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8052A - 리셉터클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8052A
KR20040078052A KR1020040012090A KR20040012090A KR20040078052A KR 20040078052 A KR20040078052 A KR 20040078052A KR 1020040012090 A KR1020040012090 A KR 1020040012090A KR 20040012090 A KR20040012090 A KR 20040012090A KR 20040078052 A KR20040078052 A KR 20040078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receptacle
opening
shutter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2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7741B1 (ko
Inventor
우찌다신지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8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7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8Covers sliding or withdrawing in the direction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콘택트가 항상 드러나지 않고, 소형이고 다극인 리셉터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절연성의 소켓 하우징(1)은 듀얼 인 라인형의 수형 콘택트를 갖는 플러그가 삽입되는 개구부(11)를 형성하고 있다. 복수의 암형 콘택트(2)는 개구부(11)의 내벽에 대향하는 형태로 한 쌍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면 상기 수형 콘택트와 접촉한다.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셔터(13)는 개구부(11) 전방면을 막고,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면 상기 플러그에 눌려 셔터(3)는 삽입 방향으로 후퇴된다. 압축 코일 스프링(5)은 셔터(3)를 개구부 전방면(11)으로 진출하는 힘을 압박하고 있다. 쉘(4)은 소켓 하우징(1)을 외피하여 소켓 하우징(1)을 프린트 기판에 착좌시킨다.

Description

리셉터클 {RECEPTACLE}
본 발명은, 전기 접속용 리셉터클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자 기기, 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 마이크로 비디오 카메라 혹은 휴대 정보 단말 등은 디스크탑 퍼스널 컴퓨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소형의 전자 기기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커넥터(또는 I/O 커넥터)가 되는 리셉터클이 실장되어 있다.
상기 리셉터클을 갖는 전자 기기는 대부분의 경우,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 클레이들(Cradle)이라는 접속대(도킹 스테이션이라고도 불리움)를 이용하고 있다.
클레이들에는 플러그가 실장되는 동시에 케이블이 접속되고, 이 케이블을 거쳐서 클레이들과 디스크탑 퍼스널 컴퓨터가 접속된다. 한편, 휴대 정보 단말 등의 전자 기기에는 리셉터클이 실장되어 전자 기기측에 설치된 리셉터클과, 클레이들에 설치된 플러그가 접속됨으로써 전자 기기와 디스크탑 퍼스널 컴퓨터 사이에서 빠르고 확실하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클레이들의 가장 단순한 것으로는 휴대 전화기용 충전기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런데, 전자 기기측의 커넥터인 리셉터클과, 클레이들측의 커넥터인 플러그가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전자 기기측에 설치된 리셉터클의 콘택트가 드러나게 된다. 이로 인해, 콘택트에 손이 닿거나, 먼지가 부착함으로써 콘택트가 오염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리셉터클에 캡 혹은 커버를 씌움으로써, 콘택트에 먼지가 부착하는 것, 혹은 콘택트에 손이 닿는 것을 방지한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또한, 리셉터클에 캡 등을 씌우는 대신에, 셔터를 설치하여 커넥터를 방진한 커넥터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의 커넥터를 구성하는 리셉터클은 셔터를 구비하여 리셉터클에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 셔터가 폐쇄되어 콘택트의 상부를 덮는다. 이에 의해, 리셉터클에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콘택트를 방진하는 한편, 플러그가 삽입되면 플러그의 압박에 의해 셔터가 개방되어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접촉을 가능하게 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1-351747호 공보
그러나, 리셉터클에 캡 혹은 커버를 설치하는 것은 리셉터클에 플러그를 접속할 때마다 캡 혹은 커버를 제거하게 되어 수고가 늘어나 접속이 번거로워진다. 또한, 캡 혹은 커버를 분실할 우려도 있다.
또한, 전술한 클레이들에 탑재되는 플러그는, 일반적으로는 2열로 배열된 콘택트를 갖는 다극의 듀얼 인 라인(Dual in-line) 플러그이다. 듀얼 인 라인 플러그에서는 콘택트에 직접 손이 닿지 않도록 듀얼 인 라인 콘택트의 주위가 절연성의 고정 수직 설치벽으로 포위된다. 이와 같은 듀얼 인 라인 플러그는 소위 포월형의 벽이 부착되어(Shrouded) 외형이 커진다.
