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6394A - 금속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금속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6394A
KR20040076394A KR1020030011731A KR20030011731A KR20040076394A KR 20040076394 A KR20040076394 A KR 20040076394A KR 1020030011731 A KR1020030011731 A KR 1020030011731A KR 20030011731 A KR20030011731 A KR 20030011731A KR 20040076394 A KR20040076394 A KR 20040076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tube
metal
connector
pipe
connec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1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1238B1 (ko
Inventor
오양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Priority to KR10-2003-0011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1238B1/ko
Publication of KR20040076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6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2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관의 단부 외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를 구속하여 금속관이 중간연결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장자리에 형성된 체결편을 통해 중간연결구와 연결되는 관연결구로 이루어진 금속관 연결장치를 마련한 후, 금속관과 금속관을 연결시 상기 연결장치에 의해 금속관이 연결부위에서 이탈되는 것과 내부에 흐르는 내용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이 방지되게 하며 시공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금속관 연결장치{Coupling apparatus for metallic pipe}
본 발명은 금속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관의 단부 좌우측에 걸림돌기를 각각 형성하고 이 걸림돌기는 별도의 관연결구를 통하여 걸림 구속되게 함으로써, 금속관과 금속관을 연결시 금속관이 연결부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내부에 흐르는 내용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시공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금속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가스, 상,하수도나 각종 유체 이송용으로 사용되는 금속관은 사용목적에 따라 그 용도가 분리 사용된다. 이러한 금속관의 구조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에 의해 쉽게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벽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고, 표면에도 관과 관을 연결할 때 주변의 자갈이나 흙등 기타 주변여건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금속관을 연결하는 종래 연결장치의 대표적인 사용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 금속관 연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금속관(1)(2)의 양단부를 맞댄후 양단부를 용접(3)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직접 현장에서 용접(3)을 실시하기 때문에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잇점은 있으나 용접시 금속관(1)(2) 내부에 코팅된 코팅층이 벗겨지면서제품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었다.
도2는 종래 금속관의 다른 연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연결구(10)의 좌우측에 금속관(11)과 금속관(11a)의 양단부를 삽입한 다음 테이퍼 형상의 고무링(12)을 연결구(10)의 경사면(13)과 금속관(11)(11a) 외벽에 밀착시키고 체결부재(14)를 이용하여 금속관(11)(11a)을 연결구(10)에 연결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고무링(12)이 테이퍼 형상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에 흐르는 내용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잇점은 있으나, 금속관(11)(11a)을 연결구(10)측에 강제로 고정하는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거나 또는 금속관(11)(11a)측에 내외부의 압력이 가해지면 오히려 테이퍼 형상의 고무링(12)에 의해 쉽게 금속관(11)(11a)이 연결구(10)에서 이탈되어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도3은 종래 금속관의 또 다른 연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링형태의 걸림돌기(20)를 금속관(21)(21a) 단부에 용접하여 일체로 형성한 후, 상기 링형태의 걸림고리(20)를 별도의 연결구(22)로 강제 구속함으로써 금속관(21)(21a)이 연결구(2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링형태의 걸림고리(20)를 통하여 금속관(21)(21a)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잇점은 있으나, 현장에서 연결 작업시 정확한 시공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관의 이탈과 누수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현장에서 금속관(21)(21a)의 절단이나, 관의 길이를 변경할때 전용의 가공기와 고도의 숙력공이 필요하여 공사 기간을 연장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제기 되고 있는 현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금속관의 단부 좌우측에 걸림돌기를 각각 형성하고 이 걸림돌기는 별도의 관연결구를 통하여 걸림 구속되게 함으로써, 관과 관을 연결시 관이 연결부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내부에 흐르는 내용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시공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금속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 금속관 연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종래 금속관의 다른 연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3은 종래 금속관의 또 다른 연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 연결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 연결장치의 결합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 연결장치에 금속관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 연결장치에 금속관이 구속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8a, 도8b, 도8c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간연결구의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00a ; 금속관 200 ; 걸림돌기
300 ; 관연결구 310, 410 ; 체결편
320 ; 안내홈 330 ; 삽입홈
340 ; 구속편 400 ; 중간연결구
500 ; 체결부재 600 ; 고무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금속관의 단부 외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를 구속하여 금속관이 중간연결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장자리에 형성된 체결편을 통해 중간연결구와 연결되는 관연결구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 연결장치의 분리 사시도 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 연결장치의 결합단면도 이며,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 연결장치에 금속관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며, 도7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 연결장치에 금속관이 구속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며, 도8a, 도8b, 도8c는 본발명에 따른 중간연결구의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금속관 연결장치에 사용되는 금속관도 주변 여건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벽과 표면이 코팅되어 코팅층이 형성되며 연결장치를 통해 금속관과 금속관이 연결되는 기본적인 맥락은 종래와 같다.
