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1610A - 가요성 케이스를 가진 휴대기 - Google Patents

가요성 케이스를 가진 휴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1610A
KR20040071610A KR1020040006644A KR20040006644A KR20040071610A KR 20040071610 A KR20040071610 A KR 20040071610A KR 1020040006644 A KR1020040006644 A KR 1020040006644A KR 20040006644 A KR20040006644 A KR 20040006644A KR 20040071610 A KR20040071610 A KR 20040071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ortable device
battery
detachable
hold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3597B1 (ko
Inventor
오오타키기요카즈
이시가키세이지
가와무라다이스케
가와무라마사유키
Original Assignee
카부시키가이샤 토카이리카덴끼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부시키가이샤 토카이리카덴끼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카부시키가이샤 토카이리카덴끼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40071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5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16Chamfer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C2260/04Adjust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70/00Details of milling machines, milling processes or mill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2270/20Milling external areas of compon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082Keys or shanks being removably stored in a larger object, e.g. a remote control or a key fob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G07C2009/00952Electronic keys comprising a mechanical key within their housing, e.g. extractable or retractable emergency k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ransmitter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방수성을 유지하면서 외력에 의해 야기되는 변형을 견딜 수 있는 휴대기. 상기 휴대기는 가요성 재료로 만들어진 케이스를 포함한다. 배터리 수납부는 상기 케이스 내에 형성된다. 착탈부는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 상응하는 케이스 부분에 배치된다. 상기 케이스 부분은 착탈부를 개구시키도록 만곡되어 케이스로부터 배터리 수납부를 노출시킨다.

Description

가요성 케이스를 가진 휴대기{Portable device having flexible case}
본 발명은 차량 등의 원격제어에 이용되는 휴대기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에서의 발전 및 통신장치의 광범위한 사용으로 인하여, 다양한 분야에 있어서 휴대기를 이용한 원격제어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한 원격제어를 수행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원격제어기는 유저(소유자)가 조작하는 휴대기와, 조작대상이 되는 외부기기에 탑재된 송수신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휴대전화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원격제어 및 전자 키를 이용한 차량의 원격제어 등이 알려져 있다.
도 1에는,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2002-339605 호에 개시되어 있는, 차량을 원격제어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휴대기(5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휴대기는, 합성수지제이며 배터리(52)를 수용하고 있는 케이스(51)와, 비상시 이용되는 기계적인 키(53)와, 복수의 전자부품(54)과, 회로 기판(55)을 포함한다. 배터리(52)가 소모되었을 때, 유저는 차량의 문을 잠그거나 잠금해제하기 위해서 또한 엔진을 시동시키기 위해서 기계적인 키(53)를 사용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스(51)의 외부표면은 기계적인 키(53)를 꺼내기 위한 개구부(56), 및 배터리(52)를 교체하기 위한 덮개(57)를 포함한다. 덮개(57)는 통상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슬라이드 식 덮개 또는 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식 덮개이다. 휴대성 및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휴대기(50)의 박형화(薄型化)에 대한 요구가 점점 강해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휴대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의 휴대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기의 착탈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기의 착탈부가 개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착탈부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선 7-7을 따라서 취해진 단면도,
도 8은 착탈부가 닫혀 있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개구되어 있는 상태의 휴대기 및 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선 10-10을 따라서 취해진 도 8의 휴대기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도 11은 클립이 휴대기로부터 제거되어 있는 상태의 도 10의 일부 단면도,
도 12는 도 8의 선 12-12를 따라서 취해진 일부 단면도,
도 13은 클립이 휴대기로부터 제거되어 있는 상태의 도 12의 일부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외부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휴대기를 제공한다. 이 휴대기는 가요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배터리 수납부는 케이스 내에 형성된다. 착탈부는 배터리 수납부와 상응하여 케이스 부분에 형성된다. 이 케이스 부분은 착탈부를 개구시켜 케이스로부터 배터리 수납부를 노출시키기 위해서 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외부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휴대기이다. 이 휴대기는 가요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배터리 수납부는 케이스의 모서리에 형성된다. 착탈부는 배터리 수납부와 상응하여 케이스의 모서리에 형성된다. 케이스의 모서리는 착탈부를 개구시켜 케이스로부터 배터리 수납부를 노출시키기 위해서 변형 가능하다. 이 착탈부는 배터리 수납부에 인접되어 배열되어 있으며 서로 분리 가능한 제1 접합면 및 제2 접합면을 포함한다. 제1 접합면은 배터리 수납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1 끼워맞춤부를 포함하며, 제2 접합면은 제1 끼워맞춤부가 끼워맞춰지는 제2 끼워맞춤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 및 장점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취해진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과 함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어지는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도면에 있어서, 유사한 부재번호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사용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120)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된다.
