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8218A - 3차원 전자 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전자 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8218A
KR20040058218A KR10-2004-7005936A KR20047005936A KR20040058218A KR 20040058218 A KR20040058218 A KR 20040058218A KR 20047005936 A KR20047005936 A KR 20047005936A KR 20040058218 A KR20040058218 A KR 20040058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uminescent
electroluminescent display
main body
display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5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2849B1 (ko
Inventor
에밀 엔쯔
Original Assignee
루미테크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573903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005821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CH20052001A external-priority patent/CH695623A5/de
Application filed by 루미테크 아게 filed Critical 루미테크 아게
Publication of KR20040058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8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8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bstract

3차원 전자 발광 표시장치는 메인 바디(1) 및 전자 발광 표시장치(20)를 포함한다. 본 전자 발광 표시장치(20)는 함께 전체를 형성하는 막(2) 및 전자 발광 소자(10)를 포함한다. 전자 발광 소자(10)를 향하는 상기 막(2)의 표면에는 표시용 모티프(9)가 제공된다. 발광 소자(10)는 전방 전극(11) 및 후방 전극(12)을 포함하며, 전극들 사이에는 유전체(13)가 배치된다. 전방 전극(11)은 모티브를 나타내는 층을 가지며 이 층과 일체형으로 구현된다. 공급 소스(15)는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의 전극(11, 12)과 접촉하는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의 표면 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3차원 전자 발광 표시장치{THREE-DIMENSIONAL ELECTROLUMINESCENCE DISPLAY}
이러한 방식의 3차원 전자 발광 표시장치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장치는 투명한 플레이트를 갖는다. 예컨대, 투명한 플레이트의 전방 큰 표면은 예컨대 그래픽, 심볼, 화상 등과 같은 모티프가 실시될 수 있는 광 불투과성 층을 갖는다. 모티프의 보호를 위해, 모티프의 전방면은 예컨대 투명한 경질 수지로 이루어진 보호층으로 커버된다. 전자 발광 소자 또는 EL 램프는 모티프 반대편 플레이트 측면에 장착된다. EL 램프는 러그들을 갖는데, 러그들 중 하나는 EL 램프의 전극 중 하나에 접속되며 다른 러그는 EL 램프의 다른 전극에 접속된다. 러그를 통해 EL 램프에 전기 에너지가 공급된다.
상술한 공지된 장치의 전방 영역은 다수의 층이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복잡하게 구성된다. 또한, 종종 표시장치가 편평하지 않은 형상을 가져야 한다. 즉, 종종 표시장치가 윈도우 또는 홈을 가져야 하고, 윈도우 또는 홈의 측면도 조명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EL 램프가 표시장치의 전방면으로부터 윈도우 또는 홈을 형성하는 측벽의 영역까지 미쳐야 한다. 특히, 상술한 공지된 표시장치에서는 균열 형성 경향이 있는 층 구성으로 인해, 표시장치가 부드럽게 휘어질 수 있다. 공지된 표시장치의 휘어진 섹션의 최소 반경은 약 6 mm의 범위에 놓인다. 이것은 예컨대 자동차 패널 장치에서 너무 큰 반경이다. 또한, 러그를 EL 램프의 전극에 장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그 이유는 전극이 매우 얇은 층으로 형성되는 한편, 러그는 상기 전극 층에 비해 비교적 두꺼운 재료의 스트립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투명한 전방부와 전방부 뒤에 배치된 전자 발광 소자를 구비한 3차원 전자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전자 발광 표시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정면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부품의 수직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표시장치로 가공되기 전 반제품 일부의 단면도.
도 4는 디프 드로잉 처리 후, 도 3에 따른 반제품의 단면도.
도 5는 표시장치의 메인 바디를 형성하는 적합한 재료로 백(back) 사출 성형된 후, 도 4에 따른 반제품의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따른 메인 바디가 제조될 수 있는 몰드의 단면도.
도 7은 접촉 지점에 있는 도 1 또는 도 2에 따른 표시장치 영역의 일부의 단면도.
도 8은 접촉 지점에 있는 도 1 또는 도 2에 따른 표시장치의 에지 영역 중 하나의 일부의 단면도.
