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9175A -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 및 광 디스크 기록/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 및 광 디스크 기록/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9175A
KR20040069175A KR1020030059858A KR20030059858A KR20040069175A KR 20040069175 A KR20040069175 A KR 20040069175A KR 1020030059858 A KR1020030059858 A KR 1020030059858A KR 20030059858 A KR20030059858 A KR 20030059858A KR 20040069175 A KR20040069175 A KR 20040069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circuit
signal
speed
spe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9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2904B1 (ko
Inventor
사까이히로하루
오노가즈히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Publication of KR20040069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9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45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8Speed 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 중단으로부터 기록 재개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신뢰성 있는 기록 재개를 구현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 디스크 장치는 광 픽업과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재생계 회로, 속도 정보 검출 회로, 및 위치 검출 회로를 포함한다. 재생계 회로는, 광 픽업으로부터의 전기적 신호 및 설정치에 기초하여, 기록 중단 이후에 광 픽업의 기록 재개에 사용되는 재생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속도 정보 검출 회로는 광 픽업으로부터의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광 디스크 상의 기록 중단 전 또는 후의 속도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위치 검출 회로는 광 디스크의 기록 재개 위치 및 현재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액세스부는 광 디스크의 현재 위치로부터 기록 재개 위치에서 광 디스크를 액세스하도록 광 픽업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설정부는 검출된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계 회로 설정치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설정치는 재생계 회로가 재생 신호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Description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 및 광 디스크 기록/재생 방법{OPTICAL DISK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OPTICAL DISK RECORDING/REPRODUCING METHOD}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3년 1월 20일자로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03-010674호와 관련되며, 상기 일본특허출원을 기초 출원으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출원은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 및 광 디스크 기록/재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재생을 일단 중단한 위치로부터 기록을 재개하는 처리를 고속화할 수 있는 광 디스크 기록/재생 기술에 관한 것이다.
CD-R 디스크 등의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에는, 안내구(guide groove)로서 기능하는 프리그루브(pregroove)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구는, 반경 방향의 편차(deviation)가 약 ±0.03㎛이며 주기가 54∼63㎛로 사행하기 때문에, 디스크를 일정 선속도, 예컨대 1.3㎧로 회전시키면, 중심 주파수가 22.05㎑, 주파수 편이가 ±1㎑인 FM파가 검출된다 (이하, 이러한 워블링(wobbling)에 의해 발생되는 FM파를 "워블 신호(wobble signal)"라고 함). 워블 신호에는, 디스크의 절대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ATIP(Absolute Time In Pregroove) 어드레스 정보, 기록 제어 정보 등이 주파수-변조되어 포함되어 있다. 기록 시에는, 이러한 워블 신호로부터, 광 디스크의 ATIP 어드레스 정보, 기록 조건 설정 정보 등의 정보를 재생하여, 드라이브의 제어에 이용한다.
이러한 CD-R 디스크의 데이터 기록은, 프리그루브로부터 ATIP 어드레스를 판독하고, 인코더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입력된 데이터에 ATIP 어드레스 위치 정보를 부가하여, EFM(Eight to Fourteen Modulation) 변조 처리를 실행한 후, 광 디스크에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수행된다.
한편, 소위, 버퍼 언더런(buffer underrun)이 발생하는 경우 즉, 광 디스크 상의 데이터 기입 속도가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광 디스크의 기록 동작 중에 광 디스크 상에 기록할 데이터가 부족하게 될 경우에는, 광 디스크 상의 데이터 기입을 중단하고,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전송받는 데이터를 버퍼 RAM에 소정량 축적한 후, 광 디스크 상의 데이터 기록을 재개한다.
데이터 기록을 중단한 위치로부터 광 디스크에의 데이터 기입을 재개하기 위해서는, 기록 중단 시의 광 디스크의 속도 정보 및 ATIP 어드레스 정보가 필요하다. 그런데, 데이터를 일정 선속도로 기록하는 종래의 CLV(Constant Linear Velocity) 방식에서는, 내주로부터 외주까지의 모든 영역에서 기록 속도가 일정하다. 종래의 ZCLV(Zone Constant Linear Velocity) 기록 방식의 경우에도, 동일한 존(zone)들에서는 기록 속도가 일정하다. 따라서, EFM 신호는, 기록 재개에 앞서서, 광 픽업이 광 디스크 상의 트레이스(trace)를 개시하는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데 사용되며, 이러한 EFM 신호를 재생하는 광 디스크의 회전 속도 설정에는, 기록 속도(고정치)의 파라미터가 이용되었다.
그런데, 광 디스크에의 데이터 기록 속도의 고속화로 인해, CLV 기록 방식으로부터, 기록 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는 CAV(Constant Angular Velocity) 기록 방식으로 이행하고 있다. CAV 기록 방식에서는 각속도가 일정하기 때문에, 디스크 반경에 따라서 기록 속도가 일정하게 변화하며, 따라서 버퍼 언더런 보호 후의 데이터 기록 재개 시에 EFM 신호의 재생을 행할 때의 광 디스크 속도 설정으로서 고정치의 파라미터를 이용한 종래의 방식은 더 이상 사용할 수가 없게 되었다. 즉, 광 디스크의 재생 속도 설정을 인식하는 수단을 새롭게 설치할 필요가 있게 된 것이다.
