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5140A - 시트 형상물의 감기기구 - Google Patents
시트 형상물의 감기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65140A KR20040065140A KR1020030057232A KR20030057232A KR20040065140A KR 20040065140 A KR20040065140 A KR 20040065140A KR 1020030057232 A KR1020030057232 A KR 1020030057232A KR 20030057232 A KR20030057232 A KR 20030057232A KR 20040065140 A KR20040065140 A KR 200400651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et
- winding shaft
- winding
- shaft
- planetary gea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06B9/50—Bear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6—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non-rigid element or elements
- B60J7/06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non-rigid element or elements sliding and winding up
- B60J7/06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non-rigid element or elements sliding and winding up for utility vehicles, e.g. of tarpaulin or roller-blind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2009/807—Brakes preventing fast screen movement
- E06B2009/808—Fluid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Of Webs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과제) 시트 형상물을 인출 가능한 상태로 감기형상으로 유지하는 감기기구에 있어서, 감기 시에는 일정한 제동을 감기축에 부여하도록 함과 아울러, 인출 시에는 이러한 제동을 전혀 부여하지 않도록 해서 시트 형상물의 인출을 저항없이 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시트 형상물(S)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이 시트 형상물(S)의 감기축(1)과, 감기축(1)에 시트 형상물(S)이 감겨지는 정전(正轉)방향(f)을 향해서 감기축(1)을 항상 탄지하는 탄지수단(2)과, 감기축(1)의 정전에 대해서만 일정한 제동을 부여하는 제동수단(3)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각 종의 시트 형상물을 인출 가능한 상태로 감기형상으로 유지하는 감기기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커버장치에 있어서, 감기축의 수납박스의 내벽부에 이 토너커버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스프링부재를 설치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실용신안등록공개소59-185148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의 것에 있어서는 토너커버의 인출 시에도 스프링부재에 의한 제동이 작용된다.
특허문헌 1의 제 3 도에 나타내어진 형태에서는 제동은 인출의 최초단계에서 작용되는 데 그치지만, 토너커버의 인출 시에 제동이 작용되는 상태가 있음에는 변함이 없다.
또한 특허문헌 1의 것에서는 감기축에 대한 제동력이 토너커버의 인출량에 따라서 가변되기 쉽고, 특히 감기속도를 일정하게 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시트 형상물을 인출 가능한 상태로 감기형상으로 유지하는 감기기구에 있어서, 감기 시에는 일정한 제동을 감기축에 부여하도록 함과 아울러, 인출 시에는 이러한 제동을 전혀 부여하지 않도록 해서 시트 형상물의 인출을 저항없이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감기기구의 개요를 나타낸 사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감기기구의 요부단면 구성도
도 3은 도 1의 감기기구의 요부단면 구성도
도 4는 제동수단(3)의 평면도
도 5는 제동수단(3)의 측면도
도 6은 제동수단(3)의 저면도
도 7은 도 4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정전(正轉) 시)
도 9는 도 7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역전(逆轉) 시)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S - 시트 형상물 f - 정전방향
1 - 감기축 2 - 탄지수단
3 - 제동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시트 형상물의 감기기구를,
시트 형상물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이 시트 형상물의 감기축과,
이 감기축을 이 감기축에 시트 형상물이 감겨지는 정전방향을 향해서, 항상 탄지하는 탄지수단과,
감기축의 상기 정전에 대해서만 일정한 제동을 부여하는 제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시트 형상물의 인출조작에 있어서는 감기축을 저항이 작게 역전시킬 수 있고, 이 인출을 부드럽게 행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인출된 시트 형상물의 타단부측의 파지(把持)나 1차적인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감기축의 정전이 허용되면, 이 감기축의 정전을 자동적으로 개시하게 하여 이러한 시트 형상물을 감을 수 있음과 아울러, 이 감기의 기세를 감쇄시켜서 감기에 있어서의 각 부재의 강한 부딪침이나 파손 등을 일으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위화감이 없는 시트 형상물의 감기를 연출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 기재의 시트 형상물의 감기기구에 있어서의 제동수단이,
감기축에 조립되고 이 감기축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되는 내측 회전체와,
내측 회전체를 내측에 수납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는 외측 회전체와,
외측 회전체를 수납하는 케이스체와,
내측 회전체의 외주측에서 회전 중심측을 향해 움푹 들어간 오목부에 수납되는 유성 기어체를 구비하고 있고,
외측 회전체의 내벽부에는 유성 기어체에 맞물림하는 주회형상 래크부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 회전체와 케이스체의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틈에는 점성유체가 봉입되어 있고,
또한, 감기축의 정전에 따르는 내측 회전체의 정전 시에 유성 기어체의 회전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감기축의 역전 시에는 이 감기축의 역전에 의해서 외측 회전체 내에서 역전되는 내측 회전체에 의해 압압되는 유성 기어체를 외측 회전체의 주회형상 래크부를 따라서 회전시키면서 주행시킬 수 있고, 이 역전 시에는 내측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서 외측 회전체가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점성유체는 외측 회전체와 케이스체 사이의 틈에 봉입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 회전체의 역전, 즉 감기축의 역전에 제동을 부여시키는 일이 없다. 즉, 시트 형상물의 인출조작에 대해서 저항을 발생하게 하지 않는 상태를 확실히 만들어 낼 수 있다.