도 9는 표시장치의 메인 바디 내부에서 공급 소스의 차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표시장치의 휘어진 부분을 나타낸 수직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의 상기 단점 및 다른 단점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목적은 상술한 방식의 3차원 전자 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청구항 1의 특징부에 규정된 바와 같은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전자 발광 표시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정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3차원 전자 발광 표시장치는 이하에서 표시장치라 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표시장치의 수직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표시장치는 전자 발광 표시장치(20)를 가진 표면 접착 메인 바디(1)를 갖는다. 본 표시장치(20)는 메인 바디(1)의 정면(103)에 장착되고, 화상, 수 등과 같은 소정 그래픽 표시를 빛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디(1)는 사출 성형 공정으로 가공될 수 있는 적합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은 예컨대 아크릴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롤터폴리머(ABS)로 된 재료일 수 있다.
도시된 표시장치의 메인 바디(1)의 정면(103)에는 원형의 윤곽을 가진 홈(101)이 형성된다. 홈(101)은 원형의 측벽(102)을 가지며, 측벽의 내부면은 표면 접착 메인 바디(1)의 정면(103) 또는 메인 평면에 대해 실제적으로 직각이다. 홈(101)의 내부면(102)의 섹션의 표면은 메인 바디(1)의 정면(103)에 연결된다. 따라서, 측벽(102)은 표면 접착 메인 바디(1)의 정면(103)으로부터 하부로 또는 후방으로 연장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의섹션(201)은 메인 바디 홈(101)의 내부에서 연장되고, 홈(101)을 형성하는 벽(102)의 내부면의 일부를 덮는다.
홈(101)은 또한 바닥(105)을 포함하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 바닥은 대략 홈(101)의 측벽(102)의 1/2 높이에 위치한다. 바닥(105)의 중앙에는 개구(106)가 형성되는데, 개구를 통해 예컨대 퍼텐셔미터(도시되지 않음)의 축이 관통할 수 있다. 퍼텐셔미터의 축의 돌출 단부에는 작동 노브가 장착될 수 있다. 홈의 벽(102)에 대해 실제로 평행하게 연장된 확대 트랙(107)(도 1)은 제어된 크기, 예컨대 음의 세기가 더 큰 값을 갖는 방향을 지시한다.
장치의 메인 바디(1)의 다른 영역에는, 후방으로 개방된 공동부(7)가 형성된다. 공동부(7)는 사각형 윤곽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공동부(7)의 측면은 4개의 벽(43)에 의해 형성되며, 벽은 메인 바디(1)의 표면 접착 섹션(103)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다. 공동부(7)는 전기 에너지를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에 공급하기 위한 소스(15)를 수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2에 도시된 경우에서 공동부(7)은 홈(101)의 하부에 놓인다. 도 2에는 접촉 핀(17) 및 (18)이 도시되는데, 접촉 핀을 통해 예컨대 12 볼트의 직류 전압이 소스(15)에 공급될 수 있다. 접촉 핀(17) 및 (18)은, 전자 발광 표시장치(20) 반대편의, 소스(15)의 측면에 배치된다.
도 3은 상기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의 구조를 수직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장치(20)의 일부만이 도시된다. 본 전자 발광 표시장치(20)는 전방의 투명한 또는 적어도 반투명한 표면 접착 막(2)을 포함한다. 막(2)은 도3에서 최상부에 도시되어 있다. 막(2)은 디프 드로잉(deep drawing)될 수 있는 특성을 가져야 한다. 막(2)의 제조에 적합한 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상기 종류의 다른 재료로는 예컨대 Bayer AG사가 상표명 Makrofol®으로 판매하는 막이 있다. 특별한 효과를 얻기 위해, 막(2)이 다층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막(2)의 하면 또는 후면은 2차원의 모티프(9)를 갖는다. 모티프(9)는 예컨대 심볼, 화상, 수 등과 같은 3차원 그래픽 표시일 수 있다. 모티프(9)의 내용은 간격을 두고 나란히 놓인 이산 소자(8) 및 그 사이에 놓인 윈도우(81)에 의해 규정된다. 모티브 소자들(8) 사이의 윈도우(81)를 통해 막(2)을 통과하는 빛은 모티프(9)의 내용을 나타낸다. 모티프 소자(8)는 도 3의 단면도에서 막(2)의 후면에 제공된 이산 라인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모티프(9)는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의 내부에 위치하고, 그 앞에 배치된 막(2)에 의해 예컨대 마모 및 그 밖의 부정적 영향으로부터 보호된다.
