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9919A - 가구에 사용하기 적합한, 소정의 안정적인 위치들을 갖춘모바일 조인트 - Google Patents

가구에 사용하기 적합한, 소정의 안정적인 위치들을 갖춘모바일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9919A
KR20040079919A KR10-2004-7010471A KR20047010471A KR20040079919A KR 20040079919 A KR20040079919 A KR 20040079919A KR 20047010471 A KR20047010471 A KR 20047010471A KR 20040079919 A KR20040079919 A KR 20040079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mobile
chair
elements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0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2463B1 (ko
Inventor
불룸올레페테르
Original Assignee
스토크 그루펜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토크 그루펜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스토크 그루펜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040079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9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4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 A47C3/026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with central column, e.g. rocking office chairs; Tilting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bar or 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resilient block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중량 변위에 의해 영향을 받는 시트 구조물의 경사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양극단 위치 사이에서 왕복식으로 제한 피봇된 적어도 2 개의 조인트 요소(10, 30)를 포함하는, 시트 장치와 기부 사이에 장착되기 위한 시트 구조물, 특히 의자용 모바일 조인트에 있어서, 중간 조인트(20)에 대하여 피봇되는 2 개의 외부 조인트 요소(10, 30)를 포함하며, 2 개의 외부 조인트 요소(10, 30)와 중간 조인트 요소(20) 사이의 회전축(40, 50)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변위되고, 따라서 조인트(1)는 양극단 위치 사이에서 안정적인 경사 위치를 취할 수 있는 모바일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구에 사용하기 적합한, 소정의 안정적인 위치들을 갖춘 모바일 조인트 {MOBILE JOINT WITH SEVERAL STABLE POSITIONS, SUITABLE FOR USE IN FURNITURE}
시트와 의자의 기부 사이의 소정의 종류의 모바일 조인트는 종래 기술, 특히 사무실용 의자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의자들은 대개 착석 위치와 안락 위치와 같은 2개의 극단적인 안정적인 위치만을 갖는다. 이 극단적인 위치들 사이에서 이러한 의자를 사용하기 위해, 조인트는 전형적으로 핸들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대개 잠겨져야 한다. 이들은 의자의 외형과 관련하여 바람직하게는 눈에 띄면 안되기 때문에, 이러한 핸들은 대개 발견하거나 또는 손이 닿기에 어렵다. 이러한 핸들에 더 접근하기 쉬울 때, 이들은 쉽게 사용자에게 방해가 되어 마모되고 파손되기 더 쉽게 된다.
나아가, 젖힘식 등받이를 갖춘 소정의 상이한 안락 의자가 존재한다. 이러한 의자에서, 의자 등받이는 후방으로 기댐으로써 종종 젖혀지고, 피봇식 조인트 또는 레일이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이동에 대해 저항성을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마찰 요소나 스프링이 사용된다.마찰 요소가 잠겨질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잠금 기구가 선택된 위치에서 의자를 잠그도록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이러한 의자 타입에 통상적인 것이다. 몇몇 의자에서, 시트가 전방 및 약간 상방과 같은 등받이의 이동의 기능으로서 또한 이동된다. 이러한 의자의 단점은 의자의 등받이를 이동시키고 및/또는 중간 위치에서 등받이를 잠그기 위해서는 힘이 가해져야 한다는 것이다.
거의 흔들의자에 가까운 러너(runner)를 사용함으로써 소정의 안정적인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지만 서로 경사지게 위치되는 직선 세그먼트로 또한 구성되는 의자가 또한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세그먼트와 관련하여 그의 무게 중심을 변화시킴으로써 고정 위치들 사이에서 의자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해결책의 문제점은 러너가 커지게 되고, 예를 들어 러너 아래에서 발이 갇히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이동을 감쇠시키기가 어렵고, 의자는 임의의 특정한 최초 위치로 복귀하지 않는다.
양호한 안락 위치 및 양호한 혈액 순환을 달성하기 위해, 심장의 높이에서와 같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발을 놓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가능성은 상기 설명된 의자에 한정된다.