차량용의 원격제어장치(110)는 ID 조회를 수행하는 스마트 엔트리 기능 및/또는 스마트 점화 기능을 가지는 휴대기(120)를 포함한다. 스마트 엔트리 기능은, 휴대기(120)를 가지고 있는 유저(소유자)(15)가 차량(140)에 접근할 때 차량(140)의 문을 자동적으로 잠금해제시키고, 유저(15)가 차량(140)으로부터 멀어질 때 문을 자동적으로 잠근다. 스마트 점화 기능은 유저(15)가 차량(140)에 탑승하였을 때 엔진을 자동적으로 시동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110)는 휴대기(120) 및 이 휴대기(120)와 통신하는 송수신기(130)를 포함한다. 차량(140)의 유저(15)는 휴대기(120)를 지닌다. 송수신기(130)는 차량(140)에 설치되며, 송신회로, 수신회로, 및 마이크로 컴퓨터(도시생략)를 포함한다. 송신 및 수신 안테나(도시생략)는 송신회로 및 수신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점화 장치에 있어서, 차량(140)의 송수신기(130)는 ID 요구신호를 휴대기(120)로 송신한다. 이 ID 요구신호에 응답하여, 휴대기(120)는 ID 신호를 송신한다. 송수신기(130)는 ID 신호를 수신한다. 그 다음, 차량(140)은 휴대기(120)로부터의 ID 신호 내에 포함되어 있는 ID 코드를 차량(140)의 ID 코드와 비교한다. 2개의 ID 코드가 일치되면, 엔진을 시동시키기 위한 신호가 엔진 컨트롤러(도시생략)로 송신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휴대기(120)는 얇은 케이스(22)을 가진다. 송신회로(16), 수신회로(17), 마이크로 컴퓨터(18), 안테나(19), 회로기판(20), 전원으로서 기능하는 배터리(21), 및 비상시에 이용되는 기계적인 키가 케이스(22) 내에 배열된다.
케이스(22)는 서로 마주하는 베이스(31) 및 커버(32)를 포함한다. 커버(32)는 베이스(31)에 접착되거나 용착(溶着)된다. 케이스(22)의 한쪽 모서리에서, 커버(32)는 베이스(31)에 접착 또는 용착되어 있지 않다. 휴대기(120)의 배터리(21)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부(33)는 이 모서리에 형성된다. 이 착탈부(33)는 베이스(31) 및 커버(32)와 각각 관련한 2개의 모서리편을 포함한다. 이들 모서리편은 개구를 형성하도록 케이스(22) 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케이스(22) 전체는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가요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22)는 폴리에틸렌 수지, 실리콘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올레핀 엘라스토머 수지, 또는 스티렌 엘라스토머 수지 등의 수지재료로 만들어진다.
케이스(22)는 회로기판(20)이 수용되는 회로 배치부(22a), 버튼형상의 배터리(21)가 수용되는 배터리 수납부(22b), 및 기계적인 키(23)가 수용되는 기계적인 키 수납부(22c)로 구획되어 있다. 예를 들어, 송신회로(16), 수신회로(17), 마이크로 컴퓨터(18), 및 안테나(19)는 회로기판(20)에 접속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회로기판(20)은 가요성 및 만곡성을 가지는 플렉서블 프린트 회로(FPC; flexible print circuit)기판이다. 플렉서블 프린트 회로기판에 있어서, 도체회로는 인쇄 또는 에칭 등에 의해 폴리에스테르(PET) 필름 상에 형성된다.