한편, 감기축의 정전 시에는 이 감기축의 정전에 의해 외측 회전체 내에서 정전되는 내측 회전체에 의해 압압되는 유성 기어체의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성 기어체의 회전이 규제되면 외측 회전체의 주회형상 래크부에 맞물림하고 있는 유성 기어체를 통해, 이 정전 시에는 내측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외측 회전체도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 회전체가 회전되면 상기 점성유체에 의해 외측 회전체의 내측 회전체의 정전, 즉, 감기축의 정전에 제동이 부여된다. 즉, 인출된 시트 형상물의 탄지수단에 의한 자동적인 감기동작에 대해서 저항을 발생하게 하는 상태를 확실히 만들어 낼 수 있다.
또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기재의 시트 형상물의 감기기구에서의 감기축의 양 단부에 각각 제동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감기축이 정전되었을 때의 제동수단에 의한 제동을 감기축의 양 단부에 있어서 각각 발생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감기축의 정전을 안정되게 하는 동시에, 이 감기축의 정전에 대해서 보다 적절한 제동을 부여시킬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도 1 내지 도 9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 도 1은 감기기구의 개요를 이해하기 쉽도록, 이 기구를 구성하는 각 부재를 분리해서 나타내고 있고, 또 도 2는 이러한 기구를 구성하는 제동수단(3)의 조립측을 또 도 3은 이러한 기구를 구성하는 탄지수단(2)의 조립측을, 각각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4 내지 도 9는 제동수단(3)을 각각 나타내고 있고, 여기서 도 8은 감기축(1)이 정전되고 있는 경우의 제동수단(3)의 내부의 상태를, 또 도 9는 감기축(1)이 역전되고 있는 경우의 제동수단(3)의 내부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감기기구는 각 종의 시트 형상물(S)을 인출 가능한 상태로 감기형상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트 형상물(S)로서는 각 종의 직물, 편직물, 망상체, 합성수지제의 시트 등을 예정하는 것이다.
또 이러한 감기기구는 토너커버가 되는 시트 형상물(S), 썬쉐이드가 되는 시트 형상물(S), 블라인드가 되는 시트 형상물(S) 등을 인출 가능한 상태로 감기형상으로 유지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감기기구는,
(1) 감기축(1)과,
(2) 탄지수단(2)과,
(3) 제동수단(3)을 구비하고 있다.
감기축(1)은 시트 형상물(S)의 일단부가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고정된 시트 형상물(S)을 감기축(1)의 정전에 의해서 감고, 또 감겨진 시트 형상물(S)의 타단부를 파지해서 이 시트 형상물(S)을 인장하도록 조작했을 때에는 이와 같이 인장된 시트 형상물(S)의 인출을 감기축(1)의 역전에 의해서 허용시키도록 되어 있다.
