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8890A -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8890A
KR20190018890A KR1020170103579A KR20170103579A KR20190018890A KR 20190018890 A KR20190018890 A KR 20190018890A KR 1020170103579 A KR1020170103579 A KR 1020170103579A KR 20170103579 A KR20170103579 A KR 20170103579A KR 20190018890 A KR20190018890 A KR 20190018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ide tube
preventing
housing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주
Original Assignee
윤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주 filed Critical 윤영주
Priority to KR1020170103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8890A/ko
Publication of KR20190018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8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7/00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1D17/02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pressing
    • B21D17/025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pressing by pressing tubes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8/00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 F16L58/02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by means of internal or external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관과 타측관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외면에 오목부와 내면에 볼록부로 형성된 이탈방지용 걸림홈이 구비된 일측관; 2개 이상의 분할 플랜지로 구성되어 조립되고, 상기 분할 플랜지 각각의 내면은 이탈방지용 걸림홈에 형상맞춤되도록 형성된 이탈방지용 돌출단이 구비되며, 중심점에서 방사상으로 결합홀이 형성된 이탈방지 하우징; 타측관; 상기 타측관의 일측 외면에 결합되는 결합단과, 상기 결합단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는 확관부와, 상기 확관부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며 중심점에서 방사상으로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플랜지를 갖는 플랜지부; 일측관과 타측관의 연결시, 상기 이탈방지 하우징의 타측면과 상기 플랜지부의 확관부 내면 사이에 위치되는 씰링부재; 및 일측관과 타측관 연결시, 상기 결합홀과 상기 결합홀에 대향되는 위치의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일측관과 상기 타측관을 체결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pipe using secession preventing housing with rounded groove}
본 발명은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가스, 상, 하수도나 각종 유체 이송용으로 사용되는 금속관은 사용목적에 따라 그 용도가 분리 사용된다.
이러한 금속관의 구조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에 의해 쉽게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벽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고, 표면에도 관과 관을 연결할 때 주변의 자갈이나 흙 등 기타 주변여건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금속관을 연결하는 종래 연결장치의 대표적인 사용예는 금속관의 양단부를 맞댄 후 양단부를 용접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직접 현장에서 용접을 실시하기 때문에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용접시 금속관 내부에 코팅된 코팅층이 벗겨지면서 제품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연결장치로서, 연결구의 좌우측에 금속관과 금속관의 양단부를 삽입한 다음 테이퍼 형상의 고무링을 연결구의 경사와 한 쌍의 금속관 외벽에 밀착시키고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금속관을 연결구에 연결 사용하도록 구성된 것이 공개되어 있다.
이는 고무링이 테이퍼 형상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에 흐르는 내용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한 쌍의 금속관을 연결구측에 강제로 고정하는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거나 또는 금속관 측에 내외부의 압력이 가해지면 오히려 테이퍼 형상의 고무링에 의해 쉽게 금속관이 연결구에서 이탈되어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통상 사용되고 있는 파이프의 연결방법은 그립형 장치를 이용한 방법, 홈 조인트 장치를 이용한 방법, 플랜지를 결합하여 연결하는 방법, 파이프와 파이프의 접합부분을 용접하여 직접 연결하는 방법, 파이프의 외주면에 용접 결합된 링에 조인트를 끼워 연결하는 방법 및 한쪽 파이프의 확관된 부위에 타측 파이프를 끼워넣는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등록특허 제999943호의 발명자에 해당한다. 