일본특허공개 제2002-222561호는, CAV 기록 시에 버퍼 언더런 등을 회피하기 위해 기록이 중단되는 경우, 기록 재개 시에 CAV 기록 방식으로부터 CLV 기록 방식으로 전환함으로써 기록/재생을 수행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기록 재개 시에 CAV 기록 방식으로부터 CLV 기록 방식으로 전환하는 상기 문헌의 방법에서는, 디스크 회전 속도를 선속도 일정의 상태로 안정화하는 데 더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EFM 신호를 검출해야 하면서, 이와 동시에, 광 디스크의 재생 속도의 인식도 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EFM 신호의 검출과 EFM PLL 로크(lock) 간에 광 디스크의 재생 속도의 인식과 그 파라미터의 조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인하여 시간 손실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CAV 기록 방식과 같이 광 디스크의 기록 속도가 변화하는 경우에도, 버퍼 언더런 보호 후의 데이터 기록 재개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시간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록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입 중단을 수행하는 경우, 워블 주파수와 ATIP값을 취득하는 메커니즘과 인코딩 주기 검출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얻은 기록 속도에 알맞는 재생 설정을 이용하여, EFM 신호를 재생함으로써, 시간 손실이 적은 기록 재개를 실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 중단으로부터 기록 재개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성에 따르면, 광 디스크 장치는, 광 디스크에 빔을 조사하여, 광 디스크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고, 그 반사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광 픽업을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재생계 회로와, 속도 정보 검출 회로와, 위치 검출 회로를 포함한다. 재생계 회로는, 광 픽업으로부터의 전기적 신호와 설정치에 기초하여, 기록 중단 후의 광 디스크의 기록을 재개할 때에 사용되는 재생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속도 정보 검출 회로는 광 픽업으로부터의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광 디스크의 기록 중단 전 또는 후의 속도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위치 검출 회로는 광 디스크의 기록 재개 위치 및 현재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액세스부는 광 디스크의 현재 위치로부터 기록 재개 위치로의 광 디스크를 액세스하도록 광 픽업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설정부는 검출된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계 회로의 설정치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설정치는 재생계 회로가 재생 신호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속도 정보 검출 회로는, 워블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워블 신호 검출 회로와, 검출된 워블 신호의 반송파(carrier) 주파수를 측정하기 위한 워블 주기 검출 회로를 포함한다. 대안으로는, 속도 정보 검출 회로는, 워블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워블 신호 검출 회로와, 검출된 워블 신호로부터, ATIP 어드레스 정보가 구해지는 주기를 검출하는 ATIP 주기 검출 회로를 포함한다. 다른 대안으로는, 속도 정보 검출 회로는, 기록 속도에 대응하는 클럭을 생성하기 위한 기록 동기 클럭 생성 회로와, 기록 동기 클럭 생성 회로가 생성한 기록 동기 클럭의 주기를 검출하기 위한 클럭 주기 검출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성에 따르면, 광 디스크 기록 방법은, 기록 중단 요구에 응답하여 광 디스크에 대한 기록을 중단하는 단계; 상기 기록 중단의 전 또는 후에 설정된 기록 속도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기록 속도에 기초하여 소정의 회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 기록 중단 위치보다 앞에 있는 섹터를 액세스하기 위한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기록 중단 위치보다 앞에 있는 섹터를 액세스하는 단계; 기록 중단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회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기록 중단 위치로부터 기록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3은 기록을 중단하고 기입을 재개하는 처리 동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기록을 중단하고 기입을 재개하는 처리 동작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 픽업
2 : 광 디스크
18 : 디스크 모터
501 : 신호 처리 회로
502 : 서보 처리 회로
503 : MPU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의 개략 블럭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는, 광 디스크(2)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고, 내장된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광 디스크(2)로부터 광 픽업(1)으로 반사된 광을 수광하며, 내장된 수광 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반사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 픽업(1)을 포함한다. 광 디스크(2)의 회전은, 마이크로프로세서부(microprocessor unit : MPU)(503)로부터 서보 처리 회로(502)를 통해 송신된 회전 주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크 모터(18)를 구동시킴으로써, 제어된다. 서보 처리 회로(502)는, 광 픽업(1)에 내장된 수광 소자로부터 송신된 전기적 신호에서 포커스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를 검출하여, 광 픽업(1)이 광 디스크(2)의 소망의 위치를 추종하도록 광 픽업(1)의 포커싱 및 트랙킹 추종 동작을 수행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신호 처리 회로(501)는, 재생계 회로, 기록계 회로, 속도 정보 검출 회로, 및 위치 검출 회로를 포함한다. 재생계 회로는 광 픽업으로부터 송신된 재생 신호를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재생계 회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퀄라이저(3), HPF 회로(13), 2치화 회로(14), PLL 회로(15), 복조 회로(16), 서보 회로(4), 스크래치 존(scratch zone) 검출 회로(5), 및 디스크 모터 회전 제어 회로(17)와 같은 소자들을 포함한다. 기록계 회로는 광 디스크(2) 상에 조사될 레이저 빔을 제어하여, 디스크(2)에 대한 기록을 수행한다. 도 5의 실시예에서, 기록계 회로는 기입용 발광 펄스를 생성하는 회로(20)와 기록용 인코더(22)를 포함한다. 속도 정보 검출 회로는 광 디스크(2)에 대한 기록 중단의 전 또는 후의 속도 정보를 검출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속도 정보 검출 회로는 워블 검출 회로(6), 워블 주기 측정 회로(7), 및 ATIP 주기 검출 회로(10)를 임의로 조합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속도 정보 검출 회로는 워블 신호를 검출하는 워블 신호 검출 회로(6)와 검출된 워블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를 측정하는 워블 주기 측정 회로(7)를 포함할 수도 있고; 혹은, 워블 신호검출 회로(6)와, 검출된 워블 신호로부터, ATIP 어드레스 정보가 구해지는 주기를 검출하는 ATIP 주기 검출 회로(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속도 정보 검출 회로는, 기록 속도에 응답하여 기록 동기 클럭을 생성하는 기록 동기 클럭 생성 회로(19)와, 기록 동기 클럭 생성 회로(19)가 생성한 기록 동기 클럭의 주기를 검출하는 클럭 주기 검출 회로(21)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검출 회로는, 기록 중단 위치보다 앞에 있는 섹터를 액세스하는 데 사용되는 광 디스크(2)의 현재 위치를 검출한다. 위치 검출 회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TIP 검출 회로(8)와 ATIP 어드레스 검출 회로(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 회로는 재생 신호로부터 기록 재개 위치를 검출 또는 결정하는 기록 재개 위치 검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서보 처리 회로(502)는, 광 픽업(1)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현재 위치로부터 기록 중단 위치보다 앞에 있는 섹터를 액세스하기 위한 액세스부와, 광 디스크(2)를 회전시키도록 디스크 모터(18)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크 모터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도 1의 MPU(503)는, 신호 처리 회로(501)와 서보 처리 회로(502)와 함께, 검출된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 처리 회로(501)의 재생계 회로의 설정치를 설정하기 위한 각종 설정 테이블부를 갖는 메모리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한다. 도 2에서, MPU(503)는 마이크로컴퓨터(11)와 각종 설정 테이블(12)을 포함한다.
