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6123A - 열가소성 중합체 용기를 취입 성형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중합체 용기를 취입 성형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6123A
KR20040066123A KR10-2004-7007455A KR20047007455A KR20040066123A KR 20040066123 A KR20040066123 A KR 20040066123A KR 20047007455 A KR20047007455 A KR 20047007455A KR 20040066123 A KR20040066123 A KR 20040066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neck
bell
blowing
discharg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7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브라르알랭
Original Assignee
시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델 filed Critical 시델
Publication of KR20040066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12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8Blow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58Blowing means
    • B29C2049/5827Blowing means not touching the pre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1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the preform having one end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29C33/26Opening, closing or clamping by pivo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8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 B29C49/10Biaxial stretching during blow-moulding using mechanical means for prestretching
    • B29C49/12Stretching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2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5/00Plastic article or earthenware shaping or treating: apparatus
    • Y10S425/812V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Wrappers (AREA)
  • Other Resins Obtained By Reactions Not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중합체 용기를 취입 성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조립될 수 있는 두 몰드부(2)로 이루어진 취입 몰드와, 취입 성형될 블랭크(7)의 목부(9)에 장착된 몰드 전면(F)에 밀봉되어 가압되어 있는 벨형 노즐(11)을 가진 취입 수단을 포함하고, 상대적으로 큰 단면을 가진 배출 수단(21, 24)은 적어도 하나의 몰드부(2)의 하나의 접촉면(20)으로부터 면(F)에서의 노즐(12)의 벨(11)의 지지부(13)를 넘어 몰드의 외부까지 연장되며, 따라서 서로로부터 이격되려고 하는 몰드부(2) 사이의 간극(14)을 통해 유입될 수 있는 고압 취입 성형 유체는 적어도 대부분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중합체 용기를 취입 성형하기 위한 장치{INSTALLATION FOR BLOW MOULDING THERMOPLASTIC POLYMER CONTAINERS}
위에 언급된 취입 성형 장치는 예를 들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프랑스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 764 544호에 개시되어 있다. 앞으로 인용될 첨부 도면의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에 가장 구체적으로 포함된 장치의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이 공지 장치의 몰드의 일부를 위에서 본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몰드의 일부에 대한 측단면도이며, 여기에서는 취입 노즐의 일부가 기능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취입 성형 몰드(1)는 2개의 몰드부(2)를 포함하고 있고, 그 2개의 몰드부는 예를 들어 관절식으로 결합될 수 있어서 하나가 다른 하나(힌지식 몰드)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몰드(1)의 전체 구조에 대해서는 원하는 어떠한 구조라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두 몰드부(2)가 견고한 골격부에 제거가능하게 지지되는 반쪽 쉘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각 몰드부(2)의 내부는 임프린트(imprint)(3)가 있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몰드가 닫힐 때 두 임프린트가 조합되어서 생산될 용기 형상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는 캐비티(5)를 형성하게 된다. 폐쇄 위치에서, 두 몰드부(2)는 분할선(4)을 형성하는 접촉면을 통해 서로 지지되게 된다.
일부 경우에는 전체 캐비티가 두 몰드부에 의해 한정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두 몰드부가 단지 캐비티의 일부만을 한정하되 몰드 바닥에 구비된 추가 임프린트에 의해 보충되게 되며, 이 구조는 용기를 몰드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성형 캐비티(5)는 몰드의 면(F)(이 경우에서는 상부면)으로 소통되어 있는 좁은 목부 통로(6)에 의해 상향으로 연장된다. 목부 통로(6)는 특히 그 크기에 관하여 취입 성형될 패리슨(7)의 목부(9)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형성된다. 도 2에서는, 패리슨(7)(예비성형품의 형태로 도시됨)의 본체(8)가 성형 캐비티(5)에 맞물려 있고, 패리슨(7)의 목부(9)는 부분적으로 통로(6)에 맞물려 있으며, 그 나머지는 몰드의 면(F) 위로 돌출되어 있고 플랜지(10)를 통해 그 면(F) 위에 놓여져 있다.