도 1은 종래 등록특허 제999943호의 조립성 및 밀봉성이 향상된 무용접 파이프 연결 조인트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는 종래 조립성 및 밀봉성이 향상된 무용접 파이프 연결 조인트의 구성중 탄성 가스킷과 고정링의 결합 상태에서의 정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파이프의 플랜지부에 결합되는 무용접 파이프 연결 조인트(1)는, 합성수지 재질로 링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2)의 플랜지부(1110)의 폭과 동일하거나 더 넓게 형성되며, 외측면 중앙부에 쐐기형태의 압입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탄성 가스캣(130)과; 상기 탄성 가스켓(130)이 내측면에 압입 고정되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내측면에 상기 탄성 가스켓(130)의 압입 돌기와 대응되는 압입 홈이 형성되며, 외측면에 이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복수의 가이드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고정링(132)과; 금속 재질로 상기 파이프(2)의 플랜지부(110) 외측에 결합되도록 상호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양단에 제 1체결턱이 각각 형성되고, 그 중심점에서 방사상으로 제 1볼트홀이 형성되며, 일측면 내측면에 상기 파이프의 플랜지부가 삽입되는 제 1플랜지 홈 및 상기 고정링의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제 1가이드 홈이 각각 형성되는 제 1플랜지(3)와; 금속 재질로 상기 파이프의 플랜지부 외측에 결합되도록 상호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양단에 제 2체결턱이 각각 형성되고, 그 중심점에서 방사상으로 제 2볼트홀이 형성되며, 일측면 내측면에 상기 파이프의 플랜지부가 삽입되는 제 2플랜지 홈 및 상기 고정링의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제 2가이드 홈이 각각 형성되는 제 2플랜지(4)와; 상기 제 1, 2플랜지(3,4)의 제 1, 2볼트홀을 관통하는 볼트(151); 및 상기 볼트(151)와 체결되는 너트(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한 쌍의 플랜지를 이용한 체결방식은 제1플랜지(3)와 제2플랜지(4)가 면접촉되어 지며, 제1플랜지(3)와 제2플랜지(4) 사이에 파이프의 플랜지부가 위치되게 되므로 간극이 벌어질 수 있어 수밀, 긴밀을 유지하기 힘든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는 한국 등록특허 제1085122호로서 링 조인트 배관 연결구조를 발명하였었다. 도 3은 종래 플레어 가공을 이용하여 체결이 용이한 무용접식 배관 조인트(1)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4는 종래 플레어 가공을 이용하여 체결이 용이한 무용접식 배관 조인트(1)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어 가공을 이용한 무용접식 배관 조인트는, 특히 상호 연결되는 각각의 끝단부가 플레어 가공되어 90°의 각도를 이루도록 확관되어 플랜지부(110)를 구비하는 파이프(2)와;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의플랜지부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가스켓(130); 및 상기 파이프(2)의 플랜지부(110)가 내측면에 삽입되어 연결 및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한쌍이 상호 분할 형성되고, 내측면에 상기 플랜지부(110)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링조인트(5)를 포함하여 구성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링 조인트를 이용한 연결구조는 링 조인트를 파이프 외주면 상에 결합해야 하는데, 이때 플랜지부(110)와 가스켓(130)이 링 조인트의 내부에 정합시키기 위해서는 링 조인트 내면의 삽입홈을 형성시켜야 하고, 삽입홈을 형성하도라도 링 조인트에 맞춰지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된다. 링 조인트가 정합되지 않게 되면, 수밀을 유지할 수 없어 내부 압력과, 외부의 충격 및 지진 등에도 안전하게 유체를 이송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종래 금속관의 또 다른 연결장치로서, 링 형태의 걸림돌기를 금속관 단부에 용접하여 일체로 형성한 후, 상기 링형태의 걸림고리를 별도의 연결구로 강제 구속함으로써 금속관이 연결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 공개되어 있다.
이는 링형태의 걸림고리를 통하여 금속관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현장에서 연결 작업시 정확한 시공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관의 이탈과 누수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현장에서 금속관의 절단이나, 관의 길이를 변경할 때 전용의 가공기와 고도의 숙력공이 필요하여 공사 기간을 연장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제기되고 있는 현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0521238호 한국 등록특허 제0987355호 한국 등록특허 제136618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면에 특정곡률을 갖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내면에는 특정곡률을 갖는 볼록부가 형성된 걸림홈을 갖는 일측관에 이탈방지용 돌출단을 갖는 분할된 이탈방지 하우징을 형상맞춤시키게 됨으로써, 응력이 집중되지 않고 균일한 응력에 의한 가압으로 연결부 측의 파손, 크랙을 방지할 수 있고, 걸림홈 전면에 도장, 코팅이 가능한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탈방지하우징과 플랜지부의 확관부 사이에 구비되는 씰링부재의 외면에 누수저장공간을 형성하여, 연결부에서 누수된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누수저장공간에 저장되게 함으로써 2차적으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관과 타측관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외면에 오목부, 내면에 볼록부로 형성된 이탈방지용 걸림홈이 구비된 일측관; 2개 이상의 분할 플랜지로 구성되어 조립되고, 상기 분할 플랜지 각각의 내면은 상기 이탈방지용 걸림홈에 형상맞춤되도록 형성된 이탈방지용 돌출단이 구비되며, 중심점에서 방사상으로 결합홀이 형성된 이탈방지 하우징; 타측관; 상기 타측관의 일측 외면에 결합되는 결합단과, 상기 결합단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는 확관부와, 상기 확관부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며 중심점에서 방사상으로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플랜지를 갖는 플랜지부; 일측관과 타측관의 연결시, 상기 이탈방지 하우징의 타측면과 상기 플랜지부의 확관부 내면 사이에 위치되는 씰링부재; 및 일측관과 타측관 연결시, 상기 결합홀과 상기 결합홀에 대향되는 위치의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일측관과 