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7901A -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 및 차량용 주니어 시트 - Google Patents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 및 차량용 주니어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7901A
KR20040067901A KR1020040002546A KR20040002546A KR20040067901A KR 20040067901 A KR20040067901 A KR 20040067901A KR 1020040002546 A KR1020040002546 A KR 1020040002546A KR 20040002546 A KR20040002546 A KR 20040002546A KR 20040067901 A KR20040067901 A KR 20040067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base
seat base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사이켄조우
오오니시이치로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카사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카사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프리카 카사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7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90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66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booster cushions, e.g. to lift a child to allow proper use of the conventional safety be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6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immune complex formed in liquid phase
    • G01N33/537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immune complex formed in liquid phase with separation of immune complex from unbound antigen or antibody
    • G01N33/53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immune complex formed in liquid phase with separation of immune complex from unbound antigen or antibody by sorbent column, particles or resin strip, i.e. sorb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65Adaptations for seat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2/023Three-point seat belt systems comprising two side lower and one side upper anchor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5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using diffusion or migration of antigen or antibod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6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hepatit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pregnancy or the gon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8Belt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01Knee, leg or head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2/023Three-point seat belt systems comprising two side lower and one side upper anchoring devices
    • B60R22/024Adaptations for use by small passengers, e.g.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60R22/14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incorporating enlarged restraint areas, e.g. vests, nets, crash pads, optionally for 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의 좌석에 착좌하는 사람에 대해, 시트 벨트의 허리벨트 부분을 적정한 위치에 안정되게 고정 지지할 수 있는 좌석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좌석 매트(1)는 차의 좌석에 착좌하는 사람의 엉덩이에 깔리는 좌석 베이스(20)와, 좌석 베이스(20)의 전방의 양 측연부로부터 착좌자의 엉덩이의 양 측부에 따라서 상방으로 세워서 늘어나고, 차의 시트 벨트의 허리벨트 부분을 통과시키는 1쌍의 루프부(30, 40)와, 각 루프부(30, 40)의 상단부와 좌석 베이스(20)의 후방의 양 측연부를 연결하는 경사 연결 부재(5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 및 차량용 주니어 시트{SEAT BELT GUIDING AUXILIARY DEVICE AND JUVENILE CAR SEAT}
기술분야
본 발명은 차의 시트 벨트를 적절한 위치에 안내하기 위한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그러한 보조구를 구비한 좌석 매트, 차량용 주니어 시트 및 차의 좌석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차의 앞부분 좌석의 시트 벨트는 착좌자의 한쪽의 어깨로부터 경사 하방으로 늘어나는 어깨벨트 부분과, 착좌자의 하복부 위를 늘어나는 허리벨트 부분을 갖는다. 한편, 뒷좌석의 시트 벨트로서는 허리벨트 부분만을 갖는 것도 있다.
인간의 신체중에서, 골반은 가장 튼튼한 부위의 하나이다. 차의 시트 벨트는 사람의 골반의 위치를 단단히 고정 지지하여 두는 것이여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시트 벨트의 허리벨트 부분은 착좌자의 골반을 안정하게 고정 지지하기 위해, 착좌자의 배꼽보다 아래의 위치, 또는 치골의 위의 위치를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리벨트 부분이 상기한 적정 위치를 통과하는 것이면, 착좌자의 배를 압박하지 않는다.
그런데, 시트 벨트가 인출되는 위치는 차종에 따라 다르며, 또한 사람의 체형도 다르기 때문에, 시트 벨트의 허리벨트 부분을 상기한 적정한 위치에 유지할 수가 없고, 배를 압박하는 위치로 통과시키지 않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시트 벨트의 장착시에 허리벨트 부분을 상기한 적정한 위치에 유지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사용중의 착좌자의 자세의 움직임 등의 영향으로, 허리벨트 부분이 상방의 위치로 벗어나와 배를 압박하게 된다.
특히 임신부에 있어서는 배의 압박은 정말로 꼭 피하고 싶은 것이다.