기록 시에는, 동기 클럭을 생성한다. 동기 클럭을 생성하는 데에는 각종의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도 5는 동기 클럭을 생성하기 위한 회로(19)를 도시한다. 도 1에서는, MPU(503)가 동기 클럭을 여러 가지 방식으로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MPU(503)는 워블 신호로부터 재생 속도를 검출한다. MPU(503)는 워블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로부터의 재생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기록용으로 동기 클럭을 생성하는 회로(예를 들면, 회로(19))에 내장된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를 제어한다. 그러면, 이 발진기는 실제 기록 속도에 기초하여 기록용 동기 클럭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MPU(503)는 광 디스크(2)의 워블 신호와 디스크 회전 속도 정보와 트랙 피치 정보와 선속도 정보로부터, ATIP 정보에 포함된 섹터 ID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 속도 정보를 판정한다. 그 다음, MPU(503)는 재생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기록용으로 동기 클럭을 생성하는 회로(예를 들면, 회로(19))의 발진 주파수를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에서, 광 픽업(1)은 내장된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광 디스크(2)로부터 광 픽업(1)으로 반사된 광을 수광하고, 내장된 수광 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반사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광 디스크(2)의 회전은, 마이크로컴퓨터(11)로부터 디스크 모터 제어 회로(17)를 통해 송신된 회전 주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크 모터(18)를 구동시킴으로써, 제어된다. 서보 회로(4)는 광 픽업(1)에 내장된 수광 소자로부터 송신된 전기적 신호로부터 포커스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를 검출하여, 광 픽업(1)이 광 디스크(2)의 소망의 위치를 추종하도록 광 픽업(1)의 포커싱 및 트랙킹 추종 동작을 수행한다.
이퀄라이저 회로(3)는 광 픽업(1)에 내장된 수광 소자로부터 송신된 전기적 신호로부터 광 디스크(2)의 정보 신호를 추출하여, EFM 신호의 파형 등화 및 군(群) 지연 평활화를 수행한다. HPF 회로(13)는 스크래치 통과 시에 EFM 신호의 2치화 전압 레벨의 변동을 억제한다. 2치화 회로(14)는 HPF 회로(13)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2치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PLL 회로(15)는 2치화된 신호로부터 동기 클럭을 생성한다. 복조 회로(16)는 2치화된 신호 및 동기 클럭을 이용하여 광 디스크 상에 기입된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 열(string)로 변환한다. 스크래치 존 검출 회로(5)는 광 픽업(1)에서 획득한 광 디스크(2)의 정보 신호를 이용하여 스크래치 존 정보를 생성한다.
워블 검출 회로(6)는 광 픽업(1)에서 획득했던 광 디스크(2)의 정보 신호를 이용하여 워블 신호를 추출한다. 워블 주기 측정 회로(7)는 추출된 워블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의 주기를 측정한다.
ATIP 검출 회로(8)는 ATIP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취득한다. ATIP 어드레스 검출 회로(9)는 ATIP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광 디스크 상의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ATIP 주기 검출 회로(10)는 ATIP 정보가 검출되는 주기를 취득한다.