다만 본 발명은 금속관과 금속관을 연결시 금속관이 연결부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기능을 수행하게 함은 물론 내부에 흐르는 내용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시공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도4 내지 도7에서와 같이 공지의 금속관(100)(100a)과, 이 금속관(100)(100a)을 연결하는 걸림돌기(200), 관연결구(300), 고무링(600) 및 중간연결구(400)가 기본적으로 동원된다.
걸림돌기(200)는 금속관(100)(100a)의 단부 외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걸림돌기(200)는 도면에서와 같이 금속관(100)(100a)의 좌우측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기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금속관에 용접 부착 사용될 수 있다면 상황에 따라 더 많이 형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관연결구(300)는 걸림돌기(200)를 구속하여 금속관(100)(100a)이 중간연결구(4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장자리에 형성된 체결편(310)을 통해 상기한 중간연결400구와 연결 사용된다.
이러한 관연결구(300)는 일측면에 걸림돌기(200)가 삽입되는 삽입홈(330)이 형성되고, 이 삽입홈(330)을 통하여 걸림돌기(200)가 안내홈(320)에 진입하면 관연결구(300)와 같이 회전하여 걸림돌기(200)를 구속하는 구속편(340)이 일체로 형성된다.
고무링(600)은 상기 관연결구(300)가 체결부재(500)에 의해 중간연결구(400)측에 체결 고정되면 중간연결구(400)의 경사면(420)과 금속관(100)(100a)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연결부위를 외부와 밀폐시키는 역활을 수행한다.
중간연결구(400)는 좌우측에 고무링(600)이 밀착되는 경사면(420)이 형성되고 일단과 타단에는 관연결구(300)의 체결편(310)과 대응한 위치에 체결편(410)이 각각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한편, 상기한 중간연결구(400)는 도4 내지 도7에서와 같이 직선을 연결할때 사용할 수 있도록 직관 형상으로만 형성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8A,도8B, 도8C에서와 같이 "엘보우" "T" 및 "레듀샤(Redacer)" 형상으로 각각 형성한 후, 작업 상황에 따라 중간연결구(400)를 선택하여 관연결구(300),고무링(600)과 같이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걸림돌기(200)가 형성된 금속관(100)(100a)측에 관연결구(300)와 고무링(600)을 차례로 삽입한 후, 상기의 금속관(100)(100a)을 중간연결구(400)의 좌우측에 각각 위치시킨다.(이때의 관연결구(300)와 고무링(600)은 금속관(100)(100a)측에 정확하게 결합되지 않은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관연결구(300)의 삽입홈(330)을 이용하여 걸림돌기(200)를 안내홈(320)상으로 진입시킨 후, 관연결구(300)를 회전시키면 걸림돌기(200)는 구속편(340)에 걸림 구속된 상태가 된다.