특개소63-222956호 공보는 임신부용의 시트 벨트 보조구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시트 벨트 보조구는 착좌자의 대퇴부를 아래로부터 받아들이는1쌍의 위를 향한 만곡부와, 양 만곡부의 중간에 위치하는 평탄부상에 마련된 L자형의 갈고리부를 구비한다. 시트 벨트의 허리벨트 부분이 갈고리부를 통과함에 의해, 배의 압박을 피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5,005,865호 명세서도 임신부용의 시트 벨트 보조구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시트 벨트 보조구는 착좌자의 엉덩이의 아래에 놓여지는 시트 패드와, 시트 패드로부터 늘어나 있는 스트랩과, 시트 벨트의 허리벨트 부분에 장착된 슬리브를 구비한다. 스트랩은 착좌자의 양 태퇴부의 사이로부터 상방으로 늘어나고, 슬리브에 연결됨에 의해, 허리벨트 부분을 하방으로 끄려내려서 배의 압박을 피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특개소63-222956호 공보
[특허 문헌 2]
미국특허 제5,005,865호 명세서
상기한 선행 기술 문헌에 개시된 시트 벨트 보조구에서는 대퇴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갈고리부나, 대퇴부의 사이에서 아래로부터 상방으로 늘어나는 스트랩이 있기 때문에, 스커트를 입고 있는 사람이면 스커트를 걷어올린 상태에서 보조구를 사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커트를 입은 임신부를 포함하여 착좌자 전반에 대해, 시트 벨트의 허리벨트 부분을 적정한 위치에 안정되게 고정 지지할 수 있는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 벨트의 허리벨트 부분을 적정한 위치에 안정되게 고정 지지할 수 있는 차량용 주니어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는 차의 좌석에 착좌하는 사람의 엉덩이의 아래에 위치하는 좌석 베이스와, 좌석 베이스의 전방의 양 측연부로부터 착좌자의 엉덩이의 양 측부에 따라서 상방으로 세워서 늘어나고, 차의 시트 벨트의 허리벨트 부분을 통과시키는 1쌍의 루프부와, 각 루프부의 상단부와 좌석 베이스의 후방의 양 측연부를 연결하는 경사 연결 부재를 구비한다.
좌석 베이스의 위치는 착좌자 자신의 체중에 의해 항상 안정되게 고정 유지된다. 또한, 1쌍의 루프부와 좌석 베이스의 후방 양 측연부는 경사 연결 부재에 의해 장력을 갖고 연결되기 때문에, 1쌍의 루프부의 위치를 안정되게 고정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에 의하면, 루프부의 높이를 적절하게 유지함에 의해, 1쌍의 루프부를 통과하는 허리벨트 부분을 항상 적정한 위치, 즉 배를 압박하지 않고 골반을 고정할 수 있는 위치에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에 의하면, 착좌자의 양 대퇴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요소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스커트를 걷어올릴 필요가 없고 스커트 착용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중에서 사용하는 용어로서의 「엉덩이」란, 다리가 붙은 부분의 배면 및 태퇴 상부의 배면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는 차의 좌석에 착좌하는 사람의엉덩이의 아래에 깔리는 좌석 매트의 형태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는 차의 좌석상에 배치되고 착좌자의 앉은 키 위치를 높이는 주니어 시트의 형태를 갖는다.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의 좌석 베이스는 차에 비치된 좌석의 좌부이다.
바람직하기는 루프부는 좌석 베이스로부터 연속적으로 늘어나서 외측으로 되접힌 연장 되접는 부분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하면, 착좌자의 엉덩이의 대소에 관계없이, 항상 착좌자의 엉덩이의 양 측면에 따라서 원활하게 루프 부분을 세울 수 있다. 이것을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좌석 베이스와 연장 되접는 부분을 봉제(縫製) 부재에 의해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이 하면, 1쌍의 루프부가 신체에 편안하게 접촉하게 된다.
바람직하기는 루프부는 상기한 연장 되접는 부분의 선단과 좌석 베이스의 이면을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접속 수단은 연장 되접는 부분의 선단으로부터 늘어나 있는 연장 벨트와, 좌석 베이스의 이면으로부터 늘어나 있는 베이스 벨트와, 연장 벨트와 베이스 벨트를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는 버클을 포함한다. 상기 경우, 연장 벨트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 벨트의 길이를 조절함에 의해, 착좌자의 체형에 맞추어 1쌍의 루프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베이스 벨트는 바람직하기는 좌석 베이스의 이면의 폭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늘어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좌석 베이스를 부드럽고 신장성이 있는 헝겁제 등의 원단으로 하여도, 베이스 벨트에 의해 좌석 베이스의 강도를 보충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는 각 경사 연결 부재는 좌석 베이스의 측연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세워서 늘어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각 경사 연결 부재가 착좌자의 엉덩이의 측면에 따라서 원활하게 연장되기 때문에, 신체에 편안한 좌석 매트로 된다. 상기 작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보다 바람직하기는 좌석 베이스와, 각 경사 연결 부재와, 각 연장 되접는 부분을 연속적으로 형성한 봉제 부재로 한다.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는 좌석 베이스의 후연부로부터 세워서 착좌자의 허리를 뒤로부터 지지하는 허리 서포트 쿠션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시트 벨트에 의해 구속된 착좌자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고, 착좌자의 피로를 경감할 수 있다.