마이크로컴퓨터(11)는 워블 주기 검출 회로(7)나 ATIP 주기 검출 회로(10)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직접 판독하거나, 혹은 일정 기간 동안 송신된 정보를 평균화하여 광 디스크(2)로부터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속도를 구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11)는, ATIP 어드레스 검출 회로(8)로부터 송신된 광 디스크 위치 정보 및 마이크로컴퓨터(11)가 제어하는 디스크 모터(18)의 제어 목표 회전 수 정보에 기초하여, 판독 속도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마이크로컴퓨터(11)는, 미리 준비된 각종 설정 테이블(12)을 이용하여, 취득된 판독 속도 정보에 대응하는 설정치를 구한다. 마이크로컴퓨터(11)는 상기 설정치를, 이퀄라이저 회로(3), HPF 회로(13), 2치화 회로(14), PLL 회로(15), 서보 회로(4), 및 스크래치 존 검출 회로(5)의 전부 혹은 어느 하나로 송신하여, 해당 회로(들)를 제어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마이크로컴퓨터(11)는 이퀄라이저 회로(3)의 부스트(boost)량, 차단(cut off) 주파수, 및 군 지연 특성의 전부 혹은 어느 하나를 제어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11)는 HPF 회로(13)의 차단 주파수, 2치화 회로(14)의 비교 레벨의 충전 및 방전 특성, PLL 회로(15)의 응답 특성, 내부 VCO의 중심 주파수, 및 위상 로크(phase-lock) 이전의 오토매틱 프리 러닝(automatic free-running) 주파수의 전부 혹은 어느 하나; 서보 회로(4)의 응답 특성; 및 스크래치 존 검출 회로(5)의 스크래치 존 판정 레벨의 전기적 보유(retention) 특성 및 엔벨로프(envelope) 검출 특성을 제어한다.
즉, 마이크로컴퓨터(11)는 이퀄라이저 회로(3)의 부스트량, 차단 주파수, 군 지연 특성의 전부 혹은 어느 하나를 제어함과 함께, 스크래치 존 검출 회로(5)의 스크래치 존 판정 레벨의 전기적 보유 특성 및 엔벨로프 검출 특성을 제어한다.
이하, 버퍼 언더런 보호 기능에 의한 기록 중단 이후의 기록 재개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기록 중단 이후의 재기입을 위한 처리 동작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로서, 기록 중단 이전에 기록 속도를 검출해 두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3에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201에서는, 기록 처리(기입 처리)가 계속 중이다. 단계 202에서는, 워블 주기 검출 회로(7) 혹은 ATIP 주기 검출 회로(10)로부터의 기록 속도 정보를 마이크로컴퓨터(11) 내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대안으로는, 후술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코딩 클럭을 생성하고, 이 인코딩 클럭의 클럭 주기를 검출하여 속도 정보를 구한다. 이와 같이 구한 속도 정보를 마이크로컴퓨터(11)에 입력한다. 단계 203에서는 기록 중단 요구의 유무를 확인한다. 중단 요구가 없는 경우에("아니오"인 경우)는 단계 202로 되돌아가며, 중단 요구가 있는 경우("예"인 경우)에는 단계 204로 진행한다. 단계 204에서는, 기록 중단 요구에 기초하여, 광 픽업(1)의 레이저 파워를 판독에 필요한 레벨까지 저하시키는 등의 기록 중단 처리를 행한다. 단계 205에서는, 기록 중단 요구 이전에 마이크로컴퓨터(11) 내의 메모리에 보유되어 있던 기록 속도 정보를 판독하고, 각종 설정 테이블(12)을 이용하여 상기 판독 속도에 대응하는 설정치를 구하여, 이퀄라이저 회로(3) 및 HPF 회로(13)의 주파수 특성, 2치화 회로(14)의 응답 특성, PLL 회로(15) 및 서보 회로(4)의 이득, 스크래치 존 검출 회로(5)의 시상수(time cosntant)를 제어한다.
단계 206에서는, 현재의 디스크 위치 정보를 ATIP 어드레스 검출 회로(9)로부터 입수한다. 단계 207에서는, 광 픽업(1)이 기록 재개 위치보다 미리 정해진 개수의 섹터 앞의 위치, 예를 들면 기록 재개 위치보다 N 섹터 앞의 위치를 액세스한다. 단계 208에서는, 광 픽업(1)의 광 디스크 착지 위치에서 트랙킹이 "온(ON)"인지를 확인한다. 동시에, PLL 회로(15)를 이용하여 EFM 신호의 동기 클럭을 생성하는 처리를 개시한다. 단계 209에서는, 광 디스크(2) 상의 기록 재개 위치를 통과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기록 재개 위치를 통과했음을 확인한 경우에는 단계 205로 되돌아간다. 단계 209에서 기록 재개 위치를 통과하지 않았음을 확인한 경우에는 단계 210으로 진행한다. 단계 210에서는, EFM 신호의 동기화가 달성되었는지를, 예컨대, 11T/11TSYNC 주기, 섹터 ID의 검출을 통해 확인한다. 단계 210에서 동기화가 달성되지 않았음을 확인한 경우에는 단계 209로 되돌아간다. 단계 210에서 동기화가 달성되었음을 확인한 경우에는 단계 211로 진행하여, 기록을 재개한다. 단계 211의 기록 재개 처리에서는, 재생 EFM 신호로부터 기록 중단 위치를 예측함과 함께 레이저 파워를 기록 가능 레벨까지 증가시켜 기록을 재개한다.