그러나, 듀얼 인 라인 플러그를 구비한 클레이들과 접속되는 전자 기기(예를 들어, 마이크로 비디오 카메라)는 다운 사이징이 가속되고 있다. 이로 인해, 듀얼 인 라인 플러그와 접속되는 리셉터클(듀얼 인 라인 리셉터클)이며, 전술한 바와 같은 전자 기기에 부착되는 리셉터클을 소형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특허 문헌 1에 제시된 방진형의 다심 커넥터에의 리셉터클에 구비된 셔터는 복수의 셔터 부품으로 구성되는 절첩식 개폐 셔터이고, 또한 이 다심 커넥터는 로크 기구도 구비하므로, 외형이 필연적으로 커져 현재 요구되는 인터페이스용 마이크로 리셉터클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콘택트가 항상 드러나지 않고, 소형이고 다극인 리셉터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만족시키기 위해, 이하와 같은 새로운 리셉터클을 발명하였다.
(1) 듀얼 인 라인형의 수형 콘택트를 갖는 플러그가 삽입되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는 절연성의 소켓 하우징과, 상기 개구부의 내벽에 대향하여 한 쌍으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면 상기 수형 콘택트와 접촉하는 복수의 암형 콘택트와,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개구부 전방면을 막고,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면 상기 플러그에 눌려 개구부 배면 방향으로 후퇴되는 절연성의 셔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리셉터클을 플러그에 접속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리셉터클의 개구부를 셔터가 막음으로써 암형 콘택트를 방진한다. 한편, 리셉터클에 플러그를 삽입하면, 셔터가 플러그에 눌려 후퇴되어 플러그의 수형 콘택트와 리셉터클의 암형 콘택트가 접촉한다.
(2) 상기 (1)에 기재된 리셉터클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플러그를 상기 개구부로부터 제거하였을 때에 상기 셔터를 상기 개구부 전방면으로 진출시키는 힘을 압박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삽입한 상태로부터 플러그를 제거하면 탄성 부재의 압박력으로 셔터가 개구부에 있어서의 플러그 삽입면을 막음으로써 콘택트를 외부로부터 차단한다. 이로 인해, 먼지나 손의 접촉으로부터 암형 콘택트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는, 예를 들어 압축 코일 스프링이다.
(3) 상기 (1) 또는 (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셉터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암형 콘택트에 있어서의 각각의 모서리부는 상기 소켓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암형 콘택트 각각의 모서리부는 프린트 기판에 착좌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암형 콘택트 각각의 모서리부를 프린트 기판에 형성된 시트 패턴에 납땜 등으로 용착하여 리셉터클을 표면 실장할 수 있다.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셉터클에 있어서, 상기 소켓 하우징을 외피하는 쉘을 구비하고, 상기 쉘의 측부에 상기 소켓 하우징을 프린트 기판에 착좌시키기 위한 한 쌍의 땜납용착성 터브가 대향하여 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소켓 하우징을 덮는 쉘을 프린트 기판에 납땜으로 용착하여 고정하고, 플러그의 삽입 인출력에 견딜 수 있도록 보강할 수 있다.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셉터클에 있어서, 상기 소켓 하우징을 외피하는 쉘을 구비하고, 상기 쉘은 금속 얇은 판으로 구성되어 상기개구부 전방면을 부분적으로 덮는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금속 얇은 판의 쉘로 소켓 하우징을 외피함으로써 소켓 하우징을 구조적으로 보강하고 있고, 또한 이 리셉터클을 실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쉘은 그 일부가 리셉터클에 설치된 개구부의 플러그 삽입면(전방면)을 부분적으로 덮고 있다. 이로 인해, 상대측 플러그의 헤더부를 금속판의 플러그 쉘로 덮은 경우, 상대측 플러그가 리셉터클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대측 플러그의 헤더부를 덮는 플러그 쉘과, 이 리셉터클의 쉘이 부분적으로 접촉하여 상대측 플러그와 이 리셉터클이 일체로 실드되게 된다.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셉터클에 있어서, 소형 전자 기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로서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셉터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암형 콘택트는 0.5 ㎜의 등간격으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8)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돌출되어 상대측 리셉터클에 삽입되는 헤더부를 구비하는 절연성의 플러그 하우징과, 상기 헤더부에 한 쌍으로 병렬 배치된 수형 콘택트와, 상기 헤더부에 배치된 수형 콘택트를 덮고, 상기 프레임부에 수납 가능한 플러그 셔터를 구비하고 있는 플러그를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셉터클에 접속하는 접속 방법이며, 상기 플러그를 상기 리셉터클의 상기 개구부에 삽입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플러그셔터는 상기 개구부의 내벽에 따라서 상기 개구부 배면으로 이동하고, 상기 플러그를 상기 리셉터클로부터 제거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플러그 셔터는 상기 개구부의 내벽에 따라서 상기 개구부 전방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접속 방법.
(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이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삽입하는 과정에서는 플러그 셔터가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면벽 및 하면벽의 표면에 따라서 개구부 배면측으로 눌려 수형 콘택트가 노출되어 리셉터클의 암형 콘택트와 접촉한다. 이 리셉터클로부터 플러그를 제거하는 과정에서는 플러그 셔터가 헤더부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수형 콘택트를 덮도록 진출하여 수형 콘택트에 먼지가 부착하는 것, 혹은 수형 콘택트에 손 등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의도적으로 리셉터클의 셔터 혹은 플러그 셔터를 밀어 내리지 않는 한, 암형 콘택트 혹은 수형 콘택트는 셔터 혹은 플러그 셔터로 막혀 보호된다.