따라서, 등받이를 갖춘 의자 시트가 핸들이나 다른 작동 장치를 사용할 필요없이 단순한 방식으로 지지함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안정적인 위치로 경사질 수 있다. 조인트는 추가적으로 소형이고 튼튼하고, 사용자에 대해서 조절가능하며, 의자가 사용되지 않을 시 양호하게는 최초 위치로 복귀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의자, 특히 젖힘식 의자(reclining chair)와 같은 가구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소정의 안정적인 위치들을 갖춘 모바일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의자의 기부와 시트 사이에 사용된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의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조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조인트를 일 위치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도1의 조인트를 대체 위치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도1의 조인트를 대체 위치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도2의 조인트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7은 도3의 조인트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8은 도4의 조인트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9는 의자 기부와 시트 사이에 사용된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의 대체 실시예의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은 도8의 조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1은 도8의 조인트를 일 위치에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12는 도10의 조인트를 대체 위치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13은 도10의 조인트를 대체 위치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종래의 해결책의 단점들을 만족시키는 의자용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특허 청구 범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중량 변위에 의해 영향을 받는 시트 기구의 경사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2 개의 양극단 위치 사이에서 왕복식으로 제한 피봇된 적어도 2 개의 조인트 요소를 포함하는 시트 구조물의 시트 부분과 이를 위한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기 위한 시트 구조물, 특히 의자용 모바일 조인트에 있어서, 중간 조인트와 피봇 연결되는 2 개의 외부 조인트 요소를 포함하며, 2 개의 외부 조인트 요소와 중간 조인트 요소 사이의 피봇축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변위되고, 따라서 조인트는 양극단 위치 사이에서 안정적인 경사 위치를 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된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기 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그 범위로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최전방" 및 "전방 방향"이라는 용어는 사용자가 정상적인 방법으로 의자의 등받이에 그 등을 기댄 상태로 앉아 있을 때 바라보는 방향에 대해 사용되었고, "후방" 및 "후방 방향"이라는 용어는 구체적으로 다른 식으로 지시되지 않은 이상 그 반대 방향으로 간주한다.
또한, 조인트의 각도에 대한 참조는 의자의 시트 영역과, 예컨대, 바닥 등의 지지부 사이의 각도로 이해되어야 한다. 지시된 실시예에서, 이는 설명된 조인트의 상부와 하부 영역 사이의 각도에 상응하지만 조인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예A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1)는 의자 시트(100)와 기부(200) 사이의 결합 조인트로서 구성된다. 기부(200)는 종종 회전식/피봇식일 수 있는 수직 기부 로드와, 기부가 지지부에 고정되지 않을 때 의자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치수를 가지는 주 수평 기부 다리부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조인트(1)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즉, 피봇식 축(40 및 50)에 의해 결합된 3 개의 조인트 요소(10, 20 및 30)에 의해 조립된다. 각 조인트 요소는 서로 연결된 각 조인트 요소에 관하여 2 개의 극단적인 위치 사이에서 피봇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1)는 의자(100)의 시트와 기부(200), 또는 다른 고체 요소 사이에 연결부를 구성하며, 조인트 요소는 "하부 조인트 요소(10)", "중간 조인트 요소(20)", 및 "상부 조인트 요소(30)"로서 지시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조인트 요소(10)는 주로 지지부와 평행하고 기부 로드에 수직이다. 하부 조인트 요소(10)는 기부(20)와 배열될 것이고 수평 피봇식 축(40)을 경유하여 중간 조인트 요소(20)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또한 중간 조인트 요소(20)는 그 상단부에서 축(40)에 평행하게 배열된 수평축(50)을 경유하여 상부 조인트 요소(30)에 결합된다. 상부 조인트 요소(30)는 의자의 시트와 배열될 것이고, 의자 시트의 시트 영역과 주로 평행하다. 따라서, 상부 조인트 요소(30)의 상부 영역은 의자 시트의 하부측에 대한 고정면으로서 구성된다.
조인트(1)는 내부에서 조인트 요소(10, 20, 30)가 전술된 바와 같이 협동하는 축(20 및 40)에 대하여 무게 중심의 사용자 배치에 따라 3 개의 안정적인 위치를 추측할 수 있다.
도3에서 사용자의 무게 중심(300)이 양 축(40 및 50)의 전방에 위치되어 있는 초기 위치의 조인트(1)가 도시된다. 이후 조인트(1)는 의도된 사용에 따라서 적절한 어떤 각도도 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의자가 똑바로 앉기 위해 사용될 때, 예컨대 대략 8°인 각도(α)(도6 참조, 조인트의 상부 영역과 지지부 사이)를 가진다.
도4에서, 사용자의 무게 중심(300)이 양 축(40 및 50)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중간 위치의 조인트가 도시된다. 이때 조인트(1)는 이 경우에는 α보다 큰 예컨대, 대략 18°인 각도(β)를 가진다.
