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5587A - 용기의 개봉구조,그 개봉구조를 구비한 용기 및 그개봉구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용기의 개봉구조,그 개봉구조를 구비한 용기 및 그개봉구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65587A KR20060065587A KR1020057024835A KR20057024835A KR20060065587A KR 20060065587 A KR20060065587 A KR 20060065587A KR 1020057024835 A KR1020057024835 A KR 1020057024835A KR 20057024835 A KR20057024835 A KR 20057024835A KR 20060065587 A KR20060065587 A KR 200600655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wall
- opening structure
- cap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38—Making inlet or outlet arrangements of cans, tins, baths, bottles, or other vessels; Making can ends; Making closures
- B21D51/44—Making closures, e.g. caps
- B21D51/50—Making screw ca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7/00—Shaping of tube ends, e.g. flanging, belling or closing; Apparatus therefor, e.g. collapsible mandrels
- B29C57/02—Belling or enlarging, e.g. combined with forming a groo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0014—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for shaping tubes or blown tubular films
- B29C67/0022—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for shaping tubes or blown tubular films using an internal mandr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6—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 B29L2031/565—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fo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개봉성이 우수하고, 개봉 및 재봉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용기의 개봉구조 및 그 개봉구조를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개봉구조는 캡부(A)와 주부(B)가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된 용기의 개봉구조에 있어서, 캡부와 주부와의 경계에 존재하는 용이파단부(11)의 지름방향 변형에 의해 용이파단부(11)를 파단하여 상기 캡부와 상기 주부를 분리시켜 용기를 개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봉구조의 제조방법은 통형부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확경(擴徑)하여 확경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확경부에 용이파단부를 형성하고, 통형부를 높이방향에서 가압하여 상기 통형부에 형성된 중간벽 예정부를 중간벽으로 하고, 외벽 예정부를 외벽으로 되도록 위에서 접어 포개어 내벽, 중간벽, 외벽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삼중벽으로 된 돌출부와, 외벽과 중간벽 및/또는 중간벽과 내벽과의 간극에 휨 변형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에 계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기, 캔, 개봉, 재봉, 스코어, 삼중벽, 용이파단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기의 개봉구조,그 개봉구조를 구비한 용기 및 그 개봉구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개봉성이 우수하고, 개봉(opening) 및 봉쇄(closing)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주스 캔,맥주 캔, 탄산음료 캔, 커피음료 캔, 홍차음료 캔,식용유 캔, 조미료 캔 등의 용기의 개봉구조 및 그 개봉구조를 구비한 용기 및 그 개봉구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기한 주스 캔,맥주 캔,탄산음료 캔,커피음료 캔,홍차음료 캔,식용유 캔, 조미료 캔 등의 밀봉용기로서, 용기 본체의 개구단부(opening end portion)에 이지오픈 뚜껑(easily openable lid)을 권체(卷締,seaming)한 것이 종래부터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지오픈 뚜껑에 있어서는, 뚜껑 본체와 개구부를 구획하는 용이파단부(easy-to-break portion)(스코어(score))가 형성되어 있고,뚜껑 본체에 설치된 리벳에 고정장착된 핀칭탭(pinching tab)을 이용하여 용이파단부를 파단하여 아래로 밀어서 음용구(outlet for drinking) 등으로 된 주(注)부(a pouring portion)를 형성한다.
그러나 이 종래의 밀봉용기의 경우, 마시고 남을 시에 개구부의 재봉쇄를 할 수 없기 때문에 남긴 음료 등은 버리던지 또는 컵 등에 옮겨 냉장고에 보관하는 수고를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지오픈 뚜껑에 이물(異物,foreign substance)이 부착하여 비위생적이 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그러면,주부의 재봉쇄가 가능한 밀봉용기의 개발이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금속제의 캔 용기에 대하여 약화부(fragile portion)를 파단하면서 약화부로 둘러싸인 부분을 캔체 내로 밀어 내리는 것으로 주출구(注出口)를 개봉함과 동시에, 개구된 주출구를 재봉쇄하기 위한 수지제의 캡이 용기 캔 뚜껑의 개구부에 자유롭게 착탈가능하게 관착(冠着)되어 있는 재봉쇄용 캡 부착 캔 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용기에 있어서, 주출구의 개봉은 캔 뚜껑의 개구부와 캡의 제1원통부의 계합에 의해 캡을 착탈시킴과 동시에, 캡의 누름 버튼부를 상방에서 손가락으로 압박하여 가동 연결부를 탄성 변형시켜서 누름 버튼부와 마개(plug)부를 아래쪽에 배치시켜 힌지부분으로 된 일부분을 제외하고 거의 환상(annular)으로 파단 가능한 약화부(스코어)가 형성되어 있는 금속제의 용기에 대하여,약화부를 파단하면서 약화부로 둘러싸인 부분을 캔체 내로 밀어내리는 것에 의하여 수행한다. 또한, 개구된 주출구의 재봉쇄는 가동 연결부를 탄성변형에 의해 지점(支點)을 넘어 아래쪽으로 반전시켜 캡의 플랜지부를 캔 뚜껑의 개구부 상단면에 밀착시키는 것에 의하여 수행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용기에서는 수지제의 캡이 용기 본체와는 별도 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제조시의 공정이 복잡해지기 쉽고,생산성이 나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금속제의 캔 용기와 수지제의 캡이 이질(異質)의 소재이고, 폐기할 때에 분별을 요하기 때문에 불편하고,재활용 성도 부족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시에 있어서 내구성이 부족하고, 사용 전의 수송중의 진동, 충격 등에 의해서도 캡이 용기 본체로부터 탈락할 가능성이 있다.
더욱이, 주출구의 개봉시, 캡의 누름 버튼부를 상방에서 손가락으로 압박할 필요가 있지만 상당한 손가락의 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힘이 약하고 손끝이 확실치 않는(불안정한) 유아나 고령자 등은 개봉이 곤란하다. 또한, 캡을 제외하고 보지 않는다면 그 개구상태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개구의 확실성이 부족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재봉쇄시 캡과 개구부의 접합부분에 먼지나 쓰레기 등의 이물이 쌓이거나 부착하거나 하기 쉽기 때문에 비위생적이 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을 진행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용기의 개봉구조를 개발하여 이미 출원을 완료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용기의 개봉구조는 주부와 캡 부를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용이파단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용기의 개봉구조를 개봉하는 경우에는 개봉구조의 외벽을 잡아 회전시키서 전단력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용이파단부가 파단하여 캡 부가중간벽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전되어 개봉되고 분리된다. 또한, 재봉쇄시에는 용 기에 마시고 남은 음료가 있는 경우는 외벽을 중간벽에 씌워서 회전시켜 각각에 설치한 나사 계합부(thread engaging portion)에 의해 양자를 확실하게 고정하여 봉지(封止,sealing)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용기의 개봉구조에 따르면 용기제조시의 생산성(productivity)이나 내구성(durability)이 우수하지만 개봉시, 어느 정도의 손가락의 회전력을 필요로 하였다.