면(F)은 그 면의 전방에 밀봉되어 놓이는 취입 노즐(12)의 확장부 또는 벨(11)을 가지고 있고, 그 벨(11)에는 전방 환형 시일(seal)(13)이 구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패리슨(7)을 취입하게 되면 노즐(12)과 패리슨의 목부(9)를 통해 설치된 이동봉에 의해서 축방향 신장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이동봉은 도면을 더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패리슨의 취입 성형은 고압으로(통상적으로는 일례로 40×105㎩) 유체(이론적으로는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러한 취입 성형에서의 고압으로 인해, 각각 도 1과 도 2에 상응하도록 도시된 도 3과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두 몰드부(2)가 서로로부터 약간 이격되게 되고, 그 몰드부 각각의 접촉면 사이에 갭(14)이 형성되게 된다. 도 3과 도 4에서는, 두 몰드부 사이의 갭(14)이 상당히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어서 도면을 더 쉽게 파악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그 갭은 아주 작다(통상적으로는 일례로 0.05㎜).
그러나, 이 갭은 비록 작기는 하지만 고압 취입 유체가 패리슨의 목부(9)와 벨(11)의 시일(13) 사이에 놓인 이 갭의 부분(15)(더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 3에 해칭된 부분)으로 유입되기에는 충분하다. 그 결과, 성형 캐비티(5)의 벽에 아직 접촉되지 않은 용기(19)의 본체(17)와 성형 캐비티(5)의 벽 사이로 유체가 유입되게 된다. 이 유체는 용기의 본체(17)가 취입에 의해 성형되면서 발달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배출될 수 없게 되고, 도 4에서 (1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의 유체가 특히 용기의 쇼울더에 남게 되며, 이어서 용기(19)의 본체(17)에 국부적인 형상 변형부(접시)(18)가 형성되게 되는데, 이는 바람직하지 않으며 용기를 사용할 수 없게 한다.
본 발명은 PET와 같은 열가소성 중합체로 제조된 패리슨(parison)으로부터 용기, 특히 병을 취입 성형하기 위한 장치[신장 취입 성형(stretch-blow-moulding) 장치를 포함한다]의 개선안에 관한 것으로서, 이 장치는,
2개의 몰드부를 포함하고, 그 2개의 몰드부는 함께 결합될 수 있어서 각 접촉면을 통해 접촉하게 되며 이어서 환형 플랜지를 통해 몰드의 상기 면에 놓일 수 있는 패리슨의 목부(neck)를 수용할 수 있는 목부 통로를 통하여 몰드의 한 면으로 소통되는 성형 캐비티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취입 몰드와;
몰드의 상기 면의 전방에 밀봉되어 놓일 수 있는 벨형 취입 노즐을 구비하며 패리슨의 목부 위에 놓인 취입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몰드부는 취입 중에 취입 유체의 압력으로 인하여 떨어져 이동할 수 있어서 두 몰드부의 상기 접촉면 사이에 갭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벨 노즐이 취입 위치에 있는 몰드부의 도 6의 Ⅴ-Ⅴ를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몰드부가 한 몰드부를 구성하고 있는 몰드를 위에서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몰드를 위에서 도시한 부분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목부 플레이트를 갖춘 몰드를 위에서 도시한 부분도.
도 9는 벨 노즐이 취입 위치에 있는 도 8의 몰드부의 도 10의 Ⅸ-Ⅸ를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목부 플레이트를 갖춘 몰드를 위에서 도시한 부분도.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치유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몰드부의 이격을 방지하는 해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이에 대해서는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해법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그 해법 중 하나에 따르면, 각 몰드부의 후면에 취입 압력과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가진 유체 배압을 가한다.), 본 발명은 몰드부의 약간의 이격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최종 생산된 용기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실시 비용이 저렴하며 기존 장치로 수행할 수 있는 해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서두에 언급된 바와 같이 용기를 취입 성형하기 위한 장치를 제시하고 있고, 본 발명에 따라 배치되는 상기 장치에 따르면, (앞에서 언급한 갭에 의해 유체에 형성된 단면적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가진 배출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몰드부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으로부터 제공되고, 취입 노즐의 벨을 위한 안착부를 넘어 몰드의 외부까지 연장되며, 갭으로 유입될 수 있는 고압 취입 유체가 이 장치에 의해 상기 배출 수단에 의하여 적어도 대부분 제거되고, 단지 작은 비율의 상기 유체만이 상대적으로 저압으로 성형 캐비티까지 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성형 캐비티에 도달할 수 있는 유체 일부는 아주 낮은 압력(수 105㎩) 상태에 있게 되어, 성형 캐비티의 전체 표면에 대한 용기 벽의 정확한 발달을 방해하지 않게 되며, 그 결과 취입 공정 중 몰드부의 이격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형상의 용기가 얻어질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배출 수단이 성형 캐비티의 각 측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몰드부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으로부터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배출 수단이 벨형 취입 노즐을 위한 안착부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몰드부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으로부터 중공형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은 그 내부 단부에서 막혀진다. 바람직하게는, 이 경우에 있어서, 배출 수단이 두 몰드부의 마주하는 접촉면으로부터 각각 중공형으로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채널을 포함한다.