터미널(25)은 회로기판(20)의 단부로부터 뻗어있다. 터미널(25)의 재료로서는, 금속섬유(26)를 절연성 실리콘 수지(27) 등으로 굳혀 형성된 이방성 도전체(예컨대 신에츠 폴리머 주식회사에서 제조한 인터커넥터(INTERCONNECTOR) 등)가 이용될 수 있다. 커버(32)가 베이스(31)에 부착될 때, 이방성 도전체로 만들어진 터미널(25)에 탄성력이 작용된다. 따라서, 배터리(21)를 가압하는 터미널(25)의 말단은 배터리(21)와의 접촉이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터리(21)는 송신회로(16), 수신회로(17), 및 마이크로 컴퓨터(18) 등의 회로기판(20)에 접속되는 전자부품에 터미널(25)을 경유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착탈부(33)를 형성하는 베이스(31) 및 커버(32)의 2개의 모서리편들은 각각 접촉부(33)가 닫힐 때 서로 접속되는 제1 접합면(31a) 및 제2 접합면(32a)을 가진다. 배터리 수납부(22b)는 제1 및 제2 접합면(31a 및 32a)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착탈부(33)가 개구되면, 배터리 수납부(22b)는 노출된다. 돌기(36)는 제1 접합면(31a)으로부터 배터리 수납부(22b) 부분 주위에서 베이스(31)의 모서리편 상에서 뻗어있다. 돌기(36)는 U자 형상으로 착탈부(33)와 배터리 수납부(22b)를 구획한다. 홈(37)은 돌기(36)와 상응하도록 커버(32)의 모서리편의 제2 접합면(32a) 내에 뻗어있다. 착탈부(33)가 닫히면, 돌기(36)는 홈(37)에 요철의 관계로 끼워맞춰진다. 이 경우, 착탈부(33)는 돌기(36)와 홈(37)이 끼워맞춰지는 것에 의해서 방수된다.
배터리(21)를 교체하는 작업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된다.
유저(15)는 우선 케이스(22)의 모서리 근방의 영역을 만곡시켜 베이스(31)와 커버(32)의 모서리편들을 서로 분리시킨다 이것은 커버(32)의 홈(37)으로부터 베이스(31)의 돌기(36)를 분리시킨다. 이 경우, 착탈부(33)는 케이스(22)의 한쪽 모서리에서 개구되어 배터리 수납부(22b)는 케이스(22)로부터 노출된다. 유저(15)는 개구된 착탈부(33)를 통하여 배터리 수납부(22b)로부터 소비된 배터리(21)를 제거한다.
그 다음, 유저(15)는 개구된 착탈부(33)를 통하여 배터리 수납부(22b) 내에 새로운 배터리(21)를 삽입한다. 계속해서, 유저(15)는 케이스(22)의 모서리 근방의 영역을 반대로 만곡시켜 베이스(31)와 커버(32)의 모서리편들을 서로 연결시킨다. 결과적으로, 베이스(31)의 돌기(36)는 커버(32)의 홈(37)에 끼워맞춰지고, 베이스(31)의 제1 접합면(31a)은 커버(32)의 제2 접합면(32a)에 접합되고, 착탈부(33)는 폐쇄된다. 이 때, 돌기(36)와 홈(37)이 끼워맞춰지는 것에 의해 방수구조가 형성된다.
제1 실시예의 휴대기(120)는 이하와 같은 장점을 가진다.
(1) 케이스(22)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가요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케이스(22)의 모서리 근방의 영역을 만곡시킴으로써, 착탈부(33)가 개구되어 배터리 수납부(22b)를 노출시킨다. 착탈부(33)의 개구는 유저(15)가 배터리 수납부(22b)로부터 배터리(21)를 제거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배터리 수납부(22b) 내로 배터리(21)를 손쉽게 삽입시킬 수 있게 한다.
(2) 휴대기(120)의 케이스(22)는 착탈부(33)를 개구시켜 배터리(21)를 교체하기 위해서 만곡된다. 이것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덮개(57)를 필요로 하지 않게 한다. 나아가서, 유저(15)가 휴대기(120)를 지니고 있을 때, 배터리 덮개가 휴대기(120)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휴대기(120)의 방수성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 케이스(22)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가요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케이스(22)가 가요성을 가지기 때문에, 케이스(22)는 이 케이스(22)에 외력이 가해짐에 의해 만곡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기(120)에 무리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케이스(22)는 그 외력에 따라 변형되며 갈라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은 외력에 대한 휴대기(120)의 내성을 향상시킨다.
