펌핑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세탁수 유입실(110)로 혼입되는 공기의 양이 미미하다. 따라서 별도의 공기배출유로가 없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도 공기를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세탁수 유입실(110)과 제1펌프실(120)을 연결하는 공기배출유로를 더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펌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Ⅰ-Ⅰ선에 따른 펌프케이스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터브 50 : 제1배수관
60 : 제2배수관 70 : 세탁수 순환관
100 : 펌프 110 : 세탁수 유입실
120 : 제1펌프실 121, 131 : 임펠러
123 : 제1흡입구 130 : 제2펌프실
133 : 제2흡입구 140 : 공기배출유로

Claims (5)

  1. 세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펌핑하는 세탁기용 펌프에 있어서,
    세탁수 유입실;과
    상기 세탁수 유입실 내의 세탁수를 흡입하는 제1흡입구를 가지고, 상기 제1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세탁수를 세탁기의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펌프실;과
    상기 세탁수 유입실 내의 세탁수를 흡입하는 제2흡입구를 가지고, 상기 제2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세탁수를 세탁기의 터브 쪽으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실;과
    상기 배수펌프실에서 펌핑 동작이 수행될 때 상기 세탁수 유입실로 혼입된 공기가 상기 순환펌프실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세탁수 유입실과 상기 순환펌프실을 연결하는 공기배출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유로는 상기 제1흡입구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펌프.
  3. 터브와, 상기 터브 내의 세탁수를 펌핑하는 펌프를 가지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터브로부터 세탁수가 유입되는 세탁수 유입실과,
    상기 세탁수 유입실 내의 세탁수를 흡입하기 위한 제1흡입구와, 세탁수의 배수를 위한 배수관과 연결되는 제1토출구를 가지는 배수펌프실;과
    상기 세탁수 유입실 내의 세탁수를 흡입하기 위한 제2흡입구를 가지는 순환펌프실;과
    상기 제2흡입구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세탁수 유입실과 상기 순환펌프실을 연결하는 공기배출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유로는 상기 제1흡입구보다 높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실과 상기 터브를 연결하는 세탁수 순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2020070017014U 2007-10-22 2007-10-22 펌프와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KR2004610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014U KR200461049Y1 (ko) 2007-10-22 2007-10-22 펌프와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014U KR200461049Y1 (ko) 2007-10-22 2007-10-22 펌프와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853U true KR20090003853U (ko) 2009-04-27
KR200461049Y1 KR200461049Y1 (ko) 2012-06-22

Family

ID=41289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014U KR200461049Y1 (ko) 2007-10-22 2007-10-22 펌프와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0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36237A1 (en) * 2016-12-07 2018-06-2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00900B (zh) * 2017-04-10 2020-12-08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双头泵及应用该双头泵的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4255A (en) 1965-10-22 1967-04-18 Whirlpool Co Washer-dryer having a drain pump with vent means
IT236788Y1 (it) 1995-04-05 2000-08-17 Candy Spa Gruppo integrale di deviazione di flusso a due pompe indipendentie filtro comune per lavatrici e simili
KR20070059438A (ko) * 2005-12-06 2007-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펌프 유닛
KR20070102056A (ko) * 2006-04-13 2007-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수펌프를 구비하는 세탁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36237A1 (en) * 2016-12-07 2018-06-2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0954625B2 (en) 2016-12-07 2021-03-2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049Y1 (ko) 201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6311B1 (ko) 식기 세척기
JP5140050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130034311A (ko) 배수펌프와 이를 구비한 세탁기
JP2012070810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20110099967A (ko) 세탁기와 그 배수펌프
KR100493306B1 (ko) 드럼세탁기
JP2010094227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0461049Y1 (ko) 펌프와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KR200464783Y1 (ko) 세탁기와 배수펌프
KR19980048776A (ko) 투과세탁방식의 전자동세탁기
JP4869414B2 (ja) 洗濯機
JP2007222242A (ja) ポンプ及び食器洗い機
JP4278931B2 (ja) リバーシブルポンプ及び食器洗い機
JP2021534343A (ja) ポンプ装置及び該ポンプ装置が配置された洗浄機器
KR200150314Y1 (ko) 구동모터를 이용한 샤워식 세탁기
KR20090002072U (ko) 세탁기용 배수펌프
JP3539010B2 (ja) 食器洗浄機
KR200155301Y1 (ko) 전자동 세탁기
JP3601145B2 (ja) 食器洗浄機
KR101758162B1 (ko)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배수펌프
KR101709549B1 (ko) 임펠러 및 이를 구비한 배수펌프
JP2012192064A (ja) ドラム式洗濯機
JP3661390B2 (ja) 食器洗い機
JP4121290B2 (ja) ポンプ及び食器洗い機
JP2001204671A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