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6056A -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6056A
KR20220116056A KR1020227026538A KR20227026538A KR20220116056A KR 20220116056 A KR20220116056 A KR 20220116056A KR 1020227026538 A KR1020227026538 A KR 1020227026538A KR 20227026538 A KR20227026538 A KR 20227026538A KR 20220116056 A KR20220116056 A KR 20220116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display screen
image
targe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6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쯔룽 장
린 쑨
친친 쉬
칭 롼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센스타임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센스타임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센스타임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16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60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가상 효과 이미지를 얻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가상 효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통해 디스플레이의 유연성을 증가하고, 디스플레이 효과를 향상시킨다.

Description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발명은 출원 번호가 202010763221.X이고, 출원일이 2020년 7월 31일인 중국 특허 출원에 기반하여 제출하였고,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 발명에 인용된다.
본 발명은 이미지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부 대규모 전시회에서, 예를 들어 역사 문화재 전시, 자동차 전시, 건설 현장 건물 전시 또는 건축 계획 모래 테이블 전시 등 시나리오에서는, 자주 전시물을 전시하고, 전시물 등 다른 물품에 대해 설명을 진행해야 한다. 관련 기술에 있어서, 설명 녹음을 재생하는 동시에, 스크린에 가상 인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방안이 존재한다. 그러나, 관련 기술에 있어서, 전시물에 대한 설명 또는 다른 실제 시나리오에서, 가상 인물 또는 전시물에 대한 디스플레이 모드가 단일하고, 디스플레이 방식이 유연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디스플레이 기기에 적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가상 효과 이미지를 얻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가상 효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단말에 대한 터치 조작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조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1 이미지 수집 장치를 통해, 실제 시나리오에서의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에 따라, 상기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에서의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제2 이동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2 이동 정보를 상기 제어 정보로 사용함 - 를 포함한다.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정보는 상기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실제 이동 방향 및 실제 이동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실제 이동 방향 및 실제 이동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1 이동 방향 및 제1 이동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이동 방향 및 상기 제1 이동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이동 정보이고, 상기 실제 이동 속도와 상기 제1 이동 속도는 정비례함 - ; 및 상기 제1 이동 방향 및 상기 제1 이동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속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가상 효과 이미지를 얻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동 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대상의 제1 동작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 상이한 제1 이동 속도는 상이한 제1 동작 데이터에 대응됨 - ; 및 상기 제1 동작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상기 가상 대상의 제1 동작 효과를 얻는 단계 - 상기 가상 효과 이미지는 상기 제1 동작 효과를 포함함 - 를 포함한다.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데이터는,
가상 대상의 스텝 스케일;
가상 대상의 스텝 주파수;
가상 대상의 팔다리의 스윙 진폭;
가상 대상의 팔다리의 스윙 주파수;
가상 대상의 기설정된 지시 동작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정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가상 효과 이미지를 얻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대상의 제2 동작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동작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상기 가상 대상의 제2 동작 효과를 얻는 단계 - 상기 가상 효과 이미지는 상기 제2 동작 효과를 포함함 - 를 포함한다.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 효과는 상기 가상 대상의 회전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대상의 제2 동작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대상의 타깃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타깃 방향과 상기 제1 이동 방향은 동일함 - ; 상기 가상 대상의 현재 방향과 상기 타깃 방향이 상이한 경우, 상기 현재 방향을 타깃 방향으로 전환하고, 상기 가상 대상의 방향 전환 정보를 얻는 단계; 및 상기 방향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동작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정지된 경우, 제2 이미지 수집 장치를 통해, 실제 시나리오 이미지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실제 시나리오 이미지의 이미지 내용을 식별하여, 타깃 전시 대상을 얻는 단계; 상기 타깃 전시 대상의 가상 전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가상 전시 데이터 및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가상 전시 이미지를 얻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가상 전시 이미지와 상기 실제 시나리오가 중첩되는 증강 현실 효과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수집 장치를 통해, 실제 시나리오에서의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를 수집하는 단계는, 제1 이미지 수집 장치를 통해, 실제 시나리오의 다중 프레임 이미지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다중 프레임 이미지로부터 복수 개의 인터랙션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인터랙션 대상으로부터 상기 타깃 인터랙션 대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다중 프레임 이미지에서 상기 타깃 인터랙션 대상을 포함한 이미지를 상기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투명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거나 불투명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장치는,
제어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부;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이동되게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가상 효과 이미지를 얻도록 구성된 렌더링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가상 효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획득부는, 단말에 대한 터치 조작을 수신하고; 상기 터치 조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획득부는, 제1 이미지 수집 장치를 통해, 실제 시나리오에서의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를 수집하고; 상기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에 따라, 상기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에서의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제2 이동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 - 상기 제2 이동 정보를 상기 제어 정보로 사용함 - 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정보는 상기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실제 이동 방향 및 실제 이동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실제 이동 방향 및 실제 이동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1 이동 방향 및 제1 이동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 상기 제1 이동 방향 및 상기 제1 이동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이동 정보이고, 상기 실제 이동 속도와 상기 제1 이동 속도는 정비례함 - ; 및 상기 제1 이동 방향 및 상기 제1 이동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이동되게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속도를 포함하고; 상기 렌더링부는 또한, 상기 제1 이동 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대상의 제1 동작 데이터를 결정하고 - 상이한 제1 이동 속도는 상이한 제1 동작 데이터에 대응됨 - ; 상기 제1 동작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상기 가상 대상의 제1 동작 효과를 얻도록 구성 - 상기 가상 효과 이미지는 상기 제1 동작 효과를 포함함 - 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데이터는,
가상 대상의 스텝 스케일;
가상 대상의 스텝 주파수;
가상 대상의 팔다리의 스윙 진폭;
가상 대상의 팔다리의 스윙 주파수;
가상 대상의 기설정된 지시 동작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정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렌더링부는 또한, 상기 제1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대상의 제2 동작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동작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상기 가상 대상의 제2 동작 효과를 얻도록 구성 - 상기 가상 효과 이미지는 상기 제2 동작 효과를 포함함 - 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 효과는 상기 가상 대상의 회전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렌더링부는 또한, 상기 제1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대상의 타깃 방향을 결정하고 - 상기 타깃 방향과 상기 제1 이동 방향은 동일함 - ; 상기 가상 대상의 현재 방향과 상기 타깃 방향이 상이한 경우, 상기 현재 방향을 타깃 방향으로 전환하고, 상기 가상 대상의 방향 전환 정보를 얻으며; 상기 방향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동작 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정지된 경우, 제2 이미지 수집 장치를 통해, 실제 시나리오 이미지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수집부; 상기 실제 시나리오 이미지의 이미지 내용을 식별하여, 타깃 전시 대상을 얻도록 구성된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렌더링부는 상기 타깃 전시 대상의 가상 전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가상 전시 데이터 및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가상 전시 이미지를 얻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가상 전시 이미지와 상기 실제 시나리오가 중첩되는 증강 현실 효과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또한, 제1 이미지 수집 장치를 통해, 실제 시나리오의 다중 프레임 이미지를 수집하고; 상기 다중 프레임 이미지로부터 복수 개의 인터랙션 대상을 식별하며; 상기 복수 개의 인터랙션 대상으로부터 상기 타깃 인터랙션 대상을 결정하며; 상기 다중 프레임 이미지에서 상기 타깃 인터랙션 대상을 포함한 이미지를 상기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투명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거나 불투명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기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가상 효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결합하여,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가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작동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제어 정보를 획득하고; 제어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를 결정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이동되도록 제어하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가상 효과 이미지를 얻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가상 효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며; 다시 말해, 제어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이동을 제어하여, 가상 대상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이동으로 하여금 상응한 가상 효과 이미지가 나타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의 유연성을 증가하고, 디스플레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래의 도면은 본 명세서의 일부분으로서 명세서 전체를 구성하며,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에 맞는 실시예를 예시하여,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선택 가능한 가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아키텍처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선택 가능한 응용 시나리오의 예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선택 가능한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흐름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선택 가능한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흐름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선택 가능한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흐름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선택 가능한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흐름도이다.