허리 서포트 쿠션과 좌석 베이스의 후연부를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는 수단을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피로도에 응하여, 허리 서포트 쿠션을 부착하거나 떼어낼 수 있다.
허리 서포트 쿠션을 구비하는 경우, 바람직하기는 좌석 베이스는 후연부로부터 후방 또는 상방으로 연장하여 늘어나 있는 유연한 후방 연장부를 포함한다. 허리 서포트 쿠션은 후방 연장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유연한 후방 연장부의 높이를 적당하게 변경함에 의해, 허리 서포트 쿠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를 항상 차의 좌석상의 정위치에 유지하여 두기 위해, 좌석 베이스를 차의 좌석에 고정하기 위한 좌석 베이스 고정 부재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주니어 시트는 차의 좌석상에 배치된 것으로서, 소정의 높이를 갖는 좌석 베이스와, 좌석 베이스의 전방의 양 측연부로부터 착좌자의 엉덩이의 양 측부에 따라서 상방으로 세워서 늘어나고, 차의 시트 벨트의 허리벨트 부분을 통과시키는 1쌍의 루프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는 루프부는 유연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기는 차량용 주니어 시트는 각 루프부의 상단부와 좌석 베이스의 후방의 양 측연부를 연결하는 경사 연결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한 차량용 주니어 시트는 좌석 베이스의 후단연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서 늘어나 있는 등받이벽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좌석 매트의 전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좌석 매트의 전개 상태의 저면도.
도 3은 좌석 매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허리 서포트 쿠션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좌석 매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허리 서포트 쿠션이 높은 위치로 가져와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좌석 매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허리 서포트 쿠션이 낮은 위치로 가져와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차량용 주니어 시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 부호의 설명>
1 : 좌석 매트 2 : 좌석 베이스 고정 벨트
3 : 버클 4 : 어깨벨트 부분
5 : 허리벨트 부분 20 : 좌석 베이스
21 : 후방 연장부 22 : 슬라이더
23 : 계합 레일 30 : 루프부
31 : 연장 되접는 부분 32 : 연장 벨트
33 : 베이스 벨트 34 : 수컷측 고정구
35 : 암컷측 고정구 40 : 루프부
41 : 연장 되접는 부분 42 : 연장 벨트
43 : 베이스 벨트 44 : 수컷측 고정구
45 : 암컷측 고정구 50 : 경사 연결 부재
60 : 허리 서포트 쿠션 61 : 계합 레일
100 : 좌석 베이스 102 : 좌석 베이스 고정 벨트
103 : 버클 120 : 좌석 베이스의 상면
130 : 루프부 131 : 연장 되접는 부
132 : 연장 벨트 133 : 베이스 벨트
134 : 수컷측 고정구 135 : 암컷측 고정구
150 : 경사 연결 부재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좌석 매트(1)를 전개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2는 저면도이다. 도 3, 도 5 및 도 6은 좌석 매트(1)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 도 5 및 도 6에서는 차의 좌석, 착좌자 및 시트 벨트를 상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허리 서포트 쿠션(60)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의 시트 벨트는 일반적으로는 착좌자의 한쪽의 어깨로부터 경사 하방으로 늘어나는 어깨벨트 부분(4)과, 착좌자의 하복부 위를 늘어나는 허리벨트 부분(5)을 갖는다. 차의 뒷좌석에서는 허리벨트 부분(5)만으로 된 시트 벨트도 있다.
좌석 매트(1)는 착좌자의 골반을 안정하게 고정 지지하기 위해, 시트 벨트의 허리벨트 부분(5)을 적정한 위치로 유도하고, 그 위치에서 허리벨트 부분을 안정되게 고정 지지하는 것이다. 허리벨트 부분(5)은 착좌자의 배꼽보다 아래의 위치, 또는 치골의 위의 위치를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석 매트(1)는 착좌자의 엉덩이의 아래에 깔리는 좌석 베이스(20)와, 사용 상태에서 좌석 베이스(20)의 전방의 양 측연부로부터 착좌자의 엉덩이의 양 측부에 따라서 상방으로 세워서 늘어나는 1쌍의 루프부(30, 40)와, 각 루프부(30, 40)의 상단부와 좌석 베이스(20)의 후방의 양 측연부를 연결하는 경사 연결 부재(50)와, 허리 서포트 쿠션(60)을 구비한다. 시트 벨트의 허리벨트 부분(5)은 1쌍의 루프부분(30, 40)을 통과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허리 서포트 쿠션(60)이 좌석 베이스(20)로부터 떼내여저 있다.