유효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배출 수단의 단면적이 위에 벨이 놓이는 갭의 부분에 의해 취입 유체 통로에 형성된 단면적보다 대략 10배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만약 몰드부의 두 가장자리가 서로로부터 약 0.05㎜만큼 떨어져 있다면 이 갭에서 취입 유체에 형성된 통로 단면적은 대체로 0.75㎟가 되는데, 채널의 단면적이 약 7㎟(직경이 3㎜)인 경우에 이들 단면적 사이의 비율은 대략 10이 된다. 따라서, 약 40×105㎩의 취입 압력에 대하여 성형 캐비티에 도달하게 되는 취입 유체의 일부는 대략 4×105㎩의 압력을 가지게 된다. 이압력은, 용기의 열가소성 벽이 취입 작용에 의해 발달하면서 성형 캐비티의 벽과 용기의 열가소성 벽 사이에 형성되게 되는 상기 열가소성 벽의 국부적인 변형을 기포가 초래할 수 있을 정도로 높지는 않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단의 효율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가압 유체가 갭으로 유입되자마자 가능한 한 신속하게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배출 수단이 몰드의 상기 면 근처에 위치하게 되고, 이어서 다소의 배출 수단이 패리슨의 목부를 수용할 수 있는 상기 목부 통로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몰드부를 사용하는 취입 성형 장치에 있어서, 노즐의 벨과 상기 알루미늄 면(F) 사이의 밀봉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특히 마모로 인해). 이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몰드의 면에 패리슨의 목부를 위한 통로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강재 목부 플레이트(steel neck plate)가 구비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으며, 취입 중에 그 강재 목부 플레이트의 전방에는 벨 노즐이 밀봉되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목부 플레이트는 제거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직경을 가진 통로가 구비되어 있는 플레이트로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직경의 목부를 가진 용기를 몰드를 바꾸지 않고서도 취입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목부 플레이트는 각각 두 몰드부의 상부면을 통해 지지되는 2개의 목부 반쪽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이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라서 배출 수단이 상기 목부 플레이트에 배치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배출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목부 반쪽 플레이트의 접촉면으로부터 중공형으로 형성된 2개의 채널을 포함하고, 반쪽 통로의 각 측면에서 하나를 포함하며, 각 채널은 내부 단부에서 막혀져 있고, 그 각 채널의 타단부는 벨 노즐의 안착부를 넘게 되며, 반쪽 플레이트의 상부면과 소통되어 있는 횡단 구멍(well)과 소통된다. 간단한 실시예에 따르면, 횡단 구멍은 상기 접촉면이 인접 가장자리 면과 만나는 모서리에서 목부 반쪽 플레이트의 상기 접촉면의 단부로부터 중공형으로 형성된 노치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예시의 목적으로 제시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양호하게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설명에서 첨부 도면이 인용된다.