상기 타측관을 체결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용 걸림홈에서의 일측관 두께는 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홈의 오목부를 포함하여 상기 일측관 외면은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의 깊이는 상기 코팅층의 두께보다 2배 이상 크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씰링부재의 외면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구성되어 누수된 유체가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누수저장공간을 갖고, 상기 확관부 내면에는 요철형상으로 구성된 누수방지미세돌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카테고리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관과 타측관을 연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외면에 오목부, 내면에 볼록부로 형성된 이탈방지용 걸림홈을 일측관에 형성하고, 확관부와 상기 확관부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며 중심점에서 방사상으로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플랜지를 갖는 플랜지부의 결합단을 타측관에 결합시키는 단계; 2개 이상으로 분할되며 이탈방지용 돌출단이 구비된 분할 플랜지 각각을 상기 걸림홈에 형상맞춤되도록 장착하고, 서로 조립하여 이탈방지 하우징을 상기 일측관에 조립시키는 단계; 상기 이탈방지 하우징의 타측면과 상기 타측관의 확관부 내면 사이에 씰링부재를 위치시키고, 상기 일측관과 상기 타측관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이탈방지 하우징의 중심점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된 결합홀과 상기 결합홀에 대향되는 위치의 체결홀에 볼트를 삽입하고, 너트를 나사결합하여, 상기 일측관과 상기 타측관을 체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면에 특정곡률을 갖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내면에는 특정곡률을 갖는 볼록부가 형성된 걸림홈을 갖는 일측관에 이탈방지용 돌출단을 갖는 분할된 이탈방지 하우징을 형상맞춤시키게 됨으로써, 응력이 집중되지 않고 균일한 응력에 의한 가압으로 연결부 측의 파손, 크랙을 방지할 수 있고, 걸림홈 전면에 도장, 코팅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탈방지하우징과 플랜지부의 확관부 사이에 구비되는 씰링부재의 외면에 누수저장공간을 형성하여, 연결부에서 누수된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누수저장공간에 저장되게 함으로써 2차적으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 조립성 및 밀봉성이 향상된 무용접 파이프 연결 조인트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조립성 및 밀봉성이 향상된 무용접 파이프 연결 조인트의 구성중 탄성 가스킷과 고정링의 결합 상태에서의 정단면도,
도 3은 종래 플레어 가공을 이용하여 체결이 용이한 무용접식 배관 조인트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종래 플레어 가공을 이용하여 체결이 용이한 무용접식 배관 조인트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의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부의 측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이 일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부의 정면도,
도 8a는 종래 이탈방지용 링을 갖는 일측관의 사시도,
도 8b는 종래 걸림단을 갖는 일측관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곡 걸림홈이 형성된 일측관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걸림홈 제작장치에 장착된 일측관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코팅장치 지그에 장착된 관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수저장공간을 갖는 씰링부재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수저장공간을 갖는 씰링부재가 게재된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1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1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부(110)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7b는 본 발명이 일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부(110)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장치(100)는 일측관(10)과 타측관(30)을 비용접 방식으로 연결, 체결하기 위한 조인트 구조에 해당한다.
일측관(10)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되 바와 같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탈방지용 걸림홈(11)이 형성되어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림홈(11)은 외면에 오목하게 특정곡률을 갖고 형성되는 오목부와, 내면에 특정곡률을 갖고 돌출 형성된 볼록부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측관(10)은 걸림홈(11)을 형성하면서도 걸림홈(11)이 형성된 부분을 포함한 전체에서 그 두께는 균일하게 구성되게 된다.
도 8a는 종래 이탈방지용 링(9)을 갖는 일측관(1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8b는 종래 걸림단(12)을 갖는 일측관(1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만곡 걸림홈이 형성된 일측관(1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걸림턱을 갖는 일측관(10)은 별도의 이탈방지용 링(9)을 제조하여 이러한 이탈방지용 링(9)을 일측관(10) 외면에 용접하여 결합시키는 방식을 채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을 적용하게 되면 이탈방지용 링(9)과 일측관(10)의 용접 결합력에 의존하여 관을 연결할 수 밖에 없고 이탈방지용 링(9)이 파손되는 경우 관의 이탈과 누수가 발생되게 된다.
