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2796A - 신화제조 금형장치 - Google Patents

신화제조 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2796A
KR20040062796A KR1020030000322A KR20030000322A KR20040062796A KR 20040062796 A KR20040062796 A KR 20040062796A KR 1020030000322 A KR1020030000322 A KR 1020030000322A KR 20030000322 A KR20030000322 A KR 20030000322A KR 20040062796 A KR20040062796 A KR 20040062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unch
mold
pattern
mold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0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호천
Original Assignee
권호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호천 filed Critical 권호천
Priority to KR1020030000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2796A/ko
Publication of KR20040062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279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2Implements, apparatus, or machines for making artificial flow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속신앙의 굿에서 사용되는 신화(神花)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이를 직접 펀칭하는 금형과, 상기 금형을 작동시키는 유압장치를 가지고 있고, 상기 금형은 종이를 눌러서 펀칭하는 상부와, 상기 종이를 받치고 있다가 상기 상부의 이동에 맞추어 연동하는 하부를 가지는 금형장치이다.
상기 상부는 상기 유압장치에 의해 이동하는 상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에 삽입되어져 상기 유압장치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상부펀치를 가지고 있다. 상기 하부는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에 삽입되어져 상기 상부펀치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하부펀치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펀치는 상기 하부에 올려진 종이를 눌려서 고정시키는 누름부재와; 상기 종이에 무늬를 형성시키는 무늬돌출부재를 가지고 있다. 상기 하부본체는 이동하는 상기 상부본체를 지지하여 정지시키며, 상기 상부펀치를 원 위치시키는 탄성부재를 가지고 있다.
상기 하부펀치는 상기 상부펀치와 쌍을 이루며 상기 무늬돌출부재가 삽입되는 무늬돌출부재홈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신화제조 금형장치{metal mol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tifitial flower used in a ritual}
본 발명은 무속신앙의 굿에서 사용되는 신화(神花)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화(神花)는 수 백년동안 굿을 할 때 사용하여 왔던 종이꽃을 말하며, 현장에서 '노르지'라 불리는 얇은 종이를 사용해서 수공으로 제작하여왔다. 수공으로 제작하는 과정은 먼저 가위를 사용하여 다수개의 꽃 테두리(100)를 형성하고, 이 꽃 테두리(100)의 중앙부를 돌출된 지그에 대고 망치로 때려 돌출부(110)를 형성시킨다.
즉, 도 1과 같은 잎 하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십여개의 꽃 테두리를 가위를 사용하여 형성하고, 각 꽃 테두리(100)를 일일이 망치 등을 사용하여 돌출부(110)를 형성시켜야 한다. 한 송이의 신화는 이러한 잎을 수십 장 포개어 형성되고, 보통 한번의 굿을 위해서는 이러한 신화가 48송이 가량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한번의 굿을 하기 위해 제작되는 신화를 수공으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한 사람이 거의일주일동안 작업해야만 하고, 아울러 수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꽃테두리(100)의 모양이 단순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얇은 종이로 만들어지는 신화의 제조하는 과정을 자동화한 신화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타 다른 목적이나 효과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신화의 잎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신화 잎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금형장치 중 상부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금형장치 중 하부의 정면도
도 6은 도 3의 측면도
도 7은 도 3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
도 8은 도 5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금형장치 중 상부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금형장치 중 하부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무늬형성과정에서 사용되는 금형 상부의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무늬형성과정에서 사용되는 금형 하부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상부 12 : 상부본체
14 : 상부펀치 50 : 하부
52 : 하부본체 54 : 하부펀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종이를 직접 펀칭하는 제 1 금형 어셈블리와, 상기 제 1금형 어셈블리에 의해 펀칭된 종이에 무늬를 형성시키기 위한 제 2 금형 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유압장치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 1 금형 어셈블리는 종이를 눌러서 펀칭하는 상부와, 상기 종이를 받치고 있다가 상기 상부의 이동에 맞추어 연동하는 하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 1 금형 어셈블리 상부는 상기 유압장치에 의해 이동하는 상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에 삽입되어져 상기 유압장치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상부펀치를 가지고, 상기 제 1 금형 어셈블리 하부는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에 삽입되어져상기 상부펀치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하부펀치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 2 금형 어셈블리는 종이의 상부에 위치하며, 종이를 눌러서 무늬를 형성시키는 무늬돌출부재와; 종이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무늬돌출부재를 지지하여 종이를 압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무늬돌출부재가 안착하는 무늬돌출부재홈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설명한 일측면에서 두 단계로 이루어지는 신화의 제조과정을 한 단계로 줄이기 위한 과정에서, 사용되는 재료가 얇은 종이다 보니 연신율이 극히 적어 펀칭하는 과정에서 찢어짐이 발생하는 바, 후술하는 누름부재를 도입하여 종이의 찢어짐을 방지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종이를 직접 펀칭하는 금형과, 상기 금형을 작동시키는 유압장치를 가지고 있고,
상기 금형은 종이를 눌러서 펀칭하는 상부와, 상기 종이를 받치고 있다가 상기 상부의 이동에 맞추어 연동하는 하부를 가지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는 상기 유압장치에 의해 이동하는 상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에 삽입되어져 상기 유압장치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상부펀치를 가지고 있다.