막(2)의 후면 및 모티프(9)의 후면에는 고유의 발광 소자(10), 도시된 경우에서는 전자 발광 소자가 장착된다. 이하, 이 소자를 EL 소자 또는 EL 램프(10)라 한다. EL 소자(10)는 서로 이격된 2개의 표면 접착 전극, 즉 전방 전극(11) 및 후방 전극(12)을 갖는다. 유전체(13)가 상기 전극(11) 및 (12) 사이에 배치된다. 유전체(13)는 EL 소자(10)의 전극(11) 및 (12)에 작동 전압이 인가되면 빛을 낼 수 있도록 형성된다. EL 소자(10)의 후면에는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커버층(14)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시, 먼저 전자 발광 표시장치(20)가 제조된다. 제 1 단계에서 막(2)이 준비된다. 즉, 막(2)이 먼저 변형되지 않은, 즉 실제로 편평한 형상으로 주어진다. 막(2)은 전자 발광 표시장치(20)내에서 지지체로서, 특히 EL 소자(10)용 지지체로서 사용된다. 막(2)의 후면에는 예컨대 프린팅에 의해 하나 또는 다수의 모티프(9)가 제공된다. 후속 단계에서, 모티프(9)의 후면 상에 그리고 모티프 소자들(8) 사이에 노출된 막(2)의 후면 영역 상에, 제 1 전극, 즉 EL 소자(10)의 전방 전극(11)이 장착된다. 이것도 공지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의 선택시, 전방 전극(11)이 막(2)상에 가급적이면 양호하게 접착되는지에 주의해야 한다. 전방 전극(11)의 재료는 도전성이고, 그리고 투명하거나 또는 적어도 반투명해야 한다. 전방 전극(11)의 재료는 무기 또는 유기를 기초로 하는 도전성 재료일 수 있다. 예컨대 Baytron®및/또는 폴리아닐린 및/또는 폴리피롤이 예컨대 PU, PMMA, PVA를 기초로 하는 고 유연성 결합제로 변성된다.
전방 전극(11)상에 전술한 유전 재료로 이루어진 다른 층(13)이 제공된다. 상술한 재료는 예컨대 ZnS, BaTiO3의 혼합물 및 고 유연성 결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유전층(13)의 후면, 즉 비어있는 면상에 후방 전극(12)을 형성하는 제 3 층이 제공된다. 후방 전극(12)의 재료는 무기 또는 유기를 기초로 하는 도전성 재료일 수 있다. 예컨대, Baytron®및/또는 폴리아닐린 및/또는 폴리피롤이 예컨대 PU, PMMA, PVA를 기초로 하는 고 유연성 결합제로 변성된다. 도전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층(12)의 재료가 은 또는 탄소와 혼합되거나 및/또는 상기재료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끝으로, 커버층(14)이 EL 소자(10)의 후면에 제공된다.
본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의 후속 처리 때문에, 전자 발광 소자(10)의 개별 층들은 가급적이면 서로 양호하게 접착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개별 층(11) 내지 (14)의 전술한 조성은 상술한 층들의 움직일 수 없는 접착 뿐만 아니라 상술한 층의 지금까지 얻어질 수 없었던 신장성을 보장한다.
EL 소자(10)가 막(2)상에 접착된 전자 발광 표시장치(20)는 이제 디프 드로잉, 스탬핑, 엠보싱, 코이닝(coining)등에 의해 가공된다(도 2 및 도 4). 이렇게 변형된 전자 발광 표시장치(20)는 특히 돌출부(3) 및 홈(4)(도 2)을 가질 수 있다. EL 소자(20)의 상기 섹션(3, 4)의 두께는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의 변형되지 않은 섹션(5)(도 2)의 두께와 동일하다.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의 상술한 변형 동안, 본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의 기능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전자 발광 표시장치(20)내에 관통구가 얻어질 수 있다. 도 4는 이러한 관통구(110)을 가진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의 한 영역을 수직 단면도로 도시한다. 관통구(110)는 원형 윤곽을 가지며, 윤곽에는 짧은 관의 형상을 가진 연장부(201)가 연결된다. 연장부(201)의 벽(111) 또는 벽들은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의 정면(29)에 대해 실제로 직각(알파)으로 놓인다.
