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2419A - 화상 정보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정보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2419A
KR20040062419A KR10-2003-7008563A KR20037008563A KR20040062419A KR 20040062419 A KR20040062419 A KR 20040062419A KR 20037008563 A KR20037008563 A KR 20037008563A KR 20040062419 A KR20040062419 A KR 20040062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image information
mov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8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9618B1 (ko
Inventor
마사노리 이데사와
미야자끼에이지
후지따도요미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2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2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6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10Geometric effects
    • G06T15/20Perspective comput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4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displaying different signs depending upon the view-point of the observ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ming an image using a quickly moving array of imaging elements, causing the human eye to perceive an image which has a larger resolution than the array, e.g. an image on a cylinder formed by a rotating line of LEDs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for rolling or scrolling
    • G09G5/34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for rolling or scrolling for systems having a bit-mapped display 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75Image signal generators from 3D object models, e.g. computer-generated stereoscopic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나 이동체용 컴퓨터에 구비되고 있는 소형의 표시부를 이용한 경우에도, 큰 화상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화상 정보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관찰자(사용자)(122)가 비교적 작은 표시 프레임(디스플레이)(123)을 구비한 화상 정보 표시 장치(124)를 이용하여, 비교적 큰 화상(121)의 인식을 행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관찰자(122)가 손(126)을 이동시키면, 그 이동에 기초하여, 표시 프레임(123)에 표시되는 화상의 부분 영역(125)이 능동적으로 변화한다. 이에 의해, 비교적 큰 화상(121)의 전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수의 움직임과 표시 화상(화상의 부분 영역(125))이 움직임을 일치시킴으로써, 큰 화상(121)의 인식이 용이하게 된다. 이것은 인간의 지각 특성에 기초하고 있다.

Description

화상 정보 표시 장치{IMAGE INFORMATION DISPLAYING DEVICE}
휴대 전화기나 이동체용 컴퓨터와 같은 소형의 정보 처리 장치는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소형의 장치도, 화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 많다. 예를 들면, 최근의 휴대 전화기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얻은 각종 화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 있다.
소형의 장치에 있어서 표시의 대상이 되는 화상도, 화상 처리용 하드웨어의 처리 속도의 향상이나 각종 통신 속도의 고속화에 수반하여, 대용량화되고 있다. 거치형 컴퓨터와 같이 비교적 대화면의 표시 장치를 구비한 장치에서는, 큰 화면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정밀한 화상을 한 번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런데, 휴대 전화기나 이동체용 컴퓨터와 같은 소형의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 소형의 표시 화면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대용량의 화상인 경우에는 이를 한 번에 표시할 수 없다. 물론, 해상도를 낮추면 표시 가능하지만, 그러면 정보로서의 가치가 손상된다.
큰 화상을 복수의 소 영역의 화상으로 분할하여, 이들을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소형의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방법이나, 두루마리를 감아 빼내면서 읽어 가도록 화상 정보를 표시 장치측이 일방적으로 스크롤하여 표시하는 방법이 종래부터 행해지고 있다. 후자에 대해서는, 일본 특개평7-13554호 공보에도 마찬가지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전자의 경우에는 바둑판의 눈과 같이 구분한 소 영역이 1개씩 순서대로 표시되기 때문에, 소 영역끼리의 관련을 취하기 어렵고, 전체적인 구조를 파악하기 어렵다. 또한, 소 영역의 구분이 잘 되지 않는 경우에는 긴요한 정보가 분할되어 별개의 표시 위치에 표시되게 되어, 이 의미라도 화상 전체의 구조를 이해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큰 화상을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스크롤시키기 때문에 경계 위치가 분할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화상이 일방적으로 흘러 가기 때문에, 현재 표시하고 있는 위치가 전체 화상의 어느 위치인지를 인식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동일한 위치를 재차 표시하고자 해도 그 위치를 좀처럼 찾아낼 수 없다.
따라서, 큰 화상 중에 그 일부의 화상을 볼 수 있는 프레임을 설정하여, 이 프레임을 자신의 의사로 스크롤하도록 한 화상 정보 표시 장치가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0-29568호 공보에서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정보 기기의 배면에 트랙볼을 부착하여, 이 휴대 정보 기기를 책상에서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이동에 따라 화상이 표시되는 프레임을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도록 하고 있다. 일본 특개평8-263205호 공보에서도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배면에,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을 검지하는 검출용 볼을 배치하고 있으며,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책상에서 이동시키면 이에 따른 부분 화상이 이 단말기의 상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일본 특개평5-241731호 공보에는 장치 본체의 배면으로 이동 검출기나 회전 검출기를 배치하여 이동량이나 이동 방향 또는 회전을 검출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8-314629호 공보에서는 디스플레이를 배치한 평판 형상의 케이싱의 배면에 책상에서의 이동 방향을 검지하는 볼을 마찬가지로 부착하거나, 케이싱의 상면에 트랙볼을 부착하고 있다. 이에 의해, 책상에서의 케이싱의 움직임이나 케이싱을 책상에 고정하였을 때의 손의 움직임에 따라 화상을 스크롤하도록 하고 있다. 책상에 배치한 케이싱 상에 설치된 방향 키 등을 조작함으로써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상을 스크롤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일본 특개평7-271505호 공보에도 개시가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를 배치한 케이싱을 책상에서 움직이거나, 케이싱 자체를 책상에 고정하여 케이싱에 부착된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동시켜 큰 화상 중의 원하는 화상 부분을 표시하고자 하는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1) 장치의 배치를 위해서 책상 또는 조작에 적합한 어느 정도의 높이를 가진 테이블 등의 평면을 필요로 하였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나 휴대에 적합한 경량의 정보 단말기를 갖고 다닐 때에는 큰 화상의 일부를 스크롤하면서 표시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2) 다음으로, 책상에서 조작한다고 하는 점에 대해서는, 큰 지도를 책상 위에 접착하여 그 일부를 확대경으로 보는 경우와 유사하다. 따라서, 케이싱의 배면에 볼을 배치하여 이것을 책상에서 움직임으로써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화상을 이동해 가는 방법은 종래의 화상을 표시한 종이를 사용하는 방법과 유사하며, 알기 쉽다. 그러나, 한편으로 종래와 마찬가지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즉, 책상 위에서 이들 케이싱을 이동시키면서 이들 케이싱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서 화상을 관찰하도록 하면, 책상 앞의 개소에서는 화상을 보기 쉽지만, 큰 화상의 끝 부분을 디스플레이에서 보고자 해도 케이싱이 관찰자의 눈의 위치로부터 떨어진 위치까지 이동하기 위해서 이것을 잘 관찰할 수 없다. 화면은 관찰자가 그 수직 방향으로부터 보면 보기 쉽다. 그러나, 책상의 깊이측까지 표시면이 이동하면,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는 화상이 보이지 않게 되거나, 화면의 표면의 투명 재료의 부분이 반사하여 화상을 보기 어렵게 되는 등의 현상도 발생하였다.
