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230B1 -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230B1
KR102281230B1 KR1020200152976A KR20200152976A KR102281230B1 KR 102281230 B1 KR102281230 B1 KR 102281230B1 KR 1020200152976 A KR1020200152976 A KR 1020200152976A KR 20200152976 A KR20200152976 A KR 20200152976A KR 102281230 B1 KR102281230 B1 KR 102281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astening
flange
ring
circumferent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성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성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성이엔지
Priority to KR1020200152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2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tensioning members, e.g. specially adapted bolts or C-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타측끝단면에서 일측으로 특정거리를 갖도록 외면에 돌출형성된 걸림턱용 링을 갖는 제1파이프; 일측 끝단면 측에 원주방향으로 특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체결공을 갖는 고정플랜지가 구비된 제2파이프; 관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 외측에 원주방향으로 특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체결홀과, 상기 본체 하단에 형성되어 체결시 상기 걸림턱용 링에 의해 타측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하는 걸림턱과, 상기 본체에 원주방향으로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도록 타측면이 개방면으로 형성된 복수의 스프링장착홈을 갖는 플랜지; 연결시 상기 개방면을 폐쇄시키는 수구링; 연결시 압축된 상태로 상기 스프링장착홈 각각에 내장되는 스프링; 및 연결시, 상기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에 대향되는 위치의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파이프와 상기 제2파이프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Pipe joint structure having Bolt loosing preventing and watertight fuction}
본 발명은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가스, 상, 하수도나 각종 유체 이송용으로 사용되는 금속관은 사용목적에 따라 그 용도가 분리 사용된다.
이러한 금속관의 구조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에 의해 쉽게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벽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고, 표면에도 관과 관을 연결할 때 주변의 자갈이나 흙 등 기타 주변여건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금속관을 연결하는 종래 연결장치의 대표적인 사용예는 금속관의 양단부를 맞댄 후 양단부를 용접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직접 현장에서 용접을 실시하기 때문에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용접시 금속관 내부에 코팅된 코팅층이 벗겨지면서 제품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연결장치로서, 연결구의 좌우측에 금속관과 금속관의 양단부를 삽입한 다음 테이퍼 형상의 고무링을 연결구의 경사와 한 쌍의 금속관 외벽에 밀착시키고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금속관을 연결구에 연결 사용하도록 구성된 것이 공개되어 있다.
이는 고무링이 테이퍼 형상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에 흐르는 내용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한 쌍의 금속관을 연결구측에 강제로 고정하는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거나 또는 금속관 측에 내외부의 압력이 가해지면 오히려 테이퍼 형상의 고무링에 의해 쉽게 금속관이 연결구에서 이탈되어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통상 사용되고 있는 파이프의 연결방법은 그립형 장치를 이용한 방법, 홈 조인트 장치를 이용한 방법, 플랜지를 결합하여 연결하는 방법, 파이프와 파이프의 접합부분을 용접하여 직접 연결하는 방법, 파이프의 외주면에 용접 결합된 링에 조인트를 끼워 연결하는 방법 및 한쪽 파이프의 확관된 부위에 타측 파이프를 끼워넣는 방법 등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0521238호 한국 등록특허 제0987355호 한국 등록특허 제136618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 외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해 플랜지를 고정하는 관 연결방식에서, 플랜지와 고무링 사이에 수구링을 추가하고 플랜지와 수구링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하거나, 플랜지에 스프링 장착홈을 형성하여 이러한 장착홈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볼트풀림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볼트가 풀렸을 때도 스프링 장력에 의해 수밀을 유지할 수 있는 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타측끝단면에서 일측으로 특정거리를 갖도록 외면에 돌출형성된 걸림턱용 링을 갖는 제1파이프; 일측 끝단면 측에 원주방향으로 특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체결공을 갖는 고정플랜지가 구비된 제2파이프; 관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 외측에 원주방향으로 특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체결홀과, 상기 본체 하단에 형성되어 체결시 상기 걸림턱용 링에 의해 타측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하는 걸림턱과, 상기 본체에 원주방향으로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도록 타측면이 개방면으로 