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397Y1 - 핫태핑용 플랜지관 - Google Patents

핫태핑용 플랜지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397Y1
KR200266397Y1 KR2020010035644U KR20010035644U KR200266397Y1 KR 200266397 Y1 KR200266397 Y1 KR 200266397Y1 KR 2020010035644 U KR2020010035644 U KR 2020010035644U KR 20010035644 U KR20010035644 U KR 20010035644U KR 200266397 Y1 KR200266397 Y1 KR 2002663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hot
flange tube
members
edge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6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규
Original Assignee
정용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규 filed Critical 정용규
Priority to KR20200100356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3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3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397Y1/ko

Links

Landscapes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폐가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핫태핑용 플랜지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주관(2)에 용접결합되는 베이스부(4)와, 이 베이스부(4)에 연결되며 그 후단에는 플랜지(6)가 구비된 연결부(8)로 분할제작되며, 이 베이스부(4)와 연결부(8)의 인접단에는 각각 테두리부재(10,12)가 구비되어, 다수의 클램프(14)로 상기 테두리부재(10,12)를 상호 밀착고정하므로써, 베이스부(4)와 연결부(8)를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된 핫태핑용 플랜지관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10,12)의 인접면에는 실링부재(16,18)가 결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이 삽입홈은 그 일측에 형성된 연통공(26)을 통해 상기 플랜지관 내부의 수로(21)와 연통되어, 플랜지관 내부를 흐르는 물의 압력에 의해, 실링부재(16,18)가 밀착가압되어 테두리부재(10,12)의 사이를 밀폐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태핑용 플랜지관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핫태핑용 플랜지관{plange pipe for hot-tapping method}
본 고안은 핫태핑용 플랜지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가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핫태핑용 플랜지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병합발전소 등에서는 배관을 통해 가정에 온수를 공급하여, 각 가정에서는 이 온수를 이용하여, 난방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이러한 온수를 공급하는 데 사용되는 배관은 지름이 큰 주관의 중간부에, 다수의 지관을 연결하여 이 지관을 통해 최종적으로 각 가정에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지관은 수용가, 즉, 온수를 공급받는 가정이 늘어날 때마다, 상기 주관의 중간부에 연결하게 되는데, 상기 주관에는 항상 고온의 온수가 흐르고 있으므로, 핫태핑머신이라는 장비를 이용하여, 온수가 흐르는 주관의 중간부에 구멍을 뚫고, 이 구멍에 지관을 연결하게 된다.
이와같이 주관에 지관을 연결할 때는, 중간에 밸브가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된 플랜지관을 주관에 용접결합한 후, 이 플랜지관에 상기 핫태핑머신을 설치하여, 핫태핑머신으로 주관에 구멍을 뚫은 후, 플랜지관의 밸브를 잠그고, 핫태핑머신을 제거한 후, 플랜지관에 지관을 연결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이와같이 주관(2)에 지관을 연결할 때 사용하는 플랜지관을 도시한 것으로, 주관(2)에 용접결합되는 베이스부(4)와, 이 베이스부(4)에 연결되며 그 후단에 플랜지(6)가 구비된 연결부(8)로 분할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4)와 연결부(8)의 인접단 둘레부에는 테두리부재(10,12)가 각각 용접결합된다. 이 테두리부재(10,12)는 사각판의 중앙부에 구멍을 형성한 후 상기 베이스부(4)와 연결부(8)의 단부에 용접결합한 것으로, 다수의 클램프(14)로 이 테두리부재(10,12)를 상호 밀착고정하여 베이크부와 연결부(8)를 상호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그 인접면에는 오링(16,18)이 구비되어 플랜지관 내부를 흐르는 온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테두리부재(10,12)의 사이에 얇은 금속판으로 구성된 차단판을 끼워넣으므로써, 플랜지관 내부의 수로(21)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관의 베이스부(4)와 연결부(8)를 주관(2)에 설치하고, 상기 연결부(8)의 플랜지(6)에 핫태핑머신(22)을 장착하여, 주관(2)에 구멍을 뚫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판을 플랜지관의 테두리부재(10,12) 사이에 끼워넣어 플랜지관을 차단하고, 상기 핫태핑머신(22)을 제거한 후, 상기 연결관의 플랜지(6)에 지관을 연결할 수 있으며, 지관의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차단판을 제거하여 플랜지관 내부의 수로(21)를 개방한 후, 플랜지관의 테두리부재(10,12)를 상호 용접하므로써, 지관연결작업을 마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플랜지관은 상기 베이스부(4)와 연결부(8)에 구비된 테두리부재(10,12)를 상호 밀착시켜 연결하므로, 이 테두리부재(10,12)가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그 사이에 틈이 발생될 경우, 상기 주관(2)을 통해 공급되는 고온, 고압의 온수가 이 틈을 통해 분출되어, 작업자가 화상 등의 부상을 입게 된다. 따라서, 테두리부재(10,12)의 사이를 완전히 밀착시켜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지관연결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땅을 굴착하여 주관(2)을 노출시킨 후,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흙이나 기타 이물질이 상기 테두리부재(10,12)의 사이게 끼어 테두리부재(10,12)의 사이에 미세한 틈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재(10,12)의 사이에 차단판을 끼워넣기 위해서는 테두리부재(10,12)를 밀착시키는 클램프(14)를 풀어, 테두리부재(10,12)의 사이에 틈을 만들어야 하는데, 이때, 테두리부재(10,12)의 틈사이로 온수가 분출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테두리부재(10,12)사이에 최소한의 틈만을 만들게 된다. 따라서, 테두리부재(10,12) 사이의 틈이 너무 좁음에 따라, 테두리부재(10,12) 사이에 차단판(20)을 끼워넣거나 빼내는 것이 매우 어렵고 힘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차단판(20)을 끼워넣을 때, 차단판(20)의 단부가 테두리부재(10,12)의 둘레면에 걸려 잘 삽입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테두리부재의 사이에 차단판을 끼워넣을 때, 온수가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차단판을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핫태핑용 플랜지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핫태핑용 플랜지관의 외관도