먼저 도 5와 도 6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4를 인용하여 기술된 취입 성형 장치의 몰드(1)에 본 발명에 따라서 (앞에서 언급한 갭에 의해 유체에 형성된 단면적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가진 배출 수단이 구비된다. 이 배출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몰드부(2)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20)으로부터 구비되고, 취입 노즐(12)의 벨(11)의 안착부[시일(13)]를 넘어서 몰드 외부까지 연장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 배출 수단이 성형 캐비티(5)의 각 측면에 놓이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도관(canal)[또는 성형 캐비티(5)의 각 측면에 하나가 위치되는 2개의 도관]을 몰드부(2)를 통하여 접촉면(20)으로부터 몰드부의 외측면까지 중공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그 도관은 면(20)에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몰드부의 무결성(integrity)을 저해하게 되고,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실시예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몰드부(2)의 접촉면(20)으로부터 중공형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21)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채널은 대략 반경방향으로(즉, 몰드의 캐비티(5)의 축(22)에 대략 직각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 캐비티(5)의 각 측면에 하나가 위치되는 2개의 채널(21)이 구비된다.
각 채널(21)은 취입 노즐(12)의 벨(11)의 안착부[시일(13)]에 걸쳐져 있다. 각 채널은 그 반경방향 외측 단부(25)에서 몰드부의 면과 소통되고, 그 반경방향 내측 단부(24)는 성형 캐비티(5)가 외부와 소통되지 못하도록 막혀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채널(21)은, 몰드부의 이격시 가압된 취입 유체가 유입되는 위치에 가능한 한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쇼울더 또는 바람직하게는 캐비티(5)에 의해 한정되는 용기 임프린트의 목부의 높이로 몰드부(2)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그 결과 이 유체는 가능한 한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각 채널은 갭에 의해 제공된 통로 표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가지게 되고, 예를 들면 그 단면적은 대략 10배가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해 제시된 해법은 간단히 수행할 수 있는 가공 작업만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쉽게 실시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채널을 사용하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밀링 작업만을 필요로 한다.
도 5와 도 6의 몰드(1)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두 몰드부(2) 사이의 비대칭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각 몰드부(2)에 2개의 채널(2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2개의 채널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 캐비티(5)의 각 측면에 하나가 위치된다. 따라서, 두 몰드부(2)의 각각에 형성된 대향된 두 채널(21)은 외부로 소통되는 반경방향 도관을 함께 형성하게 된다.
만약 채널(21)이 필요없게 된다면(예를 들어 취입 중 몰드부가 이격되지 않도록 몰드가 배치되기 때문에), 채널을 막고 또한 성형 공정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이러한 위치에서의 정확한 표면 마무리를 재생하는 것이 쉽게 이루어지게 되어서, 몰드부는 모든 점에도 불구하고 계속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견고하고 몰드의 알루미늄 면보다 덜 쉽게 마모되는평평한 안착 표면을 취입 노즐의 벨의 시일에 제공하고 또한 각기 다른 직경을 가진 목부를 구비한 용기에 대해 몰드의 이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강재 목부 플레이트가 면(F)에 구비될 필요가 있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된 몰드의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경량의 알루미늄 합금 몰드의 경우에는 만약 몰드부가 보강(지지물의 기계식 보강, 후방으로부터의 공압식 보강 등)되지 않거나 그 보강이 불충분하다면 취입 중 몰드의 이격이 일어날 수 있게 된다.
도 8과 도 9는 도 5와 도 6과 동일한 조건 하에서 목부 플레이트(30)를 가진 몰드를 도시하고 있다. 실제로, 목부 플레이트(30)는 예를 들어 반쪽 링의 형상과 같은 2개의 목부 반쪽 플레이트(26) 형태로 형성되며, 그 2개의 목부 반쪽 플레이트는 각 몰드부(2)의 면(F)에 절단되어 있는 상호보완적인 형상의 대향 구멍(27)들에 놓이게 된다. 스크류(28)와 같은 고정 수단이 반쪽 플레이트(26)를 적소에 유지시킨다.
2개의 목부 반쪽 플레이트(26)는 그들의 협동면으로부터 중공형으로 형성된 각각의 반원형 노치를 가짐으로써, 이 노치는 함께 조합되어 패리슨의 목부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최상부에서 성형 캐비티(5)로 연장된 상기 통로(6)를 형성하게 된다.