기록 속도를 결정하는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기록 중단 이후의 기록 재개를 위한 액세스 위치가 기록 중단 위치보다 미리 정해진 개수의 섹터 앞 즉, 기록 중단 위치의 근방이기 때문에, 상기 액세스 위치가 기록 중단 위치의 앞에 있다하더라도, 액세스 위치에서의 기록/재생 속도는 기록 중단 위치에서의 기록/재생 속도와 거의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액세스 위치에서의 기록/재생 속도가 기록 중단 위치에서의 기록/재생 속도와 거의 동일하다는 사실을 이용한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에 의해, 기록 중단 직전의 마이크로컴퓨터(11) 내의 메모리에 보유되어 있던 기록 속도 정보를, 기록 재개를 위한 광 픽업(1)의 액세스 시의 재생 속도로 지정함으로써, 재생 설정이 구해진다. 따라서, EFM 시스템의 PLL의 로크 상태를 단시간에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록 재개를 위한 액세스 개시 위치와 액세스 종료 위치가 함께 기록 중단 위치 근방에 있다는 사실과 그 기록/재생 속도가 서로 거의 동일하다는 사실을 이용함으로써, 워블 주기 검출 회로(7)에서, 주기 검출을 위해 액세스 중에 주기 검출을 수행하는 방식보다는 복수의 평균값을 이용하는 방식을 적용한다면, 액세스 종료 이후에 최초로 검출되는 워블 주기 정보는 기록 중단 위치 근방에서 검출되는 워블 주기와 거의 동일하다고 간주될 수 있다. 액세스 종료 직후의 워블 주기의 속도 정보가 구해지고, 이 속도 정보에 기초한 재생 파라미터가 설정되면, EFM 시스템의 PLL의 로크 상태를 단시간에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안으로서, 도 3의 단계 202와 단계 203 사이에는 기록 속도 정보로부터 재생 설정을 작성하고(단계 205); 도 3의 기록 중단 요구의 단계(단계 203)에서 기록 중단 명령이 출력되면 도 3의 단계 204로 진행한다; 그 다음, 도 3의 단계 206을 실행하는 순서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처리는 기록 속도에 의존하는 모든 재생계 설정을 항상 갱신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처리의 장점은 기록 중단 요구 이후에 특정한 처리(예컨대, 단계 205)를 삽입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이하, 기록 속도 결정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을 중단해야만 하는 것을 알게 된 시점에서, 혹은 기록 종료 시점보다 미리 정해진 개수의 섹터(또는 미리 정해진 데이터량)만큼 앞선 타이밍에서, 기록 속도 검출을 행한다. 워블 주기 검출 회로(7), ATIP 주기 검출 회로(10), 또는 클럭 주기 검출 회로(21)(도 5 참조)로부터 전송된 기록 속도 정보를 마이크로컴퓨터(11) 내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의 흐름도의 단계 202 및 단계 203이 서로 바뀐 것이다. 이 경우, 기록 중단 요구의 단계에서 기록 중단 명령이출력된 후에, 기록 속도 검출 단계에서 마이크로컴퓨터(11) 내에 저장되어 있던 속도 정보를 취득한다.
기록 속도를 검출하는 위치가 기록 종료 위치의 근방이므로, 기록 속도와 재생 속도는 거의 동일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기록 중단 이전에 검출된 워블 주기로부터의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EFM 재생계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ATIP 주기 검출 회로(10)나 인코딩용의 클럭 주기 검출 회로(21)(도 5 참조)로부터 기록 속도 정보를 구할 수도 있다.
예컨대 워블 주기에 기초한 재생계의 설정은, 워블 주기 검출 이후로부터 기록 재개까지 중의 임의의 타이밍에서 가능하다; 그러나, 재생계의 설정은 기록 재개 타이밍을 벗어나서는 안 된다. 각종 설정 테이블(12)의 설정들, 예컨대 도 3의 단계 205에서의 설정들은, 동시에 혹은 하나씩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설정들 중 일부는 동시에 이루어지고 그 나머지 일부는 하나씩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기록 속도 결정의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중단 후의 기록 재개를 위해 광 픽업(1)이 광 디스크(2)를 액세스하기 시작하기 이전의 임의의 타이밍에서 기록 속도 검출을 행한 다음, 워블 주기 검출 회로(7), ATIP 주기 검출 회로(10), 또는 인코딩용의 클럭 주기 검출 회로(21)(도 5 참조)로부터 전송된 기록 속도 정보를 마이크로컴퓨터(11) 내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각종 설정 테이블(12)의 설정들, 예를 들면 도 3의 단계 205의 설정들은, 기록 재개 위치에 도달하기 이전까지 적용된다. 대안으로, 기록 속도를 검출하는 단계 202를 행하고,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206을 동시에 행한 다음; 기록 속도정보로부터 재생 설정을 구하는 단계 205를 행하고; 단계 207 이후의 단계들을 행하는 순서의 동작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기록 속도 결정의 제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재개를 위하여 광 픽업(1)이 광 디스크(2) 상의 기록 재개 위치보다 앞에 있는 임의의 위치에 착지한 타이밍에서 기록 속도의 검출을 행하여, 워블 주기 검출 회로(7), ATIP 주기 검출 회로(10), 또는 인코딩용의 클럭 주기 검출 회로(21)(도 5 참조)로부터 송신된 기록 속도 정보를 마이크로컴퓨터(11) 내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도 4는 기록 중단 이후의 기록 재개를 위한 처리 동작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로서, 액세스하여 착지한 후에 기록 속도를 검출하는 경우의 처리 동작을 도시한다. 단계 301에서는 기록이 수행되고 있다. 단계 302에서는 기록 중단 요구의 유무를 확인한다. 중단 요구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302로 되돌아가고, 중단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303으로 진행한다. 단계 303에서는, 기록 중단 요구에 기초하여, 광 픽업(1)의 레이저 파워를 판독에 필요한 레벨까지 저하시키는 등의 기록 중단 처리를 행한다. 단계 304에서는 현재 디스크 위치 정보를 ATIP 어드레스 검출 회로(8)로부터 입수한다. 단계 305에서는 광 픽업(1)이 기록 재개 위치보다 N 섹터 앞에 있는 섹터 위치를 액세스한다. 단계 306에서는, 광 픽업(1)이 착지한 위치에서 트랙킹을 "온"으로 전환한다. 트랙킹을 "온"으로 전환하면, 워블 PLL이 재개된다. 단계 307에서는, 워블 주기 검출 회로(7), ATIP 주기 검출 회로(10) 또는 인코딩용의 클럭 주기 검출 회로(21)(도 5 참조)로부터 송신된기록 속도 정보를 마이크로컴퓨터(11) 내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입수되는 기록 속도 정보의 신뢰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워블 PLL 동기를 확인한 후에 기록 속도 정보를 입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308에서는, 각종 설정 테이블(12)을 사용하여 판독 속도(기록 속도 정보로부터 구한 속도)에 대응하는 설정치를 취득함으로써, 이퀄라이저 회로(3), HPF 회로(13), 2치화 회로(14), PLL 회로(15), 서보 회로(4), 및 스크래치 존 검출 회로(5)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한다. 워블 PLL의 재개는, 광 픽업(1)이 기록 재개 위치를 통과하기 전까지 행하여야 한다. 이 경우, EFM계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액세스 후에 EFM으로부터 재생 속도 성분을 추출한 다음, 재생 속도를 검출한다. EFM으로부터 재생 속도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11T/11T의 SYNC 패턴 간격을 조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스크래치 등을 오해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평균화는 필요하므로, 재생 속도를 즉시 검출할 수는 없다.