상기 하부는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에 삽입되어져 상기 상부펀치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하부펀치를 가지고 있다.
상기 상부펀치가 상기 하부펀치를 밀어서 이동시키며 종이를 펀칭하는 과정은 일반적인 종이에서는 불필요한 과정이나, 신화(神花)의 경우 사용되는 종이가매우 얇은 종류이기 때문에 상부펀치와 하부펀치 사이에 종이를 위치시키고 상부펀치와 하부펀치가 같이 이동하지 않을 경우 찢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상기 상부본체는 상기 프레스장치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유압장치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상부펀치는 상기 상부본체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장치에 의해 상기 상부본체가 상기 하부본체와 접촉하여 지지될 때, 상기 유압장치에 의해 상기 상부본체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하부본체 쪽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펀치는 상기 하부에 올려진 종이를 눌려서 고정시키는 누름부재와; 상기 종이에 무늬를 형성시키는 무늬돌출부재를 가지고 있다.
상기 하부본체는 이동하는 상기 상부본체를 지지하여 정지시키며, 상기 상부펀치를 원 위치시키는 탄성부재를 가지고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프레스장치에서 통상적으로 폴리우레탄이 사용된다.
상기 하부펀치는 상기 상부펀치와 쌍을 이루며 상기 무늬돌출부재가 삽입되는 무늬돌출부재홈을 가지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신화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금형장치 중 상부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금형장치 중 하부의 정면도이다.
제 1 실시예는 신화를 제조하기 위하여 종이를 펀칭하는 단계와, 펀칭된 종이에 무늬를 형성시키는 단계로 나누어져 있다. 신화를 제조하는 프레스장치는 종이를 직접 펀칭하는 제 1 금형(10)(50)과, 제 1 금형(10)(50)을 작동시키는 유압장치(미도시)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 1 금형(10)(50)은 종이(미도시)를 눌러서 펀칭하는 상부(10)와, 상기 종이(미도시)를 받치고 있다가 상기 상부(10)의 이동에 맞추어 연동하는 하부(50)를 가지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10)는 상기 유압장치(미도시)에 의해 이동하는 상부본체(12)와, 상기 상부본체(12)에 삽입되어져 상기 유압장치(미도시)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상부펀치(14)를 가지고 있다.
상기 하부(50)는 하부본체(52)와, 하부본체(52)에 삽입되어져 상부펀치(12)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하부펀치(54)를 가지고 있다.
상기 상부본체(12)는 상기 프레스장치의 상부(上部)에 장착되어 유압장치(미도시)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상부펀치(14)는 상부본체(12)에 삽입되어 있으며, 유압장치(미도시)에 의해 상부본체(12)가 하부본체(52)와 접촉하여 지지될 때, 유압장치(미도시)에 의해 상부본체(12)에서 슬라이딩되어 하부본체(52) 쪽으로 돌출되며 종이를 펀칭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무늬형성을 위한 제 2 금형 상부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무늬형성을 위한 제 2 금형 하부의 정면도이다.
이후 다음 공정은 펀칭된 종이에 돌출된 무늬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술한 제 1 금형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종이를 직접 펀칭하는 제 2 금형과, 상기 제 2 금형을 작동시키는 유압장치(미도시)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 2 금형은 종이의 상부(上部)에 위치하며, 종이를 눌러서 무늬를 형성시키는 무늬돌출부재(18)와, 종이의 하부(下部)에 위치하며, 상기 무늬돌출부재(58)를 지지하여 종이를 압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무늬돌출부재(58)가 안착하는 무늬돌출부재홈(58)을 가지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금형장치 중 상부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제 2 실시예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두 단계를 한 단계로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한 단계로 줄이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재료가 얇은 종이다 보니 연신율이 극히 적어 펀칭하는 과정에서 찢어짐이 발생하는 바, 후술하는 누름부재를 도입하여 종이의 찢어짐을 방지한 것이 특징이다.