특허문헌 1 특개2000-296866호 공보
특허문헌 2 국제공개WO03/057583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봉성이 우수하고, 개봉 및 재봉쇄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용기의 개봉구조, 그 개봉구조를 구비한 용기 및 그 개봉구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열심히 검토를 거듭한 결과, 용이파단부(easy-to-break portion)의 지름방향 변형에 따라 개봉가능한 용기의 개봉구조로 하는 것에 의하여, 개봉성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청구항1에 기재된 용기의 개봉구조는, 캡부와 주(注)부를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한 용기의 개봉구조에 있어서, 캡부와 주부의 경계에 존재하는 용이파단부의 지름방향 변형에 의하여 상기 용이파단부가 파단해서 상기 캡부와 상기 주부가 분리하여 용기가 개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용기의 개봉구조는, 청구항1에 있어서, 용이파단부의 부근에 휨 변형부(deflection deformation portion)를 설치하고, 상기 휨 변형부를 외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압박하여 변형시켜서 상기 용이파단부의 지름방향 변형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용기의 개봉구조는,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캡부 및 주부가 내벽과, 내벽의 상단부에서 아래쪽으로 향해서 되접어 꺽인(folded back upwardly) 중간벽과, 상기 중간벽의 하단부에서 위쪽으로 향해서 되접어 꺽인 (folded back upwardly) 외벽으로부터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용이파단부가 외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용기의 개봉구조는, 청구항 3에 있어서, 휨 변형부가 외벽과 중간벽 및/또는 중간벽과 내벽과의 간극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용기의 개봉구조는, 청구항 1∼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캡부는 용이파단부에 연결접속하여 일체로 연속설치된 원통형의 커버부(cover portion)와 주(注)부(pouring portion)의 개구부를 덮는 원반형의 천판부(ceiling plate portion)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원통형의 커버부 및 커버부에 연결접속하는 주부에 나사(thread)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용기의 개봉구조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캡부를 그 폐전(閉栓)상태(cap-sealed state)에서 개전(開栓)방향(cap opening direction)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주부의 나사 홈과 상기 캡부의 나사 산과의 사이에 생기는 공극이 서서히 확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용기의 개봉구조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주부의 나사 홈 및 상기 캡부의 나사 산의 폭을 아래쪽을 향하여(downwardly) 점차 감소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용기의 개봉구조는,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주부의 나사홈의 깊이 및 상기 캡부의 나사 산의 높이를 아래쪽을 향하여 점차 감소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용기의 개봉구조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주부의 나사홈의 폭 및 상기 캡부의 나사 산의 폭을 아래쪽을 향하여 점차 감소시키고, 또한 상기 나사 홈의 깊이 및 상기 나사 산의 높이를 아래쪽을 향하여 점차 감소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용기의 개봉구조는, 청구항 1∼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용이파단부에 연결접속하여 일체로 연속설치된 원통형의 커버부와 주부의 개구부를 덮는 원반형의 천판부를 구비하고 있고, 그 원통형의 커버부에 언더컷(undercut)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용기의 개봉구조는, 청구항 1∼10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내면 상부와 주부의 사이에 밀봉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용기의 개봉구조는, 청구항 1∼11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이파단부에 인접하여 서브 스코어(sub score)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용기의 개봉구조는, 청구항 1∼12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휨 변형부의 휨 강성(deflection rigidity)이 둘레방향으로 불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용기의 개봉구조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휨 변형부에 엠보스(emboss)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용기의 개봉구조는, 청구항 1∼1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휨 변형부 또는 그 부근, 혹은 용이파단부 또는 그 부근에 미개봉 보증재(unopened guarantee material)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용기는, 청구항 1∼15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기의 개봉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용기의 개봉구조의 제조방법은, 용기의 개봉구조의 제조방법이며, 통형부(cylindrical portion)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확경(擴徑,enlarging a diameter)하여 확경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확경부에 용이파단부를 형성하고, 통형부를 높이방향에서 가압하여 상기 통형부의 높이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중간벽 예정부를 중간벽으로 하고, 외벽 예정부를 가장 외측에 배치하여 외벽으로 되도록 위에서 접어 포개어 내벽, 중간벽, 외벽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삼중벽으로 된 돌출부와, 외벽과 중간벽 및/또는 중간벽과 내벽과의 간극에 휨 변형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에 계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8의 용기의 개봉구조의 제조방법은,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통형부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확경하여 확경부를 형성할 때에, 외벽 예정부와 중간벽 예정부의 경계부근에 장출(張出) 환형부(a bulged annular portion)를 형성하고, 상기 장출 환형부로부터 아래쪽에 중간벽 예정부보다 직경이 큰 접속부를 설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9의 용기의 개봉구조의 제조방법은 청구항 17 또는 18에 있어서, 상기 용이파단부에 인접하여 서브 스코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용기의 개봉구조에 의하면, 생산이 용이하고,재활용성, 수송중에 탈락방지, 부정(不正,unauthorized) 개봉방지 및 개봉성이 우수하고, 개봉 및 재봉쇄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의 개봉구조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술한 용기의 개봉구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용기의 개봉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의 캡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용기의 개봉구조의 사용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2의 용기의 개봉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3의 용기의 개봉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4의 용기의 개봉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가스 제거용 통로를 형성한 개봉구조의 상태 1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가스 제거용 통로를 형성한 개봉구조의 상태 1의 개봉 후의 개전상태 (cap-opened state) 부분단면도이다.
도 9는 가스 제거용 통로를 형성한 개봉구조의 상태 2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0은 가스 제거용 통로를 형성한 개봉구조의 상태 2의 개봉 후의 개전상태 부분단면도이다.
도 11은 가스 제거용 통로를 형성한 개봉구조의 상태 3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가스 제거용 통로를 형성한 개봉구조의 상태 3의 개봉 후의 개전상태 부분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 5의 용기의 개봉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 5의 용기의 개봉구조의 캡부를 분리한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용기의 개봉구조에서 서브 스코어 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용기의 개봉구조에서 엠보스 볼록부(the embossed convex portion)의 일례를 나타내는 대략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용기의 개봉구조에서 엠보스 볼록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용기의 개봉구조를 구비한 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용기의 개봉구조를 구비한 용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용기의 개봉구조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용기의 개봉구조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용기의 개봉구조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23은 제3공정에서의 벌지(bulge) 성형가공의 설명 개략도이다.
도 24는 장출 환형부의 형성에 관한 개략 설명도이다.
도 25는 장출 환형부의 형성에 관한 개략 설명도이다.