도5에서, 사용자의 무게 중심(300)이 양 축(40 및 50)의 뒤쪽에 위치되어 있는 최후방 위치의 조인트가 도시된다. 이때 조인트(1)는 이 경우에는 α 및 β 모두보다 큰 예컨대, 대략 30°인 각도(θ)를 가진다.
조인트(1)는 양호하게 스프링 장착식이지만,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스프링 장착은 의자가 사용자에 의해 변형되지 않을 때 복귀할 위치인 초기 위치를 향해 조인트(1)를 전방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게다가, 스프링 장착은 조인트(1)의 운동을 감쇠하여 전술된 안정 위치들 사이에서의 원활한 전이를 제공할 것이다. 이는 의자를 기울일 수 있는 사용자에 의한 갑작스런 운동에 대항하여 편안한 운동 및 보다 나은 안전을 수반한다. 스프링 장착은 일반적으로 조인트에 대한 의자 시트의 장착 위치는 물론, 사용자의 중량, 의자 시트의 중량, 시트 영역과 의자의 등받이 사이의 각도와 같은 태양에 따라 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축(40 및 50)의 스프링 장착은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제공되고, 사용자의 중량에 따라 보다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한 조여지거나 완화될 수 있는 스프링을 조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조인트 요소(10, 20 및 30) 사이의 전술된 협동을 달성하기 위해, 조인트 요소의 끼움면 및 차단 요소가 도시된 도6을 참조한다.
도6에서, 조인트(1)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위치에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인트 요소는 외부 조인트 요소(10 및 30)가 각각 중간 조인트 요소(20)의 내부로 돌출된 차단 요소(11 및 32)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돌출 차단 요소(11)는 중간 조인트 요소(20)의 내부 벽 상에서 협동 상부 끼움면(21)에 대하여 당접하는 회전 멈춤부(13)를 선택적으로 구비한 상부 끼움면(12)을 가지며, 이는 중간 조인트 요소(20)가 전방 방향으로 더 이동하는 것을 방해한다. 유사하게, 돌출 차단 요소(32)는 중간 조인트 요소(20)의 내부 벽 상에서 대응 끼움면(22)에 대하여 당접하는 회전 멈춤부(13)를 선택적으로 구비한 상부 끼움면(12)을 가지며, 이는 상부 조인트 요소(30)가 전방 방향으로 더 이동하는 것을 방해한다.
회전 멈춤부는 끼움면들 사이의 접촉시에 충격을 감쇠하는 기능을 하여 불쾌한 소리를 감소시키며, 예컨대 폴리머 재료로 만들어 질 것이다. 회전 멈춤부는 대응 끼움면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고정될 수 있다.
조인트(1)가 선택적으로 기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 조인트 요소(10)는 가이드(15)와 같은 연결 요소를 위한 부품을 구비할 수 있다. 유사하게, 상부 조인트 요소(30)는 예컨대, 볼트 및/또는 트랙 장치를 고정함으로써 의자 시트에 고정하기 위해 마련된 상부면(31)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내부 피봇 요소(51) 및 외부 피봇 요소(52)로 구성된 축(50)이 상부 조인트 요소(30)와 중간 조인트 요소(40)에 각각 고정되거나 그 역으로 고정되는 등으로 알려진 방식으로 비틀림 스프링(도시 안됨)에 의해 왕복식으로 연결되었다. 축(50)의 스프링 장착은 비틀림 아암(53)과 상부 조인트 요소(30) 각각의 내부의 적절한 개구(54 및 37)를 통해 나사 장치(도시 안됨)에 의해 조정되는 비틀림 아암(53)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유사하게, 축(40)은 중간 조인트 요소(20) 및 하부 조인트 요소에 각각 고정되거나 그 역으로 고정되고, 비틀림 스프링(도시 안됨)에 의해 왕복식으로 연결된 내부 피봇 요소(41) 및 외부 피봇 요소(42)로 구성된다. 축(40)의 스프링 장착은 전술된 바에 따라서 조정되는 비틀림 아암(43)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중간 조인트 요소(20)는 요소 내의 충분한 강성 및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보강 내부 벽(25)을 선택적으로 가질 수 있다.
도7에서 조인트(1)는 중간 위치에 안정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사용자의 무게 중심이 후방 축(40)을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조인트 요소(10) 및 중간 조인트 요소(20)는 서로에 대해 동일한 위치를 가진다. 한편, 상부 조인트 요소(30)는 후방 방향으로 경사져서, 하부 끼움면(35)을 가지고, 회전 멈춤부(36)를 구비할 수도 있는 돌출 차단 요소(32)는 상부 조인트 요소(30)가 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중간 조인트 요소(20)의 내부 벽상의 대응 하부 끼움면(26)에 대해 당접한다.