좌석 베이스(20)의 후방단 부분에, 버클(3)을 갖는 좌석 베이스 고정 벨트(2)가 고정하여 부착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석 베이스 고정 벨트(2)를, 차의 좌석을 둘러싸도록 부착함에 의해, 좌석 매트(1)를 항상 차의 좌석상의 정위치에 유지하여 둘 수 있다.
도 1 및 도 2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각 루프부(30, 40)는 연장 되접는 부분(31, 41)과 연장 벨트(32, 42)와 베이스 벨트(33, 43)를 갖는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좌석 매트(1)의 전개 상태에서는 연장 되접는 부(31, 41)는 베이스부(20)의 전방의 양 측연부로부터 측방으로 뻗어나와 있다. 도 3에 도시한 좌석 매트(1)의 사용 상태에서는 연장 되접는 부(31, 41)는 베이스부(20)의 양 측연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상방으로 세워지고, 또한 외측으로 되접혀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좌석 베이스(20)와 연장 되접는 부(31, 41)는 연속적으로 형성된원단의 봉제 부재이다.
연장 되접는 부(31, 41)의 선단과 좌석 베이스(20)의 이면은 연장 벨트(32, 42) 및 베이스 벨트(33, 43)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장 되접는 부(31, 41)에 꿰매져 있는 연장 벨트(32, 42)는 연장 되접는 부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여 늘어나 있다. 또한, 좌석 베이스(20)의 이면에 꿰매져 있는 베이스 벨트(33, 43)는 좌석 베이스(20)의 이면으로부터 돌출하여 늘어나 있다. 연장 벨트(32, 42)에는 버클의 한쪽 요소인 수컷측 고정구(34, 44)가 부착되어 있고, 베이스 벨트(33, 43)에는 버클의 다른쪽 요소인 암컷측 고정구(35, 45)가 부착되어 있다. 수컷측 고정구(34, 44)와 암컷측 고정구(35, 45)를 끼워맞추면, 1쌍의 루프부(30, 40)가 닫히여진 루프를 형성한다.
연장 벨트(32, 42)와 수컷측 고정구(34, 44)의 부착 위치를 조절함에 의해, 연장 벨트(32, 42)의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연장 벨트(32, 42)의 돌출 길이를 바꾸면, 1쌍의 루프부(30, 40)의 높이도 변한다. 따라서 착좌자의 체형에 맞추어서 연장 벨트(32, 42)의 길이를 조절함에 의해 1쌍의 루프부(30, 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벨트(33, 43)는 좌석 베이스(20)의 이면의 폭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늘어나 있는 1개의 벨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착좌자에 대해 기분 좋은 감촉을 주기 위해, 좌석 베이스(20)를 부드럽고 신장성이 있는 헝겁제 등의 원단으로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라도, 좌석 베이스(20)의 이면에 꿰매여지고 폭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늘어나 있는 벨트가좌석 베이스(20)의 강도를 보충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좌석 매트(1)의 전개 상태에서는 각 경사 연결 부재(50)는 전방을 향하여 폭이 넓어지도록 좌석 베이스(20)의 양 측부로부터 측방으로 뻗어나와 형성되어 있다. 도 3, 5 및 6의 사용 상태에서는 각 경사 연결 부재(50)는 좌석 베이스(20)의 양 측연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세워지고, 각 루프부(30, 40)의 상단부와 좌석 베이스(20)의 후방 측연부를 장력을 유지하여 연결하고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좌석 베이스(20)와, 각 경사 연결 부재(50)와, 각 연장 되접는 부분(31, 41)은 연속적으로 형성된 원단의 봉제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착좌자의 엉덩이의 대소에 관계없이, 각 경사 연결 부재(50) 및 각 연장 되접는 부분(31, 41)을 착좌자의 엉덩이의 양 측면에 따라서 원활하게 연장시킬 수 있다.