일본 특개2000-66802호 공보에서는 책상의 위에 수직으로 가상 화면을 배치하여, 자유로운 아암의 앞에 액정 표시기를 배치하여, 가상 화면의 각각의 위치에 표시기를 이동시킴으로써 대응하는 화상 부분을 표시하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에서도 마찬가지로 가상 화면이 커지면, 이동한 액정 표시기의 위치에 의해서는 몸을 위 방향 또는 좌우로 해서 보지 않으면 화상을 잘 볼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액정 표시기를 자유로운 아암의 앞에 부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장치가 대형화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별한 장치를 배치한 책상이라는 장소에서만 큰 화상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책상 위에서 케이싱을 이동시키는 경우보다 발명이 적용되는 장소가 더욱 한정된다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전화기나 이동체용 컴퓨터와 같은 표시부가 소형인 장치를 사용하여, 어디에서나 큰 화상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화상 정보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발명의 개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가)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크기의 소정의 케이싱과, (나) 이 케이싱에 내장되어 화상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와, (다) 케이싱의 공간적인 이동을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와, (라) 표시부에 한 번에 표시할 수 있는 화상 사이즈보다 큰 화상 사이즈의 화상 정보를 기억하는 화상 정보 기억부와, (마) 이 화상 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화상 정보로부터 한 번에 표시할 수 있는 표시 범위의 부분 화상 정보를 선택하여 표시부에 표시용으로 출력하는 표시 화상 범위 선택부와, (바) 위치 검출부가 검출한 이동 방향으로 표시 화상 범위 선택부가 선택한 화상을 이동시키는 부분 화상 정보 선택 제어부를 화상 정보 표시 장치에 구비시킨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크기의 소정의 케이싱에 그 공간적인 이동을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배치함과 함께, 표시부와, 표시부에 한 번에 표시할 수 있는 화상 사이즈보다 큰 화상 사이즈의 화상 정보를 기억하는 화상 정보 기억부를 배치하고 있다. 표시부에 한 번에 표시할 수 있는 화상 사이즈보다 큰 화상 사이즈의 화상 정보는 표시 화상 범위 선택부에 의해 한 번에 표시할 수 있는 표시 범위의 부분 화상 정보가 선택되어 표시되게 되지만, 부분 화상 정보 선택 제어부를 이용함으로써, 위치 검출부가 검출한 이동 방향으로 표시 화상 범위 선택부가 선택한 화상을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케이싱을,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능동적으로 이것을 관찰 공간 속에서 이동시키면, 각각 이동된 위치에 따라 표시되는 부분 화상 정보가 이동하기 때문에, 큰 화상 전체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화상 정보 표시 장치에서, 위치 검출부는 케이싱의 공간적인 이동을 2차원적인 이동으로 치환하여 이동을 검출하고, 부분 화상 정보 선택 제어부는 이 치환된 2차원적인 이동에 대응하여 표시 화상 범위 선택부가 선택한 화상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화상 정보 표시 장치에서, 위치 검출부는 케이싱의 공간적인 이동을 2차원적인 이동으로 치환하여 이동을 검출하는 경우를 다루고 있다. 이 경우에는 부분 화상 정보 선택 제어부는 이 치환된 2차원적인 이동에 대응하여 표시 화상 범위 선택부가 선택한 화상 정보를 2차원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케이싱을 손으로 좌우로 이동시키면 표시되는 화상 정보도 좌우로 이동한 화상이 되지만, 표시부가 눈에 가까워지도록 케이싱을 이동시켜도, 이 3차원적인 이동(XY 평면에 수직인 Z축 방향의 이동)에서는 표시부 상의 화상은 이동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표시부가 눈에 가까워짐에 따른 자연스러운 확대 화상을 관찰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화상 정보 표시 장치에서, 위치 검출부는 케이싱의 공간적인 이동을 3차원적인 이동으로 치환하여 이동을검출하고, 부분 화상 정보 선택 제어부는 이 치환된 3차원적인 이동에 대응하여 표시 화상 범위 선택부가 선택한 화상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화상 정보 표시 장치에서, 위치 검출부는 케이싱의 공간적인 이동을 3차원적인 이동으로 치환하여 이동을 검출하는 경우를 다루고 있다. 이 경우에는 부분 화상 정보 선택 제어부는 이 치환된 3차원적인 이동에 대응하여 표시 화상 범위 선택부가 선택한 화상을 3차원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케이싱을 손으로 좌우로 이동시키면 표시되는 화상 정보도 좌우로 이동한 화상이 되지만, 표시부가 눈에 가까워지도록 케이싱을 이동시키면, 이 3차원적인 이동(XY 평면에 수직인 Z축 방향의 이동)으로 높이 또는 깊이 방향으로 화상이 이동한다. 화상 정보 표시 장치를 수평으로 갖고 있던 것을 수직으로 함으로써 Z축 방향으로의 전환을 행하여, 이에 따라 Z축 방향의 이동을 실현하도록 하면 2차원의 위치 검출부를 사용하여 3차원의 이동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예를 들면 건물의 각층의 구조나 뇌의 단면의 해석 등을 용이하게, 직감적인 조작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화상 정보 표시 장치에서, 화상 정보 기억부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운로드한 화상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화상 정보 기억부에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화상 정보를 다운로드해도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통상의 거치형 컴퓨터를 전제로 한 각종 화상 정보를 화상 정보 기억부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화상 정보 표시 장치를 능동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작은 표시부에도 관계없이 비교적 큰 화상을 양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정보의 제공측에서는 통상의 거치형 컴퓨터용과 휴대 전화기 등의 작은 표시 화면의 화상 정보 표시 장치용의 2계통의 화상 정보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휴대 전화기 등의 작은 표시 화면의 화상 정보 표시 장치용으로 화상을 준비했을 때에 생기는 해상도의 열화라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화상 정보 표시 장치에서, 상기 부분 화상 정보 선택 제어부는 화상 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화상 정보의 일부를 표시부에 추출하여 표시할 때의 표시 프레임의 기준이 되는 원점의 좌표를 등록하는 원점 좌표 데이터 등록부와, 위치 검출부가 검출한 케이싱의 공간적인 이동 방향 및 이동량에 대응시켜 원점의 좌표를 순차적으로 변경함으로써 표시 프레임에서 정해지는 부분 화상의 표시 범위를 표시 화상 범위 선택부에서 순차적으로 선택시키는 선택 지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부분 화상 정보 선택 제어부가, 위치 검출부가 검출한 케이싱의 공간적인 이동량에 상당하여 이동된 원점에 기초하여, 표시부에 한 번에 표시할 수 있는 화상 사이즈의 부분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5에 기재된 화상 정보 표시 장치에서, 위치 검출부가 순차적으로 검출하는 케이싱의 공간적인 이동을 원점 좌표 데이터 등록부의 등록 내용에 반영시키는지를 온·오프 설정하는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5에 기재된 화상 정보 표시 장치에서, 스위치를 표시에 반영하지 않는 측에 선택한 상태에서 케이싱을 움직이고, 표시에 반영하는 측에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의 팔의 이동 조작에 의해 표시 가능한 화상 정보의 주위의 화상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 조작으로 표시할 수 있는 영역 내에 인입한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주목하는 부분이 관찰하기 쉬워지도록 이동 조작 가능한 영역의 중앙부에 이것을 시프트시킬 수도 있게 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화상 정보 표시 장치에서, 위치 검출부는 가속도 센서이고, 케이싱의 공간적인 이동이 개시되고 나서 정지한 후, 다시 이동이 개시되기까지의 이동 정지 기간을 판별하는 이동 정지 기간 판별부와, 이 이동 정지 기간 판별부에 의해 판별된 이동 정지 기간에 있어서의 케이싱의 공간적인 이동량을 제로로 하는 이동량 보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화상 정보 표시 장치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생기는 위치 검출부의 외관상의 이동을 무시하는 것을 다루고 있다. 가속도 센서를 위치 검출부로서 사용하였을 때에는 센서의 특질상 미묘한 이동이라고 간주할 수 있는 출력이 계측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 정지 기간을 판별하여 이 기간의 이동량을 제로로 하는 것이다. 다른 위치 검출부도 마찬가지의 보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손 흔들림 등에 의한위치의 이동을 무시하는 조치도 마찬가지로 유효하다.
청구항 8에 기재된 화상 정보 표시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것에서, 상기 화상 정보 기억부를, 컴퓨터에서 메모리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9에 기재된 화상 정보 표시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것에서, 상기 표시 화상 범위 선택부를, 컴퓨터에서의 CPU 및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기능에 의해 실현한 것이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화상 정보 표시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것에서, 상기 부분 화상 정보 선택 제어부를, 컴퓨터에서의 CPU 및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기능에 의해 실현한 것이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화상 정보 표시 장치는,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크기의 케이싱과,
이 케이싱에 내장되어 화상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와,
상기 케이싱의 공간적인 이동을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와,
입체 모델 정보가 저장된 입체 모델 정보 저장부와,
상기 위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케이싱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시점을 변동시키고, 변동된 시점에 기초하는 2차원 화상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2차원 화상 정보 출력부와,
상기 2차원 화상 정보 중, 상기 표시부에 한 번에 표시할 수 있는 표시 범위의 부분 화상 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용으로 출력하는 표시 화상 범위 선택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화상 정보 표시 장치는, 청구항 11에 기재된 것에서, 상기 2차원 화상 정보 출력부를, 입체적으로 보기 위한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표시부를, 「상기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표시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상의 표시를 행하기 위한 화상 정보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 표시 장치는 데이터량이 비교적 큰 화상을, 비교적 작은 화면으로 표시하는 데 적합한 화상 정보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화상 정보 표시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의 화상 정보 표시 장치의 원리적인 동작을 도시한 설명도.
도 3은 눈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와 운동과의 관계를 인간의 대뇌에 대하여 도시한 설명도.
도 4는 시각계 정보 처리와 운동계 출력의 계층 구조와의 상호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본 실시예의 화상 정보 표시 장치의 회로 구성의 개요를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실시예의 화상 정보 표시 장치를 사용한 화상 정보의 통신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
도 7은 본 실시예의 화상 정보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여 원하는 지도를 다운로드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 흐름도.
도 8은 본 실시예에서 비교적 큰 사이즈의 화상을 화상 정보 표시 장치로 표시하는 경우의 표시 제어의 모습을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본 실시예에서 화상 정보의 타이틀의 일람이 표시된 액정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실시예에서 화상의 이동 제어와 표시를 행하는 회로 부분을 나타낸 블록도.