연장부(201)는 관통구(110)의 원형 윤곽 내에 있었으며 디프 드로잉에 의해 관통구(110)내로 드로잉되었던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의 재료의 섹션으로 형성되었다. 연장부(201)와, 관통구(110)를 둘러싸는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의 평면 섹션 사이에는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의 휘어진 전이 섹션(6)(도 4 및 도 10)이 배치된다.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의 정면(29)으로부터 연장부(201)의 측면(111)까지 연장된 상기 전이 섹션(6)의 곡률 반경은 매우 작게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층들(2, 9 및 11 내지 14) 간의 움직일 수 없는 접착으로 인해 그리고 지금까지 얻어질 수 없었던 상기 층들(2, 9 및 11 내지 14)의 신장성으로 인해,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의 층들 내에 균열이 생기지 않으면서, 전이 섹션(6)의 곡률 반경이 1 mm 미만일 수 있다. 또한, 연장부(201)의 벽(111)은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의 정면(29)에 대해 실제 90도의 각(알파)으로, 즉 수직으로 놓인다.
유전체(13)는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의 전극(11 및 12)에 비해 비교적 두꺼운 층이다.
유전 층(13)은 다수의 적층된 층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에는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의 전이 영역(6)의 관련 섹션이 확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전자 발광 표시장치(20)는 3개의 층(131, 132 및 133)으로 이루어진 유전층(13)을 갖는다. 유전층들(131, 132 및 133)은 전술한 유전 재료 중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이한 유전 재료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의 제조 동안, 층들(131, 132 및 133)은 개별적으로 그리고 차례로 전방 전극(11)상에 또는 이전에 제공된 층 상에 제공된다.
연장부(201)의 하부 에지(115)는 노출된다.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의 개별 층들 간의 상기 특별한 접착으로 인해 그리고 상기 층들의 높은 신장성으로 인해,전자 발광 표시장치(20)는 그것의 원래 구조 또는 정면(103)의 영역에 있는 구조를 디프 드로잉된 섹션(201)에서도 갖는다. 따라서, 연장부(201)의 원통형 내부면(111)도 전자 발광 표시 소자(10)에 의해 발생된 빛을 방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 연장부(201)의 자유 단부(115)를 전극(11) 및 (12)이 절단 에지(115)에 까지 이르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방 전극(11) 및 후방 전극(12)은 절단 에지(115)로부터 간격을 두고 끝난다. 이와는 달리, 커버층(14) 및 유전층(13)은 절단 에지(115)의 영역에 까지 이른다. 이것은 특히 안전상 장점을 수반한다. 즉, 비교적 높은 전위에 접속된 전극들(11 및 12)이 접촉되지 않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그 자유 에지가 적어도 커버층(14)의 절연 재료에 의해 커버되기 때문이다. 또한, 절단 에지(115)에 까지 이르는 층들(13 및 14)은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의 개별 층들 사이의 공간 내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디프 드로잉 후, 메인 바디(1)는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의 후면에 장착된다. 이것은 예컨대 그것에 적합한 재료와 함께 전자 발광 표시장치(20)를 백(back) 사출 성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적합한 재료 중 몇몇은 앞에서 이미 언급하였다. 도 5는 특히 관형 연장부(201)가 있는 메인 바디(1)의 관련 섹션과 함께, 홈이 있는 도 2에 따른 장치의 일부를 수직 단면도로 도시한다. 메인 바디(1)의 재료는 백(back) 사출 성형 동안 연장부(115)의 외부면에 놓인다.
도 6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장치를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의 백(back)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공구(30)를 도시된다. 공구(30)는 하부(31) 및상부(32)를 갖는다. 하부(31) 및 상부(32)는 서로 매칭되며, 공구(30)가 개폐되어야 할 때 공지된 방식으로 서로 예컨대 선회 가능하게 또는 직선 이동 가능하게 안내될 수 있다. 하부 몰드 부분(31)에는 제 1 다이 인서트(33)가 그리고 상부 몰드 부분(32)에는 제 2 다이 인서트(34)가 배치된다. 각각의 다이 인서트(33 또는 34)내의 공동부의 표면 형상은 관련 다이 인서트(33 또는 34)에 의해 형성되어야 하는 표시장치의 각각의 측면의 소정 표면 형상에 상응한다. 공구 하부(31)에는 채널(37)이 형성되고, 채널(37)을 통해, 공구의 공동부 내에 도달해야 하는 재료가 공구(30)내로 도입되어 공구 내에서 분배된다.
도 2와 관련해서, 막(2)의 표면 형상이 이미 설명되었다. 상부 다이 인서트(34)내의 공동부의 표면 형상은 외부 표면 형상에 또는 막(2)의 전방면의 형상에 상응해야 한다. 상응하는 것이 하부 다이 인서트(33)내의 공동부의 표면 형상에도 적용된다. 여기서는 특히 하부 다이 인서트(33)내의 공동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며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돌출부(38 및 39)가 나타난다. 돌출부(38 및 39)의 높이는 돌출부(38 및 39)의 정면이 백(back) 사출 성형 공정 동안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의 후면상에 놓이도록 선택된다.