도 3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선택 가능한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흐름도이다.
도 3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선택 가능한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흐름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선택 가능한 가상 대상의 스텝 스케일 예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선택 가능한 가상 대상의 스텝 스케일 예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선택 가능한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흐름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선택 가능한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흐름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선택 가능한 가상 대상의 방향 예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선택 가능한 가상 대상의 방향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선택 가능한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선택 가능한 디스플레이 효과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선택 가능한 디스플레이 효과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가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 구성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구조 구성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해결방안 및 우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제한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되며,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창조성 노동을 부여하지 않는 전제 하에서 얻은 다른 실시예는 전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디스플레이 방식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디스플레이 기기에 적용되고, 아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예시적 적용을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디스플레이 기기는 AR 안경,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셋톱 박스, 모바일 기기(예를 들어, 휴대폰, 휴대용 음악 플레이어, 디지털 개인 비서, 전용 메시징 장치, 휴대용 게임 기기) 등 각 타입의 기기로 실시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기기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고, 여기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실시되고,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기설정된 슬라이딩 트랙에서 이동될 수 있거나,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브래킷에서 이동이 구현될 수 있거나, 사용자가 손으로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가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전시장의 전시물 전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기기, 및 전시장 측면에 설치된 제어용 단말을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기기 및 단말은 정보 인터랙션을 진행할 수 있다. 가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또한 단말 및 백그라운드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단말은 전시장의 전시물 전면에 설치되거나, 사용자가 손으로 이동하여, 전시물의 전시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전면의 디스플레이 기기 및 단말의 기능을 통합한다.
다시 말해, 단말은 디스플레이 기기 자체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기기와 연결 관계를 구축하여, 디스플레이 기기로 하여금 사용자가 단말에 대한 터치 조작을 수신하도록 하는 단말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디지털 개인 비서,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스마트 팔찌 등 웨어러블 가능한 기기,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기기,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기기, 만보계 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아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예시적 적용을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기기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인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가상 효과 이미지를 얻을 수 있고; 디스플레이 기기는 클라우드 서버와 인터랙션을 진행하고,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에 기저장된 기설정된 가상 효과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상 효과 데이터를 결정할 수 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가상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의 선택 가능한 구조 예시도이고, 가상 디스플레이 애플리케이션을 실현하기 위해, 단말(400, 예시적인 단말400-1 및 단말400-2)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서버(200)와 연결하고, 네트워크(300)는 광역 네트워크 또는 근거리 네트워크, 또는 이 둘의 조합일 수 있다. 단말(400)은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일 수 있고,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기설정된 트랙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단말(400)은 제어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제어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를 결정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가상 효과 이미지를 얻으며; 디스플레이 스크린(410)에서 가상 효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한다(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410-1)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410-2)를 예시한다).
예시적으로, 단말(400)이 휴대폰으로 실시될 경우, 휴대폰에서 기설정된 디스플레이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할 수 있고, 기설정된 디스플레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제1 이동 정보를 결정하고, 제1 이동 정보에 기반하여 서버(200)로 데이터 요청을 전송하고, 서버(200)가 데이터 요청을 수신한 이후, 데이터베이스(500)에 기저장된 기설정된 가상 효과 이미지로부터 제1 이동 정보와 매칭되는 가상 효과 데이터를 결정하고; 가상 효과 데이터를 단말(400)로 다시 전송한다. 단말(400)은 서버로부터 피드백된 가상 효과 데이터를 얻은 이후, 렌더링 툴을 통해 가상 효과 데이터에 따라 가상 효과 이미지를 렌더링하고, 가상 효과 이미지를 단말(400)의 그래픽 인터페이스에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200)는 독립적인 물리적 서버일 수 있고, 또는 복수 개의 물리적 서버로 구성된 서버 클러스터 또는 분산 시스템일 수도 있으며,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기능, 클라우드 스토리지, 네트워크 서비스, 클라우드 통신, 미들웨어 서비스, 도메인 네임 서비스, 보안 서비스, CDN, 및 빅 데이터 및 인공 지능 플랫폼 등과 같은 기초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다. 단말(400)은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 스피커, 스마트 워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 및 서버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아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기기 및 단말이 상이한 기기인 것을 예로 들어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의 구현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응용 시나리오 예시도이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기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20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201)은 전시회의 복수 개의 전시물의 주위에 설치될 수 있고,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201)에는 전시물을 촬영할 수 있는 후방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고,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201)에는 전시물, 전시물과 관련된 가상 효과 및 가상 대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전시물의 가상 효과는 전시물의 소개 정보, 전시물의 내부 디테일 전시 정보, 전시물의 윤곽선, 전시물의 가상 관광 안내원 중의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201)에는 또한 전방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고,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201) 앞의 타깃 인터랙션 대상(예를 들어)을 촬영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201)이 촬영된 이미지에서 타깃 인터랙션 대상이 전송한 명령을 식별함으로써, 타깃 인터랙션 대상에 대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구현하고,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명령과 가상 대상 인터랙션에 따라, 전시물의 효과를 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디스플레이 기기에 적용되고, 디스플레이 기기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고; 도 3a를 참조하면,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선택 가능한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3a에 예시된 단계와 결합하여 설명을 진행한다.