형성된 복수의 스프링장착홈을 갖는 플랜지; 연결시 상기 개방면을 폐쇄시키는 수구링; 연결시 압축된 상태로 상기 스프링장착홈 각각에 내장되는 스프링; 및 연결시, 상기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에 대향되는 위치의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파이프와 상기 제2파이프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시, 상기 수구링과 상기 고정플랜지 사이에 위치되는 가스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구링은 상기 제1파이프 외면에 접촉되는 관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결시, 상기 스프링장착홈을 폐쇄하는 외측돌출단을 가지며, 상기 고정플랜지는 상기 제2파이프 외면에 고정된 결합부와, 상기 체결공이 형성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결합부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부를 가지며, 상기 가스켓의 일측면은 상기 경사부와 형상맞춤되는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타측끝단면에서 일측으로 특정거리를 갖도록 외면에 돌출형성된 걸림턱용 링을 갖는 제1파이프; 일측 끝단면 측에 원주방향으로 특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체결공을 갖는 고정플랜지가 구비된 제2파이프; 관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에 원주방향으로 특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체결홀과, 상기 본체의 체결홀과 연결되며 상기 체결홀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되고 일측면이 개방면으로 형성된 복수의 스프링장착홈과, 연결시 상기 걸림턱용 링에 의해 일측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하는 걸림턱을 갖는 플랜지; 연결시, 상기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에 대향되는 위치의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파이프와 상기 제2파이프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 및 연결시,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 외측으로 상기 스프링장착홈 각각에 압축된 상태로 내장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시, 상기 플랜지와 상기 고정플랜지 사이에 위치되는 가스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플랜지는 상기 제2파이프 외면에 고정된 결합부와, 상기 체결공이 형성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결합부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부를 가지며, 상기 가스켓의 타측면은 상기 경사부와 형상맞춤되는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에 따르면, 파이프 외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해 플랜지를 고정하는 관 연결방식에서, 플랜지와 고무링 사이에 수구링을 추가하고 플랜지와 수구링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하거나, 플랜지에 스프링 장착홈을 형성하여 이러한 장착홈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볼트풀림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볼트가 풀렸을 때도 스프링 장력에 의해 수밀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의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의 단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랜지(2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 외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22)에 의해 플랜지(20)를 고정하는 관 연결방식을 채용하면서, 플랜지(20)와 가스켓(50) 사이에 수구링(40)을 추가하고 플랜지(20)와 수구링(40) 사이에 스프링(30)을 설치하여 볼트풀림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볼트가 풀렸을 때도 스프링(30) 장력에 의해 수밀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파이프(10)에는 걸림턱용 링(11)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즉, 제1파이프(10)의 타측끝단면에서 일측으로 특정거리를 갖도록 외면에 돌출형성된 걸림턱용 링(11)이 형성되어 진다. 이러한 걸림턱용 링(11)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반면, 제2파이프(60)에는 일측 끝단면 측에 원주방향으로 특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체결공(73)을 갖는 고정플랜지(70)가 구비된다. 고정플랜지(70)는 제2파이프(60) 외면에 고정된 관형태의 결합부(71)와, 이러한 결합부(71) 외측으로 연결되며 체결공(73)이 형성되는 플랜지부(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합부(71)와 플랜지부(72) 사이에는 경사부(74)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랜지(2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태의 본체(21)와, 상기 본체(21) 내면 일측에 구비되어 체결시 걸림턱용 링(11)에 의해 타측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하는 걸림턱(22)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플랜지(20)는 본체(21) 외측에 원주방향으로 특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체결단(23)이 구비되며, 이러한 체결단(23) 각각에 체결홀(24)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랜지(20)의 본체(21)에 원주방향으로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도록 타측면이 개방면으로 형성된 복수의 스프링장착홈(25)이 형성되어 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스프링장착홈(25) 각각에 스프링(30)이 내장되게 된다.
그리고 수구링(40)은 연결시 스프링장착홈(25)의 개방면을 폐쇄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스프링(30)은 연결시 압축된 상태로 상기 스프링장착홈(25) 각각에 내장되게 된다.