이로 인해, 메인 바디(1)의 상기 영역에는 2개의 채널(38 및 39)이 남는데, 이것의 용도는 후술한다.
공급 소스(15)는 전자 부품, 즉 변환기(16)를 포함하는데, 변환기는 예컨대 12V의 비교적 낮은 직류 전압을 EL 소자(10)의 동작에 필요한 비교적 높은 교류 전압으로 변환시킨다. 도시된 경우에서, 변환기(16)는 메인 바디(1)의 공동부(7)에삽입되며 예컨대 고정 슬리브(44)에 의해 관련 장소에 고정된다. 그렇지 않으면, 변환기(16)는 표시장치의 메인 바디(1)내에 부분적으로만 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표시장치와는 독립된 유닛으로서 주어질 수 있다.
변환기(16)의 후면으로부터 접촉핀(17 및 18)이 돌출하며, 접촉핀은 메인 바디(1)의 재료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할 수 있다. 메인 바디(1)로부터 돌출한 접촉핀(17 및 18)의 섹션에는 직류 전압 소스, 예컨대 어큐뮬레이터(도시되지 않음)의 극이 접속될 수 있다.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은 110 V/400Hz일 수 있고 접촉 장치(21 및 22)를 통해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에 접속된다(도 7, 8 및 9).
제 1 접촉 장치(21)는 EL 램프(10)의 후방 전극(12)에 접촉한다. 제 2 접촉 장치(22)는 EL 램프(10)의 전방 전극에 접촉한다. 제 1 접촉 장치(21)는 메인 바디(1)의 제 1 채널(38)내에 놓인다. 제 2 접촉 장치(22)는 메인 바디(1)의 제 2 채널(39)내에 놓인다. 각각의 접촉 장치(21) 또는 (22)는 스프링, 도시된 경우 나사선 스프링(210) 또는 (220)을 포함한다. 스프링((210) 및 (220))의 일 단부가 변환기(16)의 도전성 외부 연결자(211) 또는 (221)에 놓인다. 제 1 접촉 장치(21)의 스프링(210)의 다른 단부는 EL 소자(10)의 후방 전극(12)의 재료 위에 놓인다. 제 2 접촉 장치(22)의 스프링(220)의 다른 단부는 EL 소자(10)의 전방 전극(11)의 재료 위에 놓인다.
도 7에 도시된 장치는 접촉 장치(21) 및 (22)가 EL 램프(10)의 전극(11) 및 (12)이 상하로 놓이지 않는 EL 램프(10)의 영역에 장착되는 경우에 관련된다. 상술한 영역은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EL 램프(10)의 에지 부분(42)일 수 있다. 상기 에지 부분(42)에서는 후방 전극(12)의 에지가 EL 램프(10)의 에지(42)로부터 전방 전극(11)의 에지 보다 더 큰 간격으로 놓인다. 전기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커버링 전극(14)만이 EL 램프(10)의 에지(42)에 까지 이른다.
EL 램프(10)의 전극(11 및 12)이 공급 소스(15)에 의해, 전극(11 및 12)이 상하로 놓인 EL 램프(10)의 내부 영역에서 접촉되어야 하면, 후방 전극(12)의 층 내에 접촉 장치(22)의 통과를 위한 개구(43)가 형성되어야 하고, 접촉 장치(22)는 전방 전극(11)과 접촉해야 한다. 후방 전극(12) 내의 개구(43)는 접촉 장치(22)가 후방 전극(12)과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 통상적으로 후방 전극(12)내의 개구(43)가 충분히 커서, 전방 전극(11)용 접촉 장치(22)의 스프링(220)이 후방 전극(12)과 접촉하지 않기만 하면 된다.