단계 S301에 있어서, 제어 정보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기기는 제어 정보를 획득하고,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정보의 형태는, 예를 들어 단말의 역할을 통해 단말에 설정된 디스플레이의 동작정보, 예를 들어 좌측 이동, 우측 이동, 가속, 감속, 정지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 정보는 검출된 디스플레이 기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주위의 사용자의 보행, 정지, 팔 흔들림 등의 사용자 이동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은, 1)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 정보를 감지하고; 2)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 정보를 캡처하며; 3)사용자가 단말에서 진행한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기기 및 단말의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경우, 디스플레이 기기는 또한 사용자가 자체적으로 설정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통해,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302에 있어서, 제어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를 결정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기기는 제어 정보를 획득한 이후, 제어 정보에 따라 제1 이동 정보를 결정할 수 있고; 제1 이동 정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이동 상황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고, 제1 이동 정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방향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 정보를 결정한 이후,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예시적으로, 제어 정보가 사용자가 단말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1 이동 정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왼쪽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기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기설정된 속도에 따라 왼쪽으로 이동되고; 또는, 제어 정보는 사용자의 팔이 좌측을 가리키는 동작인 경우, 제1 이동 정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왼쪽으로 기설정된 속도에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제어 정보가 사용자가 왼쪽으로 보행하는 경우, 제1 정어 정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왼쪽으로 사용자의 속도에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기기 및 단말의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경우, 제어 정보는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는 조작을 통해 얻은 것일 수도 있고, 이때 제어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를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왼쪽으로 이동되는 정보로 결정한다.
단계 S303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가상 효과 이미지를 얻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가상 대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함으로써 가상 효과 이미지를 나타내고; 가상 효과 이미지를 통해 가상 대상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에 대한 상응한 응답 상황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가상 인물, 가상 동물, 가상 아이템, 가상 만화 캐릭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기기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상이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로 하여금 상이한 가상 효과 이미지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고, 즉 제1 이동 정보와 가상 효과 이미지를 매칭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정지된 경우, 가상 효과 이미지는 가상 대상의 정지 이미지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이동된 경우, 가상 효과 이미지는 가상 대상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방향 및 속도에 따라 이동한 이미지일 수 있고; 다시 말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경우, 가상 대상은 정지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이동되도록 제어한 경우, 가상 대상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따라 이동한다.
단계 S304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가상 효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가상 효과 이미지를 얻은 이후, 가상 효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고, 이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통해 가상 대상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에 대한 응답 상황을 관람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디스플레이 기기는 제어 정보를 획득한 이후,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이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제1 이동 정보와 매칭되는 가상 대상의 가상 효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디스플레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S301에서 제어 정보를 획득한 이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01에 있어서, 단말에 대한 터치 조작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단말에서의 터치 조작을 수신하고, 터치 조작을 통해 디스플레이 기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기기 및 단말의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경우, 디스플레이 기기는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의 터치 조작을 수신하고, 터치 조작을 통해 디스플레이 기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S402에 있어서, 터치 조작에 기반하여,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기기는 터치 조작을 수신한 이후, 터치 조작에 기반하여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기기가 사용자의 제1 터치 조작을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왼쪽으로 이동되도록 지시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기기가 사용자의 제2 터치 조작을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오른쪽으로 이동되도록 지시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며; 디스플레이 기기가 사용자의 제3 터치 조작을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정지되도록 지시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며; 이동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기기가 사용자의 제4 터치 조작을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가속되도록 지시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며; 디스플레이 기기가 사용자의 제5 터치 조작을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감속되도록 지시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1 터치 조작, 제2 터치 조작, 제3 터치 조작, 제4 터치 조작 및 제5 터치 조작은 모두 필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 기기가 사용자가 휴대폰에서 왼쪽으로 슬라이딩하는 조작을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왼쪽으로 이동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는 초기 기설정된 속도 0.2m/s에 따라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왼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휴대폰에서 왼쪽으로 슬라이딩하는 조작을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가속으로 이동되도록 지시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는 제2 기설정된 속도 0.4m/s에 따라 왼쪽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결정하고; 여기서, 제2 기설정된 속도는 초기 기설정된 속도의 기초에서 기설정된 속도 크기 0.2m/s를 더한 값일 수 있고;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속도의 상한을 0.8m/s로 제한할 수도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가 휴대폰에서 여러 번 왼쪽으로 슬라이딩하여도,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최대 이동 속도는 0.8m/s를 초과하지 않는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디스플레이 기기는 사용자가 단말에 대한 터치 조작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이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제1 이동 정보와 매칭되는 가상 효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디스플레이의 유연성을 증가하고, 디스플레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S301에서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구현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01에 있어서, 제1 이미지 수집 장치를 통해, 실제 시나리오에서의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를 수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이동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자의 이동 정보를 제어 정보로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이동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 기기에 제1 이미지 수집 장치를 설치하여, 제1 이미지 수집 장치에 대한 실제 시나리오 이미지를 촬영하고, 사용자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이동을 제어하는 타깃 인터랙션 대상으로 사용하여, 타깃 인터랙션 대상을 포함한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고;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에서 타깃 인터랙션 대상이 화면에서의 동작 변화 상황에 비교하여,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이동 정보를 얻는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S501에서 제1 이미지 수집 장치를 통해, 실제 시나리오에서의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를 수집하는 구현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011에 있어서, 제1 이미지 수집 장치를 통해, 실제 시나리오의 다중 프레임 이미지를 수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기기는 제1 이미지 수집 장치를 통해 실제 시나리오 이미지를 촬영한 이후, 다중 프레임 이미지를 얻을 수 있고; 다중 프레임 이미지에서 각 프레임 이미지는 타깃 인터랙션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타깃 인터랙션 대상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이미지 수집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의 카메라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이동에 따라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이동 동작을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고정 카메라일 수도 있으며, 타깃 인터랙션 대상이 정지한 경우의 팔 동작을 수집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S5012에 있어서, 다중 프레임 이미지로부터 복수 개의 인터랙션 대상을 식별한다.