탄지수단(2)은 이러한 감기축(1)을, 이 감기축(1)에 시트 형상물(S)이 감겨지는 정전방향(f)을 향해서 항상 탄지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이러한 탄지수단(2)에 의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인출된 시트 형상물(S)의 타단부측의 파지나 1차적인 고정을 해제하면, 감기축(1)의 정전이 허용되는 동시에 이 감기축(1)의 정전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시트 형상물(S)이 감기축(1)에 감겨지도록 되어 있다. 인출된 시트 형상물(S)의 타단부측의 1차적인 고정은 전형적으로는 이 시트 형상물(S)의 타단부에 형성된 후크 등을, 시트 형상물(S)의 인출 선단부측에 있는 벽면 등에 형성한 피걸림부 등에 걸어맞춤하게 함으로써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 형상물(S)이 토너커버로서 이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차량의 백 도어측에 상기 피걸림부를 형성해 두고, 이 시트 형상물(S)의 후크를 이 피걸림부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차량의 후부 수납부의 상방을 이 시트 형상물(S)에 의해서 덮은 시트 형상물(S)의 인출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후크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면 시트 형상물(S)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감겨지고, 차량의 후부 수납부의 덮은 상태는 원터치로 해제된다.
제동수단(3)은 감기축(1)의 상기 정전에 대해서만 일정한 제동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동수단(3)은 감기축(1)의 상기 역전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제동을 부여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감기기구에 의하면 시트 형상물(S)의 인출조 작에 있어서는 감기축(1)을 저항이 작게 역전시킬 수 있고, 이 인출을 부드럽게 행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인출된 시트 형상물(S)의 타단부측의 파지나 1차적인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감기축(1)의 정전이 허용되면, 이 감기축(1)의 정전을 자동적으로개시시켜, 이러한 시트 형상물(S)을 감을 수 있음과 아울러, 이 감기의 기세를 감쇄하게 하여 감기에 있어서의 각 부재의 강한 부딪침이나 파손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위화감이 없는 시트 형상물(S)의 감기를 연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동수단(3)을 감기축(1)의 양 단부에 각각 구비하도록 하고 있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감기축(1)이 정전되었을 때의 제동수단(3)에 의한 제동을 감기축(1)의 양 단부에 있어서 각각 발생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감기축(1)의 정전을 안정되게 하는 동시에, 이 감기축(1)의 정전에 대해서 보다 적절한 제동을 부여하게 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감기축(1)은 양 단부를 개방시킨 중공의 통형상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시트 형상물(S)은 그 폭방향을 따른 일측의 가장자리부, 즉, 일단부를 이 감기축(1)의 축선방향에 따르게 하도록 하여, 이 감기축(1)의 외주부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이러한 감기축(1)은 상기 시트 형상물(S)의 인출 슬릿(41)을 길이방향을 따라서 구비한 가늘고 긴 메인 케이스(4)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또 도시된 예에서는 이러한 메인 케이스(4)의 일단부에 있어서 감기축(1)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는 동시에, 이러한 메인 케이스(4)의 타단부에 있어서 제동수단(3)을 구성하는 후술하는 내측 회전체(30)의 조인트부(30d)를 통해서, 감기축(1)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도시된 예에서는 탄지수단(2)은 감기축(1)의 일단부측에서 이 감기축(1)의 내부에 인입된 코일 스프링(2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이 코일 스프링(20)의 일단부(20a)는 감기축(1)의 일단부에서 이 감기축(1)내로 인입되어 이 감기축(1)의 일단부를 축지하고 있는 메인 케이스(4)의 일단부에 형성된 축체(42)에 고정되고 또한, 이 코일 스프링(20)의 타단부(20b)는 감기축(1)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감기축(1)이 역전됨으로써 이러한 코일 스프링(20)이 탄성적으로 축경되어, 이 코일 스프링(20)에 감기축(1)에 대한 정전방향(f)의 탄지력이 축세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동수단(3)은,
(1) 내측 회전체(30)와,
(2) 외측 회전체(31)와,
(3) 케이스체(32)와,
(4) 유성 기어체(33)와,
(5) 점성유체(도시 생략)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내측 회전체(30)는 감기축(1)에 조립되고 이 감기축(1)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일면을 개방시킨 케이스 베이스(32a)와 이 케이스 베이스(32a)의 개방부(32b)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전방에서 막는 전면에 큰 관통구멍(32e)을 구비한 덮개체(32d)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체(32)가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케이스 베이스(32a)에 외측 회전체(31)를 수납한 후, 이 외측 회전체(31)의 내측에 내측 회전체(30)를 수납하고, 이 후 또한, 케이스 베이스(32a)의 개방부(32b)를 막도록 이 케이스 베이스(32a)에 덮개체(32d)를 조립함으로써, 제동수단(3)을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제동수단(3)은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메인 케이스(4)의 타단부를 막는 홀더(43)내에 끼워 넣어지고, 이 홀더(43)를 메인 케이스(4)의 타단부에 고정함으로써 메인 케이스(4)에 대해서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내측 회전체(30)는 그 회전축(x)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는 2개의 면의 일측(이하, 내측 회전체(30)의 전면(30a)이라 함)을 덮개체(32d)의 내면에 마주보게 하고, 또한 이 2개의 면의 타측(이하, 내측 회전체(30)의 배면(30b)이라 함)을 외측 회전체(31)의 후술하는 저면(31a)에 마주보게 하고, 또한, 이 2개의 면 사이에 있는 측면(30c)을 외측 회전체(31)의 내벽부(31b)에 마주보게 하도록 해서 조립되어 있다.