표시장치의 메인 바디(1)가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의 백(back)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후에, 전자 발광 표시장치(20)가 메인 바디(1)상에 접착된다. 공급 소스(15)는 메인 바디(1)의 공동부(7)내에 삽입된다. 특히, 접촉 장치(21 및 22)가 메인 바디(1)의 채널(38 및 39)내에 놓이도록 삽입된다. 그리고 나서, 공급 소스(16)가 공동부(7)내로, 스프링(210 및 220)의 정면 단부가 전자 발광 표시장치(10)의 관련 전극(12 또는 13)의 도전층 상에 놓일 때까지 가압된다. 그 다음에, 공급 소스(15)가 상기 위치에 고정되어야 하는데, 이것은 예컨대 적합한 접착제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공급 소스(15)를 메인 바디(1)에 장착할 수 있는 다른 가능성을 도시한다. 이 경우에는 공급 소스(15)의 중요 부분이 메인 바디(1)내에 삽입된다. 이러한 배치를 위해, 표면 접착 중간 부품(46)이 사용된다. 중간 부품(46)내에는 채널(48 및 49)이 있으며, 채널은 상기 중간 부품(46)의 메인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중간 부품(46)의 큰 표면은 EL 램프(10)의 커버층(14)상에 접착된다. 그 다음에, 공급 소스(15)의 각각의 스프링(38 또는 39)이 채널(48 또는 49) 중 하나를 관통함으로써, 그 정면 단부가 EL 램프(10)의 관련 전극(11 또는 12)상에 놓이도록, 공급 소스(15)가 중간 부품(46)에 장착된다. EL 램프(10) 반대편 중간 부품(46)의 큰 표면 상에 변환기(16)의 전방면이 접착된다. 이렇게 준비된 반제품은 몰드(30)내에 놓이고 메인 바디(1)의 재료와 함께 백(back) 사출 성형된다. 이 경우, 공구(30)의 하부(31)는, 메인 바디(1)의 재료가 변환기(16) 뒤에 배치되며, 상기 직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는 접촉 핀(17 및 18)의 섹션만이 상기 메인 바디(1)의 상기 재료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표시장치는 메인 바디(1) 및 전자 발광 표시장치(20)를 포함한다. 전자 발광 표시장치(20)는 함께 전체를 형성하는 막(2) 및 전자 발광 소자(10)로 이루어진다. 전자 발광 표시장치(10)를 향한 막(2)의 표면은 표시될 모티프(10)를 갖는다. 전자 발광 소자(10)는 전방 전극(11)과 후방 전극(12)을 포함하며, 전극들 사이에 유전체(13)가 배치된다. 전방 전극(11)은 모티프(9)를 나타내는 층에 장착되고, 이 층과 일체형으로 구현된다.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의 표면 내부에 공급 소스(15)가 배치되고, 공급 소스(15)는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의 전극(11 및 12)과 접촉한다.

Claims (10)

  1. 투명한 전방부(2)와, 상기 전방부 뒤에 배치된 전자 발광 소자(10)를 포함하는 3차원 전자 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의 층들은 전자 발광 소자(10)의 큰 곡률을 손상 없이 극복하도록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전자 발광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발광 소자(10)가 서로 간격을 두고 있는 2개의 표면 접착 전극(11, 12)을 가지며, 상기 전극들(11, 12) 사이에 유전체(13)가 배치되고, 상기 유전체는 상기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면 빛을 낼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전자 발광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2)는 막으로 구현되고, 상기 모티프(9)는 막(2)의 후방 큰 표면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전자 발광 소자(10)의 전방 전극(11)이 모티프 층(9)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전자 발광 표시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발광 소자(10)의 후방 전극(12)의 외부 큰 표면은 커버층(1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전자 발광 표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발광 표시장치(20)의 외부 큰 표면에 메인바디(1)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전자 발광 표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1)가 하나 이상의 홈을 가지며, 상기 홈은 메인 바디(1)의 정면에 대해 실제로 수직인 하나 이상의 측벽을 가지고, 상기 메인 바디(1)의 정면 벽에 장착된 전자 발광 소자(10)가 상기 홈 내의 상응하는 섹션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자 발광 소자(10)의 상기 섹션이 상기 홈의 측벽 상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전자 발광 표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는 변환기(16)가 제공되고, 상기 변환기의 출력은 상기 전자 발광 소자(10)에 접속되며 상기 변환기(16)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표시장치의 메인 바디(1)의 재료 내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전자 발광 표시장치.