한편, 액세스 중에 워블 PLL 주파수 보유 처리가 행하여졌다면, 액세스하여 착지한 직후에 PLL이 로크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간단히, 워블 PLL 로크 상태에서 동기 클럭 주기 등을 검출하면, 신속한 속도 검출이 가능하고, 이와 같이 신속한 속도 검출은 기록을 재개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데 유리하다.
또한, 기록 재개를 위한 액세스 개시 위치와 액세스 종료 위치 둘 다, 기록 중단 위치의 근방에 있어, 이들의 기록 재생 속도들이 서로 거의 동일하다는 사실을 이용함으로써, 워블 주기 검출 회로(7)에서는, 액세스 중에 주기 검출을 행하는방식보다는 복수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주기 검출을 행하는 방식이 적용된다. 이로써, 액세스 종료 위치의 재생 속도를 설정하기 위해 액세스 이후에 최초로 검출되는 워블 주기를 이용함으로써 재생계의 속도 설정을 신속하게 최적화할 수 있게 된다.
단계 308에서는 EFM을 재생하기 위한 설정을 취득하여 EFM 신호를 재생하고, 단계 309에서는 기록 위치를 통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기록 위치를 통과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단계 304로 되돌아간다. 기록 재개 위치를 통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단계 310에서 EFM 신호 동기가 확인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 310에서 EFM 신호 동기가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단계 309로 되돌아간다. 단계 310에서 EFM 신호 동기가 확인된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단계 311에서 기록을 재개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기록 동기 클럭을 이용하여 기록 중단 시에 기록 속도 정보를 입수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에서, 도 2에도 도시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기록용 인코더(18)는, 기록될 데이터를, 예컨대 호스트 컴퓨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열을, 광 디스크(2) 상에 기록될 수 있는 포맷으로 이루어진 데이터로 변환한다. 기록용 인코더(22)는 소정의 기록 속도보다 더 고속인 인코딩 속도로 동작한다. 기록용 동기 클럭 생성 회로(19)는 기입 속도에 대응하는 클럭을 생성한다. 기입용 발광 펄스 생성 회로(20)는, 기록용 동기 클럭 생성 회로(19)의 클럭에 의해 규정된 기록 속도로, 기록용 인코더(18)로부터 송신된 기록용 신호를, 광 픽업(1)의 레이저 파워 전환 제어 타이밍 신호(기입용 발광 펄스 타이밍 제어 신호)로 변환한다. 기입용 발광 펄스 생성 회로(20)로부터 송신된 레이저 파워 전환 제어 타이밍 신호를 수신한 광 픽업(1)은, 그 타이밍 신호에 대응하는 기입 동작(레이저 파워 전환 제어)를 행한다. 클럭 주기 검출 회로(21)는, 기록용 동기 클럭 생성 회로(19)에서 생성된 기록 동기 클럭의 주기를 검출한다. 클럭 주기 검출 회로(21)에서 검출된 주기는 기록 속도 주기 그 자체이며, 마이크로컴퓨터(11)는 이 클럭 주기(기록 속도 주기)를 모니터링하여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기록 속도를 검출한다. 이 기록 동기 클럭의 주기를 기록 속도 정보로서 입수하는 타이밍은,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 중단 후의 기록 재개를 위한 액세스 착지 위치에서 EFM 신호의 PLL 동기 동작을 고속이며 신뢰성있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은 액세스하여 착지한 이후에 기록 재개 위치 대기 상태로 단시간에 이행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버퍼 언더런 보호 후의 데이터 기록 재개 시에 발생될 수 있는 불필요한 시간 손실, 예컨대 기록 재개 위치를 통과했을 때 요구되는 복수의 재시도 액세스들에 의해 발생되는 시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CAV 기록 방식과 같이 광 디스크의 기록 속도가 변화하는 경우에 있어서 유효하다.
상술한 장치 및 방법의 구성들은 본 발명의 원리에 대한 응용을 예시한 것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다른 여러 가지 실시예들과 변형예들을, 특허청구범위에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 내에서 안출해 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으로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될 특허청구범위 및 그 최대한의 범주의 동등물로 규정되어야 한다.

