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3960A - 용기의 밀봉구조, 그 밀봉구조를 구비한 용기 및 그밀봉구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용기의 밀봉구조, 그 밀봉구조를 구비한 용기 및 그밀봉구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3960A
KR20040063960A KR10-2004-7007145A KR20047007145A KR20040063960A KR 20040063960 A KR20040063960 A KR 20040063960A KR 20047007145 A KR20047007145 A KR 20047007145A KR 20040063960 A KR20040063960 A KR 20040063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ealing structure
wall
cap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7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미 고바야시
겐이치 다카오
고우지 나가타
와따루 쿠로가와
가즈히코 스카다
Original Assignee
토요세이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요세이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요세이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3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396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38Making inlet or outlet arrangements of cans, tins, baths, bottles, or other vessels; Making can ends; Making closures
    • B21D51/44Making closures, e.g. caps
    • B21D51/46Placing sealings or seal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38Making inlet or outlet arrangements of cans, tins, baths, bottles, or other vessels; Making can ends; Mak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38Making inlet or outlet arrangements of cans, tins, baths, bottles, or other vessels; Making can ends; Making closures
    • B21D51/44Making closures, e.g. caps
    • B21D51/50Making screw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38Integral frangibl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36Closures with frangible parts adapted to be pierced, torn, or removed, to provide discharge openings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개봉을 용이 또는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재밀봉시에는 개구부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용기의 밀봉구조, 그 밀봉구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본 발명의 용기 밀봉구조는 주출부(12)와 캡부(16)가 연속해서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용이파단부(15)가 형성되고, 주출부(12)와 캡부(16)가 내벽(11)의 상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곡하여 된 중간벽(13)과, 중간벽(13)의 하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하여 된 외벽(14)으로 이루어 진다.

Description

용기의 밀봉구조, 그 밀봉구조를 구비한 용기 및 그 밀봉구조의 제조방법{Container sealing structure, container with the sealing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aling structure}
쥬스캔, 맥주캔, 탄산음료캔, 커피음료캔, 홍차음료캔 등의 밀봉용기로서 용기본체의 개구 단부에 이지오픈(easy open) 두껑을 감아조이는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지오픈 뚜껑에는 개구부(주출부(注出部))를 구획하는 용이파단부(score : easily broken part)가 형성되어 있고, 뚜껑 본체에 설치된 리벳(rivet)에 부착(cling)된 손잡이 탭(tab)을 이용해 용이파단부를 파단하여 밀어내려서, 마시는 입구 등이 되는 개구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종래의 밀봉용기의 경우, 마시다 남겼을 때에 개구부를 재밀봉 할 수 없기 때문에 남긴 음료 등은 버리던가 혹은 컵 등에 옮겨서 냉장고 안에 보관하는노력을 요하고, 또한 뚜껑에 이물(異物)질이 부착해서 비위생적이 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이 개구부를 재밀봉하기 위해,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은 기술이 제안되었다.
특허공개 2000-296866호 공보에는 용기캔 뚜껑의 개구부에 자유롭게 착탈가능하도록 씌어서 부착된 수지제(樹脂製)의 캡(cap)이 개구부의 상단면과 밀착하는 부분을 가진 환형 플랜지(flange)부와, 플랜지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되서 그 내주면(內周面)에 개구부와 계합부(係合部)가 형성된 제1 원통부와, 플랜지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원통부와, 제2 원통부보다도 안쪽방향으로 각 원통부와는 간격을 두고 동심(同心)으로 설치할 수 있는 원통형의 누름단추부와, 누름단추부의 하단 근방에서 바깥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마개부와, 마개부의 상단과 제2 원통부의 내주면을 연결하는 얇은 환형 원추판의 가동연결부를 일체로 성형한 재밀봉용 캡이 달린 용기가 기재되어있다.
여기서는 캔뚜껑의 개구부와 캡의 제1 원통부와의 계합에 의해 캡을 착탈시킴과 동시에 캡의 누름단추부를 상방향에서 손가락으로 눌러서 가동연결부를 탄성변형시켜 누름단추부와 마개부를 하방향으로 변위시켜서 힌지(hinge)부분이 되는 일부분을 제거하여 대략 환형으로 파단가능한 절취부(score)가 형성되어있는 금속제의 용기에 대하여, 절취부를 파단하면서 절취부로 둘러쌓여진 부분을 캔본체내로 눌러 내림으로써 주출구(注出口)를 개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개구부를 재밀봉할 때에는 가동연결부를 탄성변형에 의해 탄성한계를 넘어서 하방향으로 반회전시켜 캡의 플랜지부를 캔뚜껑의 개구부 상단면에 밀착시켜 밀봉한다.
그렇지만, 특허공개 2000-296866호 공보에 나타난 것과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1) 수지제의 캡이 용기본체와는 별도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용기제조시에 공정이 번잡하게 되기쉽고, 생산성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2) 사용전 수송중에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캡이 용기본체로부터 탈락하는 경우가 있고, 또 사용시에 있어서 내구성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3) 캡의 위에서부터 손가락으로 눌러 용이파단부를 개구시키기 때문에 손끝의 힘이 약한 유아나 고령자 등은 그 개봉을 용이하게 할수 없고, 또한 캡을 벗겨서 보지 않으면 그 개구상태를 확인 할 수 없기 때문에 개구의 확실성에서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4) 재밀봉시에는 캡과 개구부와의 접합부분에 먼지나 쓰레기 등 이물질이 끼거나 부착하거나 해서 비위생적이게 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5) 용기본체와 캡이 다른 소재이고, 폐기 할 때에는 구분을 요하기 때문에 불편하고, 재활용성도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의 해결을 과제로 하는 것으로, 용기제조시의 생산성이나 수송중에 있어서 내구성이 우수한 용기의 밀봉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유아나 고령자등도 용이하고 확실하게 개봉할 수 있고, 재밀봉시에는 개구부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용기 밀봉구조를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음료캔이나 플라스틱병 등의 음료용기나 석유통 용기의 밀봉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 개구(開口)가 용이하고, 게다가 개봉 후에 재밀봉(sealing)할 수 있는 용기의 밀봉구조. 그 밀봉구조를 구비한 용기 및 그 밀봉구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실시형태 1의 용기 밀봉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의 용기 밀봉구조의 캡(cap)부를 분리한 상태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의 용기 밀봉구조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흐름(flow)도이다.
도 4는 직경 확대가공에 있어서 벌지(bulge)성형의 개요를 나타내는 개략설명도이다.
도 5는 직경 축소가공에 있어서 네킹(necking)가공의 개요를 나타내는 개략설명도이다.
도 6는 절곡가공에 있어서 변형과정의 차이를 설명하는 개략설명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용이파단부(슬릿)가 형성된 밀봉구조의 개략설명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1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내는 개략설명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2의 용기 밀봉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2가 완성되는 전단계(前段階)의 성형체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3의 용기 밀봉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3이 완성되는 전단계의 성형체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도 13은 용이파단부를 절개하기 위해 견인탭(牽引tab)을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개략설명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 4의 용기 밀봉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설명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 4의 용기 밀봉구조의 캡(cap)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설명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 4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설명도이다.