  8. 제 1항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편평한 막(2)을 준비하고, 상기 막의 큰 표면 중 하나에 모티프(9)를 제공하며, 상기 전자 발광 소자(10)를, 상기 발광 장치(20)의 전방 전극(11)이 모티프(9)를 가진 막(2)의 측면 상에 놓이도록, 막(2)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발광 표시장치(20)가 디프 디로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디프 드로잉된 전자 발광 표시장치(20)가 플라스틱으로 백(back)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47005936A 2001-10-24 2002-10-24 3차원 전자 발광 표시장치 KR1009228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9652001 2001-10-24
CH1965/01 2001-10-24
CH2005/01 2001-11-02
CH20052001A CH695623A5 (de) 2001-11-02 2001-11-02 Kunststoffbautei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PCT/CH2002/000579 WO2003037039A1 (de) 2001-10-24 2002-10-24 Dreidimensionale elektrolumineszenzanzei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8218A true KR20040058218A (ko) 2004-07-03
KR100922849B1 KR100922849B1 (ko) 2009-10-20

Family

ID=25739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936A KR100922849B1 (ko) 2001-10-24 2002-10-24 3차원 전자 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7439672B2 (ko)
EP (2) EP1446985B1 (ko)
JP (1) JP2005507152A (ko)
KR (1) KR100922849B1 (ko)
AT (1) ATE407542T1 (ko)
AU (1) AU2002333149B2 (ko)
BR (1) BR0206201A (ko)
CA (1) CA2462904C (ko)
DE (1) DE50212741D1 (ko)
DK (1) DK1446985T3 (ko)
EA (1) EA007665B1 (ko)
ES (1) ES2312663T3 (ko)
HR (1) HRP20040338A2 (ko)
HU (1) HUP0401955A2 (ko)
IL (2) IL161370A0 (ko)
MX (1) MXPA04003869A (ko)
NO (1) NO20032903L (ko)
NZ (1) NZ532188A (ko)
PL (1) PL202480B1 (ko)
PT (1) PT1446985E (ko)
SI (1) SI1446985T1 (ko)
WO (1) WO20030370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4307206B2 (en) * 2003-11-03 2009-11-05 Bayer Materialscience Ag Electroluminescent system
DE102004010145A1 (de) * 2004-02-27 2005-09-15 H.C. Starck Gmbh Verformbare elektrolumineszierende Anordnung
JP4964591B2 (ja) 2004-05-13 2012-07-04 株式会社アルバック 有機el素子及び有機el素子の製造方法
ATE394906T1 (de) * 2005-03-24 2008-05-15 Schreiner Group Gmbh & Co Kg Elektrolumineszenzelement
US7445350B2 (en) * 2005-08-22 2008-11-04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Interior/exterior component with electroluminescent lighting and soft touch switching
US7387397B2 (en) * 2005-08-25 2008-06-17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Vehicle backlit panel
DE102006031315A1 (de) * 2006-07-01 2008-01-17 Lyttron Technology Gmbh 3D-EL-HDVF Element und Herstellungsverfahren und Anwendung
DE102006037998A1 (de) * 2006-08-14 2008-02-21 Schreiner Group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reidimensionalen Bauteils
DE102006043015A1 (de) * 2006-09-13 2008-03-27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teils und Bauteil
DE102006057653A1 (de) * 2006-12-07 2008-06-26 Lyttron Technology Gmbh EL-Element enthaltend eine semitransparente Metallfolie und Herstellungsverfahren und Anwendung
DE102006059203A1 (de) * 2006-12-13 2008-06-19 Lyttron Technology Gmbh Biegbares 3D-EL-HDFV Element und Herstellungsverfahren und Anwendung
TW200920583A (en) * 2007-11-07 2009-05-16 Darfon Electronics Corp Electronic device having luminescence surfa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housing for the same
DE102008061724B4 (de) * 2008-01-31 2012-04-19 Johnson Controls Automotive Electronics Gmbh Anzeigevorrichtung, Foli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7862220B2 (en) * 2009-03-10 2011-01-04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North America, Inc Integration of light emitting devices and printed electronics into vehicle trim components
EP2429264A1 (de) 2010-09-13 2012-03-14 Bayer MaterialScience AG Schichtaufbau umfassend einen von einer ACPEL-Anordnung beleuchteten Schalter
DE102010061963A1 (de) 2010-11-25 2012-05-31 Bayer Materialscience Aktiengesellschaft EL-Elemente enthaltend eine Pigmentschicht mit vernetzenden Systemen mit blockierten Isocyanat-Gruppen
FR2968921B1 (fr) 2010-12-15 2013-01-1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localisation d'un marqueur optique dans un milieu diffusant
US20130171903A1 (en) 2012-01-03 2013-07-04 Andrew Zsinko Electroluminescent devices and their manufacture
DE102015104299A1 (de) 2015-03-23 2016-09-29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Gmbh Innenverkleidungsteil für ein Kraftfahrzeug
US9642212B1 (en) 2015-06-11 2017-05-02 Darkside Scientific, Llc Electroluminescent system and process
NZ750903A (en) 2016-07-28 2024-02-23 Darkside Scient Inc Electroluminescent system and proces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5951B1 (en) * 1992-12-16 2002-10-15 Durel Corporation Electroluminescent lamp devices and their manufacture
US6069444A (en) * 1992-12-16 2000-05-30 Durel Corporation Electroluminescent lamp devices and their manufacture
US5780965A (en) * 1993-12-09 1998-07-14 Key Plastics, Inc. Three dimensional electroluminescent display
US5856030A (en) * 1996-12-30 1999-01-05 E.L. Specialists, Inc. Elastomeric electroluminescent lamp
CH692682A5 (de) * 1997-10-06 2002-09-13 Enz Electronic Ag Anzeigeeinrichtung.