내측 회전체(30)의 전면(30a)에는 이 내측 회전체(30)의 회전축(x)에 따르는 방향으로 돌출된 조인트부(30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이 조인트부(30d)는 통형상의 일단부를 내측 회전체(30)의 전면(30a)에 일체로 연접시킨 통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체(32d)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32e)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된 예에서는 감기축(1)의 타단부에서 이 감기축(1)내에 이 조인트부(30d)를 인입시킴으로써, 이 내측 회전체(30)를 통해 상기 메인 케이스(4)의 타단부에 대해 감기축(1)의 타단부가 축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이 조인트의 외주부에 이 조인트부(30d)의 통축선을 따라서 연장되는 위치결정 리브(30e)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감기축(1)의 타단부에는 이 감기축(1)의 타단부측 개방부(32b)에 있어서 외측으로 개방되고 이 감기축(1)의 회전축선을 따라서 연장되는 분할홈(10)이 형성되어 있어 이 위치결정 리브(30e)를 이 분할홈(10)에 인입하게 하도록 하고, 감기축(1)내에 조인트부(30d)를 인입하게 함으로써 감기축(1)과 내측 회전체(30)를 일체화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 내측 회전체(30)의 배면(30b)으로서, 이 내측 회전체(30)의 회전 중심 위치에는 이 내측 회전체(30)의 전면(30a)측을 향해서 움푹 들어간 축구멍(30f)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외측 회전체(31)는 내측 회전체(30)를 내측에 수납한 상태로 케이스체(32)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이러한 외측 회전체(31)는 케이스 베이스(32a)의 내측면을 마주보는 주회 측판부(31c)와 저판부(31d)를 가지며, 저판부(31d)와 반대의 개방측에서 그 내측에 내측 회전체(30)를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함께, 외측 회전체(31)의 저판부(31d)에 의해 구성되는 저면(31a)으로서, 이 외측 회전체(31)의 회전 중심 위치에는, 축돌기부(31e)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이 축돌기부(31e)를 내측 회전체(30)의 축구멍(30f)에 인입시킨 상태에서 외측 회전체(31)내에 내측 회전체(30)가 수납되도록 되어 있고, 내측 회전체(30)는 외측 회전체(31)의 축돌기부(31e)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 도시된 예에서는 케이스 베이스(32a)의 저부의 거의 중앙에축오목부(32c)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외측 회전체(31)의 저판부(31d)의 외면측으로서 이 외측 회전체(31)의 회전 중심 위치에 이 축오목부(32c)에 인입되는 축돌기부(31f)가 형성되어 있다.