(4) 배터리 수납부(22b)를 노출시키는 착탈부(33)는 케이스(22)의 모서리에 배치된다. 배터리 수납부(22b)는 착탈부(33)로부터 용이하게 노출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것은 유저(15)가 배터리(21)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기(120)의 취급 용이성을 향상시킨다.
(5) 베이스(31)의 돌기(36)와 커버(32)의 홈(37)가 요철관계로 끼워맞춰지는것은 착탈부(33)의 방수구조를 형성한다.
(6) 케이스(22)는 폴리에틸렌 수지, 실리콘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올레핀 엘라스토머 수지, 또는 스티렌 엘라스토머 수지 등의 가요성 수지재료로 만들어진다. 케이스(22)가 가요성을 가지기 때문에, 휴대기(120)는 외력이 가해질 때 변형에 내성을 가진다. 나아가서, 베이스(31)의 제1 접합면(31a)은 커버(32)의 제2 접합면(32a)과 밀착된다. 착탈부(33)는 방수 밀봉효과가 발휘되어 휴대기(120)의 방수성을 향상시킨다.
(7) 회로기판(20)은 가요성 프린트 회로기판이다. 따라서, 휴대기(120)에 과도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회로기판(20)은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갈라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은 외력이 가해질 때 휴대기(120)의 변형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킨다.
(8) 배터리(21)로부터 회로기판(20)에 전원을 공급하는 터미널(25)은, 금속섬유(26)를 절연성 실리콘 수지(27)로 굳혀 형성된 이방성 도전체이다. 터미널(25)은 터미널(25)의 말단(25a)이 배터리(21)에 대하여 가압되어 있는 상태로 배터리(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은 터미널(25)의 말단(25a)이 배터리(21) 상에 고정 유지되도록 하여 휴대기(120)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9) 기계적인 키(23)는 케이스(22) 내에 수용된다. 배터리(21)의 전압이 떨어졌을 때, 유저(15)는 기계적인 키(23)를 이용하여 문을 잠그거나 열고 엔진을 시동시킨다. 이것은 휴대기(120)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40)는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휴대기(50)는 케이스(22)에 부착되어 유지수단으로서 기능하는 클립(41)을 포함한다. 이 클립(41)은 착탈부(33)를 덮어 착탈부(33)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클립(41)은, 착탈부(33)의 가장자리에 상응하는 형상인 L자 형상 베이스(43)와, 서로 대향되는 2개의 장방형 유지편(42)을 가진다. 2개의 유지편(42)은 클립(41)에 개구를 구획형성한다. 이들 2개의 유지편(42) 사이의 간격은, 베이스(43)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좁아진다. 클립(41)에 있어서, 2개의 유지편(42)은 베이스(43)를 지지점으로 하여 변형된다. 클립(41)은 U자 형상 단면을 가져 클립(41) 내에 착탈부(33)를 유지시킨다. 클립(41)은, 케이스(22)의 모서리의 마주하는 쪽 상에서 2개의 표면이 2개의 유지편(42) 사이에 유지되는 상태로, 착탈부(33)와 함께 케이스(22)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클립(41)은 금속이나 수지 등의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도 10 및 도 11은 도 8의 선 10-10을 따라서 취해진 휴대기(40)의 단면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도 8의 선 12-12를 따라서 취해진 휴대기(40)의 단면도이다. 케이스(22)에 있어서, 클립(41)이 부착되는 케이스(22) 부분은 2개의 유지편(42)의 두께에 상응하는 양만큼 케이스(22)의 다른 부분보다 얇다. 따라서, 클립(41)이 케이스(22)에 부착되면, 클립(41)의 표면은 케이스(22)의 표면과 평평해진다. 나아가서, 클립(41)의 말단부는 배터리(21)와 터미널(25)이 서로 접촉되는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케이스(22)에 대한 클립(41)의 부착은 배터리(21)와 터미널(25) 사이의 접촉 압력을 증가시킨다.
클립(41)이 A 방향(휴대기(40)의 측방향)으로부터 케이스(22)에 부착되는 것이 이하 설명된다.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44 및 46)는 클립(41)의 개구 근방의 2개의 유지편(42)의 내부표면 상의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돌기(44 및 46)에 각각 상응하는 홈(45 및 47)은 클립(41)이 부착되는 모서리에서 케이스(22)의 표면에 형성된다. 유저(15)가 A 방향으로부터 케이스(22)에 클립(41)을 부착시키면, 클립(41)의 돌기(44)는 홈(45)에 의해 수용 및 안내된다.