Claims (21)

  1. 광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광 디스크에 빔을 조사하고, 상기 광 디스크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며, 상기 반사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광 픽업;
    상기 광 픽업으로부터의 상기 전기적 신호 및 설정치에 기초하여, 기록 중단 이후에 상기 광 디스크의 기록을 재개하는 데 사용되는 재생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재생계 회로; 상기 광 픽업으로부터의 상기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광 디스크의 기록 중단 전 또는 후의 속도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속도 정보 검출 회로; 및 상기 광 디스크의 기록 재개 위치 및 현재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검출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상기 광 디스크의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기록 재개 위치에서 상기 광 디스크를 액세스하도록 상기 광 픽업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부; 및
    상기 검출된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계 회로의 설정치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설정부 - 상기 설정치는 상기 재생계 회로가 상기 재생 신호를 생성하는 데 사용됨 -
    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기록을 재개하기 위한 기록 재개 속도는 상기 속도 정보 검출 회로에서의 상기 검출된 속도인 광 디스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디스크 상의 상기 기록 재개 위치는 상기 광 디스크 상의 기록 중단 위치에서 상기 기록 중단 이전에 기록이 행하여졌던 위치인 광 디스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계 회로는, 상기 광 픽업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전기적 신호로부터 상기 광 디스크의 정보 신호를 추출하여 EFM 신호의 파형 등화 및 군 지연 평활화를 행하는 이퀄라이저 회로; 스크래치 통과 시에 상기 EFM 신호의 2치화 전압 레벨의 변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되는 HPF 회로; 상기 HPF 회로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2치화하도록 구성되는 2치화 회로; 상기 2치화된 신호로부터 동기 클럭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PLL 회로; 상기 2치화된 신호 및 상기 동기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광 디스크 상에 기입된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 열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복조 회로; 및 상기 광 픽업에서 획득한 상기 광 디스크의 정보 신호를 이용하여, 스크래치 존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스크래치 존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치는 상기 이퀄라이저 회로 및 상기 HPF 회로의 주파수 특성, 상기 2치화 회로의 응답 특성, 상기 PLL 회로 및 서보 회로의 이득, 및 상기 스크래치존 검출 회로의 시상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정보 검출 회로는, 워블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워블 신호 검출 회로; 및 상기 검출된 워블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워블 주기 측정 회로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정보 검출 회로는, 워블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워블 신호 검출 회로; 및 상기 검출된 워블 신호로부터, ATIP 어드레스 정보가 구해지는 주기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ATIP 주기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정보 검출 회로는, 기록 속도에 대응하는 기록 동기 클럭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기록 동기 클럭 생성 회로; 및 상기 기록 동기 클럭 생성 회로에서 생성한 기록 동기 클럭의 주기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클러 주기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정보 검출 회로로부터 전송된 기록 속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더 포함하고,
    기록 중단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상기 기록 중단 요구 이전의 속도 정보를 판독하는 광 디스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정보 검출 회로로부터 전송된 기록 속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더 포함하고,
    기록 중단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기록 중단 요구보다 소정 개수의 섹터 앞에 있는 섹터의 속도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하는 광 디스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정보 검출 회로는, 기록 중단 요구 이후로부터, 상기 광 픽업이 기록이 중단된 위치보다 앞에 있는 섹터를 액세스하기 시작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의 속도 정보를 검출하는 광 디스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정보 검출 회로는, 상기 광 픽업이, 기록 중단 요구에 후속하여, 상기 기록 중단 위치보다 앞에 있는 섹터를 액세스하여 착지한 후에, 속도 정보를 검출하는 광 디스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정보 검출 회로는, 워블 신호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워블 검출 회로; 및 상기 워블 검출 회로에서 검출한 상기 워블 신호의 반송파 주파수를 측정하고, 상기 광 디스크의 기록 중단 전 또는 후의 속도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워블 주기 검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검출부는, 상기 워블 검출 회로로부터 입수한 상기 워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광 디스크의 절대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ATIP 어드레스 정보로부터, 기록 중단 이후에 기록이 중단된 위치보다 앞에 있는 섹터를 액세스하는 데 사용되는 현재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ATIP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워블 주기 검출 회로와 상기 ATIP 주기 검출 회로 중 어느 하나에서 입수한 기록 속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더 포함하고,
    기록 중단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상기 기록 중단 요구 이전의 속도 정보를 판독하는 광 디스크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정보 검출 회로는, 워블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워블 신호 검출 회로; 및 상기 검출된 워블 신호로부터, ATIP 어드레스 정보가 구해지는 주기를 검출하여, 상기 광 디스크의 기록 중단 전 또는 후의 속도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ATIP 주기 검출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검출부는, 상기 워블 검출 회로로부터 입수한 상기 워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광 디스크의 절대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ATIP 어드레스 정보로부터, 기록 중단 이후에 기록이 중단된 위치보다 앞에 있는 섹터를 액세스하는 데 사용되는 현재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ATIP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장치.
  16. 광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광 디스크에 빔을 조사하고, 상기 광 디스크로부터 반사된 광을 수광하며, 상기 반사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광 픽업;
    상기 광 픽업으로부터의 상기 전기적 신호 및 설정치에 기초하여, 기록 중단 이후에 상기 광 디스크의 기록을 재개하는 데 사용되는 재생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재생계 회로; 상기 광 디스크 상에 빔을 조사하는 기록 동작의 기록 속도에 대응하는 클럭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기록 동기 클럭 회로; 상기 기록 동기 클럭 회로에서 생성한 기록 동기 클럭의 주기를 검출하여, 상기 광 디스크의 기록 중단 전 또는 후의 속도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클럭 주기 검출 회로; 및 상기 광 디스크의 기록 재개 위치 및 현재 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검출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기록 재개 위치에서 상기 광 디스크를 액세스하도록 상기 광 픽업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부; 및
    상기 검출된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계 회로의 설정치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설정부 - 상기 설정치는 상기 재생계 회로가 상기 재생 신호를 생성하는 데 사용됨 -
    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장치.