또 내측 회전체(30)는 내측 회전체(30)의 외주측에서 회전 중심측을 향해 움푹 들어간 오목부(30g)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유성 기어체(33)는 이 내측 회전체(30)의 오목부(30g)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또 외측 회전체(31)의 내벽부(주회 측판부(31c)의 내측면부)에는 유성 기어체(33)에 맞물리는 주회형상 래크부(31g)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감기축(1)의 정전에 따르는 내측 회전체(30)의 정전 시에, 유성 기어체(33)의 회전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 외측 회전체(31)와 케이스체(32)의 사이에는 틈(34)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틈(34)에는 도시생략한 점성유체가 봉입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시된 예에 있어서 외측 회전체(31)의 저판부(31d)의 외면과 케이스 베이스(32a)의 저부 사이에 틈(34)이 형성되어 있고, 이 틈(34)에 실리콘오일 등의 점성유체가 봉입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이러한 외측 회전체(31)의 주회 측판부(31c)의 선단부 외측에 실링(35)이 끼워져 부착되어 있어, 이 점성유체가 케이스 베이스(32a)의 개방부(32b)로부터 누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내측 회전체(30)에는 3개소의 오목부(30g‥30g)가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30g‥30g)간의 피치는, 내측 회전체(30)의 회전축을 둘러싸는 방향에 있어서 거의 같아지도록 되어 있다. 또 각 오목부(30g‥30g)는 모두거의 동일한 치수 동일한 형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오목부(30g)는 내측 회전체(30)의 측면과 내측 회전체(30)의 전면(30a) 및 배면에 있어서 외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또 이러한 오목부(30g)는 내측 회전체(30)의 역전시에 오목부(30g)에 수납된 유성 기어체(33)를 압압하는 오목부(30g) 벽면을, 이 유성 기어체(33)의 외주 원, 즉, 기어톱니의 선단부를 지나는 가상원의 원호를 따른 원호면(30h)으로 하고 있다.
또 이러한 오목부(30g)는 내측 회전체(30)의 정전 시에 오목부(30g)에 수납된 유성 기어체(33)를 압압하는 오목부(30g) 벽면을 이 유성 기어체(33)의 외주 원에 대한 접선으로서, 유성 기어체(33)의 회전 중심과 내측 회전체(30)의 회전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에 거의 따르는 스트레이트면(30i)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스트레이트면(30i)과 내측 회전체(30)의 외주면 사이에, 이 스트레이트면(30i)이 유성 기어체(33)에 압착되는 상기 정전 시에, 유성 기어체(33)의 외주 원보다도 약간 내측으로 인입되는 코너부(30j)가 형성되어 있다.
즉, 오목부(30g)의 원호면(30h)과 스트레이트면(30i)간의 피치는, 유성 기어체(33)의 상기 외주 원의 직경보다도 약간 넓어져 있고, 또 유성 기어체(33)는 내측 회전체(30) 및 외측 회전체(31)의 어느 것에도 축지되지 않는다.
한편, 3개소의 오목부(30g)에 수납되는 유성 기어체(33)는 모두 거의 동일한 치수 동일한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어느 유성 기어체(33)나 내측 회전체(30)의 오목부(30g)내에 이 유성 기어체(33)의 회전축(x')을 내측 회전체(30)의 회전축(x)에 거의 따르게 하는 방향으로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 회전체(30)의 오목부(30g)의 바닥과 외측 회전체(31)의 내벽부 사이의 피치가 유성 기어체(33)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감기축(1)의 역전시에는 이 감기축(1)의 역전에 의해 외측 회전체(31)내에서 역전되는 내측 회전체(30)에 의해 압압되는 유성 기어체(33)를 외측 회전체(31)의 주회형상 래크부(31g)를 따라서 회전하게 하면서 주행시킬 수 있고, 이 역전시에는 내측 회전체(30)의 회전에 의해 외측 회전체(31)가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9) 점성유체는 외측 회전체(31)와 케이스체(32) 사이의 틈(34)에 봉입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 회전체(30)의 역전, 즉, 감기축(1)의 역전에 제동을 부여시키는 일이 없다. 즉, 시트 형상물의 인출조작에 대해서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는 상태를 확실하게 만들어 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와 같이 내측 회전체(30)가 역전되면, 유성 기어체(33)에 대해 내측 회전체(30)는 상기 오목부(30g)의 원호면(30h)을 압착시키게 되지만, 이 원호면(30h)은 유성 기어체(33)의 외주 원을 따른 면이기 때문에 이 압착에 의해서 유성 기어체(33)의 회전이 방해되는 일은 없고, 유성 기어체(33)는 상기 주회형상 래크(31g)를 따라서 회전하면서 주행되고, 주회형상 래크부(31g)측, 즉, 외측 회전체(31)를 회전시키는 일이 없다.