도 17은 실시형태 4외의 기타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설명도이다.
도 18은 실시형태 5의 용기 밀봉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설명도이다.
도 19는 실시형태 5의 용기 요부(要部) 개략설명도이다.
도 20은 실시형태 6의 용기 요부단면도이다.
도 21은 실시형태 6의 변형예의 용기 단면도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는 주출부와 캡(cap)부를 연속해서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용이파단부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주출부 및 캡부가 연속해서 일체로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내용물의 충진 후 캡부에 있어서 밀봉성의 보증이 완전히 이루어지고, 게다가 용기제조 시 생산성이나 수송중에 있어서 내구성이 우수한 용기의 밀봉구조로 할 수 있다.
게다가 또한, 단일의 소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를 폐기 할 때에도 용기본체와 캡부를 구분할 필요가 없고, 재활용성, 폐기 편리성에서도 우수하다. 게다가 용이파단부가 설치되어있기 때문에 유아나 고령자도 용기의 외측으로 배치된 박벽 채널(thin-wall channel)형이나 슬릿(slit)형 등으로 형성된 용이파단부를 조작해서 그 파단(破斷)상태를 관찰하면서 확실하게 개봉할 수 있는 동시에 탬퍼 에비던트(temper-evident)성을 가지며, 게다가 또한 재밀봉 시에는 캡부를 주출부에 용이하게 장착해서 개구부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는 주출부와 캡부가 내벽의 상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중간벽과, 그 중간벽의 하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외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개봉함으로써 노출되는 주출부의 상단은 내벽과 중간벽의 절곡 곡율(曲率)을 가지기 때문에, 주출구로부터 내용물의 주출(注出)이 부드러울 뿐만 아니라 직접 주출부에 입을 대고 마시는(소위, 병째마심) 경우에도 입을 다치는 등의 불안이 전혀 없고 안전성에서도 우수하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는 계합부를 형성하여 구성되어있다.
이 구성에 의해 내벽과 중간벽 혹은 중간벽과 외벽이 착탈가능하게 계합되므로 용이파단부를 분리한 용기의 밀봉 후에 있어 남긴 음료 등을 위생적으로 간직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는 계합부가 나사로 구성되어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내벽, 중간벽, 외벽 사이의 어느것이 서로 나사계합되어 착탈가능토록 장착되어있는 것에 의해 용기개봉 후 재밀봉기능이 확실하게 되었다. 또한, 간단히 캡부를 비틀어 채우는 것만으로도 되므로 특별한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취급하기에 우수하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는 캡부에 형성된 나사와 그것과 계합하고 있는 나사의 연결 경로부위에 토션(torsion)력에 의해 플렉시블(flexible)해지는 패널부가 형성되어 있다.
토션력(비트는 힘)에 의해 플렉시블한 패널을 이하에서는 "토션 플렉시블 패널"이라 칭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캡부를 비트는 것으로 토션 플렉시블 패널의 상하가 압축된 것과 같이 변형하고, 토션 토크(torque)에 의해 토션 추력(推力-미는 힘)이 생긴다. 이 나사의 추력에 의한 전단응력(剪斷應力)에 인장응력이 부가되는 것에 의해 용이파단부가 쉽게 파단된다는 작용효과가 발생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는 계합부가 언더컷(under cut)구조로 구성된다. 언더컷 계합이기 때문에 원터치 조작으로 착탈할수 있고, 유아나 고령자도 용이하게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는 용이파단부를 주출부와 캡부의 경계에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용이파단부가 파단하여 캡부가 분리하는 것으로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따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분리한 캡부는 재밀봉하는 목적으로 다시 이용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는 용이파단부를 절취부(score)로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확실하고 용이하게 용이파단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는 용이파단부를 슬릿(slit)으로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개봉성(開封性)을 향상시키는 작용이 있다. 즉, 이 경우 밀봉성을 확실히 하기 위해 청구항 10에 나타낸 것과 같은 밀봉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는 캡부의 내면과 주출부의 사이에 밀봉재를 개재(介在)시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재밀봉 시에 밀봉성이 향상되고, 특히 언더컷 구조에 의한 계합의 경우 유효하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는 밀봉구조가 금속소재로 형성되어 구성되어있다. 가공성에서 우수한 금속소재를 적용할 수 있고, 내벽, 중간벽, 외벽으로 이루어진 삼중벽을 형성시킬 때의 절곡가공을 용이하게 하고, 내용성(耐用性)이나 내누설성(耐漏洩性)이 우수한 용기의 밀봉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는 용기의 밀봉구조가 플라스틱 소재로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사출성형이나 압출성형 등의 성형법을 적용할 수 있고, 용기의 밀봉구조를 대량으로 제조할 때에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용기는 청구항 1~12의 어느 항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를 구비한 용기로서, 용기의 밀봉구조가 용기본체의 상부의 개구부에 접합되어 구성되어있다. 또한 용기의 밀봉구조가 용기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용기본체의 하부에 바닥 뚜껑부를 접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내용물의 충진 밀봉은 용기본체의 하부에서 할 수 있으며, 종래 형태의 캔뚜껑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충진설비의 대부분이 이용 가능하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 제조방법은 실질적으로 동축(同軸)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다른 부분과 직경이 다른 통형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공정과 그 통형부를 축방향으로 압축조작하는 것에 의해 절곡변형을 발생시키면서 그 통형부의 직경이 커지는 부분의 내측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부분이 배치되어 내벽, 중간벽, 외벽으로 이루어진 삼중벽을 형성하는 공정과 그 통형부에 용이파단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 제조방법은 직경을 확대하는 조작(操作)에 의해 통형부에 직경이 커지는 부분을 형성하던가, 또는 직경을 축소하는 조작에 의해 통형부에 직경이 작아지는 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직경을 확대하는 조작은 공지된 각종 직경 확대방법, 예를 들면 벌지(bulge)성형법, 회전롤 성형법, 액압법(液壓法), 방전성형법(放電成形法), 폭발성형법(爆發成形法), 인크리멘탈(incremental)성형법 등이 가능하다. 직경을 축소하는 조작은 회전롤 성형, 스웨이지(swage)성형법에 의해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 제조방법은 통형부를 축방향으로 압축조작하는 것에 의해 절곡된 부분이 미리 다른 부분보다도 박벽(thin-wall)으로, 즉 얇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금속소재 등을 이용한 경우 일부 연장돌출부를 가진 펀치(punch)와 인발 다이스(dice)를 이용해서 인발성형하는 것에 의해 부분적으로 박벽부를 형성할 수 있다.