도 26은 제조장치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제조장치에서 스코어 형성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다른 실시형태의 제조장치의 개략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0,20,30,40,50,60,70,80 실시형태의 용기의 개봉구조
11,21,31,41,51,63 용이파단부
12,22,32,42,52 내벽
13,23,33,43,53 중간벽
14,24,34,44,54 외벽
11a 파단단(破斷端)
11b 서브 스코어
12a 상단부
13a 하단부
14a 하단 밀착부
14b 엠보스
15,25,35 휨 변형부
15a 압압부(pushing portion)
16a 커버부
16b 천판부
17,47 나사계합부
18 밀봉재
19 개구부
24b,34b 하부
51a 언더컷부
56 홈부(recessed portion)
90 스코어 형성수단
91 메인 스코어 형성 인(刃)(main score forming blade)
92 서브 스코어 형성 인
93,96 지지이동수단
94,97 규제수단
95,98 구동수단
99a,99b 지지부재
100 용기
101 컬부
102 용기 몸체부
103 밀봉재
110 용기
112 용기 몸체부
113 바닥뚜껑
170 캔 몸체(can body(drum))
171 권체(卷締)부(seam portion)
A,62,72,82 캡부(cap portion)
B,61,71,81 주(注)부(pouring portion)
C 통형부
C1 외벽 예정부
C2 중간벽 예정부
C3 내벽 예정부
D1 외측 나사 가공용 롤(roll)
D2 내측 나사 가공용 롤
E 맨드렐(mandrel)
E1 인상 롤(blade-like roll)
E2 회전 맨드렐
F 확경부(enlarged-diameter portion)
F1 장출 환형부(bluged annular portion)
F2 접속부
F3 원통벽부(cylindrical wall portion)
F4 단(段)부(stepped portion)
H1,H2,H3 나사 홈의 깊이,나사 산의 높이
P 금속판
Q 원통형 컵
R 가압공구(pressurizing tool)
S 공극(gap)
U 탄성체
V 분할주형(split mold)
W1,W2,W3 나사 홈의 폭,나사 산의 폭
화살표 X 내측방향
화살표 Y 외측방향
화살표 Z 상하방향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의 개봉구조 및 용기,그 개봉구조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용기의 개봉구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2는 용기의 개봉구조의 캡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도 2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용기의 개봉구조(10)는 캡부(A)와 주(注)부(B)가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용기의 개봉구조에 있어서,
캡부(A)와 주부(B)와의 경계에 존재하는 용이파단부(11)의 지름방향 변형에 의해 용이파단부(11)가 파단하고, 상기 캡부(A)와 상기 주부(B)가 분리하여 용기가 개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용기의 개봉구조(10)에서는 캡부(A) 및 주부(B)가 내벽(11)과 중간벽(13)과 외벽(14)으로부터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즉, 중간벽(13)은 내벽(12)의 상단부(12a)로부터 아래쪽으로 향해서 되접어 꺽여져(being folded back downwardly) 형성되어 있고,외벽(14)은 중간벽(13)의 하단부(13a)로부터 위쪽으로 향해서 되접어 꺽여져(being folded back upwardly) 형성되어 있고, 캡부(A) 및 주부(B)는 이러한 삼중벽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삼중 통형의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용기의 개봉구조에는 외벽(14)과 중간벽(13)과의 하단 밀착부(14A)에 설치되어 진 용이파단부(11)를 통하여 외벽(14)이 중간벽(13)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배치되고, 외벽(14)과 중간벽(13)과의 사이에 휨 변형부(15)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주부(B)의 외측은 개봉 이전은 용기의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오염될 걱정이 없고, 주부(B)에 직접 입을 대고 마시는(소위 통째 마심)경우에도 불결한 느낌이 없다.
여기서, 용이파단부(11)는 용기 개봉시에 파단되어 캡부(A)와 주부(B)로 분리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용이파단부(11)는 외벽(14)과 중간벽(13)과의 하단 밀착부(14a)에 설치되어 진다. 용이파단부(11)가 파단하여 캡부(A)가 분리하는 것으로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주출(注出)하는(쏟는) 것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분리한 캡부(A)는 재봉쇄하는 목적으로 다시 한번 이용가능해진다.
그리고 용이파단부(11)가 하단 밀착부(14a)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캡부(A)와 주부(B)로 분리한 때에 나타나는 파단단(broken end)(11a)은 중간벽(13)에 밀착한 상태로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 입술, 혀 등이 파단단에 접촉해도 베일 염려가 없어 안전하다.
용이파단부(11)는 개봉시에 용이하게 파단되는 것이라면 그 형식은 특히 묻지 않고 박육구상(a thin-wall groove shape)(스코어(score))이라도 좋고, 구멍 형상, 깊이 벤 형상(notch)의 부분적 관통공(슬릿(slit))의 어느 쪽이라도 좋다. 용이파단부(11)를 스코어로 형성하면, 확실하면서도 용이하게 용이파단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용이파단부(11)를 슬릿으로 형성하면, 개봉성을 향상시키 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은 용이파단부(11)는 스코어의 경우, 인상 롤(blade-like roll) 등을 이용하여 두툼한 벽의 일부를 환상형 또는 미싱(sewing machine)목(目) 모양(a stitched pattern)으로 부분적으로 얇게 소성변형시키던가 또는 절삭가공에 의하여 박육상(thin-wall shape)으로 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슬릿(slit)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인상 롤 등을 이용하여 미싱목 모양으로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관통부로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용이파단부(11)의 지름방향 변형에 의한 개봉가능이란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캡 측면을 손가락으로 내측에 압박하는 것에 의해 용이파단부(11)를 파단하여 용이하게 개봉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즉, 캡부(A)의 측면(외벽(14))의 압압부(15a)를 내측방향(화살표 X)으로 압박하는 것에 의하여 외벽(14)을 타원형으로 휘게 하고, 용이파단부(11)를 지름방향(손가락으로 압박한 부분에서는 화살표 X의 방향으로 변형시켜 그것과 직각방향에서는 화살표 Y의 방향으로)으로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압압부(15a) 부근의 용이파단부(11)에 균열이 생겨 또는 외측방향(화살표 Y)으로 변형한 용이파단부(11)가 상하방향(화살표 Z)으로 균열이 생겨 캡부(A)와 주부(B)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용이파단부(11)에의 균열의 발생은 실시형태 1의 용기의 개봉구조에 있어서는 아래와 같은 휨 변형부(15)의 존재에 의하여 더욱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캡부(A)에서 용이파단부(11)의 부근, 즉 외벽(14)과 중간벽(13)과의 경계에 간극(공간)으로 있는 휨 변형부(15)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캡부(A)의 측면(외벽(14))의 휨 변형부(15a)를 외측으로부터 화살표 X방향으로 압박하면 휨 변형부(15)가 휘어져 그 부근에 마련되어 있는 용이파단부(11)의 변형을 조장시켜 더욱 용이하게 파단한다.
이와 같이 캡부(A) 및 주부(B)가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내용물 충전 후의 캡부에서 밀봉성의 보증이 완전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용기제조시의 생산성이나 수송 중 등에 있어서 내구성이 우수한 용기의 개봉구조로 할 수 있다. 더욱 또한, 용기 본체와 캡부를 단일의 소재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폐기할 때에도 용기 본체와 캡부를 분별할 필요가 없고, 재활용성,폐기 편리성에서도 우수하다.
또한, 개봉하는 것에 의해 노출하는 주부(B)의 상단부(12a)는 내벽과 중간벽과의 되 접어 꺾은 곳의 곡률을 갖고, 주구(注口)(the pouring opening)에서의 내용품의 주출이 원활할 뿐만 아니라, 직접 주부에 입을 대고 마시는(소위 통째로) 경우에도 입을 다치는 등의 불안이 전혀 없어 안전성에서도 뛰어나다.
그리고 용이파단부(11)가 외벽(14)에 설치되어 있고, 개봉 전에도 용기의 외측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아나 고령자 등이라도 파단 상태를 관찰하면서 확실하게 개봉할 수 있음과 동시에 템퍼 에비던트성(tamper evident property)을 갖고, 게다가 또한, 재봉쇄시에는 캡부를 주부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개구부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용기의 개봉구조(10)에서 캡부(A)는 용이파 단부(11)에 연결접속하여 연속설치된 원통형의 커버부(16a)와 주부(B)의 개구부(19)를 덮는 원반형의 천판부(16b)를 구비하고 있지만, 원통형의 커버부(16a) 및 그 커버부(16a)에 연결접속한 주부(B)에 나사 계합부(thread engaging portion)(17)가 설치되어 진다. 구체적으로는, 외벽(14), 내벽(12) 및 중간벽(13)의 각각에 접합가능한 나사 모양의 홈이 설치(형성)되어 있다. 나사 계합부(17)에서 나사의 형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나사산 방향은 바깥쪽에 볼록 및 안쪽에 볼록의 어느 쪽이라도 좋다. 또한, 나사의 리드(lead)수도 1 리드, 복수의 리드 어느 쪽이라도 좋다.