도 11은 본 실시예에서 위치 검출 센서에 의한 이동 검출의 일례를 X 좌표 방향을 예로 들어 도시한 특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주요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3은 입체적으로 보기 위한 두 개의 화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이용되는 표시부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4의 (a)는 사시도, 도 14의 (b)는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이용되는 표시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입체 형상의 표시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정보 표시 장치의 외관을 도 1에 도시한다. 이 휴대 전화기형의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는 케이싱으로서의 장치 본체(102)의 상부에 신축 가능한 안테나(103)를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장치 본체(102)의 전면에는 표시부로서의 액정 디스플레이(104)가 조립되어 있다. 장치 본체(102)의 전면의 최상부에는 스피커(105)가 배치되어 있으며, 최하부에는 마이크로폰(106)이 배치되어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104)와 마이크로폰(106) 사이에는 각종 버튼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조작부(107)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부(107)의 하측에는 모드 전환 스위치(108)가 설치되어 있다. 이 모드 전환 스위치(108)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큰 사이즈의 화상을 시프트시킬 때 등의 소정의 경우에 사용하는 스위치이다. 물론, 조작부(107)를 구성하는 기존의 스위치 중의 하나에 이 모드 전환 스위치(108)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게 하도록 해도 된다.
장치 본체(102)의 내부에는 위치 검출부로서의 위치 검출 센서(109)가 내장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위치 검출 센서(109)로서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고 있다. 가속도 센서는 사용자(도시 생략)가 이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를 손에 가진 상태에서 공간을 이동시켰을 때, 2축 방향 또는 3축 방향의 가속도를 검지하는 소자로서, 에어백이나 게임 장치의 컨트롤러 등에 사용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위치 검출 센서(109)는 2축 방향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고 있으며, 장치 본체(102)에 가해지는 가속도의 세로 방향 성분 및 가로 방향 성분을 검지하여, 각각의 성분마다 시간 적분 연산을 행하여 속도 성분과 변위 성분을 산출하도록 되어 있다. 단, 본 실시예의 위치 검출 센서(109)로서는 속도 성분과 변위 성분 중 어느 하나만을 산출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는 큰 사이즈의 화상을 이보다 작은 화상 프레임으로서의 액정 디스플레이(104)를 이용하여 관찰할 때, 위치 검출 센서(109)의 산출 결과를 사용하여,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을 장치 본체(102)의 이동에 따라 변화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의 원리적인 동작을, 도 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도면을 간략화하고 있기 때문에, 이용하는 부호를 변경하고 있다. 우선, 다음의 가정을 한다.
(1) 미지의 비교적 큰 화상(121)이 존재한다.
(2) 관찰자(사용자)(122)는 비교적 작은 표시 프레임(디스플레이)(123)을 구비한 장치(124)를 이용하여 화상의 인식을 행한다.
이 상황에서는 관찰자(122)는 표시 프레임(123)에 표시된 화상의 부분 영역(125)만 한 번에 볼 수 있다. 관찰자(122)가 그 손(126)을 이동시킴으로써 표시 프레임(123)에 표시되는 화상의 부분 영역(125)을 변화시켜 가면, 이윽고 그 비교적 큰 화상(121)의 전체를 파악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화상은 「코끼리」의 그림이지만, 화상으로서는 지도나 사진 등의 각종 화상이어도 된다. 화상의 부분 영역(125)을 순차적으로 변화시켜, 비교적 큰 화상(121)의 실제를 지각하기 위해서는 시각계뿐만 아니라 손의 움직임 등의 운동계가 깊이 관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이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인간의 대뇌에 있어서의, 눈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와 운동과의 관계를, 도 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안구(131)로부터 얻어진 화상 정보는 대뇌에 전달되어, 1차 시각야(132)에서 선소나 색이 인식되고, 시각 연합야(133)에서 선, 형, 색의 넓이가 인식된다. 두정 연합야(134)에서는 위치나 크기가 인식되고, 측두 연합야(135)에서는 색을 수반한 형이 인식된다. 한편, 운동 연합야(136)에서는 운동의 입안이 행해지고, 운동야(137)에서는 이에 기초한 운동의 명령이 행해진다.전두 연합야(138)에서는 의도가 형성된다.
도 2에 도시한 미지의 비교적 큰 화상(121)을 인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두 연합야(138)에서 그를 위한 사고 활동이 행해지고, 운동 연합야(136)에서 손(126)을 이동시킴으로써 운동 계획이 세워지고, 운동야(137)에서 운동의 명령이 행해진다. 안구(131)는 이 명령에 기초한 손(126)의 움직임에 따른 화상 정보의 변화를 캐치한다. 1차 시각야(132), 측두 연합야(135), 두정 연합야(134)에 의한 인식 활동은 화상 정보의 변화와 손(126)의 위치 정보를 관련지으면서 행해진다.
도 4는 이러한 시각계 정보 처리와 운동계 출력의 계층 구조와의 상호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시각과 운동의 계층의 상층 부분에서는 상호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화상(121)의 효율적인 인식을 행할 수 있는 활동을 하고 있다. 이 전제가 되는 것은 관찰자(122)가 화상(121)의 인식에 운동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관찰자(122)는 그 지각 공간 내에서, 인식해야 할 대상물로서의 화상(121)의 기하학적인 위치 관계를 보존하고 있어, 순차적으로 제시된 화상의 부분 영역(125)을 뇌 안에서 조합하여 통합하고 있다. 이 때의 통합을 위한 위치 관계의 파악에 관찰자(122)의 능동적이고 자유로운 손이나 팔의 움직임이 깊이 관련되어 있다. 운동야(137)의 명령에 의해 근육(139)이 움직이고, 외부 환경(140)에 적응한다. 외부 환경(140)의 변화는 안구(131)가 캐치하여 1차 시각야(132) 등에 의한 인식이 행해진다. 측두 연합야(135)와 운동 연합야(136) 및 두정 연합야(134)와 전두 연합야(138)의 각각의 계층 사이에서 시각계와 운동계의 정보 처리가 제휴되어 있다.
도 2로 되돌아가 시각계와 운동계의 제휴를 설명한다. 도 2에서는 관찰자(122)가 손(126)을 능동적으로 움직이고, 이에 따른 위치의 변화의 경험적인 데이터와 도 3에 도시한 안구(131)로부터 얻어지는 화상 정보를 이용하여 지각 공간(141) 내에 화상(121)의 인식 결과를 그려낸다. 이러한 시각계와 운동계의 협동은, 예를 들면 테니스로 라켓을 흔들어 볼을 치는 것을 이미지하면서 연습을 행하는 이미지 트레이닝 시의 뇌각부의 활동 상태의 관측에 있어서 확인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서는 인간의 감각계를 수동적인 것으로서 파악하는 사고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사고 방식에서는 관찰자(122)가 손(126)을 능동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타인이 표시 프레임(123)을 일방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 경우, 관찰자(122)는 단지 정위치에 존재하는 표시 프레임(123) 중에 표시되는 부분 화상의 변화를 쫓아가면 된다. 극단적인 경우에는 표시 제어를 연구하면 안구(131)(도 3)를 움직일 필요도 없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수동적인 방법을 채택하면, 몸의 각부를 움직이지 않아도 되는 반면, 운동계가 정지한 것과 마찬가지의 상태 아래에서 시각계가 부분 화상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또한 그것이 동화상이라면 몰라도 정지 화상인 경우도 그렇다고 하는 현실의 세계에서는 있을 수 없는 현상에 조우한다. 이에 따라 운동계와 지각계의 언밸런스가 생긴다. 이 결과, 시각계가 얻은 정보가 운동계가 얻은 정보에 의해 교란되게 되어, 지각 공간(141) 내에 화상(121)의 인식 결과를 그려내는 데 많은 불필요한 시간을 소모하게 된다.
인간의 감각계를 수동적인 것으로 하는 종래의 사고 방식에 대하여, 이미 설명한 일본 특개2000-29568호 공보 등의 많은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디스플레이를 조립한 장치 본체의 배면에 볼을 부착하고 있으며, 책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장치 본체의 이동에 연동시켜 부분 화상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들 기술이 관찰자(122)를 수동적인 것으로부터 능동적인 것으로 변화시켰다고 해도, 이들 기술은 시각계와 운동계를 연동시킨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수평에 배치된 책상의 면은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져, 머리 내에 형성되는 지각 공간(141)을 책상의 앞과 가운데 및 좌우 방향이라는 고정적인 위치 관계로 강제적으로 치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 특개2000-66802호 공보에 기재된 책상과 수직인 면을 가상 화면으로 하는 것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디스플레이를 조립한 장치 본체의 상면에 트랙볼을 배치하여 손으로 이것을 회전시키는 것도 완전히 마찬가지이다.
도 1에 도시한 본 실시예의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에서는 관찰자(사용자)(122)가 이것을 가진 통상의 사용 형태로 장치 본체(102)를 이동시킴으로써, 화상(121)이 2차원의 것이면 그 이동 방향과 이동량에 따른 부분 화상을 액정 디스플레이(104)에 순차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또한, 2차원 화상인 경우에는 액정 디스플레이(104)를 사용자(122)의 눈에 가까이 해도 부분 화상의 사이즈(축배율) 자체는 변화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사진을 손에 갖고 있다고 해서, 그것을 크게 보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진 자체를 눈에 가까이 하는 것으로, 사진 그 자체의 화상이 확대되는 것이 아닌 것과 마찬가지이다. 즉, 화상(121)이 2차원의 것인 경우에는 위치 검출 센서(109)는 사용자에 의한 장치 본체(102)의 이동을, 화상(121)과 평행한 2차원 평면에서의 이동(방향 및 크기를 갖는 양)으로서 검출한다. 그리고, 이동에 대응하는 부분 화상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정디스플레이(104)에 표시된다. 이러한, 이동에 따른 부분 화상의 변경을,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의 이동」이라고 하고 있다.