도8에서, 조인트(1)는 최후방 위치에 있다. 이 위치에서, 상부 조인트 요소(30) 및 중간 조인트 요소(20)는 사용자의 무게 중심이 여전히 축(50) 뒤에 놓여 있기 때문에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동일한 위치를 가진다. 그렇지만, 하부 끼움면(14)을 가지는 돌출 차단 요소(11)가 중간 조인트 요소(20)가 후방 방향으로 더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회전 멈춤부(24)를 구비할 수 있는 중간 조인트 요소(20)의 내부측 상의 대응 하부 끼움면(23)에 대하여 당접하도록 후방으로 경사진다.
예B
도9는 의자 시트(100)와 기부(200) 사이의 연결 조인트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2)의 대체 실시예를 도시한다. 조인트(2)는 전술된 조인트(1)와 동일한 원리에 따라 기능하지만, 조인트 요소는 전술된 조인트(1)에서와 상이한 순서로 운동할 것이다.
도9 및 도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인트(2)는 조인트 요소(10, 20 및 30)가 주로 수직 방향으로 서로의 상방에 직접 놓여져서 매우 소형으로 만드는 Z자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조인트(2)는 회전하는 기부 상에 장착될 때, 전술된 조인트(1)에 비해 수평 평면 내의 보다 좁은 경사 범위를 가진다.
도11에서, 조인트(2)는 도3 및 도6의 조인트(1)에 상응하는 초기 위치에 있다. 이때 조인트(2)는 예컨대 대략 8°의 각도(α)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중간 조인트 요소(20)는 그 돌출 차단 요소(11), 회전 멈춤부(24)를 구비할 수 있는중간 조인트 요소(20)의 내부 벽 상에 상응하는 하부 끼움면(23)에 대하여 당접하는 하부 끼움면(14)에 의해 보다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된다. 게다가, 상부 조인트 요소(30)는 회전 멈춤부(26)를 구비할 수 있는 중간 조인트 요소(20)의 내부 벽 상의 상응하는 하부 끼움면(26)에 대하여 당접하는 하부 끼움면(35)을 가지는 돌출 차단 요소(32)에 의해 보다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된다.
도12에서, 조인트(2)는 도4 및 도7의 조인트(1)에 상응하는 중간 위치에 있다. 이 때 조인트(2)는 이 경우에는 α보다 큰, 예컨대, 대략 18°의 각도(β)를 가진다. 이 위치에서, 사용자의 무게 중심이 예A와는 다르게, 지금은 축(40)의 뒤에 있는 축(50)을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상부 조인트 요소(30) 및 중간 조인트 요소(20)는 도11에서와 같은 서로에 대해 동일한 위치를 가진다. 반면에, 중간 조인트 요소(20)는 후방으로 경사지고, 따라서, 중간 조인트 요소(20)의 내부 벽 상의 상응하는 상부 끼움면(21)에 대하여 당접하는 회전 멈춤부(13)를 구비할 수 있는 상부 끼움면(12)을 가지는 돌출 차단 요소(11)에 의해 보다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해되다.
도13에서 조인트(2)는 도5 및 도8의 조인트(1)에 상응하는 최후방 위치에 있다. 이때 조인트는 이 경우에는 α 및 β보다 큰, 예컨대 대략 30°인 각도(θ)를 가진다. 이 위치에서 사부 조인트 요소(10) 및 중간 조인트 요소(20)는 사용자의 무게 중심이 여전히 축(40)의 뒤에 있기 때문에 이전의 도12에서와 같이 서로에 대해 동일한 위치에 있다. 한편, 상부 조인트 요소(30)는 후방으로 경사지고, 회전 멈춤부(27)를 구비할 수 있는 중간 조인트 요소(20)의 내부측 상의 상응하는 상부끼움면(22)에 대해 당접하는 상부 끼움면(33)을 가지는 돌출 차단 요소(32)에 의해 보다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해된다.