나사 계합부(17)가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내벽(12), 중간벽(13) 및 외벽(14)이 서로 나사계합되어 개봉 후도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에 의해 용기 개봉 후에서 마시고 남은 음료 등을 위생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고, 재봉기능이 확실해진다. 또한, 재봉시에 단지 캡부(A)를 주부(B)에 나선결합한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특별한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아 취급이 뛰어나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용기의 개봉구조(10)에서 캡부(A)의 내면상부(16b)와 주부의 사이에 밀봉재(18)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밀봉재(18)는 주부(B)의 재봉쇄시에 있어서 캡부(A)의 밀봉(seal)성을 향상시켜 용기 본체가 기울어지거나 뒤집혀져 거꾸로 된 경우나 이동중인 경우에도 용기 중의 마시고 남은 음료(잔유물) 등이 누설될 가능성이 없어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등, 재봉쇄시에 있어서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밀봉재(18)의 소재로서는 천판부(16b)에 접착 또는 감착되어(adhered or fitted) 배치된 고무나 합성 수지 등의 탄성체나 가소체(a resilient body or a plastic body)로 된 박육 도넛 원반형(thin-wall-thickness donut disc-like)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밀봉성을 확실하게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밀봉재(18)는 캡부(A) 내측의 천판부(16b)를 덮도록 감착 또는 접착하여 배치되어도 좋고, 후술하는 성형공정에서 원통형 컵(Q)의 박육의(얇은) 중앙부(C3) 하단부 내주면에 밀봉재(18)를 미리 도포 또는 접착하여 있어서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후의 공정에서 이 밀봉재(18)는 천판부(16b)의 하면에 위치하여 주부의 개구부(19)와의 사이에 개재하여 밀봉(seal)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는, 미리 내면측에 유기피복을 실시한 도장 알루미늄판 또는 라미네이트 알루미늄판 등의 수지피복 금속소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용이파단부(11)를 파단하여 분리된 캡부(A)를 주부(B)에 씌울 때에 주부(B)의 개구부(19)와 천판부(16b)의 상기 유기피복이 밀착하여 용기 내의 액이 누출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개봉구조(10)의 사이즈에 관해서는, 특히 한정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된 주부(B), 중간벽(13), 캡부(A)의 높이를 5∼50mm 정도, 캡부(A)의 지름을 10∼100mm 정도로 한다.
또한, 개봉구조의 소재는 알루미늄 합금이나 스틸 등의 금속소재 또는 금속판의 적어도 한쪽 면에 유기피막을 설치한 피복금속판, 폴리올레핀이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플라스틱 소재의 어느 쪽이라도 좋다. 금속소재, 바람직하게는 가공성이 우수한 금속소재라면, 내벽,중간벽,외벽으로 된 삼중벽을 형성시킬 때에 되접어 꺽는 가공(folding back forming)을 용이하게 하여 내구성이나 내누설성이 우수한 용기의 개봉구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소재라면,사출성형이나 압출성형 등의 성형법을 적용할 수 있고, 대량으로 제조할 때의 제조비용을 인하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용기의 개봉구조의 요부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2의 용기의 개봉구조(20)에서는 용이파단부(21)가 외벽(24)의 하부(24b)에 마련되어 있고, 상술한 실시형태 1과 같은 외벽(14)과 중간벽(13)과의 하단 밀착부(14a)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 밖의 점에 관해서는, 휨 변형부(25)가 외벽(24)과 중간벽(23)과의 간극에 설치되어 있는 점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형태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용기의 개봉구조를 구비한 용기의 요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 3의 용기의 개봉구조(30)에서는, 외벽(34)과 중간벽(33)이 상단으로부터 하단의 전 부분에 걸쳐 연결접속하여 있고, 용이파단부(31)가 외벽(34)의 하부(34b)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휨 변형부(35)가 내벽(32)과 중간벽(33)과의 간극에 설치되어 있다. 그 밖의 점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형태 4)
더욱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용기의 개봉구조를 구비한 용기의 요부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4의 용기의 개봉구조(40)에서는, 상술의 실시형태 3과 마찬가지로 외벽(44)과 중간벽(43)이 상단으로부터 하단의 전 부분에 걸쳐 연결접속하고 있다. 또한, 용이파단부(41)가 캡부(A)에 설치된 나사계합부(47)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 밖의 점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상술한 것처럼, 도 1∼6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4의 경우는 개봉구조의 외벽(캡부(A))의 측면을 잡아서 내측에 압박을 가한다. 이것에 의해 캡부(A)가 타원상에서 휘고,용이파단부의 지름방향 변형이 생겨 파단한다. 그리고 캡부(A)가 중간벽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전시켜 분리하여 개봉할 수 있고, 주부(B)에서 속의 음료를 컵에 쏟거나, 직접 마시거나 할 수 있게 된다. 용기에 마시고 남은 음료가 생긴 경우에는 캡부(A)를 주부(B)에 씌워서 회전시켜 나사 계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양자를 확실하게 고정하여 봉지(sealing)할 수 있다.
도 7∼도 12는 상술한 실시형태 1∼4에 있어서, 캡부(A)를 그 폐전상태(closed state)에서 개전방향(opening direction)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캡부의 나사 홈과 주부의 나사 산과의 사이에 생기는 공극을 서서히 확대하여 맥주,탄산음료 등의 음료를 충전밀봉한 용기의 개봉시에 내용물이 끓어 넘쳐 캡의 비산의 원인으로 되는 용기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 제거용 공극을 형성하는 개봉구조의 부분단면도이다.
(개봉구조의 상태 1)
도 7 및 도 8은 가스 제거용 통로를 형성하는 개봉구조의 상태 1의 부분단면도를 나타내는데, 도 7은 개봉 전의 밀봉상태를 나타내고, 도 8은 개봉 후의 개전 된 상태(캡이 열려진 상태)를 나타낸다. 상태 1에서는 용기의 개봉구조(60)는 주부(61)의 나사 홈의 폭 및 캡부(62)의 나사 산의 폭을 아래쪽을 향하여 점차 감소시키고 있고(W1>W2>W3), 개봉 시, 캡부(62)의 하단에 있는 용이파단부(63)를 절단한 후, 캡부(62)를 개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나사 홈과 나사 산과의 사이에 가스 제거용 공극 S가 형성된다.
(개봉구조의 상태 2)
도 9 및 도 10은 가스 제거용 통로를 형성한 개봉구조의 상태 2의 부분단면도를 나타내는데, 도 9는 개봉 전의 밀봉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은 개봉 후의 폐전상태(캡이 열려진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 2의 용기의 개봉구조(70)은 상술한 상태 1과 다음의 점에서 다르다.
즉, 주부(71)에서 나사 홈의 깊이 및 캡부(72)에서 나사 산의 높이를 아래쪽을 향하여 점차 감소시키고 있고(H1>H2>H3), 캡부(72)를 개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나사 홈과 나사 산과의 사이에 용기 본체 내 가스 제거용 공극 S를 형성하고,캡 개봉시에 가스 제거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개봉구조의 상태 3)
도 11 및 도 12는 가스 제거용 통로를 형성한 개봉구조의 상태 3의 부분단면도를 나타내는데, 도 11은 개봉 전의 밀봉상태를 나타내고, 도 12는 개봉 후의 폐전상태(캡이 열려진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 3의 용기의 개봉구조(80)는 상술한 상태 1,2와 다음의 점에서 다르다.