케이스(22)에 대한 클립(41)의 부착이 완료되면, 클립(41)의 돌기(46)는 케이스(22)의 홈(47)과 결합된다.
케이스(22)에 클립(41)을 부착시키는 과정이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된다.
유저(15)는 우선 케이스(22)의 홈(45)과 2개의 유지편(42)의 돌기(44)를 결합시킨다. 그 다음, 클립(41)은 홈(45)을 따라서 A 방향으로부터 케이스(22)에 부착된다. 이 때, 클립(41)은 케이스(22)의 표면을 따라서 유지편(42)의 내부표면을 미끄럼시키면서 케이스(22)에 부착된다. 클립(41)의 부착이 완료된 후, 2개의 유지편(42)의 돌기(46)는 케이스(22)의 홈(47)과 결합된다. 이 때, 2개의 유지편(42)의 내부표면은 케이스(22)의 모서리를 가압한다.
클립(41)을 제거하기 위해서, 유저(15)는 우선 케이스(22)의 홈(47)으로부터클립(41)의 돌기(46)를 분리시킨다. 그 다음, 유저(15)는 홈(45)을 따라서 케이스(22)로부터 클립(41)을 제거한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21)의 교체시, 유저(15)는 클립(41)을 케이스(22)로부터 제거한 후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절차를 수행한다.
제2 실시예의 휴대기(40)는 이하와 같은 장점을 가진다.
(10) 클립은 착탈부(33), 즉 케이스(22)의 모서리 표면에 유지된다. 클립(41)의 부착은 베이스(31)에서 모서리편의 제1 및 제2 접합면(31a)을 서로 고정적으로 연결하여 착탈부(33)의 밀봉을 향상시킨다. 이것은 물이 착탈부(33)를 통하여 케이스(22)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휴대기(40)의 방수성이 향상된다.
(11) 클립(41)은 착탈부(33), 즉 케이스(22)의 모서리 표면을 클램핑한다. 클립(41)을 케이스(22)에 부착시키는 것은 배터리 수납부(22b)에 배치되어 있는 배터리(21)와 회로기판(20)에 배터리(21)의 전원을 공급하는 터미널(25) 사이의 접촉 압력을 증가시킨다. 이것은 터미널(25)이 배터리(21) 상에서 확실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휴대기(40)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12) 클립(41)은 금속이나 수지 등의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착탈부(33)에 클립(41)을 부착시키는 것은 베이스(31)의 제1 접합면(31a)과 커버(32)의 제2 접합면(32a)을 강한 힘으로 밀착시킨다. 이것은 착탈부(33)의 밀봉을 향상시켜 배터리(21)와 터미널(25) 사이의 접촉압력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휴대기(40)의 방수성 및 신뢰성은 더욱 향상된다.
(13) 클립(41)은 배터리 수납부(22b)와 동일한 면적을 가진다. 따라서, 클립(41)이 금속으로 만들어지더라도, 전파의 차단이 최소화되어, 휴대기(40)의 통신능력은 저하되지 않는다.
(14) 클립(41)은 베이스(43)로부터의 거리가 증가됨에 따라 2개의 유지편(42)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클립(41)의 부착은 케이스(22)의 모서리에서 해당 표면에 대하여 2개의 유지편(42)에 의해 압력을 가하게 한다. 이것은 착탈부(33)의 접합면(31a 및 32a)을 강한 힘으로 더욱 밀착시킨다.
(15) 돌기(44)는 클립(41)에 형성되고, 상응하는 홈(45)은 케이스(22)의 해당 표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유저(15)가 A 방향으로부터 케이스(22)에 클립(41)을 부착시키면, 클립(41)의 돌기(44)는 케이스(22)의 홈(45) 내에 수용된다. 이것은 유저(15)가 클립(41)을 케이스(22)에 손쉽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16) 케이스(22)에 대한 클립(41)의 부착이 완료되면, 클립(41)의 돌기(44 및 46)는 케이스(22)의 홈(45 및 47)과 각각 결합된다. 이것은 케이스(22)로부터 클립(41)이 이탈되기 어렵게 한다.