(9)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셉터클에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절연성의 소켓 하우징」이라 함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재질로 형성된 소켓 하우징이라 생각해도 좋다. 「절연성의 소켓 하우징」은 암형 콘택트를 전기 절연체로 덮어 보유 지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고 해도 좋다.
「절연성의 소켓 하우징」은 전기 절연체의 합성 수지재로 일체로 성형 가공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합성 수지재로 일체로 성형된 후, 부분적으로 기계 가공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전체를 일체로 깎아 내어 가공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암형 콘택트」는 횡단면이 직사각형의 스프링성이 없는 콘택트, 소위「블레이드 콘택트(Blade Contact)」라도 좋고,「암형 콘택트」를 폭 0.3 ㎜ 정도로 성형하면「암형 콘택트」를 0.5 ㎜ 정도의 좁은 피치로 배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암형 콘택트」의 극 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로서 사용되는 것이면, 40극은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편측 20개까지「콘택트」가 배열 가능하고, 커넥터의 용도에 대응하여 최저 편측 13개(26극)까지 배열 가능하다.
「절연성의 셔터」라 함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재질로 형성된 셔터라 생각해도 좋다. 「절연성의 셔터」는 암형 콘택트와 접촉해도 단락시키지 않는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리셉터클이 상대측 플러그에 접속되어 있을 때 이외에는,「셔터」는 개구부 전방면을 막아 콘택트를 방진하고 있다고 생각해도 좋다.
「셔터」는 셔터의 후방면 양 블레이드에 배치된 한 쌍의 탄성체(예를 들어,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해 개구부 전방면측으로 이동하는 힘이 압박되어 있다고 생각해도 좋고,「셔터」는 개구부에 상대측 플러그가 삽입되면 상대측 플러그에 눌려 개구부 내를 배면측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후퇴된다고 생각해도 좋다.
판 두께 0.2 ㎜ 정도의 금속 얇은 판의 쉘은「절연성의 소켓 하우징」을 외피함으로써 이 리셉터클을 구조적으로도 보강하고 있고, 또한 상기 쉘이 프린트 기판에 용착됨으로써 이 리셉터클을 보강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간이한 구성의 리셉터클은 저배화를 도모할 수 있어 소형 전자 기기에의 실장을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서는 상대측 플러그 리셉터클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인 리셉터클을 분해한 사시도.
도2a는 상기 리셉터클을 조립한 경우의 평면도.
도2b는 상기 리셉터클을 조립한 경우의 정면도.
도2c는 상기 리셉터클을 조립한 경우의 측면도.
도2d는 도2b의 X-X선에서의 단면도.
도3a는 도2d의 리셉터클의 Y-Y선에서의 단면도.
도3b는 도2a의 Z-Z선에서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리셉터클이 적재되는 프린트 기판에 형성되는 패턴 레이아웃도.
도5는 상기 조립된 리셉터클의 외관 사시도로, 셔터가 개구부를 막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6은 상기 조립된 리셉터클의 외관 사시도로, 셔터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7은 상기 리셉터클에 접속되는 플러그의 일실시 형태의 외관 사시도.
도8은 도8의 플러그의 플러그 셔터가 프레임부에 매몰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9는 상기 리셉터클과 상기 플러그를 대향 배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0은 상기 플러그의 헤더부가 상기 리셉터클의 개구부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켓 하우징
2 : 암형 콘택트
3 : 셔터
4 : 쉘
5 : 압축 코일 스프링
10 : 리셉터클
12 : 부착판부
21 : 굴곡 정상부
31 : 셔터부
42a 및 42b : 베젤
43a 및 43b : 터브
100 : 플러그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셉터클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 분해 조립도이다. 도1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10)은 소켓 하우징(1)과, 암형 콘택트(2)와, 셔터(3)와, 쉘(4)과, 압축 코일 스프링(5)을 구비하고 있다.
도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절연성의 소켓 하우징(1)은 상면벽(110)과, 하면벽(111)과, 종프레임(11a와, 11b)을 구비한다. 상면벽(110)과 하면벽(111), 종프레임(11a)과 종프레임(11b)은 각각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종프레임(11a), 종프레임(11b), 상면벽(110) 및 하면벽(111)에 둘러싸인 부분에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즉, 개구부(11)의 내벽은 종프레임(11a), 종프레임(11b), 상면벽(110) 및 하면벽(111)으로 구성되고, 암형 콘택트(2)는 이 개구부(11)의 내벽에 대향하여 한 쌍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암형 콘택트(2)는 상면벽(10a)과 하면벽(10b)의 개구부(11)측의 면에 대향하도록 병렬 배치되어 있다.