단계 S5013에 있어서, 복수 개의 인터랙션 대상으로부터 타깃 인터랙션 대상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기기는 먼저 다중 프레임 이미지에서의 인터랙션 대상에 대해 식별을 진행할 수 있다. 다중 프레임 이미지에서 각 프레임 이미지는 인터랙션 대상을 포함할 수 있고, 인터랙션 대상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인터랙션 대상을 포함한 경우, 타깃 인터랙션 대상을 선택하여 인터랙션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기기는 복수 개의 인터랙션 대상을 식별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기기는 복수 개의 인터랙션 대상으로부터 타깃 인터랙션 대상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기기는 기설정된 선택 조건에 따라 복수 개의 인터랙션 대상으로부터 타깃 인터랙션 대상을 결정하고;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기기는 복수 개의 인터랙션 대상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가장 가까운 인터랙션 대상을 타깃 인터랙션 대상으로 결정하고; 디스플레이 기기는 타깃 인터랙션 대상과 디스플레이 기기의 관련 관계를 미리 구축할 수도 있고, 이로써, 디스플레이 기기는 복수 개의 인터랙션 대상으로부터 타깃 인터랙션 대상을 결정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기기는 또한 복수 개의 인터랙션 대상에서 가장 많은 시선을 받는 인터랙션 대상을 타깃 인터랙션 대상으로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다수의 관람자가 관광 안내원을 주시하기에, 관광 안내원을 타깃 인터랙션 대상으로 사용하고; 여기서, 기설정된 조건은 필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S5014에 있어서, 다중 프레임 이미지에서 타깃 인터랙션 대상을 포함한 이미지를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기기는 복수 개의 식별 대상으로부터 타깃 인터랙션 대상을 결정한 이후, 타깃 인터랙션 대상을 포함한 다중 프레임 이미지를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로 사용할 수 있고;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에서 각 프레임 이미지는 모두 타깃 인터랙션 대상을 포함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디스플레이 기기는 제1 이미지 수집 장치를 통해 실제 시나리오 이미지를 촬영함으로써, 다중 프레임 이미지를 획득하고, 다중 프레임 이미지에 대해 인터랙션 대상을 식별한 이후, 다시 인터랙션 대상으로부터 타깃 인터랙션 대상을 결정함으로써,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를 획득한다.
단계 S502에 있어서,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에 따라,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에서의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제2 이동 정보를 결정할 수 있고; 여기서, 제2 이동 정보를 제어 정보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기기는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를 획득한 이후,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에 따라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이동 정보, 즉 제2 이동 정보를 결정할 수 있고; 제2 이동 정보를 제어 정보로 사용한다.
여기서, 제2 이동 정보는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이동 방향, 이동 속도, 팔 이동 방향, 팔 이동 속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기기는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에서 타깃 인터랙션 대상이 화면에서의 변화에 따라, 제2 이동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는 전방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고, 전방 카메라를 통해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보행 과정을 촬영하고, 타깃 인터랙션 대상이 이미지에서의 위치를 비교하는 것을 통해, 타깃 인터랙션 대상과 디스플레이 스크린 간의 거리를 결정하고; 다시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에서 타깃 인터랙션 대상이 이미지에서의 위치 변화 및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의 시간 정보를 통해,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실제 이동 방향 및 실제 이동 속도를 결정하고, 제2 이동 정보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기기는 실제 시나리오 이미지에 따라 삼차원 공간을 구축하고,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에서 타깃 인터랙션 대상이 이미지에서의 위치에 따라 타깃 인터랙션 대상이 삼차원 공간에서의 좌표를 결정함으로써, 타깃 인터랙션 대상이 삼차원 공간에서 좌표의 변화 상황에 따라, 제2 이동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이동 정보는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실제 이동 방향 및 실제 이동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단계 S302에서 제어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를 결정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구현은,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601에 있어서,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실제 이동 방향 및 실제 이동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1 이동 방향 및 제1 이동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여기서, 제1 이동 방향 및 제1 이동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제1 이동 정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고; 제2 이동 정보는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실제 이동 방향 및 실제 이동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이로써, 디스플레이 기기는 제2 이동 정보를 획득한 이후,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실제 이동 방향 및 실제 이동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를 결정할 수 있고; 제1 이동 정보는 제1 이동 방향 및 제1 이동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이동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고, 제1 이동 방향을 제1 이동 정보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기기는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이동 방향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슬라이드 레일에서 투영된 방향을 제1 이동 방향으로 사용하고;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 슬라이드 레일의 방향은 왼쪽 및 오른쪽이고,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이동 방향이 왼쪽인 경우, 제1 이동 방향은 왼쪽이고;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이동 방향이 전방 왼쪽인 경우, 슬라이드 레일에 투영된 방향은 왼쪽이고, 제1 이동 방향은 왼쪽이며; 타깃 인터랙션 대상이 정지한 경우, 타깃 인터랙션 대상은 실제 이동 방향이 존재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스크린도 제1 이동 방향이 존재하지 않으며, 즉 디스플레이 스크린도 정지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기기는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이동 속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속도를 결정할 수 있고, 제1 이동 속도를 제1 이동 정보로 사용하고; 여기서, 제1 이동 속도 및 실제 이동 속도는 정비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실제 이동 속도를 제1 이동 속도로 사용할 수 있고; 실제 이동 속도를 기설정된 복수 개의 속도 범위로 분할할 수도 있으며, 각 범위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이동 속도에 대응됨으로써, 실제 이동 속도가 속한 속도 범위를 결정한 이후, 대응되는 제1 이동 속도를 결정할 수 있고; 실제 이동 속도에 따라 제1 이동 속도를 결정하는 방식에 대해, 실제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이동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고, 다시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이동 속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속도를 결정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를 결정하고, 제1 이동 방향 및 제1 이동 속도를 제1 이동 정보로 사용한다.
단계 S602에 있어서, 제1 이동 방향 및 제1 이동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이동하는 것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이동 방향 및 제1 이동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결정한 이후,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1 이동 방향 및 제1 이동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이동 정보는 제1 이동 방향이고, 디스플레이 기기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1 이동 방향 및 기설정된 이동 속도에 따라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다시 말해, 타깃 인터랙션 대상이 이동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제1 이동 방향 및 기설정된 이동 속도에 따라 이동되고; 타깃 인터랙션 대상이 정지한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정지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이동 정보는 제1 이동 속도이고, 디스플레이 기기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기설정된 이동 방향 및 제1 이동 속도에 따라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예시적으로, 타깃 인터랙션 대상은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순차적으로 각 전시물을 관람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방향은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기설정될 수 있고, 제일 왼쪽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이동되는 초기 위치이고; 이로써, 디스플레이 기기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속도를 결정한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제1 이동 속도에 따라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타깃 인터랙션 대상이 제1 이미지 수집 장치의 촬영 범위를 초과한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정지되고; 또는, 초기 위치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이동 정보는 제1 이동 방향 및 제1 이동 속도이고, 디스플레이 기기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1 이동 방향 및 제1 이동 속도에 따라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실제 이동 속도와 제1 이동 속도는 정비례하기 때문에,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이동 속도가 빠를수록,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이동 속도도 빠르며;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이동 속도가 느릴수록,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이동 속도도 느리다.