(17) 클립(41)이 케이스(22)에 부착되면, 클립(41)의 표면은 케이스(22)의 표면과 평평하다. 휴대기(40)가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기 때문에, 휴대기(40)는 의복의 천 등에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휴대기(40)는 유저(15)에 의해서 의복의 주머니나 지갑에 넣거나 빼기 쉽게 된다. 이것은 휴대기(40)의 휴대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이 본 발명의 정신이나 범주로부터 벗어남 없이 많은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분야의 당업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도 좋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기(120 및 40)는 스마트 엔트리 기능과 스마트 점화 기능을 구비한 차량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는 예를 들어 주택 현관문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원격 제어하거나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가전기기나 퍼스널 컴퓨터를 원격 제어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31) 및 커버(32)는 케이스(22)를 형성하도록 서로 접착되거나 용착된다. 그러나, 케이스(22)는 다른 방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팅(potting)이나 캐스팅(casting)에 의해, 열경화성의 수지를 주형 내로 흘려넣어 경화시킴으로써 베이스(31) 및 커버(32)를 서로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 수납부(22b)가 노출되는 착탈부(33)는 케이스(22)의 한쪽 모서리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착탈부(33)는 배터리 수납부(22b)의 장소에 따라 어떤 위치에도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방수구조를 가지는 착탈부(33)에는 베이스(31) 상에 돌기(36)가 형성되고 커버(32)에 홈(37)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커버(32)가 돌기(36)를 가지고, 베이스(31)가 홈(37)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돌기(36)와 홈(37)에 의해 형성된 방수구조는 착탈부(33)와 배터리 수납부(22b)를 구획하도록 U자 형상을 이룬다. 그러나, 방수구조는 배터리 수납부(22b) 전체를 둘러싸도록 원형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21)로부터 회로기판(20)에 전원을 공급하는 터미널(25)은 절연성 실리콘 수지(27)에 의해 금속 섬유(26)를 굳혀 형성되는 이방성 도전체이다. 그러나, 이방성 도전체 대신에 금속제 터미널(25)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유저(15)는 도 9의 A 방향 대신에 B 방향(휴대기(40)의 길이방향)으로부터 클립(41)을 케이스(22)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클립(41)은 돌기(46)가 홈(47)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케이스(22)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 및 실시형태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로서 고려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여기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물 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기가 제공된다.

Claims (16)

  1. 외부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휴대기로서, 상기 휴대기는,
    가요성 재료로 만들어진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형성된 배터리 수납부; 및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 상응하는 케이스 부분에 형성된 착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 부분은 착탈부를 개구시키도록 변형될 수 있어 케이스로부터 배터리 수납부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케이스의 모서리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배터리 수납부 근방에 배열되며 서로 분리될 수 있는 제1 접합면 및 제2 접합면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접합면은 배터리 수납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1 끼워맞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합면은 상기 제1 접합면이 끼워맞춰지는 제2 끼워맞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폴리에틸렌 수지, 실리콘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올레핀 엘라스토머 수지, 및 스티렌 엘라스토머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
  5. 제 1 항에 있어서,
    배터리 수납부 근방의 케이스 내에 수용된 가요성 프린트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베이스; 및
    커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커버의 일부가 착탈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커버의 일부는 배터리 수납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착탈부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유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그 사이에 착탈부를 유지하는 한 쌍의 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편은 배터리 수납부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착탈부의 가장자리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진 베이스와, 사이에 착탈부를 유지시키기 위한 한 쌍의 마주하는 유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유지수단은 베이스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한쌍의 유지편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전자부품들이 접속되며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제1 단부 및 배터리 수납부 내에서 배터리에 접촉되기 위한 제2 단부를 가지는 터미널;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유지수단이 착탈부를 유지시킬 때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터미널의 제2 단부를 배터리에 대하여 가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 중 하나와 상기 착탈부는 돌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유지수단 중 나머지 하나와 착탈부는 상기 돌기와 결합되는 홈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및 상기 홈은 유지수단을 케이스에 부착시킬 때 유지수단을 안내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이 케이스에 부착되었을 때 상기 유지수단은 케이스의 표면과 평평한 표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
  15. 외부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휴대기로서, 상기 휴대기는,