체결부재(80)는 연결시, 체결공(73)과 이러한 체결공(73)에 대향되는 위치의 체결홀(24)에 삽입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 일측 나사산에 결합되어 제1파이프(10)와 상기 제2파이프(60)를 체결시키는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100)는, 도 2, 도 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시, 수구링(40)과 고정플랜지(70) 사이에 위치되는 가스켓(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구링(40)은 제1파이프(10) 외면에 접촉되는 관형태의 몸체(41)와, 이러한 몸체(41)의 원주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결시, 스프링장착홈(25)을 폐쇄하는 외측돌출단(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정플랜지(70)는 제2파이프(60) 외면에 고정된 결합부(71)와, 체결공(73)이 형성되는 플랜지부(72)와, 결합부(71)와 플랜지부(72)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부(74)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가스켓(50)의 일측면은 고정플랜지(70)의 경사부(74)와 형상맞춤되는 경사면(51)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1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1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100)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파이프 외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22)에 의해 플랜지(20)를 고정하는 관 연결방식을 채용하면서, 플랜지(20)에 스프링 장착홈(25)을 형성하여 이러한 장착홈(25)에 스프링(30)을 설치하여 볼트풀림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볼트가 풀렸을 때도 스프링(30) 장력에 의해 수밀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파이프(10)에는 걸림턱용 링(11)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즉, 제1파이프(10)의 타측끝단면에서 일측으로 특정거리를 갖도록 외면에 돌출형성된 걸림턱용 링(11)이 형성되어 진다. 이러한 걸림턱용 링(11)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반면, 제2파이프(60)에는 일측 끝단면 측에 원주방향으로 특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체결공(73)을 갖는 고정플랜지(70)가 구비된다. 고정플랜지(70)는 제2파이프(60) 외면에 고정된 관형태의 결합부(71)와, 이러한 결합부(71) 외측으로 연결되며 체결공(73)이 형성되는 플랜지부(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합부(71)와 플랜지부(72) 사이에는 경사부(74)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랜지(2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태의 본체(21)와, 이러한 본체(21) 내면 일측에 구비되어 체결시 걸림턱용 링(11)에 의해 타측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하는 걸림턱(22)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플랜지(20)의 본체(21)에는 원주방향으로 특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체결홀(24)이 형성된다.
그리고 플랜지(20)의 하부 타측에는 타측으로 돌출되는 가스켓고정단(26)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장착홈(25)은 본체(21)의 체결홀(24)과 연결되며 체결홀(24)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되고 일측면이 개방면으로 형성되게 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장착홈(25)은 본체(21)에 원주방향으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되며, 체결홀(24)과 연결되어 진다. 이러한 스프링장착홈(25) 각각에는 스프링(30)이 내장되게 되며, 스프링장착홈(25)의 직경은 체결홀(24)의 직경보다 크며, 볼트 머리부의 직경보다는 작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체결부재(80)인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었을 때, 스프링(30)은 압축된 상태로 스프링장착홈(25)에 내장되게 된다.
체결부재(80)는 연결시, 체결공(73)과 이러한 체결공(73)에 대향되는 위치의 체결홀(24)에 삽입되는 볼트와, 볼트 일측 나사산에 결합되어 제1파이프(10)와 상기 제2파이프(60)를 체결시키는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100)는, 도 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시, 플랜지(20)과 고정플랜지(70) 사이에 위치되는 가스켓(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정플랜지(70)는 제2파이프(60) 외면에 고정된 결합부(71)와, 체결공(73)이 형성되는 플랜지부(72)와, 이러한 결합부(71)와 플랜지부(72)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부(74)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가스켓(50)의 일측면은 고정플랜지(70)의 경사부(74)와 형상맞춤되는 경사면(51)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랜지(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타측면에 가스켓고정단(26)이 형성되어 연결시, 가스켓고정단(26)과 고정플랜지(70)의 경사부(74)에 의해 가스켓(50)이 견고하게 실링을 유지하며 고정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제1파이프
11:걸림턱용 링
20:플랜지
21:본체
22:걸림턱
23:체결단
24:체결홀
25:스프링장착홈
26:가스켓고정단
30:스프링
40:수구링
41:몸체
42:외측돌출단
50:가스켓
51:경사면
60:제2파이프
70:고정플랜지
71:결합부
72:플랜지부
73:체결공
74:경사부
80:체결부재
100: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

Claims (5)

  1.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타측끝단면에서 일측으로 특정거리를 갖도록 외면에 돌출형성된 걸림턱용 링을 갖는 제1파이프;
    일측 끝단면 측에 원주방향으로 특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체결공을 갖는 고정플랜지가 구비된 제2파이프;