예시적으로,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실제 이동 방향이 왼쪽이고, 실제 이동 속도가 0.3m/s인 경우, 이로써 제1 이동 방향이 왼쪽이고, 제1 이동 속도가 0.3m/s인 것을 결정하고; 실제 이동 속도가 0.4m/s로 향상된 경우, 제1 이동 속도도 0.4m/s이고; 이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타깃 인터랙션 대상도 왼쪽으로 동시에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이동 정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속도를 포함한다. 단계 S303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가상 효과 이미지를 얻는 구현은,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701에 있어서, 제1 이동 속도에 기반하여, 가상 대상의 제1 동작 데이터를 결정하고; 여기서, 상이한 제1 이동 속도는 상이한 제1 동작 데이터에 대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속도를 결정한 이후, 제1 이동 속도에 기반하여 가상 대상의 제1 동작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고; 제1 동작 데이터는 가상 대상 이동 상태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이동이 비교적 빠른 경우, 제1 동작 데이터는 가상 대상이 이동이 비교적 빠르다는 것을 표시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 이동이 비교적 느린 경우, 제1 동작 데이터는 가상 대상이 비교적 느리다는 것을 표시하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정지된 경우, 제1 동작 데이터는 가상 대상이 레저 상태인 것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동작 데이터는 가상 대상의 스텝 스케일; 가상 대상의 스텝 주파수; 가상 대상의 팔다리의 스윙 진폭; 가상 대상의 팔다리의 스윙 주파수; 가상 대상의 기설정된 지시 동작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각 제1 동작 데이터는 복수 개의 데이터가 설정될 수 있고, 각 데이터는 가상 대상의 상이한 이동 속도를 표시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속도 및 제1 동작 데이터의 대응 관계를 설정하고, 대응 관계를 통해 제1 동작 데이터를 결정한다.
여기서, 제1 이동 속도는 하나의 제1 동작 데이터와 대응될 수 있고, 복수 개 종류의 제1 동작 데이터에 대응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제1 이동 속도는 상이한 속도 범위에 따라 분류될 수 있고, 각 타입은 하나의 제1 동작 데이터에 대응되며; 제1 동작 데이터로 스텝 스케일을 예를 들면, 제1 이동 속도가 (0.1-0.3)m/s인 경우, 대응되는 스텝 스케일은 0.2m이고; 제1 이동 속도가 (0.3-0.5)m/s인 경우, 대응되는 스텝 스케일은 0.4m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정지된 경우, 제1 이동 속도가 0인 경우, 제1 동작 데이터를 기설정된 지시 동작 데이터로 결정하고; 기설정된 지시 동작 데이터는 가상 대상이 레저 상태인 것을 표시하며, 기설정된 지시 동작 데이터는, 가상 대상이 손을 흔드는 동작 데이터, 가상 대상이 자유롭게 보행하는 동작 데이터, 가상 대상이 팔을 벌려 환영하는 동작 데이터 등을 포함하고; 기설정된 지시 동작 데이터에 대해 필요에 따라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S702에 있어서, 제1 동작 데이터에 기반하여,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가상 대상의 제1 동작 효과를 얻고; 가상 효과 이미지는 제1 동작 효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동작 데이터를 결정한 이후, 제1 동작 데이터에 기반하여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가상 대상의 제1 동작 효과를 얻고; 상이한 제1 동작 데이터는 상이한 제1 동작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이한 스텝 스케일을 통해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얻은 제1 동작 효과는 상이하고; 스텝 스케일 0.2m 및 스텝 스케일 0.4m를 비교하면, 대응되는 가상 대상의 제1 동작 효과에서 나타나는 스텝 크기가 상이하며; 스텝 스케일 0.2m에 대응되는 제1 동작 효과는 도 4a를 참조하고, 스텝 스케일 0.4m에 대응되는 제1 동작 효과는 도 4b를 참조하며, 도 4b에서 가상 대상의 스텝 스케일은 도 4a에서의 스텝 스케일보다 크며; 다시 말해, 상이한 스텝 스케일에 대응되는 상이한 스텝 크기를 설정하고, 스텝 크기를 통해 가상 대상의 이동 속도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지시 동작 데이터를 통해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기설정된 지시 동작을 얻을 수 있고; 예를 들어 가상 대상이 손을 흔드는 동작, 가상 대상이 자유롭게 보행하는 동작 데이터 등을 얻을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속도에 따라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제1 동작 효과를 얻고, 제1 동작 효과의 상이한 구현은 제1 이동 속도의 차이를 구현하고; 다시 말해,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이동 속도가 빠를수록,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이동 속도가 빠르고, 제1 동작 효과가 가상 대상의 이동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로써 디스플레이의 유연성을 증가하고, 디스플레이 효과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이동 정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방향을 포함한다. 단계 S303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가상 효과 이미지를 얻는 구현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801에 있어서, 제1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가상 대상의 제2 동작 데이터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방향을 결정한 이후, 제1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가상 대상의 제2 동작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고; 제2 동작 데이터는 가상 대상의 타깃 방향의 전환 과정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정지된 경우, 가상 대상은 타깃 인터랙션 대상을 향할 수 있고; 기설정된 지시 동작을 실행할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이동을 시작하는 경우, 가상 대상은 현재 방향에서 이동 방향으로 전환되고, 다시 이동 방향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동작 데이터는 가상 대상의 회전 방향을 포함할 수 있고, 가상 대상의 회전을 통해 가상 대상의 이동 방향이 개변된 것을 표시하고; 제2 동작 데이터는 가상 대상의 왼쪽/오른쪽 팔을 드는 것일 수도 있으며; 가상 대상이 왼쪽 팔을 드는 것을 통해 가상 대상의 이동 방향이 왼쪽인 것을 표시하고; 여기서, 제2 동작 데이터에 대해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동작 효과는 가상 대상의 회전 동작을 포함하고; 단계 S801에서 제1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가상 대상의 제2 동작 데이터를 결정하는 구현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8011에 있어서, 제1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가상 대상의 타깃 방향을 결정하고; 타깃 방향과 제1 이동 방향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방향을 가상 대상의 타깃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이동 방향이 왼쪽인 경우, 가상 대상의 타깃 방향이 왼쪽인 것을 결정하고; 제1 이동 방향이 오른쪽인 경우, 가상 대상의 타깃 방향이 오른쪽인 것을 결정하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정지된 경우, 가상 대상의 타깃 방향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정면 앞인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8012에 있어서, 가상 대상의 현재 방향과 타깃 방향이 상이한 경우, 현재 방향을 타깃 방향으로 전환하고, 가상 대상의 방향 전환 정보를 얻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방향이 변화가 발생한 경우, 가상 대상의 현재 방향과 타깃 방향은 상이하고, 가상 대상을 현재 방향으로부터 타깃 방향으로 전환함으로써, 가상 대상의 방향 전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정지로부터 이동을 시작한 경우, 가상 대상의 현재 방향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정면 앞이고, 타깃 방향이 오른쪽이면, 방향 전환 정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정면 앞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도 6a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정지된 경우 가상 대상의 현재 방향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정면 앞이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정지로부터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가상 대상은 오른쪽으로 회전하고, 회전 이후의 가상 대상의 방향은 오른쪽이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단계 S8013에 있어서, 방향 전환 정보에 따라, 제2 동작 데이터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향 전환 정보가 결정된 이후, 제2 동작 데이터의 가상 대상이 현재 방향으로부터 타깃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계속하여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상 대상의 현재 방향 및 타깃 방향이 동일하기 때문에, 가상 대상이 방향 전환을 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가상 대상의 타깃 방향을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S802에 있어서, 제2 동작 데이터에 기반하여,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가상 대상의 제2 동작 효과를 얻고; 가상 효과 이미지는 제2 동작 효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동작 데이터를 결정한 이후, 제2 동작 데이터에 기반하여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가상 대상의 제2 동작 효과를 얻고; 상이한 제2 동작 데이터는 상이한 제2 동작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정지된 경우, 타깃 인터랙션 대상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정면 앞에 위치하고, 가상 대상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정면 앞을 향하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방향이 왼쪽인 경우, 제2 동작 효과는 가상 대상이 왼쪽으로 회전하는 것이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방향이 오른쪽인 경우, 제2 동작 효과는 가상 대상이 오른쪽으로 회전하는 것이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오른쪽으로 이동한 이후 정지된 경우, 제2 동작 효과는 가상 대상이 오른쪽을 향한 것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정면 앞을 향하도록 회전하는 것이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제1 이동 방향을 통해 제2 동작 데이터를 결정함으로써,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제2 동작 효과를 얻고, 제2 동작 효과를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이동 방향의 변화를 디스플레이하여, 디스플레이의 유연성을 증가하고, 디스플레이 효과를 향상시킨다.