삼중벽을 형성할 때, 절곡 예정부위가 얇기 때문에 압축조작에 의해 이 부분만이 우선적으로 형성되므로 그 외의 기타 부분으로 변형이 미치지 않고, 그때마다 안정(安定)한 형상이 얻어진다. 또한, 성형에 필요한 힘이 저감되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의 제조방법은 삼중벽으로 나사가공 또는 언더컷 가공을 해서 나사계합부 또는 언더컷계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사가공 또는 언더컷가공은 가공용 지그(jig)를 삼중벽의 내측과 외측에 배치하고 그것들이 맞물리도록 해서 작용시키는 것에 의해 삼중벽에 나사계합부 또는 언더컷계합부를 일시에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18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의 제조방법은 미리 캡(cap)이 될 예정부위 및 주출부가 될 예정부위의 각각에 나사 혹은 언더커트 형상을 형성하고, 통형부를 절곡변형하는 것에 의해 삼중벽을 형성함과 동시에 각각의 나사 혹은 언더컷 형상이 계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원료를 소재로 해서 사출성형등에 의해 미리 나사 또는 언더컷 형상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삼중벽을 형성한 후 나사 또는 언더컷 구조 형성의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19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 제조방법은 캡(cap)이 될 예정부위에 있어서 나사가 형성된 부위와, 그것이 계합하는 나사가 형성된 부위의 연결 경로부위에 토션력에 의해 플렉시블한 패널(panel)형상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의 밀봉구조에 대해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용기의 밀봉구조를 구비한 용기의 요부단면도이고, 도 2는 캡부를 분리한 상태의 요부단면도이다.
이 형태 1에서는 내벽, 중간벽, 외벽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도 1, 도 2에 있어서, 10은 실시형태 1의 용기의 밀봉구조, 11은 내벽, 12는 주출부, 13은 내벽(11)의 단부(11a)에서 절곡하여 형성된 중간벽, 14는 중간벽(13)의 하단(下端)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외벽, 15는 중간벽(13)의 하단측에 박벽 채널(thin-wall channel)형으로 스코어(score:새긴 금)를 가한 용이파단부, 16은 용이파단부(15)에 연결해서 일체로 연장설치된 원통형의 커버(cover)부 (16a)와 주출부(12)의 개구(開口)를 덮는 원반형의 상판부(上板部)(16b)를 구비한 캡부, 17은 중간벽(13)과 캡부(16)의 커버부(16a)에 각각 설치된 나사계합부이다.
본 발명의 밀봉구조는 쥬스캔, 맥주캔, 탄산음료캔, 홍차캔 등에 사용되는 캡 구조이고, 금속소재, 내면 또는 외면으로 수지층(樹脂層)등이 피복(被覆)된 알루미늄 합금이나 스틸 등의 금속소재, 플라스틱소재가 바람직하게 적용되어 용기본체의 형상으로는 그 외형이 원주(圓柱)형이나 각주(角柱)형 등이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시한 것처럼, 실시형태 1의 용기 밀봉구조(10)는 내벽(11), 중간벽(13),외벽(14) 각각이 연속해서 일체로 형성된 삼중 통형의 구조를 가지고, 중간벽(13)과 외벽(14)과의 하단 연결부 측에 배치된 용이파단부(15)를 통하여 외벽(14)이 중간벽(13)으로부터 분리가능토록 배치된 구조로 되어있다.
실시형태 1의 밀봉구조(10)는, 연속해서 일체로 형성된 주출부(12), 중간벽(13), 캡부(16)의 높이는 예를 들면 5~50mm 정도, 캡부(16)의 직경은 예를 들면 20~100mm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조의 실시형태 1의 밀봉구조(10)는 예를 들면, 도 3의 제조공정 흐름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이하의 공정(a)~(e)를 사용해서 제조할 수 있다.
(a) 알루미늄 합금판 등의 금속판(A)을 딥 드로잉(deep drawing)에 의해 원통형 컵(통형부)(B)을 성형한다.
(b) 중앙에 일부 연장돌출부를 가진 펀치를 사용해서 다시 드로잉(drawing)을 함과 동시에 원통형 컵(B)에 중앙부(C2)를 상기 펀치의 연장돌출부와 서로 접촉시켜서 박벽(thin-wall)화하고, 원통형 컵(B)에 상부(C1), 박벽화한 중앙부(C2), 하부(C3)를 형성한다.
또한, 나사가공 된 후에 형성되는 돌출부 하부의 외벽(14)과 중간벽(13)의 파단 예정부위에 블레이드 롤(blade roll)(E)등을 사용해서 박벽채널(score)이나, 부분적으로 관통공(貫通孔)을 형성한 절단부(slit)(S)를 가진 용이파단부(15)를 원통컵(B) 상부(C1)의 아래쪽에 형성한다(도 7). 용이파단부(15)는 절곡 후에 외벽(14)이 되는 부분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처럼 원통형 컵(B)의 둘레에 블레이드 롤을 주회(周回)시켜서 설치한다.
게다가, 용이파단부(15)를 형성시키는 공정은 하기 (c)의 직경 확대공정 후에 하여도 좋다.
여기서, 절단부(slit)로는, 부분적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슬릿(slit)형, 구멍형, 절단형의 것을 말하고, 용이파단부(15)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c) 속이 비어있는(blank) 원통형 컵(통형부)(B)의 상부(C1)를 분할금형에 삽입하고, 벌지(bulge) 성형가공(도 4 참조)등의 수단으로 우레탄 등의 탄성체(U)를 사용해서 탄성체(U)의 변형에 의해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직경을 확대해서 직경 확대부분(F)을 형성한다. 또는 네킹(necking)가공(도 5 참조)등의 수단으로 네크 인 롤(neck in roll)과 지지롤(支持roll)을 사용해서 외부로부터 내측으로 직경을 축소해서 직경 축소부분(G)을 형성한다.
(d) 다음으로 원통형 컵(B)의 머리부를 가압해서, 원통형 컵(B)의 높이방향중앙부에 형성된 중앙부(C2)가 중간벽(13)이 되고, 원통형 컵(B)의 상부(C1)가
가장 외측으로 배치되어 외벽(14)이 되는 것처럼 내벽(11), 중간벽(13), 외벽(14)의 원통형의 삼중벽으로 이루어진 돌출부(X)를 형성시킨다.
이러한 절곡가공에 있어서 원통형 컵(B)의 상부(C1)을 큰 직경부로 하여 큰 직경부(C1)의 하단을 기점으로 중앙부(C2)를 바깥쪽으로 절곡하는 경우와(도 6에 도시한 형태 V), 원통형 컵(B)의 상부(C1) 및 중앙부(C2)를 큰 직경부로 하여 중앙부(C2)의 하단을 기점으로 중앙부(C2)를 안쪽으로 절곡하는 경우가 있다(도 6의 형태 W).
형태 V의 경우도 형태 W의 경우도, 가공후에는 도 3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로 된다. 더우기, 이 절곡가공에 있어서 적어도 중앙부(C2)를 부분적으로 고주파 유도가열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미리 열처리하여 두면 소재의 연화(軟化)를 초래하는 가공이 용이해진다.
(e) 다음으로, 돌출부(X)의 내측과 외측에 나사가공용 지그(jig)(D)를 눌러붙여 나사가공하여 나사계합부(17)을 형성하고,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실시형태 1의 밀봉구조(10)가 완성된다.
더구나, 상기 용이파단부(15)를 형성하는 공정은 이 나사계합부(17)을 형성한 후에 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나사부의 단면은 도 1을 위시하여, 나사산은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도시되어 있지만 나사산의 볼록부의 방향은 여기에 한정하지 않고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사산이 안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도 좋다.