좌석 베이스(20)에는 항상 착좌자의 체중이 실려 있기 때문에, 좌석 베이스(20)의 위치는 항상 안정되게 고정된다. 특히 좌석 베이스(20)의 후방 부분에는 항상 착좌자의 엉덩이가 실려 있기 때문에, 각 경사 연결 부재(50)의 후방단 부분의 위치도 안정되게 고정된다. 각 루프부(30, 40)와 좌석 베이스(20)의 후방 부분은 항상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각 경사 연결 부재(50)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1쌍의 루프부(30, 40)의 높이는 항상 안정되게 고정 유지된다. 따라서 1쌍의 루프부(30, 40)를 통과하는 허리벨트 부분(5)을 항상 적정한 위치, 즉 배를 압박하지 않고 골반을 고정할 수 있는 위치에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한 허리 서포트 쿠션(60)이 좌석 베이스(20)의 후연부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리 서포트 쿠션(60)은 좌석 베이스(20)의 후연부로부터 세워서 착좌자의 허리를 뒤로부터 지지하는 것이다. 차의 좌석과 착좌자의 허리 또는 등과의 간극을 메우기 위해, 바람직하기는 허리 서포트 쿠션(60)은 부드럽고 탄력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리 서포트 쿠션(60)을 산(山) 형상으로 융기한 형상으로 하면, 허리 또는 등에 의해 눌려진 융기 부분이 상하로 퍼지기 때문에, 좌석과 착좌자와의 간극을 효과적으로 메우게 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허리 서포트 쿠션(60)과, 좌석 베이스(20)의 후연부를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해, 다음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석 베이스(20)는 후연부로부터 후방(전개 상태에서) 또는 상방(사용 상태에서)으로 연장하여 늘어나 있는 후방 연장부(21)를 갖고 있다. 바람직하기는 후방 연장부(21)는 굴곡 가능한 유연한 재료로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기는 후방 연장부(21)는 좌석 베이스(20)로부터 연속적으로 늘어나서 형성된 원단의 봉제 부재이다.
후방 연장부(21)의 이면에는 슬라이드 파스너의 구성 요소인 슬라이더(22) 및 계합 레일(23)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허리 서포트 쿠션(60)의 하단 부분에는 슬라이드 파스너의 구성 요소인 계합 레일(61)이 마련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후방 연장부(21)와 허리 서포트 쿠션(60)은 슬라이드 파스너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착좌자는 피로도에 응하여, 허리 서포트 쿠션(60)을 부착하거나 떼어낼 수 있다.
착좌자의 체형에 응하여, 또는 신체의 피로 상태에 응하여, 허리 서포트 쿠션(6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좌석 베이스(20)의 후연부로부터 연장하여 늘어나 있는 후방 연장부(21)가, 허리 서포트 쿠션(60)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후방 연장부(21)는 굴곡 가능한 유연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 연장부(21)를 늘리거나, 줄이거나 함에 의해, 허리 서포트 쿠션(60)의 높이를 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후방 연장부(21)를 상방으로 당겨 늘림에 의해, 허리 서포트 쿠션(60)을 높은 위치로 가져오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후방 연장부(21)를 굴곡시키거나, 주름을 잡거나 함에 의해 후방 연장부의 상하 높이를 축소하고, 허리 서포트 쿠션(60)을 낮은 위치로 가져오고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좌석 매트(1)가 허리 서포트 쿠션(60)을 갖고 있기 때문에, 시트 벨트에 의해 구속된 착좌자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착좌자의 피로를 경감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에 대해 여러가지의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허리 서포트 쿠션(60)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허리 서포트 쿠션과 좌석 베이스를 분리 불가능하게 접속하여도 좋다. 또한, 다른 변형예로서, 허리 서포트 쿠션을 구비하지 않은 좌석 매트라도 좋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좌석 베이스(20)와, 각 경사 연결 부재(50)와, 각 연장 되접는 부분(31, 41)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동일한 봉제 부재였지만, 그것들을 별개 부재로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각 연장 되접는 부분(31, 41)과 좌석 베이스(20)는 벨트 및 버클을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지만, 그와 같은 벨트 및 버클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면 파스너를 이용하여 1쌍의 루프부의 루프를 닫도록 하여도 좋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시트 벨트를 안내하는 보조구가, 차의 자리에 착좌하는 사람의 엉덩이의 아래에 깔리는 좌석 매트의 형태를 갖고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가, 차의 좌석상에 배치되고 착좌자의 앉은 키 위치를 높이는 주니어 시트의 형태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의 좌석 베이스가, 차에 비치된 좌석의 좌부라도 좋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차량용 주니어 시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기 차량용 주니어 시트는 차의 좌석상에 배치되고 착좌자의 앉은 키 위치를 높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주니어 시트는 소정의 높이(두께)를 갖는 좌석 베이스(100)와, 상기 좌석 베이스(100)의 상면(120)의 양 측연부로부터 착좌자의 엉덩이의 양 측부에 따라서 상방으로 세워서 늘어나는 1쌍의 루프부(130)를 구비한다. 차의 시트 벨트의 허리벨트 부분(5)은 1쌍의 루프부(130) 내를 통과한다.