전술된 예A 및 예B에서, 축(40 및 50) 사이의 거리 및 각도 관계는 조인트의 의도된 효과를 얻기 위해서 중요하다. 조인트의 가장 양호한 유형은 사용자의 중량 및 기부의 설계로 인한 가능한 제한은 물론 의사 시트의 설계, 등받이의 각도 및 시트의 중량 등의 인자에 종속적이다. 게다가, 각도 및 거리 인자는 가능한 스프링 장착 및 스프링의 경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전술된 예B에서, 조인트의 치수는 예컨대, 초기 위치에서 통상 대략 20×15×15 cm(높이×길이×폭)이고, 따라서 매우 소형 조인트를 구성한다. 게다가, 축(40 및 50) 사이의 거리는 예컨대 통상 약 12 cm 이고, 축(40 및 50)을 통과하는 선과 초기 위치에서의 수평면 사이의 대략 60°의 각도를 가진다. 축(40, 50) 사이의 수평 거리는 예컨대 대략 6 내지 10 cm이지만, 설계에 따라서 폭넓게 변화될 수 있다. 조인트는 금속, 플라스틱 재료 또는 복합 재료, 양호하게는 강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등의 어떤 적절한 재료로도 생산될 수 있다.
대체 실시예
전술된 실시예A 및 B에서, 조인트 요소는 외부 조인트 요소(10 및 30)는 중간 조인트 요소(20) 내부로 연장하는 차단 요소(11 및 32)를 각각 가지지만 그 역도 물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중간 요소(20)는 대응 끼움면을 내부 벽 상에 가지는 하나 또는 양측의 조인트 요소(10 및 30) 내부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차단 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차단 요소는 끼움면을 더 제공할 수 있고보다 넓은 접촉 면적을 가능하게 하는, 대향 조인트 내의 상응하는 구조와 협동하는 소정의 연장 차단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대체 실시예에서, 조인트(1 및 2)는 소정의 중간 안정 위치를 가지기 위해 조인트 요소 및 축을 더 가질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안정 위치는 의도된 용법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하나 이상의 축 내의 스프링 장착은 예컨대 다른 초기 위치 또는 효과를 얻기 위해 역전될 수 있다.
대체 실시예에서, 조인트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경사질 수 있도록 추기 위치는 예컨대 전술된 중간 위치가 될 수 있는데, 이는 사무실용 의자에서 유용하다. 이에 관하여, 허용 후방 편향각은 전방 보다 클 수 있고, 가능 스프링 장착은 후방 보다 전방에 더 조여질 수 있으며, 그 역으로 될 수도 있다.
대체 실시예에서, 조인트의 기능은 사무실용 의자에서와 같이 2 이상의 안정 위치에서 의자 전방으로의 경사짐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의자(100)의 시트는 예컨대 전술된 방향의 대향 방향으로 조인트(1) 또는 조인트(2)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인트는 가구의 용도의 가능성에 따라 구성하기 위해 전방 또는 후방의 방향뿐만 아니라 측방 또는 그 조합된 방향으로 가구의 경사를 얻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이는 비 평행축을 보유하는 조인트에 의해, 또는 수평면 상에서 서로에 대해 회전하는 2 이상의 조인트를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는 어떤 설계를 가진 어떤 의자 또는 가구의 시트와도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의자는 스툴(stool)과 같은 등받이가 없는 의자 또는 사용자가 무릎과 엉덩이를 동시에 지지하는 착석 위치를 가지는 의자가 될 수 있다.
스프링 장착은 예컨대,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또는 다른 탄성 재료와 같이 비틀림 스프링이 아닌 다른 스프링 유형에 의해 얻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회전축(40, 50)의 스프링 장착은, 언급된 바와 같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회전축(40, 50) 사이의 평 간격이 작을 때 보다 큰 중요성을 가진다. 대체 실시예에서, 회전축(40, 50)은 서로의 상방에 수평으로 위치될 수 있고, 2 개의 회전축(40, 50)의 스프링 장착상의 차이점은 안정적인 중간 경사 위치를 가능하게 한다.

Claims (10)

  1. 사용자의 중량 변위에 의해 영향을 받는 시트 기구의 경사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2 개의 양극단 위치 사이에서 왕복식으로 제한 피봇된 적어도 2 개의 조인트 요소(10, 30)를 포함하는 시트 구조물의 시트 장치(100)와 이를 위한 지지부(200) 사이에 장착되기 위한 시트 구조물, 특히 의자용 모바일 조인트에 있어서,
    중간 조인트(20)에 대하여 피봇되는 2 개의 외부 조인트 요소(10, 30)를 포함하며, 2 개의 외부 조인트 요소(10, 30)와 중간 조인트 요소(20) 사이의 회전축(40, 50)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변위되고, 따라서 조인트(1)는 양극단 위치 사이에서 안정적인 경사 위치를 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조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중간 조인트 요소는 적어도 2 개의 조인트 요소로 구성되며, 조인트(1)는 양극단 위치 사이에서 몇몇 안정적인 경사 위치를 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조인트.