한편, 감기축(1)의 정전 시에는 이 감기축(1)의 정전에 의해 외측 회전체(31)내에서 정전되는 내측 회전체(30)에 의해 압압되는 유성 기어체(33)의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성 기어체(33)의 회전이 규제되면, 외측 회전체(31)의 주회형상 래크부(31g)에 맞물려 있는 유성 기어체(33)를 통해, 이 정전 시에는 내측 회전체(30)의 회전에 의해 외측 회전체(31)도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 이와 같이 외측 회전체(31)가 회전되면 상기 점성유체에 의해 외측 회전체(31)의 내측 회전체(30)의 정전, 즉, 감기축(1)의 정전에 제동이 부여된다. 즉, 인출된 시트 형상물의 탄지수단(2)에 의한 자동적인 감기동작에 대해서 저항을 발생시키는 상태를 확실히 만들어 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와 같이 내측 회전체(30)가 정전되면, 유성 기어체(33)에 대해 내측 회전체(30)는 상기 오목부(30g)의 스트레이트면(30i)을 압착시키게 됨과 아울러, 이 스트레이트면(30i)과 내측 회전체(30)의 외주면이 맞닿게 되는 코너부(30j), 즉, 오목부(30g)의 입구에 있는 코너부(30j)의 일측이 유성 기어체(33)의 인접하는 기어톱니 사이에 인입되기 때문에 이 압착에 의해서 유성 기어체(33)의 회전은 규제되고, 이 유성 기어체(33)에 주회형상 래크부(31g)를 맞물리게 하고 있는 외측 회전체(31)는 내측 회전체(3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본 발명에 관한 시트 형상물의 감기기구에 의하면, 감기 시에는 일정한 제동을 감기축에 부여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인출 시에는 이러한 제동을 전혀 부여하지 않도록 해서 시트 형상물의 인출을 저항없이 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Claims (3)
- 시트 형상물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상기 시트 형상물의 감기축과,상기 감기축을 상기 감기축에 시트 형상물이 감겨지는 정전방향을 향해서 항상 탄지하는 탄지수단과,감기축의 상기 정전에 대해서만 일정한 제동을 부여하는 제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형상물의 감기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제동수단이,감기축에 조립되고 상기 감기축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되는 내측 회전체와,내측 회전체를 내측에 수납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는 외측 회전체와,외측 회전체를 수납하는 케이스체와,내측 회전체의 외주측에서 회전 중심측을 향해 움푹 들어간 오목부에 수납되는 유성 기어체를 구비하고 있고,외측 회전체의 내벽부에는 유성 기어체에 맞물림하는 주회형상 래크부가 형성되어 있고,외측 회전체와 케이스체의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틈에는 점성유체가 봉입되어 있고,또한, 감기축의 정전에 따르는 내측 회전체의 정전 시에 유성 기어체의 회전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형상물의 감기기구.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감기축의 양 단부에 각각 제동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형상물의 감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3006548A JP2004217367A (ja) | 2003-01-15 | 2003-01-15 | シート状物の巻き取り機構 |
JPJP-P-2003-00006548 | 2003-01-1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65140A true KR20040065140A (ko) | 2004-07-21 |
KR100541768B1 KR100541768B1 (ko) | 2006-01-10 |
Family
ID=32709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57232A KR100541768B1 (ko) | 2003-01-15 | 2003-08-19 | 시트 형상물의 감기기구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6923398B2 (ko) |
JP (1) | JP2004217367A (ko) |
KR (1) | KR100541768B1 (ko) |
CN (1) | CN1521030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0404527D0 (en) * | 2004-03-01 | 2004-03-31 | Qm Group Ltd | Retraction speed inhibitor |
CA2734626C (en) * | 2008-08-26 | 2016-12-06 | Hunter Douglas Inc. | Roll-up retractable covering for architectural openings |
IT1393203B1 (it) * | 2009-03-02 | 2012-04-11 | Pronema S R L | Dispositivo di frenatura viscosa, in particolare per schermi avvolgibili. |
KR101282680B1 (ko) * | 2010-12-06 | 2013-07-1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롤 블라인드 개별 작동형 파노라마 루프 |