DE69732776T2 (de) * 1997-11-17 2006-04-06 Molex Inc., Lisle Elektrolumineszierende Lamp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JP3325216B2 (ja) 1997-11-28 2002-09-17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El発光インサート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el発光インサートフィルム
JP3228719B2 (ja) * 1999-02-10 2001-11-12 ワールドオートプレート株式会社 字光性ナンバープレート
JP4381540B2 (ja) * 2000-02-09 2009-12-09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光記録媒体の再生方法
WO2002079316A2 (en) * 2001-03-29 2002-10-10 Agfa-Gevaert Aqueous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or copolymer of a 3,4-dialkoxythiophene and a non-newtonian bi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2333149B2 (en) 2008-09-04
EP1446985B1 (de) 2008-09-03
PL202480B1 (pl) 2009-06-30
SI1446985T1 (sl) 2009-02-28
IL161370A (en) 2010-11-30
CA2462904A1 (en) 2003-05-01
NZ532188A (en) 2006-02-24
IL161370A0 (en) 2004-09-27
CA2462904C (en) 2014-01-21
EP1446985A1 (de) 2004-08-18
ES2312663T3 (es) 2009-03-01
NO20032903L (no) 2003-08-22
BR0206201A (pt) 2005-01-11
ATE407542T1 (de) 2008-09-15
DE50212741D1 (de) 2008-10-16
EA200400571A1 (ru) 2004-08-26
EP2178342A1 (de) 2010-04-21
DK1446985T3 (da) 2009-01-12
HRP20040338A2 (en) 2005-02-28
US7439672B2 (en) 2008-10-21
NO20032903D0 (no) 2003-06-24
HUP0401955A2 (hu) 2005-01-28
PL368523A1 (en) 2005-04-04
PT1446985E (pt) 2008-11-24
JP2005507152A (ja) 2005-03-10
US20050040769A1 (en) 2005-02-24
KR100922849B1 (ko) 2009-10-20
MXPA04003869A (es) 2004-07-08
EA007665B1 (ru) 2006-12-29
WO2003037039A1 (de) 200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2849B1 (ko) 3차원 전자 발광 표시장치
KR100328305B1 (ko) 전계발광 표지판
US9780270B2 (en) Molded LED light sheet
JP3068349U (ja) 3次元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
EP0917409A1 (en) Electroluminescent lamp and method of fabrication
WO2014123734A1 (en) Interlocking light sheet tiles
KR20090027228A (ko) 3d el hpf 소자, 제조 방법 및 응용
TWI694786B (zh) 操作基板拾取工具的方法及非暫態電腦可讀取媒體
KR100773325B1 (ko) 자동차용 도어 스커프의 제조방법
US20010037933A1 (en) Illuminated membrane switch
US7173204B2 (en) Control panel assembly with moveable illuminating butt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0514759B1 (ko) 초박형 발광 키패드
JP4111607B2 (ja) 照光式押釦スイッチ
JP2000133465A5 (ko)
US8614548B2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method for production
ZA200403061B (en) Three-dimensional electroluminescence display.
JP2008288169A (ja) キースイッチ用部材
JP3929565B2 (ja) 照光式スイッチ
JP3840462B2 (ja) 車両用ガラスサンルーフパネル
JP2006286232A (ja) キートップ付キーシート
JP2005259485A (ja) 照光式押釦スイッチ用部材
CN111261438A (zh) 一种胶膜式按压开关饰件的制造工艺
CN111261437B (zh) 一种按压式开关饰件制造工艺
US20050128732A1 (en) Luminous device
JP2007005223A (ja) 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