신화를 제조하는 프레스장치는 종이를 직접 펀칭하는 금형(10)(도 3의 50)과, 상기 금형(10)(50)을 작동시키는 유압장치(미도시)를 가지고 있고,
상기 금형(10)(50)은 종이(미도시)를 눌러서 펀칭하는 상부(10)와, 상기 종이(미도시)를 받치고 있다가 상기 상부(10)의 이동에 맞추어 연동하는 하부(50)를 가지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10)는 상기 유압장치(미도시)에 의해 이동하는 상부본체(12)와,상기 상부본체(12)에 삽입되어져 상기 유압장치(미도시)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상부펀치(14)를 가지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금형장치 중 하부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상기 하부(50)는 하부본체(52)와, 하부본체(52)에 삽입되어져 상부펀치(12)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하부펀치(54)를 가지고 있다.
상기 상부본체(12)는 상기 프레스장치의 상부(上部)에 장착되어 유압장치(미도시)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상부펀치(14)는 상부본체(12)에 삽입되어 있으며, 유압장치(미도시)에 의해 상부본체(12)가 하부본체(52)와 접촉하여 지지될 때, 유압장치(미도시)에 의해 상부본체(12)에서 슬라이딩되어 하부본체(52) 쪽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부펀치(12)는 하부본체(52)에 올려진 종이를 눌려서 고정시키는 누름부재(16)와, 종이에 무늬를 형성시키는 무늬돌출부재(18)를 가지고 있다.
상기 하부본체(52)는 이동하는 상부본체(12)를 지지하여 정지시키게 되며, 상부펀치(14)를 원 위치시키는 탄성부재(56)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하부본체(52)는 상부본체(12)와 접촉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통상적인 스프링(59)을 가지고 있다.
상기 탄성부재(56)는 프레스장치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이다.
상기 하부펀치(54)는 상부펀치(14)와 쌍을 이루며, 상기 무늬돌출부재(18)가 삽입되어 종이(미도시)에 무늬를 형성시키게 되는 무늬돌출부재홈(58)을 가지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금형장치 중 상부펀치가 돌출된 작동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금형장치 중 하부펀치가 상부펀치에 의해 하부본체로 삽입된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동과정을 도 9와 도 10을 중심으로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고, 도 3과 도 5를 중심으로 제 2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먼저 제 1실시예는 신화 제조 프레스의 하부(50) 위에 펀칭하고자 하는 종이(미도시)가 올려져있고, 하부(50)의 대향하는 면에 상부(10)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유압장치(미도시)가 상기 상부(10)를 이동시키고, 상부(10)는 상기 하부(50)의 하부본체(52)와 접촉할 때까지 이동하며, 이 과정에서 종이를 펀칭하게 된다. 그리고, 펀칭된 종이를 다음과정을 위한 프레스의 하부에 올리고, 상술한 과정과 동일하게 유압장치를 통해 상부(10)의 무늬돌출부재(18)가 종이에 압력을 가하며 무늬돌출부재홈(58)에 안착되면, 압력에 의해 종이에 무늬가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제 2 실시예는 신화 제조 프레스의 하부(50) 위에 펀칭하고자 하는 종이(미도시)가 올려져있고, 하부(50)의 대향하는 면에 상부(10)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유압장치(미도시)가 상기 상부(10)를 이동시키고, 상부(10)는 상기 하부(50)의 하부본체(52)와 접촉할 때까지 이동하게된다. 상부(10)의 누름부재(16)는 상기 접촉과정에서 가장 먼저 종이(미도시)와 접촉하며, 종이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하부(50)의 스프링(59)에 의해 상부(10)와 하부(50)가 접촉하며 발생되는 충격이 감소된다.