이때 회전하는 과정에서 관연결구(300)의 체결편(310)과 중간연결구(400)의 체결편(410)이 서로 마주하게 되면 체결부재(500)를 이용하여 관연결구(300)를 중간연결구(400)에 체결 고정시킨다. 그러면 금속관(100)과 금속관(100a)은 관연결구(300)에 의해 걸림 구속된 상태에서 중간연결부(400)에 연결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관의 단부 좌우측에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숙련공을 통하여 걸림돌기를 금속관에 용접하지 않아도 쉽게 부착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이 걸림돌기는 관연결구를 통하여 걸림 구속되므로 금속관과 금속관을 연결시 금속관이 연결부위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금속관은 테이퍼 형상의 고무링에 의해 누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나아가서는 걸림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짐으로 전체적인 시공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Claims (5)

  1. 금속관과 금속관을 긴밀하게 연결하는 금속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속관 연결장치는 금속관(100)(100a)의 단부 외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200)와, 상기 걸림돌기(200)를 구속하여 금속관(100)(100a)이 중간연결구(4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장자리에 형성된 체결편(310)을 통해 중간연결구와 연결되는 관연결구(3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연결구(300)는 일측면에 걸림돌기(200)가 삽입되는 삽입홈(330)이 형성되고, 이 삽입홈(330)을 통하여 걸림돌기(200)가 안내홈(320)에 진입하면 관연결구(300)와 같이 회전하여 걸림돌기(200)를 구속하는 구속편(34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연결구(400)는 엘보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 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연결구(400)는 "T" 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 연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연결구(400)는 레듀샤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과 연결장치.
KR10-2003-0011731A 2003-02-25 2003-02-25 금속관 연결장치 KR100521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731A KR100521238B1 (ko) 2003-02-25 2003-02-25 금속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731A KR100521238B1 (ko) 2003-02-25 2003-02-25 금속관 연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549U Division KR200313234Y1 (ko) 2003-02-25 2003-02-25 금속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394A true KR20040076394A (ko) 2004-09-01
KR100521238B1 KR100521238B1 (ko) 2005-10-17

Family

ID=37362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731A KR100521238B1 (ko) 2003-02-25 2003-02-25 금속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12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420B1 (ko) * 2011-04-04 2012-01-06 권해국 오물 수거가 용이한 교량 배수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890A (ko) 2017-08-16 2019-02-26 윤영주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101866793B1 (ko) 2017-10-12 2018-06-12 신우종합철강(주)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102281230B1 (ko) 2020-11-16 2021-07-23 주식회사 광성이엔지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
KR102286217B1 (ko) 2020-11-19 2021-08-06 박재연 체결 고정위치를 갖는 이지락 조인트용 강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420B1 (ko) * 2011-04-04 2012-01-06 권해국 오물 수거가 용이한 교량 배수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1238B1 (ko) 2005-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07506A (en) Pipe joint seal
JP2005536690A (ja) 規格化された取付けに基づく機械的管継手
KR950003302B1 (ko) 관로의 누수방지방법 및 누수방지용 피복체
EA017032B1 (ru) Трубный фитинг
US20080048435A1 (en) Pipe coupling and clamp and method of application
KR100521238B1 (ko) 금속관 연결장치
US8910979B1 (en) Pipe repair coupling
KR200313234Y1 (ko) 금속관 연결장치
JPH08338577A (ja) リング付き管の締結用管継手
KR20190024024A (ko) 풀림 및 누설이 방지되는 플랜지
KR100740166B1 (ko) 바이패스관의 구조
FI75414C (fi) Roerkoppling.
KR20130008167A (ko) 파형관 연결구조
KR20080005671U (ko) 플랜지 누수 및 누유 방지용 가스켓
US20190145556A1 (en) Packing member for sealing a pipe
JP6093194B2 (ja) 管継手構造
WO2002040910A1 (en) Sewer pipe coupling
JP2507151Y2 (ja) コルゲ―トパイプの連結具
JP2007024173A (ja) 管部材の接合装置
JP2006183839A (ja) 継手保持部材
KR200425952Y1 (ko) 지하매설용 파이프의 수밀패킹
JP2004340286A (ja) 薄肉ステンレス鋼管と継手の接続機構
KR200151475Y1 (ko) 호스 이음구조
JP2002250492A (ja) 管路連結構造
KR200257366Y1 (ko) 플랜지와 슬리브형 연결이 가능한 파이프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