JP5793201B2 (ja) * | 2011-12-09 | 2015-10-14 | 林テレンプ株式会社 | シート巻取装置 |
WO2017036492A1 (en) | 2015-08-28 | 2017-03-09 | Volvo Truck Corporation | A method and a system for controlling vehicle speed |
CN206545471U (zh) * | 2016-10-20 | 2017-10-10 | 亿丰综合工业股份有限公司 | 卷帘支撑结构 |
CN108064358B (zh) * | 2016-12-29 | 2020-10-27 |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 柔性电子装置 |
US10393206B2 (en) * | 2017-05-16 | 2019-08-27 | Chih-Yung Wang | Buffer device for small-sized roller shade |
US11084361B2 (en) | 2018-10-25 | 2021-08-10 | Truck Accessories Group, Llc | Rolling tonneau cover |
US11724582B2 (en) | 2020-12-03 | 2023-08-15 | Leer Group | Pinch latch assembly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443763A (en) * | 1946-03-26 | 1948-06-22 | Carnegie Illinois Steel Corp | Reel motor control |
US4222601A (en) * | 1978-10-16 | 1980-09-16 | Irvin Industries Inc. | Automobile compartment cover |
JPS59185148A (ja) | 1983-04-05 | 1984-10-20 | Yaskawa Electric Mfg Co Ltd | 電気機器線輪の絶縁方法 |
AU2001240600A1 (en) * | 2000-02-09 | 2001-08-20 | Autoliv Development A.B. | Safety belt retractor comprising a rotation damper |
JP2002249264A (ja) * | 2001-02-22 | 2002-09-03 | Piolax Inc | シート状体の巻取装置 |
-
2003
- 2003-01-15 JP JP2003006548A patent/JP2004217367A/ja active Pending
- 2003-08-19 KR KR1020030057232A patent/KR10054176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09-09 US US10/657,967 patent/US6923398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
- 2004-01-12 CN CNA2004100005406A patent/CN1521030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521030A (zh) | 2004-08-18 |
KR100541768B1 (ko) | 2006-01-10 |
US6923398B2 (en) | 2005-08-02 |
US20040135022A1 (en) | 2004-07-15 |
JP2004217367A (ja) | 2004-08-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41768B1 (ko) | 시트 형상물의 감기기구 | |
JP4472161B2 (ja) | 制動機構及びこの制動機構を用いた容器ホルダー | |
JP2004175151A (ja) | ダンパユニット及びこのダンパユニットを用いたクローブボックス装置 | |
JP2004204953A (ja) | 一時角度設定機能付ヒンジ装置 | |
JPH092724A (ja) | 塗布膜転写具及び塗布膜転写具における転写テープ詰替方法 | |
JPH01108581A (ja) | トナー供給装置 | |
EP1990300A1 (en) | A hand-held device for transferring a film from a backing tape onto a substrate having backing tape reels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
CN111818820A (zh) | 化妆品容器 | |
JP2012001089A (ja) | ウエビング巻取装置 | |
CN115083283A (zh) | 显示装置及手表 | |
WO2012070583A1 (ja) | ダンパー装置 | |
JP5171112B2 (ja) | 窓用遮蔽シート材の巻き取り装置 | |
JP2000145334A (ja) | 幕体巻取り装置 | |
JP5539031B2 (ja) | ウエビング巻取装置 | |
KR200255113Y1 (ko) | 화장용 펜슬용기 | |
JP2009249945A (ja) | 回動体の動作機構 | |
JP2006046490A (ja) | ダンパ装置 | |
KR101449317B1 (ko) | 차량용 선글라스 케이스 | |
JP3575746B2 (ja) | 携帯用石鹸 | |
JP2006159433A (ja) | チョークホルダ | |
KR20020076803A (ko) | 회전접이식 브러시 | |
JP7521245B2 (ja) | テープディスペンサ | |
GB2397292A (en) | Unidirectional brake for a winding mechanism | |
JP3660719B2 (ja) | 軸具 | |
JPH03280498A (ja) | 電子機器のコード収納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12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