이후 상부(10)의 상부펀치(12)는 유압장치(미도시)에 의해 하부펀치(52)쪽으로 계속해서 슬라이딩되고, 상기 하부펀치(52)는 상부펀치(12)에 의해 슬라이딩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상부펀치(12)는 누름부재(16)에 의해 고정된 종이를 절단하며 이동하게 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술한 과정에 의해 종이(미도시)의 절단이 끝나면 하부펀치(52)는 도 8의 상태가 되어있고, 유압장치(미도시)에 의해 상부펀치(12)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서 하부펀치(52)는 탄성부재(56)에 의해 원 위치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상부펀치(12)가 종이(미도시)를 절단하는 과정 중에, 상부펀치(12)의 무늬돌출부재(18)는 종이(미도시)에 압력을 가해 무늬를 형성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이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할 것이나, 이러한 변화와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첨부된 청구범위를 통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신화 제조 프레스는 얇은 종이를 펀칭하고 무늬를 가공하는데 있어서, 상부펀치와 하부펀치가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며 종이를 펀칭하고 무늬를 가공하기 때문에 얇은 종이를 가공하면서 발생하는 종이의 찢어짐을 예방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고, 종래의 수작업을 통해 제작되던 신화를 자동화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수작업으로 신화를 제조하기 때문에 단순한 모양을 갖게 되지만, 자동화 공정을 통해 제작되는 신화는 금형의 모양에 따라 복잡한 형태를 띄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종이를 직접 펀칭하는 제 1 금형 어셈블리와, 상기 제 1금형 어셈블리에 의해 펀칭된 종이에 무늬를 형성시키기 위한 제 2 금형 어셈블리를 가지고 있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형 어셈블리는 종이를 눌러서 펀칭하는 상부와, 상기 종이를 받치고 있다가 상기 상부의 이동에 맞추어 연동하는 하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금형 어셈블리 상부는 상기 유압장치에 의해 이동하는 상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에 삽입되어져 상기 유압장치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상부펀치를 가지고,
    상기 제 1 금형 어셈블리 하부는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에 삽입되어져 상기 상부펀치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하부펀치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 2 금형 어셈블리는 종이의 상부에 위치하며, 종이를 눌러서 무늬를 형성시키는 무늬돌출부재와;
    종이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무늬돌출부재를 지지하여 종이를 압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무늬돌출부재가 안착하는 무늬돌출부재홈
    을 가지고 있는 금형장치
  2. 종이를 눌러서 펀칭하는 상부와, 상기 종이를 받치고 있다가 상기 상부의 이동에 맞추어 연동하는 하부를 가지고 있는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는 상기 유압장치에 의해 이동하는 상부본체와; 상기 상부본체에 삽입되어져 상기 유압장치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상부펀치를 가지고,
    상기 하부는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에 삽입되어져 상기 상부펀치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하부펀치를 가지고,
    상기 상부펀치는 상기 하부에 올려진 종이를 눌려서 고정시키는 누름부재와; 상기 종이에 무늬를 형성시키는 무늬돌출부재
    를 가지는 금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펀치는 상기 상부펀치와 쌍을 이루며 상기 무늬돌출부재가 삽입되는 무늬돌출부재홈을 가지는 금형장치
KR1020030000322A 2003-01-03 2003-01-03 신화제조 금형장치 KR200400627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322A KR20040062796A (ko) 2003-01-03 2003-01-03 신화제조 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322A KR20040062796A (ko) 2003-01-03 2003-01-03 신화제조 금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150U Division KR200309709Y1 (ko) 2003-01-03 2003-01-03 신화제조 금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2796A true KR20040062796A (ko) 2004-07-09

Family

ID=37353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0322A KR20040062796A (ko) 2003-01-03 2003-01-03 신화제조 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27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56982A (zh) * 2014-09-17 2015-01-07 慈利县贵海丝花厂 一种仿真花枝模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56982A (zh) * 2014-09-17 2015-01-07 慈利县贵海丝花厂 一种仿真花枝模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205357A (ja) プレス用金型
JP2015174113A (ja) プレス装置
EP1946862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ring-shaped member
KR101080154B1 (ko) 펀칭금형 기구
JPH1177176A (ja) エンボス成形加工方法及びエンボス成形金型
KR200309709Y1 (ko) 신화제조 금형장치
KR20040062796A (ko) 신화제조 금형장치
JP4129621B2 (ja) プレス金型
KR20200033528A (ko) 전철 창틀 성형방법
CN217492368U (zh) 上翻折弯冲孔同步双动机构
US2148906A (en) Tool for the manufacture of container caps of sheet metal
JP3121691B2 (ja) プレス金型
CN213002164U (zh) 一种服务器侧板零件的正反面拉伸成型模具
JP2002331318A (ja) 皿ばね製造用金型
KR890005271Y1 (ko) 롤 펀치를 이용한 밴딩장치
KR20020053914A (ko) 오픈 드로우형 펀치 프레스 장치
KR960002106B1 (ko) 프레스금형의 컨텍홀더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N219817714U (zh) 一种用于电子盖板的全自动智能模具
JP2004098128A (ja) パンチプレスにおける曲げ方法及びその金型
JPH10263897A (ja) 加工用金型
CN215237248U (zh) 一种冲压设备下模座及冲压设备
JPS62270226A (ja) 絞り型による成形方法
JPH0622504Y2 (ja) ピアス金型装置
JP2002248524A (ja) 順送り金型
JPS6011574B2 (ja) プレ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