상기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901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정지된 경우, 제2 이미지 수집 장치를 통해, 실제 시나리오 이미지를 수집한다.
단계 S902에 있어서, 실제 시나리오 이미지의 이미지 내용을 식별하여, 타깃 전시 대상을 얻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또한 제2 이미지 수집 장치가 설치되고, 실제 시나리오의 이미지를 수집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실제 시나리오는 건축물 실내 시나리오, 거리 시나리오, 구체적인 물체 등이 가상 대상과 중첩될 수 있는 시나리오일 수 있고, 실제 시나리오에 가상 대상을 중첩하는 것을 통해,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의 효과를 나타내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AR기술은 가상 정보와 실제 세계가 영리하게 융합되는 기술이고, 사용자는 AR기기를 통해 실제 시나리오에 중첩된 가상 대상을 관람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실제 캠퍼스 운동에 중첩된 가상 나무, 하늘에 중첩된 가상 날아다니는 새 등일 수 있고, 증강 현실 시나리오에서 가상 대상을 나타내는 효과를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정지된 경우, 디스플레이 기기는 수집한 실제 시나리오 이미지를 식별하는 것에 기반하여, 실제 시나리오에서의 타깃 전시 대상을 얻고; 디스플레이 기기는 타깃 전시 대상 및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가상 전시 대상을 얻는다.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정지된 경우, 디스플레이 기기는 실제 시나리오 이미지가 타깃 전시 대상을 식별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가상 대상의 기설정된 지시 동작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단계 S903에 있어서, 타깃 전시 대상의 가상 전시 데이터를 획득하고, 가상 전시 데이터 및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가상 전시 이미지를 얻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타깃 전시 대상을 식별한 이후, 디스플레이 기기는 타깃 전시 대상의 가상 전시 데이터를 획득하여, 가상 전시 데이터 및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가상 전시 이미지를 얻는다.
예시적으로, 타깃 전시 대상은 문화재이고, 문화재의 가상 전시 데이터는 문화재의 명칭, 크기, 발굴 연대, 문화재의 설명, 가상의 디테일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가상 대상은 문화재에 대한 관광 안내원으로 사용되어 전시를 진행할 수 있고, 따라서, 디스플레이 기기는 또한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가상 대상으로 하여금 기설정된 설명 동작을 나타내도록 하고, 가상 대상의 디스플레이 위치 및 디스플레이 크기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해 조정을 진행하여, 가상 대상이 문화재를 가리는 것을 예방한다.
단계 S904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가상 전시 이미지와 실제 시나리오가 중첩되는 증강 현실 효과를 디스플레이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렌더링하여 가상 전시 대상을 얻은 이후, 가상 전시 대상 및 수집된 실제 시나리오 이미지를 중첩하여, 증강 디스플레이 효과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8은 디스플레이 효과의 예시도이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스크린(800)이 정지된 경우, 결정된 타깃 전시 대상은 문화재(804)이고, 또한, 문화재(804)는 실제 시나리오 이미지에서 이미지 오른쪽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대상(805)은, 디스플레이 스크린(800)의 왼쪽에 위치하며, 문화재(804)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오른쪽에 위치하며, 문화재(804)의 가상 전시 데이터는, 문화재 설명(8041) 및 문화재 가상 디테일(8042)을 포함하며; 여기서, 문화재 설명(8041)은 “직경 75.6cm”일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투명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거나 불투명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일 수 있다. 여기서, 투명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OLED 디스플레이 스크린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기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불투명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인 경우, 불투명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뒷면(즉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설치하지 않으면)에 단안 카메라 또는 쌍안 카메라를 설치할 수 있고, 불투명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뒷면에 마주한 타깃 전시 대상을 수집하고, 불투명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정면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통해 타깃 전시 대상에 대응되는 실제 시나리오 이미지와 가상 전시 이미지가 중첩되는 증강 현실 AR 효과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로써, 타깃 인터랙션 대상은 불투명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정면에 위치하여, 실제 시나리오 이미지와 가상 전시 이미지가 중첩되는 증강 현실 AR 효과를 관람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기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투명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인 경우, 투명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일측에 단안 카메라 또는 쌍안 카메라를 설치할 수 있고, 투명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일측에 위치한 전시물을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기기는 수집된 타깃 전시 대상을 식별하는 것을 통해, 투명한 스크린에서 타깃 전시 대상에 대응되는 실제 시나리오 이미지와 가상 전시 이미지가 중첩되는 증강 현실 AR 효과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기반하여, 도 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효과 예시도를 참고하면, 타깃 인터랙션 대상은 투명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통해 투명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뒷면에 위치한 타깃 전시 대상을 관람할 수 있고, 투명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부터 상기 증강 현실 AR 효과를 관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가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선택 가능한 구성 구조 예시도이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제어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부(1001);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이동되게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1002);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가상 효과 이미지를 얻도록 구성된 렌더링부(1003);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가상 효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부(100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획득부(1001)는 또한, 단말에 대한 터치 조작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조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획득부(1001)는 또한 제1 이미지 수집 장치를 통해, 실제 시나리오에서의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를 수집하고; 상기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에 따라, 상기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에서의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제2 이동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 - 상기 제2 이동 정보를 상기 제어 정보로 사용함 -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정보는 상기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실제 이동 방향 및 실제 이동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002)는 또한, 상기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실제 이동 방향 및 실제 이동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1 이동 방향 및 제1 이동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결정 - 상기 제1 이동 방향 및 상기 제1 이동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이동 정보이고, 상기 실제 이동 속도와 상기 제1 이동 속도는 정비례함 - 하고; 상기 제1 이동 방향 및 상기 제1 이동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이동되게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속도를 포함하고; 상기 렌더링부(1003)는 또한, 상기 제1 이동 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대상의 제1 동작 데이터를 결정 - 상이한 제1 이동 속도는 상이한 제1 동작 데이터에 대응됨 - 하고; 및 상기 제1 동작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상기 가상 대상의 제1 동작 효과를 얻도록 구성 - 상기 가상 효과 이미지는 상기 제1 동작 효과를 포함함 -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데이터는,
가상 대상의 스텝 스케일;
가상 대상의 스텝 주파수;
가상 대상의 팔다리의 스윙 진폭;
가상 대상의 팔다리의 스윙 주파수;