소켓 하우징(1)에는 후술하는 플러그(100)가 삽입되는 면(전방면)과 대향하는 면(배면)에 한 쌍의 후방벽(112a 및 112b)이 설치되어 있다. 플러그(100)는 전방면측으로부터 소켓 하우징(1)의 개구부(11)에 삽입된다. 개구부(11)에는 탄성부재가 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5)을 거쳐서 셔터(3)가 내포된다.
소켓 하우징(1)은 리셉터클(10)을 프린트 기판 등에 용착할 때, 하면벽(111)이 프린트 기판에 면하는 하면이 되도록 적재되고, 상면이 되는 상면벽(110)에는 한 쌍의 래치 홈(12a 및 12b)이 형성되어 있다. 래치 홈(12a 및 12b)에는 후술하는 쉘(4)의 래치(41a 및 41b)가 계지된다.
쉘(4)은 쉘 개구부(40)를 내측에 갖는 상자형이 되도록 1매의 금속판이 절곡되어 성형되어 있다. 쉘(4)은 한 쌍의 대향하는 상면(400) 및 하면(410) 및 한 쌍의 대향하는 외벽(411a 및 411b)을 갖는다. 상면(400)은 소켓 하우징(1)의 상면벽(110)을, 하면(410)은 하면벽(111)을, 외벽(411a 및 411b)은 종프레임(11a 및 11b)을 각각 덮는다.
쉘 개구부(40)는 소켓 하우징(1)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고, 쉘(4)은 소켓 하우징(1)의 개구부(11) 전방면측으로부터 삽입되는 형태로 조립된다. 쉘(4)의 상면(400)은 역ㄷ자형으로 잘라냄으로써 형성된 한 쌍의 래치(41a 및 41b)를 갖고 있다. 래치(41a 및 41b)는 내측으로 약간 절곡되어 있다.
또한, 쉘(4)의 플러그(100)가 삽입되는 면(전방면)에 있어서, 쉘 개구부(40)로 돌출되는 한 쌍의 베젤(42a 및 42b)이 설치되어 있다. 베젤(42a 및 42b)은 쉘(4)의 외벽(411a 및 411b)으로부터 쉘 개구부(40) 전방면까지 평행하게 연장되고, 또한 플러그(100) 삽입면과 대향하는 면(배면)으로 연장되도록 절곡되어 있다. 베젤(42a 및 42b)은 상면(400)에 평행한 단면[도2의 (b)의 X-X 단면]이 역ㄷ자형을 이룬다. 베젤(42a 및 42b)은 소켓 하우징(1)의 종프레임(11a 및 11b)이 끼워 맞추어지도록 조립된다.
또한, 쉘(4)의 상면(400)에는 쉘 개구부(40)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접촉변(42c 및 42d)이 설치되어 있다. 접촉변(42c 및 42d)은 쉘 개구부(40)의 전방면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또한 플러그 개구부(40) 배면으로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쉘(4)의 하면(410)에는 쉘 개구부(40)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접촉변(42e 및 42d)이 설치되어 있다.
소켓 하우징(1)과 쉘(4)이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는, 접촉변(42c 및 42d)은 소켓 하우징(1)의 상면벽(110)과 계지되고, 접촉변(42e 및 42f)은 소켓 하우징(1)의 하면벽(111)과 계지된다.
또한, 쉘(4)의 외벽(411a 및 411b) 하부에는 상반되도록 터브(43a 및 43b)가 가로 설치되어 있다. 터브(43a 및 43b)는 땜납용착성으로, 프린트 기판에 착좌된다. 또한, 터브(43B)는 도1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계속해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셉터클(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2a 내지 도2d는 리셉터클(10)의 조립도이고, 도2a는 평면도, 도2b는 정면도, 도2c는 측면도, 도2d는 도2b의 X-X 단면도이다.
또한, 도3a는 도2d의 Y-Y 단면도, 도3b는 도2a의 Z-Z 단면도이다.
도3a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1)은 2종류의 암형 콘택트를 갖고 상면벽(110)에는 긴 콘택트(2a)가 배치되고, 하면벽(111)에는 짧은 콘택트(2b)가 배치되어 있다. 긴 콘택트(2a) 및 짧은 콘택트(2b)는 개구부(11)를 협지하여 대향한다. 긴 콘택트(2a)와 짧은 콘택트(2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콘택트가2열로 되어 있는 다극의 듀얼 인 라인을 형성하고 있다.