도 5는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는 CPU(중앙 처리 장치)(151)를 탑재하고 있다. CPU(151)는 데이터 버스 등의 버스(152)를 통하여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 내의 각부와 접속되어 있다. 이 중 ROM(154)은 이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의 각부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의 고정적인 데이터를 저장한 리드 온리 메모리이다. RAM(155)은 비교적 대용량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로서,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필요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작업 메모리로서의 메모리 영역 외에, 화상 정보를 다운로드하는 다운로드용 메모리 영역이나 다운로드한 화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 전개하는 표시 메모리 영역을 갖고 있다. 다운로드용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는 화상 정보는 소정의 포맷으로 압축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무선 송수신부(156)는 안테나(103)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표시 제어부(157)는 액정 디스플레이(104)의 표시 제어를 행하게 되어 있다. 음성 제어부(158)는 스피커(105) 및 마이크로폰(106)과 접속되어 있으며, 음성의 입출력과 음성 신호의 증폭 등을 행하게 되어 있다. 데이터 입출력부(159)는 조작부(107), 모드 전환 스위치(108) 및 위치 검출 센서(109)와 접속되어 있으며, 버튼 스위치의 누름 정보나 2축의 가속도 정보를 입력하는 것 외에, 조작부(107) 및 모드 전환 스위치(108)에 대해서는 이들 버튼 스위치의 점등 표시 제어를 행하게 되어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화상 정보 표시 장치를 사용한 화상 정보의 통신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낸 것이다. 이 통신 시스템으로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는 기지국(171)을 통하여 휴대 전화망(172)과 접속되고, 도시하지 않은 다른 휴대형의 전화기 또는 고정식의 전화기와 통신을 행할 수 있다. 휴대 전화망(172)은 인터넷망과도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실시예의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는 인터넷망(173)에 접속된 각종 서버(1741∼174N)에 액세스하여, 각종 콘텐츠를 취득할 수 있다. 이 점은 인터넷망(173)에 접속된 거치형 퍼스널 컴퓨터(175)와 동일한 환경에 있다.
단,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거치형 퍼스널 컴퓨터(175)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로서 각종 사이즈의 것이 나돌고 있으며, 이들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사용하거나 화면의 해상도를 조정함으로써 비교적 큰 사이즈의 화상 정보를 하나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본 실시예의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와 같은 휴대 전화기나 휴대형 퍼스널 컴퓨터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의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서버(1741∼174N) 중 어느 하나로부터 비교적 큰 사이즈의 화상 정보를 취득하면, 이것을 볼 때에 표시 상의 고안을 필요로 하게 된다. 비교적 큰 화상 정보로서 지도를 다운로드하여, 이것을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에서 표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이 표시 상의 고안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화상 정보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여 원하는 지도를 다운로드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처리는도 5에 도시한 CPU(151)가 ROM(154)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한다. 사용자가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의 전원을 투입하거나, 도 1에 도시한 조작부(107)의 도시하지 않은 메뉴 선택 버튼을 누르면 액정 디스플레이(104)에는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단계 S201). 이 메뉴 화면에는 이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에서 행할 수 있는 각종 처리가 복수의 항목으로 분리되어 표시되고 있다. 사용자는 인터넷에 접속하기 때문에 「인터넷 접속」이라는 항목을 선택한다(단계 S202:Y). 이에 의해, 각종 홈페이지를 항목별로 표시한 메뉴 화면이 액정 디스플레이(104)에 표시된다(단계 S203). 또, 단계 S201에서 「인터넷 접속」 이외의 다른 항목을 선택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전화번호부의 등록 등의 다른 항목을 실행하는 화면으로 이행하게 된다. 또한, 미리 정해진 홈페이지 상에서 원하는 하나를 선택하는 대신에, 사용자가 액세스하고자 하는 홈페이지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를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하도록 해도 된다.
사용자가 단계 S203에서 각종 홈페이지 상에서 지도의 다운로드를 행할 수 있는 항목을 선택한 것으로 한다(단계 S204:Y). 그러면 액정 디스플레이(104)에는 지도 선택 메뉴가 표시된다(단계 S205). 그 중에서 사용자가, 예를 들면 쵸우후시를 선택한 것으로 한다(단계 S206:Y). 해당하는 서버로서의 지도 서버(174N)는 쵸우후시의 전체 또는 특정 지구 선택하기 위한 선택 메뉴에 관한 정보를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에 전송하고, CPU(151) 및 표시 제어부(157)는 액정 디스플레이(104)에 이것을 표시한다(단계 S207). 사용자가 쵸우후시의 D 대학의구내 지도를 다운로드하고자 생각했었다면, 「D 대학」이라는 항목을 선택한다(단계 S208:Y).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그 다운로드를 선택하면(단계 S209:Y), 「D 대학」의 지도의 다운로드가 실행된다(단계 S210). 또, 액정 디스플레이(104)에는 다운로드 시에 다운로드하는 데이터의 사이즈 선택과, 각각의 사이즈의 지도 데이터의 다운로드에 필요한 시간과 통화료 등의 요금의 표시가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지도 데이터는 도 6에 도시하는 지도 서버(174N)로부터 인터넷망(173), 휴대 전화망(172) 및 기지국(171)을 경유하여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에 도달하여, RAM(155)의 상기한 다운로드용 메모리 영역에 압축되어 전송되어 온 그대로의 상태로 저장된다.
도 8은 다운로드한 지도 등의 비교적 큰 사이즈의 화상을 화상 정보 표시 장치로 표시하는 경우의 표시 제어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의 단계 S201에서 메뉴 화면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이 경우에 「다운로드 화상」의 항목을 선택한다(단계 S231:Y). 이에 따라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에 다운로드한 화상 정보의 타이틀의 일람이 액정 디스플레이(104)에 표시된다(단계 S232).
도 9는 화상 정보의 타이틀의 일람이 표시된 액정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104)에는 「다운로드 화상 일람」으로서 사용자가 RAM(155)의 다운로드용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 있는 다운로드 화상의 타이틀의 일람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모드 전환 스위치(108)(도 1 참조)를 누른 상태에서 조작부(107)의 도시하지 않은 텐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번호를 입력하면, 해당하는 번호의 다운로드한 화상 정보가 액정 디스플레이(104)의 표시 프레임에 대응한 축소 표시로 표시된다. 이에 대하여 번호만을 입력한 경우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통상 표시가 행해진다. 조작부(107)의 도시하지 않은 특수 버튼 스위치로서의 「D」 버튼 스위치와 번호를 함께 입력하면, 그 번호의 화상 정보가 다운로드용 메모리 영역으로부터 삭제된다.
도 8로 되돌아가 설명을 계속한다. 사용자가 번호 ②를 입력하여 「D 대학」의 통상 표시를 선택한 경우에는(단계 S233:Y), D 대학의 압축된 다운로드 화상을 압축 해제하여, 1페이지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메모리 영역에 전개한다(단계 S234). 그리고, 원점의 좌표점(x, y)을 베이스 어드레스로 하여, 액정 디스플레이(104)의 표시 프레임의 부분만을 추출하여, 이것을 표시한다(단계 S235). 그리고, 그 후에는 사용자가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를 이동시킨 경우에는(단계 S236:Y), 그에 따른 좌표(x, y)의 변화량만큼 원점의 좌표점(x, y)이 이동하여, 표시 메모리 영역에 전개되어 있는 화상이 추출되는 영역이 이동하여, 액정 디스플레이(104)로 이동한 화상이 표시된다(단계 S237). 이러한 표시 제어는 사용자가 그 화상 정보의 표시를 종료시키는 지시를 행할 때까지(단계 S238:Y), 계속하게 된다.
또, 도 9에 도시한 축소 표시가 선택된 경우에는 압축된 해당하는 화소가 전개된 후에 액정 디스플레이(104)의 표시 프레임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화소 수에 추출되어 표시가 행해지게 된다. 이 때, 선화 정보는 추출되는 과정에 따라서는 소실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선화 정보를 보유하는 주지의 화상처리를 행하면 된다.