가상 대상의 기설정된 지시 동작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정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렌더링부(1003)는 또한, 상기 제1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대상의 제2 동작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동작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상기 가상 대상의 제2 동작 효과를 얻도록 구성 - 상기 가상 효과 이미지는 상기 제2 동작 효과를 포함함 -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 효과는 상기 가상 대상의 회전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렌더링부(1003)는 또한, 상기 제1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대상의 타깃 방향을 결정 - 상기 타깃 방향과 상기 제1 이동 방향은 동일함 - 하고; 상기 가상 대상의 현재 방향과 상기 타깃 방향이 상이한 경우, 상기 현재 방향을 타깃 방향으로 전환하고, 상기 가상 대상의 방향 전환 정보를 얻으며; 상기 방향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동작 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수집부(1005, 도에 예시되지 않음)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정지된 경우, 제2 이미지 수집 장치를 통해, 실제 시나리오 이미지를 수집하도록 구성되고; 식별부(1006, 도에 예시되지 않음)는 상기 실제 시나리오 이미지의 이미지 내용을 식별하여, 타깃 전시 대상을 얻도록 구성되며; 상기 렌더링부(1003)는 또한, 상기 타깃 전시 대상의 가상 전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가상 전시 데이터 및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가상 전시 이미지를 얻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가상 전시 이미지와 상기 실제 시나리오가 중첩되는 증강 현실 효과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1005)는 또한, 제1 이미지 수집 장치를 통해, 실제 시나리오의 다중 프레임 이미지를 수집하고; 상기 다중 프레임 이미지로부터 복수 개의 인터랙션 대상을 식별하며; 상기 복수 개의 인터랙션 대상으로부터 상기 타깃 인터랙션 대상을 결정하며; 상기 다중 프레임 이미지에서 상기 타깃 인터랙션 대상을 포함한 이미지를 상기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투명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거나 불투명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타 실시예에 있어서, “부분”은 부분 회로, 부분 프로세서, 부분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 등일 수 있으며, 물론 유닛일 수도 있고, 또한 모듈 방식 또는 비모듈 방식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더 제공하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선택 가능한 구성 구조 예시도이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11)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가상 효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스크린(1101);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1102);
상기 메모리(1102)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1101)과 결합하여,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한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1103)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기기(11)는 통신 버스(1104)를 더 포함한다. 통신 버스(1104)는 이러한 컴포넌트 간의 연결 통신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1102)는 프로세서(1103)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응용을 저장하고, 프로세서(1103) 및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각 모듈에 의해 이미 처리되었거나 처리될 데이터(예를 들어, 이미지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음성 통신 데이터 및 동영상 통신 데이터)를 캐싱하며, 플래시(FLASH)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를 통해 구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103)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상기 어느 한 항의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프로세서(1103)는 디스플레이 기기(11)의 전체 조작을 일반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응용 주문형 직접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DSPD), 프로그래머블 논리 기기(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전술 한 프로세서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는 또한 다른 장치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작동될 경우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실시예에 따른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의 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메모리는 판독 가능한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자기 랜덤 액세스 메모리(ferro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F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자기 표면 메모리, 광 디스크, 또는 판독 전용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일 수 있으며; 자기 표면 메모리는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테이프 스토리지일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저장 매체 및 기기 실시예의 설명은,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실시예의 설명과 유사한 것으로서, 방법 실시예와 유사한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저장 매체 및 기기 실시예에서 미개시한 기술적인 세부 사항은,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가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작동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명세서에서 언급한 "하나의 실시예" 또는 "일 실시예"는 실시예와 관련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명세서 각 곳에서 나타난 "하나의 실시예에서" 또는 "일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실시예를 무조건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실시예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각 종류의 실시예에서, 상기 각 과정의 번호의 크기는 수행 순서의 선후를 의미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실시 과정은 어떠한 것도 한정하지 않으며, 각 과정의 수행 순서는 그 기능 및 내적 논리에 따라 확정된다. 상기 본 발명 실시예의 번호는 다만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실시예의 우열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제공된 몇 개의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방법은 다른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다만 예시적인 것이고,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분할은 다만 논리적 기능 분할일 뿐이고 실제 응용시 다른 분할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 조합 또는 통합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생략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디스플레이되거나 논의된 구성 요소 사이의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한 기기 또는 유닛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으며,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 일 수 있다.
상기 분리된 부재로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고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 디스플레이된 부재는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즉 동일한 장소에 위치할 수도 있고, 또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으며; 실제 필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전부 통합될 수 있으며, 각 유닛이 각각 독립적으로 하나의 유닛으로서 존재할 수도 있거나,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으며; 상기 통합된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상기 통합된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 방안, 즉 관련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복수 개의 명령어를 포함하여 기기 자동 테스트 라인으로 하여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를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모바일 저장 장치, RO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한 몇 개의 방법 실시예에서 언급된 방법은, 충돌되지 않는 경우 임의로 조합되어, 새로운 방법 실시예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한 몇 개의 방법 또는 기기 실시예에서 언급된 특징은, 충돌되지 않는 경우 임의로 조합되어, 새로운 방법 실시예 또는 기기 실시예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다만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일 뿐이고,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에서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의 변화 또는 교체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해야 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상기 특허 청구 범위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고, 가상 대상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이동으로 하여금 상응한 가상 효과 이미지가 나타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의 유연성을 증가하고, 디스플레이 효과를 향상시킨다.