또한, 도 8b와 같이, 종래 일측관(10)에 걸림단(12)을 형성하는 경우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로 제조하게 됨으로써, 제조과정에서 취약부가 발생되게 되고, 걸림단(12) 부위에 관 두께가 얇아져 파손, 크랙이 발생될 가능성이 커지게 되는 문제가 존재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걸림단(12)의 형태를 적용하게 되는 경우 도장, 걸림단(12) 부위에는 도장, 코팅이 불가능한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림홈(1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에 오목하게 특정곡률을 갖고 형성되는 오목부와, 내면에 특정곡률을 갖고 돌출 형성된 볼록부로 구성되게 됨으로써, 걸림홈(11) 부분에서도 균일한 관 두께가 확보되며 조인트 부재와 특정곡률을 갖는 접합면을 갖게 되어 응력이 집중되지 않고 균일한 응력분포가 실현되어 파손, 파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걸림홈 제작장치에 장착된 일측관(1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림홈(11)은, 오목한 홈을 갖는 금형(7)에 일측관(10)을 삽입한 후에, 볼록부를 갖는 가압수단(8)으로 가압하고, 회전수단에 의해 일측관(10)을 회전시켜 제조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걸림홈(11)의 오목부를 포함하여 일측관(10) 외면은 코팅층을 형성하게 되며, 걸림홈(11)의 깊이는 코팅층의 두께보다 2배 이상 크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코팅장치 지그(6)에 장착된 관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걸림홈(11)은 종래와 달리 걸림홈(11)을 포함한 전체 관 외면에 도장, 코팅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 하우징(2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분할 플랜지(21)로 구성되어 조립되고, 분할 플랜지(21) 각각의 내면은 이탈방지용 걸림홈(11)에 형상맞춤되도록 형성된 이탈방지용 돌출단(22)이 구비되며, 중심점에서 방사상으로 결합홀(23)이 형성되어 짐을 알 수 있다.
또한, 타측관(30)의 일측 끝단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110)가 결합되게 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110)는, 타측관(30)의 일측 외면에 결합되는 결합단(111)과, 이러한 결합단(111)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는 확관부(112)와, 확관부(112)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며 중심점에서 방사상으로 다수의 체결홀(115)이 형성되는 플랜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씰링부재(40)는 일측관(10)과 타측관(30)의 연결시, 이탈방지 하우징(20)의 타측면과 플랜지부(110)의 확관부(112) 내면 사이에 위치되게 된다. 또한, 일측관(10)과 타측관(30) 연결시, 이탈방지 하우징(20)의 결합홀(23)과 이러한 결합홀(23)에 대향되는 위치에 존재하는 플랜지(114)의 체결홀(115)에 볼트(151)를 삽입되고 너트(152)로 조여 일측관(10)과 상기 타측관(30)을 체결시키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수저장공간(41)을 갖는 씰링부재(4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수저장공간(41)을 갖는 씰링부재(40)가 게재된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씰링부재(40)의 외면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구성되어 누수된 유체가 저장되는 다수의 누수저장공간(41)이 구비되며, 확관부(112) 내면에는 요철형상으로 구성된 누수방지미세돌기부(113)가 형성되어짐을 알 수 있다. 이탈방지하우징(20)과 플랜지부(110)의 확관부(112) 사이에 구비되는 씰링부재(40)의 외면에 누수저장공간(41)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연결부에서 누수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누수저장공간(41)에 저장시켜 2차적으로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확관부(112) 내면에 요철형상의 누수방지미세돌기부(113)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씰링부재(40)와 확관부(112) 간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종래 연결조인트
2:파이프
3:제1플랜지
4:제2플랜지
5:링 조인트
6:지그
7:금형
8:가압수단
9:이탈방지용 링
10:일측관
11:걸림홈
12:종래 걸림단
20:이탈방지하우징
21:분할플랜지
22:이탈방지용 돌출단
23:결합홀
30:타측관
40:씰링부재
41:누수저장공간
100: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
110:플랜지부
111:결합단
112:확관부
113:누수방지미세돌기부
114:플랜지
115:체결홀
151:볼트
152:너트

Claims (5)

  1. 일측관과 타측관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외면에 오목부, 내면에 볼록부로 형성된 이탈방지용 걸림홈이 구비된 일측관;
    2개 이상의 분할 플랜지로 구성되어 조립되고, 상기 분할 플랜지 각각의 내면은 상기 이탈방지용 걸림홈에 형상맞춤되도록 형성된 이탈방지용 돌출단이 구비되며, 중심점에서 방사상으로 결합홀이 형성된 이탈방지 하우징;
    타측관;
    상기 타측관의 일측 외면에 결합되는 결합단과, 상기 결합단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는 확관부와, 상기 확관부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며 중심점에서 방사상으로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플랜지를 갖는 플랜지부;
    일측관과 타측관의 연결시, 상기 이탈방지 하우징의 타측면과 상기 플랜지부의 확관부 내면 사이에 위치되는 씰링부재; 및