즉, 주부(81)에서 나사 홈의 폭, 및 캡부(82)에서 나사 산의 폭 및, 주부 (81)에서 나사 홈의 깊이, 및 캡부(82)에서 나사 산 높이의 양자를 아래쪽을 향하여 점차 감소시키고 있고(W1>W2>W3 및 H1>H2>H3), 캡부(82)를 개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나사 홈과 나사 산과의 사이에 용기 본체 내 가스 제거용 공극 S가 형성되어 캡 개봉시에 가스 제거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 상태 3의 용기의 개봉구조에서는 나사 홈, 나사 산의 폭 및 나사 홈의 깊이, 나사 산의 높이의 양자를 조합시킨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더욱 유효하게 가스 제거용 공극 S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7∼도 12에 나타내는 개봉구조에서는, 부분적으로 도시된 캔 몸체(170)와 2중 권체부(double seamed portion)(171)를 통하여 접합되어 있다.
(실시형태 5)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의 용기의 개봉구조의 요부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5의 용기의 개봉구조(50)는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지만, 캡부(A) 및 그 캡부(A)에 연결하는 주부(B)에 나사계합부(17)의 대용으로 언더컷부(51a)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형태 1과는 다르다.
언더컷부(51a)는 용기 개봉 후의 캡부(A)가 주부(B)의 중간벽(53)에 자유롭게 감착계합(嵌着係合)(detachably engaged)하기 위한 요철(凹凸)모양 부분이고, 실시형태 5에서는 외벽(54), 내벽(52) 및 중간벽(53)의 각각에 접합가능한 오목(凹)모양의 움푹 들어감(indentation) 또는 볼록(凸)모양의 돌기(projection)가 형성되어 있다.
언더컷부(51a)를 구비한 캡부(A)를 중간벽(52)에 압입하는 원터치 조작으로 캡의 착탈이 간단하게 가능하고, 유아나 고령자라도 용이하게 다룰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용이파단부(51)를 파단한 후에는 중간벽(53)을 탄성적으로 확경하여 중간벽(53)에 형성한 홈(凹)부 바닥(56)과 캡부(A)의 언더컷부(51a)가 탄성적으로 계합한다.
실시형태 5의 개봉구조에 의하면, 용이파단부(51)를 파단시킨 후에 캡부(A)를 상방향 수직으로 잡아 빼는 것에 의해 도 14와 같이 캡부(A)와 주부(B)를 분리하여 개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개봉구조에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이파단부(11)를 스코어로 한 때는 상기 용이파단부(11)에 인접하고, 상기 스코어보다도 홈이 얕은 서브 스코어(11b)를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서브 스코어를 설치한 경우, 용이파단부를 서브 스코어에 대하여 메인 스코어라고 한다. 서브 스코어(11b)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용기를 부주의하게 바닥에 떨어뜨린 경우의 충격을 이 서브 스코어(11b)의 부분이 흡수하기 때문에 인접하고 있는 스코어(11)에 관련된 충격이 완화되어 낙하 등에 의한 스코어 균열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서브 스코어(11b)는 메인 스코어(11)를 끼우도록 양측(상하)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어느 쪽이든 한쪽만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더욱이, 본 발명의 개봉구조에 있어서는, 도 16에 나타낸 것처럼 외벽이 휨 강성(deflection rigidity)이 둘레방향에서 불 균일하게 되도록 엠보스 모양의 볼록(凸)부(14b) 등을 설치해도 좋고, 이 엠보스 모양의 볼록부(14b)를 설치하는 것 에 의해 휨 변형부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의 압박변형됨에 따라 휨 강성이 원주상의 비교적 약한 부분에 집중하여 그 부분 또는 그 부근이 메인 스코어의 균열의 기점으로 되어 보다 한층 개봉이 용이해진다.
이 엠보스 모양의 볼록부(14b)의 형상은 도 16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7(a)∼(f)에 예시하는 다양한 형상을 적용할 수 있고, 이 엠보스 모양의 볼록부(14b)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메인 스코어의 압압(pushing)에 의한 파단 시의 압압부분의 최적장소를 나타내는 표시도 된다. 또한, 상기 메인 스코어의 파단 후의 캡부(A)와 주부(B)의 개봉, 용기 개봉 후에 재봉을 할 때의 미끄럼을 방지하여 손가락으로 붙잡는 작용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개봉구조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휨 변형부 또는 그 부근, 또는 메인 스코어 또는 그 부근에 미개봉 보증재(unopened quarantee material)를 이용해도 좋고, 이 미개봉 보증재는 일정 이상의 응력(압력), 또는 왜곡이 생긴다면 미개봉 보증재에 시각적인 변화가 불가역적으로 생기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감압재(pressure sensitive material), 응력도료(왜곡도료) 등으로 불리는 것이 예시된다.
감압재로서는, 예를 들면 종래부터 노카본식 복사지(non-carbon copying paper)에 많이 사용되고 있고, 발색제가 봉입되어 있는 마이크로 캡슐을 압력에 의해 파괴하여 그 중의 발색제를 현색제로 흡착시켜 화학반응으로 변색시키는 것이 있어, 이것을 개봉가능한 압압력(pushing force)으로 변색하도록 조정하여 사용하면, 개봉의 유무(tamper-evident property)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 다.
한편, 응력도료를 이용한 경우는, 일정 이상의 응력으로 도막에 균열이 생기고, 이것을 개봉가능한 압압력으로 균열이 생기도록 조정하여 이용하면, 마찬가지로 개봉의 유무(tamper-evident property)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용기)
도 18은 본 발명의 용기의 개봉구조를 구비한 용기의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용기(100)는 상술한 용기의 개봉구조의 어느 한쪽을 구비하고 있다. 용기(100)에 있어서, 용기의 개봉구조는 하연부(lower peripheral portion)에 형성된 컬부(101)에 의해 용기 몸체부(102)의 상단부에 권체(卷締)(seaming)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고정수단으로는 상기 권체로 한정되지 않고, 접착(adhesion),용착(melting),용접(welding) 등의 접합방법이 가능하다.
용기 몸체부(102)는 알루미늄 합금,스틸 등의 금속소재를 주 소재로서 형성되지만, 폴리에틸렌이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그 용도나 제조비용 등에 따라 딥드로잉(deep drawing) 성형, 아이어닝(ironing) 가공, 압출성형,사출성형 등의 여러 가지의 성형방법이나 재료의 것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속소재로 형성하는 경우는 가공성이 우수한 금속재를 선택하여 딥드로잉 가공, 아이어닝 가공 등을 적용하여 성형할 수 있고, 충격에 대한 내구성 이나 내누설성(leak resistance)이 우수한 용기 몸체부(102)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전체를 플라스틱 소재로 성형하는 경우는 사출성형, 압출성형, 시트(sheet)성형,블로우(blow)성형 등의 공지인 기술을 적용할 수 있고, 용기의 개봉구조를 대량으로 제조할 때의 제조비용을 인하할 수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용기(110)는 본 발명의 용기의 개봉구조를 구비한 용기의 다른 예로, 개봉구조와 용기 몸체부(112)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므로 상기 용기 몸체부(112)의 하단부에 바닥뚜껑(113)이 권체되어 고정되어 있다.