(f) 이 밀봉구조를 금속캔의 단부에 감아조임 조작에 의해 설치할 수 있도록 외주단(外周端)에 컬(curl)부(Y)를 형성하고 있다(도 21에 예시한다). 이 컬부(Y)의 형성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행할 수 있고, 상기 (b)~(f)의 어느 단계에서 행하여도 좋다.
또, 특히 유기피복 금속판(有機被覆 金屬板)을 소재로 하고 있는 경우에는 피복의 밀착력을 유지하는 목적으로 공정의 최종단계 혹은 도중단계에서 적당히 가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더구나,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실시형태 1의 밀봉구조에 밀봉재(P)를 부가해서 설치하여 재 밀봉후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9에 도시한 밀봉구조(10(2))는 상기 실시형태 1의 밀봉구조에 있어서 내벽(11) 및 중간벽(13)에 나사계합부(17)을 형성하고, 외벽(14)는 평탄한 커버(cover)부(16a)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 2의 밀봉구조(10(2))의 제조방법은 아래와 같다.
플라스틱재 등을 소재로 하여 사출성형법 등에 의해 도 10에 도시한 통형부(B)를 형성한다.
통형부10(2a)는 직경이 큰 상부(C1), 상부(C1)보다도 직경이 작은 중앙부(C2) 및 하부(C3)로 되어있고, 이들은 실질적으로 동축(同軸)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C3)에는 나사(17b)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부(C2)에는 나사(17b)와 역방향으로 피치(pitch)가 같은 나사(17a)와 용이파단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앙부(C2)의 두께는 상부(C1) 및 하부(C3)보다 박벽으로, 즉 얇게 형성되어있다.
머리부(14)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부(C1)의 하단(14a)을 기점으로 해서 절곡변형이 시작되고, 다른 부분보다도 얇은 중앙부(C2)가 순차로 절곡된다.
그 결과, 중앙부(C2)에 형성된 나사(17a)는 뒤집혀서 나사(17b)와 같은 방향으로 피치가 동일한 나사로 되어 나사(17b)와 계합(係合)하고, 도 9에 도시한 10(2)의 밀봉구조가 완성된다.
더우기, 이렇게 형성된 밀봉구조(10(2))에 대해 가공에 의한 잔류응력을 제거하기 위해 열처리를 적당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 3)
도 11에 나타난 밀봉구조(10(3))는 상기 실시형태 1의 밀봉구조에 있어서 외벽(14) 및 중간벽(13)에 나사계합부(17)를 형성하고, 내벽(11)은 평탄한 주출부(12)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 3의 밀봉구조(10(3))의 제조방법은 이하와 같다.
플라스틱재 등을 소재로 하여 사출성형법등에 의해 도 12에 도시한 통형부(10(3a))를 형성한다.
통형부(10(3a))는 직경이 큰 상부(C1), 상부(C1)보다도 직경이 작은 중앙부(C2) 및 하부(C3)로 되어있고, 이들은 실질적으로 동축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C1)에는 나사(17d)와 용이파단부(15)가 형성되어있다. 중앙부(C2)에는 나사(17d)와 역방향으로 피치(pitch)가 같은 나사(17c)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중앙부(C2)의 두께는 상부(C1) 및 하부(C3)보다 얇게 형성되어있다.
머리부(14c)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부(C1)의 하단(14d)을 기점으로 절곡변형이 시작되고, 다른 부분보다도 얇은 중앙부(C2)가 순차적으로 절곡된다.
그 결과 중앙부(C2)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17C)는 뒤집혀서 나사(17d)와 동일한 방향으로 피치(pitch)가 같은 나사로 되어 나사(17d)와 계합하고, 도 11에 도시한 10(3)의 밀봉구조가 완성된다.
더우기, 이렇게 형성된 밀봉구조(10(3))에 대해, 가공에 의한 잔류응력을 제거하기 위해 열처리를 적당껏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실시형태의 1~3의 밀봉구조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밀봉구조의 외벽(14)(캡부 16)을 잡아 회전시켜서 전단력(剪斷力)을 부여한다. 이것에 의해 용이파단부(15)가 파단해서 캡부(16)가 중간벽(13)에서 분리되어 회전하여 개구(開口)하고,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분리해서, 주출부(12)로부터 내부의 음료를 컵에 따르거나 직접 마시거나 할 수 있게 된다.
즉, 용이파단부(15)에 그 박벽부를 당기어서 절개하기 위해서 견인(牽引) 탭(tab)등의 분리구를 미리 설치하여 두고 그 견인탭을 당기는 것으로 외벽(14)(캡부(16))을 중간벽(13)의 하단으로부터 분리하여도 좋다(도 13 참조).
용기에 마시다 남긴 음료가 있을 경우에는 외벽(14)(캡부(16))을 중간벽(13)에 씌워서 회전시켜, 각각에 설치한 나사계합부(17)에 의해 양자(兩者)를 확실히 고정해서 밀봉할 수 있다.
실시형태 1~3의 용기의 밀봉구조는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아래의 우수한 작용을 갖는다.
(1) 외벽(14)(캡부(16)) 및 내벽(11)(주출부(1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제조시의 생산성이나 수송중에 있어서 내구성이 우수하다.
(2) 외벽(14)(캡부(16))와 내벽(11)(주출부(12))와의 경계부분에 용이파단부(15)가 설치되어있으므로 유아나 고령자라도 용이파단부(15)를 조작해서 그 파단상태를 관찰하면서 확실하게 개봉할수 있는 동시에 재밀봉시에는 캡부(16)을 주출부(12)의 중간벽(13)에 용이하게 장착해서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3) 중간벽(13)의 탄성(彈性)을 이용해서 용이파단부(15)를 파단하여 분리한개봉후에 있어서 캡부(16)의 장착조작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4) 중간벽(13)과 캡부(16)가 나사계합부(17)를 통하여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파단부(15)를 분리한 용기 개봉후에 있어서 남긴 음료 등을 위생적으로 간직시킬 수 있고, 그 취급성이 우수하다.
(실시형태 4)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용기 밀봉구조의 요부(要部)단면도이고, 도 15는 캡부를 분리한 상태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14, 도 15에 있어서 20은 실시형태 4의 용기의 밀봉구조, 21은 주출부, 22는 주출부(21)의 단부(21a)에서 절곡해서 통(筒)형으로 형성된 중간벽, 23은 중간벽(22) 또는 커버(24a)의 하단측에 박벽채널(thin-wall channel)형으로 주회(周回)해서 형성된 용이파단부, 24는 용이파단부(23)에 연결해서 중간벽(22)에 연결설치된다,
통형의 커버(24a)와 주출부(21)의 개구(開口)를 덮는 상판부(上板部)(24b)를 구비한 캡부, 25는 캡부(24)의 둘레벽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해서 형성된 감합계합부(嵌合係合部:끼워맞추어 결합), 26은 감합계합부(25)가 계지(係止:걸림)되는 중간벽(22)에 형성된 요철부, P는 캡부(24)의 상판부(24b)에 접착 또는 감착(嵌着:끼워붙임)되어 배치된 고무나 합성수지등의 탄성체나 가소(可塑)체(Flexible bodies)로 이루어진 도너츠형의 밀봉재이다.