긴 콘택트(2a)는 상면벽(110)과 접촉하는 평탄부와, 소켓 하우징(1)으로부터 연장되는 모서리부를 갖고, 모서리부는 2 단계에 직각으로 굴곡된 후, 평탄부에 평행해지도록 굴곡된 최종 모서리부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프린트 기판에 착좌 가능하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짧은 콘택트(2b)도 하면벽(11)과 접촉하는 평탄부와, 소켓 하우징(1)으로부터 연장되는 모서리부를 갖고 모서리부는 굴곡되어 평탄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후, 최종 모서리부는 평탄부와 평행해지도록 굴곡되어 상기 프린트 기판에 착좌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긴 콘택트(2a)와 짧은 콘택트(2b)의 구별은 소켓 하우징(1)으로부터의 연장 길이에 의한 것으로, 상단부에 긴 콘택트(2a)가 배치되고, 하단부에 짧은 콘택트(2b)가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0.5 ㎜ 정도의 좁은 피치로 암형 콘택트(2)를 배열하였으므로, 암형 콘택트(2)를 프린트 기판으로 표면 실장하는 고정 방법을 채용하였다.
다음에, 셔터(3)에 대해 설명한다. 도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성의 셔터(13)는 플러그(100)의 삽입 방향에 따라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개구부(11) 내에 조립되어 있다. 개구부(11) 내에는 탄성 부재인 한 쌍의 압축 코일 스프링(5)이 배치되어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5)의 일단부는 셔터(3)에 설치된 돌기(32a 및 32b)에 계지되어 있고, 압축 코일 스프링(5)의 타단부는 개구부 후방벽(112a 및 112b)에 계지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한 쌍의 압축 코일 스프링(5)은 셔터(3)를 개구부(11) 전방면으로 진출하는 힘을 압박하고 있다. 즉, 압축 코일 스프링(5)은,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을 때에는 셔터(3)를 개구부(11) 전방면으로 압박하므로 개구부(11)는 셔터(3)로 막힌다. 또한,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셔터(3)의 진출은 한 쌍의 베젤(42a 및 42b)에 의해 정지되고, 셔터(3)는 소켓 하우징(1) 내에 멈춘다.
또한, 한 쌍의 베젤(42a 및 42b)은 플러그(100)가 삽입될 때에 소켓 하우징(1)의 종프레임(11a 및 11b)이 마모 혹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리셉터클(10)은 암형 콘택트(2)가 프린트 기판에 용착되는 동시에, 리셉터클(10)을 덮는 쉘(4)도 프린트 기판에 착좌된다. 도4는 리셉터클(10)이 적재되는 프린트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시트 패턴의 패턴 레이아웃도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에는 쉘(4)의 터브(43a 및 43b)가 납땜에 의해 용착되는 시트 패턴(6a 및 6b)과, 암형 콘택트(2)의 최종 모서리부가 납땜에 의해 용착되는 시트 패턴군(60)이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10)은 암형 콘택트(2)가 시트 패턴군(60)에 착좌되어 접속 대상물이 되는 프린트 기판에 표면 실장 디바이스와 같이 납땜에 의해 용착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5는 리셉터클(10)의 외관도로, 셔터(3)가 플러그(100)의 삽입면을 막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6은 리셉터클(10)의 외관도로, 개구부(11)가 셔터(3)에 의해 막혀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7은 도1의 리셉터클(10)에 접속되는 플러그(100)의 일실시 형태에의한 사시 외관도이다. 도7에 있어서, 플러그(100)는 절연성의 플러그 하우징(10a)과, 복수의 수형 콘택트(20)를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 하우징(10a)은 프레임부(1b)와, 이 프레임부(1b)로부터 돌출되는 헤더부(1a)를 구비한다. 헤더부(1a)는 프레임부(1b)와 일체로 형성되어 수형 콘택트(20)를 덮는 한 쌍의 절연성의 플러그 셔터(130)로 구성된 플러그 셔터부(31)를 구비한다.
프레임부(1b)에는 도시되지 않은 압축 코일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은 플러그 셔터(30)를 플러그(100)가 리셉터클(10)에 삽입되는 방향(도7에 있어서의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힘을 압박하고 있다. 이 구성으로부터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0)가 리셉터클(10)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플러그 셔터부(31)는 복수의 수형 콘택트(20)를 덮는다. 한편, 플러그(100)가 리셉터클(10)에 삽입될 때에는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이 수축하고, 플러그 셔터(30)는 프레임부(1b)에 수납되어 수형 콘택트(20)가 암형 콘택트(2)와 접촉한다.
도8은 플러그 셔터(130)가 프레임부(1b)에 매몰되어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8에 있어서, 복수의 수형 콘택트(20)가 헤더부(1a)에 듀얼 인 라인형으로 보유 지지되어 있다. 수형 콘택트(20)는 굴곡 정상부(21)를 갖는 굴곡판 스프링이다.