그런데, 액정 디스플레이(104)에 표시되는 화상이 이동하는 형태에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 검출 센서(109)가 장치 본체(102)의 이동을 검지하였을 때, 원점으로서의 베이스 어드레스를 이동한 적분값만큼 X 방향이나 Y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형태와, 모드 전환 스위치(108)를 누른 상태에서 장치 본체(102)를 마찬가지로 이동시켜, 정지시킨 후에 모드 전환 스위치(108)의 누름을 해제하여, 장치 본체(102)의 이동에 의해 표시할 수 있는 화상 정보의 영역을 시프트시키는 형태가 있다. 후자는 사용자의 이동 조작 영역 좌표계와 지도 등의 화상 정보측의 좌표계를 시프트시켜 조정하는 것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다. 즉, 전자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를, 예를 들면 우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시키고, 그 후 좌측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시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고 하면, 액정 디스플레이(104)에 표시되는 화상은 최초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해 가는 화상이 되고, 그 후에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해 가는 화상이 되어, 최종적으로는 출발점의 화상이 다시 표시된다. 이에 대하여 후자의 경우에는 모드 전환 스위치(108)를 누른 상태에서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를 이동시켰을 때 표시되는 화상 영역 그 자체는 고정되고, 그 후에 모드 전환 스위치(108)를 분리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고자 하였을 때, 그 이동 방향 및 이동량만큼 베이스 어드레스 그 자체가 시프트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팔의 길이 등의 제한으로부터 충분히 큰 사이즈의 화상을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도, 모드 전환 스위치(108)를 조작함으로써, 필요한 화상 영역을 장치 본체(102)의 이동 조작으로 표시할 수 있는 영역(범위)내에서 시프트시켜 액정 디스플레이(104)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화상의 이동 제어와 표시를 행하는 회로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이 회로 부분은 도 5에 도시한 액정 디스플레이(104)와, 모드 전환 스위치(108)와, 위치 검출 센서(109)와, 베이스 어드레스 레지스터(원점 좌표 데이터 등록 수단에 대응)(251)와, 표시 어드레스 카운터(선택 지시 수단에 대응)(252)와, 상기한 RAM(155)(도 5 참조)의 일부를 구성하는 표시 메모리 영역(253)으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어드레스 레지스터(251) 및 표시 어드레스 카운터(252)는 도 5에 도시한 표시 제어부(157)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표시 어드레스 카운터(252)는 액정 디스플레이(104)의 표시 영역 전체를 주사하는 주사점(x, y)을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261)로서 X 좌표 정보(262)와 Y 좌표 정보(263)를 발생하는 회로이다. 표시 어드레스 카운터(252)는 X 카운터(252A)와 Y 카운터(252B)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을 위치 검출 센서(109)가 출력하는 이동 정보(265)의 X 좌표 성분과 Y 좌표 성분에 의해 각각 카운트하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 어드레스 레지스터(251)는 표시 메모리 영역(253)에 있어서의 액정 디스플레이(104)의 표시의 기점이 되는 베이스 어드레스로서의 X 베이스 정보 Xb와 Y 베이스 정보 Yb를 유지하고 있다.
모드 전환 스위치(108)이 눌러지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는 베이스 어드레스 레지스터(251)에 저장되어 있는 X 베이스 정보 Xb와 Y 베이스 정보 Yb는, 표시 메모리 영역(253)의 원점(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하는 표시 메모리 영역(253) 좌측 아래 코너의 점)에 일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을 손으로 이동시키면, 위치 검출 센서(109)가 검출한 이동량에 대응하여, X 베이스 정보 Xb및 Y 베이스 정보 Yb가 변경된다. 변경된 이들의 값 Xb및 Yb는 베이스 어드레스 레지스터(251)에 입력된다. 이에 의해, 원점의 좌표를 변경할 수 있다. 변경 후의 원점의 좌표는 표시 메모리 영역(253)으로부터 추출되는 영역(이 영역은 액정 디스플레이(104)에 판독되는 화상이 됨)을 특정하기 위한 기점의 좌표가 된다. 이 동작에 의해, 표시 메모리 영역(253)으로부터 판독되는 화상 정보(부분 화상의 정보)(266)는 위치 검출 센서(109)의 이동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도 11은 위치 검출 센서에 의한 이동 검출의 일례를 X 좌표 방향을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다. 가속도 센서를 위치 검출 센서(109)(도 1)로서 사용한 경우, 가속도에 대해서 보면 도 11의 (가)와 같이 이동의 개시와 함께 장치 본체(102)가 가속된다(구간 a). 이 후, 거의 정속, 즉 가속도가 거의 제로의 상태에서 이동하여(구간 b), 임의의 시점에서 감속(역 가속)되어(구간 c), 다음의 이동 개시까지 이동을 정지하는(구간 d) 사이클을 반복하게 된다.
도 11의 (나)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얻은 이와 같은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의 플러스의 속도(전진)와 마이너스의 속도(후퇴)를 나타낸 것이며, 도 11의 (다)는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의 X 좌표 방향의 위치가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인간이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 등의 장치를 손으로 순차적으로 조작할때, 일반적으로 구간 d에 나타나는 정지 상태가 차지하는 시간이 비교적 길다고 하는 특징이 있다. 가속도 센서에 따라서는 이 정지 상태라도, 가속도의 적분값으로서의 속도 성분을 출력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정지 상태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속도 성분에 기초하여, 액정 디스플레이(104) 상에서 표시되어 있는 화상이 이동한다. 따라서, 가속으로부터 역가속까지, 나아가 다음의 가속까지의 시간의 길이로부터 정지 상태로 되어 있는 기간을 판별하여, 이 기간에서의 속도를 일률적으로 제로로 하는 연구를 행하거나, 화상의 시프트가 사용자에게 관찰할 수 있는 정도로 되었을 때에 원점의 보정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지 시에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의 이동이 제로가 되도록 속도를 리세트하는 조작을 적절하게 행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에 따라서는 정지 상태로 손에 "흔들림"이 생겨, 조금씩 가속과 감속이 반복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개인의 특징을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 측에 개인 고유의 패턴으로서 기억 또는 등록해 두고, 이에 따른 이동을 무시하는 이동 제어를 행하는 것도 유효하다.
그런데, 도 10에 모드 전환 스위치(108)가 눌러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표시 메모리 영역(253)으로부터 판독되는 화상 정보(266)는 변화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 그대로이다. 모드 전환 스위치(108)의 누름을 해제하면, 다시 사용자는 마치 액정 디스플레이(104)가 가상 공간의 창인 것처럼,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의 이동 방향에 합치한 화상의 표시 효과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D 대학의 정문을, 우선 액정 디스플레이(104)로 표시한 경우에는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를 거기에서부터 연장되는 길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각 연구동이나 도서관, 식당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잘 모를 때에는 원래의 길로 되돌아가는 조작을 행함으로써, 지도에 표시된 전체적인 내용을 보다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모드 전환 스위치(108)를 누른 상태에서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를 이동시킨 분만큼,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의 이동 조작에 의해 액정 디스플레이(104)에 표시할 수 있는 화상 정보를 시프시킬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2차원적인 지도 또는 화상 정보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3차원적인 지도 또는 화상 정보인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 대학의 정문으로부터 거의 수평 방향(X, Y 방향)으로 이동시켜 가는 연구동의 내부에까지 겨우 도착하면,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를 Z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그 연구동의 각계의 레이아웃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위치 검출 센서(109)는 장치 본체(102)의 공간적 이동을 3차원 좌표에서의 이동으로서 검출하고 있다. 또, 인간의 머리 속에서는 2차원적인 지도 정보를, 지각 공간(141)(도 2)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서 지각할 수도 있고, 수직 방향 그 밖의 방향으로서 지각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에 표시되는 2차원 지도의 방향(수평면으로 할지 수직면으로 할지의 방향)을, 장치(101)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위치 검출 센서(109)로서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였지만, 이외의 각종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센서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의 사용자의 의복의 가슴이나 목 언저리 등에 기준점을 나타내는 마크나 발광기 등을 장착시켜 두고, 장치 본체(102)에 미리 조립한 PSD(Position Sensitive Device) 등의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그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표시 화면의 위치를 역산할 수 있다. 또한, 장치 본체에 촬상 카메라를 조립해 두고, 받아들인 주위 대상물의 화상의 이동 상태로부터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의 이동 방향이나 이동량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상체부를 기준으로 한 위치 검출도 가능하다. 이러한 위치 검출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1) 사용자의 상체에 첨부된 기준 광점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 및 (2) 상체 표면상을 촬상하여, 촬상 화상의 변화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의 위치를 검지하는 방법이 있다. 2개의 1차원 이미지 센서를 상호 직교하도록 배치하여,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획득된 1차원적인 화상 정보의 상관 계산에 의해 위치의 변화량을 산출하도록 해도 된다. 스페클 등을 사용한 이동 검출기도 이 부류에 속한다.
외부 영상이 단순한 변화에 의해 사용자에 의한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의 변화를 검출할 수도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전철이나 택시 등의 교통 기관을 타는 경우에는 사용자 본인 이외의 이동에 따른 화상의 변화를 상쇄시키지 않으면 정지 상태라도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가 이동하고 있는 검출이 행해진다.
따라서, 광학적 거리 검출기나 초음파에 의한 거리 검출기를 사용하여 마루, 천정, 벽 등의 고정적인 대상물로부터의 거리를 검출하고, 이들 정보로부터 화상 정보 표시 장치(101)의 이동을 검출하는 방법이 유효하다. 화상 정보 표시장치(101)를 조작할 때에, 마루나 지면은 사용자의 신장 등의 신체적인 특징에 의해 화상으로서 변동할 수 있지만, 동일한 사용자가 조작하기 때문에, 변동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지각 공간(141)의 상하 방향(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의 종축 방향)의 위치 검출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이 방법에서 원점의 시프트가 문제가 된 경우에는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모드 전환 스위치(108)를 사용하여 보정을 행하도록 하면 된다.