목부 플레이트(30)가 취입 노즐(12)의 벨(11)의 환형 시일(13)에 대한 견고한 안착부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이 판(30)의 직경은 시일(13)의 직경보다 크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각 채널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가 반쪽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면에 위치되고 또한 이 단부가 반쪽 플레이트(26)의 상부면 바로 위로부터 수직으로 중공형으로 형성된 구멍(well)(29)을 통하여 외부와 소통되게 위치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앞에서 언급한 조건과 동일한 조건으로 채널(21)이 적어도 하나의 목부 반쪽 플레이트(26)에 구비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앞에서와 같이, 두 목부 반쪽 플레이트(26)는 몰드의 조립과 여분의 저장을 복잡하게 하지 않도록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목부 반쪽 플레이트(26)에는 각 구멍(29)으로 소통되는 채널(21)이 구비되게 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로 하여 지금까지 기술된 장치는 몰드부 자체에 관한 것이 아니라 그 몰드부의 제거가능한 부분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매우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존 몰드가 간단히 목부 반쪽 플레이트를 교체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구비되거나, 역으로 만일 몰드부의 이격이 없다면 그렇게 배치된 몰드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채널(21)과 구멍(29)(이론적으로는 반쪽 플레이트(26)의 외주 가장자리 면과 채널(21)이 만나는 모서리로부터 중공형으로 형성된 단순 노치)을 목부 반쪽 플레이트에 구비하기 위하여 그 목부 반쪽 플레이트를 쉽게 밀링에 의해 가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다지 비용이 많이 소요되지 않는다. 이 작업은 기존의 목부 반쪽 플레이트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사항으로는, 채널(21)이 몰드의 면(F) 바로 근처에 위치됨으로써, 몰드부가 이격되게 되면 갭으로 유입되기 시작하는 유체가 채널(21)에의해 즉시 수집되고 배출되게 된다는 점이다.

Claims (10)

  1. 2개의 몰드(2)부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몰드부는 함께 결합될 수 있어서 각 접촉면을 통해 접촉하게 되며 이어서 환형 플랜지(10)를 통해 몰드의 상기 면(F)에 놓일 수 있는 패리슨의 목부(9)를 수용할 수 있는 목부 통로(6)를 통하여 몰드의 한 면(F)으로 소통되는 성형 캐비티(5)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취입 몰드(1)와;
    몰드의 상기 면(F)의 전방에 밀봉(13)되어 놓일 수 있는 벨형(11) 취입 노즐(12)을 포함하고, 패리슨(7)의 목부(9) 위에 놓인 취입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몰드부(2)는 취입 중에 취입 유체의 압력으로 인하여 떨어져 이동할 수 있어서 두 몰드부의 상기 접촉면 사이에 갭(14)이 형성되게 되는, PET와 같은 열가소성 중합체로 제조된 패리슨(7)으로부터 용기, 특히 병을 취입 성형 또는 신장 취입 성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큰(상기 갭에 의해 유체에 형성된 단면적과 비교할 때) 단면적을 가진 배출 수단(21, 24; 26; 29)이 적어도 하나의 몰드부(2)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20)으로부터 제공되고, 취입 노즐(12)의 벨(11)을 위한 안착부(13)를 넘어 연장되며,
    갭으로 유입될 수 있는 고압 취입 유체가 상기 장치에 의해 상기 배출 수단에 의하여 적어도 대부분 제거되고, 단지 적은 비율의 상기 유체만이 상대적으로 저압으로 성형 캐비티까지 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배출 수단은 성형 캐비티(5)의 각 측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몰드부(2)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20)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배출 수단은 취입 노즐(12)의 벨(11)을 위한 안착부(13)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몰드부(2)의 접촉면(20)으로부터 중공형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21)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21)의 내부 단부(24)는 막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배출 수단은 두 몰드부의 마주하는 접촉면으로부터 각각 중공형으로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채널(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 수단의 단면적은 위에 벨(11)이 놓이는 갭(14)의 부분에 의해 취입 유체의 통로에 형성된 단면적보다 대략 