도9는 리셉터클(10)과 플러그(100)를 대향 배치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9에 있어서, 플러그(100)를 리셉터클(10)에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리셉터클(10)은 셔터(13)가 개구부(11) 전방면을 막고 있다. 한편, 플러그(100)는 수형콘택트(20)를 플러그 서텨(30)가 덮고 있다.
또한,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수형 콘택트(20)는 각각의 굴곡판 스프링의 굴곡 정상부(21)가 상반되도록 헤더부(1a)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도9의 상태로부터 플러그(100)의 헤더부(1a)를 리셉터클(10)의 개구부(11)에 삽입하면, 플러그 셔터(30)는 개구부(11)를 형성하는 상면벽(110) 및 하면벽(111)에 따라서 프레임부(1b)에 수납되도록 후퇴된다. 한편, 리셉터클(19)의 셔터(3)는 헤더부(1a)에 눌려 개구부(11) 배면으로 후퇴된다.
플러그(100)의 헤더부(1a)를 리셉터클(10)의 개구부(11)에 완전하게 삽입한 상태에서는, 리셉터클(10)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형 콘택트(2)가 노출된다. 한편, 플러그(100)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형 콘택트(20)가 노출된 상태가 되어 수형 콘택트(20)와 암형 콘택트(2)가 접촉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10은 플러그(100)의 헤더부(1a)가 리셉터클(10)의 개구부(11)에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10에 있어서, 리셉터클(10)은 도3b의 단면도와 동일한 것이고, 플러그(100)는 도7에 있어서의 기둥(13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10에 있어서, 플러그(100)는, 플러그 하우징(10a)의 프레임부(1b)는 플러그 쉘(104)로 외피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 쉘(104f)은 기둥(13a) 및 기둥(13b)(도7 참조)도 부분적으로 외피하고 있다.
도10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쉘(104)은 리셉터클(10)에 있어서의 접촉변(42c 및 42e)과 접촉하고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플러그 쉘(104)은리셉터클(10)에 있어서의 접촉변(42d 및 42f)과도 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이, 리셉터클(10)의 쉘(4)은 접촉변(42c 내지 42f)이 개구부(11) 전방면을 부분적으로 덮는다. 또한, 상대측 플러그(100)의 헤더부(1a), 기둥(13a 및 13b)이 금속판의 플러그 쉘(104)로 부분적으로 외피되어 있다. 이로 인해, 플러그(100)가 리셉터클(10)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 쉘(104)과, 리셉터클(10)의 쉘(4)이 부분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상대측 플러그(100)와 리셉터클(10)이 일체로 실드되게 된다.
도8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플러그(100)의 횡폭(W1)은 19.6 ㎜, 깊이(D1)는 4.1 ㎜, 높이(H1)는 9.5 ㎜이다. 또한, 플러그(100)의 돌출된 헤더부(1a)의 횡폭(W2)은 14.7 ㎜, 깊이(D2)는 2.4 ㎜, 높이(H2)는 3.2 ㎜이다. 수형 콘택트(20)의 피치는 0.5 ㎜이고, 극 수는 42극이지만, 키 홈(15)을 갖기 위해 2극은 사용 불가능(접속 불가능)이 되어 실질극 수는 40극이다.
한편, 도5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리셉터클(10)의 횡폭(W3)은 17.4 ㎜, 깊이(D3)는 4.7 ㎜, 높이(H3)는 4.1 ㎜이다. 암형 콘택트(2)(도1 참조)의 피치는 0.5 ㎜이고, 극 수는 42극이지만, 키를 가지므로 2극은 사용 불가능(접속 불가능)이 되어 실질극 수는 40극이다. 이와 같이, 소형이고 다극인 리셉터클은 소형 전자 기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로서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은, 상대측 플러그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암형 콘택트를 내설하는 개구부 전방면을 셔터로 막기 때문에, 암형 콘택트에 먼지가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리셉터클에 상대측 플러그를 접속하였을 때에는, 상기 셔터가 상대측 플러그에 눌려 상대측 플러그의 수형 콘택트와 리셉터클의 암형 콘택트가 접촉하게 된다.
듀얼 인 라인형의 수형 콘택트를 그 양측으로부터 덮고, 진퇴 가능한 얇은 판의 셔터를 갖는 플러그를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로 세트로 하여 사용하면, 플러그와 리셉터클 모두 방진 대책이 실시된다.