광학적 거리 검출기로서는, 자동 초점식 카메라의 거리 검출에 사용되고 있는 원리와 마찬가지로, 측정의 대상이 되는 것에 광을 투영하여, 휘점 위치를 검출하여 3각 측량의 원리로 거리를 구하는 방법이 간편하고 유효하다. 초음파에 의한 거리 검출기에 대해서는 발사한 초음파가 측정의 대상이 되는 것으로 반사하여 되돌아오기까지의 시간에 의해 거리를 측정하는 비행 시간법이 안정된 결과를 얻는 점에서 유익하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인터넷을 사용하여 화상 정보의 취득을 행하였지만, LAN(근거리 통신망(LAN)) 이외의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마찬가지의 취득을 행해도 되고, 소정의 접속 케이블을 사용하여 컴퓨터나 CD(컴팩트 디스크) 또는 DVD(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등의 다른 기억 매체로부터 마찬가지의 정보를 취득해도 되는 것은 당연하다.
여기서, 청구항에 기재된 요소와 상기한 실시예와의 대응을 설명한다. 화상 정보 기억부, 표시 화상 범위 선택부, 부분 화상 정보 선택 제어부, 이동 정지 기간 판별부, 이동량 보정부는 기능 블록으로서의 구성을 의미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정보 기억부는 RAM(155)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표시 화상 범위 선택부, 부분 화상 정보 선택 제어부, 이동 정지 기간 판별부, 이동량 보정부의 기능은 메모리(예를 들면, ROM(154))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기초하는, CPU(151), 표시 제어부(157), 그에 포함되는 베이스 어드레스 레지스터(251), 표시 어드레스 카운터(252)에 의해 실현되어 있다. 단, 상기한 기능 블록은 기능으로서 존재하고 있으면 되고, 특정한 하드웨어나 프로그램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기재에 기초하면, 임의의 구성에 의해 실장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의 기재는 단순한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에 필수적인 구성을 설명한 것이 아니다. 각부의 구성은 본 발명의 취지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면,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표시부로서는 액정 디스플레이 외에, CRT나 프린터 등, 임의의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표시 장치(101)의 제2 실시예를 도 12∼도 1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단, 이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병기하여 설명을 간략화한다.
이 표시 장치(101)는 케이싱으로서의 장치 본체(102)를 구비하고 있다. 그 크기는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장치 본체(102)의 내부에는 표시부로서의 액정 디스플레이(104)와, 위치 검출부로서의 위치 검출 센서(109)와, 입체 모델 정보가 저장된 입체 모델 정보 저장부(300)와, 위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케이싱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시점을 변동시키고, 변동된 시점에 기초하는 2차원 화상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2차원 화상 정보 출력부(310)와, 상기 2차원 화상정보 중, 표시부에 한 번에 표시할 수 있는 표시 범위의 부분 화상 정보를 선택하여 표시부에 표시용으로 출력하는 표시 화상 범위 선택부(320)가 주요한 구성으로서 구비되어 있다(도 12 참조).
입체 모델 정보 저장부(300)는, 구체적으로는 RAM(155)의 일부의 기억 영역을 이용하여 실장된다. RAM(155)에 저장되는 입체 모델 정보는, 예를 들면 폴리곤 모델, NURBS(Non-Uniform Rational B-Spline), 복셀 등의 방법으로 표현되어 있는 것이다. 표현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요는 입체 모델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2차원 화상 출력부(310)는 이동한 시점에 있어서의, 입체 모델로부터의 투시 변환을 행하여, 래스터 데이터로서의 2차원 데이터(예를 들면, 비트맵 데이터)를 얻는 것이다. 얻어진 데이터는 RAM(155)의 임의의 영역에 기입된다. 이러한 조작은 렌더링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차원 화상 정보 출력부(310)는 입체적으로 보기 위한 우안용 화상(331)과 좌안용 화상(332)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13 참조). 이들 화상(331, 332)을 얻기 위해서는 우안과 좌안과 대응한 2개의 시점으로부터의 화상을 각각 생성하면 된다.
표시 화상 범위 선택부(320)는, 기본적으로는 제1 실시예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요컨대, 2차원 화상 출력부(310)에 의해 생성된 2차원 화상 중, 표시부(104)에서 표시할 수 있는 영역의 화상을 선택하는 것이다.
제2 실시예에서의 표시부(104)의 구성을 도 14에 도시한다. 이 표시부(104)에서는 디스플레이 상에, 일정한 폭을 갖는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이 교대로배치된다. 도 14에서는 우안용 화상의 표시 위치를 백색으로, 좌안용 화상의 표시 위치를 흑색으로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의 전면에는 렌티큘러 스크린(104a)이 부착되어 있다. 렌티큘러 스크린(104a)은 화상의 폭에 맞게 설치된 렌즈 작용을 갖는 돌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표시부(104)를 이용하면, 우안용 화상을 우안만으로, 좌안용 화상을 좌안만으로 보기 때문에, 입체적으로 볼 수 있다.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으로서, 동일한 화상을 이용하면, 평면적으로 볼 수 있다. 렌티큘러 스크린(104a)은 주지의 기술이므로, 이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표시부(104)의 변형예를 도 15에 도시한다. 이 변형예에서는 표시부(104)에서의 입체 화상 표시면(104b)에,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이 교대로 배치된다. 도 15에서는 우안용 화상의 표시 위치를 흑색으로, 좌안용 화상의 표시 위치를 백색으로 나타내고 있다. 입체 화상 표시면(104b)의 전면에는 슬릿 배리어(104c)가 배치된다. 슬릿 배리어(104c)에는 개구부(aperture)와 차광부(도면 상에서 흑색으로 나타냄)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개구부를 통하여 화상을 봄으로써, 입체적으로 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팔락스 스테레오그램으로서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입체적으로 보는 방법으로서는, 그외에 아나그리프 등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하나의 화상(340)(도 16 참조) 중에, 입체 형상을 표시하는 부분(341)과 평면적인 배경(342)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때에는 입체 부분(341)만을 제2 실시예의 방법으로 생성·표시하고, 배경(342)은 제1 실시예의 방법으로생성·표시해도 된다. 이 경우 화상 합성이 필요하게 된다. 화상 합성의 방법은 주지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의 2차원 화상 정보 출력부(310)는 입체시용이 아닌, 통상의 2차원 화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크기의 소정의 케이싱에 수용된 표시부에 이 케이싱의 이동에 따라 부분 화상 정보를 선택하여 표시시켜 표시 내용의 이동을 행하게 하는 것으로 하였기 때문에, 화상 정보 표시 장치를 능동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에 따른 화상의 변화를 행하게 할 수 있어, 화상의 일부밖에 표시할 수 없는 경우라도 그 전체의 파악이나 필요한 개소의 부분 표시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와 같이 화상 정보 표시 장치를 책상 위에서 조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장소를 막론하고 화상의 표시 제어가 가능하게 되고, 또한 책상 위에서 조작하는 경우와 달리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화상이 움직임을 위해 위치의 이동을 인간의 두뇌로 그리는 지각 공간 상에서의 이동과 매치시킬 수 있어, 화상의 인식이 용이하고 정확하게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부분 화상 정보 선택 제어부는 2차원적인 이동에 대응하여 표시 화상 범위 선택부가 선택한 화상을 2차원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화상의 인식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위치 검출부가 검출한 3차원적인 이동에 있어서의 2차원적인 이동 이외의 정보를 셔트아우트할수 있다. 따라서, 화상 정보 표시 장치에 표시된 화상을 눈에 가까이 하는 등의 2차원적인 이동 이외의 정보에 대해서는 무시하여 화상의 표시 내용을 바꾸지 않기 때문에, 눈이 근접됨에 따른 화상이 자연스러운 확대에 의한 화상 인식을 실현할 수 있어, 이 의미에서도 화상 정보 표시 장치의 사용자가 화상을 착각하여 잘못된 인식 결과를 유도하는 등의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기재된 화상 정보 표시 장치에서, 위치 검출부는 케이싱의 공간적인 이동을 3차원적인 이동으로 치환하여 이동을 검출하고, 부분 화상 정보 선택 제어부는 이 치환된 3차원적인 이동에 대응하여 표시 화상 범위 선택부가 선택한 화상을 이동시키기 때문에, 3차원적인 화상 정보인 경우에 이것을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건물의 각층의 구조나 뇌의 단면의 해석 등을 용이하게 또한 직감적인 조작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화상 정보 기억부는 통신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다운로드한 화상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큰 화상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 화상 정보 표시 장치의 특징을 살리는 것으로, 통상의 거치형 컴퓨터를 전제로 한 각종 화상 정보를 구별없이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의 제공측에서는 통상의 거치형 컴퓨터용과 휴대 전화기 등의 작은 표시 화면의 화상 정보 표시 장치용의 2계통의 화상 정보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휴대 전화기 등의 작은 표시 화면의 화상 정보 표시 장치용으로 화상을 준비하였을 때에 생기는 해상도의 열화라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화상 정보 표시 장치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생기는 위치 검출부의 외관상의 이동을 무시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위치를 항상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2)

  1.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크기의 케이싱과,
    이 케이싱에 조립되어 화상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와,
    상기 케이싱이 공간적인 이동을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와,
    상기 표시부에 한 번에 표시할 수 있는 화상 사이즈보다 큰 화상 사이즈의 화상 정보를 기억하는 화상 정보 기억부와,
    이 화상 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화상 정보로부터 한 번에 표시할 수 있는 표시 범위의 부분 화상 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용으로 출력하는 표시 화상 범위 선택부와,
    상기 위치 검출부가 검출한 이동 방향으로 표시 화상 범위 선택부가 선택한 화상을 이동시키는 부분 화상 정보 선택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정보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부는 상기 케이싱이 공간적인 이동을 2차원적인 이동으로 치환하여 이동을 검출하고, 상기 부분 화상 정보 선택 제어부는 이 치환된 2차원적인 이동에 대응하여 표시 화상 범위 선택부가 선택한 화상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정보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부는 상기 케이싱의 공간적인 이동을 3차원적인 이동으로 치환하여 이동을 검출하고, 상기 부분 화상 정보 선택 제어부는 이 치환된 3차원적인 이동에 대응하여 표시 화상 범위 선택부가 선택한 화상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정보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정보 기억부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운로드한 화상 정보를 기억하고, 3차원 모델로부터 생성된 화상 정보를 기억하며, 3차원 모델로부터 생성된 복수 방향으로부터의 화상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정보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화상 정보 선택 제어부는 상기 화상 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화상 정보의 일부를 상기 표시부에 추출하고 표시할 때의 표시 프레임의 기준이 되는 원점의 좌표를 등록하는 원점 좌표 데이터 등록부와, 상기 위치 검출부가 검출한 상기 케이싱의 공간적인 이동 방향 및 이동량에 대응시켜 상기 원점의 좌표를 순차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표시 프레임에서 정해지는 부분 화상의 표시 범위를 상기 표시 화상 범위 선택부에서 순차 선택시키는 선택 지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정보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부가 순차 검출한 상기 케이싱의 공간적인 이동을 상기 원점 좌표 데이터 등록부의 등록 내용에 반영시킬지의 여부를 온·오프 설정하는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정보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부는 가속도 센서이고, 상기 케이싱의 공간적인 이동이 개시되고 나서 정지한 후, 다시 이동이 개시되기까지의 이동 정지 기간을 판별하는 이동 정지 기간 판별부와, 이 이동 정지 기간 판별부에 의해 판별된 이동 정지 기간에서의 상기 케이싱의 공간적인 이동량을 제로로 하는 이동량 보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정보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정보 기억부는 컴퓨터에서의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정보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상 범위 선택부는 컴퓨터에서의 CPU 및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기능에 의해 실현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정보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화상 정보 선택 제어부는 컴퓨터에서의 CPU 및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기능에 의해 실현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정보 표시 장치.