    가요성 재료로 만들어진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모서리에 형성된 배터리 수납부; 및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 상응하는 케이스의 모서리에 형성된 착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의 모서리는 착탈부를 개구시키도록 변형될 수 있어 케이스로부터 배터리 수납부를 노출시키며, 상기 착탈부는, 배터리 수납부 근방에 배열되며 서로 분리될 수 있는 제1 접합면 및 제2 접합면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접합면은 배터리 수납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제1 끼워맞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합면은 상기 제1 접합면이 끼워맞춰지는 제2 끼워맞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모서리 가장자리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진 베이스와, 사이에 착탈부를 유지시키기 위한 한 쌍의 마주하는 유지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홀더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착탈부는 상기 한쌍의 유지편의 두께에 상응하는만큼 얇아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
KR20040006644A 2003-02-04 2004-02-02 가요성 케이스를 가진 휴대기 KR100953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26919 2003-02-04
JP2003026919A JP4057437B2 (ja) 2003-02-04 2003-02-04 携帯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610A true KR20040071610A (ko) 2004-08-12
KR100953597B1 KR100953597B1 (ko) 2010-04-21

Family

ID=32652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06644A KR100953597B1 (ko) 2003-02-04 2004-02-02 가요성 케이스를 가진 휴대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05279B2 (ko)
EP (1) EP1445738B1 (ko)
JP (1) JP4057437B2 (ko)
KR (1) KR100953597B1 (ko)
DE (1) DE60200400005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8206B2 (ja) * 2005-04-27 2010-09-22 株式会社デンソー ワイヤレス送受信機及びその製造方法
JP4548205B2 (ja) * 2005-04-27 2010-09-22 株式会社デンソー ワイヤレス送受信機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58877A (ja) 2006-03-22 2007-10-04 Tokai Rika Co Ltd 携帯機
US20080055824A1 (en) * 2006-08-25 2008-03-06 Innovatier, Inc. Battery powered device having a protective frame
DE102007004567A1 (de) * 2007-01-30 2008-07-31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mit wenigstens einer elektrochemischen Zelle
JP5099624B2 (ja) * 2007-05-21 2012-12-19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バッテリー保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電子機器
JP5206534B2 (ja) * 2009-03-25 2013-06-12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キー
JP5163776B2 (ja) * 2010-07-13 2013-03-13 株式会社デンソー カードキー
USD669079S1 (en) * 2010-09-01 2012-10-16 Innovative Timing Systems RFID tag reader housing
JP5551561B2 (ja) * 2010-10-08 2014-07-16 株式会社サージュ カードリーダー
FR2967188B1 (fr) * 2010-11-05 2013-05-31 Valeo Securite Habitacle Cle a insert escamotable et module de deploiement d'insert associe
JP5954095B2 (ja) * 2012-10-09 2016-07-20 株式会社デンソー カードキー
EP2747197B1 (en) * 2012-12-18 2015-07-15 Panasonic Corporation Communication antenna unit and mobile terminal apparatus
GB201306369D0 (en) * 2013-04-09 2013-05-22 Photocure As Irradiation device
US9185275B2 (en) * 2013-07-09 2015-11-10 Lenovo (Singapore) Pte. Ltd. Control flap
US9363264B2 (en) * 2013-11-25 2016-06-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Networked device access control
US9144261B2 (en) 2014-10-16 2015-09-29 Arcachon Holdings Llc Combination marker light and infrared interrogation device
US9175837B1 (en) 2014-10-16 2015-11-03 Arcachon Holdings Llc Marker system
US9746561B2 (en) 2014-10-16 2017-08-29 Arcachon Holdings Llc Marker system
US9341714B2 (en) 2014-10-16 2016-05-17 Arcachon Holdings Llc Marker system
JP6315276B2 (ja) * 2014-11-19 2018-04-25 株式会社デンソー 携帯機
USD773406S1 (en) * 2015-02-03 2016-12-06 Lg Electronics Inc. Smart key for automobiles
US11047984B2 (en) 2015-05-18 2021-06-29 Arcachon Holdings Ll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local flashing in a marker system
US11049379B2 (en) 2015-05-18 2021-06-29 Arcachon Holdings Llc Marker system with zone notification
US11771164B2 (en) 2015-05-18 2023-10-03 Arcachon Holdings Ll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local flashing in a marker system
US10897805B2 (en) 2015-05-18 2021-01-19 Arcachon Holdings Ll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flashing in a marker system
USD838022S1 (en) 2017-06-24 2019-01-08 Arcachon Holdings Llc Marker system
CN111809970A (zh) * 2020-06-23 2020-10-23 孔瑞扬 一种智能家居门锁
US11139130B1 (en) 2021-02-09 2021-10-05 Arcachon Holdings Llc Safety switch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1160A (en) 1977-03-22 1978-10-17 Cataldo Thomas R Switch means for radio alarm device
JPS6149388A (ja) 1984-08-15 1986-03-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池の接続装置
CH665059A5 (fr) * 1985-04-03 1988-04-15 Rdi Limited Partnership Ensemble englobant un circuit modulaire electrique ou electronique et un connecteur destine a relier le circuit a un systeme electrique autonome.