  3. 제1항에 있어서, 회전축(40, 50) 사이의 수평 거리는 대략 5 내지 15 cm의 범위, 양호하게는 대략 6 내지 10 cm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조인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사 위치는 조인트 사이의 왕복식 협동 끼움면(12, 21, 14, 23, 33, 22, 35, 26)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조인트.
  5. 제4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양측의 협동 끼움면(12, 21, 14, 23, 33, 22, 35, 26)은 회전 멈춤부(13, 24, 34, 3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조인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인트 요소(10, 20, 30) 중 적어도 2 개는 서로에 대해 스프링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조인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장착은 비틀림 스프링, 스프링 코일, 판 스프링 또는 다른 탄성 재료, 양호하게는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얻어질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 장착은 양호하게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조인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 개의 조인트 요소(10, 20, 30)는 서로에 대해 잠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조인트.
  9. 사용자의 중량 변위에 의해 영향을 받는 시트 구조물의 경사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2 개의 양극단 위치 사이에서 스프링 장착력에 대항하여 왕복식으로 제한피봇된 적어도 2 개의 조인트 요소(10, 30)를 포함하는 시트 구조물의 시트 장치(100)와 이를 위한 지지부(200) 사이에 장착되기 위한 시트 구조물, 특히 의자용 모바일 조인트에 있어서,
    중간 조인트 요소(20)에 대하여 피봇되는 2 개의 외부 조인트 요소(10, 30)를 포함하며, 2 개의 외부 조인트 요소(10, 30)와 중간 조인트 요소(20) 사이의 회전축(40, 50)이 서로에 대해 상이한 스프링 장착을 가지고, 따라서 조인트(1)는 양극단 위치 사이에서 안정적인 경사 위치를 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조인트.
  10. 시트 장치(100), 기부(200) 및 시트 장치(100)와 기부(200)를 연결하는 모바일 조인트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조인트(1)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1020047010471A 2002-01-04 2003-01-06 가구에 사용하기 적합한, 소정의 안정적인 위치들을 갖춘모바일 조인트 KR1006224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20020045A NO317791B1 (no) 2002-01-04 2002-01-04 Bevegelig ledd
NO20020045 2002-01-04
PCT/NO2003/000001 WO2003055357A1 (en) 2002-01-04 2003-01-06 Mobile joint with several stable positions, suitable for use in furni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9919A true KR20040079919A (ko) 2004-09-16
KR100622463B1 KR100622463B1 (ko) 2006-09-19

Family

ID=19913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0471A KR100622463B1 (ko) 2002-01-04 2003-01-06 가구에 사용하기 적합한, 소정의 안정적인 위치들을 갖춘모바일 조인트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1) US7497516B2 (ko)
EP (1) EP1467642B1 (ko)
JP (1) JP4580648B2 (ko)
KR (1) KR100622463B1 (ko)
CN (1) CN100344248C (ko)
AT (1) ATE321474T1 (ko)
AU (1) AU2003201514B2 (ko)
BR (1) BR0306680B1 (ko)
CA (1) CA2469934A1 (ko)
DE (1) DE60304314T2 (ko)
DK (1) DK1467642T3 (ko)
ES (1) ES2261912T3 (ko)
HK (1) HK1074755A1 (ko)
HR (1) HRP20040571A2 (ko)
IS (1) IS7321A (ko)
MX (1) MXPA04006459A (ko)
NO (1) NO317791B1 (ko)
NZ (1) NZ534338A (ko)
PL (1) PL369450A1 (ko)
PT (1) PT1467642E (ko)
RU (1) RU2310361C2 (ko)
WO (1) WO2003055357A1 (ko)
YU (1) YU5780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60915T1 (de) * 2003-08-18 2010-04-15 Corcost Ltd Erhöhbarer sitz
US8061775B2 (en) 2005-06-20 2011-11-22 Humanscale Corporation Seating apparatus with reclining movement
US7261368B1 (en) * 2006-02-27 2007-08-28 Todd Clausnitzer Ergonomic chair
USD660056S1 (en) 2006-06-20 2012-05-22 Humanscale Corporation Chair
PL211142B1 (pl) * 2008-07-04 2012-04-30 Maciej Szymański Fotel