  11.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크기의 케이싱와,
    이 케이싱에 조립되어 화상의 표시를 행하는 표시부와,
    상기 케이싱의 공간적인 이동을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와,
    입체 모델 정보가 저장된 입체 모델 정보 저장부와,
    상기 위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케이싱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시점을 변동시켜, 변동한 시점에 기초하는 2차원 화상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2차원 화상 정보 출력부와,
    상기 2차원 화상 정보 중, 상기 표시부에 한 번에 표시할 수 있는 표시 범위의 부분 화상 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용으로 출력하는 표시 화상 범위 선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정보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화상 정보 출력부는 입체적으로 보기 위한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화상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 되고 있으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표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정보 표시 장치.
KR1020037008563A 2001-10-24 2001-10-24 화상 정보 표시 장치 KR1008196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1/009309 WO2003036452A1 (fr) 2001-10-24 2001-10-24 Dispositif servant a afficher une information d'im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2419A true KR20040062419A (ko) 2004-07-07
KR100819618B1 KR100819618B1 (ko) 2008-04-04

Family

ID=11737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563A KR100819618B1 (ko) 2001-10-24 2001-10-24 화상 정보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142191B2 (ko)
EP (1) EP1443385A1 (ko)
KR (1) KR100819618B1 (ko)
CN (1) CN100353293C (ko)
WO (1) WO20030364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9089B1 (en) 1999-02-26 2010-07-06 Creative Kingdoms, Llc Multi-media interactive play system
US7878905B2 (en) 2000-02-22 2011-02-01 Creative Kingdoms, Llc Multi-layered interactive play experience
US7445550B2 (en) 2000-02-22 2008-11-04 Creative Kingdoms, Llc Magical wand and interactive play experience
US6761637B2 (en) 2000-02-22 2004-07-13 Creative Kingdoms, Llc Method of game play using RFID tracking device
US7066781B2 (en) 2000-10-20 2006-06-27 Denise Chapman Weston Children's toy with wireless tag/transponder
US7714880B2 (en) * 2001-11-16 2010-05-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on a display
US6967566B2 (en) 2002-04-05 2005-11-22 Creative Kingdoms, Llc Live-action interactive adventure game
US20070066396A1 (en) 2002-04-05 2007-03-22 Denise Chapman Weston Retail method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product to a consumer
US7725398B2 (en) * 2002-06-19 2010-05-25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selling goods and/or services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multiple users
JP4300818B2 (ja) * 2002-11-25 2009-07-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載表示装置および携帯表示装置
US9446319B2 (en) 2003-03-25 2016-09-20 Mq Gaming, Llc Interactive gaming toy
JP2004333957A (ja) * 2003-05-09 2004-11-25 Hitachi Ltd 携帯端末
JP2005174006A (ja) * 2003-12-11 2005-06-30 Canon Inc 表示装置
TWI233743B (en) * 2004-03-05 2005-06-01 Benq Corp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input method thereof
FR2868902B1 (fr) * 2004-04-07 2006-09-22 Eastman Kodak Co Procede et appareil de prise de vue pour simuler l'effet optique d'une epreuve a reseau lenticulaire
JP4266878B2 (ja) * 2004-04-22 2009-05-20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US7400316B2 (en) * 2004-05-28 2008-07-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modifying web page display for mobile devices
KR20050116661A (ko) * 2004-06-08 2005-12-13 이상백 제한된 크기의 화면을 가진 단말기를 이용해서 콘텐츠를표시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
DE102004047960A1 (de) * 2004-10-01 2006-04-06 Siemens Ag Strahlprojektions-Anzeige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trahlprojektions-Anzeigeeinrichtung
DE602004011676T2 (de) 2004-12-02 2009-01-2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ragbares Kommunikationsgerät mit einer dreidimensionalen Anzeigevorrichtung
KR100641182B1 (ko) * 2004-12-30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의 가상화면 이동장치 및 방법
KR100725014B1 (ko) 2005-01-20 2007-06-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방법 및 장치
US20060164382A1 (en) * 2005-01-25 2006-07-27 Technology Licensing Company, Inc. Image manipulation in response to a movement of a display
US7927216B2 (en) 2005-09-15 2011-04-19 Nintendo Co., Ltd. Video game system with wireless modular handheld controller
JP4805633B2 (ja) 2005-08-22 2011-11-02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用操作装置
US8313379B2 (en) 2005-08-22 2012-11-20 Nintendo Co., Ltd. Video game system with wireless modular handheld controller
US8870655B2 (en) 2005-08-24 2014-10-28 Nintendo Co., Ltd. Wireless game controllers
JP4262726B2 (ja) 2005-08-24 2009-05-13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コントローラ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US8308563B2 (en) 2005-08-30 2012-11-13 Nintendo Co., Ltd. Game system and storage medium having game program stored thereon
US8157651B2 (en) 2005-09-12 2012-04-17 Nintendo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20070130547A1 (en) * 2005-12-01 2007-06-07 Navisense, Llc Method and system for touchless user interface control
KR100667853B1 (ko) * 2006-01-25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기기의 화면 스크롤 장치 및 방법과 그 방법을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EP1985104A2 (en) * 2006-02-14 2008-10-29 Casio Computer Co., Ltd. Server apparatuses, server control programs, and client apparatuses in a computer system
JP4848801B2 (ja) * 2006-03-09 2011-12-2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面表示制御装置および画面表示制御処理プログラム
WO2007114456A1 (en) * 2006-03-29 2007-10-11 Casio Computer Co., Ltd. Server apparatus of computer system
US7903929B2 (en) * 2006-06-20 2011-03-0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Optical displa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922696B2 (en) 2007-01-24 2011-04-12 Access Scientific, Inc. Access device
US7973763B2 (en) * 2007-04-13 2011-07-05 Ht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s with sensible orientation structures, and associated methods
AU2008242650A1 (en) 2007-04-18 2008-10-30 Access Scientific, Inc. Access device
RU2007135972A (ru) * 2007-09-28 2009-04-10 Георгий Русланович Вяхирев (RU) Система отображ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в псевдообъемном виде на двухмерном дисплее
WO2009072736A1 (en) * 2007-12-03 2009-06-1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User adaptive gesture recognition method and user adaptive gesture recognition system
KR100912511B1 (ko) * 2007-12-03 2009-08-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적응형 제스처 인식 방법 및 그 시스템
JP4725587B2 (ja) * 2008-03-18 2011-07-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サーバ装置及びサーバ制御プログラム
US9253416B2 (en) * 2008-06-19 2016-02-02 Motorola Solutions, Inc. Modulation of background substitution based on camera attitude and motion
KR101908033B1 (ko) * 2008-07-10 2018-12-10 리얼 뷰 이미징 리미티드 광시야각 디스플레이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JP4697321B2 (ja) * 2009-03-24 2011-06-0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303412B2 (en) * 2009-03-31 2012-11-06 Nintendo Co., Ltd. Game apparatus and game program