도 2는 종래의 핫태핑용 플랜지관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핫태핑용 플랜지관의 외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핫태핑용 플랜지관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주관 4. 베이스부
6. 플랜지 8. 연결부
10,12. 테두리부재 16,18. 실링부재
21. 수로 26. 연통공
본 고안에 따르면, 주관(2)에 용접결합되는 베이스부(4)와, 이 베이스부(4)에 연결되며 그 후단에는 플랜지(6)가 구비된 연결부(8)로 분할제작되며, 이 베이스부(4)와 연결부(8)의 인접단에는 각각 테두리부재(10,12)가 구비되어, 다수의 클램프(14)로 상기 테두리부재(10,12)를 상호 밀착고정하므로써, 베이스부(4)와 연결부(8)를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된 핫태핑용 플랜지관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10,12)의 인접면에는 실링부재(16,18)가 결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이 삽입홈은 그 일측에 형성된 연통공(26)을 통해 상기 플랜지관 내부의 수로(21)와 연통되어, 플랜지관 내부를 흐르는 물의 압력에 의해, 실링부재(16,18)가 밀착가압되어 테두리부재(10,12)의 사이를 밀폐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태핑용 플랜지관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핫태핑용 플랜지관을 도시한 것으로, 주관(2)에 용접결합되는 베이스부(4)와, 이 베이스부(4)에 연결되며 그 후단에는 플랜지(6)가 구비된 연결부(8)로 분할제작되어, 이 플랜지관을 주관(2)에 결합한 후, 상기 플랜지(6)에 핫태핑머신(22)을 연결하여 주관(2)에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4)와 연결부(8)의 인접단에는 각각 테두리부재(10,12)가 구비되어, 다수의 클램프(14)로 상기 테두리부재(10,12)를 상호 밀착고정하므로써, 베이스부(4)와 연결부(8)를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재(10,12)의 인접면에는 실링부재(16,18), 즉, 오링(16,18)이 결합되는 삽입홈이 각각 형성된다. 이 삽입홈은 상기 오링(16,18)의 두께에 비해 깊게 형성되어, 내부에 삽입된 오링(16,18)이 삽입홈 내에서 상하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그 내부 일측에는 플랜지관 내부의 수로(21)와 연통되는 연통공(26)이 형성되어, 플랜지관 내부를 흐르는 온수가 이 삽입홈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부(4)와 연결부(8)를 상호 연결한 후, 플랜지관의 내부로 고압의 온수가 공급되면, 이 플랜지관 내부의 수로(21)에 공급된 고압의 온수가 상기 연통공(26)을 통해 삽입홈 내부로 유입되며, 이 온수의 수압에 의해 삽입홈 내부에 삽입된 오링(16,18)이 외측으로 밀려나가면서, 맞은편의 오링(16,18)과 상호 밀착가압된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재(10,12)의 인접면 둘레부에는 경사면(28)이 형성되어, 상기 차단판(20)을 이 경사면(28) 사이로 집어넣으므로써, 차단판(20)의 단부가 테두리부재(10,12)에 걸리지 않고 손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플랜지관의 이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주관(2)에 베이스부(4)를 용접결합하고, 클램프(14)를 이용하여 베이스부(4)에 연결부(8)를 연결, 고정한다. 그리고, 이 연결부(8)에 구비된 플랜지(6)부에 핫태핑머신(22)을 설치하여 주관(2)에 구멍을 형성하면, 주관(2)을 통해 흐르던 고압의 온수가 플랜지관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그 일부가 상기 연통공(26)을 통해 삽입홈에 삽입되어, 삽입홈 내부에 삽입된 오링(16,18)을 외측으로 밀어내므로,오링(16,18)이 상호 밀착가압되어 테두리부재(10,12)의 사이를 밀폐하게 된다.
그리고, 이 테두리부재(10,12)의 사이에 차단판(20)을 끼워넣기 위해, 상기 클램프(14)를 풀어 테두리부재(10,12)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면, 상기 오링(16,18)이 수압에 의해 더욱 돌출, 가압되면서, 테두리부재(10,12)의 사이로 온수가 새어내오는 것을 막게 된다. 따라서, 테두리부재(10,12)의 사이에 충분한 간격의 틈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차단판(20)을 끼워넣을 수 있다. 그리고, 차단판(20)을 끼워넣고, 상기 핫태핑머신(22)을 제거할 수 있으며, 연결부(8)의 플랜지(6)에 지관을 연결하고, 상기 차단판(20)을 제거한 후, 베이스부(4)와 연결부(8)의 테두리부재(10,12)를 상호 용접하므로써, 지관연결작업을 마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핫태핑용 플랜지관은 상기 삽입홈의 일측에 연통공(26)을 형성하여, 이 연통공(26)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에 의해 오링(16,18)이 상호 밀착가압되므로, 상기 테두리부재(10,12)의 사이에 충분한 틈을 형성하여도, 플랜지관 내부의 온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테두리부재(10,12)의 사이에 충분한 간격의 틈을 형성하여, 차단판(20)을 손쉽게 끼워넣거나 빼낼 수 있으며, 차단판(20)을 끼워넣을 때, 테두리부재(10,12)의 틈으로 온수가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테두리부재(10,12)의 둘레부에 경사면(28)을 형성하여, 이 경사면(28)을 사이로 차단판(20)을 더욱 손쉽게 집어넣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베이스부(4)와 연결부(8)의 사이에 구비된 테두리부재(10,12)에, 오링(16,18)이 유동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 삽입홈을 형성하고, 이 삽입홈의 내부에 연통공(26)을 형성하여, 이 삽입공과 플랜지관 내부의 수로(21)가 상호 연통되도록 구성하므로써, 테두리부재(10,12)의 사이에 차단판(20)을 끼워넣을 때, 온수가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차단판(20)을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핫태핑용 플랜지관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주관(2)에 용접결합되는 베이스부(4)와, 이 베이스부(4)에 연결되며 그 후단에는 플랜지(6)가 구비된 연결부(8)로 분할제작되며, 이 베이스부(4)와 연결부(8)의 인접단에는 각각 테두리부재(10,12)가 구비되어, 다수의 클램프(14)로 상기 테두리부재3s333(10,12)를 상호 밀착고정하므로써, 베이스부(4)와 연결부(8)를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된 핫태핑용 플랜지관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10,12)의 인접면에는 실링부재(16,18)가 결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이 삽입홈은 그 일측에 형성된 연통공(26)을 통해 상기 플랜지관 내부의 수로(21)와 연통되어, 플랜지관 내부를 흐르는 물의 압력에 의해, 실링부재(16,18)가 밀착가압되어 테두리부재(10,12)의 사이를 밀폐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태핑용 플랜지관.
KR2020010035644U 2001-11-20 2001-11-20 핫태핑용 플랜지관 KR2002663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644U KR200266397Y1 (ko) 2001-11-20 2001-11-20 핫태핑용 플랜지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644U KR200266397Y1 (ko) 2001-11-20 2001-11-20 핫태핑용 플랜지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397Y1 true KR200266397Y1 (ko) 2002-02-28