즉, 실시형태 4의 용기 밀봉구조(20(1))는
① 개봉후의 캡부(24)가 중간벽(22)에 감합계합부(25)를 통하여 감착자재로(자유자재로 끼워붙여져) 배치되어있는 점(이른바 언더컷 방식으로 한 감합계합부 형성)과
② 캡부(24)의 상판부(24b)에 밀봉재(P)가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형태 1의 것과 다르다.
본 실시형태 4의 밀봉구조(20(1))에 있어서도 연속해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주출부(21), 중간벽(22), 캡부(24)의 높이는 예를 들면, 5~50mm정도, 주출부(24)의 직경은 예를 들면 20~100㎜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합계합부(25) 및 감합계합부(25)가 감착된 오목부(凹部)(26)는 상기 실시형태 3에서 설명한 제조방법에 있어 나사부로 바꾸어, 언더컷 형상으로 변경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용이파단부(23)을 파단한 후에는 중간벽(22)가 탄성적으로 직경을 확대하여 중간벽(22)에 형성한 오목부(26)와 캡부(24)의 하단측의 감합계합부(25)가 탄성적으로 계합한다.
밀봉재(P)는 예를 들면, 고무나 합성수지 등을 소재로 하여 얇은 도너츠 원반형으로 형성되고, 캡부(24) 내측의 상판부(24b)를 덮도록 감착(嵌着) 또는 접착해서 배치된다. 또는 상기한 도 3에 있어서 통형부 캡(B)의 중앙부의 박벽부(C)의 하단부 내주면에 밀봉재(P)를 미리 도포 또는 접착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이후의 공정에서 이 밀봉재(P)는 주출구(21)의 단부(21a)에 위치하고, 캡부의 내면과 주출부와의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가 된다. 그 외에 금속소재로써 미리 내면측에 유기피복을 설치한 도포판 또는 라미네이트판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 피복재에 밀봉재의 역할을 가지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서, 용이파단부(23)을 파단해서 분리된 캡부(24)를 주출부(21)에 덮을 때에 주출부(21)의 단부(21a)에 형성된 밀봉재(P)가 밀착해서 용기내의 액체가 누출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릿형 등의 절단부(slit)(S)를 캡부(24)의 하단측의 벽둘레를 따라서 배치시켜 형성한 용이파단부(23)는 용기본체를 일체성형후에 캡부(24)의 외주벽 하단측의 주회(周回)위치를, 예를 들면, 블레이드롤(blade roll)등을 사용해서 재봉(sewing)선 형태등으로 절단해서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릿(S)이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힘이 약한 사람이라도 용이파단부(23)의 파단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완전한 개구(開口)를 형성키는 것 뿐만 아니라 박벽부를 연속배치하여 용이파단부(23)을 형성시킬 수 있다.
즉, 감합계합부(25) 및 감합계합부(25)가 감착된 오목부(26)는 도 16에 도시한 것처럼 중간벽(22)과 커버(24a)에 각각 돌기부(27,28)를 설치하고, 그 하단과 상단에서 감합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7에 도시한 것처럼 밀봉재(P)를 생략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4의 용기 밀봉구조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의 우수한 작용을 가지고 있다.
(1) 용기의 밀봉구조가 연속해서 일체로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수송중의 진동 등으로도 캡부가 떨어져 나가는 경우가 없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제조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2) 슬릿형, 구멍형, 절단형 등의 관통공을 부분적으로 가진 용이파단부(23)가 설치되어있기 때문에 유아나 고령자등의 힘이 약한 사람이라도 용이하게 파단시킬 수 있고, 개봉성이 우수하다.
(3) 중간벽(22)의 탄성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용이파단부(23)를 분리한 개봉후에 있어서 캡부(24)의 장착조작을 확실히 행하고, 감합계합부(25)를 구비한 캡부(24)를 중간벽(22)에 밀어 넣는 것만의 원터치 조작으로 장착할 수 있고, 유아나 고령자라도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4) 용이파단부(23)에 스코어(score)나 슬릿형, 구멍형의 관통공이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용기의 밀봉구조의 제조시에 용기두께의 조정이 불필요하고, 천공용의 블레이드롤등을 이용해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용기 등을 값싸게 제조할 수 있다.
(5) 캡부(24)의 상판부(24b)에 밀봉재(P)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주출부(21)의 재밀봉시에 있어서 캡부(24)의 밀봉(seal)성을 향상시키고, 용기본체가 기울거나 거꾸로 된 경우나 이동중의 경우에도 용기안의 남은 음료 등이 누설되지 않고 위생적으로 간직할 수 있다.
(실시형태 5 토션 플렉시블 패널(torsion flexible panel))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의 용기 밀봉구조의 일부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의 용기 밀봉구조는 외벽(14)에 형성된 용이파단부(23)의 근방으로 볼록접힘부(52)와 오목접힘부(53)로 된 토션 플렉시블 패널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형태 1의 밀봉구조와 다르다.
토션 플렉시블 패널의 형상으로써는 다양한 형상의 것이 적용가능하지만 도 18은 그 일례이며 캡부(16)에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토션 플렉시블 패널을 형성하는 위치가 캡부(16)에 형성되어있는 나사와 그것과 계합하고 있는 나사의 연결 경로부위에 있음에 따라 캡부를 비틂으로써 그 패널이 휘어지고, 그 부분만 캡부(16)가 회전해서 계합하고 있는 나사간에 회전변위가 생기고 나사의 추력(미는 힘)이 발생한다.
캡부(16)에 형성되어있는 나사와 그것과 계합해있는 나사의 연결 경로부위는, 예를 들면 도 18에서는 캡부(16)의 나사부(54)의 하단부(54a)로부터 시작해서 그것 보다 아래쪽에 위치한 절곡단부(56)을 지나 중간벽에 있어서 나사부(55)의 하단부(55a)에 이르는 경로부위의 어느 곳이다.
도 19는 토션 플렉시블 패널을 설명하는 부분확대도이다.
패널폭(h)은 캡부(16)의 길이 등에 의해 적당히 설정할 수 있지만, 대개 캡부(16)의 직경 1/5부터 1/25 정도이다. 접힌 선으로 되는 평행사변형 ABCD(엄밀히는 통형면 상(上)에 있기때문에 대변(opposite side)은 적지만 비틀림의 위치관계에 있다)를 기본단위로써 이것이 연속해서 주상(周上:둘레면)에 형성되어있다. 평행사변형 ABCD의 주상의 개수 n은 캡부(16)의 직경, 두께, 강도특성 등에 의해 최적범위가 있다. 특히 한정되지 않았지만, 일례를 나타내면 재질이 알루미늄합금이고, 패널부분의 직경이 33㎜, 두께가 0.28㎜, 패널폭(h)이 3㎜로 되었을 때 n=14~18로 취할 수 있다.
자명하지만 한변 BC의 길이는 캡부의 주장(周長:둘레길이) 1/n 이다. 각도∠ABC는 5°~90°, 특히 15°~70°의 범위로 취할 수 있다. 변 AB, 변 BC, 변 CD, 변 DA는 캡부(16)의 외측으로부터 보이는 볼록접힘선(실선으로 도시됨)이고, 변 BD는 오목접힘선(파선으로 도시됨)이다.