US9294751B2 (en) 2009-09-09 2016-03-22 Mattel,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parity adjustment during stereoscopic zoom
JP5412227B2 (ja) * 2009-10-05 2014-02-12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表示制御方法
US8325187B2 (en) * 2009-10-22 2012-1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real time 3D navigation in panoramic images and cylindrical spaces
US8339364B2 (en) 2010-02-03 2012-12-25 Nintendo Co., Ltd. Spatially-correlated multi-display human-machine interface
US8814686B2 (en) 2010-02-03 2014-08-26 Nintendo Co., Ltd. Display device, game system, and game method
US8961305B2 (en) 2010-02-03 2015-02-24 Nintendo Co., Ltd. Game system, controller device and game method
US8913009B2 (en) 2010-02-03 2014-12-16 Nintendo Co., Ltd. Spatially-correlated multi-display human-machine interface
WO2011097639A2 (en) 2010-02-08 2011-08-11 Access Scientific, Inc. Access device
JP5803058B2 (ja) * 2010-03-30 2015-11-0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0448083B2 (en) 2010-04-06 2019-10-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treaming and rendering of 3-dimensional video
US11711592B2 (en) 2010-04-06 2023-07-2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Distribution of multiple signals of video content independently over a network
US8267788B2 (en) 2010-04-13 2012-09-18 Kulas Charles J Gamepiece controller using a movable position-sens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 movement currency mode of movement
US8123614B2 (en) 2010-04-13 2012-02-28 Kulas Charles J Gamepiece controller using a movable position-sensing display device including a movement currency mode of movement
US20110310003A1 (en) * 2010-05-21 2011-12-2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s
JP6243586B2 (ja) 2010-08-06 2017-12-06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US10150033B2 (en) 2010-08-20 2018-12-11 Nintendo Co., Ltd. Position calculation system, position calculation device, storage medium storing position calculation program, and position calculation method
JP5840386B2 (ja) 2010-08-30 2016-01-06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JP5840385B2 (ja) 2010-08-30 2016-01-06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DE102010047779A1 (de) * 2010-10-08 2012-04-12 Hicat Gmbh Computer und Verfahren zur visuellen Navigation in einem dreidimensionalen Bilddatensatz
KR101364826B1 (ko) 2010-11-01 2014-02-20 닌텐도가부시키가이샤 조작 장치 및 조작 시스템
US9204123B2 (en) 2011-01-14 2015-12-0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Video content generation
CN102722306B (zh) * 2011-03-29 2016-01-27 汉王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阅读器中图元的显示方法、装置及电子阅读器
JP5689014B2 (ja) 2011-04-07 2015-03-25 任天堂株式会社 入力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3次元位置算出方法
JP6147464B2 (ja) * 2011-06-27 2017-06-14 東芝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方法
WO2013057648A1 (en) * 2011-10-20 2013-04-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movement and orientation of the device
JPWO2013077338A1 (ja) * 2011-11-21 2015-04-27 株式会社ニコン 表示装置、表示制御プログラム
CN103294352A (zh) * 2012-03-01 2013-09-1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移动终端的屏幕内容显示方法及移动终端
US9566087B2 (en) 2013-03-15 2017-02-14 Access Scientific, Llc Vascular access device
US9778750B2 (en) 2014-09-30 2017-10-03 Xerox Corporation Hand-gesture-based region of interest localization
US9354711B2 (en) * 2014-09-30 2016-05-31 Xerox Corporation Dynamic hand-gesture-based region of interest localization
JP2016103073A (ja) * 2014-11-27 2016-06-0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WO2016176065A1 (en) 2015-04-30 2016-11-03 Access Scientific, Llc Vascular access device
US10654422B2 (en) 2016-08-29 2020-05-19 Razmik Karabed View friendly monitor systems
US20180063444A1 (en) * 2016-08-29 2018-03-01 Razmik Karabed View friendly monitor systems
US10569059B2 (en) 2018-03-01 2020-02-25 Asspv, Llc Guidewire retention device
US11388354B2 (en) 2019-12-06 2022-07-12 Razmik Karabed Backup-camera-system-based, on-demand video playe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29135D0 (en) * 1988-12-14 1989-01-25 Smith Graham T Panoramic interactive system
JP3242219B2 (ja) * 1993-06-23 2001-12-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US5526481A (en) * 1993-07-26 1996-06-11 Dell Usa L.P. Display scrolling system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JPH07271505A (ja) 1994-03-29 1995-10-20 Toshiba Corp 画像表示制御装置
US5917562A (en) * 1994-12-16 1999-06-29 Sharp Kabushiki Kaisha Autostereoscopic display and spatial light modulator
JP3812005B2 (ja) * 1995-10-20 2006-08-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商品シミュレータシステムのサーバ、商品シミュレータ装置および方法
US5831614A (en) * 1996-07-01 1998-11-03 Sun Microsystems, Inc. X-Y viewport scroll using location of display with respect to a point
JP3533057B2 (ja) 1996-11-22 2004-05-31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6084647A (en) * 1996-11-22 2000-07-04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H10333821A (ja) 1997-05-29 1998-12-18 Sony Corp 座標入力装置
JPH11154074A (ja) * 1997-11-25 1999-06-08 Sharp Corp スクロール制御装置
SE511516C2 (sv) * 1997-12-23 1999-10-11 Ericsson Telefon Ab L M Handburen displayenhet och metod att visa skärmbilder
US6630950B1 (en) * 1998-03-19 2003-10-07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improving image vibration suppression
AUPQ439299A0 (en) * 1999-12-01 1999-12-2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terface system
US6466198B1 (en) * 1999-11-05 2002-10-15 Innoventions, Inc. View navigation and magnification of a hand-held device with a display
US20010015753A1 (en) * 2000-01-13 2001-08-23 Myers Kenneth J. Split image stereoscopic system and method
JP2001251403A (ja) * 2000-03-07 2001-09-14 Sony Corp 電話装置
JP4629838B2 (ja) * 2000-08-25 2011-02-09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立体視画像生成装置および立体視画像生成方法
US6798429B2 (en) * 2001-03-29 2004-09-28 Intel Corporation Intuitive mobile device interface to virtual spaces
US6834249B2 (en) * 2001-03-29 2004-12-21 Array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ompu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70275B2 (en) 2009-08-04
CN1488093A (zh) 2004-04-07
KR100819618B1 (ko) 2008-04-04
CN100353293C (zh) 2007-12-05
US7142191B2 (en) 2006-11-28
US20060268008A1 (en) 2006-11-30
US20040239687A1 (en) 2004-12-02
WO2003036452A1 (fr) 2003-05-01
EP1443385A1 (en) 200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618B1 (ko) 화상 정보 표시 장치
JP7268692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2007027A (ja) 画像情報表示装置
CN105659295B (zh) 用于在移动设备上的真实环境的视图中表示兴趣点的方法以及用于此方法的移动设备
KR101823182B1 (ko) 동작의 속성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상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효과
US10884576B2 (en) Mediated reality
US20110279478A1 (en) Virtual Tagging Method and System
US9979946B2 (en) I/O device, I/O program, and I/O method
US9933853B2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program,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8952956B2 (en)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display control program,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2012518849A (ja) 街路レベルの画像間の移行を示すシステム及び方法
EP3128413A1 (en) Sharing mediated reality content
US9690533B2 (en) Displaying system, display controller, storage medium and method
US20130057574A1 (en) Storage medium recorded with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9672588B1 (en) Approaches for customizing map views
US2012026849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augmented reality
KR20220116056A (ko)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JPWO2019069575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131064A1 (en) Searching image content
CN108351736A (zh) 可穿戴显示器、图像显示装置和图像显示系统
CN113590070A (zh) 导航界面的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2308103B (zh) 生成训练样本的方法和装置
CN110152293A (zh) 操控对象的定位方法及装置、游戏对象的定位方法及装置
JP2004272515A (ja) インタフェース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535853B2 (ja) 三次元座標指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