(제조방법)
본 발명의 용기의 개봉구조에 관한 제조방법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이하에서 나타낸다. 상술한 도 18에 나타내는 용기(100)에 있어서, 용기 몸체부(102)의 상단부에 고정된 용기의 개봉구조의 제조방법을 도 20∼도 2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공정)
먼저, 알루미늄 합금판 등의 금속판(P)을 드로잉 가공하여 원통형 컵(Q)으로 성형한다.
(제2공정)
이어서, 원통형 컵(Q)을 재 드로잉(redrawing)에 의해 원통형 부분의 직경이 주부의 직경으로 될 때까지 필요에 따라 여러 차례에 걸쳐 축소를 하여 통형부(C)로 한다. 이때, 용기의 용기 몸체부의 상단부에 권체시켜 고정하기 위한 컬부(101)를 원통형 컵(Q) 또는 통형부(C)의 외주(外周)부에 설치함과 동시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공정 후의 적절한 공정에서 권체에 의한 밀봉성을 확실하게 하기 위 해 밀봉제(sealing agent)(103)가 컬부(101)의 내측에 도포된다.
또한, 원통형 컵(Q)을 통형부(C)로 하는 재 드로잉 성형의 최종 단계에서 아이어닝 성형을 조합시켜 통형부(C)의 길이(높이)방향으로 벽 두께 분포를 서로 다르게 하고, 통형부(C)를 외벽 예정부(C1), 중간벽 예정부(C2), 및 내벽 예정부(C3)로 구분한 경우에, 중간벽 예정부(C2)의 벽 두께를 다른 부분보다도 얇게 성형한다. 중간벽 예정부(C2)의 벽 두께를 얇게 하는 것에 의해 후에 실시하는 접어포개는 공정(folding step)을 양호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공정)
다음에,벌지성형(bulging forming)가공 등의 내압을 이용한 수단으로 통형부(C)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확경하고 확경부(F)를 형성한다. 예를 들면, 통형부(C)의 외부에 분할주형(split mold)(V)(외형)을 설치하고, 우레탄 등의 탄성체(U)(도 23 참조)를 통형부(C)의 내부에 삽입하고,탄성체(U)를 가압공구(R)로 가압하여 변형시킨다. 형성된 확경부(F)는 개봉구조로 성형된 후에는 외벽(14)로 된다. 또한, 분할주형(V)의 내면형상을 엠보스 모양의 볼록부(14b)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이 성형공정에서 외벽에 엠보스 모양의 볼록부(14b)를 형성할 수 있다(도 17 참조).
(제4공정)
통형부(C)의 확경부(F)에 인상 롤(roll)(E1)과 회전 맨드렐(mandrel)(E2)을 이용하여 용이파단부(11)를 형성한다.
(제5공정)
다음에,통형부(C)를 높이방향에서 가압하여 통형부(C)의 높이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중간벽 예정부(C2)를 중간벽(13)으로 하고, 외벽 예정부(C1)를 가장 외측에 배치하여 외벽(14)으로 되도록 위에서 접어 포개어 내벽(12), 중간벽(13), 외벽(14)의 원통형의 삼중벽으로 되는 돌출부를 형성한다.
(제6공정)
다음에,돌출부의 외측과 내측에 외측 나사가공용 롤(D1),내측 나사가공용 롤(D2)을 눌러 접촉시켜 돌출부를 회전시켜서 나사계합부(17)를 형성하고,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실시형태 1의 개봉구조를 완성한다. 또한, 상기 제3공정에서, 통상부(C)의 내부에서 외측에 확경하여 확경부(F)를 형성할 때에 외벽 예정부(C1)와 중간벽 예정부(C2)와의 경계부근에 장출(張出) 환형부(bulged annular portion)(F1)를 형성하고, 장출 환형부(F1)로부터 아래쪽에 중간벽 예정부(C2)보다 직경이 큰 접속부(F2)를 설치하면, 제5공정의 접어 포개는 가공에서 삼중벽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F2)의 형상은 도 24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접속부(F2)를 장출 환형부(F1)로부터 통형부(C)의 중간벽 예정부(C2)에 직접 접속하도록 각도 변화를 준 형상으로 하는 것이나, 도 25에 나타낸 것처럼, 중간벽 예정부(C2)보다 직경이 큰 원통벽부(F3) 및 단부(F4)를 설치하여 접속부(F2)로 하고, 통형부(C)의 중간벽 예정부(C2)에 접속할 수도 있다.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부(F2) 또는 원통벽부(3), 단(段)부(F4)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접어 포갠 후의 외벽(14)에 형성된 용이파단부(11)가 중간벽(13)에 밀착한 개봉구조로 되고, 개전(캡이 오픈된) 후에, 용이파단부(11)의 에지(edge)와 중간벽(13)과의 간극이 없어지고,에지에서의 상처 등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안전성이 향상한다.
더욱이, 플라스틱재 등을 소재로 하는 경우는, 사출성형법 등에 의해 상술한 제3공정에서 확경부(F)를 형성한 통상부C를 형성하고, 제4공정의 용이파단부의 형성 후, 성형가능한 연화(softening) 온도에서 제5공정의 접어 포갬, 제6공정의 나사계합부 형성하는 것에 의해 용기의 개봉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조장치)
도 26은 본 발명의 용기 개봉구조의 제조장치의 개략 측면도이고, 도 27은 상기 제조장치에서의 스코어 형성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26에 나타낸 것처럼, 제조장치는 메인 스코어 형성 인(blade)(91)과 서브 스코어 형성 인(92)을 갖는 회전 롤 모양의 스코어 형성수단(90), 스코어 형성수단(90)을 지지하고 또한 이동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plate) 모양의 지지이동수단(holding and moving means)(93), 지지이동수단(93)의 이동을 규제하는 블록(block) 모양의 규제수단(94) 및 캡부(C) 내에 삽입되는 맨드렐(B)로 이루어지고, 지지이동수단(93)은 간략화하여 나타낸 구동수단(95)에 의해 이동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캡부(C)와 맨드렐(B)의 위치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지지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회전 롤 모양의 스코어 형성수단(90)은 지지이동수단(93)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지지이동수단(93)은 규제수단(94)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있다.
개봉부재(C)에 메인 스코어 및 서브 스코어의 형성은 우선, 통형의 캡부(C) 내에 회전 맨드렐(E)를 삽입함과 동시에 내측으로 눌러 접촉시킨 후,도 26 (a)의 상태에서 (b)의 상태로 지지이동수단(93)을 규제수단(94)으로 향해서 이동시켜 스코어 형성수단(90)을 개봉부재(C)에 가압접촉시킴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회전시킨다. 다음에, 스코어 형성수단(90)의 메인 스코어 형성 인(91)으로 주상의(circumferential) 메인 스코어(11)의 형성을 시작하고, 마지막으로, 메인 스코어(11)의 형성이 종료되기 전에 상기 스코어 형성수단(90)의 서브 스코어 형성 인(92)에 의해 주상의 서브 스코어(11b)의 형성을 시작한다.
그리고, 도 26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이동수단(93)이 규제수단(94)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지이동수단(93)에 장착된 스코어 형성수단(90)의 개봉부재(C)로의 가압접촉이 저지되어, 도 27에 나타낸 것처럼, 스코어 형성수단(90)의 메인 스코어 형성 인(91), 서브 스코어 형성 인(92)에 의한 메인 스코어(11), 서브 스코어(11b)의 형성이 종료된다.