이와 같은 토션 플렉시블 패널에 있어서, 도 19에서 BC측을 고정해서 AD측을 A로부터 D로 향하는 방향으로 비틀면 패널폭(h)가 감소하도록 변형되면서 삼각형 ABC와 삼각형 CBD가 캡부 안쪽방향으로 각각 접혀 포개지도록 변형하기 때문에 패널의 상부와 하부의 사이에 토션변위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토션 플렉시블 패널은 단지 볼록접힘과 오목접힘을 반복하는 패턴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가공부위에 있어서 예를 들면, 내측과 외측으로부터 성형롤(roll)을 맞물리도록 해서 주상(周上)을 이동시키면서 순차형성할 수 있다.
즉, 통상 이 공정은 삼중벽을 형성하는 이전 단계에서 행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또한, 이 토션 플렉시블 패널을 특히 작은 토션 토오크(torque)에서 휘어지기 때문에, 적당히 이 부분을 미리 얇게 형성해 놓던가 또는 가열처리 등에 의해 연화(軟化)시켜 놓아도 좋다.
토션에 의한 전단응력으로 이 토션 추력에 의해 인장응력이 부가되는 것에 의해 근방에 설치된 용이파단부(23)가 용이하게 파단되는 작용효과가 발생한다.
(실시형태 6의 용기)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의 용기의 밀봉구조를 구비한 용기의 요부단면도이고, 도 21은 용기의 밀봉구조를 구비한 용기의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20, 도 21에 있어서 30은 실시형태 6의 용기의 밀봉구조를 구비한 용기,31은 주벽부(周壁部), 32는 주출부, 33은 주출부(32)의 상부에 박벽채널(thin-wall channel)형등으로 형성된 용이파단부(34)를 통하여 연속해서 일체로 연장설치된 캡부, 35는 개구된 용기본체의 주벽부(31)의 하단에 그 가장자리가 감아조여 고정된 바닥뚜껑부(도 20의 경우)이다.
도 21은 밀봉구조와 용기본체(39)를 용기 개구단부(39a)에서 감아조임에 의해 접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용기(30)는 알루미늄 합금, 스틸(steal)등의 금속재를 소재로 형성되지만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이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등의 플라스틱재를 사용할 수 있고, 그 용도나 제조비용 등에 따라 딥드로잉(deep drawing)성형, 인발가공, 압출성형, 사출성형등의 각종 성형방법이나 재료를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도 20, 도 21에 있어서 용이파단부(34,37)에는 그 부분을 견인하는 손잡이 탭이나 그 박벽(thin-wall)형 채널(channel)부의 내부를 따라 주회(周回)하는 금속선등을 설치할 수 있고, 이것을 끌어당김에 의해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다.
용이파단부(34,37)를 절단해서 캡부(33,38)를 주출부(32,36)로부터 분리한 후에는 캡부를 주출부(32,36)에 밀어넣어 감착시켜 재밀봉할 수 있다.
바닥뚜껑부(35)는 용기본체에 내용물이 되는 음료 등을 충진한 후, 공지의 접합수단을 이용해서, 개구한 용기본체의 주벽부(31) 하단에 금속재의 경우는 감아 조이거나, 플라스틱재의 경우는 용착(溶着) 혹은 접착해서 접합할 수 있다.
실시형태 6의 용기의 밀봉구조를 구비한 용기(30)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의 작용을 가진다.
(1) 전체를 금속소재로 형성하는 경우는, 가공성이 우수한 금속재를 선택해서 딥드로잉(deep drawing)가공, 인발가공등을 적용해서 형성할 수 있고, 충격에 대한 내용성(耐用性)이나 내누액성(액체누설에 견디는 성질)이 우수한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2) 전체를 플라스틱소재로 성형하는 경우는, 사출성형이나 압출성형등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고, 용기의 밀봉구조를 대량으로 제조할 때에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3) 용기본체의 하부에 바닥뚜껑부(35)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전체가 밀봉되기 때문에 음료등을 주출부를 아래로 한 상태에서 충진한 후 그 밀봉공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음료캔 등의 적용에 우수하다.
(4) 용이파단부(34,37)의 부분을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고, 남은 음료가 있을 때에는 캡부(33,38)를 이용해서 재밀봉하여 보존할 수 있고, 취급성이 우수하다.
(5) 용이파단부(34,37)는 박벽채널(thin-wall channel)형이나 슬릿(slit)형에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개봉할 때 이들이 파단시 독특한 음향 혹은 감촉이 느껴지고, 최초로 개봉한 것을 명확히 판별할 수 있다. 한번 개봉한 것은 다시 파단부를 복원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템퍼에비던트(temper-evident)성을 가진다.
즉, 여기까지 나타낸 실시형태 1~5에서는 용이파단부의 위치를 외벽의 아랫 방향부로써 예시해서 설명한 부분도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위치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위치 예를 들면 중간벽의 아랫방향부 내지 윗방향부의 어디에나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에 의하면, 용기제조 시 생산성이 우수하고, 수송중에 있어서 내구성이 우수한 용기의 밀봉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용이파단부를 이용해서 유아나 고령자들도 용기를 확실히 밀봉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에 의하면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스틸 등의 금속소재로 형성된 중간벽의 단부측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 방향의 탄성을 높일 수 있고, 용이파단부를 떼어내어 분리한 개봉 후에 있어서 캡부를 주출부의 중간벽에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에 의하면 용이파단부를 분리한 용기 개봉후에 있어서 남긴 음료 등을 위생적으로 간직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에 의하면 단순히 캡부를 비틀어 넣는 것만으로 다시 밀봉할 수 있기 때문에 취급성이 우수하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에 의하면 캡부를 비트는 것에 의해 토션 플렉시블 패널의 상하가 압축된 것과 같이 변형하고, 토션 토오크(torque)에 의해 나사의 추력이 발생한다. 전단응력에 이 나사의 추력에 의해 인장응력이 부가되는 것에 의해 용이파단부가 용이하게 파단되기 때문에 개봉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에 의하면 밀어넣기의 원터치 조작으로 다시 밀봉하는 장착을 할 수 있고, 유아나 고령자도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에 의하면 용이파단부가 파단해서, 캡부가 분리하는 것으로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따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분리한 캡부는 재밀봉하는 목적으로 다시 이용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에 의하면 용이파단부를 스코어(score)에 의해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용이파단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에 의하면 개봉성(開封性)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에 의하면 재밀봉시에 있어서 밀봉성을 향상시키고, 특히 언더컷 구조에 의한 계합의 경우에 효과가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에 의하면 가공성이 우수한 금속소재를 적용할 수 있고, 내벽, 중간벽, 외벽으로 되는 삼중벽을 형성시킬 때에 절곡가공을 용이하게 하고, 내용성(耐用性)이나 내누설성(耐漏洩性)이 우수한 용기의 밀봉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에 의하면 이 구성에 의해 사출성형이나 압출성형등의 성형법을 적용할 수 있고, 용기의 밀봉구조를 대량으로 제조할 때의 제조비용을 낮출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용기에 의하면 내용물의 충진밀봉은 용기본체 하부로부터 행할 수 있고, 종래 형태의 캔뚜껑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충진설비의 대부분이 이용가능 하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용기 밀봉구조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실시형태 1 또는 6에 대응하는 밀봉구조를 기존의 설비를 이용해서 제조할 수 있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용기 밀봉구조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실시형태 1 또는 3에 대응하는 밀봉구조를 기존의 설비를 이용해서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용기 밀봉구조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실시형태 1 또는 5에 대응하는 밀봉구조를 기존의 설비를 이용해서 보다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용기 밀봉구조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실시형태 1 또는 5에 대응하는 밀봉구조를 기존의 설비를 이용해서 제조할 수 있다.