바람직하기는 각 루프부(130)는 유연성이 있는 재료, 예를 들면, 봉제 부재,헝겁제 벨트, 끈 등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기는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주니어 시트는 각 루프부(130)의 상단부와 좌석 베이스(100)의 상면(120)의 후방 측연부를 연결하는 경사 연결 부재(150)를 구비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차량용 주니어 시트는 좌석 베이스(100)의 후단연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서 늘어나는 등받이벽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루프부(130)는 연장 되접는 부(131)와, 연장 벨트(132)와, 베이스 벨트(133)을 갖는다. 연장 되접는 부(131)는 좌석 베이스(100)의 상면(120)의 양 측연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상방으로 세워지고, 또한 외측으로 되접혀 있다.
연장 되접는 부(131)의 선단과 좌석 베이스(100)는 연장 벨트(132) 및 베이스 벨트(133)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에는 연장 되접는 부(131)에 꿰매져 있는 연장 벨트(132)는 연장 되접는 부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여 늘어나 있다. 또한, 좌석 베이스(100)에 부착되어 있는 베이스 벨트(133)는 좌석 베이스(100)의 상면(120)으로부터 돌출하여 늘어나 있다. 연장 벨트(132)에는 버클의 한쪽 요소인 수컷측 고정구(134)가 부착되어 있고, 베이스 벨트(133)에는 버클의 다른쪽 요소인 암컷측 고정구(135)가 부착되어 있다. 수컷측 고정구(134)와 암컷측 고정구(135)를 끼워 맞추면, 1쌍의 루프부(130)가 닫히진 루프를 형성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 상태에서는 각 경사 연결 부재(150)는 전방을 향하여 폭이 넓어지도록 좌석 베이스(100)의 상면(120)의 측연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세워지고, 각 루프부(130)의 상단부와 좌석 베이스(100)의 상면(120)의 후방 측연부를 장력을 유지하고 연결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는 좌석 베이스(100)의 후방단 부분에, 버클(103)을 갖는 좌석 베이스 고정 벨트(102)가 부착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좌석 베이스 고정 벨트(102)를, 차의 좌석을 둘러싸도록 부착함에 의해, 차량용 주니어 시트를 항상 차의 좌석상의 정위치에 유지하여 둘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좌석 베이스의 위치는 착좌자 자신의 체중에 의해 항상 안정되게 고정 유지된다. 또한, 1쌍의 루프부와 좌석 베이스의 후방 양 측연부는 경사 연결 부재에 의해 장력을 갖고 연결되기 때문에, 1쌍의 루프부의 위치를 안정되게 고정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에 의하면, 루프부의 높이를 적절하게 유지함에 의해, 1쌍의 루프부를 통과하는 허리벨트 부분을 항상 적정한 위치, 즉 배를 압박하지 않고 골반을 고정할 수 있는 위치에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0)

  1. 차의 좌석에 착좌하는 사람의 엉덩이의 아래에 위치하는 좌석 베이스와,
    상기 좌석 베이스의 전방의 양 측연부로부터 착좌자의 엉덩이의 양 측부에 따라서 상방으로 세워서 늘어나고, 차의 시트 벨트의 허리벨트 부분을 통과시키는 1쌍의 루프부와, 상기 각 루프부의 상단부와 상기 좌석 베이스의 후방의 양 측연부를 연결하는 경사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는 차의 좌석에 착좌하는 사람의 엉덩이의 아래에 깔리는 좌석 매트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는 차의 좌석상에 배치되고 착좌자의 앉은 키 위치를 높이는 주니어 시트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부는 상기 좌석 베이스로부터 연속적으로 늘어나서 외측으로 되접힌 연장 되접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베이스와 상기 연장 되접는 부분은 연속적으로 형성된 봉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부는 상기 연장 되접는 부분의 선단과 상기 좌석 베이스의 이면을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연장 되접는 부분의 선단으로부터 늘어나 있는 연장 벨트와,
    상기 좌석 베이스의 이면으로부터 늘어나 있는 베이스 벨트와,
    상기 연장 벨트와 상기 베이스 벨트를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는 버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벨트의 길이는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안내보조구.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벨트는 상기 좌석 베이스의 이면의 폭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늘어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경사 연결 부재는 상기 좌석 베이스의 측연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세워서 늘어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베이스와, 상기 각 경사 연결 부재와, 상기 각 연장 되접는 부분은 연속적으로 형성된 봉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베이스의 후연부로부터 세워서 착좌자의 허리를 뒤로부터 지지하는 허리 서포트 쿠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서포트 쿠션과 상기 좌석 베이스의 후연부를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베이스는 후연부로부터 후방 또는 상방으로 연장하여 늘어나 있는 유연한 후방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허리 서포트 쿠션은 상기 후방 연장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베이스를 차의 좌석에 고정하기 위한 좌석 베이스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베이스는 차에 비치된 좌석의 좌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