또한, 스코어 형성수단(90)에서 서브 스코어 형성 인(92)의 수는 적어도 메인 스코어 형성 인(91)의 상/하 어느 한쪽, 상/하로 1개 또는 2개 이상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또한 상/하의 개수를 서로 다르게 해도 좋다.
또한, 스코어 형성수단(90)의 메인 스코어 형성 인(91) 및 서브 스코어 형성 인(92)은 직선 인 모양(straight blade shape)으로 할 수 있지만, 1개의 롤(roll)에 지름이 큰 메인 스코어 형성 인(91)과 지름이 작은 서브 스코어 형성 인(92)을 설치한 인상 롤 또는 지름이 큰 메인 스코어 형성 인(91)에 지름이 작은 서브 스코어 형성 인(92)을 동축(同軸) 모양으로 겹쳐서 조립한 인상 롤이 스코어의 가공성 ,생산성,유지보수(maintenance)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더욱이, 스코어 형성수단(90)을 지지하고,또한 이동하는 지지이동수단으로서 슬라이드 플레이트(slide-plate) 모양의 지지 이동수단(93)을 예시하고 있지만, 다른 예로서 요동(搖動)가능한(tiltable) 암(arm)을 적용할 수 있고, 또한, 규제수단으로서 블록(block) 모양의 규제수단(94)을 예시하고 있지만, 다른 예로서 링크기구, 캠 기구, 전자(電磁) 브레이크, 또는 이들의 복합기구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도 28은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제조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28에 나타낸 것처럼, 본 실시형태의 제조장치로서, 메인 스코어 형성 인(91)과 서브 스코어 형성 인(92)을 갖는 회전 롤 모양의 스코어 형성수단(90), 스코어 형성수단(90)을 지지하는 암(arm) 모양의 지지이동수단(96), 지지이동수단(96)의 이동(요동) 규제수단인 링크 모양의 규제수단(97) 및 캡부(C) 내에 삽입된 맨드렐(E)로 이루어지고, 지지이동수단(96)은 간략화하여 나타냈지만, 그 중앙부에 연결한 암(arm) 모양의 구동수단(98)에 의해 이동(요동)한다.
또한, 지지이동수단(96)의 기단(其端)부가 지지부재(99a)에, 규제수단(97)의 기단부가 지지부재(99b)에, 선단(先端)부가 암(arm) 모양 유지구(96)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캡부(C)에 메인 스코어 및 서브 스코어의 형성은 우선, 통상의 캡부(C) 내에 회전 맨드렐(E)을 삽입함과 동시에 안쪽에서 눌러 접촉시킨 후, 도 28의 (a)상태에서 (b)상태로 구동수단(98)에 의해 지지이동수단(96), 스코어 형성수단(90)을 그림의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요동)시켜서 스코어 형성수단(90)을 캡부(C)의 측벽에 가 압접촉시킴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도 28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제수단(97)이 직선 모양으로 된 시점에서 지지이동수단(96)에 장착된 스코어 형성수단(90)의 캡부(C)에의 가압접촉이 저지되어 도 27에 나타낸 것처럼,스코어 형성수단(90)의 메인 스코어 형성 인(91), 서브 스코어 형성 인(92)에 의한 메인 스코어(11), 서브 스코어(11b)의 형성이 종료된다.
본 발명의 개봉구조는 주스 캔, 맥주 캔, 탄산 음료 캔, 커피 음료 캔, 홍차 음료 캔, 식용유 캔, 조미료 캔 등의 밀봉용기에 사용되는 캡 구조이고, 금속소재,내면 또는 외면에 수지층 등이 피복된 알루미늄 합금이나 스틸 등의 금속소재, 플라스틱 소재가 바람직하게 적용되고, 용기 본체의 형상으로서는 그 외형이 원주 모양이나 각주 모양 등의 것이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9)
- 캡부와 주(注)부를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한 용기의 개봉구조에 있어서, 캡부와 주부의 경계에 존재하는 용이파단부의 지름방향 변형에 의해 상기 용이파단부가 파단해서 상기 캡부와 상기 주부가 분리하여 용기가 개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개봉구조.
- 청구항1에 있어서, 용이파단부의 부근에 휨 변형부를 설치하고, 상기 휨 변형부를 외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압박하여 변형시켜서 상기 용이파단부의 지름방향 변형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개봉구조.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캡부 및 주부가 내벽과, 내벽의 상단부에서 아래쪽으로 향해서 되접어 꺽인 중간벽과, 상기 중간벽의 하단부에서 위쪽으로 향해서 되접어 꺽인 외벽으로부터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용이파단부가 외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개봉구조.
- 청구항 3에 있어서, 휨 변형부가 외벽과 중간벽 및/또는 중간벽과 내벽과의 간극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개봉구조.
- 청구항 1∼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용이파단부에 연결하여 일 체로 연속설치된 원통형의 커버부와 주(注)부의 개구부를 덮는 원반형의 천판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원통형의 커버부 및 커버부에 연결하는 주부에 나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개봉구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캡부를 그 폐전(閉栓)상태에서 개전(開栓)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주부의 나사홈과 상기 캡부의 나사산과의 사이에 생기는 공극이 서서히 확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개봉구조.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주부의 나사홈 및 상기 캡부의 나사산의 폭을 아래쪽을 향하여 점차 감소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개봉구조.
-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주부의 나사 홈의 깊이 및 상기 캡부의 나사 산의 높이를 아래쪽을 향하여 점차 감소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개봉구조.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주부의 나사 홈의 폭 및 상기 캡부의 나사 산의 폭을 아래쪽을 향하여 점차 감소시키고, 상기 나사 홈의 깊이 및 상기 나사 산의 높이를 아래쪽을 향하여 점차 감소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개봉구조.
- 청구항 1∼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용이파단부에 연결하여 일체로 연속설치된 원통형의 커버부와 주부의 개구부를 덮는 원반형의 천판부를 구비 하고 있고, 그 원통형의 커버부에 언더컷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개봉구조.
- 청구항 1∼10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내면 상부와 주부의 사이에 밀봉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개봉구조.
- 청구항 1∼11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이파단부에 인접하여 서브 스코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개봉구조.
- 청구항 1∼12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휨 변형부의 휨 강성이 둘레방향으로 불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개봉구조.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휨 변형부에 엠보스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개봉구조.
- 청구항 1∼1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휨 변형부 또는 그 부근, 혹은 용이파단부 또는 그 부근에 미개봉 보증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개봉구조.
- 청구항 1∼15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기의 개봉구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용기.
- 통형부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확경(擴徑)하여 확경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확경부에 용이파단부를 형성하고, 통형부를 높이방향에서 가압하여 상기 통형부의 높이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중간벽 예정부를 중간벽으로 하고, 외벽 예정부를 가장 외측에 배치하여 외벽으로 되도록 위에서 접어 포개어 내벽, 중간벽, 외벽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삼중벽으로 된 돌출부와, 외벽과 중간벽 및/또는 중간벽과 내벽과의 간극에 휨 변형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에 계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개봉구조 제조방법.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통형부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확경하여 확경부를 형성할 때, 외벽 예정부와 중간벽 예정부의 경계부근에 장출(張出) 환형부(a bulged annular portion)를 형성하고, 상기 장출 환형부로부터 아래쪽에 중간벽 예정부보다 직경이 큰 접속부를 설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개봉구조 제조방법.