청구항 18에 기재된 용기 밀봉구조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실시형태 2 또는 3에 대응하는 밀봉구조를 기존의 설비를 이용해서 보다 간략하게 제조할 수 있다.
청구항 19에 기재된 용기 밀봉구조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실시형태 5에 대응하는 밀봉구조를 기존의 설비를 이용해서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9)

  1. 주출부와 캡부를 연속해서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용이파단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밀봉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출부와 상기 캡부가 내벽의 상단부로부터 아래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중간벽과 그 중간벽의 하단부로부터 윗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외벽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용기의 밀봉구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계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밀봉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가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용기의 밀봉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캡부에 형성된 나사와 그것과 계합하고 있는 나사의 연결 경로부위에 토션력에 의해 플렉시블한 패널형상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밀봉구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가 언더컷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밀봉구조.
  7. 청구항 1 내지 6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이파단부를 상기 주출부와 상기 캡부의 경계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밀봉구조
  8. 청구항 1 내지 7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이파단부를 스코어(score)에 의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밀봉구조.
  9. 청구항 1 내지 7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이파단부를 슬릿에 의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밀봉구조.
  10. 청구항 1 내지 9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내면과 상기 주출부와의 사이에 밀봉재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밀봉구조.
  11. 청구항 1 내지 10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밀봉구조가 금속소재로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밀봉구조.
  12. 청구항 1 내지 10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밀봉구조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밀봉구조.
  13. 청구항 1 내지 12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기의 밀봉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4. 동축(同軸)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다른 부분과 직경이 다른 통형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공정과;
    그 통형부를 축방향으로 압축조작하는 것에 의해 절곡변형을 발생시키면서 그 통형부의 직경이 커지는 부분의 내측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부분이 배치되고, 내벽, 중간벽, 외벽으로 이루어진 삼중벽을 형성하는 공정; 및
    그 통형부에 용이파단부를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밀봉구조 제조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직경 확대조작에 의해 통형부에 직경이 커지는 부분을 형성하거나 또는 직경 축소조작에 의해 통형부에 직경이 작아지는 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밀봉구조 제조방법.
  16. 청구항 14 또는 15에 있어서, 통형부를 축방향으로 압축조작하는 것에 의해 절곡되는 부분이 미리 다른 부분보다도 얇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밀봉구조 제조방법.
  17. 청구항 14 내지 16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삼중벽에 나사가공 또는 언더컷가공을 하여 나사계합부 또는 감합계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밀봉구조 제조방법.
  18. 청구항 14 내지 16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리 캡이 되는 예정부 및 주출부가 되는 예정부의 각각에 나사 혹은 언더컷 형상을 형성하고, 통형부를 절곡변형을 행하는 것에 의해 삼중벽을 형성함과 동시에 각각의 나사 혹은 언더컷 형상이 계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밀봉구조 제조방법.
  19. 청구항 17 또는 18에 있어서, 상기 캡부분이 되는 예정부에 나사가 형성되는 부분과 그것이 계합하는 나사가 형성되는 부분과의 연결 경로부위에 토션력에 의해 플렉시블한 패널형상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밀봉구조 제조방법.
KR10-2004-7007145A 2001-12-28 2002-12-25 용기의 밀봉구조, 그 밀봉구조를 구비한 용기 및 그밀봉구조의 제조방법 KR200400639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402049 2001-12-28
JP2001402049 2001-12-28
PCT/JP2002/013537 WO2003057583A1 (fr) 2001-12-28 2002-12-25 Structure de fermeture d'un recipient, recipient comprenant cette structure de fermeture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cette structure de ferme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960A true KR20040063960A (ko) 2004-07-15

Family

ID=19189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7145A KR20040063960A (ko) 2001-12-28 2002-12-25 용기의 밀봉구조, 그 밀봉구조를 구비한 용기 및 그밀봉구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205575A1 (ko)
EP (1) EP1459997A1 (ko)
JP (1) JP4484029B2 (ko)
KR (1) KR20040063960A (ko)
CN (1) CN1608020A (ko)
AU (1) AU2002360031A1 (ko)
WO (1) WO20030575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789B1 (ko) * 2020-11-27 2021-10-14 주식회사 영광산업 나사결합부 미 노출형 금속캡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9499A (ja) * 2004-04-05 2005-10-20 Toyo Seikan Kaisha Ltd 容器の封鎖構造
FR2856982B1 (fr) * 2003-07-02 2006-04-28 Pechiney Capsules Capsules de bouchage ameliorees et procede pour les fabriquer
CA2557751A1 (en) * 2004-01-27 2005-08-04 Jan Petrus Human Tamper evident closures
JP2005271973A (ja) * 2004-03-25 2005-10-06 Mitsubishi Materials Corp ボトル缶およびキャップ付ボトル缶
JP4613521B2 (ja) * 2004-06-04 2011-01-19 東洋製罐株式会社 容器及び容器への充填方法
JP4706822B2 (ja) * 2004-11-11 2011-06-22 東洋製罐株式会社 ネジ付金属キャップ及びネジ付金属キャップ封口容器
WO2006074661A1 (en) * 2005-01-11 2006-07-20 Lid Systems A/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d for a container
US20070051687A1 (en) * 2005-09-07 2007-03-08 Omnitech International, Inc Reclosable metal bottle
JP4742801B2 (ja) * 2005-10-19 2011-08-10 東洋製罐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樹脂被覆金属板及びこれを用いて成る開封構造物
DE102005057755A1 (de) * 2005-12-02 2007-06-06 Paulaner Brauerei Gmbh & Co. Kg Dosendeckel für eine Getränkedos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osendeckels für eine Getränkedose
US7918356B2 (en) * 2006-01-27 2011-04-05 Amcor Limited Preform and container having thread groove
US8413829B2 (en) 2006-01-27 2013-04-09 Amcor Limited Blow-molded container having finish with thread groove and tamper evident features
US7918355B2 (en) * 2006-01-27 2011-04-05 Amcor Limited Blow-molded container having thread groove
US8308002B2 (en) * 2006-01-27 2012-11-13 Amcor Limited Preform and container having thread groove of varying depth
CN101466604B (zh) * 2006-06-13 2011-08-31 东洋制罐株式会社 树脂制广口容器、及树脂制容器的口部的热结晶化方法
US8016148B2 (en) 2006-07-12 2011-09-13 Rexam Beverage Can Company Necked-in can body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20080047922A1 (en) * 2006-08-22 2008-02-28 Olson Christopher J Metal bottle seal
USD619458S1 (en) 2008-04-30 2010-07-13 Rexam Beverage Can Company Container body
USD622145S1 (en) 2008-04-30 2010-08-24 Rexam Beverage Can Company Container body
USD620360S1 (en) 2008-04-30 2010-07-27 Rexam Beverage Can Company Container body
USD638708S1 (en) 2008-04-30 2011-05-31 Rexam Beverage Can Company Container body
USD639164S1 (en) 2008-04-30 2011-06-07 Rexam Beverage Can Company Container body
USD619459S1 (en) 2008-04-30 2010-07-13 Rexam Beverage Can Company Container body
USD619457S1 (en) 2008-04-30 2010-07-13 Rexam Beverage Can Company Container body
USD607754S1 (en) 2008-10-22 2010-01-12 Rexam Beverage Can Company Container body
ITMO20080274A1 (it) * 2008-10-28 2010-04-29 Giflor S R L Metodo per razionalizzare la costruzione di confezioni in materiale plastico e confezioni cosi' ottenute
USD625616S1 (en) 2009-01-27 2010-10-19 Rexam Beverage Can Company Beverage container
USD621723S1 (en) 2009-01-27 2010-08-17 Rexam Beverage Can Company Beverage container
JP5203276B2 (ja) * 2009-03-31 2013-06-05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容器蓋のブリッジ切れ角度測定装置及びその角度測定方法
TW201138983A (en) * 2009-12-16 2011-11-16 Sulzer Mixpac Ag Cartridge with closure stopper
CH703187A1 (de) * 2010-05-27 2011-11-30 Bottletec Gmbh Behälter mit Verschlussgewinde.