    일측관과 타측관 연결시, 상기 결합홀과 상기 결합홀에 대향되는 위치의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일측관과 상기 타측관을 체결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용 걸림홈에서의 일측관 두께는 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의 오목부를 포함하여 상기 일측관 외면은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의 깊이는 상기 코팅층의 두께보다 2배 이상 크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의 외면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구성되어 누수된 유체가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누수저장공간을 갖고, 상기 확관부 내면에는 요철형상으로 구성된 누수방지미세돌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
  5. 일측관과 타측관을 연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외면에 오목부, 내면에 볼록부로 형성된 이탈방지용 걸림홈을 일측관에 형성하고, 확관부와 상기 확관부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며 중심점에서 방사상으로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되는 플랜지를 갖는 플랜지부의 결합단을 타측관에 결합시키는 단계;
    2개 이상으로 분할되며 이탈방지용 돌출단이 구비된 분할 플랜지 각각을 상기 걸림홈에 형상맞춤되도록 장착하고, 서로 조립하여 이탈방지 하우징을 상기 일측관에 조립시키는 단계;
    상기 이탈방지 하우징의 타측면과 상기 타측관의 확관부 내면 사이에 씰링부재를 위치시키고, 상기 일측관과 상기 타측관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이탈방지 하우징의 중심점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된 결합홀과 상기 결합홀에 대향되는 위치의 체결홀에 볼트를 삽입하고, 너트를 나사결합하여, 상기 일측관과 상기 타측관을 체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방법.
KR1020170103579A 2017-08-16 2017-08-16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201900188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579A KR20190018890A (ko) 2017-08-16 2017-08-16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579A KR20190018890A (ko) 2017-08-16 2017-08-16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890A true KR20190018890A (ko) 2019-02-26

Family

ID=65562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579A KR20190018890A (ko) 2017-08-16 2017-08-16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8890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238B1 (ko) 2003-02-25 2005-10-17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금속관 연결장치
KR100987355B1 (ko) 2010-04-23 2010-10-12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비용접식의 관연결 장치
KR101366184B1 (ko) 2013-05-09 2014-02-24 신이피엔씨 주식회사 별도의 고정링을 갖는 플랜지형 비용접 이음관 및 플레어가 형성된 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238B1 (ko) 2003-02-25 2005-10-17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금속관 연결장치
KR100987355B1 (ko) 2010-04-23 2010-10-12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비용접식의 관연결 장치
KR101366184B1 (ko) 2013-05-09 2014-02-24 신이피엔씨 주식회사 별도의 고정링을 갖는 플랜지형 비용접 이음관 및 플레어가 형성된 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783B1 (ko) 탈부착형 플랜지를 이용한 무용접식 파이프 이음매 구조
KR100999943B1 (ko) 조립성 및 밀봉성이 향상된 무용접 파이프 연결 조인트
JP2020024045A (ja) 管継手
JP6526144B2 (ja) グルーブ式管継手アダプター
KR101866793B1 (ko)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JPH06193786A (ja) 管継手装置
KR20180131215A (ko) 그루브드 커플러
JP3032200B1 (ja) 管体の継手構造
WO2015111303A1 (ja) 離脱防止管継手および管路構成部材
EP1834123B1 (en) Flange
JP2010151305A (ja) 管の接続装置
JP3522240B2 (ja) スペーサレス型管継手とこれに用いるパッキン輪
JP7045684B2 (ja) 管継手
KR20190024024A (ko) 풀림 및 누설이 방지되는 플랜지
KR20160086657A (ko) 관연결장치
KR20190018890A (ko) 만곡된 걸림홈을 갖는 이탈방지 하우징을 이용한 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JP4981783B2 (ja) 管継手構造用の流体管
JP2019120379A (ja) 漏洩補修構造及び漏洩補修具
JP3380526B2 (ja) 導管接続装置
KR101960492B1 (ko) 무용접 파이프 이음구
CN113757482A (zh) 柔性密封件、油气管道维修装置及柔性套袖机具
JP2007255684A (ja) 管継手
KR200480413Y1 (ko) 배관의 이음구조
JP3046951U (ja) 管の漏れ止め具
KR20190091172A (ko) 파이프 배관용 2단 플랜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