- 청구항 17 또는 18에 있어서, 상기 용이파단부에 인접하여 서브 스코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개봉구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3185978 | 2003-06-27 | ||
JPJP-P-2003-00185978 | 2003-06-27 | ||
JPJP-P-2003-00338409 | 2003-09-29 | ||
JP2003338409A JP4506941B2 (ja) | 2003-09-29 | 2003-09-29 | 容器の開封構造、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JPJP-P-2004-00111620 | 2004-04-05 | ||
JP2004111620A JP2005289499A (ja) | 2004-04-05 | 2004-04-05 | 容器の封鎖構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65587A true KR20060065587A (ko) | 2006-06-14 |
Family
ID=33556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24835A KR20060065587A (ko) | 2003-06-27 | 2004-06-25 | 용기의 개봉구조,그 개봉구조를 구비한 용기 및 그개봉구조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070062952A1 (ko) |
EP (1) | EP1640283A1 (ko) |
KR (1) | KR20060065587A (ko) |
AU (1) | AU2004251979A1 (ko) |
WO (1) | WO2005000698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7878B1 (ko) * | 2013-01-15 | 2015-04-06 | (주)아이비티 | 정수기용 재활용 스테인리스 케이스의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957076B2 (en) * | 2008-01-15 | 2018-05-01 | Rexam Beverage Can Company | Outsert for a metal container |
US8336728B2 (en) * | 2008-04-21 | 2012-12-25 | Rexam Beverage Can Company | Ventable resealing can end closure |
GB0817942D0 (en) * | 2008-10-01 | 2008-11-05 | Obrist Closures Switzerland | A method of shaping metal closures |
US8333294B2 (en) * | 2008-10-21 | 2012-12-18 | Rexam Beverage Can Company | Cap for a lug-type closure |
US8496131B2 (en) | 2008-10-21 | 2013-07-30 | Rexam Beverage Can Company | Cap for a lug-type closure |
CN110218869A (zh) | 2011-09-16 | 2019-09-10 | 鲍尔公司 | 用回收废铝制造冲击挤压容器 |
US10968010B1 (en) | 2012-08-10 | 2021-04-06 | Daniel A Zabaleta | Resealable container lid and accessories including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
USD1033215S1 (en) | 2012-08-10 | 2024-07-02 | Daniel A. Zabaleta | Container lid comprising frustum shaped sidewall and seaming chuck receiving radius |
USD1033216S1 (en) | 2012-08-10 | 2024-07-02 | Daniel A. Zabaleta | Container cap having frustum shaped sidewall segment enabling nesting |
US9821926B2 (en) | 2013-03-15 | 2017-11-21 | Ball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threaded neck on a metallic bottle |
CA2908181C (en) | 2013-04-09 | 2018-02-20 | Ball Corporation | Aluminum impact extruded bottle with threaded neck made from recycled aluminum and enhanced alloys |
CA2938867A1 (en) | 2014-02-07 | 2015-08-13 | Ball Corporation | Metallic container with a threaded closure |
FR3019148B1 (fr) * | 2014-03-26 | 2016-03-25 | Ardagh Mp West France | Contenant metallique comportant un goulot adapte a recevoir un element d'obturation du type capsule a vis |
JP6456216B2 (ja) | 2015-02-27 | 2019-01-23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ねじ式キャップ容器 |
EP3184188B1 (en) * | 2015-12-23 | 2024-04-24 | Guala Closures S.p.A. | Method of forming a closure member |
US20180044155A1 (en) | 2016-08-12 | 2018-02-15 | Ball Corporation | Apparatus and Methods of Capping Metallic Bottles |
CA3177802A1 (en) | 2016-12-30 | 2018-07-05 | Ball Corporation | Aluminum alloy for impact extruded container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CA3053478C (en) | 2017-02-16 | 2021-11-09 | Ball Corporation | Apparatus and methods of forming and applying roll-on pilfer proof closures on the threaded neck of metal containers |
US11958666B2 (en) * | 2017-06-07 | 2024-04-16 | N2 Packaging Systems, Llc | Child resistant double seam container lid |
JP7046163B2 (ja) * | 2017-09-15 | 2022-04-01 | ボール コーポレイション | ネジ付き容器用の金属栓を形成する装置及び方法 |
MX2021005230A (es) | 2018-11-05 | 2021-06-18 | Ball Corp | Recipiente metalico con una tapa roscada. |
CA3143701A1 (en) | 2019-06-26 | 2020-12-30 | Ball Corporation |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a metallic container with a metallic end closur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597793A (en) * | 1969-05-28 | 1971-08-10 | Automatic Liquid Packaging | Bottles and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them |
US4703610A (en) * | 1986-07-21 | 1987-11-03 | Morris Bach | Unitary tamper proof container |
JPS63162465A (ja) * | 1986-10-07 | 1988-07-06 | エチル モルデッド プロダクツ カンパニー | 熱可塑性蓋部材 |
US5197620A (en) * | 1992-04-27 | 1993-03-30 | Owens-Illinois Closure Inc. | Venting closure |
-
2004
- 2004-06-25 EP EP04746505A patent/EP1640283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4-06-25 KR KR1020057024835A patent/KR2006006558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4-06-25 WO PCT/JP2004/009036 patent/WO2005000698A1/ja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4-06-25 US US10/561,977 patent/US2007006295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4-06-25 AU AU2004251979A patent/AU2004251979A1/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7878B1 (ko) * | 2013-01-15 | 2015-04-06 | (주)아이비티 | 정수기용 재활용 스테인리스 케이스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640283A1 (en) | 2006-03-29 |
AU2004251979A1 (en) | 2005-01-06 |
US20070062952A1 (en) | 2007-03-22 |
WO2005000698A1 (ja) | 2005-0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60065587A (ko) | 용기의 개봉구조,그 개봉구조를 구비한 용기 및 그개봉구조의 제조방법 | |
US11891208B2 (en) | Apparatus to seal a metallic container | |
KR20040063960A (ko) | 용기의 밀봉구조, 그 밀봉구조를 구비한 용기 및 그밀봉구조의 제조방법 | |
AU2013299540B2 (en) | Resealable beverage containers and methods of making same | |
US10427832B1 (en) | Resealable container lid assembly and accessories including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 |
RU2270794C2 (ru) | Крышка банки | |
CA3015350C (en) | Resealable container lid and accessories including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 |
WO1999010242A1 (en) | Resealable closure on seamed can end | |
JP5461393B2 (ja) | 注出可能な食品の密封容器のための閉塞部材及び当該閉塞部材の製造方法 | |
JP3313417B2 (ja) | 容器パッケージ用開口装置 | |
ITMI970788A1 (it) | Coperchio con chiusura a vite per una confezione di metallo nonche' procedimento per collegare la chiusura a vite con l'elemento di coperchio di una confezione | |
JP4548583B2 (ja) | 容器の開封構造及びその開封構造を備えた容器、その開封構造の製造方法 | |
JP4506941B2 (ja) | 容器の開封構造、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
JP4620876B2 (ja) | 合成樹脂製キャップ | |
JP4725717B2 (ja) | 容器の封鎖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 |
JP4172873B2 (ja) | 再封鎖用キャップ付き缶容器 | |
JP2005047515A (ja) | 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缶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