  17. 차의 좌석상에 배치된 것으로서, 소정의 높이를 갖는 좌석 베이스와,
    상기 좌석 베이스의 전방의 양 측연부로부터 착좌자의 엉덩이의 양 측부에 따라서 상방으로 세워서 늘어나고, 차의 시트 벨트의 허리벨트 부분을 통과시키는 1쌍의 루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주니어 시트.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부는 유연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주니어 시트.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각 루프부의 상단부와 상기 좌석 베이스의 후방의 양 측연부를 연결하는 경사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주니어 시트.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베이스의 후단연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서 늘어나 있는 등받이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주니어 시트.
KR1020040002546A 2003-01-24 2004-01-14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 및 차량용 주니어 시트 KR200400679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15937 2003-01-24
JPJP-P-2003-00015937 2003-01-24
JPJP-P-2003-00144614 2003-05-22
JP2003144614A JP4255751B2 (ja) 2003-01-24 2003-05-22 シートベルト案内補助具および車両用ジュニア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901A true KR20040067901A (ko) 2004-07-30

Family

ID=32599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546A KR20040067901A (ko) 2003-01-24 2004-01-14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 및 차량용 주니어 시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40178668A1 (ko)
EP (1) EP1440853B1 (ko)
JP (1) JP4255751B2 (ko)
KR (1) KR20040067901A (ko)
CN (1) CN1521063A (ko)
DE (1) DE60304437T2 (ko)
ES (1) ES2261863T3 (ko)
TW (1) TWI2393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8420B2 (ja) * 2004-09-29 2010-04-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乗員制止装置
US20080012401A1 (en) * 2006-05-09 2008-01-17 Britax Child Safety, Inc. Energy absorbing tether for child safety seat
JP4931947B2 (ja) * 2009-02-12 2012-05-16 佐々木 玉恵 ジュニアシート用補助具
GB0905831D0 (en) * 2009-04-03 2009-05-20 Kelly Grainne Bubblegum inflatable child booster seat for cars
EP2540581B1 (en) * 2010-03-23 2014-03-19 Komatsu Ltd. Seat belt and construction machine equipped therewith
US8196960B2 (en) * 2010-07-09 2012-06-1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Knee belt restraint
WO2013085912A1 (en) * 2011-12-06 2013-06-13 Kennedy Raina Child restraint devices for use with seats
DE102012103038B4 (de) * 2012-01-04 2015-04-02 Johnson Controls Components Gmbh & Co. Kg Vorrichtung zur Gurtführung an einem Gurtintegralsitz
DE102012006516A1 (de) * 2012-03-29 2013-10-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Kindersitzes an einem Fahrzeugsitz und Kraftfahrzeuginneneinrichtung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US9233630B2 (en) 2013-03-05 2016-01-12 Dorel Juvenile Group, Inc. Belt-positioning booster seat for vehicles
ES1146583Y (es) * 2015-11-03 2016-02-16 Jane Sa Cinturon de seguridad para embarazadas
US20190077364A1 (en) * 2017-09-08 2019-03-14 Diana L. Murray, SR. Carseat Belt Attachment
CN107444214B (zh) * 2017-09-08 2023-12-05 安徽禾瑞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增高垫的安装板及汽车增高垫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07077A1 (de) * 1979-02-23 1980-08-28 Klippan Gmbh Bausatz fuer ein sicherheitsrueckhaltesystem