JPS6238035A (ja) 1985-08-12 1987-02-19 Nissan Motor Co Ltd 薄板型携帯機
WO1996028629A1 (en) 1995-03-16 1996-09-19 Medeco Security Locks, Inc. Universal apparatus for use with electronic and/or mechanical access control devices
DE19802300B4 (de) 1997-01-30 2008-02-07 Marquardt Gmbh Etui für elektronischen Schlüssel
DE19718453C1 (de) 1997-04-30 1998-09-03 Siemens Ag Zwei-Komponenten-Kunststoffgehäuse
US6193069B1 (en) * 1999-04-22 2001-02-27 Compaq Computer Corporation Apparatus for packaging processing system elements for mailing and shipping
JP2001200664A (ja) 2000-01-17 2001-07-27 Alps Electric Co Ltd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の携帯機
JP3811609B2 (ja) * 2000-10-02 2006-08-2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釦型電池の収納装置
JP2002339605A (ja) 2001-05-16 2002-11-27 Tokai Rika Co Ltd 遠隔制御用携帯機
US6674639B2 (en) * 2001-09-06 2004-01-06 High Tech Computer, Corp. Protective cover with ternary structure
US6897371B1 (en) * 2002-08-27 2005-05-24 A K Stamping Co. Inc. One-piece shielding enclosure with selective interior access, and method and blank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3597B1 (ko) 2010-04-21
US7505279B2 (en) 2009-03-17
DE602004000052D1 (de) 2005-09-22
DE602004000052T2 (de) 2006-05-24
EP1445738A1 (en) 2004-08-11
EP1445738B1 (en) 2005-08-17
US20040185798A1 (en) 2004-09-23
JP4057437B2 (ja) 2008-03-05
JP2004241896A (ja) 2004-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597B1 (ko) 가요성 케이스를 가진 휴대기
US9826652B2 (en) Protective case having plurality of external connectors
US8072766B2 (en) Portable device for transmitting signal
JP5099624B2 (ja) バッテリー保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電子機器
EP2642728B1 (en) Apparatus for waterproofing battery cover in a portable terminal
US20090159412A1 (en) Side key assembl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060032501A (ko)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
JP2007312352A (ja) バッテリカバーロック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移動通信端末機
KR20080075783A (ko) 전자 키 시스템의 휴대기
CA2427105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loss of electrical power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0522762B1 (en) Mobile phone
CN108270900B (zh) 一种用于电子设备的按键组件和电子设备
KR20140019371A (ko) 제거 가능한 nfc 어셈블리를 가지는 차량 접근 시스템을 위한 아이디 송신기
JP4337261B2 (ja) 携帯電話機
JP5513346B2 (ja) 携帯電話機用カバー
US20190270430A1 (en) Electronic key
WO2020170812A1 (ja) 車両用の携帯型電子通信機器
JP2010219590A (ja) 遠隔操作携帯機
JPH11146046A (ja) 携帯電話機の外部接続部構造
CN216627678U (zh) 表带组件及具有其的电子设备
KR101480388B1 (ko) 필름형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
JP2005019603A (ja) 小型電気装置用防水ケース
KR101830256B1 (ko) 카드형 스마트키
JP3490899B2 (ja) 携帯型無線通信機器
KR101516375B1 (ko) 배터리 모듈에 필름형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