10배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 수단은 몰드의 상기 면(F) 근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배출 수단은 패리슨의 목부를 수용할 수 있는 상기 목부 통로(6)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패리슨의 목부를 위한 통로 구멍(6)이 천공되어 있는 제거가능한 목부 플레이트(30)가 몰드(1)의 상기 면(F)에 구비되고, 취입 중 노즐(12)의 벨(11)은 상기 제거가능한 목부 플레이트의 전방에 밀봉되어 지지되며, 상기 목부 플레이트(30)는 각각 두 몰드부(2)를 통해 지지되는 2개의 목부 반쪽 플레이트(26)로 형성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목부 플레이트(30)에 배출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배출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목부 반쪽 플레이트의 접촉면으로부터 중공형으로 형성된 2개의 채널(21)을 포함하고, 반쪽 통로의 각 측면에서 하나를 포함하며, 각 채널(21)은 내부 단부에서 막혀져 있고, 상기 각 채널의 타단부는 벨 노즐의 안착부를 넘게 되며, 목부 반쪽 플레이트(26)의 상부면과 소통되어 있는 횡단 구멍(29)과 소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횡단 구멍(29)은 상기 접촉면이 인접 가장자리 면과 만나는 모서리에서 목부 반쪽 플레이트(26)의 상기 접촉면의 단부로부터 중공형으로 형성된 노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4-7007455A 2001-12-13 2002-12-09 열가소성 중합체 용기를 취입 성형하기 위한 장치 KR200400661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116109 2001-12-13
FR0116109A FR2833512B1 (fr) 2001-12-13 2001-12-13 Installation de soufflage de recipients en polymere termoplastique
PCT/FR2002/004230 WO2003049922A1 (fr) 2001-12-13 2002-12-09 Installation de soufflage de recipients en polymere thermoplastiqu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123A true KR20040066123A (ko) 2004-07-23

Family

ID=8870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7455A KR20040066123A (ko) 2001-12-13 2002-12-09 열가소성 중합체 용기를 취입 성형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7172406B2 (ko)
EP (1) EP1453653B1 (ko)
JP (1) JP4243543B2 (ko)
KR (1) KR20040066123A (ko)
CN (1) CN1289283C (ko)
AT (1) ATE366175T1 (ko)
AU (1) AU2002364984A1 (ko)
BR (1) BR0213915B1 (ko)
CA (1) CA2470661C (ko)
DE (1) DE60221038T2 (ko)
ES (1) ES2288198T3 (ko)
FR (1) FR2833512B1 (ko)
MX (1) MXPA04001589A (ko)
PT (1) PT1453653E (ko)
WO (1) WO20030499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1721B1 (fr) * 2004-06-16 2006-09-29 Sidel Sas Installation de soufflage ou d'etirage-souflage a tuyere- cloche pour la fabrication de recipients en materiau thermoplastique et moule pour une telle installation
US20060255513A1 (en) * 2005-05-11 2006-11-16 Graham Packaging Company, L.P. Mold gap seal
FR2889673B1 (fr) 2005-08-12 2007-10-26 Sidel Sas Installation de soufflage comportant une tuyere equipee d'un joint d'etancheite a levre
FR2912952B1 (fr) * 2007-02-27 2013-08-16 Sidel Participations Dispositif de moulage pour la fabrication de recipients en materiau thermoplastique
CN101461623B (zh) * 2007-12-18 2011-12-28 刘景挥 一种服装道具专用吹塑模具
DE102008036103A1 (de) 2008-08-04 2010-02-11 Krones Ag Vorrichtung zum Expandieren von Behältnissen
IT1394270B1 (it) * 2009-03-31 2012-06-06 Sacmi Apparato di soffiaggio di preforme.
US8287270B2 (en) 2009-09-30 2012-10-16 Printpack Illinoi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thermoforming with billets
MX2015012544A (es) 2013-03-13 2016-02-10 Celanese Acetate Llc Filtros de humo para reducir componentes en un flujo de humo.