USD684483S1 (en) 2010-06-17 2013-06-18 Rexam Beverage Can Europe Limited Container
USD670167S1 (en) 2010-06-17 2012-11-06 Rexam Beverage Can Europe Limited Container with cap
USD675527S1 (en) 2010-06-17 2013-02-05 Rexam Beverage Can Europe Limited Container with closure
USD707568S1 (en) 2011-07-15 2014-06-24 Rexam Beverage Can Company Container body
USD713267S1 (en) 2011-07-15 2014-09-16 Rexam Beverage Can Company Container
USD712753S1 (en) 2011-07-15 2014-09-09 Rexam Beverage Can Company Container
USD707569S1 (en) 2011-07-15 2014-06-24 Rexam Beverage Can Company Container body
USD745396S1 (en) 2013-03-13 2015-12-15 Rexam Beverage Can Company Bottle
USD745397S1 (en) 2013-03-13 2015-12-15 Rexam Beverage Can Company Bottle
USD745399S1 (en) 2013-03-13 2015-12-15 Rexam Beverage Can Company Bottle
USD745398S1 (en) 2013-03-13 2015-12-15 Rexam Beverage Can Company Bottle
USD744833S1 (en) 2013-03-13 2015-12-08 Rexam Beverage Can Company Bottle
JP6253407B2 (ja) * 2013-12-28 2017-12-27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易開封型打栓式キャップおよびその打栓方法
CA171211S (en) * 2016-04-29 2017-08-17 Ascendo Medienagentur Ag Bottle with cap
US20180044155A1 (en) * 2016-08-12 2018-02-15 Bal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of Capping Metallic Bottles
JP6546946B2 (ja) * 2017-03-08 2019-07-17 ユニバーサル製缶株式会社 キャップ付きボトル
JP7379831B2 (ja) * 2019-02-28 2023-11-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容器
USD1014251S1 (en) 2019-06-03 2024-02-13 Berlin Packaging, Llc Tamper evident closure assembly
USD1023755S1 (en) 2019-06-03 2024-04-23 Berlin Packaging, Llc Tamper evident closur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321945B1 (ko) * 1955-04-07 1957-03-25
US3312262A (en) * 1964-12-04 1967-04-04 Union Carbide Corp Blow-molded article
JPS4621277Y1 (ko) * 1968-06-25 1971-07-22
ZA831232B (en) * 1982-03-10 1983-11-30 Grace W R & Co Screw cap
JPS59163148A (ja) * 1982-11-11 1984-09-14 東洋製罐株式会社 薄肉金属容器の口部の構造
JPS61144046U (ko) * 1985-02-28 1986-09-05
DE3930519A1 (de) * 1989-09-13 1991-03-21 Bayer Ag Behaelter mit schraubverschlusskappe
SE468206B (sv) * 1989-10-04 1992-11-23 Cerbo Ab Skruvlocksfoerslutning, innefattande ett invaendigt gaengat skruvlock och ett separat, utvaendigtgaengat lockfaeste
US4989740A (en) * 1990-03-07 1991-02-05 Continental White Cap, Inc. Composite cap including tamper indicating feature
US5207341A (en) * 1992-04-30 1993-05-04 Yeager Don F Tamper evident wide mouth container and lid
US5356019A (en) * 1992-10-14 1994-10-18 Crown Cork & Seal Company, Inc. Tamper indicating plastic closure
AU6137596A (en) * 1995-06-26 1997-01-30 Taisho Pharmaceutical Co., Ltd. Container for liquid preparations
US6102224A (en) * 1997-12-17 2000-08-15 Pepsico. Aroma release bottle and cap
FR2793216B1 (fr) * 1999-04-20 2001-06-08 Pechiney Emballage Alimentaire Capsule de bouchage composi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789B1 (ko) * 2020-11-27 2021-10-14 주식회사 영광산업 나사결합부 미 노출형 금속캡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57583A1 (fr) 2003-07-17
US20050205575A1 (en) 2005-09-22
JP4484029B2 (ja) 2010-06-16
AU2002360031A1 (en) 2003-07-24
JPWO2003057583A1 (ja) 2005-05-19
CN1608020A (zh) 2005-04-20
EP1459997A1 (en) 200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63960A (ko) 용기의 밀봉구조, 그 밀봉구조를 구비한 용기 및 그밀봉구조의 제조방법
RU2270794C2 (ru) Крышка банки
US9272819B1 (en) Resealable container lid including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US6206222B1 (en) Resealable closure on seamed can end
US10427832B1 (en) Resealable container lid assembly and accessories including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US10968010B1 (en) Resealable container lid and accessories including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EP1781550B1 (en) Method of assembling a closure in a factory and welding the closure to a neck of a container
KR20060065587A (ko) 용기의 개봉구조,그 개봉구조를 구비한 용기 및 그개봉구조의 제조방법
EP3423367B1 (en) Resealable container lid assembly
JP5461393B2 (ja) 注出可能な食品の密封容器のための閉塞部材及び当該閉塞部材の製造方法
ITMI970788A1 (it) Coperchio con chiusura a vite per una confezione di metallo nonche' procedimento per collegare la chiusura a vite con l'elemento di coperchio di una confezione
JP2024508984A (ja) 開封挙動が改良された注ぎ口要素および積層包装体
JP4506941B2 (ja) 容器の開封構造、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4725717B2 (ja) 容器の封鎖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4548583B2 (ja) 容器の開封構造及びその開封構造を備えた容器、その開封構造の製造方法
US11952164B1 (en) Resealable container lid and accessories including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