Claims (9)

  1. 듀얼 인 라인형의 수형 콘택트를 갖는 플러그가 삽입되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는 절연성의 소켓 하우징과,
    상기 개구부의 내벽에 대향하여 한 쌍으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면 상기 수형 콘택트와 접촉하는 복수의 암형 콘택트와,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개구부 전방면을 막고,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면 상기 플러그에 눌려 개구부 배면 방향으로 후퇴되는 절연성의 셔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플러그를 상기 개구부로부터 제거하였을 때에 상기 셔터를 상기 개구부 전방면으로 진출시키는 힘을 압박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암형 콘택트에 있어서의 각각의 모서리부는 상기 소켓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암형 콘택트 각각의 모서리부는 프린트 기판에 착좌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하우징을 외피하는 쉘을 구비하고,
    상기 쉘의 측부에 상기 소켓 하우징을 프린트 기판에 착좌시키기 위한 한 쌍의 땜납용착성 터브가 대향하여 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하우징을 외피하는 쉘을 구비하고,
    상기 쉘은 금속 얇은 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개구부 전방면을 부분적으로 덮는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형 전자 기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로서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암형 콘택트는 0.5 ㎜의 등간격으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8.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돌출되어 상대측 리셉터클에 삽입되는 헤더부를 구비하는 절연성의 플러그 하우징과, 상기 헤더부에 한 쌍으로 병렬 배치된 수형 콘택트와, 상기 헤더부에 배치된 수형 콘택트를 덮고, 상기 프레임부에 수납 가능한 플러그 셔터를 구비하고 있는 플러그를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셉터클에 접속하는 접속 방법이며,
    상기 플러그를 상기 리셉터클의 상기 개구부에 삽입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플러그 셔터는 상기 개구부의 내벽에 따라서 상기 개구부 배면으로 이동하고,
    상기 플러그를 상기 리셉터클로부터 제거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플러그 셔터는 상기 개구부의 내벽에 따라서 상기 개구부 전방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접속 방법.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리셉터클에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KR1020040012090A 2003-02-25 2004-02-24 리셉터클 KR101017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48127A JP4181895B2 (ja) 2003-02-25 2003-02-25 リセプタクル
JPJP-P-2003-00048127 2003-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052A true KR20040078052A (ko) 2004-09-08
KR101017741B1 KR101017741B1 (ko) 2011-02-28

Family

ID=32767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2090A KR101017741B1 (ko) 2003-02-25 2004-02-24 리셉터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86880B2 (ko)
EP (1) EP1453145B1 (ko)
JP (1) JP4181895B2 (ko)
KR (1) KR101017741B1 (ko)
CN (1) CN100395922C (ko)
DE (1) DE602004000356T8 (ko)
TW (1) TWI24231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840Y1 (ko) * 2008-06-30 2011-01-13 쳉 유에이 프리시젼 인더스트리 캄파니 리미티드 전기 커넥터
KR20170040323A (ko) * 2014-08-08 2017-04-12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유지 프레임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4902A (ja) * 2005-03-04 2006-09-14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4478609B2 (ja) * 2005-05-23 2010-06-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4521351B2 (ja) * 2005-10-17 2010-08-11 ホシデン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CN2932726Y (zh) * 2006-04-13 2007-08-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07305537A (ja) * 2006-05-15 2007-11-2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コネクタ
US7140891B1 (en) * 2006-06-02 2006-11-28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Dustproof receptacle connector
CN200959409Y (zh) * 2006-06-23 2007-10-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08027861A (ja) * 2006-07-25 2008-02-07 I-O Data Device Inc 雄型コネクタ、雌型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構造
US7381068B1 (en) * 2007-07-12 2008-06-03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Receptacle connector
US20090042433A1 (en) * 2007-08-06 2009-02-12 Bushby Donald P Data connector plug with internal cover and locking system
US7597568B1 (en) * 2008-05-29 2009-10-06 Wistron Corp. Electronic device and dust-proof mechanism thereof
CN101630788B (zh) * 2008-07-18 2012-10-1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插头
US7654835B1 (en) * 2008-09-23 2010-02-02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5401972B2 (ja) * 2008-12-18 2014-01-29 ソニー株式会社 プラグ、プラグ受け、および電力供給システム
KR101923472B1 (ko) * 2011-12-06 2018-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켓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
KR101528316B1 (ko) * 2012-08-14 2015-06-1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실장 강도가 향상된 리셉터클 커넥터
DE102013003685B4 (de) * 2013-03-04 2015-04-23 Yamaichi Electronics Deutschland Gmbh Verbinder und Verwendung
WO2015141597A1 (ja) * 2014-03-17 2015-09-24 株式会社リコー コネクタおよび該コネクタを備える電子機器