Claims (15)

  1.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디스플레이 기기에 적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는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가상 효과 이미지를 얻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가상 효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단말에 대한 터치 조작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조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1 이미지 수집 장치를 통해, 실제 시나리오에서의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에 따라, 상기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에서의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제2 이동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2 이동 정보를 상기 제어 정보로 사용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정보는 상기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실제 이동 방향 및 실제 이동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실제 이동 방향 및 실제 이동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1 이동 방향 및 제1 이동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이동 방향 및 상기 제1 이동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이동 정보이고, 상기 실제 이동 속도와 상기 제1 이동 속도는 정비례함 - ; 및
    상기 제1 이동 방향 및 상기 제1 이동 속도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속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가상 효과 이미지를 얻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동 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대상의 제1 동작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 상이한 제1 이동 속도는 상이한 제1 동작 데이터에 대응됨 - ; 및
    상기 제1 동작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상기 가상 대상의 제1 동작 효과를 얻는 단계 - 상기 가상 효과 이미지는 상기 제1 동작 효과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데이터는,
    가상 대상의 스텝 스케일;
    가상 대상의 스텝 주파수;
    가상 대상의 팔다리의 스윙 진폭;
    가상 대상의 팔다리의 스윙 주파수;
    가상 대상의 기설정된 지시 동작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정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가상 효과 이미지를 얻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대상의 제2 동작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동작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상기 가상 대상의 제2 동작 효과를 얻는 단계 - 상기 가상 효과 이미지는 상기 제2 동작 효과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 효과는 상기 가상 대상의 회전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대상의 제2 동작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대상의 타깃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타깃 방향과 상기 제1 이동 방향은 동일함 - ;
    상기 가상 대상의 현재 방향과 상기 타깃 방향이 상이한 경우, 상기 현재 방향을 타깃 방향으로 전환하고, 상기 가상 대상의 방향 전환 정보를 얻는 단계; 및
    상기 방향 전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동작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정지된 경우, 제2 이미지 수집 장치를 통해, 실제 시나리오 이미지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실제 시나리오 이미지의 이미지 내용을 식별하여, 타깃 전시 대상을 얻는 단계;
    상기 타깃 전시 대상의 가상 전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가상 전시 데이터 및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가상 전시 이미지를 얻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가상 전시 이미지와 상기 실제 시나리오가 중첩되는 증강 현실 효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수집 장치를 통해, 실제 시나리오에서의 타깃 인터랙션 대상의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를 수집하는 단계는,
    제1 이미지 수집 장치를 통해, 실제 시나리오의 다중 프레임 이미지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다중 프레임 이미지로부터 복수 개의 인터랙션 대상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인터랙션 대상으로부터 상기 타깃 인터랙션 대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다중 프레임 이미지에서 상기 타깃 인터랙션 대상을 포함한 이미지를 상기 다중 프레임 인터랙션 이미지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투명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거나 불투명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12. 가상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어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부;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이동되게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이동 정보에 따라, 가상 대상에 대해 렌더링을 진행하여, 가상 효과 이미지를 얻도록 구성된 렌더링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상기 가상 효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디스플레이 장치.
  13. 디스플레이 기기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가상 효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결합하여,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14.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15.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가 컴퓨터 기기에서 작동될 때, 상기 컴퓨터 기기에서의 프로세서는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7026538A 2020-07-31 2021-05-24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202201160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763221.X 2020-07-31
CN202010763221.XA CN111880720B (zh) 2020-07-31 2020-07-31 虚拟显示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PCT/CN2021/095583 WO2022022029A1 (zh) 2020-07-31 2021-05-24 虚拟显示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056A true KR20220116056A (ko) 2022-08-19

Family

ID=73204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6538A KR20220116056A (ko) 2020-07-31 2021-05-24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501642A (ko)
KR (1) KR20220116056A (ko)
CN (1) CN111880720B (ko)
WO (1) WO20220220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80720B (zh) * 2020-07-31 2022-05-27 北京市商汤科技开发有限公司 虚拟显示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270767A (zh) * 2020-11-09 2021-01-26 重庆智慧之源科技有限公司 建筑物虚拟显示控制方法、装置、可穿戴设备及存储介质
CN114003092A (zh) * 2021-10-29 2022-02-01 深圳康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虚拟现实的智能显示设备及虚拟现实方法
CN114618163A (zh) * 2022-03-21 2022-06-14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虚拟道具的驱动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4942716A (zh) * 2022-05-11 2022-08-26 美的集团(上海)有限公司 Vr场景建立方法及装置
CN116681869B (zh) * 2023-06-21 2023-12-19 西安交通大学城市学院 基于虚拟现实应用的文物3d展示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16451B (zh) * 2013-01-25 2018-10-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的虚拟角色交互方法、装置和系统
US9851805B2 (en) * 2014-12-24 2017-12-26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haptically-enabled holders
CN208418084U (zh) * 2018-05-15 2019-01-22 宁波市沃野文化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滑轨电视交互展示系统
CN210344839U (zh) * 2019-05-20 2020-04-17 杭州立众数字科技有限公司 互动滑轨屏
CN110397827A (zh) * 2019-07-22 2019-11-01 上海爱道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互动轨道屏装置
CN211118620U (zh) * 2019-11-15 2020-07-28 李莉 一种电动移动式滑轨屏
CN111880720B (zh) * 2020-07-31 2022-05-27 北京市商汤科技开发有限公司 虚拟显示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22029A1 (zh) 2022-02-03
JP2023501642A (ja) 2023-01-18
CN111880720A (zh) 2020-11-03
CN111880720B (zh)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16056A (ko) 가상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1823182B1 (ko) 동작의 속성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상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효과
JP7344974B2 (ja) マルチ仮想キャラクターの制御方法、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043031B2 (en) Content display property management
Arth et al. The history of mobile augmented reality
JP7008730B2 (ja) 画像に挿入される画像コンテンツについての影生成
US9224237B2 (en) Simulating three-dimensional views using planes of content
CN111701238A (zh) 虚拟画卷的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WO2017134886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EP3106963B1 (en) Mediated reality
ES2688643T3 (es) Aparato y método de realidad aumentada
WO2015102904A1 (en) Augmented reality content adapted to space geometry
CN111344749A (zh) 引向用户关注
EP3814876B1 (en) Placement and manipulation of objects i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US9672588B1 (en) Approaches for customizing map views
CN108744511B (zh) 虚拟环境中的瞄准镜显示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3209610B (zh) 虚拟场景画面展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2891940A (zh) 图像数据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计算机设备
Woodworth et al. Using the Kinect for Head-Tracked Perspective and Pointing in Stationary VR Displays.
CN113559500A (zh) 动作数据的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599809A (zh) 虚拟地图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00031259A (ko) 인터랙션 콘텐츠에 대한 영상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