NZ613957A (en) * 2008-12-12 2015-03-27 Formway Furniture Ltd A chair, a support, and components
KR200459901Y1 (ko) 2010-02-10 2012-04-20 (주)보고 선박용 완충의자
US8973997B2 (en) * 2011-07-19 2015-03-10 Skip's Patents, Llc Seat structure with sit-to-stand feature
US9504326B1 (en) 2012-04-10 2016-11-29 Humanscale Corporation Reclining chair
CN106455821A (zh) 2014-04-17 2017-02-22 Hni技术公司 椅子和椅子控制组件、系统和方法
CA3025252C (en) * 2016-06-20 2022-01-04 Kokuyo Co., Ltd. Chair and seat support mechanism
US10383448B1 (en) 2018-03-28 2019-08-20 Haworth, Inc. Forward tilt assembly for chair seat
US11787063B2 (en) 2020-09-11 2023-10-17 Verb Surgical Inc. Linear lock and adjustable arm suppor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2341A (en) * 1954-07-12 1960-04-12 Deere & Co Vehicle seat
US2818911A (en) * 1954-11-05 1958-01-07 Trumbull Dev Corp Tiltable office chair
US2949153A (en) * 1955-06-30 1960-08-16 Hickman Ind Inc Seat structure
US3599232A (en) * 1969-04-28 1971-08-10 Freedman Seating Co Vehicle seat suspension system
AT338168B (de) 1974-01-25 1977-07-25 Orenstein & Koppel Ag Fordermittel, insbesondere rollsteig fur personentransport, mit einem in derselben forderebene uber umlenkstellen mittels zugmitteln gegenlaufig bewegten gliederband
US4034948A (en) * 1975-12-04 1977-07-12 Caterpillar Tractor Co. Vehicle seat structure
DE3337611C2 (de) 1983-10-15 1985-12-12 O & K Orenstein & Koppel Ag, 1000 Berlin Rollsteigsystem
CH663779A5 (de) 1984-07-17 1988-01-15 Inventio Ag Befestigungsvorrichtung fuer die stufen einer fahrtreppe.
DE3537203A1 (de) * 1984-10-24 1986-04-24 Klöber GmbH & Co, 7770 Überlingen Arbeitsstuhl mit neigungsmechanik von sitzschale und rueckenlehne
JPH0136435Y2 (ko) * 1985-06-07 1989-11-06
JPH0347558Y2 (ko) * 1986-03-01 1991-10-09
US4744600A (en) * 1986-05-06 1988-05-17 Itoki Co., Ltd. Cushioning mechanism for use with seat of chair and interlocking cushioning mechanism for seat and backrest
DE8614185U1 (de) 1986-05-26 1986-07-17 Drabert Söhne GmbH & Co, 4950 Minden Stuhl
IT1210753B (it) * 1987-05-20 1989-09-20 Pro Cord Srl Sopporto oscillante per sedie sedili e simili
DE8816581U1 (ko) 1988-08-26 1989-11-30 Rau Maschinenbau Gmbh, 7014 Kornwestheim, De
US4854641A (en) * 1989-01-23 1989-08-08 Reineman Richard G Adjustable chair
DE3930983C2 (de) * 1989-09-16 1993-09-30 Rolf Voelkle Sitzmöbel mit neigungsverstellbarer Sitzfläche
JPH03222907A (ja) * 1989-11-30 1991-10-01 Itoki Kosakusho Co Ltd 椅子の弾力調節装置
DE4019876A1 (de) * 1990-06-22 1992-01-02 Simon Desanta Stuhl, insbesondere buerostuhl
EP0485868A1 (de) * 1990-11-14 1992-05-20 Giroflex-Entwicklungs AG Stuhl, insbesondere Bürostuhl
US5072821A (en) 1990-12-07 1991-12-17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people mover bearing
NO175961C (no) 1991-11-15 1995-01-11 Ring Mekanikk As Stolbeslag
US5294179A (en) * 1992-05-11 1994-03-15 Hand Machine Company, Inc. Retrofittable chair lifting and tilting device
DE69333862T2 (de) * 1992-06-15 2006-01-12 Herman Miller, Inc., Zeeland Ein unbedecktes Gewebe für Sitz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uhles mit solchem Gewebe
GB2273665A (en) 1992-12-23 1994-06-29 Puma Dart Prod Ltd A dart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5293982A (en) 1993-01-12 1994-03-15 Otis Elevator Company Step chain plug-in axle
DE4314975C1 (de) * 1993-05-06 1995-03-16 Grammer Ag Abgefedertes Sitzgestell, insbes. für einen Fahrzeugsitz