US4291915A (en) * 1979-04-26 1981-09-29 Jeanette Cox Combined suitcase and child's safety seat
DE3231263A1 (de) * 1982-08-23 1984-02-23 Carl Stahl Gmbh & Co Kg, Gurt- Und Bandweberei, 7922 Herbrechtingen Kindersitz fuer fahrzeuge
FR2539287B1 (fr) * 1983-01-14 1986-06-27 Baby Relax Rehausseur pour asseoir a hauteur normale un passager de petite taille (bebe, enfant...) sur un siege d'automobile, une chaise ou autre
DE3564403D1 (en) * 1984-03-13 1988-09-22 Roemer Britax Autogurte Gmbh Child's safety device in vehicles
US4610463A (en) * 1984-12-14 1986-09-09 Harriet Efrom Protection assembly for abdominal area
US4627659A (en) * 1985-05-06 1986-12-09 T. Ghiglia Infant's seat and restrainer
US4871210A (en) * 1988-06-16 1989-10-03 Alexander Cynthia R Child holder
US5005865A (en) * 1990-07-31 1991-04-09 Steinar Kruse Seatbelt positioning assembly for a pregnant person
FR2735002B1 (fr) * 1995-06-07 1997-07-25 Ampafrance Siege pour enfant a assise moulee
US5581234A (en) * 1995-07-31 1996-12-03 Emery; Anna L. Infant vehicle seat alarm system
WO1997007716A1 (en) * 1995-08-25 1997-03-06 Ga International, Inc. Child safety seat
US5765893A (en) * 1997-03-11 1998-06-16 Ziegler; Douglas K. Apparatus for reducing head and neck injuries in infants riding in moving vehicles
JP3882353B2 (ja) * 1998-08-28 2007-02-14 タカタ株式会社 子供乗員の座盤及びチャイルドシート
US6042182A (en) * 1998-10-20 2000-03-28 Evenflo Company, Inc. Infant carrier base
JP4336004B2 (ja) * 1999-08-19 2009-09-30 日野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2001294064A (ja) * 2000-02-07 2001-10-23 Aprica Kassai Inc 自動車用年少者安全座席
NO311553B1 (no) * 2000-03-07 2001-12-10 Reagan W James Sammenklappbar barnestol
US20020017808A1 (en) * 2000-07-17 2002-02-14 Kain James M. Belt positioner for juvenile booster seat
US6692072B2 (en) * 2001-05-10 2004-02-17 The First Years Inc. Booster seat
US7066536B2 (en) * 2002-02-11 2006-06-27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Child seat
US6863345B2 (en) * 2002-02-13 2005-03-08 Cosco Management, Inc. Vehicle anchor system for juvenile seat b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13200A (en) 2004-08-01
EP1440853B1 (en) 2006-04-05
EP1440853A1 (en) 2004-07-28
JP2004276894A (ja) 2004-10-07
DE60304437D1 (de) 2006-05-18
TWI239306B (en) 2005-09-11
ES2261863T3 (es) 2006-11-16
JP4255751B2 (ja) 2009-04-15
DE60304437T2 (de) 2006-11-09
US20040178668A1 (en) 2004-09-16
CN1521063A (zh) 200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6104B2 (en) Adjustable child carrier with enhanced freedom of movement
US10750879B2 (en) Carrying device
US4050737A (en) Support harness
US5643184A (en) Back support with knee and foot engaging straps
JP4758699B2 (ja) ベビーラック用クッション
KR20040067901A (ko) 시트 벨트 안내 보조구 및 차량용 주니어 시트
CN111904214B (zh) 抱婴背带
US5927576A (en) Infant carrier sling
WO2012079787A1 (en) Child carrier
US6537132B1 (en) Maternity brace
CN115399601A (zh) 婴儿背带
KR20120032800A (ko) 아기띠
CN100551305C (zh) 婴儿带
KR101716580B1 (ko) 유아용 포대기
CN101658371B (zh) 婴儿带
JP2004223055A (ja) 車両用座席マット
JP4402554B2 (ja) 妊婦用股付き衣類
KR200486269Y1 (ko) 유아용 아기띠의 폭 조절구조
JPH105081A (ja) 乳幼児保持具
CN219557287U (zh) 一种胎心监测带
CN212973189U (zh) 一种骨盆修复带
CN220529667U (zh) 坐凳背带
KR0123567Y1 (ko) 유아를 앞쪽으로 지지하는 유아운반용구 및 앞쪽 또는 뒷쪽으로 지지하는 유아운반용구
CN218451517U (zh) 一种可调节婴儿腰凳
CN114794801A (zh) 抱婴背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