DE102021119052A1 (de) 2021-07-22 2023-01-26 Khs Gmbh Formwerkzeug zum Formen eines Behälter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0425A (en) * 1965-09-07 1968-07-02 Dow Chemical Co Neck ring for blow-mold
US3806300A (en) * 1971-05-27 1974-04-23 Ethyl Dev Corp Apparatus for forming the neck on a plastic container
IT1025255B (it) * 1973-11-03 1978-08-10 Mehnert G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lostampaggio dell apertura in forma di collo di un corpo cavo realizza to in materiale termoplastico con il metodo di soffiatura e relativo allontanamento delle porzioni di sfrido risultanti
CA1268432A (en) * 1984-10-04 1990-05-01 Kazuhiro Masumoto Method and apparatus for molding plastics container and plastics container
DE4239809C2 (de) * 1992-11-26 1994-10-06 Koetke Kunststoffverarbeitung Verfahren und Blasformstation zur Herstellung eines Hohlkörpers mit einer Öffnung im Bodenbereich
FR2764544B1 (fr) * 1997-06-16 1999-09-24 Sidel Sa Tuyere de soufflage de recipients en matiere plastique et installation pourvue d'une telle tuyere
FR2790704B1 (fr) * 1999-03-09 2001-07-20 Sidel Sa Machine de soufflage comportant des moyens perfectionnes de commande des deplacements d'une tuyere de soufflage
FR2795994B1 (fr) * 1999-07-05 2001-10-12 Sidel Sa Machine de soufflage a moules bi-empreinte
FR2848905B1 (fr) * 2002-12-19 2006-07-28 Sidel Sa Installation de soufflage a tuyere-cloch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33512B1 (fr) 2004-02-27
CN1289283C (zh) 2006-12-13
MXPA04001589A (es) 2004-07-23
ATE366175T1 (de) 2007-07-15
BR0213915A (pt) 2004-08-31
JP2005511354A (ja) 2005-04-28
US7172406B2 (en) 2007-02-06
JP4243543B2 (ja) 2009-03-25
FR2833512A1 (fr) 2003-06-20
DE60221038D1 (de) 2007-08-16
EP1453653B1 (fr) 2007-07-04
EP1453653A1 (fr) 2004-09-08
CA2470661C (fr) 2008-06-10
ES2288198T3 (es) 2008-01-01
CN1571723A (zh) 2005-01-26
PT1453653E (pt) 2007-10-15
WO2003049922A1 (fr) 2003-06-19
DE60221038T2 (de) 2008-03-06
CA2470661A1 (fr) 2003-06-19
US20040202747A1 (en) 2004-10-14
BR0213915B1 (pt) 2011-07-12
AU2002364984A1 (en) 200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8355B2 (en) Bell-nozzle blow-molding or stretch-blow-molding plant for making thermoplastic containers and mold therefor
CN101360594B (zh) 轮胎成形用模具、轮胎成形用模具的通气孔所使用的塞子以及使用该轮胎成形用模具制造的轮胎
US7959428B2 (en) Device for blowing thermoplastic containers
US6948924B2 (en) Mold assembly with modular mold shells
JP4814323B2 (ja) リップシールジョイントを提供されたノズルを具備する吹込みプラント
JP4768774B2 (ja) ブロー成形または延伸ブロー成形によって熱可塑性樹脂製の容器を製造する成形装置
KR20040066123A (ko) 열가소성 중합체 용기를 취입 성형하기 위한 장치
US5762981A (en) Base for a mold assembly
US10081126B2 (en) Blow mold for manufacturing containers made of thermoplastic material
CN102497971A (zh) 用于制造由热塑性塑料制成的物品的方法
US8424709B2 (en) Bottom of a mold for producing thermoplastic containers, and container obtained
CN110625910B (zh) 配有由来自冲击流体回路的流体回路通风的活动冲击插件的模制单元
US3955908A (en) Balloon blow molding tooling
US4043735A (en) Balloon blow molding tooling
CN111511527A (zh) 优化流体循环的整体模底
CN111655447B (zh) 具有圆柱形装配面的半模及制造方法
JP3897447B2 (ja) パリソン形成方法とその装置
KR100542253B1 (ko) 폴리우레탄 포옴 성형방법
KR100542258B1 (ko) 폴리우레탄 포옴 성형용 금형의 에어벤트 장치
CN218139815U (zh) 用于将塑料预制件成型为塑料容器的吹塑模具和底座部件
CN105189084A (zh) 具有活动底部和水平连接平面的模具
WO2019208498A1 (ja) 射出成形用金型及びそれに含まれるリップ型並びに射出成形方法
CA1042170A (en) Balloon blow molding tooling
JPH04208410A (ja) タイヤ加硫方法及びその加硫装置
JP2006123315A (ja) 樹脂製容器用の成形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