DE9315150U1 (de) 1993-10-06 1995-02-09 O & K Rolltreppen Gmbh Antriebssystem für Rolltreppen und Rollsteige
NO179192C (no) 1993-12-17 1996-08-28 Asbjoernsen Produktdesign As S Anordning ved beslag, spesielt for en stol
DE19525827C2 (de) 1995-07-15 1998-05-14 Kone Oy Palettenkörper für Rollsteige
JPH09173177A (ja) * 1995-12-21 1997-07-08 Inoue Assoc:Kk 椅子の座板と背もたれの揺動機構
DE19608169C1 (de) 1996-03-04 1997-04-17 O & K Rolltreppen Gmbh Montageverfahren sowie Befestigungseinrichtung für die Stufen bzw. Paletten von Rolltreppen bzw. Rollsteigen
ATE194322T1 (de) 1996-03-11 2000-07-15 Thyssen Aufzuege Gmbh Fahrsteig
US5931532A (en) * 1997-02-03 1999-08-03 Kemmerer; Kenneth Lift recliner chair with safety system
US6378943B1 (en) * 1999-03-26 2002-04-30 Northfield Metal Products Ltd. Chair tilt lock mechanisms
DE10122946C1 (de) * 2001-05-11 2003-01-30 Armin Sander Stuhl, insbesondere Bürostuhl
DE10122945A1 (de) * 2001-05-11 2002-12-12 Armin Sander Stuhl, insbesondere Bürostuhl
GB0119132D0 (en) * 2001-08-03 2001-09-26 Seminar Components Uk Ltd Im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djustable chairs and beds
US6595584B1 (en) * 2002-01-16 2003-07-22 John W. Caldwell Seating for individuals and for groups of individuals with various degrees of accommodation and distraction
DE10309921A1 (de) * 2003-03-07 2004-09-16 Dauphin Entwicklungs- Und Beteiligungs-Gmbh Stuhl, insbesondere Bürostuhl
FI117240B (fi) 2003-11-03 2006-08-15 Kone Corp Palettijärjeste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69450A1 (en) 2005-04-18
YU57804A (sh) 2006-08-17
BR0306680B1 (pt) 2013-07-09
CN100344248C (zh) 2007-10-24
IS7321A (is) 2004-06-16
US7497516B2 (en) 2009-03-03
KR100622463B1 (ko) 2006-09-19
DE60304314T2 (de) 2006-12-21
NO317791B1 (no) 2004-12-13
JP4580648B2 (ja) 2010-11-17
DE60304314D1 (de) 2006-05-18
NO20020045D0 (no) 2002-01-04
HRP20040571A2 (en) 2004-10-31
NZ534338A (en) 2007-02-23
CN1612703A (zh) 2005-05-04
RU2310361C2 (ru) 2007-11-20
WO2003055357A1 (en) 2003-07-10
HK1074755A1 (en) 2005-11-25
WO2003055357A8 (en) 2004-09-02
BR0306680A (pt) 2004-12-07
EP1467642A1 (en) 2004-10-20
AU2003201514B2 (en) 2007-06-21
US20050116519A1 (en) 2005-06-02
RU2004123795A (ru) 2005-05-10
ATE321474T1 (de) 2006-04-15
EP1467642B1 (en) 2006-03-29
DK1467642T3 (da) 2006-05-15
NO20020045L (no) 2003-07-07
MXPA04006459A (es) 2004-10-04
AU2003201514A1 (en) 2003-07-15
ES2261912T3 (es) 2006-11-16
JP2005512713A (ja) 2005-05-12
PT1467642E (pt) 2006-06-30
CA2469934A1 (en) 200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2463B1 (ko) 가구에 사용하기 적합한, 소정의 안정적인 위치들을 갖춘모바일 조인트
US20040051362A1 (en) Seating unit having motion control
USRE34354E (en) Chair for an office or the like
WO2009048448A1 (en) Dynamically balanced seat assembly
JPS6257519A (ja) 作業椅子
JPS5810008A (ja) いすシ−ト取付部
US20050194823A1 (en) Flexible chair with post base
CA2506551C (en) A mobile joint suitable for a sitting device
US10159347B2 (en) Tilt mechanism for a weight-responsive seating furniture
JP2024031988A (ja) 自己適応連動制御の機能シングルチェア
KR20190011032A (ko) 리클라이닝 체어
KR102210240B1 (ko) 탄성력 조절이 가능한 의자 등받이 경사 조절기구
US20220400863A1 (en) Reclining seating unit with reciprocating capability
CN112190057A (zh) 防搓背装置及具有其的椅子、床
JPH048819Y2 (ko)
CN113226120A (zh) 用于坐具的同步机构和坐具
JPS6080407A (ja) 椅子
CA2390433A1 (en) Braking device for use with a glider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