Family

ID=73070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644U KR200266397Y1 (ko) 2001-11-20 2001-11-20 핫태핑용 플랜지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39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2159B2 (en) Tube coupling
KR100473859B1 (ko) 배관 핏팅용 플러그
EP1130306A3 (en) A method for sealing a leak in a pipe joint
US20020038954A1 (en) Protected welded joint for fluid transport pipes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KR200266397Y1 (ko) 핫태핑용 플랜지관
EP0664867B1 (en) Branch-off connection
US6508267B1 (en) Plumbing tool and method for repairing a pipe therewith
KR200157684Y1 (ko) 배관분기용 홀쑈
KR20170101348A (ko) 부단수 차단 디스크형 헤드
KR200298067Y1 (ko) 지관연결용 밸브
US6832624B1 (en) Plumbing tool and method for repairing a pipe therewith
KR20040076394A (ko) 금속관 연결장치
JP4262035B2 (ja) 排水装置
KR200162412Y1 (ko) 가스배관 분기 및 손상부위 보수장치
JP2005106083A (ja) 割t字管撤去方法
AU754504B2 (en) Method to remove leakage problems in pipes produced from plastic-base materials
KR200420990Y1 (ko) 배관용 플러그의 결합구조
CN217234865U (zh) 一种预埋套管的临时封堵装置
KR960014289B1 (ko) 배관의 연결부 시공과 결함부 보수방법 및 막음판
KR20190087601A (ko) 2 개의 가압 플랜지 튜브 섹션들 사이의 연결부를 분리하기 위한 장치
KR200153590Y1 (ko) 칩제거겸용 천공기
KR20100035373A (ko) 분기장치
KR20050113587A (ko) 용수관 설치용 분기구
JP2006183839A (ja) 継手保持部材
KR200242716Y1 (ko) 관수용호스콘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