  17. 광 디스크 기록 방법에 있어서,
    기록 중단 요구에 응답하여 광 디스크에의 기록을 중단하는 단계;
    상기 기록 중단 전 또는 후에 설정된 기록 속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기록 속도에 기초하여 소정 회로용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
    기록이 중단된 위치보다 앞에 있는 섹터를 액세스하기 위한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기록 중단 위치보다 앞에 있는 상기 섹터를 액세스하는 단계;
    상기 기록 중단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회로용으로 설정된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중단 위치로부터 기록을 재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기록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속도 검출 단계는, 상기 기록 중단 요구 이전의 속도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기록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속도 검출 단계는, 상기 기록 중단 요구보다 소정 개수의 섹터 앞에 있는 섹터의 속도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기록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속도 검출 단계는, 상기 기록 중단 요구 이후로부터, 상기 광 픽업이 상기 기록 중단 위치보다 앞에 있는 섹터를 액세스하기 시작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의 속도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기록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속도 검출 단계는, 상기 광 픽업이, 상기 기록 중단 요구에 후속하여, 상기 기록 중단 위치보다 앞에 있는 섹터를 액세스하여 착지한 후에, 속도 정보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기록 방법.
KR10-2003-0059858A 2003-01-20 2003-08-28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 및 광 디스크 기록/재생 방법 KR100532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10674 2003-01-20
JP2003010674A JP4223818B2 (ja) 2003-01-20 2003-01-20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175A true KR20040069175A (ko) 2004-08-04
KR100532904B1 KR100532904B1 (ko) 2005-12-02

Family

ID=32709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858A KR100532904B1 (ko) 2003-01-20 2003-08-28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 및 광 디스크 기록/재생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06269B2 (ko)
JP (1) JP4223818B2 (ko)
KR (1) KR100532904B1 (ko)
CN (1) CN1276416C (ko)
TW (1) TWI2212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7693B2 (ja) * 2004-09-30 2009-09-09 株式会社東芝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検知信号処理方法
JP4794260B2 (ja) * 2005-09-28 2011-10-19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7149182A (ja) * 2005-11-25 2007-06-14 Hitachi Ltd 光ディスク記録装置の記録制御方法及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2008010111A (ja) * 2006-06-30 2008-01-17 Sony Corp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の制御方法
TW200915313A (en) * 2007-09-21 2009-04-01 Quanta Storage Inc Reading/writing method for an optical method
CN111210849A (zh) * 2018-11-21 2020-05-29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光盘刻录方法、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5036B2 (ja) * 1987-12-25 1997-02-26 京セラ株式会社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のトラッキングデフェクト解消方法
JP3594547B2 (ja) * 1999-11-22 2004-12-02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ータ記録装置
JP2002025199A (ja) * 2000-07-11 2002-01-25 Sony Corp 記録装置、記録媒体、再生装置、記録媒体の判別方法
JP2002222559A (ja) * 2001-01-24 2002-08-09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再生装置
JP2002222561A (ja) 2001-01-25 2002-08-09 Sanyo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の記録制御方法
JP4023140B2 (ja) * 2001-11-26 2007-12-19 ソニー株式会社 光学記録媒体装置、光学記録媒体の記録方法、光学記録媒体の再生方法
EP1472689A1 (en) * 2002-01-22 2004-11-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cord carrier
TWI223243B (en) * 2002-07-25 2004-11-01 Acer Labs Inc Optical disk system which records data onto optical disk at a constant angular veloc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2904B1 (ko) 2005-12-02
JP4223818B2 (ja) 2009-02-12
JP2004227612A (ja) 2004-08-12
CN1276416C (zh) 2006-09-20
US7206269B2 (en) 2007-04-17
US20040141435A1 (en) 2004-07-22
CN1517985A (zh) 2004-08-04
TW200414145A (en) 2004-08-01
TWI221274B (en) 2004-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4053B1 (en) Disk recording system
US5182741A (en) Optical disk recording/reproducing device utilizing a constant angular velocity method with a constant linear velocity formatted optical disk
KR100404058B1 (ko)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H07326158A (ja) 追記型光ディスク記録装置
KR100752020B1 (ko) 디스크 기록 장치 및 방법
JP2001176194A (ja) ディスク記録装置
JPH11161961A (ja) 光ディスクの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の再生方法
JP4100377B2 (ja) クロック生成回路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KR100532904B1 (ko) 광 디스크 기록/재생 장치 및 광 디스크 기록/재생 방법
JP2001250330A (ja) 制御装置
KR100648993B1 (ko) 디스크 기록 장치
JPH10320784A (ja)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再生方法
JP2001283439A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の光学ヘッド発光出力設定方法
TW550552B (en)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dium, rea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determination method
JP2001250329A (ja) データ記録装置
JP2003109319A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光ディスク記録装置の制御方法
KR20010062675A (ko) 데이터 기록 시스템
JP2004178743A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
US20010006501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device
JP2008226448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0048378A (ja) アクセス方法
JP4494941B2 (ja) データ記録用クロック信号発生回路
JP2001052352A (ja) 光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2216379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スレッドサーボ補正量算出方法
JP2009526342A (ja) Adip情報を識別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