US9419362B2 (en) * 2014-08-06 2016-08-16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US9425543B2 (en) * 2014-09-26 2016-08-23 Intel Corporation Protective cover for a connector
USD810031S1 (en) 2014-09-26 2018-02-13 Intel Corporation Protective cover for an electronic connector
TWI618320B (zh) 2014-10-27 2018-03-11 新加坡商安姆芬諾爾富加宜(亞洲)私人有限公司 圓形電源連接器
US10355390B2 (en) 2017-04-21 2019-07-16 Lear Corporation Automatic opening of a connector self-closure system
JP6897623B2 (ja) * 2018-04-04 2021-06-3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CN112003511A (zh) * 2019-05-10 2020-11-27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电动工具的控制设备及电动工具系统
WO2021212264A1 (zh) * 2020-04-20 2021-10-28 成都维锐泰达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井下工具串的湿接头及井下工具串
US20230013728A1 (en) * 2021-07-19 2023-01-19 Fci Usa Llc Power connector for compact electronic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67373A (en) * 1962-05-14 1965-01-26 Northrop Corp Multi-pin connector with protective shield
BE638052A (ko) * 1962-10-03
FR2529396A1 (fr) * 1982-06-24 1983-12-30 Souriau & Cie Connecteur electrique etanche utilisable en milieu liquide
US5140659A (en) * 1991-01-28 1992-08-18 Hughes Aircraft Company Combination optical fiber and electrical connector
US5167516A (en) * 1991-08-21 1992-12-01 Foxconn International, Inc. Connection with floating shield
JPH0878096A (ja) * 1994-08-31 1996-03-22 Hosiden Corp 多極コネクタ
JPH1131549A (ja) * 1997-07-09 1999-02-02 Hosiden Corp コネクタ
DE19809801A1 (de) * 1998-03-09 1999-09-16 Kromberg & Schubert Elektrische Kontakt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Fahrzeuge
TW422433U (en) * 1998-10-30 2001-02-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3332900B2 (ja) 2000-01-31 2002-10-07 株式会社アイティティキャノン 多芯コネクタ
JP2001351747A (ja) 2000-04-06 2001-12-21 Itt Cannon Ltd 多芯コネクタ
US6425694B1 (en) 2000-09-18 2002-07-30 Molex Incorporated Fiber optic receptacle with protective shutter
JP3544522B2 (ja) * 2000-11-28 2004-07-2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モジュラジャック及びその取付構造
US20020123256A1 (en) * 2001-03-01 2002-09-05 Brickett Benjamin P. Shuttle plate connector
US7300292B2 (en) * 2001-07-13 2007-11-27 Hosiden Corporation Jack type connector with a shutter, and plug type connector
JP2003036921A (ja) * 2001-07-19 2003-02-07 Smk Corp シャッタ付きコネクタ
JP3988415B2 (ja) * 2001-07-23 2007-10-10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JP3814196B2 (ja) * 2001-12-04 2006-08-23 エフシーアイ アジア テクノロジー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シャッター付きコネク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840Y1 (ko) * 2008-06-30 2011-01-13 쳉 유에이 프리시젼 인더스트리 캄파니 리미티드 전기 커넥터
KR20170040323A (ko) * 2014-08-08 2017-04-12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유지 프레임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516239B2 (en) 2014-08-08 2019-12-24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Holding fram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25603A (zh) 2004-09-01
TW200428710A (en) 2004-12-16
JP4181895B2 (ja) 2008-11-19
US20040229484A1 (en) 2004-11-18
CN100395922C (zh) 2008-06-18
TWI242314B (en) 2005-10-21
KR101017741B1 (ko) 2011-02-28
EP1453145B1 (en) 2006-02-01
US7086880B2 (en) 2006-08-08
DE602004000356T8 (de) 2007-08-02
DE602004000356T2 (de) 2006-11-16
JP2004259554A (ja) 2004-09-16
DE602004000356D1 (de) 2006-04-13
EP1453145A1 (en) 200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7741B1 (ko) 리셉터클
US710855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ing member
US7798853B2 (en) USB connector having noise-suppressing device
EP1313176B1 (en) Electric connector and socket connector
US6676444B2 (en) Connector for a flat cable and method of assembling it
US4392708A (en) Electrical jack
KR100972501B1 (ko) 커넥터
US817257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ust-proof shutter driven by magnetic force
JP2000251963A (ja) 小型コネクタ
JP2000029584A (ja) スマ―トカ―ド用コネクタを備えたパ―ソナルコンピュ―タ用の電子接続装置
US9401568B1 (en) Connec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110300756A1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US6155882A (en) Collapsible socket connector
KR101047790B1 (ko) 전기 접속 플러그
JP2020126728A (ja) 電気コネクタ
JP4652890B2 (ja) リセプタクル
US7614912B2 (en) Card connector with dummy card
KR100311700B1 (ko) 배터리팩
JP3555482B2 (ja) 小型コネクタ
US7744413B2 (en) Metal module housing for mounting on a printed circuit board
JP4660825B2 (ja) 電子装置及び電子装置における基板の収納方法
CN202503148U (zh) 通讯连接器及其电子装置
CN101262094B (zh) 电子卡连接器
CN217788811U (zh) 一种接线件与接线器
CN114080735B (zh) 插座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