    관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 외측에 원주방향으로 특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체결홀과, 상기 본체 하단에 형성되어 체결시 상기 걸림턱용 링에 의해 타측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하는 걸림턱과, 상기 본체에 원주방향으로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도록 타측면이 개방면으로 형성된 복수의 스프링장착홈을 갖는 플랜지;
    연결시 상기 개방면을 폐쇄시키는 수구링;
    연결시 압축된 상태로 상기 스프링장착홈 각각에 내장되는 스프링; 및
    연결시, 상기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에 대향되는 위치의 체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파이프와 상기 제2파이프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
    연결시, 상기 수구링과 상기 고정플랜지 사이에 위치되는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수구링은 상기 제1파이프 외면에 접촉되는 관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결시, 상기 스프링장착홈을 폐쇄하는 외측돌출단을 가지며,
    상기 고정플랜지는 상기 제2파이프 외면에 고정된 결합부와, 상기 체결공이 형성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결합부와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부를 가지며,
    상기 가스켓의 일측면은 상기 경사부와 형상맞춤되는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52976A 2020-11-16 2020-11-16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 KR102281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976A KR102281230B1 (ko) 2020-11-16 2020-11-16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976A KR102281230B1 (ko) 2020-11-16 2020-11-16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230B1 true KR102281230B1 (ko) 2021-07-23

Family

ID=77155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976A KR102281230B1 (ko) 2020-11-16 2020-11-16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23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238B1 (ko) 2003-02-25 2005-10-17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금속관 연결장치
KR100892135B1 (ko) * 2008-12-16 2009-04-09 주식회사 세종화학 하수관 연결 고정용 커플러
JP2009250388A (ja) * 2008-04-09 2009-10-29 Kubota Corp 管体と管体敷設装置との接続構造および管体敷設装置
KR100958544B1 (ko) * 2010-01-25 2010-05-18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관 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KR100987355B1 (ko) 2010-04-23 2010-10-12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비용접식의 관연결 장치
KR101366184B1 (ko) 2013-05-09 2014-02-24 신이피엔씨 주식회사 별도의 고정링을 갖는 플랜지형 비용접 이음관 및 플레어가 형성된 관
KR101828783B1 (ko) * 2017-06-14 2018-02-13 주식회사 우리스틸 탈부착형 플랜지를 이용한 무용접식 파이프 이음매 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238B1 (ko) 2003-02-25 2005-10-17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금속관 연결장치
JP2009250388A (ja) * 2008-04-09 2009-10-29 Kubota Corp 管体と管体敷設装置との接続構造および管体敷設装置
KR100892135B1 (ko) * 2008-12-16 2009-04-09 주식회사 세종화학 하수관 연결 고정용 커플러
KR100958544B1 (ko) * 2010-01-25 2010-05-18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관 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KR100987355B1 (ko) 2010-04-23 2010-10-12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비용접식의 관연결 장치
KR101366184B1 (ko) 2013-05-09 2014-02-24 신이피엔씨 주식회사 별도의 고정링을 갖는 플랜지형 비용접 이음관 및 플레어가 형성된 관
KR101828783B1 (ko) * 2017-06-14 2018-02-13 주식회사 우리스틸 탈부착형 플랜지를 이용한 무용접식 파이프 이음매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753B2 (en) Pipes coupling with integrated grip
WO2007066452A1 (ja) 管継手ロック装置
KR102281230B1 (ko) 볼트풀림 방지와 수밀 유지 기능을 갖는 관 연결구조
KR20170002509U (ko) 풀림방지 구조를 갖는 배관밸브용 결합체
KR101143869B1 (ko) 수도전 푸시밸브
KR20130008167A (ko) 파형관 연결구조
JP2001289376A (ja) 異種管接合用配管器材
KR200344286Y1 (ko) 부식 및 침식 방지 기능을 갖는 파이프의 배관구조
JP2020034139A (ja) 下水管路用管継手構造
KR102286217B1 (ko) 체결 고정위치를 갖는 이지락 조인트용 강관
KR20040077996A (ko) 메카니컬 접합 및 kp메카니컬 접합의 접합관 이탈방지구조
KR100624009B1 (ko) 맨홀의 관연결장치
KR20240003080A (ko)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
KR100743487B1 (ko) 흄관용 연결관
JP2671776B2 (ja) バタフライ弁の継手
JP7147474B2 (ja) 変換プラグ
KR200277305Y1 (ko) 파이프와 플렌지의 연결 구조
JP4567648B2 (ja) 配管接続用アダプタ及び耐震継手への仮設配管の接続方法
KR200182942Y1 (ko) 배관 파이프용 플러그
KR100366567B1 (ko) 관 연결구에 사용되는 고무링과, 나사식 분리형 플랜지를갖춘 관 연결구 및, 이들을 구비한 관
KR200333491Y1 (ko) 관 밀폐용 캡
AU2021206893A1 (en) Water main connector
JP2006183839A (ja) 継手保持部材
KR200315337Y1 (ko) 메카니컬 접합 및 kp메카니컬 접합의 접합관 이탈방지구조
KR20230172164A (ko) 직관용 노허브 커플링 조인트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